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0740B1 - 사진 필름용 적층 베이스 필름 - Google Patents

사진 필름용 적층 베이스 필름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0740B1
KR100240740B1 KR1019950703270A KR19950703270A KR100240740B1 KR 100240740 B1 KR100240740 B1 KR 100240740B1 KR 1019950703270 A KR1019950703270 A KR 1019950703270A KR 19950703270 A KR19950703270 A KR 19950703270A KR 100240740 B1 KR100240740 B1 KR 1002407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film
laminated base
layer
film
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703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겐지 스즈끼
스요시 나가이
고지 후루야
Original Assignee
야스이 쇼사꾸
데이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스이 쇼사꾸, 데이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스이 쇼사꾸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07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07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CPHOTOSENSITIVE MATERIALS FOR PHOTOGRAPHIC PURPOSES; PHOTOGRAPHIC PROCESSES, e.g. CINE, X-RAY, COLOUR, STEREO-PHOTOGRAPHIC PROCESSES; AUXILIARY PROCESSES IN PHOTOGRAPHY
    • G03C1/00Photosensitive materials
    • G03C1/76Photosensitiv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base or auxiliary layers
    • G03C1/795Photosensitiv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base or auxiliary layers the base being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G03C1/7954Polyes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1Product with molecular orient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942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components having same physical characteristic in differing degree
    • Y10T428/2495Thickness [relative or absolute]
    • Y10T428/24967Absolute thicknesses specifi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942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components having same physical characteristic in differing degree
    • Y10T428/2495Thickness [relative or absolute]
    • Y10T428/24967Absolute thicknesses specified
    • Y10T428/24975No layer or component greater than 5 mils thic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6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physical dimension
    • Y10T428/269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physical dimension including synthetic resin or polymer layer or compon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86Of polyester [e.g., alkyd, etc.]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실질적으로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로 형성된 제1층 및 실질적으로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 단위
및 에틸렌 단위(-CH2CH2-)를 합계 50중량% 이상 함유하는 중합체 조성물로 형성된 제2층으로 구성된 적층 필름이고, (B) 헤이즈 수치가 3.0% 이하이고, (C) 제1층의 면배향계수(NS1)이 0.270이하이며, (D) 제1층의 두께/제2층의 두께 비율이 3/7~7/3범위인 사진 필름용 적층 베이스 필름에 관한 것이다. 상기 베이스 필름은 감광성 유탁액의 수축에 의해 경화될 수 있는 적당한 커얼링을 가지며 투명도, 윤활성 등과 같은 사진 필름용의 베이스 필름으로서 각종 적당한 성질을 갖는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사진 필름용 적층 베이스 필름
[기술분야]
본 발명은 사진 필름용 적층 베이스 필름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인 제1층 및 70중량% 이상의 총량으로 에틸렌 단위 및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 단위를 함유하는 중합체 조성물인 제2층으로 이루어진, 사진 필름용 적층 베이스 필름에 관한 것이다.
[기술배경]
폴리에스테르 필름, 구체적으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 및 주로 이들로 구성되는 폴리에스테르의 필름은 내열성, 내화학약품성, 및 기계적 성질에 있어 탁월한 성질들을 가지므로 자기 테이프, 사진, 전기제품, 포장 및 제도용 등의 많은 분야에서 사용된다.
그러나,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탁월한 기계적 성질, 투명도 및 차원 안정도를 가질 지라도, 사진 필름용 지지체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보다 온도 변화에 대해 낮은 정도로 신장하고 수축한다. 따라서, 주 결합제로서 젤라틴과 같은 친수성 중합체를 함유하는 감광 유탁액을 도포하는 경우에, 유탁액의 습도 변화에 따라 큰 신장 및 수축으로부터 야기되는 신장과 수축 사이의 수축도 차이로 인해 오그라진다.
따라서, 미결의 심각한 문제점은 팽창 및 인쇄시 작업 효율에 있어 오그라짐으로 인한 감소를 극복하는 것이다.
최근 몇년 동안, 갖고 다니기 쉽고 휴대용인 포켓 카메라가 실용화되었고 따라서 카메라를 더욱 소형화 하기 위해 사진 필름의 두께를 감소시킬 것이 요구되고 있다. 상기 목적을 위한 필름의 성질로서, 높은 기계 강도, 구체적으로 높은 파단 강도를 갖는 필름이 요구되고 있다. 이 목적을 위하여,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능가하는 탁월한 기계 강도를 갖는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 필름이 가능하다.
그러나,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는 아마도 중합체가 딱딱한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두께 방향으로 중간층 박리가 일어나기 쉽다는 단점을 갖는다.
지금까지 다음과 같이, 형성된 커얼(curl)의 제거를 용이하게 함으로써 커얼링 성질을 개선하기 위한 제안 또는 커얼링 성질을 감소시켜 커얼링을 방지함으로써 커얼링 내성을 개선하기 위한 제안이 있었다.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50-16783호 및 일본 특허 공보 제56-53745호의 두 특허 출원으로 우선권을 주장한 영국 특허 1,476,343은 적층판의 한 표면상에 형성된 제1결정질 방향족 폴리에스테르층(A) 및 적층판의 나머지 표면상에 형성된 제2결정질 방향족 폴리에스테르층(B) 및 임의로 상기 (A)층 및 (B)층 사이에 형성된 제3결정질 방향족 폴리에스테르층(C)으로 이루어지며, (A)층을 구성하는 방향족 폴리에스테르가 0.35~1.0의 고유 점도를 갖고 (B)층을 구성하는 방향족 폴리에스테르가 0.37~1.0의 고유 점도는 갖고 (A)층을 구성하는 상기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보다 0.02~0.5 더 높은 고유점도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배향 열-고정 적층 필름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적층 필름은 (A)층 외측 및 (B)층 내측에서 커얼링이 일어나고 (A)층 측에 감광층을 도포함으로서 형성된 감광층의 수축에 의해 커얼링을 상쇄시키는 사진 필름을 개시하고 있다.
더우기, 단층으로 형성된 사진 필름용 기재 필름에 대해 하기의 제안이 있었다.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50-81325호는 종횡 방향의 영 모듈러스(Young′s moduli)의 비율이 0.9~1.1의 범위이고, 180℃에서의 포화 팽창율 또는 포화 수축율은 0.9% 이하이고, 200℃ 이하에서의 포화수축율 또는 포화 팽창율의 종횡 방향의 차이가 0.4이하이고 운도는 4.5% 이하인 이축 연신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 필름을 지지 필름으로 하는 사진 필름을 개시하고 있다.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50-5374호는 40℃~130℃의 온도 범위에서 이축연신시키고, 열고정시키고 차후 열경화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진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의 실시예는 종방향으로 4.3배 및 횡방향으로 3.5배 이축연신시키고, 200℃에서 열고정시키고 40~130℃의 온도범위에서 24시간 동안 차후 노화시킴으로써 얻은, 12㎛의 두께를 갖는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 필름을 개시하고 있다.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50-109715호는 극한 점도(35℃, o-클로로페닐중)가 0.40 이하이고 전체 구성단위를 기준으로 90몰% 이상의 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를 함유하고 5% 미만의 운도를 갖고 또한 이축배향되고 열고정된 폴리에스테르로 형성된 필름을 최소한 지지체로서 사용하는 사진용 필름을 개시하고 있다.
