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9156B1 - 인쇄장치 및 인쇄방법 - Google Patents

인쇄장치 및 인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9156B1
KR100239156B1 KR1019960043870A KR19960043870A KR100239156B1 KR 100239156 B1 KR100239156 B1 KR 100239156B1 KR 1019960043870 A KR1019960043870 A KR 1019960043870A KR 19960043870 A KR19960043870 A KR 19960043870A KR 100239156 B1 KR100239156 B1 KR 1002391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medium
printing
cutting
ink
t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3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2838A (ko
Inventor
야스시 무라이
Original Assignee
가시오 가즈오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 가즈오,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시오 가즈오
Publication of KR970022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28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9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91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5/00Other apparatus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or incorporated in, ink-ribbon mechanisms
    • B41J35/16Multicolour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66Applications of cutting devices
    • B41J11/70Applications of cutting devices cutting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paper feed
    • B41J11/703Cutting of t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36Blanking or long feeds; Feeding to a particular line, e.g. by rotation of platen or feed roller
    • B41J11/42Controlling printing material conveyance for accurate alignment of the printing material with the printhead; Print registering
    • B41J11/46Controlling printing material conveyance for accurate alignment of the printing material with the printhead; Print registering by marks or formations on the paper being f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66Applications of cutting devices
    • B41J11/663Controlling cutting, cutting resulting in special shapes of the cutting line, e.g. controlling cutting positions, e.g. for cutting in the immediate vicinity of a printed im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66Applications of cutting devices
    • B41J11/666Cutting partly, e.g. cutting only the uppermost layer of a multiple-layer print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31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32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 B41J2/3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providing current or voltage to the thermal head
    • B41J2/355Control circuits for heating-element selection
    • B41J2/36Print density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0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marking on special material
    • B41J3/4075Tape printers; Label printers

Landscapes

  • Electronic Switches (AREA)
  • Handling Of Sheets (AREA)
  • Impression-Transfer Materials And Handling Thereof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쇄장치 및 인쇄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옐로우, 마젠타, 시안, 오버프린팅의 각 잉크(Y)(M)(C)(OP)가 배치된 잉크리본(R)을 이용하여 테이프(T)에 인쇄하고, 우선 잉크리본(R)의 잉크의 위치를 맞추고 테이프(T)의 인쇄위치를 맞추어서 잉크를 테이프(T)에 전사하며, 이를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의 각 색에 대하여 겹쳐서 실시하고 컬러 인쇄를 하고(스텝 S1∼S9), 컬러인쇄가 종료되면 오버프린팅(OP)의 위치 및 테이프(T)의 위치를 맞춘 후 (S10, S11) 1라인씩 오버프린팅잉크(OP)를 컬러인쇄된 영역에 겹쳐서 인쇄하며 (S12), 테이프(T)의 절단위치가 커터(26a)의 위치에 도달하면(S13) 오버프린팅잉크(OP)에 의한 인쇄 및 테이프(T)의 반송이 정지하고 (S14), 이 상태에서 테이프(T)가 절단되며(S15), 그 후, 오버프린팅잉프(OP)에 의한 인쇄를 컬러인쇄된 영역의 후단까지 실시하고나서(S16∼S18) 테이프(T)를 절단하는 (S19)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인쇄장치 및 인쇄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의 컬러테이프프린터의 전자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제2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의 컬러테이프프린터의 장치본체에 설치된 카세트수용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제3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의 컬러테이프프린터의 카세트수용부에 수용되는 잉크테이프카세트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제4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의 컬러테이프프린터의 잉크테이프카세트에 내장되는 컬러잉크리본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제5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의 컬러테이프프린터에 의한 컬러인쇄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
제6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의 컬러테이프프린터에 의해 화상데이터를 인쇄한 상태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제어부 12 : 키입력부
13 : ROM 14: RAM
15 : CGROM(Character Generater ROM) 16 : 프린터제어부
17 : 헤드드라이버 18 : 서멀헤드
20 : 인쇄헤드 구동모터 21 : 감기축구동모터드라이버
22 : 잉크리본감기축구동모터 22b : 플라텐롤러
24 : 테이프공급축구동모터 25, 26 : 테이프컷구동모터
26a : 커터 27 : 이미지리더
28 : 표시장치 29 : 기록지센서
30 : 마크수계수부 31 : 잉크리본센서
32 : 잉크위치검출부 35 : 배출구
40 : 장치본체 41 : 카세트수용부
42 : 잉크테이프카세트 43 : 테이프공급릴
44 : 잉크리본공급릴 45 : 헤드수용부
47 : 리본감기릴 T : 테이프
R : 잉크리본
본 발명은 인쇄장치 및 인쇄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긴 모양의 기록매체에 잉크를 열전사하는 인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오디오테이프 등의 인덱스라벨, 또는 소지품의 네임라벨 등을 작성하는 장치로서 테이프프린터가 알려져 있다.
테이프프린터는 일반적으로 키보드로부터 입력한 문자나 이미지리더에서 판독한 화상을 서멀헤드를 가열하여 잉크리본에 도포된 잉크를 테이프에 열전사함으로써 인쇄한다. 테이프는 1라인 인쇄될 때마다 차례로 반송되고 테이프배출구를 통하여 테이프프린터의 외부에 배출된다. 테이프프린터는 테이프 배출구에 설치된 커터를 작동시킴으로써 테이프를 소망하는 위치에서 절단한다.
그러나 서멀헤드와 커터의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이 있다. 따라서 인쇄동작 및 테이프의 반송동작의 도중에서 테이프의 절단위치가 커터의 위치가 되는 일이 있다. 이 경우 테이프프린터는 소망하는 위치에서 테이프를 절단하기 위해서는 인쇄동작 및 테이프의 반송동작을 일단 정지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런데 테이프를 절단하기 위해 인쇄동작을 정지하고 있는 사이에 서멀헤드가 방열되어 버린다. 이 때문에 테이프를 절단한 직후의 서멀헤드의 온도는 테이프를 절단하기 전의 온도보다 낮아진다. 서멀헤드의 온도차에 따라서 테이프에 전사되는 잉크의 양은 다르다.
따라서 종래의 테이프프린터는 테이프를 절단함으로써 인쇄의 농도얼룩이 생기고 있었다.
테이프프린터에는 잉크리본에 옐로우, 마젠타, 시안의 각 잉크 (Y)(M)(C)를 보지하고 이들 잉크 (Y)(M)(C)를 겹쳐서 인쇄함으로써 컬러화상을 인쇄할 수 있는 컬러테이프프린터도 있다. 컬러테이프프린터에 있어서는 테이프를 소망하는 위치에서 절단하기 위해 어느 쪽인가의 색의 잉크에 의한 인쇄동작의 사이에 인쇄동작 및 테이프의 반송동작이 정지되게 된다. 따라서 옐로우, 마젠타, 시안의 어느 쪽인가의 잉크에 의한 인쇄에 인쇄의 농도얼룩이 생긴다. 결국 컬러테이프프린터에서도 인쇄의 농도얼룩이 생기는 것은 피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인쇄의 농도얼룩이 생기는 일이 없는 인쇄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관련되는 인쇄장치는,잉크를 보지하는 잉크리본과, 이 잉크리본이 보지하고 있는 잉크로 기록매체에 인쇄하는 인쇄수단과, 상기 잉크리본을 반송하는 제 1 반송수단과, 상기 기록매체를 반송하는 제 2 반송수단과, 상기 기록매체를 절단하는 절단수단과, 상기 인쇄수단, 상기 제 1, 제 2 반송수단 및 상기 절단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제 1 , 제 2 반송수단에 상기 잉크리본 및 상기 기록매체를 동시에 반송시키면서 상기 인쇄수단에 상기 잉크를 상기 기록매체에 전사시키는 인쇄제어수단과, 상기 인쇄제어수단에 의하여 제어된 동작의 종료에 응답하여 상기 인쇄수단의 동작을 정지시키면서 상기 제 2 반송수단에 상기 기록매체의 선단부의 절단위치가 상기 절단수단의 위치가 되기까지 상기 기록매체를 반송시키는 절단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쇄수단은 열전사방식, 특히 승화형 열전사방식에 의해 상기 잉크를 상기 기록매체에 전사하는 것을 가장 적절하게 한다.
이 인쇄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쇄제어수단은 상기 인쇄수단이 상기 기록매체의 소정 범위에 인쇄를 종료하기까지 상기 제 1, 제 2 반송수단에 상기 잉크 리본 및 상기 기록매체를 계속적으로 반송시킨다.
또 상기 제 2 반송수단은 상기 제 1 반송수단이 동작하면 이에 연동하여 동작하는 것이어도 상관없다.
이에 따라 이 인쇄장치에서는 인쇄중에 상기 기록매체의 선단부의 절단위치가 상기 절단수단의 위치에 도달해도 인쇄 및 기록매체의 반송이 중단되지 않는다. 그리고 전체의 인쇄를 종료하고 나서 다시 상기 기록매체의 선단부의 절단위치를 상기 절단수단의 위치에 반송한다. 따라서 인쇄의 도중에서 인쇄수단이 방열하여 온도가 바뀌어 버리는 일이 없기 때문에 잉크의 농도얼룩이 생기지 않는다.
여기에서 상기 기록매체는 위치마크를 갖고, 이 인쇄장치는 또한 상기위치마크를 검지하는 검지수단과, 이 검지수단에서 검지한 위치마크로부터 상기 기록매체의 위치를 판별하는 위치판별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할 수 있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상기 위치마크는 상기 기록매체 반송방향을 따라서 등간격으로 붙여져 있으며, 상기 위치마크판별수단은 상기 위치마크의 수를 계수하는 계수수단을 구비해도 좋다.
