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9988B1 - 윤전식 공판인쇄기의 공판원지시단 장착장치 - Google Patents

윤전식 공판인쇄기의 공판원지시단 장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9988B1
KR100229988B1 KR1019950043151A KR19950043151A KR100229988B1 KR 100229988 B1 KR100229988 B1 KR 100229988B1 KR 1019950043151 A KR1019950043151 A KR 1019950043151A KR 19950043151 A KR19950043151 A KR 19950043151A KR 100229988 B1 KR100229988 B1 KR 1002299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ing
trial
stencil
plate
press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3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7152A (ko
Inventor
가와이무네아키
와타나베히로시
Original Assignee
하야마 노보루
리소 가가쿠 고교 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야마 노보루, 리소 가가쿠 고교 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하야마 노보루
Publication of KR9600171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71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9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99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LAPPARATUS OR DEVICES FOR MANIFOLDING, DUPLICATING OR PRINTING FOR OFFICE OR OTHER COMMERCIAL PURPOSES; ADDRESSING MACHINES OR LIKE SERIES-PRINTING MACHINES
    • B41L31/00Devices for removing flexible printing formes from forme cyli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7/00Rotary lithographic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LAPPARATUS OR DEVICES FOR MANIFOLDING, DUPLICATING OR PRINTING FOR OFFICE OR OTHER COMMERCIAL PURPOSES; ADDRESSING MACHINES OR LIKE SERIES-PRINTING MACHINES
    • B41L13/00Stencilling apparatus for office or other commercial use
    • B41L13/04Stencilling apparatus for office or other commercial use with curved or rotary stencil carriers
    • B41L13/06Stencilling apparatus for office or other commercial use with curved or rotary stencil carriers with a single cylinder carrying the stenc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LAPPARATUS OR DEVICES FOR MANIFOLDING, DUPLICATING OR PRINTING FOR OFFICE OR OTHER COMMERCIAL PURPOSES; ADDRESSING MACHINES OR LIKE SERIES-PRINTING MACHINES
    • B41L29/00Devices for attaching printing elements or formes to supports
    • B41L29/12Devices for attaching printing elements or formes to supports for attaching flexible printing formes
    • B41L29/14Clamp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r Reproduction Of Printing Formes (AREA)
  • Screen Printers (AREA)
  • Printing Plates And Materials Therefor (AREA)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 Feeding Of Articles By Means Other Than Belts Or Rollers (AREA)

Abstract

윤전식 공판 인쇄기의 판동에 공판원지시단부를 장착하는 공판원지시단장착장치의 개폐에 요하는 주위공간의 크기를 작게 할지라도 배판시에 있어서의 공판원지시단부가 공판원지시단장착장치를 넘어서 배판장치로 향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공판원지시단장착장치에 있어서의 개폐식의 누름부재(76)의 공판원지시단부 받아들임측에 배판시에 누름부재(76)에 의한 억누름으로부터 해방된 공판원지시단부(116)를 누름부재(76)의 위측으로 튀어올리는 튀어오름부재(84, 86, 88)를 설치한다.

Description

윤전식 공판 인쇄기의 공판원지시단장착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공판원지시단(始端)장착장치가 전자동 윤전식 공판인쇄기내에서 점유하는 위치를 도시하는것을 목적으로 하여 전자동 윤전식 공판 인쇄기의 기본적 구성의 주요부를 도해적으로 도시하는 개략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공판원지시단장착장치의 하나의 실시예를 수용하는 판동(版胴)장치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에 도시되어 있는 판동장치를 다른 하나의 작동상태에 있어서 도시하는 사시도.
제4도는 제2도에 도시되어 있는 판동장치를 또다른 하나의 작동상태에 있어서 도시하는 사시도.
제5도는 제2도에 도시되어 있는 판동장치를 또다른 하나의 작동상태에 있어서 도시하는 사시도.
제6도는 제2도에 도시되어 있는 판동장치를 또다른 하나의 작동상태에 있어서 도시하는 사시도.
제7도는 제2도에 도시되어 있는 판동장치를 또다른 하나의 작동상태에 있어서 도시하는 사시도.
제8도는 제2도,제3도,제4도에 도시되어 있는 판동장치의 각 작동상태를 각각 a, b, c로서 도시하는 도해적 측면도.
제9도는 제5도,제6도,제7도에 도시되어 있는 판동장치의 작동상태를 각각 d, e, f로서 도시하고, 또 그후의 작동상태를 g, h로서 도시하는 도해적 측면도.
제10도는 제2도 이하에 도시하는 판동장치에 수용되고 공판원지시단장착장치의 작동에 임하여 판동의 정지위치를 정확하게 미세조정하는 장치를 공판원지 시단부의 장착시에 있어서의 작동상태에 대해서 도시하는 도해적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판동 12 : 공판원지시단장착장치
14 : 공판원지롤 16 : 안내통로
18 : 서멀 헤드(thermal head) 20 : 플래튼(platen)롤러
22 : 커터 24 : 가동통로의 절동부(節動部)
25 : 가동통로 26, 28 : 공판원지이송롤러
30 : 통로 32 : 공판원지안내립(lip)
34, 36 : 인쇄용지이송롤러 38 : 프레스롤러
40 : 끼움영역 42 : 스퀴지(squeegee)롤러
44 : 독터 로드(doctor rod) 46 : 홈부
48 : 잉크 분배기 50 : 잉크
52 : 잉크 저장부 54 : 교반로드
56 : 잉크층 58 : 인쇄용지 벗김클릭
60 : 배지(排紙) 장치 62 : 배판(排版)클릭
64, 66, 68 : 벨트 컨베이어 70 : 지지면
72 : 대좌(坮座)부재 74 : 누름면