미국특허 제4,141,735호는 두께가 약 5~50밀이고 20℃K/분의 가열 속도로 DSC에 의해 측정된 Tg가 약 60℃이상인 열가소성 중합체로 형성된 자립성 필름을 열처리하여, 필름을 실질적으로 변형 및 수축시키지 않고 필름의 코어·세트 커얼링 성질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이 방법은 30℃~상기 중합체의 Tg의 온도 사이의 온도에서 100% 이하의 상대 습도에서, 필름의 코어·세트 커얼링 성질이 최소한 15% 감소할 때까지 약 0.1~약 1,500시간 동안 유지시킴으로써 수행된다. 그의 코어·세트 커얼링 성질의 감소는, 열처리된 필름은 외경 3″의 코어상에서, 49℃, 50% RH, 24시간의 코어·세팅을 통하여 열처리된 필름의 ANSI 커얼 단위의 수 변화를, 상기 열처리에 적용하지 않았으나 상기 코어 세팅을 통한 상응하는 필름의 ANSI 커얼 단위 수 변화와 비교함으로써 측정한다.
상기 미국 특허의 실시예 10의 표 7은, Tg가 198℃인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필름의 열처리 온도 및 코어-세트 커얼링 성질에서의 순 ANSI 커얼 수치를 제시하고 있으며, 처리온도 60℃, 71℃, 100℃, 120℃, 149℃ 및 180℃에서, 순 ANSI 커얼 수치는 각각 18, 16, 13, 20 및 25였다.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64-244446호는 헤이즈 값이 3% 이하이고 함수율이 0.5중량% 이상인 폴리에스테르 베이스 필름 및 하나 이상의 감광성층을 갖는 사진 감광 재료를 개시하고 있다. 이의 감광 재료의 특징은 베이스 필름이 0.5중량% 이상의 함수율을 갖고 이의 함수율을 얻기 위하여 금속 설포네이트를 함유하는 방향족 디카르복시산 성분을 공중합시킴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진 필름용 적층 베이스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감광 유탁액의 수축에 의해 해결될 수 있는 적당한 횡방향의 커얼을 갖고, 투명성 및 윤활성이 우수한 사진 필름용 적층 베이스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항커얼링성, 즉 커얼링 경향에 의해 야기된 커얼링의 형성에 저항하는 성능, 투명성 및 윤활성이 우수한 사진 필름용 적층 베이스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를 원료로 형성된 사진 필름용 적층 베이스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항커얼링성 및 커얼링 경향에 의해 일단 형성된 커얼링을 용이하게 해소하는 성능이 우수한, 사진 필름용 적층 베이스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내층박리(디라미네이션) 성질 내성이 우수한 사진필름용 적층 베이스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 및 이점은 이하의 설명에서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이점은 먼저,
(A) 실질적으로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로 형성된 제1층 및 실질적으로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 단위및 에틸렌 단위(-CH2CH2-)를 합계 50중량% 이상 함유하는 중합체 조성물로 형성된 제2층으로 구성된 적층 필름임,
(B) 헤이즈 수치가 3.0% 이하임,
(C) 제1층의 면배향계수(NS1)이 0.270이하임, 및
(D) 제1층의 두께/제2층의 두께 비율이 3/7~7/3범위임
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필름용 적층 베이스 필름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바람직한 실시양태]
본 발명의 사진 필름용 적층 베이스 필름은 상기와 같은 (A)-(D)의 구성 요건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요건 (A)에 있어, 본 발명의 상기 베이스 필름은 제1층 및 제2층으로 이루어진 적층 필름이다.
제1층은 실질적으로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로 형성된다.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로서, 에틸렌-2,6-나프렌디카르복실레이트가 모든 반복 단위인 단독중합체 또는 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가 모든 반복 단위의 97몰% 이상인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제3성분에 있어, 분자내에 2개의 에스테르 형성 관능기를 함유하는 화합물의 예로는, 예컨대 옥살산, 아디프산, 프탈산,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2,7-나프탈렌디카르복시산 및 디페닐 에테르 디카르복시산과 같은 디카르복시산; 예컨대 p-히드록시안식향산 및 p-히드록시 에톡시안식향산과 같은 히드록시카르복시산; 및 프로필렌 글리콜, 트리메틸렌 글리콜, 테르라메틸렌 글리콜, 헥사메틸렌 글리콜, 시클로헥산디메탄올, 네오펜틸 글리콜 및 디에틸렌 글리콜과 같은 이가 알콜을 포함한다.
더우기,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는, 예컨대 안식향산 또는 메톡시폴리알킬렌 글리콜과 같은 일관능성 화합물로써 말단 히드록실 기 및/또는 카르복실 기의 전부 또는 부분이 폐쇄된 것이거나, 예컨대 글리세린 또는 펜타에리트리톨과 같은 소량의 삼관능성 이상의 다관능성 화합물로써 실질적으로 선상의 중합체가 얻어지는 범위내에서 변성시킬 수 있는 것이다.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로서, 모든 반복 단위가 실질적으로 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로 형성된 단독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는 안정화제, 자외선 흡수제, 착색제 및 난연제와 같은 첨가제들을 함유할 수 있다.
제1층을 형성하는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는 소량의 불활성 미립자, 예컨대 평균 입자 직경 0.05~1.5㎛의 불활성 미립자를 0.2중량% 이하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불활성 미립자로서 제2층에 대해 후술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층은 실질적으로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 단위
및 에틸렌 단위(-CH2CH2-)를 합계 70중량% 이상 함유하는 중합체 조성물로 형성된다.
상기 중합체 조성물은, 예컨대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 및 다른 중합체를 함유하는 조성물에 있어, 주 산성분으로서 2,6-나프탈렌디카르복시산 및 주글리콜 성분으로서 에틸렌 글리콜로부터 형성되는 코폴리에스테르, 또는 상기 공중합체 및 기타 중합체를 함유하는 조성물일 수 있다.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는 상기 제1층에 관하여 서술된 것들로 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코폴리에스테르로서, 2,6-나프탈렌디카르복시산 및 기타 산성분이 전체 산성분의 40몰% 이하, 바람직하게 20몰% 이하이고 에틸렌 글리콜 및 기타 글리콜 성분이 총 글리콜 성분을 기준으로 50몰% 이하, 바람직하게 25몰% 이하로 형성된 코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한다.
2,6-나프탈렌디카르복시산 외의 산 성분 및 에틸렌 글리콜 외의 글리콜 성분은 상기 서술된 것들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더우기,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는 일관능성 화합물, 또는 삼관능성 이상의 다관능성 화합물로써 말단-폐쇄시키거나 결과생성된 공중합체가 실질적으로 선형인 정도로 공중합시킬 수 있다.
