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5842B1 - 데이터 송/수신 회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터 송/수신 회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5842B1
KR100235842B1 KR1019970042213A KR19970042213A KR100235842B1 KR 100235842 B1 KR100235842 B1 KR 100235842B1 KR 1019970042213 A KR1019970042213 A KR 1019970042213A KR 19970042213 A KR19970042213 A KR 19970042213A KR 100235842 B1 KR100235842 B1 KR 1002358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ignal
pulse
pulse signal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2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8932A (ko
Inventor
김광명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42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5842B1/ko
Priority to TW087107914A priority patent/TW380338B/zh
Priority to DE19828632A priority patent/DE19828632B4/de
Priority to US09/140,152 priority patent/US6275526B1/en
Priority to CNB981176402A priority patent/CN1171398C/zh
Priority to JP24416998A priority patent/JP3784176B2/ja
Publication of KR19990018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89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58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58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8Modifications for reducing interference; Modifications for reducing effects due to line faults ; Receiver end 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overcoming line faul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03Stop-and-wait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2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using redundant apparatus to increase reli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38Synchronous or start-stop systems, e.g. for Baudot code
    • H04L25/40Transmitting circuits; Receiving circuits
    • H04L25/49Transmitting circuits; Receiving circuits using code conversion at the transmitter; using predistortion; using insertion of idle bits for obtaining a desired frequency spectrum; using three or more amplitude levels ; Baseband coding techniques specific to data transmission systems
    • H04L25/4902Pulse width modulation; Pulse position 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04L1/1692Physical properties of the supervisory signal, e.g. acknowledgement by energy bur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Dc Digital Transmission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 1 데이터 전송 단자와; 제 2 데이터 전송 단자와; 데이터를 단일의 펄스 신호 및 그 상보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데이터 전송 단자들을 통해 출력하기 위한 변환부 및; 상기 제 1 및 제 2 전송 단자들을 통해 상기 펄스 신호로서 변환된 데이터를 받아들여서, 상기 제 2 펄스 폭으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복원하기 위한 복원부를 포함하는 데이터 송/수신 회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데이터 송/수신 회로 및 그 방법 (DATA TRANSMISSION/RECEIPT CIRCUIT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데이터 송/수신 회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하나의 펄스 신호의 길이에 따라 전송 데이터를 표시하여 송수신하기 위한 데이터 송/수신 회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데이터가 하나의 집적 회로(integrated circuit:IC) 또는 집적 회로들 사이에서 직렬로 전송될 때, 일반적으로, 동기 입/출력(synchronous input/output) 방식,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 방식, I2C BUS 방식 등이 이용되고 있다.
상기 동기 입/출력 방식은 동기를 맞추기 위한 클럭 라인(clock line)과,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데이터 라인(data line)을 요구한다. 즉, 데이터 전송을 위해 기본적으로 2 개의 라인들이 필요로 된다. 그리고 상기 방식은 여러 집적 회로들(ICs)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해당하는 집적 회로를 인에이블/디스에이블(enable/disable)하기 위한 여분의 라인과, 직렬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전용의 컨트롤 블럭 (control block), 즉 송/수신 회로 (receiver/transmitter circuit)을 필요로 한다.
상기 UART 방식 또한 직렬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전용의 송/수신 회로를 필요로 하며, 데이터 송/수신 속도가 제한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I2C BUS 방식 역시 직렬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전용의 송/수신 회로를 필요로 한다.
상술한 통신 방식들을 채용한 송수신 회로를 포함하는 집적 회로가 구현될 때, 상기 송수신회로가 집적회로의 칩 내에서 차지하는 면적이 크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아울러, 상기 통신 방식들을 채용한 집적회로에 있어서는, 클럭 라인 또는 데이터 라인의 상태가 변할 때,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노이즈가 방사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측에서 유효한 신호 (valid signal)로 수신하였는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패리티(parity)를 이용하여 에러를 검출하는 방법 또는 송신할 데이터의 보수값을 함께 송신하여 수신측에서 이를 확인하여 에러를 검출하는 방법들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에러 검출 방법들은 에러를 확인하기 위한 복잡한 기능을 갖는 전용의 송/수신 회로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고, 또한 그 에러검출방법 그 자체의 체계가 매우 복잡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데이터 전송시 발생되는 EMI 방사를 줄일 수 있는 데이터 송/수신 회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집적 가능한 데이터 송/수신 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송 데이터가 유효한 신호로서 전송되었는지 여부를 빠르고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는 데이터 송/수신 회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회로의 접속 관계를 보여주는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송 데이터를 표시하는 펄스 신호 및 그 상보적인 신호의 파형들을 보여주는 파형도;
도 3은 도 1의 데이터 라인 (DL)을 통해 전송되는 펄스 신호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각 데이터를 표시하는 펄스 신호들의 길이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송신 회로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수신 회로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
도 7은 도 5의 데이터 송신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펄스 신호 및 그 상보 신호의 파형들을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도 6의 데이터 수신 회로의 입력 신호들의 파형들과 입력된 펄스 신호가 에러 처리되지 않았을 때 발생되는 억크날리지 신호를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송신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신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 데이터 송신 회로 120 : 데이터 수신 회로
140, 440 : 데이터 처리부 160 : 엔코더
180 : 버퍼 200, 460 : 클럭 발생기
220, 540 : 프로세서 240, 560 : 메모리
260 : 제어 신호 발생기 280 : 펄스 발생기
300, 480 : 분주기 320 : 스위치
340, 500 : 카운터 360, 520 : 레지스터
380 : 비교기 400 : 스위치 비활성화부
420, 420a : 디코더
상술한 바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특징에 의하면, 병렬로 제공되는 데이터를 직렬로 송신하기 위한 데이터 송신 회로에 있어서, 상기 병렬로 제공되는 데이터를 단일의 펄스 신호 및 그 상보적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변환부와; 상기 단일의 펄스 신호를 출력하는 제 1 데이터 전송 단자 및; 상기 상보적인 신호를 출력하는 제 2 데이터 전송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단일의 펄스 신호의 펄스폭은 송신 개시를 표시하는 제 1 펄스 폭과 상기 데이터의 절대값에 대응되는 제 2 펄스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의 값이 0일 때, 상기 제 2 펄스 폭은 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의 값이 0이 아닐 때, 상기 제 2 펄스 폭은 1의 데이터 값을 표시하는 단위 펄스 신호의 폭에 비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펄스 폭과 상기 단위 펄스 신호의 폭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펄스 폭과 상기 단위 펄스 신호의 폭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펄스와 상기 단위 펄스는 동일한 위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펄스는 0의 데이터 값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변환부는, 상기 데이터를 받아들여서 상기 데이터의 값에 상기 제 1 펄스에 해당하는 데이터의 값을 부가하고, 상기 펄스 신호 및 그 상보 신호가 유효한 신호로서 송신되었음을 알리는 억크날리지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 수단과; 상기 데이터 처리 수단으로부터 상기 부가된 데이터를 받아들여서 상기 부가된 데이터를 상기 펄스 신호로 부호화하기 위한 엔코더 및; 상기 펄스 신호를 받아들여서 상기 펄스 신호 및 그 상보적인 신호를 동시에 출력하기 위한 출력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엔코더는, 상기 부가된 데이터가 입력될 때 제 1 및 제 2 제어 신호들을 발생하는 제어 신호 발생 수단과; 상기 부가된 데이터의 