상기 절단제어수단은, 또한 상기 기록매체의 상기 선단부의 절단위치가 상기 절단수단의 위치에 반송된 것을 판별하는 판별수단과, 이 판별수단이 상기 기록매체의 상기 선단부의 절단위치가 상기 절단수단의 위치에 반송되었다고 판별했을 때에 상기 절단수단을 동작시키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 상기 절단제어수단은,또한 상기 기록매체의 상기 선단부의 절단위치가 상기 절단수단의 위치에 반송된 것을 판별하는 판별수단과, 상기 절단수단이 작동한 것을 판별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판별수단이 상기 기록매체의 상기 선단부의 절단위치가 상기 절단수단의 위치에 반송된 것을 판별하면, 상기 절단수단이 작동한 것을 판별하기까지 상기 제 2 반송수단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관련되는 인쇄장치는, 화상을 인쇄하기 위한 잉크를 보지하는 잉크영역 및 화상을 인쇄하기 위한 잉크를 보지하고 있지 않은 소정 영역을 규칙적으로 배치한 잉크리본과, 이 잉크리본의 잉크영역의 잉크를 기록매체에 전사하는 인쇄수단과, 상기 잉크리본을 반송하는 제 1 반송수단과, 상기 기록매체를 반송하는 제 2 반송수단과, 상기 기록매체를 절단하는 절단수단과, 상기 인쇄수단, 상기 제 1, 제 2 반송수단 및 상기 절단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제 1, 제 2 반송수단에 상기 잉크영역을 상기 기록매체에 겹쳐서 상기 잉크리본 및 상기 기록매체를 동시에 반송시키면서 상기 인쇄수단에 상기 잉크로 상기 기록매체에 인쇄시키는 인쇄제어수단과, 상기 제 1, 제 2 반송수단에 상기 소정 영역을 상기 기록매체에 겹쳐서 상기 기록매체의 소망하는 절단위치가 상기 절단수단의 위치가 되기까지 상기 잉크리본 및 상기 기록매체를 동시에 반송시키는 절단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쇄수단은 열전사 방식, 특히 승화형 열전사방식에 의해 상기 잉크를 상기 기록매체에 전사하는 것을 가장 적절하게 한다.
이 인쇄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쇄제어수단을 상기 인쇄수단이 상기 잉크로 상기 기록매체의 소정 범위에 인쇄를 종료하기까지 상기 제 1, 제 2 반송수단에 상기 잉크리본 및 상기 기록매체를 계속적으로 반송시킨다.
또 상기 제 2 반송수단은 상기 제 1 반송수단이 동작하면 이에 연동하여 동작하는 것이어도 상관 없다.
이에 따라 이 인쇄장치에서는 잉크영역의 잉크를 인쇄하고 있을 때에 상기 기록매체의 절단해야 할 선단부의 절단위치가 상기 절단수단의 위치에 도달해도 인쇄 및 기록매체의 반송이 중단되지 않는다. 그리고 전체의 인쇄를 종료하고나서 다시 상기 기록매체의 절단해야 할 선단부의 절단위치를 상기 절단수단의 위치에 반송한다. 따라서 인쇄의 도중에서 인쇄수단이 방열하여 온도가 바뀌어 버리는 일이 없기 때문에 잉크의 농도얼룩이 생기지 않는다.
여기에서 상기 기록매체는 위치마크를 갖고, 이 인쇄장치는 또한 상기 위치마크를 검지하는 검지수단과, 이 검지수단에서 검지한 위치마크로부터 상기 기록매체의 위치를 판별하는 위치판별수단을 구비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상기 위치마크는 상기 기록매체반송방향을 따라서 등간격으로 붙여져 있으며, 상기 위치마크판별수단은 상기 위치마크의 수를 계수하는 계수 수단을 구비해도 좋다.
상기 절단제어수단은, 또한 상기 기록매체의 상기 선단부의 절단위치가 상기 절단수단의 위치에 반송된 것을 판별하는 판별수단과, 이 판별수단이 상기 기록매체의 상기 선단부의 절단위치가 상기 절단수단의 위치에 반송되었다고 판별했을 때에 상기 절단수단을 동작시키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 상기 절단제어수단은, 또한 상기 기록매체의 상기 선단부의 절단위치가 상기 절단수단의 위치에 반송된 것을 판별하는 판별수단과, 상기 절단수단이 작동한 것을 판별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판별수단이 상기 기록매체의 상기 선단부의 절단위치가 상기 절단수단의 위치에 반송된 것을 판별하면, 상기 절단수단이 작동한 것을 판별하기까지 상기 제 2 반송수단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이 제 2 관점에 관련되는 인쇄장치에서는 상기 소정 영역은 기록매체의 상기 잉크에 의한 인쇄면을 보호하는 보호층을 형성하기 위한 보호제를 보지하는 보호층영역이며, 상기 인쇄수단은 상기 보호층영역을 상기 기록매체에 겹쳐서 반송할 때에 상기 잉크영역의 잉크가 인쇄된 상기 기록매체의 위에 보호제를 전사하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또 상기 잉크 영역은 규칙적으로 배치된 복수색의 잉크를 보지하는 영역으로 함으로써 컬러인쇄를 할 수 있다.
또 상기 목적달성을 위해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관련되는 인쇄방법은, 기록매체를 반송하면서 화상을 인쇄하고, 이 기록매체의 선단부를 소망하는 위치에서 절단하는 절단장치를 구비한 인쇄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의 소정 영역에 화상을 인쇄하는 것을 종료하기까지는 상기 기록매체의 상기 소망하는 위치가 상기 절단장치의 위치에 도달해도 상기 기록매체의 반송을 중단시키지 않고 상기 기록매체에 화상을 인쇄하고, 상기 기록매체의 소정 영역에 화상을 인쇄하는 것을 종료하고 나서 상기 소망하는 위치가 상기 절단장치의 위치가 되기까지 상기 기록매체를 반송하고, 상기 기록매체의 반송이 정지하고 나서 상기 절단장치가 상기 기록매체를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인쇄방법은 열전사 방식, 특히 승화형 열전사 방식에 의해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장치에 적용하는 것에 가장 적합하다.
또 본 발명의 제 4 관점에 관련되는 잉크카세트는, 열전사방식에 의해 화상을 인쇄하기 위한 잉크를 보지하는 잉크영역과 잉크를 보지하고 있지 않은 소정 영역을 규칙적으로 배치한 잉크리본이 감겨지고, 이 잉므리본을 송출하는 리본공급릴과, 잉크리본을 감은 리본감기릴과, 긴 모양의 기록매체가 감겨지고, 이 기록매체를 송출하는 기록매체공급릴과, 상기 잉크공급릴, 상기 잉크감기릴 및 상기 기록매체공급릴을 수납한 카세트케이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인 승화형 열전사방식의 컬러테이프프린터의 전자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 컬러테이프프린터의 전자회로는 CPU에 의해 구성되는 제어부(11)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부(11)는 테이프프린터의 전원이 ON되면 ROM(13)에 미리 기억되어 있는 시스템프로그램을 가동한다. 제어부(11)는 이 시스템프로그램에 따라서 이 컬러테이프프린터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1)에는 키입력부(12), ROM(13), RAM(14), CGROM(Character Generater ROM)(15), 프린터제어부(16), 이미지리더(27), 표시장치(28), 마크수검출부(30) 및 잉크위치검출부(32)가 접속되어 있다.
키입력부(12)는 문자입력용 키군, 실행키, 인쇄키, 펑션키 등을 구비하고 있다. 문자입력용 키군은 문자키, 숫자키, 기호키로 구성된다. 텍스트데이터가 되는 문자열은 문자입력용 키군으로부터 입력된다. 각종 입력데이터의 확정, 선택데이터의 확정, 설정기능의 개시는 실행키로부터 지시된다. 키입력된 텍스트데이터나 이미지 입력된 화상데이터의 인쇄는 인쇄키로부터 지시된다. 또 후술하는 선단여백부 및 후단여백부의 길이의 설정은 펑션키 및 숫자키의 조작에 의하여 실시한다.
ROM(13)은 텍스트데이터나 이미지데이터의 입력을 제어하는 프로그램, 인쇄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 테이프 및 잉크리본의 반송을 제어하는 프로그램 등의 제어부(11)가 실행하는 시스템프로그램을 미리 기억하고 있다.
RAM(14)은 입력버퍼, 화상 메모리 및 인쇄버퍼 등을 구비하고 있다. 입력버퍼는 키입력부(12)로부터 입력된 텍스트데이터를 기억한다. 화상메모리는 이미지리더(27)로부터 입력된 화상데이터를 기억한다. 인쇄버퍼는 화상메모리에 기억된 화상데이터나 CGROM(15)을 기초로 하여 텍스트데이터의 도트패턴을 전개한다.
또 RAM(14)은 제어부(11)의 작업영역으로서 사용된다. 이 작업영역에는 예를 들면 후술하는 선단여백부 및 후단여백부의 길이, 테이프의 위치 등의 데이터가 일시 기억된다.
CGROM(15)은 키입력부(12)에 의해 입력 가능한 모든 문자·숫자·기호 코드에 대응하는 패턴데이터를 미리 기억하고 있다.
프린터제어부(16)에는 서멀헤드(18)에 통전하여 가열하기 위한 헤드드라이버(17), 인쇄헤드구동모터(20)를 구동하기 위한 헤드구동모터드라이버(19), 플라텐 및 잉크리본감기축구동모터(22)를 구동하기 위한 감기축구동모터드라 이버(21), 테이프공급구동모터(24)를 구동하기 위한 공급축구동모터드라이버 및 테이프커터구동모터(26)를 구동하기 위한 커터구동모터드라이버(25)가 접속되어 있다. 제어부(11)는 프린터제어부(16)를 통하여 각 드라이버(17)(19)(21)(23) (25)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서멀헤드(18), 인쇄헤드구동모터(20), 플라텐 및 잉크리본감기축구동모터(22), 테이프공급축구동모터(24), 테이프커터구동모터(25)의 동작이 제어된다.