더우기, 상기 “기타”중합체로는, 예컨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단독중합체, 산성분의 80몰% 이상이 테레프탈산으로 형성되고 90몰% 이상의 글리콜 성분이 에틸렌 글리콜 성분으로 형성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 폴리시클로헥산디메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미드, 폴리올레핀 및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한다. 이들 중에,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20몰% 이하의 기타 산성분에 있어, 테레프탈산 및 2,6-나프탈렌디카르복시산 외의 상술된 디카르복시산으로부터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몰% 미만의 기타 글리콜 성분에 있어, 상기 이가 알콜을 사용할 수 있다.
제2층을 구성하는 중합체 조성물은 70몰% 이상, 바람직하게 75~99중량%, 보다 바람직하게 80~98.5중량%의 총량으로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 단위 및 에틸렌 단위를 함유한다.
제2층에 대한 중합체 조성물은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 및 기타 중합체의 조합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우기, 제2층에 대한 중합체 조성물은 본 발명의 적층 베이스 필름의 성분으로 형성된 중합체 조성물, 예컨대 본 발명의 적층 베이스 필름으로부터 회수된 성분들로 형성된 중합체 조성물을 함유할 수 있다. 적층 베이스 필름의 성분으로 형성된 중합체 조성물내에,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 및 에틸렌 글리콜 단위 외의 단위의 함량이 원하는 양 보다 소량일 경우, 기타 중합체는 원하는 성분들을 갖는 제2중합체 조성물을 형성하는데 필요한 만큼 조합할수 있다. 제2층을 형성하는 중합체 조성물은 소량의 불활성 미립자, 예컨대 0.05~1.5㎛의 평균 직경을 갖는 불활성 미립자 0.001~0.2중량%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불활성 미립자의 실례로 실리카 구상입자, 탄산칼륨, 알루미나 및 제올라이트와 같은 무기 입자 및 실리콘 수지 입자 및 가교 폴리스티렌 입자와 같은 유기 입자를 포함한다. 불활성 미립자가 무기 입자인 경우, 합성 무기 입자가 바람직하고 이는 임의 결정형태를 가질 수 있다.
불활성 미립자의 상기 실례 중에, 실리카 구상 입자가 바람직한 불활성 미립자 중의 하나이다. 그의 실리카 구상입자는 개개의 입자 형상이 실제 구형에 가까운 형태이고 각각의 입자 직경 비율(최대 직경/최소 직경)은 1.0~1.2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1.0~1.1가 보다 바람직하고 1.0~1.05가 특히 바람직하다. 실리카 구상 입자는 단분산상태로 존재하고, 예컨대 응집입자를 형성하는 일차 입자의 구상입자를 의미하지 않는다. 상기 구상 형태 비율이 증기하면, 입자 주위에 보이드가 발생하기 쉬우며 형성된 보이드는 비교적 커서 헤이즈를 증가시키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실리콘 수지 입자 및 가교된 폴리스티렌 입자는 또한 다른 종류의 바람직한 불활성 미립자이다.
실리콘 수지 입자로서, 구조단위의 80중량% 이상이 CH3·SiO3/2로 표현되는 구조단위로 형성된 유기폴리실록산이 바람직하다. 상기 CH3·SiO3/2구조 단위는 하기 일반식을 갖는다.
상기 실리콘 수지 입자는 구조단위의 80중량% 이상이 (CH3·SiO3/2)n으로 표현되는 삼차원 결합 구조의 유기폴리실록산으로써 표현될 수 있다. 상기 식에서, 상기 n은 중합도를 나타내는데, 100이상이 바람직하다. 기타 성분은 이관능성 유기폴리실록산 또는 기타 삼관능성 유기실록산 유도체이다.
상기 실리콘 수지 입자의 특징은 윤활성이 우수하고, 무기 활성 미립자 보다 비중이 작고, 기타 유기 미립자 보다 우수한 내열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유기용매에 불용성이고 비용융성임을 특징으로 한다.
더우기, 실리콘 수지 입자는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에 대해 우수한 친화도를 나타낸다. 상기 실리콘 수지 입자는 0.20~π/6의 체적형상계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리콘 수지 입자가 상기 특징을 가진다면, 더욱 우수한 윤활성을 갖는 이축 배향 필름을 제공할 수 있고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에 대한 실리콘 수지 입자의 우수한 친화도 때문에 필름의 투명도가 매우 개선된다.
가교 폴리스티렌 입자에 있어 형상이 구형이고 입도분포가 좁은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입자의 형태에 관하여서는, 최대 직경 대 최소 직경으로 정의되는 입자 직경비가 1.0~1.2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1.0~1.15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고 1.0~1.12의 범위가 특히 바람직하다.
가교 폴리스티렌 입자는 그의 생성방법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구상 가교 폴리스티렌입자는 스티렌 단량체, 스티렌 유도체 단량체, 예컨대 메틸 스티렌 단량체, α-메틸스티렌 단량체, 및 디클로로스티렌 단량체 및 부타디엔의 공액 디엔 단량체를 포함하는 기타의 것들, 불포화 니트릴 단량체, 예컨대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예컨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관능성 단량체, 예컨대 불포화 카르복시산, 히드록실을 갖는 단량체, 예컨대 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폭시드 기를 갖는 단량체, 예컨대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및 불포화 설폰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이상의 단량체, 및 각각의 중합체 입자의 3차원 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가교제로서 다관능성 비닐 화합물, 예컨대 디비닐벤젠,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메틸로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또는 디알릴 프탈레이트를 수용성 중합체가 보호 콜로이드로서 중합체 입자 유탁액에 용해되어 있는 수성 매체에서 유화-중합시켜 중합체 입자의 유탁액을 제조하고, 이 유탁액으로부터 중합체 입자를 회수하고, 중합체 입자를 건조시키고 제트 밀로써 이를 분쇄시키고 분급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상기 불활성 미립자의 평균 입자 크기가 0.05~1.5㎛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불활성 미립자가 무기 입자일 때, 평균 입자 직경은 0.1~0.8㎛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고 0.2~0.5㎛의 범위가 특히 바람직하다. 불활성 미립자가 실리콘 수지 입자인 경우에, 평균 입자 직경이 0.1~1.5㎛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0.2~1.3㎛의 범위가 특히 바람직하다. 더우기, 불활성 미립자가 가교 폴리스티렌 입자인 경우에, 평균 입자 직경은 0.1~1㎛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불활성 미립자의 평균 입자 직경이 0.05㎛ 보다 작은 경우에는, 필름의 윤활성, 내마모성 및 권취 성질의 개선효과가 작으므로 바람직하지 않은 반면, 평균 입자 직경이 1.5㎛ 보다 큰 경우에, 필름의 투명성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불활성 미립자의 입자 크기 분포에 관하여, 하기 등식으로 표현되는 상대 표준 편차는 0.5 이하가 바람직하고 0.3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0.12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여기서, Di는 각각의 입자의 면적 원의 직경에 상응하는 직경(㎛)이고, Da는 입자의 면적원의 직경에 상응하는 직경의 평균값으로,
n은 입자의 측정계수이다.
