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5568B1 - 개질된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조성물 - Google Patents

개질된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5568B1
KR100195568B1 KR1019900007105A KR900007105A KR100195568B1 KR 100195568 B1 KR100195568 B1 KR 100195568B1 KR 1019900007105 A KR1019900007105 A KR 1019900007105A KR 900007105 A KR900007105 A KR 900007105A KR 100195568 B1 KR100195568 B1 KR 1001955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xture
pvc
group
prepolymer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7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8169A (ko
Inventor
페팃 도미니크
라당 미첼
Original Assignee
볼스트 스테판 엘.
노턴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볼스트 스테판 엘., 노턴 캄파니 filed Critical 볼스트 스테판 엘.
Publication of KR900018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81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5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55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04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chlorine atoms
    • C08L27/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chlo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10Prepolymer processes involving reac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in a first reaction ste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70/00Compositions for creating interpenetrating network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개질된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조성물
제1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도입하여 개설된 PVC 제품을 형성시키기 위한 제1방법에서의 작업 단계 순서도이다.
제2도는 제2 방법에서의 작업 단계 순서도이다.
제3도는 제3 방법에서의 작업 단계 순서도이다.
제4도는 개질된 PVC 조성물로부터 제품을 형성시키기 위한 장치의 개략도이다.
제5도는 본 발명의 방법을 개괄적으로 나타낸 작업 단계 순서도이다.
제6도는 다양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각각에 대해 바람직한 방법을 나타내는 도표이다.
본 발명은 개질된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폴리비닐 클로라이드(PVC)는 중합체 중에서 독특한 특성을 나타내며, 가소제중의 폴리비닐 클로라이드의 안정한 유체 현탁액(페이스트 또는 플라스티솔이라고 함)은 간단한 혼합기술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120℃ 이상으로 가열하는 경우, 이러한 화합물은 전통적인 용융압출에 의해 수득된 것과 유사한 균질 고무 중합체를 유도한다. 이러한 방법을 겔화라고 하며 문헌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참조: PVC Technology (4th Edition), W. V. Titow (Elsevier)].
가요성 PVC의 특징은 통상의 시약과의 반응에 의해 편리하게 가교결합될 수 있는 적합한 반응성 부위를 함유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결과적으로, 가소화된 폴리비닐 클로라이드는 통상적인 가교결합된 고무 보다 지속되는 응력하에서 더욱 유동적이다. 더욱이, 유동속도는 가교결합된 고무의 경우에서 보다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보다 급속히 증가한다. 보다 실질적으로 말하자면, 이는 특히 승온에서 응력 또는 변형을 지속적으로 받는 경우, 가소화된 폴리비닐 클로라이드가 과도하게 크리프(creep)되고 응력 이완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비가역적 유동을 제한하기 위해 직물 또는 보강재가 제공되지 않는 한, 응력 또는 변형을 지속적으로 받아야 하는 적용에 있어서 적합하지 않다.
가교결합 부족으로 인한 또 다른 결과는 가소화된 PVC가 몇몇 극성 용매[테트라하이드로푸란(THF) 및 사이클로핵산온이 가장 잘 알려져 있다]에 완전히 용해될 정도로 팽윤된다는 것이다. 가소화된 PVC의 두번째 한계는 PVC 조성물로부터 가소제, 특히 극성 가소제가 이동하는 능력이다.
