KR100241866B1 - 표시장치, 전자장치 및 전자장치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전자장치 및 전자장치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1866B1
KR100241866B1 KR1019970032397A KR19970032397A KR100241866B1 KR 100241866 B1 KR100241866 B1 KR 100241866B1 KR 1019970032397 A KR1019970032397 A KR 1019970032397A KR 19970032397 A KR19970032397 A KR 19970032397A KR 100241866 B1 KR100241866 B1 KR 1002418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ar cell
light emitting
light
display
emit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2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10503A (ko
Inventor
히로유키 소노다
노리히사 우스이
순지 미나미
고지 나미키
Original Assignee
가시오 가즈오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8209855A external-priority patent/JPH1048358A/ja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 가즈오,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시오 가즈오
Publication of KR980010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105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1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18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06Circuit arrangements or driving methods for the control of single liquid crystal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4Direct backlight with lamp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9/00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 G04G9/0023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by light valves in general
    • G04G9/0029Details
    • G04G9/0047Details electrical, e.g. selection or application of the operating voltag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26Illuminating devices providing two modes of illumination, e.g. day-nigh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ic Clock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손목시계, 전자수첩 등의 각종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표시장치, 전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 장치는 액정표시부재(205)와 이 액정표시부재(205)의 아래쪽위치에 설치된 판상의 발광부재(207)의 사이에 다수의 광투과용의 개구부(213, 220, 231, 235)를 갖는 태양전지부재(206)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표시장치, 전자장치 및 전자장치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전자손목시계, 전자수첩, 퍼스컴 등의 각종 전자기기에 적용하여 유용한 표시장치, 전자장치 및 전자장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손목시계나 전자수첩이나 퍼스컴 등의 전자기기의 경우 각종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액정표시패널의 아래쪽위치에 일렉트로루미네센스를 이용한 발광부재(이하 「EL발광부재」라 한다.)를 배치하고, 이 EL발광부재로부터 면발광된 빛으로 액정표시패널을 아래쪽에서 조명함으로써 액정표시패널에 표시된 각종 정보를 야간, 어두운 곳에서도 충분히 시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알려져 있다.
한편 이들 전자기기의 경우 태양전지부재를 이용하여 이 태양전지부재에서 변환된 전력으로 기기 전체를 제어하도록 한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전자기기의 경우 태양전지부재와 액정표시패널을 병렬로 배치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전자기기 전체의 표면적이 커져서, 예를 들면 전자손목시계 등의 매우 소형인 전자기기의 경우 손목에 대한 장착을 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 태양전지부재와 액정표시패널을 병렬하여 설치한 경우 태양전지부재의 점유면적에 따라 액정표시부재의 점유면적이 제한되기 때문에 그 액정표시부재의 점유면적이 상대적으로 좁아지고 표시를 위한 충분한 면적을 확보할 수 없어서 각종 표시정보를 시인하기 어려운 문제점도 있다.
또한 태양전지부재와 액정표시패널을 병렬하여 설치한 경우 일반적으로 태양전지부재는 흑색이기 때문에 그 흑색의 태양전지부재가 기기의 표면에 노출되게 되기 때문에 디자인상의 제한을 받아서 양호한 디자인을 실시할 수 없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태양전지부재를 편입해도 야간이나 어두운 곳에서 터치패널 또는 표시부재의 표시를 명확히 시인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기기의 디자인의 향상도 가능한 표시장치, 전자장치 및 전자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상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해 터치조작되는 투명터치패널 또는 액정표시부재와, 이 투명터치패널 또는 액정표시부재의 아래쪽위치에 설치된 판상의 태양전지부재와, 이 판상의 태양전지부재의 아래쪽위치에 설치된 판상의 발광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태양전지부재에는 빛을 통과시키기 위한 다수의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판상의 발광부재로서는 EL발광부재를 들 수 있는데 발광기능을 갖는 부재이면 램프, 형광등 등의 다른 발광부재이어도 좋다.
또 태양전지부재로서는 빛을 수광하고, 그 수광에 의하여 광전변환을 실시하여 전력을 발생하는 것이며, 그 전력이 터치패널이나 발광부재를 포함하는 각 부에 공급된다.
또 개구부로서는 빛을 투과하는 가는 직경 등의 다수의 광투과구멍, 또는 터치키의 각 기능을 나타내는 추출문자, 기호, 도형 등의 표시요소를 나타내는 형상의 것을 들 수 있는데, 어떠한 형상의 것이어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투명터치패널 또는 액정표시부재와 발광부재의 사이에 다수의 투과용 개구부부착의 태양전지부재를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주간은 물론 야간이나 어두운 곳에서도 투명터치패널의 표면 또는 액정표시부재의 표시내용을 명확히 외부에서 시인할 수 있다. 또 투명터치패널 또는 액정표시부재, 다수의 투과용 개구부부착의 태양전지부재 및 발광부재의 각 부재를 겹쳐 쌓은 구조로 하고 있기 때문에 장치 전체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흑색의 태양전지부재를 이용해도 그 태양전지부재를 투명터치패널 또는 액정표시부재의 하부위치에 설치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흑색의 태양전지부재가 장치의 표면에 노출되는 일 없이 장치 또는 기기의 디자인의 향상도 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전자손목시계에 적용한 경우의 제 1 실시형태예를 나타내
는 평면도.
도 2는 도 1의 전자손목시계의 종단측면도.
도 3은 도 2의 화살표시 A부의 확대도.
도 4는 도 2의 화살표시 A부의 변형예를 나타낸 확대도.
도 5는 도 1의 손목시계의 주요부인 태양전지부재주변의 제조공정예를 나타
내는 것으로,
도 5A는 시계유리에 대한 투명전극과 아몰퍼스실리콘과 금속전극의 형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5B는 금속전극에 대한 레지스트의 형성을 나타낸 주요부단면도.
도 5C는 에칭에 의해 금속전극과 아몰퍼스실리콘이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 주
요부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예가 적용된 손목시계의 단면도.
도 7은 출사구를 설치한 표시판의 평면도.
도 8은 도 7의 확대평면도.
도 9는 다른 출사구를 설치한 표시판의 평면도.
도 10은 도 9의 확대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예의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예의 사시도.
도 13A는 도 12의 단면도.
도 13B는 도 11에 있어서의 액정표시부재 등의 적층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예의 평면도.
도 15는 도 14의 A-A선 단면도.
도 16A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예의 태양전지부재의 평면도.
도 16B는 도 16A의 태양전지부재의 정면도.
도 16C는 도 16B에 있어서의 태양전지부재의 A부의 확대단면도.
도 16D는 도 16A의 태양전지부재의 바닥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예의 EL발광부재의 평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예의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예의 태양전지부재의 평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예의 EL발광부재의 평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예의 평면도.
도 22는 도 21의 B-B선 단면도.
도 23A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예의 태양전지부재의 평면도.
도 23B는 도 23A의 태양전지부재의 정면도.
도 23C는 도 23B의 태양전지부재의 A부의 확대단면도.
도 23D는 도 23A의 태양전지부재의 바닥면도.
도 24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예의 문자판의 평면도.
도 25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예의 EL발광부재의 평면도.
