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1650B1 - 필기구용 캡 - Google Patents

필기구용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1650B1
KR100241650B1 KR1019980002150A KR19980002150A KR100241650B1 KR 100241650 B1 KR100241650 B1 KR 100241650B1 KR 1019980002150 A KR1019980002150 A KR 1019980002150A KR 19980002150 A KR19980002150 A KR 19980002150A KR 100241650 B1 KR100241650 B1 KR 1002416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barrel
seal
ink
tip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2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70805A (ko
Inventor
가즈아키 마쓰모토
히로유키 무토우
Original Assignee
가즈하라 에이이찌로
미쓰비시 엔피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024553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92642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024552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92642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9034257A external-priority patent/JPH10217674A/ja
Priority claimed from JP139402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853469B2/ja
Application filed by 가즈하라 에이이찌로, 미쓰비시 엔피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즈하라 에이이찌로
Publication of KR19980070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08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1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16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8Protecting means, e.g. caps
    • B43K23/12Protecting means, e.g. caps for p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1/00Nibs; Writing-points
    • B43K1/08Nibs; Writing-points with ball points; Balls or ball beds

Landscapes

  • Pens And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캡의 기본 구성은 다음과 같다. 필기구용 캡내에 배열된 탄성 시일통의 말단면은 배럴통의 마우스 피스의 단부에 결합해서 그것에 긴밀히 접촉하게 됨으로써 팁 조립체와 공기 홈의 개구부를 기밀 밀봉한다. 먼저 팁 조립체의 말단부가 시일통의 바닥에 기밀 밀봉된다. 시일통의 내측 개구 가장자리 부분은 잉크 보유체의 또는 팁 조립체 지지체의 원추부상에 이 원추부의 중간부분으로부터 끼워맞춤하고, 상기 시일통의 개구부를 반경방향으로 확장시키는 동안 상기 배럴통에 점차적으로 부착된다. 상기 시일통의 말단면이 마우스 피스의 단부와 결합하여 긴밀히 접촉하게 됨으로써 캡의 부착이 종료될 때, 상기 시일통의 말단면과 마우스 피스의 단부는 전체 원주를 통하여 서로 긴밀히 접촉한다.

Description

필기구용 캡
본 발명은 필기구용 캡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실버(sliver) 등에 흡수되지 않도록 잉크를 직접 저장하기 위한 잉크 탱크를 갖고 있으며, 또한 온도 상승 등으로 인하여 잉크 탱크내의 공기가 팽창할 때 잉크 탱크로부터 밀려 나오는 잉크가 팁 조립체 또는 벤트로부터 낙하되지 않도록 그 잉크를 일시적으로 보유하기 위한 잉크 보유체와, 필기구의 팁 조립체 또는 벤트를 밀봉하도록 탄성 수지 또는 고무로 제조된 시일통을 고정하기 위한 수단과, 내측 캡을 갖는 필기구용 캡도 구비하고 있는 필기구용의 캡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잉크 직접 저장방식의 필기구에 있어서는, 캡이 부착 또는 분리될 때 시일통의 내부 용적이 변화하지 않도록 시일통이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시일통의 개구 가장자리 부분은 그것을 필기구의 배럴통의 마우스 피스의 원추면에 적절한 압력으로 접촉시키는 것에 의해서 기밀 밀봉된다.
소위 말하는 실버 방식의 필기구에 있어서는, 캡이 배럴통에 부착되어 팁 조립체 또는 벤트를 기밀 밀봉한다. 캡이 배럴통에 부착될 때 밀봉을 확보하기 위하여, 캡의 밀봉부와 배럴통은 이 캡의 부착동작이 종료되기 전에 서로 긴밀히 끼워맞춤된다. 캡이 부착하고 있는 동안 캡의 내부 공간은 감소된다. 결과적으로, 캡이 부착하고 있는 동안 캡의 내부는 가압된다. 역으로, 캡이 분리될 예정일 때, 밀봉부의 긴밀한 끼워맞춤부가 제거되고 있는 동안 캡 내부의 공간은 증가되며, 따라서 그것의 압력은 감소한다. 그러나, 실버 방식의 필기요소에 있어서는 실버가 저장되어 있는 배럴통의 후방 절반 및 캡의 내부가 배럴통의 벤트를 통하여 공간적으로 연속하고 있기 때문에, 필기구에 대하여 내부 압력이 전체 부분으로서 증가하거나 또는 감소한다. 잉크 보유체내의 압력과 팁 조립체내의 압력이 동일하다면, 캡이 부착 또는 분리될 때 잉크가 팁 조립체나 벤트로부터 흘러나오지 않을 것이다. 한편, 직접 저장 방식의 필기구에 있어서는, 이하의 이유로 인하여 캡의 부착 또는 분리중 시일통내의 용적 변화가 방지된다. 즉, 캡의 부착 또는 분리중 시일통내의 압력이 증가 또는 감소한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시일통의 내부가 가압된다면, 시일통내의 공기가 압축된다. 압축공기에 대응하는 공기는 벤트로부터 흘러나와서 잉크 보유체를 통하여 기포의 형태로 잉크 탱크내로 유입된다. 잉크는 유입된 기포에 대응하는 양만큼 잉크 보유체로부터 오버플로우하여, 잉크 보유체내에 보유된다. 역으로, 캡이 배럴통으로부터 제거되는 경우, 시일통내의 공기압력은 전술한 현상과는 반대의 방식으로 감소된다. 따라서, 잉크 탱크내의 잉크는 진공에 의하여 인출되어 잉크 보유체내에 보유되거나, 또는 흡입에 의하여 팁 조립체로부터 인출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캡이 부착 또는 분리될 때마다 잉크 보유체에 보유된 잉크 양은 계속 증가해서 결국에는 보유체 용량을 초과하게 된다. 그 때 잉크는 벤트로부터 흘러나오거나 또는 팁 조립체로부터 누설된다. 이러한 현상을 억제하기 위하여 종래의 잉크 직접 보유 방식의 필기구는 이하의 구조를 채용한다.
종래의 잉크 직접 보유 방식의 필기구용 캡에 있어서, 시일통은 캡이 부착 또는 분리될 때 시일통내의 압력을 증가 또는 감소시킴이 없이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으로 제조된 비교적 경질의 시일통을 기밀 밀봉하기 위하여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여, 시일통내의 개구 가장자리 부분이 필기구의 배럴통의 마우스 피스의 원추면과 접촉하게 되도록 한다. 이렇게 하면 구조가 복잡해지고 부품개수도 증가된다. 그 결과 제조단가가 상승하고, 조립의 복잡화로 인하여 조립비도 상승한다.
탄성 수지 또는 고무로 제조된 시일통이 종래의 필기구용 캡내에 고정될 예정일 때, 시일통은 캡내에 배열된 내측통 또는 복수의 리브내로 압입되어 그것과 끼워맞춤한다. 상기 복수의 리브가 이루는 원의 직경은 시일통의 외경보다 약간 작다.
더욱이, 탄성 수지 또는 고무로 제조된 시일통을 종래의 필기구용 캡내로 고정하기 위한 수단을 이용하여, 캡이 필기구 본체상에 장착될 때 시일통의 플랜지부와 개구 내측 가장자리는 배럴통의 전방부분의 벤트를 둘러싸고 있는 부분과 긴밀히 접촉하여 벤트를 폐쇄하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일통이 탄성 수지 또는 고무로 제조되기 때문에, 자체 점착성으로 인하여 접착력이 배럴통상에 작용한다. 따라서, 캡이 분리될 때, 시일통은 배럴통에 부착하여 캡으로부터 분리된다.