이미지리더(27)는 스캐너로 판독한 화상을 이미지데이터로서 입력한다. 표시장치(28)는 키입력부(12)로부터 입력된 문자, 기호를 표시하거나 인쇄버퍼에 전개된 도트패턴을 기초로 하여 인쇄하는 화상을 이미지표시한다.
마크수계수부(30)에는 기록지센서(29)가 접속되어 있다. 기록기센서(29)는 반사형의 광센서이다. 기록지센서(29)는 테이프에 붙여진 위치마크를 검지하여 위치검지신호를 출력한다. 마크수계수부(30)는 위치검출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카운트(업)하는 카운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마크수계수부(30)는 테이프가 반송방향을 바꿀 때에 계수한 값이 클리어된다. 마크수계수부(30)가 계수한 위치검출신호의 수는 테이프의 위치데이터로서 제어부(11)에 입력되고 RAM(14)에 기억된다. 또한 위치마크는 테이프의 안쪽의 박리지에 테이프의 반송방향(인쇄시에 테이프가 반송되는 방향, 즉 컬러테이프프린터의 내부로부터 외부를 향하는 방향을 말한다. 이하 같음)을 따라서 붙여져 있다.
잉크위치검출부(32)에는 잉크리본센서(31)가 접속되어 있다. 잉크리본센서(31)는 잉크리본에 붙여진 경계검지마크를 광검지하여 잉크위치검지신호를 출력한다. 잉크리본센서(31)로부터 출력된 잉크위치검지신호는 잉크위치검출부(32)에 입력된다. 잉크위치검출부(32)는 잉크위치검지신호에 따라서 잉크리본의 각 잉크의 위치를 검출한다. 잉크위치검출부(32)가 검출한 잉크위치신호는 제어부(11)에 입력된다. 또한 경계검지마크는 옐로우잉크, 마젠타잉크, 시안잉크 및 오버프린팅잉크가 붙여진 영역의 경계에 설치되어 있다.
이 테이프 프린터에 있어서는 화상이 인쇄되는 영역의 전후에 이 실시형태의 설명중에서 선단여백부 및 후단여백부라 부르는 임의의 길이의 여백을 테이프에 설정할 수 있다. 이 여백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우선 키입력부(12)의 펑션키를 조작하여 여백설정의 모드로 한다. 이 모드가 되면 표시장치(28)에는 「선단여백부의 길이는?」의 메시지가 표시된다. 이 후 숫자키로부터 소망하는 길이를 입력하고 실행키로부터 입력한 길이의 확정을 지시함으로써 선단여백부의 길이가 설정된다. 후단여백부의 길이도 똑같이 설정된다. 선단여백부 및 후단여백부의 길이가 설정되면 제어부(11)는 설정한 선단여백부 및 후단여백부의 각각의 길이에 들어가는 위치마크의 수를 계산한다. 이 계산은 입력된 길이에 소정의 계수를 걸면 좋다. 제어부(11)가 계산한 선단여백부 및 후단여백부의 길이에 들어가는 위치마크의 수는 RAM(14)내에 기억된다. 또한 이 테이프프린터에 있어서, 선단여백부 및 후단여백부의 길이는 사용자가 설정을 실시하지 않는 경우는 자동적으로 "0"으로 설정된다.
제 2 도는 상기 컬러테이프프린터의 장치본체(40)에 설치된 카세트수용부 (41)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2 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카세트수용부(41)는, 서로 대치하여 설치된 서멀헤드(18)와 플라텐롤러(22b), 잉크리본을 반송하기 위한 잉크리본감기축(2 2a), 테이프를 반송하기 위한 테이프공급축(24a), 테이프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기록지센서(29), 컬러잉크리본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잉크리본센서(31), 테이프를 이 테이프프린터의 외부에 배출하는 테이프배출구(35), 테이프를 소정의 위치에서 절단하기 위한 테이프 배출구(35)에 설치된 커터(26a)를 구비하고 있다.
서멀헤드(18)는 인쇄헤드구동모터(20)가 구동기구(도시하지 않음)를 구동함으로써 제 2 도의 화살표시(X)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서멀헤드(18)는 제어부(11)가 프린터제어부(16)를 통하여 헤드구동모터드라이버(19)를 제어함으로써 플라텐롤러(22b)에 압입접합되도 필요에 따라서 플라텐롤러(22b)로부터 떨어진다. 서멀헤드(18)는 그 발열체(도시하지 않음)를 가열하고 잉크리본이 보지하는 잉크를 승화시킴으로써 테이프에 전사한다. 이 서멀헤드(18)는 프린터 제어부(16) 및 헤드드라이버(17)를 통하여 제어부(11)에 의하여 제어된다.
잉크리본감기축(22a) 및 플라텐롤러(22b)는 함께 플라텐 및 잉크리본감기축구동모터(22)가 전달기구(도시하지 않음)를 구동함으로써 잉크리본 및 테이프의 반송방향으로 회전한다. 또 테이프공급축(24a)은 테이프공급구동모터(24)가 전달기구(도시하지 않음)를 구동함으로써 테이프의 반송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한다.
커터(26a)는 테이프커터구동모터(26)의 구동기구(도시하지 않음)를 구동함으로써 작동하고 테이프를 절단한다. 여기에서 제 2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멀헤드(18)의잉크의 전사위치와 커터(26a)의 위치의 사이의 거리를 L로 정한다.
제 3 도는 카세트수용부(41)에 수용되는 잉크테이프카세트(42)의 구성을 나타낸다.
제 3 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잉크테이프카세트(42)는 헤드수용부(45) 및 창(31a)을 구비하고 있다. 또 잉크테이프카세트(42)내에는 테이프공급릴(43), 잉크리본공급릴(44), 리본감기릴(47)이 설치되어 있다. 테이프공급릴(43), 잉크리본공급릴(44), 리본감기릴(47)은 각각 회전 자유롭게 되어 있다.
테이프공급릴(43)에는 테이프(T)가 감겨져 있다. 잉크리본공급릴(44)에는 잉크리본(R)이 감겨져 있다. 테이프공급릴(43)은 테이프공급축(24a)에 끼워붙여져 있다. 리본감기릴(47)은 잉크리본감기축(22a)에 끼워붙여져 있다.
헤드수용부(45)는 카세트(42)의 본체를 절개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여기에 서멀헤드(18)가 삽입된다. 테이프(T) 및 잉크리본(R)은 잉크리본(R)이 서멀인쇄헤드(18)에 면하도록 서로 겹쳐져서 헤드수용부(45)를 통과한다.
잉크리본센서(31)는 창(31a)을 통하여 잉크리본(R)의 경계검지마크를 광검지한다.
잉크리본(R)은 제 4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방향(Q)을 따라서 옐로우잉크(Y), 마젠타잉크(M), 시안잉크(C) 및 오버프린팅잉크(OP)가 반복하여 배치되어 있다. 옐로우(Y), 마젠타잉크(M), 시안잉크는 서멀헤드(18)로부터 열을 가함으로써 승화하고 테이프에 전사된다. 오버프린팅잉크(OP)는 투명한 열용융성의 수지에 의하여 구성된다. 오버프린팅잉크(OP)는 서멀헤드(18)로부터 열을 가함으로써 용융되고 옐로우 잉크(Y), 마젠타 잉크(M), 시안잉크(C)에 의해 인쇄한 화상을 보호하는 보호층을 형성한다. 각 잉크(Y, M, C, OP)는 어느 쪽이나 테이프(T)의 1인쇄범위(d)와 동일한 길이이다. 각 색의 잉크의 경계에는 각 색의 잉크의 위치를 잉크리본센서(31)에 의해 검지하기 위한 경계검지마크(m1∼m4)가 배치되어 있다.
테이프(T)는 그 테이프기록면의 안쪽면에 접착제가 도포되고 박리지가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 박리지의 안쪽면에는 기록지센서(29)에 의해 검지되는 위치마크가 붙여져 있다. 이 위치마크는 테이프(T)의 반송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붙인 흑색의 라인에 의해 이루어진다. 기록지센서(29)는 이 위치마크에 의하여 빛이 반사되지 않는 것을 검지했을 때에 위치검출 신호를 출력한다.
다음으로 상기 컬러테이프프린터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5 도는 상기 컬러테이프프린터에 의한 컬러인쇄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 컬러테이프프린터가 인쇄를 개시할 때에는 테이프(T)의 선단은 전회의 인쇄에 의한 테이프절단위치인 커터(26a)의 위치에 있다.
인쇄를 개시하기 전에 사용자는 미리 선단여백부 및 후단여백부의 길이를 키입력부(12)로부터 입력하여 설정해 둔다. 제어부(11)는 설정한 선단여백부 및 후단여백부의 길이에 들어가는 테이프(T)의 위치마크의 수를 구하고 RAM(14)에 기억해 둔다. 또 제어부(11)는 서멀헤드(18)의 전사위치로부터 커터(26a)의 위치까지의 길이(L)에 들어가는 테이프(T)의 위치마크의 수도 구하고 RAM(14)에 기억해 둔다. 원래 길이(L)는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길이(L)에 들어가는 테이프(T)의 위치마크의 수는 ROM에 기억해 두어도 좋다.
이 흐름도의 처리는 예를 들면 키입력부(12)의 인쇄키로부터 인쇄의 개시를 지시함으로써 개시한다.
처리가 개시되면 잉크리본(R)은 옐로우잉크(Y)의 선두위치가 서멀헤드(18)의 전사위치에 대응하는 위치가 되기까지 반송방향(Q)으로 반송된다.
