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3305B1 - 열전사기록방법 및 열전사프린터 - Google Patents

열전사기록방법 및 열전사프린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3305B1
KR100213305B1 KR1019970008588A KR19970008588A KR100213305B1 KR 100213305 B1 KR100213305 B1 KR 100213305B1 KR 1019970008588 A KR1019970008588 A KR 1019970008588A KR 19970008588 A KR19970008588 A KR 19970008588A KR 100213305 B1 KR100213305 B1 KR 1002133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recording
thermal
colors
bl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8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3970A (ko
Inventor
히로시 고바야시
신이찌 사가와이
히로또시 데라오
가즈히로 가미무라
Original Assignee
가타오카 마사타카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5883896A external-priority patent/JP342262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4278696A external-priority patent/JP329879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5987196A external-priority patent/JP3352339B2/ja
Application filed by 가타오카 마사타카,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타오카 마사타카
Publication of KR199800239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39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33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33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31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32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 B41J2/375Protection arrangements against overhea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0Picture signal circuits
    • H04N1/40025Circuits exciting or modulating particular heads for reproducing continuous tone value scales
    • H04N1/40031Circuits exciting or modulating particular heads for reproducing continuous tone value scales for a plurality of reproducing elements simultaneous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31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32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 B41J2/3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providing current or voltage to the thermal head
    • B41J2/355Control circuits for heating-element sel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 Thermal Transfer Or Thermal Recording In General (AREA)
  • Impression-Transfer Materials And Handling Thereof (AREA)

Abstract

3색의 열승화성 잉크와 흑색의 열승화성 잉크를 중합시켜 화상을 형성할 때에, 흑색잉크에 의한 기록을 행할 때의 발열소자로의 인가에너지를 제어하고, 용지의 열변형을 방지한다. 또는, 흑색잉크에 의한 기록을 행할 때의 캐리지의 이동속도를 3색의 열승화성 잉크에 의한 기록을 행할 때의 캐리지의 이동속도보다 빠르게 하여, 용지의 열변형을 방지한다. 또, 3색의 열승화성 잉크를 사용하여 기록을 행한 후, 투명한 열용융성 잉크를 오버프린트 하여 장기간에 걸쳐 인자품질을 유지한다.

Description

열전사 기록방법 및 열전사 프린터{THERMAL TRANSFER RECORDING METHOD AND THERMAL TRANSFERRING PRINTER}
본 발명은, 잉크필름의 잉크를 서멀헤드의 발열소자의 선택적인 발열에 의해 용지에 전사하여 기록을 행하는 열전사 기록방법 및 열전사 프린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용지를 사용하여 은염사진에 필적하는 고화질의 칼라화상 기록을 행할 수 있는 열전사 기록방법 및 열전사 프린터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열전사 프린터는, 일반적으로 플래턴의 전방에 용지를 지지하는 동시에 캐리지에 복수의 발열소자가 형성된 서멀헤드를 탑재하고, 이들 서멀헤드와 플래턴과의 사이에 기체(基體)에 소망하는 잉크를 도포한 잉크필림의 일례로서의 잉크리본과 상기 용지를 사이 끼워 지지하고, 서멀헤드를 캐리지와 함께 플래턴을 따라 왕복이동시키면서, 상기 잉크리본을 취하여 상기 서멀헤드의 발열소자에 기록정보에 의거하여 에너지 전류를 선택적으로 부여하여 발열시킴으로써, 잉크리본의 잉크를 부분적으로 용지에 전사하여 용지상에 소망하는 문자 등의 화상기록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열전사 프린터는, 고기록화질, 저소음, 저비용, 메인테넌스의 용이성 등의 이유에 의해, 컴퓨터, 워드프로세서 등의 출력장치로서 많이 쓰여지고 있다.
이와 같은 열전사 프리턴의 종래의 것으로서는, 플라스틱 필름과 같은 기체에 열용융성 잉크가 도포된 잉크리본(열용융성 잉크리본)을 사용하여 용지에 기록을 행하는 것이 잘 알려져 있는데, 이것 이외에 기체에 열승화성 잉크가 도포된 잉크리본(열승화성 잉크리본)을 사용하여 용지에 기록을 행하는 것도 알려져 있다.
이 중, 열용융성 잉크리본를 사용하여 용지에 기록을 행하는 열전사 프린터(이하 열용융성 프린터라고 한다)는, 보통지, 두꺼운 용지, 엽서 등의 폭 넓은 종류의 용지에 기록할 수 있어 사용성이 뛰어난 것이다. 그리고, 이 열용융성 잉크리본을 사용하여 계조기록(階調記錄)을 행하기 위해서는, 1도트의 농담계조를 할 수가 없기 때문에 디더법 등을 사용해왔었다.
이것에 대하여, 열승화성 잉크리본을 사용하여 용지에 기록을 행하는 열전사프린터(이하 열승화성 프린터라고 한다)에 있어서는, 서멀헤드에 인가하는 에너지를 제어함으로써 열승화성 잉크의 승화량을 조정하여 잉크용지에 전사하는 잉크의 양을 제어할 수 있고, 용지상에 있어서의 기록화상의 농도를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용지로서 표면처리가 실시된 전용지를 사용함으로써 은염사진에 필적하는 고화질의 풀칼라 기록화상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 때문에, 열승화형 프린터는, 근년 고화질의 비디오프린터 등으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또한, 열용융성 잉크리본과 열승화성 잉크리본과의 양자를 공용할 수 있는 열전사 프린터도 물론 개발되어 있다. 풀칼라 기록이 가능한 프린터에 있어서는, 옐로우, 마젠타, 시안의 3색의 잉크 조합 또는 이들 3색의 잉크에 흑색잉크를 가한 4색의 잉크조합에 의해 풀칼라를 표현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열승화성 프린터에 있어서 고농도의 기록화상을 얻는 경우에는, 서멀헤드의 발열소자에 부여하는 에너지가 열용융형 프린터보다 많아지고 있다.