다른 종래기술에 따르면, 잉크 보유체와 배럴통내에 잉크 탱크를 갖는 필기구가 공지되어 있다. 이 잉크 탱크는 잉크를 직접 저장한다. 잉크 탱크내의 잉크가 온도 상승 등에 의한 팽창력으로 인하여 과도하게 외향 힘을 받을 때, 잉크 보유체는 잉여 잉크를 일시적으로 흡수하여 그것이 팁 조립체로부터 흘러나오지 않게 할 것이다. 그러한 필기요소에 부착될 수도 있고 분리될 수도 있는 캡으로서, 팁 조립체 근방의 필기요소 배럴통내에 형성된 공기 교환 구멍과 팁 조립체를 밀봉할 수 있는 내측 캡을 갖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캡 구조는 이하의 결점도 갖는다.
그러한 내측 캡을 갖는 캡의 이용시에는, 필기구의 팁 조립체가 내측 캡내에 삽입된 후에 필기구 배럴통이 캡 본체와 결합하여 내측 캡이 필기구의 팁 조립체를 신뢰가능하게 밀봉하도록 하여야 한다. 필기구의 팁 조립체가 내측 캡내에 삽입되어 밀봉된 후에, 그것은 내측 캡내로 더욱 압입된다. 공기 캡내의 공기는 감압 및 가압된다. 이 감압 공기가 공기 교환 구멍을 통하여 필기구 배럴통내의 잉크 탱크내로 유입되어 잉크 탱크내의 잉여 잉크를 밀어낸다. 이 밀려난 잉크는 잉크 보유체내에 보유된다. 캡이 필기구 배럴통으로부터 제거될 예정일 때, 내측 캡내의 내압은 역으로 감소된다. 따라서 잉여 잉크는 잉크 탱크로부터의 흡입에 의하여 인출되어 잉크 보유체내에 유사하게 보유된다. 캡이 부착되고 분리될 때마다 잉크 보유체내의 잉크가 증가한다. 잉크 보유체가 잉크로 가득 차게 될 때, 오버플로우한 잉크가 잉크 교환 구멍으로부터 누설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이전에 일본 실용신안 공보 제 평성 6-17581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캡을 개발한 바 있다. 이 캡내에는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한편 코일 스프링으로 지지되는 내측 캡이 장착된다. 내측 캡이 필기구 배럴통에 의해 밀릴 때, 그 내측 캡은 코일 스프링을 압축하면서 이동하므로 내측 캡내의 공기가 필기구 배럴통내에 의하여 압축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코일 스프링을 사용하면 부품개수 및 조립단계수가 증가하여 제조비가 상승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한 캡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필기구의 팁 조립체와 팁 조립체 근방에서 필기구 배럴통내에 형성된 공기 교환 구멍이 내측 캡으로 밀봉될 수 있으며, 내측 캡내의 공기 압력이 캡의 부착 또는 분리중 증가 또는 감소할 수 없고, 내측 캡내에 조립될 부품개수가 감소되어 제조비가 감소되는 필기구용 캡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조되었다. 그것의 요지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 1 요지는, 배럴통의 후방부분에 잉크를 직접 저장하기 위한 탱크를 갖고 상기 배럴통의 전방부분에 잉크 보유체를 갖는 잉크 직접 보유 방식의 수성 볼펜에 사용되는 필기구용 캡에 있어서, 상기 캡을 배럴통에 부착할 때, 상기 볼펜의 팁 조립체의 말단부가 상기 캡내에 장착되고 탄성 수지 또는 고무로 제조된 컵형상 바닥과 결합하여 그것에 긴밀히 접촉함으로써 상기 팁 조립체의 잉크 유출부를 기밀 밀봉하고, 시일통의 내측 개구 가장자리가 상기 잉크 보유체의 전방부분의 원추면상에 또는 팁 조립체 지지체의 원추면상에 상기 원추면의 중간부분으로부터 끼워맞춤하며, 상기 캡 부착의 종료시, 마우스 피스의 단부가 상기 시일통의 말단면을 가압하여 그것에 압력을 가하면서 결합하여서 긴밀히 접촉함으로써 공기 홈의 개구부 및 팁 조립체를 기밀 밀봉하게 되어 있는 필기구용 캡에 있다.
본 발명의 제 2 요지는, 배럴통의 후방부분에 잉크를 직접 저장하기 위한 탱크를 갖고 상기 배럴통의 전방부분에 잉크 보유체를 갖는 잉크 직접 저장 방식의 필기구에 사용되는 필기구용 캡에 있어서, 상기 캡을 배럴통에 부착할 때, 상기 캡내에 장착되고 탄성 수지 또는 고무로 제조된 컵형상 시일통의 내측 개구 가장자리가 상기 잉크 보유체의 전방부분의 원추면의 공기 홈의 개구부상에 상기 개구부의 중간부분으로부터 끼워맞춤하고, 상기 캡 부착의 종료시, 마우스 피스의 단부가 상기 시일통의 말단면을 가압하여 그것에 압력을 가하면서 결합하여서 긴밀히 접촉함으로써 상기 공기 홈과 팁 조립체를 기밀 밀봉하게 되어 있는 필기구용 캡에 있다.
본 발명의 제 3 요지는 배럴통의 후방부분에 잉크를 저장하고 배럴통의 전방단부에 팁 조립체를 갖는 필기구용 캡에 있어서, 상기 팁 조립체와 배럴통의 전방부분에 형성된 벤트를 기밀 밀봉하도록 탄성 수지 또는 고무로 제조된 시일통이 상기 캡의 내측통내에 삽입되며, 상기 시일통의 플랜지부가 상기 내측통의 개구 단부와 결합하고,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캡내에 형성된 복수의 결합편들이 이루는 원의 직경보다 큰 외경을 갖고, 상기 시일통의 플랜지부는 탄성 변형하면서 상기 결합편을 통과하여 상기 캡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용 캡에 있다.
본 발명의 제 4 요지는, 필기구용 캡에 있어서, 캡 본체내에 내측 캡이 설치되고, 상기 내측 캡은 바닥을 갖는 시일통 부분과 이 시일통 부분의 개구 단부의 외주부상에 형성된 플랜지부를 갖고, 그 전체가 가요성 및 탄성을 갖는 소재로 제조되며, 상기 시일통 부분은 상기 필기구의 팁 조립체와 이 팁 조립체 근방에 형성된 공기교환구멍을 덮어서 밀봉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플랜지는 캡 본체와 결합하고, 상기 플랜지가 필기구 배럴통에 결합하고 있는 결합부분은 상기 플랜지가 상기 캡 본체와 결합하고 있는 결합위치보다 반경방향으로 중심에 더 가까이 설정되고, 상기 결합부분이 상기 필기구 배럴통에 의하여 가압될 때, 상기 시일통 부분이 탄성 변형되어 상기 필기구 배럴통의 가압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용 캡에 있다.
본 발명의 제 5 요지는, 상기 내측 캡이 상기 필기구 배럴통에 의하여 가압될 때 압축되는 탄성 돌기가, 상기 내측 캡의 플랜지가 상기 캡 본체와 결합하고 있는 상기 결합 위치에 형성되도록 된 전술한 제 4 요지에 따른 필기구용 캡에 있다.