76 : 누름부재 78 : 축받이 장치
80 : 리브 82 : 레버 작동부
84 : 봉형상부재 86 : 아암부재
88 : 튀어오름부재 90 : 지지면(70)의 입구가장자리
92 : 누름면(74)의 입구가장자리 94 : 축받이 장치
96 : 레버 작동부 98 : 펄스모터
100 : 펄스모터의 축 102, 104 : 캠
106 : 추축 108, 110 : 레버부재
112, 114 : 인장코일스프링 116 : 공판원지시단부
118 : 선형 융기부 120 : 캠홈
122 : 캠판 124 : 캠 작동부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윤전식 공판 인쇄기의 분야에 관한 것이고, 특히 그 판동에 공판원지의 시단부를 장착하기 위한 공판원지시단장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공판 인쇄기는 현재 이미 공판원지의 공급으로부터 그 천공, 천공된 공판원지의 판동으로의 부착, 인쇄, 인쇄후의 판동으로부터의 공판원지의 배판이 전부 자동화되어 있고, 손가락에 의한 누름버튼 등의 지령수단의 터치조작만으로 공판 인쇄의 일체의 프로세스가 자동적으로 행해지는 전자동 윤전식 공판 인쇄기의 단계에 도달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전자동 윤전식 공판 인쇄기의 기본구조의 원형은 일본 특개소 59-96983호 공보 및 동 59-143679호 공부에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전자동 윤전식 공판 인쇄기에 있어서는 , 공판원지는 롤형상으로 감겨진 띠형상의 공판원지로서 공급되고, 일 판의 공판원판을 작성하는 띠형상의 공판원지로부터 판동의 둘레에 바깥감김되는 소정길이의 공판원지가 잘려지고, 그 시단부는 판동의 원통형상 외주면의 일부에 그 판동의 중심축선에 평행하게 뻗어있는 띠형상의 지지면을 나타내는 대좌부재와, 상기 지지면상에 포개어 합쳐지는(重合) 누름면을 갖고 그 누름면이 상기 지지면상에 포개어 합쳐진 폐쇄위치와 상기 누름면이 상기 지지면으로 부터 떼어놓여진 개방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하는 누름부재로 이루어지는 기본구성을 갖는 공판원지시단장착장치에 의하여 판동에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와 같이 대좌부재의 지지면에 마주 대하는 누름면을 갖고 동시에 그 누름면이 대좌부재의 지지면에 포개어 합쳐지는 폐쇄위치와 누름면이 지지면으로부터 떼어놓여진 개방위치와의 사이에 이동하는 누름부재로서 당연히 고려되는 가장 기본적인 구조는, 띠형상의 평판부재이고, 또 이것을 상기와 같은 폐쇄위치와 개방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부착하는 구조로서 당연히 고려되는 가장 기본적인 구조는, 상기와 같은 띠형상의 판부재를 그 길이방향의 한쪽 가장자리를 따라서 추축에 의하여 지지하는 것일 것이다. 상기의 일본 특개소 59-96983호 공보 및 동 59-143679호 공보에 표시되어 있는 윤전식 공판 인쇄기의 실시예에 있어서도, 공판원지시단장착장치는 그와 같은 구조로서 표시되어 있다.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전자동 윤전식 공판 인쇄기에 있어서의 공판원지시단장착장치의 구조에 대하여는 한가지 중대한 문제가 있다. 그것은, 상기 공보의 도면에도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와 같은 전자동 윤전식 공판 인쇄기에 있어서는, 판동과, 그것에 새로운 공판원지를 공급하는 공판원지공급장치와, 사용이 끝난 공판원지를 판동으로부터 떼어내어 배판하는 배판장치의 3가지를, 전체로서 할 수 있을 만큼 작은 공간내에 조화가 된 양태로 배치하고자 하면, 당연한 사실로서 공판원지공급장치는 판동의 한쪽측에 배치되고, 배판장치는 판동의 다른쪽 측에 배치되는 것이 될 것이다.
이 경우, 공판원지시단장착장치에는, 새로운 공판원지의 장착에 있어서는 공판원지의 시단부가 그것을 향하여 한쪽 측으로부터 진행하여 오지만, 사용이 끝난 공판원지의 배판에 있어서는 공판원지의 시단부를 공판원지시단장착장치로부터 배판장치가 있는 다른쪽 측으로 향하여 진행시키는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만일 공판원지시단장착장치가, 상술한 바와 같이 가장 기본적인 구성으로서 고려되는 띠형상의 판부재이고 동시에 그것이 길이방향의 한쪽 가장자리를 따라서 추착되어 있는 것과 같은 구조의 것인 경우, 그 판부재를 공판원지공급장치의 측으로 향하여 입을 벌린 양태로 경사시켜 두면, 새로운 공판원지의 시단부를 공판원지시단장착장치내로 받아들이기에는 매우 편리하지만, 배판에 임하여 공판원지의 시단부를 공판원지시단장착장치로부터 반대측으로 진행시키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특히 판동으로부터 사용이 끝난 공판원지를 그 시단부로부터 시작하여 떼는 조작은, 상기의 일본 특개소 59-96983호 공보 및 동 59-143679호 공보에도 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떼어지는 공판원지의 시단부와 판동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배판클릭의 선단을 댄 상태에서 판동을 인쇄시의 회전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행해지지만, 배판장치에 의한 원지의 인출에도 또한 잉크에 의하여 판동의 외주면에 점착한 공판원지를 판동으로부터 떼는 데에도 바람직한 조작이기 때문에 이와 같은 조작이 문제없이 행해지기 위해서는, 배판되어야 할 공판원지의 시단부가 공판원지시단장착장치를 넘어서 반대측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을 것과, 배판에 있어서 판동이 회전될 때 공판원지시단장착장치가 상기의 배판클릭에 간섭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상기 두가지 요청사항에 비추어, 누름부재가 상기와 같이 띠형상의 판부재로서 구성되고, 그것이 길이방향의 한쪽 가장자리를 따라서 추동식으로 장착되는 기본구성을 갖는 공판원지시단장착장치에 있어서, 띠형상의 판부재는 대좌부재의 지지면상에 포개어 합쳐지는 폐쇄위치로부터 그 누름면이 지지면으로부터 떼어놓여진 개방 위치로 향하여 대략 180° 반전되도록 하는 것이, 일본 특개소 59-96984호 공보에 있어서 제안되어 있다. 이와 같이 띠형상의 판부재가 폐쇄위치와 개방위치의 사이에서 대략 180°반전되도록 되어 있으면, 판동으로의 새로운 공판원지의 장착에 임하여 그 시단부가 공판원지시단장착장치의 대좌부의 지지면상으로 한쪽 측으로부터 진행하여 올 때에도, 또 공판원지의 배판에 임하여 그 시단부가 대좌부재의 지지면으로부터 배판장치를 향하여 반대측으로 향하여 진행할 때에도, 그 진행은 누름부재 즉, 띠형상의 판부재에 의하여 방해되지 않고 또 배판에 있어서 판동이 인쇄시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될 때에도, 상기의 판부재가 미리 개방위치를 향하여 대략 180°반전되고, 개방상태에 있어서도 판동의 외주면을 따르는 상태로 되어 있으면, 판동의 외주면을 따라서 될 수 있는대로 그것에 가까운 위치에 선단을 위치시키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한 배판클릭에 대하여 공판원지시단장착장치의 누름부재, 즉 띠형상의 판부재가 간섭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의 일본 특개소 59-96984호 공보에 있어서와 같이 띠형상의 판부재가 대략 180°에 걸쳐서 개방위치와 폐쇄위치와의 사이에서 반전되도록 되어 있으면, 그 반전 경로에 해당하는 단면이 반원형인 공간 영역에는 그것과 간섭하는 것과 같은 다른 부재가 배치되어서는 안되고, 특히 많은 부재가 조밀하게 집합하여 배치되는 것을 요하는 이 공간부에 단순히 누름부재의 180°반전을 허용하기 위한 것만으로 상당히 큰 공간을 남기지 않으면 안되고, 공판 인쇄기의 구성을 컴팩트하게 하는 점에서 바람직하지 않은 제약이 생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에 비추어, 