이러한 취약점은 매우 심각한 것이므로, 가요성 PVC의 사용은 인조 가죽, 마루덮개, 카펫트 후면, 글러브, 장난감 등과 같은 실온 적용에 있어서 기본적으로 제한된다. 유리세공 적용에 있어서, PVC가, 예를 들면, 플렉시 유리 및 폴리카보네이트 유리세공 시이트와 직접 접촉하는 경우, 가소제의 이동이 플라스틱 시이트의 미소균열을 야기시킬 수 있으므로, 이의 기계적 내성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가요성 PVC 가스켓(gasket)을 사용하는데 제한이 따른다. 선행 기술 분야에서 PVC 플라스티솔 형태를 사용하는 경우 경험하게 되는 이들 및 기타 다른 난점들은 본 발명의 신규한 방법으로 제거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뚜렷한 목적은 비용융 특성을 가지며 용매 속에서의 팽윤이 저하된 가황 시이트 특성을 나타내는 PVC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내열성 및 내용매성이 향상된 개질된 PVC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소제의 이동이 저하된 개질된 PVC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 및 기타 목적들은, 본 발명을 기술해감에 따라 명백해질 것이며, 본 발명의 요지는 이후에 기술되고 있는 청구된 단계들의 조합 및 배열과 조성물의 상세한 설명에 나타내었고, 기술된 본 발명의 세부적인 양태의 변형은 본 발명의 취지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청구된 범위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은 조성물 전체를 통해 존재하는 중합체 망상구조(network)의 존재에 의해 통상적인 플라스티솔을 개선시킨 개질된 PVC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중합체 망상구조는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우레아일 수 있다. 따라서, 중합체성 분자는 디이소시아네이트,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제1단량체 또는 초기중합체 그룹 및 디올, 폴리올, 디아민, 폴리아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제2단량체 또는 초기중합체 그룹의 혼합물일 수 있다. 또한, 중합체성 분자는 위에서 언급한 단량체로 형성된 부가물일 수 있다. 바람직한 이소시아네이트는 IPDI(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이다. 바람직한 폴리올은 ε-카프롤락톤(엡실론-카프롤락톤)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플라스티솔의 형성에 있어서 중합체성 분자를 다양한 단계에서 첨가함으로써 통상적인 플라스티솔 형성을 변화시킨 것이다. 중합체성 분자를 중합함으로써, 생성되는 조성물에 향상된 특성을 부여하는 망상 구조형 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해 생성되는 조성물을 통해 실질적으로 제2중합체 상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방법은 혼합물에 발포제를 제공하고, 중합체성 분자를 중합하기 전에 발포제를 팽창시키거나 혼합물을 발포시킴으로써 유용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그결과 특성이 향상된 발포 생성물이 수득된다.
이소시아네이트 성분 형태의 중합체성 분자는 단량체, 중합체 또는 부가물로서 첨가될 수 있다. 그러나, 방향족 단량체(또는 기타 신속하게 반응하는 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의 경우에 있어서, 조기 반응을 방지하기 위해 시스템의 최종 성분으로서(또는 생성물 형성 직전에)첨가한다.
본 발명의 특징은 첨부된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의 구조적 형태 중의 하나를 참조로 하여 가장 잘 이해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일반적인 특징을 보여주는 제1도를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참조번호(10)으로 나타낸 공정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형태의 초기중합체와 가소제와의 제1혼합물을 형성시키는 제1단계(11)로 구성되어 있다. 제2단계(12)에서는 제1혼합물과 유제 등급 또는 미소현탁액 등급 PVC와의 제2혼합물을 형성시켜 플라스티솔(단계 1)을 형성시킨다. 제3단계(13 및 14)는 플라스티솔(단계 1)과, 디올 또는 디아민과 같은 제2초기중합체를 혼합하고 플라스티솔(완성 단계)에 도달시키기 위해 안정화제 및 촉매를 첨가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4단계(15)에서는 플라스티솔(완성 단계)로부터 제품이 형성되고 겔화되기 시작한다. 제품을 단계(16)에서 열 경화시킨다. 최종 제품을 발포시키기 위해 혼합물에 발포제 및 개시제를 첨가함으로써 단계(11)과 단계(12) 사이에서 교호 단계(17)를 수행할 수 있다.
제4도는 개질된 PVC 제품의 형성을 완성하기 위한 장치(20)를 나타낸다. 상기 방법으로부터의 최종 혼합물(완성 단계)을 호퍼(hopper)(21)속에 넣고 벨트(22)위를 통과시켜 피복물 형태의 제품(23)을 형성시킨다. 겔화 및 경화가 완결되는 오븐(24)으로 제품을 운반한다.