값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 수단과; 상기 단위 펄스 폭에 동기되도록 클럭 신호를 분주하기 위한 분주 수단과; 상기 제 1 제어 신호가 인가될 때 초기화되는 카운터와; 상기 제 2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분주 수단에 의해서 분주된 상기 클럭 신호를 상기 카운터의 활성화 신호로서 공급하기 위한 스위치와; 상기 카운터에 의해서 카운트된 값과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된 데이터의 값을 비교하여 상기 펄스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기와; 상기 비교기는, 상기 카운터가 초기화될 때, 상기 펄스 신호를 제 1 레벨에서 제 2 레벨로 천이시키고, 상기 비교기는 상기 카운트된 값과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된 데이터의 값이 일치할 때, 상기 펄스 신호를 제 2 레벨에서 제 1 레벨로 천이시키며; 상기 펄스 신호가 제 2 레벨에서 제 1 레벨로 천이될 때, 상기 스위치를 스위치-오프시키기 위한 스위치 비활성화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 비활성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단일의 펄스 신호를 받아들이기 위한 제 1 데이터 수신 단자와; 상기 단일의 펄스 신호의 상보적인 신호를 받아들이기 위한 제 2 데이터 수신 단자 및; 상기 단일의 펄스 신호를 입력하여 데이터의 송신 개시를 표시하는 제 1 펄스폭과 상기 데이터의 절대값에 대응되는 제 2 펄스 폭을 갖는 데이터로 복원하기 위한 복원부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의 값이 0일 때, 상기 제 2 펄스 폭은 0이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의 값이 0이 아닐 때, 상기 제 2 펄스 폭은 1의 데이터 값을 표시하는 단위 펄스 신호의 폭에 비례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펄스 폭과 상기 단위 펄스 신호의 폭은 동일하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펄스 폭과 상기 단위 펄스 신호의 폭은 상이하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펄스와 상기 단위 펄스는 동일한 위상을 갖는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펄스는 0의 데이터 값을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원부는, 상기 제 1 데이터 수신 단자를 통해 상기 단일의 펄스 신호를 받아들여서, 상기 단일의 펄스 신호에 대응되는 데이터의 값으로 변환하기 위한 제 1 디코더와; 상기 제 2 데이터 전송 단자를 통해 상기 펄스 신호의 상보적인 신호를 받아들여서, 그것에 대응되는 데이터의 값으로 변환하기 위한 제 2 디코더 및; 상기 변환된 데이터의 값들이 일치할 때, 상기 제 2 펄스 폭으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복원하고 그리고 상기 펄스 신호가 유효한 신호로서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억크날리지 신호를 상기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출력하는 데이터 처리 수단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코더는, 상기 단위 펄스 신호에 동기되도록 클럭 신호를 분주하기 위한 제 1 분주 수단과; 상기 펄스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분주 수단에 의해서 분주된 상기 클럭 신호에 따라 카운트 동작을 시작하는 제 1 카운터와; 상기 제 1 카운터는 상기 펄스 신호가 제 1 레벨에서 제 2 레벨로 천이될 때 활성화되고, 상기 제 1 카운터는 상기 펄스 신호가 제 2 레벨에서 제 1 레벨로 천이될 때 비활성화되며; 상기 제 1 카운터가 비활성화될 때 최종적으로 카운트된 값을 저장하기 위한 제 1 저장 수단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2 디코더는, 상기 단위 펄스 신호에 동기되도록 상기 클럭 신호를 분주하기 위한 제 2 분주 수단과; 상기 펄스 신호의 상보적인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2 분주 수단에 의해서 분주된 상기 클럭 신호에 따라 카운트 동작을 시작하는 제 2 카운터와; 상기 제 2 카운터는 상기 상보 신호가 제 2 레벨에서 제 1 레벨로 천이될 때 활성화되고, 상기 제 2 카운터는 상기 상보 신호가 제 1 레벨에서 제 2 레벨로 천이될 때 비활성화되며; 상기 제 2 카운터가 비활성화될 때 최종적으로 카운트된 값을 저장하기 위한 제 2 저장 수단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억크날리지 신호는 펄스로 출력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외부의 회로와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회로에 있어서, 제 1 데이터 단자와; 제 2 데이터 단자와; 상기 외부의 회로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중에는 병렬의 데이터를 이 데이터값에 대응하는 단일의 펄스 신호 및 그 상보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데이터 단자들을 통해 각각 출력하기 위한 변환 수단과; 상기 외부의 회로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중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데이터 단자들을 통해 상기 단일의 펄스 신호 및 그 상보적인 신호를 각각 입력하여 데이터의 송신 개시를 표시하는 제 1 펄스폭과 상기 데이터의 절대값에 대응되는 제 2 펄스 폭을 갖는 데이터로 복원하기 위한 복원부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의 값이 0일 때, 상기 제 2 펄스 폭은 0이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의 값이 0이 아닐 때, 상기 제 2 펄스 폭은 1의 데이터 값을 표시하는 단위 펄스 신호의 폭에 비례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펄스 폭과 상기 단위 펄스 신호의 폭은 동일하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펄스 폭과 상기 단위 펄스 신호의 폭은 상이하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펄스와 상기 단위 펄스는 동일한 위상을 갖는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펄스는 0의 데이터 값을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변환 수단은, 상기 데이터를 받아들여서 상기 데이터의 값에 상기 제 1 펄스에 해당하는 데이터의 값을 부가하고, 상기 출력된 펄스 신호 및 그 상보 신호가 유효한 신호로서 송신되었음을 알리는 억크날리지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제 1 데이터 처리 수단과; 상기 부가된 데이터를 받아들여서 상기 부가된 데이터를 상기 펄스 신호로 부호화하기 위한 엔코더 및; 상기 펄스 신호를 받아들여서 상기 펄스 신호 및 그 상보적인 신호로 동시에 출력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엔코더는, 상기 부가된 데이터가 입력될 때 제 1 및 제 2 제어 신호들을 발생하는 제어 신호 발생 수단과; 상기 부가된 데이터의 값을 저장하기 위한 제 1 저장 수단과; 상기 단위 펄스 신호에 동기되도록 클럭 신호를 분주하기 위한 제 1 분주 수단과; 상기 제 1 제어 신호가 인가될 때 초기화되는 제 1 카운터와; 상기 제 2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분주 수단에 의해서 분주된 상기 클럭 신호를 상기 제 1 카운터의 활성화 신호로서 공급하기 위한 제 1 스위치와; 상기 제 1 카운터에 의해서 카운트된 값과 상기 제 1 저장 수단에 저장된 데이터의 값을 비교하여 상기 펄스 신호를 출력하는 제 1 비교기 및; 상기 제 1 비교기는, 상기 제 1 카운터가 초기화될 때, 상기 펄스 신호를 제 1 레벨에서 제 2 레벨로 천이시키고, 상기 제 1 비교기는 상기 카운트된 값과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된 데이터의 값이 일치할 때, 상기 펄스 신호를 제 2 레벨에서 제 1 레벨로 천이시키며; 상기 펄스 신호가 제 2 레벨에서 제 1 레벨로 천이될 때, 상기 스위치를 스위치-오프시키기 위한 스위치 비활성화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 비활성화 수단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원 수단은, 상기 제 1 데이터 전송 단자를 통해 상기 펄스 신호를 받아들여서 상기 펄스 신호에 대응되는 데이터의 값으로 변환하기 위한 제 1 디코더와; 상기 제 2 데이터 전송 단자를 통해 상기 상보 신호를 받아들여서 상기 상보 신호에 대응되는 데이터의 값으로 변환하기 위한 제 2 디코더 및; 상기 변환된 데이터의 값들이 일치할 때, 상기 제 2 펄스 폭으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복원하고 그리고 상기 펄스 신호가 유효한 신호로서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억크날리지 신호를 상기 단자들 중 하나를 통해 출력하는 제 2 데이터 처리 수단을 포함하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코더는, 상기 단위 펄스 신호에 동기되도록 클럭 신호를 분주하기 위한 제 2 분주 수단과; 상기 펄스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2 분주 수단에 의해서 분주된 상기 클럭 신호에 따라 카운트 동작을 시작하는 제 2 카운터 및; 상기 제 2 카운터는 상기 펄스 신호가 제 1 레벨에서 제 2 레벨로 천이될 때 활성화되고, 상기 제 2 카운터는 상기 펄스 신호가 제 2 레벨에서 제 1 레벨로 천이될 때 비활성화되며; 상기 제 2 카운터가 비활성화될 때 최종적으로 카운트된 값을 저장하기 위한 제 2 저장 수단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2 디코더는, 상기 단위 펄스 신호에 동기되도록 상기 클럭 신호를 분주하기 위한 제 3 분주 수단과; 상기 상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3 분주 수단에 의해서 분주된 상기 클럭 신호에 따라 카운트 동작을 시작하는 제 3 카운터 및; 상기 제 3 카운터는 상기 상보 신호가 제 2 레벨에서 제 1 레벨로 천이될 때 활성화되고, 상기 제 3 카운터는 상기 상보 신호가 제 1 레벨에서 제 2 레벨로 천이될 때 비활성화되며; 상기 제 3 카운터가 비활성화될 때 최종적으로 카운트된 값을 저장하기 위한 제 3 저장 수단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억크날리지 신호는 펄스로 출력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부와; 상기 처리된 데이터를 단일의 펄스 신호 및 그 상보적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변환부와; 상기 단일의 펄스 신호를 출력하는 제 1 데이터 전송 단자 및; 상기 상보 신호를 출력하는 제 2 데이터 전송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단일의 펄스 신호의 폭은 송신 개시를 표시하는 제 1 펄스 폭과 상기 데이터의 절대값에 대응되는 제 2 펄스 폭을 갖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송신 개시를 표시하는 제 1 펄스 폭과 송신될 데이터의 절대값에 대응되는 제 2 펄스 폭을 갖는 단일의 펄스 신호로 변환된 상기 데이터를 받아들이기 위한 제 1 데이터 수신 단자와; 상기 펄스 신호의 상보적인 신호를 받아들이기 위한 제 2 데이터 수신 단자와; 상기 제 2 펄스 폭으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복원하기 위한 복원부 및; 상기 복원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제 1 데이터 단자와; 제 2 데이터 단자와; 데이터를 그 데이터값에 대응하는 펄스폭을 갖는 단일의 펄스 신호 및 그 상보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데이터 단자들을 통해 출력하는 변환부와; 상기 제 1 및 제 2 데이터 단자들을 통해 상기 단일의 펄스 신호 및 상보적인 신호를 각각 받아들여서, 상기 단일의 펄스 신호의 펄스폭에 대응하는 데이터로 복원하기 위한 복원부와; 상기 복원된 데이터 및 상기 전송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원된 데이터는 송신 개시를 표시하는 제 1 펄스 폭과 상기 데이터의 절대값에 대응되는 제 2 펄스 폭을 갖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제 1 및 제 2 데이터 전송 단자들을 구비한 데이터 송신 회로의 데이터 송신 방법에 있어서, 병렬의 데이터를 발생하는 단계와; 상기 병렬의 데이터를 그 데이터의 값에 대응되는 펄스 폭을 