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9223B1 - 다층식 건물의 폐기물 분류 수집 시스템 - Google Patents

다층식 건물의 폐기물 분류 수집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9223B1
KR100199223B1 KR1019930700188A KR930700188A KR100199223B1 KR 100199223 B1 KR100199223 B1 KR 100199223B1 KR 1019930700188 A KR1019930700188 A KR 1019930700188A KR 930700188 A KR930700188 A KR 930700188A KR 100199223 B1 KR100199223 B1 KR 1001992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door
storage container
sorting
specif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700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크 디 산찌스
Original Assignee
마크 디 산찌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크 디 산찌스 filed Critical 마크 디 산찌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9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92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093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from arrangements in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7/00Vertical ducts; Channels, e.g. for drainage
    • E04F17/10Arrangements in buildings for the disposal of refuse
    • E04F17/12Chu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033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g. receptacles with several compartments; Combination of receptacles
    • B65F2001/008Means for automatically selecting the receptacle in which refuse should be plac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10Waste collection, transportation, transfer or storage, e.g.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lectric or hybrid propul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09/00Classifying, separating, and assorting solids
    • Y10S209/932Fluid applied to i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Refuse Collection And Transfer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 Ventilation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Abstract

거주자(9)에 의해 재생을 위해 이미 분류된 상이한 종류의 폐기물을 별개의 큰 수납용기(7)에 수집하기 위해 다층식 건물에서는 하나의 투하장치(1)을 구비한 폐기물 분류수집 시스템을 사용한다. 각각의 종류의 폐기물용의 큰 수납용기(7)은 회전판(4)에 의해 지지된다. 각 층(3)의 제어장치(11)에 의해 거주자(9)는 특정 종류의 폐기물을 수용하도록 정해진 수납용기(7)을 투하장치(1)아래에 위치시키기 위해 회전판(4)를 작동시킬 수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중앙제어장치(12)와 투입용문들의 잠금장치(13)에 의해 층들사이의 혼동이 방지된다. 수납용기내의 폐기물은 왕복운동하는 램에 의해 밀집될 수 있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다층식 건물의 폐기물 분류 수집시스템
[기술분야]
본 발명은 폐기물 투하장치를 구비한 신축 및 기존의 다층식 건물에서 공급원에서(즉 거주자에 의해)재생불가능한 고체폐기물로부터 재생가능한 고체폐기물을 분리시키는 것에 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종류의 고체폐기물을 하나의 폐기물 투하장치 바로아래에 위치되고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운반시스템위에 설치된 다수의 용기내로 거주자가 조절하여 폐기하는 것에 대한 것이다.
[배경기술]
폐기물 처리에 있어서 공적이고 경제적인 측면에서 고체폐기물의 대부분을 재생하기 위하여 분류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재생을 위해 주거지역과 상업지역의 폐기물 분류를 촉진하기 위한 여러 방법들이 제시되었으나, 고층 건물에 대한 실용적이고 경제적인 해결책은 제안된 것이 없다.
1. 기존 건물들
기존의 다층식 건물에서 재생을 위해 폐기물을 수집하는 가장 개선된 방법은 여러이유에 의해 사용불가능한 기술수준이 낮고 대체로 혼합된 분류방법들을 결합한 것이다. 사용되고 있는 세가지 주요 방법들은 다음과 같다 :
a)각 층에서의 비혼합 분류방법
추후에 건물의 고용인이 처리하도록 각층에서 비혼합식의 여러용기에 재생가능한 물품들을 거주자가 분류한다. 각 층에서 여러 용기가 필요하며 고용인이 이들 용기를 지층의 하나의 중앙부로 수집하여 추후 운반도구로 처리한다.
b)각층에서의 혼합분류방법
거주자가 각층의 하나의 혼합용기에 재생가능한 물품들을 수집하고 건물고용인 이나 운반인이 추후 분류한다. 고용인은 각층으로부터 지층의 하나의 중앙부로 용기들을 수집하고 이후 운반자가 처리한다.
c)하나의 중앙부에서 비혼합 혹은 혼합분류하는 방법
거주자가 비혼합 되거나 혼합된 재생가능한 물품의 용기를 지층의 하나의 중앙부로 운반하고 이후 운반자가 처리한다.
첫 번째 방법(a)는 거주자에게는 편리하나 운반노력과 장비에 비용이 소요된다.
두 번째 방법(b)는 거주자에게 편리하고, 장비가 첫 번째 방법보다 저렴하나 연전히 고가이고 운반 노력 및 비용이 과대하게 된다.