도 26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형태예의 단면도.
도 27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형태예의 태양전지부재의 평면도.
도 28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형태예의 EL발광부재의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기기케이스 2: 밴드부착부
3, 4: 베젤 5: 안쪽덮개
6: 상부하우징 7: 하부하우징
8: 시계유리 10: 시계모듈
11: 액정표시패널(표시부재) 20: 투명터치패널
21: 디지털표시부 21a: 시각표시부
21b: 정보표시부 22: 터치조작부
22a, 22b, 22c, 22d, 22e, 22f: 터치키
23, 24: 투명필름 25: 도트스페이서
30: 태양전지부재
32a, 32b, 32c, 32d, 32e, 32f: 개구부
40: EL발광부재
이하에 본 발명에 관련되는 표시장치의 실시의 각 형태예를 도 1에서 도 28을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예〉
우선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표시장치를 적용한 전자기기의 한 예로서의 전자손목시계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똑같이 종단측면도, 도 3은 도 2의 화살표시 A부의 확대도이다.
이들 도 1에서 도 3에 있어서, ″1″은 기기케이스, ″2″는 밴드부착부, ″3″, ″ 4″는 베젤, ″5″는 안쪽덮개, ″6″은 상부하우징, ″7″은 하부하우징, ″8″은 시계유리, ″10″은 시계모듈, ″11″은 액정표시패널(표시부재), ″20″은 투명터치패널, ″21″은 디지털표시부, ″21a″는 시각표시부, ″21b″는 정보표시부, ″22″는 터치조작부, ″22a, 22b, 22c, 22d, 22e, 22f″는 터치키, ″23, 24″는 투명필름, ″25″는 도트스페이서, ″30″은 태양전지부재, ″32a, 32b, 32c, 32d, 32e, 32f″는 개구부, ″40″은 EL발광부재이다.
이 전자손목시계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계케이스로 되어 있는 기기케이스(1)의 양단부에 밴드부착부(2, 2)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기기케이스(1)의 상면외주부분에 장식용의 베젤(3, 4)이 부착되고 기기케이스(1)의 하면에는 안쪽덮개(5)가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기기케이스(1)의 내부에는 상부하우징(6) 및 하부하우징(7)이 수용되고 기기케이스(1)의 상면개방부에 시계유리(8)가 부착되어 있다.
상부하우징(6) 및 하부하우징(7)의 내부에는 시계모듈(10)이 맞붙어 있고, 이 시계모듈(10)은 표시부재로서의 액정표시패널(11)과, 그 하부위치의 하면에 배치되어 LSI 등을 실장한 도시하지 않는 회로기판(11A) 등을 구비하고 있다.
또 시계유리(8)의 상면에는 투명터치패널(20)이 겹쳐지고, 그 주위가 베젤(3)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며, 이 투명터치패널(20)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시에서 상단부측과 하단부측에 영역이 구획된 디지털표시부(21) 및 터치조작부(22)를 갖고 있다.
즉 도 1에 있어서, 상단부측의 디지털표시부(21)는 7세그먼트에 의하여 시각을 표시하는 시각표시부(21a)와, 스톱워치에 의한 계측시간이나 계산결과나 기억되어 있는 메시지 등의 정보를 표시하는 정보표시부(21b)를 병렬로 갖는 것이다.
이상의 디지털표시부(21)의 시각표시부(21a) 및 정보표시부(21b)의 표시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정표시패널(11)에 의하여 실시된다.
또 도 1에 있어서, 하단부측의 터치조작부(22)는 복수(도시예에서는 6개)의 터치키(22a, 22b, 22c, 22d, 22e, 22f)를 바둑판눈형상으로 갖는 것이다.
여기에서 투명터치패널(20)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폴리에틸렌테레푸탈레이트(PET) 등의 가요성의 한쌍의 투명필름(23, 24)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투명필름(23, 24)의 상기 터치조작부(22)에 있어서의 대향면에는 각 터치키(22a, 22b, 22c, 22d, 22e, 22f)의 위치에 대응시켜서 ITO(Indium Tin Oxide) 등에 의한 투명전극(23a, 23a)이 각각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아래쪽의 투명필름(24)상에는 그 투명전극(23b)의 주위의 부위에 대응하여 도트스페이서(25)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도트스페이서(25)는 각 투명전극(23a, 23b)끼리가 서로 접촉하지 않는 높이로 형성되어 있다.
이 도트스페이서(25)는 각 터치키(22a, 22b, 22c, 22d, 22e, 22f)에 대한 각각의 터치조작시에만 인접하는 키부분의 투명전극(23a, 23b)의 상호의 전기적인 접촉이 실시되고, 그 터치조작 이외인 때는 상호의 전기적인 접촉을 방지하여 정확한 키터치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투명터치패널(20)에 있어서, 그 각 투명필름(23, 24)의 상기 디지털표시부(21)에 있어서의 대향면에는 각 투명전극(23a, 23b)와 같은 투명전극은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각 투명필름(23, 24)을 통하여 디지털표시부(21)에 표시된 문자, 도형 또는 아이콘 등을 투명전극을 통하는 일 없이 명료하게 시인할 수 있다.
그리고 이상의 투명터치패널(20)의 터치조작부(22)에 대응하여 시계유리(80의 하면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상의 태양전지부재(30)가 겹쳐서 형성되어 있다.
이 판상의 태양전지부재(30)는 시계유리(8)의 하면에 도 5A∼도 5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ITO 등에 의한 투명전극층(31)을 패턴형성한 후에 아몰퍼스실리콘층(32)을 적층하고, 또한 알루미늄 등에 의한 금속전극층(33)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 태양전지부재(30)에 있어서, 아몰퍼스실리콘층(32)은 투명터치패널(20), 시계유리(8) 및 투명전극(31)을 투과한 빛을 수광함으로써 광전변환을 실시한다.
이상의 태양전지부재(30)에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각 터치키(22a, 22b, 22c, 22d, 22e, 22f)에 대응하는 키명칭이나 키기능을 나타내는 추출문자 또는 추출도형에 의한 개구부(32a, 32b, 32c, 32d, 32e, 32f)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상의 구성에 의한 판상의 태양전지부재(30)의 하부위치에는 판상의 EL발광부재(40)가 상기 상부하우징(6)에 맞붙어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시계모듈(10)의 회로기판(11A)의 전자회로부(EC)에 대하여 액정표시패널(11)의 전극단자, 투명터치패널(20)의 전극단자, 태양전지부재(30)의 전극단자, EL발광부재(40)의 전극단자가 인터커넥터 등의 전기적 접속부재에 의하여 각각 접속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판상의 태양전지부재(30)에 대한 개구부(32a, 32b, 32c, 32d, 32e, 32f)의 형성은 예를 들면 도 5A∼도 5C에 나타내는 각 공정을 거쳐서 형성된다.
즉 우선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계유리(8)의 하면에 투명전극층(31), 아몰퍼스실리콘층(32), 금속전극층(33)을 차례로 적층한다.