갖는 단일의 펄스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펄스 신호의 상보적인 신호로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펄스 신호 및 그 상보적인 신호를 상기 제 1 및 제 2 데이터 전송 단자들을 통해서 동시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변환 단계는, 상기 데이터의 전송 유무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판별 단계의 결과로서 전송할 데이터가 없을 때, 상기 판별 단계를 재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판별 단계의 결과로서 전송할 데이터가 있을 때, 상기 데이터의 값에 대응되는 펄스 폭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된 폭의 펄스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펄스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는, 상기 계산된 펄스 폭에 해당하는 듀레이션이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판별 단계의 결과로서 해당하는 듀레이션이 경과하지 않았을 경우, 상기 펄스 발생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 및; 상기 판별 단계의 결과로서 해당하는 듀레이션이 경과했을 경우, 상기 펄스 신호의 발생을 중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펄스 신호 및 그 상보 신호가 정확하게 전송되었음을 알리는 억크날리지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를 부가적으로 포함하여, 상기 판별 단계의 결과로서 수신되지 않았을 경우, 상기 펄스 발생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 및 상기 판별 단계의 결과로서 수신되었을 경우, 상기 데이터의 전송 유무를 판별하는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제 1 및 제 2 데이터 전송 단자들을 구비한 데이터 수신 회로의 데이터 수신 방법에 있어서, 데이터의 송신 개시를 표시하는 제 1 펄스 폭과 데이터의 절대값에 대응되는 제 2 펄스 폭을 갖는 단일의 펄스 신호 및 그 상보 신호를 상기 제 1 및 제 2 데이터 전송 단자들을 통해서 동시에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펄스 폭으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복원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신 단계는, 데이터 전송 개시를 알리는 신호가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판별 단계에서 상기 전송 개시 신호가 검출되지 않았을 경우, 상기 판별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와; 상기 판별 단계에서 상기 전송 개시 신호가 검출되었을 경우, 펄스 신호 및 그 상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펄스 신호 및 그 상보 신호의 전송 종료의 정보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판별 단계의 결과로서 상기 전송 종료의 정보가 수신되지 않았을 경우, 상기 수신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와; 상기 판별 단계의 결과로서 상기 전송 종료의 정보가 수신되었을 경우, 상기 복원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원 단계는, 상기 펄스 신호 및 그 상보 신호의 펄스 폭을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펄스 신호의 폭과 상기 상보 신호의 폭이 동일하가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판별 단계의 결과로서 동일할 경우, 상기 펄스 신호 또는 상기 상보 신호를 상기 데이터로 재생하는 단계와; 상기 펄스 신호가 유효한 신호로서 전송되었음을 알리는 상기 억크날리지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및; 상기 판별 단계의 결과로서 동일하지 않을 경우, 상기 펄스 신호를 에러 처리하여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제 1 및 제 2 데이터 전송 단자들을 구비한 데이터 송/수신 회로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에 있어서, 데이터를 발생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를 그 데이터의 값에 대응되는 펄스 폭을 갖는 단일의 펄스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펄스 신호의 상보적인 신호로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펄스 신호 및 그 상보적인 신호를 상기 제 1 및 제 2 데이터 전송 단자들을 통해서 동시에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및 제 2 데이터 전송 단자들을 통해 상기 펄스 신호 및 그 상보적인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펄스 신호 및 상기 상보 신호 중 하나를 상기 제 2 펄스 폭으부터 상기 테이터로 복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은 회로 및 방법에 의해서, 송신하고자 하는 데이터가 펄스 신호의 듀레이션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참조도면들 도 1 내지 도 10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의 데이터 송/수신 회로는 데이터 송신 회로 (100) 및 데이터 수신 회로 (120)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데이터 송신 회로 (100)는 전송하고자 하는 병렬의 데이터를 이 데이터값에 대응하는 단일의 펄스 신호 (PData) 및 그 상보적인 신호 (
Figure 1019970042213_B1_M0001
)로 변환하고 상기 펄스 신호 (PData) 및 그 상보적인 신호 (
Figure 1019970042213_B1_M0001
)를 상기 데이터 수신 회로 (120)로 송신하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펄스 신호 (PData)는 상기 데이터의 송신 개시를 표시하는 제 1 펄스 폭 (D0)과 상기 데이터의 절대값에 대응되는 제 2 펄스 폭 (SUd)을 갖는다. 상기 제 2 펄스 폭 (SUd)은 1의 데이터 값을 표시하는 단위 펄스 신호 (Ud)에 배수적으로 비례하는 듀레이션을 갖는다. 상기 제 1 펄스 폭 (D0)은 상기 단위 펄스 신호 (Ud)의 폭과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상기 데이터 송/수신 회로는 또한 데이터 수신 회로(120)를 구비하고 있다. 이 데이터 수신 회로 (120)는 상기 펄스 신호 (PData) 및 그 상보적인 신호 (
Figure 1019970042213_B1_M0001
)를 수신하고 상기 제 2 펄스의 폭 (SUd)으로부터 상기 병렬의 데이터를 복원한다. 그래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회로는 데이터 전송시 발생되는 EMI 방사를 줄일 수 있고, 데이터가 본래의 값으로 전송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이 간단하고 빠르게 이뤄진다. 아울러, 상기 데이터 송/수신 회로 (100) 및 (120)를 간단한 하드웨어 구성으로 빠르고 간편한 에러 검출 기능을 갖도록 설계할 수 있기 때문에, 고집적 가능한 데이터 송/수신 회로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회로의 접속 관계를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송 데이터의 펄스 신호 및 그 상보 신호의 파형들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데이터 라인 (DL)을 통해 전송되는 펄스 신호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각 데이터를 표시하는 펄스 신호들의 길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데이터 송/수신 회로 (100) 및 (120)는 각각 제 1 데이터 전송 단자 (first data transfer terminal) (T1) 및 (T3)와 제 2 데이터 전송 단자 (second data transfer terminal) (T2) 및 (T4)을 가지며, 각각 대응되는 단자들 (T1) 및 (T3), (T2) 및 (T4)은 제 1 데이터 라인 (DL)과 제 2 데이터 라인 (
Figure 1019970042213_B1_M0004
)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데이터 송신 회로 (100)는 상기 제 1 데이터 라인 (DL)을 통해서 단일 펄스 신호 (PData)를 상기 데이터 수신 회로 (120)로 전송하고 그리고 상기 제 2 데이터 라인 (
Figure 1019970042213_B1_M0004
)을 통해서 상기 펄스 신호 (PData)의 상보적인 신호 (
Figure 1019970042213_B1_M0001
)를 상기 회로 (120)로 전송한다. 상기 데이터 송신 회로 (100) 및 상기 데이터 수신 회로 (120)에 대한 설명은 이후 기술될 도 5 및 도 6을 통해서 설명된다.
도 2을 참조하면, 참조 번호 (1)은 논리적으로 하이 레벨 (logic high level)의 위치이고, 참조 번호 (2)는 논리적으로 로우 레벨 (logic low level)의 위치이다. 논리적으로 하이 레벨의 위치에 있는 참조 번호들 (3) 및 (4)는 데이터 송신이 수행되지 않을 때를 나타내고, 논리적으로 로우 레벨의 위치에 있는 참조 번호 (7)은 데이터 송신이 수행될 때를 나타낸다. 이때, 참조 번호 (5), 즉 제 1 데이터 라인 (DL)의 하강 에지 (falling edge)는 데이터 송신 시작을 의미하고, 참조 번호 (6), 즉 상기 제 1 데이터 라인 (DL)의 상승 에지 (rising edge)는 데이터 송신 종료를 의미한다. 다시말해서, 실직적으로 송신되는 데이터는 상기 참조 번호 (7)의 구간에 해당하며, 그 구간에 대응되는 로우 레벨의 길이로서 표시된다. 그리고, 제 2 데이터 라인 (
Figure 1019970042213_B1_M0004
)은 상기 제 1 데이터 라인 (DL)의 위상이 반전된 것이다. 단, 상기 제 2 데이터 라인 (
Figure 1019970042213_B1_M0004
)의 실질적인 데이터가 송신되는 구간은 논리적으로 하이 레벨의 참조 번호 (8)에 해당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참조 기호 (D0)는 데이터 '0'을 나타내는 제 1 펄스 폭 (first pusle duration)을 표시한다. 참조 기호 (SUd)는 데이터 1을 표시하는 단위 펄스 신호 (unit pulse signal : Ud)의 합 (SUd)을 나타내는 제 2 펄스 폭 (second pulse duration)을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펄스 폭 (D0)은 상기 제 2 펄스 폭 (Ud)과 동일하거나 상이하더라도 무방하다. 자명한 사실이지만, 제 2 데이터 라인 (
Figure 1019970042213_B1_M0004
) 상의 펄스 신호는 도 3의 위상이 반전된 것과 동일한 펄스 듀레이션 (pulse duration)을 갖는다.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데이터 '0'는 제 1 펄스 폭 (D0)으로 표현되고, 나머지 데이터들 (1)∼(n) (여기서, n은 정수) 역시 상기 제 1 펄스 폭 (DO)에 상기 데이터들에 각각 대응되는 단위 펄스 신호 (Ud)들이 부가되어 표현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펄스 폭 (D0)은 제 2 펄스 폭과 동일한 듀레이션으로 표시되었다. 다시말해서, 송신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값이 0일 때, 제 2 펄스 폭 (SUd)은 0이고 그리고 상기 제 1 펄스 폭 (D0)은 상기 단위 펄스 신호 (Ud)의 폭과 동일하다. 또한, 상기 제 1 펄스 (D0)와 상기 단위 펄스 신호 (Ud)는 동일한 위상을 갖지만, 서로 상반된 위상으로 표현될 수 있음은 이 분야의 지식을 습득한 자들에게 자명하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송신 회로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가 도시되어 있다. 데이터 송신 회로 (100)는 송신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펄스 신호 (PData) 및 그 상보적인 신호 (
Figure 1019970042213_B1_M0001
)로 변환하고 그리고 상기 신호들 (PData) 및 (
Figure 1019970042213_B1_M0001
)을 대응되는 제 1 및 제 2 데이터 전송 단자들 (T1) 및 (T2)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송신하고자 하는 데이터는 상기 데이터 송신 회로 (100)의 외부로부터 인가되며, 병렬로 또는 직렬로 전송된다.