상술한 열승화형 프린터에 있어서, 2색 이하의 잉크를 중합하여 기록을 행하는 경우, 다량의 에너지를 서멀헤드의 발열소자에 인가하여 기록을 행하여도 용지에 어떠한 악영향을 미치는 일 없이 양호한 품질의 기록을 행할 수 있는데, 고농도의 그레이 기록화상을 얻기 위하여 동량의 에너지 부여를 행하여 옐로우, 마젠타, 시안의 3색 또는 이들 옐로우, 마젠타, 시안의 3색에 흑색을 가한 4색의 잉크기록을 행하면 용지에 열변형이 생겨, 주름, 요철 등의 이른바 매트화 현상을 일으켜 양호한 품질의 기록을 행할 수 없음이 판명되었다. 이것은, 용지에 1색의 잉크기록마다 에너지가 2색 이상 누적되므로, 최후의 잉크를 중합할 때에 서멀헤드의 발열소자로부터 용지에 부여된 에너지의 합계 에너지가 용지에 열변형의 역치를 초과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또, 상술한 열전사프린터에 있어서는, 열승화성 잉크리본을 사용하여 기록을 행한 경우에, 그 염료의 성질상, 내후성이 낮기 때문에 장기간 방치한 경우에 자외선 등에 의해 퇴색되거나, 용지를 마찰시킨 경우 등에 전사된 잉크가 떨어지는 일이 있어, 장기간에 걸쳐 인자품질을 유지하는 것이 곤란하다고 하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3색(옐로우, 마젠타, 시안)의 열승화성 잉크리본을 사용한 기록을 행한 경우에도, 용지에 악영향을 주는 일이 없이 양호한 품질의 기록을 행할 수 있는 열전사 기록방법 및 열전사 프린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열전사 기록방법에 있어서 3색의 열승화성 잉크를 중합시켜 칼라화상을 형성할 때에, 상기 화상이 소정농도 이상의 농도인 경우, 하나로 다른 흑색잉크 또는 투명잉크에 의한 기록을 행하고, 그 때의 발열소자로의 인가에너지를 옐로우, 마젠타, 시안의 각각의 잉크에 의한 기록을 행할 때의 상기 발열소자로의 인가에너지보다 적게하는 것이고, 또는 흑색잉크 또는 투명잉크에 의한 기록을 행할 때의 캐리지의 이동속도를 옐로우, 마젠타, 시안의 각각의 잉크에 의한 기록을 행할 때의 캐리지 이동속도보다 빠르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록하는 화상의 농도에 따라 열승화성 잉크의 승화량을 조정하기 위하여 발열소자로의 인가에너지를 제어하는 동시에, 3색의 열승화성 잉크를 중합시켜 칼라화상을 형성할 때, 상기 화상이 소정농도 이상의 농도인 경우, 흑색잉크 또는 투명잉크에 의한 기록을 행하고, 그 때의 발열소자로의 인가에너지를 옐로우, 마젠타, 시안의 각각의 잉크에 의한 기록을 행할 때의 발열소자로의 인가에너지보다 적어지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가지는 열전사프린터나, 흑색잉크 또는 투명잉크에 의한 기록을 행할 때의 캐리지의 이동속도를 옐로우, 마젠타, 시안의 각각의 잉크에 의한 기록을 행할 때의 캐리지의 이동속도보다 빨라지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가지는 열전사 프린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열승화성 잉크리본을 사용한 경우에도, 자외선 등에 의한 퇴색이나 잉크 탈락 등의 발생을 확실하게 방지하고, 장기간에 걸쳐 인자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열전사 기록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열전사 프린터의 실시예의 요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실시예의 열전자프린터의 요부의 개략측면도,
도 3은 도 1의 실시예의 열전사프린터의 캐리지의 개략측면도,
도 4는 도 1의 실시예의 제어부의 개략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열전사 프린터 2: 플래턴(platen)
3: 가이드샤프트 4: 캐리지
5: 리본카셋트 6: 구동밸트
7: 서멀헤드 8: 평형클럭 기구
(실시예)
맨 먼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열전사프린터(1)는, 프레임(도시하지 않음)의 소망 위치에 평판상의 플래턴(2)이 그 기록면이 대략 수직이 되도록 배설되어 있고, 이 플래턴(2)의 앞측 하방에는 가이드샤프트(3)가 상기 플래턴(2)과 평행하게 배설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샤프트(3)에는, 상하로 분할된 캐리지(4)가 부착되어 있고, 하방에 나타내는 한쪽은 가이드샤프트(3)에 부착된 하캐리지(4a)로 되고, 상방에 나타내는 다른 한쪽은 후술하는 리본카셋트(5)가 부착되어 하케리지(4a)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접촉 이탈이 가능하게 된 상캐리지(4b)로 되어 있다. 이 캐리지(4)는 한쌍의 풀리(도시하지 않음)에 권회되어 있는 적절한 구동벨트(6)를, 스테핑모터 등의 적절한 구동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상기 가이드샤프트(3)를 따라 왕복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 캐리지(4)에는 플래턴(2)에 대향되며 또 플래턴(2)에 대하여 접촉 이탈이 자유롭고, 압접상태에서 플래턴(2)상의 용지(도시하지 않음)에 기록을 행하는 서멀헤드(7)가 배설되어 있다. 이 용지는 열승화성 잉크가 안정적으로 정착되는 표면처리가 실시된 전용지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서멀헤드(7)는 포스트컴퓨터, 이미지리더 등, 또는 키보드 등의 적절한 입력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입력된 소망하는 기록정보에 의거하여 선택적으로 발열되는 정열배치된 복수의 발열소자(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캐리지(4)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캐리지(4)는 가이드샤프트(3)에 부착되는 하캐리지(4a)의 상면에 대략 평행을 이루는 판형상의 상캐리지(4b)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캐리지(4)의 좌우 양단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한쌍의 평행크랭크기구(8)에 의해 하캐리지(4a)에 대하여 접촉 이탈하도록 평행이동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구성되어 있다. 각 평행크랭크기구(8)는 서로 X형상으로 교차된 한쌍의 링크(9a, 9b)를 가지고 있고, 이들 링크(9a, 9b)의 교차위치는 핀(10a)에 의해 피봇팅되며, 링크(9a, 9b)의 단부는 핀(10b, 10c, 10d, 10e)에 의해 각각 하캐리지(4a) 및 상캐리지(4b)의 좌우측부 상단부에 형성된 긴 구멍(도시하지 않음)에 슬라이딩 이동 자유롭게 계지되어 있다.
또, 상기 하캐리지(4a)에는 회전크랭크기구(11)가 배설되어 있고, 이 회전크랭크기구(11)에 의해 상캐리지(4b)의 평행이동 조작이 실시되게 되어 있다. 이 회전크랭크 기구(11)는 하캐리지(4a)에 회전구동될 수 있도록 지지된 회전판(12)과, 이 회전판(12)의 편심위치에 핀(13a)에 의해 피봇팅된 연결링크(14)로 이루어지고, 연결링크(14)의 선단이 상캐리지(4b)에 핀(13b)에 의해 피봇팅되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판(12)은 모터 등의 적절한 기동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회전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도 1로 되돌아가 상기 상캐리지(4b)의 좌우양단부에는, 선단이 서로 내측으로 완만히 완곡되고 상하단에 돌기가 형성된 계합부(15a)로 되어 있는 판형상의 아암(15)이 대략 리본카셋트(5)의 폭과 등등한 간격을 가지며 입설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캐리지(4b)의 중앙부에는, 서로 소정간격을 갖고 한쌍의 회전가능한 보빈(16)이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배설되어 있고, 이 보빈(16)에 의해 잉크리본(17)이 소정방향으로 주행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한쌍의 보빈(16)은, 한쪽이 잉크리본 (17)을 감는 권취보빈(16a)이 되고, 다른 한쪽이 잉크리본(17)을 송출하는 송출보빈(16b)으로 되어 있다. 또, 캐리지(4)의 플래턴(2)에 대하여 먼쪽의 단연상에는, 리본카셋트(5)에 수납된 잉크리본(17)의 종류를 검출하는 광센서(18)가 배설되어 있다.
상기 광센서(18a)는 열전사 프린터(1)의 소망위치에 배설된 열전사 프린터(1)의 기록동작 등의 제어를 담당하는 제어부(15)에 접속되어 있다. 이 제어부(25)는 도시하지 않은 메모리, CPU등으로 형성되어 있고, 적어도 캐리지(4)의 이동에 수반하는 광센서(18a)로부터의 출력신호에 의거하여, 리본카셋트(5)의 유무 및 리본카셋트(5)에 수납된 잉크리본(17)의 종류, 홈포지션에 대하여 캐리지(4)의 이동거리, 후술하는 캐노피(19)의 개폐상태, 인접하는 또는 이간된 한쌍의 리본카셋트(5)간의 거리 등을 판별 또는 검출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캐리지(4)의 상방에는 적절한 간격을 갖고 도시하지 않은 프레임에 도 2에서 양 화살표시 A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폐가 자유롭게 지지된 대략 판형상의 캐노피(19)가 배설되어 있다. 이 캐노피(19)는 폐쇄상태에서 용지보냄 기구(도시하지 않음)의 출구측의 용지푸시로서 기능하는 것으로, 캐리지(4)와 대향하도록 하여 캐리지(4)의 이동영역과 대략 동일한 길이로 되어 있다.
상기 캐노피(19)의 캐리지(4)와 평행하게 대치하는 하면의 소정위치에는, 리본카셋트(5)를 지지하는 복수의 카셋트홀더(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되어 있고, 각 카셋트홀더에 의해 칼라화상의 기록을 행하기 위한 4색의 열승화성 잉크로 이루어지는 잉크리본(17a, 17b, 17c, 17d)이 수납된 리본카셋트(5a, 5b, 5c, 5d)가 캐리지(4)의 이동방향으로 1렬 형상으로 배설되도록 되어 있다. 이 중, 리본카셋트 5a)에는 옐로우의 열승화성 잉크로 이루어지는 잉크리본(17a)이, 리본카셋트(5b)에는 마젠타의 열승화성 잉크로 이루어지는 잉크리본(17b)이, 또 리본카셋트(5c)에는 시안의 열승화성 잉크로 이루어지는 잉크리본(17c)이, 또 리본카셋트(5d)에는 흑색의 열승화성 잉크로 이루어지는 잉크리본(17d)이 각각 수납되어 있다.