본 발명의 제 6 요지는, 상기 내측 캡이 상기 필기구 배럴통에 의하여 가압될 때 압축되는 환상 탄성 돌기가, 상기 내측 캡의 플랜지가 상기 캡 본체와 결합하고 있는 상기 결합 위치에 형성되도록 된 전술한 제 5 요지에 따른 필기구용 캡에 있다.
본 발명의 제 7 요지 내지 제 9 요지는, 상기 캡 본체에 결합된 결합용 플랜지부가 상기 내측 캡의 시일통 부분의 외주부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되는 전술한 제 4 요지 내지 제 6 요지에 따른 필기구용 캡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필기구의 종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캡이 제거된 상태의 필기구 본체의 전방부분의 부분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필기구 본체가 제거된 상태의 캡의 부분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볼펜의 팁 조립체의 말단부가 시일통의 바닥과 긴밀히 접촉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참고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필기구의 종단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한 캡이 제거된 상태의 필기구 본체의 전방부분의 부분 단면도,
도 8은 도 6에 도시한 필기구 본체가 제거된 상태의 캡의 부분 단면도,
도 9는 도 7의 501-502선 단면도,
도 10은 도 8의 503 화살표의 방향으로 본 도면,
도 11은 시일통의 말단면이 개구부의 중간부분으로부터 공기홈의 개구부와 끼워맞춤하기 시작하고 있는 것을 도시하는 참고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필기구의 종단면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한 배럴통이 제거된 상태의 도 14의 505-506선을 따라 취한 캡의 부분 단면도,
도 14는 도 13의 504 화살표 방향으로 본 캡의 도면,
도 15는 배럴통의 전방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 16은 캡이 필기구상에 끼워맞춤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7은 내측 캡의 사시도,
도 18은 내측 캡이 필기구의 팁 조립체를 밀봉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 확대 단면도,
도 19는 내측 캡이 필기구의 팁 조립체를 밀봉한 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 확대 단면도,
도 20는 내측 캡의 사시도,
도 21은 캡의 단면도,
도 22는 내측 캡의 사시도,
도 23은 내측 캡의 단면도,
도 24는 캡의 단면도,
도 25는 내측 캡이 캡 본체내에 조립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303: 배럴통 5, 306: 잉크 보유체
8, 109, 208, 313: 팁 조립체 9, 110, 223: 마우스 피스
10, 112, 226: 공기홈 11, 113, 210, 301: 캡
17, 119, 218: 컵형상 시일통 21, 123, 222: 원추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실시예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 1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3에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필기구 본체의 배럴통(1)의 후방부분은 잉크실(2)을 형성한다. 외주면에 형성된 다수의 원주방향 홈(3)과 이 원주방향 홈(3)을 서로 연통시키는 하나의 종방향 홈(4)을 갖는 잉크 보유체(5)가 배럴통(1)의 전방부분에 장착된다. 잉크 보유체(5)의 중앙부분에는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종방향 구멍(6)이 형성된다. 이 종방향 구멍(6)을 통하여 연장하도록 공급부(7)가 로딩된다. 공급부(7)의 말단부가 볼펜의 팁 조립체(8)에 접속된다. 잉크는 잉크실(2)로부터 공급부(7)를 통하여 팁 조립체(8)로 공급된다.
캡(11)이 개구 가장자리 근방의 내측면상에 배럴통(1)의 돌기(13)와 결합하는 결합돌기(12)를 구비한다. 이 결합돌기(12)는 배럴통(1)의 돌기(13)와 결합한다. 캡(11)의 개구 단부는 배럴통(1)의 중간부분에 형성된 단차부(15)와 결합하여 캡(11)이 소정 위치에서 배럴통(1)에 부착되도록 한다. 캡(11)의 리브(14)상에는 접촉 단차부(16)가 형성된다. 탄성 고무 등으로 제조된 컵형상 시일통(17)의 플랜지부(18)는 접촉 단차부(16)와 결합하여 리브(14)와 끼워맞춤해서, 소정 위치에서 캡(11)내에 결합한다. 캡(11)의 부착시에는, 먼저 팁 조립체(8)의 말단부가 탄성 고무 등으로 제조된 컵형상 시일통의 바닥에 긴밀히 접촉하여서 팁 조립체(8)의 잉크 유출부를 기밀 밀봉하게 된다. 시일통(17)의 내측 개구 가장자리(20)는 원추면(21)의 중간부분으로부터 잉크 보유체(5)의 전방부분에서 원추면(21)상에 끼워맞춤한다. 캡(11)의 부착이 완료된 때, 시일통(17)의 말단면(19)은 마우스 피스(9)의 단부(22)와 결합하여 그것에 소정의 압력으로 긴밀히 접촉하게 되고, 시일통(17)의 내측 개구 가장자리(20)는 잉크 보유체(5)의 원추면(21)과 이미 긴밀히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공기홈(10)의 개구부(23)는 폐쇄된다.
시일통(17)의 개구 가장자리(20)는 잉크 보유체(5)의 원추면(21)의 중간부분으로부터 원추면(21)상에 끼워맞춤해서 시일통(17)의 개구부를 반경방향으로 확장시킴에 따라 그것에 부착된다. 따라서 시일통(17)의 축과 배럴통(1)의 축, 즉 마우스 피스(9)의 축이 서로 오정렬되는 경우에도, 캡이 완전히 부착되었을 때 시일통(17)의 개구부가 변형하여, 시일통(17)의 말단면(19)과 마우스 피스(9)의 단부(22)와 잉크 보유체(17)의 원추면(21)과 시일통(17)의 내측 개구 가장자리(20)가 전체 원주를 통하여 서로 긴밀히 접촉하게 된다. 시일통(17)의 내측 개구 가장자리(20)가 잉크 보유체(5)의 원추면(21)의 중간부분으로부터 원추면(21)에 끼워맞춤하기 전에, 시일통(17)의 바닥은 팁 조립체의 말단부와 긴밀히 접촉해서 팁 조립체(8)의 잉크 유출부를 기밀 밀봉한다. 이것은 이하의 이유 때문이다. 시일통(17)의 개구부(20)는 잉크 보유체(5)의 원추면(21)상에 끼워맞춤하므로, 시일통(17)의 내부는 캡(11) 부착의 완료시까지 약간 가압된다.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시일통(17)의 내부가 가압되는 경우에도, 공기가 팁 조립체(8)의 말단부에서 잉크 유출부로부터 유입되어 잉크의 유출흐름과 간섭함으로써 필기 동작을 방해하게 되는 일은 없다.
더구나, 캡(11)의 개구 단부가 배럴통(1)의 단차부와 결합해서 캡(11)의 부착이 완료한 때, 마우스 피스(9)의 단부(22)는 시일통(17)의 말단면(19)내로 약 0.55㎜ 내지 0.5㎜ 압입되어 서로 긴밀히 접촉해서 공기홈(10)의 개구부(23)를 기밀 밀봉하게 된다. 공기홈(10)내로 가압된 시일통(17)의 말단면(19)의 양이 매우 작기 때문에, 공기홈(10)내의 기압 증가도 또한 작고, 공기의 잉크실(2)내 유입시 잉크 보유체(5)에 보유된 잉크 양도 따라서 작다. 그러므로, 잉크실(2)내의 잉크가 필기로 인하여 소모될 때, 잉크 보유체(5)내의 잉크는 잉크실(2)로 귀환되므로 실용상 아무런 문제도 일으키지 않는다.
