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8911B1 - 육필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육필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8911B1
KR100238911B1 KR1019950013176A KR19950013176A KR100238911B1 KR 100238911 B1 KR100238911 B1 KR 100238911B1 KR 1019950013176 A KR1019950013176 A KR 1019950013176A KR 19950013176 A KR19950013176 A KR 19950013176A KR 100238911 B1 KR100238911 B1 KR 1002389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area
handwritten
input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3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3940A (ko
Inventor
사토미 사까이
오사와껜고
Original Assignee
아끼구사 나오유끼
후지쓰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끼구사 나오유끼, 후지쓰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아끼구사 나오유끼
Publication of KR950033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39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89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89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10Image acquisition
    • G06V10/17Image acquisition using hand-held instru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12Detection or correction of errors, e.g. by rescanning the pattern
    • G06V30/127Detection or correction of errors, e.g. by rescanning the pattern with the intervention of an oper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haracter Discrimina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육필문자가 입력을 위해 기입되는 도판영역내에서 육필문자의 인식결과가 그내에 기입된 육필문자를 교체함으로써 표시됨과 동시에 인시결과가 한번에 육필문자 입력영역내에서 볼 수 있는 것보다 많은 문자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필드내에도 표시된다.

Description

육필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예 의한 육필문자 기능을 갖은 휴대용 단말기의 상부 평면도.
제2도는 휴대용 단말기의 하드웨어 구성의 개략적인 블록도.
제3∼7도는 휴대용 단말기의 LCD 표시장치상에 표시되는 화면의 예시도.
제8도는 응용프로그램의 구성 블록도.
제9∼14도는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플로우 차트.
제15도는 종래의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은 입력된 육필문자를 인식하고, 인식 결과를 화면상에서 확인하도록 사용자에게 표시해 주는 육필문자 입력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입력 펜 등을 사용하여 육필문자의 입력을 가능하게 하는 단말기들은 다양한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특히, 휴대용 육필입력 단말기는 세일즈맨이 고객을 방문하여 고객 정보 등과 같은 데이터를 입력 및 표시하는 보험업과 같은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유형의 육필문자 입력장치는 액정 디스플레이와 같은 표시장치와 상기 표시장치상에 부착되어 펜등으로 터치 할때 패널상의 펜 위치를 인식할 수 있는 투명 터치패널로 구성된다. 육필문자 입력모드에서는 예를 들어 6문자×2라인의 문자 입력란을 포함하는 입력패드가 화면상에 표시된다. 펜으로 터치 패널을 접촉시켜 문자 입력란 안에 문자를 입력하면 터치패널이 펜 스트로크(stroke)를 검출하여 육필문자가 그 위치에 표시된다. 펜 제거후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육필문자가 인식되어 입력문자가 육필문자 대신 인쇄 형식으로 표시된다. 인식 실패의 경우 입력문자가 표시될 위치에 "?" 가 나타난다. "?" 또는 오인식 문자가 표시된 문자 입력란 내에 다시 육필문자를 입력시킴으로써 에러를 정정할 수 있다. 최종라인에 최종문자가 육필로 입력되면, 문자 입력란은 자동으로 스크롤업되어 그 다음 라인에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종래 기술의 육필문자 입력장치에서는 다수의 문자를 연속 입력하는 경우, 상부에 입력된 문자들이 인식되기도 전에 입력패드 외부로 스크롤된다. 따라서, 기입 완료후 인식 결과가 표시될 때 문자들이 정확히 인식되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텍스트를 수동으로 스크롤 다운시키는 추가 조작을 하여 입력패드상에 모든 문자들의 인식결과를 연속적으로 재표시해야 한다. 이 때문에 문자인식의 결과를 확인하는데 필요한 조작이 복잡해지고 다수의 문자가 입력될 때 특히 문제가 된다. 더구나, 재표시된 결과가 문자들이 정확히 인식된것으로 나타날 때 사용자는 그 결과를 재표시하기 위한 수고가 낭비였음을 느끼게된다.