그리고, 각 리본카셋트(5a, 5b, 5c, 5d)는, 도 2에 양 화살표시 B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캐노피(19)와 상캐리지(4)와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수수가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각 리본카셋트(5a, 5b, 5c, 5d)는, 잉크리본(17)의 종류에 상관없이 모두 동일형상, 동일치수로 형성되어 있고, 상하 한쌍으로 된 평면 대략 장방형의 케이스 본체(20)내에 회전자유롭게 지지된 한쌍의 릴(21, 21)과, 회전자유롭게 지지된 한쌍의 리본보냄 롤러(도시하지 않음)와, 회전자유롭게 지지된 리본경로에 임하고 있는 복수의 가이드롤러 등이 배설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한쌍의 릴(21, 21)사이에 잉크리본(17)이 권회되고, 잉크리본(17)의 리본경로의 중간부가 외부로 도출되어 있다. 이들 한쌍의 릴(21, 21)은, 상캐리지(4b)에 탑재되면 그 한쪽은 기록 봉사한 부분의 잉크리본(17)를 감는 권취릴이 되고, 다른 한쪽은 잉크리본(17)을 송출하는 송출릴로 된다. 그리고, 각 릴(21)의 내부면에는, 복수의 키홈이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갖고 스프라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한쪽 릴(21)의 내주면은 상기 권취보빈(16a)이 걸어맞추어지는 권취 구멍(21a)이 되고, 다른 한쪽의 릴(21)의 내주면은, 상기 송출보빈(16b)이 걸어맞추어지는 송출구멍(21b)으로 되어 있다. 또, 리본카셋트(5)의 캐리지(4)에 탑재된 상태에서 플래턴(2)과 대향하는 면에는, 서멀헤드(7)가 임하는 오목부(22)가 형성되어 있고, 이 오목부(22)내에서 잉크리본(17)의 중간부가 도출되어 있다.
또, 리본카셋트(5)의 오목부(22)가 형성된 면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존재하는 후면에는, 각 리본카셋트(5)내에 수납되어 있는 잉크리본(17)의 종류를 판별하기 위한 식별마크(23)가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식별마크(23)는 잉크리본(17)의 종류에 따라 다른 수의 줄무늬 형상의 비반사부(24a)를 가지는 반사시일(24)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식별마크(23)를 캐리지(4)에 설치한 광센서(18a)에 의해 검출하고, 이 검출신호를 프린터(1)의 제어부(25)에 출력하고, 이 제어부(25)내에서 각 리본카셋트(5)에 있어서의 식별마크(23)의 수를 계산함으로써 리본카셋트(5)내에 수납되어 있는 잉크리본(17)의 종류를 판별하도록 되어 있다.
즉, 도 1에서 좌단에 나타내는 리본카셋트(5a)에는, 3개의 비반산부(24a)를 가지는 반사시일(24A)이 식별마크(23)로서 배치되어 있고, 이하 차례대로 리본카셋트(5b)에는 4개의 비반사부(24a)를 가지는 반사시일(24b)이 식별마크(23)로서 배치되어 있으며, 리본카셋트(5c)에는 2개의 비반사부(24a)를 가지는 반사시일(24C)이 식별마크(23)로서 배치되어 있고, 리본카셋트(5d)에는 1개의 비반사부(24a)를 가지는 반사시일(24D)이 식별마크(23)로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리본카셋트(5)의 후면의 좌단부가 식별마크(23)의 검출을 위한 기준위치(BP)로 되고, 식별마크(23)의 도면에 있어서 우단에 위치하는 비반사부(24a)의 우단면까지의 거리(L)를, 모든 식별마크(23)에 있어서 동일하게 하는 동시에, 이 거리(L)내에 잉크리본(17)의 종류를 식별하기 위한 소망하는 비반사부(24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사용하는 식별마크(23)를 광센서(18a)가 검출한 상태에서 캐리지(4)가 정지상태로 되어 있고, 캐리지(4)가 정지된 상태에서 캐노피(19)의 카셋트홀더에 배설되어 있는 리봇카셋트(5)가 상캐리지(4b)로 수수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어부(25)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RAM(26)과 ROM(27)을 가지고 있고, 이 중 RAM(26)에는 기록을 위한 화상정보가, 사용되는 옐로우, 마젠타, 시안 및 흑색의 4색으로 색분해하여 식별의 기록데이터로서 격납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실제의 기록을 행할 때에 사용되는 리본카셋트(5)에 수납되어 있는 잉크리본(17)의 색에 대응하는 색의 기록데이터가 RAM(26)으로부터 제어부(25)로 출력되고, 이 제어부(25)가 서멀헤드(7)의 복수의 발열소자 중 어느 하나를 기록데이터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동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통상의 색 화상은 2색 이하의 열승화성 잉크의 중합에 의해 행해지게 되나, 흑색 및 고농도의 그레이 화상을 얻기 위해서는 옐로우, 마젠타, 시안의 3색 또는 이들 옐로우, 마젠타, 시안의 3색에 흑색을 가한 4색의 열승화성 잉크의 중합을 행할 필요가 있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열승화형 프린터에 있어서, 2색 이하의 잉크를 중합한 기록을 행하는 경우, 다량의 에너지를 서멀헤드(7)의 발열소자에 인가하여 기록을 행하여도, 용지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 일 없이 양호한 품질의 기록을 행할 수 있으나, 동량의 에너지 부여를 행하여 3색 또는 4색의 잉크기록을 행하면, 용지에 열변형이 생겨 주름, 요철 등의 이른바 매트화 현상이 생겨 양호한 품질의 기록을 행할 수 없다. 이것은, 용지에 다량의 에너지가 투입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제어부(25)에 의해 서멀헤드(7)의 발열소자에 인가하는 에너지를 화상농도에 따라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표 1은, 각 잉크(옐로우, 마젠타, 시안, 흑색)의 기록시에 있어서의 발열소자로의 인가에너지와 매트화 현상과의 관련을 나타낸 것으로, 16계조에서의 각 색의 기록시에 있어서의 발열소자로의 인가에너지와 매트화 현상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종축은 옐로우, 마젠타, 시안의 기록을 행할 때 발열소자로의 인가에너지를 나타내고, 또 횡축은 흑색의 기록을 행할 때 발열소자로의 인가에너지를 나타낸다. 이 인가에너지는 수치가 클수록 에너지가 커지게 되고, 이 수치는 16계조에 의해 농도를 표현할 때 상대적인 인가에너지양을 나타낸다. 또한, 종축과 횡축의 교점의 마크는, (○)가 매트화 현상이 생기지 않은 상태, (×)가 매트화 현상이 생기는 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옐로우, 마젠타, 시안의 각 색에 있어서의 인가에너지
0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0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 표에 의하면, 3색 이하의 잉크의 중합에 의해 화상을 형성하는 경우, 즉 흑색의 인가에너지가 0일 때는 옐로우, 마젠타, 시안의 기록을 행할 때 인가에너지의 양이 11이상일 때에 매트화 현상을 일으킨다. 그러나, 이 4색의 잉크 중합에 의해 화상을 형성하는 경우도, 흑색의 기록을 행할 때의 인가에너지가 2 이상 10 이하이면 매트화 현상이 생기지 않고, 옐로우, 마젠타, 시안의 각 색의 기록을 행하는 경우의 인가에너지가 10이하이면, 흑색의 기록을 행할 때 인가에너지가 최대 15이어도 매트화 현상은 생기지 않는다.
이 이유로서는, 흑색의 기록을 행할 때 인가에너지가 2 이상 10 이하인 경우에는, 3색의 잉크 중합에 의해 매트화 현상이 생겨도 그 후에 중합되는 흑색의 기록시에 가열에 의해 라미네이트 효과를 일으켜 용지표면의 요철이 평활화되는 것에 기인한다. 또, 옐로우, 마젠타, 시안의 각 색의 기록을 행할 때의 인가에너지가 10이하인 경우에는, 최후의 흑색기록을 행할 때의 인가에너지에 그때까지의 누적에너지를 가한 총에너지가 매트화 현상을 일으키는 에너지 이하인 것에 기인한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4색의 중합에 의해 화상을 형성할 때 흑색의 기록에 있어서의 인가에너지를 최소 2, 최대 10이 되도록 설정하고 있다.
