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3457B1 - 모내기 기구 - Google Patents

모내기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3457B1
KR100193457B1 KR1019960017419A KR19960017419A KR100193457B1 KR 100193457 B1 KR100193457 B1 KR 100193457B1 KR 1019960017419 A KR1019960017419 A KR 1019960017419A KR 19960017419 A KR19960017419 A KR 19960017419A KR 100193457 B1 KR100193457 B1 KR 1001934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haft
gear
case
shaft portion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7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1048A (ko
Inventor
마모루 구보
마사카즈 다나카
Original Assignee
미쯔이 고오헤이
가부시키가이샤 구보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04281996A external-priority patent/JP329409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04282096A external-priority patent/JP3377357B2/ja
Application filed by 미쯔이 고오헤이, 가부시키가이샤 구보타 filed Critical 미쯔이 고오헤이
Publication of KR970061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10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34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34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03Transplanting machines for aquatic plants; for planting underwater, e.g. ric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Abstract

제1중간기어(31)와 제2중간기어(32)를 부등속 운동시키는 편심 크랭크식의 부등속운동전달기구(D)를 갖고 회전케이스(10)의 회전에 동반하여 모내기클릭(12)의 선단부가 대략 타원궤적(T1)을 그리도록 모내기클릭 지지체(13)와 회전케이스(10)와를 상대회전운동 구동시키는 회전동력전달기구(S)를 구비하고 있는 모내기 기구.
기어지지축(50)이 회전케이스(10)에 한끝측으로 지지됨과 동시에 다른끝측에서 제1중간기어(31)를 지지하는 제1지지축부(51)와 회전케이스(10)에 일단측에서 지지됨과 동시에 타단측에서 제2중간기어(32)를 지지하는 제2지지축부(52)와 제1지지축부(51)와 제2지지축부(52)를 편심시켜서 연결하는 연결축부(53)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기어지지축(50)을 사이에 제1중간기어(32)가 회전케이스(10)에 지지되어 있다.

Description

모내기 기구
제1도는 모내기장치 전체의 측면도.
제2도는 모내기기구의 단면도.
제3도는 회전케이스의 단면도.
제4도는 모내기클릭 지지케이스의 단면도.
제5도는 부등속운동전달기구의 분해상태에서의 사시도.
제6도는 기어지지축의 단면도.
제7도는 기어지지축의 분해상태에서의 사시도.
제8도는 모내기클릭의 모심기운동 궤적의 설명도.
제9도는 제1중간기어와 제2중간기어의 연동관계의 설명도.
제10도는 회전케이스와 유성기어의 연동관계의 설명도.
제11도는 기어지지축의 다른 실시형태를 구비하는 연결축부의 사시도.
제12도는 기어지지축의 변형에서의 단면도.
제13도는 기어지지축의 변형예의 단면도.
제14도는 기어지지축의 변형예의 단면도.
제15도는 기어지지축의 변형예의 단면도.
제16도는 다른 실시형태의 모내기 기구의 단면도.
제17도는 다른 실시형태의 모내기클릭의 모심기운동 궤적의 설명도.
제18도는 다른 실시형태의 모내기 기구에 있어서 제1중간기어와 제2중간기어의 연동관계의 설명도.
제19도는 다른 실시형태의 모내기 기구에 있어서 회전케이스와 유성기어의 연동관계의 설명도.
제20도는 본 발명의 기술적 출발점으로된 모내기 기구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모내기전동케이스 10 : 회전케이스
12 : 모내기클릭 13 : 모내기클릭지지체
14 : 지지축 23 : 태양기어
30 : 유성기어 31 : 제1중간기어
32 : 제2중간기어 50 : 기어지지축
51 : 제1지지축부 51a : 연결부
52 : 제1지지축부 53 : 연결축부
53c : 돌기 54 : 두께뺌구멍
56 : 오목부 57 : 위치결정기구
D : 크랭크식부등속운동전달기구 S : 회전동력전달기구
X1 : 제1축심 X2 : 제2축심
X3, X4 : 축심 T1 : 타원궤적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모내기전동케이스에 대하여 제1축심주위에서 회잔자유로이 지지된 회전케이스에, 제1축심과 평행한 제2축심주위로 상대회전자유로이, 모내기클릭이 장치된 모내기클릭지지체가 축지지되고, 모내기클릭지지체를 일체적으로 회전운동하는 상태에서 축지지하는 지지축에 고정된 유성기어와, 모내기 전동케이스에 회전운동 불능으로 고정된 태양기어와, 이 태양기어로부터 유성기어에 동력을 전달하는 중간기어 열을 갖는 회전동력전달기구가 구비됨과 동시에, 이 회전동력 전달기구에 편심크랭크식의 부등속운동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모내기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이와같은 모내기 기구에서는 회전케이스의 회전에 동반하여, 모내기클릭의 선단부가 대략 타원궤적을 그리도록, 모내기클릭 지지체와 회전케이스가 상대회전한다.
[종래의 기술]
상기와 같은 종래의 모내기장치로서, 예를들면 일본특공소 49-17805호 공보에 개시된 것이 있다. 이 모내기장치에서는 회전케이스의 내부에, 그 회전축상에 고정된 태양기어에 맞물리는 중간기어 및 이 중간기어에 맞물리는 유성기어가 설치되고, 유성기어의 측면에 홈이 형성됨과 동시에, 모내기클릭 지지체와 지지하는 지지축에 크랭크 및 크랭크핀이 설치되고, 유성기어의 회전축심과 지지축의 축심과를 편심시켜, 크랭크핀과 홈과의 걸어맞춤에 의하여 지지축을 회전운동시켜, 모내기클릭 지지체를 회전케이스의 1회의 공전중에 상하운동을 실행하도록 상대회전운동시키는 편심크랭크식의 부등속운동전달기구가 구비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는, 모내기클릭 지지체를 지지하는 지지축이, 회전케이스에 대하여 일단지지 상태에서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강도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1995년 3월 31일에 일본특허청에 출원된 특허출원 일본 특원평 7-76112호에서, 모내기 지지체를 지지하는 지지축이 양단지지상태에서 지지되어 있는 모내기 기구를 제안하고 있다. 이 모내기기구의 도면은 참고로 본 출원의 제20도에 도시되어 있고, 이 도면을 사용하여 다시 상세히 이하에 설명한다.
