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8068B1 - 미러선회장치와 이를 장착한 자동차 - Google Patents

미러선회장치와 이를 장착한 자동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8068B1
KR100198068B1 KR1019950702636A KR19950702636A KR100198068B1 KR 100198068 B1 KR100198068 B1 KR 100198068B1 KR 1019950702636 A KR1019950702636 A KR 1019950702636A KR 19950702636 A KR19950702636 A KR 19950702636A KR 100198068 B1 KR100198068 B1 KR 1001980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actuator
turning device
fixed
mirro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702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700161A (ko
Inventor
루돌프 피에터 후겐붐
스테판 프릿츠 브로우어
아드리아누스 요하네스 마리아 블롬
마르티누스 아드리아누스 보니파시우스 버노우
Original Assignee
더블류. 반더 슬루이스
아이케이유 홀딩 몬트포어트 비 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블류. 반더 슬루이스, 아이케이유 홀딩 몬트포어트 비 브이 filed Critical 더블류. 반더 슬루이스
Publication of KR960700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7001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8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80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 B60R1/07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 B60R1/074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for retracting the mirror arrangements to a non-use position alongside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1)와 관련된 후방미러의 미러하우징(205)에 선회이동되도록 연결되어진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 장치는 자동차에 연결되어지는 제1운반부재(203, 10)와, 미러하우징에 연결되어지는 제2운반부재(204,20) 및, 다른것과 관련되어 상기 2개의 운반부재들을 선회이동 시키기위한 이송 액츄레이터(210)로 구성되어질 뿐만 아니라, 다른것과 관련된 상기 2개의 운반부재들을 구속하기위한 고정수단(214,64)이 구비되어져 상기 미러하우징의 조작위치에서 진동이나 이상동작이 발생되지않는 한편, 후방접힘위치와 전방접힘위치가 이동멈춤부(220)에의해 한정 되어져 이 위치들은 항상 정확하게 도달되어지며, 프로젝션구조물(70)이 바람직하게 조작위치를 정확하게 놓을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원하는 위치에 도달된후 모우터(30)를 멈춤으로 변환하기 위한 스위치작동수단(216,217;92,83)이 구비되어지게 된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미러선회장치와 이를 장착한 자동차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a도 내지 제1b도는 차량에 결합된 미러하우징의 부분단면도로서, 미러하우징이 후부로 접혀지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
제2도는 차량에 결합된 미러하우징의 개략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핵심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미러선회장치의 제 1실시예를 도시한 상부평면도.
제4도는 제3도에 도시한 실시예의 측면도.
제5도는 제3도의 V-V선 단면도.
제6도는 제5도에 도시한 실시예의 세부 개략도.
제7도는 제2도와 대비되는 기존장치의 개략단면도.
제8a도는 제4도와 대비되는 제 2실시예의 측면도.
제8b도는 제5도와 대비되는 제 2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발명의 목적]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본 발명은 자동차에 관하여 리어미러의 미러하우징을 선회가능하게 결합하는 미러선회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 미러선회장치는, 자동차에 고정되게 결합되도록 하는 제 1운반부재와; 선회가능하게 미러하우징이 결합되도록 하면서 제 1운반부재와 선회이동 되도록 연결되어진 제 2운반부재, 전기모터와 이에 연관된 변속 장치를 갖춤과 더불어, 제 1운반부재와 연결된 제 1액츄레이터부와 제 2운반부재에 연결된 제 2액츄레이터부를 구비하면서, 제 2운반부재가 제 1운반부재에 대한 축선회 이동을 유발하도록 설계되어진 이송 액츄레이터 및; 제 1액츄레이터부와 제 2액츄레이터부 사이에서 각각의 제 1운반부재와 제 2운반부재에 설치되어진 제 1고정 커플링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미러선회장치는 공지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측면에 부착될 리어미러의 미러하우징/베이스결합체의 내부내에 장착되도록 한다. 외양에 있어서, 미러하우징/베이스결합체는 일체형성되어 미러베이스는 차량에 부착되고, 미러하우징은 내부에 배치되는 리어미러를 갖추면서 미러베이스에 대하여 선회가능하다. 미러면이 자동차의 측면과 거의 90도의 각을 이루는 미러하우징의 사용위치에서, 운전자는 길외곽부와 자동차 후부를 상기 미러를 통해 가시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한 미러하우징은 자동차의 측면에 대해 돌출되어져 필요시에 미러하우징을 후부로 접혀진 위치로 접는 선회이동을 할 수 있게 되어 자동차와 미러하우징 결합체의 전체폭이 감소되므로 상기한 돌출을 피하거나 적어도 감소시키므로 인해 예컨대, 협소한 주차공간만이 활용가능한 공간 주차시 유용하거나, 지나가는 자동차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선회이동은 수동으로 수행되어질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자동차, 특히 고급승응차에 전술한 바와 같은 미러선회장치가 구비된다면 운전자는 전기모터를 조작함으로써 좌석에 착석한 채로도 미러하우징을 후부로 접을 수 있게 되지만 수동 조작 기능도 존속되어 수동으로 사용위치에서 후부로 접혀진 위치로 미러하우징을 이동시킬 수도 있고, 미러하우징상에 외력을 주어 그 역조작도 가능하게 되는 한편, 전기고장시에도 미러하우징을 내부로 또는 외부로 접을 수도 있게 되는데, 미러하우징이 파손시보다 더 빨리 구부려지므로 손상 발생을 방지하게 된다.
예컨대 독일 특허 출원 제 89,02300호에 게재된 장치에 따르면 변속장치에 출력기어가 모터의 출력축상에 장착되고, 출력축이 마찰커플링을 매개로 제 1운반부재와 우력된 기어감소장치를 갖추고, 상기한 모터는 고정되게 제 2운반부재와 결합되어지며, 전기모터의 작동으로 마찰커플링이 제 1운반부재에 대해 고정된 기어감소장치의 출력축를 유지시켜 상기 모터와 그에 따른 미러하우징이 제 1운반부재에 대해 고정된 출력축 주위로 회전하게 되는 바, 외부 우력이 미러하우징상에 배출되어질 때 상기한 변속장치는 차폐되어지고, 출력축이 미러하우징과 고정결합된 것과 같이 간주되어 질수 있게 되는 한편 상기한 외부 우력이 소정치를 초과하면 마찰커플링이 슬립되어져 미러하우징이 선회되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한 장치는 만족스럽기는 하지만 이와 연관된 문제점을 갖고 있는 바, 그 첫째는 미러하우징상에 외부 우력의 제거에 관한 것으로 차폐하는 변속장치의 일부에 비교적 무거운 하중이 부가될 뿐만아니라 필연적으로 상기한 부분의 변속 장치가 미러하우징의 사용위치내의 작동에 따라 감지가능한 봉쇄 기능을 하기 전에 브릿지되어야만 하며, 운전중에 자동차를 따라 공기가 흐르고, 우발적으로 가변적인 우력이 미러하우징상에서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인 바, 상기한 움직임의 결과로 미러 하우징의 진동을 초래할 수도 있게 된다.
또한 미러하우징이 수동조작으로 선회되어질 때에는 사용위치가 확실하게 확보되지 않고, 심지어 임의의 위치에서도 멈춤없이 가능할지라도 클릭'과 같이 느껴지지 않을 수도 있는데, 이는 운전자가 수동으로 미러하우징을 선회한 후에 미러를 다시 제조작하여야만 함을 뜻하고, 공지된 장치에서는 전기적인 조작으로만 미러하우징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또한, 공지된 사용위치로부터 미러하우징을 이동시키는데 필요한 외부우력은 미러하우징을 선회하는데 필요한 외부우력과 동일할 뿐만아니라 필요한 우력의 크기는 마찰커플링의 슬립없이 이전되어질 수 있는 우력의 최대치로 결정된다.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결함을 해소한 미러선회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적어도 사용위치에서 제 1운반부재와 제 2운반부재가 서로에 대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미러선회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며, 이는 미러하우징이 예컨대 운전중에 자동차를 따라 흐르는 공기로 인해 발생하는 우발적으로 배출되는 외력에 의해 미러하우징이 진동되거나 사용위치로부터 선회되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위치에서 제 1운반부재와 제 2운반부재가 서로에 대해 어느정도 부착되어짐과 동시에 외부조작에 있어서 미러하우징의 사용위치가 적절하게 감지되고, 재현되는 미러선회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인 바, 여기서 어느정도 부착된다는 표현은 소정 한계치에 이르는 외력(우력)이 제 1운반부재와 제 2운반부재의 상대위치의 변화를 초래하지 않으며; 단지 한계치가 초과된다면 제1운반부재와 제 2운반부재가 서로에 대해 선회되어지게 되지만 상기한 한계치를 정확하게 규정할 필요는 없다.
