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5154B1 - 생콘크리트의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생콘크리트의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5154B1
KR100225154B1 KR1019960703506A KR19960703506A KR100225154B1 KR 100225154 B1 KR100225154 B1 KR 100225154B1 KR 1019960703506 A KR1019960703506 A KR 1019960703506A KR 19960703506 A KR19960703506 A KR 19960703506A KR 100225154 B1 KR100225154 B1 KR 1002251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m
container
concrete
raw concrete
li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3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700093A (ko
Inventor
미쓰오 다께다
Original Assignee
가부끼 마사히로
가부끼겐세쓰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끼 마사히로, 가부끼겐세쓰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끼 마사히로
Publication of KR970700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7000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5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51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 E04G21/04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 E04G21/04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 E04G21/0409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with conveyor be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n-Site Construction Work That Accompanies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rete (AREA)

Abstract

생콘코리트를 수직방향으로 운반하여 올려, 이것을 벨트콘베이어에 대하여 연속하여 정량적으로 송출하는 것으로,콘크리트의 타입위치에연속하여 정량적으로, 생콘크리트를 공급할 수있도록 한 생콘크리트의 이송장치이며, 벨트컨베이어와 이 벨트컨베이어로부터 생콘크리이트를 꺼내는 트립퍼장치를 갖춘 붐을 가지는 승강본체부를 타워마스트에 대하여 승강가능하게 갖추게하여, 이 타워마스트에 갖춘 용기상 반송구에 의하여 운반되어 올려진 생콘크리트를 이 용기상 반송구, 또는 이용기상 반송구로부터 생콘크리트를 받아넣는 용기상 중계구에 갖춘3 급 수단에 의해, 연속하여,정략적으로 상기 붐의 벨트컨베이어에 대하여 공급하도록 한 생콘크리트의 이송장치이다.

Description

생콘크리트 운반장치
댐 등의 콘크리트타설에 사용되는 생콘크리트는 일반적으로 큰 직경의 골재와 빈 배합 (시멘트 배합율이 작음) 을 포함하는 콘크리트이다. 부가하여, 대개의 경우에 콘크리트는 비교적 고소(高所)에 이송되도록 요구된다. 이 때문에 콘크리트 펌프를 사용하여 생콘크리트를 강제로 운반하는 것은 적합치 않다. 대개의 경우, 버켓(bucket)을 사용한 이송이 채용되고 있었다.
이러한 버켓에 의한 예컨대 타워크레인 내지는 케이블 크레인 등을 사용한 생콘크리트의 운반 및 타설은 80mm 내지 150mm지름의 비교적 큰 골재와 빈배합을 함유하는 생콘크리트는 그의 특성이 떨어지는 것 없이 고소로 안내되어 타설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이점이 있다.
반면, 단위시간당의 적은 타설용량은 시공기간이 길게 되고 또한 각 콘크리트의 타설 간격이 길어져서 타설 콘크리트의 열응력에 대해서 문제가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 타워크레인을 사용한 버켓에 의한 생콘크리트의 운반과 타설은 크레인 조작 등의 특수기술자에 의한 운전자를 요하며, 이는 장기간에 걸쳐서 특수 기술자를 확보해 둘 필요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케이블 크레인을 사용한 생콘크리트의 운반 및 타설은 케이블을 스트레칭(stretching)하기 위한 많은 설비와 노력을 요하며, 그리고 케이블의 스트레칭 등은 환경파괴를 수반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펌프 자동차에 의하여 생콘크리트를 운반하는 공법은 다량의 생콘크리트를 비교적 단기간에 양호한 타설조건하에서 양호하게 운반하여 타설된다. 반면, 상기 공법은 타설이 댐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한 좁은 표현을 갖는 경우 댐상부와 가까운 부위에서 또는 강바닥에서 행해질 때, 예컨대 케이블 크레인 또는 타워크레인 등이 부가 설치되어 종래공법에 의한 댐콘크리트를 타설할 필요가 있다.
덤프자동차에 의하여 생콘크리트를 운반하는 공법은 예컨대 댐콘크리트의 타설면이 덤프트럭의 주행에 적합하지 않는 소규모 댐에 있어서의 댐콘크리트의 타설, 또는 동일하게 댐콘크리트 타설면이 덤프트럭의 주행에 적합하지 않는 사방(砂防)댐 등에 있어서의 댐콘크리트의 타설에 문제를 발생시킨다.
상기 문제를 고려하여, 댐콘크리트의 타설할 때 버켓 엘레베이터를 구비한 타워를 설치하여 이 타워상의 버켓 엘레베이터를 사용하여 댐콘크리트를 타설시키는 것이 검토되었다.
이 버켓 엘레베이터를 사용한 댐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건설기법은 통상의 버켓 방법과 같이 큰 직경의 골재를 함유한 저슬럼프의 생콘크리트를 운반 가능케하며, 예컨대 타워크레인 내지 케이블 크레인을 사용한 생콘크리트의 운반과 비교하여, 생콘크리트를 타설위치에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을 제공하는 것이 예상된다.
그러나, 이 버켓 엘레베이터를 사용하여 댐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경우, 설비코스트는 상대적으로 고가이며, 그리고 구동부분 등의 동작의 복잡성 때문에 임의의 위치에서 댐콘크리트를 꺼내는데 곤란하다는 불편이 생각된다.유지비가 현저하게 증가하는 불편이 생각된다.다수의 버켓을 각 콘크리트의 타설이 행해질 때 마다 씻을 필요성이 있음을 또한 예상된다.
부가하여, 버켓 엘레베이터를 조작하는 경우, 체인과 스프로켓 사이의 맞물림과 버켓의 슬라이딩운동은 소음을 발생시킨다는 것이 고려된다.
더우기 버켓 엘레베이터로 안내된 타설용의 생콘크리트를 예컨대 붐상에 제공된 벨트컨베이어에 공급되는 경우, 벨트컨베이어의 벨트상에 공급된 생콘크리트가 쌓이게 되어 벨트컨베이어의 부드러운 동작을 방해하는 것이 예상된다. 벨트컨베이어의 원활한 동작을 유지시키기위해, 버켓 엘레베이터에 의한 생콘크리트의 벨트 컨베이어에 대한 공급량을 감소시킨 경우에, 설비코스트, 유지비와 비교하여 생콘크리트의 운반능력이 현저하게 낮아지는 것이 예상된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의 하나는 생콘크리트를 콘크리트의 타설위치에 연속하여 정량적으로 그리도 다량으로 이송할 수 있는 생콘크리트 운반 반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댐, 건설과 굴뚝 등의 각종 구조물을 건설하는 경우 다량의 생콘트리트를 연속적으로 타설시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주된 목적의 하나는 비교적 좁은 스페이스에도 설치 가능하며, 그리고 낮은 위치에 있어서의 콘크리트의 타설 및 높은 위치에 있어서의 콘크리트의 타설에 있어서 연속하여 정량적으로 다량의 생콘크리트를 이송할수 있는 생콘크리트 운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주된 목적의 하나는 골재직경의 큰 빈배합의 콘크리트를 콘크리트의 타설위치에 연속하여 정량적으로 그리고 다량으로 이송을 할 수 있는 생콘크리트 운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주된 목적의 하나는 골재직경의 큰 빈배합의 콘크리트를 콘크리트의 타설위치에 연속하여 정량적으로 그리고 다량으로 이송을 할수 있으며, 비교적 값싸게 설치될 수 있고, 그리고 특수 기술자에 의한 조작이 필요없이 저비용으로 가동 할 수 있는 생콘크리트 운반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타 목적은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 질 것이다.
본 발명은 소정의 높이까지 생콘크리트를 수직방향으로 운반할 수 있는 동시에, 이 생콘크리트를 벨트컨베이어 위에 연속하여 정량적으로 송출하여 목적위치로서의 콘크리트 타설위치에 생콘크리트를 연속하여 정량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 생콘크리트 운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첨부의 도면은 본 발명의 전형예 또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제1도 내지 제4도는 본 발명의 적합한 태양의 전형예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제5도 내지 제36도는 제1실시예에 따른 생콘크리트 운반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제37도 내지 제44도는 제2실시예에 따른 생콘크리트 운반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제45도 내지 제61도는 제3실시예에 따른 생콘크리트 운반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제62도 내지 제68도는 제4실시예에 따른 생콘크리트 운반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제69도 내지 제98도는 제5실시예에 따른 생콘크리트 운반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제99도 및 제100도는 제6실시예에 따른 생콘크리트 운반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제1도에 있어서, 생콘크리트 (F)를 연속하여 정량적으로 송출하는 공급수단(E)이 제공된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 (D)가 리프트 (B) 상에 제공된 선회붐(C)의 벨트컨베이어 (G) 위에서 생콘크리트 (F) 를 연속하여 정량적으로 송출하도록 사용되는 운반장치는 그의 구성요소에 의하여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제2도에 있어서, 생콘크리트 (F)를 연속하여 정량적으로 송출하는 공급수단(E) 이 제공된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는 리프트(B) 상에 회전 가능하도록 제공된 회전부 (N) 의 붐 (C) 의 벨트컨베이어(G) 위에서 생콘크리트(F) 를 연속하여 정량적으로 공급하도록 사용되는 운반장치가 그 구성요소에 의하여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제3도에 있어서, 생콘크리트 (F)용 컨테이너 (P) 와, 이 수용된 생콘크리트 (F)를 연속하여 정량적으로 송출하는 공급수단 (E)을 포함하는 운반 컨테이너(M)는 컨테이너 형상캐리어 (D)로부터 리프트 (B) 상에 제공된 붐 (C)의 벨트컨베이어(G)위에서 생콘크리트 (F)를 연속하여 정량적으로 송출하도록 운반하기 위해 운반로에 받아들이는 운반장치가 그 구성요소에 의하여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제4도에 있어서, 생콘크리트(F) 영 컨테이너(P) 와, 이 수용된 생콘크리트 (F)를 연속하여 정량적으로 송출하는 공급수단 (E)을 포함 하는 운반 컨테이너(M)는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 (D)로부터 리프트 (B)상에 회전 가능하도록 제공된 회전부 (N) 상에 있는 붐 (C)의 벨트컨베이어 (G) 위에서 생콘크리트 (F)를 운반하기위한 운반로에 받아들여지는 운반장치가 그의 구성요소에 의하여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제5도 내지 제36도에서 도시된 제1실시예에 따른 생콘크리트 운반장치에 있어서, 제5도는 일측에서 본 상기 장치를 형성하는 타워 마스트 (A) 등의 전체구조의 도면이고 , 제6도는 제5도의 상태를 타측면에서 도시하눈 도면이고, 또 제7도는 그 장치의 주요부를 평면에서 보아 도시하는 도면이다.
제8도 내지 제13도는 본 장치의 하부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제8도는 주행부를 제외한 타워마스트(A)를 선회하는 주요부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며, 제9도는 타워마스트(A) 부위에서 하향도시된 주요부를 도시하는 횡단면도이다.
제10도는 타워마스트 (A)의 주행부의 주요부를 측면에서 보아 도시하는 도면이고, 제11도는 주행부의 주요부를 레일(17)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보아 도시하는 도면이다.
제12도와 제13도는 레일 부분(17)의 회전 방지수단(16)을 도시한 도면이고, 제12도는 그의 측면에서 보아 도시하는 도면이며, 제13도는 레일(17)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취한 도면이다.
제14도 내지 제19도는 승강프레임(20)등의 크라이밍 부분의 주요부를 도시한도면이고 , 제14도는 크라이밍 부분의 주요부를 타워마스트(A)의 일측에서 도시한 도면이고, 제15도는 제14도와 직교하는 방향에서 취한 크라이밍 부분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제16도 내지 제18도는 크라이밍 부분상에 사용된 각각의 승강수단과 동시에 사용되는 잠금수단의 주요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제16도는 주요부를 일측에서 본 도면이고, 제17도는 제16도와 직교하는 방향에서 취한 도면이고, 또 제18도는 잠금수단의 일부를 구성하는 리시버(26)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제19도는 타워마스트(A)에 대하여 수직 이동되는 크라이밍부분이 대략 수평 방향으로 맞물리는 방법을 내타내는 종단면이다.
제20도 내지 제22도는 붐(C)의 타워마스트(A)에 대한 부착부와, 붐이 신축동작되는 방법을 표시한 도면이고, 제20도는 그 붐(C)의 부착부, 특히 수평방향의 붐회전장치(33)의 주요부와 회전축으로서의 축(34)을 갖는 수직붐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제21도와 제22도는 근원측붐(C')에 대한 선단측 붐(C'')의 신장 및 수축시키는 수단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제21도는 일측에서 본 도면이고, 제22도는 상면에서 주요부에 초점을 맞추어 일부의 단면을 표시하고 도면이다.
제23도 내지 제26도는 붐(C', C'')상에 제공된 벨트컨베이어(G)와 벨트컨베이어(G)용 트립퍼장치(H)를 표시한 도면이고, 제23도는 주요부를 측면에서 본 도면이고, 또 제24도는 벨트컨베이어(G)의 전방에서 본 붐(C)의 부분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제25도는 근원측 붐(C')상에 제공된 트립퍼장치(H)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트립퍼장치(H)의 출구측으로부터 벨트컨베이어(G)의 전방측에서 본 붐(C)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제26도는 붐(C)상에 제공된 벨트컨베이어(G)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제27도 내지 제31도는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의 승강방법을 표시한 도면이고, 제27도 내지 제29도는 제1방법을, 또한 제30도 및 제31도는 제2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제27도는 제1승강방법에 의하여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를 상하로 조작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제28도는 제1승강 방법의 상면에서 본개략도이고, 제29도는 제27도와 대략 직교하는 방향에서 취한 개략도이다.
제30도와 제31도에 도시한 제2승강방법에 있어서, 제30도는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등의 일측에서 본 제2승강방법 개략도이고 또 제31도는 이것을 상면에서 본 개략도이다.
제32도는 전형예서와 같이 스크류 공급장치(75)를 정량공급형의 피이더(E)를 형성시킨 하나의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제33도 및 제34도는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로부터 생콘크리트(F)를 벨트콘베이어(G)위에 꺼내기 위한 슈트(70)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부분단면도이고, 제33도는 그의 측면에서, 제34도는 그의 정면에서 도시한 단면도이다.
제35도 및 제36도는 생콘크리트(F)를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쪽으로 공급하는 수단으로 사용된 하나의 투입호퍼(71)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특히, 투입호퍼(71)의 동작상태를 용이하게 이해하기 위해서, 제35a도 및 제35b도는 투입호퍼(71)가 벨트컨베이어(77)의 측으로 끌어당겨진 상태와 호퍼가 타워마스트(A)에 있는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의 위쪽으로 투입호퍼(71)를 위치되도록 벨트컨베이어(77)의 측으로부터 앞쪽으로 신장하는 상태를 나란히 각기 도시하는 평면도이다.제36도는 측면에서 본 도면이다.
제37도 내지 제44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타워마스트(A)의 각 측에서 취한 도면이며, 제37도는 타워마스트의 일측에서 취한 도면이다.제38도는 제37도와 대략 직교하는 방향에서 취한 도면이고, 제39도는 평면도이다.
제40도 및 제41도는 본 장치, 특히 붐(C)상에 제공된 크레인 수단(J)을 도시한 도면이고, 제40도는 레일 (84)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취한 이크레인 수단(J)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제41도는 크레인수단(J)의 주요부를 상면에서 보아 도시한 도면이다.
제42도 내지 제44도는 생콘크리트(F)를 타워마스트(A)내에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에 공급하는 다른 투입호퍼를 도시한 도면이고, 제42도는 호퍼의 주요부를 측면에서 본 도면이고, 제43도는 평면도이고, 제44도는 투입호퍼의 미끄럼부위에 제공된 프레임의 단면도이다.
제45도 내지 제46도는 본 발명붐 제3실시예에 따른 장치에 있어서의 타워마스트(A)를 각 면에서 보아 표시한 도면이고, 제45도는 그 타워마스트(A)의 측면에서 취한 도면이고, 제46도는 제45도의 측면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취한 도면이다.
제47도는 붐(C)의 부착부의 주요부를 확대한 확대측면이며, 제48도는 타워마스트(A)에 대한 리프트(B)의 부착상태를 상면에서 본 주요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제49도 내지 58도는 타워마스트(A)상에 제공된 승강 캐리어(K)를 사용하여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를 운반하는 수단을 도시한 도면이고, 제49도는 트럭(88)을 사용하여 타워마스트(A)의 승강 캐리어(K)위에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를 적재하는데 필요한 주요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고, 제50도는 트럭(88)의 레일(98)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취한 주요부의 측면도이다.
제51도는 승강 캐리어(K)로서 사용되는 현가프레임(87)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제52도는 현가 프레임(87)에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를 지지한 상태의 주요부분을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제53도는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의 취한 부분과, 타워마스트(A)에 대하는 승강캐리어(K)를 결합시키는 상태를 이해하기 쉽도록 타워마스트(A)의 일부상에서 취한 도면이다.
제54도 내지 제58도는 승강 캐리어(K)를 이용하여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를 승강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고, 제54도 내지 제56도는 제1수단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제57도 및 제58도는 제2수단을 도시하고 도면이다.
제54도는 제1승강방법에 의하여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가 상하 조작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제55도는 제54도의 측면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에서 취한 개략단면도이고, 제56도는 캐리어의 수직작동을 나타내는 개략평면도이다.
제57도와 제58도에 도시된 제2승강수단에 있어서, 제57도에서,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의 측면에서 본 제2수단을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제58도는 상면에서 본 제2수단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제59도 내지 제61도는 트럭(88)상의 각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쪽으로 생콘크리트(F)를 공급하는 다른 수단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제62도 내지 제68도는 제4실시예에 따른 장치에 있어서의 타워마스트(A)를 각 면에서 보아 도시한 도면이며, 제62도는 타워마스트(A)를 일측에서 본 개략도이며, 제63도는 제62도의 측면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에서 취한 주요부를 도시하는 개략도이고, 제64도는 상면에서 보아 주요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제65도는 리프트(B) 및 회전부(N)가 타워마스트(A)와 결합하는 방법을 도시하는데 필요한 주요부의 개략도이며, 제66도는 주요부를 상면에서 본 개략도이다.
제67도 및 제68도는 운반수단(L)을 도시한 도면이며, 제67도는 운반수단(L)을 평면에서 본 개략도이고, 제68도는 운반수단(L)의 주요부의 횡단면도이다.
제69도는 내지 제98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장치에 있어서의 타워마스트(A)등을 각측면에서 보아 도시한 도면이다.
제69도는 타워마스트(A)를 하나의 측면에서 도시된 필수 구성요소를 도시한 도면이고, 제70도는 제69도의 측면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에서 취한 필수 구성요소의 개략도이며, 제71도는 상방에서 도시한 구성주요부의 개략도이다.제72도는 타워마스트(A)의 상부를 상방에서 보아 도시한 도면이다.
제73도는 타워마스트(A)에 대한 리프트(B)의 부착상태를 도시하는데 필요한 구성주요부의 개략평면도이다.
제74도는 리프트(B)의 크라이밍 부분의 구성주요부를 이의 측면에서 보아 도시한 개龜도이고, 또, 제75도는 제74도의 측면과 대략직교하는 방향에서 취한 구성 주요부의 개략도이다.
제76도는 타워마스트(A)를 따라 리프트(B)의 승강안내부의 주요부의 단면도이며, 제77도는 타워마스트(A)에 대한 리프트(B)의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제78도는 붐 (C)의 부착부분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제79도 내지 제81도는 붐(C)상에 설치된 트립퍼장치(H)의 주요부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제79도는 주요부의 측면도이며, 제80도는 제79도의 측면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에서 취한 주요부의 도면이고, 제81도는 상면에서 도시한 부분단면도이다.
제82도는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로 부터 운반 컨테이너(M)에 대하여 생콘크리트(F)를 운반하는 상태를 도시하는데 필요한 구성주요부의 개략도이다.
제83도는 생콘크리트(F)을 운반하는데 사용된 슈트(165)의 부착주요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제84도는 제82도와 대략 직교하는 방향에서 취한 생콘크리트(F)를 컨테이너 형상캐리어(D)로 부터 운반 컨테이너(M)에 운반하는 주요부의 개략단면도이다.
제85도는 컨테이너 향상 캐리어(D)의 개구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며, 제86도는 제85도와 대략직교하는 방향에서 취함 컨데이너 형상 캐리어(D)의 개구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제87도 내지 제89도는 생콘크리트(F)를 연속하여 정량적으로 송출하는 공급수단(E)으로서 벨트 피이더를 갖는 운반 컨테이너(M)를 도시한 도면이며, 제87도는 이의 측면도이며, 제88도는 제87도와 대략 직교하는 방향에서 취한 부분단면도이고, 더우기 제89도는 상면에서 본 부분단면도이다.
제90도 내지 제92도는 생콘크리트(F)를 연속하여 정량적으로 송출하는 공급수단(E)으로서 스크류피이더를 갖는 운반 컨테이너(M)를 도시한 도면이고, 제90도는 이 도면의 측면도이고, 제91도는 제90도와 대략 직교하는 방향에서 취한 부분단면도이며, 제92도는 상면에서 본 부분단면도이다.
제93도는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가 타워마스트(A)의 하부측에 취입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단면도이다.
제94도 내지 제96도는 승강 캐리어(K)를 도시한 도면이며, 제94도는 이 도면의 사시도리고, 제95도는 이 도면의 측면도이여, 제96도는 이 도면의 종단면도이다.
제97도 및 제98도는 전동차(195)를 도시한 도면이고, 제97도는 이 도면의 측면도이며, 제98도는 이 도면의 편면도이다.
제99도 및 제100도는 제6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측면에서 보아 도시한 구성주요부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며, 제99도는 운반컨테이너(M)가 회전부(N)또는 회전부(N)를 구비한 붐(C)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제100도는 운반 컨테이너(M)가 리프트(B)상에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지금부터, 본 발명에 따른 생콘트리트 운반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상세하게 설명된다.
여기서 도시되고 기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에 관한 전형적인 일부의 실시예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을 보다 용이하게 이해하고 이하의 상세하게 기술하는 개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본발명의 전형적인 실시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술하기 전에 제1도 내지 제4도를 기초로 개괄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제1 도에 있어서 도시되는 생콘크리트 운반장치는 타워 마스트 (A) 와, 이 타워마스트(A) 에 승강 가능하게 갖추어져 있는 리프트 (B)와, 도시예에 있어서의 리프트 (B) 에 대하여, 주로 수평의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고 2개의 연결된 붐 (C' ,C) 으로 구성된 붐(C)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된다.
또, 상기 타워 마스트 (A) 에는 생콘크리트 (F)의 운반에 사용되는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 (D) 가 승강 가능하게 제공됨과 동시에, 상기 붐(C)에는 그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 (D) 에 의하여 운반되는 생콘크리트(F) 의 운반용 벨트컨베이어 (G) 가 제공되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붐(C) 의 적어도 근원측 붐 (C)에는 트립퍼장치 (H) 가 갖추어져 있다.
더욱이, 상기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 에는, 이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에 의하여 운반되는 생콘크리트 (F)를, 연속하여 정량적으로 송출하는 공급수단(E) 이 제공된다. (즉, 이 도시예에서는, 공급수단(E) 이 제공된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 (Da) 로서 구성된다.)
여기서 도시되는 타워마스트 (A) 는 대략 수직으로 기립하여 설치되도록 위치하는 마스트프레임 (3)에 의하여 구성되며, 그의 상하방향에 걸쳐서 연속적으로 신장하도록 형성된 공간(4) 이 있다.
또 이 타워마스트(A) 는 기대 (base table) (1) 에 대하여 회전가능 하게 조립된 회전테이블 (2) 상에 위치되어 형성되고 회전축심으로서의 수직방향의 타워마스트(A) 의 중심선을 갖는, 회전테이블(2) 의 회전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이 타워마스트 (A)에 설치된 리프트 (B) 는 프레임구조로 형성되고 이 구조에서 리프트는 타워마스트(A) 에 대하여, 밖으로부터 맞물리도록 조립된다.이 도시예에 있어서, 리프트(B) 는 유압실린더 (23) 에 의하여 상호 연결된 상부 승강 프레임 (20) 과 하부 승강 프레임 (21)은 베이스로서 위치되며, 스테이지 본체 (18)는 예컨대, 상부 승강 프레임 (20)에 대하여 일체로 설치되며, 또한 이 스테이지 본체 (18) 상에 타워마스트 (A)를 둘러싸도록 기립하여 설치한 스테이지 포스트 (18A)와, 타워마스트 (A)에 대하여 밖으로부터 타워 마스트와 맞물리도록 조립된지지 프레임(110)이 풀(pole) (111) 에 의하여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리프트(B)는 상기, 상부 승강 프레임(20), 스테이지 본체 (18), 스테이지 포스트(18A)와 지지 프레임(110)등이, 타워마스트 (A)에 대하여, 일체로 되어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리프트 (B)는 적절한 크라이밍 수단에 의하여 타워마스트(A)에 대하여 승강되도록 구성된다.
이 리프트(B)는 이 리프트(B)를 구성하는 상기 상부 승강 프레임 (20)과, 이 상부 승강 프레임(20)의 하방의 상기 타워마스트(A)에 제공된 하부 승강 프레임(21)과의 사이에 유압실린더(23)를 설치할 수 있으므로 이 승강프레임(20),(21)에 유압실린더(23)를 사용하여 상호로 승강할 수 있는 승강구조로 형성된다.이 상부 승강 프레임(20)과, 그 하부 승강프레임(21)에 승강프레임(20,21)을 각각의 동작종료위치에서 타워마스트(A)에 대하여, 각각 잠금하는 잠금수단, 예컨대, 승강 프레임을 잠금하는 유압실린더 (24)의 프런저 로드를 신장함으로써 잠금하는 잠금수단을 설치하도록 구성된다.
이어서, 붐(C)은, 근원측 불(C') 에 대하여 선단측 붐(C)이, 이 근원측 붐(C')으로부터 신장 및 수축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근원측붐(C)의 기단측(innermist end) 이 상기 기프트(B)에 대하여, 선회 가능하게 조립된 구성을 하고 있다.
이 붐(C)의 선회조립은, 베어링(115)과 붐회전장치(33)에 의하여, 리프트(B)에 대하여, 대략 수평의 방향에 선회 가능하도록 조립된 구성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타워기구에 대하여, 승강용윈치(63)에 의하여, 승강되는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는 상기 타워마스트(A)에 있어서의 공간(4)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또 상기 붐(C)에는, 근원측 붐(C')과 선단측 붐(C)에 대응하여 벨트컨베이어(G' ,G )가 설치되며, 이로써 벨트컨베이어(G')의 생콘크리트(F)를 벨트컨베이어(G)에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붐(C), 특히 근원측 붐(C)에는 이동 가능하게 트립터장치(M)가 설치되어서, 벨트 컨베이어(G')의 위치에서, 이 벨트컨베이어(G')에서 운반된 생콘크리트(F)를 이 벨트컨베이어(G')의 측방으로 꺼내거나 또는 붐(C')의 선단에 있어서는, 붐(C')의 벨트컨베이어(G')에 생콘크리트(F)를 공급한다.