이 모내기기구에서는, 회전케이스(10)의 회전에 동반하여, 제1중간기어(31)가 태양기어(23)와의 맞물림 때문에 공전한다. 이때, 제1중간기어(31)와 제2중간기어(32)와는 회전축심이 편심하여 있고, 편심크랭크식의 부등속운동전달기구(D)에 의하여 회전운동력이 전달됨으로, 제2중간기어(32)에 맞물리는 유성기어(30)가 부등속회전하여 모내기클릭 지지체(13)를 회전케이스(10)에 대하여 회전시킨다. 즉, 모내기클릭의 선단부가 대략 타원궤적을 그리도록 모내기클릭을 구동함에 있어서, 유성기어, 중간기어 및 태양기어로서 원형기어를 채용하고, 각 기어를 비원형기어에 비하여 염가로 작성하는 것과, 기어가 백래시에 기인하는 덜컹거림이 적은 상태에서 원활하게 회전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것이다. 더욱 더, 상술한 종래기술과 같이 편심크랭크식의 부등속운동전달기구를 일단 지지의 지지축에 구비하는데 비하여, 모내기 지지체를 지지하는 지지축(14)이 회전케이스(10)에 축받이(24,25)에 의하여 양단지지상태에서 강고히 지지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 것이다. 또, 크랭크전동을 위하여 비교적 진동이 발생하기 쉬워지는 크랭크부등속운동전달기구(D)가 지지축(14)보다도 회전케이스(10)의 회전축심 : X1편에 위치하여 회전케이스에 진동을 발생하기가 어렵게 되고, 크랭크식 부등속운동전달기구(D)을 채용하고 있는 생각보다는, 회전케이스를 원활하게 구동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 종류의 모내기기구에 있어서는, 제1중간기어(31)와 제2중간기어(32)와는 서로 편심하는 축심둘레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양중간기어사이에는 편심크랭크식의 부등속 운동전달기구(D)을 구비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제20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구성함으로서 양중간기어(31,32)를 회전케이스(10)에 지지시키고 있었다. 즉, 제1중간기어(31)의 제2중간기어(32)는 반대측의 측면측에서 지지축(51)을 돌출시킴과 동시에, 이 지지축(51)의 돌출단축을 회전케이스(10)에 지지시켜, 제2중간기어(32)의 제1중간기어(31)와는 반대측의 측면측에서 지지축을 (52)을 돌출시킴과 동시에, 이 지지축(52)의 돌출단측을 회전케이스(10)에 지지시키고 있었다. 즉 제1중간기어(31)의 지지축(51)도, 제2중간기어(32)의 지지축(52)도, 기어를 지지하는 측과는 반대측의 한끝측에서만 회전케이스(10)에 지지되는 상태, 소위 일단지지 상태로 회전케이스(10)에 장치하고 있었다. 따라서, 모내기기구에 공급하는 모로서 뿌리가 긴 강한 모가 사용되고, 이 모로부터 모내기클릭이 모를 꺼내든가, 모내기클릭이 모내기를 행할때에 흙덩어리에 부딪치거나, 모 취출구에 돌 등이 끼이든가 하여서 모내기클릭에 강한 반력이 작용하면, 중간기어에 큰 구동부하가 걸려서 기어지지축에 큰 지지반력이 작용한다. 이 때문에, 지지축을 강도가 높은 재로로 제작하든가 혹은 큰 치수로 제작할 필요가 있다.
[발명의 목적]
본 발명의 목적은 발명의 분야의 란에서 설명한 타입의 모내기기구를 개량하고, 큰 부하에 견딜 수 있는 기어지지축의 구조를 갖는 모내기기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모내기기구에서는, 기어지지축이 회전케이스에 일단측에서 지지됨과 동시에 타단측에서 제1중간기어를 지지하는 제1지지축부와. 회전케이스에 일단측에서 지지됨과 동시에 타단측에서 제2중간기어를 지지하는 제2지지축부와. 제1지지축부와 제2지지축부를 편심시켜 연결하는 연결축부와를 구비하여 있고, 동시에, 상기 기어지지축을 통하여 제1중간기어 및 제2중간기어가 회전케이스에 지지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는, 기어지지축은, 제1 및 제2중간기어를 지지하는 개소보다도 일단측의 단부와, 타단측의 단부와의 양단측에서 회전케이스에 지지되는 상태, 소위 양단지상태에서 지지되면서, 양중간기어를 서로 편심하는 축심둘레로 회전자유로이 지지한다. 이로서, 모내기클릭에 강한 반력이 작용하여 중간기어에 큰 부하가 걸리는 일이 있더라도, 기어지지축은 변형되기 어렵다든가 파손되기 어렵고, 제1 및 제2중간기어를 강고히 지지한다. 그 결과, 모내기클릭을 강고히 구동할 수 있으므로, 뿌리가 긴 강한 모를 사용한다는 등과, 논에 흙덩어리가 있다든가 모취출구에 돌 등이 끼인다든가의 악 조건하에서도 신뢰성이 높은 모내기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알맞는 실시형태로서, 기어지지축을;
제1지지축부와 제2지지축부중의 한쪽의 지지축부와, 상기 연결축부와를 형성하는 하나의 부품과.
다른쪽의 지지축부를 형성하는 하나의 부품과, 의 2개의 부품으로 갈라서 형성하여 조립하도록 하면, 이 기어지지축은 1쌍의 지지축부가 편심하여서 연결축부에서 연결한다라는 복잡한 형상을 구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제작이 용이하고, 설계조건의 완화나 코스트의 저감이란 이점을 가져온다. 더욱, 이 생각을 밀고 나아가, 기어지지축을 각각 독립하여 만들어진 3개의 부품, 즉, 상기 제1지지축과 제2지지축부 및 연결축부로부터 조립하는 것도 가능하고, 그 제작은 더욱 더 용이하게 된다. 또, 사정에 따라서는, 예를들면 대량생산등의 경우에는, 제1지지축부와 제2지지축부와 연결축부의 3개의 축부를 일체성형함으로서 기어지지축을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된다.