공판원지시단장착장치의 누름부재가 띠형상의 판부재로서 구성되고, 그것이 길이방향의 한쪽 가장자리를 따라서 추동식으로 장착된다라는 가장 간결하고 그 목적에 적합한 구조로서 실시되었다 하더라도, 그 개폐를 위한 회동각이 상기와 같이 대략 180°에 걸치는 큰 각도로 되지 않아도 좋고, 공판원지 시단부의 누름끼움 유지를 해제할 정도로 대좌부재의 지지면 보다 판부재가 약간 떨어질 정도의 작은 예각의 범위로서 개방방향으로 이동되는 것만으로, 공판원지시단부가 누름부재로부터 해방되어 배판장치를 향하여 반대방향으로 진행할 수가 있고, 따라서 또 누름부재는 공판원지 시단부를 해방한 후 다시 폐쇄위치로 닫혀져서 좋고, 그후 판동이 배판을 위하여 인쇄시와 같은 방향으로 회동되더라도, 판동의 외주면에 가까이 배치된 배판클릭에 공판원지시단장착장치가 간섭하지 않는 구성을 갖는 공판원지시단장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과제는 본 발명에 의하면, 윤전식 공판 인쇄기의 판동의 원통형상 외주면의 일부에 그 판동의 중심 축선에 평행하게 뻗어있는 띠형상의 지지면을 나타내는 대좌부재와, 상기 지지면상에 포개어 합쳐지는 누름면을 갖고 상기 누름면이 상기 지지면상에 포개어 합쳐진 폐쇄위치와 상기 누름면이 상기 지지면으로부터 떼어놓여진 개방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하는 누름부재를 갖고, 상기 누름부재가 상기 개방위치에 있을 때 상기 지지면과 상기 누름면과의 사이에 그들의 입구가장자리 측으로부터 삽입된 공판원지의 시단부를 상기 누름부재가 상기 폐쇄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지지면과 상기 누름면과의 사이에 눌러끼워서 유지하는 공판원지시단장착장치로서, 상기 지지면의 상기 누름면과의 사이에 눌러끼워서 유지하는 공판원지시단장착장치로서, 상기 지지면의 입구가장자리의 근방에 위치하는 제1위치와 상기 개방위치에 있는 상기 누름면의 입구가장자리의 근방에 위치하는 제2위치와의 사이에서 상기 누름부재의 상기 폐쇄위치와 상기 개방위치 사이의 이동과 공판원지의 급지 및 배지와 관련하여 이동하고, 공판원지의 장착에 임하여 그 시단부가 상기 지지면과 상기 누름면과의 사이에 삽입될 때에는 상기 제1위치에 있어서 공판원지의 시단부에 대하여 상기 지지면과 같은 측에 위치하고, 상기 지지면과 상기 누름면과의 사이에 눌러끼워진 공판원지시단부를 배판을 위하여 해방하도록 상기 지지면으로부터 상기 누름면을 떼어놓도록 상기 누름부재가 이동할 때에는 상기 제2위치로 이동하여 적어도 일시적으로 상기 누름부재에 대하여 그 상기 누름면측과는 반대측으로 마주 대함으로써 공판원지의 시단부를 상기 누름부재에 대하여 그 상기 누름면측으로부터 반대측으로 이동시키는 튀어오름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판원지시단장착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발명의 작용 및 효과]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대좌부재의 지지면보다 누름부재의 누름면이 약간 떨어질 정도로 누름부재가 대좌부재로부터 떼어놓여진 상태에 있어도, 튀어오름부재에 의하여 공판원지의 시단부는 지지면과 누름면과의 사이의 공간보다 누름부재의 상측에 오도록 튀어오르게 되므로, 누름부재의 그와 같은 약간의 개방운동에 의하더라도 공판원지의 시단부는 공판원지시단장착장치로부터 확실히 해방된다.
따라서 누름부재는 그후 다시 폐쇄위치를 향하여 대좌부재상에 닫혀 맞춤되어서 좋고, 이리하여 편평화된 공판원지시단장착장치는 그후 공판원지의 시단부가 배판장치를 향하여 이동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고 또 배판클릭의 선단은 판동의 원통형상 외주면에 상당히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더라도 편평화된 공판원지시단장착장치와 간섭하지 않고 그 위를 통과할 수가 있어, 배판될 공판원지의 시단부를 보다 확실히 배판장치를 향하여 떠올림과 동시에 안내할 수가 있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공판원지시단장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튀어오름 부재는 상기제1위치에 있을 때 상기 지지면의 입구가장자리를 따라서 그 입구 가장자리에 있어서의 상기 지지면보다 융기한 베개형상의 선형융기부를 부여하는 봉형상부재를 포함하더라도 좋다. 이와 같이 튀어오름부재가 지지면의 입구가장자리를 따라서 융기한 베개형상의 선형융기를 부여하도록 구성되어 있을 때에는, 공판원지시단부가 상기 누름부재에 의하여 그 누름면과 대좌부재의 지지면과의 사이에 눌러끼워진 공판원지시간부착상태에 있을 때, 공판원지시단부는 상기 지지면과 누름면과의 입구가장자리를 나온 곳에서 일단 베개형상의 선형융기부의 면을 따라서 만곡한 후, 판동 외주면을 향하여 접선형상으로 인장되므로, 공판원지시단부와 선형융기와의 사이에는 강한 접촉압이 생기고, 이로서 공판원지시단부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유지력이 균일화되고, 폭방향에 고르지 못함이 없는 공판원지시단부의 장착이 행해진다.
상기와 같이 튀어오름부재에 의하여 베개형상의 선형융기부가 부여되는 구성에 있어서는, 선형융기부를 부여하는 봉형상부재의 표면은 공판원지와의 접촉에 있어서의 마찰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조면화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조면화 처리에 의하여 베개형상의 선형융기부의 표면의 공판원지에 대한 마찰이 증대하면, 그만큼 이와 같은 선형융기부에 의한 공판원지시단부로의 지지력이 증대하고, 공판원지시단부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지지는 더욱더 한층 균일화된다.
더욱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공판원지시단장착장치로 공판원지의 시단부를 판동에 부착하는 경우, 공판원지의 시단부는, 공판원지를 롤로부터 인출하고, 이것을 천공하고, 판동을 향하여 보내주는 공판원지공급제판장치의 작동에 의하여, 그 위치가 일정하게 정해지므로, 이것을 받아들이는 공판원지시단장착장치는 공판원지의 시단을 받아들이는데 임하여 항상 바른 위치로 가져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를 위해서는 공판원지시단의 장착에 임하여 판동이 소정의 회동위치에 바르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를 위해서는 판동을 회전구동하는 판동구동장치의 제어에 여러가지 대책이 실시되어도 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판동의 회전관성이 판동의 정지위치에 영향을 미치는 것등을 고려하면, 판동 그 자신의 회동위치가 공판원지시단장착장치의 부분으로 정확히 지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를 위해서는, 상기 누름부재가 상기 개방위치로부터 상기 폐쇄위치로 이동하는 것에 연동하여 판동의 회동위치를 소정의 회동위치로 위치결정하는 수단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에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공판원지시단장착장치가 사용되는데 상응하는 전자동 윤전식공판 인쇄기의 기본적 구성의 주요부를 하나의 실시예로서 도해적으로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이 도면에 있어서, 10은 판동이고, 공판원지의 장착시, 인쇄시 및 공판원지의 배판시에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은 판동구동장치에 의하여 도면에서 화살표로 표시하는 바와 같이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판동(10)의 원통형상 외주면의 일부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공판원지시단장착장치(12)가 설치되어 있다.