그리고 상기한 본 발명은 사용위치로부터 미러하우징을 선회하는데 필요한 외력(우력)이 비교적 큰 것을 뜻하는 것으로, 특히 이렇게 비교적 큰 외력(우력)이 변속 장치로 이전되지 않거나 적어도 완전히 이전되지는 않게 하여 변속 장치의 일부가 적어도 난해하게 부하되어지면서 우력이 액츄레이터에의해 제거되어져 미러하우징을 사용위치로부터 후부로 접혀진 위치와 그 역방향으로 선회시키는 방식으로 상기한 목적을 구현하는 미러선회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한 부분은 비교적 경량 및/또는 소량으로 제조가능하고, 내마모성이 없는 합성재로도 제조가능한 장점이 있는데, 합성재의 사용으로 인해 장치의 비교적 저소음작동이 가능할 뿐만아니라 전기모터로 비교적 저렴하고 크기가 작은 저동력타입의 모터도 사용가능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동조절과 전기적 조절이 가능한 선단위치(사용위치와 후부로 접힌 위치)가 동일한 미러선회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일 뿐만 아니라, 몇종류의 자동차 타입에 사용가능하고, 좌우윙미러로 사용가능한 표준적인 장치로 간주될 수 있는 미러선회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위치와 후부로 접혀진 위치간의 선회각도는 이 미러선회장치가 설치될 자동차의 종류에 의존하게 되는 바, 기존의 미러선회장치는 특정한 활용 즉 각 자동차의 타입에 따라 개별디자인의 미러선회장치가 필요하였지만 모든 자동차에 적합한 일종만을 제조하는 것이 제조와 보관이 저렴할 것이다
[발명의 구성 및 작용]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 2고정커플링이 장치의 사용위치에서 활동가능하게 설치되어져 제 1액츄레이터부와 제 2액츄레이터부 또는 이에 상응하는 제 1운반부재와 제 2운반부재중 하나를 나머지 제 1운반부재나 제 2운반부재에 대해 고정하게 되고, 제 1운반부재와 제 2운반부재에 대해 고정되게 결합된 이동멈춤부가 구비되어 적어도 후부로 접혀진 위치를 구획하게 되며 ; 제 1운반부재와 제 2운반부재사이에 제 3고정커플링활동부가 구비되어 사용위치를 구획하게 되는 바, 여기서 상기 사용위치로부터 후부로 접혀진 위치까지의 선회방향으로 제 3고정커플링한계치는 반대쪽 선회방향보다는 작으며, 모터용 여기회로내에 구비된 스위치수단이 구비되는데, 이는 제 1운반부재와 제 2운반부재중 하나에 대해 고정되어지면서 제 1액츄레이터부와 제 2액츄레이터부중 하나에 우력된 스위치작동수단이 구비되어 스위치수단을 작동시키게 된다.
바람직하기로 제 3고정커플링은 장치가 사용위치에 있을 때 전향으로 접혀진 위치쪽을 향한 선회방향으로 독립적인 조임력을 배출하게 되고,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3고정커플링이 제 1운반부재와 제 2운반부재중 하나상에 형성된 돌기 경로와 공조하는 다른 제 1운반부재나 제 2운반부재와 연결된 돌기에 의해 구비되어지고, 바람직하기로 상기 제 3고정커플링은 장치가 사용위치에 있을때 전향으로 접혀진 위치를 향한 선회방향으로 독립적인 조임력을 배출하게 된다. 그리고 간단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한 돌기 경로는 이를 따라 돌기가 사용위치와 후부로 접혀진 위치간을 제 1돌기 경로부와 접촉없이 이동하게 되는 제 1돌기 경로부와, 돌기용 스톱을 형성하여 사용위치를 구획하게 되는 돌기 경로스톱부 및, 이를 따라 돌기가 사용위치와 전향으로 접혀진 위치사이를 이동하게 되는 제 2돌기 경로부를 구비하고; 상기한 돌기는 돌기 경로의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바이어스되며, 복원부재의 탄발력에 대해 이동되어져 돌기 경로스톱부로부터 제 2돌기 경로부까지 취하게 된다.
따라서 보편적인 상황에서 사용위치를 벗어나야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불필요한 잉여력을 이송하는 모터없이도 수동과 전기작동의 양경우 모두 사용위치가 확실히 재현가능하게 위치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전술하였거나 그외의 본 발명에 따른 장점과 특성을 이후 바람직한 실시예와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술한다.
이하 하기한 바와 같이 규정한다.
1) 고정커플링의 초기값: 2부분사이의 고정커플링은 이 부분들에 가해진 힘(우력)이 초기값으로 설정된 값을 초과하지 않는 한 상기한 부분들을 연결한다; 상기한 초기값이상에서 고정커플링은 그 연결기능을 상실한다. 이러한 고정커플링의 일례로는 연결기능이 마찰에 의해 얻어지는 마찰커플링이 있다.
2) 마찰커플링의 슬립값: 상기한 부분에 가해진 힘(우력)이 한계값을 상회하는 경우에 마찰거플링이 슬립되어진다 작동중에 마찰커플링은 슬립이동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마찰력을 가하고, 슬립값은 한계값보다 적지만 동일할 수도 있다.
제1a도는 차량에 결합된 우측 윙미러의 일예를 도시한 것으로, 개략적인 평면도인 바, 상기한 미러장치(2)는 제1운반부재(도면의 명료함을 위해 도시하지 않음)를 갖춘 자동차(1)에 장착되는 미러베이스(3)와, 미러하우징(5)에 결합된 제 2운반부재(4)로 구성되고, 상기 미러하우징(5)내에서 미러(6)가 조절수단(7)을 통해 조절되어지도록 장착되어지며, 상기한 조절수단(7)은 기존의 조절수단을 사용할 수 있는 바, 되고 그 작동과 구성은 본 발명의 범주가 아니므로 후술하지 아니한다.
한편 상기한 제 2운반부재(4)는 제 1운반부재와 우력되어 선회축(8)주위로 축선회가능하여, 미러하우징(5)이 자동차(1)에 대해 축(8)주위로 선회가능하게 되는데, 제1a도에 있어서, 미러하우징(5)은 자동차(1)의 운전자가 미러(6)를 통해 도로외곽 일부와 자동차(1)후부를 가시할 수 있게 소정 반사각으로 자동차의 고착축과 거의 90도를 이루고, 정확한 각도는 특히 운전자의 신장과, 자동차에 대한 미러의 부착점 즉 차종에 의존하게 된다.
제1a도에 있어서, 미러하우징(5)의 사용위치는 자동차(1)의 고착축에 수직한 축(8)을 통해 연장된 평면(Vl)과, 축(8)과 미러하우징(5)상의 선택된 위치(9) 즉 제1도에서는 미러하우징(5)의 최말단에 위치한 선택점(9)으로 구획되는 평면(V2)사이에 포함되는 각(α)으로 특징지워진다.
제1b도는 후부로 접혀진 위치의 미러하우징(5)을 도시한 것으로 여기서 미러(6)의 미러면은 실제적으로 자동차(1)의 고착축에 평행하게 되고, 제1b도에 있어서, 미러하우징(5)의 후부로 접혀진 위치는 상기한 평면(Vl,V2)사이에 포함되는 각(β)으로 특징지워지며, 미러하우징(5)의 선회각(γ)은 사용위치에서부터 후부로 접혀진 위치와 그 역방향까지 취할수 있도록 선회되어지는 바, 따라서 상기한 선회각(γ)은 γ=β-7로 주어진다.
제7도는 독일 특허출원 제 89,02300호에 게재된 디자인에 따른 윙미러장치(102)의 개략정면도로서 그 작동원리를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 상기한 장치(102)는 자동차(1)의 미러베이스(3)에 결합되어지는 제 1운반부재(103)와, 미러하우징(105)에 결합되어지는 제 2운반부재(104)를 구비하며, 상기한 제 1운반부재(103)과 제 2운반부재(104)는 서로에 대해 선회축(108)주위로 선회가능하며 이송 액츄레이터(110)를 구비하는 바, 이는 제 1액츄레이터부(111)와 제 2액츄레이터부(112)를 갖추고, 이 제 1액츄레이터부(111)와 제 2액츄레이터부(112)는 선회축(108)과 정렬된 행성톱니바퀴감소장치의 부분을 형성하는데, 그 상세한 설명은 독일 특허출원 제89,02300호를 참조로 한다 여기서 상기한 행성톱니바퀴감소장치는 행성톱니바퀴 감소장치의 입력기어가 제7도에 도시되지 않은 모터에 의해 회전되어질때 제 1액츄레이터부(111)와 제 2액츄레이터부(112)가 서로에 대해 축(108)주위로 상대회전하는 특성을 갖으며, 상기한 독일 특허출원 제 89,02300호에 게재된 바와 같은 디자인에서는 모터가 미러하우징(105)내에 설치되어진다.
그리고 상기한 제 2액츄레이터부(112)는 고정되게 제 2운반부재(104)에 고정되어짐과 동시에 제 1액츄레이터부(111)는 마찰커플링(113)을 통해 제 1운반부재(103)와 우력되어지는 바, 이 장치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전기적 작동]
상기한 모터가 구동되어 제 1액츄레이터부(111)와 제 2액츄레이터부(112)를 서로에 대해 회전시키게 되고, 마찰커플링(113)은 제 1액츄레이터부(111)를 제 1운반부재(103)에 대해 보유지지하므로, 상기한 제 2운반부재(104)는 제 1운반부재(103)에 대해 회전하게 되어, 미러하우징(105)이 자동차에 대해 선회되며, 후방으로 접혀진 위치 또는 사용위치는 제 1운반부재(103)와 제 2운반부재(104)사이에 우력된 마이크로스위치들에 의해 감지되어 모터가 차단되어지고, 따라서 선회이동이 멈추어지게 된다.
