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6928B1 - 반도체 메모리의 데이타라인 등화 제어회로 - Google Patents

반도체 메모리의 데이타라인 등화 제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6928B1
KR100206928B1 KR1019960030587A KR19960030587A KR100206928B1 KR 100206928 B1 KR100206928 B1 KR 100206928B1 KR 1019960030587 A KR1019960030587 A KR 1019960030587A KR 19960030587 A KR19960030587 A KR 19960030587A KR 100206928 B1 KR100206928 B1 KR 1002069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output
data
signal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0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11464A (ko
Inventor
양동준
Original Assignee
구본준
엘지반도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본준, 엘지반도체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본준
Priority to KR10199600305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6928B1/ko
Priority to JP9200631A priority patent/JP3032963B2/ja
Priority to US08/900,334 priority patent/US5886936A/en
Publication of KR980011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114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6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69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2Bit line control circuits, e.g. drivers, boosters, pull-up circuits, pull-down circuits, precharging circuits, equalising circuits, for bit lin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9Read-write [R-W] circuits 
    • G11C11/4096Input/output [I/O] data management or control circuits, e.g. reading or writing circuits, I/O drivers or bit-line switches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 셀의 데이타라인을 등화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반도체 메모리의 데이타 입출력 제어회로에 있어서는 컬럼계 어드레스에 의한 데이타 출력시 어드레스전이검출신호를 기준으로 하여 등화제어신호가 공급되므로 등화 완료시간이 어드레스전이검출신호의 구간만큼 지연되고, 이에 의해 데이타 출력시간이 그만큼 지연되어 처리속도가 지연되는 결함이 있고, 비트라인과 입출력라인을 단속하는 스위치부가 불필요하게 오랫동안 연결되는 구조로 되어 있어 전류가 많이 소모되는 결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메모리 셀에 기록된 데이타를 센싱하여 비트라인(B/L) 및 입출력라인(I/O)을 통해 외부로 출력하거나 그 반대의 경로를 통해 데이타를 기록하는 반도체 메모리의 데이타 입출력회로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라인(I/O)에 접속된 메인앰프의 출력신호를 피드백받아 피드백신호를 생성하는 피드백수단과; 상기 피드백신호의 제어를 받아 입출력라인을 자체적으로 등화시키는 등화수단과; 상기 피드백신호의 제어를 받아 비트라인과 입출력라인을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스위치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반도체 메모리의 데이타라인 등화 제어회로
제1도는 일반적인 반도체 메모리의 데이타 입출력 제어회로에 대한 블록도.
제2a도 내지 2i도는 제1도 각부의 파형도.
제3도는 직접 센싱방식의 일반적인 데이타라인 등화 제어 블록도.
제4도는 본 발명 반도체 메모리의 데이타라인 등화 제어회로에 대한 블록도.
제5도는 제4도에서 등화기의 상세 회로도.
제6도는 제4도에서 메인앰프부(40A)의 상세 회로도.
제7도는 제6도에서 피드백부의 상세 회로도.
제8a도 내지 8m도는 제4도 각부의 파형도.