잉크리본(R)은 잉크리본감기축(22a)이 회전함으로써 잉크리본감기축(22a)을 향하여 반송된다. 제어부(11)는 잉크리본센서(31)가 검지한 경계검지마크(ml)를 기초로 하여 잉크리본(R)의 위치를 판단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1)는 잉크리본(R)의 반송을 제어한다. 이때 서멀헤드(18)가 플라텐롤러(22b)에 눌러진 상태에서 플라텐롤러(22b) 및 리본감기축(22a)이 회전한다. 이 때문에 테이프(T)도 잉크리본(R)과 동일거리만큼 반송방향으로 반송된다. 이 때 마크계수부(30)는 기록지센서(29)가 검지한 위치마크를 계수하고 있다. 여기에서 계수한 마크수는 테이프(T)의 반송거리정보로서 RAM(14)의 레지스터에 일시 기억된다(스텝S1).
스텝S1의 처리에 의해 테이프(T)의 선단은 잉크리본(R)의 잉크의 위치맞춤을 한 거리만큼 커터(26a)의 위치보다도 외측에 있다. 그래서 테이프(T)의 선단을 초기위치인 커터(26a)의 위치까지 반송하고 테이프(T)의 위치맞춤을 한다.
서멀헤드(18)를 플라텐롤러(22b)로부터 떼어내고 플라텐롤러(22b) 및 리본감기축(22a)이 정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테이프공급축(24a)을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테이프(T)는 반송방향과 역방향으로 반송된다. 제어부(11)는 테이프(T)의 위치를 판단하고 반송을 제어한다. 테이프(T)의 위치는 마크계수부(30)가 계수한 테이프(T)의 위치마크의 수에 의해 판단된다. 여기에서 계수한 위치마크의 수가 스텝S1에서 계수한 위차마크의 수와 같아진 지점에서 테이프공급축구동모터(24)가 정지한다(스텝S2).
상기 스텝S1, S2의 처리가 되고 있는 사이에 제어부(11)는 RAM(14)내의 인쇄버퍼에 옐로우잉크(Y)로 인쇄하는 화상을 전개한다.
스텝S2의 처리를 종료하면 제어부(11)는 프린트제어부(16) 및 헤드구동드라이버(19)를 통하여 인쇄헤드구동모터(20)를 구동하고 서멀헤드(18)를 플라텐롤러(22b)의 방향으로 밀어낸다. 이에 따라 잉크리본(R) 및 테이프(T)가 압입접합상태로 세트된다.
이 상태에서 제어부(11)는 RAM(14)내의 인쇄버퍼로부터 판독된 화상데이터에 따라서 프린터제어부(16) 및 헤드드라이버(17)를 통하여 서멀헤드(18)를 가열한다. 이와 함께 플라텐 및 잉크리본감기축구동모터(22)를 구동함으로써 잉크리본(R) 및 테이프(T)가 반송방향(Q)으로 반송된다. 이에 따라 인쇄버퍼에 전개된 옐로우의 화상데이터가 테이프(T)에 전사된다. 여기에서 테이프(T)를 반송할 때 마크수계수부(30)는 기록지센서(29)가 검지한 테이프(T)의 위치마크수를 계수한다. 그 수는 테이프(T)의 반송거리정보로서 RAM(14)에 기억된다(스텝S3).
이렇게 하여 옐로우잉크(Y)(1색째)에 의한 인쇄가 종료되면 잉크리본(R)은 마젠타잉크(M)의 선두위치가 서멀헤드(18)의 전사위치에 대응하는 위치가 되기까지 반송방향(Q)으로 반송된다.
잉크리본(R)은 잉크리본감기축(22a)이 회전함으로써 잉크리본감기축(22a)의 방향으로 반송된다. 제어부(11)는 잉크리본센서(31)가 검지한 경계검지마크 (m2)를 기초로 하여 잉크리본(R)의 위치를 판단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1)는 잉크리본(R)의 반송을 제어한다. 이 때 서멀헤드(18)가 플라텐롤러(22b)에 눌러진 상태로 플라텐롤러(22b) 및 리본감기축(22a)이 회전한다. 이 때문에 테이프(T)도 잉크리본(R)과 동일거리만큼 반송방향으로 반송된다. 이 때 마크수계수부(30)는 기록지센서(29)가 검지한 위치마크를 계수하고 있다. 여기에서 계수한 마크수는 스텝S3에서 계수한 마크수에 누계하여 RAM(14)의 레지스터에 일시 기억된다(스텝S4).
스텝S4의 처리에 의해 테이프(T)의 선단은 잉크리본(R)의 잉크의 위치맞춤을 한 거리만큼 커터(26a)의 위치보다도 외측에 있다. 그래서 테이프(T)의 선단을 초기위치인 커터(26a)의 위치까지 반송하고 테이프(T)의 위치맞춤을 한다.
서멀헤드(18)를 플라텐롤러(22b)로부터 떼어내고 플라텐롤러(22b) 및 리본감기축(22a)이 정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테이프공급축(24a)을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테이프(T)는 반송방향과 역방향으로 반송된다. 제어부(11)는 테이프(T)의 위치를 판단하고 반송을 제어한다. 테이프(T)의 위치는 마크수계수부(30)가 계수한 테이프(T)의 위치마크의 수에 의해 판단된다. 여기에서 계수한 위치마크의 수가 스텝S3 및 S4에서 누계한 위치마크수와 같아진 지점에서 테이프공급축구동모터(24)가 정지한다(스텝S5).
상기 스텝S4, S5의 처리가 되어 있는 사이에 제어부(11)는 RAM(14)내의 인쇄버퍼에 마젠타잉크(M)로 인쇄하는 화상을 전개한다.
스텝S5의 처리를 종료하면 제어부(11)는 프린터제어부(16) 및 헤드구동드라이버(19)를 통하여 인쇄헤드구동모터(20)를 구동하고 서멀헤드(18)를 플라텐롤러(22b)의 방향으로 밀어낸다. 이에 따라 잉크리본(R) 및 테이프(T)가 압입접합상태로 세트된다.
이 상태에서 제어부(11)는 RAM(14)내의 인쇄버퍼로부터 판독된 화상데이터에 따라서 프린터제어부(16) 및 헤드드라이버(17)를 통하여 서멀헤드(18)를 가열한다. 이와 함께 플라텐 및 잉크리본감기축구동모터(22)를 구동함으로써 잉크리본(R) 및 테이프(T)가 반송방향(Q)으로 반송된다. 이에 따라 인쇄버퍼에 전개된 마젠타의 화상데이터가 테이프(T)에 전사된다. 여기에서 테이프(T)를 반송할 때 마크수계수부(30)는 기록지센서(29)가 검지한 테이프(T)의 위치마크수를 계수한다. 그 수는 테이프(T)의 반송거리정보로서 RAM(14)에 기억된다(스텝S6).
이렇게 하여 옐로우, 마젠타잉크(Y, M)에 의한 인쇄가 종료되면 잉크리본(R)은 시안잉크(C)의 선두위치가 서멀헤드(18)의 전사위치가 되기까지 반송방향으로 반송된다.
잉크리본(R)은 잉크리본감기축(22a)이 회전함으로써 잉크리본감기축(22a)의 방향으로 반송된다. 제어부(11)는 잉크리본센서(31)가 검지한 경계검지마크(m3)를 기초로 하여 잉크리본(R)의 위치를 판단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1)는 잉크리본(R)의 반송을 제어한다. 이 때 서멀헤드(18)가 플라텐롤러(22b)에 눌러진 상태에서 플라텐롤러(22b) 및 리본감기축(22a)이 회전한다. 이 때문에 테이프(T)도 잉크리본(R)과 동일거리만큼 반송방향으로 반송된다. 이 때 마크수계수부(30)는 기록지센서(29)가 검지한 위치마크를 계수하고 있다. 여기에서 계수한 마크수는 스텝S6에서 계수한 마크수에 누계하여 RAM(14)의 레지스터에 일시 기억된다(스텝S7).
스텝S7의 처리에 의해 테이프(T)의 선단은 잉크리본(R)의 잉크의 위치맞춤을 한 거리만큼 커터(26a)의 위치보다도 외측에 있다. 그래서 테이프(T)의 선단을 초기위치인 커터(26a)의 위치까지 반송하고 테이프(T)의 위치맞춤을 한다.
서멀헤드(18)를 플라텐롤러(22b)로부터 떼어내고 플라텐롤러(22b) 및 리본감기축(22a)이 정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테이프공급축(24a)을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테이프(T)는 반송방향과 역방향으로 반송된다. 제어부(11)는 테이프(T)의 위치를 판단하고 반송을 제어한다. 테이프(T)의 위치는 마크수계수부(30)가 계수한 테이프(T)의 위치마크의 수에 의해 판단된다. 여기에서 계수한 위치마크의 수가 스텝S6 및 S7에서 누계한 위치마크수와 같아진 지점에서 테이프공급축구동모터(24)가 정지한다(스텝S8).
상기 스텝S7, S8의 처리가 되어 있는 사이에 제어부(11)는 RAM(14)내의 인쇄버퍼에 시안잉크(C)로 인쇄하는 화상을 전개하고 있다.
스텝S8의 처리를 종료하면 제어부(11)는 프린터제어부(16) 및 헤드구동드라이버(19)를 통하여 인쇄헤드구동모터(20)를 구동하고 서멀헤드(18)를 플라텐롤러(22b)의 방향으로 밀어낸다. 이에 따라 잉크리본(R) 및 테이프(T)가 압입접합상태로 세트된다.
이 상태에서 제어부(11)는 RAM(14)내의 인쇄버퍼로부터 판독된 화상데이터에 따라서 프린터제어부(16) 및 헤드드라이버(17)를 통하여 서멀헤드(18)를 가열한다. 이와 함께 플라텐 및 잉크리본감기축구동모터(22)를 구동함으로써 잉크리본(R) 및 테이프(T)가 반송방향(Q)으로 반송된다. 이에 따라 인쇄버퍼에 전개된 시안의 화상데이터가 테이프(T)에 전사된다. 여기에서 테이프(T)를 반송할 때 마크수계수부(30)는 기록지센서(29)가 검지한 테이프(T)의 위치마크수를계수한다. 그 수는 테이프(T)의 반송거리정보로서 RAM(14)에 기억된다(스텝S9).
