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8856B1 - 차량용 좌석 구조물 - Google Patents

차량용 좌석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8856B1
KR100238856B1 KR1019970003809A KR19970003809A KR100238856B1 KR 100238856 B1 KR100238856 B1 KR 100238856B1 KR 1019970003809 A KR1019970003809 A KR 1019970003809A KR 19970003809 A KR19970003809 A KR 19970003809A KR 100238856 B1 KR100238856 B1 KR 1002388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reinforcing member
reinforcing
seat structure
reclin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3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1615A (ko
Inventor
마사노리 오야부
마나부 하시모또
마사하루 다니노
사다오 이또
하루오 가또
Original Assignee
도요다 간시로
아이신 세키 가부시키가이샤
와다 아끼히로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다 간시로, 아이신 세키 가부시키가이샤, 와다 아끼히로,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다 간시로
Publication of KR970061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16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8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88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8Seat frames
    • B60N2/682Joi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07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characterised by the direction of the g-forces
    • B60N2/423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characterised by the direction of the g-forces transvers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205/00General mechanical or structural details
    • B60N2205/50Interlocking shaft arrangements transmitting movement between hinge mechanisms on both sides of a se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좌석 구조에 있어서, 차량의 폭 방향 외측 리클라이닝 장치와 차량의 폭 방향 내측 리클라이닝 장치를 연결시켜서 이들을 서로 상호 결합시키는 연결부재와, 튜브형이며 상기 연결 부재에 인접하게 마련되고 한 단부 부분이 상기 외측 리클라이닝 장치의 구조 부재에 고정되고 타 단부 부분이 상기 내측 리클라이닝 장치의 구조 부재에 연결되어 있는 보강 부재와, 측면 충돌 하중이 보강 부재의 좌굴 하중보다 큰 경우에 보강 부재를 차량 탑승자의 착석 공간이 좁아지게 하는 방향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 변형시키기 위한 변형 방향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좌석 구조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좌석 구조물
본 발명은 차량 좌석의 폭 방향 외측 리클라이닝 장치와 차량 좌석의 폭 방향 내측 리클라이닝 장치를 연결시켜서 이들 리클라이닝 장치를 서로 상호 결합시키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 부재에 인접하게 마련된 튜브형의 보강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보강 부재의 각각의 단부는 각각의 리클라이닝 장치(이하에서는 폭 방향 외측은 간단히 외측이라 하고 폭 방향 내측은 간단히 내측이라고 함)의 대응하는 구조 부재에 고정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차량용 좌석 구조물(이하에서는, 차량 좌석 구조물이라고 함)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차량의 측면 충돌(이하에서는, 필요에 따라 "측면 충돌"이라고만 한다)에 대한 여러 가지 대책이 취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차량 좌석 구조물의 관점에서 볼 때에 위와 같은 대책으로는, 좌석 등받이의 주 구조물을 형성하는 등받이 프레임과 좌석 쿠션의 주 구조물을 형성하는 좌석 쿠션 프레임의 판 두께를 증가시킴으로써 차량 좌석 구조물의 강성을 보강하는 것과, 그리고 차량 좌석 구조물에 다수의 보강 부재를 추가함으로써 차량에 작용하는 측면 충돌 하중에 대한 지지 강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있다. 그러나 차량 좌석 구조물에 사용할 수 있는 구조 부재의 수뿐만 아니라 좌석 등받이 프레임과 좌석 쿠션 프레임의 판 두께가 증가하고 이에 따라 차량 좌석의 중량이 증가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차량 좌석의 폭 방향을 따라서 튜브형 부재를 배치하여 위와 같은 단점 즉, 차량 좌석 등의 중량이 증가하는 단점을 방지하는 차량 좌석 구조물의 해결방법에 대해서 개시되어 있다(미국 특허 제4,231,607호, 제5,407,244호, 제5,507, 554호 등). 이하에서 상기 미국 특허 제5,407,244호 및 제5,507,554호의 공보에 개시된 차량 좌석 구조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운전자 좌석용 전방 좌석(100)의 개략적 정면도가 제11도에 도시되어 있다. 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방 좌석(100)은 좌석 쿠션(102), 좌석 쿠션(102)의 후방 단부에서 직립 상태로 설치되고 리클라이닝 장치(104)에 의해 젖힐 수 있는 좌석 등받이(106), 그리고 좌석 등받이(106)의 상단부에 설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게 조정할 수 있는 헤드 레스트(108)를 포함한다.
좌석 활주 자치(110)는 좌석 쿠션(102)의 하단부에 설치된다. 좌석 활주 장치(110)는 한 쌍의 브라켓(114)에 의해 플로어 패널(floor pannel, 112)에 고정된 한 쌍의 하부 레일(116)과, 좌석 쿠션(102)의 하단부에 설치되고 하부 레일(116)에 삽입 장착된 한 쌍의 상부 레일(118)로 구성된다. 따라서, 전방 좌석(100)이 차량의 종방향으로는 활주할 수 있지만 차량의 폭 방향으로는 움직일 수 없게 지지된다.
한편, 좌석 등받이(116)의 프레임 역할을 하는 좌석 등받이 프레임(120)은 프레임 형상이다. 좌석 등받이 프레임(120)의 하단부(120A)에는 단일 튜브형의 보강부재(122)가 한 쌍의 브라젯(124)에 의해서 설치된다. 보강 부재(122)의 종방향은 좌석 등받이(106)의 폭 방향을 따른다. 디스크형 형상을 하고 있는 하중 입력부(126)와 하중 출력부(128)의 각각은 보강 부재(122)의 각각의 단부에 고정된다. 하중 입력부(126)와 하중 출력부(128)는 리클라이닝 하부 아암(130)에 인접하게 배치되어서 리클라이닝 장치(104)의 일 부분을 형성하며, 좌석 쿠션(102)의 후방 단부 및 폭 방향 단부에 배치된다. 하중 입력부(126)와 리클라이닝 하부 아암(130)들 중 어느 한 아암과의 사이와 그리고 하중 출력부(128)와 리클라이닝 하부 아암(130)의 다른 아암과의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이 마련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르면, 제1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위치(즉, 2점 쇄선으로 도시한 위치)에 있는 차량의 측면 도어(132)가 다른 차량의 차체(134)의 전방 범퍼(136)에 의해 타격을 받을 때에 측면 도어(132)는 차량의 내측을 향하여(즉, 2점 쇄선으로 나타낸 위치로부터 1점 쇄선으로 나타낸 위치 쪽으로)변형된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측면 도어(132)의 내부 판넬은 전방 좌석(100)의 리클라이닝 장치(104)의 외부 단부와 맞닿게 되고, 리클라이닝 하부 아암(130)이 변위되어서 하중 입력부(126)와 맞닿게 된다. 따라서, 보강 부재(122)는 보강된 콘솔 박스(138) 쪽이나 혹은 플로어 터널 쪽을 향해서(즉, 차량의 횡방향에서 안쪽으로) 변위되므로 하중 출력부(128)가 (차량의 폭 방향에서 차량 안쪽으로 배치되어 있는) 다른 리클라이닝 하부아암(130)과 맞닿게 된다. 이러한 방식에 있어서, 측면 충돌 하중에 흡수 및 감소되는 중에 보강 부재(122)를 거쳐서 전방 승객 좌석 측면의 보강된 콘솔 박스(138)로 전달되며 최종적으로 플로어 판넬(112)로 전달됨으로써 측면 충돌 하중이 흡수된다. 이 결과, 차량 좌석의 폭 방향에서의 전방 좌석(100)에 대한 충격이 방지된다.