다음에,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실시예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시하지 않은 포스트컴퓨터나 이미지리더 등으로부터 본 실시예의 열전사 프린터(1)의 제어부(25)에 입력된 화상정보는, 사용되는 옐로우, 마젠타, 시안 및 흑색의 4색으로 색분해하여 식별 기록데이터로서 RAM(26)에 보존되어 있다. 그리고, 실제의 기록은 리본카셋트(5a, 5b, 5c, 5d)의 순서로 사용하여 옐로우, 마젠타, 시안 및 흑색잉크의 순서로 행해진다. 또한, 유채색은 옐로우, 마젠타, 시안의 3색의 잉크 중 어느 1색 또는 2색의 조합으로 농도계조를 가하여 형성된다. 또, 무채색은 옐로우, 마젠타, 시안의 3색의 잉크조합에 농도계조를 가하여 형성되고, 무채색중 특히 고농도의 그레이드 흑색은 옐로우, 마젠타, 시안의 3색잉크에 흑색잉크를 가하여 형성된다.
그래서, 맨 먼저 행해지는 옐로우의 잉크 기록에 대하여 설명하면, 옐로우의 열승화성 잉크리본(17a)이 수납되어 있는 리본카셋트(5a)의 검출동작은, 제어부 25)로부터의 지령에 의해 홈포지션에 위치하는 캐리지(4)를 도 1에서 우측을 향해 이동시킴으로써, 캐리지(4)에 배설한 광센서(18a)가, 리본카셋트(5a)의 식별마크 (23)를 검출함으로써 행해진다. 그리고, 광센서(18a)는 비반사부(24a)의 배열 및 피치 등의 구성에 의한 각 식별마크(23)의 고유의 검출신호를 제어부(25)로 송출하고, 제어부(25)에서 지령에 대응하는 리본카셋트(5a)의 식별마크(23)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지령에 대응하는 리본카셋트(5a)의 식별마크(23)인 경우에는, 캐리지(4)의 이동을 정지하며, 지령에 대응하는 리본카셋트(5a)의 식별마크(23)가 아닌 경우에는, 지령에 대응하는 리본카셋트(5a)의 식별마크(23)를 검출할 때 까지 캐지리(4)의 이동을 계속한다.
그 후, 대응하는 리본카셋트(5a)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캐리지(4)를 정지하고, 각 평행크랭크 기구(8)와 회전크랭크 기구(11)를 구동시켜 상캐리지(4b)를 상승시키고, 캐노피(19)의 카셋트홀더에 지지되어 옐로우의 열승화성 잉크리본(17a)이 수납되어 있는 리본카셋트(5a)를 상캐리지(4b)에 받아 넘긴다. 그리고, 다시 각 평행크랭크 기구(8)와 회전크랭크 기구(11)를 구동하여 상캐리지(4b)를 하캐리지(4a)에 접촉하도록 하강시킨 다음에, 이 리본카셋트(5a)를 사용한 옐로우의 기록이 행해지는데, 이 옐로우의 기록에 있어서는 기록화상의 농도에 따라 기록이 행해지도록 제어부(25)가 제어를 행하고, 표 1에 있어서의 최대 15까지 중 어느 하나의 인가에너지에 의해 옐로우의 기록이 행해진다.
이 옐로우의 기록이 종료되면, 사용한 리본카셋트(5a)가 지지되었던 카셋트홀더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캐리지(4)를 정지시킨 다음에, 다시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상캐리지(4b)를 상승시키고, 이 상캐리지(4b)에 탑재되어 있는 옐로우잉크의 리본카셋트(5a)를 카셋트홀더에 받아 넘긴다. 이어서, 광센서(18a)에 의해 다음 기록에 제공되는 마젠타의 리본카셋트(5b)의 식별마크(23)를 검출하고, 이 리본카셋트(5b)를 캐리지(4)에 탑재하고, 리본카셋트(5b)를 사용한 마젠타의 기록이 행해지는데, 이 마젠타의 기록에 있어서도 기록화상의 농도에 따른 기록이 행해지도록 제어부(25)가 제어를 행하고, 표 1에 있어서의 최대 15까지 중 어느 하나의 인가에너지에 의해 마젠타의 기록이 행해지게 된다.
이 마젠타의 기록이 종료되면, 마찬가지로 하여 표 1에 있어서의 최대 15까지 중 어느 하나의 인가에너지에 의해 기록이 행해진다.
이와 같이 하여, 옐로우, 마젠타, 시안의 각 색의 열승화성 잉크를 사용한 기록이, 기록화상의 농도에 따라 표에 있어서의 최대 15까지 중 어느 하나의 인가에너지에 의해 행해진다.
그리고, 이 3색의 기록이 종료된 후, 제어부(25)의 RAM(26)으로부터 흑색잉크를 사용하는 기록데이터가 제어부(25)로 출력되면, 4색의 중합화상으로 되기 때문에 제어부(25)는 흑색의 화상을 형성하는 것 처럼 그 때가지의 옐로우, 마젠타, 시안의 각 색의 잉크에 의한 기록시의 발열소자에 대한 인가에너지가 각각 11을 초과하는 경우는, 표 1에 있어서의 최대 10의 인가에너지에 의해 흑색의 기록이 행해지도록 제어한다. 이 흑색잉크를 사용한 기록을 행하기 전의 상태에서는, 옐로우, 마젠타, 시안의 각 색의 잉크에 의한 기록시의 발열소자에 대한 인가에너지가 고농도로 11을 초과하고 있었기 때문에, 용지에는 매트화 현상이 생겼으나 흑색잉크를 중합할 때의 가열에 의한 라미네이트 효과에 의해 용지의 요철이 평활화되고, 매트화 현상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흑색이나 그레이의 무채색 화상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통상 옐로우, 마젠타, 시안의 각 색의 잉크에 의한 기록시의 발열소자에 대한 인가에너지는 통상 상호 같게 되어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3색의 기록이 종료된 후, 제어부(25)의 RAM(26)으로부터 흑색잉크를 사용하는 기록데이터가 제어부(25)에 출력되었을 때 그 때 까지의 옐로우, 마젠타, 시안의 각 색의 잉크에 의한 기록시의 발열소자에 대한 인가에너지가 저농도로 10이하인 경우는, 그 후의 흑색 기록시의 인가에너지를 가하여도 용지에 매트화 현상이 생길 우려는 없기 때문에, 흑색기록을 최대 15의 인가에너지에 의해 행하는 것은 가능하나, 짙은 흑색을 중합하면 소망하는 농도의 그레이 화상을 형성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흑색 기록시의 인가에너지도 10이하로 된다. 또한, 이 짙은 그레이 화상을 형성하기 위해서, 반드시 흑색잉크의 중합이 필요한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열전사프린터에 의하면, 4색의 열승화성 잉크를 중합하여 고농도의 그레이 혹은 흑색의 화상을 형성할 때에, 중합의 최후에 기록을 행하는 흑색 기록시의 서멀헤드(7)의 발열소자로의 인가에너지를 다른 3색의 기록시에 발열소자에 인가하는 에너지보다 작게하였기 때문에, 옐로우, 마젠타, 시안의 각 색의 잉크에 의한 기록시의 발열소자에 대한 인가에너지에 의해 매트화 현상이 생겨 용지에 요철이 형성되었다고 하더라도, 흑색의 기록을 행할 때의 용지의 가열에 의한 라미네이트 효과에 의해 용지의 요철을 평활화하여 양호한 품질의 기록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4색의 열승화성 잉크를 중합하여 고농도의 그레이 혹은 흑색의 화상을 형성하는 경우의 흑색의 열승화성 잉크의 기록을 행할 때에만 발열소자에 부여하는 에너지를 10으로 하였으나, 가장 낮은 2에서 10까지 중 소망하는 인가에너지이면, 매트화 현상을 해소할 수 있음은 표를 보아도 명백하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이루는 기본구성은 상술한 제 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기재를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4색의 열승화성 잉크를 중합하여 그레이 혹은 흑색의 