더욱 더 본 발명에 의한 알맞는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기어지지축의 일단측과 회전케이스중의 한쪽에 위치하는 돌출부와, 다른쪽에 위치하는 오목부와의 걸어맞춤에 의하여, 기어지지축의 회전케이스에 대한 기어지지축둘레방향에서의 조립위치를 설정하는 위치결정기구가 구비되어 있다. 일반으로 회전케이스를 한쌍의 이등분 케이스부분에 의하여 형성하고, 한쌍의 2등분 케이스부분의 한쪽의 케이스부분에 제1 및 제2중간기어를 기어지지축과 함께 조립하고, 그 후에 한쌍의 2등분 케이스부분을 조합한다라는 조립방법이 채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 한쪽의 2등분 케이스부분에 조립한 기어지지축이 그 2등분 케이스부분에 대하여 회전하면, 기어지지축의 제1지지축부와 제2지지축부는 서로 편심하고 있는 것으로부터, 제1지지축부와 제2지지축부중의 2등분 케이스 부분에 연결하고 있지 않는 쪽의 지지축부가 2등분 케이스부분에 연결하고 있는 쪽의 지지축부의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큰 반경으로 2등분 케이스부분에 대하여 회전하고, 한쌍의 2등분 케이스부분끼리를 조립하려하더라도 중간기어가 붙여 있지 않는쪽의 이등분 케이스부분의 축지지부와, 기어지지축의 단부가 위치 어긋나서 맞붙을 수 없게 된다. 이 때문에 기어지지축과 축지지축부와를 재차 위치맞춤하든가, 위치 어긋남하지 않도록 지지하든가의 수고가 필요하다. 이에 대하여, 이 알맞는 실시형태에 의하면, 한쪽의 2등분 케이스부분에 중간기어를 맞붙게 할 경우, 이 2등분 케이스부분과 기어지지축의 맞붙임위치의 관계를 위치결정기구에 의하여 결정하여 두고, 한쌍의 2등분 케이스부분의 조합을 행하는 경우에는, 기어지지축의 단부와 이 단부를 연결하여야 할 2등분 케이스부분의 축지지부와를 위치맞춤하는 수고나, 이들을 위치 어긋나지 않도록 지지하는 수고를 끼치지 않고 용이하고 동시에 신속히 조합시킬 수가 있다.
더욱 본 발명의 알맞는 실시형태로서 기어지지축이 제1지지축부 및 제2지지축부에 위치하는 두께뺌구멍을 구비한다면, 기어지지축을 두께뺌구멍에 의하여 경량으로 할 수 있다. 더욱, 그리스를 두께뺌구멍에 저유시켜서 크랭크핀에 공급되도록 한다든가, 두께뺌구멍에 연통하는 급유용의 관통구멍을 지지축부에 설치함과 동시에 그리스를 두께뺌구멍에 저유시켜 기어지지축과 중간기어와의 사이에 공급되도록 할수도 있다. 기어지지축을 각각 별도 형성의 지지축부와의 연결축부와의 조합형으로 구성하는 경우, 지지축부에 연결축부를 삽입연결하기 위하여 형성하는 맞붙는 구멍과 같은 방식을 두께뺌구멍에 구비시키므로, 지지축부의 맞붙음구멍에 마모가 발생했을 경우에, 그 맞붙임 구멍에 대신하여 두께뺌구멍을 이용하여 지지축부와의 연결하고, 마모에 의한 덜컹거림의 발생을 회피하는 등이 가능하게 된다.
더욱, 본 발명에 의한 알맞는 또 다른 실시형태의 하나로서는, 상기 크랭크식부등속운동전달기구가, 제1중간기어에 설치한 캠홈부와, 이 캠홈부에 걸어맞춤하도록 제2중간기어에 이 제2중간기어의 회전축심 : X4와는 편심시켜 설치한 크랭크핀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중간기어가 캠홈으로 전동하고 제2중간기어가 크랭크핀으로 수동하는 것으로 된다. 즉, 제2종간기어는 회전에 불구하고 회전축심(X4)에서 거리가 변화하지 않는 수동점에서 수동하는 것으로 된다. 이로서, 유성기어의 위상이 +방향으로 변화할때의 경사와, 유성기어의 위상이 -방향으로 변화할 때의 경사가 같게되는 위상관계로 연동한다. 따라서, 모내기클릭이 작동궤적이 최하점에 도달하여 모내기 할 때에 모내기클릭이 연직선에 대하여 비교적 작은 경사각도로 경사하는 것으로 되고, 또, 모내기클릭이 최하점에서 상승하여 모잡기위치로 비교적 저속도로 되돌아가는 것으로 되고, 더욱, 타원궤적의 상하길이가 비교적 길어지는 궤적을 그린다. 그 결과, 모내기클릭은 모를 논에 대하여 직립하는 자세나 그에 근사한 자세로 모심기하는 상태로 동시에, 모내기클릭이 모내기위치로부터 모취출위치로 되돌아갈 때의 가속도변화가 작게되는 상태로, 더욱이, 모내기 전동케이스와 논면의 간격을 비교적 넓게 확보할 수 있는 상태로 모심기운동이 실현된다. 이 일은 정확도가 좋은 모내기가, 가속도 변화에 기인하는 진동이나 충격이 발생하기 어려운 구조를 위하여 공헌한다.
더욱, 제2중간기어의 회전축심 : X4를, 제1중간기어의 회전축심 : X3보다도 회전케이스의 회전축심 : X1쪽으로 가까이 옆에 배치한다면, 모내기클릭 지지체의 회전축심의 쪽으로 가까이 옆에 배치하는 것과 비교하여, 회전케이스의 소형화를 가능하게 하면서, 동시에 제1종간기어와 제2중간기어의 전동이 강고히 행해진다. 그 설명을 이하에서 하면 : 제2중간기어의 회전축심 : X4를 제1중간기어의 회전축심 : X3보다도 모내기클릭 지지체의 회전축심 : X2쪽으로 가까이 옆에 배치하는 경우는, 상기 구성의 경우보다도 제2중간기어의 외경을 작게함으로서, 회전케이스의 회전축심 : X1과 모내기클릭 지지체의 회전축심 :X2와의 간격이 상기의 구성의 경우의 간격과 동일간격으로 된다. 제2중간기어의 외경이 작게 되더라도 같은 타원궤적을 얻기 위해서는 크랭크핀 달린 중간기어의 회전축심과 크랭크핀의 간격은 기어외경이 큰 경우와 같은 간격으로 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제2중간기어의 외경이 작게되면, 외경이 큰 경우보다도 크랭크핀은 중간기어의 외주측에 배치하는 것으로 된다. 그리하면 크랭크핀은 기어의 톱니부의 측면에 연결하는 등, 톱니부에 가까이 가서 연결하는 것으로 되고, 기어 및 크랭크핀 강도가 약해지거나, 크랭크핀 달린 중간기어를 제작하기 어려워지거나 한다. 따라서, 제2중간기어의 회전축심 : X4가 제1중간기어의 회전축심 :X3보다도 회전케이스의 회전축심 : X1쪽으로 접근하는 쪽이 모내기클릭 지지체의 회전축심 : X2쪽으로 접근하는 것보다도, 회전케이스의 회전축심 : X1과 모내기클릭 지지체의 회전축심 : X2와의 간격을 소간격으로 함과 동시에 크랭크핀을 중간기어의 내주측에 장치하여, 회전케이스를 소형으로 작성하여, 크랭크핀이 부착된 중간기어를 강고히 또한 용이하게 작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기타의 특징 및 이점은, 도면을 사용한 실시예의 설명과 함께 명백해질 것이다.