제9도는 직접 센싱방식의 반도체 메모리의 데이타 입출력회로에 적용되는 예를 보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1 : 메모리 셀 42 : 센스앰프
43A : 제1스위치부 43B : 제2스위치부
44A, 44B : 등화기 45 : 프리챠지부
46 : 메인앰프 47 : 피드백부
48 : 데이타 래치부 49 : 데이타 출력버퍼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 셀의 데이타라인을 등화(Equalize)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어드레스전이검출신호 구간만큼 데이타의 출력시간이 지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메인 앰프의 피드백신호를 이용하여 데이타라인을 자체적으로 등화 시키는데 적당하도록한 반도체 메모리의 데이타라인 등화 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일반적인 반도체 메모리의 데이타 입출력 제어회로에 대한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트라인(B/L)을 통해 메모리 셀(11)에 입출력되는 데이타를 센싱하여 적정 레벨로 증폭하는 센스앰프(12)와; 스위치신호(YS)의 제어하에 상기 비트라인(B/L)을 입출력라인(I/O)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스위치부(13)와; 메인앰프제어신호(MAC)의 제어하에 상기 입출력라인(I/O)을 통해 공급되는 신호를 소정 레벨로 증폭하는 메인앰프(16)와; 상기 메인앰프(16)의 전,후단의 입출력라인(I/O)에 접속되어 등화제어신호(EQC)의 제어하에 그 입출력라인(I/O)을 등화시키는 등화기(14A),(14B)와; 프리챠지제어신호(PCS)의 제어를 받아 상기 입출력라인(I/O)을 전원단자전압(Vcc)레벨로 프라챠지시키는 프리챠지부(15)와; 상기 메인앰프(16)에서 출력되는 데이타를 래치하는 데이타 래치부(17) 및 그 래치된 데이타를 외부로 인터페이스하는데 적당하도록 처리하는 데이타 출력버퍼(18)로 구성된 것으로, 이의 작용을 제2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통상적으로,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타 입출력 장치에 있어서, RAS계(Row Address Strobe) 회로에 의해 워드라인(W/L)이 구동되어 메모리 셀(11)에 데이타가 기록(Write)되거나 이미 기록된 데이타가 리드(Read)되고, 이렇게 리드 또는 라이트되는 데이타가 비트라인(B/L)을 통해 센스앰프(12)에서 센싱된다.
또한, 컬럼계(CAS : Column Address Strobe) 어드레스신호가 칩내에 공급되면 컬럼계 어드레스가 변경되었음을 알리는 어드레스전이검출신호(ATD)가 발생되고, 이 신호를 기준으로 데이타의 리드/라이트동작이 수행되는데, 예로써, 제2도의 타이밍도를 참조하여 메모리 셀(11)에 기록된 데이타의 리드과정을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제2도의 (c)와 같이 어드레스신호(ADD)가 변경되면 제2도의 (d)에서와 같이 어드레스전이검출신호(ATD)가 로우로 인에이블되고, 이때, 등화기(14A),(14B)에 제2도의 (e)와 같은 등화제어신호(EQC)가 공급되어 그 등화기(14A),(14B)가 구동되므로 이에 의해 입출력라인(I/O)이 제2도의 (g)의 전반부와 같이 전원단자전압(Vcc)의 레벨로 등화된다.
또한, 상기 등화제어신호(EQC)가 로우로 인에이블된 후 스위치부(13)에 제2도의 (f)와 같이 스위치신호(YS)가 하이로 공급되어 엔모스(NM12),(NM13)가 온되므로 이에 의해 상기 비트라인(B/L)이 입출력라인(I/O)에 연결되고, 제2도의 (i)와 같이 메인앰프제어신호(MAC)가 하이로 공급되어 메인앰프(16)가 인에이블된다.
이와 같이 일련의 등화과정이 종료된 후 상기 워드라인(W/L) 에 하이신호가 공급되어 캐패시터(C11)에 기록된 데이타가 엔모스(NM11)및 비트라인(B/L)을 통해 센스앰프(12)에 전달되고, 그 센스앰프(12)에 의해 센싱된 신호가 상기 스위치부(13)를 통해 상기 입출력라인(I/O)에 전달되어 이 입출력라인(I/O)의 전위가 제2도 (g)의 후반부에서와 같이 소정 레벨로 벌어지게 된다.
이때, 메인앰프(16)는 상기 입출력라인(I/O)을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지정된 레벨로 증폭하여 출력하게 되고, 그 메인앰프(16)에서 출력되는 데이타가 데이타래치부(17)에 래치된 후 데이타 출력버퍼(18)를 통해 외부로 인터페이스하는데 적당한 수준으로 처리되어 이로부터 제2도의 (j)와 같은 최종의 출력데이타(Dout)가 발생된다.