14는 띠형상의 공판원지를 감은 롤이고, 공판원지의 공급원을 이루고 있다.
롤(14)로부터 인출된 공판원지는 안내통로(16)를 지나고,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은 화상정보처리수단으로부터 이송되어오는 전자적 화상정보에 의거하여 작동하고 공판원지에 화상정보에 따른 천공을 실시하는 서멀 헤드(18)와 플래튼 롤러(20)와의 사이를 지나 유도될 때에 천공되고, 개장된 상태에 있는 커터(22)를 지나고, 공판원지의 시단부를 받아들일 때에는 도면에서 가상선으로 표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수평상태에 있고 그후 절동부(24)에서 꺾어져서 점차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경사이동하여 공판원지에 느슨함을 부여한 가동통로(25)를 지나 유도된 후, 공판원지이송롤러(26와28)의 작동에 의하여 그 사이를 지나 그 이송량이 제어되면서, 그 시단부가 통로(30) 및 가동의 공판원지안내립(32)에 의하여 안내되어 공판원지시단장착장치(12)까지 진행된다. 공판원지의 시단부가 공판원지시단장착장치(12)에 의하여 잡힘되면, 그후는 더욱더 서멀 헤드(18)에 있어서의 공판원지의 천공작동의 계속에 의하여 천공된 공판원지는 일단 가동통로(25)가 절동부(24)의 둘레에 상하로 요동함으로써 소정길이만큼 느슨하게 되고, 소정길이의 공판원지의 느슨함이 생길 때마다 판동(10)이 회전구동되고, 천공된 공판원지는 그 시단부로 부터 시작하여 소정길이만큼 여러회에 걸쳐서 차례로 판동(10)의 둘레에 감겨져 간다.
또한 시단부 장착후에 공판원지이송롤러(26, 28)는 유휴 상태에 있다.
그리고 공판원지의 이송량이 소정의 길이에 도달한 곳에서 커터(22)가 작동하고, 일 판분의 공판원지의 절취가 행해진다.
이와 같이 판동(10)의 둘레로의 천공된 공판원지의 바깥감김이 종료되면, 공판 인쇄기는 인쇄과정으로 옮겨지고,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은 급지대로부터 차례로 꺼내어진 인쇄용지가 인쇄용지이송롤러(34와 36)의 사이를 지나 판동(10)과 프레스롤러(38)의 사이의 끼움영역(40)을 향하여 이송된다. 판동(10)내에는 이 끼움영역에 대향하여 스퀴지 롤러(42)가 판동(10)의 회전에 동기하여 도면에서 화살표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회전식으로 배치되어 있다.
스퀴지 롤러(42)에는 독터로드(44)가 근접하여 배치되어 있고, 이들 스퀴지 롤러와 독터로드와의 사이에 형성된 홈부(46)에는 잉크 분배기(48)로부터 공급된 잉크(50)에 의하여 잉크저장부(52)가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홈부(46)내에는 잉크저장부(52)의 핵이 되는 위치에 교반로드(54)가 설치되어 있고, 스퀴지 롤러(42)가 도시한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잉크저장부(52)는 교반로드(54)의 둘레에 도면에서 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하는 잉크 덩어리를 형성하고, 차례로 그 일부가 스퀴지 롤러(42)상에 담지된 잉크층(56)으로 되어 상기 잉크 덩어리로부터 인출되고, 스퀴지 롤러(42)에 의하여 판동(10)의 내주면에 공급되고, 이 잉크가 판동(10)의 둘레에 바깥감김된 공판원지의 천공부를 통과하여, 끼움부(40)를 통과하는 인쇄용지상에 이전되어 공판화상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이리하여 공판인쇄를 실시한 인쇄용지는, 잉크의 점성에 의하여 판동(10)의 외주면에 관련하여 이동하려 하지만, 인쇄용지 벗김클릭(58)에 의하여 판동 외주면으로부터 떼어지고, 벨트 컨베이어식의 배지장치(60)에 의하여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은 배지대로 향하여 이송된다.
판동(10)의 둘레에 바깥감김된 공판원지를 배판해야 할 때가 되면, 공판원지시단장착장치(12)가 이하에 상세히 설명되는 요령으로 작동되고, 공판원지의 시단부는 이것으로 부터 해방되어 공판원지시단장착장치(12)상에 자유롭게 놓인 상태로 된다.
여기서 판동(10)이 배판을 위하여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되면, 공판원지의 시단부는 배판클릭(62)의 선단을 가로지를 때에 그 배판클릭에 의하여 떠올려지고,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는 배판장치의 벨트 컨베이어(64와 66) 사이에 끼워지고, 이로써 판동(10)이 계속 회전됨에 따라 사용이 끝난 공판원지는 차례로 판동(10)의 둘레로부터 떼어지고, 벨트 컨베이어(64, 66)의 왼쪽에 있는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은 배판박스를 향하여 차례로 이송된다. 더욱더 벨트 컨베이어(68)는 공판원지의 시단부가 벨트 컨베이어(64와 66)와의 사이에 끼워지기에 앞서 위쪽으로 벗어나려 할 때, 이것을 벨트 컨베이어(64와66)의 사이에 유도하기 위한 장치이다.
다음에 제 2도~제 9도를 참조하여 공판원지시단장착장치(12)의 구조 및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제 2도, 제 3도, 제 4도 및 이들에 대응하는 제 8a, b, c도의 는 공판원지시단장착장치(12)에 새로운 공판원지의 시단부가 장착될 때의 장착전, 장착중, 장착완료후의 3가지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제 5도, 제 6도, 제 7도 및 이들에 대응하는 제 9d, e, f도는 배판에 임하여 공판원지시단장착장치로부터 공판원지의 시단부가 해방되는 과정에 있어서의 3가지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더욱더 제9도 g 및 h는 그후의 배판과정에 있어서의 2가지 상태를 도시한다. 공판원지시단장착장치(12)는 판동(10)의 원통형상 외주면의 일부에 판동의 중심축선에 평행하게 뻗어있는 띠형상의 지지면(70)을 나타내고 그 지지면을 나타내는 부분에 자석편(바람직하게는 고무자석편)을 메워넣은 대좌부재(72)와, 상기 지지면상에 포개어 합쳐지는 누름면(74)을 갖고, 상기 누름면이 상기 지지면상에 포개어 합쳐진 폐쇄위치(제 2도 및 제 8a도로 도시되어 있는 위치)와 상기 누름면이 상기 지지면으로 부터 떼어놓여진 개방위치(제 3도 및 제 8b도에 도시되어 있는 위치)와의 사이에 이동하는 누름부재(76)를 갖고 있다. 누름부재(76)는 판동의 중심축선을 따라서 가늘고 긴 형상을 갖는 자성재의 판부재이고, 그 길이방향 양단부에서 대좌부재(72)상에 설치되 한쌍의 축받이 장치(78)에 의하여 상기 폐쇄위치와 개방위치와의 사이에 추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누름부재(76)는 상기 자석편에 의하여 상기 폐쇄위치를 향하여 상시 자기적으로 끌어당겨지고 있다. 누름부재(76)에는 그 주요부를 구성하는 판부재의 상면에 복수개의 서로 이격하여 배치된 리브(80)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리브의 작용에 대하여는 후에 상세히 설명한다. 또 누름부재의 주요부를 구성하는 판부재의 길이방향 일단부에는 레버 작동부(82)가 설치되어 있다.
