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0346B1 - 프레스의 브레이크스루 완충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프레스의 브레이크스루 완충장치 및 그 제어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0346B1
KR100220346B1 KR1019950700632A KR19950700632A KR100220346B1 KR 100220346 B1 KR100220346 B1 KR 100220346B1 KR 1019950700632 A KR1019950700632 A KR 1019950700632A KR 19950700632 A KR19950700632 A KR 19950700632A KR 100220346 B1 KR100220346 B1 KR 1002203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
shock absorbing
timing
piston
buf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700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702907A (ko
Inventor
키쿠오 에지마
켄지 니시카와
카주야 이마무라
카주히사 수주키
시게키 이와사키
타쯔노리 수와
Original Assignee
안자키 사토루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자키 사토루,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안자키 사토루
Publication of KR950702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7029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03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03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28Arrangements for preventing distortion of, or damage to, presse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02Punching blanks or articles with or without obtaining scrap; Notching
    • B21D28/20Applications of drives for reducing noise or w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076Noise or vibration isolation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04Proces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141With means to monitor and control operation [e.g., self-regulat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141With means to monitor and control operation [e.g., self-regulating means]
    • Y10T83/148Including means to correct the sensed operation
    • Y10T83/152And modify another ope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869Means to drive or to guide tool
    • Y10T83/8821With simple rectilinear reciprocating motion only
    • Y10T83/8858Fluid pressure actuat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869Means to drive or to guide tool
    • Y10T83/8821With simple rectilinear reciprocating motion only
    • Y10T83/8858Fluid pressure actuated
    • Y10T83/8864Plural cylin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esses And Accessory Devices Thereof (AREA)
  • Punching Or Piercing (AREA)
  • Control Of Presse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기계프레스에 의한 소재를 블랭킹가공시에 발생하는 소음 혹은 진동을 줄이는 프레스의 브레이크스루 완충장치 및 그 제어방법이다. 이 때문에, 기계프레스(1) 상형(3)의 아래쪽으로 설치되며 브레이크스루할 때 상형의 완충을 실시하는 완충 기본체(20)와, 이 완충기본체와 연결하여 브레이크스루할 때의 완충기본체(20)의 타이밍을 조정하는 타이법조정장치(40)와, 이 장치에 조정위치의 지령을 출력하는 제어장치(60)를 설치하고 있다. 또, 브레이크스루할 때에 발생하는 소음 혹은 진동을 검출함과 아울러, 제어장치(60)에서 타이밍조정장치(40)에 지령신호를 출력하여 완충기본체(20)의 타이밍을 조정하고, 브레이크스루할 때의 소읍 혹은 진동을 최소로 하고 있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프레스의 브레이크스루 완충장치 및 그 제어방법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본 발명에 관계된 제1실시예의 브레이크스루 완충장치를 장착한 프레스의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측면도.
제3도는 제1실시예의 브레이크스루 완충장치와 제어장치의 개념도.
제4도는 제1실시예의 타이밍조정장치의 정면설명도.
제5도는 제1실시예의 타이밍조정장치의 평면설명도.
제6도는 제1도의 Z-Z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에 관계된 제어방법의 플로우차아트.
제8도는 완충타이밍과 소음레벨의 관계를 표시하는 도표.
제9도는 제2실시예의 타이밍조정장치의 정면설명도.
제10도는 제3실시예의 타이밍조정장치의 개념도.
제11도는 브레이크스루 완충장치를 장착한 응용예를 표시하는 프레스의 정면도.
제12도는 브레이크스루 완충장치를 장착한 다른 응용예를 표시하는 프레스의 정면도.
제13도는 완충실린더지름과 배관지름의 비에 대한 소음레벨의 관계를 표시하는 도표.
제14(a)도제14(d)도는 본 실시예의 효과를 설명하는 도표.
제15(a)도제15(d)도는 종래기술의 효과를 설명하는 도표.
제16(a)도제16(b)도는 다른 종래기술의 효과를 설명하는 도표.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술분야]
본 발명은, 프레스의 브레이크스루 완충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하며, 특히 기계프레스로 소재를 블랭킹가공할 때에 발생하는 소음을 줄이는 프레스의 브레이크 스루 완충장치 및 그 제어방법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종래 기술로서는, 예컨대 특공소 60-21a32호, 특개소 52-19376호가 있고, 이들의 완충장치는 로드, 피스톤, 실린더 및 교축밸브 등을 설치하여, 실린더실로부터 유출하는 기름이 교축밸브를 통과할 때에 발생하는 흐름저항을 완충력으로서 이용하며, 브레이크스루를 줄이고 있다.