[수동 작동]
미러하우징(105)이 자동차에 대해 선회, 즉 제 2운반부재(104)가 제 1운반부재(103)에 대해 회전되도록 미러하우징(105)에 외부우력이 가해지고, 제 1액츄레이터부(111)와 제 2액츄레이터부(112)는 상기한 회전이 행성톱니바퀴감소장치에 의해 저해되어져 서로에 대해 회전하지 않게 되므로 제 1액츄레이터부(111)와 제 2액츄레이터부(112)가 제 2운반부재(104)에 대해 견고하게 우력된 것으로 간주될 수 있으며, 제 2운반부재(104)와 제 2액츄레이터부(112) 및, 제 1액츄레이터부(111) 조합의 제 1운반부재(103)에 대한 선회는 마찰거플링(113)에 의해 저해되고, 외부에서 가해진 우력이 마찰커플링(113)의 한계값보다 클 때에는 제 2운반부재(104)와 함께 미러하우징(105)과, 제 2액츄레이터부(112) 및, 제 1액츄레이터부재(111)가 제 1운반부재(103)에 대해 선회되므로 자동차에 대해서도 선회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윙미러장치(202)의 작동과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상기한 장치(202)는 자동차(1)의 미러베이스(3)에 결합된 제 1운반부재(203)와 미러하우징(205)에 결합된 제 2운반부재(204)를 갖추고, 제 1운반부재(203)와 제 2운반부재(204)는 서로에 대해 선회축(208)주위로 선회가능하게 되며, 상기한 장치(202)는 제 2운반부재(204)내에 제 1액츄레이터(211)와 제 2액츄레이터(212)를 갖춘 이송 액츄레이터(210)를 갖추며, 상기한 2개의 이송 액츄레이터부(211,212)는 행성톱니바퀴감소장치의 2개의 출력 톱니세트에 의해 형성되어진다.
여기서 상기한 제 2액츄레이터부(212)는 고정되게 제 2운반부재(204)와 결합되어지고,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제 1액츄레이터부(211)는 제 1운반부재(203)와 마찰커플링(213)을 통해 우력되어지며, 마찰커플링(213)의 한계값은 바람직하기로 약 4Nm이다.
상기 제 1운반부재(203)과 제 2운반부재(204)사이에 그 한계값이 마찰커플링(213)의 한계값보다 적은 바람직하기로는 약 2Nm인 마찰커플링(214)이 구비되어지지고, 제2도에 있어서, 상기한 마찰커플링(214)은 제 1운반부재(203)와 제 2운반부재(204)사이에 직접 우력된 것으로 제시되며 ; 상기 마찰커플링(214)은 제 1액츄레이터부(211)과 제 2액츄레이터부(212)사이에 우력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 1운반부재(203)와 제 2운반부재(204)사이에 고정커플링(215)이 구비되는 바, 상기한 고정커플링(215)은 제 1운반부재(203)과 제 2운반부재(204)사이에 전도커플링을 제공하는 작동위치와 운반부재(203,204)가 고정커플링(215)을 통해 서로 우력되지 않아 원칙적으로 서로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가능한 해제위치를 가지게 되는 바, 상기한 걸림성분으로 탄발력 수단에 의해 요홈안으로 가압된 톱니멈춤쇠 또는 볼이 사용된다.
바람직하기로 상기한 고정커플링(215)은 한쪽 방향으로만 조임작용을 가한다.
도면의 명료함을 위해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 1운반부재(203)상에 모터용 스위치수단(217)이 구비되어지는데, 상기 스위치수단(217)은 스위치작동수단(216)으로 제 1액츄레이터부(211)에 의해 작동되어진다.
제2도에 인출부호 '202으로 표기된 이동멈춤부가 마련되어 미러하우징(205)의 말단선회위치를 기계적으로 구획하게 되고, 이러한 이동멈춤부(220)은 당해 분야의 전문가들에게 있어서는 보편적인 적절한 구성을 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멈춤부(220)은 예컨대 운반부재(203,204)상에 돌출되게 형성되므로, 그 결과 자동차의 제조자가 미러하우징의 말단선회위치를 미러선회장치제조자와 협의하여 미러선회장치를 이에 맞추어줄 필요없이 확정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미러선회장치의 제조자는 자동차의 선단위치에 관한 특정치를 고려하지 않고도 제조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이는 미러선회장치를 선택된 미러베이스(3)에 대한 미러하우징(205)의 자동차의 개별 사용위치가 가능하면서, 미러선회장치가 미러베이스(3)와 미러하우징(205)상에 장착된 선회위치를 선택하여 고정되는 표준적인 장치로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a도와 제1b도에 도시된 각(β)는 이동멈춤부에 의해 구획되어지고, 각(α)은 미러선회장치가 미러하우징/베이스결합체안으로 건립된 정밀한 선회위치에 의해 구획되어져 선회각(γ)이 수정없이도 가변될 수 있다.
제2도를 참도로 본 장치의 작동을 후술한다.
[수동작동]
미러하우징(205)을 자동차에 대해 선회, 즉 제 2운반부재(204)를 제 1운반부재(203)에 대해 회전하도록 미러하우징(205)상에 외부우력이 가해지지만, 제 12마찰커플링(213,214)의 슬립값과 외부에서 가해진 힘간의 차이가 고정커플링(215)의 한계값보다 작다면 제 1운반부재(203)와 제 2운반부재(204)를 서로 결합하는 제 1마찰커플링(213)과 제 2마찰커플링(214) 및 고정커플링(215)조합체에 의해 상기 회전이 방해된다. 또한 상기한 슬립값과 한계값의 합은 예컨대 지나치는 사람에 의한 우발적인 및/또는 의도하지않은 부하에 의해 초과되지 않을 정도로 선택되는데, 적절한 설계로는 제 1마찰커플링(213)은 4Nm의 슬립값을 갖고, 제 2마찰커플링은 2Nm의 슬립값을 가짐과 동시에 고정커플링(215)의 한계치는 3Nm이다.
외부에서 가해진 우력이 고정커플링(215)이 이의 잠김작용을 상실할 정도로 크다면, 미러하우징(205)과 제 2운반부재(204), 제 2액츄레이터부(212) 및 제 1액츄레이터부(211) 조합체는 제 1운반부재(203)에 대해 회전가능하며, 결국 제2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마찰커플링(213)과 제 2마찰커플링(214)의 마찰력을 극복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제 1마찰커플링(213)의 한계력이 4Nm로, 제 2마찰커플링(214)의 한계력이 2Nm, 고정커플링(215)의 한계력이 3Nm로 선택되어지면, 미러하우징(205)에 외부에서 힘을 가하여 9Nm의 우력만으로 회전가능하게 되며, 일단 선회이동이 시작되어지면 고정커플링(215)이 더이상의 마찰력을 배출하지 않게 되고, 이후 제 1마찰커플링(213)과 제 2마찰커플링(214) 한계력의 합 즉 6Nm와 해당하는 미러하우징을 회전시키는데 필요한 외부우력이 요구되어지게 된다.
따라서 액츄레이터장치의 최대부하는 제 1마찰커플링(213)의 슬립치 즉 본 실시예에서는 4Nm에 의존하게 되며, 제 1운반부재(203)에 대한 제 2운반부재(204)의, 즉 자동차에 대한 미러하우징(205)의 걸림은 움직임이 자유롭다.
또한 후방으로의 선회이동은 이동멈춤부(220)가 서로 부딪칠 때 정지된다.
한편 미러하우징(205)이 후부로 접혀진 위치로부터 사용위치까지 다시 선회되어질 때는 전술한 방식에 비해 6Nm에 상당하는 우력이 요구됨과 더불어 액츄레이터장치는 최대 4Nm로 부하되어지며, 사용위치가 되면 돌연 고정커플링(215)이 다시 작동하여 추가적인 선회이동에 필요한 우력이 분명히 감지할 수 있을 정도로 급상승된다.
[전기적작동]
모터는 제 1액츄레이터부(211)와 제 2액츄레이터부(212)가 상호 회전되도록 구동되고, 한방향으로 작동하는 고정커플링(215)이 작동되지 알는 방향으로 회전이 발생되면 제 1운반부재(203)와 제 2운반부재(204)가 상호 회전될 수 있고, 제 2운반부재(204)의 제 1운반부재(203)에 대한 회전을 저해하는 성분은 한계값이 제 1마찰커플링(213)보다 작은 제 2마찰커플링(214)이 되며, 제 1액츄레이터부(211)는 제1운반부재(203)에 제 1마찰커플링(213)을 통해 견고하게 결합된 것으로 간주할 수 있으므로, 미러하우징(205)은 자동차에 대해 선회되게 된다.
후방을 향한 선회이동은 이동멈춤부(220)가 서로 부딪칠때 정지된다.
상기 제 2운반부재(204)의 제 1운반부재(203)에 대한 회전은 더이상 가능하지 않지만, 모터가 추가로 회전되면 제1액츄레이터부(211)가 제 1마찰커플링(213)과 이격되면서 제 2액츄레이터부(212)와 제 1운반부재(203)에 대해 회전되게 힘이 가해지도록 모터가 회전되며 이는 스위치수단(217)이 모터를 차단하는 스위치작동수단(216)을 매개로 제 1액츄레이터부(211)에 의해 작동되는 제 1운반부재(203)상에 고정될 때까지 연속된다.