공판원지시단장착장치(12)에는, 더욱더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봉형상부재(84)와 그 양단에 결합된 한쌍의 아암부재(86)로 구성된 튀어오름부재(88)가 설치되어 있다.
이 튀어오름부재에 있어서의 봉형상부재(84)의 부분은 지지면(70)의 입구가장자리(90)의 근방에 위치하는 제1위치(제 2도 및 제 8a도에 도시되어 있는 위치) 와, 누름부재(76)가 상기 개방위치에 있을 때 그 누름면(74)의 입구가장자리(92)의 근방에 위치하는 제2위치(제 6도 및 제 9e도에 도시되어 있는 위치)와의 사이에서 공판원지의 급지 및 배지와 관련하여 이동되도록 되어 있다. 한쌍의 아암부재(86)는 대좌부재(72)상에 설치된 한쌍의 축받이 장치(94)에 의하여 봉형상부재(84)가 상기 제1과 제2위치와의 사이에 이동할 수 있도록 회동식으로 지지되어 있다.
한쌍의 아암부재(86)는 자성재의 판부재이고, 누름부재(76)와 꼭같이 상기 자석편에 의하여 상시 자기적으로 끌어당겨진 상태에 있고, 봉형상부재(84)가 상기 제1위치에 있을 때, 한쌍의 아암부재(86)는 지지면(70)상에 착좌한 상태에 있다.
한쌍의 아암부재(86)의 한쪽에는 축받이 장치(94)를 끼고서 봉형상부재(84)와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레버 작동부(96)가 설치되어 있다.
이리하여 누름부재(76)는 상기 자석편의 자기적 흡인력에 의하여 축받이 장치(78)의 둘레에 상기 폐쇄위치를 향하여 가압되어 있고, 그 폐쇄위치에 있을 때에는 누름부재(76)의 누름면(74)은 대좌부재(72)의 지지면(70)에 대하여 혹은 소정의 누름힘이 미치도록 억눌린 상태에 있다.
꼭같이 봉형상부재(84)와 한쌍의 아암부재(86)로 이루어진 튀어오름부재(88)도 또한 상기 자석편의 자기적 흡인력에 의하여 한쌍의 축받이 장치(94)의 둘레에 상기 제1위치를 향하여 가압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상기 폐쇄위치를 향하여 가압된 누름부재(76)를 상기 자석편에 의한 가압력에 맞서서 상기 폐쇄위치로부터 상기 개방위치를 향하여 추동시키는 수단과, 튀어오름부재(88)를 상기 제1위치로부터 상기 자석편에 의한 가압력에 맞서서 상기 제2위치를 향하여 추동시키는 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수단이, 펄스모터(98), 그 펄스모터의 축(100)에 의하여 담지된 제1캠(102) 및 제2캠(104), 이들 캠에 의하여 추축(106)의 둘레에 회동되는 제1레저부재(108) 및 제2레버부재(110), 이들 각 레버부재를 추축(106)의 둘레에 도면에서 위쪽으로 회동되도록 가압하는 인장코일스프링(112 및 114)을 포함하는 작동장치이다.
더욱, 누름부재(76) 및 튀어오름부재(88)를 대좌부재(72)의 지지면(70)을 향하여 흡인하고, 또 흡인위치에 유지하려고 하는 자기력이 생기는 수단은, 상기와 같이 대좌부재에 자석편을 메워넣는 대신에, 대좌부재(76)상에 지지면(70)의 전체를 부여하는 자석판이 접착재, 나사고정 등에 의하여 장착되는 것으로서 구성되어도 좋다.
캠(102)은 이것을 담지하는 펄스모터의 축(100)의 중심축선의 둘레에 마주보는 형상으로 180°이격하여 배치된 제1캠부(102a)와 제2캠부(102b)를 갖고 있고, 이것에 대하여 캠(104)은 캠(102)의 캠부(102a 및 102b)에 대하여 도시하는 바와 같이 편의각을 이루어 배치된 유일한 캠부(104a)를 갖고 있다.
펄스모터의 축(100)은 그것을 제 2도에서 바로 앞의 왼쪽에서 보았을 때 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이하, 도시한 공판원지시단장착장치(12)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공판원지시단장착장치(12)에 공판원지의 시단부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공판 인쇄기의 시동시에는, 장치의 각 부분은 제 2도 및 제 8a도에 도시하는 상태에 있다. 다만, 이 종류의 윤전식 공판 인쇄기에 있어서는, 새로운 기계가 비로서 작동되는 경우를 제외하고, 통상 일 매의 공판원지에 의한 인쇄가 종료하고, 공판 인쇄기의 작동이 정지 또는 휴지될 때에는, 판동 둘러벽에 있어서의 잉크의 건조를 최대한 억제하기 위하여, 사용이 끝난 공판원지는 다음의 공판원지에 의한 인쇄의 개시까지 그대로 판동의 둘레에 바깥 감김된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통상 새로운 공판원지에 의한 인쇄의 개시에 있어서는, 새로운 공판원지의 천공의 개시에 앞서서 혹은 그것과 평행하여 사용이 끝난 공판원지를 판동으로부터 제거하는 배판의 공정이 행해진다.
따라서 여기서 시동시의 상태로서 제 2도 및 제 8a도에 도시하는 상태는, 상기의 배판이 종료한 상태를 가리키는 것이다.
이 상태에 있어서는, 캠(102 및 104)은 어느 것이든 레버부재(108 및 110)를 아래쪽으로 누름하는 상태에 있지 않고, 레버부재(108 및 110)는 스프링(112 및 114)의 작용에 의하여 추축(106)의 둘레에 위쪽으로 최대한으로 회동한 위치에 있고, 따라서 누름부재(76)의 레버 작동부(82) 및 튀어오름부재(88)의 레버 작동부(96)는 각각 레버부재(108 및 110)에 의한 아래쪽으로의 누름작동으로부터 해방되어 있고, 상기 자석편에 의한 자기적 흡인력에 의하여 누름부재(76)의 누름면(74)은 대좌부재(72)의 지지면(70)상에 포개어 합쳐진 폐쇄위치에 있고, 튀어오름부재(88)의 봉형상부재(84)는 지지면(70)의 입구가장자리(90)의 근방에 위치하는 제1위치에 있다.