다음으로 이와 같이 적층한 상태에서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금속전극층(33)의 하면에 상기 태양전지부재(30)에 형성해야 할 추출문자 또는 추출도형에 의한 각 개구부(32a, 32b, 32c, 32d, 32e, 32f)에 대응하는 소정 패턴의 개구형상을 지닌 레지스트(34)를 형성한다.
이 소정 패턴의 개구형상에 의한 레지스트(34)는 금속전극층(33)의 하면에 한결같이 레지스트를 도포하고 나서 도시하지 않는 포토마스크를 이용하는 동시에 도시하지 않는 빛에너지를 이용하여 레지스트를 노광한 후 그 노광한 레지스트를 현상함으로써 형성한다.
다음으로 도 5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에칭함으로써 레지스트(34)의 개구형상에 대응하는 금속전극층(33)과 아몰퍼스실리콘층(32)의 각 부분을 제거한다.
이 제거에 의해 희망하는 크기의 개구부(32a, 32b…)가 태양전지부재(30)에 형성되게 된다. 그 후 레지스트(34)를 박리하여 제거함으로써 처리가 완료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예의 전자손목시계에 따르면, 도 1에 있어서 상단부측에서 하부위치의 액정표시패널(11)에 의한 시각표시부(21a) 및 정보표시부(21b)의 표시가 실시되는 디지털표시부(21)와, 하단부측의 터치키(22a, 22b, 22c, 22d, 22e, 22f)에 의한 터치조작부(22)를 나란히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투명터치패널(20)을 이용하여 그 하단측의 터치조작부(22)와 그 하부위치의 EL발광부재(40)의 사이에 배치한 판상의 태양전지부재(30)에 상기 각 터치키(22a, 22b, 22c, 22d, 22e, 22f)에 대응하는 키명칭이나 키기능을 나타내는 추출문자 또는 추출도형에 의한 개구부(32a, 32b, 32c, 32d, 32e, 32f)를 형성하고 이 개구부(32a, 32b, 32c, 32d, 32e, 32f)를 통하여 그 하부위치의 EL발광부재(40)가 발하는 빛을 바로 앞의 터치조작부(22)측에 통과시키고, 그 바로 앞의 터치조작부(22)측으로부터 개구형상이 보이도록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이하의 (1)에서 (3)의 효과가 얻어진다.
(1) 병렬의 시각표시부(21a) 및 정보표시부(21b)에 의한 디지털표시부(21)와, 터치키(22a, 22b, 22c, 22d, 22e, 22f)에 의한 터치조작부(22)를 나란히 설치한 투명터치패널(20)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그 디지털표시부(21)에 있어서 그 하부위치의 액정표시패널(11)에 의한 시각표시부(21a) 및 정보표시부(21b)의 병렬표시가 보인다.
(2) 주간이나 밝은 곳에 있어서, 투명터치패널(20)의 터치조작부(22)측으로부터 그 하부위치의 태양전지부재(30)에 형성한 추출문자 또는 추출도형에 의한 각 개구부(32a, 32b, 32c, 32d, 32e, 32f)의 형상이 보이고 각 터치키(22a, 22b, 22c, 22d, 22e, 22f)의 기능표시를 시인할 수 있기 때문에 터치조작부(22)를 사용하기 쉽다.
(3) 야간이나 어두운 곳에 있어서는, 태양전지부재(30)의 개구부(32a, 32b, 32c, 32d, 32e, 32f)가 하부위치의 EL발광부재(40)의 발광에 의한 빛의 통과에 의해 조명되고 투명터치패널(20)의 터치조작부(22)측으로부터 각 개구부(32a, 32b, 32c, 32d, 32e, 32f)의 형상에 의해 보이고 각 터치키(22a, 22b, 22c, 22d, 22e, 22f)의 기능표시를 EL발광부재(40)에 의한 백라이트조명에 의하여 판독할 수 있기 때문에 터치조작부(22)를 사용하기 쉽다.
〈변형예〉
이상의 실시형태예에 있어서, 태양전지부재(30)의 개구부(32a, 32b, 32c, 32d, 32e, 32f)를 추출문자 또는 추출도형으로 했지만, 문자나 도형이 아니어도 예를 들면 작은 구멍을 나열한 메시상의 광통과부에 의한 개구부로 되어 있어도 좋다.
그리고 터치키(22a, 22b, 22c, 22d, 22e, 22f)의 키명칭에 대해서는 개구부(32a, 32b, 32c, 32d, 32e, 32f)와는 별도로 설치하도록 해도 좋고 예를 들면 인쇄 등에 의해 시계유리(8)의 상면에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
또 투명터치패널(20)의 구성에 대하여 이상의 제 1 실시형태예에서는 한쌍의 투명필름(23, 24)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3 참조)으로 했지만, 한 장의 투명필름(23)과 시계유리(8)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즉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장의 투명필름(23)과 시계유리(8)로 투명터치패널(20)을 구성하는 경우 그 투명필름(23)과 시계유리(8)의 상기 터치조작부(22)에 있어서의 대향면에 각 터치키(22a, 22b, 22c, 22d, 22e, 22f)의 위치에 대응시켜서 ITO 등에 의한 투명전극(23a, 23b)을 각각 대향하도록 형성한다.
그리고 아래쪽의 시계유리(8)상에는 그 투명전극(23a, 23b)의 주위의 부위에 대응하여 도트스페이서(26)는 각 투명전극(23a, 23b)끼리가 서로 접촉하지 않는 높이로 형성되어 있다.
〈제 2 실시형태예〉
도 6에서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예를 나타내고 도 6은 이 제 2 실시형태예가 적용된 손목시계의 내부구조이다.
이 손목시계는 상부에 시계유리(102)가, 하부에 안쪽덮개(103)가 부착된 시계케이스(101)와, 이 시계케이스(101)내에 설치된 아날로그지침기구(104)를 구비하고 있다. 아날로그지침기구(104)는 회로기판(104A), 전지부재, 그 밖의 부품이 하우징에 편입된 본체부(105)와, 본체부(105)의 중앙부분에서 윗쪽으로 연장되는 지침축(106)과, 이 지침축(106)에 부착된 분침, 시침 등의 지침(107)을 구비하고 있다.
아날로그지침기구(104)의 본체부(105) 상면에는 판상으로 성형된 EL발광부재(108)와 표시판(109)이 적층상태에서 재치되어 있다. 또 이들 EL발광부재(108) 및 표시판(109)의 중앙부분에는 관통구멍(108a, 109a)이 형성되고 이들 관통구멍(108a, 109a)을 지침축(106)이 관통하여 윗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누름부재(110)는 표시판(109)의 주위를 꽉 눌러서 이들을 고정하는 부재이며, 시일부재(111)는 안쪽덮개(103)와 시계케이스(101)의 하면의 사이에 설치된 시일을 위한 부재이다.
이와 같은 구조에 있어서, EL발광부재(108) 및 그 상부에 적층된 표시판(109)에 의하여 표시장치로서의 문자판(112)이 구성되는 것이며, EL발광부재(108)는 아날로그지침기구(104)의 회로기판(104A)상에 설치된 전원부(104B)로부터 발광용 신호가 입력됨으로써 면발광한다.