상대 표준 편차가 0.5 이하인 불활성 입자를 사용하는 경우에, 입자가 구상이고 입도분포가 극히 정밀하므로 필름 표면 돌기의 높이가 극히 균일하다. 더우기, 필름 표면 상에 형성된 각각의 돌기는 돌기 형상이 매우 날카로운 형태를 가지므로 필름 극히 우수한 윤활성을 갖는다.
불활성 미립자의 함량은 0.001~0.2중량%가 바람직하다. 불활성 미립자가 무기 입자인 경우에, 그의 함량은 0.001~0.1중량%가 바람직하고 0.002~0.005중량%가 특히 바람직하다.
불활성 미립자가 실리콘 수지 입자인 경우에, 그의 함량은 0.001~0.1중량%가 바람직하고 0.001~0.02중량%가 보다 바람직하고 0.001~0.01중량%가 특히 바람직하다. 불활성 미립자가 가교 폴리스티렌 입자인 경우에, 그의 함량은 0.001 내지 0.1중량%가 바람직하고 0.001~0.05중량%가 특히 바람직하다. 불활성 미립자의 함량이 0.001중량% 미만인 경우에, 필름은 불충분한 윤활성을 보이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다른 한편으로, 0.2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 필름의 헤이즈가 증가하여 투명도가 불충분해진다.
불활성 미립자가 첨가되는 시간은 불활성 미립자가 필름형성 전 단계에 첨가되기만 한다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불활성 미립자는 중합 단계에 첨가되거나 필름 형성 전 단계에 중합체 조성물에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사진 필름용의 적층 베이스 필름은 3.0% 이하의 헤이즈 값을 갖는다.(요건(B)) 헤이즈 값은 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5%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0%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헤이즈 값이 지나치게 높은 경우에는 필름의 투명도가 감소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적층 베이스 필름에서, 제1층의 면배향계수(NS1)이 0.270 이하이고(요건(C)), 0.260 이하가 바람직하다. 면배향계수(NS)는 하기로 정의된다.
여기서, nx는 이축 배향 필름의 기계축 방향의 굴절율을 나타내는데, ny는 기계방향과 직교하는 방향(횡방향)의 굴절율을 나타내고, nz는 필름의 두께 방향의 굴절율을 나타낸다.
제1층의 면배향계수(NS1)이 0.270을 초과하는 경우에, 면배향도가 지나치게 높아 필름 두께 방향으로 층간박리를 일으키기 쉽다.
본 발명의 적층 베이스 필름에서, 바람직하게, 제2층의 면배향계수(NS2) 및 제1층의 면배향계수(NS1)간의 차이(△NS=NS1-NS2)가 0.002~0.200의 범위이다. △NS가 상기의 범위내에 있으면, 필름 형성에 의해 쉽게 형성된 커얼링 형성되고 또한 필름이 매우 용이하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적층 베이스 필름은, 제1층의 두께/제2층의 두께의 비가 3/7~7/3의 사이에 있고(요건(D)), 3/7~1/1 사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적층 베이스 필름은, 통상의 방법, 예컨대 공압출에 의해 얻은 미연신적층 필름을, 이축연신시키고, 열고정시키고, 임의로 어니일링 처리시켜 유리하게 새성할 수 있다. 연신 방법은 공지의 방법이고, 연신온도는 통상 80~140℃이고, 연신배율은 종방향으로 2.0~4.2배가 바람직하고 2.5~4.0배가 보다 바람직하며, 횡방향으로는 2.5~4.3배가 바람직하고 2.8~4.0배가 더 바람직하다. 얻어진 이축연신 필름은 170~260℃, 바람직하게 180~250℃에서 1~100초 동안 열 고정시킨다. 연신은 일반적인 롤 또는 스텐터로써 종횡방향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 있거나, 또는 종횡방향으로 순차연신시키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이축 연신 처리 및 상기 열 고정 처리를 수행할 때, 제1층 및 제2층의 연신 특성의 차이는 양자의 면배향 차이를 야기하여 수축 스트레스에 차이가 발생하여 제1층 외면 및 제2층 내면이 커얼링된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얻어진다.
또한 이축연신의 열고정에 있어, 이축연신 후에 열고정 구역을 다단계로 분할하고, 열고정온도를 서서히 저하시켜, 급격한 온도변화가 적용되지 않으므로, 두께 불균등도의 증대 및 주름의 발생을 야기하지 않으면서 두께의 굴절율(nz)의 증가를 용이하게 성취할 수 있다. 더우기, 스텐터 레일의 폭을 감소시킴으로써 최고온도의 열고정 구역으로써, 필름을 횡방향으로 수축시키는 경우에, 상기 효과는 보다 현저해진다.
예컨대, 이축연신 후의 열고정 구역을 3개 이상의 구역으로, 바람직하에 4개 이상의 구역으로 분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열고정 구역의 최종 구역내 온도는 140℃ 이하, 바람직하게 120℃ 이하에서 고정시킨다.
최고 열고정 온도의 구역으로부터 최종 구역에로 이르는 사이에, 온도가 점차로 감소되어 급격한 온도 변화에 적용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한 구역으로부터 인근 구역에로의 온도 구배는 70℃ 이하, 바람직하게 60℃이하로 설정된다.
본 발명의 적층 베이스 필름은, 사진 필름용 베이스 필름로서 하기의 바람직한 성질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층 베이스 필름은 바람직하게 제2층을 내측으로 폭방향의 커얼도(f1)는 0.5~50%이다. 즉, 본 발명의 적층 베이스 필름은 제2층을 내측으로 폭 방향의 커얼링 성질을 가지며, 그의 정도는 커얼도(f1)의 값으로 0.5~50%의 범위내이다. 상기 커얼도(f1)을 나타내는 본 발명의 적층 베이스 필름은 제1층 측면에 감광유제를 도포시키는 경우에 그의 건조시에 유탁액의 수축에 의해 커얼링이 유의하게 해소되는 것이 적당하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사진 필름용 적층 베이스 필름의 제1층의 두께 방향 굴절율 지수 nz는 1.493 이상이 바람직하다. 이 굴절율 지수가 1.493 미만이면, 필름이 층간박리되기 쉽고 긁혀 노치(요철 형태)를 갖는 스크래치를 형성하기 쉽고 이 스크래치 또는 층간박리 부분의 흔적이 백색이 되므로 적당하지 않다.
필름 두께 방향의 상기 굴절율 지수(nz)는 25℃에서 Na-D 선을 사용하여 Abbe 굴절계로써 측정한 값이다.
굴절율 지수(nz)는 필름 연신 비율의 감소 및 필름 열-고정 온도의 증가에 의해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나, 연신 비율이 과도하게 감소되거나 열-고정 온도가 과도하게 증가하면, 필름의 두께 불균등도가 증가하여 필름 표면 상에 주름(플루트)를 야기한다.
굴절율 지수(nz)는 바람직하게 1.49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 1.510 이하이다.