이런 구조를 갖는 생콘크리트 운반장치에 있어서, 타워마스트(A)의 하부측의 상기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에 스납된 생콘크리트(F)가, 승강용인치(63)에 의하여 상방으로 운반되어 올려지는 동시에 , 이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에 제공된 공급수단 (E)에 의하여, 이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 내의 생콘크리트 (F)를 연속하여 정량적으로 , 벨트컨베이어(G) 또는 도시예에 있어서의 전도시트(turnable chutte)(70)와 고정시트(70')를 통하여 벨트컨베이어(G)상에 송입할 수가 있다.
이와같이, 생콘크리트(F)를 연속하여 그리고 정량적으로 수용한 벨트컨베이어(G)는 근원측 붐 (C) 상의 켈트컨베이어(G)의 선단, 또는 트립퍼장치(M)를 사용한 벨트컨베이어(G')로부너 생콘크리트(F)를 콘크리트 타설면 까지 공급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구조를 갖는 생콘크리트 운반장치에 있어, 우선 레일(17)을 이용하여 타워마스트(A)를 목적으로 하는 위치까지 이동하여 이타워 마스트를 설치한다.
이어서, 승강프레임(20,21)을 이용하여 리프트(B)를 타워마스트(A)에 대하여 작업대응 높이로 설치한다.
또 동시에, 붐(C)을 생콘크리트(F)의 타성에 적합한 위히에 선회하여 설치된다.
이러한 상태에 있어서 우선 예컨대 선단측 붐(C)을 최대한으로 신당한 위치에서, 점차 이 선단측 붐(C)을 축하하면서, 이 선단측 붐(C)에 있는 벨트컴베이어(G)의 선단으로부터 생콘크리트 (F)를 콘크리트 타설면에 공급하고 둘째, 이 선단측 붐(C)에 의하여 생콘크리트(F)를 콘트리트 타설면에 공급될 수 없는 위치에서, 근원 붐 (C)의 기부측 방향으로 근원측 붐(C')의 기부측방향으로 근원측 붐(C') 상의 트립퍼장치(H)를 이동하는 동안에 생콘크리트(F)를 각각의 콘크리트 타설면에 대하여 공급하도록 본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동작과 역으로, 즉 우선 붐(C)의 근원측 붐(C')의 부착 기부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선단측 쪽으로 트립퍼 장치(H)를 이동하면서, 생콘크리트(F)를 타설하고, 둘째 붐(C)이 수축된 상태로부터 점차적으로 붐(C)을 수축하여 이 붐(C)에 있는 벨트컨베이어(G)의 선단축으로부터 생콘크리트(F)를 타설하도록 본 장치를 사용할 수가 있다.
또 붐(C)을 선회시키면서 상기 선단측 붐(C)의 벨트컨베이어(G)의 선단, 또는 근원측 붐(C') 상의 트립퍼장치(H)로부터 각각의 대응 콘크리트 타설면에 생콘크리트가 공급되도록 본 장치를 사용할 수가 있다.
상기의 각 동작 사이에 또는, 상기의 각 동작과 동시에 기대(1)에 대하여 타워마스트(A) 각위치(angular position) 로 위치되거나 또는 회전하면서 보 장치를 사용할수 있다.
상기의 각 동작 사이에 또는 상기의 각 동자과 동시에 타워마스트(A)는 레일 (17) 상에서 이동되거나 또는 위치되도록 이동하면서 본방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각 동작 사이에 또는 상기의 각 동작과 동시에 승강 본체 본체부(B)를 승강조작하여 본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구조를 갖는 타워마스트(A)는 레일 (17)상에서 이동되지 않는 구성 즉 기대 (1)가 설치면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마스트 프레임(3)이 회전테이블(2)의 사용없이 기대(1)에 직접 조립된 구성, 즉 타워마스트(A)가 회전하지 않도록 타워는 구성될 수 있다.
상기의 붐(C)을 2개의 붐, 즉, 근원측 붐(C')과, 선단측 붐(C)을 함께 연결시켜 사용하는 것 대신에 단일붐 또는 3개 이상의 붐에 의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 복수개로 구성되는 붐이, 단일붐과 같이 함께 고정될 수 있는, 즉 신장되거나 수축되지 않을 수 있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붐(C) 에 있어서는 단일붐에 의하여 붐(C)이 구성되는 경우에 붐에 트립퍼장치를 설치시킨다.
또, 복수개의 붐이 신장 및 수축되지 않게 단일붐처럼 형성되는 경우에, 단일붐으로서 붐(C) 상의 각 벨트콘베이어(G)상에 생콘크리트(F)를 꺼낼 수 있도록 트립퍼를 설치한다.
또, 신장 및 수축되는 붐을 제공된 붐(C)에 있어서, 리프트(B)에 부착한 측에 있는 붐에 트립퍼장치(H)를 설치한다.
또, 이 도시예에 있어서는,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를 승강 캐리어(K)를 사용하여 운반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승강윈치(63)는 와이어 로프(65)를 그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에 직접 부착 할 수 있다.
또 도시예에 있어서는,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 ), 특히 공급수단 (E) 에 의하여 연속하여 정량적으로 벨트컨베이어(G)에 공급될 때, 전도 슈트(70) 및 고정 슈트 (70')를 사용하더라도, 이러한 슈트 이외의 운반수단에 의하여, 생콘크리트(F)를 벨트컨베이어(G)에 이송할 수 있거나 또는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에 설치된 공급수단 (E)으로부터 연속하여 정향적으로 직접 벨트컨베이어(G)상에 생콘크리트(F)를 공급할 수 있다.
제1도에 있어서, 48,52는 벨트컨베이어(G)의 구동모터를, 46,47,49 및 50은 벨트컨베이어(G)의 풀리를 지시한다.
이어서, 제2도에 있어서 도시되는 생콘크리트 운반장치는, 타워마스트(A) 와, 이 타워마스트(A)에 승강이 가능하게 갖추어져 있는 리프트(B) 와, 이 리프트 (B) 에 회전이 가능하게 제공된 회전부 (N) 와, 이 회전부 (N) 에 갖추어져 있으며 단일붐 또는 연결된 복수개의 붐으로 이루어진 붐 (C)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타워마스트(A) 에는, 생콘크리트 (F)의 운반에 사용되는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 (D)가 승강이 가능하게 갖추어져 있으며, 또한 상기 붐(C)에는, 그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에 의하여 운반된 생콘크리트(F)의 운반용 벨트 컨베이어(G)가 제공된 구성으로 된다.
또 상기 붐(C)의 적어도 근원측 불(C')에는 트립퍼장치(H)가 제공된다.
또 상기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에는, 이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에 의하여 운반되는 생콘크리트 (F)를 연속하여 정량적으로 송출하는 공급수단(E)이 제공되도록 구성된다.(즉 본 도시예에서,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 공급수단(E)을 구비한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a) 로서 형성된다.)
본 제2도에서 도시된 생콘크리트 운반장치에 있어서는, 타워마스트(A)가 회전테이블(2)을 갖추고 있지 않는 것과, 붐(C)이 리프트(B)상의 회전부(N)에 설치되어서, 본 리프트(B), 특히 타워마스트(A)의 둘레를 회전하도록 형성된다는 것, 이들의 구성의 변경에 따른, 예컨대 승강용윈치 (63) 를 타워마스트(A) 의 상부에 직접 설치되는 것 및 회전피이더와 같은 운반수단(L)의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로부터의 생콘크리트 (F)를 벨트 컨베이어(G) 상에 운반하기 위해 제공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1도에 도시되는 생콘크리트 운반장치에 있어서의 구성과 동일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러한 점에서, 상기 제1도와 생콘크리트 운반장치에 있어서 구성과 동일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부분에 대하여는 , 동일의 번호를 부여하여 그의 설명을 생략한다.
본 제2도에서 표시되는 생콘크리트 운반장치에 있어서는 승강프레임 (21)과 승강프레임(20) 등을 포함하는 리프트(B)는 회전 가능하게 조립된 회전부 (N)를 갖는다.
이 타워마스트(A)에 설치된 리프트(B)는, 상기 승강프레임(20), 승강프레임(21) 및, 여기에 조립한 부재와, 타워마스트(A)를 바깥으로 부터 맞물린 지지 프레임 (110)은 풀 (111)로 함께 연결된 부재는 타워마스트(A)에 대하여 승강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리프트(B)에 조립되는 회전부(N)는 스테이지(117)와 최전 프레임 (118)이 제공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리프트(B)의 둘레를 둘러 싸도록 그 스테이지(117)로부터 세워설치된 포스트(118b) 및 그 포스트(118b)의 상부와 연결되는 환상 프레임 (118a)은 회전 프레임(118)을 구성한다. 회전부는 상기 리프트(B)의 승강프레임 (20), 지지 프레임(110)등에 대하여, 회전이 가능하게 조립되어 구성된다.
이와같이, 타워마스트(A)에 대하여 승강가능하게 제공된 리프트(B) 상에 회전 가능하게 회전부(N)가 설치되고, 이 회전부(N) 상에 붐(C)이 설치된 구조가 제공된다.상기 구조는 리프트(B)에 대하여 회전부(N)를 회전함으로써 콘크리트 타설이 적합한 위치로 붐(C)을 자유로이 안내할 수 있다.
상기 구조를 갖는 타워마스트(A)는 이 타워마스트(A)자체를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필요가 없다.
붐(C)이 회전부(N)상 선회 가능하게 설치될 필수의 구성으로 할 필요가 없다.
제2도에 도시되는 생콘크리트 운반장치에 있어서의 생콘크리트의 운반방법은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에 의하여 운반되어 올려진 생콘크리트(F)는 슈트(70,70') 등을 사용하여 회전 피이더 등의 운반수단(L)에 운반되며, 이 콘크리트는 슈트(123)등을 사용하여 벨트컨베이어(G) 상에 운반되는 점에 있어서 상기 제1도의 생콘크리트 운반장치와 다르다. 이 이외의 점에 있어서, 생콘크리트 (F)의 이송방법은 상기 제1도의 생콘크리트 운반장치에 있어서의 이송방법과 동일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제2도에서 도시된 생콘크리트 운반장치를 사용한 생콘크리트의 타설방법은 리프트(B)를 타워마스트(A)를 따라, 콘크리트 타설에 적합한 높이가 되도록 상기 승강프레임(20,21)을 이용하여 승강 조정하여, 붐(C)이 콘크리트 타설에 적절하게 회전위치되고, 상기 제1도에서 도시되는 생콘크리트 운반장치에 있어서와 마친가지로, 선단측 붐(C)의 신축조작고 트립퍼장치(M)의 이동조작을 수행하여 생콘크리트를 연속하여 정량적으로공급될 수 있다.
또 이러한 선단측 붐(C)의 신축조작 및 트립퍼장치(M)의 이동 조작을 이용한 각각의 생콘크리트의 타설 사이의 간격으로 회전부(N)를 회전기키거나, 또는 선단축 붐(C)의 신축조작 및 트립퍼장치(H)의 이동조작을 이용한 생콘크리트의 타설을 수행하는 동안에 회전부(N)가 회전되도록 사용할 수 있다.
또 여기서는 도시하고 있지 않으나 제2도에 도시되는 장치는 제1도에 도시된 장치와 마찬가지로 레일을 이용하여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의 각 조각에 앞서서 , 타워마스트(A)를 생콘크르트 타설위치에 이동세트 또는 상기의 각 조작을 타워마스트(A)를 이동하면서수행하도록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제2도에 도시된 생콘크리트 운반장치는 슈트(70,70')를 사용하여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에 의하여 운반되어 올려진 콘크리트(F)를 타워마스트(A)의 둘레를 회전하도록 설치된 회전 피이더 등의 운반수단 (L)에 운반시키고, 이 운반수단(L)에 운반된 생콘크리트(F)는 슈(123)를 사용하여 벨트컨베이어(G)에 차례로 운반되도록 구성된다.그러나, 상기 장치를 생콘크리트(F)가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로부터 직접 운반수단(L)에 운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운반수단(L)없이 또는 슈트 등을 통과하여,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에 의하여 운반되어 올려진 생콘크리트(F)는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로부터 직접 또는 벨트컨베이어(G) 에 운반되도록 상기 장치는 구성된다.
운반수단(L)에 운반된 생콘크리트(F)는 운반수단(L)으로부터 벨트컨베이어 (G)에 직접 또는 슈트(123) 이외의 수단을 사용하여 운반되도록 상기 장치는 구성될 수 있다.
이어서, 제3도에 도시된 생콘크리트 운반장치는, 타워마스트(A)와, 이 타워마스트(A)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리프트(B)와, 이 리프트(B) 상에 주로 수평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며 본 도시예에 있어서의 연결된 2개의 붐을 구비하는 붐(C)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타워마스트(A)에는 생콘크리트(F)의 운반에 사용되는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 (공급수단(E))을 갖추지 않은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b)가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붐 (C) 에는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에 의하여 운반된 생콘크리트 (F) 의 운반용 벨트컨베이어(G) 가 제공된다.
상기 붐(C)의 근원측 붐(C')에는 트립퍼장치(H)가 제공된다.
상기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에 의한 상기 생콘크리트(F)의 운반과 상기 벨트컨베이어(G)에 의한 그 생콘크리트(F)의 운반 사이의 운반로는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에 의하여 운반되는 생콘크리트(F)를 수용하는 수용 컨케이너(P)와 이 수용된 생콘크리트(F)를 연속하여 정량적으로 송출하는 공급수단(E)이 제공된 운반 컨테이너 (M)를 포함한다. 특히, 이 도시예에 있어서, 리프트(B) 또는 붐(C)은 이 운반 컨테이너(M)가 제공되도록 형성된다.
제3도에 도시된 생콘크리트 운반장치는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에 의하여 운반되는 생콘크리트(F)를 수용하는 수용 컨테이너(P)와, 이 수용된 생콘크리트(F)를 연속하여 정량적으로 송출하는 공급수단(E)이 제공된 운반 컨테이너(M)가 상기 리프트(B) 또는 붐(C) 상에 설치되고, 상기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에 의하영 운반되어 올려진 생콘크리트(F)가 운반컨테이너(M)를 통하여 벨트 컨베이어(G)에 송출하되어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 상에 생콘크리트 (F) 를 연속하여 정량적으로 송출하는 공급수단(E)이 설치될 필요성을 제거하도록 다른 구성요소는 상기 제1도에 도시되는 생콘크리트 운반장치의 구성과 동일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런 이유로, 상기 제1도에 도시된 생콘크리트 운반장치의 구성과 동일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부분은 동일의 번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3도에서 도시된 생콘크리트 운반장치에 있어서, 운반 컨테이너(M)는 리프트 (B) 상에 설치된다. 운반 컨테이너(M)는 상기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로부터 생콘크리트(F)를 수용하는 수용 컨테이너(P)와, 예컨대 스크류피이더와 벨트피이더 등의 생콘크리트(F)를 연속하여 정량적으로 송출하는 공급수단 (E)이 제공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조를 갖는 생콘크리트 운반장치에 있어서, 타워마스트의 이동조작, 리프트(B)의 승강조작, 붐(C)의 선회조작, 선단측 붐(C)의 신축조작, 및 트립퍼장치(H)의 이동조작은 상기 제1도에 도시된 생콘크리트 운반장치에 있어서의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에 의하여 운반되어 올려진 생콘크리트(F)는 슈트 (165,168)에 의하여 운반 컨테이너(M)에 안내된다.따라서, 운반 컨테이너(M) 상에 설치된 생콘크리트(F)는 공급수단(E)에 의하여 연속하여 정량적으로 송출되도록 벨트컨베이어(G)에 연속하여 정량적으로 안내된다.벨트 컨베이어(G)에 의해 안내된 생콘크리트(F)는 선단측 붐(C)의 벨트컨베이어(G)의 선단 또는 근원측 붐(C')의 트립퍼장치(H)에서 콘크리트 타설위치에 공급된다.
콘크리트의 타설은 상기 타워마스트(A) 의 이동조작, 리프트 (B) 의 승강조작, 붐(C)의 선회조작, 선단측 붐(C)의 신축조작, 및 트립퍼장치(H)의 이동조작 등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이들의 각 조작을 하면서 타설이 행해질수 있다.
여기서 도시된 생콘크리트 운반장치는 레일(17) 상에 타워마스트(A)가 이동 가능하며, 또한, 회전테이블(2)은 타워마스트(A)가 회전가능하게 허용되도록 구성된다.타워마스트(A)가 레일(17) 상에 이동하지 않으며, 회전테이블(2)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콘트리트 타설현장에 세워 설치하도록 본 장치는 구성된다.
타워마스트(A)에 회전테이블(2)이 제공되지 않으며, 레일(17) 상에 타워 마스트가 이동 가능하도록 본 장치는 구성된다.
타워마스트(A)는 회전테이블(2)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붐(C)은 리프트(B)에 선회하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운반 컨테이너(M)가 리프트(B)상에 제공된다하여도 , 이 운반 컨테이너(M)는 리프트(B) 상에 제공된 붐(C)에 설치될 수 있다.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로부터 운반 컨테이너(M) 쪽으로 생콘크리트(F)의 운반은 상기 슈트 (165,168) 이외의 슈트수단이나, 또는 그밖의 적절한 운반수단을 통하영 행해질 수 있다.
이들의 운반수단의 도움없이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로부터 직접 운반 컨테이너(M) 쪽으로 생콘크리트(F)의 운반이 행해지는 구성이 제공될 수 있다.
운반 컨테이너(M)로부터 벨트 컨베이어(G) 상에 상기 생콘트리트(F)의 운반은 슈트, 그 밖의 적절한 운반수단을 통하여 행해질 수 있다.
이들의 운반수단의 도움없이 운반 컨테이너(M)로부터 직접 벨트 컨베이어(G)에 생콘크리트(F)의 운반이 행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4도에 도시되는 생콘크리트 운반장치는 타워마스트(A)와, 이 타워마스트(A)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리프트(B)와, 이 리프트(B)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된 회전부(N)와, 이 회전부(N)에 제공된 연결된 2개의 붐(C',C)으로 구성된 붐(C)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타워마스트(A)는 생콘크리트(F)의 운반에 사용되는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도시예의 공급수단(E)을 갖추지 않은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b)가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붐(C) 은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 (D) 에 의하여 운반된 생콘크리트 (F)의 운반용 벨트컨베이어(G)가 제공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붐(C)의 근원측 붐 (C')는 트립퍼장치(H)가 제공된다.
상기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에 의한 상기 생콘크리트(F)의 운반과 상기 벨트컨베이어(G)에 의한 그 생콘크리트(F)의 운반 사이의 운반경로는 그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에 의하여 운반되는 생콘크리트를 수용하는 수용 컨테이너(P)와 이 수용하는 생콘크리트(F)를 연속하여 정량적으로 송출하는 공급수단(E)이 제공된 운반 컨테이너(M)를 포함된다.
운반 컨테이너(M)는 리프트(B), 또는 회전부(N)또는 붐(C)상에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제4도에 도시된 생콘크리트 운반장치는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에 의하여 운반되어 올려진 생콘크리트(F)가 운반 컨테이너(M)를 통하여 벨트컨베이어(G)에 운반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2도에 도시된 생콘크리트 운반장치의 구성과 동일하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런 이유로, 제2도에 도시된 생콘크리트 운반장치의 구성과 동일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부분은 동일의 번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4도에 도시된 운반장치는 운반 컨테이너(M)가 회전부(N), 특히, 도시예의 붐(C)상에 설치되며, 이 운반 컨테이너(M)는 상기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에 의하여 운반되어 올려진 생콘크리트(F)를 수용하는 수용 컨테이너 (P)와 이 수용된 상기 콘크리트(F)를 연속하여 정량적으로 송출하는 공급수단(E)이 제공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타워마스트(A)상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컨테이너 형상캐리어(D)에는 생콘크리트(F)를 연속하여 정량적으로 송출하는 공급수단(E)이 제공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조를 갖는 생콘크리트 운반장치는 상기 제2도에 도시되는 생콘크리트 운반장치와 대략 동일한 방법, 즉 리프트(B)를 타워마스트(A)를 따라 콘크리트의 타설 대응높이가 되도록 상기 승강프레임(20,21)을 이용하여 승강조정해서, 회전부(N)를 콘크리트타설 대응위치에 붐(C)이 위치되도록 회전유지되는 동시에, 선단측 붐(C)의 신측조작, 트립퍼장치(H)의 이동조작에 의하여, 생콘크리트(F)를 이 콘크리트 타설 대응위치에 연속하여 정량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선단측 붐(C)의 신축조작 및 트립퍼장치(H)의 이동조작을 이용하여 각각의 생콘크리트 타설 사이의 간격으로 회전부(N)를 회전하거나 또는 이들의 선단측 붐(C)의 신축조작, 및 트립퍼장치(H)의 이동조작에 의한 생콘크리트의 타설을 하면서 회전부(N)를 회전시키도록 당해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여기에 도시되어 있지 않거나, 제4도에 도시되는 장치는 상기 제1도에서 도시되는 장치와 동일하게 레일을 이용하여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의 각 조작에 앞서서, 타워 마스트(A)를 생콘크리트 타설위치에 이동, 설치하거나 또는 타워 마스트(A)를 이동하면서 각 조작을 수행하도록 본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구조를 갖는 생콘크리트 운반장치는 타워마스트(A)상의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에 의하여 운반되어 올려진 생콘크리트(F)가 슈트(198)를 사용하여 운반수단(L), 본 도시예에 있어서는 타워마스트(A)의 둘레를 회전하고 있는 회전피이터에 운반되며, 운반수단(L)에 수용된 생콘크리트(F)가 슈트(199)를 사용하여 운반 컨테이너(M)에 수용되고, 이 운반 컨테이너(M)로부터 생콘크리트(F)를 연속하여 정량적으로 벨트컨베이어(G)에 대하여 송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벨트컨베이어(G)에 안내된 생콘크리트(F)는 선단측 붐(C)상의 벨트컨베이어(G)의 선단 또는 트립퍼장치(H)로부터 콘크리트 타설위치에 연속하여 정량적으로 공급된다.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로부터 운반 컨테이너(M)까지 생콘크리트(F)의 운반은 예컨대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로부터 타워마스트(A)의 둘레를 회전하고 있는 회전피이터 등의 운반수단(L)에 직접 생콘크리트(F)를 운반하도록 행해질 수 있다.
슈트(199)의 도움없이 상기 운반수단(L)으로부터 직접 운반 컨테이너(M)에 생콘크리트(F)가 운반되도록 본 장치는 구성될 수 있다.
더우기, 상기 운반수단(L)을 설치하지 않고,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로부터 운반 컨테이너(M)에 직접 또는 슈트 등을 통하여 생콘크리트(F)가 운반되도록 본 장치는 구성될 수 있다.
생콘크리트(F)를 수용하는 수용컨테이너(P)와, 이 수용된 생콘크리트(F)를 연속하여 정량적으로 송출하는 공급수단(E)이 제공된 운반 컨테이너(M)는 도시예에 있어서와 같이 붐(C)위에 설치될 수 있거나 또는 붐(C)의 조립되는 회전부(N)상에 설치될 수 있다. 운반 컨테이너(M)는 회전부(N)를 조립시킨 리프트(B)상에 제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1) 제1실시예에 따른 생콘크리트 운반장치.
우선 제5도 내지 제36도에 도시한 제1실시예에 따른 생콘크리트 운반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실시예에 따른 생콘크리트 운반장치는 타워마스트(A)와, 이 타워마스트(A)상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리프트(B)와, 이 리프트(B)에 주로 수평방향으로 선회가능하게 설치된 붐(C)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리프트(B)상에 설치된 붐(C)은 근원측 붐(C'), 이 근원측 붐에 연결된 선단측 붐(C)으로 구성되며, 선단측 붐(C)이 근원측 붐(C')쪽으로 신장 및 수축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타워마스트(A)에는 생콘크리트(F)의 운반에 사용되는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가 승강 가능하게 제공된다.
상기 붐(C)의 근원측 붐(C')과 선단측 붐(C)에는 순차로 생콘크리트(F)를 인계하는 벨트컨베이어(G',G)가 설치된 상기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로부터 직접 또는 부가 제공된 운반수단을 통하여 공급되는 생콘크리트(F)를 운반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붐(C)에는 운반된 생콘크리트(F)를 선단측붐(C)의 벨트컨베이어(G)로 운반하거나 벨트컨베이어(G',G)상의 위치로 꺼내거나 또는 벨트컨베이어(G)의 선단에 꺼내는 트립퍼장치(N)가 제공된다.
상기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에는 본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에 의하여 운반되는 생콘크리트(F)를 연속하여 정량적으로 송출하는 공급수단(E)이 제공된다.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에 의하여 운반된 생콘크리트(F)는 이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상의 공급수단(E)에 의하여 상기 운반용 벨트컨베이어(G)에 직접 또는 부가 제공된 운반수단을 통하여 연속하여 정량적으로 송출된다.
제1실시예에 따른 생콘크리트 운반장치는 이 생콘크리트 운반장치를 구성하는 타워마스트(A)가 회전축선으로서의 수직축선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세워 설치되도록 형성된다.
제1실시예에 따른 생콘크리트 운반장치는 레일(17)을 따라서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본 장치의 일부를 구성하는 타워마스트(A)는 각종의 세워설치된 방법에 의하여 직립 설치된다.예컨대, 본 실시예에 있어서, 기대(1)상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테이블(2)과, 각 마스트 프레임(3,3...)은 회전테이블에 조립되고, 한쌍의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D)를 승강하도록 마스트 프레임 내에 공간(4)이 제공된다.
마스트 프레임(3,3...)에 의해 구성되는 타워마스트(A)는 외부로부터 리프트(B)에 맞물리도록 설치된다. 리프트의 일부를 형성하는 크라이밍 수단은 그 타워마스트(A)에 대하여 각 마스트 프레임(3,3...)3)에 작용될 수 있다.
타워마스트(A)가 세워서 설치되는 있는 회전테이블(2)은 기대(1)상의 슬라이드 슈즈(slide shoes)(6)와 하부 롤러(5,5...)에 의하여 수직 하중을 받으며, 회전테이블(2)의 상방으로부터 신장된 회전 방지아암(7,7...)상에 설치된 상부롤러(8,8...)에 의하여 회전 모멘트를 받도록 구성된다.