세 번째 방법(c)는 장비 비용은 가장 작으나 거주자가 재생 고체 폐기물을 지층의 하나의 중아부로 운반해야 하므로 상당히 불편하다.
또한, 이들 세가지 방법에 의하면 고체 폐기물이 엘레베이터나 계단을 통하여 연속적으로 운반되어야 하므로 명백히 바람직하지 않게 운반시간이 길다.
d)기존의 투하장치의 세부구분방법
출원인은 기존의 투하장치를 다수의 작은 투하장치로 기계적으로 구분하는 것을 연구해 왔다. 모든 세부 구분된 투하설비는 국가방화 협회(Natronal Fire Associati on)의 기준치 및 지역 화재 기준에 위배되었는데, 이는 투하장치의 단면적이 너무 작기 때문이다.
현재의 다층식 건물의 재생물품 수집방법은 고가이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노동력을 필요로 하며, 거주자에게 불편하여 효과적이지 못하다.
2. 새로운 건축물
새로운 건축물에서의 가장 개선된 것으로 알려진 재생을 위한 다층식 분리 폐기물 수집방법은, 유리, 종이, 알루미늄등의 각각의 분리된 폐기물 형태에 따라 각각의 투하장치를 형성한 다수의 투하장치를 설치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 방법에 의하면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고, 비용이 많이들며, 5개 이하의 투하장치가 사용되면(보통 3개의 투하장치가 표준으로 사용되고 있다).
재생물품을 혼합할 필요가 있으며, 장래의 수많은 수의 분류된 물품에 대해 사용할 수 없다.
요약하면, 이 방법은 종래 사용되고 있는 하나의 투하장치 시스템과 같이 한계를 가진다.
종래의 이러한 방법들은 여전히 생산성이 낮고, 참여율이 낮은데, 이는 초기의 고체폐기물 분리장치와 같이 거주자를 고려치 않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요약]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폐기물 용기를 투하장치로 운반하여 폐기물을 쏟아버리는 습관적인 행위를 반복함으로써 비혼합의 재생물품을 거주자가 편리하게 분류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거주자가 재생물품을 분류함으로써, 본 발명에 의하면 추후에 재생물품들을 분류하기 위해 필요한 노동력과 각각의 층에서 용기를 운반하기 위해 필요한 노동력과 하나의 중앙부에서 폐기물을 집적하기 위한 노동력에 드는 비용을 피할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재생물품의 용기는 굴려져서 기존의 전방단부 적하기에 부착된 간단한 평평한 바닥의 트레일러로 들어 실어져서 폐기물 트럭에 실어지며, 비재생 물품의 용기는 폐기물 트럭에 쏟아 넣을 수 있다. 이로써 기존의 설비를 이용하여 노동력 비용을 절감하면서 건물로 부터 재생물품을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기존의 구조물을 이용하고 새로운 건축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하기 위하여 각 층의 문을 통해 접근할 수 있는 하나의 수직인 폐기물 투하장치를 구비한다. 투하장치의 바닥부에서는 모터가 각각의 폐기물 형태에 대응하여 여러개의 폐기물 용기를 이동시킨다. 각층의 제어장치는 특정형태의 폐기물을 수용하도록 투하장치 아래의 위치에 이동될 특정의 용기를 선택한다.
제어장치와 상호접속장치는 문이 개방된때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실수를 예방하기 위하여 일정시점에서 투하장치 아래에 있는 용기를 각층에 표시하고, 여러층 사이에서의 제어의 혼란을 방지한다. 투입용문에는 잘알려져 있는 자동폐쇄기구가 구비되며, 시스템의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해 용기내에 폐기물을 밀집시키기 위해 수직램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들과 다른 목적들 및 이점과 특징들은 첨부도면과 관련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본 발명의 상세한 내용이 첨부도면과 관련하여 이하 설명되는데, 여기에서,
제1도는 부분적으로 개략적이며 모두 동일한 크기가 아닌 회전가능한 플랫폼과 상당히 확대된 하나의 제어패널을 구비한 본 발명의 시스템의 사시도이며,
제2도는 본 발명의 직선형 플랫폼의 평면도이며,
제3도는 넘쳐 흐르는 특성을 가진 본 발명의 두 개의 용기의 사시도이며,
제4도는 폐기물을 밀집시키기 위한 왕복동 램과 부분적으로 파단된 용기를 구비한 회전판위의 웨지형 용기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최선의 실시 양태]
우선 제1도에 있어서, 폐기물 투하장치(1)에는 다층식 건물의 각층(3)에 투입용 문(2)가 구비된다. 이러한 형태의 구조는 잘 알려져 있다. 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해 거주자(9)는 그가 있는 층의 투입용 문(2)로 분류된 폐기물 용기(10)을 운반한다. 문 근처의 제어패널(11)에서 처리하려는 폐기물 형태(이경우는 종이)에 대응하는 지층의 수납용기(7)을 선택하기 위해 푸시버튼(14)를 누른다. 모든 제어패널은 중앙제어장치(12)에 작동적으로 연결된다. 지층의 투하장치(1)의 아래에서 플랫폼(4)는 투명유리, 채색유리, 알루미늄, 종이 및 모든 다른 폐기물이나 쓰레기와 같은 각각의 분류된 형태의 폐기물에 대해 하나씩의 일련의 폐기물 수납용기(7)가 구비된다. 가동플랫폼(4)는 모터(5)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판이다. 위치센서(6)이 플랫폼(4)의 회전위치를 감지한다. 선택된 수납용기(종이)가 투하장치(7)의 바로아래에 위치될때까지 플랫폼(4)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중앙제어장치(12)는 서보관계로 위치센서(6)과 협력하는 모터(5)를 작동시킨다.