여기서, 컬럼계 어드레스에 의한 데이타 출력시 상기 어드레스전이검출신호(ATD)와 컬럼어드레스신호의 디코딩에 의해 스위칭신호(YS)가 생성되어 상기 스위치부(13)에 공급된다. 또한, 상기 각 등화기(14A),(14B)에 공급되는 등화제어 신호(EQC)는 상기 어드레스검출신호(ATD)를 기준으로 생성되므로 부득이 등화완료시간이 제2도의 (g)에서와 같이 소정의 지연시간(t=ATD)을 갖게 되고, 이로 인하여 데이타(Dout)의 출력시간도 그만큼 지연되어 출력된다.
한편, 제3도는 데이타를 직접 센싱하는 또 다른 종래의 데이타라인 등화 제어회로를 보인 것으로, 제1도와 비교해 볼 때, 비트라인(B/L)의 신호가 엔모스(NM12),(NM13)의 게이트신호로 공급하고, 스위치신호(YS)를 이용하여 그 엔모스(NM12),(NM13)의 소오스 공통접속점과 접지단(Vss)사이에 접속된 엔모스(NM14)를 스위칭하는 방식으로 비트라인(B/L)과 입출력라인(I/O)을 연결한다는 것이 다르며, 나머지 부분의 동작과정은 제1도와 동일하다.
이와 같이 종래의 반도체 메모리의 데이타 입출력 제어회로에 있어서는 컬럼계 어드레스에 의한 데이타 출력시 어드레스전이검출신호를 기준으로 하여 등화제어신호가 공급되므로 등화 완료시간이 어드레스검출신호의 구간만큼 지연되고, 이에 의해 데이타 출력시간이 그만큼 지연되는 결함이 있었다. 또한, 비트라인과 입출력라인을 단속하는 스위치부가 불필요하게 오랫동안 연결되는 구조로 되어 있어 전류가 많이 소모되는 결함이 있었다. 또한, 회로구성이 특성상 어드레스 장애신호(glitch)에 취약하여 시스템이 불안정하게 동작되는 결함이 있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정적 스위칭방법(Static Y-Switch)을 이용한 등화수단이 제안되었으나 이와 같은 경우 추가적인 전류소모를 감수해야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메인 앰프의 피드백신호를 이용하여 데이타 입출력라인을 자체적으로 등화시키고, 비트라인과 데이타 입출력라인의 접속을 제어하는 반도체 메모리의 데이타라인 등화 제어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반도체 메모리의 데이타라인 등화 제어회로는 메모리 셀에 기록된 데이타를 센싱하여 비트라인(B/L) 및 입출력라인(I/O)을 통해 외부로 출력하거나 그 반대의 경로를 통해 데이타를 기록하는 반도체 메모리의 데이타 입출력회로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라인(I/O)에 접속된 메인 앰프의 출력신호를 피드백받아 피드백신호를 생성하는 피드백수단과; 상기 피드백신호의 제어를 받아 입출력라인을 자체적으로 등화시키는 등화수단과; 상기 피드백신호의 제어를 받아 비트라인과 입출력라인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스위치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4도는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반도체 메모리의 데이타라인 등화 제어회로에 대한 일실시 예시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트라인(B/L)을 통해 메모리 셀(11)에 입출력되는 데이타를 센싱하여 적정 레벨로 증폭하는 센스앰프(42)와; 스위치신호(YS)의 제어하에 상기 비트라인(B/L)을 제2스위치부(43B)의 입력단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1스위치부(43A)와; 