[실시예]
제1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각이진 파이프형상의 기체옆쪽의 메인프레임(1), 이 메인프레임(1)의 기체 가로폭방향 대략 중앙부에 연결하고 있는 피드케이스(2), 상기 메인프레임(1)에 기체 가로폭 방향으로 적의 간격을 비어 배치하여 연결한 복수개의 모내기 전동케이스(3)에 의하여, 프레임체가 구성되어 있다. 이 프레임체의 압부분에 모얹음대(4)를 기체가로폭 방향으로 일정스트로크로 왕복이송되도록 장치하고, 상기 복수개의 모내기전동케이스(3) 각각의 후부의 좌우측게 모내기기구(5)를 구동자유로이 설치하고, 상기 프레임체의 밑부분에 기체가로방향으로 일렬로 늘어놓은 복수개의 접지플로트(6)를 장치하여 모내기장치(A)가 구성되어 있다. 이 모내기장치(A)는, 주행기체(도시하지 않음)의 후부에, 링크기구(도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승강조작됨과 동시에 기체로부터 피드케이스(2)에 동력전달되도록 연결된다. 주행기체에 모내기장치(A)가 맞붙게 함으로서 승용형 이앙기가 구성된다. 그리고, 기체주행에 동반하여, 접지플로트(6)가 논의 진흙면에 접지하여 기체중량을 지지함과 동시에 진흙면을 정지(整地)하여 가고, 각 모내기기구(5)가 모 얹음대(4)에 얹어 놓여진 매트모의 일부를 잘라내어 반출하여, 접지플로트(6)에 의한 정지개소로 모내기하여 가는 것이다.
상기 복수개의 모내기기구(5) 각각은,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모내기 전동케이스(3)의 후부의 가로측에 회전케이스(10)를 기체가로방향의 제1축심(X1)둘레에서 회전방향(F)으로 구동할 수 있도록 장치하고, 이 회전케이스(10)의 제1축심(X1)에서 벗겨지고 있어 회전케이스(10)의 회전방향으로 서로 180도의 위상차 갖고 있는 2개소에, 모내기클릭(12) 및 모 밀어내기도구(15)가 구비되어 있는 모내기클릭 지지체로서의 모내기 클릭 지지케이스(13)를 제1축심(X1)에 평행한 제2축심(X2)둘레에서 회전하도록 장치한다. 더욱, 회전케이스(10)가 회전구동됨에 따라 모내기클릭 지지케이스(13)와 회전케이스(10)가 상대회전운동구동되는 회전동력전달기구(S)를 각 모내기클릭지지케이스(13)와 모내기전동케이스(3)와의 사이에 설치되고, 그리고 회전케이스(10)가 회전구동됨과 동시에 모밀어내기기구(15)를 작동시키는 모 밀어내기 조작기구(E)가 각 모내기 클릭지지 케이스(13)에 구비되어 있다.
회전케이스(10)는 분할선 Y로 2개의 2등분 케이스부분(10A, 10B)으로 분할 할 수 있도록, 2개의 2등분 케이스부분(10A, 10B)을 연결볼트에 의하여 체결 연결하여 형성하고 있다. 회전케이스(10)의 한쪽의 2등분 케이스부분(10A)의 길이 방향에서의 중앙부를, 모내기 전동케이스(3)의 후부에 기체옆쪽의 통보스부(3a)에 베어링(7)을 통하여 회전자유로이 장치하고, 다른쪽의 2등분 케이스부분(10B)의 길이방향에서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축이음부(10a)를 모내기전동케이스(3)가 베어링(9)을 통하여 회전자유로이 지지하고 있음과 동시에 상기 보스부(3a)을 관통하고 있는 출력축(8)의 단부에 테이퍼핀(11)에 의하여 일체회전하도록 연결하고 있다. 이 출력축(8)은 상기 피드케이스(2)로부터 전동체인(도시하지 않음)을 통하여 전달되는 회전동력에 의하여 회전구동 된다. 이로서, 회전케이스(10)는, 모내기전동케이스(3)에 출력축(8)의 축심인 제1축심(X1)둘레로 회전하도록 지지되어 있고, 출력축(8)에 의하여 회전방향(F)으로 구동된다.
모내기클릭 지지케이스(13)는 회전케이스(10)의 단부에 1쌍의 베어링(24,25)을 통하여 회전자유로이 지지시킨 지지축(14)의 회전케이스(10)로부터 회부로 돌출하고 있는 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모내기클릭 지지케이스(13)에 일체형성한 플랜지부(27)를 이 플랜지부(27)의 관통구멍(29)에 지지축(14)의 단부가 속으로 깊숙히 파고 들어가도록하여 지지축(14)에 맞붙고, 지지축(14)에 고착하고 있는 플랜지부(26)에 볼트(28)에 의하여 체결연결함으로써, 모내기클릭케이스(13)와 지지축(14)이 일체로 회전한다. 이로서, 모내기클릭 지지케이스(13)는, 회전케이스(10)에 제1축심(X1)에 평행한 지지축(14)의 제2축심(X2)둘레로 회전자유로이 지지되어 있다.