제2도는 일반적으로 참조번호(30)으로 나타낸 개질된 본 발명의 방법 형태를 도시한 것인데, 제1단계(31)에서 PVC 분말을 가소제와 혼합한다. 발포 제품이 바람직한 경우, 이때 발포제를 첨가할 수 있다. 상기 혼합물은 플라스티솔(단계 1)을 구성한다. 제2단계(32)는 폴리올 또는 폴리아민을 첨가하는 것으로 이루어지고, 제3단계(33)는 안정화제 및 촉매를 첨가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그 결과, 플라스티솔(단계 2)이 형성된다. 최종적으로, 제4단계(34)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첨가로 이루어지며 그 결과로 플라스티솔(완성 단계)에 도달한다. 이어서, 제5단계(35)에서는 제품이 형성되고 제6단계(36)에서는 제품이 겔화되고 경화된다. 단계(35) 및 단계(36)은 제4도에 도시한 장치로 수행할 수 있다.
제3도는 일반적으로 참조번호(40)으로 나타낸 추가로 변형된 본 발명의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제1단계(41)는 PVC를 가소제와 혼합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 단계에서, 발포제품이 바람직한 경우, 발포제를 혼합물에 첨가할 수 있다. 플라스티솔(단계 1)은 이 시점에서 성취된다. 제2단계(42)는 혼합물에 폴리올 또는 폴리아민을 첨가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제3단계(43)는 혼합물에 안정화제 및 촉매를 첨가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며, 그 결과, 플라스티솔(단계 2)에 도달한다. 제4단계(44)는 가소제 중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농축 분산액 또는 용액을 제조하고 이것을 플라스티솔(단계 2)에 첨가할 때까지 무수 조건으로 유지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그 후, 플라스티솔(완성 단계)에 도달하며 이는 제5단계(45)에서는 제품으로 형성된다. 제6단계(46)에서 제품은 겔화되고 경화된다. 단계(45) 및 단계(46)은 제4도에 도시한 장치로 수행할 수 있다.
제5도는 일반적으로 참조번호(50)으로 나타낸 본 발명의 방법의 개괄도이다.
단계(51)에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초기중합체를 형성시키고, 단계(52)에서, 제1초기중합체와 중합가능한 제2초기중합체를 형성시킨다. 단계(53)에서, 제1초기중합체와 제2초기중합체를 혼합하여 플라스티솔 혼합물과 중합체성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혼합물인 최종 혼합물을 형성시킨다. 단계(54)에서, 최종 혼합물을 중합하여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조성물을 형성시킨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PVC는 솔베이(SOLVAY)에서 상표명 SOLVIC 374 MB 또는 372 HA로 제조 및 시판하는, K값이 68 내지 75(바람직하게는 74)인 유제 등급 폴리비닐 클로라이드이다. 미소 현탁액 등급 PVC 또는 이들 두가지 등급의 혼합물도 사용할 수 있다. 가소제는 몬산토(Monsanto)에서 상표명 SANTICIZER 160으로 시판하는 BBP(부틸벤질프탈레이트) 및 UCB사에서 시판하는 DIDP(디이소데실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프탈레이트 가소제와 바이엘 아게(Bayer AG)에서 상표명 DISFLA MMOL TKP로 시판하는 포스페이트 가소제 TCP(트리크레실포스페이트)와의 혼합물이다.
안정화제는 란크로(Lankro)에서 상표명 LANKROFLEX GE로 시판하는 에폭시화 대두유와 아토켐(Atochem)에서 상표명 STAVINOR BC 731로 시판하는 바륨/카드뮴 화합물로 이루어진다.
디이소시아네이트는 각각 휴엘즈(Huels)에서 상표명 IPDI, IPDI B1540 및 IPDI B1530으로 시판하는, 단량체, 중합체 또는 ε-카프롤락탐 부가물로서 사용되는 IPDI 또는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3-이소시아네이토메틸-3,5,5-트리메틸사이클로헥실이소시아네이트이다.
폴리올은 솔베이에서 상표명 CAPA 316으로 시판하는 폴리-ε-카프롤락톤이다.
사용되는 촉매는 에어 프로덕츠(Air Products)에서 상표명 DABCO T12로 시판하는 주석 디부틸디라우일이다. 발포제는 쉐링 인더스트리얼 케미칼즈(Shering Industrial Chemicals)에서 시판하는 것으로서 상표명은 GENITRON AC SP4이며 활성화제는 페로(홀랜드)베파우[Ferro(Holland)BV]에서 시판하는 것으로서 상표명은 FERRO 5473A이다.