이렇게 하여 옐로우, 마젠타, 시안의 각 잉크(Y)(M)(C)에 의한 인쇄가 종료되면 잉트리본(R)은 오버프린팅(OP)의 선두위치가 서멀헤드(18)의 전사위치에 대응하는 위치가 되기까지 반송방향(Q)으로 반송된다.
잉크리본(R)은 잉크리본감기축(22a)이 회전함으로써 잉크리본감기축(22a)의 방향으로 반송된다. 제어부(11)는 잉크리본센서(31)가 검지한 경계검지 마크(m4)를 기초로 하여 잉크리본(R)의 위치를 판단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1)는 잉크리본(R)의 반송을 제어한다. 이 때 서멀헤드(18)가 플라텐롤 러(22b)에 눌러진 상태에서 플라텐롤러(22b) 및 리본감기축(22a)이 회전한다. 이 때문에 테이프(T)도 잉크리본(R)과 동일거리만큼 반송방향으로 반송된다. 이 때 마크수계수부(30)는 기록지센서(29)가 검지한 위치마크를 계수하고 있다. 여기에서 계수한 마크수는 스텝S9에서 계수한 마크수에 누계하여 RAM(14)의 레지스터에 일시 기억된다(스텝S10).
스텝S10의 처리에 의해 테이프(T)의 선단은 잉크리본(R)의 잉크의 위치맞춤을 한 거리만큼 커터(26a)의 위치보다도 외측에 있다. 그래서 테이프(T)의 선단을 초기위치인 커터(26a)의 위치까지 반송하고 테이프(T)의 위치맞춤을 한다.
서멀헤드(18)를 플라텐롤러(22b)로부터 떼어내고 플라텐롤러(22b) 및 리본감기축(22a)이 정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테이프공급축(24a)을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테이프(T)는 반송방향과 역방향으로 반송된다. 제어부(11)는 테이프(T)의 위치를 판단하고 반송을 제어한다. 테이프(T)의 위치는 마크수계수부(30)가 계수한 테이프(T)의 위치마크의 수에 의해 판단된다. 여기에서 계수한 위치마크의 수가 스텝S9 및 S10에서 누계한 위치마크수와 같아진 지점에서 테이프공급축구동모터(24)가 정지한다(스텝S11).
스텝S11의 처리를 종료하면 제어부(11)는 프린터제어부(16) 및 헤드구동드라이버(19)를 통하여 인쇄헤드구동모터(20)를 구동하고 서멀헤드(18)를 플라텐롤러(22b)의 방향으로 밀어낸다. 이에 따라 잉크리본(R) 및 테이프(T)가 압입접합상태로 세트된다.
이 상태에서 제어부(11)는 프린터제어부(16) 및 헤드드라이버(17)를 통하여 서멀헤드(18)를 가열한다. 이와 함께 플라텐 및 잉크리본감기축구동모터(22)를 구동함으로써 잉크리본(R) 및 테이프(T)가 반송방향(Q)으로 반송된다. 이에 따라 옐로우, 마젠타, 시안의 각 잉크(Y)(M)(C)에 겹쳐서 오버프린팅잉크(OP)가 테이프(T)에 전사된다.
테이프(T)를 반송할 때 마크수계수부(30)는 기록지센서(29)에서 검지한 테이프(T)의 위치마크수를 계수하고 있다(스텝S12).
오버프린팅잉크(OP)의 전사가 1라인분 종료할 때마다 제어부(11)는 테이프(T)의 선단부의 절단위치가 커터(26a)의 위치에 있는지 없는지를 판정한다. 이 판정은 RAM(14)에 기억된 서멀헤드(18)의 전사위치 및 커터(26a)의 사이의 거리(L)가 들어가는 위치마크의 수로부터 RAM(14)에 기억된 선단여백부분의 위치마크의 수 및 스텝S12에서 계수한 위치마크의 수를 뺀 값이 0이 됨으로써 판단할 수 있다(스텝S13).
스텝S13에서 테이프(T)의 선단부의 절단위치가 커터(26a)의 위치에 없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스텝S12로 되돌아가고 다음 라인의 인쇄를 실시한다.
스텝S13에서 테이프(T)의 선단부의 절단위치가 커터(26a)의 위치에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제어부(11)는 프린터제어부(16) 및 헤드드라이버(17)를 통하여 서멀헤드(18)의 가열을 정지한다. 이와 함께 제어부(11)는 프린터제어부(16) 및 감기축구동모터드라이버(21)를 통하여 플라텐 및 잉크리본감기축구동모터(22)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이에 따라 테이프(T)에 대한 오버프린팅잉크의 전사 및 잉크리본(R) 및 테이프(T)의 반송이 정지한다(스텝S14).
다음으로 제어부(11)는 프린터제어부(16) 및 커터구동모터드라이버(25)를 통하여 테이프커터구동모터(26)를 구동하여 커터(26a)를 작동시킨다. 이에 따라 테이프(T)의 선단불필요부가 분리된다(스텝S15).
스텝S15에서 테이프(T)의 산단불필요부가 분리되면 제어부(11)는 프린터제어부(16) 및 헤드드라이버(17)를 통하여 서멀헤드(18)를 가열하고 오버프린팅잉크의 인쇄를 재개한다. 이와 함께 제어부(11)는 프린터제어부(16) 및 감기축모터드라이버(21)를 통하여 플라텐/잉크리본감기축구동모터(22)를 구동하고 컬러잉크리본 및 테이프(T)의 반송을 재개한다.
테이프(T)를 반송할 때 마크계수부(30)는 기록지센서(29)에서 검지한 테이프(T)의 위치마크수를 계수하고 있다(스텝S16).
오버프린팅잉크(OP)에 의한 인쇄가 1라인분 종료할 때마다 제어부(11)는 오버프린팅잉크(OP)에 읜한 인쇄가 최종라인의 인쇄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스텝S17).
스텝S17에서 최종라인의 인쇄가 아니라고 판정한 경우에는 스텝 S16으로 되돌아가고 다음 라인의 인쇄를 실시한다.
스텝S17에서 최종라인의 인쇄라고 판정한 경우는 제어부(11)는 프린터 제어부(16) 및 헤드드라이버(17)를 통하여 서멀헤드(18)의 가열을 정지한다. 이에 따라 오버프린팅 잉크(OP)의 인쇄가 정지한다(스 텝S18).
스텝S18에서 오버프린팅잉크(OP)의 인쇄가 정지하면 제어부(11)는 프린터제어부(16) 및 감기축구동모터드라이버(21)를 통하여 플라텐 및 잉크리본감기축모터(22)를 구동하여 테이프(T)의 후단의 절단위치가 커터(26a)의 위치가 되기까지 테이프(T)를 반송한다. 이 반송거리는 마크수계수부(30)가 서멀헤드(18)로부터 커터(26a)의 사이의 거리(L)가 들어가는 위치마크의 수로부터 RAM(14)에 기억된 선단여백부의 위치마크의 수를 더한 값을 계수함으로써 판별할 수 있다. 테이프(T)의 후단부의 절단위치가 커터(26a)의 위치까지 전진하면 제어부(11)는 프린터제어부(16) 및 감기축구동모터드라이버(21)를 통하여 플라텐 및 잉크리본감기축구동모터(22)의 구동을 정지한다. 그리고 제어부(11)는 프린터제어부(16) 및 커터구동모터드라이버(25)를 통하여 커터구동모터(26)를 구동하고 커터(26a)를 작동시킨다. 이에 따라 테이프(T)의 인쇄완료부분이 잘라내어진다(스텝S19).
이 컬러프린터에 있어서의 처리를 구체예를 들어서 설명한다.
제 6 도는 이 컬러테이프프린터에 의해 화상데이터를 인쇄한 상태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도면은 이미지리더(27)에서 판독한 화상을 테이프(T)에 인쇄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예에서는 인쇄영역(D)에 선단여백부 및 후단여백부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즉 선단여백부 및 후단여백부의 길이는 어느 쪽이나 0으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선단불필요부(T1)의 길이는 서멀헤드(18)의 인쇄부분과 커터(26a)의 사이의 거리(L)와 동등하다.
이 예에 있어서, 상기 스텝 S1∼S9의 처리에서 옐로우, 마젠타, 시안의 각 잉크(Y)(M)(C)에 의한 인쇄가 된 후 스텝 S10, S11의 처리에서 오버프린팅잉크(OP) 및 테이프(T)의 위치가 맞추어진다.
다음으로 스텝S12, S13의 처리에서 오버프린팅잉크(OP)를 인쇄해 간다. 테이프(T)의 선단불필요부(T1)의 후단(인쇄범위(D)의 선단)(P1)이 커터(26a)의 위치에 도달했을 때, 즉 마크수계수부(30)의 계수한 위치마크의 수가 길이(L)의 사이에 들어가는 위치마크의 수와 동등해졌을 때 스텝S14의 처리에서 인쇄 및 반송이 정지한다. 그리고 스텝S15의 처리에서 커터(26a)는 선단불필요부(T1)를 분리한다.
