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5913B1 - 반도체소자의 금속층간평탄화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소자의 금속층간평탄화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5913B1
KR100215913B1 KR1019910023874A KR910023874A KR100215913B1 KR 100215913 B1 KR100215913 B1 KR 100215913B1 KR 1019910023874 A KR1019910023874 A KR 1019910023874A KR 910023874 A KR910023874 A KR 910023874A KR 100215913 B1 KR100215913 B1 KR 1002159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xide film
photosensitive agent
layer
film
m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23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병
Original Assignee
구본준
엘지반도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본준, 엘지반도체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본준
Priority to KR10199100238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59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5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5913B1/ko

Links

Landscapes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반도체 제조공정에서 전기적 신호를 주고받는 금속막인 알루미늄 박막층을 연속적으로 형성할 때 제 1 산화막위의 소정부분에 알루미늄 박막층을 형성한 후 이 알루미늄 박막층위에 감광제를 도포하고 기판 전표면에 제 2 산화막을 도포한 후 다시 리프트 오프 공법으로 제 2 산화막과 감광제를 제거하여 기판의 전표면에 제 3 산화막을 증착시킨다.
따라서 산화막층간에 SOG층을 삽입하지 않고도 신뢰성 있는 반도체 제조공정의 평탄화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반도체 소자의 금속층간 평탄화 방법
제 1 도는 종래 반도체소자의 금속층간을 평탄화시키는 공정단면도
제 2 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금속층간을 평탄화시키는 공정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실리콘기판 12 : 제 1 절연막
13 : 제 1 알루미늄 박막 14 : 감광제
14a, 14b : 측벽산화막 15a, 15b : 제 1 산화막
16 : 제 2 산화막 17 : 제 2 알루미늄 박막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의 금속층간 평탄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금속막이 여러층으로 형성된 반도체 소자에서의 평탄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 1 도는 종래 반도체 소자의 금속층간을 평탄화시키는 공정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제 1 도(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리콘기판(1)상에 제 1 산화막(2)과 알루미늄 박막층(3)을 차례로 형성시키고 제 1 도(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알루미늄 박막층(3)상부에 감광막(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을 도포시킨 후 사진 식각공정으로 상기 알루미늄 박막층(3)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제 1 알루미늄 배선층(3a)을 패터닝한 후 감광막을 제거한다.
이어, 제 1 도(c)에 나타낸 바와같이 화학증착장치(CVD)를 이용하여 제 2 산화막(4)을 제 1 알루미늄 배선층(3a)이 형성된 제 1 산화막(2)의 전표면에 증착시키고 SOG(Spin on Glass)층(5) 및 제 3 산화막(6)을 화학증착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산화막(4)위에 차례로 형성시킨다.
여기서 SOG층(5)은 굴곡이 심한 제 2 산화막(4)의 표면을 평탄화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약간의 유동성을 갖는다.
이어 제 1 도(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3 산화막(6)위로 다시 알루미늄 박막층을 증착한 후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을 통해 상기 알루미늄 박막층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또 다른 제 2 알루미늄 배선층(7)을 형성시킨 후 지금까지의 공정순서를 반복하여 원하는 만큼의 금속배선층을 성장시키고 또한 이에 따른 평탄 공정을 실시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 기술은 산화막-SOG-산화막의 3중 구조를 포함하므로 공정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SOG층에 함유된 다량의 수분이 각종 품질 및 수율문제를 유발시킴으로서 공정관리에 어려움이 따랐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리프트 공법을 이용하여 2층의 산화막만을 이용하여 다층의 금속층간을 신뢰성있게 평탄화시킨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금속층간 평탄화 공정을 첨부된 제 2 도(a)에서 (e)를 참조로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 2 도(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리콘기판(11)상에 제 1 절연막(12)을 증착하고 상기 제 1 절연막(12)상에 제 1 알루미늄 박막층(13) 및 감광제(14)를 차례로 형성시킨 후 사진 식각공정으로 불필요한 제 1 알루미늄 박막층(13) 및 감광제(14)를 식각한다.
이어 제 2 도(b)에 나타낸 바와같이 남아있는 제 1 알루미늄 박막층(13) 및 감광제(14)가 형성된 제 1 절연막(12)의 전표면에 ECR플라즈마를 이용한 화학증착공정으로 제 1 산화막(15a, 15b)을 증착시킨 후 제 2 도(c)에 나타낸 바와같이 제 1 산화막(15a, 15b)증착시 상기 감광제(14) 및 제 1 알루미늄 박막층(13)의 양측벽에만 형성된 측벽산화막(14a, 14b)만을 제거시킨다.
이때 감광제(14)가 노출되므로 제 2 도(d)에 나타낸 바와같이 상기 감광제(14)를 제거할 때 이 감광제(14)위에 형성된 제 1 산화막(15a)이 함께 제거되며 이러한 방법을 리프트 오프(Lift-off)공법이라 한다.
여기서 상기 감광제(14) 및 제 1 알루미늄 박막층(13)의 양측벽에 형성된 산화막(14a, 14b)은 그 두께가 매우 얇기 때문에 희석한 BHF(Buffered HF)용액으로 식각을 하면 평탄부의 산화막은 두께를 유지한 채 양측벽의 산화막만이 제거된다.
이어 제 2 도(e)에 나타낸 바와같이 감광제(14) 및 이 감광제위에 남아있는제 1 산화막(15a)이 제거된 기판 전표면에 ECR플라즈마를 이용한 화학증착공정을 통하여 제 2 산화막(16)을 형성시켜 평탄화공정을 마치고 이 제 2 산화막(16)위에 제 2 알루미늄 박막(17)을 증착하여 전술한 방법과 같은 공정을 통하여 다층의 금속층 및 이에 따른 평탄화공정을 수행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공정관리가 어려운 SOG층 형성공정이 생략되었으므로 공정의 단순화를 이룰 수 있으며 다층 구조를 갖는 금속층간 신뢰성 있는 평탄성을 제공한다.