그러나 하중 입력부(126)를 통하여 보강 부재(122)로 가해지는 측면 충돌 하중이 보강 부재(122)의 좌굴 하중 보다 큰 경우에, 보강 부재(122)는 종방향 중앙부에서 크게 굽혀질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차량 좌석 구조물에 의하면, 보강 부재(122)의 변형 방향은 각각의 경우에 따라 특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보강 부재(122)가 차량 탑승자 쪽을 향해서 변형되어 차량 탑승자의 착석 공간을 줄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고려한, 본 발명의 목적은 측면 충돌 하중이 보강 부재의 좌굴 하중보다 큰 경우라도 차량 탑승자의 착석 공간이 확보되는 차량 좌석 구조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방 좌석 구조물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제2도의 선 1-1를 따라서 도시한 확대 횡단면도.
제2도는 전방 좌석의 하부 구조물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제5도의 선 2-2를 따라서 도시한 확대 횡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전방 좌석의 하부 구조물을 조립된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
제4도는 제3도의 전방 좌석의 하부 구조물에 있는 연결 봉과 보강 부재를 분해된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방 좌석의 개략적 측면도.
제6a도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작동을 설명하는 데 이용되는 것으로서 보강 부재와 판에 대한 측면도.
제6b도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작동을 설명하는 데 이용되는 것으로서 보강 부재와 판에 대한 정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강 부재의 좌굴 변형 방향과 차량 탑승자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전방 좌석에 대한 개략적 측면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방 좌석 구조물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제1도에 대응하는 확대 횡단면도.
제9a도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작동을 설명하는 데 이용되는 것으로서 보강 부재와 판에 대한 측면도.
제9b도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작동을 설명하는 데 이용되는 것으로서 보강 부재와 판에 대한 정면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보강 부재의 좌굴 변형 방향과 차량 탑승자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제7도에 대응하는 전방 좌석에 대한 개략적 측면도.
제11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 전방 좌석 구조물을 나타내는 것으로 전방 좌석에 대한 정면도.
제12도는 제11도의 차량 좌석 구조물을 채용하는 경우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전방 좌석에 대한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방좌석 12 : 좌석 쿠션
14 : 좌석 등받이 16 : 헤드 레스트
18 : 하부 레일 20, 22 : 브라켓
28 : 외측 리클라이닝 장치 30 : 내측 리클라이닝 장치
50 : 연결 봉 52, 62 : 보강 부재
54, 64 : 판
본 발명의 제1 태양에 따르면, 차량의 폭 방향 외측 리클라이닝 장치와 차량의 폭 방향 내측 리클라이닝 장를 연결시켜서 이들을 서로 상호 결합시키는 연결 부재와, 일 단부가 외측 리클라이닝 장치의 구조 부재에 고정되고 타 단부가 내측 리클라이닝 장치의 구조 부재에 고정되며 상기 연결 부재에 인접하게 마련된 튜브형의 보강 부재와, 측면 충돌 하중이 보강 부재의 좌굴 하중보다 큰 경우에 보강 부재를 차랑 탑승자의 착석 공간이 좁아지게 하는 방향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 변형시키는 변형 방향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차량 좌석 구조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2 태양에 따르면, 보강 부재는 연결 부재의 외주연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의 제1 태양에 따른 차량 좌석 구조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3 태양에 따르면, 보강 부재는 장착부를 구비하며, 장착부들의 각각은 보강 부재의 단부에 마련되며, 장착부들 중 하나의 장착부는 외측 리클라이닝 장치의 구조 부재에 고정되고 장착부의 다른 하나의 장착부는 내측 리클라이닝 장치의 구조 부재에 고정되며, 장착부들은 보강 부재의 축선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의 제1 태양 또는 제2 태양에 따른 차량 좌석 구조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4 태양에 따르면, 변형 방향 제어 수단은 장착부에 작용하는 측면 충돌 하중의 하중 입력점이 보강 부재의 축선보다 차량의 전방 쪽으로 더 향하게 위치되도록 장착부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의 제3 태양에 따른 차량 좌석 구조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5 태양에 따르면, 보강 부재의 횡단면 형상은, 차량의 종방향에서의 보강 부재의 굽힘 강성이 차량의 수직 방향에서의 보강 부재의 굽힘 강성보다 크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의 상기 여러 태양들 중 어느 하나의 태양에 따른 차량 좌석 구조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1 태양에 따르면, 차량의 측면이 충돌 당하였을 때에 연결 부재의 일 단부는 외측 리클라이닝 장치의 구조 부재에 고정되고 연결 부재의 타 단부는 내측 리클라이닝 장치의 구조 부재에 고정되므로 이에 따라 측면 충돌 하중은 보강 부재로 가해지게 된다. 이 경우에, 측면 충돌 하중이 보강 부재의 좌굴 하중보다 크면 보강 부재는 좌굴 변형을 받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강 부재를 차량 탑승자의 착석 공간이 좁아지게 하는 방향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 변형시키는 변형 방향 제어 수단이 제공된다. 이 결과, 차량 탑승자의 착석 공간이 신뢰성 있게 확보된다.
보강 부재로 가해지는 측면 충돌 하중이 보강 부재의 좌굴 하중보다 작게 되면 보강 부재는 좌굴 변형을 받지 않고 측면 충돌 하중을 지탱하므로 이에 따라 차량 탑승자의 착석 공간이 좁아지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제2 태양에 따르면, 튜브형 보강 부재가 연결 부재의 외주연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의 제1 태양에 따른 차량 좌석 구조물이 제공 되는데, 이에 따라 보강 부재는 연결 부재의 보호 부재 역할을 한다. 따라서, 차량의 정면 충돌 시의 정면 충돌 하중 및 차량의 후방 충돌 시의 후방 충돌 하중으로 인하여 연결 부재가 차량의 전방이나 후방을 향해 변형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는 점에서 양호한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태양에 따르면, 튜브형 보강 부재가 연결 부재와 동축 이 되게 연결 부재의 외주연부에 마련된다. 이 경우에 차량 좌석 구조물은 보강 부재를 연결 부재와 동축이 되지 않게 연결 부재의 외주연부에 설치한 경우보다 소형으로 할 수 있다. 이 결과, 상기와 같은 차량 좌석 구조물은 뒷좌석의 차량 탑승자가 발을 놓는 공간을 침범하지 않게 된다는 점에서 양호한 효과가 달성된다.