상기 펄스 신호 (PData) 및 그 상보적인 신호 (
Figure 1019970042213_B1_M0001
)는 상기 데이터의 송신 개시를 표시하는 제 1 펄스 폭 (D0)과 상기 데이터의 절대값에 비례하는 제 2 펄스 폭 (SUd)을 갖는다. 예를들면, 송신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값이 5이고, 1의 데이터를 표시하는 단위 펄스 신호 (Ud)의 듀레이션이 100ns이고, 상기 제 1 펄스(D0)의 듀레이션이 200ns라고 할 때, 상기 펄스 신호 (PData)는 상기 제 1 펄스 (D0)의 듀레이션 (200ns)와 상기 송신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값에 해당하는 듀레이션 (100ns×5)을 갖는다. 즉, 상기 펄스 신호 (PData)의 듀레이션은 700ns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제 1 펄스 폭 (D0)은 상기 제 2의 펄스 폭 (SUd)이 0일 때, 데이터 0을 나타낸다. 아울러, 상기 제 1의 펄스 폭 (D0)이 송신하고자 하는 데이터에 부가되는 것은 수신측에서 상기 펄스 신호 (PData)가 안정되게 수신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데이터 송신 회로 (100)는 데이터 처리부 (140), 엔코더 (160), 버퍼 (180) 및 클럭 발생부 (200)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처리부 (140)는 프로세서 (220)와 메모리 (240)로 구성되며,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터 (D)을 받아들여서 상기 데이터 (D)의 값에 상기 제 1 펄스 (D0)의 듀레이션을 갖는 데이터(바람직한 실시예의 경우, 0)의 값을 부가된 송신 데이터 (TD)를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 (120)는 송신이 완료된 후수신측으로부터 상기 송신 데이터 (TD)가 유효한 데이터로서 송신되었음을 알리는 억크날리지 신호 (acknowledge signal)가 수신되었는지를 검출하여 상기 펄스 신호 (PData) 및 그 상보 신호 (
Figure 1019970042213_B1_M0001
)의 재전송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메모리 (240)는 상기 프로세서 (220)의 처리 프로그램 및 전송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엔코더 (160)는 상기 클럭 발생기 (clock generator) (200)로부터 공급되는 클럭 신호 (CLK1) 및 상기 송신 데이터 (TD)를 받아들여서, 상기 송신 데이터 (TD)을 상기 단일의 펄스 신호 (PData)로 부호화한다. 상기 엔코더 (160)는 제어 신호 발생부 (control signal generating section) (260) 및 펄스 발생부 (pulse generating section) (28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펄스 발생부 (280)는 분주기 (divider) (300), 스위치 (switch) (320), 카운터 (counter) (340), 레지스터 (register) (360), 비교기 (comparator) (380), 그리고 스위치 비활성화부 (switch disable section) (400)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 신호 발생부 (260)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 (140)로부터 상기 송신 데이터 (TD)가 인가될 때, 상기 스위치 (320)를 스위치-온시키기 위한 제 1 제어 신호 (SWE)와 상기 카운터 (340)을 초기화시키기 위한 제 2 제어 신호 (Reset)을 발생한다. 상기 분주기 (300)는 상기 클럭 신호 (CLK1)을 받아들여서 상기 단위 펄스 폭 (Ud)에 동기되도록 상기 클럭 신호 (CLK1)를 분주한다. 이러한 동작은 송/수신측의 통신 속도를 맞추기 위한 것이다. 즉, 송신측의 클럭 주파수와 수신측의 클럭 주파수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 상기 단위 펄스 폭 (Ud)에 양측의 분주 신호 (divided clock)을 동기되도록 함으로써 원활한 통신이 보장될 수 있다.
상기 카운터 (340)는 상기 제 2 제어 신호 (Reset)에 의해서 초기화된다. 이후, 상기 카운터 (340)는 상기 제 1 제어 신호 (SWE)에 의해서 활성화되는 상기 스위치 (320)을 통해 공급되는 클럭 신호 (DCLK1)에 동기되어 카운트 동작을 시작한다. 상기 레지스터 (360)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 (140)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송신 데이터 (360)을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비교기 (380)는 상기 카운터 (340)가 카운트 동작을 시작할 때, 도 7에 도시된 바와같이, 하이 레벨에서 로우 레벨로 천이되는 펄스 신호 (PData)을 출력한다. 이후, 상기 비교기 (380)는 상기 카운터 (340)에 의해서 카운트된 값과 상기 레지스터 (360)에 저장된 상기 송신 데이터 (TD)의 값을 비교하여, 상기 두 데이터의 값들이 일치할 때 펄스 신호 (PData)의 발생을 중지한다. 즉, 로우 레벨의 상기 펄스 신호 (PData)는 하이 레벨로 천이된다.
계속해서, 상기 스위치 비활성화부 (260)는 상기 펄스 신호 (PData)가 로우 레벨에서 하이 레벨로 천이될 때 상기 스위치 (320)를 스위치-오프시키기 위한 신호 (SWD)을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스위치 (320)가 스위치-오프되기 때문에, 상기 스위치 (320)을 통해 상기 카운터 (340)로 공급되었던 상기 클럭 신호 (DCLK1)가 차단되고, 그 결과 비교기 (380)로부터 상기 펄스 신호 (PData)가 출력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출력부 (180)는 상기 엔코더 (160)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펄스 신호 (PData)을 받아들여서, 상기 펄스 신호 (PData) 및 그 상보적인 신호 (
Figure 1019970042213_B1_M0001
)을 상기 제 1 및 제 2 데이터 전송 단자들 (T1) 및 (T2)로 동시에 출력한다. 상기 출력부 (180)는 하나의 인버터 (IV1)와 하나의 버퍼 (B1)로 구성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수신 회로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가 도시되어 있다. 데이터 수신 회로 (120)는 제 1 및 제 2의 데이터 라인들 (DL) 및 (
Figure 1019970042213_B1_M0004
)을 통해 전송된 상기 펄스 신호 (PData) 및 그 상적인 신호 (
Figure 1019970042213_B1_M0001
)를 제 1 및 제 2 데이터 전송 단자들 (T3) 및 (T4)을 통해 수신하고 그리고 상기 제 2 펄스 (SUd)의 폭으로부터 송신 데이터 (TD)를 복원한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 수신 회로 (120)는 상기 두 신호들 (PData) 및 (
Figure 1019970042213_B1_M0001
)에 대응되는 데이터의 값들을 비교하여 상기 수신된 펄스 신호 (PData)가 유효한 신호 (valid signal)로서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한다. 계속해서, 유효한 신호로서 수신되었을 경우, 상기 데이터 수신 회로 (120)는 상기 송신부 (100)로 상기 펄스 신호 (PData)가 유효한 신호, 즉 노이즈가 포함되지 않은 신호로서 전송되었음을 알리기 위한 억크날리지 신호 (acknowledge signal)를 상기 제 1 데이터 전송 단자 (T3) 또는 상기 제 2 데이터 전송 단자 (T4) 중 하나(예를들면, 제 1 데이터 라인 DL)을 통해 전송한다.
상기 데이터 수신 회로 (120)는 제 1 및 제 2 디코더들 (420) 및 (420a), 데이터 처리부 (440), 그리고 클럭 발생부 (460)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디코더는 (420)는 상기 제 1 데이터 라인 (DL)에 의해서 전송된 상기 펄스 신호 (PData)을 상기 제 1 데이터 전송 단자 (T3)을 통해서 받아들여서, 상기 펄스 신호 (PData)에 대응되는 데이터의 값으로 변환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디코더는 (420a)는 상기 제 2 데이터 라인 (
Figure 1019970042213_B1_M0004
)에 의해서 전송된 상기 펄스 신호 (PData)의 상보적인 신호 (
Figure 1019970042213_B1_M0001
)을 상기 제 2 데이터 전송 단자 (T4)을 통해서 받아들여서, 상기 펄스 신호 (PData)의 상보적인 신호 (
Figure 1019970042213_B1_M0001
)에 대응되는 데이터의 값으로 변환한다. 상기 제 1 디코더 (420)는 분주기 (480), 카운터 (500), 그리고 레지스터 (520)로 구성된다. 상기 분주기 (380)는 상기 데이터 송신 회로 (100)의 것과 동일한 목적을 위해 사용되기 때문에 여기서 그것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
상기 카운터 (500)는 상기 펄스 신호 (PData)에 의해서 제어된다. 예를들면, 상기 펄스 신호 (PData)가 전송되는 상기 제 1 데이터 라인 (DL)의 레벨이 하이 레벨에서 로우 레벨로 천이될 때, 즉 전송 개시를 알리는 정보가 인가될 때, 상기 카운터 (500)는 초기화된다. 그리고, 상기 카운터 (500)는 상기 분주기 (480)에 의해서 분주된 클럭 신호 (DCLK2)에 따라 순차적으로 카운트 동작을 시작한다. 이후, 상기 펄스 신호 (PData)가 로우 레벨에서 하이 레벨로, 즉 전송 종료를 알리는 정보가 인가될 때 상기 카운터 (500)는 비활성화되며, 이때 상기 카운터 (500)에 의해 최종적으로 카운트된 값 (RD1)은 상기 레지스터 (520)에 저장된다. 상기 제 2 디코더 (420a) 역시 상기 제 1 디코더 (420)와 동일한 구성을 갖기 때문에, 편의상 그것에 대한 도면 및 설명은 여기서 생략된다. 상기 제 2 디코더 (420a) 역시 상기한 일련한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펄스 신호 (PData)의 상보적인 신호 (
Figure 1019970042213_B1_M0001
)에 해당하는 데이터의 값 (RD2)을 계산하게 된다.