더우기, 종래의 장치에서는 화면상에 입력 데이터의 일부가 단 한번만 표시될 수 있기 때문에 입력패드상의 표시장치로부터 입력 데이터의 전체 내용을 파악하기 어렵다. 특히 다수의 문자를 입력할 경우에 사용자는 자기가 입력을 완료한 지점의 위치를 잃어버릴 수도 있다. 입력내용을 확인하기 위해 사용자는 상기한 바와 같이 화면을 스크롤업 및 다운해야한다. 그러나, 화면을 스크롤하더라도 입력내용의 일부만이 입력패드상에 표시될수 있기 때문에 입력 데이터의 전체 내용을 파악하기 어렵다.
또한, 인식불능 문자를 정정할 경우에 전체 입력내용을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에 정정할 문자를 확인하기 위해 입력 패드를 스크롤 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입력 내용을 사용자가 파악할 수 있고, 또한 화면을 스크롤하지 않고도 문자인식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육필문자 입력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 1 영역 내에 기입된 육필문자를 인식하여 문자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와, 각각의 육필문자를 인식하는 즉시 상기 제 1 영역에 문자 데이터로 표현된 문자를 출력하여 그 안에 기입된 육필문자를 교체하는 단계와, 각각의 육필문자를 인식하는 즉시 문자데이터로 표현된 문자를 제 1 영역에 한번에 표시할 수 있는 문자보다 더 많은 수의 문자를 수용할 수 있는 제 2 영역으로 즉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육필문자 입력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 1 영역 내에 기입된 육필문자를 인식하여 문자 데이터로 변환하는 수단과, 각각의 육필문자를 인식하는 즉시 상기 제 1 영역에 문자 데이터로 표현된 문자를 출력하여 그 안에 기입된 육필문자를 교체하는 수단과, 각각의 육필문자를 인식 하는 즉시 문자 데이터로 표현된 문자를 제 1 영역에 한번에 표시할 수 있는 문자보다 더 많은 수의 문자를 수용할 수 있는 제 2 영역으로 출력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육필문자 입력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육필문자 입력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10)의 상부 평면도이다. 휴대용 단말기(10)는 표면이 투명터치패널로 구성된 태블릿(tablet)으로 덮힌 LCD 표시장치(12)를 갖는다.
태블릿의 표면이 펜 등으로 접촉되면 접촉된 위치의 x, y 좌표가 검출된다.
제2도는 휴대용 단말기의 하드웨어 구성의 간략화한 형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CPU(14)에는 기본 입력/출력 제어 프로그램과 오퍼레이팅 시스템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ROM(16)과, IC카드(20)로부터 로드된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RAM(18)과, LCD 표시장치(12)의 표시출력을 제어하는 표시제어기(22)와, 태블릿 제어용 태블릿 제어기(24)가 접속된다.
제3∼7도는 LCD 표시장치(12)상에 표시된 화면의 예를 나타낸다.
제3도에 보인 바와 같이, 화면은 고객의 주소를 표시하는 주소 필드(30)를 갖고 있다. 주소 필드(30)의 크기는 통상적인 길이의 주소가 필드 내에 수용될 수 있도록 미리 정해진다. 화면은 또한 고객이름, 전화번호등의 필드도 포함한다.
입력 패드를 개방하기 위해 사용자는 주소 필드(30)의 표시영역(32)을 구동시킨다. 예컨대, 제3도에 보인 바와 같이 입력 펜으로 주소필드(30)의 표시영역(32)을 체크하여 입력패드를 개방한다. 또 다른 예로서, 입력패드 개방 버튼을 설비하여 이를 누름으로써 입력패드를 개방하도록 할 수도 있다.
입력 패드 개방조작에 의해 사용자에게는 제4도에 보인 바와 같이 표시영역(36), OK 버튼(38), 캔슬 버튼(40), 클리어 버튼(42) 및 스크롤바(44)를 갖는 입력패드(34)가 화면상에 표시된다.
그 다음 사용자는 입력 펜을 사용하여 입력패드(34)의 표시영역 내에 고객 주소를 기입한다.
이렇게 입력된 육필문자들은 제4도에 보인 바와 같이 표시영역 내에 표시된다. 스크롤바(44)는 상향 및 하향 스크롤 화살표를 가지며, 입력 펜으로 어느 화살표를 누르면 표시영역(36)내에 표시된 데이터가 스크롤 화살표방향으로 스크롤된다.