그런데, 브레이크스루를 완충하여 소음을 효과적으로 줄이기 위해서는, 소재의 블랭킹타이밍에 대하여 완충타이밍의 미묘한 조정이 필요하게 되고, 로드 등에 스페이서를 부가하여 조정하고 있지만, 최적 타이밍을 얻기 위해서는, 소재의 판두께, 펀치형상, 크기, 소재재질 혹은 온도 등의 블랭킹조건에 의하여 변화하며, 이 방법에서는 조건이 변할 때마다 작업자가 최적 타이밍을 시행착오로 찾아내어서 설정하고 있다. 또, 설정하여도 가공중의 조건(온도 등)의 변화에 의하여 최적 타이밍이 빗나가게 되어 버리고, 실용상의 문제점으로 되어 있다. 또 하나는, 교축에 의한 흐름저항을 이용하고 있으므로, 브레이크스루한 후에 슬라이드는 흐름 저항에 저항하여 하강하지 않으면 안되고, 프레스에 필요이상의 작업을 시켜버리는 문제점이 있다.
제15(a)도는 종래의 블랭킹상태에 있는 프레스의 부하, 즉 블랭킹할 때에 프레스에 작용하는 하중을 표시하고 있다 제15(b)도는 마찬가지로 완충실린더 안의 유압을 표시하며, 압력이 변동하고 있지 않다. 제15(c)도는 마찬가지로 슬라이드의 변위를 표시하고 있다. 그리고, 제15(d)도는 소음의 음압을 표시하며, 소음레벨이 높다. 제16(a)도는 종래의 교축을 사용하여 완충을 실시한 경우의 프레스부하를 표시하고, 프레스는 브레이크스루된 후에 W로 표시하게 되는 필요이상의 작업을 하고 있다. 제16도(B)는 마찬가지로 완충실린더 안에서 발생하는 유압을 표시하고 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기계프레스로 소재를 블랭킹가공할 때에 발생하는 소음을 줄일 수 있는 프레스의 브레이크스루 완충장치 및 그 제어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기계프레스에 있어서 소재를 블랭킹가공할 때에 발생하는 브레이크스루를 완충하는 프레스의 브레이크스루 완충장치에 있어서, 프레스의 상형의 아래로 설치되어 브레이크스루할 때의 상형의 완충을 실시하는 완충기본체와, 완충기 본체에 연결되어 브레이크스루할 때에 완충기본체의 타이밍을 조정하는 타이밍조정장치와, 브레이크스루할 때의 타이밍조정장치에 조정위치의 지령을 내보내는 제어장치로 이루어진다.
또, 완충기본체와 타이밍조정장치를 연결하는 배관은 각각 독립하여 연결하든지 혹은 완충기본체로부터 각 배관이 1개로 합체하여 타이밍조정장치에 접속하고 있다.
더욱이, 완충기본체의 실린더지름과 배관지름의 비가 소읍레벨의 최소로 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더하여, 프레스의 브레이크스루 완충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프레스의 브레이크스루할 때에 발생하는 소음 혹은 슬라이드 등의 진동을 검출함과 아울러, 제어장치에서 타이밍조정장치로 지령을 내보내서 완충기본체의 타이밍을 조정하고, 프레스의 브레이크스루할 때의 소음 혹은 슬라이드 등의 진동이 최소로 되도록 제어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완충타이밍의 조정에 관해서는 소온 혹은 소온과 상관이 높은 슬라이드진동 등을 소재가공의 척도로 검출하고, 몇회인지의 평균치가 최소로 되도록 콘트롤러로 연산하며, 이로부터 타이밍조정장치로 지령신호를 출력한다. 이 지령신호를 받은 타이밍조정장치는 완충피스톤의 상하위치를 설정한다. 또, 완충피스톤지름과 탱크의 연결배관지름을 적당하게 선정하므로서, 유압충격작용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종래의 흐름저항을 이용한 것에 비하여 브레이크스루한 후의 프레스로의 부하를 줄이고, 동력을 절약하고 있다. 이 이유는, 유압충격이 브레이크스루차 같은 빠른 움직임에 대하여 발생하며, 브레이크스루한 후 슬라이드가 저속하강할 때에는 거의 발생하지 않기 때문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본 발명에 관한 프레스의 브레이크스루 완충장치 및 그 제어방법의 제1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와 제2도에 있어서, 기계프레스(1)에는 도시하지 않은 크랭크, 콘로드 등 구동기구의 구동에 의하여 상하운동하는 슬라이드(2)에 상형(3)이 고정되어 있다.
이 상형(3)에는 펀치(4)가 부착되며, 또 가이드포스트(5)도 고정되어 있다 상형(3)에 대향하여 하형(6)이 프레스프레임(7)에 볼스터(8)를 통하여 부착되며, 또 하형(6)에는 다이스(9)도 부착되어 있다.
기계프레스(1)의 하형(6)에는, 브레이크스루할 때의 상형(3)의 완충을 실시하는 완충기본체(20)가 상형(3)의 가이드포스트(5)와 대향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 완충기본체(20)에는 배관(30)을 통하여 브레이크스루할 때에 완충기본체(20)의 타이밍을 조정하는 타이밍조정장치(40)가 연결되어 있다. 또, 타이밍조정장치(40)에는 제3도에 표시하듯이, 브레이크스루할 때에 타이밍의 위치를 조정하는 타이밍조정장치(40)에 제어장치(60)로부터 제어지령이 출력되고 있다.