도 4는 볼펜의 팁 조립체가 팁 조립체 지지체(28)를 통하여 잉크 보유체(25)에 제공되고 있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의 경우에, 시일통(34)의 내측 개구 가장자리(35)는 팁 조립체 지지체(28)의 원추면(36)의 중간부분으로부터 원추면(36)상에 끼워맞춤된다.
도 5는 볼펜의 팁 조립체(8)의 말단부가 시일통(17)의 바닥과 긴밀히 접촉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참고도이다.
상기 구조를 갖는 필기구에 있어서는, 캡(11)이 필기구 본체상에 장착될 때, 먼저 팁 조립체(8)의 말단부가 탄성 고무 등으로 제조된 컵형상 시일통(17)의 바닥과 긴밀히 접촉하여 팁 조립체(8)의 잉크 유출부를 긴밀히 밀봉한다. 시일통(17)의 내측 개구 가장자리(20)는 원추면(21)의 중간부분으로부터 잉크 보유체(5)의 전방부분에서 원추면(21)상에 끼워맞춤된다. 캡(11)의 부착이 완료된 때, 시일통(17)의 말단면(19)이 마우스 피스(9)의 말단부와 결합해서 그것에 소정의 압력으로 긴밀히 접촉하게 되고, 시일통(17)의 내측 개구 가장자리(20)가 잉크 보유체(5)의 원추면(21)과 이미 긴밀히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공기홈(10)의 개구부(23)는 폐쇄된다. 시일통(17)의 내부가 보다 많이 또는 보다 적게 가압되는 경우에도, 공기는 그것의 잉크 유출부를 통하여 팁 조립체(8)내로 유입되지 않을 것이다. 시일통(17)의 축과 마우스 피스(9)의 축이 서로 오정렬되는 경우에도, 시일통(17)의 내측 개구 가장자리(20)가 변형하면서 원추면(21)상에 끼워맞춤된다. 캡(11)의 부착이 완료된 때, 시일통(17)의 내측 개구 가장자리(20)는 원추면(21)과 그것의 전체 원주부에서 긴밀히 접촉하고 있으며, 마우스 피스(9)의 단부(22)와 시일통(17)의 말단면(19)은 전체 원주를 통하여 서로 신뢰성 있게 긴밀히 접촉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공기홈(10)의 개구부(23)는 신뢰성 있게 폐쇄된다.
잉크 보유체(5)가 필기부분을 보유할 수 있도록 필기구의 팁 조립체까지 연장되기 때문에, 부품개수가 감소되고 공기홈(10)이 쉽게 확보된다.
제 2 실시예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제 2 실시예를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필기구 본체의 배럴통(1)의 후방부분은 잉크실(2)을 형성한다. 외주면에 다수의 원주방향 홈(3)과, 이 원주방향 홈(3)을 서로 연통시키는 하나의 종방향 홈(4)을 갖는 잉크 보유체(5)가 배럴통(1)의 전방부분상에 장착된다. 공급부(7)가 잉크 보유체(5)의 중앙부분을 통하여 연장하는 종방향 구멍(6)을 관통하여 축방향으로 연장하도록 로딩된다. 공급부(7)의 말단부가 내측 공급부(108)와 결합해서 이것을 관통한다. 내측 공급부(108)는 그것보다 먼저 팁 조립체(109)에 접속되므로, 잉크가 잉크실(2)로부터 공급부(7)를 통하여 내측 공급부(108)로 흘러서 팁 조립체(109)로 공급되게 된다.
캡(113)은 개구 가장자리 근방의 내측면상에 배럴통(1)의 돌기(115)와 결합하는 결합돌기(114)를 구비한다. 이 결합돌기(114)는 배럴통(1)의 돌기(115)와 결합한다. 캡(113)의 내측벽상에 형성된 복수의 리브(116)의 접촉 단차부(117)가 대략 배럴통(1)내에 긴밀히 끼워맞춤된 마우스 피스(110)의 플랜지부(111)와 결합함으로써 캡(113)을 소정의 위치에서 배럴통(1)에 부착시킨다. 캡(113)의 리브(116)상에는 결합 단차부(118)가 형성된다. 고무로 제조된 컵형상 시일통(119)의 플랜지부(120)는 결합 단차부(118)와 결합함으로써 리브(116)와 끼워맞춤하여, 소정 위치에서 캡(113)내에 결합한다. 캡(113)의 부착시, 시일통(119)의 내측 개구 가장자리(122)가 개구부(124)의 중간부분으로부터 잉크 보유체(5)의 원추면(123)의 공기홈(112)의 개구부(124)상에 끼워맞춤해서 시일통(119)의 개구부(124)를 반경방향으로 확장시킴에 따라 원추면(123)에 부착된다. 따라서 시일통(119)의 축과 배럴통의 축, 즉 마우스 피스(110)의 축이 서로 오정렬되는 경우에도, 캡 부착의 완료시 시일통(119)의 개구부가 변형해서, 시일통(119)의 말단면(121)과 마우스 피스(110)의 단부(125)가 원주 전체를 통하여 서로 긴밀히 접촉하게 된다. 시일통(119)의 내측 개구 가장자리(122)는 개구부(124)의 중간부분으로부터 잉크 보유체(5)의 원추면(123)의 공기홈(112)의 개구부(124)상에 끼워맞춤된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캡이 완전히 부착될 때까지 시일통(119)의 내부가 공기홈(112)의 개구부(124)를 통하여 외부 공기와 연통할 수 있다. 그 때 시일통(119)의 내부는 가압되지 않으므로, 공기가 팁 조립체(109)의 말단부를 통하여 시일통(119)내로 흘러서 잉크의 유출흐름과 간섭함으로써 필기동작을 방해하게 되는 일은 없을 것이다. 마우스 피스(110)의 플랜지부(111)가 캡(113)의 접촉 단차부(117)와 결합해서 캡(113)의 부착이 완료된 때, 마우스 피스(110)의 말단부(125)는 시일통(110)의 말단면(121)내로 약 0.05㎜ 내지 0.5㎜ 정도 압입되어 그들이 서로 긴밀히 접촉하도록 함으로써 공기홈(112)과 팁 조립체(109)를 기밀 밀봉한다.