입력 펜을 떼고 일정시간 이상동안 입력패드(34)의 표시영역(36)을 오프상태로 두면 입력된 육필문자들이 인식된 다음 인식 결과가 주소 필드(30)의 표시영역(32)내에 뿐만 아니라 입력패드(34)의 표시영역(36) 내에도 표시된다.(제5도). 표시영역(36)이 입력된 데이터로 꽉찼을 경우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면이 자동으로 스크롤되어 이미 입력된 몇몇 문자들은 입력패드(34)의 표시영역(36)으로부터 사라지는 한편 새로운 문자 입력란에 나타난다.
인식된 문자 데이터는 후술하는 1바이트/2바이트 편집처리후 주소 필드(30)의 표시영역(32)내에 표시된다. 주소 필드(30)의 표시영역(32)은 입력패드(34)의 표시영역(36)에서 볼 수 있는 문자보다 더 많은 수의 문자들을 수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므로 문자들이 입력패드(34)의 표시영역(36) 외부로 스크롤되더라도, 주소 필드(30)의 표시영역(32) 내에 그대로 남아서 표시될 수 있다. 만일 주소 필드(30)내에 표시될 문자들이 1바이트 문자들로서 입력될 경우 2바이트 문자로서 입력될 때보다 더많은 문자들이 필드내에 수용될 수 있다. 이는 입력패드로부터 입력될 문자들의 수가 많을 때 특히 유리하다.
제5도에 보인 바와 같이 인식되지 않은 문자는 입력 패드와 주소 필드의 표시영역들(32,36)내에 "?"로서 표시된다. 인식불능 문자가 자동스크롤의 결과로서 표시영역(36)으로부터 사라졌을 경우에도 주소 필드(30)의 표시영역(36) 내에는 그대로 표시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입력패드(34)의 표시영역(36)을 뒤로 스크롤하지 않고도 인식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입력패드(34)의 표시영역(36)보다 주소 필드(30)의 표시영역(32)에 더 많은 문자들이 표시될 수 있기 때문에 제5도에 보인 바와 같이 사용자가 스크롤바(44)를 조작하여 인식불능 문자를 표시영역(36)내에 표시함으로써 표시영역(36) 외부로 자동 스크롤된 인식불능 문자를 쉽게 정정할 수 있다. 정정문자가 표시영역(36)내에 나타난 "?" 의 위치에 입력되면 입력된 문자를 다시 한번 확인 처리한다.
한편 종래에는 확인결과가 제15도에 보인 바와 같이 주소 필드(30)의 표시영역(32)내에 표시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가 입력패드(34)의 표시영역(36)을 스크롤백하지 않는 한 확인결과를 체크할 수 없다.
인식불능 문자를 정정하기 위해 문자를 입력시킨후, 문자가 정확히 인식되면 정정 문자 예를 들어 "E"가 "?"가 표시된 표시영역(32)내의 위치에 제6도에 보인 바와 같이 표시된다. 만일 인식불능 문자가 하나도 없으면, 화면표시는 제6도에 보인 것과 동일하게 된다.
주소 필드(30)의 표시된 내용으로부터 주소의 정정입력을 확인한 후, 사용자는 입력 펜으로 OK 버튼(38)을 조작하여 입력패드(34)를 폐쇄한다. OK 버튼(38)을 조작하면 입력패드(34)가 폐쇄되어 제7도에 보인 주소 필드(30)가 표시되는 원화면으로 복귀한다.
한편, 입력 데이터를 취소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캔슬 버튼(40)을 조작한다. 입력된 데이터를 삭제하기 위해서는 클리어 버튼(42)을 조작한다.
제8도는 상기 처리를 실행하는 응용 프로그램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모(母)필드 처리부(50)는 주소 필드(30)의 표시영역(32)으로의 및 그로부터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표시영역 처리부(52)와 주소 필드(30)에 발생하는 사건에 따라 처리를 행하는 사건처리부(54)로 구성된다. 입력패드 처리부(56)는 입력패드(34)의 표시영역(36)으로의 입력과 그로부터의 출력을 제어하는 표시영역 처리부(58)와, 버튼(38,40,42)으로의 입력과 그들로부터의 출력을 제어하는 버튼 제어부(60)와 입력패드(34)에 발생하는 사건에 따라 처리를 행하는 사건처리부(62)로 구성된다. 인식처리부(64)는 주소 필드(30)상에서 수행된 조작들의 평가 뿐만 아니라 입력패드(34)의 표시영역(36)에 입력되는 육필문자의 인식을 담당한다. 1바이트/2바이트 편집부(66)는 인식처리부(64)에 의해 인식된 문자 데이터를 편집하고 또한 1바이트 문자 또는 2바이트 문자를 나타내는 문자 제이터로 변환한다.