본 방법의 실제적용에 있어서, 성분을 목적하는 비율로 고속혼합기 속에서 완전히 혼합한다. 다양한 혼합물의 최종 온도는 약 30℃이며 점도는 20rpm에서 스핀들(Spindle) 5를 사용하여 부룩필드 점도계(Brookfield Viscosimeter)로 측정한 결과, 전형적으로 2,000 내지 25,000cP이었다. 그후, 혼합물을 이형 콘베이어 벨트(release conveyor belt) 상에서 0.2 내지 2.5㎜의 간격으로 주조한다. 주조된 필름을 205℃에서 1 내지 10분동안 오븐 속에서 열처리한다. 생성되는 발포 시이트의 밀도는 150±50㎏/㎥이고 두께는 1.5 내지 20㎜이다.
발포되지 않은 제품의 경우에 있어서, 밀도는 1200±50㎏/㎥이고 두께는 0.2 내지 2.5㎜이다.
다음의 시험에 다양한 샘플이 제시된다:
1. 겔 함량: 정확하게 계량한 조성물의 일부를 200메쉬 스크린으로 된 용기에 넣고, 비등기 속에서 현탁시킨 다음, 조정함으로써 스크린 및 샘플을 통해 환류하는 사이클로헥산온의 급속한 유동이 일어나도록 한다. 용해되지 않은 샘플의 일부를 환류 용매에 노출시킨지 1시간 후에 제거하고, 가열하여 용매를 제거한 다음, 다시 계량한다. 추출되지 않은 샘플의 백분율(%)은 최초의 샘플 중량에 대한 추출된 샘플의 중량 비에 100을 곱하여 계산한다.
2. 인장시험: 시이트 샘플을 ASTM D412에 따라 다이-절단하고, 다양한 온도에서 100㎜/min의 속도로 인스트론(Instron) 1122를 사용하여 인장시험한다. 인장강도 및 모듈러스는 ASTM D-412에 따라 평가한다.
3. 크리프 내성: 샘플을 ASTM D412에 따라 두께가 1㎜인 시이트로부터 다이-절단한다. 100g의 중량을 샘플의 한쪽 말단에 부하하는 한편, 다른쪽 말단은 100℃ 오븐 속에서 고정시킨다. 30초 후에 신도를 측정한다. 결과는 신도를 장력(N/㎟)으로 나누어 표시한다.
4. 가소제 이동: 가요성 화합물 시이트(두께 1㎜)를 50℃에서 증가된 시간 동안 두께가 100μ인 폴리카보네이트 필름[제너럴 일렉트릭(General Electric)에서 상표명 LEXAN으로 시판됨]에 대향되게 놓는다. 시이트 샘플을 제거한 후, 아이알 퍼킨 엘머(IR Perkin Elmer) 781을 사용하여 슬릿 1을 3분 주사하여 투과에 의해 폴리카보네이트 필름을 분석한다. (프탈레이트 또는 포스페이트 가소제로부터의) 1710㎝-1에서의 피이크 강도를 (폴리카보네이트 중의 카보닐로부터의) 1765㎝-1에서의 피이크 강도로 나눈다.
5. 압축 영구 변형(compression set)
발포된 샘플의 경우, 22시간 동안 제시된 온도에서 25% 압축한 후, 24시간 동안 실온으로 복귀시켜 ASTM D1667-76에 따라 압축 영구 변형을 측정한다.
[실시예 1]
샘플 1 내지 5를 표 1에 따르는 조성을 사용하여 제조한다. 인장 특성은 표 2에 기재되어 있는 반면, 다른 특성들은 표 3에 기재되어 있다. 조성은 중량으로 나타내었다.
Figure kpo00002
Figure kpo00003
Figure kpo00004
[실시예 2]
샘플(6 내지 9)을 표 4에 나타낸 조성을 사용하여 제조하고, 겔 함량을 %로 측정한다.