본 발명의 제1 및 제2 태양에 따른 제3 태양에 따르면, 보강 부재는 그 각각의 단부에 장착부를 구비하며, 장착부의 각각은 보강 부재의 단부에 마련되며, 장착부들 중 하나의 장착부는 외측 리클라이닝 장치의 구조 부재에 고정되고 장착부들 중 다른 하나의 장착부는 내측 리클라이닝 장치의 구조 부재에 고정되며, 상기 장착부들은 보강 부재의 축선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된다. 이 경우의 유효 고정 영역은, 보강 부재가 그 단부에 장착부를 구비하지 않고 리클라이닝 장치의 각각의 구조 부재에 직접 고정되는 경우보다도 더 넓게 형성된다. 이 결과, 차량 좌석의 강성과 좌석에 착석한 차량 탑승자의 승차감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제3 태양에 따른 제4 태양에 따르면, 장착부의 각각에 작용하는 측면 충돌 하중의 하중 입력점이 보강 부재의 축선보다 차량의 전방 쪽으로 더 향하게 위치되도록 변형 방향 제어 수단이 장착부에 고정된다. 따라서, 장착부의 각각의 형상 등을 변경시킴으로써 측면 충돌 하중의 하중 입력점을 결정하는 고정점의 위치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게 되므로, 측면 충돌 하중의 하중 입력점을 설정하는 자유도가 증가하게다. 이 결과, 보강 부재의 좌굴 변형 방향의 변환이 용이해진다.
본 발명의 상기 태양들 중 어느 한 태양에 따른 본 발명의 제5 태양에 따르면, 차량의 종방향에서의 보강 부재의 굽힘 강성이 차량의 수직 방향에서의 보강 부재의 굽힘 강성보다 크도록 보강 부재의 횡단면 형상이 형성된다. 따라서, 보강 부재의 굽힘 강성을 결정하는 보강 부재의 횡단면 형상을 변경시킴으로써 차량의 종방향 및 수직 방향에서 굽힘 강성을 설정하는 자유도가 증가하게 된다. 이 결과보강 부재의 좌굴 변형 방향의 변환이 용이해진다.
이하에서는 도1 내지 도7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도면에서, 화살표 FR은 차량 전방을 향하고, 화살표 UP은 차량의 상부를 향하고, 화살표 IN은 차량의 내부를 향하고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된 전방 좌석(10)의 개략적 측면도가 도5와 도7에 각각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좌석(10)은 차량 탑승자가 참석하는 좌석 쿠션(12), 좌석쿠션(12)의 후방 단부에 차량의 종방향에서 직립된 상태로 장착되어 차량 탑승자가 등을 기대는 것으로 이용되는 좌석 등받이(14)와, 좌석 등받이(14)의 상단부에 설치되고 상승 및 하강되게 조정되는 헤드 레스트(16)로 구성된다.
도3은 전방 좌석(10)의 하부의 하부 구조물을 조립된 상태로 도시한 것이고, 도4는 하부 구조물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고, 도2는 도5의 선 2-2를 따라서 도시한 하부 구조물에 대한 종방향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U자형인 횡단면 형상을 하고 있는 한 쌍의 하부 레일(18)이 좌석 쿠션(12)의 바닥부에 설치되고 브라켓(20, 22)을 통해서 차량의 플로어 판넬에 고정되는데, 상기 브라켓(20, 22)은 하부 레일(18)의 종방향으로 각각 배치된다. 각각이 실질적으로 모자형 횡단면 형상을 하고 있는 한쌍의 상부 레일(24)이 하부 레일의 종방향으로 활주 가능하도록 하부 레일(18) 각각에 삽입 및 장착된다. 한 쌍의 기부 판(26)이 상부 레일(24)의 상단부 표면에 고정된다. 기부 판(26)의 각각은 실질적으로 L자형인 횡단면 형상을 하고 있으며 기부 판(26)의 종방향은 차량의 종방향에 대응한다. 더욱이, 기부 판(26)의 후방 단부(26A)는 기부 판(26)의 전방단부로부터 차량의 상부 쪽(즉, 등받이(14) 쪽)으로 연장된다.
외측 리클라이닝 장치(28)가 외측 기부 판(26)의 후방 단부(26A)에 설치된다. 내측 리클라이닝 장치(30)가 내측 기부 판(26)의 후방 단부(26A)에 설치된다. 기본적으로, 내측 리클라이닝 장치(30)와 외측 리클라이닝 장치(28)는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내측 리클라이닝 장치(30)에 대해서는 필요하면 설명하겠지만, 외측 리클라이닝 장치(28)의 구조에 대해서 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보스부(32)는 외측 기부 판(26)의 후방 단부(26A)의 실질적인 중앙부 상에 성형된다. 힌지 핀(34)의 주 축부(34A)는 보스부(32)에 선회 가능하게 지지된다. 힌지 핀(34)은 주 축부(34A)와, 외주연부 표면에 톱니를 구비하며 주 축부(34A)의 내부 단부에 이와 동축이 되게 마련된 삽입 장착부(34B)와, 중간부에서 주 축부(34A)에 동축이 되게 마련된 캠부(34C)로 구성된다. 힌지 핀(34)은 구동 장치(36)로부터 구동력을 받게 되면 축방향으로 회전한다. 이하에서는 구동 장치(36)의 구조의 일례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한다. 구동 장치(36)는 하우징(38)과, 하우징(38) 안에 수용되며 도시되지 않은 리클라이닝 스위치를 작동시키게 되면 구동되어서 회전하는 리클라이닝 모터와, 리클라이닝 모터로부터 구동력을 받게 되면 회전하게 되는 구동 기어와, 구동 기어와 맞물리며 힌지 핀(34)을 저속으로 회전시키기 위하여 힌지 핀(34)의 외부 단부에 고정된 연결 기어로 구성된다.
또한, 평판형 하부 기어(40)는 외측 기부 판(26)의 후방 단부(26A)의 외측부에 리벳 등과 같은 고정구(42)로 체결된다(도3 및 도4 참조). 원통형 보스부(40A)는 하부 기어(40)의 중앙부에 성형되고, 힌지 핀(34)의 주 축부(34A)는 베어링 부재(43)를 거쳐서 원통형 보스부(40A) 안에 삽입된다. 더욱이, 바닥부(40B)는 이 바닥부(40B)가 바닥 형성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후방 단부(26A)를 향해서 양각되게 하기 위해서 보스부(40A)를 포함한 하부 기어(40)의 실질적인 중앙부에 마련된다. 바닥부(40B)는 또한 외주연부 상에 성형된 외부 기어(44)를 구비한다.