이하 제9도는 내지 제14도에 보인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프로그램의 동작을 설명한다. 제9도는 입력패드(34)를 개방하기 위한 조작을 제3도 또는 제7도의 화면으로부터 행할 때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초기상태는 사건대기상태이다(단계1000).
이 상태에서 주소 필드(30)상에서 조작을 행하면 그 조작이 입력패드(34)를 개방하기 위한 것인지를 판정한다(단계1002). 이러한 판정을 하기 위하여 사건처리부(54)는 수신된 입력이 입력패드(34)를 개방하기 위한 것인지를 인식처리부(64)에 조회한다.
사건처리부(54)로부터의 조회에 응답하여 인식처리부(64)는 입력 내용을 판정한다. 제3도에 보인 바와 같은 체크마크가 입력되면 인식처리부(64)는 입력패드(34)를 개방하기 위한 조작이 행해진 것으로 판정한다.
인식처리부(64)로부터 통지된 내요에 따라 사건처리부(54)는 각종 파라메터들을 입력패드 처리부(56)로 전송하여 입력패드(34)의 출현을 요청한다(단계1004).
여기서 파라메터라 함은 이름이나 주소와 같은 복수의 필드가 있을 경우 처리할 필드를 식별하기 위한 키로서 작용하는 필드ID와, 주소 필드(30)의 표시영역(32)내에 현재 표시되는 데이터와, 다른 필드와 겹치지 않게 입력 패드가 표시될 입력패드 표시위치와, 주소 필드의 표시영역 내에 표시하기 위하여 입력패드상에 인식된 입력 데이터가 1바이트 문자로 또는 2바이트 문자로 편집되어야 하는지 또는 불변상태로 표시되어야 하는지를 나타내는 1바이트/2바이트 문자 편집 데이터와 주소필드내에 표시될 수 있는 최대 문자수 등이다.
제10도는 입력패드를 개방하는 서브루틴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입력패드(34)를 표시하는 요청이 단계 1100에서 수용될 경우, 입력패드 처리부(56)내의 사건처리부(62)가 입력패드(34)의 표시영역(36)을 초기화하고, 그 안에 모필드 처리부(50)내의 사건처리부(54)로부터 전송된 파라메터들 내에 포함된 주소필드의 현재 데이터를 표시한다(단계1102). 그 다음 다른 필드들이 표시된 원화면(제3도의 화면)의 조작이 금지된다(단계1104). 그 다음 입력패드처리부(56)내의 사건처리부(62)는 모필드 처리부(50)내의 사건처리부(54)로부터 전송된 파라메터에 따라 화면상의 지정위치에 입력패드(34)를 표시한다(단계1106). 그후 입력패드처리부(56)는 사건대기 상태에 놓여 조작자의 그 다음 조작을 대기한다.
제11도는 입력패드(34)의 표시영역(36)에 육필문자가 입력된 경우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제10도의 사건대기 상태에서 육필문자가 조작자에 의해 입력된 다음 펜이 일정시간 이상동안 입력패드(34)의 표시영역(36)을 떠나 있으면 입력내용이 사건처리부(64)로 전송된다. 인식 처리부(64)는 문자인식을 행하여 입력 데이터를 문자데이터로 변환한다(단계1202). 인식결과는 사건처리부(62)를 통해 표시영역처리부(58)로 전송된다.
표시영역처리부(58)는 사건처리부(62)를 통해 전송된 인식결과를 입력패드(34)의 표시영역(36)에 표시한다(단계1204). 그 다음 사건처리부(62)는 입력 패드가 개방됐을 때 표시영역(36)에 표시된 입력데이터를 모필드처리부(50)로부터 전송된 1바이트/2바이트 문자 편집 데이터와 함께 1바이트/2바이트 편집부(66)로 전송한다.
사건처리부(62)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즉시, 1바이트/2바이트 편집부(66)는 표시영역(36)내에 표시된 문자 데이터를 전송된 내용에 따라 1바이트 또는 2바이트문자로서 편집한다(단계1206). 편집된 문자데이터는 사건처리부(62)로 다시 귀환된다.