피드백신호(FB3)의 제어하에 상기 제1스위치부(43A)의 출력단을 입출력라인(I/O)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2스위치부(43B)와; 피드백신호(FB2)의 제어를 받아 상기 입출력라인(I/O)을 전원단자전압(Vcc)레벨로 프리챠지시키는 프리챠지부(45)와; 메인앰프제어신호(MAC)의 제어하에 상기 입출력라인(I/O)을 통해 공급되는 신호를 소정 레벨로 증폭하는 메인앰프(46)와; 상기 메인앰프(46)의 전,후단의 입출력라인(I/O)에 접속되어 피드백신호(FB1), 등화제어신호(EQC)의 제어하에 그 입출력라인(I/O)을 등화시키는 등화기(44A),(44B)와; 상기 메인앰프(46)의 출력신호(a/b)와 라이트인에이블계 신호(WES)를 논리조합하여 상기 피드백신호(FB1),(FB2)를 생성하고, 그 출력신호(a/b) 및 라이트인에이블계 신호(WES), 어드레스전이검출신호(ATD)를 논리조합하여 상기 피드백신호(FB3)를 생성하는 피드백부(47)와; 상기 메인앰프(46)에서 출력되는 데이타를 래치하는 데이타 래치부(48) 및 그 래치된 데이타를 외부로 인터페이스하는데 적당하도록 처리하는 데이타 출력버퍼(49)로 구성한 것으로,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첨부한 제5도 내지 제9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RAS계 회로에 의해 워드라인(W/L)이 구동되어 메모리 셀(41)에 데이타가 기록(Write)되거나 이미 기록된 데이타가 리드(Read)되고, 이렇게 리드 또는 라이트되는 데이타가 비트라인(B/L)을 통해 센스앰프(42)에서 센싱되는데, 예로써, 제8도의 타이밍도를 참조하여 상기 메모리 셀(41)에 기록된 데이타의 리드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컬럼계 어드레스신호가 칩내에 공급되면 컬럼계 어드레스가 변경되었음을 알리는 어드레스전이검출신호(ATD)가 제8도의 (d)에서와 같이 로우로 인에이블되고, 피드백부(47)에서는 이 신호(ATD)를 기준으로 제8도의 (e)와 같은 등화제어신호(EQB), 제8도의 (h)와 같은 메인앰프제어신호(MAC), 제8도의 (f)와 같은 피드백신호(FB3)를 생성한다.
즉, 제8도의 (e)와 같은 등화제어신호(EQB)에 의해 등화기(44B)가 구동되어 메인앰프(46)이 출력단에서 출력되는 제8도의 (j)와 같은 신호(a/b)가 후술할 제7도와 같은 피드백부(47)의 입력신호로 공급되어 그 피드백부(47)에서 제8도의 (f),(k),(l)와 같은 타이밍으로 각각의 피드백신호(FB3),(FB1),(FB2)가 출력되고, 그 피드백신호(FB1)에 의해 등화기(44A)가 구동되어 입출력라인(I/O)이 자체적으로 등화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피드백신호(FB2)를 프리챠지부(45)의 구동신호로 공급하여 상기 입출력라인(I/O)을 전원단자전압(Vcc) 레벨로 프리챠지시킬 수 있다.
한편, 컬럼계 어드레스신호에 의해서 생성된 제8도의 (g)와 같은 스위치신호(YS)가 제1스위치부(43A)에 공급되어 엔모스(NM42),(NM43)가 각기 온되므로 비트라인(B/L)이 그 제1스위치부(43A)를 통해 제2스위치부(43B)의 입력단에 연결되는데, 상기의 설명에서와 같이 어드레스전이검출신호(ATD)에 의해 곧바로 피드백신호(FB3)가 생성되고, 이 피드백신호(FB3)가 제2스위치부(43B)의 스위치신호로 공급되어 엔모스(NM44),(NM45)가 온되므로 비트라인(B/L)과 입력라인(I/O)이 연결된다.