회전테이블(2)은 베어링부(9)가 형성된 중심부를 가지며, 이 베어링부는 기대(1)의 타워마스트(A)상에 생기는 전단하중을 받는 슬라이드 슈(shoe)(11)를 통하여 맞물린 센타포스트(10)를 갖는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타워마스트(A)는 그 센터포스트(10)의 수직방향의 중심선을 회전 중심선으로서 타워 마스트(A)에 대하여 회전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타워마스트(A)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선회모터(13)가 있는 스프로켓(14)이 회전테이블(2)의 원형의 환상 프레임(2a)의 외주상에 감긴 체인(12)과 맞물림시킨 선회구동수단이 제공된다(제8도 및 제9도 참조).
기대(1)는 4조의 주행수단(15,15...)과 회전 방지수단(16)이 제공된 하면이 있으며, 설치면상에 고정된 레일(17,17)상에 타워마스트(A)가 이동할 수 있는 구조가 제공된다.
특별한 도시예에 있어서, 기대(1)의 주행수단(15)은 각 쌍의 차륜 (15c,15c)이 축(15a)을 사용함으로써 기대(1)에 설치된 차륜프레임(15b)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각 차륜(15c)과 동축적으로 설치한 기어(15d)를 차륜프레임(15b)에 설치된 구동모터(15e)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기어(15f)에 맞물리며, 상기 타워마스트(A)는 레일(17)을 따라서 수시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제10도 및 제11도 참조).
기대(1)의 하면상에 제공된 회전 방지수단(16)은 서로 마주보는 형체(clamping)돌기부(16f)가 제공된 선단의 내면이 있는 한쌍의 형체부(16a,16a)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형체부(16a,16a)는 양면상에 헤드(17a)와 맞물린 상태를 발생시키는 레일(17a)의 웨브를 형체시킬 수 있다. 부가하여, 나사레버(16c)를 한쌍의 형체부(16a,16a)를 통과하도록 한 제어차륜(16d)은 죄어지며, 특히, 나사레버(16c)는 한쌍의 형체부(16a)의 너트(16e)에 나사조립되고, 핸들(16d)를 회전함으로써 형체부(16a,16a)는 서로 끌어당겨지어, 레일(17)을 죄고 풀어주는 구조를 갖는다(제12도 및 제13도 참조).
타워마스트(A)상에 설치된 리프트(B)는 제14도 내지 제19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타워마스트(A)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리프트(B)는 승강용 유압실린더(23)에 의하여 상호 연결된 상부승강프레임(20)과 하부승강프레임(21)으로 구성된 베이스를 가지며, 상부승강프레임(20)과 하부 승강프레임(21)은 스테이지 본체(18)와 일체로 보조스테이지(19)를 일체로 형성시키고, 스테이지 본체(18)는 스테이지 포스트(18A)를 일체로 설치시키도록 구성된다.상기 부재들로 구성된 타워마스트(A)는 이 타워마스트(A)를 둘러싸고 외부로부터 맞물리는 직립의 타워마스트(A)에 리프트가 설치되는 배열을 갖는다.
상부 승강프레임(20)상에 설치된 스테이지 본체(18)는 외부로부터 기립상태에 있는 타워마스트(A)에 맞물리도록 환상형상으로 구성된다. 스테이지 본체는 환상형상으로서의 승강 프레임(20)과 일체로 형성된 하면측을 갖는다. 환상형상으로 형성된 승강 프레임(21)은 유압실린더(23)를 통하여 승강프레임(20)아래쪽에 연결된다. 승강프레임(21)상에 제공된 보조스테이지(19)는 승강프레임(21)이 있는 상기 타워마스트(A)를 외부로부터 맞물리는 타워 마스트(A)에 설치된다.상기 승강프레임(20,21)과 여기에 조립된 스테이지 본체(18)및 보조스테이지(19)등에 의하여 구성되는 리프트(B)는 승강프레임이 환상틀를 포함하고, 이들에 서로 연통하는 개구(22), 즉, 타워마스트(A)에 맞물리는 개구(22)를 갖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구성되는 리프트(B)의 승강동작은 주로 상기 승강프레임(20,21) 에 의하여 이루어진다.이 승강프레임 (20,21)은 타워마스트 (A) 의 마스트프레임 (3,3) 을 둘러싸도록 대락 4각형의 프레임형상으로 구성하는 동시에, 이 타워마스트 (A)의 외주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승강 프레임 (21) 의 4구석부에 승강유압실린더(23,23 ...) 가 직립 설치되도록 축 (23a) 을 사용하며, 승강 유압실린더(23)는 프런저 로드 (23b) 가 상부측 승강프레임(20)에 축 (23c)을사영하여 설치되어서, 각 승강 프레임 (20,21) 이 유압실린더 (23)에 의하여 승강 조작할 수 있는 구성된다.
리프트 (B), 특히, 승강프레임(20,21) 이 마스트프레임 (3) 에 조립되는것이 제19도에서 명백하게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타워마스트(A)는 각 구석부상에 세워진 메인 마스트(3a,3a ...) 와 가상적인 평면이 장방형상이고, 메인 마스트는 보다 긴 측면 사이에 설치된 보조 포스트 (3b)를 가지며, 메인 마스트와 보조 포스트(3b)는 적절히 크로스 레버 (3c) 에 의하여 연돌됨으로써 단변측에 있는 한쌍의 메인 마스트 (3a,3a) 와 마스트 (3b,3b) 가 이룬 각각의 공간 (4)내를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 (D) 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타워마스트(A) 의 각 메인 마스트 (3a)는 가이드레일 (92) 이 제공된 외면측을 가지므로 타워마스트 (A) 의 상하방향으로 신장하도록 하며, 가이드 레일 (92) 은 승강프레임 (20,21) 의 내측상에 제공된 슬라이드 가이드 (93) 의 슬라이드 메탈 (94) 를 통하여 설치되어서, 승강프레임 (20,21)이 타워마스트 (A) 에 대하영 안정하게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구조를 띤다.
승강프레임(20,21) 은 이 승강프레임 (20,21) 을 상기 타워마스트 (A) 를 구성하는 마스트프레임 (3) 에 잠금되도록 유압실린더 (24,24...) 가 제공된 각각의 구석부를 가진다.
유압실린더 (24) 는 승강프레임(20,21)의 외측으로부터 마스트 프레임 (3) 쪽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된 프런저 로드 (24b) 를 가져서 잠금축으로서 프런저 로드 (24)를 사용하며, 프런저로드가 마스트 프레임 (3) 상에 제공된 리시버 (26) 와 맞물리는 구조를 띤다.
마스트 프레임 (3) 상에 제공된 리시버 (26)는 유압실린더 (23)에 의햐여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각 승강프레임 (20,21) 이 선택적으로 정지 될 수 있는 높이에상응하도록 위치한다.
유압실린더 (24)용 실린더 지지프레임 (25)은 수용 리시버 (receiving cylinder) (25a)가 형성된 상승면을 가져서 유압실린더 (24)의 프런저 로드(24b) 가 대략 수평으로 동작하여 유압실린더(24) 의 확실한 동작을 발생시키며, 수용 리시버 (25a) 와 상기 리시버 (26) 사이에 프러저로드가 삽입되며, 각 승강프레임 (20,21) 이 확실하게 마스트 프레임 (3) 에 고정될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상기 구조에 있어서, 프런저 로드(24b)가 축소한때에, 이 프런저 로드 (24b)는 선단 리시버(26)에서 벗어나고 반면에 수용리시버(25a) 내에 상단부가 남도록 한다.
라스트 프레임(3)상에 설치되는 리시버 (26)는 마스트프레임 (3) 의 외측상에 금속 피팅 (26a) 과 금속 피팅 (26b) 이 돌출한 형상이 되도록 설치되고, 금속 피팅 (26a,26b) 에 의해 둘러싼 상부는 개방된다.
마스트프레임(3) tkd에 제공된 리시버 (26)는,그 마스트프레임 (3) 상에 대략 수평으로 돌출하도록 제공된 하부 리시버 금속 피팅 (26a) 과, 이 금속 피팅 (26a) 면에서 상방으로 돌출한 마스트 프레임 (3) 에 대략 수직으로 신장한 한쌍의 세로 금속 피팅 (26b) 과, 금속 피팅 (26a) 의 하면상에 하방으로 신장하도록 설치된 한쌍의 보조금속 피팅 (26c) 으로 구성된다.상기 금속 피팅 (26a) 과 금속 피팅 (26b) 에 의하여 한정되는 상면개구의 오목부는 상기 프러저 로드 (24b) 의 선단의 리시버 (26)를 구성한다.
승강프레임 (20,21) 상의 크라이밍 수단은 전형적으로 유압실린더(24,24...)가 마스트르레임(3)의 리시버 (26) 쪽으로 프런저로드 (24b)를 신장시킨 상태로 되며 반면에 상기 유압실린더(23)는 축소된 위치가 되도록 한다.
각 승강프레임 (20,21)을 사용하여 스테이지 본체 (18) 와, 보조스테이지 (19)등의 리프트 (B) 를 상방으로 이동하는 조작에 있어서, 우선 승강 프레임(20)은 유압실린더 (24) 의 프런저 로드 (23b) 를 신장시킴으로써 리시버 (26)를 상방으롤 빠져나오게 하고, 동시에 승강프레임 (20)의 우압실린더 (24)를 줄어들도록 조작한다.
상기 상태하에서, 승강프레임 (20) 을 스테이지 본체 (18)와 동시에 윗쪽으로 밀어 올리도록 유압실린더 (23)는 플런저 로드 (23b) 를 상방신장 시킨다.
또한 , 이 경우 유압실린더 (24)가 완전히 수축된지를 센서로 검출된다. 이것이 확실한 경우, 유압실린더 (23)가 상승이 계속된다. 이승강플레임 (20) 상의 유압실리더 (24)가 완전히 수축동작되지 않는 경우에, 그유압실린더 (23)는 동작이 정지한다.
상기 배열은 유압실린더 (24) 의 선단이 높은 우치에 있는 리시버(26)에 대하여, 특히 승강프레임(20) 의 상승동작에 따른 리시버(26)에 대하여 충돌을 방지할 수 있으며, 높은 위치에 있는 리시버 (26)를 초과하여 승강프레임 (20) 이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유압실린더(23)에 의하여 승강프레임 (20)을 상방으로 밀어올려서, 소정의 위치시킨다.이 위치에서 , 상부 승강프레임(20)상의 유압실린더(24)는 프런저 로드 (24b)를 신장시켜서 이 프런저 로드 (24b) 를 마스트 프레임(3) 상에 따라서, 스테이지 본체 (18)를 타워마스트 (A) 삽입시킨다.
이어서, 하부 승강프레임 (21) 을 유압길런더 (23)의 수축동작에 의하여 밀어 올려져 승강프레임 (21)사아의 유압실린더 (24)로부터 프런저 로드 (24b) 를 꺼내고, 유압실린더(24) 의 수축동작을 개시시킨다.
이러한 일련의 동작, 즉, 유압실린더 (23)의 플러저로드 (23b) 의 수축동작에 따라서, 하부 승강프레임 (21)을 상방으로 이동 시킨다.상방의 송정의 위치에 이동된 승강프레임(21)은 유압실린더 (24)를 수평의 방향으로 신장시켜서 플런저로드 (24b) 를 마스트프레임(3)상의 리시버(26)에 삽입하고, 이로써 상방위치에서 승강프레임(21)을 고정시킨다.
또한, 이 경우에 있어서, 잠금용의 유압실린더 (24)가 완전하게 수축상태에 있는 것을 센서에 의하여 검출한 경우, 승강용의 유압실린더 (23)는 상방으로 운동을 계속함으로써, 유압실린더(24) 의 선단이 보다 높은 상기 리시버(26)의 금속 피팅 (26a) 에 충돌하지 않도록 한다.
스테이지 본체 (18) 및 보조스테이지 (19)등이 있는 리프트(B) 의 하강조작은 대략 상기의 승강조작에 대하여 역조작될 수 있다. 즉 우선 하부 승강프레임(21)은 상기의 방법에 의하여 하방 이동하여, 마스트프레임(3) 에 고정된다.상부 승강프레임(20) 은 스테이지 본체(18)와 동시에 하방으로 이동되고, 이동 종료위치에서 마스트프레임(3)에 잠금된다.따라서, 리프트(B) 는 아래쪽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세히 말하면, 우선 하부 승강프레임(21) 상의 유압실린더(24)를 동작하여 유압실린더 (24)의 프런저 로드 (24b)를 수축시킨다.로드 (24b) 의 선단이 리시버 (26), 특히 금속 피팅 (26a)의 표면에서 완전히 벗어난 것을 확인한 후, 유압실린더(23) 는 프런저 로드 (23b)를 소정위치까지 신장시킨다. 프런저로드를 신장시켜서, 하부 승강프레임(21)상의 유압실린더(24)는 프런저로드(24b)를 신장시켜, 리시버(26)의 금속피팅(26a)의 표면상에 로드 (24b)의 선단부를 지지시킨다.
어어서, 상부 승강프레임(20)은 동일 조작에 의하여 하방으로 이동되고, 이것에 의하여, 스테이지 본체 (18)를 타워마스트(A) 의 하부위치로 이동시킨다.
제20도 내지 제26도를 참조하여 붐 (C), 벨트컨베이어 (G) ,트립퍼장치 (H)등을 설명한다.
여기서 타워마스트(A) 상에 설치되는 리프트 (B) 의 일부를 구성하는 스테이지 본체 (18)는 그의 한쪽에 붐(C)이 갖추어져 있는 동시에 다른 쪽에, 카운터 웨이트 (27)와 붐(C)을 지지하는 붐 지지윈치 (29)가 제공된다. 붐 지지 윈치(29)는 와이어로프(30)를, 타워마스트(A) 상부상의 가이드시브(31,31..)를 통과시키고, 붐(C)의 선단측상의 가이드 시브 (32)를 회전 가능하도록 붐 (C)을 지지한다.
29a는 붐 지지윈치 (29)의 감기드럼을, 29b 는 모터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구조를 갖는 리프트(B), 즉 본 도시예에 있어서는 스테이지 본체 (18)에 붐 (C) 이 부착된다.
리프트 (B)를 구성하는 스테이지(18)에 붐 (C)를 설치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이하의 부착방법이 사용된다.
붐 (C)은 근원측 붐 (C')과, 이 근원측 붐(C')에 조립된 선단측붐 (C)으로 구성된다.
근원측 붐(C)은 스테이지 본체 (18)즉, 리프트(B)상에 부착된 붐회전장치(33)의 회전테이블 (33a)에 설치된다.근원측 붐은 축(34)을 사용하여 상하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근원측 붐은 상기 붐지지 윈치(29)에 의하여 조작된다.
붐회전장치(33)는 스테이지 본체(18) 즉, 리프트(B)상에 제공된 턴테이블 지지부(33c) 상에 턴테이블(33a)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베어링(33b)을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붐회전장치(33)는 턴테이블(33a)의 원주면상에 제공된 기어(33d)가 턴테이블 지지부(33c)상에 제공된 모터(33e)의 기어(33f)와 맞물려져 있고, 이 회전장치(33)의 턴테이블(33a), 더우기는 이것에 부착되어 있는 근원측 붐(C')이 대략 수평방향으로 선회운동 가능한 좌우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20도 참조).
근원측 붐(C')은 가이드 시브(32)가 제공된 선단을 가지며, 붐 지지윈치(29)로 지지된다. 근원측 붐은 선단측 붐(C'')의 슬라이드 수단 (35)이 제공된 하부를 갖는다.
선단측 붐(C'')용 슬라이드 수단(35)은 하면을 개방시킨 신장된 홈상 프레임으로서 구성된다. 프레임은 가로방향의 하방으로 신장된 측판을 가지며, 이 측판은 안쪽으로 벤딩하여, 서로 마주보는 U 형상의 오목부를 형성한다. 이것에 의하여 슬라이드 수단(35)은 길이방향에 걸쳐서 가로방향의 반대측 내부가 서로 마주보는 한쌍의 슬라이드 홈(35a, 35a)을 갖는다. 선단측 붐(C'')은 슬라이드 수단(35), 특히, 슬라이드 홈 (35a) 에 좌우신장 가능하게 조립되고, 선단측붐(C)은 개구 (35 b) 로부터 외부로 신장된 하부,특히 점검 플랫폼(36)을 갖는다.
이 근원측 붐(C')상에 제공된 슬라이드 수단(35)에 조립되는 선단측붐(C)은 가이드 돌출부 (37)를 그의 양측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슬라이드 홈 (35,35)에 부드럽게 설치되도록 설치시킨다.가이드 돌출부(37)를 안내하기 위해, 그 선단측 붐(C)은 근원측 붐(C')의 슬라이드 홈 (35,35)쪽으로 미끄럼 가능하게 삽입된다.
도면중 38은 슬라이드 슈주를 표시하고, 39는 근원측 붐(C')상에 설치한 보강리브를 도시하고 있다. (제25도 참조).
선단측 붐(C)은 슬라이드 수단 (35)으로부터의 다음과 같이 신장 및 수축된다. 선단측 붐(C)의 기부측 (43)에 일단(42a)을 멈추게한 롤러체인 (42)은 상기 근원측 붐 (C')상 설치되고 근원측 붐(C')상 설치된 모터 (40)에 의해 구동하는 스프로겟(41)주위를 통과한다. 근원측 붐(C')의 선단측의 내측상에 설치한 스프로켓(44)에 롤러체인은 통가하고 롤러 체인(42)의 타단(42b)을 그 선단측 붐(C)의 기부측(43)에 고정시킨다. 상기 모터(40)에 의해 롤러체인을 구동함으로써 선단측 붐(C)은 근원측 붐(C')의 슬라이드 수단(35)으로부터 신장되고 이 슬라이드 수단(35)쪽으로 수축될 수 있다(제21도 참조).
상기 구조를 갖는 붐(C)에 벨트컨베이어(G)가 제공된다. 이 붐(C) 에 제공된 벨트컨베이어(G) 는 근원측 붐 (C')에 제공된 제1의 벨트 컨베이어(G')와 선단측 붐(C')에 제공된 제2의 벨트컨베이어(G)로 구성된다. 슈트(70)에서 공급되는 생콘크리트 (F) 는 슈트(70)의 아래쪽에 위치한 벨트 컨베이어(28)를 통하여 제1의 벨트컨베이어(G')상에 수용되어 가로방향으로 그 생콘크리트(F)를 이송한다. 이것을 제2의 벨트 컨베이어(G)에 운반된다.
상세히 보면, 제1의 벨트컨베이어(G')는 근원측 붐(C')상에 있어서, 상기 신축 붐(C)이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슬라이드 수단(35)윗쪽에 주행되도록 구성된다.근원측 붐(C') 의 선단측에 컨베이어 벨트(45)의 구동폴리 (46)를 설치시킨다. 컨베이어 벨트(45)는 엔드레스식으로 풀리 주위를 통과하고, 모터 (48)를 사용하여 이것을 구동한다. 슬라이드 수단(35)에 부착한 선단측 붐( C)에 제2의 벨트 컨베이어(G) 가 제공된다.
제2의 벨트컨베이어(G)는 따라서, 선단측 붐( C)의 기부측 (43)에 있는 구동 풀리 (49)를 상기 제1의 벨트컨베이어(G')의 컨베이어 벨트 (45)하방에 위치시킨다. 이 선단측 붐(C) 의 선단측에 제공된 구동풀리 (50)사이에 컨베이어 벨트(51)가 끝없이 팽팽하게된다. 컨베이어 벨트(51)는 선단측붐 (C)의 선단측에 제공된 모터(52)에 의하여 구동된다.
근원측 붐( C') 및 선단측 붐(C)상에 제공된 제1 및 제2의 벨트컨베이어(G',G)는 생콘크리이트(F)를 이송하는데 편리한 방법, 예컨대 트라프배열의 롤러(53)가 편탄한 배열의 복귀롤러 (54)상에 위치하도록 하는 방법으로 설치된다.
슈트(70)의 하방과, 상기 슈트와 벨트 컨베이어 (G)와의 사이에, 가로방향으로 생콘크리트(F)를 이송하고 비교적 짧은 벨트컨베이어(28,28)가 설치된다. 각각의 슈트(70,70)에서 공급되는 생콘크리트(F) 는 슈트(70,70)의 대략 중앙부분에 설치되는 상기 근원측 붐(C') 상의 벨트 컨베이어(G')에 안내된다.
각 벨트컨베이어(G',G)상에 제23도 내지 제2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트립퍼장치 (H)를 설치시킨다. 컨베이어 벨트(45,51)상의 임의의 소정위치에 있는 트립퍼장치(H)의 슈트(55)를 통해서 운반생콘크리트(F)를 콘크리트 타설장소에 공급되거나 또는 벨트컨베이어 (G')로부터 벨트컨베이어(G)에 공급된다.
여기서 사용되는 트립퍼장치로서, 본 실시예에 따른 트립퍼장치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제1의 벨트 컨베이어(G')와 제2의 벨트 컨베이어 (G)상에 제공된 트립퍼장치(H)는 각각의 컨베이어 벨트(45,51)가 생콘크리트(F)를 이 장치위에 운반시킨 측면의 S형상으로 굴곡된 트립퍼 풀리 (56,56)를 포함하고, 슈트(55)는 벨트 컨베이어의 S형상의 굴곡부의 하방에 설치되며, 각 벨트 컨베이어(G',G)상에 운반된 생콘크리트(F)가 슈트(55)를 통하여 벨트컨베이어(G'G)의 측방 또는 전방으로 향하도록 구성된다.
각 트립퍼장치(H,H)는 경사 안내면(57)과 이동수단으로서의 트럭(58)이 제공된 주행프레임(59)을 포함한다. 경사 안내면(57)의 프레임 사이에 롤러(60,60...)를 설치시킨다. 벨트 컨베이어(G',G)상에 이동하는 컨베이어 벨트(45,51)는 이 롤러 (60,60...)상에 안내되고, 경사면 상부에서 하향하여 S형상으로 굴곡함으로써, 슈트(55)를 수용하는 공간과, 각 벨트 컨베이어(G',G)상의 벨트(45,51)를 복귀시킨다.
도시예에 있어서, 벨트컨베이어(G), 특히, 제1의 벨트컨베이어 (G')상에 설치된 트립퍼장치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제1의 벨트컨베이어(G')상에 설치된 트립퍼장치(H)에 있어서는 슈트(55)를 구성하는 원통 부재는 바닥면의 일부를 개구 (55a) 로 형성시킨다. 이 개구 (55a)를 막는 덮개판(55c)과, 슈트(55)의 원통부재 내부의 슈트(55)내부를 칸막이 하는 차폐판 (45b)이 개폐 가능 하게 슈트상에 제공된다.
상기 구조를 갖는 트립퍼장치 (H)는 선단(C)상에 설치될 수 있다.
트립퍼장치 (H)는 상기 구조를 가지므로, 벨트컨베이어(G)에 의해 이송되는 생콘크리트( F)는 슈트(55)의 선단측 또는 어느 하나의 개구(55a )로부터 선단측 붐(C)의 벨트컨베이어(G)에 또는 콘크리트의 타설면에 선택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제25도에 있어서, 트립퍼장치(H)를 이해하기 쉽도록 도시한 것이다. 차폐판(55b) 은 하방 선회운동할 수 있어서, 슈트(55)의 내부공간을 대략 수직으로 간막이 할 수가 있어, 이것에 의하여 , 생콘크리트 (F)가 슈트(55)의 배출단부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부가하여 덮개판(55c)을 개방함으로써 생콘크리트(F)를 트핍퍼장치(H)의 앞쪽의 개구 (55)로 꺼내질 수 있다.
한편, 제25도의 가상선에 의해 덮개판(55c) 과 차폐판을 나타낸 경우, 덮개판(55c)이 개구(55a)를 막는 위치로 회전되고, 차폐판(55b)이 슈트(55)의 상벽면에 밀착하도록 회전되어, 원통형상의 슈트(55)를 통해 생콘크리트(F)를 통과시키는 경우, 생콘크리트(F) 는 트립퍼장치(H)의 측방으로 꺼내질 수 있다.
벨트컨베이어(G',G)에 운반된 생콘크리트(F)가 타설위치가 이동시 위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트립퍼장치 (H)는 레일(61,61)상에서 트럭(58)의 차륜(58a)이 이동할 수 있으며, 그리고, 이 차륜(58a)이 감속기 부착 모터(62)에 의하여 구동되고 부가의 컨트롤 수단에 의하여 트립퍼장치( H)의 이동과 위치 결정이 제어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배치에 있어서, 제1의 벨트컨베이어(G')상에 제공된 트립퍼장치는 붐(C')의 전단측에 설치되어서, 생콘크리트(F)를 선단측 붐(C)의 벨트컨베이어(G)에 공급될 수 있는 동시에 붐(C')을 이동하면서 벨트컨베이어( G')의 측방으로 생콘크리트(F)를 꺼낼수 있다.
제2의 벨트컨베이어( G)상에 제공된 트립퍼장치 (H)는 선단측붐(C)을 이동시키면서 벨트컨베이어(G)로부터 측방으로 생콘크리트 (F)를 꺼낼 수 있다.
제2의 벨트컨베이어(G)상에 제공된 트립퍼장치(H)는 선단측 붐(C)의 선단상에 제공되어 붐(C)을 신장하면서 벨트컨베이어(G)의 선단측으로부터 생콘크리트(F)를 꺼낼 수 있다.
트립퍼장치(H)는 근원측 붐(C)상에만 제공될 수 있다.
트립퍼장치(H)의 트럭 (68)을 이동 및 위치결정시키는 것은 모터 (62)에 의해 트럭을 이동 및 위치결정 시키는 것 대신에 윈치의 와이어로프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
벨트컨베이어(G)를 붐(C)상에 설치시킨 타워마스트(A)의 공간(4)으로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 는 승강용 위치(63) 및 가이드 시브(64,64)를 사용하여 와이어 로프 (65)에 의하여 현가되고, 캐리어는 공간(4)으로 승강 가능하게 이동될 수 있다.
컨테이너 형상케리어(D) 의 승강조작은 각종의 승강수단을 사용하여 행해질 수 있다.
본 도시예에 있어서는 윈치가 사용된다. 스테이지 본체 (18)상에 제공된 모터 (66)에 의하여 회전되는 감기드럼(67)주위를 통과하는 와이어 로프(65)는 단부가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를 잡아매도록 하고, 와이어 로프(65)는 각 사이드 시브(64,64)에 의하여 상기 타워마스트 (A)의 공간(4)의 상부로 안내되어서,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 가 매끄럽게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현가된다.
또한 도면에 있어서 68은 전자브레이크를, 69는 감속기를 도시하고 있다.
제27도 내지 제29도는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의 제1의 승강수단을 도시한 것이다.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는 2개의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D)가 타워마스트(A) 의 공간(4)으로 나란이 되도록 설치된다. 한쪽의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는 감기드럼(67)상에 감긴 와이어로프(65a) 하방측으로부터 잡아매지고 다른 쪽의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는 감기드럼(67)상에 감긴 와이어 로프(65b) 상단측으로부터 잡아매진다.