1바이트/2바이트 편집부(66)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즉시, 사건처리부(62)는 입력패드가 개방됐을 때 통지된 필드ID에 의해 지시되는 주소필드(30)의 표시영역(32)내에 1바이트/2바이트 편집부(66)에 의해 편집된 데이터를 표시한다(단계1208). 그후 사건처리부(62)는 다시 사건 대기상태로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입력패드의 각 문자입력시마다 입력패드처리부(56)는 입력데이터를 인식 및 편집하여 결과 데이터를 조소필드(30)의 표시영역(32)내에 표시한다.
제12도는 입력패드상의 어떠한 버튼(38,40,42)을 조작했을 경우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사건대기상태에서 어떠한 버튼이 조작됐을 경우, 사건처리부(62)는 조작자에 의해 입력 펜으로 조작된 버튼이 OK 버튼(38)인지 캔슬 버튼(40)인지를 판정한다(단계1302).
조작된 버튼이 OK 버튼(38) 또는 캔슬 버튼(40)중 하나일 경우 조작된 버튼의 내용이 필드ID에 의해 지시된 필드에 통보되어, 그 필드ID의 서브루틴이 호출된다(1304).
단계1304의 처리시에 조작된 버튼이 OK 버튼(38)일 경우 입력패드(34)의 표시영역(36) 내에 표시된 데이터는 신규 데이터로서 처리되고 OK 버튼(38)의 식별번호가 모필드 처리부(50)에 의해 지정된 필드에 종료정보로서 통보된다. 한편, 조작된 버튼이 캔슬 버튼(40)일 경우, 입력패드(34)의 출현시의 파라메터로서 전송된 데이터가 신규 데이터로서 처리되고, 또한 캔슬 버튼(40)의 식별번호가 모필드 처리부(50)에 의해 지정된 필드에 종료 정보로서 통보된다.
만일 단계 1302에서 조작된 버튼이 OK 버튼(38)이나 캔슬 버튼(40)이 아닐 경우, 처리는 조작된 버튼에 따라 수행된다. 예를 들어 만일 조작된 버튼이 클리어버튼(42)일 경우, 표시영역 처리부(58)는 단계1306에서 표시영역을 소거하여 표시된 내용을 삭제한다. 단계1304 또는 1306의 처리가 완료되면 사건처리부(62)는 다시 사건 대기상태가 된다.
제13도는 종료정보가 입력패드로부터 수신됐을 경우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종료정보가 단계1400에서 수용되면 종료정보가 OK 버튼(38)에서 온 것인지를판정한다(단계1402). 이 판정은 조작된 버튼의 식별번호를 토대로 행해진다. 만일 조작된 버튼이 OK 버튼일 경우, 입력된 문자가 판정되고 입력 데이터의 문자종류가 체크된다.
주소 필드에 대해 모든 문자종류가 사용가능하고 문자종류의 체크결과는 항상 OK 이다.한편 가나(kana)문자의 입력만을 허용하는 가나필드와 같은 다른 필드들에 대해 간지(kanji) 문자들이 입력된 문자들에 내포될 가능성에 대해 체크한다. 만일 체크결과가 아니오일 경우, 에러 메시지가 표시되고, (단계1412), 또한 입력패드가 개방된 상태로 유지된다.
만일 체크결과가 OK이면 주소필드(30)의 표시영역처리부(58)내에 표시된 문자데이터가 내부 데이터로서 취급될 수 있도록 문자데이터가 내부기억부내에 기억된다(단계1408). 그 다음 입력패드(34)를 페쇄하는 요구가 입력패드 처리부(56)로 보내진다.(단계1408)
한편 단계1402에서 종료 정보가 OK 버튼(38)으로부터 온 것이 아닌 것으로 판정되면 신규 데이터가 주소필드(30)의 표시영역(32)내에 표시된다. 예를 들어 종료정보가 캔슬버튼(40)으로부터 온 경우, 입력패드(34)가 개방되기 전에 표시된 내용이 단계1410에서 화면상엣 표시된다. 단계1406 또는 단계1410의 처리 완료시 입력패드(34)는 화면으로부터 소거되어 처리를 종료한다.