본 발명의 적층 베이스 필름에서, 필름/필름 간의 스티킹도는 3등급 이하가 바람직하고, 2.5등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여 2등급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스티킹도의 등급이 증가함에 따라 필름의 윤활도가 증가한다. 이 등급이 감소하면, 필름/필름 윤활도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이 스티킹도가 3등급 이상인 경우, 필름/필름 윤활도가 불량하고 필름/필름 블로킹의 발생하고, 필름 주행시의 운반용 롤에 의해 긁히기 쉽고 필름을 롤의 형태로 권취시키는 경우에 롤이 혹모양의 돌기를 가지기 쉬우며, 이는 사진 필름으로서의 필름 용도에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적층 베이스 필름은 제1층을 내측에서 권취시킨후에 제2층을 외측에서 세로방향의 커얼도(f2)가 0~7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성질, 즉 0~70% 범위의 세로방향 커얼도(f2)를 갖는 본 발명의 적층 베이스 필름은 이롭게 통상의 방법에 의해 얻은 미연신 적층 필름을 이축연신시키고, 열고정시킨 다음 그것을 어닐일링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이축 연신된 필름에 대한 어닐링 처리법은 이축연신 및 열고정된 필름을 그것을 권취시키지 않고 열간 롤과 접촉시키면서 가열시키는 방법, 상기 필름을 고온 공기와 함께 운반하면서 비접촉상태로 가열시키는 방법, 권취 필름을 감지 않으면서 상기와 동일한 방식으로 1회 권취된 필름을 가열하는 방법, 및 권취 필름을 롤의 형태로 두면서 가열 오븐에서 열처리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롤 상태의 필름을 필름이 가열 역사를 가지며 150℃ 이하인 온도에서, 또는 보다 바람직하게 필름이 가열역사를 갖는 온도 보다 10℃ 더 높고 130℃ 이하인 온도에서 어닐링되는 방법이 보다 효과적이고 바람직하다. 필름이 가열 역사를 갖는 온도와 동일한 또는 그 보다 낮은 온도에서 롤 상태의 필름을 어닐링 처리하는 경우는 커얼링 경향을 막는데 불충분하다. 어닐링 처리를 150℃ 보다 높은 온도에서 수행하면, 올리고머가 필름 표면상에 침전하기 쉽고 필름 표면 상의 코어 운자(imprinting)가 일어나기 쉬워, 필름의 사용시에 부적합하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적층 베이스 필름의 플랫트니스는 250cm/m 이하의 폭이 바람직하다. 필름 플랫트니스가 250cm/m 이하의 폭을 초과하면, 감광성 유탁액을 균일하게 도포하는 것이 어려워 적당하지 않다. 플랫트니스는 200cm/m 이하의 폭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적층 베이스 필름은 바람직하게 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 4㎛ 이하의 두께 불균등도를 가질 수 있다. 두께 불균등도가 5㎛를 초과하면 필름 표면에 감광성 유탁액을 균일하게 도포시키기 어려워 몇몇 경우에 사진 필름의 제품질을 떨어뜨린다.
두께 불균등도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연신배율을 높이고, 열고정온도, 종연신온도, 횡연신온도를 낮추는 것이 효과적이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의 적층 베이스 필름은 직교하는 2방향의 영 모듈러스가 750kg/mm2이하가 바람직하고, 700kg/mm2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영 모듈러스가 750kg/mm2를 초과하는 경우에 필름을 절단 또는 천공할시에 대량의 분진이 발생하기 쉽다. 종방향 및 횡방향의 영 모듈러스의 하한은 각각 바람직하게 400kg/mm2, 보다 바람직하게 450kg/mm2이다.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양방향의 영 모듈러스 사이의 차이는 150kg/mm2이하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적층 베이스 필름은 바람직하게 40 내지 120㎛, 보다 바람직하게 50 내지 100㎛의 두께를 갖는다.
본 발명의 적층 베이스 필름은 감광성 유탁액 층을 포함하는 각종 얇은 층을 형성함으로써 사진 필름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실시예]
본 발명은 이후에 실시예를 참고로 보다 상세히 서술될 것이며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각종 물성치는 아래와 같이 측정했다.
(1) 면배향 계수
25℃에서 Na-D 선을 광원으로 사용하여 필름 시료 각각의 표면을 통하여 굴절율을 측정했다. 시료 필름의 제1층 및 제2층의 양면에서 측정하고 제1층의 면배향 계수(NS1) 및 제2층의 면배향 계수(NS2)를 하기 등식을 기준으로 측정했다.
(2) 헤이즈
JIS K-6714의 방법에 따라 시판하는 헤이즈 메터로써 하나의 필름 시이트 당 측정한 전체 헤이즈 값.
(3) 폭방향의 커얼도(f1)
필름을 형성한 후에 바로 120mm의 길이 및 35mm의 폭을 갖는 시험편을 취하고 수직으로 매달고 커얼링된 상태의 현 길이 X(mm)를 측정했다. 시료 길이 120mm에 대한 현 길이의 비율(%)는 커얼도를 측정하는 하기 등식에 근거해 계산했다.
제2층 내측에서의 커얼링은 +로, 제1층 내측에서의 커얼링은 -로 취했다. 시험편을 하기와 같이 판정했다.
(4) 세로방향의 커얼도(f2)
120mm×35mm의 크기를 갖는 시료 필름을 제1층의 내측에서 직경 10mm의 권심으로 감고 임시로 풀리지 않도록 고정시켰다. 감긴 시료 필름을 70℃에서 30% RH에서 72시간동안 가열시킨 다음 코어로부터 이형시키고 40℃의 증류수에 15분 동안 침지시켰다. 그 다음 시료를 50g 하중으로 수직으로 매달고 커얼링이 잔류하는 상태로 “시료 길이” X(mm)를 측정했다. 처음 120mm에서 시료 길이에 대한 커얼링 상태의 시료 길이 비율(%)는 종방향 커얼도 f2로서 나타낸다.
상기 “시료 길이”는 시료가 주로 원형 또는 반원형의 형태를 나타내도록 커얼링된 경우의 직경을 말하고 시료가 작은 정도로 짧은 형태의 반원을 나타내는 경우에 현길이를 말한다.
커얼링 제거 성능은 세로방향의 커얼도가 제로(0)에 근접할수록 더 우수하게 나타난다.
(5) 스티킹도
평편한 베드상에 고무판을 배치시키고 두개의 필름을 먼지나 오염물이 그사이에 존재하지 않도록 적중시키고 그 상에 배치시켰다. 70mm의 외경 및 10kg의 중량을 갖는 원통형 중량을 수직 위로부터 필름상에 온화하게 배치시키고 10분 후에 온화하게 제거시켰다. 필름을 30분 동안 방치시킨 후에, 원통에 의해 형성된 원주내 접촉 패턴을 사진학적으로 투사시켜 스티킹부의 면적비를 측정했다. 스티킹도는 표 1에 도시된 5등급을 기준으로 평가했다.
