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4469B1 - 자동차의 도어트림용 기재와 표피지의 접합방법 및 접합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도어트림용 기재와 표피지의 접합방법 및 접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4469B1
KR100234469B1 KR1019970056571A KR19970056571A KR100234469B1 KR 100234469 B1 KR100234469 B1 KR 100234469B1 KR 1019970056571 A KR1019970056571 A KR 1019970056571A KR 19970056571 A KR19970056571 A KR 19970056571A KR 100234469 B1 KR100234469 B1 KR 1002344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edge
skin
paper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6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4861A (ko
Inventor
전성도
Original Assignee
전성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도 filed Critical 전성도
Priority to KR1019970056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4469B1/ko
Publication of KR19990034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48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44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44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8Water or sound barrier, e.g. watershields or seals between dry/wet compartment, sound or vibration dam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2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 B29C44/32Incorporating or moulding on preformed parts, e.g. linings, inserts or reinforcements
    • B29C44/326Joining the preformed parts, e.g. to make flat or profiled sandwich lami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37Side or rear panels
    • B60R13/0243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18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the inserts being deformed or preformed, e.g. by the injection pressure
    • B29C2045/14188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the inserts being deformed or preformed, e.g. by the injection pressure trimming the article in the mou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트림용 기재와 표피지의 접합방법 및 접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경질의 기재와 표피지를 부착하는 공정과 표피지의 트리밍 공정을 별개로 행하고, 특히 트리밍된 표피지의 테두리를 기재 저면에 부착하는 공정을 일일이 스태플이나 접착제로 부착하는 등 수작업에 의존함으로써 인력소모에 비해 생산성이 적고 원가상승의 요인이 많으면서도 품질의 균일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금형(21)을 소정형태로 성형되는 기재(50)보다 작게 하여 기재(50)의 테두리가 하금형(21)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기재(50)위에 놓인 표피지(60)의 테두리를 기재(50)의 테두리 저면으로 진공 흡착한 다음 프레스블록(31)과 절단칼날(32)을 상기 기재(50)의 테두리 저면으로 밀착시켜 기재(50)의 테두리 저면에 진공흡착된 표피지(60)의 테두리를 트리밍하면서 그 트리밍된 테두리를 기재(50)저면에 부착시키도록 한 것으로서, 이러한 본 발명은 모든 작업이 일련적으로 이루어지므로 종래에 비해 품질이 균일하고 또한 원가절감을 이룰 수 있어 고품질의 자동차용 내장재를 저렴한 가격에 제공할 수 있음에 따라 경쟁력을 높힐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도어트림용 기재와 표피지의 접합방법 및 접합장치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트림용 기재와 표피지의 테두리 접합방법 및 접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경질의 기재와 연질의 표피지를 부착하여 접합하는 과정을 일련적으로 자동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산성과 품질을 향상시켜 경쟁력을 높힐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도어트림용 기재와 표피지의 접합방법 및 접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도어트림은 소정형태로 성형된 경질의 기재를 하금형 위에 올려 놓고 그 위에 표피지를 올려 놓은 후 상금형을 하강시켜서 서로 압착한 다음 기재 외부로 노출되는 표피지의 테두리를 트리밍하여 제조하고 있으며, 상기 기재의 재질로는 주로 우드화이버(WOOD FIBER), 우드스톡(WOOD STOCK), 레진펠트(RESIN FELT) 등이 사용되고 있고, 표피지의 재질로는 피.이 폼(P.E FOAM)이 부착된 화학섬유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에는 상기한 경질의 기재와 연질의 표피지를 부착하여 도어트림을 제조할 때 기재에 부착된 표피지의 테두리를 절단하는 트리밍 작업은 표피지의 부착작업을 행한 후 트리밍 금형에 의해 기계적으로 행하였지만 트리밍 절단된 표피지의 테두리를 기재의 테두리 내면으로 감아붙이는 공정과 기재 테두리에 감아 붙여진 표피지의 테두리를 스테플이나 접착제로 부착시키는 공정은 일일이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존할 수 밖에 없었다.
즉, 종래에는 소정형태로 성형된 경질의 기재(5)를 나긋 나긋하게 소정 온도로 예열시킨 상태에서 도 1a 에서와 같이 트리밍금형인 하금형(2)위에 올려 놓고 그 위에 표피지(6)를 올려 놓은 다음 상금형(1)을 하강시켜 기재(5)와 표피지(6)의 융착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중 기재(5)의 테두리 외부로 노출되는 표피지(6)의 테두리를 소정 폭으로만 노출되도록 절단칼날(3)로 트리밍하는 작업까지는 병행하였다.