Figure kpo00005
상기 표로부터 다양한 형태(단량체성 또는 불안정한 그룹에 의해 캐핑된)교호적인 디이소시아네이트도 사용될 수 있음이 명백하다. 단량체성 디이소시아네이트의 경우에 있어서, 조성물은 ½시간내에 사용되어야 한다.
[실시예 3]
본 발명의 기술을 사용하는 가요성 PVC의 또 다른 적용분야는 발포된 가스켓이며, 여기서 개질된 PVC는 일반적인 성분들 이외에 화학적 발포 시스템을 포함한다. 표5에 의하면, 표준 화합물의 온도제한은 가온하에서 압축된 후 발포체가 되는 영구 변형(set)(이후, 압축 영구 변형이라 함)으로 나타낸다. 샘플 10 및 11은 표 5의 조성을 사용하여 제조하고 압축 영구 변형을 측정한다.
Figure kpo00006
여기에 기재한 기술은 실질적으로 플라스티솔에 적합한 모든 PVC 및 가소제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기타 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기타 디올 또는 폴리올 및 기타 디아민 또는 폴리아민이 사용될 수 있다. 더욱 일반적으로 모든 폴리우레탄(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올의 공중합체), 폴리우레아(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아민의 공중합체) 등의 성분이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올 또는 폴리아민, 또는 단량체성 또는 중합체성 이소시아네이트의 부가물을 출발물질로 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형태는 어떠한 방법이 사용되어야 하는지를 지시한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형태와 방법의 형태를 연결하기 위한 두가지 기준이 있다:
a) 반응속도/안정성(대 주위습도 및 디올/디아민)
- 차단된 디이소시아네이트(부가물) : 매우 안정함(실온에서 수일간) 이들의 활성은 높은 오븐 온도에 의해 유발된다.
-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 : 느린 반응(실온에서 ½시간)
-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 : 매우 반응성이다(실온에서 수분).
b) 분산성/용해속도(가소제 또는 플라스티솔 속에서) :
- 유체, 액체 : 다량의 점성 액체 속에서 용이하고 빠르게 분산됨.
- 고체, 결정, 점성 액체 : 유체 희석제 속에서 장시간 혼합 요구됨.
다음의 도표는 사용되어야 할 특정 방법을 지시하는 다양한 형태의 디이소시아네이트의 특성을 나타낸다.
충전제, 안료, 살생물제, 증량제(PVC 미소현탁액, 공중합체, EVA, 니트릴 고무 등), 점도강하제 및/또는 안정화제 등과 같은 표준 첨가제가 사용될 수 있다.
특별히 관심있는 특정 성분 주의 한 부류는 아미노, 하이드록시 또는 이소시아네이트 활성 그룹을 가진 PVC 가소제이다. 본 발명의 중합단계를 가소제에까지 연장시키므로써, 동일반응계 내에서 중합체성 가소제가 형성될 수 있다. PVC 압출 또는 캘린더링에 있어서만 선택이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것은 중합체성 가소제가 너무 점성이어서 플라스티솔 조성물에 혼합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주어진 실시예는 단지 제한된 적용분야(시이트 및 발포체 가스켓)만을 언급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른 PVC 가공기술, 침지 피복(예; 글러브의 경우), 와이어 바스켓 피복(wire basket coating) 등에 명백하게 적용될 수 있다.
여기에 기술된 본 발명의 양태는 처음에 언급한 목적 및 이점들을 충족시키기에 적합하도록 되어 있으며, 본 발명은 특허청구의 범위의 정신 및 범주내에서 변형, 수정 및 변경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Claims (40)

  1. 디이소시아네이트,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제1 초기 중합체를 디올, 폴리올, 디아민, 폴리아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제2 초기중합체와 혼합하는 단계(a), 단계(a)로부터 수득한 중합체성 혼합물을 폴리비닐 클로라이드(PVC)와 가소제를 포함하는 플라스티솔 혼합물과 혼합하는 단계(b) 및 중합체성 혼합물로 플라스티솔 혼합물 내에서 중합시키는 단계(c)를 포함하는, 개질된 폴리비닐 클로라이드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PVC가 유액상 PVC, 미소현탁액상 PVC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가소제가 프탈레이트인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프탈레이트가 브틸벤질프탈레이트 및 디이소데실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가소제가 트리크레실포스페이트인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안정화제를 촉매와 함께 첨가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안정화제가 바륨/카드뮴 화합물, 에폭시화 대두유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폴리이소시아네이트가 디이소시아네이트-3-이소시아네이토메틸-3,5,5-트리메틸사이클로헥실이소시아네이트의 형태인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가소제가 중합체성 혼합물과 중합될 수 있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첨가하기 전에 촉매를 첨가하는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발포제를 첨가하는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촉매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도 제2 초기중합체가 중합될 수 있으며,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단계(c) 직전에 첨가하는 방법.