표시판(109)은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상면이 금속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이 때문에 예를 들면 전체를 금속판으로 해도 좋고 수지판을 금속도금해도 좋다. 또 금속판을 다시 도금함으로써 밝기나 금속컬러를 부여한 것이어도 좋다. 이 표시판(109)의 상면에는 시자, 그 밖의 문자 등을 인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시각을 나타내는 문자판으로서의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표시판(109)은 적어도 상면을 금속에 의하여 형성함으로써 금속감을 표현할 수 있고 손목시계에 고급감을 부여할 수 있다.
도 7은 전체가 금속에 의하여 형성된 표시판(109)을 나타낸다.
이 표시판(109)에는 개구부인 다수돌기의 출사구(113)가 관통구멍(109a)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출사구(113)는 도 8에 확대하여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는 직경으로 되어 있는 동시에 표시판(109)의 직경방향으로 단속상태로 연장되어 있다.
이와 같은 형상의 출사구(113)는 표시판(109)을 에칭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출사구(113)에는 표시판(109)을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는 광통로(도시 생략)가 연통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아래쪽의 EL발광부재(108)로부터의 빛이 출사구(113)로부터 출사한다. 이 빛의 출사에 의하여 표시판(109)의 상면 전체가 밝아져서 어두운 곳이나 야간에 있어서의 시각의 판독이 가능하게 된다. 또 출사구(113)는 가는 직경이며 표시판(109) 전체의 면적에 비하여 적기 때문에 표시판(109)의 금속감을 손상하는 일은 없다.
〈표시판의 다른 예〉
도 9 및 도 10은 표시판(109)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이 표시판(109)에는 출사구(113)가 가는 직경의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출사구(113)의 다수가 관통구멍(109a)을 중심으로 한 동심원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에도 출사구(113)는 표시판(109)을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는 광통로에 연통하고 있기 때문에 EL발광부재(108)로부터의 빛을 출사할 수 있고 도 7 및 도 8과 똑같은 작용을 갖고 있다.
이상의 도 7에서 도 10에 나타내는 다수의 출사구(113)는 표시판(109)의 상면에 규칙적인 모양을 형성하고 있으며, 출사구(113)의 전체에서 표시판(109) 상면의 의장을 형성하고 있다. 이 때문에 표시판(109)에 미장성이 부여되고 표시장치로서의 문자판(112)의 외관이 향상하고 있다.
또한 이상과 같은 출사구(113)가 형성하는 의장은 도시하는 이외의 모양, 그림이어도 좋다.
〈제 3 실시형태예〉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예를 나타내고 상기한 제 2 실시형태예와 동일한 요소는 동일한 부호로 대응시키고 있다.
이 제 3 실시형태예에 있어서는 EL발광부재(108)상에 표시판(109)이 배치되어 있다. 이 표시판(109)상에 필름부재(114)가 배치되어 있는 것에 의하여 표시장치로서의 문자판(112)이 형성되어 있다.
필름부재(114)는 광투과성을 갖고 있는 동시에 모양, 그림, 문자 등이 인쇄됨으로써 가식이 실시되고 있다.
표시판(109)으로서는 도 7에서 도 10과 똑같이 가는 직경의 출사구(113)가 의장을 이루도록 형성된 것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가식된 필름부재(114)를 표시판(109)의 윗쪽에 배치함으로써 표시판(109)의 의장에 덧붙여서 필름부재(114)의 가식을 관상할 수 있고 취미성이 향상하여 문자판(112)의 상품가치가 향상한다.
또한 필름부재(114)로서는 광투과성을 지닌 컬러필름이어도 좋고, 이 필름을 사용함으로써 컬러메탈릭감을 부여할 수 있다.
〈제 4 실시형태예〉
도 12∼도 13B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예를 나타낸다.
이 제 4 실시형태예에서는 도 12, 도 13 및 도 1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EL발광부재(108)의 윗쪽에 배치되는 표시판(109)의 전체가 금속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그 상면에는 슬릿상의 다수의 출사구(113)가 다열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 표시판(109)의 내부에 있어서의 출사구(113)와의 대응부위에는 담벽부(115)가 설치되어 있다. 이 담벽부(115)는 표시판(109)의 일부가 되어 있으며, 따라서 담벽부(115)는 금속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출사구(113)와 대응하는 표시판(109)의 내부에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담벽부(115)를 설치함으로써 출사구(113)부분으로부터도 금속이 보이기 때문에 표시판(109) 전체를 금속으로서 감수할 수 있어서 금속감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인접하는 담벽부(115)의 사이는 출사구(113)와 똑같이 슬릿상으로 개구됨으로써 개구부인 빛의 입사구(116)로 되어 있으며, 이 입사구(116)가 EL발광부재(108)에 면해 있다.
그리고 표시판(109)의 내부에는 도 1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사구(116)와 출사구(113)를 연통하는 지그재그상의 광통로(117)가 형성되어 있으며, EL발광부재(108)가 발광한 빛이 도 13A의 화살표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사구(116)로부터 광통로(117)를 통하여 출사구(113)에 도달하고 출사구(113)로부터 윗쪽으로 출사한다.
이 빛의 출사에 의하여 표시판(109)이 밝아지기 때문에 어두운 곳 내에서의 시각의 판독을 실시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예에 있어서의 위치어긋남된 출사구(113), 입사구(115)의 형성은 표시판(109)을 하프에칭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즉 표시판(109)의 상면으로부터 하프에칭을 실시하여 출사구(113)를 형성하고, 그 후 표시판(109)의 하면으로부터 하프에칭을 실시하여 출사구(113)와 위치어긋남된 입사구(116)를 형성한다.
이 상하면으로부터의 하프에칭에 있어서는 에칭량을 오버랩시키고 출사구(113), 입사구(116)를 연통하는 지그재그상의 광통로(117)를 제작하는 것이다.
〈변형예〉
또한 도 13B는 표시판(109)의 아래쪽위치에 판상의 태양전지부재(30A)를 배치한 변형예를 나타낸다.
이는 도 6에 있어서의 EL발광부재(108)에 대신하여 태양전지부재(30A)로 함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표시판(109)은 이상의 실시형태예와 똑같은 구조의 것이 사용되는데, 그 출사구(113)가 빛의 입사구가 되어 빛의 입사에 의하여 태양전지부재(30A)가 광전변환을 실시하고 시계 내부의 부품에 전력공급을 실시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출사구(113)를 가는 직경으로 함으로써 표시판(109)의 금속감이 손상되는 일이 없이 고급감을 부여할 수 있다.
〈제 5 실시형태〉
도 14에서 도 17은 디지털식 전자손목시계에 적용한 경우의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예이며, 도 14 및 도 15는 그 시계모듈의 평면도 및 그 A-A선 단면도를 나타낸다.
이 시계모듈(201)은 기기케이스로서의 시계케이스(201A)내에 장착됨으로써 시각, 그 밖의 정보를 표시하는 것이며, 판상의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시계케이스(201A)를 구성하기 위해 절개나 개공이 형성된 상부하우징(202)과 하부하우징(203)의 사이에는 표시부재로서의 액정표시부재(205)와, 태양전지부재(206)와, 액정표시부재(205)를 조명하는 EL발광부재(207)와, 그 밖의 전자부재가 편입되어 있다.