각각의 투입용 문(2)의 문센서 및 잠금조립체(13)은 또한 중앙제어장치(12)에 연결된다.
플랫폼이 이동되는 동안 중앙제어장치는 수납용기가 이동중에 폐기물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모든 도어록을 작동시킨다. 개방된 문이 있으면, 문센서가 이러한 정보를 중앙제어장치(12)에 전달하며, 이 제어장치는 모터(5)의 작동과 플랫폼의 이동을 정지시킨다.
선택된 수납용기가 위치센서(6)에 의해 정해진 위치에 있으면, 모터(5)가 정지하고 사용자의 문에서의 잠금이 개방되어 각각의 제어패널(11)위의 선택된 램프(15)가 점등된다.
시스템이 선택된 폐기물을 수용할 준비가 되어 있음을 음향지시기(16)이 소리로 알려준다.
문이 닫혀진 채로 유지되는 일정한 시간간격후에 모든 문들이 잠금해제되어 다른층에서 이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게된다.
특정한 문이 잠금해제되면, 모든 다른 문들이 잠가지고 각각의 패널에서 사용중 램프(25)가 점등된다. 지층의 복제제어패널(11)은 작동을 개시하여 개방된 문을 표시한다.
또한, 제어스위치(17)이 수납용기를 비우는 동안 각층의 제어장치를 정지시키기 위해 제공되어 사용중지 램프(29)를 점등시킨다. 이 시스템용 전원(19)는 선을 통해 동력을 공급하며 중앙제어장치(12)의 전자제어는 잘알려져 있는 다수의 입력들을 구비한 프로그램된 마이크로프로세서 형태일 수 있다. 작동문제를 표시할 수 있으며, 작동을 위해 전화로 연결될 수 있다.
수용용기(7)에는 가득찬때 경사부(21)을 통해 이동되기 쉽도록 바퀴(20)이 구비된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가동 플랫폼(4)는 특정 설비의 기하학적 필요성과 공간의 측면을 더 잘 해결하도록 직선으로 전후로 이동하는 직선형 일 수 있다. 도시와 같이, 플랫폼(4)는 특정형상의 수용용기들(도시없음)을 수용하도록 그 상면에 대응하는 특정형상의 일련의 다수의 얕은 오목부(26)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에 의해 특정한 수납용기가 정확하게 위치될 수 있다.
제3도에 있어서, 상부개구에 절단형성된 노치(23)을 구비한 높이가 더 크고 직경은 더 작은 용기(22)이 도시되고 있다. 이 노치(23)은 직경이 더 크고 높이가 더작은 폐기물 수납용기(7)로 연결되는 이음부(24)를 유지한다.
용향이 작고 사용빈도가 작은 수납용기가 가득차면 과잉량은 더 큰 폐기물 수납용기로 넘쳐 공급된다. 이로써 용량이 큰 물품에 대해 더 큰 용기를 사용하고 용량이 작은 경우 작은 수납용기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흘러 넘치는 것을 염려함이 없이 플랫폼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제1도의 중앙제어장치(12)에서의 다수의 입력과 출력을 구비한 프로그램가능한 마이크로프로세서의 확실한 이점은 장래에 분류폐기물의 추가적인 종류를 포함시키는 것이 약간의 비용으로 가능하게 된다는 점이다. 종류가 추가되면, 각각의 제어패널에 추가적인 푸시버튼과 그 종류에 대한 램프가 추가되며 필요한 배선 접속이 이루어져야 한다. 처음에 설비할때 여러종류의 여분의 램프와 푸시버튼 및 배선이 구비되고 중앙제어장치(12)에서의 종단접속이 공지된 바와같이 내부스위치위에 위치되면, 여분의 종류를 추가하는 비용이 더욱 저렴할 것이다. 이 경우, 종류를 추가하는 것은 단순히 각각의 제어패널(11)의 램프에 표지를 붙이고, 접속을 완료하도록 내장된 스위치(30)을 작동시키기 위해 중앙제어장치(12)를 개방하면 된다.