상기한 위치에서 스위치수단(217)은 반대방향으로 모터를 회전시키게 되므로, 미러하우징(205)이 사용위치로 다시 선회되도록 하는 명령이 내려진다면 모터가 반대방향으로 회전되고, 사용위치가 되면 갑자기 고정커플링(215)이 다시 작용하게 되어, 추가적인 선회이동에 필요한 우력이 급상승된다. 상기한 방향으로의 고정커플링(215)의 한계값은 2Nm보다 크게 선택되어지고, 추가적인 선회이동에 필요한 우력은 4Nm를 상회하게 되는데, 이는 마찰커플링(213)의 슬립값이 단지 4Nm이므로 모터에 의해 전달되지 않지만, 제 1액츄레이터부(211)가 마찰커플링(213)과 이격되면서 제 2액츄레이터부(212)와 제 1운반부재(203)에 대해 회전되게 힘이 가해지도록 모터가 회전되며, 이는 스위치수단(217)이 모터를 다시 타단하는 스위치 작동수단(216)을 매개 로제 1액츄레이터부(211)에 의해 작동되는 제 1운반부재(203)상에 고정될 때까지 연속된다.
앞서 기술한 본 발명에 따른 수동으로 획득가능한 선단위치(사용위치 후방으로 접혀진 위치)는 전기작동으로 획득되는 선단위치와 동일하다.
그리고 제 1액츄레이터부(211)가 제 1운반부재(203)에 견고하게 결합되고 마찰커플링(213)이 제 2액츄레이터부(211)와 제 2운반부재(204)사이에 설치되어질 때 전술한 것에 필적하는 작동이 얻어진다.
이하 제3도와 제5도를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미러선회장치의 실시예를 기술하기로 한다.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띠러선회장치의 실제적인 실시예의 일부를 도시한 것으로, 제 1운반부재(10)는 고정되게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스크류홀(11)에 의해 자동차의 미러베이스에 결합되고, 제 2운반부재(20)는 역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예컨데 고정홀(21)을 통해 미러하우징에 고정 결합되어져 회전축(8)주위로 서로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 1운반부재(10)는 일반적으로 회전축(8)과 동축인 중공의 튜브형태이고, 상기 회전축(8)과 직각을 이루는 제 1운반부재(10)는 중앙개구부(15)를 구비한 격벽(14)을 갖추고, 이 격벽(14)상부의 튜브부는 원통형 외부표면(16)이며, 제 2운반부재(20)도 마찬가지로 그 상부선단과, 제 1운반부재(10)의 원통형 외부면(16)및, 이에 상응하는 원통형 내부면의 위치에 배치된 선단벽(24)을 구비한 튜브부를 갖춘다 그리고 선단벽(24)으로부터 하부로 동축으로 연장된 중앙로드(22)는 그 하부선단에 외부 나사부(23)를 구비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제 2운반부재(20)에 결합되고 그 안에 배치되는 모터(30)용 결합와이어(31)가 관통되도록 중공이고, 상기 결합와이어(31)는 자동차내에 설치된 스위치와 결합되어지게 된다.
뿐만아니라 미러선회장치에는 이송 액츄레이터(40)가 구비되는 바, 이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2개의 출력톱니세트들(41,42)을 구비한 행성감소장치를 갖추고, 제 1출력톱니세트(41)는 제 1마찰커플링(44)을 통해 제 1운반부재(10)와 우력되는 디스크(43)의 일부을 형성하거나 이에 우력되고, 제 1마찰커플링(44)는 디스크(43)의 원추형 외부면(45)과 제 1운반부재(10)의 상응하는 원추형 내부면(12)으로 이루어지며, 본 실시예에서는 4Nm의 한계값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한 마찰커플링(44)의 작동은 앞에서 설명한 제 1마찰커플링(213)작동과 유사하다.
상기 제 2출력톱니세트(42)는 제 2운반부재(20)상에 설치된 부분이 느슨하게 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기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운반부재(2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행성감소장치는 각각 상부기어(47)와 동축으로 결합된 하부기어(46)를 구성하는 다수의 행성기어(46,47)를 갖추고, 각 하부기어(46)는 제 1출력톱니세트(41)와 맞물리고 하부기어(46)의 톱니수와 상이한 톱니수를 갖는 각 상부기어(47)는 제 2세트의 톱니(42)와 맞물리면서 입력기어(51)에 의해 구동되어진다.
그리고 행성감소장치의 입력기어(51)는 변속기어(52,53,54,55)을 통해 모터(30)와 우력되고, 그 마지막 것은 모터(30)의 출력축(32)상에 장착되며, 특히 입력기어(51)는 동축으로 트랜스밋견기어(52)에 결합되어지는 바, 상기 기어(52)는 변속기어(53)와 맞물리게 되고, 변속기어(53)은 동축으로 변속기어(55)와 맞물리는 변속기어(54)와 결합되게 된다.
한편 제 1운반부재(10)와 제 2운반부재(20)는 나사부(23)안으로 스크류된 너트(61)와, 단이진 링(62) 및 제 1복원부재(63)의 조합에 의해 함께 유지되어지고, 상기 복원부재(63)는 제 1운반부재(10)의 격벽(14)상에 상부선단베어링을 구비하면서 그위에 상부를 향한 힘을 가하고, 단이진 링(62)상에 하부선단베어링을 구비하면서, 제 2둔반부재(20)상의 로드(22)에 단이진 링(62)과 너트(61)를 통해 하방을 향한 힘을 가하게 되는 바, 상기한 힘은 스트류너트(61)로 로드(22)상으로 크거나 작게 조절가능하다.
또한 제 1운반부재(10)와 제 2운반부재(20)는 서로에 대해 디스크(43)와 이 디스크(43)와 제 2운반부재(20)사이에 삽입된 환형 마찰링(64)을 매개로 축방향으로 안착하게 되는 바, 상기한 제 2마찰커플링을 제공하는 마찰링(64)은 한계치가 약 2Nm 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작동은 앞서 기술한 제 2마찰커플링(214)의 작동과 유사하며, 제 1마찰커플링(44)의 한계값과 제 2마찰커플링의 한계값은 상기한 바와 같이 가압력끌 조절함으로써 조절가능하다.
상기 제1운반부재(10)와 제2운반부재(20)사이에 구비된 잠금부재(70)는 격벽(14)아래에서 제1운반부재(10)내에 배열되면서 상기 제1운반부재(10)의 외측벽의 창문(13)을 통해 신장되는 적어도 1개가 바깥으로 방사형상으로 외측으로 신장하는 돌출부(72)가 적어도 1개 구비된 링(71)으로 구성되어지고, 상기 돌출부(72)의 끝부위에는 윗쪽으로 향하는 돌기(73)가 형성되어진다. 상기 링(71)의 아래부위는 전술한 스텝링(62)에 대해 고정된 하부끝을 갖춘 제2복원부재(74)의 상부끝에 대해 고정되어 지므로 윗쪽방향의 힘이 상기 링(71)에 가해지게 되는데, 거기에서 상기 돌기(73)가 한쪽으로 기울어져 제2운반부재(20)의 원통형 벽의 하부모서리에 형성된 돌기경로(75; 제4도참조)에 반대로 눌려지게된다.
상기 미러선회장치는 다음과 같이 2가지 방법으로 작동될 수 있게 된다.
I) 수동 작동
제4도는 사용위치에 상응하는 위치에 놓여진 미러선회장치를 도시한 것인바, 미러하우징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한 수동조작을 통해 사용위치에서 후방으로 접힌 위치로 이동되므로 우력이 제2운반부재(20)에 힘을 가하게 되고, 작동되지 않게 된 모우터(30)는 감속커플링(40)을 계속 구속하게 되는데, 그러면 상기 제2운반부재(20)는 평면감속장치와, 돌기(73)을 갖춘 제1운반부재(10)와 관련된 디스크(43)와 함께 강성체를 형성하게 됨과 더불어, 가해진 우력이 충분히 크게 되면 상기 제2운반부재(20)는 미11러지는 마찰커플링(44)과 함께 제1운반부재(10)와 관련되어 회전하게 된다.
이어 상기 돌기(73)는 돌기경로(75)를 따라 즉 제 1돌기경로부(76)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데, 예를 들면 제1돌기경로부(76)는 상기 링(71)이 제1운반부재(10)의 격벽(14)에 맞대어져 정지될때까지 뒤로 물러나져 있으므로 실제로 돌기(73)는 제 1돌기경로부(76)와 접촉하지 않게 된다. 결과적으로 돌기(73)는 기계장치와 사용위치와 후방으로 접힌 위치 내지 그 역위치 사이에서 선회되어질 때에 마멸되지 않는다
상기 후방으로 접힌위치는 전술한 바와같이 제1/2운반부재(10,20) 및/또는 미러하우징과 미러베이스에 형성 되어질수 있는 이동멈춤부에 의해 한정되는데, 이러한 이동멈춤부는 구조에 맞게 적절한 형상으로 될 수 있고 미러하우징과 미러베이스에 구비 되어지면 충분 하므로 더이상 언급을 하지 않으며, 미러베이스에 관련되어 미러하우징의 후방으로 접힌위치는 요구되는 미러선회장치에 제한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제1/2운반부재(10,20)에 구비된 이동멈춤부는 만약 미러하우징과 미러베이스상에 구비된 이동멈춤부의 고장시 미러하우징이 차량에 부딪히게 되는 가능성이 방지되도록 보호하고, 만일 미러선회장치가 차량에 사용되지 않는다면 이의 미러하우징과 미러베이스는 이동멈춤부가 구비되지 않는다.
상기 미러베이스에 관련된 띠러하우징의 선회 이동은 이동멈춤부가 다른것과 부딪힐 경우나 또는 외부적으로 가해진 우력이 끊어질 경우에 멈추게 되고, 후방으로 접힌위치에서 사용위치로의 미러하우징의 복귀는 앞서 설명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미러하우징에 외력을 가하는 것과 같이 수동으로 할수도 있게 되며, 후방으로 접힌위치가 수동이나 전기적으로 선회이동조작 되는 것은 문제가 되지 않는데, 이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의 중요한 장점이 된다.