상기 한쌍의 회전동력전달기구(S,S)의 각각은,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상기 출력축(8)에 상대회전자유로이 밖에서 끼워진 태양기어(23), 지지축(14)에 장치한 유성기어(30), 이 유성기어(30)와 상기 태양기어(23)의 사이에 배치함과 동시에 기어지축(50)을 통하여 회전케이스(10)에 회전자유로이 지지시킨 제1중간기어(31)와 제2중간기어(32), 이들 중간기어(31)와 (32)사이에 구비한 크랭크식 부등속 운동전달기구(D)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태양기어(23)는, 이들 축심이 상기 제1축심(X1)의 축심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태양기어(23)의 보스부에 형성한 맞물림클릭부(B)와 모내기전동케이스(3)의 보스부(3a)의 끝부에 형성한 맞물밀 클릭부와를 걸어맞춤시켜 있으므로써, 모내기전동케이스(3)는 태양기어(23)을 회전운동불능하도록 고정하고 있다. 유성기어(30)는, 지지축(14)에 키이(30a)에 의해서 일체 회전하도록 걸어맞춤시킴에 의해 모내기클릭 지지케이스(13)에 일체로 회전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이로서, 유성기어(30)는 모내기클릭 지지케이스(13)을 회전케이스(10)에 대하여 회전조작하는 기어로 되어 있다. 제1중간기어(31)는, 태양기어(23)에 맞물려 있고, 그리고 기어지지축(50)의 일단측의 제1지지축부(51)에 상대회전 자유로이 밖에서 끼워지게 함으로써, 제1축심(X1)과는 편심하고 있는 제1지지축부(51)의 제3축심(X3)둘레로 회전자유로이 회전케이스(10)에 지지되어 있다. 제2중간기어(32)는, 유성기어(30)에 맞물려 있고, 그리고 기어지지축(50)의 타단측에 위치함과 동시에 상기 제1지지축부(51)에 대하여 제1축심(X1)의 쪽으로 위치어긋나고 있는 제2지지축부(52)에 상대회전자유로이 밖에서 끼워지게 함으로써, 상기 제3축심(X3)보다도 제1축심(X1)쪽으로 접근하고 있는 제4축심(X4)둘레로 회전자유로이 회전케이스(10)에 지지되어 있다. 태양기어(23), 유성기어(30), 제1중간기어(31), 제2중간기어(32)의 어느것도 피치원이 진원인 원형기어로 형성되어 있다.
더욱, 제2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기어지지축(50)의 제1지지축부에(51)에 밖에서 끼워져 있는 제6도와 같은 스러스트칼라(40), 제2지지축부(52)에 밖에서 끼워져 있는 제6도와 같은 스러스트칼라(41)는, 중간기어(31,32)와 회전케이스(10)와의 사이의 마찰을 저하시켜, 중간기어(31,32)의 회전의 원활화를 도모하는 것이다.
상기 크랭크식 부등속운동전달기구(D)는 제3도 및 제5도에 명시하는 바와같이 제1중간기어(31)의 제2중간기어(32)에 면하는 쪽의 측면측에 한쌍의 돌기(39,39)을 형성하여 설치한 제1중간기어(31)의 반경방향에 따르는 방향의 캠홈부(38)와, 제2중간기어(32)의 제1중간기어(31)에 면하는 쪽의 측면측에 제2중간기어(32)를 성형할때에 동시에 성형함으로써 돌출설치한 크랭크핀(36)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크랭크핀(36)은, 제2중간기어(32)의 회전축심인 제4축심인(X4)은 편심하는 개소에 배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제1중간기어(31)의 캠홈부(38)에 미끄럼이동 자유로이 속으로 파고 들어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로서, 회전케이스(10)가 회전구동되고, 제1중간기어(31)가 회전케이스(10)에 의한 회전조작과, 태양기어(23)에 대한 맞물림 때문에 제3축심(X3)둘레로 자전회전하면, 이 회전력을 크랭크핀(36)이 제2중간기어(32)에 전달하고, 제2중간기어(32)가 제4축심(X4)둘레로 회전한다. 그리고, 제3축심(X3)과 제4축심(X4)이 편심하고 있음으로, 크랭크핀(36)은 캠홈부(38)의 내부를 제1중간기어(31)의 반경방향으로 왕복미끄럼이동하면서 회전력을 전달한다. 따라서, 크랭크식부등속운동전달기구(D)는 제1중간기어(31)가 등속으로 회전하더라도, 제2중간기어(32)가 부등속으로 회전하도록, 동시에 제1중간기어(31)와 제2중간기어(32)가 제9도에 도시하는 위상관계M1으로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제1중간기어(31)와 제2중간기어(32)와의 부등속 연동시킨다.
유성기어(30)는 회전축심: X1둘레에서 회전하고 있는 회전케이스(10)상의 회전축심: X2둘레에서 회전케이스(10)와는 역방향으로 회전하고 있으므로, 모내기 장치의 움직임을 밖에서 고나찰하면, 유성기어(30)는, 결과적으로는 모내기클릭 지지케이스(13)가 소정의 각도범위에서 요동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다. 특히, 이 모내기장치에서는 회전케이스(10)와 유성기어(30)가 제10도에 도시하는 위상관계N1로 연동하여 상대회전운동하도록, 회전동력전달기구(S)를 설정하고 있다. 이로서, 회전케이스(10)가 회전구동됨에 동반하여, 한쌍의 모내기클릭 지지케이스(13,13)각각과 회전케이스(10)가 제10도의 위상관계 N1로 상대회전운동하도록 구동하여, 이로서 한쌍의 모내기클릭 지지케이스(13,13)각각의 모내기클릭(12)의 선단부가 제8도에 도시하는 대략 타원궤적(T1)을 그리는 것과 같은 모심기운동을 행한다. 제10도의 유성기어(30)의 위상이란, 유성기어(30) 즉 모내기클릭 지지케이스(13)을 밖에서 관찰하였을 경우, 어떠한 움직임(제8도 참조)을 보이고 있는가를 나타내고 있다.