화상을 형성할 때, 상기 화상이 소정농도 이상인 경우, 흑색잉크에 의한 기록을 행할 때의 상기 캐리지(4)의 이동속도를, 옐로우, 마젠타, 시안의 각각의 잉크에 의한 기록을 행할 때의 캐리지(4)의 이동속도보다 빠르게 하고, 흑색잉크에 의한 기록을 행할 때의 서멀헤드(7)에 대한 투입에너지를 옐로우, 마젠타, 시안의 각각의 잉크에 의한 기록을 행할 때의 서멀헤드에 대한 에너지보다 작게 하여 용지의 열변형을 방지하기 때문에, 상기 제어부(25)에 의해 상기 캐리지(4)의 왕복움직임을 행하는 스테핑모터 등의 도시하지 않은 구동수단의 구동회전수를 화상농도에 맞게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표 2는, 각 잉크의 기록을 행할 때의 캐리지의 이동속도와 매트화 현상의 관련을 나타낸 것으로,흑색의 잉크에 의한 기록 상태를, 옐로우, 마젠타, 시안의 기록을 행할 때의 캐리지 이동속도, 즉 옐로우, 마젠타, 시안의 잉크에 의한 기록속도와, 흑색의 기록을 행할 때의 캐리지(4)의 이동속도, 즉 흑색의 잉크에 의한 기록속도와의 관련을 나타내는 것으로, 좌열은 옐로우, 마젠타, 시안의 기록을 행할 때의 기록속도를 나타내고, 또 중앙열은 흑색의 기록을 행할 때의 기록속도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의 경우, 옐로우, 마젠타, 시안의 기록을 행할 때의 캐리지(4)의 이동속도는 일률적으로 20CPS로 하고, 흑색의 기록을 행할 때의 캐리지(4)의 이동속도만을 제어하는 것으로 하고, 표에서는 흑색의 기록을 행할 때의 캐리지(4)의 이동속도를 상기 옐로우, 마젠타, 시안의 기록을 행할 때의 캐리지(4)의 이동속도의 1배(20CPS)에서 7.5배(150CPS)로 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우열에서는 그 행에 나타내는 조건하에서 각각의 잉크 기록을 행한 경우의 그레이 혹은 흑색의 화상상태를 (○)(×)로 나타내고 있고, (○)은 매트화 현상이 생기지 않고 양호한 기록결과가 얻어진 것을 나타내며, (×)는 매트화 현상 등에 의해 기록결과는 불량하였음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Figure pat00001
이 표에 의하면, 4색의 잉크를 중합시켜 화상을 형성하는 경우의 흑색의 기록을 행할 때의 캐리지(4)의 이동속도를 상기 옐로우, 마젠타, 시안의 기록을 행할 때의 캐리지(4)의 이동속도와 같은 속도(20CPS)로 한 경우에는 역시 매트화 현상이 생겨 양호한 결과가 얻어지지 않고, 흑색을 기록을 행할 때의 캐리지(4)의 이동속도를 상기 옐로우, 마젠타, 시안의 기록을 행할 때의 캐리지(4)의 이동속도의 1.5배(30CPS)이상의 속도로 한 경우에는, 양호한 결과가 얻어지고 있다.
또한, 그 흑색기록을 행할 때의 캐리지(4)의 이동속도를 상기 옐로우, 마젠타, 시안의 기록을 행할 때의 캐리지(4)의 이동속도의 7.5배(150CPS)이상의 속도로 한 경우에는, 매트화 현상때문이 아니라 단순히 캐리지(4)의 이동속도가 너무 빠르기 때문에 잉크의 전사불량이 생겨, 그레이 혹은 흑색화상의 양호한 기록결과를 얻을 수 없게 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흑색기록을 행할 때에, 옐로우, 마젠타, 시안의 기록을 행할 때와 같은 인가에너지를 투입하면서, 캐리지(4)의 이동속도를 상기 옐로우, 마젠타, 시안의 기록을 행할 때의 캐리지(4)의 이동속도의 N배(1〈N〈7.5 이하 같음)로 함으로써, 실제로 용지에 투입되는 인가에너지를 감소시켜, 옐로우, 마젠타, 시안의 각 색의 기록을 행할 때의 인가에너지에 최후의 흑색기록을 행할 때의 인가에너지를 가한 총에너지(누적에너지)가 매트화 현상을 생기게 하는 에너지 이하로 되도록 설정하고 있다.
다음에,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실시예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시하지 않은 포스트컴퓨터나 이미지리더 등으로부터 본 실시예의 열정사 프린터(1)의 제어부(25)에 입력된 화상정보는, 사용되는 옐로우, 마젠타, 시안 및 흑색의 4색으로 색분해하여 색별기록데이터로서 RAM(26)에 보존되어 있다. 그리고, 실제의 기록은 리본카셋트(5a, 5b, 5c, 5d)의 순서로 사용하고 옐로우, 마젠타, 시안 및 흑색의 잉크순서로 행해진다. 또한, 유채색은 옐로우, 마젠타, 시안의 3색의 잉크중 어느 1색 또는 2색의 조합에 농도계조를 가하여 형성된다. 또한, 무채색은 옐로우, 마젠타, 시안의 3색의 잉크 조합에 농도계조를 가하여 형성되고, 무채색중 특히 고농도의 그레이흑색은 옐로우, 마젠타, 시안의 3색 잉크에 흑색의 잉크를 가하여 형성된다.
그래서, 먼저 맨처음에 행해지는 옐로우의 잉크기록에 대하여 설명하면, 옐로우의 열승화성 잉크리본(17a)이 수납되어 있는 리본카셋트(5a)의 검출동작은, 제어부(25)로부터의 지령에 의해 홈포지션에 위치하는 캐리지(4)를 도 1에서 우측을 향해 이동시킴으로써, 캐리지(4)에 배설한 광센서(18a)가, 리본카셋트(5a)의 식별마크(23)를 검출함으로써 행해진다. 그리고, 광센서(18a)는 비반사부(24a)의 배열 및 피치 등의 구성에 의한 각 식별마크(23)의 고유의 검출신호를 제어부(25)에 송출하고, 제어부(25)에서 지령에 대응하는 리본카셋트(5a)의 식별마크(23)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지령에 대응하는 리본카셋트(5a)의 식별마크(23)인 경우에는 캐리지(4)의 이동을 정지하고, 지령에 대응하는 리본카셋트(5a)의 식별마크(23)가 아닌 경우에는 지령에 대응하는 리본카셋트(5a)의 식별마크(23)를 검출할 때 까지 캐리지(4)의 이동을 계속한다.
그 후, 대응하는 리본카셋트(5a)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캐리지(4)를 정지하고, 각 평행 크랭크기구(8)와 회전크랭크 기구(11)를 구동하여 상캐리지(4b)를 상승시키고, 캐노피(19)의 카셋트홀더에 지지되어 옐로우의 열승화성 잉크리본(17a)이 수납되어 있는 리본카셋트(5a)를 상캐리지(4b)에 받아 넘긴다. 그리고, 다시 각평행크랭크 기구(8)와 회전크랭크 기구(11)를 구동하여 상캐리지(4b)를 하캐리지(4a)에 접촉하도록 하강시킨 다음에, 이 리본카셋트(5a)를 사용한 옐로의 기록이 행해지는데, 이 옐로우의 기록에 있어서는 기록화상의 농도에 따라 기록이 행해지도록 제어부(25)가 상기 서멀헤드(7)로의 인가에너지양의 제어를 행하고, 소정의 이동속도로 캐리지(4)를 이동시키면서 옐로우의 기록이 행해진다.
이 옐로우의 기록이 종료되었으면, 사용한 리본카셋트(5a)가 보전되어 있던 카셋트홀더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캐리지(4)를 정지한 다음에, 다시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상캐리지(4b)를 상승시키고, 이 상캐리지(4b)에 탑재되어 있는 옐로우잉크의 리본카셋트(5a)를 카셋트홀더에 받아 넘긴다. 이어서, 광센서(18a)에 의해 다음으로 기록에 들어가는 마젠타의 리본카셋트(5b)의 식별마크(23)를 검출하고, 이 리본카셋트(5b)를 캐리지(4)에 탑재하고, 리본카셋트(5b)를 사용한 마젠타의 기록이 행해지나 이 마젠타의 기록에 있어서도 기록화상의 농도에 따른 기록이 행해지도록 제어부(25)가 상기 서멀헤드(7)로의 인가에너지 양의 제어를 행하고, 상기 옐로우의 기록시와 같은 이동속도로 캐리지(4)를 이동시키면서 마젠타의 기록이 행해지게 된다.