이 결과, 모터(66)에 의하여 감기드럼(67)을 회전할 때에, 어느것인가 한쪽의 컨테이너 형상캐리어(D)가 상승하여, 동시에 딴쪽의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 (D) 가 하강하게 되어, 컨테이너 형상캐리어(D)의 승강조작에시 모터(66)에 부하가 가해지는 것을 적게한다.
또한, 여기에 있어서, 타워마스트(A)의 공간(4)이 승강되는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D) 의 한쪽이 투입호퍼(71)로부터 생콘크리트(F)를 수용하는 최하점을 취할 때, 다른 쪽의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 는 슈트(70)에서 벨트컨베이어(G)쪽으로 생콘크리트 (F)를 벨트컨베이어(28)를 통하여 정량적으로 공급하는 최고점을 차지함으로써, 캐리어가 슈트(80)와 투입호퍼(71)사이를 타이밍 좋게 교대로 승강하는 구성을 띤다.
제30 도 및 제31도에 있어서,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의 제2실시예의 승강수단을 도시한 것이다. 타워마스트(A) 의 공간(4,4)에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 (D,D)를 매달린 상태로 설치하고, 이 각각의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D)는 독립적으로 승강 조작하는 승강용윈치 (63)를 포함한다. 아측면으로부터 각 감기드럼(67)상에 감기 와이어로프 (65)는 한쪽을 와이어로프(65a)로 사용하여 카운터웨이트 (102)를 형가시키고, 나머지 와이어 로프(65b), 즉 하측면으로부터 감기드럼상에 감긴 와이어로프(65b)에 의해 상기 컨테이너 형상캐리어(D)를 현가시킨다.
또한, 이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 (D)에 있어서, 제2 실시예의 승강수단은 카운터 웨이트 (102)를 사용한 것 이외에 상기 제27도 내지 제29도에 도시되는 제1 실시예의 승강수단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제1의 승강수단과 동일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부분은 동일 번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산다.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로부터 생콘크리트(F)를 벨트컨베니어 (28)를 통하여 벨트컨베이어(G)에 공급하는 슈트(70)는 이 컨테이너 형상캐리어(D)가 공간 (4)을 통과할 때 기립상태로 토크 액튜에이터 (70b)에 의하여 축(70a) 주위를 회전운동할 때, 이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가 슈트 (70)를 통과하여 슈트(70)상방에 위치된 때에 슈트(70)는 슈트 (70)의 상면개구가 그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의 배출구(72)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톨크액튜에이터(70b)에 의하여 회전운동되며, 상기 구조를 갖는 슈트(70)가 상기 2개의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의 배출구(72,72)의 하방에 제공되고, 상기 스테이지 본체(18)상에 기립하여 제공된 스테이지 포스트부(18A) 상에 설치되어, 상기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 의 승강동작에 따라 기립 또는 경사지는 구조가 된다.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가 이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 본체 (73)를 현가 테이블 (74)상에 놓이도록 하고 이 현가 테이블 (74)을 상기 승강용윈치(63)를 사용하여 승강 조작되거나 또는 직접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 본체 (73)가 승강용윈치(63)를 사용하여 직접 승강조작될 수 있는 방식으로 조작될 수 있다.
현가 테이블 (74)은 타워마스트(A) 의 메인 마스트(3a,3a)와, 보조 포스트 (3b) 및 크로스 레버 (3c)에 의하여 구성되는 각 공간 (4,4)내에 수납될 수 있으며, 대략 4각형을 이룬 프레임대 (74a) 의 양측의 대략 중앙부분에 한쌍의 마스트(74b)를 설치시키고 동시에 이 마스트 (74b)의 상단을 향하여, 각각의 측 가장자리로부터 보강프레임(74c)을 경사로 설치하고, 또한, 이 마스트(74b,74b)상단은 가로레버 (74d)로 연결되며, 또한 이 마스트(74b)의 상단에 상기 와이어로프 (65)를 고정부착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현가 테이블 (74)의 상기 마스트(74b)의 외측에 슬라이드 가이드(90)를 설치하고 이 슬라이드 가이드 (90)에 타워마스트(A) 의 상하방향으로 설치한 가이드레일(89)은 슬라이드 슈즈 (91)를 설치시켜서 그 현가 테이블(74)이 공간 (4)내에 매끄럽게 승강할 수 있는 구조가 된다.(제19도 참조).
컨테이너 형상 캐리러(D)를 구성하는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 본체(73)는 생콘크리트(F)를 연속하여 정량적으로 송출하는 공급수단(E) 이 제공된 하부측을 갖는 생콘크리트 (F)용 컨테이너(73a)를 갖는 구조이다. 상기 공급수단(E)을 갖는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 는 추후에 설명하는 다른 실시예에 관한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 특히 공급수단(E) 이 없는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b) 와 구별하기 위해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 (Da)로서 도시된다.
제32도는 생콘크리트 (F)를 연속하여 정량적으로 송출하는 공급수단(E) 으로서 스크류 피이더 (75)가 제공된 컨테이너 (73a)를 갖는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 본체 (73)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a) 중하나를 표시한다.
생콘크리트 (F)를 연속하여 정량적으로 공급하는 형태의 공급수단(E)으로서의 스크류피이더 (75)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a)에 있어서 그의 배출구 (72)로부터 생콘크리트(F)가 스크류피이더(75)에 의해서 정량적으로 또한 연속하여 꺼낼 수 있도록 스크류피이더(75)에 의한 송출량이 설정된다.
스크류피이더(75)는 당해 생콘크리트(F)를 정량적 또한 연속하여 공급하는 데에 적합한 구조를 가지며, 컨테이너 (73a) 의 하부에 연속적인 공급용의 스크류 (75a)를 포함한다 스크류(75a)는 생콘크리트 (F)의 송출 전방측을 원통형상부 (75h) 내에 수납시킨다. 원통형상부 (75h)의 내주면은 스크류 (75a)에 의하여 컨테이너(73a) 내에 있는 생콘크리트 (F)를, 스크류(75a)를 회전하는 것으로 정량적으로 연속하여 이 원통형상부(45h)에 설치한 배출구 꺼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원통형상부 (75h)이 내주면은 그 스크류 (75a)를, 컨테이너(73a) 내에 있는 생콘크리트(F)를 스크류(75a)를 회전함으로써 정량적으로 연속하여 원통형상부 (75h)에 형성된 배출구(72)에서 꺼낼 수 있도록 구성된다.
75b 는 이 스크류 (75a)의 샤프트 (76e)를 수용하는 트러스트 베어링을, 75d 는 그 샤프트 75 (c) 에 제공된 스프로켓을, 75e 는 모터(75f)의 스프로켓 (75g)에 의하여 스프로켓(75d) 에 토크를 전달하는 체인을 도시하고 있다.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a)에 제공된 생콘크리트(F)를 연속하여 정량적으로 꺼내는 타이프의 공급수단(E)은 상기 스크류피이더(75)에 특정되는 것이 아니고,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 (Da)에서 벨트컨베이어(G)쪽으로 생콘크리트(F)를 정량적으로 연속하여 공급할 수 있는 구조를 갖거나, 또는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a)에서 벨트컨베이어 (G) 쪽으로 생콘크리트(F)를 정량적으로 구분하면서 공급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에 생콘크리트(F)를 공급하는 것은 예컨대, 타워마스트(A)의 측방에 설치한 설치한 컨베이어 스테이지 (76)로부터 공급되는 생콘크리트(F)를 벨트컨베이어(77)에 의해 투입호퍼 (71)에 공급되고, 이 투입호퍼(71)에 공급된 생콘크리트 (F) 는 타워마스트(A) 의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 에 공급되는 방식으로 행해진다.
생콘크리트(F) 의 공급에 있어서, 투입호퍼 (71)는 가이드수단(79)에 의해 타워마스트(A)로부터 마스트 (프레임) (3)의 내부의 공간 (4) 으로 인도되도록 구성된다. 각각의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가 이 투입호퍼 (71)를 인도하는 위치를 통과하여 공간(4)의 하방으로 이동된 경우, 이 투입호퍼(71)는 가이드수단 (79)을 이용하여 공간(4)내에 도입되어 투입호퍼(71)의 바로 아래에 위치되고, 생콘크리트(F)는 투입호퍼 (71)에서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로 공급된다.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로 생콘크리트(F)를 공급한 투입호퍼 (71)는 상기 가이드 수단 (79)에 의해 안내된 타워마스트(A) 의 공간(4)쪽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도출되어 윈치 (63)에 의해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 (D) 으 승강조작이 방해되지 않도록 한다.
투입호퍼(71)는 개폐수단(78)을 갖는다. 상기 2개의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에 대응한 2조의 투입호퍼(71,71)가 제공된다. 한 쪽 호퍼는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 (D)에 생콘크리트 (F)를 공급하는 동안에, 다른 쪽의 트입호퍼(71)는 벨트컨베이어 (77)로부터 생콘크리트 (F)를 수용한다.
벨트컨베이어(77)로부터 생콘크리트(F)의 공급을 받는 투입호퍼 (71)는 예컨대 제35도 및 제3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컨베이어 (77)를 갖는 가대 (105)에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대략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가대(105)는 가이드 수단 (79)을 갖도록 제공된다.
미끄러져 움직이는 프레임(104)은 가대 (105) 상에 가이드 수단 (70)을 따라서 회전하는 한쌍의 안내륜(104a)을 가지며, 가이드 수단 (79)을 갖는 가대 (105)쪽으로 접동 프레임 (104)이 인입되거나, 또는 가이드 수단(79)을 갖는 가대 (105)로부터 인출될 수 있는 구조를 띤다.
미끄러져 움직이는 프레임(104)의 가대 (105)로부터의 신당 및 수축조작은 예컨대 이 미끄러져 움직이는 프레임(104)상에 제공된 윈치수단 (103)에 의하여 행해진다.
윈치수단 (103)에 있어서, 감속기 (103b)를 제공된 모터(103a) 에 의하여 구동되는 감기 드럼 (103c) 상에 감긴 와이어로프 (103d)의 일단측을 상기 미끄러져 움직이는 프레임 (104)의 선단측에 고정되며 타단측은 미끄러져 움직이는 프레임(104)의 후단측 즉, 가대 (105)에 대한 미끄러져 움직이는 프레임 (104)의 설치면에 고정된다. 미끄러져 움직이는 프레임(104)상에 설치된 투입호퍼(71)는 가대 (105)의 벨트컨베이어(77)의 하방, 특히, 컨베이어 벨트에서 공급되는 생콘크리트(F)를 수용하는 위치로 끌어당길 수 있고, 생콘크리트(F)가 충전된 투입호퍼 (71)는 타워마스트(A) 의 공간내, 특히,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 의 상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벨트컨베이어(77)는 가대 (105)의 상부측에 설치되며, 이 가대 (105)의 하방의 가이드 수단 (79)을 따라서 미끄러져 움직이는 투입호퍼 (71)의 미끄럼운동을 회피시킨다. 타워마스트(A) 의 하방에 있어서 병렬설치된 한쌍의 공간(4,4)에 제공된 한쌍의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 에 대하여 개별로 생콘크리트(F)를 공급될 수 있도록, 그 벨트 커베이어 및 이것에 대응하는 생콘크리트(F)용 투입호퍼(71)가 제공된 한쌍의 장치가 설치된다.
도면중,77a 는 상기 벨트컨베이어(77)의 컨베이어 벨트를, 77b 는 그 벨트컨베이어 (77a) 의 구동모터를 도시하고 있다.
또 도면중, 101은 타워마스트(A)에 승강이 가능하게 제공된 점검용의 곤드러(gondola)를 도시하고 있다.
(2) 제2실시예에 따를 생콘크리트 운반장치.
제37 도 내지 제44도는 제2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생콘크리트 운반장치를 표시하고 있다.
제2실시예에 따른 생콘크리트 운반장치는 타워마스트(A)와, 이 타워마스트(A)에 승강 가능하게 제공된 리프트(B)와, 이 리프트(B)에 선회 가능하게 제공된 붐(C)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타워마스트(A) 는 생콘크리트(F)의 운반에 사용되는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가 승강 가능하게 제공된다.
상기 붐(C)은 상기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 로부터 직접 또는 부가 제공된 운반수단을 통하여 공급되는 생콘크리트(F)의 운반용 벨트컨베이어(G)가 설치된다.
붐(C)은 상기 벨트컨베이어(G)에 의하여 운반되는 생콘크리트 (F)를 벨트컨베이어(G)의 선단 또는 벨트 컨베이어(G) 상의 위치에서 꺼내는 트립퍼장치 (H)가 제공된다.
상기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는 이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에 의하여 운반되는 생콘크리트(F)를 연속하여 정량적으로 송출하는 공급수단(E)이 제공되며, 상기 벨트컨베이어(G)상에 연속하여 정량적으로 생콘크리트(F)를 공급할 수 있다.
본 제2실시예에 따른 생콘크리트 운반장치에 있어서, 타워마스트 (A)는 회전축선으로서의 수직 축선을 회전 가능하게 세워 설치된다.
제2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생콘크리트 운반장치는 붐(C)이 근원측 붐(C)만을 포함하고, 이 근원측 붐 (c) 에 호이스트(80)등의 크레인 수단 (J)이 제공되며, 타워마스트(A)는 회전테이블(2)등의 선회수단을 통하여 직접 고정되고, 컨베이어 스테이지 (76)를 설치하지 않고 투입호퍼 (71)에 직접 콘크리트 믹서차 (81) 에 의하여 생콘크리트(F)가 공급되며, 또한 점검 스테이지 (82)가 설치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1실시예에 따른 생콘크리트 운반장치에 있어서의 구성과 동일하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상기 제1 실시예에 따른 생콘크리트 운반장치에 있어서의 구성과 동일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부분, 동일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나타내는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의 번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2실시예에 제공된 크레인 수단 (J) 으로서의 호이스트(80)는 근원측 붐(C')의 길이방향의 양측에서 하향 신장된 새들(saddle)로서의 보강 트러스(83,83)를 사용한다. 서로 대향하는 보강 트러스 (83',83) 의 내측에 레일 (84,84)을 설치시키고 이 레일 (84,84)상에 호이스트 (80)가 주행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도면에 있어서, 80a 는 호리스트 본체부를, 80b는 레일 (84)상을 주행하는 차륜을, 80c 는 호이스트 본체부 (80a)를 이동하는 수단으로서의 모터를, 80 d 는 감기드럼(80e)의 모터를, 80f 는 모터(80e)의 감속기를, 80g는 훅(80h)으로 와이어로프 (80f)를 조작할 수 있는 모터용 브리이크를 지시한다.
작업용 스테이지 (82)는 상기 보조 스테이지 (19)가 제공된 크리이맹 수단으로서의 하부 승강프레임(21)상에 하향 설치된 지지레버 (85)를 사용하고, 상기 크라이밍 수단에 의하여 숭강프레임 (21)의 승강동작과 일체로 되어서 타워마스트(A)를 승강하도록 구성된다.
제2실시예에 있어서, 리프트(B)는 더욱이 작업영 스테이지 (820가 제공되고 이것이 일체로 되어서 리프트(B) 는 타워마스트 (A)를 승강시킨다.
타워마스트 (A)상에 제공된 작업영 스테이지 (82)는 스테이지 본체(18)와 대략 동일한 방법으로 승강프레임(21)과 동시에 타워마스트 (A)에 대하여 승강할 수 있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작업 스테이지는 이 작업 스테이지에 형성된 개구 (22)를 타워마스트(A)FP 설치시켜서 타워마스트가 외향으로 맞물리도록 하고, 또한 개구 (22)에 삽입된 마스트 프렝임(3), 특히 메인 마스트 (3a)에 제공된 가이드레일이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내장되는 슬라이드 가이드가 제1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공된다.
투입호퍼(71)로 생콘크리트(F)를 공급하는 것은 콘크리트 믹서차(81)로부터 직접 공급될 수 있도록 행해질 수 있으며 타워마스트(A) 에 직접 콘크리트 믹서차(81)의 진입로 (86)가 제공된다.
상세히 말해서, 콘트리트 믹서차 (81)의 진입로 (86)와, 타워 마스트 (A)쪽으로 신장된 가이드 프레임(106), 특히 마스트 프레임 (3) 이 제공 된다. 가이드 프레임(106)은 이 가이드 프레임 (106)에 대하여 미끄럼운동 가능하도록 조립된다. 각각의 가이드 프레임(107)은 이 가이드 프레임 (106)의 한쌍의 안내차륜(107a,107a)을 조립시켜 U 형상으로 서로가 대향하는 안내프레임의 홈 (106a)인, 가이드를 갖도록 한다.
가이드 프레임 (107)은 이 가이드 프레임 (106)상에 설치된 조작윈치수단(108)에 의하여 이 가이드 프레임 (106)을 따라 이동되고 , 또한 감속기 (108b)를 구비한 모터(108a)에 의해 회전되는 감기드럼(108c) 에 감긴 와이어로프(108d)는 그 일단을 가이드 프레임 (107)의 일단측에 고정시키고 타단을 가이드 프레임 (107)의 타단측에 각각 고정시켜 가이드 프레임 (106)을 따라서 슬라이딩 프레임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조를 갖는 가이드 프레임(107)각각은 투입호퍼 (71)가 제공되고 콘크리트 믹서차(81) 용 생콘크리트(F)를 언제라도 타워 마스트 (A)상에 제공되도록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 (Da)에 공급될 수 있는 구조를 나타낸다.
상기 구조를 가지면서 제37도 내지 제44도에 도시되는 제2실시예에 따른 생콘크리트 운반장치는 타워마스트(A) 의 선회방법 및 구조,각 리프트(B) 의 승강방법 및 구조, 붐(C) 의 선회방법 및 구조 ,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의 승강방법 및 구조,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a)로부터 생콘크리트 (F)를 정량 공급하는 수단으로서의 공급수단(E)의 기능 및 구조,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에서 슈트 (70)를 사용하는 벨트 컨베이어 (G)까지 생콘크리트(F)를 공급하는 방법 및 구조, 벨트컨베이어(G)에 의한 생콘크리트 (F)의 이송방법 및 구조, 벨트컨베이어 (G) 로부터 생콘크리트(F)를 슈트 (FF)에 송출하는 트립퍼장치(H)의 구조 등의 장치의 조작방법 및 구조에 대하여 제5도 내지 제36도에 도시되는 제1실시예에 따른 생콘크리트 운반장치와 동일하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생콘크리트(F) 의 운반장치상의 작업용 점검스테이지 (82)와 크레인 수단(J)의 준비가 상기 생콘크리트(F)의 타설과 동시에 타설에 필요한 각종 기계와 재료를 운반할 수 있어서, 스트림라이닝 (streamlining), 예를들어 댐 건축 등의 보다 합리화를 달성할 수 있다.
생콘크리트(F)의 운반장치는 굴뚝 또는 교각 등의 콘크리트 타설시 하나씩 발판을 조립할 필요가 없고, 타설형틀 등의 운반과 형틀시공 및 형특제거 등의 일련의 작업이 발판없이 수행될 수 있는 특징을 제공한다.
(3) 제3 실시예에 따른 생콘크리트 운반장치
제45도 내지 제61도는 제3실시예에 따른 생콘크리트 운반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제3실시예에 따른 생콘크리트 운반장치는 타워마스트(A)와, 이 타워마스트(A)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리프트(B)와, 이 리프트(B)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된 2개의 붐(C)으로 구성된 붐(C)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타워마스프(A)는 생콘크리트(F)의 운반에 사용되는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가 제공된다.
상기의 근원측 붐(C')과 신장 및 수축 가능하게 설치된 선단측 붐(C)으로 이루어진 붐(C)에는 상기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로부터 직접 또는 부가 설치된 운반수단을 통하여 공급되는 생콘크리트(F)의 운반용 벨트 컨베이어(G)가 제공된다. 벨트컨베이어(G)는 연결된 벨트컨베이어에 의해 구성된다.
붐(C)에는 구붐(C)에 제공된 벨트컨베이어(G)의 선단, 또는 벨트컨베이어의 일부로부터 운반생콘크리트(F)를 꺼내는 트립퍼장치 (H)가 제공된다.
상기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 에는 이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에 의하여, 운반되는 생콘트리트 (F)를 상기 운반용 벨트컨베이어(G)에 대하여 직접 또는 부가 제공된 운반수단을 통하여 연속하여 정량적으로 송출하는 공급수단 (E)이 제공된다.
제3실시예에 따른 생콘크리트 운반장치에 있어서, 타워마스트(A)는 회전축선으로서 그의 수직축선을 이용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세워 설치된다.
제3실시예에 따른 생콘크리트 운반장치에 있어서, 타워마스트(A)가 레일 (17)을 따라서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제3실시예에 따른 생콘크리트 운반장치는 붐(C)이 수평방향으로만 선회 가능하게 제공되고, 이붐(C)은 붐 지지프레임 (109)에 의하여 리프트(B) 에 연결되며, 생콘크리트(F)를 연속하여 정량적으로 송출하는 공급수단(E)이 제공된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는 타워마스트(A)쪽으로 유입되어 여기로부터 생콘크리트(F)가 될 수 있고, 또한 승강 캐리어(K)는 승강 캐리어(K)로서 현가 프레임 테이블 (87)에 의하여 타워마스트(A) 내로 승강 가능하게 될 수 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1 실시예에 따른 생콘크리트 운반장치에 있어서의 구성과 동일하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또 여기서 구성되는 각 부의 동작, 및 각 부의 나타내는 기능은, 상기 제1실시예에 따른 생콘크리트 운반장치와 동일하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상기 제1실시예에 따른 생콘크리트 운반장치와 동일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가지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는 상기 이유로 인해 동일의 번호를 부여하여 그의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에 있어서 구성되는 생콘크리트 운반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5도 내지 제36도에 표시되는 제1실시예에 따른 생콘크리트 운반장치와 마찬가지로 타워 (A)는 선회 가능하고 또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승강본체부(B)는 타워마스트(A)에 제1실시예에 따른 생콘크리트 운반장치와 동일하게 소망의 높이로 승강조절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리프트(B)상에 설치된 붐 (C)은 상기 제1실시예에 따른 생콘크리트의 운반장치와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신축되는 선단측 붐(C)이 제공된 근원측 붐(C')을 가지며, 또한,붐(C)이 제1 실시예에 따른 생콘크리트 운반장치와 동일한 회전장치 (33)에 의하여 선회 가능하도록 리프트(B)상에 설치된다.
제3실시예에 따른 생콘크리트 운반장치에 있어서, 붐(C)의 지지수단은 윈치 (29) 에 의한 와이어로프 (30)의 조작에 의함이 없이 붐 지지프레임 (109)으로 구성된다.
상세히 말해서, 상기 제1실시예에 따른 생콘크리트 운반장치와 동일한 축(34)에 의해여 그의 기부측이 상기 리프트(B)에 지지시키는 붐(C)은 이 붐(C) 특히 근원측 붐(C')의 선단측을 붐 지지프레임 (109)에 의하여 현가되도록 구성된다.
리프트(B)의 윗쪽에 위치한 지지 프레임 (110)은 리프트(B)와 함께 승강되며, 리프트(B)의 일부를 구성하며, 타워마스트(A)의 마스트프레임(3,3) 에 밖에서부터 맞물리도록 설치된다. 리프트(B)를 구성하는 지지 프레임(110)과 붐(C), 특히, 근원측 붐 (C')의 전단부는 붐 지지프레임(109) 으로 연결되어, 붐(C) 은 지지프레임 (109)에 의해 현가되어 유지한다.
지지 프레임(110)은 평면형상에 대략 4 각형인 프레임 몸체로서 구성된다. 상기 타워마스트(A)의 마스트프레임(3)의 외면상에 설치된 가이드프레임(92)을 수납하는 슬라이드 가이드(93)는 지지 프레임 (110)의 내면상에 설치되며,지지프레임이 타워마스트(A)를 따라 상기 리프트(B)와 함께 승강될 있어서, 마스트프레임(3)의 가이드 레일 (92)에 의해 안내된다.
지지 프레임(110)은 리프트(B)특히, 스테이지 본체 (18)의 스테이지 포스트부 (18A) 에 폴 (111)에 의하여 연결되어 리프트(B)를 형성한다. 리프트(B)는 지지프레임 (112)과 평행한 방향으로 신장되도록 제공되고 붐 지지프레임(109)은 선단을 근원측 붐(C)의 선단측을 지지하도록 한다.
붐 지지프레임(109)은 상기 붐(C)함께 선회 가능하도록 지지 프레임 (110) 상에 설치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 있어서, 근원측 붐(C')의 비교적 기부측으로부터 스테이지 포스트부 (18A) 의 상부까지 신장하도록 설치한 보조프레임(113)과 상기 붐 지지프레임 (109)은 연결레버(114)로 연결되고, 보조 프레임과 붐 지지프레임은 그 지지 프레임 (110) 및 스테이지 포스트부 (18A)에 설치한 베어링 (115,115) 상세 선회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어서, 본 실시예에 사용되는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의 이송방볍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에 생콘크리트(F)를 공급하는 것은투립호퍼(71)를 사용하지 않고 행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의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는 상기의 승강용윈치(63)에 직접 현가되도록 구성되지 않는다. 승강용윈치 (63)에 현가된 현가 프레임(87)로부터 리프터 부착 전동구동차 (88)를 사용함으로써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을 놓고 꺼낼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된 현가 프레임 (87)는 타워마스트(A)의 마스트프레임(3,3...)에 의해 형성된 공간으로써 제공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한쌍의 공간(4,4)으로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현가 프레임(87)는 대략 2 등변 3각형상을 구성하도록 측 프레임 (87h)을 한쌍의 프레임부재 (87a')의 반대 단부로부터 기립시켜서 U형상으로 구성된 하부 프레임 몸체 (87a)를 형성하도록 한쌍의 프레임부재(87a',87a')는 서로 대향한다. 이 축 프레임은 상부를 일체로서의 프레임부재 (87a')의 실질상 중앙부로부터 직립되도록 설치된 포스트프레임 (87c)의 상부에 공정시킨다. 측 프레임의 상부는 상부빔(87d)에 의해 일체로 연결된다.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프레임부재(87a',87a')는 지지돌출부 (87e,87e...)를 서로 대향 돌출하도록 형성시킨다.
지지돌출부(87e)는 안내되는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에 대한 대략 원추 형상의 스토퍼(87f)가 설치된다.
상기 구조를 갖는 현가프레임 (87) 각각에 있어서, 양측에 있는 포스트 프레임(87c)은 상부를 상기 승강용윈치 (63)의 와이어로프(65)가 고정시키고 포스트 프레임(87c) 각각의 상하부상에 설치된 슬라이드 가이드 (90)의 홈은 상하방향으로 신장한 마스트프레임(3)의 내측상에 설치된 가이드레일 (89)을 내장한다.