또한, 상부 기어(46)는 기부 판(26)의 후방 단부(26A)와 하부 기어(40) 사이에 설치된다. 상부 기어(46)는 원통형 보스부(46A)가 상부 기어(46)의 중앙부 상에 성형되도록 좌석 등받이(14)에 고정된다. 중심 축이 베어링 부재(47)를 거쳐서 힌지핀(34)의 중심 축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편심되어 있는 편심 캠부(34C)가 보스부(46A) 안에 삽입된다. 바닥부(46B)는 이 바닥부(46B)가 바닥 형성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후방 단부(26A)를 향해서 양각되게 하기 위해서 보스부(46A)를 포함한 하부 기어(40)의 실질적인 중앙부에 마련된다. 또한, 바닥부(46B)는 그 내주연부 상에 성형된 내부 기어(48)를 구비한다. 상부 기어(46)의 내부 기어(48)는 하부 기어(40)의 외부 기어(44)의 일부와 맞물린다. 기어의 수는 상부 기어(46)의 내부 기어(48)의 수가 하부 기어(40)의 외부기어(44)의 수보다 하나 이상이 많게 해야 한다. 따라서, 힌지 핀(34)이 그 축방향으로 회전하게 됨에 따라 캠부(34C)는 편심되게 회전한다. 따라서, 상부 기어(46)는 상부 기어(46)의 반경 방향에서 외측으로 작용하는 가압력을 받아서 상부 기어(46)의 내부 기어(48)의 일부가 하부 기어(40)의 외부 기어(44)와 맞물림으로써 차량의 종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 결과, 전방 좌석(10)이 눕혀지는 각이 변경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외측 힌지 핀(34)과 내측 힌지 핀(34)의 삽입 장착부(34B) 각각은 이둔 삽입 장착부(34B)의 각각에 형성된 톱니 안으로 삽입 장착되는 연결 부재로서의 튜브형 연결 봉(50)에 의해서 연결된다. 따라서, 외측 리클라이닝장치(28)와 내측 리클라이닝 장치(30)는 연결 봉(50)을 거쳐서 연결되므로, 외측 리클라이닝 장치(28)로부터의 구동력이 내측 리클라이닝 장치(30)로 전달된다.
도2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형의 보강 부재(52)가 상기 연결 봉(50)의 외주연부에 이와 동축을 이루도록 삽입 및 장착된다. 보강 부재(52)의 단부들은 각각의 판(54)에 강제로 끼워 맞춤되거나 혹은 삽입되어서 용접된다. 판(54)은 실질적으로 삼각형인 평판을 갖는 장착부(54A)와, 장착부(54A)의 실질적인 중앙부로 부터 판(54)의 두께 방향에서의 일부까지 연장된 원통형 지지부(54B)로 구성된다. 지지 부(54B)의 내경 크기는 보강 부재(52)의 단부가 지지부(54B) 안에 강제로 끼워 맞춤되거나 혹은 삽입될 수 있도록 보강 부재(52)의 외경 크기와 동일하게 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장착 구멍(56)이 장착부(54A)의 구석 부분 근처에 형성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판(54)은 기부 판(26)의 후방 단부(26A)의 소정의 부분에 스크루 부재로서의 용접 볼트(58) 및 너트(60)에 의해서 고정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한 쌍의 용접 볼트(58)가 차량의 폭 방향에서 차량의 외측으로부터 기부 판(26)의 후방 단부(26A)에 체결되므로 용접 볼트(58)를 기부 판(26)의 한 쌍의 장착 구멍(56) 안으로 각각 삽입시키고 너트(60)를 용접 볼트(58) 상에 나사 체시키게 되면 판(54)이 기부 판(26)에 고정된다.
또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54)을 기부 판(26)에 고정시키는 위치는, 상기 판(54)이 위에 고정되는 한 쌍의 지점[즉, 용접 볼트(58)와 너트(60)에 의해 설정된 한쌍의 고정 지점]을 기부 판(26)에 연결시키는 선의 중심점(P)이 보강 부재(52)의 무게 중심(Q)보다 차량의 전방 쪽(즉, 차량 탑승자 쪽)으로 더 향하게 배치되도록 설정된다.
이어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작용과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태양에 따른 차량 좌석 구조물을 갖는 차량의 외측으로부터 차량에측면 충돌이 일어난 때에, 차량 측면 도어의 내측 도어 판넬은 강제로 변형되어서 차량의 전방 좌석(10) 쪽을 향해서 돌출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측면 충돌 하중이 차량의 내측 판넬을 거쳐서 전방 좌석(10)의 외측 부분 상의 측면 부분으로 가해진다. 이 경우에 있어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보강 부재(52)가 외주연부에서 연결 봉(50)과 동축이 되게 제공되기 때문에, 차량에 작용하는 측면 충돌 하중이 보강 부재(52)의 좌굴 하중보다 작은 때에 측면 충돌 하중은 보강 부재(52)의강성으로 인하여 흡수된다. 따라서, 보강 부재(52)는 좌굴 변형을 받지 않으며 전방 좌석(10)의 차량 탑승자의 착석 공간은 유지된다.
반면에, 차량으로 가해지는 측면 충돌 하중이 보강 부재(52)의 좌굴 하중보다 큰 때에는 보강 부재(52)는 좌굴 변형을 받게 된다. 이하에서는 이 경우에서의 보강 부재(52)의 거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6a 및 도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 충돌 하중이 기부 판(54)을 거쳐서 기부 판(26)으로 가해질 때, 반작용력(즉, 좌굴 하중) W가 발생하여서 판(54)의 장착부(54A)를 거쳐서 보강 부재(52) 상에 작용하게 된다. 장착부(54A)는 한 쌍의 용접 볼트(58) 및 한 쌍의 너트(60)에 의해서 기부 판(26)에 고정된다. 따라서, 판(54)의 한 쌍의 체결 지점을 연결시키는 선의 중심점(P)은 장착부(54A) 안으로의 판(54)의 하중 입력 지점을 나타낸다. 반면에, 보강 부재(52)의 무게 중심(Q)은 하중 입력 지점(P)(즉, 중심점)으로부터 δ 만큼 변위 또는 편심된다.
따라서, 소정의 굽힘 강성 모멘트 M(=W×δ)이 보강 부재(52)의 단부 상에 작용한다. 보강 부재(52)는 화살표 R(도1 및 도7에 도시됨)로 나타낸 방향 즉, 차량의 상부 측 및 대각선 방향의 후방 측에 대응하는 굽힘 강성 모멘트 M의 작용방향으로 좌굴 하장을 받게 된다. 결론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가해지는 측면 충돌 하중이 보강 부재(52)의 좌굴 하중보다 큰 경우라도 전방 좌석(10)의 차량 탑승자의 착석 공간이 최소화되지 않고 이에 따라 신뢰성 있는 착석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는 판(54)을 기부 판(26)에 고정시키는 위치를, 보강 부재(52)의 단부에 체결되는 판(54) 상에 작용하는 하중 입력점(P)(즉, 중심점)이 보강 부재(52)의 무게 중심(Q)의 차량 전방 쪽(즉, 차량 탑승자 쪽)에 배치되는 위치에 설정되도록 구성되므로 보강 부재(52)의 좌굴 변형 방향이 제어된다. 따라서, 측면 충돌 하중의 입력점(P)을 결정하는 판(54)의 하중 입력 지점(즉, 중심점)(P)은 판(54)의 장착부(54A) 등의 형상을 변경시킴으로써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다. 따라서, 측면 충돌 하중의 하중 입력점(P)의 지점을 설정하는 자유도가 향상되므로 보강 부재(52)의 좌굴 변형 방향(즉, 화살표 R 방향)의 변환이 용이해진다.