이 마젠타의 기록이 종료되면, 마찬가지로 하여 시안의 기록이 행해진다.
이와 같이 하여, 옐로우, 마젠타, 시안의 각 색의 열승화성 잉크를 사용한 기록이, 기록화상의 농도에 따라 소정의 이동속도로 캐리지(4)를 이동시키면서 행해진다. 또한, 흑색이나 그레이의 무채색의 화상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통상 옐로우, 마젠타, 시안의 각 색의 잉크에 의한 기록시의 발열소자에 대한 인가에너지는 통상 상호간 같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이 3색의 기록이 종료된 후,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흑색잉크의 리본카셋트(5d)를 탑재하고, 제어부(25)의 RAM(26)으로부터 흑색잉크를 사용하는 기록데이터가 제어부(25)에 출력되면, 제어부(25)는 그 때 까지의 옐로우, 마젠타, 시안의 각 색의 잉크에 의한 기록시의 발열소자에 대한 인가에너지와 같은 인가에너지로, 캐리지(4)의 이동속도를 옐로우, 마젠타, 시안의 각 색의 잉크에 의한 기록시의 이동속도의 N배로 빠르게 한 기록을 행하도록 제어가 행해진다.
이와 같이 다른 각 색의 잉크에 의한 기록시와 같은 인가에너지를 통전하면서, 흑색잉크에 의한 기록시의 캐리지(4)의 이동속도를 다른 각 색의 잉크에 의한 기록시의 캐리지(4)의 이동속도보다 빠르게 함으로써, 캐리지(4)의 이동속도에 반비례한 에너지가 부여되게 되고, 기록결과의 1도트당 누적에너지를 작게할 수 있어, 매트화 현상을 해소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연속된 그레이 영역의 기록에 있어서, 흑색잉크에 의한 기록을 행할 때에 옐로우, 마젠타, 시안의 각 색의 잉크에 의한 기록시의 발열소자에 대한 인가에너지와 같은 에너지를 상기 발열소자에 대하여 부여하고, 캐리지(4)의 이동속도는 옐로우, 마젠타, 시안의 각 색의 잉크에 의한 기록시의 캐리지(4)의 이동속도를 20CPS로 하고, 흑색잉크에 의한 기록시의 캐리지(4)의 이동속도는 그 5배인 100CPS로 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흑색잉크는 다른 각 색의 잉크에 의한 기록시의 인가에너지의 1/5의 에너지로 표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호한 기록을 행할 수 있다.
또, 이 그레이의 화상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흑색잉크의 중합은 필요하지 않고, 서멀헤드(7)의 발열소자가 행의 도중에서 흑색잉크에 의한 기록이 필요하지 않은 부분으로 반송된 시점에서 상기 발열소자에 대한 인가에너지의 부여가 중단되는 것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열전사프린터에 의하면, 4색의 열승화성 잉크를 중합하여 고농도의 그레이 혹은 흑색화상을 형성할 때에, 각 색에 같은 에너지를 부여하는 동시에, 중합의 최후에 기록을 행하는 흑색기록시의 서멀헤드(7)의 이동속도를 다른 3색의 기록시의 캐리지(4)의 이동속도보다 빠르게 함으로써, 용지의 1도트당 부여된 누적에너지를 매트화 현상을 일으키는 에너지 이하로 할 수 있고, 양호한 품질의 기록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4색의 열승화성 잉크를 중합하여 고농도의 그레이 혹은 흑색화상을 형성하는 경우의 흑색의 열승화성 잉크의 기록을 행할 때의 캐리지의 이동속도를, 다른 각 색의 열승화성 잉크의 기록을 행할 때의 캐리지의 이동속도의 5배로 하였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1배보다 크고 7.5배보다 작은 배수(바람직하게는 0.5 의 배수로서, 1.5??N??7)중 소망하는 이동속도이면, 흑색잉크에 의한 기록시의 서멀헤드(7)로의 투입에너지를 다색의 잉크에 의한 기록시의 약 15 내지 65%로 하여 용지의 누적에너지를 감소시키고, 용지의 매트화 현상을 해소하는 것은 표 2에서도 명백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실시예 및 제 2실시예에 나타난 본 발명에 의하면, 열승화성 잉크를 사용하여 4색의 풀칼라 기록을 행한 경우에 4색의 잉크를 중합하여 화상을 형성하도록 하여도, 용지에 악영향을 주는 일 없이 양호한 품질의 기록을 행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이루는 기본 구성은 상술한 제 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기재를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구성과 제 1실시예의 구성과의 차이로서, 제 1실시예에서는 리본카셋트(5d)에 흑색의 열승화성 잉크로 이루어지는 잉크리본(17d)를 수납한 것에 대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리본카세트(5d)에 투명한 열용융성 잉크로 이루어지는 잉크리본(17e)이 수납되어 있다.
다음에,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실시예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시하지 않은 포스트컴퓨터나 이미지리더 등으로 부터 본 실시예의 열전사 프린터(1)의 제어부(25)에 입력된 화상정보는, 사용되는 옐로우, 마젠타, 시안의 3색으로 색분할하여 색별기록데이터로서 RAM(26)에 보존되어 있다. 그리고, 실제의 기록은 리본카셋트(5a, 5b, 5c, 5d)의 순서로 사용하고 옐로우, 마젠타, 시안 및 투명한 잉크순서로 행해진다. 또한, 유채색은 옐로우, 마젠타, 시안의 3색의 잉크중 어느 1색 또는 2색의 조합에 농도계조를 가하여 형성된다. 또, 무채색은 옐로우, 마젠타, 시안의 3색의 잉크조합에 농도계조를 가하여 형성된다.
제 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옐로우, 마젠타, 시안의 순서로 각 색의 잉크기록을 행한다. 그리고, 이 3색의 기록이 종료된 후,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부(25)의 RAM(26)으로부터 열용융성의 투명잉크를 사용하는 베터패턴의 기록데이터가 출력되고, 옐로우, 마젠타, 시안에 의해 기록된 화상의 세로, 가로의 최대치를 만족시키는 범위의 베터패턴으로 상기 옐로우, 마젠타, 시안에 의해 기록된 화상의 표면에 투명잉크의 오버프린트를 행하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에, 본 실시예에서는 예를들어 박리레버(도시하지 않음) 등을 캐리지(4)에 배설함으로써, 잉크리본의 박리동작을 지체시키는 동시에 박리력을 낮게 하여 냉시박리를 행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통상의 색의 화상은 2색 이하의 열승화성 잉크의 중합에 의해 행해지는데, 흑색 및 고농도의 그레이 화상을 얻기 위해서는 옐로우, 마젠타, 시안의 3색의 열승화성 잉크의 중합을 행할 필요가 있고, 또 본 실시예에서는 3색의 열승화성 잉크에 의한 기록 후, 열용융성의 투명잉크에 의해 오버프린트를 행하도록 되어 있다.
또, 2색 이하의 잉크를 중합한 기록을 행하는 경우, 다량의 에너지를 서머헤드(7)의 발열소자에 인가하여 기록을 행하여도 용지에 어떠한 악영향을 주는 일 없이 양호한 품질의 기록을 행할 수 있으나, 동량의 에너지 부여를 행하여 3색의 잉크기록 또는 투명잉크의 오버프린트를 행하면, 용지에 열변형이 생겨 주름, 요철 등의 이른바 매트화 현상이 생겨 양호한 품질의 기록을 행할 수 없다.