도면 중 91 은 슬라이드 메탈을 도시하고 있다.
현가 프레임(87)가 수납하는 마스트 프레임 (3)은 장방형상으로 구분되는 4구석부분에 메인 마스트(3a,3a...)를 포함하고, 또한 장방형상의 긴변의 대략 중간부분에 보조 포스트(3b,3b)를 설치시킨다. 메인 마스트(3a,3a...) 와 포스트(3b,3b...)를 크로스 레버 (3c, 3c...) 로 함께 연결되어 한쌍의 현가 프레임(87,87)를 수납하는 공간 (4,4)이 형성된다.
타워마스트(A)를 구성하는 마스트프레임(3)의 메인 마스트(3a,3a...)는 가이드레일 (92)이 일체로 제공된 외면을 상하방향으로 신장시키고, 이 가이드레일(92)이 리프트(B)를 구성하는 스테이지 본체 (18), 보조스테이지(19), 작업스테이지(82) 및 각승강프레임 (20,21) 등이 설치된 슬라이드 가이드 (93)의 홈 내에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수납된다.
도면 중 94는 슬라이드 슈즈를 가리키고 있다.
마스트 프레임(3)의 하부에 리프터 부착 전동구동차 (88)의 출입할 수 있는 개구 (95,95)를 설치시키고 이 개구 (95)에 대하여 리프터 부착 전동구동차(88)를 이동 가능하도록 레일상에 설치되고, 리프터 부착 전동구동차 (88)는 이동 가능하도록 레일상에 설치된다.
리프터 부착 전동구동차(88)는 모터 구동 차륜 (88a)과 리프트(88b)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전동구동차(88)에 지지되는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는 정량공급 타이프의 공급수단(E)으로서 예컨대 스크류피이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실시예에 따른 생콘크리트 운반장치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a)가 되도록 구성된다.
상기구조를 갖는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a)는 리프터(88b)위에 놓이고, 또한 그 리프터(88b)를 사용하여 리프트업 상태로 하여, 상기 개구 (95)로부터 타워마스트( A)의 공간 (4) 내로 도입된다. 이후에 리프터 (88b)에 의한 리프트 업 상태를 해소하여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를 낮추엇 이것을 현가 프레임 (87)의 지지돌출부(87e,87e)상에 놓는다.
리프터 (88b)가 지지돌출부(87e)상에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a)를 지지하도록 강하되고, 지지돌출부 (87e)상의 스토퍼(87f)는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 의 하면에 설치한 구멍 (97)에 삽입되어 맞물린다.
생콘크리트 운반장치에 있어서, 예컨대, 벨트컨베이어를 사용한 투입방식(98)이 생콘크리트( F)를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에 공급하도록 사용되는 방식으로 리프터 부탁 전동구동차 (88)가 사용되어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 (D)를 타워마스트(A)쪽으로 끌어들인다. 예컨대, 운반 캐리어에 의한 투입방식(99)을 사용하여 생콘크리트(F)를 공급할 수 있다. 예컨대, 콘크리트 믹서차에 의한 투입방식 (100)을 또한 사용하여 생콘크리트(F)를 공급 할 수 있다.
제54도 내지 제56도는 승강 캐리어(K)의 제1의 승강수단을 표시한 것이다. 승강 캐리어(K)는 2개의 승강 캐리어(K',K)가 나란히 타워마스트(A)의 공간(4)내에내에 있도록 설치된다. 하나의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를 취입 한 승강 캐리어(K)는 하측으로부터 감기드럼(67)김긴 와이어로프(65 a) 로 고정되고, 다른 쪽의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를 취입한 승강 캐리어 (K)는 상측으로부터 감기드럼 (67)에 감긴 와여 로프 (65b)로 고정된다.
이 결과, 모터(66)에 의하여 감기드럼 (67)에 대하여 위감기로 된 와이어 로프(65b)를 각각 계착하여 왔다.
이 결과, 모터(66)에 의하여 감기드럼(67)이 회전될 때, 어느 하나의 승강 캐리어(K) 가 상승하고 동시에 다른 하나의 승강 캐리어 (K)가 하강함으로써, 승강 캐리어(K)의 승강조작시 모터 (66)의 부하를 감소시킨다.
타워마스트(A)의 공간 (4)으로부터 승강하는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 (D,D) 의 하나가 투입호퍼 (71)에서 생콘크리트 (F)를 받아올 때, 다른 하나의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 (D)가 최상단 위치로 차지하여 슈트(70)에서 벨트컨베이어(G)까지 생콘크리트(F)를 벨트컨베이어(28)를 통하여 정량적으로 공급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슈트(70)와 투입호퍼(71)사이를 2개의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D)가 타이밍 좋게 승강된다.
제57도 및 제58도는 승강 캐리어(K)의 제2의 승강수단을 표시한 것이다. 이 승강수단에 있어서, 타워마스트(A) 의 공간(4,4)에 승강 캐리어(K,K) 각각이 현가되도록 설치된다. 이 각각의 승강 캐리어(K,K) 는 독립적으로 승강조작하는 승강용윈치 (63)를 포함한다. 각각의 감기드럼(67)은 여기에 감긴 와이어로프(65)의 한쪽을 아래측에 감긴 와이어로프(65a)로 하고, 카운터 웨이트 (102)가 현가되도록 한 쌍의 와이어로프(65b)에 연결된다. 다른 쌍의 와이어로프, 즉 상측으로부터 감긴 와이어로프(65b)는 상기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각각을 받아들이는 승강 캐리어(K)에 현가되도록 연결된다.
또한, 이 승강 캐리어(K)의 제2의 승강수단은 카운터웨이트(102)를 사용한 것 이외에 , 상기 제54도 내지 제56 도에 도시된 제1의 승강수단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이런 이유 때문에, 상기 제1의 승강수단과 동일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부분에 대하여는 동일의 번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같이 구성된 제45도 내지 제61도에 도시된 제3실시예에 따른 생콘크리트 운반장치는 타워마스트(A)의 선회방법 및 구조, 각 리프트의 승강방법 및 구조, 붐 (C)의 선회방법 및 구조, 승강 캐리어(K)와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의 승강방법 및 구조,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에서 생콘크리트(F)를 정량공급하는 수단으로스의 공급수단(E) 의 기능 및 구조,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로부터 슈트(7c)를 사용하는 벨트 컨베이어(G)까지 생콘크리트(F)를공급하는 방법 및 구조, 벨트컨베이어(G)의 구성,벨트컨베이어(G)에서 생콘크리트(F)를 슈트(55)까지 송출하는 트립퍼장치 (H)의 구조 등과 같은 장치의 각각 조작방법 및 구조에 대하여 제5도 내지 제36도에 도시되는 제1실시예에 따른 생콘크리트 운반장치와 동일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현가된 프레임 (87)가 승강 캐리어(K)로 사용되는 배열은 타워마스트(A)의 구조가 간소화될 수 있고, 이것에 의하여 타워마스트(A)에 필요한 설비코스트가 절약되며, 타워마스트(A)의 관리, 특히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의 관리가 용이하게 되고, 어떤 종류의 생콘크리트의 공급수단에 대해서도 용이하게 적응할 수 있는 점에서 장점을 제공한다. 댐 건축 등의 보다 합리화될 수 있고 동시에 공기의 단축, 경비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본 장치에 구성되는 붐 (C)은 타워마스트(A) 에 대하여 리프트(B)와 함께 안정적이며 원활하게 승강된다.
(4) 제4실시예에 따른 생콘크리트 운반장치
제62도 내지 제68도는 제4실시예에 따른 생콘크리트 운반장치를 표시하고 있다.
제4 실시예에 따라 구성되는 생콘크리트 운반장치는 타워마스트 (A)와, 이 타워마스트(A)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된 리프트(B)와,이 리프트(B)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부 (N)와, 이 회전부( N)에 설치된 붐 (C)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타워마스트(A)는 생콘크리트 (F)의 운반에 사용되는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a) 가 승강 가능하게 제공된다. 상기 붐(C)에는 생콘크리트(F)의 운반용 벨트 컨베이어(G)와, 벨트컨베이어(G)에 의하여 운반되는 생콘크리트(F)를 벨트컨베이어(G)상의 위치에서 꺼내는데 사용되는 트립퍼장치 (H)가 제공된다.
상기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에는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에 수용된 생콘크리트(F)를 연속하여 정량적으로 송출하는 공급수단(E)이 제공되며,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a)에 수용된 생콘크리트(F)가 상기 운반용 벨트컨베이어(G)에 직접 또는 부가 설치된 운반수단을 통하여 연속하여 정량적으로 공급될 수 있는 구조를 나타낸다.
상기 구조를 갖는 생콘크리트 운반장치는 레일(17)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4실시예에 따른 생콘크리트 운반장치는 회전부( N)가 크라이밍 수단에 의하여 타워마스트(A)상에 제공된 리프트(B)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붐(C)이 회전부(N)에 설치되어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에 의하여 운반되어 올려진 생콘크리트(F)를 운반수단(L)를 통하여 직접 또는 부가 제공된 운반수단을 사용하여 벨트컨베이어(G)에 공급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1실시예에 따른 생콘크리트 운반장치와 동일하거나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실시예의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된 작동 및 기능은 상기 차이점을 제외한 상기 제1실시예에 따른 생콘크리트 운반장치의 작동 및 기능과 동일하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상기 이유 때문에, 상기 제1실시예에 따른 생콘크리트 운반장치와 동일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동일한 작동과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는 동일의 번호를 부여하여 그의 설명을 생략한다.
제4실시예에 있어서, 타워마스트(A)상에 승강 가능하게 제공된 리프트(B)는 이 타워마스트(A)를 회전중심으로 하여 대략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회전부 (N)가 제공된다.
타워마스트(A)상에 승강 가능하게 제공된 리프트(B)는 상기 제1실시예에 따른 생콘크리트 운반장치와 대략 동일한 방식으로 구성된다.
상세히, 말해서, 승강용 유압실린더(23)에 의하여 함께 연결된 상부 승강 프레임(20)과 하부 승강 프레임(21)이 베이스로서 위치되어서, 크라이밍 수단을 제공하며, 타워마스트(A)를 따라서 승강 가능하고 또한 외부로부터 타워마스트가 맞물리도록 하기 위해 크라이밍 수단 위에 설치된 지지 프레임(110)은 상기 상부 승강 프레임(20) 또는 이 상부승강프레임 (20)상의 스테이지 부재에 폴 (111)에 의하여 일체로 조립되도록 리프트(B)는 구성된다.
상기 구조를 갖는 리프트(B)에 있어서, 상기 제1실시예에 따른 생콘크리트 운반장치에 있어서와 같이 하부 승강프레임(21)과 상부 승강프레임 (20)에 각각 유압실린더(24)가 제공된다.
유압실린더(23)에 의하여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되는 승강프레임(20,21)은, 정지 높이에서, 상기 제1실시예에 따른 생콘크리트 운반장치에 있어서와 동일한 타워마스트(A)특히, 마스트프레임 (3)을 따라 잠금상태 또는 비잠금상태가 되도록 구성된다.
이런 크리이밍 수단을 갖는 리프트(B)는 회전부 (N)가 회전베어링 수단(116)에 의하여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곡 설치시킨다.
본 도시예에 있어서, 회전 베어링 수단은 회전부 (N)의 하부측과 상부측상에 각가 제공된 환상 베어링부(116b,116b) 는 상부 승강프레임 (20)의 상부측상에 제공된 환상 베어링부 (116a) 와 맞물리며, 환상 베어링부(116 a)는 상기 폴(111)에 의하여 승강프레임(20)에 일체로 연결된 지지 프레임(110)상에 제공되고, 이 베어링 수단(116)에 의하여 회전방향과 수직방향의 하중울 견뎌내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리프트(B)상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된 회전부 (N)는 상기 승강프레임(20)의 상부에 설치되어 타워마스트(A)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스테이지 (117)와 이 스테이지(117)상에 일체로 되도록 제공된 회전프레임 (118)에 의하여 구성된다.
회전프레임 (118)은 바깥쪽으로부터 타워마스트(A)와 맞물리도록 타워마스트(A)상에 제공된 상부 환상 프레임(118a)과 이 상부 환상 프레임(118a)을 상기 스테이지(117)에 조립하는 포스트(118b)에 의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조를 갖는 회전부 (N)는 상기 타워마스트(A)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도록 상기 승강 프레임(20)에 의하여 지지되며, 상기 리프트(B)의 환상 베어링부(116a), 특히 승강프레임 (20) 상에 제공된 환상 베어링부(116a)와 지지 프레임(110)상에 설치된 환상 베어링부(116a)는 이 회전부(N)상의 스테이지 (117)측에 제공된 환상 베어링부(116b)와, 상부 환상 프레임(118a)의 측에 제공된 환상 베어링부 (116b)에 볼베어링 등을 조립되도록 구성된다.
리프트(B) 상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된 회전부 (N)는 회전부(N)의 일부를 구성하는 스테이지 (117)상에 제공된 피니온(120)이 승강 프레임 (20)상에 제공된 환상 안내 레일 (119)의 외주면에 설치된 랙(119a) 과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피니온(120)은 스테이지(117)상에 설치된 감속기(121)를 통하여 모터(122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구조를 갖는 회전부 (N)는 이 회전부 (N)를 구성하는 스테이지 (117)상에 제공된 모터(112)를 사용하여 랙 (119a)을 따라서 피니온 (120)을 구동시켜, 이에 의하여, 회전부(N)를 타워마스트(A)에 대하여 회전시킬 수 있다.
타워마스트(A)상에 승강 가능하고 또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회전부(N)에 붐(C)이 조립된다.
회전부(N) 상에 제공된 붐 (C)은 선회 가능한 구조 특히, 회전 부( N)가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수평 방향으로 선회 가능한 구조를 갖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더라도, 상기 제1실시예와 같이 수평 방향으로 붐 (C)이 선회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도시예에 있어서, 붐(C)상에 제공된 트립퍼장치(H)는 근원측 붐(C')에만 설치되고, 선단측 붐(C)이 근원측 붐(C')에 대하여 신장 및 수축 가능하도록 조작됨으로써, 선단측 붐(C) 상의 벨트컨베이어(G)의 선단측으로부터 트립퍼장치를 사용함 없이 생콘크리트의 타설이 행해질 수 있는 배열을 나타낸다.
상기 구조를 갖는 생콘트리트 운반장치에 있어서, 타워마스트(A)는 이 타워마스트(A)의 상부에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 즉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생콘크리트(F)를 연속하여 정량적으로 공급하는 공급수단(E)이 제공된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 (Da)를 따라 승강하는 승강 수단으로서의 승강용윈치 (63) 및 가이드 시브 (64)가 직접 제공되도록 구성된다.
터워마스트(A) 의 상부에 제공된 윈치수단은 전자 브레이크 (68)와 감속기(69)를 통하여 모터 (66)로 구동되는 감기드럼 (67)을 포함하는 일군의 그룹이 준비되고, 각각의 감기드럼(67)은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 (D)와 카운터 웨이트를 관련된 와여 로프 (65)에 의하여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와 카운터 웨이트를 승강 가능하도록 현가되는 , 특히 이 도시예에 있어서는 하측으로부터의 관련된 감기드럼상에 감긴 와이어 로프와 가이드 시브(64)를 통하여 상측으로부터 감기드럼에 감긴 와여 로프 (65b) 에 의해 각각의 카운터 웨이트와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가 현가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조를 갖는 생콘크리트 운반장치에 있어서의 생콘크리트(F) 의 이송, 특히,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에서 생콘크리트(F)를 벨트컨베이어(G)에 운반하는 운반수단이 설명된다.
타워마스트(A)상에 설치된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B), 즉 상기 실시예 경우에 있어서의 생콘크리트(F)를 연속하여 정량적으로 공급하는 공급수단 (E)을 구비한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a)에 의하여 운반되어 올려진 생콘크리트(F)는 경사 가능한 슈트 (70)와 고정슈트(70')에 의하여 타워마스트(A)상에 둘레를 회전 가능하도록 제공된 운반수단(L)에 안내되어 붐 (C)에 제공된 벨트컨베이어(G)로 슈트 (123)에 의하여 안내된 생콘크리트는 운반된다.
생콘크리트(F)를 운반하는데 사용된 운반수단(L)은 예를들어 리프트 (B)상의 폴(111)또는 스테이지 포스트 등의 외주에 제공된 환상프레임(124)과, 상기 회전부(N)의 회전프레임(118)의 포스트(118b)의 내측에 제공된 환상 프레임(125)과, 이 환상 프레임(124,125)사이에 설치된 상기 타워마스트(A) 주위를 순회하도록 환상 스트립(126)에 의하여 구성된 소위 회전피이더로 구성된다.
운반수단(L)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환상 프레임(124)은 수평판(124a)이 형성되고, 이 수평판은 각각의 축 중심선을 환상 프레임(124)에 대하여 방사선 방향으로 향하도록 병렬로 복수의 롤러(127)를 운반하는 상부 표면을 갖는다. 모터(129)의 회전축상에 제공된 스프로켓(130)은 체인(131)에 의해 롤러(127)상호 중 하나의 축에 제공된 스프로켓 (128)과 연결괸다. 롤러 (127)상호의 각 스프로켓(132)은 서로가 체인으로 연결된다. 상기 구조를 갖는 롤러(127)위에 수납된 환상 스트립(126)은 롤러 (127) 에 의하여 환상 스트립(126)을 구동시킨다.
롤러 (127)에 의하여 회전되는 환상 스트립 (126)의 내측에 접하도록 하여 상기 수평판(124a)으로부터 수직 신장하는 환상 측판(124b) 과, 상기 회전 프레임(118) 의 측에 있는 측판상으로 형성되도록 환상 측판(124b) 에 서로 마주보고, 그 환상 스트립 (126)을 따라 위치하는,환상 프레임 (125)은 환상 스트립(126)상에 공급되는 생콘크리트(F) 가 그의 이송 도중에서 낙하됨 없이 슈트 (123) 쪽으로 안내되는 흠상안내부 (133)를 구성한다.
환상 그트립 (126)에 의하여 운반되는 생콘크리트(F)는 환상 스트립 (126), 상기 환상 프레임 (125) 및 환상 측판 (124b)에 의해 구성되는 생콘크리트(F) 의 운반공간으로서의 홈상 안내부(133)를 차폐판(134)으로 차단함으로써, 슈트(123)에 강제적으로 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에서 구성되는 제62도 내지 제68도에 도시되는 제4실시예에 따른 생콘크리트 운반장치는 명배하게 기술된 구조 이외의 구조를 제외하고, 예컨대, 타워마스트(A)의 운전시스템 및 구조, 리프트의 승강시스템 및 구조, 붐(C)의 조립시스템 및 구조,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의 승강시스템 및 구조, 생콘크리트(F)를 연속하여 정량적으로 공급수단(E)의 기능 및 구조, 벨트컨베이어(G)의 구조, 벨트컨베이어 (G)상에 제공된 트립퍼장치(H)의 구조 등과 같이 장치의 조작방법 및 구조에 대하여 상기 제4 실시예에 따른 생콘크리트 운반장치와 동일하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5) 제5실시예에 따른 생콘크리트 운반장치
제69도내지 제98도는 제5실시예에 따른 생콘크리트 운반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제5실시예에 따른 생콘크리트 운반장치는 타워마스트(A)와, 타워마스트(A) 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리프트(B)와, 이 리프트(B)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된 붐 (C)에 의하여 구성된다.
이송장치를 형성하는 붐 (C)은 근원측 붐(C')과, 이 근원측 붐 (C')에 대하여 수축 신장 가능하게 설치된 선단측 붐(C)으로 구성된다.
상기 타워마스트(A)에는 생콘크리트(F)의 운반에 사용되는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가 가능하게 제공된다.
상기 붐 (C)에는,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에 의하여 운반되는 생콘크리트(F)의 운반용 벨트컨베이어(G)가 근원측 (C')상에 제공된 벨트컨베이어(G') 로부터 선단측 붐(C) 상의 벨트컨베이어(G) 가 상기 생콘크리트 (F)를 받아 넘기도록 제공된다.
상기 붐(C), 특히 근원측 붐(C')에 트립퍼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에 의한 생콘크리트 (F)의 운반과 상기 벨트컨베이어 (G)에 의한 생콘크리트(F)의 수용 사이에 생콘크리트(F)를 받아서 이것을 상기 벨트컨베이어 (G)로 송출하는 운반 컨테이너(M)가 제공된다.
운반 컨테이너(M)는 상기 리프트(B), 또는 이 리프트 (B)상에 제공된 붐(C)이 제공되도록 구성된다.
운반 컨테이너 (M)는 상기 용기 캐리어(D)에서 직접 또는 부가제공된 운반수단을 통하여 생콘크리트 (F)를 받아넣는 수용 컨테이너 (P)와, 이 수용 컨테이너 (P)에 받아넣은 생콘크리트 (F)를 연속하여 정량적으로 송출하는 공급수단 (E)을 포함한다.
제5실시예에 따른 생콘크리트 운반장치는 상기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 (D)를 생콘크리트를 연속하여 정량적으로 송출하는 공급수단 (E)없이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 (Db)로서 형성되고, 및 운반 컨테이너 (M)를 준비하여, 이 운반 컨테이너 (M)는 상기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 (D)에 의한 생콘크리트 (F)의 운반과 상기 벨트컨베이어 (G)에 의한 생콘크리트 (F)의 운반 사이에 운반로에 포함되며, 이 운반 컨테이너 (M)는 생콘크리트 (F)를 수용하는 수용 컨테이너 (P)와, 이 받아넣은 생콘크리트 (F)를 연속하여 정량적으로 송출하는 공급수단 (E)으로 구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1실시예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콘크리트 운반장치에 있어서의 구성과 동일하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제5실시예에 따른 생콘크리트 운반장치의 구성부분의 동작 및 기능은 상기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가 공급수단 (E)없이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 (Db)로서 형성되고, 또한 상기 운반 컨테이너 (M)의 장치에 의해 생기는 동작과 기능을 제외하고는, 즉,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 (D)로부터 생콘크리트 (F)를 직접 연속하여 정량적으로 벨트컨베이어 (G)쪽으로 송출됨 없이, 일단 운반 컨테이너 (M)쪽으로 수용된 생콘크리트 (F)는 연속하여 정량적으로 벨트컨베이어(G)에 송출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1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콘크리트 운반장치에 있어서의 구성과 동일하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런 이유로, 상기 타 실시예에 따른 생콘크리트 운반장치에 있어서의 구성과 동일하거나 또는 본질적으로 동일한 구조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나타내는 구성요소는 동일의 번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상략한다.
제5실시예에 따른 타워마스트 (A)는 설치면 부지상에 고정된 상태로 직립 설치된다.
타워마스트 (A)는 이동 가능하도록 레일 등의 이동수단을 부가 제공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의 타워마스트는 회전하지 않으나, 타워마스트 (A)는 설치부지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즉, 타워마스트 (A)의 수직축선을 회전축선으로 이용하여 회전 가능하다.
상기 구조를 갖는 타워마스트 (A)는 타 실시예와 같이 대략 동일하게 구성되도록 즉 파이프가 네 구석부분에 세워 설치되도록 형성되고, 보조 포스트 (3b···3b)는 메인 마스트 (3a, 3a) 사이에 세워 설치되고, 크로스 바 (3c)는 메인 마스트 (3a) 및 보조 포스트 (3b)사이와, 메인 마스트 (3a, 3a)사이에 설치된 한쌍의 보조 포스트 (3b, 3b)사이에 마스트 프레임 (3)을 형성하기 위하여 넓은 간격으로 세워 설치되도록 각각 크로스 레버 (3c···3c)를 설치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구성된 마스트 프레임(3)은 마스트 프레임 (3)의 상하방향에 걸쳐서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 (D)의 승강용의 공간 (4, 4)이 쌍으로 신장시키고, 하부측에 전동구동차의 진입 가능한 개구 (95)를 형성시킨다. 마스트 프레임(3)은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 (D)로부터 생콘크리트 (F)를 꺼내는 위치에 슈트동작 가능한 개구를 포함한다.
상기 구조를 갖는 타워마스트 (A)에 있어서, 상기 메인 마스트(3a···3a)를 안내로하여 리프트 (B)가 외부로부터 맞물리도록 한타워 마스트에 조립되고, 이 리프트 (B)는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이 타워마스트 (A)에 대하여 리프트 (B)의 상하동작은 리프트 (B)를 구성하는 승강프레임 (20,41) 상에 제공된 승강용 유압실린더 (2#)에 의하여 승강프레임 (20, 21)을 상하방향으로의 이동조작과, 이 리프트(B)상에 제공된 유압실린더 (24)에 의하여 메인 마스트 (3a)에 승강프레임 (20, 21)을 잠금하기 위한 작동과 같은 승강조작에 의해 수행된다.
타워마스트 (A)상에 제공된 리프트 (B)는 상기 마스트 프레임 (3)에 대하여 외부로부터 맞물리도록 조립된 상부측 승강프레임 (20)과 하부측 승강프레임 (21)에 의하여 구성되는 리프트(B)의 크라이밍 수단은 베이스로 제공되고, 본체부는 예를들어 이것에 스테이지 본체 (18)와 보조스테이지 (19)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리프트(B)를 구성하는 상부측 승강 프레임 (20)과 하부측 승강 프레임 (21)은 각각 승강용의 유압실린더 (24)에 의하여 상하방향으로 교대로 이동 가능하며, 유압실린더 (24)에 의하여 각각 그의 동작 종료위치의 상기 타워 마스트(A)에 대하여 잠금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리프트 (B)를 구성하는 상부측 승강 프레임 (20)은 외부로부터 맞물리도록 상기 마스트 프레임(3)에 조립된 스테이지 본체 (18)와, 마스트 프레임 (A)을 감싸도록 이 스테이지 본체 (18)상에 제공된 설치된 스테이지 포스트 (18A)와 스테이지 포스트 (18A)의 상부쪽에 위치하고 폴(111)등에 의하여 스테이지 포스트(18A)에 위치하고 연결된 지지 프레임(110)로 구성되어서, 일체로 리프트 (B)를 구성한다.
리프트 (B)를 구성하는 상기 하부측 승강프레임 (21)은 보조스테이지(19), 하부측 승강프레임(21)과 일체로 되도록 제공되고 이들이 모두 리프트 (B)를 구성한다.