완충기본체(20)는 완충실린더(21)와 완충피스톤(22)으로 구성되며, 상형(3)의 아래에서 하형(6)으로 복수개가 설치되어 있다.
제4도, 제5도는 타이밍조정장치(40)의 상세를 표시하고, 이 타이밍조정장치(40)는 제어장치(60)로부터의 지령에 의하여 구동하는 스테핑모우터(41)와, 양단이 축받이(41a)에 의하여 지지되며 또한 스테핑모우터(41)에 의하여 회전되는 워엄기어(42)와, 일단이 축받이(43)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너트(45)를 회전시켜 또한 상기한 워엄기어(42)와 맞물리는 워엄휘일(44)과, 회전하는 너트(45)의 안쪽 나사(45a)와 결합하고, 또한 너트(45)의 회전에 의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외주나사(46a)를 구비한 가이드(46)와, 일단은 가이드(46)와 맞닿는 갈고리(48a)를 보유하며, 또한 타단에는 피스톤(47)을 보유하는 완충타이밍조정피스톤(48)과, 완충타이밍조정피스톤(48)이 내장되고, 또한 완충타이밍조정피스톤(48) 한쪽의 탱크 공기실(49a)에는 공기압을 다른쪽의 유압실(49b)에는 기름을 수납하는 탱크(49)로 되어 있다. 또, 탱크(49)의 한쪽 끝에는 도시하지 않은 공기 원으로의 배관(51)이 부착되며, 다른쪽 끝에는 완충기본체(20)로의 배관(30)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46)에는 도시하지 않은 회전구속기구를 설치하여, 그것으로 회전하는 것을 구속하고 있다.
완충기본체(20)는 예컨대 제3도에 표시하듯이, 가이드포스트(5)에 대향하여 하형(6)에 2개 설치되며, 완충기본체(20)로부터의 배관(30)은 완충실린더(21)로부터 나온 후, 각각 독립으로 탱크(49)로 배관(30)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또한, 완충기본체(20)로부터의 각 배관이 타이밍조정장치(40)의 앞에서 1개로 합체한 후, 탱크(49)에 접촉되도록 해도 좋다. 또, 완충기본체(20)를 볼스터(8)에 설치하여 탱크(49)에 직결하므로서, 보다 효과적으로 유압완충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 때, 제6도에 표시하듯이 완충실린더(21)로부터 탱크(49)로 배관(30)으로 연결하는 경우, 완충실린더(21)가 2개(21a), (21b)일 때에는, 후술하는 이유에서 완충실린더지름 배관지름은 대략 10 : 1로 하고 있다. 또, 완충실린더(21)가 4개 (21a), (21b), (21c), (21d)일 때에는 완충실린더지름 : 배관지름은 대략 3 : 1로 하고 있다.
제어장치(60)는, 제3도에 표시하듯이 브레이크스루때에 발생하는 소음을 측정하는 소음계(61)와, 크랭크회전각도를 검출하는 각도검출계(62)와, 이들 계기 소음계(61), 각도검출계(62)에서의 신호에 의거하여 완충기본체(20)의 타이밍을 조정하여 소음을 최소로 하기 위하여 다음의 지령을 타이밍조정장치(40)의 스테핑모우터(41)에 지령을 하는 콘트롤러(63)로 구성한다. 이 콘트롤러(63)는 프레스프레임(7)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브레이크스루때에 발생하는 소음을 측정했지만, 슬라이드 등의 진동을 가속도계(65)에서 측정하여 진동이 적게 되도록 제어해도 좋다.
다음에, 타이밍조정장치(40)의 조정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4도와 제5도에 표시하듯이, 타이밍조정장치(40)는 스테핑모우터(41)가 콘트롤러(63)에서 지령신호를 받아서, 어느 일정각도만큼 회전하면 워엄기어(42)가 회전한다. 그것에 의하여, 조정피스톤(48)의 축을 중심으로 워엄휘일(44)과 너트(45)도 워엄기어(42)와 워엄휘일(44)의 기어비에 따라서 일정각도 회전한다. 그 결과, 내주에 나사(45a)를 구비한 너트(45)의 회전에 따라, 이 나사(45a)와 결합하고 있는 외주나사(46a)를 구비한 가이드(46)가 일정거리만큼 상하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가이드(46)의 상하방향 이동에 수반하여 맞닿고 있는 갈고리(48a)가 상하로 이동된다.