상기에서는 제1스위칭부(43A)와 제2스위치부(43B)를 모두 사용하는 것을 예로하여 설명하였으나, 상기 피드백신호(FB3)를 상기 스위치신호(YS)의 코딩신호로 사용함으로써 그 제2스위치부(43B)를 사용하지 않고 제1스위치부(43A)만을 사용하여 두개의 스위치부(43A),(43B)를 모두 사용할때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결국, 상기의 설명에서와 같이 입출력라인(I/O)이 피드백신호(FB1)에 의해 자체적으로 등화되므로 비트라인(B/L)을 통해 출력되는 신호가 종래에서와 같이 소정의 지연시간(t)을 갖지 않고 입출력라인(I/O)에 로드된다. 또한, 상기의 스위치신호(YS)가 단지 어드레스신호에 의해서 생성되므로 아주 짧은 주기의 장해성(glitch) 어드레스전이검출신호(ATD)에 의해 페일(fail)이 발생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일련의 등화 및 연결과정이 수행되면 즉, 피드백신호(FB1), 등화제어신호(EQB)에 의해 상기 등화기(44A),(44B)가 구동되어 입출력라인(I/O)이 자체적으로 등화되고 스위치신호(YS) 및 피드백신호(FB3)에 의해 제1스위치부(43A) 및 제2스위치부(43B)가 구동되면, 워드라인신호(W/L)에 의해 메모리 셀(41)에 기록된 데이타가 리드되어 센스앰프(42)에서 소정레벨로 증폭된 후 비트라인(B/L), 제1스위치부(43A) 및 제2스위치부(43B), 입출력라인(I/O)을 순차적으로 통해 메인앰프(46)에 전달된다.
이에 따라 상기 메인앰프(46)에 입력된 신호는 제6도에서와 같이 상기 메인앰프제어신호(MAC)에 의해 구동되는 연산증폭기(OP61,OP62)를 통해 1차적으로 증폭된 후 다시 연산증폭기(OP63,OP64)를 통해 2차적으로 증폭되어 데이타 래치부(48)에 래치되고, 다시 데이타 출력버퍼(49)를 통해 외부로 인터페이스하는데 적당하도록 증폭처리된다.
한편, 제5도는 제4도에서 등화기(44A)의 상세회로를 보인 것으로, 상기의 설명에서와 같이 하이로 공급되는 피드백신호(FB1)가 피모스(PM51),(PM52,PM53)의 게이트에 공급되어 그들이 각기 온되어 입출력라인(I/O)이 등화된다.
한편, 제7도는 제4도에서 피드백부(47)의 상세회로를 보인 것으로, 상기 메인앰프(46)의 출력신호(a/b)가 낸드게이트(ND71)를 통해 낸드조합된 후 낸드게이트(ND72)에서 라인트인에이블계 신호(WES)와 낸드조합되고, 이 낸드게이트(ND72)의 출력신호가 직접 낸드게이트(ND73)의 타측 입력으로 공급되어 지연기(D71) 및 인버터(I72)를 통해 공급되는 일측입력신호와 낸드조합된 후 상기 피드백신호(FB1)로 출력되고, 다시 인버터(I73)를 통해서는 반전되어 상기 피드백신호(FB2)로 출력된다.
상기 낸드게이트(ND71)의 출력신호가 직접 낸드게이트(ND74)의 일측 입력으로 공급되어 지연기(D72) 및 인버터(I74)를 통해 공급되는 타측입력신호와 낸드조합된 후 낸드게이트(ND75)의 일측입력신호로 공급된다. 또한, 라이트인에이블계 신호(WES) 및 어드레스전이검출신호(ATD)가 낸드게이트(ND77)와 RS플립플롭 형태로 결합된 낸드게이트(ND76)의 입력신호로 공급되고, 이의 출력신호가 직접 상기 낸드게이트(ND75)의 타측입력으로 공급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낸드게이트(ND78)의 일측 입력으로 공급되어 지연기(D73) 및 인버터(I76)를 통해 공급되는 타측입력신호와 낸드조합된 후 상기 낸드게이트(ND77)의 입력신호로 공급된다. 상기 낸드게이트(ND75)에서 낸드조합된 두 입력신호가 인버터(I75)를 통해 상기 피드백신호(FB3)로 출력된다.
참고로, 상기 지연기(D71),(D72),(D73)는 출력펄스폭을 확장하기 위해 사용된 것이다.