또한 돌기(73)는 반대방향 내에서 제1돌기경로부(76)를 따라 이동되고, 돌기(73)가 돌기경로(75)의 돌기정지부(77)와 접촉될때, 미러베이스와 관련된 미러하우징의 선회이동이 멈추게 되어, 미러베이스와 관련된 미러하우징의 선회이동은 이때 방해되면서, 단지 돌기부재(73)가 복원부재(74)의 힘에 대항하여 눌려질 때에만 가능하게 되며, 이러한 누름작용에 필요한 힘(우력)은 원래 복원부재(74)에 의해 가해지는 힘의 크기에 의존되고 원래 돌기(73)와 돌기정지부(77)의 정확한 형상에 의존된다.
상기 돌기정지부(77)에 대항하여 부딪히게 되는 돌기(73)는 사용자가 아주 정확하게 정지 및 사용위치를 느끼도록 하므로, 이러한 본 발명의 중요한 특징이 확실하면서 반복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언급된 실예와 같이 사용자가 후방쪽으로 미러하우징을 접기 위해서는 4Nm의 우력을 가해야만 되지만, 이 경우에서는 제2마찰커플링(64)이 제1마찰커플링(44)과 일열로 배치되면서 상기 평면감속장치와 평행하게 배치되므로 평면감속장치는 약 2Nm를 초과하는 어떠한 힘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4Nm로 언급된 상기 제1마찰커플링(44)의 슬림(slip)값과, 2Nm로 언급된 제2마찰커플링(64)의 한계값과 최대로 같아지는 우력은 상기 평면감속장치를 지나서 전환되어지게 된다.
이는 정의된 사용위치가 다음과 같이 매우 경미하게 작동된다는 것인데, 즉 사용위치에서 상기 제1운반부재(10)는 상기 평면감속장치의 방해없이 마찰커플링(44,64)을 통해 제2운반부재(20)에 결합되어지며, 상기 제2마찰커플링(64)의 한계값보다 적은 외부 우력(내부적이든또는 내부적이아니든)이 미러하우징에 가해지게 되면 이 외부 우력이 상기 마찰커플링(44,64)에 완전하게 작용되어 지는데, 이 경우 상기 평면감속장치에는 힘이 전혀 가해지지 않고 작동되지도 않게 되므로, 이와 같은 상황에서 어떠한 경우에도, 자동차가 주행 및/또는 이동중일때 바람에 의해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서 상기 미러하우징이 진동되지않게 되는바, 이는 본 발명의 중요한 잇점임은 물론이다.
실시예에서 제1돌기경로부(76)는 돌기(73)가 이에 확실히 존속될 때까지 뒤로 물러나 있기 때문에 고정커플링(70)은 후방으로 접힌위치의 범위에서 사용위치로부터의 이탈에 대한 어떠한 고정작용을 가하지 않게 되는데, 만약 이를 원할 경우 상기 제1돌기경로부(76)는 돌기(73)가 이 제1돌기경로부(76)내로 조금 눌려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므로, 상기 고정커플링(70)은 이러한 경우 어느정도 고정작용을 가하게 된다.
수동작동에 의해 결과적으로 달성되는 접는 초기의 선회이동은 더욱 많은 힘을 요구하는 선회이동의 접힘에 대한 연속적인 수동작동과, 더욱 많은 힘을 가하게 되는 평면감속장치가 없이도 더 많은 힘이 요구되어 지지만, 이 경우 결과적으로 상기 선회이동이 전기적으로 작동되어질때 상기 평면감속장치는 반드시 그러한 증가된 힘을 또한 가져와야만 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또한, 미러하우징을 앞쪽으로 즉, 후방으로 접히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사용위치로부터 미러하우징을 선회이동하여 접는것이 가능한데,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는, 이러한 크기로 요구되는 외력은 안쪽으로 통과하는 돌기(73)에 의해 돌기정지부(77)를 따라 돌기(73)의 잠금작용이 제거하는데 필요한 힘으로 크게 요구되면서, 미러하우징을 후방으로 접는데 필요한 힘보다 크게 요구되는데, 이렇게 되면 상기 돌기(73)는 제2돌기경로부(78)와 접촉되도록 상기 돌기(73)와 함께 상기 제2돌기경로부(78)를 따라 이동된다.
그리고 이는 슬립우력을 경미하게 발생시키게 되지만, 상기 돌기(73)가 통과되어 상기 돌기(73)에 마찰력이 가해지지는 않는데, 하지만 실제적으로는 이와같은 전방접힘이동(복귀이동과 같은)이 거의 만약 전혀 수행되지 않게 된다면 본 발명이 추구하는 목적이 아니므로 사실상 이러한 선택적인 이동은 단지 파손보다는 미러하우징에 행인이 부딪치거나 주차할때 장애물에 미러하우징이 걸리는 것에 의한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에 대해 미러하우징을 굴복시킬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능을 하게된다.
또한, 상기 평면감속장치에 최대로 2Nm만이 가해지게 될때 이러한 전방접힘 이동이 작용되고, 이 전방접힘이동은 이동멈춤부가 후방으로 접힌이동과 관련되어 전술된 것과 같은 방법으로 다른 것에 접촉되어지면 멈추게된다.
상기 미러장치는 적절한 방향으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앞쪽으로 접힌위치에서 조작위치로 수동으로 돌아오게 선회이동될수도 있게 되므로 상기 제2돌기경로부(78)가 제2돌기정지부(77)로부터 경미하게 멀어지게 되면, 상기 돌기(73)가 반드시 더욱 눌려지게되므로 실시예에서와 같이 외력이 더욱 더 가해지게 된다.
그리고 돌기(73)가 돌기정지부(77)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돌기(73)는 제1돌기경로부(76)로 갑작스럽게 튀어오르게 되어 잠재에너지가 해제된 스프링(74)내에 저장되고, 상기 돌기(73)와 돌기정지부(77)의 매칭기울기 양에서 상기 돌기(73)는 공정내에서 제1돌기경로부(76)의 방향으로 돌출'되어져, 사용자에 의해 가해지는 힘이 돌출되는것과 같이 감소되게된다.
또한 상기 돌기(73)가 제1돌기경로부(76)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돌기정지부(77)는 더 이상 상기 돌기(73)에 어떠한 강제적인 힘을 가하지 않게 되므로 사용자에 의해 가해지는 힘이 재돌출되는 것과 같이 증가하게 되는데, 이는 조작위치에 도달되었다는 것을 알려주는 클릭(click) 으로서 사용자가 알수 있게 된다.
II)액츄레이터의 작동
제4도에 도시된 사용위치에서 전기적작동을 통해 전방으로 접힌위치로 이동이 또한 가능하므로, 스위치(도시되어있지 않음)작동을 통해 모우터(30)가 변속기어 (52,53,54,55)와 평면 감속장치를 통해 다른 것과 관련된 출력톱니세트(41,42)의 회전되어져 작동상태로 되며, 이때 요구되는 우력을 2Nm로 되는 실예에서와 같이 출력톱니세트(41,42)사이에서 제 2마찰커플링(64)의 슬립(SliP)값과 같아지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출력톱니세트(41)가 디스크(43)와 강하게 연결되는 동안 상기 제 2출력톱니세트(42)는 제 2운반부재(20)와 견고하게 연결되어지고, 차례대로 상기 제 1마찰커플링(44)을 통해 제 1운반부재(10)와 연결되어지게 되며, 상기 제 1마찰커플링(44)은 미끄러지지 않게 되고, 제 1출력톱니세트(41)와 디스크(43) 및 제 1운반부재(10)는 한개와 같이 견고하게 결합되어지게 되므로, 모우터(30)의 회전을 통해 상기 제 1돌기경로부(76)를 따라 이동되어지는 돌기(73)와 함께 후방으로 접힌 위치쪽으로 선회이동되어, 상기 제 2운반부재(20)(거기에 부착된 미러하우징과 함께)는 제 1운반부재(10)(그리고 거기에 부착된 미러베이스)와 관련되어 선회 이동되어진다.
상기 모우터(30)의 작동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수동으로 스위치를 닫게되면 작동되어지는데 이는 후방으로 접힌 위치에 도달되기 전에 스위치를 여는 것에 의해 사용위치와 접힌위치사이의 임의의 위치는 상기 모우터(30)를 이웅할 수 있다는 것이지만, 상기 모우터를 일반적인 작동으로 될 수 있도록 순서에 의해 여기시키도록 릴레이 또는 전기장치와 같은, 스위치에 의해 제어되는 스위치회로가 구비되어 상기 모우터(30)스위치에 의해 짧은 순간에 작동된 후 연속적으로 회전되어질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게 된다.
미러베이스와 관련된 미러하우징의 접히는 선회이동은 전술한 수동조작의 경우와 같이 다른 것에 이동멈춤부가 부딪히게 되면 멈추게 되지만, 상기 모우터(30)는 다른 것과 관련되어 회전되어지는 출력톱니세트(41,42)에 의해 다른 것과 관련되어 회전되도록 된 운반부재(10,20)없이도 회전하게 되어지므로, 상기 출력톱니세트(41,42)사이의 어떠한 작용도 거기에서는 없게 된다 이와 관련되어, 상기 제 2출력톱니세트(42)와 제 2운반부재(20) 및 제 1운반부재(10)는 상기 제 1출력톱니세트(41)와 디스크(43)가 회전되는 것과 관련되어 하나의 견고한 결합체로 되며, 공정상에서, 제 1마찰커플링(44)과 제 2마찰커플링(64) 둘다 미끄러지게 되므로 실시예에서 요구되는 우력이 6Nm로 되게 된다.