제4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모 밀어내기도구(15)는, 모내기클릭(12)에 따라 모내기클릭 지지케이스(13)로부터 출퇴하는 지지로드(15a)의 한끝측에 고착되어 있다. 상기 모 밀어내기 조작기구(E)는, 제2도 및 제4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모내기클릭 지지케이스(13)의 내부에 설치한 캠축(16), 천칭아암(20), 밀어내기 스프링(22), 캠축(16)의 모내기클릭 지지케이스(13)로부터 외부 돌출하고 있는 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연결봉(18)등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캠축(16)은 상기 제2축심(X2)과 동일축심둘레로 회전자유로이 모내기클릭지지케이스(13)에 지지되어 있음과 동시에 모 밀어내기 기구(15)를 조작하는 캠(17)을 일체로 형성하여 구비하고 있다. 천칭아암(20)은 모내기클릭 지지케이스(13)의 지지축(20a)에 회전자유로이 지지되어 있다. 천칭아암(20)의 일단측은 링크(19)에 의하여 상기 지지로드(15a)에 연결되어 있고, 천칭아암(20)의 타단에는, 상기 캠(17)에 작용하는 캠종동자(21)가 구비되어 있다. 밀어내기 스프링(22)은 모내기클릭 지지케이스(13)를 반력부재로서 천칭아암(20)을 요동가압함으로써, 지지로드(15a)를 모내기클릭 지지케이스(13)로부터 돌출하는 측에 미끄럼이동가압하고 있음과 동시에 천칭아암(20)의 캠 종동자(21)를 상기캠(17)의 주위면에 눌러 가압하고 있다. 연결봉(18)은, 한쪽의 모내기클릭 지지케이스(13)의 캠축(16)과, 다른쪽의 모내기클릭 지지케이스(13)의 캠축(16)에 걸쳐서 장치되어 있고, 모내기클릭 지지케이스(13)가 회전케이스(10)에 대하여 회전하더라도, 캠축(16)이 회전케이스(10)에 대하여 회전하지 않도록 캠축(16)을 지지하고 있다. 이로서 모내기클릭(12)이 모심기운동 행함에 동반하여, 모내기클릭지지케이스(13)와 캠축(16)이 회전운동하는 것으로 된다. 이로서, 천칭아암(20)이 캠(17)의 캠종동자(21)에 대한 누름조작과, 밀어내기 스프링(22)에 의한 조작을 위하여 지지축(10a)둘레로 요동조작되고, 지지로드(15a)가 왕복미끄럼이동한다. 이로서, 모 밀어내기 조작기구(E)는 모내기클릭(12)이 모심기운동을 행함에 동반하여, 회전케이스(10)의 회전력에 의하여 구동되고, 모 밀어내기 기구(15)를 제4도에 2점쇄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내기클릭(12)의 선단측에 위치하는 작용위치에 밀어내기 스프링(22)의 탄성복원력에 의한 조작력에 의하여 밀어내기 조작하거나 제4도에 실선으로 도시하는 바와같이 상기 작용위치보다도 모내기클릭(12)의 기단측에 위치하는 비작용위치에 캠(17)에 의한 조작력에 의하여 밀고당김 조작하거나 한다.
따라서, 회전케이스(10)를 회전구동하면, 각 모내기클릭 지지케이스(13,13)가 회전케이스(10)의 회전에 의하여 제1축심(X1)둘레로 공전회전함과 동시에, 회전동력전달기구(S)의 작용 때문에, 제2축심(X2)둘레에서 자전회전하고, 모내기클릭(12)의 선단부가 대략 타원궤적(T1)을 그려 모 얹음대(4)의 모 취출구와 논과의 사이를 상하로 회전운동하도록 모내기클릭(12)이 모심기운동을 한다. 동시에 각 모내기클릭 지지케이스(3)에 구비하여 있는 모 밀어내기 조작기구(E)가 회전케이스(10)의 회전력에 의하여 구동하는 것으로 모 밀어내기기구(15)가 모내기클릭(12)의 모심기운동에 연동하여 비작용위치와 작용위치사이로 이동한다. 이로서, 한쪽의 모내기클릭 지지케이스(13)의 모내기클릭(12)과, 다른쪽의 모내기클릭 지지케이스(13)의 모내기클릭(12)이 교대로, 모얹음대(4)에 얹어 놓여있는 매트형상모로부터 일주분의 볼록모를 절단함과 동시에 꺼내고, 논에 하강반송하여 동일의 모내기줄로 모내기 해가는 것이다. 그리고, 각 모내기클릭(12)이 모얹음대(4)의 모취출구의 상방에서 모내기위치에 하강 작동하는 동안에 모 밀어내기기구(15)는 비작용위치에 있고, 모내기클릭(12)의 모꺼내기와 꺼낸 모의 유지를 가능하게 하고, 모내기클릭(12)이 논에 도달하여 모내기를 행할 때에는, 모 밀어내기 기구(15)가 작용위치로 되고, 모내기클릭(12)이 간직하고 있는 모를 모내기클릭(12)로부터 용이하게 떨어지도록 밀어낸다.
상기 기어지지축(50)은, 제6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축심(X3)을 갖는 제1환축부(51)를 일단측에, 축심(X4)을 갖는 제2환축부(52)를 타단측에, 양축부(51,52)사이에 연결축부(53)을 각각 구비하도록 형성한 부재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연결축부(53)는, 상기 크랭크핀(36)에 간접되지 않도록 제1환축부(51) 및 제2환축부(52)의 외경보다도 작은외경을 구비하도록, 동시에, 제1환축부(51)와 제2환축부(52)와를 양축부(51,52)의 축심(X3,X4)이 편심하는 상태에서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환축부(51)의 연결축부(53)와는 반대측의 단부(51a)는, 상기 2등분 케이스부분(10A)의 축지지부(10b)의 지지축 맞붙임구멍에 삽입하도록 구성한 연결부에 형성되고, 제1환축부(51)의 연결축부(53)가 위치하는 측의 단부(51b)는, 상기 제1중간기어(31)가 상대회전 자유로이 밖에서 끼우도록 구성한 기어지지부에 형성되어 있다. 제2환축부(52)의 연결축부(53)와 반대측의 단부(52a)는, 상기 2등분 케이스부분(10B)의 축지지부(10c)의 지지축 맞붙임구멍에 삽입하도록 구성한 연결부에 형성되고, 제2환축부(52)의 연결축부(53)가 위치하는 측의 단부(52b)는, 상기 제2중간기어(32)가 상대회전 자유로이 밖에서 끼우도록 구성한 기어지지부에 형성되어 있다. 즉, 제1환축부(51)는, 제1중간기어(31)를 회전케이스(10)에 제3축심(X3)둘레로 회전 자유로이 지지시키는 상기 제1지지축부(51)로서 형성되고, 제2환축부(52)는, 제2중간기어(32)를 회전케이스(10)에 제4축심(X4)둘레에서 회전자유로이 지지시키는 상기 제2지지축부(52)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로서, 기어지지축(50)은, 제1환축부(51)의 단부로 이루어지는 연결부(51a)와, 제2환축부(52)의 단부로 이루어지는 연결부(52a)와의 양단측에서 회전케이스(10)에 연결하여 양단이 지지되는 상태에서 제1 및 제2중간기어(31,32)을 지지한다.
제7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상기 제1지지축부(51), 제2지지축부(52) 및 연결축부(53)의 3개의 축부는, 각각 별도의 부품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연결축부(53)는, 양단측에 연결축부분(53a)을 구비하고, 동시에 양연결축부분(53a,53a)사이에 양연결축부분(53a,53a)보다도 외경이 큰 스페이서부(53b)를 구비하고 있다. 이 연결축부(53)의 한쪽의 연결축부분(53a)을 제1지지축부(51)의 맞붙임구멍(51c)에 삽입함과 동시에, 다른쪽의 연결축부분(53a)을 제2지지축부(52)의 맞붙임구멍(52c)구멍에 삽입하는 것으로, 제1지지축부(51), 제2지지축부(52) 및 연결축부(53)의 3개의 축부가 맞붙여진다. 즉, 기어지지축(50)은, 34ㅐ의 축부(51,52,53)을 각각 별도로 형성하는 3개의 부품을 조합시켜 작성되어 있다. 스페이서부(53b)는, 제1지지축부(51)와 제2지지축부(52)와의 간격을 크랭크핀(36)이 제1중간기어(31)에 간섭하든가, 돌기(39)가 제2중간기어(32)에 간섭하는 일이 없는 간격으로 설정하는 것이다.
