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0610B1 -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0610B1
KR100210610B1 KR1019970013680A KR19970013680A KR100210610B1 KR 100210610 B1 KR100210610 B1 KR 100210610B1 KR 1019970013680 A KR1019970013680 A KR 1019970013680A KR 19970013680 A KR19970013680 A KR 19970013680A KR 100210610 B1 KR100210610 B1 KR 1002106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trol unit
outside
amount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3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76822A (ko
Inventor
백현진
Original Assignee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류정열
Priority to KR10199700136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0610B1/ko
Publication of KR19980076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68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0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06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98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display or indicating devices, e.g. voice sim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792Arrangement of det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64Ventilators and damper do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의 풍량을 감지하여 히터 컨트롤 유닛에 설치한 풍량계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운전자가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량을 측정하여 실내의 공기를 적절히 환기시켜 최적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것은 내외기 절환도어(12)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으며,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량을 감지하여 전자제어유닛(42)으로 보내는 풍량 감지센서(14)와, 전자제어유닛(42)에서 전달되는 출력신호를 바탕으로 외부에서 유입되는 풍량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히터 컨트롤 유닛(32)에 설치된 풍량계(40)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본 발명은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의 풍량을 감지하여 히터 컨트롤 유닛에 설치한 풍량계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운전자가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량을 측정하여 실내의 공기를 적절히 환기시켜 최적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장치는 모든 기후조건과 실내환경에 따라 최적의 온도 및 습도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실내의 온도를 적당하게 유지하는 기능을 하는 냉방 및 난방장치를 비롯하여, 적당한 습도유지를 위해 사용하는 제습 및 가습장치와, 깨끗한 공기를 유지하는 환기장치등이 포함된다.
대부분의 승용 차량에서는 더운 여름철에 차실내를 냉방하기 위해서, 프레온 가스 등의 냉매를 압축시켜 응축한 다음, 증발기를 통해 이를 증발시키면서 주위의 공기를 차갑게 냉각하여 차실내로 공급하는 에어컨을 사용한다. 또한, 추운 겨울철에 차실내를 난방하기 위해서, 엔진 냉각수를 이용하여 주위의 공기를 따뜻하게 가열한 다음, 이를 차실내로 공급하는 히터를 사용한다.
도 1은 종래의 히터 컨트롤 유닛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로, 여기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센터 페시어 패널에 설치된 히터 컨트롤 유닛(2)의 상부에는 내외기 절환모드나 디프로스트 모드와 같이 공기의 유입 및 배출방향을 선택하기 위한 모드 스위치(4)가 설치되어 있으며, 아래에는 차례대로 블로어 유닛으로부터 송풍되는 풍량을 조절하기 위한 블로어 스위치(6)와, 히터 유닛(12)을 지나 차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 스위치(8)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블로어 스위치(6)는 블로어 모터의 회전수를 제어하여 유입되는 외기 및 순환하는 내기의 유입속도를 조절하는 것으로, 운전자는 승객의 수나 실내온도를 감안하여 적절히 조절하여 사용한다.
이러한 구성을 지닌 종래의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의 유입량을 파악할 수 없기 때문에, 차실내를 환기시키는데 많은 어려움이 따르며, 특히, 추운 겨울철 운행시에는 난방을 위해 최소한의 시간동안만 외기를 도입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도입되는 외기의 풍량을 감지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본 발명은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의 유입량을 운전자가 알 수 있도록 히터 컨트롤 유닛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히터 컨트롤 유닛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의 구성을 보인 계통도
도 3은 본 발명의 풍량계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히터 컨트롤 유닛의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에어 덕트 12 : 내외기 절환도어
14 : 풍량 감지센서 16 : 블로어 모터
18 : 송풍팬 20 : 증발기
22 : 히터 코어 24 : 유로 선택도어
26 : 에어 배출구 32 : 히터 컨트롤 유닛
34 : 블로어 스위치 36 : 에어컨 스위치
38 : 모드 스위치 40 : 풍량계
42 : ECU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블로어 모터의 회전수를 제어하여 공기의 유입량을 조절하는 블로어 스위치와, 에어컨을 작동시키는 에어컨 스위치 및 에어 덕트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선택하는 모드 스위치가 장착된 히터 컨트롤 유닛에 있어서, 내외기 절환도어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으며,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량을 감지하여 전자제어유닛으로 보내는 풍량 감지센서와, 전자제어유닛에서 전달되는 출력신호를 바탕으로 외부에서 유입되는 풍량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상기 히터 컨트롤 유닛에 설치된 풍량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외기의 도입량을 눈으로 식별할 수 있기 때문에 실내의 공기를 적절히 환기시킴으로써, 최적의 상태로 유지함과 동시에, 냉방 및 난방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한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의 구성을 보인 계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풍량계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히터 컨트롤 유닛의 정면도이다.