제5도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크(43)의 근처에 상기 제 1운반부재(10)는 전기적으로 절연된 플레이트(81)가 부착되어지며, 이 플레이트(81)는 상기 디스크(43)에 부착된 미끄럼이동접촉부나 미끄럼이동브러시(83)를 위한 미끄럼이동트랙(82)으로 구성되어 진다
상기 모우터(30)의 전원공급은 상기 미끄럼이동트랙(82)과 미끄럼이동접촉부(83)들을 통해 이루어지며, 연결와이어(31)와 미끄럼이동트랙(82),미끄럼접촉부(83) 및 모우터(30)사이의 정확한 전기적연결은 일반적인 기술을 갖춘 사용자에 의해서 가능하도록 적절하게 연결되어지게 되므로 여기서는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간략하게 하기 위해 제5도는 척도에 관계없이 1개의 미끄럼이동트랙(82)과 이에 일치되는 미끄럼이동접촉부(83)만이 도시되며, 제6도는 미끄럼이동트랙(82)의 개략적인 실시예들인데, 제 1운반부재(10)에 견고하게 설치되는 전기적으로 절연된 플레이트(81)에는 이에 위치된 서로 동심축의 고리형상인 4개의 미끄럼이동트랙(821,822,823,824)가 위치되어지고, 이 미끄럼이동트랙에는 각각 연결접촉부(821,822,823,824)가 구비되어 진다.
상기 미끄럼이동트랙(821,822)은 B가 지시하는 위치만큼 관련된 연결접촉부(841,842)로부터 시계방향으로 뻗게되고, 상기 미끄럼이동트랙(822,843)은 B' 가 지시하는 위치만큼 관련된 연결접촉부(843,844)로부터 반시계방향으로 뻗게되는데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디스크(43)에 연결된 상기 미끄럼이동접촉부(831,832)는 다른 것과 관련되어 방사형상으로 위치되어지고 각각 상기 미끄럼이동트랙(821,822)과 미끄럼이동트랙(823,824)에 연결되어지게 된다.
상기 미끄럼이동트랙(821,822)과, 연결접촉부(841,842) 및 미끄럼이동접촉부(831)은 제6도에서와 같이 상기 미끄럼이동트랙(821,822)에 관련된 미끄럼이동접촉부(831)의 시계방향 회전방향과 일치하게 되는 방향으로 회전되어지도록 모우터(30)를 작동시키는 여기회로가 포함되어지며, 이후에 이는 조작위치에서 후방으로 접힌위치로 미러선회장치의 선회이동과 일치되는 회전방향으로 가정한다. 그리고 상기 미끄럼이동트랙(823,824)과 연결접촉부(843,844) 및 미끄럼이동접촉부(832)는 반대방향에서 회전되도록 모우터(30)를 작동시키는 여기회로가 포함되어지게 된다.
미러선회장치는 조작위치에 존재하고 상기 미끄럼접촉부(831,832)는 B와 B' 로 정의된 범위내에서 임의의 위치에 위치되어진다고 가정하면, A 위치내에서 상기 미끄럼 이동접촉부(831,832)는 미끄럼 이동트랙 (821,822,823,824)과 관련되어 접촉되어지므로 미러선회장치의 조작위치에서 모우터(30)는 임의의 회전방향으로 여기되어 질 수도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위치에서 후방으로 접힌위치로 선회이동되는 동안 상기 디스크(43)는 제 1운반부재(10)에 관련되어 고정되어지므로 미끄럼이동접촉부(831,832)는 A위치에 놓여지도록 연속되어지고, 이동멈춤부에 도달되어짐으로 인해 후방으로 접힌 위치가 정의된 후에는 상기 모우터(30)가 회전되어지므로 이 디스크(43)는 A위치에서부터 관련된 미끄럼이동트랙(821,822,823,824)에 대해 시계방향으로 이동되어지는 미끄럼이동접촉부(831,832)와 함께 제 1운반부재(10)와 관련되어 회전되어지고, 상기 미끄럼이동접촉부(831,832)가 B위치에 도달되어질 때 상기 미끄럼이 동접촉부(831)는 미끄럼이동트랙(821,822)와 접촉되지 않게 되어 모우터(30)의 여기가 멈추어지게 된다.
이어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후방접힘작동이 끝나게 되는데, 앞쪽접힘이동의 경향이 있는 자동차내의 스위치가 재작동되어질 때 상기 모우터(30)의 여기회로는 그 방향에서 제동이 걸리게 되어 상기 후방접힘작동이 더이상 되지 않게 되며, 한편으로 이는 전기적 작동에 의해 후방접힘위치에서 조작위치로 미러선회장치가 돌아가도록 선회되어질 수도 있는데 왜냐하면 상기 모우터(30)가 여기되어지는 방향에서는 제동이 걸리지 않게 되는 즉, B위치에서 상기 미끄럼이동접촉부(832)가 계속 미끄럼이동접촉부(823,824)와 접촉되기 때문이다.
접힘위치에서 조작위치로의 선회이동이 전기적인 작동으로 개구로 되는동안 조작위치에서 접힘위치로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선회이동에 관련되어 전술된 방법과 같이 미끄럼이동접촉부(831,832)는 미끄럼이동트랙(821,822,823,824)과 관련되어 상대적으로 고정되어지게 되므로 상기 미끄럼이동접촉부(831,832)는 위치에 놓여지도록 연속되어지게 된다. 돌기(73)가 조작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제 1돌기경로부(76)를 따라 이동하게 되어 상기 돌기(73)가 돌기정지부(77)에 부딪치게 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운반부재(10)와 관련된 제 2운반부재(20)의 선회이동은 돌기(73)를 누르기에 충분한 우력이 요구되어지지만, 이 우력은 이보다 적은 우력이 가해져 디스크(43)가 미끄레지는 제 1,2 마찰커플링(44,64)와 함께, 견고성을 다시 고려하여 상기 제 1,2운반부재(10,20)와 관련되어 회전되어지기 때문에 전달되지 않게 된다. 더 나아가 상기 모우터(30)가 회전되어지는 곳에서 상기 미끄럼이동접촉부(831,832)는 B위치에서 B'위치로 관련된 미끄럼이동트랙(821,822,823,824)에 대해 B위치에서 부터 반시계방향으로 이동되어지게 된다.
상기 미끄럼이동접촉부(831,832)가 B' 위치에 도달되어질 때 상기 미끄럼이동접촉부(832)는 미끄럼이동트랙(823,824)과 접촉되어지지 않게 되므로 모우터(30)의 여기가 멈추게 된다.
이어 적기적으로 작동되는 역접힘작동이 끝나게 되는데, 역접힘작동으로 가려는 자동차내의 스위치가 다시 작동되어지게 되더라도 모우터(30)의 여기회로가 그 방향내에서 제동되어지게 되면 상기 역접힘작동이 끝나게 되며, 미러선회장치가 수동조작을 통해 후방으로 접힘위치로 되어지고 후방으로 졉히려는 작동의 경향이 있는 자동차내의 스위치가 다시 작동되어질 때 전술한 바와 같이 모우터(30)가 다시 작동되지 않게 되는 위치인 B위치로 상기 미끄럼이동접촉부(831,832)가 이동되므로 상기 역접힘작동이 끝나게 된다.
이는 미러선회장치가 수동조작을 통해 사용위치로 오게 되어지고, 역접힘작동으로 가려는 자동차내의 스위치가 다시 작동되어지면 상기 미끄럼이동접촉부(831,832)는 전술한 바와 같이 모우터(30)가 다시 작동되지 않게 되는 B' 위치로 이동되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미러장치는 후방으로 접힌위치에서 사용위치로 전기적 작동을 통해 선회되어져 돌아가는 것이 가능한데, 상기 미러장치가 수동조작을 통해 후방으로 접힌위치로 가게될 때 B ' 위치로 가려는 미끄럼이동접촉부(831,832)와 함께 우선 후방접힘작동으로 가려는 자동차내의 스위치가 작동되어 상기 미끄럼이동접촉부(831,832)가 B위치로 이동되어지게 되고, 이어 역접힘위치로 가려는 자동차내의 스위치가 작동되어져 전술한 바와 같이 역선회작동이 수행되어지게 된다.
유사하게는 사용위치에서 역방향으로 접힌 위치로 전기적인 작동을 통해 미러선회장치가 선회되는 것이 또한 가능한데, 상기 미러선회장치가 B위치에 놓여진 미끄럼이동접촉부(831,832)와 함께 역접힘작동으로 가려는 자동차내의 스위치의 최초조작에 의해 수동조작을 통해 사용위치로 가게 된다.
상기 미러선회장치는 내부적이든 내부적이 아니든 수동조작을 통해 앞쪽으로 접힌위치로 가게될 때 전기적 작동을 통해 그 단계나 3단계의 간단한 방법으로 조작위치로 가게 되는데, 상기 필요한 단계는 상기 미끄럼이동접촉부(831,832)의 위치에 의존되어 진다.