선단불필요부(T1)가 잘라내어지면 스텝S16, 17의 오버프린팅잉크(OP)에 의한 인쇄가 재개된다. 테이프(T)의 인쇄범위(D)의 후단(P2)까지 오버프린팅잉크(OP)에 의한 인쇄가 종료되면 스텝S18의 처리에서 테이프(T)의 인쇄가 정지된다. 인쇄가 종료된 후에도 테이프(T)의 반송은 계속된다. 테이프(T)의 인쇄범위(D)의 후단(P2)이 커터(26a)의 위치에 도달했을 때 테이프(T)의 반송도 정지한다. 그리고 스텝S19에서 커터(26a)는 테이프(T)의 인쇄완료범위(T2)를 잘라낸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컬러테이프프린터에 따르면 표면오버프린팅잉크(OP)에 의한 인쇄시에 테이프의 절단을 실시하기 때문에 옐로우, 마젠타, 시안의 각 잉크(Y)(M)(C)에 의한 인쇄동작이 중단되지 않는다. 따라서 서멀헤드(18)가 옐로우, 마젠타, 시안의 각 잉크(Y)(M)(C)에 의한 인쇄 도중에서 방열되지 않고 잉크의 농도얼룩이 생기지 않는다.
또한 인쇄동작의 도중에서 테이프(T)의 절단을 하기 때문에 고속으로 인쇄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잉크리본(R)에 등간격으로 배치된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의 잉크를 감법혼색(減法混色) 의 방법에 의해 테이프(T)에 컬러인쇄를 하고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의 잉크에 흑잉크를 덧붙인 4색의 잉크리본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 흑잉크만으로 흑백인쇄하는 잉크리본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 임의의 1색의 컬러잉크만을 보지하는 잉크리본을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오버프린팅잉크(OP)는 투명한 열용융성의 수지에 의해 구성되어 있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버프린팅잉크(OP)에는 예를 들면 안료 또는 염료를 포함하지 않는 잉크의 기제를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잉크리본(R)에 오버프린팅잉크(OP)의 영역을 설치하고 오버프린팅잉크(OP)에 의한 인쇄를 할 때에 인쇄동작 및 반송동작이 정지하여 테이프(T)의 절단을 하고 있었다. 그러나 오버프린팅잉크(OP)의 영역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잉크리본이어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버프린팅잉크(OP)의 영역 대신에 잉크리본(R)의 베이스소재인 투명필름이 노출되어 있는 영역을 설치해도 좋다.
또 이와 같은 영역이 설치되지 않고 옐로우, 마젠타, 시안의 각 잉크(Y)(M)(C)만이 등간격으로 배치된 잉크리본을 이용해도 좋다. 이러한 경우는 옐로우, 마젠타, 시안의 각 잉크(Y)(M)(C)에 의한 인쇄가 종료된 후 테이프(T)는 일단 초기위치까지 되돌려진다. 다음으로 테이프(T)는 선단의 절단위치가 커터(26a)의 위치에 맞기까지 반송되어 절단된다. 그 후 다시 테이프(T)는 후단의 절단위치가 커터(26a)의 위치에 맞기까지 반송되어 절단된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옐로우잉크(Y), 마젠타잉크(M), 시안잉크(C) 및 오버프린팅잉크(OP)의 선두위치는 컬러잉크리본(R)에 설치된 경계검지마크(m1∼m4)를 잉크리본센서(32)에서 검지함으로써 맞추어져 있었다. 그러나 각 잉크의 선두위치를 맞추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테이프(T)에 붙여져 있는 것과 같은 위치마크를 잉크리본(R)의 일단에 붙여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테이프(T)의 위치를 구하기 위해 계수부(30)가 테이프(T)에 설치된 위치마크의 수를 계수하고 있었다. 그러나, 테이프(T)의 반송거리를 구하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1쌍의 핀치롤러로 테이프(T)를 끼워놓고, 이 핀치롤러의 회전에 의하여 테이프(T)의 위치를 구해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계수부(30)는 테이프(T)의 반송방향이 바뀔 때에 클리어되어 있었지만, 테이프(T)가 반송방향으로 반송될때에 카운트업하여 반송방향과 역방향으로 반송될 때에 카운트다운되는 카운터이어도 좋다. 이 경우 테이프(T)의 절단위치가 커터(26a)의 위치에 있는지 없는지는 카운터가 소정의 값을 나타냄으로써 판정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잉크리본(R)을 반송할 때 서멀헤드(18)가 플라텐롤러(22b)에 눌러져 있었다. 이 때문에 잉크리본(R)을 반송하는 것에 연동하여 테이프(T)도 반송되어 있었다. 그러나 인쇄시 이외의 잉크의 위치맞춤을 하기 위해 잉크리본을 반송할 때는 서멀헤드(18)는 플라텐롤러(22b)로부터 개방된 상태이어도 좋다. 즉, 잉크리본(R)의 반송에 연동하여 테이프(T)가 반송되지 않아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커터(26a)는 테이프커터구동모터(26)의 구동에 의해 작동되고 있었다. 즉 상기 실시형태의 테이프커터는 오토커터를 구비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오토커터를 구비하지 않고 매뉴얼커터를 구비하는 테이프프린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오버프린팅잉크(OP)에 의한 인쇄를 하고 있을 때 테이프의 절단위치가 매뉴얼커터의 위치에 맞는 지점에서 인쇄동작 및 반송동작이 정지한다. 이때 표시부는 「테이프절단」의 메시지를 표시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매뉴얼커터의 조작레버를 조작하여 테이프를 절단한 후 오버프린팅잉크(OP)에 의한 인쇄 및 테이프(T)의 반송동작을 재개한다. 이에따라 테이프커터구동모터(26) 및 커터구동모터드라이버(25)가 불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테이프프린터를 싼 값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의 테이프프린터는 승화형 열전사방식에 의해 화상을 인쇄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용융형 열전사프린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 인쇄를 정지함으로써 농도얼룩이 생길 가능성이 있는 다른 모든 형태의 프린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헤드의 온도가 변화함으로써 잉크제트프린터의 잉크가 바산하는 양이 바뀌고 인쇄의 농도얼룩이 생길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는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잉크제트프린터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경우 잉크리본은 없다. 따라서 잉크제트프린터의 경우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테이프를 반송하면서 잉크제트헤드에 구비된 잉크노즐로부터 테이프를 향하여 잉크를 바산시켜서 인쇄를 실시한다. 인쇄 도중에서 테이프 선단의 절단위치가 커터의 위치에 도달해도 인쇄동작을 정지하지 않는다. 모든 인쇄가 종료되고나서 다시 테이프선두의 절단위치가 커터의 위치가 되기까지 테이프를 반송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긴 모양의 기록매체(테이프)에 화상을 인쇄하는 테이프프린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기록매체를 절단하기 위해 인쇄 동작을 정지할 가능성이 있는 인쇄장치이면 어떠한 형태의 기록매체에 인쇄하는 인쇄장치이어도 좋다.

Claims (39)

  1. 잉크를 보지하는 잉크리본(R)과, 상기 잉크리본(R)이 보지하고 있는 잉크로 기록매체(T)에 인쇄하는 인쇄수단(18)과, 상기 잉크리본(R)을 반송하는 제 1 반송수단(22)(22a)(22b)과, 상기 기록매체(T)를 반송하는 제 2 반송수단 (24) (24a)과, 상기 기록매체(T)를 절단하는 절단수단(26a)과, 상기 인쇄수단(18), 상기 제 1 제 2 반송수단(22)(22a)(22b)(24)(24a) 및 상기 절단수단 (18)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11)(16)(17)(19)(21)(23)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수단(11)(1 6)(17)(19)(21)(23)은, 상기 제 1, 제 2 반송수단(22)(22a)(22b)(24)(24a)에 상기 잉크리본(R) 및 상기 기록매체(T)를 동시에 반송시키면서 상기 인쇄수단(18)에 상기 잉크를 상기 기록매체(T)를 전사시키는 인쇄제어수단과, 상기 인쇄제어수단에 의하여 제어된 동작의 종료에 응답하여 상기 인쇄수단(18)의 동작을 정지시키면서 상기 제 2 반송수단(26a)에 상기 기록매체(T)의 선단부의 절단위치가 상기 절단수단(26a)의 위치가 되기까지 상기 기록매체(T)를 반송시키는 절단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수단(18)은 열전사방식에 의해 상기 잉크를 상기 기록매체(T)에 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수단(18)은 승화형 열전사방식에 의해 상기 잉크를 상기 기록매체(T)에 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제어수단은 상기 인쇄수단(18)이 상기 기록매체(T)의 소정 범위에 인쇄하는 것을 종료하기 까지 상기 제 1, 제 2 반송수단(22)(22a)(22b)(24)(24a)에 상기 잉크리본(R) 및 상기 기록매체(T)를 계속적으로 반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제어수단은 상기 인쇄수단(18)이 상기 기록매체(T)의 소정 범위에 인쇄하는 것을 종료하기까지 상기 제 1, 제 2 반송수단(22)(22a)(22b)(24)(24a)에 상기 잉크리본(R) 및 상기 기록매체(T)를 계속적으로 반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수단(18)이 상기 기록매체(T)의 소정범위에 인쇄하는 것을 종료하기까지 상기 제 1, 제 2 반송수단(22)(22a)(22b)(24)(24a)에 상기 잉크리본(R) 및 상기 기록매체(T)를 계속적으로 반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반송수단(24)(24a)은 상기 제 1 반송수단(22)(22a)(22b)이 동작하면 이에 연동하여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반송수단(24)(24a)은 상기 제 1 반송수단(22)(22a)(22b)이 동작하면 이에 연동하여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T)는 위치마크를 갖고, 상기 위치마크를 검지하는 점지수단(29)과, 상기 검지수단(29)에서 검지한 위치마크로부터 상기 기록매체(T)의 위치를 판별수단(30)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T)는 위치마크를 갖고, 상기 위치마크를 검지하는 검지수단(29)과, 상기 검지수단(29)에서 검지한 위치마크로부터 상기 기록매체(T)의 위치를 판별하는 위치판별수단(30)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마크는 상기 기록매체(T)의 반송방향(Q)을 따라서 등간격으로 붙여져 있으며, 상기 위치판별수단(30)은 상기 위치마크의 수를 계수하는 계수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마크는 상기 기록매체(T)의 반송방향(Q)을 따라서 등간격으로 붙여져 있으며, 상기 위치판별수단(30)은 상기 위치마크의 수를 계수하는 계수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제어수단은, 상기 기록매체(T)의 상기 선단부의 절단위치가 상기 절단수단(26a)의 위치에 반송된 것을 판별하는 판별수단(11)과, 상기 판별수단(11)이 상기 기록매체(T)의 상기 선단부의 절단위치가 상기 절단수단(26a)의 위치에 반송되었다고 판별했을 때에 상기 절단수단을 동작시키는 수단(11)(16)(25)(26)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14.