특정의 작동순서, 시간 간격 등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프로그램에 의해 제어된다. 이 시스템의 제작자는 단순히 프로그램을 교체함으로써 작동될 수 있는 여러가지 선택 사양을 제공할 수 있다. 프로그램이 마이크로프로세서와 함께 칩(chip)에 내장될때 별개의 프로그램 모듈이나 마이크로프로세서 모듈을 교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은 잘못된 위치와 같은 선택사양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잘못 위치한 폐기물 수납용기가 예컨대 문을 잠그는데 문제가 있을때 정위치로 이동되는 것이다.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다음과 같은 복잡한 작업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다 :
역기능의 성질을 표시하는 기능 :
떨어진 위치에서 사용을 위해 전화하는 기능 :
떨어뜨리는 것을 거부하는 시간을 준비 가능하도록 높은 층들에 대한 시간지연을 증대시키는 기능 :
특정의 문이 개방된 것을 표시하는 기능, 등.
제4도에 있어서, 회전형 플랫폼(4)은 밀착배열되어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웨지 형상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수납용기(7)을 지지한다. 플랫폼이 회전함에 따라 수납용기의 개방된 상부의 바로위에 배치되도록 수납용기 위에는 램이나 플런저(31)이 걸려 배치되어 있다. 플런저(31)은 랙(33)에 작용하는 동력구동장치(32)에 의해 상하로 이동된다. 플런저(31)은 하강행정에서 폐기물을 압축하도록 배치되어 이 시스템의 성능을 증대시키고 처리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폐기물의 용적을 감소시킨다. 플런저(31)은 폐기물에 의해 상부가 막히는 것을 감소시키기 위해 피라미드 형상의 상부(34)를 가진다.
수납용기(7)에는 승강용 후크를 구비한 후방단부의 적재트럭과 측부의 적재트럭에 의해 용기를 비우기 위한 작업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구멍(35)는 후방단부 적재장치의 승강용 후크를 수용한다. 손잡이 조립체(36)은 구멍이 상승됨에 따라 수납용기를 위쪽으로 경사시키기 위해 지주처럼 기능하도록 상방외측으로 연장하는 상부 바아(37)을 구비한다.
수납용기가 측부의 적재트럭에 의해 경사된때 잠금요소로서 기능하는 하부 바아(27)과 결합하여 상부 바아(37)은 또한 측부의 적재트럭용의 상승용 바아로서 기능한다.
상술한 본 발명은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는 다수의 특징들을 가지고 있으며, 구성요소 각각도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개별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여기에 구체적으로 예시되고 설명된 것과 다르게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을 실시하는 구체적인 방법과 부품의 배열 및 형태의 변경이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내에서 본 발명의 원리와 기본적인 사상의 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Claims (34)

  1. 폐기물이 수집되는 투하장치에 투입하기 위한 투입용문을 각각의 층에 구비한 투하장치가 설치된 다층식 건물에서 여러종류로 분류된 폐기물을 선택적으로 분류수집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A)투입용 문을 통해 투하된 특정 종류의 폐기물을 수용하도록 상기 투하장치의 아래에 다수의 폐기물 수집 수납용기중의 선택된 하나의 수납 용기를 이동시키는 수납용기 이동장치; B)상기 수납용기 이동장치를 선택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상기 수납용기 이동장치에 작동적으로 연결되며, 각각의 상기 투입용문 근처에 설치되고 특정의 폐기물 종류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수납용기 이동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 및 C)상기 제어장치에 자동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수납용기 이동장치가 작동되는 중에는 상기 투입용문을 잠그기 위해 각각의 상기 문에 연결된 문잠금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의 분류수집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이 개방된 시기를 감지하기 위해 각각의 상기 투입용문에 설치되며, 개방된 문의 상태에 의거하여 작동하도록 상기 제어장치에 작동적으로 연결된 문감지장치를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의 분류수집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가장 최근에 선택이 행해진 선택 장치에 인접한 특정의 문을 제외하고 모든 상기 투입용문을 상기 특정의 문의 개방에 관련된 일정한 시간 간격동안 잠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의 분류수집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용기 이동장치는 회전판 형태의 플랫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의 분류수집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용기 이동장치는 직선형으로 이동하는 플랫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의 분류수집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용기 이동장치는, 특정 종류의 폐기물용 수납용기가 상기 수납용기 이동장치의 특정의 위치에 항상 배치되는 것을 보장하는 분류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의 분류수집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장치는 특정 형상의 수납용기가 고정되는 특정 형상의 오목부가 형성된 상면을 구비한 가동 플랫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의 분류수집 시스템.