한편, 제9도는 직접 센싱방식의 데이타 입출력회로에 적용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스위치부(93A)와 연결되는 입출력라인(I/O)측에 제2스위치부(93B)를 추가로 접속하고, 상기 제4도에서와 같이 피드백부(97)에서 출력되는 피드백신호(FB3)를 이용하여 그 제2스위치부(93B)의 스위칭 을 제어함으로써 종래에서와 같이 제1스위치부(93A)의 구동에 의해 불필요하게 오랜 시간동안 비트라인(B/L)과 입출력라인(I/O)이 접속된 상태로 방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절전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메인 앰프의 피드백신호를 이용하여 데이타 입출력라인을 자체적으로 등화시키고, 비트라인과 데이타 입출력라인의 접속을 제어함으로써 데이타의 입출력 속도를 향상시키고 절전을 도모할 수 있으며, 더욱이 어드레스 장애신호에 의해 시스템이 불안정하게 동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메모리 셀에 기록된 데이타를 센싱하여 비트라인(B/L) 및 입출력라인(I/O)을 통해 외부로 출력하거나 그 반대의 경로를 통해 데이타를 기록하는 반도체 메모리의 데이타 입출력회로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라인(I/O)에 접속된 메인앰프(46)의 출력신호를 피드백받아 피드백신호(FB1-FBS)를 생성하는 피드백부(47)와; 상기 피드백신호(FB1)의 제어를 받아 입출력라인(I/O)을 등화시키는 등화기(44A)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의 데이타라인 등화 제어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신호(FB3)의 제어를 받아 비트라인(B/L)과 입출력라인(I/O)을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2스위치부(43B)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의 데이타라인 등화 제어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신호(FB2)의 제어를 받아 입출력라인(I/O)을 프리챠지시키는 프리챠지부(45)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의 데이타라인 등화 제어회로.
  4. 제1항에 있어서, 피드백부(47)는 상기 메인앰프(46)의 출력단자(a/b)를 낸드게이트(ND71)를 통해 일측입력단자에 라이트인에이블계신호(WES)가 공급되는 낸드게이트(ND72)의 타측입력단자에 접속하여 이의 출력단자를 직접 낸드게이트(ND73의 타측입력단자에 접속하고 지연기(D71) 및 인버터(I72)를 통해서는 그 낸드게이트(ND73)의 일측입력단자에 접속하며, 그 낸드게이트(ND73)의 출력단자를 직접 피드백신호단자(FB1)에 접속하고 인버터(I73)를 통해서는 피드백신호단자(FB2)에 접속하고, 상기 낸드게이트(ND71)의 출력단자를 직접 낸드게이트(ND74)의 일측입력단자에 접속하고 지연기(D72) 및 인버터(I74)를 통해서는 그 낸드게이트의(ND74)의 타측입력단자에 접속하며, 낸드게이트(ND77)와 결합되어 RS플립플롭을 구성하고 라이트인에이블계 신호(WES) 및 어드레스전이검출신호(ATD)를 입력으로 하는 낸드게이트(ND76)의 출력단자와 상기 낸드게이트(ND74)의 출력단자를 낸드게이트(ND75)의 입력단자에 접속하여 이의 출력단자를 인버터(I75)를 통해 피드백신호단자(FB3)에 접속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의 데이타라인 등화 제어회로.
  5. 메모리 셀에 기록된 데이타를 센싱하여 비트라인(B/L) 및 입출력라인(I/O)을 통해 외부로 출력하거나 그 반대의 경로를 통해 데이타를 기록하는 직접 센싱형 반도체 메모리의 데이타 입출력회로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라인(I/O)에 접속된 메인앰프(96)의 출력신호를 피드백받아 피드백신호(FB1-FBS)를 생성하는 피드백부(97)와; 상기 피드백신호(FB1)의 제어를 받아 입출력라인(I/O)을 등화시키는 등화기(94A)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의 데이타라인 등화 제어회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신호(FB1)의 제어를 받아 비트라인(B/L)과 입출력라인(I/O)을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2스위치부(93B)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의 데이타라인 등화 제어회로.