제14도는 입력패드(34)를 폐쇄하는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입력패드(34)를 폐쇄하는 요구가 단계1500에서 수용되면 입력패드(34)는 단계1502에서 화면으로부터 소거된다. 그 다음 원화면 즉, 입력패드(34)가 개방되기 전에 표시되었던 화면에 대한 조작을 이네이블하는 처리가 수행된다(단계1504). 상기 처리로서 입력패드(34)가 소거되고, 주소 필드(30)등을 나타내는 원화면으로 복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입력패드로부터 문자와 같은 데이터 입력시 화면이 스크롤 되더라도 쉽게 입력 데이터의 내용을 파악하고 문자인식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입력패드상과 데이터 표시필드내에 동일 데이터를 동시에 표시할 수 있으므로 입력내용의 확인과 문자인식 결과의 확인이 아주 용이할 뿐만 아니라 문자 입력장치로 데이터 입력시의 귀찮은 절차가 없어진다. 또한 데이터 표시 필드 내에 표시될 각 문자의 크기를 필요에 따라 편집할 수 있기 때문에 데이터표시필드내에 수용될 수 있는 최대 문자수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특징에 의해 입력패드로부터 다수의 데이터가 입력되어야 할 경우에도 입력된 문자와 문자인식 결과를 확인을 위해 데이터 표시필드 내에서 볼 수 있다.

Claims (8)

  1. 인식되기 전에 제 1 영역 외부로 스크롤될 수도 있는 육필문자가 상기 제 1 영역 내에 기입되었는가를 인식하고, 상기 육필문자를 문자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각각의 육필문자를 인식하는 즉시, 상기 문자 데이터에 의해 표시되는 문자를 상기 제 1영역으로 출력하여 그 안에 기입되어 있는 상기 육필문자를 교체하는 단계; 각각의 육필문자를 인식하는 즉시, 상기 문자 데이터에 의해 표시되는 문자를 상기 제 1 영역에서 한번에 볼 수 있는 문자보다 더 많은 수의 문자를 수용할 수 있는 제 2 영역으로 출력하는 단계; 및 각각의 육필문자를 인식하지 못하는 즉시, 인식하지 못하였음을 나타내는 문자를 상기 제 1 영역으로 출력하여, 그 안에 기입되어 있는 상기 육필문자를 교체하고, 인식하지 못하였음을 나타내는 상기 문자를 상기 제 2영역으로 출력하는 단계; 를 구비하는 육필문자 입력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영역은 동일 화면상에 동시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필문자 입력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영역으로 출력될 문자를 1바이트 문자 또는 2바이트 문자로 편집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육필문자 입력방법.
  4. 인식되기 전에 제 1 영역 외부로 스크롤될 수도 있는 육필문자가 상기 제 1 영역 내에 기입되었는가를 인식하고, 상기 육필문자를 문자 데이터로 변환하는 수단; 각각의 육필문자를 인식하는 즉시, 상기 문자 데이터에 의해 표시되는 문자를 상기 제 1 영역으로 출력하여 그 안에 기입되어 있는 상기 육필문자를 교체하는 수단; 각각의 육필문자를 인식하는 즉시, 상기 문자 데이터에 의해 표시되는 문자를 상기 제 1 영역에서 한번에 볼 수 있는 문자보다 더 많은 수의 문자를 수용할 수 있는 제 2 영역으로 출력하는 수단; 및 각각의 육필문자를 인식하지 못하는 즉시, 인식하지 못하였음을 나타내는 문자를 a) 상기 제 1 영역으로 출력하여 그 안에 기입되어 있는 상기 육필문자를 교체한고, b) 상기 제 2 영역으로 출력하는 수단; 을 구비하는 육필문자 입력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영역은 동일 화면상에 동시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필문자 입력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영역으로 출력될 문자를 1바이트 문자 또는 2바이트 문자로 편집하는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필문자 입력장치.