그래서,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제어부(25)에 의해 서멀헤드(7)의 발열소자에 인가하는 에너지를 화상농도에 따라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표 3은, 각 잉크(옐로우, 마젠타, 시안, 투명)의 기록시에 있어서의 발열소자로의 인가에너지와 매트화 현상과의 관련을 나타낸 것으로, 16계조에서의 각 색의 기록시에 있어서의 발열소자로의 인가에너지와 매트화 현상과의 관련을 나타내는 것으로, 종축은 옐로우, 마젠타, 시안의 기록을 행할 때의 발열소자로의 인가에너지를 나타내고, 또 횡축은 투명한 오버프린트를 행할 때의 발열소자로의 인가에너지를 나타내고 있다. 이 인가에너지는 수치가 클수록 에너지가 커지게 되고, 그 수치는 16계조에 의해 농도를 표현할 때의 상대적인 인가에너지 양을 나타낸다. 또한, 종축과 횡축의 교점의 마크는, (○)이 매트화 현상이 생기지 않은 상태, (×)가 매트화 현상이 생기는 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옐로우, 마젠타, 시안의 각 색에 있어서의 인가에너지
0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0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 표에 의하면, 3색 이하의 잉크중합에 의해 화상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옐로우, 마젠타, 시안의 기록을 행할 때의 인가에너지의 양이 11이상일 때에 매트화 현상을 일으킨다. 그러나, 이 3색의 잉크에 투명한 잉크를 오버프린트하는 경우에도, 투명잉크의 오버프린트를 행할 때의 인가에너지가 2이상 10이하이면 매트화 현상이 생기지 않고, 옐로우, 마젠타, 시안의 각 색의 기록을 행하는 경우의 인가에너지가 10이하이면, 투명잉크에 의한 오버프린트를 행할 때의 인가에너지가 최대 15이어도 매트화 현상은 생기지 않는다.
이 이유로서는, 투명잉크에 의한 오버프린트를 행할 때의 인가에너지가 2이상 10이하인 경우에는, 3색잉크의 중합에 의해 매트화 현상이 생겨도 그 후에 중합되는 투명잉크에 의한 오버프린트시의 가열에 의해 라미네이트 효과를 일으켜, 용지표면의 요철이 평활화되는 것에 기인하고 있다. 또, 옐로우, 마젠타, 시안의 각 색의 기록을 행할 때의 인가에너지가 10이하인 경우에는, 최후의 투명잉크에 의한 오버프린트를 행할 때의 인가에너지에 그때 까지의 누적에너지를 가한 총에너지가 매트화 현상을 일으키는 에너지 이하인 것에 기인한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부(25)에 의해 옐로우, 마젠타, 시안의 각 색의 열승화성 잉크를 사용하는 기록을 기록화상의 농도에 따라 표 3에 있어서의 최대 15까지 중 어느 하나의 인가에너지에 의해 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또, 투명잉크에 의한 오버프린트는, 인가에너지가 최소 2, 최대 10으로 되도록 인가에너지를 낮게 억제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흑색이나 그레이의 무채색 화상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통상 옐로우, 마젠타, 시안의 각 색의 잉크에 의한 기록시의 발열소자에 대한 인가에너지는 통상 상호간 같게 되어 있다.
또, 옐로우, 마젠타, 시안의 각 색의 잉크에 의한 기록시의 발열소자에 대한 인가에너지가 저농도로 10이하인 경우는, 그 후의 투명잉크에 의한 오버프린트시의 인가에너지를 가하여도 용지에 매트화 현상이 생길 우려는 없기 때문에, 투명잉크에 의한 오버프린트를 최대 15의 인가에너지에 의해 행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옐로우, 마젠타, 시안의 3색 잉크에 의한 기록이 종료된 후, 옐로우, 마젠타, 시안에 의해 기록된 화상의 세로, 가로의 최대치를 만족하는 범위의 베타패턴으로 이 옐로우, 마젠타, 시안에 의해 기록된 화상의 표면에 투명잉크의 오버프린트를 행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이 오버프린트에 의해 3색의 열승화성 잉크에 의해 기록된 화상을 보호할 수 있고, 그 결과 기록후에 장기간 방치한 경우도 자외선 등에 의한 퇴색이나 잉크탈락 등의 발생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어, 장시간에 걸쳐 인자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투명잉크에 의해 오버프린트를 행하는 경우, 서멀헤드(7)의 발열소자로의 인가에너지를 다른 3색의 기록시에 발열소자에 인가하는 에너지보다 작게 하였기 때문에, 옐로우, 마젠타, 시안의 각 색의 잉크에 의한 기록시의 발열소자에 대한 인가에너지에 의해 매트화 현상이 생겨 용지에 요철이 형성되어도, 투명잉크의 오버프린트를 행할 때의 용지의 가열에 의한 라미네이트 효과에 의해 용지의 요철을 평활화하여 매트화 현상을 해소할 수 있고, 양호한 품질의 기록을 행할 수 있다.

Claims (8)

  1. 옐로우, 마젠타 및 시안의 3색의 열승화성 잉크와 흑색의 열승화성 잉크 또는 투명한 열용융성 잉크로 이루어지는 잉크필름을 사용하고, 서멀헤드의 복수의 발열소자에 선택적으로 에너지를 인가하여 상기 3색의 열승화성 잉크 및 상기 흑색의 열승화성 잉크 또는 상기 투명의 열용융성 잉크를 용지에 전사하여 칼라화상의 기록을 행하는 열전사 기록방법이며, 상기 3색의 잉크에 의해 형성한 화상이 소정농도 이상의 농도인 경우, 상기 흑색잉크 또는 상기 투명잉크의 기록을 행할 때의 상기 용지에 대한 투입에너지를 매트화 현상을 유발하지 않는 범위량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사 기록방법.
  2. 옐로우, 마젠타 및 시안의 3색의 열승화성 잉크와 흑색의 열승화성 잉크 또는 투명한 열용융성 잉크로 이루어지는 잉크필름을 사용하고, 서멀헤드의 복수의 발열소자에 선택적으로 에너지를 인가하여 상기 3색의 열승화성 잉크 및 상기 흑색의 열승화성 잉크 또는 상기 투명한 열용융성 잉크를 용지에 전사하여 칼라화상의 기록을 행하는 열전사프린터이고, 상기 3색의 잉크에 의해 형성한 화상이 소정농도 이상의 농도인 경우, 상기 흑색의 잉크 또는 상기 투명잉크의 기록을 행할 때의 상기 용지로의 투입에너지를 매트화 현상을 유발하지 않는 범위량으로 하는 제어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사프린터.
  3. 제 1항에 있어서, 16 계조에 의해 농도를 표현할 때, 상기 3색의 열승화성 잉크의 기록을 행할 때의 상기 발열소자로의 상대적 인가에너지가 10을 초과한 경우, 상기 흑색의 잉크 또는 상기 투명잉크의 기록을 행할 때의 상기 발열소자로의 인가에너지를 최소 2에서 최대 10까지의 범위량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사 기록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흑색잉크 또는 상기 투명잉크의 기록을 행할 때의 상기 서멀헤드를 탑재한 캐리지의 이동속도를, 상기 3색의 열승화성 잉크의 기록을 행할 때의 상기 캐리지의 이동속도의 1.5 이상 7배 이하의 범위내에서 빠르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사 기록방법.
  5. 제 2항에 있어서, 16 계조에 의해 농도를 표현할 때, 상기 3색의 열승화성 잉크의 기록을 행할 때의 상기 발열소자로의 상대적 인가에너지가 10을 초과한 경우, 상기 흑색잉크 또는 상기 투명잉크의 기록을 행할 때의 상기 발열소자로의 상대적 인가에너지를 최소 2에서 최대 10 까지의 범위량으로 하는 제어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사 프린터.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흑색잉크 또는 상기 투명잉크의 기록을 행할 때의 상기 캐리지의 이동속도를, 상기 3색의 열승화성 잉크의 기록을 행할 때의 상기 캐리지의 이동속도의 1.5 이상 7배 이하의 범위내에서 빠르게 하는 제어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사 프린터.
  7. 옐로우, 마젠타 및 시안의 3색의 열승화성 잉크로 이루어지는 잉크리본을 사용하여 서멀헤드의 복수의 발열소자에 선택적으로 에너지를 인가하여 열승화성 잉크를 용지에 전사하여 칼라화상의 기록을 행하는 열전사 기록방법으로, 상기 옐로우, 마젠타 및 시안의 3색의 열승화성 잉크를 중합하여 기록한 후, 상기 옐로우, 마젠타 및 시안에 의해 기록된 화상의 표면에 투명한 열용융성 잉크를 전사하는 오버프린트를 상기 3색의 열승화성 잉크를 사용할 때보다 낮은 인가에너지에 의해 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사 기록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프린터는, 상기 옐로우, 마젠타 및 시안에 의해 기록된 화상의 세로, 가로의 최대치를 만족하는 범위의 베타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사 기록방법.