승강 프레임(20,21)과 상기 스테이지 본체 (18)와 보조 스테이지 (19)등은 외부로부터 맞물리도록 타워마스트(A)에 조립되고, 이들 부재는 상기 크라이밍 수단에 의하여 타워마스트 (A)상에서 승강될 수 있으며, 상기 각 실시예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제73도 내지 제77도는 리프트 (B)의 승강동작수단으로서 각 승강프레임(20, 21)을 메인 마스트 (3a)에 조립하는 방법고 각 유압실린더 (23, 24)의 배치상태를 주요구성 부분만으로 모식적으로 도시한다. 생콘크리트 운반장치의 승강조작을 수행하는 것과 같은 구조, 예를들어 승강프레임 (20, 21)상에 제공된 유압실린더 (24)의 프런저 로드 (24b)를 수용하는 리시버(26)는 약간 긴 구멍 (26')으로 형성되며, 프런저 로드 (24b)를 안내하는 실린더 (25')를 승강프레임(20, 21)상에 설치하도록 하고 이 프런저 로드 (24b)의 구동유압실린더 (24)를 실린더 지지프레임 (25')에 의하여 승강프레임 (20,21)상에 설치하도록 한 점 등이 같다.
제5실시예에 따른 생콘크리트 (F)의 운반장치에 있어서, 리프트 (B)의 승강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승강프레임(20, 21) 및 스테이지 본체 (18), 스테이지 포스트 (18A), 보조스테이지 (19)와 리프트 (B)를 형성하는 다른 부재들은 회전 가능한 안내롤러 (135)를 포함하며, 안내롤러 (135)는 타워마스트 (A) 특히 수직방향으로 신장하는 메인 마스트 (3a)상에 제공된 안내레일 (136)상에서 안내롤러 (135)는 미끄럼과 회전 운동을 수행한다.
메인 마스트 (3a)상에 제공된 안내레일 (136)은 메인 마스트의 원주면의 일부를 핀치하도록 파이프형상 메인 마스트 (3a)에 고정되며, L자형을 이룬 백킹 스트립 (backing strip) (136a)은 상하방향으로 각 구석 가장자리의 타워마스트 (A)를 용접하고, 각 안내레일 (136, 136)은 이 메인 마스트 (3a)의 외측가장자리상에 상하방향으로 신장되도록 설치된 백킹 스트립(136a)의 직교한 면에,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안내레일 (136)상에서 미끄럼 및 회전하는 안내롤러 (135)는 4개의 구석부 예를 들어 외부로부터 맞물리는 타워마스트 (A)에 상기 승강프레임 (20, 21)에 안내롤러 (135, 135)의 한 쌍은 회전축선이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향하도록 위치되며, 이들의 안내롤러 (135···135)는 사방으로부터 타워마스트 (A)를 내장시키도록 구성된다.
도면 중 135a는 안내롤러 (135)의 회전축을 표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B)의 승강동작은 유압실린더 (24)의 승강작용 전에 리시버(26')로부터 프런저 로드(24b)를 인출하는 작동이 행해지는데, 승강용 유압실린더(23)의 프런저 로드(24b)를 수용하는 부분은 신장된 구멍으로 (26') 형성되는 것에 기인하도록 수행된다.다른 기본적인 리프트 (B)의 승강동작은 상기 다른 실시예의 것고 실직적으로 동일하다.
상기 구조를 갖는 타워마스트 (A)상에 제공된 리프트 (B)는 상기 승강프레임 (20, 21)을 따라 외부로부터 맞물리도록 타워마스트 (A)에 스테이지 본체 (18)와 함께 수직이동 가능하도록 스테이지 본체 (18)상에 설치되며, 스테이지 포스트 (18A)는 스테이지 본체 (18)상에 설치되고, 타워마스트 (A)상에 지지 프레임 (110)은 설치되어, 연결풀 (111), 보조 스테이지 (19) 등에 의하여 스테이지 포스트에 연결된다.더욱이 지지프레임(112), 환상 안내 레일 (119)등이 일체로 타워 마스트에 조립된다.
붐 (C)은 축 (34)을 사용하여 상하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방식으로 리프트 (B)에 조립된다. 붐(C)은 축 (34)을 이용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방식으로 승강본체부 (B)에 조립된다. 축 (34)을 이용한 솔차부는 제1실시예에 사용된 붐회전장치와 유사한 붐회전장치를 이용하여 리프트 (B)에 조립된다.
리프트 (B)상에 제공된 턴테이블 지지부 (33c)는 베어링을 통하여 회전테이블 (33a)를 조립시킨다.축 (34)을 이용한 붐 (C)의 설치부는 제1실시예에서 사용된 붐회전장치 (34)와 유사한 분회전장치 (33)를 사용한 승강본체 (B)에 조립된다.
상세히 말해서, 리프트 (B)상에 제공된 회전테이블 지지부 (33c)는 베어링을 통해 이 지지부 (33c)를 조립시킨다. 회전테이블 (33a)은 붐 (C)용 베어링부, 즉 본 실시예의 축 (34)용 베어링부를 그 위에 설치시켜서, 붐(C)이 리프트 (B)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허용한다.
상기 방법으로 리프트 (B)에 대하여 수평선회 가능하게 설치된 붐(C)은 근원측 붐(C')과 이 근원측에 대하여 수축 및 신장 가능하도록 설치된 선단측 붐(C'')에 의하여 구성되고, 상기지지 프레임 (110)상에서 선회하는 일단을 갖는 지지프레임 (109, 137) 및 서브 폴(subpole)(138) 등에 의하여 유지된다.
붐(C)은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장치의 배열은 붐(C)은 모터 (도시생략)에 의하여 구동되는 피니온 (139)을 붐(C)의 하면측에 설치시키고, 승강 본체 (B) 특히, 스테이지 본체 (18)는 그 상면에 상기 붐회전장치 (33)의 선회축을 회전중심으로 갖는 반원상의 궤적을 따라서 평면의 반원상으로 신장한 레일 (140)을 설치시키며, 이 레일 (140)의 외측에 랙(rack)(140a)을 설치하여, 이 랙 (140a)에 상기 피니온이 맞물리도록하여, 붐 (C)을 리프트 (B)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방법에 있다.
붐 (C)을 정위치로 고정하기 위한 수단, 즉 이 구체적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71도 및 제78도에 도시된 위치에서의 선회를 정지시키는 수단으로서의 잠금 (lock) 장치 (141)가 제공된다.
잠금 장치 (141)는 승강본체 (B)상에 제공된 유압실린더 (142)의 프런저로드 (42)상에 수반된 잠금핀 (14b)과, 선회 가능한 붐 (C)의 하면측에 형성된 맞물림구멍 (143)에 의하여 구성된다.이 잠금핀 (142b)의 바로 위에 붐 (C)의 맞불림구멍 (143)이 위치한 경우 맞물림구멍 (146)쪽으로 잠금핀 (142b)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다른 실시예와 함께 붐 (C)은 상기 리프트 (B)상에 구비된 근원측 붐(C')과, 이 근원측 붐상에 대하여 신장 및 수축 가능하게 구비한 선단측 붐(C'')에 의하여 구성되며, 붐 (C)상에 설치된 벨트컨베이어 (G')상의 생콘크리트 (F)가 트립퍼장치 (H)에 의하여 선단측 붐(C'')상에 벨트콘베이어 (G'')에 이양되도록 구성된다.
붐(C)상의 선단측 붐(C'')이 근원측 붐(C')으로부터 신장 및 수축 가능하도록 허용하는 구조는 상기 각 실시예에 있어서 명백한 바와 같은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도면중 40은, 선단측 붐 (C'')의 이동에 사용이 되는 모터를 도시하고 있다.
붐(C)상에 제공된 벨트컨베이어 (G', G'')는, 각각 모터(48, 52)에 의하여 구동되는 구동풀리 (46,50)와 구동풀리 (47, 49)를 포함하며, 컨베이어 벨트 (45, 51)는 구동풀리 (46) 및 구동풀리 (47)사이와 구동풀리 (50) 및 구동풀리 (49)사이에, 그리고 각 신장한다.벨트 켄베이어는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 (D)에 의하여 운반된 생콘크리트 (F)를 콘크리트를 타설위치로 운반 및 안내한다.
붐 (C)상에 대한 벨트컨베이어 (G)를 설치하는 방법은 각 실시예에 있어서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벨트컨베이어(G)는 컨베이어 (G)는 벨트컨베이어 (G)에 의하여 운반되는 생콘크리트 (F)를 그의 운반 중의 임의의 위치에서 꺼내는 트립퍼장치 (H)가 제공된다.
근원측 붐(C') 및 선단측 붐(C'')은 트립퍼장치 (H)를 각각 포함한다 하여도, 실시예와 같이 근원측 붐 (C')에만 트립퍼장치 (H)가 제공될 수 있다.
붐 (C)상에 제공된 트립퍼장치 (H)는 슈트 (55)를 선회슈트 (55A)와 이 선회슈트 (55A)에서 공급된 생콘크리트 (F)를 벨트컨베이어 (G)의 측방으로 운반하는 고정슈트 (55B) 및 이 선회슈트 (55A)에서 공급된 생콘크리트 (F)를 선단측 붐(C'')상의 벨트 컨베이어(G'')까지 운반하는 고정슈트 (55C)로 구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1실시예에 사용된 트립퍼장치 (H)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트립퍼장치(H)에 있어서, 안내면 (57)을 구성하는 가이드 프레임 (57A)은 일단측을 축 (151)에 의하여 차륜 (58a)을 구비한 트럭 (58)을 가지는 주행 프레임 (59)에 설치시킨다. 가이드 프레임은 타단을 핸들 (145a)을 구비한 조절나사 폴 (pole) (145)에 의하여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그 주행프레임 (59)에 설치시킨다. 주행프레임 (59)위는 상기 선회 슈트 (55A) 및 고정슈트 (55B), (55C)를 설치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트립퍼장치 (H)는 트럭 (58)상에 제공된 모터 (62)에 의하여 차륜(58a)을 구동하는 구조를 포함하며, 회전 방지수단(144)이 제공되고, 레일 (61)상에서 이동 가능하다.
상기 가이드 프레임 (57A)의 상단 하면측을 가지며, 하단 위치에서 풀리 (56, 56)가 제공된다. 가이드 프레임 (57A)의 롤러 (60···60)에 의하여 구성되는 안내면 (57)을 따라서 안내된 벨트컨베이어 (G')의 컨베이어 벨트 (45)는 선단측에 있는 풀리 (56)의 풀리 (56a)에 의하여 반전되고, 또한 컨베이어 벨트 (45)는 가이드 프레임 (57A) 의 하면의 중간부에 있는 풀리 (56b)에 의하여 또한 반전함으로써, 주행 프레임 (59), 특히 , 트럭 (58)상에 제공된 풀리 (56c)에 의하여 붐(C') 의 선단측 쪽으로 안내된다.
벨트컨베이어 (G') 의해 공급된 생콘크리트 (F)를 꺼내기 위해서는, 가이드 프레임 (57A) 의 선단측에 있는 풀리 (56a)에 의하여 반전되며 풀리 (56b,56c) 에 의하여 재반전됨으로써, S자형으로 굴곡된 컨베이어 벨트 (45)의 아래쪽, 특히 컨베이어 벨트(45)의 풀리(560)의 아래쪽 위치에 슈트 (55)가 제공된다.
상기 실시예에 사용되는 선희 슈트 (55A) 는 상기 풀리 (56a)의 선단측에서 운반된 생콘크리트 (F)를 수용하는 박스형 슈트 (146) 에 대하여 열린 상부슈트 (55A')와, 굴곡한 하부슈트 (55A)를 포함한다. 선회슈트 (55A) 용 회전축 (147) 은 4각 형상을 갖는 상부슈트 (55A')의 축중심선상에서 신장하도록 주행 프레임(59)상에 제공된다. 선회슈트 (55A) 는 선회 가능하도록 회전축에 조립됨으로써, 상부슈트 (55A') 에 대하여 하부슈트 (55A')를 선회하는 구조를 나타낸다.
선회슈트 (55A)에 있어서, 주행프레임 (59) 상에 설치한 회전축 (147) 은 상부슈트 (55A') 의 하면에 설치한 베어링부 (148) 에 설치된다. 선회슈트 (55A) 는 회전축 (147) 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베어링부 (148) 에 아암 (149) 이 고정 설치되고, 이 아암은 (149) 은 선단을 주행프레임 (59) 상에 제공된 유압실린더 (150) 의 프런저 로드 (150a) 의 선단에 연결시킴으로써, 선회슈트가 선회하도록 허용된다.
주행프레임 (59) 은 상기 유압실린더 (150) 에 의하여 선회슈트 (55A) 의 하부슈트 (55A') 가 컨베이어 벨트 (45)의 선단측 전방위치에서 선회되는 경우, 생콘크리트 (F) 가 선회슈트 (55A) 로부터 수용되는 위치에서 고정슈트(55c)를 주행프레임 위에 설치시킨다. 고정슈트(55c)를 통하여 생콘크리트(F)가 선단측 붐(C)의 벨트컨베이어 (G)상에 운반된다.
주행프레임(59)은 주행프레임(59)의 앞측의 측의치, 즉, 상기 유압실린더(150)에 의하여 상술한 위치에서 대략 90。 로 선회슈트 (55A) 가 선회하여 선회슈트 (55A)의 하부슈트(55A)를 컨베이어 벨트(45)의 선단측방위치에 위치시킨 경우 선회슈트 (55A)로부터 생콘크리트(F)가 수용되는 위치에서 고정슈트(55B) 를 주행프레임 위에 설치시킨다. 고정슈트(55B)를 통하여 생콘크리트(F)는 콘크리트의 타설면에 운반된다.
상기 타워마스트(A)상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 는 이 도시예에 있어서의 연속공급수단(E)없이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b)로서 구성되며, 캐리어는 타워마스트(A)의 마스트프레임 (3)으로 구성된 한쌍의 공간(4,4)에서 현가된 상태로 제공된다.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b)는 스테이지 본체 (18)상에 제공된 승강용윈치(63)와, 타워마스트(A)의 상부에 제공된 가이드 시브(64)와, 카운터웨이트 (102)가 사용되며, 승강용윈치 (63)에 의하여 조작되는 와이어로프(65)는 그 일단을 상기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b)에 연결시키고 타단은 캐리어와 카운터웨이트(102)를 각각 가이드 시브(64)를 통하여 현가되도록 카운터웨이트(102)에 연결시키도록 고성된다.
상기 도시예에 있어서, 전자 브레이크(68), 감속기 (69)를 통하여 모터(66)에서 감기드럼(67)은 구동된다. 하측으로부터 각각의 감기 드럼에 감긴 와이어로프(65a,65a)는 시브(64b,64b)에 안내되어 포르로부터 카운터웨이트(102)를 현가시킨다. 상측으로부터 각각의 감기드럼(67)에 감긴 와이어 로프(65b, 65b)는 시브(64b, 64b)에 안내되어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 (Db) 를 현가시킨다.
승강용윈치(63)에 의하여 타워마스트(A)를 따라 승강되는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 (Db)는 이 도시예에 있어서, 승강 캐리어(K)에 의하여 승강되며, 이 승강되며, 이 승강 캐리어(K)는 상기 와이어 로프 (65)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된다.
승강윈치(63)에 의한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b)의 승강조작은 각 실시예에 따라 기술된 각 승강조작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b)는 상기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생콘크리트 운반장치에 사용된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a)와 다른 생콘크리트 (F)를 연속하여 정량적으로 송출하는 공급수단(E)을 포함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캐리어(Db)는 캐리어의 하면에 개폐수단을 설치시킨 컨테이너로서 형성되는 경우 어느 형태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b)의 승강에 사용하는 승강 캐리어 (K)는 이 승강 캐리어(K)의 측방에서 유입되는 그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b) 의 플랜지 (154a)에 걸리도록 맞물림 돌출부 (152e)를 각 캐리어상에 형성되고,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b)의 플랜지 (154a)는 여기에 현가된 맞물림 돌출부 (152e)에 걸리도록 구성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사용된 승강 캐리어(K)는 대략 2 등변 3각형상으로 구성된 한쌍의 측프레임(152a,152a)과, 이 측프레임(152a,152a)의 상단부 사이에 연결된 상프레임(152b)과, 대향한 측프레임(152a)의 한쌍의 수평 폴 (pole)(152a',152a')의 대략 중심부 사이에 연결된 하프레임(152c)에 의하여 구성된다. 측 프레임 (152a)의 수평 폴(152a') 의 단부로부터 현가되도록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b)의 지지 풀 (152a)을 설치시킨다. 대향한 하나의 측프레임 (152a)으로부터 현가된 측프레임 (152a)의 지지레버(152d)의 하단상에 설치되는 맞물림돌출부 (152e)와 다른 하나의 측프레임 (152a)으로부터 지지 풀(152a)이 하단 부상에 설치된 맞물림돌출부 (152e)가 서로 대면하도록 돌출된다.
승강 캐리어(k)는 회전축의 신장방향과는 다르게 한 2 조의 가이드 롤러 (153A,153B)가 측프레임 (152a)의 각 상부상에서 이 상부의 바로 아래에 있는 수평 폴(152a')상에서 외향하여 돌출하도록 제공되고, 타워마스트(A)에 구성되는 공간(4,4)에 설치한 쌍을 이루는 가이드 레일 (89)상에서 가이드 롤러는 구동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공간 (4)에 설치된 가이드레일(89)은 각각의 공간 (4)의 대향한 표면을 따라서 상하방향에 걸치도록 설치되고, 상기 보조 포스트(3b)및 크로스 레버 (3c)상에 가이드롤러가 설치된다.
각각의 가이드 레일(89)상에 미끄럼 및 회전운동하는 하나의 세트의 가이드 롤러 (153A)는 쌍으로 된 롤러들을 포함하며, 이 롤러들은 가이드 레일 (89)을 그의 양측에서 삽입하도록 설치된다.
가이드 레일(89)상에 미끄럼 및 회전운동하는 다른 세트의 가이드롤러 (153B)는 롤러가 가이드레일(89)의 상단면을 따라서 롤러가 회전하도록 설치된다.
승강 캐리어(k) 에 의하여 현가된 승강되는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 (Db)는 생콘크리트(F)를 수납하는 컨테이너 주몸체 (154)의 가장자리에 플랜지(154a)가 설치되고, 이 플랜지(154a)는 상기 승강 캐리어 (k)의 맞물림 돌출부(152e)에 걸리도록 하여 컨테이너 본체부를 승강 캐리어(k)쪽으로 현가시키며, 승강 캐리어(k)에서 꺼낼 수 있는 구성된다.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b)에 있어서, 컨테이너 주몸체 (154)의 하부에 4각단면 형상을 갖는 배출구 (155)를 설치시키고, 배출구(155)의 개구 (155a)를 막는 개폐가능한 덮개 (156)를 설치시킨다.
덮개(156)는 배출구 (155)를 내장하도록 신장하는 한쌍의 측판부(156a)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 (155a)의 전단부를 막기 위하여 이 측판부(156a,156a)사이에 신장할 수 있는 덮개판 (156b)단면상 원호를 형성한다. 덮개 (156)의 덮개판(158)은 측판부 (155)은 측판부(155b)의 선단 단부에 의해 원호단부(155c)로서 구성한 상기 배출구 (155)의 개구 (155a)의 개구 단부와, 밀착하여 접촉될 수 있다.
배출구 (155)의 개구(155a)를 막는 덮개 (156)는 상기 측판부(156a)에서 배출구 (155)에 조립되러 축 (157)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고, 덮개(156)는 상기 개구 (155a)를 평상시 닫고 있는 방향으로 코일스프링(158)에 의하여 억제되도록 구성된다.
코일스프링 (158) 에 의하여 억제되는 덮개 (156)는 선단 단부를 배출구 (155)의 개구의 하단부에 설치된 스토퍼 (159)에 밀폐 방향으로 평상시 탄성적으로 접촉시킨다.
코일스프링(158)에 의하여 밀폐방향으로 평상시 억제되는 덮개 (156)는 추후 설명하는 이동 슈트(165)상에 구비한 유압실린더(160)의 프런저 로드(160a)를 신장시킴으로써 코일스프링에 대하여 개방될 수 있다. 코일스프링에 대한 덮개 (156)의 개방은 프런저 로드(160a)의 축소조작에 의하여 헤제되어 상기 코일스프링 (158) 직용하에서 덮개 (156)를 닫게 할 수 있다.
도면중 160b 는 프런저 로드(160a)를 덮는 벨로우 형상으로 형성된 방호커버를 표시하고 있다. 193 은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b)를 적합한 방식으로 정지기키는 반력 (reaction)리시버를 표시하고 있다.
도시예에 있어서, 안내로드(162)에 의하여 이동되는 슬라이딩 부재(161)는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b), 특히 배출구 (155)의 하방으로 이동슈트(165)가 이동될 때 각각의 이동슈트(165) 상에 제공된 유압실린더(160)의 프런저 로드(160a)의 선단이 맞닿는 위치에 설치된다.
안내로드(162)에 안내되는 슬라이딩 부재 (161)에 있어서, 안내구멍(161a)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로드프레임(162a,,162a)사이에 신장하는 상하의 안내로드 (162,162)는 이 안내로드 내에 삽입되도록 슬라이딩 부재의 상하의 안내구멍 (161a) 에 조립되며, 상기 프런저 로드 (160a)의 신장 동작에 의하여 가이드 로드는 이동될 수 있다.
슬라이딩 부재(161)에 체인 (163)의 일단이 부착되고 체인 (163)의 타단이 상기 덮개 (156)에 부착된다. 코일스프링 (158)의 작용하에서 밀폐 방향 쪽으로 평상시 억제되는 덮개 (156)는 슬라이딩 부재 (161)를 끌어당겨서 상기 프런저 로드(160a)와 접촉하는 방향 쪽으로 슬라이딩부재를 인출시킨다.
상기 슬라이딩 부재 (161)에 고정된 체인 (163)의 일단 (163a)은 상기 덮개(156)이외의 부분에 설치한 스프로켓(164,164) 주위에 통과되고, 덮개 (156)이외의 부분에 설치한 스프로켓(164,164)주위에 통과되고, 그 타단(163b)은 덮개 (156)에 고정된다.
덮개 (156)에 대한 체인 (163)을 부착시키는 것은 회동 가능하도록 축(157)에 의하여 배출구(155)에 조립되는 덮개 (156)가 상기 코일 스프링(158)의 작용에 대한 방향으로 선회되고 끌어당겨 질 수 있는 위치에서 행해진다.
기술한 구조로 된 덮개 (156)의 개폐구조에 있어서, 이동슈트(165)는 이동되어 그의 슈트(165)의 개구부를 개구(155a)의 하방에 위치시키고 이 이동슈트(165)상에 제공된 유압실린더(160)의 프런저 로드 (160a)는 신장되어 코일스프링(158)작용에 대하여 상기 슬리이딩 부재(161)를 밀므로써, 덮개 (156)는 축 (157)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되어, 배출구(155)의 개구(155a)를 열게한다.
배출구 (155)로부터 생콘크리트(F)의 꺼내기를 중지하기 위하여, 상기 프런저 로드(160a)를 축소하여 슬라이딩 부재(161)에 대한 가압력을 해제함으로써, 덮개(156)는 코일스프링(158)의 작용력에 의하여 회전하고, 비로소 스토퍼(159) 에 덮개가 접촉한다. 배출구 (155)의 개구 (155a)는 닫힌다.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b)로 부터 생콘크리트(F)를 꺼내어 운반 컨테이너(M)에 공급하는 각각의 이동슈트(165)는 특히 스테이지 포스트(18A)상에 제공된 부착프레임 (166)에 대하여 경사상태를 유지하면서 수평이동하도록 설치된다.
개반된 표면이 안쪽으로 향하도록 부착프레임(166)상에 고정된 수평 가이드 프레임(166a)은 이동슈트 쪽으로 향하도록 각 이동슈트에 고정된 슬라이딩 프레임(166b)과 결합되어, 이동슈트를 이동 가능하게 한다. 특히 이동슈트(165)의 측면상에 설치된 글라이딩 프레임 (166b) 은 수평가이드 프레임 (166a)내에 수납된 슬라이딩 프레임(166b)이 그 수평가이드 프레임 (166a)내에 이동되도록 허용된다.
수평가이드 프레임(166a)에 슬라이딩 프레임 (166a)내에 프레임 (166) 을 돌출시킨 측면의 반대측면에 유압실린더(167)를 설치시키고, 이 수평가이드 프레임 내에 수납한 슬라이딩 프레임 (166b) 내에서 슬라이딩 프레임 (166)의 선단측에 유압실린더(167)는 프런저 로드(167a)의 선단을 설치시킨다. 유압실린더 (167)가 작동되어 이동슈트 (165)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동슈트(165)는 타워마스트( A)상에 제공된 2개의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b,Db)에 대응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소정의 경사각을 유지시킨다.
수평 이동 가능한 슈트(165)는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b)가 타워마스트(A)를 운반하는경우, 타워마스트(A),특히 공간 (4)으로부터 부착 프레임(166)쪽으로 운반된다. 이동슈트가 타워마스트(A)의 상부측으로 안내된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b)에서 생콘크리트(F)를 수용할 때, 이동슈트는 타워마스트 (A)의 공간 (4)내로 이동되어서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b)에서 생콘크리트(F)를 수용하는 위치에 적절한 방법으로 위치될 수 있다.
부착 프레임 (166)은 이동슈트(165)가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b)에서 생콘크리트 (F)를 수용하는 위치로 위치될 때, 이동슈트(165)의 하방에 이 이동슈트(165)와 연결되어 제공된 고정 슈트 (168)를 설치시킨다.
고정슈트(168)는 상기 타워마스트(A)의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b)의 승강조작을 방해가 되지않도록 설치되고, 고정슈트는 운반 컨테이너(M)에 대하여, 이동슈트(165)에서 운반 컨테이너 (M)에 생콘크리트(F)를 공급한다.
리프트(B),즉 이 도시예에 있어서는 스테이지 본체(18)에 대하여 일체로 조립된 스테이지 포스트(18A)는 여기에 상기 테이블프레임 (169)을 부착프레임 (166)과 함께 일체로 조립시키고 테이블프레임 (169)은 운반 컨테이너 (M)를 설치시킨다.
운반 컨테이너(M)는 그의 상부측이 수용컨테이너(P)로 형성되고 하부측에 공급수단(E)이 제공되도록 구성된다. 받아넣는 수용 컨테이너(P)에 수용된 생콘크리트(F)는 이 공급수단(E)에 의하여 그의 슈트(170a)로부터 연속하여 정량적으로 송출할 수 있다.
운반 컨테이너(M)는, 제87도 내지 제8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컨대 호퍼형상 켄테이너 본체 (170)는 수용 컨테이너 (P)를 형성하며, 켄테이너 본체의 상부에 개구 (170b)가 형성되고, 그리고 켄테이너 본체 (170)는 하향으로 테이퍼되도록 형성되고 호퍼형상 하부개구(170c)를 벨트컨베이어(171)의 컨베이어 벨트(171a)위에 위치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배치는 벨트컨베이어 (171)를 구동하여 운반되는 생콘크리트(F)의 양에 따라서, 상기 켄테이너 본체 (170)에 수납되어 있는 생콘크리트(F)를 상기 호퍼형상 하부 개구 (170b)로부터 연속하여 정량적으로 꺼내는 공급수단(E)을 제공한다. 따라서, 공급수단(E)은 소위 벨트 피이더로서 형성된다.