하지만 그 후 기재(5)의 테두리에서 소정 폭으로 노출되게 트리밍된 표피지 부위를 기재(5)내면에 부착하기 위해 도 1b 와 같이 표피지(6)의 이면에 부착되어 있는 피.이 폼(P.E FORM)을 일일이 수작업에 의해 인두로 지져 제거하거나 또는 제거하지 않은 상태 그대로 표피지(6)의 트리밍 부위를 기재(5) 내측면으로 접어 붙이고 도 1c 와 같이 스태플(7)이나 접착제로 부착하는 작업을 수작업으로 행하였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접합방식은 기재와 표피지를 접합하면서 트리밍하는 공정과 표피지의 트리밍 부위를 기재 내면에 감싸 붙이는 작업공정을 별개로 나누어 행함에 따라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는 등 인력소모에 비해 생산성이 상당이 떨어져 원가상승의 요인이 많은 문제점이 있고, 특히 표피지의 트리밍 부위를 기재 내면에 감싸 붙이는 작업을 일일이 수작업으로 행하여야 됨에 따라 품질의 균일성을 이루기가 힘들어서 품질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기재와 표피지의 부착작업 및 표피지의 테두리 트리밍 작업이 동시에 행하여 진 후 트리밍된 표피지의 테두리가 자동으로 기재의 내면에 감싸여 부착되는 일련의 과정이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하여 생산성 향상과 품질향상을 이룰 수 있는 자동차용 도어트림의 기재와 표피지의 접합방법 및 접합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하금형의 기재위에 표피지를 올려 놓고 하금형에서 표피지의 테두리 부위를 진공 흡착토록 하여 표피지의 테두리가 기재의 테두리 저면으로 접히게 한 다음 하금형에 설치된 실린더의 프레스블록과 절단칼날을 상승시켜 표피지의 테두리를 절단하여 트리밍함과 동시에 기재 저면에 강하게 눌러 붙이도록 자동차용 도어트림의 기재와 표피지의 접합방법 및 접합장치를 구성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표피지의 테두리 트리밍 작업과 동시에 트리밍된 표피지의 테두리가 기재 저면에 부착되는 작업이 자동으로 일련의 과정에 의해 신속 간편하게 행하여 지는 것이므로 수작업에 의존하는 종래에 비해 품질의 균일성과 생산성 향상을 이룰 수 있고 인력소모를 상당히 줄일 수 있어 원가절감과 품질향상에 의한 경쟁력을 높힐 수 있는 것이므로 상기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가 있다.
제1a도는 종래의 일반적인 접합장치에 의해 기재와 표피지의 부착 및 테두리 트리밍 작업을 행하는 상태의 일부 횡단면 확대도.
제1b도 및 제1c도는 제1a도의 공정후 수작업에 의해 표피지의 피.이 폼을 제거하고 기재 저면으로 절곡시켜 접합하는 상태의 일부 횡단면 확대도.
제2a도 내지 제2c도는 본 발명의 장치에 의해 기재표면에 표피지를 진공흡착후 부착하는 과정을 공정별로 보인 요부 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상금형 12 : 상패드
13 : 스프링 21 : 하금형
22 : 하패드 23 : 에어홀
30 : 실린더 31 : 프레스블록
32 : 절단칼날 40 : 공간부
50 : 기재 60 : 표피지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기술구성 및 작용을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첨부한 별첨의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a 내지 도 2d 는 본 발명의 장치에 의해 표피지의 테두리를 진공 흡착한 후 표피지 테두리의 트리밍과 기재에 부착하는 일련의 과정을 예시한 요부 횡단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는 사방에 상패드(12)가 형성된 상금형판(10)에는 상금형(11)을 스프링(13)으로 탄발되게 설치하고, 사방에 하패드(22)가 형성된 하금형판(20)에 하금형(21)을 형성함에 있어서, 하금형(21)은 소정형태로 성형된 경질 기재(50)의 사방 테두리가 노출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하되 그 사방 모서리에 진공흡착기(도면에 미도시)와 연결된 에어홀(23) 다수개를 형성하여 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금형(21)의 테두리와 그 사방의 하패드(22)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부(40)를 형성한 후 절단칼날(32)이 설치된 프레스블록(31)을 실린더(30)로 승강 되게 상기 공간부(40) 내에 설치하여 된 것으로서, 도면중 미설명 부호 (60)은 표면은 서로 접착성이 없으면서 이면에 접착제나 접착용 필름이 부착되어 있는 연질의 표피지 이다.