  7. 기입수단을 사용하여 육필문자를 제 1 영역으로 입력하는 단계; 상기 제 1 영역이 꽉 찬 경우 상기 제 1 영역을 스크롤하는 단계; 상기 육필문자를 기입하기 위한 상기 기입수단을 제거하고 나서 상기 제 1 영역의 스크롤에 대해 독립적인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제 1 영역에 기입된 상기 육필문자를 인식하고, 상기 육필문자를 문자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각각의 육필문자를 인식하는 즉시, 상기 문자 데이터에 의해 표시되는 문자를 상기 제 1 영역으로 출력하여 그 안에 기입되어 있는 상기 육필문자를 교체하는 단계; 각각의 육필문자를 인식하는 즉시, 상기 문자 데이터에 의해 표시되는 문자를 상기 제 1 영역에서 한번에 볼 수 있는 문자보다 더 많은 수의 문자를 수용할 수 있는 제 2 영역으로 출력하는 단계; 및 각각의 육필문자를 인식하지 못하는 즉시, 인식하지 못하였음을 나타내는 문자를 상기 제 1 영역으로 출력하여, 그 안에 기입되어 있는 상기 육필문자를 교체하고,인식하지 못하였음을 나타내는 상기 문자를 상기 제 2 영역으로 출력하는 단계; 를 구비하는 육필문자 입력방법.
  8. 육필문자를 기입하기 위한 기입수단을 제거하고 나서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 제 1 영역에 기입된 육필문자를 인식하고, 상기 문자를 문자 데이터로 변환하는 수단; 각각의 육필문자를 인식하는 즉시, 상기 문자 데이터에 의해 표시되는 문자를 상기 제 1 영역으로 출력하여 그 안에 기입되어 있는 상기 육필문자를 교체하는 수단; 각각의 육필문자를 인식하는 즉시, 상기 문자 데이터에 의해 표시되는 문자를 상기 제 1 영역에서 한번에 볼 수 있는 문자보다 더 많은 수의 문자를 수용할 수 있는 제 2 영역으로 출력하는 수단; 각각의 육필문자를 인식하지 못하는 즉시, 인식하지 못하였음을 나타내는 문자를 a) 상기 제 1 영역으로 출력하여 그 안에 기입되어 있는 상기 육필문자를 교체하고, b) 상기 제 2 영역으로 출력하는 수단; 상기 소정 시간은 상기 제 1 영역의 스크롤에 대해 독립적이며, 상기 제 1 영역이 꽉 찬 경우 상기 제 1 영역을 스크롤하는 수단; 을 구비하는 육필문자 입력장치.
KR1019950013176A 1994-05-31 1995-05-25 육필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KR1002389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731094A JPH07325881A (ja) 1994-05-31 1994-05-31 文字入力装置
JP94-117310 1994-05-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3940A KR950033940A (ko) 1995-12-26
KR100238911B1 true KR100238911B1 (ko) 2000-01-15

Family

ID=14708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3176A KR100238911B1 (ko) 1994-05-31 1995-05-25 육필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732152A (ko)
EP (1) EP0690405B1 (ko)
JP (1) JPH07325881A (ko)
KR (1) KR100238911B1 (ko)
DE (1) DE69529703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37443A (en) * 1994-11-14 1998-04-07 Motorola, Inc. Method of joining handwritten input
US5889888A (en) 1996-12-05 1999-03-30 3Com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mmediate response handwriting recognition system that handles multiple character sets
US5889897A (en) * 1997-04-08 1999-03-30 International Patent Holdings Ltd. Methodology for OCR error checking through text image regeneration
US5946496A (en) * 1997-12-10 1999-08-31 Cray Research, Inc. Distributed vector architecture
DE69829232T2 (de) * 1997-12-29 2005-07-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Suwon Mobilkommunikationsendgerät mit der Anzeige überlagertem flächigem Berührungssensor
US6167411A (en) * 1998-06-22 2000-12-26 Lucent Technologies Inc. User interface for entering and editing data in data entry fields
US7564995B1 (en) 2000-03-07 2009-07-21 Appl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cquiring and organizing ink information in pen-aware computer systems
CN1520574A (zh) * 2001-06-20 2004-08-11 �¿���˹�����ɷ����޹�˾ 识别手写图案的显示
US7039256B2 (en) * 2001-07-12 2006-05-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fficient verification of recognition results
US7499602B2 (en) * 2001-07-12 2009-03-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fficiency and speed in verification of recognition results
SE0202446D0 (sv) 2002-08-16 2002-08-16 Decuma Ab Ideon Res Park Presenting recognised handwritten symbols
US7170502B2 (en) * 2003-04-04 2007-01-30 Seiko Epson Corporation Method for implementing a partial ink layer for a pen-based computing device
JP2004318637A (ja) * 2003-04-18 2004-11-11 Osk:Kk ペン入力システム及びペン入力方法
ES2252629T3 (es) * 2003-05-08 2006-05-16 Orange S.A. Procedimiento y aparato de procesamiento de datos.