KR1019970008588A 1996-03-15 1997-03-14 열전사기록방법 및 열전사프린터 KR1002133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883896A JP3422621B2 (ja) 1996-03-15 1996-03-15 熱転写記録方法
JP8-058838 1996-03-15
JP8-142786 1996-06-05
JP14278696A JP3298790B2 (ja) 1996-06-05 1996-06-05 熱転写記録方法
JP8-259871 1996-09-30
JP25987196A JP3352339B2 (ja) 1996-09-30 1996-09-30 熱転写記録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3970A KR19980023970A (ko) 1998-07-06
KR100213305B1 true KR100213305B1 (ko) 1999-08-02

Family

ID=27296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8588A KR100213305B1 (ko) 1996-03-15 1997-03-14 열전사기록방법 및 열전사프린터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6064414A (ko)
KR (1) KR100213305B1 (ko)
CN (1) CN1074722C (ko)
AU (1) AU713029B2 (ko)
DE (1) DE19710719C2 (ko)
ES (1) ES2130982B1 (ko)
FR (1) FR2748689B1 (ko)
GB (1) GB2311040B (ko)
IT (1) IT1290078B1 (ko)
SG (1) SG74581A1 (ko)
TW (1) TW36207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01286A1 (fr) * 1997-07-04 1999-01-14 Seiko Epson Corporation Procede et dispositif de correction de donnees imprimees, et support d'enregistrement de logiciel sur lequel est enregistre un programme de correction de donnees imprimees
EP0965454A3 (en) * 1998-06-16 2000-07-12 Alps Electric Co., Ltd. Thermal transfer recording method and thermal transfer printer
US6724411B2 (en) * 1999-05-19 2004-04-20 Eastman Kodak Company Thermal printer with bi-directional print head movement and method thereof
JP2002292907A (ja) * 2001-03-30 2002-10-09 Brother Ind Ltd カラー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ATE552120T1 (de) * 2001-12-24 2012-04-15 L 1 Secure Credentialing Inc Verdeckte variableninformationen auf id- dokumenten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S7694887B2 (en) 2001-12-24 2010-04-13 L-1 Secure Credentialing, Inc. Optically variable personalized indicia for identification documents
CA2470547C (en) 2001-12-24 2008-05-20 Digimarc Id Systems, Llc Laser etched security features for identification documents and methods of making same
CA2470600C (en) 2001-12-24 2009-12-22 Digimarc Id Systems, Llc Systems,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full color laser engraving of id documents
WO2003088144A2 (en) 2002-04-09 2003-10-23 Digimarc Id Systems, Llc Image processing techniques for printing identification cards and documents
US7824029B2 (en) 2002-05-10 2010-11-02 L-1 Secure Credentialing, Inc. Identification card printer-assembler for over the counter card issuing
AU2003298731A1 (en) 2002-11-26 2004-06-18 Digimarc Id Systems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and detecting fraud in image databases used with identification documents
DE602004030434D1 (de) 2003-04-16 2011-01-20 L 1 Secure Credentialing Inc Dreidimensionale datenspeicherung
ES2315597T3 (es) 2003-08-08 2009-04-01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Impresora para tarjeta de rascar y procedimiento para imprimir sobre una tarjeta de rascar.
US7364085B2 (en) * 2003-09-30 2008-04-29 Digimarc Corporation Identification document with printing that creates moving and three dimensional image effects with pulsed illumination
KR100538926B1 (ko) * 2003-11-13 2005-12-27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의 인쇄농도 설정방법
JP6528759B2 (ja) * 2016-12-22 2019-06-12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立体画像形成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CN109532241A (zh) * 2017-08-09 2019-03-29 合肥智慧龙图腾知识产权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多个打码头的色带热打码机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50511A (en) * 1979-08-16 1981-02-10 Tektronix, Inc. Thermal transfer color printer
JPS6013571A (ja) * 1983-07-04 1985-01-24 Sony Corp 印画装置
US4815872A (en) * 1984-08-20 1989-03-28 Kabushiki Kaisha Toshiba Method, apparatus and thermal print ribbon to provide a protective layer over thermally-printed areas on a record medium
JPS61154972A (ja) * 1984-12-28 1986-07-14 Sanyo Electric Co Ltd 熱転写記録方法
JPS6268367A (ja) * 1985-09-20 1987-03-28 Sharp Corp 感熱記録装置
US4717924A (en) * 1986-08-18 1988-01-05 Ncr Corporation Thermal printing control system
US4933315A (en) * 1987-02-20 1990-06-12 Dai Nippon Insatsu Kabushiki Kaisha Heat transfer sheet
JPH01163077A (ja) * 1987-12-18 1989-06-27 Sanyo Electric Co Ltd 熱転写プリンタの濃度制御方式
JP2696998B2 (ja) * 1988-10-05 1998-01-1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熱転写式記録装置
JPH05104755A (ja) * 1991-10-15 1993-04-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画像プリント装置
WO1993009744A1 (en) * 1991-11-11 1993-05-2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comfortable and rapid acquisition topsheet
JPH05208508A (ja) * 1992-01-31 1993-08-20 Hitachi Ltd 画像記録装置
JPH05330243A (ja) * 1992-05-25 1993-12-14 Minnesota Mining & Mfg Co <3M> 階調性を与える熱溶融型ドナーフィルム
WO1995012493A1 (en) * 1993-11-01 1995-05-11 Lasermaster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thermal print head
JPH07214804A (ja) * 1994-02-04 1995-08-15 Mitsubishi Electric Corp 熱転写式プリント方法及び熱転写式プリント装置
JPH07237307A (ja) * 1994-02-28 1995-09-12 Shinko Electric Co Ltd 昇華式熱転写プリンタ
US5608440A (en) * 1994-10-20 1997-03-04 Alps Electric Co., Ltd Thermal printer for selectively printing on one or more sheets of pap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9985A (zh) 1997-09-24
US6064414A (en) 2000-05-16
DE19710719A1 (de) 1997-11-06
KR19980023970A (ko) 1998-07-06
AU1633597A (en) 1997-10-16
FR2748689B1 (fr) 2000-09-01
GB2311040B (en) 1999-06-23
DE19710719C2 (de) 2002-03-07
IT1290078B1 (it) 1998-10-19
ITMI970579A1 (it) 1998-09-14
GB2311040A (en) 1997-09-17
AU713029B2 (en) 1999-11-18
TW362073B (en) 1999-06-21
FR2748689A1 (fr) 1997-11-21
ES2130982B1 (es) 2000-02-01
CN1074722C (zh) 2001-11-14
ES2130982A1 (es) 1999-07-01
GB9704418D0 (en) 1997-04-23
SG74581A1 (en) 2000-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13305B1 (ko) 열전사기록방법 및 열전사프린터
US5956067A (en) Thermal transfer printing device and method
JP3510026B2 (ja) カラーサーマルプリント方法
KR100453369B1 (ko) 인화장치,인화방법,화상형성장치및화상형성방법
US5609425A (en) Thermal sublimation printer for use with different ribbons
JP3501567B2 (ja) カラーサーマルプリンタ
US6388690B1 (en) Thermal recording apparatus
JP3352339B2 (ja) 熱転写記録方法
US5014072A (en) Thermal printing apparatus
JP2006015699A (ja) 熱転写記録方法
JP3298790B2 (ja) 熱転写記録方法
AU722424B2 (en) Thermal transfer recording method and thermal transfer printer
JPH05104755A (ja) 画像プリント装置
JPH111066A (ja) 熱転写記録方法および熱転写記録装置
JP3422621B2 (ja) 熱転写記録方法
EP0856407B1 (en) Thermal transfer printer
EP0945274B1 (en) Thermal transfer printer
JPH10315515A (ja) 熱転写プリンタの記録方法
JPH09216445A (ja) 熱転写プリンタ
JP3098378B2 (ja) 熱転写プリンタ
JPH10202928A (ja) 記録方法および記録装置
JP3600432B2 (ja) 熱転写プリンタ
JPH09226216A (ja) 熱転写プリンタおよびその記録方法
JP3172058B2 (ja) 熱転写プリンタ
JP3472025B2 (ja) 画像記録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2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