이 때, 탱크(49)의 공기실(49a)에는 항상 공기압 5kg/㎠ 정도의 압력이 있고 조정피스톤(48)은 항상 아래로 밀어내려져 있다. 따라서, 가이드(46)의 윗면이 조정피스톤(48)의 갈고리(48a)에 대하여 스토퍼로 되며 조정피스톤(48)의 하한위치가 결정된다. 이것에 의하여, 탱크(49)의 유압실(49b) 기름이 배관(30)을 통하여 완충실린더(21)로 이동하고, 완충피스톤(22)의 상한위치가 결정된다 이와 같이, 항상 소음이 최소인 최적한 상태를 유지하는 완충피스톤(22)의 상한위치가 사람 손을 통하지 않고 자동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다음에, 제1실시예에 대하여 설정위치를 지령하는 방법을 제7도에 표시하는 플로우차아트에 의하여 설명한다.
우선, 단계1(S1)에서 작동을 개시하면 콘트롤러(63)가 작동상태로 들어가며, 단계2(S2)에서 프레스의 각도검출계(62)에 의하여 크랭크각도를 검출하기 위한 신호를 수집한다. 단계3(S3)에서는 이 각도신호를 트리거로서 블랭킹할 때마다 소음 또는 진동 ai를 측정한다. 단계4(S4)에서는 블랭킹수 N회의 값을 콘트롤러(63)로 평균화(An = 1/N×Σai)의 연산을 한다. 단계5(S5)와 단계6(S6)에서는 마찬가지로 하여 다음의 블랭킹할 때마다의 소음 ai를 측정하고, 더우기 블랭킹수가 N회로 될 때까지 계속하여 이들의 값을 콘트롤러(63)로 평균화 (An+1 = 1/N×Σai)의 연산을 한다. 단계7(S7)에서는 이 평균화된 값(An+1)과 앞회의 평균값(An)의 차(Δ)를 구한다.
단계8(S8)에서는 차(Δ)가 허용간이내이면 타이밍조정장치(40)로 지령신호를 출력하지 않고, 그대로 단계12(S12)로 진행한다 한편, 단계8(S8)에서 차(Δ)가 허용값이내가 아니면 단계9(S9)로 진행하고, 차(Δ)의 대소 또는 양음의 부호에 의하여 타이밍조정장치(40)로의 지령신호를 판정한다. 이 때, 차(Δ)가 0보다도 작은 경우는, 단계10(S10)에서 앞회의 지령과 동일방향으로 지령을 타이밍조정장치(40)에 출력한다. 한편, 차(Δ)가 0보다도 큰 경우는, 단계11(S11)에서 앞회의 지령신호와는 반대방향으로 지령신호를 타이밍조정장치(40)에 출력한다. 그리고, 단계10(S10) 또는 단계11(S11)의 조작을 반복하고, 차(Δ)가 0으로 되었을 때, 즉 소음이 최소값으로 되었을 때의 완충타이밍의 지령신호를 타이밍조정장치(40)에 출력 한다(단계12(S12)).
예컨대, 제8도에 표시하듯이1 점의 측정데이터를 얻어서, 다음의 지령에 완충타이밍을 느리게 하는 방향의 지령을 타이밍조정장치(40)에 출력하고, 완충피스톤(22)의 작동을 느리게 하여, 다음의2의 데이터가 얻어졌다고 한다. 이 경우에, 소음레벨1과2의 차가 0보다도 작으므로, 다음의 지령은 앞회의 지령과 동일방향, 즉 완충타이밍을 느리게 하는 방향으로 지령을 출력한다.
마찬가지로, 이 때의 소음레벨을 측정하고2보다 낮은 레벨의3의 소온레벨이 얻어졌다고 하면, 더우기 소음레짙이 반전할 때까지, 즉 앞회에 측정한 소음레벨과의 차가 0보다도 커질 때까지 이 작업을 계속한다. 그리고,4의 소온레벨에서는 반전하고 있으므로,3의 소음레벨이 최소값을 나타내고 있다. 그래서, 완충타이밍이3의 소음레벨에 대응하는 완충타이밍(Tr)으로 되도록 타이밍 조정장치(40)에 출력하여 완충피스톤(22)의 위치를 조정한다 이 결과 최소의 소음레벨이 얻어진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제9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1실시예와
동일부품에는 동일한 기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타이밍조정장치(70)는 완충기본체(20)의 완충피스톤(22)에 맞닿고, 또한 하형(6)의 욋면에 설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외주에 나사(71a)가 가공되어 있는 가이드(71)가 워엄휘일(44)에 고정된 너트(45)의 내주나사(45a)와 결합하며, 너트(45)의 회전에 의하여, 그 하단면(71c)을 완충피스톤(22)에 맞닿게 하면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가이드(71)의 중앙부에는 가이드포스트(5)가 룐통하는 구멍(71b)이 가공되어 있고, 가동시에는 가이드포스트(5)의 선단부가 완충피스톤(22)에 맞닿는다. 또, 가이드(71)에는 케이스(72)에 대하여 가이드(71)의 회전을 구속하는 키이홈과 같은 회전구속기구(73)가 설치되며, 가이드(71)를 상하방향으로만 슬라이드시키고 있다. 타이밍조정장치(70)에는 축받이(43)를 고정함과 아울러, 가이드포스트(5)를 안내하는 가이드부재(74)가 케이스(72)의 상단에 부착되어 있다. 케이스(72)의 하단은 하형(6)의 윗면에 부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타이밍조정장치(70)의 가이드(71)가 직접 완충기본체(20)의 완충피스톤(22)의 상하방향 위치를 결정하고 있다. 즉, 도시하지 않은 탱크로부터 배관(52)을 통하여 도입된 5kg/㎠ 정도의 공기압에 의하여, 완충피스톤(22)이 위로 밀어올려져 있다. 이 완충피스톤(22)과 맞닿는 가이드(71)의 하단면(71c)이 스토퍼로 되고, 완충피스톤(22)의 상한위치결정을 실시하고 있다. 또한, 완충피스톤(22)의 필요로 하는 스트로크는 10mm정도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제10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1실시예와 동일부품에는 동일한 기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브레이크스루할 때에 상형(3)의 완충을 실시하는 완충기본체(80)는 가이드포스트(5)에 대향하여 하형(6)에 설치되어 있다. 완충기본체(80)에는 배관(30)을 통하여 브레이크스루할 때 완충기본체(80)의 타이밍을 조정하는 타이밍조정장치(90)가 연결되어 있다. 이 타이밍조정장치(90)에는 제어장치(60)에서 제어지령신호가 출력되며, 이것에 의하여 제어된다.