호퍼형상 하부 개구(170c)에서 송출되는 생콘크리트(F)는 벨트콘베이어 벨트(F)는 벨트컨베이어(171)의 컨베이어 벨트(171a)의 상면과 컨베이어 벨트(171a)를 둘러싸도록 구성한 원통형상 안내부(172a)에 의해 한정된 공간 (173)으로 안내된다. 공간 (173)에 운반된 생콘크리트(F)는 슈트(170a)로부터 벨트컨베이어(G) 쪽으로 운반된다.
원통형상 안내부(172)와 컨베이어 벨트 (171a) 에 의하여 한정되는 생콘크리트(F)의 운반공간(173)내에 삽입되도록 조절용 게이트판(174)이 설치된다. 공간(173)으로 이송되는 생콘크리트(F)의 양은 이 조절용 게이트판 (174)에 의하여 조정될 수 있다.
조절용 게이트판 (174)은 상기 켄테이너 본체 (170)상에 제공된 유압실린더 (175)의 프러저 로드 (175a)에 의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게이트판은 원통형상 안내부(172)의 상방으로부터 공간 (173)내에 게이트의 삽입길이를 조절 가능하게 삽입된다.
조절용 게이트판(174)은 컨베이어 벨트(171a)의 이동방향과 직교 하도록 설치된다. 게이트판이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공간의 전체폭에 걸치도록 신장하여 설치되는 바람직하다.
도면에 있어서, 167은 모터를, 177는 감속기를 표시하고 있으며, 컨베이어 벨트(171a)의 구동풀리 (178)와 동축의 스프로켓 (179)과 상기 감속기 (177)는 체인 (181)에 의해 구동되고, 여기에 컨베이어 벨트 (171a)의 구동풀리 (182)를 제공한다.
제90 도 내지 제92도에 부가 도시된 운반 컨테이너(M)에 대하여 설명한다.
운반 컨테이너(M)는 그의 상부측을 받아넣는 수용 컨테이너(P)로 형성시키고 하부측에 공급수단(E)을 설치시키며, 수용 컨테이너(P)에 수용된 생콘크리트(F)는 공급수단(E)에 의하여 그의 슈트(183a)로부터, 연속하여 정량적으로 운반되도록 구성된다.
운반 컨테이너 (M)는 예컨대 호퍼형상 용기본체 (183)가 수용 컨테이너(P)를 형성하며, 상부에 개구(183b)를 형성시키며, 이 용기본체(183)는 하방으로 테이퍼되도록 형성되며 호퍼형상 하부개구 (183c)를 스크류피이더(184)의 스크류(184a)상에 위치시키도록 구성된다. 스크류 피이더(184)는 생콘크리트(F)의 공급수단(E)으로 사용되고, 스크류(184a)를 구동하여 상기 용기본체 (183)에 수납되어 있는 생콘크리트(F)를 상기 호퍼형상 하부개구(183c)에서 연속하여 정량적으로 꺼내도록 한다.
호퍼형상 하부개구(183c)에서 운반되는 생콘크리트(F)는 스크류 피이더(184)의 스크류 (184a)와 이 스크류 (184a)를 둘러싸도록 구성한 원통형상 안내부(185)에 의해 형성된 공간(186)으로 안내된다. 공간 (186)내에 운반된 생콘크리트(F)는 슈트(183a)에서 연속하여 정량적으로 꺼내진다.
원통형상 안내부(185)와 스크류 (184a)에 의해 형성된 생콘크리트 (F)의 이송공간 (186)내에 삽입되도록 조절용 게이트판 (187)은 설치된다. 공간(186)내에 이송되는 생콘크리트(F)의 양은 조절용 게이트판 (187)에 의하여 조정될 수 있다.
조절용 게이트판 (187)은 상기 용기상 본체 (183)상에 제공된 유압실린더(188)의 프런저로드 (188a)에 의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원통형상 안내부(185)의 상방에서 공간 (186)쪽으로 삽입되어 삽입깊이를 조절할 수 있다.
조절용 게이트판 (187)은 스크류 (184a)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고,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공간의 전체폭에 걸쳐서 신장하도록 설치된다. 특히 게이트판은 그 하단을 스크류 (184a)의 외주로부터 등간격으로 이격하도록 반원형상으로 절단시킨다.
도면에 있어서, 189는 모터를, 190는 감속기를 도시하고 있으며 벨트(192)를 통하여 모터 (189)로 구동되는 감속기 (190)에 카프링 (191)을 통하여 연결된 스크류 (184a)의 샤프트를 가지며, 이로써 모터(189)에 의해 회전된다.
타워마스트(A)에 대하여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b)는 승강 캐리어 (K)에 대하여 프랜지(154a)제거 가능하게 걸리게 함으로써 이송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b)는 타워마스트(A)를 들여보내기 위해, 레일 (194)상에 이동 가능한 전동차 (195)를 사용하여 타워마스트(A)내로 운반되어, 그의 플랜지 (154a)를 여기에 현가되도록 승강 캐리어(K)에 대하여 걸게할 수 있다.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b)를 이동시키는데 사용되는 전동차(195)는 차륜(195a)의 한쌍을 구동휠(195a')로 하고, 전동차 (195)상에 제공된 모터 (196)에 의하여 구동되도록 구성된다. 전동차 (195)의 상부 네구석에는 상방으로 돌출하는 가이드핀 (191)이 설치되며,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 (Db)의 상면에 설치나 가이드 구멍 (도시생략)에 수납되도록 구성되어,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b)가 그 위에 있는 측길을 이동시킴 없이 전동차 (195)상에 놓이도록 허용한다.
도면 중 198은 모터(196)측과 구동휠(195a')측에 설치한 스프로켓을, 199는 이 스프로켓 (198,198)에 걸쳐 통과되는 체인을 표시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제69도 내지 제98도에 도시되는 제5실시예에 따른 생콘크리트 운반장치는 타워마스트(A)에 대한 리프트(B)의 승강방법 및 구조, 붐(C)의 신장과 수축, 선회 방법 및 고조, 붐(C)의 선축, 선회방법 및 구조,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b)의 승강방법 및 구조,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 (Db)의 승강기능과 구조, 붐(C)상의 벨트컨베이어(G)의 운반방법 및 구조, 붐 (C)상의 트립퍼장치(H)에 의한 생콘크리트(F)의 인출기능 및 구조, 공급수단 (E)에 의한 생콘크리트(F)으 인출기능 및 구조 등과 같이, 상술한 기능과 구조를 제외하고는 타실시예에 따른 생콘크리트 운반장치와 실질상동일한 기능과 구조를 갖는다.
(6) 제6실시예에 따른 생콘크리트 운반장치
제99 도 내지 제100도는 제6도의 실시예에 따른 생콘크리트 운반장치를 표시하고 있다.
여기서 구성되는 생콘크리트 운반장치는 타워마스트(A)와 이 타워마스트(A)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리프트(B)와, 이 리프트(B)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부(N)와, 이 회전부(N)상에 설치되고 2 개의 연결붐(C',C)을 포함하는 붐(C)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타워마스트(A)에는, 싱콘크리트(F)의 운반에 사용되는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가 승강 가능하게 제공된다.
붐 (C)에는 생콘크리트(F)의 운반용 벨트콘베이어(G)가 제공되고, 붐(C), 특히, 근원측 붐(C')에는 트립퍼장치 (H)가 제공된다.
리프트(B), 붐(C),또는 회전부 (N)에는 컨테이너(M)가 제공된다.
리프트(B), 붐(C), 또는 회전부(B)상에 설치된 운반 컨테이너 (M)는 상기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로부터 직접 또는 슈트 등의 운반수단을 통하여 생콘크리트를 수용하는 수용 컨테이너(P)와, 상기 운반용 벨트컨베이어 (G)에 직접 또는 부가 제공된 운반수단을 통하여 수용된 생콘크리트(F)를 연속하여 정량적으로 운반하는 공급수단(E)을 포함한다.
상기 구조를 갖는 생콘크리트 운반장치에 있어서, 공급수단(E)없이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b)에 의하여 타워마스트(A)의 하부로부터 운반되어 올려진 생콘크리트(F)는 직접, 또는 부가 제공된 운반수단을 통하여 운반 컨테이너(M)쪽으로 운반되고, 또한 붐(C)의 벨트컨베이어(G)에 직접 또는 생콘크리트를 연속하여 정량적으로 송출하기 위하여 운반 컨테이너(M)상에 제공된 공급수단(E)에 의하여 부가 제공된 운반수단을 통하여 연속하여 정량적으로 공급된다.
이 결과, 이 연속하여 정량적으로 공급되는 생콘크리트(F)를 트립퍼장치(H)를 사용함으로써 벨트컨베이어(G) 의 임의의 위치 또는 벨트컨베이어(G)의 선단축으로부터 콘크리트의 타설 대상위치 쪽에 연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콘트리트 타설위치 쪽으로의 생콘크리트(F)의 공급위치 결졍은 예를들어 레일 (17)을 이용한 타워마스트(A)의 이동조작과, 리프트(B)의 승강위치결정과, 이 리프트(B)상에 제공된 회전부(N)의 회전위치와 붐(C)에 대하여 붐(C)상에 제공된 트립퍼장치(H)의 이동위치결정, 및 선단측 붐(C)의 신축 조작 등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
제6 실시예에 따른 생콘크리트 운반장치는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 (Db)에 의하여 운반되어 올려지는 생콘크리트(F)가 이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b)로부터 직접, 또는 부가 제공된 운반수단(L)등의 적절한 운반수단을 통하여 생콘크리트(F)를 수용하는 수용 컨테이너(P)와 이 수용된 생콘크리트(F)를 연속하여 정량적으로 송출하는 공급수단(E)과, 운반 컨테이너 (M)에 수용된 생콘크리트(F)는 연속하여 정량적으로 벨트컨베이어(G)에 운반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4실시예에 따른 생콘크리트 운반장치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 한 구성을 갖는다.
제6실시예의 동작, 및 기능과 구성요소는 상기의 차이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4실시예에 따른 생콘크리트 운반장치의 동작, 기능 및 구성요소가 동일하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상기 이유로, 상기 제4실시예에 따른 생콘크리트 운반장치와 동일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의 번호를 붙이고, 그의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제99도 및 제100도에 있어서 도시된 제6실시예에 따른 생콘크리트 운반장치는, 명백히 상술한 상기 제4실시예와 다른 구조, 즉 타워마스트(A)의 주행방법 및 구조, 각 리프트의 승강방법 및 구조, 붐(C)의 조립방법 및 구조,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에서 생콘크리트의 공급방법 및 구조, 생콘크리트(F)를 연속하여 정량적으로 송출하는 공급수단(E)의 기능 및 구조, 벨트컨베이어(G)의 구조, 및 트립퍼장치(H)를 사용또는 이것을 사용함없이 벨트컨베이어 (G) 로부터 생콘크리트(F)를 꺼내는 구조 등을 제외하고는 장치의 조작방법 및 구조에 대해 상기 제6실시예에 따른 생콘크리트 운반장치와 동일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제99도에 도시된 생콘크리트 운반장치는 운반 컨테이너(M)가 회전부(N), 특히, 회전부(N)상에 제공된 붐(C)상에 설치되고, 운반 컨테이너(M)상에 설치되고 생콘크리트(F)를 연속하여 정량적으로 송출하는 공급수단(E)에 의하여 생콘크리트(F)가 연속하여 정량적으로 벨트컨베이어(G)에 운반되도록 구성된다.
제99도에서 도시된 생콘크리트 운반장치에 있어서, 회전피이더 등의 운반수단(L)은 타워마스트(A)상에 제공된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 (Db)에 의하여 운반되어 올려진 생콘크리트(F)를 상기 운반 컨테이너(M)에 운반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타워마스트(A)의 둘레를 회전하도록 설치된다.
운반수단(L)은 리프트(B)와, 이 리프트(B)상에 제공된 회전부(N)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4실시예에 따른 생콘크리트 운반장치의 일부를 구성하는 운반수단(L)과 동일히게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리프트(B)의 승강동작 및 회전부 (N)의 회전동작에 대하여 어떤 지장을 초래하는 일이 없도록 구성된다.
제99도에 도시된 생콘크리트 운반장치는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에 의해 운반되어 올려진 생콘크리트(F)가 컨테이너형상 캐리어(Db)에서 직접 또는 슈트 등의 다른 운반수단을 통하여 상기 운반수단(L)에 운반되며, 이 운반수단(L)에 수용된 생콘크리트(F) 가 슈트(199)를 통하여, 운반 컨테이너(M), 특히 운반 컨테이너 (M)으 일부를 구성하는 수용 컨테이너 (P)로 운반되도록 구성된다.
이와같은 배열은 운반 컨테이너 (M)에 수용된 생콘크리트(F)를 운반 컨테이너에 수용된 생콘크리트(F)를 연속하여 정량적으로 송출하는 공급수단 (E)에 의하여 붐 (C) 의 벨트컨베이어(G)에 연속하여 정량적으로 송출되도록 허용된다.
제100도에 도시된 생콘크리트 운반장치는 운반 컨테이너 (M)가 리프트(B)의 측면상에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리프트(B)상에 설치된 운반 컨테이너 (M)는 생콘크리트(F)를 수용하는 수용 컨테이너(P)와, 이 수용된 생콘크리트(F)를 연속하여 정향적으로 송출하는 공급수단(E)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운반 컨테이너(M)는 슈트 (198)를 통하여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 (Db)에서 생콘크리트(F)를 수용하고 이 수용된 생콘크리트(F)는 연속하여 정량적으로 운반수단(L)에 송출되도록 구성된다.
운반 컨테이너 (M)에서 생콘크리트(F)를 수용하는 운반수단(L)은 예를 들어 타워마스트(A)의 둘레를 회전하도록 설치된 회전피이더로 구성된다.
예컨대, 운반수단(L)은 리프트(B)와, 이 리프트(B)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부(N)사이의 타워마스트(A)의 둘레를 회전하는 환상밴드로 형성된 회전피이더에 의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운반수단(L)으로 받아 운반된 생콘크리트(F)는 슈트(199)를 통하여 붐(C)의 벨트컨베이어(G)에 인도된다.
제99도 및 제100도에 도시된 생콘크리트 운반장치는 생콘크리트(F)를 연속하여 정향적으로 송출하는 공급수단(E)이 컨테형상 캐리어(Db)에 설치되지 않고, 대신하여, 생콘크리트(F)를 연속하여 정량적으로 송출하는 공급수단 (E)을 운반 컨테이너(M)에 설치시키고 운반 컨테이너 (M)가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b)와 벨트컨베이어(G) 사이의 생콘크리트(F)를 운반하는 운반로에 설치되도록 구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6실시예에 따른 생콘크리트의 운반장치와 동일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이유 때문에, 제6실시예에 따른 생콘크리트 운반장치와 동일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의 번호롤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99도 및 제100도에 도시된 생콘크리트 운반장치에 사용된 있는 운반 컨테이너(M)는 상기 제5실시예에 따른 생콘크리트 운반장치에 있어서 사용된 운반 컨테이너 (M)와 동일한 구조를 갖일 수 있다.
상기 이유 때문에, 상기 제5실시예에 따른 생콘크리트 운반장치에 사용된 운반 컨테이너 (M)의 구조와 동일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 번호를 부여하는 D의 설명을 생략한다.
전형적인 생콘크리트 운반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타워마스트(A)가 고정상태로 세워질 수 있으며,회전 프레임 몸체, 및 회전 스테이지 몸체와 회전부(N)는 상기 리프트(B)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붐(C) 회전부 (N)상에 공정상태 또는 선회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붐에는 벨트컨베이어(G) 가 제공되고, 1개의 수평 프레임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2개 이상의 연결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으며 제69도 내지 제98도에 도시된 제5실시예에 따른 생콘크리트 운반장치는 예를 들어 타워마스트(A)에 대한 리프트(B)의 승강방법 및 구조, 리프트(B)에 대한 회전부(N)의 회전방법 및 구조, 붐(C) 의 신축, 선회작동 및 구조 붐 (C)에 있어서 벨트컨베이어(G)의 운반방법 및 구조, 붐(C)상의 트립퍼장치(H) 에 의한 생콘크리트(F)를 꺼내기 방법 및 구조, 운반 컨테이너(M)에 의한 인도작동 방법 및 구조, 및 공급수단 (E)에 의한 생콘크리트(F)의 꺼내기 작동 및 구조 등을 제외하고는 다른 실시예에 따는 생콘크리트 운반장치와 실질상 동일한 작동 및 구조를 갖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실시예에 사용된 각종장치, 구조 및 부품은 가장 전형적인 장치, 구조 및 부품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저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생콘크리트(F)를 연속하여 정량적으로 송출하는 공급수단(E)을 포함하는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 (Da)와 운반 컨테이너(M) 는 각종의 피어더류를 직접 그대로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타워마스트( A)의 주행방법, 타워마스트(A) 의 선회방법, 타워마스트(A)의 직립방법, 리프트(B)의 승강방법, 회전부(N)의 회전방법, 붐(C)의 선회방법, 붐(C)의 현가방법, 붐(C)의 신축방법 등은 상술한 바와 다른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 (D) 및 승강 캐리어 (K) 등의 승강조작방법, 각 벨트컨베이어 (G',G) 의 구성방법, 벨트컨베이어(G)에서 생콘크리트(F)를 꺼내는 트립퍼장치(H), 이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로부터 벨트 컨베이어(G) 또는 운반 컨테이너(M)쪽으로 생콘크리트를 전달하는 슈트 등의 각종의 운반방법, 운반 컨테이너(M)로부터 벨트 컨베이어( G)쪽으로 생콘크리트(F) 전달하는 슈트 등의 운반방법, 및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까지 생콘크리트(F) 의 공급방법 등은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 이외의 다른 각종의 방법에 의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에 따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전형적인 제1실시예에 따른 생콘크리트 운반 장치는 타워 마스트(A) 와, 이 타워 마스트(A) 상에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된 리프트(B)와, 이 리프트(B)에 선회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단일붐 또는 복수의 연결붐으로 구성된 붐(C)을 포함하며; 상기 타워마스트(A)에는 생콘크리트의 운반에 사용된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 (K)가 승강 가능하도록 제공되고, 상기 붐(C)에는,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 (D)로 부터 직접 또는 부가 제공된 운반 수단을 통하여 공급된 생콘크리트의 운반용 벨트컨베이어(F)가 제공되며; 상기 단일붐 (C)또는 상기 리프트 (B)에 대한 부착측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연결붐(C)에 트립퍼 장치(H)가 설치되며; 상기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 (D)에는 벨트 컨베이어 (G)에 직접 또는 부가 설치된 운반수단을 통하여 컨테이너 형상 게리어(D) 에의해 운반된 생콘크리트를 연속하여 정량적으로 송출하는 공급수단 (E)이 제공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조를 갖는 생콘크리트 운반장치에 있어서,타워마스트(A)의 하부로 부터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 (D)에 의하여 운반되어 올려진 생콘크리트(F)는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상의 공급수단(E) 에 의하여 붐 (C)상의 벨트컨베이어(G)쪽으로 연속하여 정량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연속하여 정량적으로 공급된 생콘크리트(F)는 그 벨트컨베이어 (G)의 선단측 또는 트립퍼장치 (H)를 사용함으로써 벨트컨베이어 (G)의 임의의 위치로부터 콘크리트 타설위치 쪽으로 연속하여 정량적으로 공급 될수 있다.
콘크리트의 타설위치 쪽으로의 생콘크리트(F)의 공급위치 결정은 타워마스트(A)상의 리프트(B)의 승강조작과 이 리프트(B)상의 붐 (C)의 선회조작과, 선단측의 붐의 신장 및 수축조작 또는 붐(C)상의 트립퍼장치(H)의 붐 (C)에 대한 위치 조작 등에 의하여 수행된 벨트 컨베이어(G)로 부터의 생콘크리트(F)를 꺼내는 위치의 위치결정에 의하여 행해질 수 있다.
다음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전형적인 제2실시예에 따른 생콘크리트 운반장치는 타워마스트(A)와, 이 타워마스트(A)상에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된 리프트(B)와, 이 리프트(B)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회전부(N)와, 이 회전부 (N)상에 설치되고 단일붐 또는 복수의 연결붐으로 구성되는 붐(C)을 포함하며; 상기 타워마스트 (A)에는 생콘크리트(F)의 운반에 사용된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 (D)가 승강 가능하도록 제공되며,상기 붐(C)에는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 (D)로 부터 직접 또는 부가 제공된 운반수단을 통하여 공급된 생콘크리트 (F)의 운반용 벨트컨베이어(G)가 제공되며; 상기 단일붐(C) 또는 상기 회전부(N)에 대한 부착측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연결붐에 트립퍼장치(H)가 설치되고; 또한 상기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에는 이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에 의하여 벨트 컨베이어(G)에 직접 또는 부가 제공된 운반수단을 통하여 운반된 생콘크리트를 연속하여 정량적으로 송출하는 공급수단(ㄷ)이 제공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조를 갖는 생콘크리트 운반장치에 있어서, 타워 마스트(A)의 하부로부터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 (D)에 의하여 운반되어 올려진 생콘크리트 (F) 는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상의 공급 수단 (E)에 의하여 붐 (C) 상의 벨트컨베이어 (G)에 직접 또는 부가 제공된 운반수단을 통하여 연속하여 정량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연속하여 정량적으로 공급되는 생콘크리트 (F)는 벨트컨베이어 (G)의 선단측 또는 트립퍼장치(H)를 사용함으로써 벨트컨베이어(G)의 임의의 위치로 부터 콘크리트 타설위치쪽으로 연속하여 정량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콘크리트 타설위치 쪽으로의 생콘크리트 (F) 의 공급위치 결정은 벨트컨베이어(G)로부터의 생콘크리트(F)를 꺼내는 위치의 위치결정의 의하여 행해질 수 있으며, 이것은 타워마스트 (A)상의 리프트(B)의 승강조작과 이 리프트(B)상의 회전부(N)의 회전조작과, 선단측의 붐의 신장 및 수축 조작, 또는 붐 (C) 상의 트립퍼장치 (H) 의 붐 (C) 에 대한 이동조작 등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다음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전형적인 제3실시예에 따른 생콘크리트 운반장치는 회전 가능하도록 직립설치된 타워마스트(A)와, 이 타워마스트(A)상에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된 리프트(B)와, 단일붐 또는 복수의 연결붐을 포함하는 리프트(B) 상에 설치된 붐(C)을 포함하며; 상기 타워마스트에 (A)는 생콘크리트(F)의 운반에 사용된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가 승강 가능하도록 제공되며, 상기 붐(C)에는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에 의하여 캐리어(D)로부터 직접 또는 부가 제공된 운반수단을 통하여 운반된 생콘크리트(F)의 운반용 벨트컨베이어(G)가 제공되며; 상기 단일붐(C) 또는 상기 리프트(B)에 대한 부착측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연결붐(C)에 트리피장치(H)가 설치되며; 또한 상기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에 (D)는 이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에 의하여 운반된 생콘크리트(F)를 연속하여 정량적으로 벨트컨베이어(G)로 직접 또는 부가 제공된 운반수단을 통하여 송출하는 공급수단(E)이 제공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조를 갖는 생콘크리트 운반장치에 있어서, 타워마스트(A)의 하부로부터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에 의하여 운반되어 올려진 생콘크리트(F)는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상의 공급수단(E)에 의하여 붐(C)상의 벨트컨베이어(G)쪽으로 연속하여 정량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연속하여 정량적으로 공급되는 생콘크리트(F)는 벨트컨베이어(G)의 선단측 또는 트립퍼장치(H)를 사용함으로써 벨트컨베이어(G)상의 임의의 위치로부터 콘크리트의 타설위치 쪽으로 연속하여 정량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콘크리트의 타설위치 쪽으로의 생콘크리트(F)의 공급위치결정은 벨트컨베이어(G)로부터의 생콘크리트(F)의 꺼내기 위치결정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것은 타워마스트(F)의 회전조작과, 타워마스트(A)상의 리프트(B)의 승강조작과, 선단측의 붐의 신장과 및 수축 조작, 또는 상기 붐(C)상의 트립퍼장치(H)의 붐(C)에 대한 이동조작등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다음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전형적인 제4 실시예에 따른 생콘크리트 운반장치는 타워마스트(A)와, 이 타워마스트(A)상에 승강 가하도록 설치된 리프트(B)와, 이 리프트(B)상에 선회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단일붐 또는 복수의 연결붐을 구성하는 붐을 포함하며; 상기 타워마스트(A)에는 생콘크리트(F)의 운반에 사용된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가 승강 가능하도록 제공되고, 상기 붐(C)에는 생콘크리트(F)의 운반용 벨트컨베이어(G)가 제공되며; 상기 리프트(B) 또는 상기 붐(C)에는 상기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에 의하여 운반된 직접 또는 부가 제공된 운반수단을 통하여 생콘크리트(F)를 수용하는 수용 컨테이너(P)와, 수용된 생콘크리트(F)를 연속하여 정량적으로 송출하는 공급수단(E)을 포함하는 수용 컨테이너(M)가 제공되며; 또한 단일붐(C) 또는 상기 리프트(B)에 대한 부착측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연결붐(C)에 트리피장치(H)가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조를 갖는 생콘크리트 운반장치에 있어서, 타워마스트(A)의 하부로부터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에 의하여 운반되어 올려진 생콘크리트(F)는 직접 또는 부가 제공된 운반 컨테이너(M)의 수용 컨테이너(P)내에 수용될 수 있다. 수용된 생콘크리트(F)는 연속하여 정량적으로 운반 컨테이너(M)상의 공급수단(E)으로부터 직접 또는 부가 제공된 운반 컨테이너(M)를 통하여 상기 붐(C)상의 있는 벨트컨베이어(G)에 공급된다. 연속하여 정량적으로 공급되는 생콘크리트(F)는 벨트컨베이어(G)의 임의의 위치에서 트립퍼장치를 사용하여 콘크리트의 타설위치 쪽으로, 또는 벨트컨베이어(G)의 선단측으로부터 콘크리트 타설위치 쪽으로 공급될 수 있다.