DE10348873A1 (de) * 2003-10-21 2005-06-02 Siemens Ag Kommunikationsgerät
CN100527123C (zh) * 2004-04-27 2009-08-12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由应用装置和输入服务器构成的字符输入系统
JP4683970B2 (ja) * 2005-03-24 2011-05-18 任天堂株式会社 タッチ入力プログラムおよびタッチ入力装置
US7502017B1 (en) 2007-11-20 2009-03-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Handwriting recognizer user interface methods
US8769427B2 (en) 2008-09-19 2014-07-01 Google Inc. Quick gesture input
JP6384079B2 (ja) * 2014-03-25 2018-09-0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手書きレイアウト検出印刷装置及び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11658A2 (en) * 1991-04-30 1992-11-04 Sony Corporation Character inputt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49483A (ja) * 1985-08-28 1987-03-04 Hitachi Ltd 実時間手書き文字認識の文字入力方式
JPH07113950B2 (ja) * 1985-05-31 1995-12-0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認識方法
US4839634A (en) * 1986-12-01 1989-06-13 More Edward S Electro-optic slate for input/output of hand-entered textual and graphic information
JPH01155484A (ja) * 1987-12-11 1989-06-19 Toshiba Corp 文字読取装置
US5233672A (en) * 1987-12-11 1993-08-03 Kabushiki Kaisha Toshiba Character reader and recognizer with a specialized editing function
US5005137A (en) * 1989-01-09 1991-04-02 Bmc Software, Inc. Method for optimizing data streams containing two-byte characters
US5347295A (en) * 1990-10-31 1994-09-13 Go Corporation Control of a computer through a position-sensed stylus
JPH04311275A (ja) * 1991-04-09 1992-11-04 Canon Inc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
JP3190074B2 (ja) * 1991-09-11 2001-07-16 株式会社東芝 手書き入力装置
US5455901A (en) * 1991-11-12 1995-10-03 Compaq Computer Corporation Input device with deferred translation
JP3188039B2 (ja) * 1993-05-11 2001-07-16 三洋電機株式会社 手書き文字記入枠の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11658A2 (en) * 1991-04-30 1992-11-04 Sony Corporation Character inputt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529703D1 (de) 2003-04-03
JPH07325881A (ja) 1995-12-12
US5732152A (en) 1998-03-24
EP0690405B1 (en) 2003-02-26
EP0690405A2 (en) 1996-01-03
KR950033940A (ko) 1995-12-26
EP0690405A3 (en) 1997-05-02
DE69529703T2 (de) 2003-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8911B1 (ko) 육필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US555994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note for an application program
US4912640A (en) Electronic type memo device
EP1683075B1 (en) Boxed and lined input panel
US7121462B2 (en) User programmable smart card interface system
JPS61275795A (ja) 文書処理装置
JPH06131110A (ja) 情報処理装置
JP2581692B2 (ja) 手書き情報入力装置
JPH05334496A (ja) 表示制御装置
JPH07141092A (ja) 手書き入力装置
JP2001147751A (ja) 情報端末及びその制御方法
JP3785205B2 (ja) タブレット入力装置およびタブレット入力方法
JPH08137865A (ja) 住所録管理機能付き文字情報処理装置
JP3001764B2 (ja) 情報入力装置および入力用ウインドウの表示制御方法と出力制御方法
JPS5940669Y2 (ja) 問合せキ−を有する自動取引装置
JPH06124165A (ja) 入力サブ画面を持つペン入力端末装置
JPH10116318A (ja) 文字認識装置
JP2001256557A (ja) 商品売上登録処理装置
JPH0455977A (ja) 振込みカード発行機
JPH05128297A (ja) 文字認識装置
JPH0749850A (ja) 文書処理装置
JPH06318284A (ja) 書面入力形自動取引機
JPS59220824A (ja) 文書作成装置
JPH07220007A (ja) 書面の書き込み欄への文字入力システム
JPS62151974A (ja) 取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1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