[표 1]
(6) 플랫트니스
길이가 2m인 필름 시료를 필름 롤으로부터 취하고, 롤 필름 표면을 형성하고 있는 필름 시료의 측면이 상향으로 면하도록 수평하고 평편한 층 위에 도포시켰다. 10분 동안 정치시킨 후에, 필름 시료 표면 상에 잔류하는 주름(플루트)의 길이(cm)를 철저히 관찰하였다. 전체 측정 길이를 필름 폭(m)를 나누어 플랫트니스를 계산했다.
(7) 필름의 두께 불균등도
안리쯔 주식회사제 전자 마이크로미터 K-312 모델을 사용하여 침압 30g, 주행속도 25mm/초로써 필름의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각각 2m 길이를 통해 측정하고 ±4㎛의 감도를 기준으로 연속 두께 차트를 제작했다. 2m의 길이를 통하여 두께의 최대값 및 최소값을 이 차트로부터 측정하고 이 값들 사이의 차이 R(㎛)을 두께 불균등도로서 취했다.
(8) 영 모듈러스
필름을 시료폭 10mm, 길이 15cm로 절단하고 척크 t이에 100mm의 거리로 인장속도 10mm/분, 차팅 속도 500mm/분으로 인스트론형 유니버살 인장시험장치로써 인장시켰다. 영 모듈러스는 얻어진 하중-신장 곡선의 상승부에서의 탄젠트를 기준으로 계산했다.
(9) 접힘선 층박리 백화율
두께가 80mm×80mm인 필름 시료를 취하고 손으로 온화하게 제1층이 외면이 되도록 두 부분으로 접고 한쌍의 평편한 금속판 사이에 배치시킨 다음 소정 압력 P1(kg/cm2G) 하에 20초 동안 가압 장치로 가압시켰다. 가압된 두번 접힌 필름을 원래 생태로 손으로 돌려 놓고 상기 금속판 사이에 배치시키고 압력 P1(kg/cm2G) 하에 20초 동안 가압시켰다. 그 다음, 시료를 꺼내고 접힌선을 나타내는 백화된 부분의 길이(mm)를 측정하여 그의 합계를 계산했다.
상기 측정을 각각의 측정에 대해 새로운 필름 시료를 사용하면서 1, 2, 3, 4, 5 또는 6(kg/cm2G)의 압력 P1 하에 반복했다.
접힌선의 전체 길이(80mm)에 대해 압력하에 백화된 부분의 전체 길이(mm)의 평균율을 접힘선 층박리 백화율로서 취하고 이 값을 층박리가 일어나기 쉬운지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사용했다.
(10) 압자의 평균 입자 직경
시마드쮸사제의 CP-50형 센트리퓨갈 파티클 사이즈 아날라이저(Centrifugal·Particle Size Analyzer)를 사용하여 입자를 측정했다. 결과생성된 연신침강곡선에 근거하여 산출된 각 입자 직경의 입자 및 존재량의 누적 곡선을 만들었다. 누적 곡선에서, 50중량%에 상응하는 입자 직경을 읽고 이 입자 직경 값을 평균 입자 직경으로 정의했다(입도측정기술, 일간공업신문사발행, 1975년, 242~247쪽 참조).
(11) 체적형상계수(f)
주사형전자현미경을 통하여 윤활제 입자의 사진을 5000배로 10 시야 배경으로, 면상해석처리장치 루젝스(일본 레귤러이터사 제공)를 사용하여 최대 직경의 평균치를 각 시야 마다 산출했다. 또한, 10시야의 평균치를 구하고 D로서 취했다.
상기 (10)항에서 얻어진 입자의 평균 입자 직경 d를 사용하여 V=(π/6)d3를 기준으로 입자 체적을 계산하고 체적형상계수 f를 하기 등식을 기준으로 계산했다.
f=V/D3
V는 입자 체적(㎛3)이고 D는 최대 입자 직경(㎛)임.
(12) 입자 직경 비
필름 소편을 에폭시 수지를 성형하여 고정시키고 약 600 옴스트롱의 두께를 갖는 초박절편(필름흐름 방향과 평행하게 절단)을 마이크로톰으로 제조했다. 상기 시료를 투과형전자현미경(일립제작소제 : H-800형)으로 필름내의 윤활제의 단면형상을 관찰하고 입자의 최대 직경과 최소 직경의 비를 나타내었다.
(13) 평균 입자 크기, 입자 직경 등
전자 현미경 시료 층 상에 입자를 최소의 입자가 서로 상에 적층되도록 산재시키고 두께가 200~300 옴스트롱인 얇은 부착층을 금속 스퍼터링 장치로써 입자의 표면상에 형성시켰다. 투과형 전자 현미경을 통하여 10,000~30,000배율로 최대 직경(Dli), 최소직경(Dsi) 및 일본 레귤레이터 주식회사에서 제공하는 루젝스 500으로써 100입자 이상의 면적원 상쇄가 (Di)를 측정했다. 하기 등식을 기준으로 계산된 상기 수치 평균을 최대 직경(D1, 최소직경(Ds) 및 평균 입자 직경(Da)로 나타냈다. 또한, 입자 직경 비율을 하기를 기준으로 계산했다.
또한, 필름내 입자를 하기와 같이 측정했다.
시료 필름 소편을 주사형 전자현미경용 시료 층에 고정시키고 일본 덴시(주)제 스퍼터링 장치(JFC-1100형 이온-에칭 장치)를 사용하여 필름 표면에 하기 조건하에 이온 에칭 처리한다. 시료를 벨 자아 내에 설치하고 진공도를 10-3Torr의 진공상태까지 증가시켰다. 0.25KV의 전압, 전류 125mA에서 약 10분 동안 이온-에칭을 수행했다. 또한, 필름표면을 상기 장치로써 금을 스퍼터링시키고 투과형 전자 현미경을 통하여 10,000~30,000 배율로 관찰하여 최대 직경(Dli), 최소직경(Dsi) 및 일본 레귤레이터 주식회사에서 제공하는 루젝스 500으로써 100 입자 이상의 면적원 상쇄가(Di)를 측정했다. 그 후에 절차를 상기와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했다.
[실시예 1]
평균 입자 직경이 0.5㎛인 실리카 입자 0.01중량%를 함유하는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를 원료(A)로서 사용했다. 한편, 원료(A)를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 외의 성분으로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α성분) 10중량%로 블렌딩하여 얻은 조성물을 원료(B)로서 사용하였다. 상기 원료(A) 및 (B)를 각각 건조시키고 차등 용융-압출기를 통하여 압출시키고 공압출법에 의해 적층시켜 50 : 50의 두께 구성비를 갖는 미연신 필름을 형성했다. 상기 미연신 필름을 이후에 종방향(기계 방향)으로 3.0배 및 횡방향(폭방향)으로 3.1배 이축 연신시킨 다음 적층된 필름을 220℃에서 30초 동안 가열고정시키고 이동안 일정한 길이를 유지하여 100㎛의 두께를 갖는 적층된 이축 배향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500mm 폭 및 500mm 길이를 갖는 필름을 상기 얻어진 이축 배향 필름으로부터 취하고 165mm의 직경을 갖는 권심 주위에 감아 시료 롤을 제조하고 시료 롤을 이 상태에서 온도를 100℃까지 24시간에 걸쳐 온도를 증가시키고 이 온도를 24시간동안 유지하고 온도를 24시간에 걸쳐 감소시켜 어닐링시켰다. 어닐링된 이축 배향 필름의 물리적 성질은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및 3]
조성물(B)내 원료(A)와 블렌딩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중량%를 30%(실시예 2) 또는 50%(실시예 3)으로 변화시키고 실리카 입자를 0.3㎛의 평균 입자 직경을 갖는 실리카 입자 0.01중량%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을 반복했다. 표 1은 결과를 나타낸다.