이상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기본적인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작용과 효과도 나타난다.
첫째로,본 실시예는 튜브형 보강 부재(52)가 연결 봉(50)의 외주연부에 이와 동축을 이루면서 마련되고, 연결 봉(50)이 외측 리클라이닝 장치(28)와 내측 리클라이닝 장치(30)를 연결시켜서, 이들 리클라이닝 장치들이 서로 상호 결합되도록 구성되므로, 연결 봉(50)은 보강 부재(52)에 의해서 보강 또는 보호된다. 따라서, 차량의 정면 충돌 시의 정면 충돌 하중과 차량의 후방 충돌 시의 후방 충돌 하중에 의해서 야기되는 것으로서 연결봉(50)이 차량 후방 측 또는 차량 전방 측을 향해서 변형되는 것이 방지된다.
둘째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튜브형 보강 부재(52)가 연결 봉(50)의 외주연부에 이와 동축을 이루면서 설치되기 때문에, 위와 같은 좌석 구조물을 갖는 차량의 착석 공간이 감소하는 것은, 튜브형 보강 부재(52)가 연결 봉(50)의 외주연에 이와 동축을 이루지 않는 상태(편위 등)로 설치되는 좌석 구조물을 갖는 것에 비하여 더 효율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차량의 뒷좌석에 착석한 차량 탑승자의 다리를 수용하기 위한 전방 좌석(10)의 후방 부분의 공간이 좁아지지 않는다. 즉, 뒷좌석에 앉아 있는 차량 탑승자의 다리로서 수용하기 위한 전방 좌석(10)의 좌석 쿠션(12)의 하부 공간의 수용성이 방해되지 않는다.
셋째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판(54)이 보강부재(52)의 단부에 고정된다. 보강 부재(52)는 각각의 판(54)의 장착부(54A)를 거쳐서 외측 리클라이닝 장치(28)와 내측 리클라이닝 장치(30)의 기부 판(26)의 각각의 후방 단부(26A)에 고정되므로 전방 좌석(10)의 장착 강성이 증가된다. 이 결과, 전방 좌석(10)에 앉아있는 차량 탑승자의 승차감이 향상된다.
이혜서는 도8 내지 도10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예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으므로 이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8, 도9a 및 도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튜브형의 보강 부재(62)는 연결 봉(50)의 외주연부에 설치되고, 그 횡단면은 장축 방향 이 실질적으로 차량의 종방향으로 향하는 실질적으로 타원형인 형상이다. 보강 부재(62)의 단부에 고정된 판(64)의 각각의 형상은 보강 부재(62)의 횡단면 형상에 일치하도록 변경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판(64)은 실질적으로 마름모 평판 모양의 형상을 갖는 장착부(64A)와 실질적으로 타원형인 원통형 형상을 갖는 지지부(64B)를 포함한다. 지지부(64B)는 장착부(64A)의 두께 방향에서의 중심부로부터 점진적으로 돌출하고, 보강 부재(62)의 단부들의 각각은 상기 지지부 안으로 강제로 끼워맞춤되거나 혹은 삽입된다. 또한, 판(64)은 장착부(64A)의 두께 방향에서의 중심부에 있는 내부 단부에서 용접 볼트(58)와 너트(60)에 의해서 후방 단부(26A)에 체결된다.
따라서, 긴 칼럼(column)의 좌굴 하중은 통상적으로 오일러 방정식[ σ= n π2E/(L/K)2, 여기서 (L/K)는 세장비]에 의해서 다음과 같이 결정된다.
좌굴 하중 W = n ×π2 ×E ×IZ/L2 (1)
여기서, n은 단부 사용 요건 인자(긴 칼럼의 단부가 힌지 연결된 단부를 갖는 경우 n=1, 긴 칼럼의 단부가 고정 단부를 갖는 경우 n=4), E는 영률(young's modulus), IZ는 기하학적 관성 모멘트, E×IZ는 굽힘 강성 모멘트, L은 칼럼의 길이이다.
상기 식(1)로부터 판단해 보면, 좌굴 하중 W는 굽힘 강성 모멘트(E×IZ) 비례하고, 이에 따라 굽힘 강성이 비교적 작은 칼럼의 방향으로 긴 칼럼의 좌굴이 일어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실을 비추어 볼 때, 제2 실시예는 도9a 및 도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 부재(62)의 영역의 기하학적 관성 모멘트 I로서 y축에 대한 기하학적 관성 모멘트 Iy가, x축의 기하학적 관성 모멘트 Ix보다 크도록(즉, Iy 〉Ix) 구성된다. 따라서, 보강 부재(62)는 차량의 상부 측 및 대각선 후방 측에 대응하는 화살표 R방향이나 혹은 차량의 하부 측 및 대각선 전방 측에 대응하는 화살표 R' 방향으로 좌굴 변형을 받는다. 이 결과, 가해지는 측면 충돌 하중이 보강 부재(62)의 좌굴 하중보다 큰 경우라도 전방 좌석(10)에 앉아 있는 차량 탑승자의 착석 공간 이 변하지 않으므로 신뢰성 있는 착석 공간이 확보된다.
제2 실시예는 차량의 수직 방향에서의 보강 부재(62)의 굽힘 강성이, 차량의 종방향에서의 보강 부재(62)의 굽힘 강성보다 커지도록 하는 형상으로 보강 부재(62)의 횡단면을 형성시킴으로써 보강 부재(62)의 좌굴 변형 방향이 제어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차량의 종방향과 수직 방향에서의 보강 부재(64)의 굽힘 강성을 설정하는 자유도는 보강 부재의 굽힘 강성을 결정하는 보강 부재(62)의 횡단면 형상을 자유롭게 선택함으로써 향상된다. 이 결과, 보강 부재(62)의 좌굴 변형 방향(즉, 도9a에서 화살표 R 및 R'으로 나타낸 방향)의 변환이 용이해진다.
또한, 제2 실시예는 튜브형 보강 부재(62)가 연결 봉(50)의 외주연부에 이와 동축을 이루면서 설치되고 판(64)을 통해서 기부 판(26)에 고정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효과가 달성된다.