이것으로 공판원지의 시단부가 공판원지시단장착장치(12)에 장착되어야 할 작동상태로 되면, 장치의 각 부분은 제 3도 및 제 8b도에 도시하는 상태로 되고, 캠(102 및 104)은 제 3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위치로 회동하고, 캠(102)의 캠부(102a)에 의하여 레버부재(108)는 스프링(112)의 작용에 맞서서 추축(106)의 둘레에 아래쪽으로 회동되고, 그 선단에서 누름부재(76)의 레버작동부(82)를 누름부재(76)에 작용하고 있는 상기 자석편의 자기적 흡인력에 맞서서 아래쪽으로 억누르고, 누름부재(76)는 한쌍의 축받이 (78)의 둘레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동하고, 그 누름면(74)과 대좌부재(72)의 지지면(70)과의 사이가 제 8b도에서 보아 오른쪽에서 진행하여 오는 공판원지의 시단부(116)를 유도하는데 적합한 상태로 된다.
이것으로 더욱더 펄스모터(98)의 작동에 의하여 그 축(100)이 회동하면, 캠(102 및 104)은 제 4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다시 어느것도 레버부재(108 및 110)를 아래쪽으로 억누르지 않는 상태로 되고, 장치의 각 부분은 제 4도 및 제 8c도에 도시되어 있는 상태로 되고, 상기 자석편의 자기적 흡인력에 의하여 누름부재(76)는 그 누름면(74)이 대좌부재(72)의 지지면(70)상에 포개어 합쳐지는 폐쇄위치를 취한다.
따라서 대좌부재의 지지면(70)과 누름부재의 누름면(74)과의 사이에 진행하고 있던 공판원지의 시단부(116)는 그 사이에 끼워지고, 누름부재(76)에 작용하는 상기 자석편의 자기적 흡인력에 의하여 그 끼워진 상태로 유지된다. 그후, 판동(10)은 제 1도를 참조하여 앞서 설명한 대로 화살표 방향으로 회동되고, 서멀 헤드(18)에 의한 공판원지의 천공에 따라, 공판원지는 공판원지시단장착장치(12)에 장착된 그 시단부로부터 시작하여 판동(10)의 간헐적 회동에 의하여 그 둘레에 차례로 바깥감김되고, 그 이송길이가 소정길이에 도달한 곳에서 커터(22)가 작동하고, 띠형상의 공판원지로부터 일판분의 공판원지가 잘려지고, 판동(10)으로의 공판원지의 장착이 종료한다.
이것에 이어서 상술한 요령으로 인쇄작동이 행해진다.
소망의 인쇄작동이 종료하고, 그대로 판동의 둘레에 바깥감김되어 있던 사용이 끝난 공판원지가, 다음의 새로운 공판원지에 의한 인쇄에 앞서서 판동(10)으로부터 떼어져야 할 때에는, 펄스모터(98)는 제 4도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더욱더 회동되고, 캠(102 및 104)은 제 5도에 도시되어 있는 위치에 도달한다.
이 상태에서는 캠(102)의 캠부(102b)가 레버부재(108)를 아래쪽으로 억누르고, 누름부재(76)는 상기 자석편의 자기적 흡인력에 맞서서 제 8c도에 도시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의 폐쇄위치로부터 개방위치를 향하여 회동되고, 제 5도 및 제 9d도에 도시되어 있는 상태로 되고, 대좌부재의 지지면(70)과 누름부재의 누름면(74)과의 사이에 눌러 끼워져 있는 공판원지의 시단부(116)는 우선 도시한 바와 같이 해방되지만, 그것은 아직도 누름부재(76)보다 아래에 있고 이것을 넘어서 배판장치로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는 없는 상태에 있다.
이것에 이어서 펄스모터(98)가 더욱더 회동되고, 캠(102 및 104)이 제 6도에 도시되어 있는 회동위치에 오면, 누름부재(76)가 캠(102)에 의하여 개방위치에 유지된 채의 상태에서, 이번에는 캠(104)에 의하여 튀어오름부재(88)가 상기 자석편의 자기적 흡인력에 맞서서 제 9e도에 도시되어 있는것과 같이 지지면(70)의 입구 가장자리(90)의 근방에 위치하는 제1위치로부터 개방위치에 있는 누름부재의 누름면(74)의 입구가장자리(92)의 근방에 위치하는 제2위치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서 공판원지의 시단부(116)는 제 9e도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지지면(70)으로부터 튀어오름된 상태로 가져오게 된다.
이것에 이어서 펄스모터(98)가 더욱더 회동하고, 캠(102 및 104)이 제 7도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은 위치에 오면, 레버부재(108)는 캠(102)에 의한 억누름으로부터 해방되어 상승하고, 누름부재(76)는 제 7도 및 제 9f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그 폐쇄위치로 복귀된다.
이때는 튀오오름부재(88)는 아직 잠시 제2위치에 머물러 있으므로, 공판원지의 시단부(116)는 제 9f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누름부재의 누름면(74)의 입구가장자리(92)를 가로질러 누름면(74)측으로부터 누름부재(76)의 반대측(도면에서 상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그후 펄스모터(98)가 더욱더 회동하여 캠(102 및 104)이 다시 제 2도에 도시되어 있는 위치에 도달하면, 누름부재(76) 및 튀어오름부재(88)는 제 9g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각각 폐쇄위치 및 제1위치로 복귀되고, 공판원지의 시단부(116)는 폐쇄위치에 있는 누름부재(76)의 상측을 따라서 해방된 상태로 된다.
이 상태로부터 판동이 배판을 위하여 회동되면, 제 9h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배판클릭(62)의 선단이 공판원지의 시단부(116)의 아래로 뚫고 들어가 이것을 떠올리고, 제 1도를 참조하여 위에 설명한 요령으로 공판원지는 그 시단부로부터 시작하여 배판용 벨트 컨베이어(64와 66)의 사이에 물려지고, 이후 판동(10)의 회전과 벨트 컨베이어(64 및 66)의 배판운동에 따라서 공판원지는 판동의 외주면으로부터 차례로 떼어지고,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은 왼쪽의 배판 박스를 향하여 이송된다.
제 9도의 g 및 h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누름부재(76)에 상술한 바와 같이 리브(80)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누름부재(76)의 상측에 튀어올려진 공판원지의 시단부(116)는 이들의 리브(80)에 의하여 누름부재(76)의 판형사의 부분으로부터 떠오른 상태로 지지되므로, 리브(80) 사이에서 리브의 위가장자리의 위치로부터 판동중심에 가까운 측에 선단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배판클릭(62)이 판동의 회전에 따라서 판동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하면, 공판원지의 시단부(116)는 확실하게 배판클릭(62)에 의하여 떠올려지고, 벨트 컨베이어(64 와 66)의 사이의 물림부를 향하여 이송된다.