상기 구조를 갖는 필기구에 있어서는, 캡(113)이 필기구 본체상에 장착될 때, 팁 조립체(109)와 공기홈(112)을 구비하는 필기구의 말단부가 시일통(119)내로 진입해서, 시일통(119)의 말단면(121)이 마우스 피스(110)의 단부(125)와 결합하게 된다. 그 후에, 배럴통(1)은 캡(113)내로 아주 약간만 진입함으로써, 마우스 피스(110)의 플랜지부(111)가 캡(113)의 접촉 단차부(117)와 결합하여 그것에 의해 정지한다. 동시에 캡(113)의 결합돌기(115)가 배럴통(1)의 돌기(115)와 결합하여 캡(113)을 배럴통(1)상에 부착된 채로 유지시킨다. 마우스 피스(119)의 말단면(121)은 시일통(119)의 말단면(121)내로 약간 압입되어 그것과 긴밀히 접촉해서 공기홈(112)과 팁 조립체(109)를 기밀 밀봉한다. 마우스 피스(110)의 단부(125)가 시일통(119)의 말단면(121)과 결합해서 그것에 긴밀히 접촉할 때, 시일통(119)의 내부 용적은 감소되어 시일통(119)의 내부 압력은 증가한다. 마우스 피스(110)의 단부가 시일통(119)의 말단면(121)내로 압입된 길이가 매우 작기 때문에, 시일통(119)의 내부는 아주 약간만 감압되므로 잉크 보유체(5)내로 흐르는 잉크의 양도 또한 매우 작다. 따라서, 실제로 필기로 인하여 잉크가 소모될 때, 잉크 보유체(5)내로 진입한 잉크는 잉크실(2)내로 귀환하여 잉크 보유체(5)를 채운다. 따라서 잉크는 공기홈(112)으로부터 흘러 나오지 않을 것이다. 캡(113)의 부착시, 시일통(119)의 내측 개구 가장자리(122)는 개구부(124)의 중간부분으로부터 잉크 보유체(5)의 원추면(123)의 공기홈(112)의 개구부(124)상에 끼워맞춤하여 그것이 시일통(119)의 개구부(124)를 반경방향으로 확장시킴에 따라 원추면(123)에 부착된다. 따라서, 시일통(119)의 축과 배럴통의 축, 즉 마우스 피스(110)의 축이 서로 오정렬되는 경우에도, 캡이 완전히 부착될 때 시일통(119)의 개구부가 변형되어 시일통(119)의 말단면(121)과 마우스 피스(110)의 단부(125)가 전체 원주에 걸쳐서 서로 긴밀히 접촉하게 된다. 시일통(119)의 내측 개구 가장자리(122)는 잉크 보유체(5)의 원추면(123)의 공기홈(112)의 개구부(124)의 중간부분으로부터 그 위에 끼워맞춤된다.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는, 캡이 완전히 부착될 때까지 시일통(119)의 내부가 공기홈(112)의 개구부(124)를 통하여 외부 공기와 연통할 수 있다. 그 때, 시일통(119)의 내부는 가압되지 않기 때문에, 공기가 팁 조립체(109)의 말단부를 통해 시일통(119)내로 흘러서 잉크의 유출흐름에 간섭하게 되는 일은 생기지 않을 것이므로 필기 동작이 방해받지 않을 것이다.
잉크 보유체(5)가 필기부분을 보유할 수 있도록 필기구의 팁 조립체까지 연장되기 때문에, 부품개수가 감소되고 공기홈(112)도 쉽게 확보된다.
도 11은 시일통(119)의 말단면(121)이 공기홈(112)의 중간부분으로부터 공기홈(112)의 개구부(124)와 끼워맞춤하기 시작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참고도이다.
제 3 실시예
도 12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필기구 본체의 배럴통(1)의 후방부분은 잉크실(2)을 형성한다. 원주방향 표면에 다수의 원주방향 홈(3)을 갖고 또한 이 원주방향 홈(3)을 서로 연통시키는 하나의 종방향 홈(4)을 갖는 잉크 보유체(5)가 배럴통(1)의 전방부분상에 장착된다. 축방향으로 연장된 종방향 구멍(6)이 잉크 보유체(5)의 중앙부분에 형성된다. 공급부(7)가 종방향 구멍(6)을 통하여 연장하도록 로딩된다. 공급부(7)의 말단부에 볼펜의 팁 조립체(208)가 장착된다. 이 팁 조립체(208)내에는 중계 공급부(209)가 삽입된다. 잉크는 잉크실(2)로부터 공급부(7)로 흐르며, 팁 조립체(208)의 말단부에서 중계 공급부(209)를 통하여 볼로 공급된다.
캡(210)은 개구 가장자리 근방의 내측면상에 배럴통(1)의 돌기(211)와 결합하는 결합돌기(212)를 구비한다. 이 결합돌기(212)는 배럴통(1)의 돌기(211)와 결합한다. 캡(210)의 개구 단부는 배럴통(1)의 중간부분에 형성된 단차부(213)와 결합하여 캡(210)이 소정 위치에서 배럴통(1)상에 장착되도록 한다. 캡(210)내에는 내측통(214)이 그것과 일체로 형성된다. 복수의 결합편(216)이 내측통(214)의 개구 단부로부터 캡의 개구측을 향하여 시일통(218)의 플랜지부(215)의 두께보다 먼 약 0.1㎜ 내지 1㎜ 만큼의 거리(L)에서 캡(210)의 내측벽상에 일체로 형성된다. 복수의 결합편(216)은, 그들이 이루는 원의 직경이 내측통(214)의 개구 단부(219)의 외경보다 크게 하고 캡의 개구부로부터 볼 때 그들이 내측통(214)의 지지 리브(217)와 간섭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위치에 배열된다. 탄성 고무 등으로 제조된 시일통(218)이 이러한 구조를 갖는 캡(210)의 내측통(214)내로 삽입되는데, 이 캡(210)내에 형성된 복수의 결합편(216)이 이루는 원의 직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플랜지부(215)를 탄성적으로 변형시키면서 결합편(216)을 관통한다. 시일통(218)의 플랜지부(215)는 내측통(214)의 개구 단부(219)에 결합하여서 시일통(218)을 고정시킨다. 압입 방향으로 플랜지부(215)는 내측통(214)의 개구 단부(219)와 결합한다. 캡(210)이 추출방향으로 이동할 때, 시일통(218)의 플랜지부(215)는 복수의 결합편(216)과 결합하여서 시일통(218)이 제거되지 않도록 할 것이다.
캡(210)의 부착시에는, 먼저 팁 조립체(208)의 말단부가 탄성 고무 등으로 만들어진 컵형상 시일통(218)의 바닥과 긴밀히 접촉하여서 팁 조립체(208)의 유출부를 기밀 밀봉한다. 시일통(218)의 내측 개구 가장자리(220)는 팁 조립체 지지체(221)의 원추면(222)의 중간부분으로부터 그 원추면(222)상에 끼워맞춤된다. 캡(210)의 부착이 완료된 때, 시일통(218)의 말단면(225)은 마우스 피스(223)의 단부(224)와 결합하여 그것과 소정 압력으로 긴밀히 접촉하고, 시일통(218)의 내측 개구 가장자리(220)는 잉크 보유체(5)의 원통부(228)와 긴밀히 접촉해서, 공기홈(226)의 개구부(227)를 폐쇄시킨다.
상기 구조를 갖는 캡(210)에 있어서는, 시일통(218)이 팁 조립체 지지체(221), 잉크 보유체(5)의 말단 원통부(228) 및 마우스 피스(223)의 단부(224)에 긴밀히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시일통(218)의 자체 점착성으로 인해 이들 부재에 접착력이 작용한다. 시일통(218)이 내측통(214)내로 압입되어 끼워맞춤하고 있는 경우에도 그것이 내측통(214)으로부터 바람직하지 않게 분리될 수도 있다. 시일통(218)이 내측통(214)으로부터 분리되는 경우에도, 플랜지부(215)가 결합부(216)와 결합하기 때문에 그것의 이동량은 작다. 시일통(218)은 추가로 이동하지 않을 것이다. 시일통(218)이 필기구 본체의 말단부로부터 분리된 후, 그 다음의 캡 부착 동작에서, 공기홈(226)의 개구부(227)와 팁 조립체가 기밀 밀봉된다.
