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2174B1 - 반도체 장치의 박막트랜지스터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장치의 박막트랜지스터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2174B1
KR100232174B1 KR1019920012751A KR920012751A KR100232174B1 KR 100232174 B1 KR100232174 B1 KR 100232174B1 KR 1019920012751 A KR1019920012751 A KR 1019920012751A KR 920012751 A KR920012751 A KR 920012751A KR 100232174 B1 KR100232174 B1 KR 1002321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te
polycrystalline silicon
thin film
film transistor
d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2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3086A (ko
Inventor
황명하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반도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반도체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1019920012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2174B1/ko
Publication of KR940003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30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2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21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6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in Film Transistor (AREA)

Abstract

본발명은 오프 전류를 크게 줄일수 있는 반도체 장치의 박막 트랜지스터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게이트와 드레인 그리고 채널사이의 공핍영역이 겹쳐있으므로 게이트와 드레인 사이에 큰 전계 인가시 큰 오프전류가 흐르는 결점이 있었으나, 본발명에서는 게이트 위 양측에 새의 부리모양을 하는 산화막(12)을 형성하여 오프전류를 크게 줄일수 있도록 하므로써 상기 결점을 개선 시킬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반도체 장치의 박막트랜지스터 제조방법
제1(a)도는 종래 보톰게이트 박막 트랜지스터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제1(b)도는 종래 보톰게이트 박막 트랜지스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제2도는 제1(a)도의 제조를 설명하기 위한 공정단면도.
제3도는 본발명 보톰게이트 박막트랜지스터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제조를 설명하기 위한 공정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기판 11 : 다결정규소
12 : 산화막 13 : 질화막
14 : 게이트 산화막 15 : 몸체용 다결정규소
16 : 포토레지스트 17 : 소오스
18 : 드레인
본발명은 반도체 장치의 보톰게이트(Bottom Gate)박막 트랜지스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오프전류를 크게 줄일수 있는 반도체 장치의 박막트랜지스터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보톰게이트 박막 트랜지스터의 일실시예는 제1(a)도와 같이 기판(1)위에 게이트(2)가 형성되고, 전표면에 게이트 산화막(3)과 다결정규소(Poly Crystal Silicon)(4)가 차례로 형성되며 다결정규소(4) 양측에 소오스(5)와 드레인(6)이 각각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종래 보톰게이트 박막트랜지스터의 다른실시예는 제1(b)도와 같이 기판(1)위에 게이트(2), 산화막(3), 다결정규소(4)가 형성되는 것은 제1(a)도와 같으며 다결정규소(4) 양측에 소오스(17)와 드레인(8)이 형성되어지되 드레인(8)은 오프셋영역(I)우측에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제1(a)도의 제조공정을 제2도를 참조하여 보면, 제2(a)와 같이 기판(1)위 중앙에 게이트(2)를 패터닝(Pattering)하고, 전표면에 게이트 산화막(3)을 형성한 후 (B)와 같이 전표면에 다결정규소(4)를 증착하고, 식각 및 결정화공정을 실시하고, (c)와 같이 다결정규소 양측에 소소스/드레인용 이온을 각각 주입하여 소오스(5)와 드레인(6)을 형성한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제1(a)도의 경우 게이트(2)와 드레인(6) 그리고 채널사이의 공핍영역이 겹쳐있으므로 게이트(2)와 드레인(8)사이에 큰전계가 형성될시 큰 오프전류가 흐른다.
또한, 제1(b)도와 같이 게이트(2)와 드레인(8)사이에 오프셋영역(I)을 형성할 경우 오프전류는 줄일 수 있으나 트랜지스터가 온상태시 오프셋영역(I)으로 인한 큰저항 성분 때문에 온전류를 크게 할 수 없는 결점이 있다.
본발명은 이와같은 종래의 결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보톰게이트 박막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위 양측에 새의 부리(Bird's Beak)형태를 감싸는 형상의 소오스/드레인을 형성하여 오프전류를 크게 줄일수 있는 반도체 장치의 박막트랜지스터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에서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발명의 일실시예로, 제4도를 참조하여보면 제4(a)도와 같이 기판(10)위에 게이트용 다결정규소(11), 산화막(12), 질화막(13)을 차례로 형성하고, (B)와 같이 게이트 영역을 제외한 다결정규소(11), 산화막(12), 질화막(13)을 제거한다.
다음, (C)와같이 열산화 공정을 하여 다결정규소(11)의 양측표면에 산화막(12)을 형성시키되 다결정규소(11)상부 양측의 산화막(12)이 새의 부리형태가 되도록 하고, (D)와 같이 질화막(13)을 전부 제거한후 (E)와 같이 전표면에 게이트 산화막(14), 박막트랜지스터 몸체(Body)용 다결정규소(15)를 차례로 형성한다.
이어서, 식각 및 결정화 공정을 하고, 다결정규소(11)영역의 표면에 포토레지스트 양측의 다결정규소(11)에 소오스(17) 및 드레인(18)을 형성하고, 상기 포토레지스트(16)을 제거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발명은 게이트 양옆에 새의 부리모양을 하고 있는 산화막(12)을 형성하므로써 드레인(18)과 게이트사이 공핍층을 두껍게 하므로 게이트사이의 브리징(Bridging)현상을 방지하고, 드레인(18)과 게이트 사이에 큰전계가 걸려도 상기 공핍층에 미치는 전계를 크게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오프 전류를 크게 줄일 수 있다.
또한, 오프셋길이를 줄일수 있으므로 온전류를 증가시킬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기판(10)위에 다결정규소(11), 산화막(12), 질화막(13)을 차례로 형성하고, 게이트 영역을 제외한 다결정규소(11), 산화막(12), 질화막(13)을 제거하는 단계와, 산화공정을 하여 다결정규소(11)양측에 산화막(12)을 형성시키되 다결정규소(11)상부양측의 산화막(12)이 새의 부리형태가 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질화막(13)을 전부 제거하고, 전표면에 게이트 산화막(14), 몸체용 다결정규소(15)를 차례로 형성한후 다결정규소(11)영역을 제외한 몸체용 다결정규소(15)에 이온을 주입하여 소오스(17)와 드레인(18)을 형성하는 단계를 차례로 실시하여 이루어지는 반도체 장치의 박막트랜지스터 제조 방법.
KR1019920012751A 1992-07-16 1992-07-16 반도체 장치의 박막트랜지스터 제조방법 KR1002321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2751A KR100232174B1 (ko) 1992-07-16 1992-07-16 반도체 장치의 박막트랜지스터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2751A KR100232174B1 (ko) 1992-07-16 1992-07-16 반도체 장치의 박막트랜지스터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3086A KR940003086A (ko) 1994-02-19
KR100232174B1 true KR100232174B1 (ko) 1999-12-01