상기 데이터 처리부 (440)는 프로세서 (540) 및 메모리 (560)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디코더들 (420) 및 (420a)에 의해서 계산된 상기 데이터의 값들 (RD1) 및 (RD2)을 비교하여 상기 수신된 펄스 신호 (PData) 또는 상보 신호 (
Figure 1019970042213_B1_M0001
)가 유효한 신호로서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만약, 유효한 신호로서 판단되는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데이터 처리부 (440)는 상기 제 2 펄스 (SUd)의 폭으로부터 상기 송신 데이터 (TD)를 복원하고, 그리고 유효한 신호로서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억크날리지 신호 (acknowledge signal)을 발생한다. 도 8에서, 상기 억크날리지 신호가 발생되기 이전에 일정 시간 동안 하이 레벨로 유지되는 구간은 상기 프로세서 (440)에서 판단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나타낸다. 이와 반대로, 판단 결과로서 유효한 신호가 아닐 경우, 수신된 펄스 신호 (PData)는 에러로 처리된다. 상기 억크날리지 신호가 발생되지 않을 경우, 상기 데이터 송신 회로 (100)는 상기 펄스 신호 (PData)을 재전송하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송신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송신 방법이 관련된 참조 도면들에 의거하여 이하 설명된다.
파워가 온됨에 따라 송신이 시작되면, 가장 먼저 단계 (S1)에서 송신할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만약, 송신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계속해서 상기 단계 (S1)을 재수행하게 된다. 이와 반대로, 송신할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다음 단계 (S3)에서 송신할 데이터의 값에 대응되는 펄스 폭을 계산하게 된다. 이러한 일련의 단계들 (S2) 및 (S3)은 데이터 처리부 (140)에 의해서 수행된다. 상기 펄스 폭에 대한 계산은 다음과 같다. 송신할 데이터의 값이 2이고, 제 1 펄스 (D0)의 듀레이션이 500ns이고, 단위 펄스 신호 (Ud)의 듀레이션이 100ns일 때, 제 2의 펄스 폭 (SUd)은 단위 펄스 신호 (Ud)의 2배에 해당하는 듀레이션 (200ns)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제 2의 펄스 폭 (SUd)에 상기 제 1의 펄스 폭 (DO)을 부가함으로써 송신할 데이터에 대한 펄스 폭(예를들면, 700ns의 듀레이션)이 계산된다.
상기 송신할 데이터에 대응되는 펄스 폭이 계산된 후 상기 계산된 폭의 펄스 신호 (PData) 및 그 상보 신호 (
Figure 1019970042213_B1_M0001
)를 발생하는 단계 (S4)가 수행되고, 이후 단계 (S5)에서 상기 계산된 듀레이션이 경과하였는지를 판별하게 된다. 만약, 상기 계산된 듀레이션이 경과하지 않았을 경우, 계속해서 상기 펄스 발생 단계 (S4)을 수행한다. 반면에, 상기 계산된 듀레이션과 실제로 측정된 듀레이션이 일치하는 경우, 다음 단계 (S6)에서 상기 펄스 신호 (PData) 및 상기 상보 신호 (
Figure 1019970042213_B1_M0001
)의 발생을 중단하게 된다. 이러한 일련의 단계들 (S4)∼(S6)은데이터 송신 회로 (100)의 엔코더 (160) 및 출력부 (180)에서 수행된다. 이에 대한 동작은 도 5에 관련된 설명을 참조한다.
이후, 상기 데이터 송신 회로 (100)는 수신측으로부터 상기 펄스 신호 (PData)가 유효한 신호로서 송신되었음을 알리기 위한 억크날리지 신호 (acknowledge signal)가 수신되는지를 판별하게 된다. 만약, 수신측의 프로세서 (540)가 판별하는 시간이 경과한 후 수신되는 상기 억크날리지 신호 (acknowledge signal)가 없을 경우, 상기 데이터 송신 회로 (100)는 상기 펄스 신호 (PData)가 에러 처리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펄스 발생 단계 (S4)를 재수행함으로써 에러가 발생된 펄스 신호 (PData)에 대한 재전송 동작이 수행된다.
이와같이, 데이터 송신 회로 (100)의 송신 방법에 의하면, 송신할 데이터를 하나의 단위 펄스 신호 (Ud)들의 합 (SUd)으로 표현되는 단일 펄스 신호 (PData) 및 그 상보적인 신호 (
Figure 1019970042213_B1_M0001
)로 변환하여 송신할 수 있다. 이러한 송신 방법은 종래 데이터 전송 방법에서 발생되었던 EMI 방사를 줄일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신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신 방법이 관련된 참조 도면들에 의거하여 이하 설명된다. 도 9에서 설명된 바와같이, 상기 데이터 송신 회로 (100)에서 송신 데이터 (TD)를 펄스 신호 (PData) 및 그 상보적인 신호 (
Figure 1019970042213_B1_M0001
)로 변환하여 송신하게 되면 데이터 수신 회로 (120)는 상기 펄스 신호 (PData) 및 그 상보 신호 (
Figure 1019970042213_B1_M0001
)를 수신하여 본래의 데이터로 복원하게 된다. 편의상, 상기 데이터 수신 회로 (120)의 제 1 디코더 (420)에 관련된 동작이 이후 설명되지만 제 2 디코더 (160a) 역시 동일한 과정으로 수행될 수 있음이 이 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습득한 자들에게 자명하기 때문에 그것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
먼저, 단계 (S11)은 제 1 데이터 전송 단자 (T3)을 통해 데이터 전송 개시를 알리는 신호, 즉 데이터 0을 표현하는 듀레이션을 갖는 제 1 펄스 (D0) (단위 펄스 신호 Ud의 듀레이션과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가 검출되는지를 여부를 판별하게 된다. 다시말해서, 상기 제 1 데이터 전송 단자 (T3)의 데이터 라인 (DL)이 데이터 전송이 없을 때의 레벨 (예를들면, 하이 레벨)에서 데이터 전송이 있을 때의 레벨 (예를들면, 로우 레벨)로 천이되는지를 검출하게 된다. 만약, 데이터 전송 개시를 알리는 신호가 검출되면, 다음 단계 (S12)에서 상기 펄스 신호 (PData)가 수신된다. 이러한 일련의 단계들 (S11) 및 (S12)은 제 1 디코더 (420)의 분주기 (480) 및 카운터 (500)에 의해서 수행된다. 편의상, 이에 대한 동작 설명은 도 6의 그것을 참조한다. 상기 카운터 (500)는 데이터 라인 (DL)의 레벨이 하이 레벨에서 로우 레벨로 천이될 때, 즉 펄스 신호 (PData)가 전송될 때, 초기화되며, 상기 분주기 (480)으로부터 공급되는 분주된 클럭 신호 (DCLK2)에 응답하여 차례로 카운트 동작을 시작한다.
그리고, 다음 단계 (S13)에서 전송 종료 정보가 수신되는지 여부가 검출된다. 즉, 상기 데이터 라인 (DL)의 레벨이 하이 레벨에서 로우 레벨로 천이되었는지를 검출하게 된다. 만약, 상기 전송 종료 정보가 수신되지 않았을 경우, 계속해서 상기 펄스 신호 (PData)를 수신하게 된다. 이와 반해서, 상기 전송 종료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펄스 신호 (PData)에 대응되는 데이터의 값 (RD1)을 계산하게 된다. 이러한 일련의 단계들 (S13) 및 (S14) 역시 상기 분주기 (480) 및 상기 카운터 (500)에서 수행된다. 즉, 상기 펄스 신호 (PData)가 로우 레벨에서 하이 레벨로 천이될 때 상기 카운터 (500)는 비활성화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카운트된 값은 레지스터 (520)에 저장된다. 이로써, 수신된 펄스 신호 (PData)의 폭에 대응되는 데이터의 값이 계산된다. 아울러, 앞서 설명된 바와같이, 이러한 일련의 동작들은 상기 펄스 신호 (PData)의 상보적인 신호 (
Figure 1019970042213_B1_M0001
)을 수신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수행되며, 그 결과로서 상기 상보 신호 (
Figure 1019970042213_B1_M0001
)의 폭에 대응되는 데이터의 값 (RD2)이 제 2 디코더 (420a)에서 계산된다.
이후, 계속되는 단계 (S15)에서 상기 펄스 신호 (PData)의 폭과 상기 상보 신호 (
Figure 1019970042213_B1_M0001
)의 폭이 동일한지를 판별하게 된다. 만약 두 신호들 (PData) 및 (
Figure 1019970042213_B1_M0001
)의 폭, 즉 대응되는 데이터의 값들 (RD1) 및 (RD2)이 일치하면, 그것들 중 하나의 데이터의 값에서 제 1 펄스 폭 (D0)을 빼줌으로써 본래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재생하게 된다. 그리고, 전송된 펄스 신호가 유효한 신호로서 수신되었음을 알리기 위한 억크날리지 신호 (acknowledge signal)를 발생하여 데이터 라인들 (DL) 및 (
Figure 1019970042213_B1_M0004
) 중 하나를 통해 상기 데이터 송신 회로 (100)로 전송하게 된다. 이로써, 상기 데이터 송신 회로 (100)의 프로세서 (220)는 상기 억크날리지 신호 (acknowledge signal)을 감지하여 다음 데이터 전송을 위한 준비를 수행하게 된다. 반면에, 상기 두 신호들 (PData) 및 (
Figure 1019970042213_B1_M0001
)의 폭, 즉 대응되는 데이터의 값들 (RD1) 및 (RD2)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 상기 수신된 펄스 신호 (PData)는 에러 처리되기 때문에 상기 억크날리지 신호를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로써, 상기 데이터 송신 회로 (100)의 프로세서 (220)는 상기 억크날리지 신호 (acknowledge signal)가 수신되지 않았기 때문에 상기 데이터에 대해 재전송한다. 이와 같은 일련의 동작들은 상기 데이터 수신 회로 (120)의 프로세서 (540)에 의해서 수행된다.