상기 구조를 갖는 필기구에 있어서는, 캡(210)이 필기구 본체상에 장착될 때 탄성 고무 등으로 제조된 컵형상 시일통(218)의 내측 개구 가장자리(220)가 팁 조립체 지지체(221)의 원추면(222)의 중간부분으로부터 그 원추면(222)상에 끼워맞춤된다. 캡(210) 부착의 완료시, 시일통(218)의 말단면(225)은 마우스 피스(223)의 단부(224)와 결합하여 그것에 소정 압력으로 긴밀히 접촉하게 되며, 시일통(218)의 내측 개구 가장자리(220)는 잉크 보유체(5)의 원통부(228) 및 팁 조립체 지지체(221)의 원추면(222)과 긴밀히 접촉하여서 공기홈(226)의 개구부(227)를 폐쇄시킨다. 시일통(218)이 팁 조립체 지지체(221)의 원추면(222), 잉크 보유체(5)의 말단 원통부(228) 및 마우스 피스(223)의 단부(224)와 긴밀히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시일통(218)의 자체 점착성으로 인해서 이들 부재에 접착력이 작용한다. 시일통(218)이 내측통(214)내로 압입되어 끼워맞춤한 경우에도, 캡(210)의 분리시 때로는 시일통(218)이 배럴통에 부착될 수도 있고 내측통(214)으로부터 제거될 수도 있다. 시일통(218)이 내측통(214)으로부터 분리되는 경우에도, 플랜지부(218)는 결합편(216)에 결합하고 있기 때문에, 그것의 이동량은 작다. 시일통(218)은 추가로 이동하지 않을 것이다. 시일통(218)이 필기구 본체의 말단으로부터 분리된 후에, 그 다음의 캡 부착 동작에서 공기홈(226)의 개구부(227)와 팁 조립체가 기밀 밀봉된다.
제 4 실시예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기술하기로 한다. 도 16 내지 도 19는 제 4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도 16은 캡(301)이 필기구(302)상에 끼워맞춤한 상태를 도시한다. 필기구(302)에 있어서, 전방 배럴통(305)은 배럴통 본체(304)의 전방단부에 접속되어(도 16의 상측이 전방측에 대응함) 필기구 배럴통(303)을 구성한다. 필기구 배럴통(303)의 후방 절반부분내에는 잉크를 직접 보유하기 위한 잉크 탱크(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며, 이 잉크 탱크의 전방에는 잉크 보유체(306)가 배치된다. 잉크 보유체(306)는 그것의 외주부상에 다수의 베인(307)을 갖고, 각 베인(307)중 일부가 잉크 보유 홈(308)을 형성한다. 각각의 잉크 보유 홈(308)은 전후방으로 연장하는 잉크 안내 홈(309)을 통하여 서로 연통한다. 잉크 안내 홈(309)의 후방단부는 잉크 탱크와 연통한다. 잉크 탱크내의 잉크가 온도 상승 등에 의하여 야기된 팽창으로 인하여 잉크 탱크로부터 과도하게 밀려나는 경우, 잉여 잉크가 잉크 안내홈(309)을 통하여 흘러서 잉크 보유 홈(308)내에 수용된다. 잉크 보유체(306)는 그것의 중앙부에서 전후방향으로 연장하는 연통 구멍(310)을 가지며, 이 연통구멍(310)을 통하여 공급부(311)가 연장된다. 공급부(311)의 후방 단부가 잉크 탱크내로 연장되어 모세관 현상에 의하여 잉크 탱크내의 잉크를 흡수함으로써 그것을 전방으로 안내한다. 펜 공급부(312)가 장착되어 있는 팁 조립체(313)가 잉크 보유체(306)의 전방 단부에 접속되며, 이 팁 조립체(313)는 공급부(311)의 전방 단부에 접속된다. 공급부(311)의 전방 단부로 안내된 잉크가 팁 조립체(311)의 펜 공급부(312)로 공급된 다음 펜 공급부(312)의 필기점(318)으로 공급된다. 그 때 필기구가 작성가능하게 된다. 필기점(318) 근방의 전방 배럴통(305)의 전방 단부의 위치에는 공기교환구멍(314)이 형성된다. 공기교환구멍(314)은 필기구 배럴통(303)내로 연장하여, 잉크 보유체(306)의 베인(307)에 부분적으로 노치를 만드는 것에 의하여 형성된 공기 유통로(315)를 통해 잉크 탱크와 연통한다.
캡(301)은 경질의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캡 본체(316)와, 이 캡 본체(316)내에 장착된 내측 캡(317)으로 구성된다. 내측 캡(317)은 가요성 및 탄성을 갖는 소재, 예를 들면 고무 또는 연질의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다.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 캡(317)은 바닥을 갖는 시일통 부분(320)과, 이 시일통 부분(320)의 개구 단부의 외주부로부터 연장된 플랜지(321)를 갖는다. 복수의 절두원추형상의 탄성 돌기(322)가 플랜지(321)의 전방표면상에서 외주부에 일체로 형성된다. 플랜지(321)의 탄성 돌기(322)가 캡 본체(316)내에 깊숙히 형성되어 있는 구멍 부분(323) 둘레에서 단차부(324)와 결합하도록 시일통 부분(320)을 구멍부분(323)내로 삽입함에 의하여 내측 캡(317)이 장착된다. 플랜지(321)는 캡 본체(316)의 원주방향 벽의 내측표면상에 형성된 돌기(325)에 결합된다.
도 19는 필기구(302)의 팁 조립체가 내측 캡(317)내에 삽입되어 필기점(318) 및 공기교환구멍(314)을 밀봉한 상태를 도시한다. 필기구(302)의 팁 조립체가 내측 캡(317)내에 삽입될 때에는, 먼저 펜 공급부(312)의 말단부가 시일통 부분(320)의 바닥상에 형성된 오목부(327)와 결합한다. 그 다음에 필기구 배럴통(303)의 전방 배럴통(305)의 전방 단부 코너부(319)가 내측 캡(317)의 플랜지(321)와 결합하여 필기점(318) 및 공기교환구멍(314)을 밀봉한다. 전방 배럴통(305)의 전방 단부 코너부(319)가 플랜지(321)와 결합하게 될 때, 플랜지(321)상에 형성된 탄성 돌기(322)가 결합 압력에 의하여 압축된다. 탄성 돌기(322)의 변형은 필기구 배럴통(303) 및/또는 캡 본체(316)의 축방향 크기 공차를 흡수한다. 전방 배럴통(305)의 전방 단부 코너부(319)가 내측 캡(317)의 플랜지(321)와 결합하고 있는 부분이, 플랜지(321)의 탄성 돌기(322)가 캡 본체(316)의 단차부(324)와 결합하고 있는 부분보다 반경방향으로 더 중앙에 설정되어, 시일통 부분(320)의 연장선상에 거의 위치한다. 특히, 전방 배럴통(305)의 전방 단부 코너부(319)의 결합부(326)와 내측 캡(317)의 플랜지(321)가, 탄성 돌기(322)가 캡 본체(316)의 단차부(324)와 결합하고 있는 부분으로부터 오프셋된다. 따라서, 플랜지(321)의 탄성 돌기(322)가 전술한 방식으로 압축된 후에, 플랜지(321)의 내측 단부가 전방 배럴통(305)에 의하여 밀려서 절곡되며, 따라서 시일통 부분(320)이 전방 배럴통(305)의 밀림 방향으로 변위된다. 개구 단부 근방에서 캡 본체(316)상에 형성된 결합 돌기(도시하지 않음)가 배럴통 본체(304)상에 형성된 결합돌기(도시하지 않음)와 결합하여 필기구(302)와 캡(301)을 서로 고정시킨다. 특히, 필기구(302)의 팁 조립체를 내측 캡(317)으로 밀봉할 때, 시일통 부분(320)의 변위에 의하여 내측 캡(317)내의 공기 압축이 회피될 수 있다. 플랜지(321)의 탄성 돌기(322)의 압축은 전술한 바와 같이 크기 공차를 주로 흡수한다. 시일통 부분(320)의 변위가 탄성 돌기(322)의 압축에 의하여도 야기되기 때문에, 탄성 돌기(322)를 압축하면 내측 캡(317)내의 공기 압축 방지의 효과도 상승적으로 향상된다.