또한 상부하우징(202) 및 하부하우징(203)은 지판(208)을 이들에 거는 것에 의하여 조립되어 있으며, 이 조립시에는 LSI 등의 전자회로부(209a)를 구비한 회로기판(209)이 이들의 사이에 끼워져서 고정되어 있다.
액정표시부재(205)는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7세그먼트에 의하여 시각을 표시하는 시각표시부(205a)와, 스톱워치의 계측시간 등을 7세그먼트에 의하여 표시하는 정보표시부(205b)가 상하로 구획되어 배치되어 있다. 이들 시각표시부(205a)와 정보표시부(205b)는 필요한 복수의 정보를 별개로 동시에 또는 선택적으로 표시하게 되어 있다.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액정표시부재(205)는 투과형의 액정표시부재이며 표시세그먼트 이외는 빛을 투과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 광투과성의 구조는 액정이 충전되는 한쌍의 기판을 투명기판으로 하는 동시에 이 한쌍의 투명기판의 상하면에 적층되는 편광판(도시 생략)을 사용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이 하면의 편광판의 아래에는 반투과형의 반사판(204)이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액정표시부재(205)의 주변부분의 하면에는 패턴전극(도시 생략)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패턴전극과 회로기판(209)의 전자회로로부터 인출된 패턴전극(도시 생략)이 전기적 접속부재로서의 인터커넥터(210)에 의하여 접속되어 있다. 이에 따라 액정표시부재(205)의 표시가 회로기판(209)의 전자회로에 의하여 제어되고 있다.
태양전지부재(206) 및 EL발광부재(207)는 어느쪽도 판상으로 성형되어 있다. 또 이들 태양전지부재(206) 및 EL발광부재(207)는 상하로 겹쳐져 있으며, 이 상태에서 액정표시부재(205)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예에서는 태양전지부재(206)가 윗쪽에 위치하고 EL발광부재(207)가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겹쳐져 있다.
태양전지부재(206)는 시계케이스(201A)내에 진입한 빛을 수광하고, 이 수광에 의하여 광전변환을 실시해서 전력을 발생시키고, 이 전력을 시계모듈(201)내의 각 전자부재에 공급한다. 이 때문에 도전성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스프링(211)이 접속부재로서 사용되고 있으며, 이 코일스프링(211)을 통함으로써 태양전지부재(206)가 회로기판(209)의 전자회로부(209a)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회로기판(209)의 전자회로부(209a)에는 태양전지부재(206)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축전하는 콘덴서 또는 2차전지부재 등의 축전회로(도시 생략)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며, 이 축전회로로부터 EL발광부재(207)를 비롯한 각 전자부재에 전력을 공급한다.
EL발광부재(207)는 회로기판(209)의 전자회로부(209a)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의하여 발광하고, 이 발광에 의하여 액정표시부재(205)를 아래쪽으로부터 조명한다. 이 조명에 의하여 액정표시부재(205)가 밝아지고 야간, 어두운 곳 내에서의 정보의 시인, 판독이 가능하게 된다.
이 EL발광부재(207)와 회로기판(209)의 전기적인 접속은 도전성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접속편(212)을 이들의 사이에 삽입함으로써 실시된다.
도 16A∼도 16C는 태양전지부재(206)를 나타낸다.
도 16A는 태양전지부재(206)의 수광면, 도 16C는 태양전지부재(206)의 수지기판(214)을 나타낸다.
태양전지부재(206)의 수광면은 액정표시부재(205)측에 위치하고 수지기판(214)이 EL발광부재(207)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수광면에는 도 16A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전지셀(206a)이 구획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전지셀(206a)이 수광함으로써 광전변환을 실시한다.
전지셀(206a)의 전체는 도 1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전지셀(206a)은 도 16C의 확대도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지기판(214)상에 제 1 전극층(215)이 패턴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이 제 1 전극층(215)상에 아몰퍼스실리콘층(216)이 적층되어 있다.
아몰퍼스실리콘층(216)은 수광에 의하여 광전변환을 실시하는 것이며, 인접하는 제 1 전극층(215)에 접하도록 수지기판(214)상에 적층되어 있고, 이 아몰퍼스실리콘층(216)상에 제 2 전극층(217)이 적층되어 있다. 제 2 전극층(217)은 제 1 전극층(215)상에 오버랩함으로써 제 1 전극층(215)과 도통하고, 이에 따라 광전변환에 의하여 발생한 전류를 꺼낼 수 있다.
도 16C에 있어서, ″218″, ″219″는 수지기판(214)의 단부에 형성된 출력단자이며, 이 출력단자(218, 219)에 코일스프링(211)(도 15 참조)이 접촉함으로써 전류를 회로기판(209)에 공급하게 되어 있다.
전지셀(206a)에는 도 16A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구부인 소직경의 광통과구멍(213)이 관통하도록 복수 형성되어 있으며, 이 광통과구멍(213)을 빛이 통과하게 되어 있다.
또 전지셀(206a)을 지지하는 수지기판(214)은 투명부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에 따라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는 EL발광부재(207)로부터의 빛이 수지기판(214)을 투과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수지기판(214)을 투과한 빛은 광통과구멍(213)을 통과하여 태양전지부재(206)의 윗쪽으로 빠져나와 확산한다.
또한 도 17은 EL발광부재(207)를 나타내고 태양전지부재(206)와 거의 동등한 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다.
이와 같은 실시형태예에서는 액정표시부재(205)가 광투과성으로 되어 있으며, 아래쪽에 배치한 태양전지부재(206)에 빛이 도달하기 때문에 태양전지부재(206)가 광전변환을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광전변환에 의하여 발생한 전력은 회로기판(209)의 전자회로부에 축전되고 회로기판(209)의 전자회로부에 대한 제어신호의 입력에 의하여 회로기판(209)의 전자회로부(209a)로부터 EL발광부재(207)에 공급되고 EL발광부재(207)가 발광하게 되어 있다.
이 빛은 상기한 바와 같이 태양전지부재(206)의 복수의 광통과구멍(213)으로부터 윗쪽으로 확산하여 광투과성의 액정표시부재(205)를 조명하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야간, 어두운 곳 내에서의 정보의 판독을 실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예에서는 태양전지부재(206)를 액정표시부재(205)의 아래쪽에 배치해도 그 광전변환을 양호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 태양전지부재(206)의 아래쪽에 EL발광부재(207)를 배치해도 발광한 빛을 액정표시부재(205)에 인도하여 그 조명을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태양전지부재(206)를 액정표시부재(205)와 병렬상으로 배치할 필요가 없고 액정표시부재(205)의 표시면적을 널리 확보할 수 있어서 정보의 판독이 용이하게 된다.
또 태양전지부재(206)가 액정표시부재(205)의 아래쪽에 위치하여 노출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외관이 향상하는 동시에 디자인 등의 설계의 자유도가 확대된다.
〈제 6 실시형태예〉
도 18에서 도 20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예를 나타내고 제 5 실시형태예(도 15∼도 17)의 동일한 요소는 동일한 부호로 대응시키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EL발광부재(207)가 윗쪽에, 태양전지부재(206)가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겹쳐지고, 이 상태에서 이들이 광투과성의 액정표시부재(205)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다.