제1지지축부(51) 및 제2지지축부(52)의 각각에는, 지지축부(51,52)의 전장에 걸쳐서, 관통하는 두께뺌구멍(54)과, 이 두께뺌구멍(54)에 연통함과 동시에 기어지지부(51b,52b)에 개구하는 급유구멍(55)이 구비되어 있다.
즉, 여분의 부분을 삭제하는 두께뺌 가공에 의해 경량화를 실현하고 있다. 또한 두께뺌구멍(54)을 그리스의 고임으로 하고, 이 그리스고임에서 제1지지축부(51)와 제1중간기어(31)와의 사이에, 제2지지축부(52)와 제2중간기어(32)와의 사이에, 크랭크핀(36)과 캠홈부(38)와의 사이에 윤활유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지지축부(51), 제2지지축부(52)의 각각에 있어서, 두께뺌구멍(54)의 내경과, 맞붙임 구멍(51c,52c)의 내경이 같도록, 동시에 두께뺌구멍(54)의 축심에서 축심(X3, X4)까지의 간격과, 맞붙임구멍(51c,52c)의 축심에서 축심(X3,X4)까지의 간격이 같도록, 두께뺌구멍(54)과 맞붙임구멍(51c,52c)이 지지축부(51,52)의 둘레방향으로 180도의 위상차로 나열하고 있는 것처럼 형성되어 있다. 즉, 두께뺌구멍(54)의 방식과, 맞붙임구멍의 방식과는 같게 하고 있다. 이로서, 맞붙임구멍(51c)에 마멸이 발생하는 등 경우에는, 연결축부(53)을 맞붙임구멍(51c)에서 두께뺌구멍(54)으로 바꾸고, 기어지지축(50)을 다시 만들수가 있다.
상기 연결축부(53)에 제6도와 같이 제2지지축부(52)의 제1지지축부(51)측은 반대측의 단면에서 돌출하는 축단부(53c)를 구비하고 이 축단부(53c)가 속으로 파고 들어가도록 상기 2등분 케이스부분(10B)의 축지지부(10c)의 내부에 구비한 오목부(56)와 상기 축단부(53c)에 의하여 기어지지축(50)의 회전케이스(10)에 대한 맞붙임위치를 설정하는 위치결정기구(57)가 구성되어 있다. 즉 2등분 케이스부분(10B)에 양중간기어(31,32)를 맞붙이고 그 후에 양 2등부 케이스부분(10A,10B)을 조합시킴으로써 모내기기구(5)의 맞붙임을 행할 때 기어지지축(50)의 제2지지축부(52)을 2등분 케이스(10B)의 축지지부(10c)에 맞붙임할 때, 축단부(53c)를 오목부(56)에 속으로 파고 들어가게하여 걸어 맞춤시킨다. 그리하면 축단부(53c)는 제4축심(X4)으로부터 편심하고 있으므로 축단부(53c)와 오목부(56)와의 걸어맞춤 때문에 제2지지축부(52)가 2등분 케이스(10B)에 대하여 축단부(53c)와 오목부(56)와의 사이의 융통에 기인하는 약간의 각도만큼 회전하더라도 그 이상은 회전하지 않도록 규제된다. 그리고 맞붙인 작업시의 2등분 케이스부분(10B)은 그 내면측이 상향으로 되는 자세로 되어 연결축(53) 및 제2지지축부(52)에는 그들의 중력에 기인하는 회전조작력이 작용하기 어려워진다. 또 연결축부(53)가 이들 축심둘레로 제2지지축부(52)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은 양자간의 마찰에 의하여 규제되고 제2지지축부(51)가 이의 맞붙임구멍(51c)의 축심둘레에서 연결축부(53)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은 양자간의 마찰에 의하여 규제된다.
이 때문에 위치결정기구(57)는 축단부(53c)와 오목부(56)와의 걸어맞춤에 의하여 기어지지축(50)전체의 회전케이스(10)전체에 대한 기어지지축둘레방향에서의 맞붙임 위치를 다음과 같이 설정한다. 즉 중간기어(31,32)를 가어지지축(50)과 함께 2등분 케이스부분(10B)에 맞붙임한 후에 한쌍의 2등분 케이스부분(10A,10B)끼리를 양 케이스부분(10A,10B)의 연결용 볼트 구멍끼리가 합치하는 위치관계로 조합하면 기어지지축(50)의 제1지지축부(70)의 연결부(51a)와 2등분 케이스(10A)의 축지지부(10b)의 기어지지축 맞붙임구멍이 합치하는 맞붙임위치에 설정한다.
이하에 기어지지축에 관한 변형예를 설명한다.
제11도는 상기 제1지지축부(51)와 제2지지축부(52)를 연결하는 연결축부(53)의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연결축부(53)는 제1지지축부(51)의 맞붙임구멍(51c) 및 제2지지축부(52)의 맞붙임구멍(52c)에 삽입하는 연결부분(53a) 상기 위치결정기구(57)를 구성하는 측단부(53c)를 갖는 환봉부재와 이 환봉부재에 밖에서 끼워져 상기 스페이서부(53b)를 형성하는 통부재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12도는 기어지지축(50)의 변형예를 도시한다. 이 기어지지축(50)은 제1지지축부(51)와 제2지지축부(52) 및 제3지지축부(53)의 모두를 단일부재로서 동시에 성형함으로서 제작되고 있다. 이 경우에도 제1지지축부(51)는 제3지축심(X3) 연결부(51a) 기어지지부(51b) 두께뺌구멍(54)등을 구비하여 있고 제2지지축부(52)는 제4축(X4) 연결부(52a) 기어지지부(52b) 두께뺌구멍(54) 상기 위치결정기구(57)를 구성하는 돌기(53c)등을 구비하여 있다. 그리고 연결축부(53)는 제1지지축부(51)와 제2지지축부(52)를 연결한다. 그리고 제12도(L)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연결축부(53)의 단면형상은 기어지지축(50)의 제3축심(X3)이나 제4축심(X4)의 축심방향에서 보아서 제1지지축부(51)와 제2지지축부(52)가 중첩부분과 같은 형상 및 크기의 형상으로 되어있다.