이와같이 형성된 본 발명의 장치에 의해 자동차의 내장재를 이루는 기재와 표피지의 접합방법을 공정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공정(기재 테두리에 표피지를 진공 흡착하는 공정)
소정형태로 미리 성형된 기재(50)를 하금형(21)위에 올려 놓으면 하금형(21)은 기재(50)보다 작은 크기이므로 기재(50)의 사방 테두리는 하금형(21)의 테두리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소정온도로 예열되어 흐늘하여진 표피지(60)를 기재(50)위에 올려 놓으면 표피지(60)의 테두리는 기재(50)에서 아래로 쳐지면서 하금형(21)보다 아래에 위치하고 있는 하패드(22)위에 얹혀져 놓이는 상태가 된다.
그후 상금형판(10)과 상금형(11)을 하강시키면 상금형(11)이 하금형(21)위에 올려져 있는 표피지(60)를 눌러서 기재(50) 표면에 눌러 붙일 때 상패드(12)는 아래로 처져서 하패드(22)위에 결쳐있는 표피지(60)의 테두리를 하패드(22)에 강하게 눌러서 잡아주는 상태가 되며, 이와같이 표피지(60)의 테두리가 상패드(12)와 하패드(22) 사이에 눌린 상태가 되면 공간부(40)는 밀폐된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하금형(21)의 테두리에 형성된 다수의 에어홀(23)을 통해 표피지(60)가 처져있는 공간부(40)의 공기를 강하게 빨아내면 테두리가 상, 하패드(22)에 물려서 공간부(40)에 위치되어 있는 표피지(60)는 그 에어홀(23)의 흡입력에 의해 당겨지면서 중첩되어 도 2b 에서와 같이 기재(50)의 테두리 저면쪽으로 진공흡착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제 2 공정(진공흡착된 표피지의 테두리 트리밍과 부착공정)
상기 제 1공정이 완료되면 하금형(21)과 하패드(22) 사이의 공간부(40)에 설치된 실린더(30)가 곧바로 작동하여 프레스블록(31)과 절단칼날(32)을 상승시킴에 따라 절단칼날(32)이 기재(50) 저면에 중첩된 상태로 근접되어 있는 표피지(60)의 테두리단을 절단하여 트리밍함과 동시에 프레스블록(31)이 진공흡착되어 있던 표피지(60)의 테두리를 기재(50) 저면으로 강하게 밀어붙임에 따라 표피지(60)의 테두리는 트리밍과 동시에 기재(50) 저면에 부착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표피지(60)의 테두리를 트리밍하면서 동시에 접합을 하는 과정중에 상기 표피지(60)의 표면은 서로 접착성이 없으므로 중첩되어 눌리더라도 서로 달라붙지 않아 쉽게 제거할 수가 있는 것이고, 표피지(60)의 접착필름이 접촉되는 하패드(22)면과 프레스블록(31) 표면에는 이형제를 도포하거나 코팅처리 하였으므로 표피지(60)의 접착필름이 접촉되더라도 달라 붙지 않는 것이며, 강한 접착력이 요구되는 표피지(60)의 코너부위 등에는 본드를 스프레이하여 그 접착력을 보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발명은 표피지(60)의 테두리를 진공 흡착한 다음 그 테두리를 절단하여 트리밍하는 작업과 그 트리밍된 표피지(60)의 테두리를 기재(50) 저면에 부착하는 공정이 한벌의 상,하금형(21) 내에서 일련의 공정에 의해 이루어 지므로 품질이 균일하게 유지되면서도 기재(50)와 표피지(60)의 부착작업이 매우 신속 간편하여 종래에 비해 품질의 균일성을 이룰 수가 있고, 생산성 향상 및 인력절감의 효과가 있어 상당한 원가 절감을 이룰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자동차의 내장 미관에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는 도어트림을 균일한 품질과 저렴에 가격에 제공할 수 있으므로 자동차의 생산원가 절감과 품질향상을 기할 수 있는 것으로서 국내,외적으로 자동차 판매에 대한 경쟁력을 한층 높힐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3)

  1. 하금형에 놓인 기재 위에 표피지를 씌우고 상금형을 하강시켜서 표피지와 기재를 서로 융착함에 있어서, 하금형(21)을 기재보다 작게 형성하여 기재(50)의 테두리가 하금형(21)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기재(50)보다 큰 표피지(60)의 테두리를 기재(50)의 테두리 저면으로 진공 흡착하여 표피지(60)의 테두리를 기재(50)의 테두리 저면에 근접시키는 제1공정과 ; 상기 공정후 프레스블록(31)과 절단칼날(32)을 상기 기재(50)의 테두리 저면으로 밀착시켜 표피지(60)의 테두리를 트리밍하면서 그 트리밍된 테두리를 기재(50)저면에 밀착시키는 제2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트림용 기재와 표피지의 접합방법.