Claims (3)

  1. (정정) 소정 두께의 절연막이 증착된 반도체 기판상의 소정부분에 제 1 금속막 및 감광제를 차례로 증착시킨 후 소정 두께의 제 1 산화막을 상기 감광제와 절연막위에 증착시키는 제 1 공정과,
    상기 제 1 금속막과 감광제의 양측벽에 증착된 상기 제 1 산화막과 상기 감광제와 감광제위에 증착된 제 1 산화막을 제거시킨 후 상기 제 1 금속막과 제 1 산화막층이 형성된 기판 전표면에 제 2 산화막층을 증착시키는 제 2 공정과,
    상기 제 2 산화막층위로 상기 제 1 공정 및 제 2 공정을 반복하여 복수개의 금속층을 형성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금속층간 평탄화 방법.
  2. (신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산화막과 제 2 산화막은 ECR(Electron Cyclotron Resonance)플라즈마를 이용한 화학기상증착방법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소자의 금속층간 평탄화방법.
  3. (신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금속막과 감광제의 양측벽에 증착된 제 1 산화막의 제거는 희석한 BHF용액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소자의 금속층간 평탄화방법.
KR1019910023874A 1991-12-23 1991-12-23 반도체소자의 금속층간평탄화방법 KR1002159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23874A KR100215913B1 (ko) 1991-12-23 1991-12-23 반도체소자의 금속층간평탄화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23874A KR100215913B1 (ko) 1991-12-23 1991-12-23 반도체소자의 금속층간평탄화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15913B1 true KR100215913B1 (ko) 1999-08-16

Family

ID=19325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23874A KR100215913B1 (ko) 1991-12-23 1991-12-23 반도체소자의 금속층간평탄화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5913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38363E1 (en) Method of forming trench isolation having polishing step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US5783482A (en) Method to prevent oxide peeling induced by sog etchback on the wafer edge
JPH04229625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00215913B1 (ko) 반도체소자의 금속층간평탄화방법
JPH0669351A (ja) 多層金属配線構造のコンタクトの製造方法
KR100367695B1 (ko) 반도체소자의비아콘택형성방법
JP2716156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3400162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0124641B1 (ko) 반도체장치 제조방법
KR0157893B1 (ko)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
JPH06244286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2908200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00234542B1 (ko)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JP2001023981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930000877B1 (ko) 대용량 집적회로의 제조방법
KR920003876B1 (ko)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
JPH0621043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900005344B1 (ko) 반도체 기판의 평탄화 방법
KR100609222B1 (ko)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 미세 금속 배선 제작방법
KR100265835B1 (ko) 반도체소자의금속배선형성방법
KR100253338B1 (ko) 반도체소자의 배선형성방법
KR0153980B1 (ko) 평탄화방법
KR970006934B1 (ko) 금속패턴 형성방법
KR920007361B1 (ko) 집적회로 반도체의 제조방법
JPH0590263A (ja) 半導体素子における多層配線の形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42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