가장 안좋은 상황에서 상기 미끄럼이동접촉부는 B위치에 놓여지는데 이 경우, 제 1단계에서 역접힘위치로 가려는 자동차내의 스위치가 작동되고, 상기 미러 선회장치의 선회된 위치내에서 아무런 변화도 없게 되지만 디스크(43)가 회전되어져 상기 띠끄럼이동접촉부(831,832)가 B' 위치로 가게 되고, 상기 미끄럼이동접촉부(831,832)이 시작위치에서 부터 이미 B' 위치에 놓여졌다면 이 제 1단계는 자연적으로 건너띄게 된다.
제2단계에서 후방접힘위치로 가려는 자동차내의 스위치가 조작위치에서 역방향으로 접힌 위치를 통해 미러선회장치가 선회되는 곳에 관련되어 작동되어지면, 상기 미끄럼이동접촉부(831,832)가 B위치로 가게 되고, 제 3단계에서 역접힘위치로 가려는 자동차내의 스위치가 조작위치로 상기 미러선회장치가 선회되는 곳에 관련되어 작동되어지면, 상기 미끄럼이동접촉부(831,832)가 B'위치로 가게 된다.
상기 작동은 2번이나 3번스위치를 작동하기 위한 운전이 필요하게 되고, 고급스러운 디자인인 경우 제어유니트는 한편으로 스위치와 함께 쌍으로 구비되어지기도 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연결접촉부(821,822,823,824)와 함께 쌍으로 구비되어지며 모우터(30)에 구비되어질 수도 있게 되는데, 상기 단계들을 수행하기 위해 채택되어지는 이 제어유니트는 스위치중 하나가 짧은시간에 작동되어진 후 전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기술을 갖춘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지게 된다.
전기적인 실패의 가능성에 대해 특히 신뢰감을 주는 실시예에서는, 전기적인 실패가 미러하우징이 전기적 작동을 통해서 전기적 선회이동동안 조작위치에서 후방으로 접힌위치로 선회이동되어져 상기 선회이동이 불완전하게 이루어진 경우가 발생되었을 때 미러하우징은 수동적으로 다시 뒤로 선회이동되어질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제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B위치와 B ' 위치 사이의 각거리의 크기는 지나치게 과장 되었지만 상기 각거리는 5°의 작은 값으로도 충분하며, 제5도에 도시된 실시예를 변형한 제8a도와 제8b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간략화를 위해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붙인다.
제8도의 변형 실시예에서 제 1마찰 커플링은 제 1출력톱니세트(41)와 제 1운반부재(10) 사이의 마찰 플레이트(308;309)와 함께 마찰 플레이트 다발(310)로 설계되었는데, 이는 더욱 제어하기 좋기 때문이며,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마찰 플레이트 다발(310)은 장치의 하부 끝부위에 배열됨과 더불어 T'자 형상의 중공튜브(301)의 내부를 갖춘 제 1출력톱니세트(41)와 쌍을 이루게 된다.
또한 제 2마찰 커플링(306)이 제 1운반부재(10)와 제 2운반부재(20) 사이에 직접적으로 배열되어져 이들 사이의 슬립칼이 전기적인 조절 동안 해소되지 않아도 되는 잇점이 있게 됨은 물론, 상기 제 1출력톱니세트(41)와 제 2운반부재(20) 사이에는 베어링(307)이 구비 되어지게 되고, 조립하는 동안 스위치 수단(82,83)의 좀더 나은 위치 이동을 위해 계기의 하부 끝부위로 이동되어지게 된다.
중앙핀(313)은 격리부재로서 설계되어져 하우징 부분이 단순하고 싸게 제조 되어질 수 있게되고, 압력플레이트(62)는 고정 다이아프램링(311)의 수단에 의해 T자 형상 중공튜브(301)에 놓여지므로 진동에 의해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너트와 같은 구성의 기밀수단이 필요없게 되므로 단순하고 싸게 제조되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 현실화 되어지는 잇점이 있게 된다.
먼지와 오염물의 유입을 방지하는 기밀성을 향상 시키려면 돌기(73)와 돌기 경로는 계기 내부에서 이동 되어지게 되고 또한, 상기 돌기경로는 제 2운반부재(20)대신에 제 1운반부재 내로 합병 되어지게될 뿐만 아니라, 제조와 조립의 단순성을 위해 상기 제 2운반부재(20)는, 프레임부(302)와 클릭 연결수단에 의해 각각 제1 운반부재(10)와 프레임부(302)에 설치 되어진 커버하우징부(303)로 구성되어지는데, 이 커버하우징부(303)는 합성재로 만들어지며 이들의 수직측벽부는 거기에 집약적으로 형성된 피봇을 통해 이들의 상부부에 선회 이동될 수 있게 연결되어지게 된다.
또한 지지피(304)와 플레네트 지지부(305)가 구비되어져 다른 것과 관련된 플레네트기어(46,47)의 위치를 고정하게 되며, 일반적인 기술을 갖춘 사용자에 의해 작동되도록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실시예는 다양하게 변화내지 변형될 수 있게 되므로, 전술한 미끄럼 이동 트랙과 미끄럼 이동 브러쉬를 통한 효과 대신에 모우터의 전력 공급이 상기 제 1운반부재(10)와 관련된 고정위치에 설치된 마이크로 스위치를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고 디스크(43)에 형성된 하나 또는 그이상의 조작부에 의해 작동될 수도 있게 된다.
서로 고정된 운반부재를 유지하려면 서로 상이한 구성으로 형성하는 것이 좋을 뿐만 아니라 마찰커플링의 한계값과 슬립값은 적절하게 선택 되어지게 됨을 물론이다.

Claims (14)

  1. 고정되게 자동차에 결합되는 제 1운반부재(203;10)와; 선회가능하게 미러하우징(205)에 결합되면서 주축으로 제 1운반부재(203,10)와 연결된 제 2운반부재(204,20); 전기모터(30)와 이에 연관된 변속장치(40)를 구비하면서 제 1운반부재(203;10)와 연결된 제 1액츄레이터부(211,41)와 제 2운반부재(204;20)와 우력된 제 2액츄레이터부(212;42)를 갖추고, 제 2운반부재(204;20)의 제 1운반부재(203,10)에 대한 선회이동을 유발하는 이송액츄레이터및; 제 1,2액츄레이터부(211;41)중 하나와 제 1,2운반수단(203,10)중 하나사이에 설치된 제 1고정커플링(213;44)으로 구성되어 자동차(1)에 대해 리어미러의 미러하우징(205)을 선회이동되도록 결합하는 미러선회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 2액츄레이터부(211,41)중 하나 또는 제1 · 2운반주재(204;10)중 하나를 다른 제1 · 2운반부재(204;20)에 대해 고정되면서, 사용위치에서 작동되도록 설치되는 제2고정커플링(214;64)과 ; 적어도 후부로 접혀진 위치가 한정되도록 하는 제1 · 2운반부재(273,204;10,20)에 대해 고정되게 결합되는 이동멈춤부(220); 사용위치가 한정되도록 하되, 사용위치에서 후방으로 접혀진 위치까지의 선회위치에서의 자체 한계값이 선회반대방향으로의 자체 한계값보다 작도록 된 제3고정커플링(215;70) 및; 제1 · 2운반수단중 하나(203;10)에 대해 고정되도록 구비되는 모터(30)용 여기회로와, 스위치수단(217;82)을 작동하는 제1 · 2엑츄레이터중 하나(211;42)와 우력되는 수위치작동수단(216;83)을 포함하는 스위치수단(217;82)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선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액츄레이터부(212;42)가 제 2운반부재(204;20)에 고정되어지며, 제 1고정커플링(213;44)이 제 1액츄레이터부(211;41)와 제 2운반수단(203;10)사이에 설치되어지고, 제 2고정커플링(214;64)이 제 1액츄레이터부(211,41)와 제 2운반부재(204;20) 또는 이에 고정된 제 2액츄레이터부(212;42)사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선회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고.크운반부재(203,204;10,20)에 대해 고정되게 결합된 이동멈춤부(220)이 추가로 구비되어 전방으로 접혀진 위치를 구획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선회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하우징(5)이 사용위치에 있을 때 제3고정커플링(215;70)이 전방으로 접혀진 위치를 향한 선회방항으로 고정력을 부가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선회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고정커플링(215;70)이 제 1·2운반부재(20)와, 이와 공조하면서 나머지 제 1.2운반부재(10)와 연결된 돌기(73)상에 형성된 돌기경로(75)에 의해 구비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선회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 경로(75)에 이를 따라 돌기(73)이 사용위치와 후부로 접혀진 위치사이를 제 1돌기경로부(76)와의 접촉없이 이동하게 되는 제 1돌기경로부(76)와 돌기(73)용 멈춤부를 형성하여 사용위치를 구획하는 돌기정지부(77) 및, 이를 따라 돌기(73)가 사용위치와 전방으로 접혀진 위치사이를 이동하게 되는 제 2돌기경로부(78)를 구비하며, 상기 돌기(73)은 돌기경로(75)의 방향으로 복원부재(74)에 의해 바이어스되며, 상기 복원부재(74)의 탄발력에 대해 이동되어져 돌기정지부(77)로부터 제2돌기경로부(78)까지 진행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선회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수단(217;82)에 해당 제 1·2 운반부재(203,10)중 하나에 고정된 미끄럼이동트랙(821,822,823,824)을 갖추고, 스위치작동수단(216,83)에는 제 1.2액츄레이러부(211;41)중 하나에 대해 고정된 미끄럼이동접촉부(831,832)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선회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이동트랙(821,822,823,824)고 미끄럼이동접촉부(831,832)에 제 1·2액츄레이터부(211;41)중 하나가 사용치로부터 후방으로 접혀진 위치에서 선회방향에 상응하는 방향으로 제 1.2운반부재(203;10)중 하나에 대해 회전되어질 때 접촉을 떨어뜨리게 되는 미끄럼접촉부(831)와 연관되는 제1 세트의 미끄럼이동트랙(821,822)과 제 1·2액츄레이터부(211;14)중 하나가 반대방향으로 회전되어질 때 접촉을 떨어뜨리게 되는 미끄럼접촉부(832)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선회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고정커플링(44)이 톱니물림결합되는 제 1·2액츄레이터부(41)중 제 1.2운반뷰재(10)중 하나의 원추형부분(43,12)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선회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고정커플링(213;44) 제 2고정커플링(214;64)의 한계값보다 큰 한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선회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고정커플링(213;44)이 약 4Nm의 한계값을 갖고, 제 2고정커플링(2114;64)은 약 2Nm의 한계값을 갖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선회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베이스(3)와 미러하우징(205)상에 미러선회장치가 장착되어져 회전방향을 조절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선회장치.