이러한 방법에 따라, 데이터 송신 회로 (100)는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를 제 1 펄스 폭 (D0)과 제 2 펄스 폭 (SUd)으로 변환한 단일의 펄스 신호 (PData) 및 그 상보적인 신호 (
Figure 1019970042213_B1_M0001
)를 데이터 수신 회로 (12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 수신 회로 (120)는 상기 펄스 신호 (PData) 및 그 상보적인 신호 (
Figure 1019970042213_B1_M0001
)를 수신하여 데이터를 복원하게 된다. 결국, 단일의 펄스 신호 (PData)로 데이터를 송/수신함으로써 종래의 데이터 전송시 클럭 및 데이터의 천이에 따라 발생되는 EMI 방사를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 수신 회로 (120)는 상기 신호들 (PData) 및 (
Figure 1019970042213_B1_M0001
)의 폭을 간단히 비교하여 에러 여부를 검출함으로써, 종래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에 비해 에러 검출이 용이하다. 이와같이, 용이한 에러 검출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구성이 간단하기 때문에 데이터 송/수신 회로는, 그것이 집적 회로로 구현될 때, 고집적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도 1의 데이터 송/수신 회로는 데이터 송신 회로 (100)와 데이터 수신 회로 (120)로 구성되었지만, 이 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습득한 자들에게 잘 알려진 바와같이, 데이터 송/수신 회로는 송신용, 수신용, 그리고 송수신 겸용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해의 편의를 돕기 위해, 도 1의 데이터 송/수신 회로가 송신용과 수신용으로서 각각 도시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개념은 송/수신 겸용에도 적용될 수 있고, 그리고 그것들이 하나의 칩 (on chip)으로 집적되어 데이터 송/수신용 인터페이스 (interface)로서 이용될 수 있음은 이 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습득한 자들에게 자명하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용 집적회로 및 그의 방법은, 데이터를 단일의 펄스 신호 (PData) 및 그 상보적인 신호 (
Figure 1019970042213_B1_M0001
)로 송/수신함으로써 데이터 전송시 발생되는 EMI 방사를 줄일 수 있고, 또한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에러 검출이 용이한 이점을 갖고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고집적 가능한 데이터 송/수신 회로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44)

  1. 병렬로 제공되는 데이터를 직렬로 송신하기 위한 데이터 송신 회로에 있어서,
    상기 병렬로 제공되는 데이터를 단일의 펄스 신호 및 그 상보적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변환부와;
    상기 단일의 펄스 신호를 출력하는 제 1 데이터 전송 단자 및;
    상기 상보적인 신호를 출력하는 제 2 데이터 전송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단일의 펄스 신호의 펄스폭은 송신 개시를 표시하는 제 1 펄스 폭과 상기 데이터의 절대값에 대응되는 제 2 펄스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의 값이 0일 때, 상기 제 2 펄스 폭은 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회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의 값이 0이 아닐 때, 상기 제 2 펄스 폭은 1의 데이터 값을 표시하는 단위 펄스 신호의 폭에 비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회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펄스 폭과 상기 단위 펄스 신호의 폭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회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펄스 폭과 상기 단위 펄스 신호의 폭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회로.
  6. 제 4 항 및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펄스와 상기 단위 펄스는 동일한 위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회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펄스는 0의 데이터 값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회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부는,
    상기 데이터를 받아들여서 상기 데이터의 값에 상기 제 1 펄스에 해당하는 데이터의 값을 부가하고, 상기 펄스 신호 및 그 상보 신호가 유효한 신호로서 송신되었음을 알리는 억크날리지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 수단과;
    상기 데이터 처리 수단으로부터 상기 부가된 데이터를 받아들여서 상기 부가된 데이터를 상기 펄스 신호로 부호화하기 위한 엔코더 및;
    상기 펄스 신호를 받아들여서 상기 펄스 신호 및 그 상보적인 신호를 동시에 출력하기 위한 출력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회로.
  9. 제 7 항 및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엔코더는,
    상기 부가된 데이터가 입력될 때 제 1 및 제 2 제어 신호들을 발생하는 제어 신호 발생 수단과;
    상기 부가된 데이터의 값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 수단과;
    상기 단위 펄스 폭에 동기되도록 클럭 신호를 분주하기 위한 분주 수단과;
    상기 제 1 제어 신호가 인가될 때 초기화되는 카운터와;
    상기 제 2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분주 수단에 의해서 분주된 상기 클럭 신호를 상기 카운터의 활성화 신호로서 공급하기 위한 스위치와;
    상기 카운터에 의해서 카운트된 값과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된 데이터의 값을 비교하여 상기 펄스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기와;
    상기 비교기는, 상기 카운터가 초기화될 때, 상기 펄스 신호를 제 1 레벨에서 제 2 레벨로 천이시키고, 상기 비교기는 상기 카운트된 값과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된 데이터의 값이 일치할 때, 상기 펄스 신호를 제 2 레벨에서 제 1 레벨로 천이시키며;
    상기 펄스 신호가 제 2 레벨에서 제 1 레벨로 천이될 때, 상기 스위치를 스위치-오프시키기 위한 스위치 비활성화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 비활성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회로.
  10. 단일의 펄스 신호를 받아들이기 위한 제 1 데이터 수신 단자와;
    상기 단일의 펄스 신호의 상보적인 신호를 받아들이기 위한 제 2 데이터 수신 단자 및;
    상기 단일의 펄스 신호를 입력하여 데이터의 송신 개시를 표시하는 제 1 펄스폭과 상기 데이터의 절대값에 대응되는 제 2 펄스 폭을 갖는 데이터로 복원하기 위한 복원부를 포함하는 데이터 수신 회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의 값이 0일 때, 상기 제 2 펄스 폭은 0인 데이터 수신 회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의 값이 0이 아닐 때, 상기 제 2 펄스 폭은 1의 데이터 값을 표시하는 단위 펄스 신호의 폭에 비례하는 데이터 수신 회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펄스 폭과 상기 단위 펄스 신호의 폭은 동일한 데이터 수신 회로.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펄스 폭과 상기 단위 펄스 신호의 폭은 상이한 데이터 수신 회로.
  15. 제 13 항 및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펄스와 상기 단위 펄스는 동일한 위상을 갖는 데이터 수신 회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펄스는 0의 데이터 값을 나타내는 데이터 수신 회로.
  17.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부는,
    상기 제 1 데이터 수신 단자를 통해 상기 단일의 펄스 신호를 받아들여서, 상기 단일의 펄스 신호에 대응되는 데이터의 값으로 변환하기 위한 제 1 디코더와;
    상기 제 2 데이터 전송 단자를 통해 상기 펄스 신호의 상보적인 신호를 받아들여서, 그것에 대응되는 데이터의 값으로 변환하기 위한 제 2 디코더 및;
    상기 변환된 데이터의 값들이 일치할 때, 상기 제 2 펄스 폭으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복원하고 그리고 상기 펄스 신호가 유효한 신호로서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억크날리지 신호를 상기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출력하는 데이터 처리 수단을 포함하는 데이터 수신 회로.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코더는,
    상기 단위 펄스 신호에 동기되도록 클럭 신호를 분주하기 위한 제 1 분주 수단과;
    상기 펄스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분주 수단에 의해서 분주된 상기 클럭 신호에 따라 카운트 동작을 시작하는 제 1 카운터와;
    상기 제 1 카운터는 상기 펄스 신호가 제 1 레벨에서 제 2 레벨로 천이될 때 활성화되고, 상기 제 1 카운터는 상기 펄스 신호가 제 2 레벨에서 제 1 레벨로 천이될 때 비활성화되며;
    상기 제 1 카운터가 비활성화될 때 최종적으로 카운트된 값을 저장하기 위한 제 1 저장 수단을 포함하는 데이터 수신 회로.
  19. 제 17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디코더는,
    상기 단위 펄스 신호에 동기되도록 상기 클럭 신호를 분주하기 위한 제 2 분주 수단과;
    상기 펄스 신호의 상보적인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2 분주 수단에 의해서 분주된 상기 클럭 신호에 따라 카운트 동작을 시작하는 제 2 카운터와;
    상기 제 2 카운터는 상기 상보 신호가 제 2 레벨에서 제 1 레벨로 천이될 때 활성화되고, 상기 제 2 카운터는 상기 상보 신호가 제 1 레벨에서 제 2 레벨로 천이될 때 비활성화되며;
    상기 제 2 카운터가 비활성화될 때 최종적으로 카운트된 값을 저장하기 위한 제 2 저장 수단을 포함하는 데이터 수신 회로.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억크날리지 신호는 펄스로 출력되는 데이터 수신 회로.
  21. 외부의 회로와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회로에 있어서,
    제 1 데이터 단자와;
    제 2 데이터 단자와;
    상기 외부의 회로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중에는 병렬의 데이터를 이 데이터값에 대응하는 단일의 펄스 신호 및 그 상보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데이터 단자들을 통해 각각 출력하기 위한 변환 수단과;
    상기 외부의 회로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중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데이터 단자들을 통해 상기 단일의 펄스 신호 및 그 상보적인 신호를 각각 입력하여 데이터의 송신 개시를 표시하는 제 1 펄스폭과 상기 데이터의 절대값에 대응되는 제 2 펄스 폭을 갖는 데이터로 복원하기 위한 복원부를 포함하는 데이터 송/수신 회로.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의 값이 0일 때, 상기 제 2 펄스 폭은 0인 데이터 송/수신 회로.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의 값이 0이 아닐 때, 상기 제 2 펄스 폭은 1의 데이터 값을 표시하는 단위 펄스 신호의 폭에 비례하는 데이터 송/수신 회로.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펄스 폭과 상기 단위 펄스 신호의 폭은 동일한 데이터 송/수신 회로.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펄스 폭과 상기 단위 펄스 신호의 폭은 상이한 데이터 송/수신 회로.