또한, 제2 실시예에 따르면, 횡단면 형상이 실질적으로 타원형 형상인 보강 부재(62)가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차량의 수직 방향에서의 보강 부재(62)의 굽힘 강성이, 차량의 종방향에서의 보강 부재(62)의 굽힘 강성보다 적어지게 하는 형상으로 보강 부재(62)의 횡단면이 형성되어 있는 한, 횡단면 형상은 일례로 직사각형 등으로 형성된 보강 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예는 차량의 종방향에서의 보강 부재(62)의 굽힘 강성이, 차량의 수직 방향에서의 보강 부재(62)의 굽힘 강성보다 크게 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횡단면 형상을 갖는 보강 부재(62)를 사용함으로써 보강 부재(62)의 좌굴 변형 방향이 제어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제2 실시예의 구성과 제1 실시예의 구성을 조합한 구성을 만들 수도 있다.
더욱이,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에 따르면, 판(54, 64)의 각각이 보강부재(52, 62)의 각각의 단부에 용접된 때에 판(54, 64)과 보강 부재(52, 62)는 별개의 부품으로 각각 형성된다. 그러나 판(54, 64)의 각각에 대응하는 장착부는 보강 부재(52, 62)의 각각과 하나의 부품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일례로, 보강 부재의 축 방향으로 90°의 간격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슬릿들이 보강 부재의 단부에 형성된다. 즉, 장착부는 상기 슬릿에 의하여 형성된 4개의 부품들을 보강 부재의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서 굽힘으로써 형성된다.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실시예는 판(54)의 한 쌍의 고정점을 연결하는 선의 중심점(P)이 보강 부재(52)의 무게 중심(Q)보다 차량의 전방 쪽으로 더 향하게 배치되도록 판(54)을 기부 판(26)에 고정시키는 고정점의 위치가 설정되게 구성된다. 제2 실시예는 차량의 종방향에서의 보강 부재(62)의 굽힘 강성과 판(64)의 지지부(64B)의 굽힘 강성이, 차량의 수직 방향에서의 보강 부재(62)의 굽힘 강성과 판(64)의 지지부(64B)의 굽힘 강성보다 적어지게 하는 형상으로 보강 부재(62)의 횡단면과 판(64)의 지지부(64B)의 횡단면이 형성되게 구성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1 태양과 관련하여 볼 때,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슬릿, 얇은 벽 부분, 구멍, 리브(rib), 비이드(bead) 등을 마련함으로써 굽힘 강성이 낮거나 혹은 높은 보강 부재를 보강 부재의 종방향에서의 보강 부재의 중심 부분에 인접하게 의도적으로 설치하여서 보강 부재의 변형 방향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수정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소정의 측면 충돌 하중에 대하여 보강 부재는 외측 리클라이닝 장치(28)와 내측 리클라이닝 장치(30) 사이에서 발생한 강성에 기인한 측면 강성 하중을 흡수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사실들을 감안할 때,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에서의 판과 보강 부재는 균일한 횡단면 형상을 가지기 때문에 더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에 따르면, 보강 부재(52, 62)각각은 연결 봉(50)의 외주연부에 이것과 동축으로 배치된다. 그러나 보강 부재(52, 62)를 연결 봉(50)의 외주연부와 필히 동축으로 배치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보강 부재(52, 62) 각각을 연결 봉(50)에 인접하게 배치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에서, 판(54, 64)의 각각은 장착부로서의 보강 부재(52, 62) 각각의 단부에 고정된다. 그러나 보강 부재(52, 62)의 각각의 단부들 중 일 단부를 외측 리클라이닝 장치(28)의 구조 부재에 직접 고정하고 보강 부재(52, 62)의 각각의 단부들 중 타 단부를 외측 리클라이닝 장치(28)의 구조 부재에 용접 등에 의해 직접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장착부를 필수적으로 사용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이 경우, 보강 부재(52)의 단부의 횡단면은 원형이다. 따라서, 보강 부재(52)의 단부들을 외측 리클라이닝 장치(28)의 구조 부재 및 내측 리클라이닝 장치(30)의 구조 부재에 단순히 용접 등에 의해서만 직접 고정하는 것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상기한 바와 같은 작용 및 효과를 얻기에 충분하지 않다. 이 경우, 보강 부재(52)의 각각의 단부는, 보강 부재(52)로 가해지는 하중 지점이 보강 부재(52)의 무게 중심보다 차량 탑승자 쪽으로 더 근접하게 위치되는 벌징 가공된(bulged) 형상이 형성되도록 보강 부재(52)의 각 단부를 벌징 가공 등에 의해서 보강 부재(52)의 단부의 외경 방향으로 벌징 가공한 후에 용접을 행함으로써 외측 리클라이닝 장치(28)와 내측 리클라이닝 장치의 대응하는 구조 부재에 고정된다.
또한,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 보강 부재(52, 62)의 각각의 단부[즉, 각각의 판(54, 64)]가 기부 판(26)의 후방 단부(26A)에 각각 고정된다. 그러나, 각각의 보강 부재(52, 62) 단부들을 기부 판(26)의 후방 단부(26A)에 각각 고정시켜야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각각의 보강 부재(52, 62)의 단부[즉, 판(54, 64)]의 각각은 리클라이닝 장치의 각각의 구조 부재[즉, 상부 기어(46) 및 하부 기어(40)등]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량용 좌석 구조물에 의하면, 측면 충돌 하중이 보강 부재의 좌굴 하중보다 큰 경우라도 차량 탑승자의 착석 공간이 확보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0)

  1. 차량용 좌석 구조물(10)에 있어서, 차량의 폭 방향 외측 리클라이닝 장치(28)와 차량의 폭 방향 리클라이닝 장치(30)를 연결시켜서 이들을 서로 상호 결합시키는 연결 부재(50)와, 일 단부가 상기 외측 리클라이닝 장치(28)의 구조 부재에 고정되고 타 단부가 상기 내측 리클라이닝 장치(30)의 구조 부재에 고정되며,상기 연결 부재(50)에 인접하게 마련된 튜브형의 보강 부재(52, 62)와, 측면 충돌 하중이 상기 보강 부재(52, 62)의 좌굴 하중보다 큰 경우에 상기 보강 부재(52, 62)를 차량 탑승자의 착석 공간이 좁아지게 하는 방향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 변형시키는 변형 방향 제어 수단(54, 58, 60, 6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좌석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52, 62)는 상기 연결 부재(50)의 외주연부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좌석 구조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62)의 횡단면 형상은, 차량의 종방향에서의 상기 보강 부재(62)의 굽힘 강성이 차량의 수직 방향에서의 상기 보강 부재(62)의 굽힘 강성보다 크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좌석 구조물.