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제어수단은, 상기 기록매체(T)의 상기 선단부의 절단위치가 상기 절단수단(26a)의 위치에 반송된 것을 판별하는 판별수단(11)과, 상기 판별수단(11)이 상기 기록매체(T)의 상기 선단부의 절단위치가 상기 절단수단(26a)의 위치에 반송되었다고 판별했을 때에 상기 절단수단을 동작시키는 수단(11)(16)(25)(26)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제어수단은, 상기 기록매체(T)의 상기 선단부의 절단위치가 상기 절단수단(26a)의 위치에 반송된 것을 판별하는 판별수단(11)과, 상기 절단수단(26a)이 작동한 것을 판별하는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판별수단(11)이 상기 기록매체(T)의 상기 선단부의 절단위치가 상기 절단수단(2 6a)의 위치에 반송된 것을 판별하면, 상기 절단수단(26a)이 작동한 것을 판별하기까지 상기 제 2 반송수단(24)(24a)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1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제어수단은, 상기 기록매체(T)의 상기 선단부의 절단위치가 상기 절단수단(26a)의 위치에 반송된 것을 판별하는 판별수단(11)과, 상기 절단수단(26a)이 작동한 것을 판별하는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판별수단(11)이 상기 기록매체(T)의 상기 선단부의 절단위치가 상기 절단수단(26a)의 위치에 반송된 것을 판별하면, 상기 절단수단(26a)이 작동한 것을 판별하기까지 상기 제 2 반송수단(24)(24a)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17. 화상을 인쇄하기 위한 잉크(Y)(M)(C)를 보지하는 잉크영역 및 화상을 인쇄하기 위한 잉크를 보지하고 있지 않은 소정 영역을 규칙적으로 배치한 잉크리본(R)과, 상기 잉크리본(R)의 잉크리본의 잉크(Y)(M)(C)를 기록매체(T)에 전사하는 인쇄수단(18)과, 상기 잉크리본(R)을 반송하는 제 1 반송수단(22)(22a)(22b)과, 상기 기록매체(T)를 반송하는 제 2 반송수단(24)(24a)과, 상기 기록매체를 절단하는 절단수단(26a)과, 상기 인쇄수단(18), 상기 제 1, 제 2반송수단(22)(2 2a)(22b)(24)(24a) 및 상기 절단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11)(16)(17) (19)(21)(23)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수단(11)(16)(17)(19) (21)(23)은, 상기 제 1, 제 2 반송수단(22)(22a)(22b)(24)(24a)에 상기 잉크영역을 상기 기록매체(T)에 겹쳐서 상기 잉크리본(R) 및 상기 기록매체(T)를 동시에 반송시키면서 상기 인쇄수단(18)에 상기 잉크(Y)(M)(C)로 상기 기록매체(T)에 인쇄시키는 인쇄제어수단과, 상기 인쇄제어수단에 의하여 제어된 동작의 종료에 응답하고 상기 제 1, 제 2 반송수단(22)(22a)(22b)(24)(24a)에 상기 소정 영역을 상기 기록매체(T)에 겹쳐서 상기 기록매체(T)의 선단부의 절단위치가 상기 절단수단(26a)의 위치가 되기까지 상기 잉크리본(R) 및 상기 기록매체(T)를 동시에 반송시키는 절단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수단(18)은 열전사방식에 의해 상기 잉크를 상기 기록매체(T)에 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수단(18)은 승화형 열전사방식에 의해 상기 잉크를 상기 기록매체(T)에 전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제어수단은 상기 인쇄수단(18)이 상기 잉크(Y)(M)(C)로 상기 기록매체의 소정 범위에 인쇄하는 것을 종료하기까지 상기 제 1, 제 2 반송수단(22)(22a)(22b)(24)(24a)에 상기 잉크리본(R) 및 상기 기록매체(T)를 계속적으로 반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제어수단은 상기 인쇄수단(18)이 상기 잉크(Y)(M)(C)로 상기 기록매체의 소정 범위에 인쇄하는 것을 종료하기까지 상기 제 1, 제 2 반송수단(22)(22a)(22b)(24)(24a)에 상기 잉크리본(R) 및 상기 기록매체(T)를 계속적으로 반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제어수단은 상기 인쇄수단(18)이 상기 잉크(Y)(M)(C)로 상기 기록매체의 소정 범위에 인쇄하는 것을 종료하기까지 상기 제 1, 제 2 반송수단(22)(22a)(22b)(24)(24a)에 상기 잉크리본(R) 및 상기 기록매체(T)를 계속적으로 반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23.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반송수단(24)(24a)은 상기 제 1 반송수단(22)(22a)(22b)이 동작하면 이에 연동하여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24.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반송수단(24)(24a)은 상기 제 1 반송수단(22)(22a)(22b)이 동작하면 이에 연동하여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25.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T)는 위치마크를 갖고, 상기 위치마크를 검지하는 점지수단(29)과, 상기 검지수단(29)에서 검지한 위치마크로부터 상기 기록매체(T)의 위치를 판별하는 위치판별수단(30)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26.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T)는 위치마크를 갖고, 또한 상기 위치마크를 검지하는 검지수단(29)과, 상기 검지수단(29)에서 검지한 위치마크로부터 상기 기록매체(T)의 위치를 판별하는 위치판별수단(3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마크는 상기 기록매체(T)의 반송방향(Q)을 따라서 등간격으로 붙여져 있으며, 상기 위치판별수단(30)은 상기 위치마크의 수를 계수하는 계수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마크는 상기 기록매체(T)의 반송방향(Q)을 따라서 등간격으로 붙여져 있으며, 상기 위치판별수단(30)은 상기 위치마크의 수를 계수하는 계수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2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영역은 상기 잉크(Y)(M)(C)에 의한 기록매체(T)상의 인쇄면을 보호하는 보호층을 형성하기 위한 보호제(OP)를 보지하는 보호층영역이며, 상기 인쇄수단(18)은 상기 보호층영역을 상기 기록매체(T)에 겹쳐서 반송할때에 상기 잉크영역의 잉크(Y)(M)(C)가 인쇄된 상기 기록매체(T)의 위에 보호제(OP)를 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30.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영역은 상기 잉크(Y)(M)(C)에 의한 기록매체(T)상의 인쇄면을 보호하는 보호층을 형성하기 위한 보호제(OP)를 보지하는 보호층영역이며, 상기 인쇄수단(18)은 상기 보호층영역을 상기 기록매체(T)에 겹쳐서 반송할때에 상기 잉크영역의 잉크(Y)(M)(C)가 인쇄된 상기 기록매체(T)의 위에 보호제(OP)를 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3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영역은 규칙적으로 배치된 복수색의 잉크(Y)(M)(C)를 보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3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영역은 규칙적으로 배치된 복수색의 잉크(Y)(M)(C)를 보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33.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제어수단은, 상기 기록매체(T)의 상기 선단부의 절단위치가 상기 절단수단(26a)의 위치에 반송된 것을 판별하는 판별수단(11)과, 상기 판별수단(11)이 상기 기록매체(T)의 상기 선단부의 절단위치가 상기 절단수단(26a)의 위치에 반송되었다고 판별했을 때에 상기 절단수단을 동작시키는 수단(11)(16)(25)(26)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34.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제어수단은, 또한 상기 기록매체(T)의 상기 선단부의 절단위치가 상기 절단수단(26a)의 위치에 반송된 것을 판별하는 판별수단(11)과, 상기 판별수단(11)이 상기 기록매체(T)의 상기 선단부의 절단위치가 상기 절단수단(26a)의 위치에 반송되었다고 판별했을 때에 상기 절단수단을 동작시키는 수단(11)(16)(25)(26)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35.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제어수단은, 상기 기록매체(T)의 상기 선단부의 절단위치가 상기 절단수단(26a)의 위치에 반송된 것을 판별하는 판별수단(11)과, 상기 절단수단(26a)이 작동한 것을 판별하는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판별수단(11)이 상기 기록매체(T)의 상기 선단부의 절단위치가 상기 절단수단(26 a)의 위치에 반송된 것을 판별하면, 상기 절단수단(26a)이 작동한 것을 판별하기까지 상기 제 2 반송수단(24)(24a)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36.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제어수단은, 상기 기록매체(T)의 상기 선단부의 절단위치가 상기 절단수단(26a)의 위치에 반송된 것을 판별하는 판별수단(11)과, 상기 절단수단(26a)이 작동한 것을 판별하는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판별수단(11)이 상기 기록매체(T)의 상기 선단부의 절단위치가 상기 절단수단(26a)의 위치에 반송된 것을 판별하면, 상기 절단수단(26a)이 작동한 것을 판별하기까지 상기 제 2 반송수단(24)(24a)의 동작을 정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37. 기록매체를 반송하면서 화상을 인쇄하고, 이 기록매체(T)의 선단부를 소망하는 위치에서 절단하는 커터(26a)를 구비한 인쇄장치에 있어서의 인쇄방법이며, 상기 기록매체(T)의 소정 영역에 화상을 인쇄하는 것을 종료하기까지는 상기 기록매체(T)의 상기 소망하는 위치가 상기 커터(26a)의 위치에 도달해도 상기 기록매체의 반송을 중단하지 않고 상기 기록매체에 화상을 인쇄하며, 상기 기록매체(T)의 소정 영역에 화상을 인쇄하는 것을 종료하고 나서 상기 소망하는 위치가 상기 커터(26a)의 위치가 되기까지 상기 기록매체를 반송하고, 상기 기록매체(T)의 반송이 정지하고나서 상기 커터(26a)가 상기 기록매체(T)를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방법.