  8. 다층식 건물에서 여러종류로 분류된 폐기물을 선택적으로 분류수집 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A)각각의 층에서 폐기물이 수집되는 투하장치로 통하는 투입용문을 구비한 수직의 폐기물 투하장치; B)투입용문을 통해 투하된 특정종류의 폐기물을 수용하도록 상기 투하장치 아래에 다수의 폐기물 수집 수납용기중 선택된 수납용기를 이동시키는 수납용기 이동장치: C)상기 수납용기 이동장치를 선택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상기 수납용기 이동장치에 작동적으로 연결되며, 각각의 상기 투입용문 근처에 각각 설치되고 특정의 폐기물 종류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장치 및 선택된 폐기물 종류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수납용기 이동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 및 D)상기 제어장치에 작동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수납용기 이동장치가 작동중에는 상기 투입용 문을 잠그기 위해 각각의 상기 문에 연결된 문잠금 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의 분류 수집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문이 개방된 시기를 감지하기 위해 각각의 상기 투입용 문에 설치되며, 개방된 문의 상태에 의거하여 작동하도록 문장치의 상태에 의거하여 작동하게 상기 제어장치에 작동적으로 연결된 문 감지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의 분류 수집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가장 최근에 선택이 행해진 선택장치에 인접한 특정의 문을 제외하고 모든 상기 투입용문을 상기 특정의 문의 개방에 관련된 일정한 시간 간격동안 잠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의 분류 수집 시스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용기 이동장치는 회전판 형태의 플랫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의 분류 수집 시스템.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용기 이동장치는 직선형으로 이동하는 플랫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의 분류 수집 시스템.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용기 이동장치는, 특정 종류의 폐기물용 수납용기가 상기 수납용기 이동장치의 특정의 위치에 항상 배치되는 것을 보장하는 분류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의 분류수집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장치는 특정 형상의 수납용기가 고정되는 특정 형상의 오목부가 형성된 상면을 구비한 가동 플랫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의 분류수집 시스템.
  15. 폐기물이 수집되는 투하장치에 접근하기 위한 투입용문을 각각의 층에 구비한 투하장치가 설치된 다층식 건물에서 여러종류로 분류된 페기물을 선택적으로 분류수집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A)투입용 문을 통해 투하된 특정 종류의 폐기물을 수용하도록 상기 투하장치의 아래에 다수의 페기물 수집 수납용기중의 선택된 하나의 수납용기를 이동시키는 수납용기 이도장치 ; 및 B)상기 수납용기 이동장치를 선택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상기 수납용기 이동장치에 작동적으로 연결되며, 각각의 상기 투입용문 근처에 각각 설치되고 특정의 폐기물 종류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장치 및 선택된 폐기물 종류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수납용기 이동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의 분류수집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문이 개방된 시기를 감지하기 위해 각각의 상기 투입용문에 설치되며,개방된 문의 상태에 의거하여 작동하도록 상기 제어장치에 작동적으로 연결된 문감지장치를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의 분류수집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가장 최근에 선택이 행해진 선택 장치에 인접한 특정의 문을 제외하고 모든 상기 투입용문을 상기 특정의 문의 개방에 관련된 일정한 시간 간격동안 잠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의 분류수집 시스템.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용기 이동장치는 회전판 형태의 플랫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의 분류수집 시스템.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용기 이동장치는 직선형으로 이동하는 플랫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기물의 분류수집 시스템.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용기 이동장치는, 특정 종류의 폐기물용 수납용기가 상기 수납용기 이동장치의 특정의 위치에 항상 배치되는 것을 보장하는 분류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의 분류수집 시스템.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장치는 특정 형상의 수납용기가 고정되는 특정 형상의 오목부가 형성된 상면을 구비한 가동 플랫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의 분류수집 시스템.