더욱더, 누름부재(76) 및 튀어오름부재(88)는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대좌부재(72)에 메워넣어진 자석편의 자기적 흡인력에 의하여, 각각 상기 폐쇄위치 및 상기 제1위치를 향하여 가압되어 있지만, 이와 같은 가압은 전자석, 스프링을 포함하는 다른 임의의 가압수단에 의하여 행해져서 좋다.
튀어오름부재(88)가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와 같이, 그것이 제1위치에 있을 때, 대좌부재의 지지면(70)의 입구가장자리(90)의 근방에 있어 지지면(70)보다 위쪽으로 융기한 베개형상의 선형융기부를 부여하도록 되어 있으면, 제 8c도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공판원지의 시단부가 지지면(70)과 누름부재의 누름면(74)과의 사이에 눌러 끼워진 부착상태에 있을 때, 공판원지의 시단부는 지지면(70)과 누름면(74)과의 끼움부를 나온 곳에서, 봉형상부재(84)가 형성하는 베개형상의 선형융기부(118)를 타고 넘도록 그 상면을 돌은 후, 판동의 외주면을 향하여 접선방향으로 인장되므로, 공판원지에는 이 선형융기부(118)와의 원호형상 접촉에 의한 강한 마찰작용에 의하여 그 폭방향 전체에 걸쳐서 한결같은 아이어닝 작용이 부여되고, 공판원지시단부의 폭방향 전체에 걸치는 한결같은 부착상태가 달성된다.
이와 같은 봉형상부재(84)에 의하여 부여되는 베개형상의 선형융기부(118)에 의한 공판원지로의 한결같은 아이어닝 작용의 강도를 증가하여 공판원지시단부의 폭방향으로 균일한 부착지지를 보다 확실하게 달성하기 위해서는, 봉형상부재(84)의 공판원지와 접촉하는 부분의 표면이 화학적 처리 혹은 줄질 등의 기계적 조면화 처리에 의하여 적당히 조면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이와 같은 조면화 처리는 봉형상부재(84)의 표면에 미세한 경질의 입자를 접착제 등에 의하여 고착시키는 것과 같은 요령으로 행해져도 좋다.
제 8a, b, c도에 도시된 공판원지시단장착장치에 의한 판동으로의 공판원지시단부의 부착 및 제 9d, e, f, g도에 도시된 공판원지시단장착장치로부터의 공판원지시단장착의 해방은 판동이 제1도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공판원지시단장착장치를 대략 최상위의 위치에 가져오는 소정의 회동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행해진다.
이 경우, 특히 공판원지시단부가 공판원지시단장착장치에 부착되는 경우, 공판원지시단장착장치가 소정의 위치에 위치결정되는 것, 즉 판동(10)이 소정의 회동위치에 바르게 정지되는 것이 기대된다.
이를 위해서는 판동을 회전구동하는 판동구동장치의 제어에 여러가지 대책이 실시되어도 되지만, 도시한 공판원지시단장착장치의 실시예에서는, 공판원지시단장착장치를 공판원지시단부의 장착에 있어서 소정의 위치에 정확히 위치결정하는 장치가 수용되어 있다. 그것은 판동(10)의 일단부에 설치되고 V자형의 캠 홈(120)을 이루는 캠판(122)과, 레버부재(108)의 측부에 이것과 일체로 설치된 캠작동부(124)로 이루어져 있다. 또 이와같은 공판원지시단장착장치의 위치결정장치의 작동양태는 제 10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 10a도에 도시되어 있는 장치 각 부분의 작동상태는 제 2도 및 제 8a도에 도시되어 있는 상태에 대응하고 있다.
이때 판동(10)은 이것을 회전시키는 회전구동장치의 제어에 의하여 우선 소정의 회동 위치에 가급적으로 정확히 정지되어 있지만, 판동의 회전관성에 의한 영향 등에 의하여 여전히 아직도 소정의 위치로부터는 어느 정도 어긋난 위치에 있다.
이와 같은 상태로부터 출발하여, 펄스모터(98)의 회전에 의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캠(102)이 제 2도에 도시되어 있는 회동위치로부터 제 3도에 도시되어 있는 회동위치를 향하여 회동하고, 이로서 레버부재(108)가 상술한 바와 같이 아래쪽으로 눌러내려져서 제 3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누름부재(76)의 캠작동부(82)를 누르고, 누름부제(76)를 제 3도 및 제 8b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개방위치로 움직이는 도중에 있어서, 레버부재(108)의 측쪽에 이것과 일체로 형성된 캠 작동부(124)는 제 10b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판동정지위치의 오차에 상당하여 V자형 캠홈(120)의 측가장자리에 걸어맞춤하고, 이것으로부터 더욱더 캠 작동부(124)가 아래쪽으로 눌러내려감에 따라, 캠홈(120)과 캠작동부(124)와의 사이의 캠 걸어맞춤에 의한 구동력에 의하여 판동(10)은 제 10c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화살표 방향으로 회동하고, 레버부재(108) 가 누름부재(76)를 그 개방위치까지 최종적으로 여는 시점에서, 캠 작동부(124)는 캠홈(120)의 밑의 점에 도달하고, 공판원지시단장착장치의 대좌부재(72)와 누름부재(76)의 위치를 정확히 소정의 위치로 설정하고, 제 8b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공판원지시단부(116)를 소정위치에 있어서 공판원지시단부를 받아들이는 준비상태로 설정한다.
캠 홈(120)과 캠 작동부(124)에 의한 상기와 같은 공판원지시단장착장치의 위치결정 즉 판동정지위치의 미세한 조정은, 배판에 있어서 공판원지시단장착장치로부터 공판원지의 시단부를 해방시키기 위하여, 레버부재(108)가 제 5도 및 제 9d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캠(102)의 캠부(102b)에 의하여 아래쪽으로 구동될 때에도 꼭 같이 행해진다. 도시한 실시예에 의하면 배판시에도, 캠 홈(120)과 캠 작동부(124)에 의한 캠 작동에 의하여, 공판원지시단장착시에 있어서도 같은 정확도에 의한 공판원지시단장착장치의 위치설정이 얻어진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하나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도시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의거하여 다른 여러가지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로서는 명백할 것이다.