  13. 디이소시아네이트,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제1 초기 중합체(a)와 디올, 폴리올, 디아민, 폴리아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제1 초기중합체와 중합될 수 있는 제2 초기중합체(b)를 포함하며, PVC 및 가소제가 제1 초기중합체와 제2 초기중합체 중의 하나 이상에 각각 존재하는, 내열성과 내용매성이 향상되고 가소제의 이동이 저하된 PVC 조성물을 형성시키기에 적합한 다중 초기중합체 화합물.
  14. 제13항에 있어서, PVC가 유액상인 다중 초기중합체 혼합물.
  15. 제13항에 있어서, 가소제가 프탈레이트인 다중 초기중합체 혼합물.
  16. 제15항에 있어서, 프탈레이트가 부틸벤질프탈레이트 및 디이소데실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다중 초기중합체 혼합물.
  17. 제13항에 있어서, 가소제가 트리크레실포스페이트인 다중 초기중합체 혼합물.
  18. 제13항에 있어서, 제1초기중합체 및 제2초기중합체중의 하나 이상이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다중 초기중합체 혼합물.
  19. 제13항에 있어서, 안정화제가 바륨/카드뮴 화합물, 에폭시화 대두유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다중 초기중합체 혼합물.
  20. 제13항에 있어서, 제2초기중합체가 폴리-ε-카프롤락톤을 포함하는 다중 초기중합체 혼합물.
  21. 제13항에 있어서, 제1초기중합체 및 제2초기중합체중의 하나 이상이 촉매를 포함하는 다중 초기중합체 혼합물.
  22. PVC(a), 가소제(b) 및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는 중합체성 혼합물의 중합반응 생성물(c)을 포함하는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조성물.
  23. 제22항에 있어서, 중합체성 혼합물이 디올, 폴리올, 디아민, 폴리아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분자를 포함하는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조성물.
  24. 제22항에 있어서, 중합체성 혼합물이 IPDI 및 폴리-ε-카프롤락톤을 포함하는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조성물.
  25. 제1초기중합체를 가소제와 혼합하여 PVC 플라스티솔을 형성시키는 단계(a), 단계(a)로부터 생성된 혼합물을 중합체성 혼합물의 적어도 일부와 혼합하는 단계(b), 단계(b)로부터의 혼합물 내에서 중합체성 혼합물을 중합시키는 단계(c)를 포함하는, 개질된 폴리비닐 클로라이드의 제조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중합체성 혼합물이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폴리올, 폴리아민, 이들의 부가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분자를 포함하는 방법.
  27. 제25항에 있어서, 중합체성 혼합물이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단량체, 중합체 및 부가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성분을 포함하는 방법.
  28. 제26항에 있어서, 폴리이소시아네이트가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인 방법.
  29. 중합체성 분자와 혼합된 PVC 플라스티솔형 조성물을 형성시키는 단계(a), 플라스티솔형 조성물내에서 중합체성 분자를 중합시키는 단계(b)를 포함하는, 개질된 폴리비닐 클로라이드의 제조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중합체성 분자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폴리올, 폴리아민, 이들의 부가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31. 제29항에 있어서, 중합체성 분자가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단량체, 중합체 및 부가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성분을 포함하는 방법.
  32. 제30항에 있어서, 폴리이소시아네이트가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인 방법.