  38.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장치는 열전사방식에 의해 화상을 인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39. 열전사방식에 의해 화상을 인쇄하기 위한 잉크를 보지하는 잉크영역과 잉크를 보지하고 있지 않은 소정 영역을 규칙적으로 배치한 잉크리본(R)이 감겨지고, 이 잉크리본(R)을 송출하는 리본공급릴(44)과, 상기 잉크리본(R)을 감는 리본감기릴(47)과, 긴 모양의 기록매체(T)가 감겨지고, 이 기록매체(T)를 송출하는 기록매체 공급릴(43)과, 상기 리본공급릴(44), 상기 리본감기릴(47) 및 상기 기록매체공급릴(43)을 수납한 카세트케이스(4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카세트.
KR1019960043870A 1995-10-04 1996-10-04 인쇄장치 및 인쇄방법 KR1002391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5777095A JP3533779B2 (ja) 1995-10-04 1995-10-04 カラー印刷装置
JP95-257770 1995-10-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2838A KR970022838A (ko) 1997-05-30
KR100239156B1 true KR100239156B1 (ko) 2000-01-15

Family

ID=17310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3870A KR100239156B1 (ko) 1995-10-04 1996-10-04 인쇄장치 및 인쇄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829897A (ko)
EP (1) EP0767066B1 (ko)
JP (1) JP3533779B2 (ko)
KR (1) KR100239156B1 (ko)
CN (1) CN1092111C (ko)
DE (1) DE69620530T2 (ko)
HK (1) HK101341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9423B1 (ko) 2011-04-21 2014-03-28 히티 디지털, 인크. 절단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리본, 상기 리본을 포함하는 열 승화 프린터, 및 상기 열 승화 프린터에서 프린트 매체를 정밀하게 절단하기 위한 프린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58636B2 (ja) * 1997-06-11 2005-06-08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印字装置
JP3756302B2 (ja) * 1997-10-30 2006-03-15 三菱電機株式会社 画像印画装置
JP3787995B2 (ja) * 1997-11-20 2006-06-2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記録装置
US6170943B1 (en) * 1998-10-29 2001-01-09 Eastman Kodak Company Large and small format ink jet printing apparatus
JP3731364B2 (ja) * 1999-01-21 2006-01-0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テープ印刷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GB9918163D0 (en) 1999-08-02 1999-10-06 Esselte Nv Tape printer
TW446641B (en) * 1999-10-21 2001-07-21 Acer Comm & Amp Multimedia Inc Color thermal printer
JP2001310849A (ja) * 2000-04-28 2001-11-06 Konica Corp 画像記録装置
JP3788219B2 (ja) 2000-09-11 2006-06-2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リンタホストの動作プログラムが記憶されている記憶媒体
US6698958B2 (en) * 2001-08-10 2004-03-02 Paxar Corporation Sublimation system and method
US6963351B2 (en) * 2001-12-21 2005-11-08 Datacard Corporatio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s on consumable items used in printers and related equipment
JP3994804B2 (ja) * 2002-06-25 2007-10-2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テープ印字装置及びテープカセット
JP4525212B2 (ja) * 2004-07-07 2010-08-18 船井電機株式会社 熱転写プリンタ
JP4492261B2 (ja) * 2004-09-10 2010-06-3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制御装置、印刷制御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617873B2 (ja) * 2004-12-27 2011-01-2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テープ印刷装置
US7930958B2 (en) 2005-07-14 2011-04-26 Provo Craft And Novelty, Inc. Blade housing for electronic cutting apparatus
KR100727965B1 (ko) * 2005-08-16 2007-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잉크리본, 열전사방식 화상형성장치, 및인쇄관리정보부가방법
KR100727995B1 (ko) * 2005-10-07 2007-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리본 카트리지 및 이를 구비하는 열전사방식 화상형성장치
US8215943B2 (en) * 2006-06-01 2012-07-10 Avery Dennison Corporation Heat-transfer label assembly and apparatus for applying heat-transfer labels
EP2470461B1 (en) 2009-08-26 2019-10-02 Provo Craft & Novelty, Inc. Crafting apparatus including a workpiece feed path bypass assembly and workpiece feed path analyzer
US20110280999A1 (en) 2009-12-23 2011-11-17 Provo Craft And Novelty, Inc. Foodstuff Crafting Apparatus, Components, Assembly, and Method for Utilizing the Same
EP2525980B1 (en) * 2010-01-19 2016-06-22 Printronix, LLC Intelligent ribbon cartridge
US20110243632A1 (en) * 2010-03-31 2011-10-06 Ncr Corporation Media position sensing
JP2012030578A (ja) * 2010-06-28 2012-02-16 Canon Inc サーマルプリンタ、および、インクカセット
JP5808125B2 (ja) * 2011-03-25 2015-11-10 株式会社ミヤコシ デジタル印刷方法及びその装置
DE102011075386A1 (de) * 2011-05-06 2012-11-08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Bedrucken von zumindest einem Trägerelement
US9409418B2 (en) * 2013-07-31 2016-08-09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Print tape and tape printer
JP6291950B2 (ja) * 2014-03-25 2018-03-1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媒体、印刷装置および印刷装置の印刷方法
JP6406508B2 (ja) * 2014-10-14 2018-10-1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吐出装置及び液体吐出方法
KR101884997B1 (ko) * 2016-10-20 2018-08-03 주식회사 빅솔론 프린터의 제어 방법 및 그에 따른 프린터
KR101981753B1 (ko) * 2017-10-20 2019-05-24 주식회사 빅솔론 프린터 및 인쇄방법
CN113442598B (zh) * 2020-03-27 2023-01-24 湖南鼎一致远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热转印打印机
CN113002188B (zh) * 2021-02-26 2022-07-26 山东华鲁制药有限公司 一种非pvc软袋套色印刷装置
CN114771122B (zh) * 2022-03-25 2023-12-12 湖南鼎一致远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基于双色块条的打印方法、系统、存储介质及打印机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27278A (en) * 1987-12-29 1990-05-22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Tape cassette and tape printer for use therewith
EP0457309B1 (en) * 1990-05-17 1995-03-29 Seiko Epson Corporation Tape printing device
JPH0584994A (ja) * 1991-09-26 1993-04-06 Brother Ind Ltd テープ印字装置
JP2629527B2 (ja) * 1992-07-22 1997-07-0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テープ印字装置
US5358351A (en) * 1992-09-30 1994-10-25 Casio Computer Co., Ltd. Printing apparatus and printing tape cassette used therefor
JPH0752428A (ja) * 1993-08-21 1995-02-28 Sony Corp 印刷装置
JPH0768814A (ja) * 1993-09-06 1995-03-14 Brother Ind Ltd テープ印字装置
JPH0789159A (ja) * 1993-09-22 1995-04-04 Brother Ind Ltd 印字テープ作成装置におけるテープ切断装置
JP3578280B2 (ja) * 1993-11-10 2004-10-2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テープ印刷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9423B1 (ko) 2011-04-21 2014-03-28 히티 디지털, 인크. 절단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리본, 상기 리본을 포함하는 열 승화 프린터, 및 상기 열 승화 프린터에서 프린트 매체를 정밀하게 절단하기 위한 프린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013414A1 (en) 1999-08-27
DE69620530T2 (de) 2002-08-08
EP0767066B1 (en) 2002-04-10
EP0767066A3 (en) 1998-09-16
JPH0999609A (ja) 1997-04-15
EP0767066A2 (en) 1997-04-09
JP3533779B2 (ja) 2004-05-31
US5829897A (en) 1998-11-03
KR970022838A (ko) 1997-05-30
CN1092111C (zh) 2002-10-09
DE69620530D1 (de) 2002-05-16
CN1151552A (zh) 1997-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9156B1 (ko) 인쇄장치 및 인쇄방법
US5978005A (en) Thermal printer and method for detecting donor ribbon type and for aligning color patches relative to a print head
EP0719650A2 (en) Method of ink-jet printing on a tape-shaped recording medium and recording medium suitable for the method
EP0768185B1 (en) Printers which display the color of a printing medium
CN110744926B (zh) 印刷装置、控制方法以及记录介质
JP7001495B2 (ja) プリンタ
JPH09109425A (ja) 印刷装置及びこの印刷装置に使用される記録紙
KR100553662B1 (ko) 테이프 인쇄 장치 및 그 인쇄 제어 방법과 기억 매체
JP3747865B2 (ja) カラー印刷装置
JPH11314409A (ja) 印刷装置
CA1318180C (en) Printing process for a thermal transfer type multicolor printer
JP4424156B2 (ja) プリンタ
KR100296997B1 (ko) 인쇄장치및인쇄방법및컴퓨터-판독가능기억매체
JP2005271453A (ja) プリンタ
JP2000190605A (ja) 印刷装置及び同装置に用いられるテ―プカセット
JPH09123499A (ja) 印刷装置及び印刷方法
JPH09150586A (ja) 印刷記録媒体
JPH03112664A (ja) 記録装置
JPH03176175A (ja) 熱転写記録装置
JPH1191146A (ja) 印字装置
JPH0646703Y2 (ja) 熱転写形印画装置
JPH1148542A (ja) 印刷装置
JP4492163B2 (ja) プリンタ
JPH11321053A (ja) 印字装置
JP2000326532A (ja) 記録材料印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