완충기본체(80)는 완충실린더(81)와, 완충피스톤(82) 및 완충피스톤(82)을 밀어내는 스프링(83)과 스프링(83)을 받는 케이스(84)로 구성되고, 하형(6)에 복수개 설치되어 있다. 케이스(84)의 중앙부에는 가이드포스트(5)가 관통하는 구멍(84b)이 가공되며, 사용시에 가이드포스트(5)의 선단부가 완충피스톤(82)과 맞닿는다.
타이밍조정장치(90)는 제어장치(60)에서의 지령에 의하여 작동하는 전자비례변환밸브(91)와, 이 전자비례변환밸브(91)를 통하여 펌프(92)에서의 공기압을 받아서 완충기본체(80)로 압유를 이송하는 압력전달기(93)로 구성된다. 압력전달기(93)의 안쪽에는 피스톤(94)이 설치되며, 피스톤(94)의 한쪽 공기실(93a)에는 공기가 수납되고, 다른쪽의 유압실(93b)에는 기름이 수납되어 있다. 또, 공기실(93a)은 배관(95)을 통하여 전자비례변환밸브(91)로 유압실(93b)은 배관(30)을 통하여 완충실린더(81)에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완충피스톤(82)의 상하방향위치의 결정은 완충피스톤(82)에 가해지는 유압과 탄성력에 의하여 행해진다. 즉, 제어장치(60)에서의 지령에 의하여 전자비례변환밸브(91)를 제어하며, 공기실(93a)의 공기압을 Pa로 한다. 이 때, 공기실(93a)의 수압면적을 Sa, 유압실(93b)의 수압면적을 Sh로 하면, 유압실(93b)의 유압(Ph)은,
로 된다. 이 유압(Ph)이 완충피스톤(82)의 아래면에 작용한다.
이 때, 완충피스톤(82)에 가해지는 스프링(83)의 스프링정수를 K, 자유길이에서의 휨을 y, 완충피스톤(82)의 수압면적을 Sp로 하면, 스프링(83)의 휨(y)은,
로 되고, 소정의 위치에서 평형상태로 된다. 따라서, 공기압(Pa)을 전자비례변환밸브(91)에 의하여 제어하므로서, 스프링(83)의 휨(y)이 제어되며 완충피스톤(82)의 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설명에서는 한쪽 끝에 사용했지만, 이것을 유압으로 치환할 수도 있다 또, 한쪽 끝의 공기만을 전자비례변환밸브(91)로 제어하고 있지만, 한쪽 끝의 공기압을 밀봉하여 다른쪽 끝의 유압을 전자비례변환밸브(91)로 제어할 수도 있다. 더욱이, 전자비례변환밸브(91)를 사용하고 있지만, 이것을 전자비례압력제어밸브로 치환해도 좋다.
또, 상기한 설명에서는 완충기본체(20), (80)는 하형(6) 안으로 수납되어 있지만, 반드시 하형(6) 안일 필요는 없다. 제11도에 표시하듯이, 완충기본체(20)를 상형(3)과 하형(6) 사이에 설치해도 좋고, 혹은 도시하지 않지만 슬라이더(2)와 볼스터(8) 사이에 설치해도 좋다. 또, 제12도에 표시하듯이 완충기본체(20)를 볼스터(8) 안에 설치해도 좋다.
다음에, 완충실린더(21)의 안지름(D)과, 완충실린더(21)로부터 탱크(49)로의 배관(30)의 지름(d)과의 비에 대하여 설명한다.