  22. 폐기물이 수집되는 투하장치에 투입하기 위한 투입용문을 각각의 층에 구비한 투하장치가 설치된 다층식 건물에서 여러종류로 분류된 폐기물을 선택적으로 분류수집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A)투입용 문을 통해 투하된 특정 종류의 폐기물을 수용하도록 상기 투하장치의 아래에 다수의 폐기물 수집 수납용기중의 선택된 하나의 수납용기를 이동시키는 수납용기이동장치; 및 B)상기 수납용기 이동장치를 선택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상기 수납용기 이동장치에 작동적으로 연결되며, 각각의 상기 투입용문 근처에 설치되고 특정의 폐기물 종류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수납용기 이동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의 분류수집 시스템.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문이 개방된 시기를 감지하기 위해 각각의 상기 투입용문에 설치되며, 개방된 문의 상태에 의거하여 작동하도록 상기 제어장치에 작동적으로 연결된 문감지장치를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의 분류수집 시스템.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가장 최근에 선택이 행해진 선택장치에 인접한 특정의 문을 제외하고 모든 상기 투입용문을 잠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의 분류수집 시스템.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용기 이동장치는 회전판 형태의 플랫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의 분류수집 시스템.
  26.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용기 이동장치는 직선형으로 이동하는 플랫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의 분류수집 시스템.
  27.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용기 이동장치는, 특정 종류의 폐기물용 수납용기가 상기 수납용기 이동장치의 특정의 위치에 항상 배치되는 것을 보장하는 분류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의 분류수집 시스템.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장치는 특정 형상의 수납용기가 고정되는 특정 형상의 오목부가 형성된 상면을 구비한 가동 플랫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의 분류수집 시스템.
  29.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용기 이동장치는 회전판을 포함하고 상기 수납용기는 상기 회전판 위에서 증대된 성능을 가지도록 대체로 웨지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의 분류수집 시스템.
  30.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용기는 제 1수직벽부 위의 상부 및 하부 바아 및 대향 수직벽부 위의 상승용 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의 분류수집 시스템.
  31.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용기내의 폐기물을 압축하고, 상기 수납용기의 개방상부 높이 위에 걸리며 상기 수납용기내에서 상하로 수직이동하게 배치된 램 장치를 구비하는 밀집장치를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의 분류수집 시스템.
  32. 각각의 층에 투입용 문이 형성된 투하장치를 구비한 다층식 건물에서 폐기물을 선택적으로 분류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특정 종류의 폐기물을 수용하도록 다수의 수납용기중 하나의 선택된 수납용기를 투하장치 아래에 위치설정시키는 장치 : 및 선택될 수납용기를 제어하기 위해 각각의 투입용문 근처에 배치된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의 분류수집 시스템.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설정장치는 회전식 회전판을 포함하며, 상기 수납용기는 대체로 워지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의 분류수집 시스템.
  34.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용기내에서 상기 폐기물을 밀집시키기 위한 압축장치를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의 분류수집 시스템.
KR1019930700188A 1990-07-23 1991-06-13 다층식 건물의 폐기물 분류 수집 시스템 KR1001992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56,347 1990-07-23
US07/556,347 US5031829A (en) 1990-07-23 1990-07-23 Separated waste collection system for multi-story build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199223B1 true KR100199223B1 (ko) 1999-06-15

Family

ID=24220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700188A KR100199223B1 (ko) 1990-07-23 1991-06-13 다층식 건물의 폐기물 분류 수집 시스템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5031829A (ko)
EP (1) EP0539500B1 (ko)
JP (1) JPH05508825A (ko)
KR (1) KR100199223B1 (ko)
AT (1) ATE149141T1 (ko)
AU (1) AU8291991A (ko)
CA (1) CA2064854C (ko)
DE (1) DE69124799T2 (ko)
DK (1) DK0539500T3 (ko)
ES (1) ES2100235T3 (ko)
GR (1) GR3023205T3 (ko)
WO (1) WO19920016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013984A1 (en) * 1990-04-05 1991-10-05 Geoffrey B. Sims Waste disposal chute
JPH04303303A (ja) * 1991-03-29 1992-10-27 Fuji Heavy Ind Ltd 高層ビルのごみ容器輸送装置
US5257577A (en) * 1991-04-01 1993-11-02 Clark Melvin D Apparatus for assist in recycling of refuse
US5190165A (en) * 1991-11-05 1993-03-02 Garfield Jr Robert J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the collection of separated waste in multi-story buildings
WO1993012017A2 (de) * 1991-12-13 1993-06-24 Chlean Plants & Engineering Establishmen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ntsorgen von abfall
FR2691384A1 (fr) * 1992-05-19 1993-11-26 Tallet Gerard Dispositif de tri sélectif d'ordures ménagères en amont du circuit urbain de collecte et meuble destiné à cet effet.
FR2691492B1 (fr) * 1992-05-22 1998-12-31 Pierre Hubert Dispositif et procede de tri selectif des dechets menagers dans l'habitat vertical.