제 5 실시예
도 20 내지 도 21은 제 5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제 5 실시예에 있어서는, 내측 캡(317)의 플랜지(321)상에 형성된 탄성 돌기(328)의 형상이 전술한 제 5 실시예의 것과 다르다. 특히, 제 5 실시예의 내측 캡(317)에 있어서는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상 탄성 돌기(328)가 플랜지(321)상에 형성된다. 탄성 돌기(328)가 이러한 방식으로 환상으로 형성되면,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것과 결합하는 리브(329)가 적정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고, 리브(329)와 탄성 돌기(328)를 서로 정렬시키는 번거로운 동작이 필요하지 않다. 이것을 제외하면, 제 5 실시예의 구조 및 기능은 전술한 제 4 실시예의 것과 동일하다.
제 6 실시예
도 22 내지 도 25는 제 6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제 6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22 및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 캡(317)의 시일통 부분(320)의 말단부의 외주부에 결합용 플랜지부(330)가 형성되며, 이 결합용 플랜지부(330)가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캡 본체(316)의 내측 표면부분상에 형성된 돌기(331)에 결합하여 내측 캡(317)을 장착시킨다. 캡 본체(316)내에 전술한 제 4 또는 제 5 실시예의 내측 캡(317)을 조립할 때에는, 플랜지(321)가 전술한 바와 같이 변형하여 캡 본체(316)의 내측 표면상에 형성된 돌기(325)를 타고 넘음으로써 홈(332)내에 끼워맞춤된다. 플랜지(321)가 연질이라면, 그것은 홈(332)내에 쉽게 끼워맞춤되지 않는다. 제 6 실시예에서와 같이 시일통 부분(320)의 외주부상에 결합용 플랜지부(330)가 형성된다면, 지그(333)가 시일통 부분(320)내로 삽입되어 들어오는 경우에,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용 플랜지부(330)가 돌기(331)를 타고 넘어서 그것에 결합할 수 있다. 이것은 내부 캡(317)의 캡 본체(316)내 조립 동작을 촉진한다. 이것을 제외하면, 제 6 실시예의 구조 및 기능은 전술한 제 4 실시예의 것과 동일하다.
본 발명의 구조 및 기능은 전술한 바와 같다. 종래의 내측 캡과는 달리, 본 발명의 내측 캡이 캡내에 압력을 가하는 동안 이동할 수 있게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부품개수가 감소되고 조립도 용이해진다. 결과적으로, 적은 비용으로 양호한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 시일통이 배럴통의 전방부분에 부착되어 캡의 분리중 내측통으로부터 분리되는 경우에, 그것은 아주 약간만 이동함에 의하여 배럴통의 전방부분으로부터 제거되며 캡으로부터 분리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시일통은 캡내에 신뢰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필기구용 캡을 이용하면, 필기구의 팁 조립체와 공기교환구멍을 내부 캡으로 밀봉할 때, 내부 캡내의 공기의 압축이 회피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필기구에 제공된 잉크 보유체내의 잉크 축적이 억제될 수 있어, 잉크교환구멍으로부터의 잉크 누설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내부 캡의 기능만으로 이러한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부품개수 또는 조립단계수가 증가하지 않을 것이고 따라서 제조비의 증가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탄성 돌기가 형성되는 경우에, 필기구 배럴통 및 캡 본체의 크기 공차는 흡수될 수 있다.
탄성 돌기가 환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탄성 돌기와 캡 본체 간의 정렬은 불필요해진다.
내부 캡의 시일통 부분의 외주부상에 결합용 플랜지부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내부 캡의 캡 본체내 조립 동작이 용이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필기구의 팁 조립체와 팁 조립체 근방에서 필기구 배럴통내에 형성된 공기 교환 구멍이 내측 캡으로 밀봉될 수 있으므로, 내측 캡내의 공기 압력이 캡의 부착 또는 분리중 증가 또는 감소할 수 없게 되어 신뢰성 있는 작동이 이루어지며, 내측 캡내에 조립될 부품개수가 감소되어 제조비가 감소된다.

Claims (9)

  1. 배럴통의 후방부분에 잉크를 직접 저장하기 위한 탱크를 갖고 상기 배럴통의 전방부분에 잉크 보유체를 갖는 잉크 직접 보유 방식의 수성 볼펜에 있어서,
    상기 캡을 배럴통에 부착할 때, 상기 볼펜의 팁 조립체의 말단부가 상기 캡내에 장착되고 탄성 수지 또는 고무로 제조된 컵형상 바닥과 결합하여 그것에 긴밀히 접촉함으로써 상기 팁 조립체의 잉크 유출부를 기밀 밀봉하고, 시일통의 내측 개구 가장자리가 상기 잉크 보유체의 전방부분의 원추면상에 또는 팁 조립체 지지체의 원추면상에 상기 원추면의 중간부분으로부터 끼워맞춤하며, 상기 캡 부착의 종료시, 마우스 피스의 단부가 상기 시일통의 말단면을 가압하여 그것에 압력을 가하면서 결합하여서 긴밀히 접촉함으로써 공기 홈의 개구부 및 팁 조립체를 기밀 밀봉하게 되어 있는 필기구용 캡.
  2. 배럴통의 후방부분에 잉크를 직접 저장하기 위한 탱크를 갖고 상기 배럴통의 전방부분에 잉크 보유체를 갖는 잉크 직접 저장 방식의 필기구에 사용되는 필기구용 캡에 있어서,
    상기 캡을 배럴통에 부착할 때, 상기 캡내에 장착되고 탄성 수지 또는 고무로 제조된 컵형상 시일통의 내측 개구 가장자리가 상기 잉크 보유체의 전방부분의 원추면의 공기 홈의 개구부상에 상기 개구부의 중간부분으로부터 끼워맞춤하고, 상기 캡 부착의 종료시, 마우스 피스의 단부가 상기 시일통의 말단면을 가압하여 그것에 압력을 가하면서 결합하여서 긴밀히 접촉함으로써 상기 공기 홈과 팁 조립체를 기밀 밀봉하게 되어 있는 필기구용 캡.
  3. 배럴통의 후방부분에 잉크를 저장하고 배럴통의 전방단부에 팁 조립체를 갖는 필기구용 캡에 있어서,
    상기 팁 조립체와 배럴통의 전방부분에 형성된 벤트를 기밀 밀봉하도록 탄성 수지 또는 고무로 제조된 시일통이 상기 캡의 내측통내에 삽입되며, 상기 시일통의 플랜지부가 상기 내측통의 개구 단부와 결합하고,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캡내에 형성된 복수의 결합편들이 이루는 원의 직경보다 큰 외경을 갖고, 상기 시일통의 플랜지부는 탄성 변형하면서 상기 결합편을 통과하여 상기 캡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용 캡.