  26. 제 24 항 또는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펄스와 상기 단위 펄스는 동일한 위상을 갖는 데이터 송/수신 회로.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펄스는 0의 데이터 값을 나타내는 데이터 송/수신 회로.
  28.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수단은,
    상기 데이터를 받아들여서 상기 데이터의 값에 상기 제 1 펄스에 해당하는 데이터의 값을 부가하고, 상기 출력된 펄스 신호 및 그 상보 신호가 유효한 신호로서 송신되었음을 알리는 억크날리지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제 1 데이터 처리 수단과;
    상기 부가된 데이터를 받아들여서 상기 부가된 데이터를 상기 펄스 신호로 부호화하기 위한 엔코더 및;
    상기 펄스 신호를 받아들여서 상기 펄스 신호 및 그 상보적인 신호로 동시에 출력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데이터 송/수신 회로.
  29. 제 27 항 또는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엔코더는,
    상기 부가된 데이터가 입력될 때 제 1 및 제 2 제어 신호들을 발생하는 제어 신호 발생 수단과;
    상기 부가된 데이터의 값을 저장하기 위한 제 1 저장 수단과;
    상기 단위 펄스 신호에 동기되도록 클럭 신호를 분주하기 위한 제 1 분주 수단과;
    상기 제 1 제어 신호가 인가될 때 초기화되는 제 1 카운터와;
    상기 제 2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분주 수단에 의해서 분주된 상기 클럭 신호를 상기 제 1 카운터의 활성화 신호로서 공급하기 위한 제 1 스위치와;
    상기 제 1 카운터에 의해서 카운트된 값과 상기 제 1 저장 수단에 저장된 데이터의 값을 비교하여 상기 펄스 신호를 출력하는 제 1 비교기 및;
    상기 제 1 비교기는, 상기 제 1 카운터가 초기화될 때, 상기 펄스 신호를 제 1 레벨에서 제 2 레벨로 천이시키고, 상기 제 1 비교기는 상기 카운트된 값과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된 데이터의 값이 일치할 때, 상기 펄스 신호를 제 2 레벨에서 제 1 레벨로 천이시키며;
    상기 펄스 신호가 제 2 레벨에서 제 1 레벨로 천이될 때, 상기 스위치를 스위치-오프시키기 위한 스위치 비활성화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 비활성화 수단을 포함하는 데이터 송/수신 회로.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 수단은,
    상기 제 1 데이터 전송 단자를 통해 상기 펄스 신호를 받아들여서 상기 펄스 신호에 대응되는 데이터의 값으로 변환하기 위한 제 1 디코더와;
    상기 제 2 데이터 전송 단자를 통해 상기 상보 신호를 받아들여서 상기 상보 신호에 대응되는 데이터의 값으로 변환하기 위한 제 2 디코더 및;
    상기 변환된 데이터의 값들이 일치할 때, 상기 제 2 펄스 폭으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복원하고 그리고 상기 펄스 신호가 유효한 신호로서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억크날리지 신호를 상기 단자들 중 하나를 통해 출력하는 제 2 데이터 처리 수단을 포함하는 데이터 송/수신 회로.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코더는,
    상기 단위 펄스 신호에 동기되도록 클럭 신호를 분주하기 위한 제 2 분주 수단과;
    상기 펄스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2 분주 수단에 의해서 분주된 상기 클럭 신호에 따라 카운트 동작을 시작하는 제 2 카운터 및;
    상기 제 2 카운터는 상기 펄스 신호가 제 1 레벨에서 제 2 레벨로 천이될 때 활성화되고, 상기 제 2 카운터는 상기 펄스 신호가 제 2 레벨에서 제 1 레벨로 천이될 때 비활성화되며;
    상기 제 2 카운터가 비활성화될 때 최종적으로 카운트된 값을 저장하기 위한 제 2 저장 수단을 포함하는 데이터 송/수신 회로.
  32. 제 30 항 또는 3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디코더는,
    상기 단위 펄스 신호에 동기되도록 상기 클럭 신호를 분주하기 위한 제 3 분주 수단과;
    상기 상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3 분주 수단에 의해서 분주된 상기 클럭 신호에 따라 카운트 동작을 시작하는 제 3 카운터 및;
    상기 제 3 카운터는 상기 상보 신호가 제 2 레벨에서 제 1 레벨로 천이될 때 활성화되고, 상기 제 3 카운터는 상기 상보 신호가 제 1 레벨에서 제 2 레벨로 천이될 때 비활성화되며;
    상기 제 3 카운터가 비활성화될 때 최종적으로 카운트된 값을 저장하기 위한 제 3 저장 수단을 포함하는 데이터 송/수신 회로.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억크날리지 신호는 펄스로 출력되는 데이터 송/수신 회로.
  34.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부와;
    상기 처리된 데이터를 단일의 펄스 신호 및 그 상보적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변환부와;
    상기 단일의 펄스 신호를 출력하는 제 1 데이터 전송 단자 및;
    상기 상보 신호를 출력하는 제 2 데이터 전송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단일의 펄스 신호의 폭은 송신 개시를 표시하는 제 1 펄스 폭과 상기 데이터의 절대값에 대응되는 제 2 펄스 폭을 갖는 집적 회로.
  35. 송신 개시를 표시하는 제 1 펄스 폭과 송신될 데이터의 절대값에 대응되는 제 2 펄스 폭을 갖는 단일의 펄스 신호로 변환된 상기 데이터를 받아들이기 위한 제 1 데이터 수신 단자와;
    상기 펄스 신호의 상보적인 신호를 받아들이기 위한 제 2 데이터 수신 단자와;
    상기 제 2 펄스 폭으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복원하기 위한 복원부 및;
    상기 복원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하는 집적 회로.
  36. 제 1 데이터 단자와;
    제 2 데이터 단자와;
    데이터를 그 데이터값에 대응하는 펄스폭을 갖는 단일의 펄스 신호 및 그 상보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데이터 단자들을 통해 출력하는 변환부와;
    상기 제 1 및 제 2 데이터 단자들을 통해 상기 단일의 펄스 신호 및 상보적인 신호를 각각 받아들여서, 상기 단일의 펄스 신호의 펄스폭에 대응하는 데이터로 복원하기 위한 복원부와;
    상기 복원된 데이터 및 상기 전송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원된 데이터는 송신 개시를 표시하는 제 1 펄스 폭과 상기 데이터의 절대값에 대응되는 제 2 펄스 폭을 갖는 데이터 송/수신용 집적 회로.
  37. 제 1 및 제 2 데이터 전송 단자들을 구비한 데이터 송신 회로의 데이터 송신 방법에 있어서,
    병렬의 데이터를 발생하는 단계와;
    상기 병렬의 데이터를 그 데이터의 값에 대응되는 펄스 폭을 갖는 단일의 펄스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펄스 신호의 상보적인 신호로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펄스 신호 및 그 상보적인 신호를 상기 제 1 및 제 2 데이터 전송 단자들을 통해서 동시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38.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단계는,
    상기 데이터의 전송 유무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판별 단계의 결과로서 전송할 데이터가 없을 때, 상기 판별 단계를 재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판별 단계의 결과로서 전송할 데이터가 있을 때, 상기 데이터의 값에 대응되는 펄스 폭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된 폭의 펄스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39.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는,
    상기 계산된 펄스 폭에 해당하는 듀레이션이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판별 단계의 결과로서 해당하는 듀레이션이 경과하지 않았을 경우, 상기 펄스 발생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 및;
    상기 판별 단계의 결과로서 해당하는 듀레이션이 경과했을 경우, 상기 펄스 신호의 발생을 중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40.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 신호 및 그 상보 신호가 정확하게 전송되었음을 알리는 억크날리지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를 부가적으로 포함하여, 상기 판별 단계의 결과로서 수신되지 않았을 경우, 상기 펄스 발생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 및 상기 판별 단계의 결과로서 수신되었을 경우, 상기 데이터의 전송 유무를 판별하는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41. 제 1 및 제 2 데이터 전송 단자들을 구비한 데이터 수신 회로의 데이터 수신 방법에 있어서,
    데이터의 송신 개시를 표시하는 제 1 펄스 폭과 데이터의 절대값에 대응되는 제 2 펄스 폭을 갖는 단일의 펄스 신호 및 그 상보 신호를 상기 제 1 및 제 2 데이터 전송 단자들을 통해서 동시에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펄스 폭으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복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수신 방법.
  42.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단계는,
    데이터 전송 개시를 알리는 신호가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판별 단계에서 상기 전송 개시 신호가 검출되지 않았을 경우, 상기 판별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와;
    상기 판별 단계에서 상기 전송 개시 신호가 검출되었을 경우, 펄스 신호 및 그 상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펄스 신호 및 그 상보 신호의 전송 종료의 정보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판별 단계의 결과로서 상기 전송 종료의 정보가 수신되지 않았을 경우, 상기 수신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와;
    상기 판별 단계의 결과로서 상기 전송 종료의 정보가 수신되었을 경우, 상기 복원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방법.
  43.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 단계는,
    상기 펄스 신호 및 그 상보 신호의 펄스 폭을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펄스 신호의 폭과 상기 상보 신호의 폭이 동일하가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판별 단계의 결과로서 동일할 경우, 상기 펄스 신호 또는 상기 상보 신호를 상기 데이터로 재생하는 단계와;
    상기 펄스 신호가 유효한 신호로서 전송되었음을 알리는 상기 억크날리지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및;
    상기 판별 단계의 결과로서 동일하지 않을 경우, 상기 펄스 신호를 에러 처리하여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신 방법.