도 19는 태양전지부재(206)를 나타내고 복수의 전지셀(206a)이 구획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광통과구멍(213)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이외는 도 16A와 똑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20은 이 태양전지(206)의 윗쪽에 배치되는 EL발광부재(207)를 나타내고 개구부인 소직경의 복수의 광통과구멍(220)이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광통과구멍(220)은 시계케이스(204A)내에 진입한 빛이 통과하고, 통과한 빛이 태양전지부재(206)에 도달하여 동 전지부재(206)에서 수광되고 광전변환된다.
본 실시형태예에서는 액정표시부재(205)의 바로 아래에 EL발광부재(207)가 위치하고 있으며, EL발광부재(207)의 발광에 의하여 액정표시부재(205)가 조명된다.
한편 액정표시부재(205)가 광투과성이기 때문에 외부광이 액정표시부재(205)를 투과하여 EL발광부재(207)에 도달하게 되어 있다.
이 EL발광부재(207)에는 광통과구멍(220)이 복수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빛이 아래쪽의 태양전지부재(206)에 도달하여 태양전지부재(206)가 광전변환을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EL발광부재(207)를 윗쪽에, 태양전지부재(206)를 아래쪽에 배치해도 제 1, 제 5 실시형태예와 똑같이 작용할 수 있다.
〈제 7 실시형태예〉
도 21에서 도 25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예이며 아날로그전자손목시계에 적용한 경우를 나타낸다.
도 21 및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계모듈(201)에는 아날로그지침기구(221)가 편입된다.
아날로그지침기구(221)는 문자판(222)과 문자판(222)의 중앙부분을 관통한 지침축(223)을 갖는 동시에 지침축(223)에는 시침, 분침으로 이루어지는 지침(233)이 부착되고, 이 지침(233)이 문자판(222)의 윗쪽에서 회전하여 시각을 표시하게 되어 있다.
이 아날로그지침기구(221)에 있어서의 문자판(222)으로서는 반투과성 필름 등의 광투과성의 재질이 사용되고 있으며, 외부의 빛이 투과하게 되어 있다.
문자판(222)의 아래쪽에는 함께 판상으로 성형된 태양전지부재(224) 및 EL발광부재(225)가 적층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예에서는 태양전지부재(224)가 윗쪽에 위치하고 EL발광부재(225)가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적층되는 것이다.
이들 부재(224, 225)는 문자판(222)보다도 큰 직경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문자판(222)보다도 바깥쪽으로 연장설치한 외주부분에는 링상의 누름부재(226)가 맞닿음으로써 이들의 들뜸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아날로그지침기구(221)의 하면에는 회로기판(227)이 배치되어 있으며, 이 회로기판(227)과 태양전지부재(224)가 도전성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코일스프링(229)에 의하여 접속되는 동시에 회로기판(227)과 EL발광부재(225)가 도전성의 코일스프링(229)에 의하여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접속에 의하여 태양전지부재(224)로부터의 전력이 회로기판(227)에 입력되어 축전되는 한편 회로기판(227)의 제어에 의하여 EL발광부재(225)가 발광하게 되어 있다.
도 23은 태양전지부재(224)를 나타내고 도 16A∼도 16D와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부호를 붙임으로써 중복하는 설명을 생략한다.
즉 태양전지부재(224)는 투명한 수지기판(214)상에 제 1 전극층(215), 아몰퍼스실리콘층(216), 제 2 전극층(217)이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수지기판(214)에는 회로기판(227)과 접속되는 출력단자(218, 219)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 태양전지부재(224)의 상면에는 도 23A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전변환을 실시하는 복수의 전지부재셀(224a)이 구획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 지침축(223)이 관통하기 위한 축구멍(230)이 중앙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태양전지부재(224)의 전지셀(224a)에는 개구부인 광통과구멍(231)이 복수 형성되어 있다. 이 광통과구멍(231)은 가로로 긴 슬릿상으로 되어 있으며, 빛이 양호하게 통과할 수 있다.
도 24는 문자판(222)을, 도 25는 EL발광부재(225)를 각각 나타내고, 어느쪽도 지침축(223)이 관통하기 위한 축구멍(231, 232)이 중앙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예에서는 문자판(222)이 광투과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문자판(222)을 투과한 빛이 태양전지부재(224)에 입사하고, 이 빛의 입사에 따라서 태양전지부재(224)가 광전변환에 의하여 전력을 발생할 수 있다.
한편 EL발광부재(224)가 발광하면 그 빛은 태양전지부재(224)의 수지기판(214)을 투과한 후 광통과구멍(231)을 통과하여 윗쪽으로 확산한다.
이 때문에 문자판(222)이 조명되고 야간, 어두운 곳 내에서의 시각의 판독을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예에 있어서도 태양전지부재(224)를 문자판(222)의 아래쪽에 배치할 수 있고 문자판(222)의 면적을 크게 할 수 있는 동시에 태양전지부재(224)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기 때문에 외관이 향상하여 디자인설계의 자유도가 증대한다.
〈제 8 실시형태예〉
도 26에서 도 28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형태예를 나타내고 제 7 실시형태예와 동일한 요소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대응시키고 있다.
본 실시형태예에서는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EL발광부재(225)가 윗쪽에, 태양전지부재(224)가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겹쳐지고, 이 상태에서 이들이 광투과성의 문자판(222)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다.
도 27은 태양전지부재(224)를 나타내고 복수의 전지셀(224a)이 구획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광통과구멍(231)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이외는 도 23과 똑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28은 태양전지부재(224)의 윗쪽에 배치되는 EL발광부재(225)를 나타내고 개구부이다. 가로로 긴 슬릿상의 복수의 광통과구멍(235)이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문자판(222)의 바로 아래에 EL발광부재(225)가 위치하고 있으며, EL발광부재(225)의 발광에 의하여 문자판(222)을 조명할 수 있다.
이 문자판(222)은 광투과성이기 때문에 외부광이 문자판(222)을 투과하여 EL 발광부재(225)에 도달하게 되어 있다.
EL발광부재(225)에는 광통과구멍(235)이 복수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빛이 아래쪽의 태양전지부재(224)에 도달하여 태양전지부재(224)가 광전변환을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EL발광부재(225)를 윗쪽에, 태양전지부재(224)를 아래쪽에 배치해도 제 7 실시형태예와 똑같이 작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태양전지부재(206, 224)는 전지셀(206a, 224a)의 수지면을 투명하게 했지만, 불투명한 수지이어도 좋고, 이 경우는 전지셀(206a, 224a)의 광통과구멍(213, 231)과 연통하는 구멍을 형성함으로써 똑같이 작동할 수 있다.
또한 EL발광부재 이외의 판상의 발광부재를 사용해도 좋다.
또한 이상의 실시의 각 형태예에 있어서는 전자손목시계로 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자수첩이나 그 밖의 전자기기이어도 좋다.
또 실시의 형태예에서는 판상의 EL발광부재로 했지만, 다른 발광부재를 채용해도 좋다.