  33. 디이소시아네이트,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디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제1그룹, 및 디올, 폴리올, 디아민, 폴리아민, 및 이소시아네이트와 함께 중합되는 분자로 이루어진 제2그룹으로부터 형성된 중합 반응 생성물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상적인 플라스티솔을 개질시킨 PVC 조성물.
  34. 중합체 망상 구조가 조성물 전체를 통해 존재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상적인 플라스티솔을 개질시킨 폴리비닐 클로라이드(PVC) 조성물.
  35. 제34항에 있어서, 중합체 망상 구조가 폴리우레탄인 PVC 조성물.
  36. 제34항에 있어서, 중합체 망상 구조가 폴리우레아인 PVC 조성물.
  37. 제34항에 있어서, 중합체 망상 구조가 폴리우레탄과 폴리우레아의 혼합물인 PVC 조성물.
  38. 제34항에 있어서, 중합체 망상 구조가 가소제를 포함하는 PVC 조성물.
  39. 제34항에 있어서, 발포되는 PVC 조성물.
  40. 제34항에 있어서, 중합체 망상 구조가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중량의 50 내지 70% 범위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중량의 50 내지 65% 범위의 폴리올, 폴리아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부가물, 및 이소시아네이트와 중합되는 다른 분자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제2초기중합체로 이루어지는 PVC 조성물.
KR1019900007105A 1989-05-19 1990-05-18 개질된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조성물 KR1001955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5433289A 1989-05-19 1989-05-19
US354332 1989-05-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8169A KR900018169A (ko) 1990-12-20
KR100195568B1 true KR100195568B1 (ko) 1999-06-15

Family

ID=23392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7105A KR100195568B1 (ko) 1989-05-19 1990-05-18 개질된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428087A (ko)
EP (1) EP0400420A3 (ko)
JP (1) JP3174309B2 (ko)
KR (1) KR100195568B1 (ko)
BR (1) BR9002335A (ko)
CA (1) CA20161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267369C (en) * 1996-10-23 2007-01-23 Clark A. Higginbotham Vinylidene difluoride-based coating compositions
EP1309658B1 (en) 2000-08-01 2010-11-24 Ansell Healthcare Products LLC Novel coating for rubber gloves
US20050044609A1 (en) * 2003-08-27 2005-03-03 Kimberly-Clark Worldwide Polyvinyl chloride glove having improved chemical resistance
EP2193024A4 (en) 2007-09-25 2013-11-06 Entrotech Inc PAINT SHEET FILMS, COMPOUNDS THEREOF AND RELATED METHODS
US10981371B2 (en) 2008-01-19 2021-04-20 Entrotech, Inc. Protected graphics and related methods
WO2010036981A1 (en) 2008-09-26 2010-04-01 Entrotech, Inc. Methods for polymerizing films in-situ
US8828303B2 (en) 2010-03-31 2014-09-09 Entrotech, Inc. Methods for polymerizing films in-situ using a radiation source
TWI447154B (zh) 2012-11-27 2014-08-01 Ind Tech Res Inst 聚氯乙烯製品與其表面處理方法
DE102014110813A1 (de) 2014-03-11 2015-09-17 Konrad Hornschuch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atmungsaktiven Films
KR101784548B1 (ko) * 2014-09-23 2017-10-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염화비닐계 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EP4328280A3 (en) 2016-09-20 2024-05-15 PPG Advanced Surface Technologies, LLC Paint film appliques with reduced defects, articles, and methods
BR102017012773B1 (pt) * 2017-06-14 2023-05-09 Unicamp - Universidade Estadual De Campinas Processo para a obtenção de blendas de pvc e tpu in situ, blendas de pvc e tpu, e, uso de blendas de pvc e ptu
JP7475019B2 (ja) * 2017-11-20 2024-04-26 オート化学工業株式会社 硬化性組成物
JP7322049B2 (ja) * 2018-03-11 2023-08-07 エボニック オペレーションズ ゲーエムベーハー Pvcプラスチゾルのためのカルダノールでブロックされたイソシアネート接着促進剤
CN111925607B (zh) * 2020-08-10 2022-07-08 山东鲁泰控股集团有限公司石墨烯高分子复合材料研发中心 一种聚氯乙烯弹性体及其制备方法及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93241B (de) * 1963-03-13 1965-05-20 Bay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homogenen, thermoplastischen und hochelastischen Kunststoffen aus inerten Vinylpolymerisaten und Polyurethanen