완충실린더(21)의 안지름(D)과 배관(30)의 지릅(d)과의 비를 여러가지로 바꿔서 조사한 바, 제13도에 표시한 바와 같은 결과가 얻어졌다. 이 때에, 완충실린더(21)가 2개의 경우에는 곡선(Y)으로 표시하듯이 대략 10 : 1에서 소온레벨이 최저로 되고, 4개의 경우에는 곡선(Z)으로 표시하듯이 대략 3 : 1에서 소음레벨이 최저로 되는 것이 판명되었다.
또, 기계프레스(1)의 부하, 완충실린더(2l)안의 유압, 슬라이드(B)의 변위, 소음을 측정하였다. 시간의 경과 혹은 프레스각도의 변화에 대한 기계프레스(1)의 부하를 제14(a)도로, 완충실린더(21)안의 유압을 제14(b)도로, 슬라이드(2)의 변위를 제14도(c)로, 소음레벨의 읍압을 제14(d)도로 표시하고 있다.
이 결과에서, 상술한 제15(d)도에 표시하는 종래의 음압과 비교하여도 낮은 진폭의 음압레벨의 값이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상술한 제16(a)도에 표시하는 종래의 교축에 의하여 소음을 줄이는 프레스에 작용하는 부하를 비교해도, 사선부(W)의 필요이상의 부하가 없어지며, 브레이크스루 후의 프레스부하를 줄일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교축대신에 유압충격작용을 이응하며 또한 완충실린더(21)의 안지름(D)과 탱크(49)를 연결하는 배관(30)의 지름(d)을 적당하게 선정하므로서, 유압충격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게다가, 유압충격은 빠른 움직임에 대응하여 발생하는 것이므로 브레이크스루할 때만 발생하며, 그 후의 슬라이드의 저속하강시에는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브레이크스루 후의 프레스부하를 줄일 수 있고, 동력도 절약할 수 있다.
[산업상의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자동으로 저소온레벨이 얻어지며, 또한 완충피스톤지름과 탱크와의 연결배관지론을 적당하게 선정하므로서, 이 저소음레벨을 더욱 작게 할 수 있음과 아울러, 브레이크스루 후의 프레스부하를 줄여 동력도 절약할 수 있는 프레스의 브레이크스루 완충장치와 그 제어방법으로서 유용하다.

Claims (6)

  1. 기계프레스(1)에 있어서 소재를 블랭킹가공시에 발생하는 브레이크스루를 완충하는 프레스의 브레이크스루 완충장치에 있어서, 프레스의 상형(3)의 아래쪽으로 설치되어서 브레이크스루할 때의 상형(3)의 완충을 실시하는 1이상의 완충기본체(20)와, 이 완충기본체(20)에 연결되어서 브레이크스루할 때의 완충기본체(20)의 타이밍을 조정하는 타이밍조정장치(40)와, 이 브레이크스루할 때 타이밍조정장치(40)에 조정위치의 지령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밍조정장치(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의 브레이크스루 완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완충기본체(20) 상기한 타이밍조정장치(40)를 연결하는 배관은 각각 독립하여 연결되든지, 혹은 상기한 완충기본체(20)에서의 각 배관(30)이 1개로 합체하여 상기한 타이밍조정장치(40)에 연결되든지의 어느 한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의 브레이크스루 완충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완충기본체(20)의 완충실린더(21)의 지름과 이 완충실린더(21)와의 상기한 타이밍조정장치(40)를 연결하는 배관(30)의 지름과의 비는 이 완충실린더(21)가 2개인 경우에는 10:1에서 소음레벨이 최소가 되고, 이 완충실린더(21)가 4개인 경우에는 3:1에서 소음레벨이 최소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의 브레이크스루의 완충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타이밍조정장치(40)는 중앙부에 상기한 기계프레스(1)의 가이드포스트(5)가 관통하는 구멍을 구비함과 아울러, 그 하단면은 상기한 완충기본체(20)의 완충피스톤(22)에 맞닿으면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가이드(46)와, 이 가이드(46)를 구동하는 위엄휘일(44) 및 너트(45)와, 이 가이드(46)와 함께 회전하는 것을 구속하는 회전구속기구(73) 및 이들을 수납하는 케이스(72)로 구성되고, 상기한 완충기본제(20)의 완충피스톤(22) 상한위치는, 이 가이드(46)의 하단면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의 브레이크스루 완충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완충기본체(20)은 완충실린더(21)와 완충피스톤(22) 및 이 완충피스톤(22)을 누르는 스프링(83)과, 이 스프링(83)을 받아들임과 아울러 중앙부에는 상기한 기계프레스(1)의 가이드포스트(5)의 선단부가 이 완충피스톤(22)과 맞닿으면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구멍을 구비한 케이스(72)로 구성되고, 상기한 완충기본체(20)의 완충피스톤(22) 상하방향의 위치는, 이 완충피스톤(22)에 가해지는 압력과 이것을 누르는 탄성력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의 브레이크스루 완충장치.