  13. 자동차상에 장착된 미러하우징(205)내에 제1항에 따른 윙미러장치(202)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리어미러를 구비한 자동차.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하우징(205)과 미러베이스(3)상에 이동멈춤부(22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KR1019950702636A 1992-12-24 1993-12-23 미러선회장치와 이를 장착한 자동차 KR1001980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9202266 1992-12-24
NL9202266A NL9202266A (nl) 1992-12-24 1992-12-24 Spiegelinklapmechanisme, en voertuig voorzien van een dergelijk spiegelinklapmechanisme.
PCT/NL1993/000276 WO1994014633A1 (en) 1992-12-24 1993-12-23 Mirror pivoting mechanism, and vehicle comprising such mirror pivoting mechanis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700161A KR960700161A (ko) 1996-01-19
KR100198068B1 true KR100198068B1 (ko) 1999-06-15

Family

ID=19861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702636A KR100198068B1 (ko) 1992-12-24 1993-12-23 미러선회장치와 이를 장착한 자동차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5625502A (ko)
EP (1) EP0675817B1 (ko)
JP (1) JP3554982B2 (ko)
KR (1) KR100198068B1 (ko)
AT (1) ATE142571T1 (ko)
BR (1) BR9307776A (ko)
CA (1) CA2152591A1 (ko)
DE (1) DE69304717T2 (ko)
ES (1) ES2094639T3 (ko)
NL (1) NL9202266A (ko)
TW (1) TW245695B (ko)
WO (1) WO19940146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9401791A (nl) * 1994-10-27 1996-06-03 Iku Holding Montfoort Bv Verplaatsingsinstelinrichting.
DE19615007A1 (de) * 1996-04-16 1997-10-23 Mekra Lang Gmbh & Co Kg Getriebe-Einheit
DE19615002A1 (de) 1996-04-16 1997-10-23 Mekra Lang Gmbh & Co Kg Getriebe-Einheit
ES2136494B1 (es) * 1996-05-09 2000-05-01 Sanchez Garcia Alberto Dispositivo de plegado para retrovisores.
AT405501B (de) 1997-01-17 1999-09-27 Magna Reflex Holding Gmbh Verstellbarer rückspiegel, insbesondere aussenspiegel, für ein kraftfahrzeug
DE19734169B4 (de) 1997-08-07 2007-02-15 Mekra Lang Gmbh & Co. Kg Nutzfahrzeug mit einem Spiegel im Frontbereich
DE19904778C2 (de) 1999-02-05 2001-04-12 Mekra Lang Gmbh & Co Kg System zur automatischen Aussenspiegelverstellung bei Kurvenfahrten von Fahrzeugen
DE19913072B4 (de) 1999-03-23 2005-10-13 Mekra Lang Gmbh & Co. Kg Außenspiegel für Kraftfahrzeuge
US6286968B1 (en) 1999-09-07 2001-09-11 Lang-Mekra North America, Llc Mirror mounting assembly with stop feature
EP1103419A1 (de) 1999-11-23 2001-05-30 MEKRA Lang GmbH & Co. KG Aussenspiegel für Kraftfahrzeuge
JP3714837B2 (ja) * 2000-01-11 2005-11-09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車両用ドアミラー装置の組付方法
DE10009579B4 (de) * 2000-02-29 2006-02-23 Bühler Motor GmbH Außenrückblickspiegel für ein Kraftfahrzeug
DE10154000A1 (de) * 2000-11-07 2002-05-16 Luk Lamellen & Kupplungsbau Getriebe
JP3887543B2 (ja) * 2001-03-19 2007-02-28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車両用ミラー装置
DE20105791U1 (de) * 2001-04-03 2002-08-14 MEKRA Lang GmbH & Co. KG, 90765 Fürth Spiegelanordnung für Kraftfahrzeuge
EP1393974A1 (de) * 2002-08-29 2004-03-03 MEKRA Lang GmbH & Co. KG Aussenrückspiegelaufbau für Nutzfahrzeuge
JP2005008141A (ja) * 2003-05-27 2005-01-13 Ichikoh Ind Ltd 車両用ミラー装置
WO2005068257A1 (en) * 2004-01-13 2005-07-28 Truck-Lite Co., Inc. Clutch assembly for breakaway mirror
NL1025524C2 (nl) 2004-02-19 2005-08-22 Iku Holding Montfoort Bv Spiegelverstelmechanisme, buitenspiegeleenheid en werkwijze.
US7787062B2 (en) 2006-05-19 2010-08-31 Chunghwa Picture Tubes, Ltd. Rear projection display and circuit and method for adjusting image thereof
DE102008010754A1 (de) 2008-02-23 2009-09-03 Bartels Mikrotechnik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Verkippen eines Bauteils
EP2439107A1 (de) 2010-10-11 2012-04-11 SMR Patents S.à.r.l. Hybrid-Außenrückblickspiegelanordnung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701766U1 (de) * 1987-02-06 1987-07-16 Hohe Kg, 6981 Collenberg Außenspiegel für ein Fahrzeug mit mechanisch verstellbarem Spiegel
JP2718928B2 (ja) * 1987-07-28 1998-02-25 株式会社ホンダロック 可倒式車両用ミラー
US4988068A (en) * 1988-06-09 1991-01-29 Murakami Kameido Co., Ltd. Remote control mechanism
US4981349A (en) * 1989-09-01 1991-01-01 Kabushiki Kaisha Matsuyama Seisakusho Rearview mirror assembly for automobiles including positioning means with a recess surface extending uniformly horizontally
NL8902300A (nl) * 1989-09-14 1991-04-02 Iku Holding Montfoort Bv Omklapmechanisme voor een spiegelhuis van een achteruitkijkspiegel voor een voertuig.
DE8914759U1 (de) * 1989-12-15 1991-04-11 Hohe Kg, 6981 Collenberg Außenspiegel für ein Kraftfahrzeug mit aufsteckbarer Kappe
DE4023375A1 (de) * 1990-07-23 1992-01-30 Hohe Kg Aussenspiegel fuer ein fahrzeug
JPH04136949U (ja) * 1991-06-17 1992-12-21 株式会社村上開明堂 可倒式ドアミラ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675817A1 (en) 1995-10-11
TW245695B (ko) 1995-04-21
EP0675817B1 (en) 1996-09-11
AU674200B2 (en) 1996-12-12
NL9202266A (nl) 1994-07-18
CA2152591A1 (en) 1994-07-07
BR9307776A (pt) 1995-10-31
DE69304717D1 (de) 1996-10-17
KR960700161A (ko) 1996-01-19
JP3554982B2 (ja) 2004-08-18
DE69304717T2 (de) 1997-04-30
ES2094639T3 (es) 1997-01-16
ATE142571T1 (de) 1996-09-15
AU5843494A (en) 1994-07-19
WO1994014633A1 (en) 1994-07-07
JPH08507268A (ja) 1996-08-06
US5625502A (en) 1997-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98068B1 (ko) 미러선회장치와 이를 장착한 자동차
CN101314331B (zh) 交通工具座椅
JP2007536146A (ja) シートアセンブリ用電動遠隔解放駆動装置
JP2008143519A (ja) 回動可能要素を備えた機能装置
JP3596898B2 (ja) パーキングブレーキ装置
US20170210246A1 (en) Seat with recliner limit switch assembly and method of use thereof
US4460217A (en) Position memory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seat assemblies
JP2002098179A (ja) 電動アクチュエータの遠隔操作装置及び車両用駐車ブレーキ装置
JPH01127430A (ja) 自動車のリアアンダービューミラー
JPH0613279B2 (ja) 自動車のドアミラー装置
JPH0223375B2 (ko)
JPH02136347A (ja) 自動車用後視鏡の支持アーム操作装置
WO2013144527A1 (fr) Ensemble d'articulation pour siège de véhicule
JP2010089682A (ja) アームレスト装置
JPS62231857A (ja) パワ−アシスト式駐車ブレ−キ装置
JPH0516714A (ja) ウオークイン機構付シート
JPH1086707A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2002501455A (ja) 自動車用間欠回転運動機構
AU674200C (en) Mirror pivoting mechanism, and vehicle comprising such mirror pivoting mechanism
JP2004034799A (ja) 表示装置
KR0126036Y1 (ko) 자동차의 사이드미러 절첩장치
JP2561586Y2 (ja) 車両用シートの電動移動装置
JPH07117565A (ja) 電動可倒式ミラー装置
KR100380612B1 (ko) 버튼식 자동 파킹장치
JPH09206155A (ja) 車両用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10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