  44. 제 1 및 제 2 데이터 전송 단자들을 구비한 데이터 송/수신 회로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에 있어서,
    데이터를 발생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를 그 데이터의 값에 대응되는 펄스 폭을 갖는 단일의 펄스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펄스 신호의 상보적인 신호로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펄스 신호 및 그 상보적인 신호를 상기 제 1 및 제 2 데이터 전송 단자들을 통해서 동시에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및 제 2 데이터 전송 단자들을 통해 상기 펄스 신호 및 그 상보적인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펄스 신호 및 상기 상보 신호 중 하나를 상기 제 2 펄스 폭으부터 상기 테이터로 복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KR1019970042213A 1997-08-28 1997-08-28 데이터 송/수신 회로 및 그 방법 KR1002358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2213A KR100235842B1 (ko) 1997-08-28 1997-08-28 데이터 송/수신 회로 및 그 방법
TW087107914A TW380338B (en) 1997-08-28 1998-05-21 Serial data communication between integrated circuits
DE19828632A DE19828632B4 (de) 1997-08-28 1998-06-26 Datenempfänger und Datensender zur seriellen Datenübertragung
US09/140,152 US6275526B1 (en) 1997-08-28 1998-08-26 Serial data communication between integrated circuits
CNB981176402A CN1171398C (zh) 1997-08-28 1998-08-26 集成电路之间的串行数据通信
JP24416998A JP3784176B2 (ja) 1997-08-28 1998-08-28 データ送受信回路及びその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2213A KR100235842B1 (ko) 1997-08-28 1997-08-28 데이터 송/수신 회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8932A KR19990018932A (ko) 1999-03-15
KR100235842B1 true KR100235842B1 (ko) 1999-12-15

Family

ID=19519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2213A KR100235842B1 (ko) 1997-08-28 1997-08-28 데이터 송/수신 회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275526B1 (ko)
JP (1) JP3784176B2 (ko)
KR (1) KR100235842B1 (ko)
CN (1) CN1171398C (ko)
DE (1) DE19828632B4 (ko)
TW (1) TW38033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4696A (ko) * 2001-07-06 2003-01-15 (주)제이앤에스개발무역 에러검출 자동 보정 시스템 방식에 의한 양방향 전력선통신 제어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3037A (ko) * 1998-08-04 2000-03-06 윤종용 데이터 송/수신 회로 및 그 방법
DE19914742A1 (de) * 1999-03-31 2000-10-12 Siemens Ag Verfahren zum Übertragen von Daten
JP3525831B2 (ja) 1999-11-17 2004-05-10 日本電気株式会社 クロック信号伝送方式及びディジタル信号伝送方式並びにクロック信号伝送方法及びディジタル信号伝送方法
US6760367B1 (en) * 2000-09-26 2004-07-06 Eni Technology, Inc. Internal noise immune data communications scheme
US20050032516A1 (en) * 2002-05-24 2005-02-10 Bruno Marchevsky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a wireless network
DE60209465D1 (de) * 2002-09-02 2006-04-27 St Microelectronics Srl Hochgeschwindigkeitschnittstelle für Funkanlagen
US7356756B1 (en) * 2004-08-20 2008-04-08 Altera Corporation Serial communications data path with optional features
US8073040B1 (en) * 2004-08-20 2011-12-06 Altera Corporation Serial communications control plane with optional features
US8291063B2 (en) * 2005-03-04 2012-10-16 Netapp,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between an agent and a remote management module in a processing system
US7805629B2 (en) * 2005-03-04 2010-09-28 Netapp, Inc. Protecting data transactions on an integrated circuit bus
US7487343B1 (en) 2005-03-04 2009-02-03 Netapp,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boot image selection and recovery via a remote management module
US8090810B1 (en) 2005-03-04 2012-01-03 Netapp, Inc. Configuring a remote management module in a processing system
US7899680B2 (en) * 2005-03-04 2011-03-01 Netapp, Inc. Storage of administrative data on a remote management device
US7634760B1 (en) 2005-05-23 2009-12-15 Netapp, Inc.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execution of a debugging utility using a remote management module
EP1798921A1 (en) * 2005-12-16 2007-06-20 STMicroelectronics (Research & Development) Limited Switch with a pulsed serial link
US20070240019A1 (en) * 2005-12-29 2007-10-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correcting errors in I2C bus communications
KR101278270B1 (ko) * 2011-08-26 2013-06-24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JP5801231B2 (ja) * 2012-03-22 2015-10-28 株式会社東芝 伝送システム、復号装置、メモリコントローラおよびメモリシステム
CN103532686B (zh) * 2012-07-03 2016-09-28 中国科学院微电子研究所 带有线序自适应功能的串行数据收发电路及其控制方法
CN102799195B (zh) * 2012-07-12 2014-09-24 清华大学 一种增量光栅信号处理方法
CN103544128B (zh) * 2013-10-28 2016-08-24 无锡中感微电子股份有限公司 芯片之间的单信号线通信方法、装置及系统
CN104270125B (zh) * 2014-08-29 2016-10-26 北京凌云光技术有限责任公司 同步脉冲信号补舍方法及装置
CN104298625A (zh) * 2014-10-11 2015-01-21 龙迅半导体科技(合肥)有限公司 一种iic设备地址的检测方法及装置
JP2016092445A (ja) * 2014-10-29 2016-05-23 株式会社リコー シリアル通信システム
CN104967504A (zh) * 2015-07-08 2015-10-07 北京麓柏科技有限公司 链路数据保护的方法和装置
DE102017214421A1 (de) * 2017-08-18 2019-02-21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ynchronisation von Prozessen auf wenigstens zwei Prozessoren
CN107557984B (zh) * 2017-08-25 2019-05-28 肇庆市立泰电子产品有限公司 一种高性能的针织机选针器并行数据传输协议
KR102621215B1 (ko) * 2017-09-18 2024-01-08 인텔 코포레이션 시간 인코딩된 데이터 통신 프로토콜, 데이터 신호를 생성 및 수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11979177B2 (en) 2017-09-18 2024-05-07 Intel Corporation Time encoded data communication protocol,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nd receiving a data signal
CN112118083A (zh) * 2020-09-02 2020-12-22 广东瑞德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单线半双工的通信方法、通信装置及设备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235438B1 (ko) * 1973-06-26 1976-05-07 Labo Cent Telecommunicat
US4178549A (en) * 1978-03-27 1979-12-11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Recognition of a received signal as being from a particular transmitter
US5185765A (en) * 1986-05-08 1993-02-09 Walker Harold R High speed data communication system using phase shift key coding
US5216667A (en) * 1991-05-24 1993-06-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imultaneous bidirectional transceiver
CH686465A5 (de) * 1993-01-26 1996-03-29 Royale Consultants Ltd Verfahren und Einrichtung zur bidirektionalen Informationsuebertragung (Full-Duplex).
US5905716A (en) * 1996-12-09 1999-05-18 Ericsson, Inc. Asynchronous full duplex communications over a single channe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4696A (ko) * 2001-07-06 2003-01-15 (주)제이앤에스개발무역 에러검출 자동 보정 시스템 방식에 의한 양방향 전력선통신 제어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1398C (zh) 2004-10-13
DE19828632B4 (de) 2007-08-02
TW380338B (en) 2000-01-21
CN1212517A (zh) 1999-03-31
JP3784176B2 (ja) 2006-06-07
DE19828632A1 (de) 1999-03-04
US6275526B1 (en) 2001-08-14
KR19990018932A (ko) 1999-03-15
JPH11168513A (ja) 1999-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5842B1 (ko) 데이터 송/수신 회로 및 그 방법
KR100688516B1 (ko) 단일 라인을 이용한 직렬 데이터 통신 방법 및 그 장치
US5610953A (en) Asynchronous low latency data recovery apparatus and method
US8064534B2 (en) Single-wire asynchronous serial interface
US4514719A (en) Data transmission system utilizing power line of 3-phase alternating current
US7254201B2 (en) Clock and data recovery circuit and method
US6385319B1 (en) Encoding circuit and method of detecting block code boundary and establishing synchronization between scrambler and descrambler
US6985546B2 (en) Transmitting circuit and method thereof, receiving circuit and method thereof, and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CA2297129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very of time skewed data on a parallel bus
JP3560793B2 (ja) データ転送方法
JP2947074B2 (ja) フレーム同期検出回路
JPH07288516A (ja) シリアルデータ送受信回路
US6970527B2 (en) Transmitting circuit and method thereof, receiving circuit and method thereof, and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JP3487458B2 (ja) 並列信号伝送装置
KR20000026917A (ko) 데이터 송/수신 회로
KR20000013037A (ko) 데이터 송/수신 회로 및 그 방법
KR100240248B1 (ko) 직렬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데이터 송수신 방법
JP2978108B2 (ja) 全電子交換器で二重化されたハイウェイデータ受信装置及び方法
JP2809202B2 (ja) クロック切り替え回路及びこれを用いたクロック乗せ換え装置
KR100199186B1 (ko) 디지탈 초고주파 전송장치의 블럭 동기회로
JP2816746B2 (ja) シリアルデータ伝送システム
JPH09298530A (ja) 現用予備方式用送信フレームタイミング同期回路
KR19990024395A (ko) 맨체스터 신호 검출 및 동기용 클럭 복원 장치
JPH01241246A (ja) デジタル信号検出回路
JPH0482444A (ja) シリアルインターフェ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3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1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