  6. 기계프레스(1)에 있어서 소재를 블랭킹가공시에 발생하는 상형(3)의 브레스이크스루를 완충하는 프레스의 브레이크스루의 완충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상형(3)의 브레이크스루시에 발생하는 소음 혹은 슬라이드(2) 등의 진동을 N회 검출하여, 이들 검출값을 제어장치(60)로 평균화(An)의 연산을 하고, 동일한 형태로 검출한 다음 N회 검출값을 제어장치(60)로 평균화(An+1)의 연산을 하고, 이들 평균화된 값의 차(Δ=An+1-An)를 구함과 동시에, 이 차(Δ)가 허용값 이내에 있으면, 이 차의 양음의 부호에 따라서, 상기 제어장치(60)로부터 타이밍조정장치(40)에 지령신호를 출력하여 완충기본체(20)의 타이밍을 조정하고, 이 차를 0(Δ=0)으로 하여 상기 상형(3)의 브레이크스루시의 소음 또는 슬라이드(2) 등의 진동이 최소로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스루 완충장치의 제어 방법.
KR1019950700632A 1992-09-02 1993-07-28 프레스의 브레이크스루 완충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2203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259067 1992-09-02
JP25906792A JP3319786B2 (ja) 1992-09-02 1992-09-02 プレスのブレークスルー緩衝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PCT/JP1993/001063 WO1994005488A1 (en) 1992-09-02 1993-07-28 Breakthrough buffer for presse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702907A KR950702907A (ko) 1995-08-23
KR100220346B1 true KR100220346B1 (ko) 1999-10-01

Family

ID=17328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700632A KR100220346B1 (ko) 1992-09-02 1993-07-28 프레스의 브레이크스루 완충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673601A (ko)
EP (1) EP0659547B1 (ko)
JP (1) JP3319786B2 (ko)
KR (1) KR100220346B1 (ko)
DE (1) DE69321360T2 (ko)
WO (1) WO199400548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0177B1 (ko) 2006-09-06 2008-02-05 한국산업안전공단 블랭킹 프레스의 소음저감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32671B (ko) * 1990-01-16 1994-10-21 Idemitsu Petrochemical Co
JP2949327B2 (ja) * 1995-07-25 1999-09-13 アイダ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打ち抜き加工方法
US6305258B1 (en) * 1998-02-18 2001-10-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unch actuator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US6205828B1 (en) * 1998-08-24 2001-03-27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Forging di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same
US6466840B1 (en) * 1998-11-03 2002-10-15 The Minster Machine Company Detailed die process severity analysis and optimization methodology
US6095307A (en) * 1999-03-04 2000-08-01 A. J. Rose Manufacturing Co.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press tool failure
DE19929163C1 (de) * 1999-06-25 2001-01-18 Feintool Internat Holding Ag L Vorrichtung zum Feinschneiden von Werkstücken aus einem Blech
US6523384B1 (en) * 1999-10-15 2003-02-25 The Minster Machine Company Carry through monitor
DE10252625B4 (de) * 2001-11-14 2008-09-04 Schuler Pressen Gmbh & Co. Kg Presse mit Schnittschlagreduzierung
DE102005021028B4 (de) * 2004-06-02 2009-06-25 Schuler Pressen Gmbh & Co. Kg Presse zum Schneiden von hochfesten Blechen
DE102005053350A1 (de) * 2005-11-07 2007-05-10 Schuler Pressen Gmbh & Co. Kg Presse mit Schnittschlagdämpfung
DE102006039463A1 (de) * 2006-08-23 2008-02-28 Müller Weingarten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chnittschlagdämpfung
ES2396083B1 (es) * 2011-08-01 2014-09-02 MONDRAGON GOI ESKOLA POLITEKNIKOA J. Mª. ARIZMENDIARRIETA, S.COOP. Sistema de amortiguamiento para una prensa y método de amortiguamiento
CN102825833A (zh) * 2012-09-28 2012-12-19 南通久久液压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液压机缓冲装置
JP5951591B2 (ja) * 2013-12-26 2016-07-13 アイダ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ダイクッション力制御方法及びダイクッション装置
CN105965934B (zh) * 2016-06-30 2018-02-09 嘉善中建钢结构安装有限公司 一种压型装置
CN107033981B (zh) * 2017-04-26 2019-11-12 新沂城北新区城市建设发展有限公司 一种高效率生产的生物质秸秆压块机
CN110605328B (zh) * 2018-09-10 2020-11-13 日照超捷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冲压模具用缓冲冲头和冲压方法
CN111538235A (zh) 2019-02-07 2020-08-14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学习装置以及切断加工评价系统
CN116522672B (zh) * 2023-05-19 2024-04-02 中国人民解放军海军工程大学 一种油缸缓冲机构优化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27328A (en) * 1972-12-26 1974-08-06 Greenerd Press & Machine Co In Control system for hydraulic presses
JPS5219376A (en) * 1975-08-07 1977-02-14 Koji Suda Noise and vibration preventing device in machine