US5316152A (en) * 1992-07-06 1994-05-31 Ross James A High rise recycling system
US5259304A (en) * 1992-08-31 1993-11-09 Roberts Mark A Carousel compactor for multi-component refuse
US5271507A (en) * 1992-10-16 1993-12-21 Evans Jr Edward P Storage disposal system for recyclable waste products
SE508325C2 (sv) * 1993-03-24 1998-09-28 Smedlund Miljoesystem Ab Anordning i soprum för sortering av sopor
US5366097A (en) * 1993-03-31 1994-11-22 Lewis Hazelwood Recyclable material separating device
FR2705715B1 (fr) * 1993-05-24 1995-08-11 Magret Michel Dispositif de programmation des vide-ordures permettant le tri sélectif des déchets ménagers.
KR970007459B1 (ko) * 1994-06-08 1997-05-09 한국에너지기술연구소 주거밀집건물의 폐기물 자동분리수거 및 계량장치
DK0799152T3 (da) * 1995-01-19 1999-06-23 Monsoon Servicos E Gestao Lda Anlæg og fremgangsmåde til differentieret affaldsindsamling
US5551576A (en) * 1995-02-10 1996-09-03 Importico; Michael Disposal system foe use in tall buildings
US5645172A (en) * 1995-08-31 1997-07-08 Shantzis; Mark D. Separated waste collection control for multistory building
US5568871A (en) * 1996-01-16 1996-10-29 Shantzis; Mark D. Door and chute for separated waste control
US5695115A (en) * 1996-04-17 1997-12-09 Shantzis; Mark D. Modular trash chute and room for multistory building
US5950920A (en) * 1997-05-09 1999-09-14 Atlantic Maintenance Of Miami Compactor assembly for use with recycling bins
US6588330B1 (en) 2000-05-15 2003-07-08 Michael Importico Trash compactor system
CA2496488A1 (en) * 2002-09-13 2004-03-25 Whirlpool Canada Inc. Device and process for processing organic waste
GB0306125D0 (en) * 2003-03-18 2003-04-23 Phillips Stephen A Recycle bin RB30
US7690493B1 (en) 2005-10-14 2010-04-06 University Of Central Florida Research Foundation, Inc. Debris removal system and method for stadiums and arenas
US7422144B1 (en) 2007-08-09 2008-09-09 Michael Importico Method and apparatus for recycling in a multi-floor building
US20090245989A1 (en) * 2008-03-28 2009-10-01 Sheldon Mickelson System and method for construction waste removal
DE202008010357U1 (de) * 2008-08-01 2009-12-03 Faun Umwelttechnik Gmbh & Co. Kg System zu vertikalen Entsorgung in Gebäuden
US9534401B2 (en) 2011-11-22 2017-01-03 Charlton L. George Conveyor chute for the interior of a building and method of palletizing same for shipment
US20130126294A1 (en) 2011-11-22 2013-05-23 Charlton L. George Conveyor chute and method of palletizing same for shipment
US20130297518A1 (en) * 2012-05-07 2013-11-07 Wms Metal Industries Llc Recycling System
FI124837B (fi) * 2013-07-30 2015-02-13 Maricap Oy Menetelmä ja laitteisto jätemateriaalin syöttämiseksi ja käsittelemiseksi
US9568064B2 (en) * 2015-01-12 2017-02-14 Michel's Industries Ltd Chute opener
CN105292876B (zh) * 2015-11-25 2017-10-17 南安市腾龙专利应用服务有限公司 一种楼房用垃圾自动分类回收装置
GR1009061B (el) * 2016-02-25 2017-06-23 Ιωαννης Χαριλαου Χραπης Βυθιζομενο εντος του εδαφους συγκροτημα ανακυκλωσης οικιακων απορριμματων
US11078711B1 (en) * 2016-06-23 2021-08-03 Elcon, Inc. Methods and systems for automatically determining level of unclosed door in chute applications
CN107150879B (zh) * 2017-05-09 2024-04-16 南京空浪科技有限公司 一种楼宇物流系统
CN108442652B (zh) * 2018-03-15 2024-01-05 无锡市环宇双惠环保设备有限公司 医院垃圾分类收集系统
CN111907971B (zh) * 2020-08-13 2023-02-17 艾信智慧医疗科技发展(苏州)有限公司 智能垃圾分类方法及智能垃圾分类系统
CN115324304B (zh) * 2022-07-25 2024-02-13 中化学交通建设集团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环保型垂直建筑垃圾清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19176A (en) * 1916-06-22 1917-03-13 Warren M Sharp Rotary ash and garbage receptacle.