또한 실시의 형태예에서는 액정표시패널로 했지만, 다른 표시부재를 채용해도 좋고, 그 밖에 구체적인 세부구조 등에 대해서도 적당히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투명터치패널 또는 액정표시부재와 발광부재의 사이에 다수의 투과용 개구부부착의 태양전지부재를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주간은 물론 야간이나 어두운 곳에서도 투명터치패널의 표면 또는 액정표시부재의 표시내용을 명확하게 외부에서 시인할 수 있다. 또 투명터치패널 또는 액정표시부재, 다수의 투과용 개구부부착의 태양전지부재 및 발광부재의 각 부재를 겹쳐 쌓은 구조로 하고 있기 때문에 장치 전체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흑색의 태양전지부재를 이용해도 그 태양전지부재를 투명터치패널 또는 액정표시부재의 하부위치에 설치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흑색의 태양전지부재가 장치의 표면에 노출되는 일이 없어서 장치 또는 기기의 디자인의 향상도 꾀할 수 있다.

Claims (18)

  1. 터치조작되는 투명터치패널(20)과,
    상기 투명터치패널(20)을 아래쪽위치에서 조명하기 위해 해당 투명터치패널(20)의 아래쪽위치에 배치된 판상의 발광부재(40)와,
    상기 발광부재(40)와 상기 투명터치패널(20)의 사이에 배치된 판상의 태양전지부재(30)를 구비하고,
    상기 태양전지부재(30)에는 상기 발광부재(40)로부터 발광된 빛을 상기 투명터치패널(20)측에 통과시키는 동시에 상기 투명터치패널(20)측으로부터 개구형상이 보이는 개구부(32a, 32b…)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의 발광부재(40)는 EL발광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터치패널(20)과 상기 태양전지부재(30)의 사이에는 투명의 유리부재(8)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32a, 32b…)는 문자, 기호 등의 형상으로 개구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5. 터치조작되는 터치조작부(22)와 문자, 기호, 화상 등의 표시를 실시하는 표시부(21)를 구획하여 설치한 투명패널(20)과,
    상기 터치조작부(22)의 아래쪽위치에 배치된 판상의 발광부재(40)와,
    상기 발광부재(40)와 상기 터치조작부(22)의 사이에 배치된 판상의 태양전지부재(30)를 구비하고,
    상기 태양전지부재(30)에는 상기 발광부재(40)로부터 발광된 빛을 상기 투명터치패널(20)측에 통과시키는 동시에 상기 투명터치패널(20)측으로부터 개구형상이 보이는 개구부(32a, 32b…)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의 발광부재(40)는 EL발광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32a, 32b…)는 문자, 기호 등의 형상으로 개구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8. 사용자에 의해 터치조작되는 투명터치패널(20)과,
    상기 투명터치패널(20)의 아래쪽위치에 설치된 판상의 태양전지부재(30)와,
    상기 판상의 태양전지부재(30)의 아래쪽위치에 설치된 판상의 EL발광부재(40)와,
    상기 EL발광부재(40), 상기 태양전지부재(30), 상기 투명터치패널(20)이 내부에 배치된 장치본체케이스(1)를 구비하고,
    상기 태양전지부재(30)에는 상기 EL발광부재(40)와 상기 투명터치패널(20)의 사이에 빛을 투과시키기 위한 개구부(32a, 32b…)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32a, 32b…)는 문자, 기호 등의 형상으로 개구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0. 사용자에 의해 터치조작되는 투명터치패널(20)과 이 투명터치패널(20)의 아래쪽위치에 설치된 판상의 발광부재(40)의 사이에 광투과용의 개구부(32a, 32b…)가 형성된 태양전지부재(30)를 배치하는 공정과,
    상기 투명터치패널(20), 상기 태양전지부재(30) 및 상기 EL발광부재(40)를 장치본체케이스(1)의 내부에 배치하는 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제조방법.
  11. 판상으로 형성된 발광부재(108)와,
    상기 발광부재(108)의 윗쪽위치에 배치된 표시판(109)을 구비하고,
    상기 표시판(109)의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상면은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상면에는 상기 발광부재(108)로부터의 빛이 출사하는 가는 직경의 출사구(113)가 개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판(109)의 윗쪽위치에는 가식된 광투과성의 필름부재(114)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출사구(113)는 상기 표시판(109) 상면의 의장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출사구(113)와 대응한 표시판의 위치 내부에는 담벽부(115)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5.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상면이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표시판(109)과,
    상기 표시판(109)의 아래쪽위치에 배치된 판상의 태양전지부재(30)를 구비하고,
    상기 표시판(109)의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상면이 금속으로 이루어지며, 아래쪽에 빛을 유도하는 가는 직경의 입사구(113)가 상기 상면에 개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6. 표시부재(205)와,
    상기 표시부재(205)의 아래쪽위치에 설치된 판상의 발광부재(207)와,
    상기 판상의 발광부재(207)와 상기 표시부재(205)의 사이에 설치된 태양전지부재(206)를 구비하고,
    상기 태양전지부재(206)에는 빛이 상기 표시부재(205)와 상기 발광부재(207)의 사이를 통과하는 광통과구멍(213, 220, 231, 235)이 복수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7. 광투과성의 액정표시부재(205)와,
    상기 액정표시부재(205)의 아래쪽위치에 설치된 판상의 태양전지부재(206)와,
    상기 판상의 태양전지부재(206)의 아래쪽위치에 설치된 판상의 발광부재(207)와,
    상기 액정표시부재(205)의 표시제어 및 상기 발광부재(207)의 발광제어를 실행하는 한편, 상기 태양전지부재(206)로부터 공급된 전력이 입력되는 전자회로부(209, 209a)를 구비하고,
    상기 태양전지부재(206)에는 빛이 통과하는 광통과구멍(213, 220, 231, 235)이 복수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18. 광투과성의 문자판(222)과,
    상기 문자판(222)상에서 회전하는 지침(233)을 회전구동시키는 지침축(223)을 가진 아날로그지침기구(221)와,
    상기 아날로그지침기구(221)의 지침축(223)이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문자판(222)의 아래쪽위치에 설치된 판상의 태양전지부재(224)와,
    상기 태양전지부재(224)의 아래쪽위치에 설치된 판상의 발광부재(225)와,
    상기 태양전지부재(224) 및 상기 발광부재(225)와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태양전지부재(224)로부터 공급된 전력이 입력되는 한편, 상기 발광부재(225)의 발광을 제어하는 전자회로부를 구비하고,
    상기 태양전지부재(224)에는 빛이 통과하는 광통과구멍(231)이 복수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KR1019970032397A 1996-07-12 1997-07-12 표시장치, 전자장치 및 전자장치의 제조방법 KR1002418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8332096 1996-07-12
JP96-183320 1996-07-12
JP8209855A JPH1048358A (ja) 1996-08-08 1996-08-08 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JP96-209855 1996-08-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10503A KR980010503A (ko) 1998-04-30
KR100241866B1 true KR100241866B1 (ko) 2000-02-01

Family

ID=26501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2397A KR100241866B1 (ko) 1996-07-12 1997-07-12 표시장치, 전자장치 및 전자장치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5880796A (ko)
KR (1) KR100241866B1 (ko)
CN (1) CN1163783C (ko)
HK (1) HK1008595A1 (ko)
TW (1) TW37929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47542B2 (ja) 1996-02-20 2005-05-11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液晶表示装置
EP0864904A4 (en) * 1996-09-02 1999-12-01 Seiko Epson Corp LIQUID CRYSTAL PANEL AND ELECTRONIC APPARATUS USING THE SAME
US6639577B2 (en) * 1998-03-04 2003-10-28 Gemstar-Tv Guide International, Inc.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device with ergonomic bezel