  2. 상패드(12)가 형성되는 상금형판(10)에는 상금형(11)을 스프링(13)으로 탄발되게 설치하고, 사방에 하패드(22)가 형성되는 하금형판(20)에 하금형(21)을 설치함에 있어서, 하금형(21)은 소정형태로 성형된 경질기재(50)의 사방 테두리가 노출될수 있는 크기로 형성하되 그 사방 모서리에 진공흡착용 에어홀(23)다수개를 형성하며, 상기 하금형(21)의 테두리와 그 사방의 하패드(22)사이에 소정의 공간부(40)를 형성한후 절단칼날(32)과 프레스블록(31)이 상기 공간부(40)에서 하금형(21)외부로 노출된 기재(50)의 테두리를 향해 승강 작동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트림용 기재와 표피지의 접합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40)에 설치되는 절단칼날(32)과 프레스블록(31)이 실린더(30)에 의해 함께 금형(21)외부로 노출된 기재(50)의 테두리를 향해 승강작동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트림용 기재와 표피지의 테두리 접합장치.
KR1019970056571A 1997-10-30 1997-10-30 자동차의 도어트림용 기재와 표피지의 접합방법 및 접합장치 KR1002344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6571A KR100234469B1 (ko) 1997-10-30 1997-10-30 자동차의 도어트림용 기재와 표피지의 접합방법 및 접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6571A KR100234469B1 (ko) 1997-10-30 1997-10-30 자동차의 도어트림용 기재와 표피지의 접합방법 및 접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4861A KR19990034861A (ko) 1999-05-15
KR100234469B1 true KR100234469B1 (ko) 1999-12-15

Family

ID=19523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6571A KR100234469B1 (ko) 1997-10-30 1997-10-30 자동차의 도어트림용 기재와 표피지의 접합방법 및 접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44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3622A (ko) * 2018-04-24 2019-11-01 김태일 자동차의 흡음재 성형목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3622A (ko) * 2018-04-24 2019-11-01 김태일 자동차의 흡음재 성형목형
KR102104069B1 (ko) 2018-04-24 2020-04-23 김태일 자동차의 흡음재 성형목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4861A (ko) 199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4469B1 (ko) 자동차의 도어트림용 기재와 표피지의 접합방법 및 접합장치
JPH0311614B2 (ko)
JP2010076229A (ja) 加飾製品の製造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806444B1 (ko) 차량용 내장부품의 표피재 압착 장치 및 그의 압착방법
JP2004276280A (ja) 表皮を有する成形品の成形方法および成形装置
JP3591570B2 (ja) 複合成形品の成形方法
CN109760601B (zh) 驾驶室顶棚的制作方法及制作辅具
KR100337433B1 (ko) 자동차의 내장재용 기재와 표피재의 접합장치및 접합방법
KR100271393B1 (ko) 자동차의 도어트림용 기재와 표피지의 테두리 접합장치
JP2000326343A (ja) 木目込み線を有するオーナメント組立体の製造方法
JPH0378056B2 (ko)
JPH09314678A (ja) 車内装部材の製造方法
JP3376577B2 (ja) 積層成形体の成形方法
JPH06206258A (ja) 圧着装置
JP3550844B2 (ja) ギャザーの風合いを有するオーナメントを設けた内装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781342B2 (ja) 内装トリムにおける装飾シートの圧着方法並びに圧着用治具
JP2005001121A (ja) ボード成形品の製造方法
JPH08183090A (ja) 車内装部品のライニング基板に対する表皮材の部分的被着方法
KR0145140B1 (ko) 자동차 내장재의 성형방법 및 성형장치
KR100618571B1 (ko) 자동차용 내장 부품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JPH08183089A (ja) 車内装用ライニングの製造方法
JPH03244524A (ja) 表装部材の端末処理方法
JPH0679791A (ja) 表皮材の貼着方法
JPH0885123A (ja) 自動車用内装部品における装飾シートの圧着方法
JPH04105938A (ja) 加飾布の圧着切断・木目込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1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