KR1019960030587A 1996-07-26 1996-07-26 반도체 메모리의 데이타라인 등화 제어회로 KR1002069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0587A KR100206928B1 (ko) 1996-07-26 1996-07-26 반도체 메모리의 데이타라인 등화 제어회로
JP9200631A JP3032963B2 (ja) 1996-07-26 1997-07-25 半導体メモリのデータライン等化制御回路
US08/900,334 US5886936A (en) 1996-07-26 1997-07-25 Memory cell data line equalization controlling circuit for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0587A KR100206928B1 (ko) 1996-07-26 1996-07-26 반도체 메모리의 데이타라인 등화 제어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11464A KR980011464A (ko) 1998-04-30
KR100206928B1 true KR100206928B1 (ko) 1999-07-01

Family

ID=19467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0587A KR100206928B1 (ko) 1996-07-26 1996-07-26 반도체 메모리의 데이타라인 등화 제어회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886936A (ko)
JP (1) JP3032963B2 (ko)
KR (1) KR1002069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5132B1 (ko) * 1997-06-24 2000-12-15 김영환 전류미러형 감지 증폭기
KR100266750B1 (ko) * 1997-11-20 2000-09-15 윤종용 행 프리 챠아지 시간을 줄일 수 있는 고밀도 반도체 메모리 장치
JP2000011661A (ja) * 1998-06-26 2000-01-14 Nec Corp データアウトバッファ回路
KR100557969B1 (ko) * 1998-09-11 2006-05-1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의 입출력 제어회로
JP2001297586A (ja) 2000-04-12 2001-10-26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記憶装置
DE102004047331B3 (de) * 2004-09-29 2006-05-11 Infineon Technologies Ag Integrierter Halbleiterspeicher
KR100804152B1 (ko) * 2005-09-29 2008-02-19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장치
US7738307B2 (en) 2005-09-29 2010-06-15 Hynix Semiconductor, Inc. Data transmission device i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JP2014149884A (ja) * 2013-01-31 2014-08-21 Micron Technology Inc 半導体装置
US8890575B1 (en) * 2013-07-19 2014-11-18 Integrated Silicon Solution, Inc. Glitch-free input transition detecto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032B2 (ja) * 1986-03-12 1996-02-2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半導体集積回路装置
JP2785540B2 (ja) * 1991-09-30 1998-08-1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半導体メモリの読み出し回路
TW367656B (en) * 1994-07-08 1999-08-21 Hitachi Lt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069776A (ja) 1998-03-10
KR980011464A (ko) 1998-04-30
US5886936A (en) 1999-03-23
JP3032963B2 (ja) 2000-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79374A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employing sense amplifier control circuit and word line control circuit
KR100295041B1 (ko) 프리차지제어회로를구비하는반도체장치및프리차지방법
JPS6129069B2 (ko)
US6621753B2 (en) Semiconductor device
KR100206928B1 (ko) 반도체 메모리의 데이타라인 등화 제어회로
JPH08195085A (ja) データメモリ内のセンス増幅
KR930008311B1 (ko) 센스 앰프의 출력 제어회로
KR100311038B1 (ko) 칼럼선택속도가개선된칼럼선택라인구동회로와이를구비한메모리장치및그들의구동방법
JP2832693B2 (ja) 出力制御回路を備えたdram
US6073219A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with high speed read-modify-write function
US6909644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JPH04229483A (ja) Samデータアクセス方法およびsamデータアクセス回路
US5067109A (en) Data output buffer circuit for a SRAM
US5742185A (en) Data bus drive circuit for semiconductor memory device
JPS63138597A (ja) ダイナミツクメモリ装置
JPH04159690A (ja) メモリ装置
JPH08153400A (ja) Dram
JP3169819B2 (ja) 半導体記憶装置
US6445604B2 (en) Channel driving circuit of virtual channel DRAM
JPH0955087A (ja) 半導体メモリ装置
KR100200919B1 (ko) 어드레스 천이 감지기를 사용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라이트 경로 제어회로
KR20020084531A (ko) 고속의 데이터 전송을 위하여 글로벌 입출력 라인 버퍼를사용한 메모리
KR100190761B1 (ko) 비트라인 감지 증폭기
KR100374548B1 (ko) 메모리셀의 데이타라인 프리센싱회로
US6269044B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employing an abnormal current consumption detection sche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5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4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