CN1161674C (zh) * 1998-11-26 2004-08-11 时至准钟表股份有限公司 带有太阳电池的钟表
JP2001249189A (ja) 1999-11-12 2001-09-14 Casio Comput Co Ltd 時計用文字板および時計
WO2001071434A1 (fr) * 2000-03-21 2001-09-27 Citizen Watch Co., Ltd. Unite electronique
JP2001296374A (ja) 2000-04-13 2001-10-26 Casio Comput Co Ltd 時計用文字板、その製造方法、および時計
TW520780U (en) * 2001-05-08 2003-02-11 Turbotouch Technology Inc E Liquid crystal panel with current touch control
TW579019U (en) * 2001-06-13 2004-03-01 Eturbotouch Technology Inc Flexible current type touch film
JP2003227884A (ja) * 2001-11-29 2003-08-15 Casio Comput Co Ltd 発光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EP1852754B1 (en) * 2005-02-09 2012-05-30 Citizen Holdings Co., Ltd. Display plate for solar cell apparatus
GB0521765D0 (en) * 2005-10-25 2005-11-30 Fromanteel Ltd Clock
US7682070B2 (en) * 2007-08-31 2010-03-23 Nike, Inc. Timepiece with stabilizing bezel
TW200919758A (en) * 2007-10-22 2009-05-01 Univ Nat Taiwan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with energy-recycling capability
CN101995691B (zh) * 2009-08-20 2013-05-15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液晶显示装置
KR101617267B1 (ko) * 2009-12-07 2016-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충전 제어 방법
CN101976041A (zh) * 2010-10-29 2011-02-16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具有触摸屏的电子装置及腕戴式电子装置
CN101984387B (zh) * 2010-10-29 2013-02-13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具有光能发电功能的信息输入模组和信息处理装置
WO2013038655A1 (ja) * 2011-09-15 2013-03-21 シャープ株式会社 照明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表示装置
USD735589S1 (en) * 2012-02-28 2015-08-04 Movado Llc Watch case
CN104124399A (zh) * 2013-04-25 2014-10-29 上海和辉光电有限公司 有机发光器件及其制备方法
CH711345A1 (fr) * 2015-07-21 2017-01-31 Soprod Sa Système multifonctions comprenant une montre avec un affichage mécanique et électro-optique.
CN105262861B (zh) * 2015-09-08 2018-07-31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太阳能电池嵌入式屏幕以及太阳能手机
CN107065371B (zh) 2017-01-23 2023-10-1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双面多功能装置及其显示方法
JP2019102576A (ja) * 2017-11-30 2019-06-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子機器および光電変換素子の製造方法
CN107957638A (zh) * 2018-01-18 2018-04-24 中国科学院宁波材料技术与工程研究所 一种柔性lcd的制备方法
EP4102309A1 (fr) * 2021-06-08 2022-12-14 The Swatch Group Research and Development Ltd Piece d'horlogerie comprenant un element d'habillage muni d'une partie en zircone
TWI789858B (zh) * 2021-08-04 2023-01-1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畫素結構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0481U (ja) * 1981-07-10 1983-01-22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EP0299414B1 (en) * 1987-07-13 1992-12-02 Oki Electric Industry Company, Limited An ic card with a solar battery
US4990900A (en) * 1987-10-01 1991-02-05 Alps Electric Co., Ltd. Touch panel
JPH0229623A (ja) * 1988-07-19 1990-01-31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液晶表示装置
JPH02181131A (ja) * 1989-01-06 1990-07-13 Canon Inc 画像読取装置
JPH0384889U (ko) * 1989-12-14 1991-08-28
JPH05265382A (ja) * 1992-03-19 1993-10-15 Idemitsu Kosan Co Ltd 多用途表示装置
JPH05261180A (ja) * 1992-03-19 1993-10-12 Idemitsu Kosan Co Ltd ゲーム装置
JP3358744B2 (ja) * 1993-05-06 2002-12-24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DE69508328T2 (de) * 1994-03-31 1999-11-04 Citizen Watch Co Ltd Uhr mit einer lichtübertragenden anzeigeplatte
JPH0863824A (ja) * 1994-06-14 1996-03-08 Canon Inc 光磁気記録用磁気ヘッド、及びその製造方法、及び光磁気記録装置
US5761158A (en) * 1994-09-08 1998-06-02 Citizen Watch Co., Ltd. Solar battery powered watch
JPH08304759A (ja) * 1995-05-11 1996-11-22 Rohm Co Ltd 液晶表示装置
JP3644075B2 (ja) * 1995-05-30 2005-04-27 日東紡績株式会社 遮音壁用太陽電池付板状体構造
DE69619796T2 (de) * 1995-11-14 2002-10-31 Citizen Watch Co Ltd Struktur einer anzeigeeinheit für eine elektronische vorricht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008595A1 (en) 1999-05-14
US5880796A (en) 1999-03-09
TW379292B (en) 2000-01-11
CN1173687A (zh) 1998-02-18
KR980010503A (ko) 1998-04-30
US6020943A (en) 2000-02-01
CN1163783C (zh) 2004-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1866B1 (ko) 표시장치, 전자장치 및 전자장치의 제조방법
KR0132404B1 (ko) 액정표시장치를 구비한 전자기기
US4334219A (en) Operation setting device having stationary touch-sensitive control elements
TWI245174B (en) Electronic timepiece apparatus
KR10127867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키, 키보드 및 이를이용하는 전자 장치
WO2000031596A1 (fr) Montre
JP2007522573A (ja) 表示装置、表示方法、及び表示装置を使用するキーボード
WO2001071434A1 (fr) Unite electronique
US4435086A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for world time wristwatch
US20030042847A1 (en) Ultraviolet ray emitting apparatus and electronic apparatus using ultraviolet ray emitting elements
KR100234636B1 (ko) 광 방출장치를 갖춘 전자용품
US20050254226A1 (en) Ornament device,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JP2005324517A (ja) 装飾装置及び電子機器
JP3651190B2 (ja) 表示装置及び時計
JP2004198112A (ja) 電子機器
JP3658629B2 (ja) 時計
JPH1115401A (ja) 表示装置、電子装置、および電子装置の製造方法
KR980010671A (ko) 발광장치 및 발광장치를 구비한 시계
KR20050046820A (ko) 자외선 방출소자를 포함하는 발광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전자장치
JP4048794B2 (ja) 電子機器
JPS5483863A (en) Electronic watch using liquid crystal display
US7265734B2 (en) Display apparatus and electronic watch using the display apparatus
JPH1048358A (ja) 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KR100580238B1 (ko) 조명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전자기기
JPH0949887A (ja) 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2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