  4. 필기구용 캡에 있어서,
    캡 본체내에 내측 캡이 설치되고, 상기 내측 캡은 바닥을 갖는 시일통 부분과 이 시일통 부분의 개구 단부의 외주부상에 형성된 플랜지부를 갖고, 그 전체가 가요성 및 탄성을 갖는 소재로 제조되며, 상기 시일통 부분은 상기 필기구의 팁 조립체와 이 팁 조립체 근방에 형성된 공기교환구멍을 덮어서 밀봉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플랜지는 캡 본체와 결합하고, 상기 플랜지가 필기구 배럴통에 결합하고 있는 결합부분은 상기 플랜지가 상기 캡 본체와 결합하고 있는 결합위치보다 반경방향으로 중심에 더 가까이 설정되고, 상기 결합부분이 상기 필기구 배럴통에 의하여 가압될 때, 상기 시일통 부분이 탄성 변형되어 상기 필기구 배럴통의 가압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용 캡.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캡이 상기 필기구 배럴통에 의하여 가압될 때 압축되는 탄성 돌기가, 상기 내측 캡의 플랜지가 상기 캡 본체와 결합하고 있는 상기 결합위치에 형성되는 필기구용 캡.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캡이 상기 필기구 배럴통에 의하여 가압될 때 압축되는 환상 탄성 돌기가, 상기 내측 캡의 플랜지가 상기 캡 본체와 결합하고 있는 상기 결합위치에 형성되는 필기구용 캡.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캡 본체에 결합된 결합용 플랜지부가 상기 내측 캡의 시일통 부분의 외주부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되는 필기구용 캡.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캡 본체에 결합되는 결합용 플랜지부가 상기 내측 캡의 시일통 부분의 외주부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되는 필기구용 캡.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캡 본체에 결합되는 결합용 플랜지부가 상기 내측 캡의 시일통 부분의 외주부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되는 필기구용 캡.
KR1019980002150A 1997-01-24 1998-01-23 필기구용 캡 KR1002416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024553 1997-01-24
JP02455397A JP3926421B2 (ja) 1997-01-24 1997-01-24 筆記具
JP97-024552 1997-01-24
JP02455297A JP3926420B2 (ja) 1997-01-24 1997-01-24 水性ボールペン
JP9034257A JPH10217674A (ja) 1997-02-04 1997-02-04 筆記具のキャップ
JP97-034257 1997-02-04
JP97-139402 1997-05-14
JP13940297A JP3853469B2 (ja) 1997-05-14 1997-05-14 筆記具のキャップ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0805A KR19980070805A (ko) 1998-10-26
KR100241650B1 true KR100241650B1 (ko) 2000-02-01

Family

ID=27458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2150A KR100241650B1 (ko) 1997-01-24 1998-01-23 필기구용 캡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957608A (ko)
KR (1) KR100241650B1 (ko)
DE (1) DE19802538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09127B1 (en) * 1999-05-07 2001-10-30 Berol Corporation Caps for writing instruments
JP4609978B2 (ja) * 1999-07-19 2011-01-12 三菱鉛筆株式会社 筆記具
JP4585777B2 (ja) * 2003-07-07 2010-11-24 パイロットインキ株式会社 筆記具
US6945726B2 (en) * 2003-09-08 2005-09-20 Mitsubishi Pencil Co. Ltd. Refill for oil-based ink ballpoint pen and oil-based ink ballpoint pen
US7168105B2 (en) * 2004-01-20 2007-01-30 Adelman Gregory M Convertible multi-use writing instrument
KR101912586B1 (ko) * 2017-06-27 2018-10-29 펌텍코리아(주) 밀폐력이 향상된 오버캡을 구비한 화장품용기
US20210337952A1 (en) * 2020-05-04 2021-11-04 Brandi Theodette Weintraub Caps for cosmetic implements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461662A1 (de) * 1965-09-18 1969-11-06 Schneider Geb Fluessigkeitsschreiber,insbesondere Tintenschreibgeraet
DE7505779U (de) * 1975-02-25 1976-09-02 Rotring-Werke Riepe Kg, 2000 Hamburg Köcher, insbesondere Verschlußkappe für eine Röhrchenschreiberspitze
CH607625A5 (ko) * 1976-03-22 1978-09-29 Rotring Werke Riepe Kg
DE3001914C2 (de) * 1980-01-19 1982-10-07 Fa. J.S. Staedtler, 8500 Nürnberg Verschlußkappe für Schreibgeräte
JPS6111016A (ja) * 1984-06-26 1986-01-18 株式会社トプコン 視野測定装置
JPS625978A (ja) * 1985-07-03 1987-01-12 Toyama Chem Co Ltd 1,4−ジヒドロピリジン誘導体またはその塩の製造法
FR2593746B1 (fr) * 1986-01-30 1988-05-20 Graphoplex Sa Instrument a ecrire a capuchon
JPH0617581Y2 (ja) * 1987-09-11 1994-05-11 三菱鉛筆株式会社 筆記具
JPH025994A (ja) * 1988-06-24 1990-01-10 Yukinari Moriuchi 脱水洗濯機
JP2696341B2 (ja) * 1988-06-27 1998-01-14 東海工業ミシン株式会社 自動刺繍機における刺繍柄模様表示装置
JPH0473589U (ko) * 1990-11-07 1992-06-29
US5154526A (en) * 1991-12-20 1992-10-13 J. S. Staedtler Gmbh & Co. Capillary pen cover
JP2595420B2 (ja) * 1992-06-30 1997-04-02 スワンムービングウォール株式会社 横引シャッターの上枠吊込装置
JP2566664Y2 (ja) * 1993-08-31 1998-03-30 セーラー万年筆株式会社 塗布具
JPH0930187A (ja) * 1995-07-20 1997-02-04 Kotobuki:Kk 低粘性インキ筆記具のキャップ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0805A (ko) 1998-10-26
DE19802538A1 (de) 1998-08-06
DE19802538B4 (de) 2004-08-26
US5957608A (en) 1999-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10168A (en) Non-return valve for medical purposes in particular for balloon catheters
US7144104B2 (en) Inkjet recording apparatus and ink cartridge
KR100241650B1 (ko) 필기구용 캡
US7942598B2 (en) Writing implement
US5092702A (en) Fluid discharge device
KR100763662B1 (ko) 필기구
US6435751B1 (en) Click type writing implement
CN215124297U (zh) 一种雾化器
JP3926420B2 (ja) 水性ボールペン
JP3926421B2 (ja) 筆記具
JP3719765B2 (ja) 筆記具、化粧具等の液体塗布具の尾端ノック構造
JP3853469B2 (ja) 筆記具のキャップ
JP3933600B2 (ja) リフィールユニット
JP3722242B2 (ja) 水性ボールペン
JPS6323179Y2 (ko)
JPH0425358Y2 (ko)
CN218593980U (zh) 一种注墨墨盒组件
JP2001080283A (ja) 筆記具のキャップ装着構造
CN217048055U (zh) 揿动直液式双球珠笔芯
JPH09156285A (ja) 筆記具
JPH0434064Y2 (ko)
JP4482180B2 (ja) 塗布具
JPH10278481A (ja) 筆記具のキャップ
CN115320279A (zh) 一种注墨瓶
JP4073710B2 (ja) 出没式ボールペン用レフィル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0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