먼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시보드에 내장된 에어 덕트(10)에는 블로어 모터(16)의 작동으로 회전되는 송풍팬(18)에 의해 내기 및 외기를 선택적으로 도입하기 위한 내외기 절환도어(12)가 설치되어 있으며, 도입된 공기를 실태로 공급하기 위한 에어 배출도어(2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에어 덕트(10)내에는 흡입된 공기를 냉각하기 위한 증발기(20)가 설치되어 있으며, 엔진을 냉각하는 냉각수가 유입되는 히터 코어(22)가 설치되어 있다. 히터 코어(22)의 전방에는 유로 선택도어(24)가 설치되어 있어, 겨울철에 히터를 작동할 경우에는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개방하여 히터 코어(22)로 공기를 보냄으로써, 히터 코어(22)를 지나면서 가열된 공기를 에어 배출도어(26)를 통해 차실내로 공급한다. 반대로, 여름철에는 유로 선택도어(24)를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닫아, 증발기(20)를 통과한 차가운 공기를 차실내로 공급하여 냉방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지닌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내외기 절환도어(12)의 전방에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량을 감지하기 위한 유량 감지센서(14)가 설치되어 있다. 유량 감지센서(14)는 풍량을 감지하여 전압의 형태로 변환한 다음, 전자제어유닛(ECU)(42)으로 보내게 되며, 전자제어유닛(42)은 이 신호를 바탕으로 풍량계(40)에 풍량을 디스플레이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풍량계(40)가 설치되어 있는 히터 컨트롤 유닛(32)을 도시한 정면도로, 여기에는 블로어 모터(16)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블로어 스위치(34)와, 에어컨을 작동시키는 에어컨 스위치(36) 및 에어 덕트(10)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선택하는 모드 스위치(38)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히터 컨트롤 유닛(32)에는 전자제어유닛(42)에서 전달되는 출력신호를 바탕으로 외부에서 유입되는 풍량을 디스플레이하는 풍량계(40)가 설치되 어 있다. 따라서, 블로어 모터(16)의 작동시에 도입되는 외기의 유입량은 유량 감지센서(14)에서 감지된 다음, 전자제어유닛(42)을 통해 유량계(40)상에 디스플레이됨으로써, 운전자는 유입되는 공기량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외기의 도입량을 눈으로 식별할 수 있기 때문에 실내의 공기를 적절히 환기시킴으로써, 최적의 상태로 유지함과 동시에, 냉방 및 난방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블로어 모터(16)의 회전수를 제어하여 공기의 유입량을 조절하는 블로어 스위치(34)와, 에어컨을 작동시키는 에어컨 스위치(36) 및 에어 덕트(10)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선택하는 모드 스위치(38)가 장착된 히터 컨트롤 유닛(32)에 있어서,
    내외기 절환도어(12)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으며,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량을 감지하여 전자제어유닛(42)으로 보내는 풍량 감지센서(14)와,
    상기 전자제어유닛(42)에서 전달되는 출력신호를 바탕으로 외부에서 유입되는 풍량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상기 히터 컨트롤 유닛(32)에 설치된 풍량계(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KR1019970013680A 1997-04-14 1997-04-14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KR1002106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3680A KR100210610B1 (ko) 1997-04-14 1997-04-14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3680A KR100210610B1 (ko) 1997-04-14 1997-04-14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6822A KR19980076822A (ko) 1998-11-16
KR100210610B1 true KR100210610B1 (ko) 1999-07-15

Family

ID=19502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3680A KR100210610B1 (ko) 1997-04-14 1997-04-14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061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6822A (ko) 1998-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4161060A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02254918A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1748202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0210610B1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KR20100022693A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
JP2004243932A (ja) 車両用空調装置
JP3687211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0174990Y1 (ko) 냉·온풍 겸용 에어컨디셔너의 구조
KR100303261B1 (ko) 자동차공기조화장치의에어믹스도어모터초기화방법
JP2000238526A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00355208A (ja) 車両用空調装置
JP3994762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H07205639A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KR101001034B1 (ko) 차량 공조장치용 컨트롤러의 제어방법
KR100821304B1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JPH07101230A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KR100601833B1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JPH0532120A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KR20120085990A (ko) 전기자동차용 공조장치
KR0134230B1 (ko) 자동차 인스트루먼트 패널용 어퍼벤트
KR200237691Y1 (ko) 차량의공기조화장치
JPH11254945A (ja) 車両用空調装置
KR19990005847U (ko) 자동차 공조장치의 내/외기모드 자동제어장치
KR20000008230U (ko) 자동제어형 습도 조절시스템을 구비한 자동차
KR20100072553A (ko) 차량용 공조 컨트롤러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