DE2645849A1 (de) * 1976-10-11 1978-04-13 Osterwalder Ag Hydraulisch angetriebene presse
DE2748145C3 (de) * 1977-10-27 1982-12-30 Hartmann & Lämmle GmbH & Co KG, 7255 Rutesheim Hydraulische Schnittschlagdämpfung bei Pressen
SU745706A1 (ru) * 1977-12-22 1980-07-07 Предприятие П/Я Р-6564 Система управлени гидровинтовым прессом
US4214496A (en) * 1978-10-06 1980-07-29 Gulf & Western Manufacturing Company Shock dampening systems for presses
SU789284A1 (ru) * 1979-02-23 1980-12-23 Тамбовский институт химического машиностроения Система управлени гидравлическим прессом
JPS59219501A (ja) * 1983-05-30 1984-12-10 Fuji Kikai Seisakusho Kk 流体作動装置
JPS6021832A (ja) * 1983-07-15 1985-02-04 Nippon Sheet Glass Co Ltd 赤外線透過用ハライドガラス
JPS6113928A (ja) * 1984-06-29 1986-01-2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衛生洗浄器
US4633720A (en) * 1984-12-17 1987-01-06 Dybel Frank Richard Load monitoring system for progressive dies
US4945742A (en) * 1987-08-27 1990-08-07 The Minster Machine Company Monitorable and compensatable feedback tool and control system for a press
DE3734701C1 (en) * 1987-10-14 1988-06-23 Eckart Prof Dr-Ing Doege Method for the stop-limited cutting of workpieces
JPH0494197A (ja) * 1990-08-09 1992-03-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子機器の磁気シールド装置
JP2532958Y2 (ja) * 1990-12-28 1997-04-16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プレス機械のブレークスルー緩衝装置
CA2080870A1 (en) * 1992-01-14 1993-07-15 Gerard J. Schor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punch press noise
JP2722937B2 (ja) * 1992-04-07 1998-03-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プレス機械のしわ押え荷重測定装置
US5390574A (en) * 1992-12-15 1995-02-21 Murata Machinery Ltd Control for automatically programmed variable pump output pressure of a hydraulically operated punch press
US5345861A (en) * 1993-04-20 1994-09-13 The Minater Machine Company Press adjustment screw mechanis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0177B1 (ko) 2006-09-06 2008-02-05 한국산업안전공단 블랭킹 프레스의 소음저감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659547A1 (en) 1995-06-28
JPH0679500A (ja) 1994-03-22
US5673601A (en) 1997-10-07
DE69321360D1 (de) 1998-11-05
WO1994005488A1 (en) 1994-03-17
EP0659547A4 (en) 1996-10-30
JP3319786B2 (ja) 2002-09-03
KR950702907A (ko) 1995-08-23
DE69321360T2 (de) 1999-03-11
EP0659547B1 (en) 1998-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0346B1 (ko) 프레스의 브레이크스루 완충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100310334A1 (en) Machine tool and processing method
EP2862670B1 (en) A counterforce mechanism and methods of operation thereof
EP0292473A1 (en) PROCESS FOR REDUCING THE SPEED OF THE PISTON, ESPECIALLY IN A PISTON / CYLINDER ASSEMBLY OF A MECHANICAL SHOVEL, AND DEVICE FOR CARRYING OUT THE METHOD.
US20210003191A1 (en) Shock absorber device having structure for constant-speed operation
KR100526855B1 (ko) 그라인더 가압장치
JPH07304318A (ja) 能動懸架装置
JP2002001433A (ja) 歪み矯正装置
EP0065993B1 (en) Copy cam driving device for machine tool
AU605689B2 (en) A cutting apparatus for a non circular cross section
JP3063862B2 (ja) 鍛造機のためのマニピュレータ
JP2006184158A (ja) 試験装置および試験方法
CA1282139C (en) Monitoring system for position sensing and reciprocating rod used therein
JP4359559B2 (ja) サーボ制御の液圧ピストンで使用する機械的な止め具を提供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それを操作する方法
JP2008531294A (ja) Nc駆動装置と液圧パッドを装備したダイクッション
Katoh et al. Measurement and control of a straightening process for seamless pipes
US5094114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rapid feed speed of movable bodies
CN1169693A (zh) 压力机冲模高度校正装置
JPH08332525A (ja) 油圧プレスブレーキ
SU1538948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равки полых изделий
SU1049193A2 (ru) Виброгаситель динамический
SU1355452A1 (ru) Способ механической обработки и устройство дл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
JPS59232753A (ja) 機械構成部材もしくは工作物を無段に位置決めする方法および装置
SU1585723A1 (ru) Установка дл деформации образцов материалов при испытани х демпфирующих свойств
JPH07251300A (ja) プレス機械のブレークスルー緩衝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6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