  4. 제2항에 있어서, 보강 부재(52, 62)는 장착부(54A, 64A)들을 구비하며, 상기 장착부(54A, 64A)들의 각각은 상기 보강 부재(52, 62)의 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장착부(54A, 64A)들 중 하나의 장착부는 상기 외측 리클라이닝장치(28)의 구조 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장착부(54A, 64A)들 중 다른 하나의 장착부는 상기 내측 리클라이닝 장치(30)의 구조 부재에 고정되며, 상기 장착부(54A, 64A)들은 상기 보강 부재(52, 62)의 축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좌석 구조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방향 제어 수단(45, 58, 60, 64)은, 상기 장착부(54A, 64A)에 작용하는 측면 충돌 하중의 하중 입력점이 상기 보강 부재(52, 62)의 축선보다 차량의 전방 쪽으로 더 향하게 위치되도록 상기 장착부(54A, 64A)를 고정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좌석 구조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62)의 횡단면 형상은, 차량의 종방향에서의 상기 보강 부재(62)의 굽힘 강성이 차량의 수직 방향에서의 상기 보강 부재(62)의 굽힘 강성보다 크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좌석 구조물.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62)의 횡단면 형상은, 차량의 종방향에서의 상기 보강 부재(62)의 굽힘 강성이 차량의 수직 방향에서의 상기 보강 부재(62)의 굽힘 강성보다 크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좌석 구조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52, 62)는 장착부(54A, 64A)들을 구비하며, 상기 장착부(54A, 64A)들의 각각은 상기 보강 부재(52, 62)의 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장착부(54A, 64A)들 중 하나의 장착부는 상기 외측 리클라이닝 장치(28)의 구조 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장착부(54A, 64A)들 중 다른 하나의 장착부는 상기 내측 리클라이닝 장치(30)의 구조 부재에 고정되며, 상기 장착부(54A, 64A)들은 상기 보강 부재(52, 62)의 축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좌석 구조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방향 제어 수단(54, 58, 60, 64)은, 상기 장착부(54A, 64A)에 작용하는 측면 충돌 하중의 하중 입력점이 상기 보강 부재(52, 62)의 축선보다 차량의 전방 쪽으로 더 향하게 위치되도록 상기 장착부(54A, 64A)를 고정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좌석 구조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62)의 횡단면 형상은, 차량의 종방향에서의 상기 보강 부재(62)의 굽힘 강성이 차량의 수직 방향에서의 상기 보강 부재(62)의 굽힘 강성보다 크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좌석 구조물.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62)의 횡단면 형상은, 차량의 종방향에서의 상기 보강 부재(62)의 굽힘 강성이 차량의 수직 방향에서의 상기 보강 부재(62)의 굽힘 강성보다 크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좌석 구조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62)의 횡단면 형상은, 차량의 종방향에서의 상기 보강 부재(62)의 굽힘 강성이 차량의 수직 방향에서의 상기 보강 부재(62)의 굽힘 강성보다 크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좌석 구조물.
  13. 차량용 좌석 구조물(10)에 있어서, 차량의 폭 방향 외측 리클라이닝 장치(28)와 차량의 폭 방향 내측 리클라이닝 장치(30)를 연결시켜서 이들을 서로 상호 결합시키는 연결 부재(50)와, 일 단부가 상기 외측 리클라이닝 장치(28)의 구조 부재에 고정되고 타 단부가 상기 내측 리클라이닝 장치(30)의 구조 부재에 고정되며, 상기 연결 부재(50)에 인접하게 상기 연결 부재(50)의 외주연부에 마련된 튜브형의 보강 부재(52, 62)와, 측면 충돌 하중이 상기 보강 부재(52, 62)의 좌굴 하중보다 큰 경우에 상기 보강 부재(52, 62)를 차량 탑승자의 착석 공간이 좁아지게 하는 방향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 변형시키는 변형 방향 제어 수단(54, 58, 60, 6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좌석 구조물.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52, 62)는 장착부(54A, 64A)들을 구비하며, 당기 장착부(54A, 64A)들의 각각은 상기 보강 부재(52, 62)의 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장착부(54A, 64A)들 중 하나의 장착부는 상기 외측 리클라이닝 장치(28)의 구조 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장착부(54A, 64A)들 중 다른 하나의 장착부는 상기 내측 리클라이닝 장치(30)의 구조 부재에 고정되며, 상기 장착부(54A, 64A)들은 상기 보강 부재(52, 62)의 축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좌석 구조물.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방향 제어 수단(54, 58, 60, 64)은, 상기 장착부(54A, 64A)에 작용하는 측면 충돌 하중의 하중 입력점이 상기 보강 부재(52, 62)의 축선보다 차량의 전방 쪽으로 더 향하게 위치되도록 상기 장착부(54A, 64A)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좌석 구조물.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62)의 횡단면 형상은, 차량의 종방향에서의 상기 보강 부재(62)의 굽힘 강성이 차량의 수직 방향에서의 상기 보강 부재(62)의 굽힘 강성보다 크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좌석 구조물.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62)의 횡단면 형상은, 차량의 종방향에서의 상기 보강 부재(62)의 굽힘 강성이 차량의 수직 방향에서의 상기 보강 부재(62)의 굽힘 강성보다 크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좌석 구조물.
  18. 차량용 좌석 구조물(10)에 있어서, 차량의 폭 방향 외측 리클라이닝 장치(28)와 차량의 폭 방향 내측 리클라이닝 장치(30)를 연결시켜서 이들을 서로 상호 결합시키는 연결 부재(50)와, 일단부가 외측 리클라이닝 장치(28)의 구조 부재에 고정되고 타 단부가 내측 리클라이닝 장치(30)의 구조 부재에 고정되며, 상기 연결 부재(50)에 인접하게 상기 연결 부재(50)의 외주 연부에 마련된 튜브형의 보강 부재(52, 62)와, 측면 충돌 하중이 상기 보강 부재(52, 62)의 좌굴 하중보다 큰 경우에 상기 보강 부재(52, 62)로부터 차량 탑승자의 착석 공간이 좁아지게 하는 방향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 변형시키는 변형 방향 제어 수단(54, 58, 60, 64)을 포함하고, 상기 보강 부재(52)는 판(54, 64)들을 구비하며, 상기 판(54, 64)들의 각각은 상기 보강 부재의 단부(52, 62)에 마련되며, 상기 판(54, 64)들 중 하나의 판은 상기 외측 리클라이닝 장치(28)의 구조 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판(54, 64)들 중 다른 하나의 판은 상기 내측 리클라이닝 장치(30)의 구조 부재에 고정되며, 상기 판(54, 64)들은 상기 보강 부재(52, 62)의 축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좌석 구조물.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62)의 횡단면은, 차량의 종방향에서의 상기 보강 부재(62)의 굽힘 강성이 차량의 수직 방향에서의 상기 보강 부재(62)의 굽힘 강성보다 크게 하는 실질적으로 타원형인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좌석 구조물,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방향 제어 수단(54, 58, 60, 64)은 스크루 부재(58, 60)를 구비하고, 상기 스크루 부재(58, 60)는 상기 판(54, 64)에 작용하는 측면 충돌 하중의 하중 입력점이 상기 보강 부재(52, 62)의 축선보다 차량의 전방 쪽으로 더 향하게 위치하도록 상기 판(54, 64)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좌석 구조물.