[실시예 4]
두께 구성비를 33 : 67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을 반복했다. 표 1은 결과를 나타낸다.
[실시예 5]
두께 구성비를 67 : 33으로 변화시키고 윤활제를 0.5㎛의 평균 입자 직경을 갖는 실리콘 수지 입자 0.01중량%로 변화시키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을 반복했다. 표 1은 결과를 나타낸다.
[실시예 6]
조성물(B)내 원료(A)와 블렌딩될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 외의 성분을 폴리카보네이트 5중량%로 대체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을 반복했다. 표 1은 결과를 나타낸다.
[비교실시예 1]
100㎛의 두께를 갖는 필름을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원료(A)만으로부터 제조했다. 표 1은 결과를 나타낸다.
[비교실시예 2]
미연신 필름을 이후에 종방향으로 4.8배 및 횡방향으로 5.1배 이축 연신시키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을 반복했다. 표 1은 결과를 나타낸다.
[비교실시예 3]
실리카 입자를 0.3㎛의 평균 입자 직경을 갖는 이산화티타늄 입자 0.30중량%로 변화시키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을 반복했다. 표 1은 결과를 나타낸다.
[비교실시예 4]
평균 입자 직경이 0.5㎛인 실리카 입자 0.01중량%를 함유하는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를 원료(A)로서 사용하였다. 한편, 원료(A)를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 외의 성분으로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α성분) 10중량%로 블렌딩하여 얻은 조성물을 원료(B)로서 사용하였다. 상기 원료(A) 및 (B)를 각각 건조시키고 차등 용융-압출기를 통하여 압출시키고 공압출법에 의해 적층시켜 50 : 50의 두께 구성비를 갖는 미연신 필름을 형성했다. 상기 미연신 필름을 이후에 종방향(기계 방향)으로 3.0배 및 횡방향(폭방향)으로 3.1배 이축 연신시킨 다음 적층된 필름을 220℃에서 30초 동안 가열고정시키고 이동안 일정한 길이를 유지하여 100㎛의 두께를 갖는 적층된 이축 배향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이축 배향 필름의 물리적 성질은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7]
조성물(B)내 원료(A)와 블렌딩될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 외의 성분을 폴리시클로헥산디메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 25중량%로 대체하고 실리카 입자를 0.3㎛의 평균 입자 직경을 갖는 실리카 입자 0.01중량%로 변화시키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을 반복했다. 표 1은 결과를 나타낸다.
[표 1]
[실시예 8-10 및 비교실시예 5]
평균 입자 직경이 0.5㎛인 실리카 입자 0.01중량%를 함유하는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를 원료(A)로서 사용했다. 한편, 원료(A)를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 외의 성분으로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α성분) 10중량%를 블렌딩하여 얻은 조성물을 원료(B)로서 사용하였다. 상기 원료(A) 및 (B)를 따로따로 건조시키고 차등 용융-압출기를 통하여 압출시키고 두께 구성비가 50 : 50인 미연신 필름을 형성하는 공압출법에 의해 적층시켰다. 상기 미연신 필름을 이축 연신시키고 표 2에 도시된 조건하에 열처리하여 두께가 75㎛인 이축배향 필름을 얻었다. 열처리는 열처리 구역이 X1, X2, X3및 X4의 네개 구역으로 분할되어 있고 열-고정 온도가 가장 높은 구역(X1)에서 필름이 스텐터 레일의 폭을 좁게하여 필름 폭 방향으로 접촉하도록 스텐터가 배열된 장치를 사용하여 수행했다.
각각의 상기 얻어진 이축 배향 필름의 종횡 방향 영 모듈러스, 두께 방향 굴절율(nz), 종횡 방향 두게 불균등도, 플랫트니스 및 접힘선 층박리 백화율을 측정했다.
결과는 표 2에 도시했다.
[표 2]

Claims (16)

  1. (A) 필수적으로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로 형성된 제1층 및 필수적으로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 단위
    및 에틸렌 단위(-CH2CH2-)를 합계 50중량% 이상 함유하는 중합체 조성물로 형성된 제2층으로 구성된 적층 필름이고, (B) 헤이즈 수치가 3.0% 이하이고, (C) 제1층의 면배향계수(NS1)이 0.270이하이며, (D) 제1층의 두께/제2층의 두께 비율이 3/7~7/3범위인 사진 필름용 적층 베이스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제2층에 대한 중합체 조성물은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 및 기타 중합체의 조합물을 함유하는 적층 베이스 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제2층에 대한 중합체 조성물은 제1항에 언급된 적층 베이스 필름을 형성하는 중합체 조성물을 함유하는 적층 베이스 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헤이즈 값이 2.0% 이하인 적층 베이스 필름.
  5. 제1항에 있어서, 제1층은 0.260 이하의 면배향 계수(NS1)갖는 적층 베이스 필름.
  6. 제1항에 있어서, 제2층의 면배향 계수(NS2) 및 제1층의 면배향계수(NS1)의 차이(△NS)는 0.002~0.200의 범위내인 적층 베이스 필름.
  7. 제1항에 있어서, 제1층/제2층 두께비가 3/7~1/1의 범위내인 적층 베이스 필름.
  8. 제1항에 있어서, 적층 베이스 필름의 제2층이 내측으로 커얼링하면 적층 베이스 필름은 0.5~50% 범위의 폭방향 커얼도(f1)을 갖는 적층 베이스 필름.
  9. 제1항에 있어서, 적층 베이스 필름은 1.493의 두께 방향 굴절율(nz)를 갖는 적층 베이스 필름.
  10. 제1항에 있어서, 적층 베이스 필름은 3이하의 스티킹도를 갖는 적층 베이스 필름.
  11. 제1항에 있어서, 적층 베이스 필름의 제1층을 내측으로 하고 제2층을 외측으로 커얼링하면 적층 베이스 필름은 0~70%의 종방향 커얼도(f2)를 갖는 적층 베이스 필름.
  12. 제1항에 있어서, 적층 베이스 필름이 250cm/m 이하 폭의 평평도를 갖는 적층 베이스 필름.
  13. 제1항에 있어서, 두께 불균등도가 5㎛ 이하인 일방을 갖는 적층 베이스 필름.
  14. 제1항에 있어서, 영 모듈러스가 750kg/mm2이하로 직교하는 2방향을 갖는 적층 베이스 필름.