콘크리트 타설위치 쪽으로의 생콘크리트(F) 공급위치 결정은 벨트컨베이어(G)로부터의 생콘크리트(F)의 꺼내기 위치의 위치결정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것은 타워마스트(A)상의 리프트(B)의 승강조작과, 이 리프트(B)상의 붐(C)의 선회조작과, 선단측의 붐의 신장 및 수축조작, 또는 붐(C)상의 트립퍼장치(H)의 그 붐(C)에 대한 이동조작 등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전형적인 제5 실시예에 따른 생콘크리트 운반장치는 타워마스트(A)와, 이 타워마스트(A)상에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된 리프트(B)와, 이 리프트(B)상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회전부(N)와, 이 회전부(N)상에 설치되며 단일붐 또는 복수의 연결붐을 구성하는 붐(C)을 포함하며; 상기 타워마스트(A)에는 생콘크리트(F)의 운반에 사용된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가 승강 가능하도록 제공되고, 상기 붐(C)에는 생콘크리트(F)의 운반용 벨트컨베이어(G)가 제공되며; 상기 리프트(B), 상기 회전부(N) 또는 상기 붐(C)에는 상기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로부터 직접 또는 부가 제공된 운반수단을 통하여 운반된 생콘크리트(F)를 수용하는 수용 컨테이너(P)와, 수용된 생콘크리트(F)를 직접 또는 부가 제공된 운반수단을 통하여 벨트컨베이어(G)에 연속하여 정량적으로 송출하는 공급수단(E)을 포함하는 운반 컨테이너(M)가 제공되며; 또한 상기 단일붐(C) 또는 상기 회전부(N)에 대한 부착측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연결붐(C)에 트립퍼장치(H)가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조를 갖는 생콘크리트 운반장치에 있어서, 타워마스트(A)의 하부로부터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에 운반되어 올려진 생콘크리트(F)는 직접 또는 부가 제공된 운반수단을 통하여 운반 컨테이너(M)상의 수용 컨테이너(P)에 수용될 수 있다. 수용된 생콘크리트(F)는 운반 컨테이너(M)상의 공급수단(E)에 의하여 붐(C)상의 벨트컨베이어(G)에 연속하여 정량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연속하여 정량적으로 공급되는 생콘크리트(F)는 벨트컨베이어(G)의 선단측으로부터 콘크리트의 타설위치 쪽으로 또는 벨트컨베이어(G)상의 임의의 위치에서 트립퍼장치(H)에 의하여 콘크리트 타설위치 쪽으로의 연속하여 정량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벨트컨베이어(G)로부터의 생콘크리트(F)의 꺼내기 위치의 위치결정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것은 콘크리트 타설위치 쪽으로 생콘크리트(F)의 공급위치결정은 타워마스트(A)상의 리프트(B)의 승강조작과, 이 리프트(B)상의 회전부(N)의 회전조작과, 선단측상의 붐의 신장 및 수축 조작, 또는 붐(C)상의 트립퍼장치(H)의 붐(C)에 대한 이동 조작 등에 의하여 수행된다.
다음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전형적인 제6 실시예에 따른 생콘크리트 운반장치는 회전 가능하도록 직랍 설치된 타워마스트(A)와, 이 타워마스트(A)상에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된 리프트(B)와, 이 리프트(B)상에 회전 가능하도록 단일붐 또는 복수의 연결붐을 구성하는 붐(C)을 포함하며; 상기 타워마스트(A)에는 생콘크리트(F)의 운반에 사용된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가 승강 가능하도록 제공되고, 상기 붐(C)에는 생콘크리트(F)의 운반용 벨트컨베이어(G)가 제공되며; 상기 리프트(B) 상기 상기 붐(C)에는 상기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에 의하여 직접 또는 부가 제공된 운반수단을 통하여 운반된 생콘크리트(F)를 수용하는 수용 컨테이너(P)와, 수용된 생콘크리트(F)를 직접 또는 부가 제공된 운반수단을 통하여 벨트컨베이어(G)에 연속하여 정량적으로 송출하는 공급수단(E)을 포함하며; 또한 상기 단일붐(C) 또는 상기 리프트(B)에 대한 부착측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연결붐(C)에 트립퍼장치(H)가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조를 갖는 생콘크리트 운반장치에 있어서, 타워 마스트(A)의 하부로부터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에 의하여 운반되어 올려진 생 콘크리트(F)는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로부터 직접 또는 부가 제공된 운반수단을 통하여 용기중계구(M)상의 수용 컨테이너(P)내로 수용될 수 있다. 수용된 생콘크리트(F)는 운반 컨테이너(M)상의 공급수단(E)에 의하여 붐(C)상의 벨트컨베이어(G)에 연속하여 정량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연속하여 정량적으로 공급되는 생콘크리트(F)는 벨트컨베이어(G)의 선단측으로부터 콘크리트 타설위치에 연속하여 정량적으로 공급되거나 또는 벨트컨베이어(G)상의 임의의 위치에서 트립퍼장치를 사용하여 콘크리트 타설위치에 연속하여 정량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콘크리트 타설위치 쪽으로의 생콘크리트(F)의 공급위치 결정은 타워마스트(A)의 회전조작과, 이 타워마스트(A)에 있어서 리프트(B)상의 승강조작과, 선단측에 있는 붐의 신장 및 수축 조작, 또는 상기 붐(C)상의 트립퍼장치(H)의 붐(C)에 대한 이동조작 등에 의하여 수행되는, 이루어진 당해 벨트컨베이어(G)로부터의 생콘크리트(F)의 꺼내기 위치의 위치결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6 실시예에 따른 생콘크리트 운반장치는 타워마스트 (A) 가 생콘크리트의 타설 작업현장에서 고정된 상태에서 세워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주행레일 등을 이용하여, 예컨대 설될 댐의 크레스트(crest) 에 따른 방향 (댐의 축방향) 으로 이동될 있다.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6 실시예에 따른 운반장치에 제공된 붐 (C) 은 수평방향으로 신장한 1 개의 프레임인 붐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붐은 리프트 (B) 상의 회전부 (N) 에 대략 수평방향으로 부착되는 근원측 붐과, 이 붐에 대하여 그 이상의 선단측 붐에 의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또 단일붐을 형성하도록 함께 고정된 복수개의 붐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붐에 대하여 붐 (C) 을 구성하는 경우에, 근원측 붐상의 벨트컨베이어 (G) 로부터 선단측 붐상의 벨트컨베이어 (G) 까지 생콘크리트 (F) 가 순차로 인도되도록 구성된다.
본 장치상에 제공된 트립퍼장치 (H) 는 생콘크리트 운반장치가 단일 붐을 갖는 경우에 붐 (C) 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붐 (C) 이 복수의 붐에 의하여 구성되는 경우에, 본 장치는 붐 (C) 을 구성하는 모든 붐상에, 붐 (C)의 리프트 (B) 상에 위치하거나 또는 회전부에 (N) 에 대한 부착측에 있는 붐, 또는 부착측에 있는 붐을 적어도 포함하는 복수의 붐상에 트립퍼장치 (H) 가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제2 및 제5 실시예에 따른 생콘크리트 운반장치에 있어서, 붐 (C) 은 회전부 (N) 상에 선회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생콘크리트 운반장치는 타워 마스트 (A) 상에 선회 가능하도록 설치된 단일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 (D) 또는 일세트의 하나의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 (D) 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타워마스트(A)는 일세트의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를 포함하는 경우, 본 자치는 바람직하게 캐리어들이 벨트컨베이어 (G) 위에 순차로 콘크리트 (F) 를 운반하도록 구성되며, 서로 시간이 다른 리프트를 갖는다.
생콘크리트 운반장치상에 제공된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 (D)는 바람직하게는 타워마스트 (A) 에 대하여 캐리어가 동일한 수직선을 따라서 상하방향으로 왕복하도록 구성된다.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 (D) 는 타워마스트 (A) 상에 승강 가능하도록 제공된 승강 캐리어 (K) 는 승강상태, 현가상태 또는 행김상태 등의 상태로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를 지지하며, 승강 캐리어는 (K) 는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 를 상기 타워마스트 (A) 에 대하여 승강시키기 위해 예컨대 윈치에 의하여 조작되는 와이어를 사용하여 승강 조작될 수 있다.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 (D)는 윈치에 의해 작동된 와이어는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D)를 직접 타워마스트 (A) 에 대하여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 (D) 자체를 연결시키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른 생콘크리트 운반장치의 일부를 구성하는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 (D) 에는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 (D) 에 의해 수용된 생콘크리트를 연속하여 정량적으로 송출하는 공급 수단으로서의 스크류피이더, 벨트피이더 등이 제공될 수 있다.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는 공급 수단 (E) 에 의하여 생콘크리트를 직접 또는 부가 제공된 운반수단을 통하여 연속하여 정량적으로 벨트컨베이어 (G) 에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4 내지 제6 실시예에 따른 생콘크리트 운반장치의 일부를 구성하는 운반 컨테이너 (M) 는 상기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 (D) 로부터 직접 또는 부가 제공된 운반수단을 통하여 생콘크리트 (F) 가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운반 컨테이너 (M) 는 하부측에 스크류피이더와 벨트피이더 등의 정량 공급수단 (E), 즉 운반 컨테이너 (M) 에 수납된 생콘크리트 (F) 를 연속하여 정량적으로 벨트컨베이어 (G) 쪽으로 송출하는 공급수단 (E) 을 설치하도록 구성된다. 운반 컨테이너는 공급수단 (E) 에 의하여 생콘크리트 (F) 를 직접 또는 부가 제공된 운반수단을 통하여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생콘크리트 운반장치의 일부를 구성하는 공급수단(E) 에 의한 생콘크리트 (F) 의 공급과 관련하여 사용된 연속적으로란 표현은 벨트컨베이어 (G) 상에서 어떤 불연속 없이 생콘크리트 (F) 가 공급되는 것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벨트컨베이어 (G) 상에서 불연속 방법으로 단속적으로 생콘크리트 (F) 가 단속적으로 공급되더라도, 이 생콘크리트 (F) 는 이런 불연속적인 공급이 벨트컨베이어 (G) 에 의한 운반을 방해하지 않으며, 코크리트의 타설면이 악영향을 초래하지 않는 방법으로, 벨트컨베이어 (G) 상에서 불연속적이고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경우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명세서 내에서 정량적으로 의 표현은 엄격한 의미에서 균일의 양의 생콘크리트가 공급되는 것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벨트컨베이어 (G) 의 구동을 방해하지 않고 콘크리트의 타설면에 악영향을 가져오는 양적인 변화가 시차적으로 발생함 없이, 즉 벨트컨베이어 (G) 상에 공급되는 생콘크리트 (F) 가 시간, 적절한 시차의 허용범위내의 공급으로 편차를 유지하면서 공급되는 경우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생콘크리트 운반장치는 해당장치의 전형예를 표시한 것으로서, 기술한 구성요소는 기술한 특정한 구성요소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들어 구성요소를 개량하거나, 또는 기존 구성요소에 대하여 물론 부가함으로써 다양한 형태로 개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생콘크리트 운반장치는 타워마스트(A) 상에 제공된 승강 캐리어(D)에 의하여 다량의 생콘크리트를 목적 높이까지 운반하여 올릴 수 있다. 운반장치는 붐 (C)상에 제공된 벨트콘베이어 (G)에 의하여 생콘크리트를 콘크리트의 타설 위치까지 안내할 수 있다. 생콘크리트는 공급수단(E)에 의하여 연속하여 정량적으로 벨트컨베이어 (G)에 송출될 수 있기 때문에, 생콘크리트를 그의 타설위치에 쪽으로 용이하게 그리고 확실하게 이송할 수 있다.
따라서, 생콘크리트 운반장치는 댐의 건설시에 생콘크리트의 운반에 사용하기가 적합하다.
생콘크리트 운반장치는 철근콘크리트제의 교각의 건축시 생콘크리트의 운반에 사용하기가 적합하다.
생콘크리트 운반장치는 철근 콘크리트제의 굴뚝의 건축시 생콘크리트의 이송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생콘크리트 운반장치는 상기 이외의 각종 건축물 및 각종 구조물의 건축시 생콘크리트의 이송에 사용하는데 적합하다.

Claims (6)

  1. 타워마스트와, 이 타워마스트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리프트와, 이 리프트에 선회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단일붐 또는 복수외 연결붐으로 구성되는 붐을 포함하며; 상기 타워마스트에는 생콘크리트의 운반에 사용되는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가 승강가능하도록 제공되고, 상기 붐에는 상기 캐리어로부터 직접 또는 부가 제공된 운반수단을 통하여 공급된 콘크리트를 운반하는 벨트컨베이어가 제공되며; 상기 단일붐에 또는 연결 붐들중에서 상기 리프트에 대한 부착측에 위치한 붐을 포함하는 일 이상의 붐에 트립퍼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캐리어에는 상기 캐리어에 의해 운반된 콘크리트를 벨트 컨베이어에 직접 또는 부가 설치된 운반수단을 통하여 연속하여 정량적으로 송출하는 공급수단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생콘크리트 운반장치.
  2. 타워마스트와, 이 타워마스트에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된 리프트와,이 리프트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회전부와, 이 회전부상에 설치되고 단일붐 또는 복수의 연결붐으로 구성되는 붐을 포함하며; 상기 타워마스트에는 생콘크리트의 운반에 사용되는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가 승강 가능하도록 제공되며; 상기 붐에는 상기 캐리어로부터 직접 또는 부가 제공된 운반수단을 통하여 공급된 콘크리트를 운반하는 벨트컨베이어가 제공되며; 상기 단일붐에 또는 연결 붐들중에서 상기 회전부에 대한 부착측에 위치한 붐을 포함하는 일 이상의 붐에 트립퍼장치가 설치되고;또한 상기 캐리어에는 상기 캐리어에 의하여 운반된 콘크리트를 벨트컨베이어에 연속하여 정량적으로 송출하는 공급수단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콘크리트 운반장치.
  3. 회전이 가능하도록 직립설치된 타워마스트와, 이 타워마스트에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된 리프트와, 리 리프트(B)상에 설치되고 단일붐 또는 복수의 연결붐으로 구성되는 붐을 포함하며; 상기 타워마스트에는 생콘크리트의 운반에 사용되는 컨테이너 형상캐리어가 승강이 가능하도록 제공되며, 상기 붐에는 상기 캐리어에 의하여 운반된 콘크리트를 운반하는 벨트컨베이어가 제공되며; 상기 단일붐에 또는 연결 붐들중에서 상기 리프트에 대한 부착측에 위치한 붐을 포함하는 일 이상의 붐에 트립퍼장치가 설치되며; 또한 상기 캐리어에는 상기 캐리어에 의하여운반된 콘크리트를 벨트 컨베이어로 연속하여 정량적으로 송출하는 공급수단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생콘크리트 운반장치.
  4. 타워마스트와, 이 타워마스트상에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된 리프트와, 이 리프트상에 선회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단일붐 또는 복수의 연결붐으로 구성되는 붐을 포함하며; 상기 타워마스트에는 생콘크리트의 운반에 사용되는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가 승강이 가능하도록 제공되고, 상기 붐에는 콘크리트를 운반하는 벨트컨베이어가 제공되며; 상기 단일붐에 또는 연결 붐들중에서 상기 리프트에 대한 부착측에 위치한 붐을 포함하는 일 이상의 붐에 트립퍼장치가 설치되며; 또한 상기 리프트 또는 상기 붐에는 상기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에 의하여 운반된 콘크리트를 수용하는 수용컨테이너와, 수용된 콘크리트를 연속하여 정량적으로 송출하는 공급수단을 포함하는 운반 컨테이너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콘크리트 운반장치.
  5. 타워마스트와, 이타워마스트상에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된 리프트와, 이 리프트상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회전부와, 이 회전부상에 설치되며 단일붐 또는 복수의 연결붐으로 구성되는 붐을 포함하며; 상기 타워마스트에는 생콘크리트의 운반에 사용되는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가 승강 가능하도록 제공되고, 상기 붐에는 상기 캐리어에 의하여 운반된 콘크리트를 운반하는 벨트컨베이어가 제공되며; 상기 단일붐에 또는 연결 붐들중에서 상기 회전부에 대한 부착측에 위치한 붐을 포함하는 일 이상의 붐에 트립퍼장치가 설치되며; 또한 상기 리프트, 상기 회전부 또는 상기 붐에는 상기 캐리어(D)에 의하여 운반된 콘크리트를 수용하는 수용 컨테이너와, 수용된 콘크리를 연속하여 정량적으로 송출하는 공급수단을 포함하는 운반 컨테이너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콘크리트 운반장치.
  6. 회전 가능하도록 직립 설치된 타워마스트와, 이 타워마스트상에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된 리프트와, 이 리프트상에 선회가능하도록 설치되고 단일붐 또는 복수의 연결붐으로 구성되는 붐을 포함하며; 상기 타워마스트에는 생콘크리트의 운반에 사용되는 컨테이너 형상 캐리어가 승강 가능하도록 제공되며, 상기 붐에는, 상기 캐리어에 의하여 운반된 콘크리트를 운반하는 벨트컨베이어가 제공되며; 상기 단일붐에 또는 연결 붐들중에서 상기 리프트에 대한 부착측에 위치한 붐을 포함하는 일 이상의 붐에 트립터장치가 설치되며; 또한 상기 리프트 또는 상기 붐에는 상기 캐리어에 의하여 운반된 콘크리트를 수용하는 수용 컨테이너와, 이 수용된 콘트리트를 연속하여 정량적으로 송출하는 공급수단을 포함하는 운반 컨테이너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콘크리트 운반장치.
KR1019960703506A 1994-11-22 1995-11-17 생콘크리트의 이송장치 KR1002251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312614 1994-11-22
JP31261494 1994-11-22
PCT/JP1995/002351 WO1996016242A1 (fr) 1994-11-22 1995-11-17 Appareil de transfert de beton pret a l'emploi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700093A KR970700093A (ko) 1997-01-08
KR100225154B1 true KR100225154B1 (ko) 1999-10-15

Family

ID=18031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3506A KR100225154B1 (ko) 1994-11-22 1995-11-17 생콘크리트의 이송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5807059A (ko)
KR (1) KR100225154B1 (ko)
CN (1) CN1075152C (ko)
AU (1) AU696326B2 (ko)
WO (1) WO199601624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2864B1 (ko) * 2023-11-30 2024-03-28 한국교통안전공단 수소전기차 및 가스연료차의 내압용기 검사용 보조리프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8595A (ja) * 1996-07-04 1998-01-20 Kabuki Kensetsu Kk 塔状の搬送装置
US6340278B1 (en) 1997-08-29 2002-01-22 Kabuki Construction Co., Ltd. Granule transfer apparatus and granule spreading method
US6668497B1 (en) 2001-08-23 2003-12-30 Putzmeister Inc. Concrete placing boom adapter
DE10246447A1 (de) * 2002-10-04 2004-04-15 Putzmeister Ag Fahrbare Betonpumpe mit einem Aufbaurahmen
US20050279973A1 (en) * 2004-03-09 2005-12-22 Rea Jared A Luggage cart vertical reciprocating conveyor
WO2007082222A1 (en) * 2006-01-12 2007-07-19 Putzmeister Inc. Pumping tower support system and method of use
CN1915770B (zh) * 2006-09-07 2010-08-18 梁明 带式输送机
US7642987B2 (en) * 2007-01-31 2010-01-05 Jerry Newman Monopole tower system
US8042306B2 (en) 2007-11-15 2011-10-25 Tony Jolly System and method for erecting a tower
US8544237B2 (en) * 2009-01-07 2013-10-01 Aerojet Rocketdyne Of De, Inc. Lifting system for solar power tower components
US8251199B2 (en) * 2009-12-03 2012-08-28 Flsmidth A/S Conveyor apparatus
CN101906764B (zh) * 2010-07-19 2011-07-20 四川大学 截流试验设备
CN101956557B (zh) * 2010-10-20 2012-03-28 中煤第一建设有限公司第十工程处 混凝土运输系统
CN101994393B (zh) * 2010-12-16 2012-11-14 上海汽车改装厂有限公司 具有可调高度的布料机
CN102392537B (zh) * 2011-09-14 2015-02-18 三一汽车制造有限公司 一种建筑机械
CN102733393B (zh) * 2012-07-24 2014-12-03 中国水利水电第七工程局成都水电建设工程有限公司 自升式混凝土皮带输送机
TWI495610B (zh) * 2013-02-08 2015-08-11 China Steel Corp Manual labor force hanging machine
DE102013203885A1 (de) * 2013-03-07 2014-09-11 Putzmeister Engineering Gmbh Arbeitsgerät mit Stationärmast und Drehkopf
DE102013203886A1 (de) * 2013-03-07 2014-09-11 Putzmeister Engineering Gmbh Arbeitsgerät mit Stationärmast und Drehkopf
CA2849463C (en) * 2013-03-15 2015-09-22 Howard M. Chin Weather maintenance system for an offshore wind turbine maintenance program
CA2826315A1 (en) * 2013-09-06 2015-03-06 Mattawa Industrial Services Inc. Elevation conveyance system and method
CN104655447B (zh) * 2014-01-17 2017-03-01 柳州钢铁股份有限公司 高炉槽下烧结矿皮带头部取样装置
US10315892B2 (en) * 2015-01-29 2019-06-11 Patrick B. Almeda Portable davit
EP3093262B1 (en) * 2015-05-12 2018-10-31 KONE Corporation An arrangement and a method for parallel transport and installation of elevator components
CN105239781A (zh) * 2015-10-21 2016-01-13 蔡旭东 一种混凝土自动提升系统
HUP1600186A2 (en) * 2016-03-08 2017-09-28 Cnc-Instruments Bt Devic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buildings by 3d printing
CN106760569B (zh) * 2017-02-24 2019-02-22 郑州大学 一种建筑工程用物料提升装置
WO2019040342A1 (en) * 2017-08-21 2019-02-28 Construction Robotics, Llc BUILDING ELEMENT LIFTING AMPLIFIER
CN108442705A (zh) * 2018-03-16 2018-08-24 李晓 一种混凝土布料机
CN111488665B (zh) * 2020-04-29 2022-11-15 中国电建集团成都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缆机运行监控系统及方法
US11737431B2 (en) * 2020-05-29 2023-08-29 Denise Michelle Berger Bird feeder support system
CN114508053B (zh) * 2022-01-21 2023-09-05 江苏中车城市发展有限公司 用于高架桥的提篮拱混凝土浇筑设备
CN115010007B (zh) * 2022-06-07 2023-05-05 燕山大学 电机和气泵混合驱动的搬运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91618U (ja) * 1983-11-28 1985-06-22 朝野 久司 ダム建設用コンクリ−トの打設装置
JPS61130561A (ja) * 1984-11-30 1986-06-18 財団法人 国土開発技術研究センタ− コンクリ−ト打設工法及びその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D43392A (ko) *
DE43392C (de) * THE DUGAR ENGINE AND ROD COMPANY in Cedartown, Georgia, V. St. A Pleuelstangenkopf mit zur Stangenlängsseite parallelem, keilförmigen Lagerdeckel
US1318472A (en) * 1919-10-14 Material elevating tower and discharge chute
US1396193A (en) * 1919-04-30 1921-11-08 Godin Adrien Elevator, conveyer, and crane
US1442521A (en) * 1921-03-31 1923-01-16 Wellman Seavermorgan Company Material-handling apparatus
US1588998A (en) * 1925-02-28 1926-06-15 Insley Mfg Company Head frame for mast hoists
US1681742A (en) * 1925-05-20 1928-08-21 Mcmyler Interstate Company Boat unloader
US1852385A (en) * 1930-04-14 1932-04-05 Peter A Weigert Conveyer
US1903633A (en) * 1930-12-09 1933-04-11 Gifford Wood Co Gate
US1886117A (en) * 1931-04-30 1932-11-01 Jr Frank Pardee Combined car dumping and coal lowering apparatus
DE903678C (de) * 1938-04-21 1954-02-08 Augsburg Nuernberg A G Zweigni Entladevorrichtung fuer Schiffe mit einer die Lasten befoerdernden Laufkatze und einem von dieser beschickbaren Foerderband
US3486641A (en) * 1969-01-27 1969-12-30 Fruehauf Corp Bulk loader,unloader,and cargo container handling crane and method
JPS5358129A (en) * 1976-11-05 1978-05-25 Sekisui House Kk Hose tower for placing concrete
DE3311736A1 (de) * 1983-03-30 1984-10-04 Takenaka Komuten Co. Ltd., Osaka Vorrichtung zum heben von lasten und zum einbringen von beton
JPS6323454A (ja) * 1986-03-28 1988-01-30 Toshiba Corp デ−タ通信システム
US4712697A (en) * 1986-07-22 1987-12-15 The Marley Cooling Tower Company Lightweight tower crane boom for conveying pumped concrete
JPH062351A (ja) * 1992-06-17 1994-01-11 Inax Corp ロータンク及びその設置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91618U (ja) * 1983-11-28 1985-06-22 朝野 久司 ダム建設用コンクリ−トの打設装置
JPS61130561A (ja) * 1984-11-30 1986-06-18 財団法人 国土開発技術研究センタ− コンクリ−ト打設工法及びその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2864B1 (ko) * 2023-11-30 2024-03-28 한국교통안전공단 수소전기차 및 가스연료차의 내압용기 검사용 보조리프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6016242A1 (fr) 1996-05-30
CN1075152C (zh) 2001-11-21
AU3881295A (en) 1996-06-17
KR970700093A (ko) 1997-01-08
CN1138885A (zh) 1996-12-25
US5807059A (en) 1998-09-15
AU696326B2 (en) 1998-09-10
US5980190A (en) 1999-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5154B1 (ko) 생콘크리트의 이송장치
JPH02176388A (ja) 組積材料を壁に敷設する自動装置
US3153486A (en) Tower crane
SU1176824A3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материала в виде кирпича дл огнеупорной облицовки резервуара с отверстием и выступом
JP2005023692A (ja) コンクリートの搬送設備
JP5339895B2 (ja) コンクリートの運搬設備
CN109113353B (zh) 一种具有提升功能的建筑施工受料平台系统
JP3040338B2 (ja) 生コンクリートの移送装置
JP3884825B2 (ja) 隧道構築用覆工セグメントの搬入システム
CN219409006U (zh) 一种tbm施工材料运输装置
JP2000160538A (ja) コンクリート搬送装置
JPH0668165B2 (ja) コンクリ−ト運搬方法及び装置
CN114808845B (zh) 一种决口快速封堵车装置及方法
RU2817662C1 (ru) Складной башенный кран
CA2040716C (en) Mine shaft sinking
RU226627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ертикального перемещения стрелы башенного крана
JP2007139264A (ja) ライナ交換装置およびライナ交換方法
JPH0711618A (ja) ダムコンクリートの打設方法及び装置
JP3163433B2 (ja) 資機材搬送装置
JPH07300842A (ja) ダムの施工方法
JPH10140538A (ja) コンクリート搬送装置
JP2000336632A (ja) コンクリート搬送装置とその工法
JPH02132091A (ja) エレベータ用荷積降し装置
SU1699889A1 (ru) Скиповый подъемник
CN113669104A (zh) 隧道二衬钢筋笼施工方法及钢筋笼拼装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6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