DE1769570A1 (de) * 1968-06-10 1971-11-04 Elastom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thermoplastisch verarbeitbaren Kunststoffgemischen auf der Basis Polyurethan-Polyvinylchlorid
DE1910852A1 (de) * 1969-03-04 1970-09-17 Freudenberg Carl Fa Abriebfeste Kunststoffoli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selben
DE1944310A1 (de) * 1969-09-01 1971-03-11 Elastomer Ag Pastenfoermige Polyvinylchlorid-Polyurethan-Mischungen,deren Verwendung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S3962370A (en) * 1970-12-11 1976-06-08 Imperial Chemical Industries Limited Shaped polymeric articles
US4154892A (en) * 1974-04-09 1979-05-15 Montedison S.P.A. Electric cables having a sheathing comprising a plasticized vinylchloride polymer
DE3138625C2 (de) * 1981-09-29 1986-02-27 Basf Farben + Fasern Ag, 2000 Hamburg Dispersionen von feinteiligen Kunstharzen in Weichmachern
US4569991A (en) * 1982-01-26 1986-02-11 Mitsubishi Monsanto Chemical Company Production of thermoplastic resin
JPH0776334B2 (ja) * 1985-12-18 1995-08-16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鋳込み重合用ガスケツト組成物
DE3633365A1 (de) * 1986-10-01 1988-04-14 Bayer Ag Gegebenenfalls zellfoermige polyurethane, die mit einem anderen werkstoff verbunden oder konfektioniert worden sind,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S5043379A (en) * 1989-11-22 1991-08-27 Kypeisha Chemical Co., Ltd. Plastisol compos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428087A (en) 1995-06-27
JPH039916A (ja) 1991-01-17
EP0400420A3 (en) 1991-04-10
JP3174309B2 (ja) 2001-06-11
CA2016167A1 (en) 1990-11-19
BR9002335A (pt) 1991-08-06
KR900018169A (ko) 1990-12-20
EP0400420A2 (en) 1990-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95568B1 (ko) 개질된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조성물
US2929800A (en) Polytetramethylene ether polyurethane polymers
JP3114557B2 (ja) 常温硬化型速硬化性ポリウレタン塗膜防水材の製造方法
US3382138A (en) Process and articles involving codeposition of latex and polyurethane
US2912408A (en) Storage stable mixture of a diisocyanate and the reaction product of a polyester, a glycol and a diisocyanate, and method of making same
GB1239701A (ko)
JPH06507437A (ja) ワンパッケージポリウレタン/熱可塑性プラスチゾル組成物
SU713535A3 (ru) Полимерна композици
US3660326A (en) Polyurethane prepolymer composition containing the reaction produc of a carboxylic acid and a monomeric isocyanate
JP3445371B2 (ja) 常温硬化性塗膜防水材の製造方法
GB2098225A (en) Curable adhesive compositions
JPH0253445B2 (ko)
DE1167524B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schlagfester, vernetzter Formkoerper einschliesslich der Herstellung von Schaumstoffen, auf der Grundlage von Vinyl-Polymerisaten
US3409595A (en) Thermoplastically processable polymers
KR102172140B1 (ko) 생분해성 폴리우레탄 마이크로스피어
JPH0841156A (ja) 常温硬化性塗膜防水材の製造方法
EP0409586B1 (en) Vinyl chloride resin-based composition and packings made therefrom
US4442039A (en) Process for treating hydroxyl terminated liquid polymers
JP2618439B2 (ja) ポリウレタン系シーリング材組成物
GB2025321A (en) Resilient composites
JPH0477005B2 (ko)
JPH06322067A (ja) 2,4,6−トリイソシアナトトルエン及びポリオールの反応生成物をベースとする高分子接着剤用交叉結合剤
JP2876769B2 (ja) 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
JPH0533271B2 (ko)
JP2870734B2 (ja) 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20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