  15. 제1항에 있어서, 제1층이 평균 입자 직경 0.05~1.5㎛의 불활성 미립자를 0.2중량% 이하로 함유할수 있고, 제2층이 평균 입자 직경 0.05~1.5㎛의 불활성 미립자를 0.001~0.2중량%의 범위로 함유할 수 있는 적층 베이스 필름.
  16. 제1항에 있어서, 적층 베이스 필름이 40~120㎛를 갖는 적층 베이스 필름.
KR1019950703270A 1993-12-07 1994-02-07 사진 필름용 적층 베이스 필름 KR1002407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306639 1993-12-07
JP30663993 1993-12-07
PCT/JP1994/000180 WO1995016223A1 (fr) 1993-12-07 1994-02-07 Film support stratifie pour pellicule photographiqu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40740B1 true KR100240740B1 (ko) 2000-07-01

Family

ID=17959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703270A KR100240740B1 (ko) 1993-12-07 1994-02-07 사진 필름용 적층 베이스 필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723208A (ko)
EP (1) EP0686870B1 (ko)
KR (1) KR100240740B1 (ko)
CA (1) CA2155508C (ko)
DE (1) DE69412239T2 (ko)
WO (1) WO19950162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524474D1 (de) * 1994-03-28 2002-01-24 Konishiroku Photo I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photographischen Schichtträgers
US6057041A (en) * 1996-10-03 2000-05-02 Teijin Limited Polyester releasing film containing a silicone resin layer
JP3948500B2 (ja) * 1997-08-01 2007-07-2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写真用フィルムの熱処理方法
US6071682A (en) * 1997-10-09 2000-06-06 Eastman Kodak Company Control of core-set curl of photographic film supports by coated layers
KR100915479B1 (ko) 2001-09-11 2009-09-03 듀폰 테이진 필름즈 유.에스. 리미티드 파트너쉽 가요성 전자 및 광전자 소자용 열안정화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필름
US7384690B2 (en) * 2002-01-10 2008-06-10 Toray Industries, Inc. Biaxially oriented thermoplastic resin film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40414B1 (ko) * 1969-07-11 1973-11-30
JPS4840414A (ko) * 1971-09-21 1973-06-14
JPS5414320B2 (ko) * 1972-07-25 1979-06-06
JPS5653745B2 (ko) * 1974-03-18 1981-12-21
JPS5744466B2 (ko) * 1973-06-14 1982-09-21
US4198458A (en) * 1973-05-11 1980-04-15 Teijin Limited Laminate polyester films
DE2428464B2 (de) * 1973-06-14 1979-08-23 Teijin Ltd., Osaka (Japan) Biaxial verstreckte und wärmeverfestigte mehrschichtige Folie und deren Verwendung
JPS5081325A (ko) * 1973-11-19 1975-07-02
JPS5095374A (ko) * 1973-12-25 1975-07-29
JPS50109715A (ko) * 1974-02-04 1975-08-29
JPS5417981A (en) * 1977-07-11 1979-02-09 Teijin Ltd Oriented polyester film for photosensive recorder
US4141935A (en) * 1978-02-10 1979-02-27 Rohm And Haas Company Thermoplastic film having improved outdoor weatherability
JPS54157155A (en) * 1978-06-02 1979-12-11 Teijin Ltd Oriented polyester film for photosensitive magnetic recording media
AU530540B2 (en) * 1979-09-19 1983-07-21 Johnson & Johnson Baby Products Company Absorbent structure
JPS623414A (ja) * 1985-06-28 1987-01-09 Toshiba Corp 録再兼用薄膜磁気ヘツド
JP2565370B2 (ja) * 1988-03-25 1996-12-18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写真感光材料
JPH01298350A (ja) * 1988-05-27 1989-12-01 Fuji Photo Film Co Ltd 写真感光材料
US5071690A (en) * 1989-02-01 1991-12-10 Diafoil Company, Limited Moldable biaxially stretched polyester film
JP2774330B2 (ja) * 1989-10-18 1998-07-09 出光興産株式会社 写真フィルム
US5076977A (en) * 1990-01-10 1991-12-31 Eastman Kodak Company Process for controlling curl in polyester film
JPH0444030A (ja) * 1990-06-12 1992-02-13 Konica Corp ハロゲン化銀写真感光材料
US5270160A (en) * 1990-12-21 1993-12-14 Toray Industries, Inc. Polyester film and photosensitive material
JPH04235036A (ja) * 1991-01-09 1992-08-24 Toray Ind Inc 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及び写真感光材料
US5372925A (en) * 1992-05-29 1994-12-13 Konica Corporation Multilayer polyester support of photographic material
JP2543809B2 (ja) * 1992-08-18 1996-10-16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系写真用支持体
US5360408A (en) * 1992-11-16 1994-11-01 Vaillancourt Vincent L Shielded hypodermic needle assembly and a shield assembly for a hypodermic needle
US5462824A (en) * 1992-12-03 1995-10-31 Fuji Photo Film Co., Ltd. Silver halide photographic materi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5016223A1 (fr) 1995-06-15
EP0686870B1 (en) 1998-08-05
DE69412239T2 (de) 1999-04-29
EP0686870A4 (ko) 1996-01-10
EP0686870A1 (en) 1995-12-13
US5723208A (en) 1998-03-03
DE69412239D1 (de) 1998-09-10
CA2155508A1 (en) 1995-06-15
CA2155508C (en) 2002-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11255913A (ja) 二軸配向改質ポリエチレン−2,6−ナフタレートフィルム
US6485810B1 (en) Biaxially oriented polyester film and flexible disk
JPH0818456B2 (ja) スタンピングホイル
KR100240740B1 (ko) 사진 필름용 적층 베이스 필름
KR100462641B1 (ko) 이축배향 필름
JPH09141797A (ja) 二軸配向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4285089B2 (ja) フォトレジスト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EP0636928B1 (en) Base film for photographic film
JP3318230B2 (ja) ポリエチレンナフタレート共重合体からなる写真フイルム用ベースフイルム
JP7283040B2 (ja) 熱可塑性樹脂フィルム
JP2889376B2 (ja) 写真フィルム用積層ベースフィルム
JPH0929833A (ja) オーバヘッドプロジェクタ用フィルム
KR100196055B1 (ko) 사진 필름용 베이스 필름
JP3653415B2 (ja) フレキシブルディスク用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JP3478667B2 (ja) 写真フィルム用ベースフィルム
JP3236104B2 (ja) 写真感光材料用フイルム
CA2297311C (en) Base film for photographic film
JP2002254510A (ja) フレキシブルディスク用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3244897B2 (ja) 写真感光材料用フイルム
JP2527246B2 (ja) 二軸配向熱可塑性樹脂フィルム
JPH06258766A (ja) 写真感光材料用フイルム
JP3242832B2 (ja) 写真フィルム用ベースフィルム
JPH1143544A (ja) 離型フィルム
JP3242837B2 (ja) 写真フィルム用ベース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H08142183A (ja)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0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