Family

ID=19336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2751A KR100232174B1 (ko) 1992-07-16 1992-07-16 반도체 장치의 박막트랜지스터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21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02400B2 (ja) * 1994-04-22 2003-05-06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半導体集積回路の作製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3086A (ko) 1994-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97777A (en) Manufacturing process for an integrated circuit comprising double gate components
US4069577A (en) Method of making a semiconductor device
JP2510599B2 (ja) 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
KR100232174B1 (ko) 반도체 장치의 박막트랜지스터 제조방법
KR0183785B1 (ko) 모스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KR960014720B1 (ko) 폴리 사이드 구조를 갖는 게이트 전극 형성 방법
KR100624961B1 (ko) 메탈 게이트를 채용한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KR100304760B1 (ko) 엠엔오에스(mnos)형반도체장치
KR19990071116A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232172B1 (ko)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JP3397804B2 (ja) 不揮発性メモリの製造方法
KR100444771B1 (ko)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KR0172041B1 (ko) 반도체 소자의 트랜지스터 제조 방법
KR0162147B1 (ko) 박막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KR0157871B1 (ko) 모스형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JPH0621369A (ja) Mos集積回路の製造方法
JPH0260131A (ja) 電界効果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960002083B1 (ko) 모스 페트 제조 방법
KR100206864B1 (ko) 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 제조방법
KR940004270B1 (ko) 리세스드 채널 모오스 fet 제조방법
KR19980053674A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9990004943A (ko) 저농도 도핑 드레인 구조를 갖는 트랜지스터 형성 방법
KR100235980B1 (ko) 모스패트 제조방법
KR0155301B1 (ko) 중첩구조를 구비한 모스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KR100203296B1 (ko) 모스 트랜지스터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