KR1019970003809A 1996-02-08 1997-02-06 차량용 좌석 구조물 KR1002388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2250996A JP3150896B2 (ja) 1996-02-08 1996-02-08 車両用シート構造
JP96-22509 1996-02-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1615A KR970061615A (ko) 1997-09-12
KR100238856B1 true KR100238856B1 (ko) 2000-01-15

Family

ID=12084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3809A KR100238856B1 (ko) 1996-02-08 1997-02-06 차량용 좌석 구조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938265A (ko)
EP (1) EP0788924B1 (ko)
JP (1) JP3150896B2 (ko)
KR (1) KR100238856B1 (ko)
DE (1) DE69626487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39519B4 (de) * 1998-08-29 2004-07-29 Daimlerchrysler Ag Fahrgastzelle
FR2786446B1 (fr) * 1998-12-01 2001-02-16 Faure Bertrand Equipements Sa Siege de vehicule comportant un mecanisme d'articulation
JP2000333768A (ja) * 1999-05-31 2000-12-05 Ikeda Bussan Co Ltd シートバックフレーム
DE60125724T2 (de) * 2000-03-03 2007-12-27 Société de Recherches d'Etudes et de Valorisation Fahrzeugsitz geeignet zur aufnahme eines sicherheitsgurtes
US6682146B2 (en) * 2001-11-28 2004-01-27 Taichi-S Co., Ltd. Structure of seat cushion frame in vehicle seat
US7188858B2 (en) 2002-04-24 2007-03-13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Foldable stroller
ATE303295T1 (de) * 2002-09-11 2005-09-15 Structural Design & Analysis S Flugzeugsitz angepasst zur anwendung von dreipunkt-sicherheitsgurten, einschliessend einer energieabsorptionsvorrichtung
US6709053B1 (en) 2002-09-30 2004-03-23 Lear Corporation Vehicle seat assembly with energy managing member
US6761402B1 (en) * 2003-06-12 2004-07-13 Tachi-S Co., Ltd. Structure of a vehicle seat
JP4419518B2 (ja) * 2003-10-30 2010-02-24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2005186670A (ja) * 2003-12-24 2005-07-14 Delta Kogyo Co Ltd 車両用シート
US7513574B2 (en) * 2004-07-21 2009-04-07 Ts Tech Co., Ltd. Light alloy seat back frame for vehicle seat, and reclining vehicle-seat with the seat back frame
JP2008003132A (ja) * 2006-06-20 2008-01-1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仮想現実感生成装置及び仮想現実感生成装置の設計方法
DE202006014549U1 (de) * 2006-09-19 2006-11-23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zum Insassenschutz bei einem kollisionsbedingten, auf eine Kraftfahrzeugtür gerichteten Energieeintrag
IT1390916B1 (it) * 2008-08-01 2011-10-19 Lear Corp Italia S R L A Socio Unico Metodo per l'assemblaggio di un telaio di sedile anteriore di veicolo
DE102009010689B4 (de) * 2009-02-27 2014-07-17 Johnson Controls Gmbh Höhenverstellung mit einem mehrteilig ausgeführten Abtriebsmittel
JP5423342B2 (ja) * 2009-11-20 2014-02-19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シートフレームの補強構造
US8424968B2 (en) * 2010-10-04 2013-04-23 Lear Corporation Split tube return spring
JP5598264B2 (ja) 2010-11-05 2014-10-01 トヨタ紡織株式会社 乗物シート用シートバック
JP2012166681A (ja) * 2011-02-14 2012-09-06 Aisin Seiki Co Ltd 車両用シート保持構造
DE102011007129A1 (de) * 2011-04-11 2012-10-11 Thiel & Hoche Gmbh & Co. Kg Kraftfahrzeugsitztraverse
US9211820B2 (en) 2012-11-01 2015-12-15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Child safety seat with side impact energy redirection
JP6234760B2 (ja) * 2013-09-30 2017-11-22 トヨタ紡織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
JP6508001B2 (ja) * 2015-11-05 2019-05-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構造
JP6716381B2 (ja) * 2016-07-21 2020-07-01 株式会社タチエス 車両用シート
EP3315354B1 (en) * 2016-10-26 2020-09-30 Volvo Car Corporation Vehicle seat
JP6822317B2 (ja) * 2017-05-25 2021-01-27 トヨタ紡織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
JP7059128B2 (ja) * 2018-06-26 2022-04-25 株式会社タチエス シートロック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417183B (sv) * 1977-04-14 1981-03-02 Volvo Ab Sidokollisionsskydd i motorfordon
DE3337910A1 (de) * 1983-10-19 1985-05-09 Keiper Recaro GmbH & Co, 5630 Remscheid Fahrzeugsitz
US5407244A (en) * 1992-04-24 1995-04-18 Ikeda Bussan Co., Ltd. Safety seat and safety arrangement of seats
US5584525A (en) * 1993-03-03 1996-12-17 Nissan Motor Co., Ltd. Automotive seat having robust construction
JPH06255414A (ja) * 1993-03-03 1994-09-13 Ikeda Bussan Co Ltd 自動車用シート
DE4421946A1 (de) * 1993-12-21 1995-06-22 Hammerstein Gmbh C Rob Rückenlehne eines Kraftfahrzeugsitzes, die aus einem Rückenlehnengestell und einem Polsterteil aufgebaut ist
JP3080138B2 (ja) * 1995-11-08 2000-08-21 池田物産株式会社 両側リクライニン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9207639A (ja) 1997-08-12
DE69626487T2 (de) 2004-01-29
EP0788924A3 (en) 1998-11-25
KR970061615A (ko) 1997-09-12
EP0788924A2 (en) 1997-08-13
US5938265A (en) 1999-08-17
JP3150896B2 (ja) 2001-03-26
DE69626487D1 (de) 2003-04-10
EP0788924B1 (en) 2003-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8856B1 (ko) 차량용 좌석 구조물
JP3376887B2 (ja) 車両用シート
WO2002022412A1 (en) Brake pedal apparatus for vehicle
JP4797704B2 (ja) 車体前部構造
JP2000001126A (ja) トランスミッション・クロスメンバ構造
JP3052731B2 (ja) 自動車のステアリング装置
EP1179461B1 (en) Automotive pedal support structure and automotive vehicle provided therewith
JP3396158B2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のエネルギー吸収構造
JPH01202525A (ja) 自動車のエンジン支持構造
JPH11129940A (ja) 自動車用ステアリングメンバ
JPH07329826A (ja) 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
JP2000001185A (ja) 自動車の後部車体構造
JP2592682Y2 (ja) チルトステアリング装置の支持機構
JPH0439093Y2 (ko)
JP4578013B2 (ja) 自動車のコラムカバー構造
JPH10338164A (ja) 自動車の前部車体フレーム構造
JP2001018811A (ja) ステアリング装置の衝撃力吸収構造
JPH09183330A (ja) 車両用シート
JP3060783B2 (ja) 車両の前部車体構造
JP2006192982A (ja) 車体構造
JPH0642932Y2 (ja) 自動車のステアリング支持装置
JP3383762B2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のエネルギー吸収構造
JP2511158Y2 (ja) 自動車のボディ構造
JP2580542Y2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の支持装置
JPH1134885A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の支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