US2177328A (en) * 1938-06-25 1939-10-24 Ruth Mcw Pender Garbage disposal device
GB539483A (en) * 1940-03-09 1941-09-12 Violet Mercy Mountstephens Improvements in waste receptacles
US2792171A (en) * 1956-06-28 1957-05-14 Peter J Rosset Garbage disposal assembly
NL239342A (ko) * 1958-05-20
FR1327889A (fr) * 1962-04-12 1963-05-24 Perfectionnements aux vide-ordures
NL132310C (ko) * 1964-07-21
CA875448A (en) * 1969-09-17 1971-07-13 M. Potvin Alfred Sanitary disposal device
US3713581A (en) * 1971-03-19 1973-01-30 G Mullens Rubbish disposal device
US3861296A (en) * 1972-06-09 1975-01-21 Milton Clar Apparatus for the compaction of refuse material and the like
US3893615A (en) * 1973-11-01 1975-07-08 Peerless Portable Metal Buildi Multiple compartment refuse container
DE2407482A1 (de) * 1974-02-16 1975-08-28 Heinz Boerner Vertikal- und horizontal-transportmittel-system zur muell- und schmutzwaescheentsorgung in wohn-, geschaefts-, krankenhaus- und industrie-anlagen, hotels, sanatorien, kurzentren, feriendoerfern, altersheimen und aehnlichem
CH605338A5 (ko) * 1975-12-22 1978-09-29 Ernest Pluss
DE3011527A1 (de) * 1980-03-21 1981-10-01 Karlheinz 1000 Berlin Scheffold Entsorgungsanlage fuer fraktionierte aufgabe und uebergabe von wertstoffen aus hausmuell
US4640403A (en) * 1985-02-13 1987-02-03 Mcdermott Daniel R Gravity-conveyor chute section
DE3701893A1 (de) * 1987-01-23 1988-08-04 Blanco Gmbh & Co Kg Abfallsammelvorrichtung fuer eine spuele, insbesondere eine einbauspuele
BE1000932A7 (nl) * 1987-09-22 1989-05-16 Nipak B V B A Inrichting voor het selekteren en verzamelen van afval.
US4987988A (en) * 1989-04-17 1991-01-29 Joesph Messina Refuse recycl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100235T3 (es) 1997-06-16
AU8291991A (en) 1992-02-18
CA2064854C (en) 1994-02-15
DE69124799D1 (de) 1997-04-03
EP0539500A1 (en) 1993-05-05
WO1992001615A1 (en) 1992-02-06
US5031829A (en) 1991-07-16
EP0539500A4 (en) 1994-06-22
JPH05508825A (ja) 1993-12-09
CA2064854A1 (en) 1992-01-24
DE69124799T2 (de) 1997-09-04
ATE149141T1 (de) 1997-03-15
GR3023205T3 (en) 1997-07-30
DK0539500T3 (da) 1997-08-25
EP0539500B1 (en) 1997-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99223B1 (ko) 다층식 건물의 폐기물 분류 수집 시스템
US5259304A (en) Carousel compactor for multi-component refuse
US5116184A (en) Vehicle and method for collecting recyclable waste materials
US5094582A (en) Waste collection and disposal system
US5551576A (en) Disposal system foe use in tall buildings
US5645172A (en) Separated waste collection control for multistory building
US742214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ycling in a multi-floor building
US519016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the collection of separated waste in multi-story buildings
CN106347905A (zh) 一种智能餐厨垃圾回收桶
US5458452A (en) Vehicle and method for collecting recyclable waste material
KR100492696B1 (ko) 재활용품 선별 시스템
CN111453267A (zh) 一种垃圾回收方法、垃圾回收装置和垃圾回收无人车
JPH11104506A (ja) 破砕機,該破砕機を備えた収集装置及び該収集装置を搭載した収集車両
US6447235B1 (en) Waste collection device
CN112875110B (zh) 一种用于垃圾中转站的复合式卸料单元及垃圾转运方法
EP0768250A1 (en) Waste container, receiving holder therefor and assembly of a waste container and receiving holder
CN214421391U (zh) 一种智能垃圾分类回收设备
CN213893891U (zh) 定位、称重及分类识别的侧挂清运车
JP2904665B2 (ja) 分別ゴミ収集車
CN219193314U (zh) 垃圾房智能分拣平台
Pires et al. Technology status of waste collection systems
EP4161848A1 (en) Automated wastebin
CN213474344U (zh) 一种实现生活垃圾自动分类的物流机构
CN217023883U (zh) 一种垃圾投料机构
KR102479429B1 (ko) 연속적 수거가 가능한 친환경 선택형 대용량 재활용품 분리수거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