Claims (4)

  1. 윤전식 공판 인쇄기의 판동의 원통형상 외주면의 일부에 그 판동의 중심축선에 평행하게 뻗어있는 띠형상의 지지면을 제공하는 대좌부재와, 상기 지지면상에 포개어 합쳐지는 누름면을 갖고 상기 누름면이 상기 지지면상에 포개어 합쳐진 폐쇄위치와 상기 누름면이 상기 지지면으로부터 떨어진 개방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하는 누름부재를 갖고, 상기 누름부재가 상기 개방위치에 있을 때 상기 지지면과 상기 누름면과의 사이에 이들 입구가장자리측으로부터 삽입된 공판원지의 시단부를 상기 누름부재가 상기 폐쇄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지지면과 상기 누름면과의 사이에 눌러끼워서 유지하는 공판원지시단장착장치로서, 상기 지지면의 입구가장자리의 근방에 위치하는 제1위치와 상기 개방위치에 있는 상기 누름면의 입구가장자리의 근방에 위치하는 제2위치와의 사이에서 상기 누름부재의 상기 폐쇄위치와 상기 개방위치의 사이의 이동과 공판원지의 급지 및 배지에 관련하여 이동하고, 공판원지의 장착에 있어서 그 시단부가 상기 지지면과 상기 누름면과의 사이에 삽입되는 때에는 상기 제1위치에 있어 공판원지의 시단부에 대하여 상기 지지면과 같은 측에 위치하고, 상기 지지면과 상기 누름면과의 사이에 눌러끼워진 공판원지시단부를 배판을 위하여 해방되도록 상기 지지면으로부터 상기 누름면을 떼어놓도록 상기 누름부재가 이동할 때에는 상기 제2위치로 이동하여 적어도 일시적으로 상기 누름부재에 대하여 그 상기 누름면의 측과는 반대측에 마주 대함으로써 공판원지의 시단부를 상기 누름부재에 대하여 그 상기 누름면의 측으로부터 반대측으로 이동시키는 튀어오름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판원지시단장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튀어오름부재는 상기 제1위치에 있을 때 상기 지지면의 입구가장자리를 따라서 그 입구 가장자리에 있어서의 상기 지지면보다 융기한 베개형상의 선형융기부를 부여하는 봉형상부재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판원지시단장착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융기부를 부여하는 상기 봉형상부재의 표면은 공판원지와의 접촉에 있어서의 마찰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조면화 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판원지시단장착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재의 상기 개방위치로부터 상기 폐쇄위치로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판동의 회동위치를 소정의 회동위치에 위치결정하는 판동위치 결정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판원지시단장착장치.
KR1019950043151A 1994-11-25 1995-11-23 윤전식 공판인쇄기의 공판원지시단 장착장치 KR1002299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315653 1994-11-25
JP31565394A JP3292427B2 (ja) 1994-11-25 1994-11-25 輪転式孔版印刷機の孔版原紙始端装着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7152A KR960017152A (ko) 1996-06-17
KR100229988B1 true KR100229988B1 (ko) 1999-11-15

Family

ID=18067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3151A KR100229988B1 (ko) 1994-11-25 1995-11-23 윤전식 공판인쇄기의 공판원지시단 장착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575204A (ko)
EP (1) EP0713768B1 (ko)
JP (1) JP3292427B2 (ko)
KR (1) KR100229988B1 (ko)
CN (1) CN1081993C (ko)
DE (1) DE69507777T2 (ko)
TW (1) TW27560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98193B2 (ja) * 1999-08-02 2006-07-19 理想科学工業株式会社 孔版印刷装置
JP3631929B2 (ja) 1999-11-11 2005-03-23 理想科学工業株式会社 輪転式孔版印刷機の孔版原紙始端装着装置
JP2001219638A (ja) * 2000-02-14 2001-08-14 Riso Kagaku Corp 孔版原紙係止装置
JP3817116B2 (ja) * 2000-06-15 2006-08-30 理想科学工業株式会社 孔版印刷装置
US6739257B1 (en) * 2003-04-29 2004-05-25 Agfa Corporation Media clamping apparatus for an external drum imaging system
JP2005271261A (ja) * 2004-03-23 2005-10-06 Riso Kagaku Corp 孔版印刷方法および孔版印刷用水性インキ
JP4791759B2 (ja) * 2005-05-13 2011-10-12 東北リコー株式会社 孔版印刷装置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版胴
JP2015134449A (ja) * 2014-01-17 2015-07-27 理想科学工業株式会社 孔版印刷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74253A (en) * 1917-09-06 1921-04-12 Hoe & Co R Offset-preventing mechanism for printing-machines
JPS5839489A (ja) * 1981-09-02 1983-03-08 Horii Toushiyadou Kk 輪転謄写機
JPS5996983A (ja) * 1982-11-26 1984-06-04 Riso Kagaku Corp 孔版式製版印刷装置
JPS5996984A (ja) * 1982-11-26 1984-06-04 Riso Kagaku Corp 印刷装置の原紙係止装置
JPS59143679A (ja) * 1983-02-07 1984-08-17 Riso Kagaku Corp 孔版式製版印刷装置
JP2828462B2 (ja) * 1989-06-22 1998-11-25 理想科学工業株式会社 孔版印刷装置
US5172632A (en) * 1990-08-31 1992-12-22 Ricoh Company, Ltd. Friction attachment for a stencil to a rotary printing drum
DE69305479T2 (de) * 1992-04-13 1997-02-20 Toyo Ink Mfg Co Bildübertragungsgerät
JP3290720B2 (ja) * 1992-11-06 2002-06-10 理想科学工業株式会社 印刷装置の原紙クランプ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507777D1 (de) 1999-03-25
CN1081993C (zh) 2002-04-03
KR960017152A (ko) 1996-06-17
EP0713768A3 (en) 1996-10-02
US5575204A (en) 1996-11-19
CN1132144A (zh) 1996-10-02
TW275604B (en) 1996-05-11
JP3292427B2 (ja) 2002-06-17
DE69507777T2 (de) 1999-08-05
EP0713768B1 (en) 1999-02-10
JPH08142483A (ja) 1996-06-04
EP0713768A2 (en) 1996-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9988B1 (ko) 윤전식 공판인쇄기의 공판원지시단 장착장치
US4505199A (en) System for retaining stencil printing master on printing drum by clamp strip hinged along drum generator
JP2000141605A (ja) 版を交換する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印刷ユニット
JP2000238400A (ja) 印刷装置における用紙保持装置
US5454308A (en) Cam mechanism for stencil duplicating machine
JP3788650B2 (ja) 印刷装置
JP2001080187A (ja) 孔版印刷装置
EP0696512B1 (en) Mimeographic printing machine
EP1053886A2 (en) Stencil printer having carriage for guiding leading end of stencil sheet
JP3720105B2 (ja) 剥離装置
JP3631929B2 (ja) 輪転式孔版印刷機の孔版原紙始端装着装置
JPS6230117B2 (ko)
JP2001080154A (ja) 記録装置
JP2905585B2 (ja) 輪転式孔版印刷装置
JP2838220B2 (ja) 孔版印刷装置
JPH10119413A (ja) 印刷装置
JP3817116B2 (ja) 孔版印刷装置
EP0133849A1 (en) System for retaining stencil printing master on printing drum
JP3801239B2 (ja) 孔版印刷装置
JP2756217B2 (ja) 感熱性孔版印刷装置
JPH02273Y2 (ko)
JPH0584891A (ja) シート巻付装置
GB2297722A (en) Stencil duplicating machine
JP2002347322A (ja) 印刷装置における排版装置
JP2001080189A (ja) 用紙搬送機構及びこれを用いた印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8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