제13도는 기어지지축(50)의 또다른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다. 기어지지축(50)이 제12도에 도시된 것과 다른 점은 제13도(L)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연결축부(53)의 단면형상이 기어지지축(50)와 제3축심(X3)이나 제4축심(X4)의 축심방향에서 보아 제1지지축부(51)와 제2지지축부(52)가 중첩부분에 닮은 형상으로 크랭크핀(36)에 간섭하지 않는 범위에서 그 중첩부분보다 큰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이다.
제14도는 기어지지축(50)의 또 다른 병형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기어지지축(50)에서는 연결축부(53)의 제1지지축부(51)나 제2지지축부(52)의 맞붙임구멍(51c,52c)에 속으로 파고 들어가는 길이가 지지축부(51,52)의 전장보다도 짧다. 위치결정기구(57)를 구성하는 돌기(53a)는 제2지지축부(52)에 설치되어 있다.
제15도는 기어지지축(50)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기어지지축(50)에서는 연결축부(53)와 제1지지축부(51)와를 형성하는 하나의 부품과 제2지지축부(52)를 형성하는 하나의 부품이 각각 별도로 형성되고 이들 2개의 부품을 맞붙임함으로써 기어지지축(50)이 실현한다. 이와같이 2개의 부품으로 갈라서 작성함에 있어서 제2지지축부(52)와 연결축부(53)와를 형성하는 하나의 부품과 제1지지축부(51)를 형성하는 하나의 부품으로 갈라서 제작하는 방법을 채용하여도 좋다.
[다른 실시예]
제16도에 도시된 모내기기구(5)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모내기클릭 지지케이스(13)와 회전케이스(10)를 상대회전운동 구동시키기 위한 크랭크시 부등속운동전달기구(D)에 있어서만 제2도에 도시된 모내기기구와는 다른 구조를 구비하여 있고 기타의 구조에 대하여는 제2도의 모내기 기구(5)와 도일의 구조를 구비하여 있다. 따라서 여기서는 무용한 반복을 피하기 위하여 크랭크식 부등속운동 전달기구(D)에 대하여만 설명한다.
즉 이 크랭크식 부등속 운동전달기구(D)는 제2중간기어(32)의 제1중간기어(31)에 면하는 쪽의 측면측에 한쌍의 돌기(39,39)를 형성하여 설치한 제2중간기어(32)의 반경바향에 따르는 방향의 캠홈부(38)와 제1중간기어(31)의 제2중간기어(31)에 면하는 쪽의 측면측에 제1중간기어(31)를 성형할 때에 동시에 성형함으로써 돌출설치한 크랭크핀(36)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크랭크핀(36)은 제1중간기어(32)의 회전축심인 제3축심(X3)과는 편심하는 개소에 배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제2중간기어(32)의 캠 홈부(38)에 미끄럼이동자유로이 속으로 파고 들어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로서 회전케이스(10)가 회전구동되고 제1중간기어(31)와 회전케이스(10)에 의한 회전조작과 태양기어(23)에 대한 맞물림 때문에 제3축심(X3)둘레로 자전회전하면 이 회전력을 크랭크핀(36)이 제2중간기어(32)에 전달하고 제2중간기어(32)가 제4축심(X4)둘레로 회전한다. 그리고 제3축심(X3)과 제4축심(X4)이 편심하고 있음으로 크랭크핀(36)은 탬 홈부(38)의 내부를 제2중간기어(32)의 반경방향으로 왕복 슬라이딩하면서 회전력을 전달한다. 따라서 크랭크식 부등속운동 전달기구(D)는 제1중간기어(31)가 등속으로 회전하더라도 제2중간기어(32)가 부등속으로 회전하도록 동시에 제1중간기어(31)와 제2중간기어(32)와는 제18도에 도시하는 위상관계 M2로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제1중간기어(31)와 제2중간기어(32)와를 부등속 연동시킨다.
제10도의 설명할 때 언급한 바와같이 유성기어(30)는 회전축심: X1둘레에서 회전하고 있는 회전케이스(10)상의 회전축심: X2둘레로 회전케이스(10)와는 역방향으로 회전하고 있으므로 모내기장치의 움직임을 밖에서 관찰하면 유성기어(30)는 결과적으로 모내기 클릭 지지케이스(13)가 소정의 각도범위에서 요동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특히 이 모내기장치에서는 회전케이스(10)와 유성기어(30)가 제19도에 도시하는 위상관계 N2로 연동하여 상대회전운동하는 것과 같이 회전동력전달기구(5)를 설정하고 있다. 이로써 회전케이스(10)가 회전구동됨에 따라 한쌍의 모내기클릭 지지케이스(13,13)각각과 회전케이스(10)가 제19도의 위상관계 N2로 상대회전운동하도록 구동하고 이로서 한쌍의 모내기클릭 지지케이스(13,13)각각의 모내기클릭(12)의 선단부가 제8도에 도시하는 대략 타원궤적 T2을 그리는 것과 같은 모심기 운동을 행한다. 제19도의 유성기어(30)의 위상이란 유성기어(30) 즉 모내기클릭 지지케이스(13)를 밖에서 관찰하였을 경우 어떠한 움직임(제17도 참조)을 보이고 있는가를 나타내고 있다.
위치결정기구(57)로서는 회전케이스(10)쪽에 돌기를 설치하고 이 돌기가 속으로 파고 들어가는 오목부를 기어지지축쪽에 설치하여 이루는 것을 채용하여도 좋다.
크랭크핀(36)으로서는 회전자유로운 롤러를 구비하고 이 롤러를 통하여 캠홈부(38)와 걸어 맞춤하고 마찰저항이 적은 상태에서 회전운동력전달을 행하도록 구성한 롤러 달린 핀을 채용하여 실시하여도 좋다.

Claims (8)

  1. 모내기 전동케이스(3)에 대하여 제1축심(X1)둘레에서 회전자유로이 지지된 회전케이스(10)에, 제1축심(X1)과 평행한 제2축심(X2)둘레에서 상대회전 자유롭게, 모내기 클릭(12)이 장치된 모내기클릭 지지체(13)를 축지지하고, 모내기클릭 지지체(13)를 일체적으로 회전운동하는 상태에서 축지지하는 지지축(14)에 고정된 유성기어(30), 모내기 전동케이스(30)에 회전운동 불능으로 고정된 태양기어(23), 태양기어(23)에 맞물리는 제1중간기어(31), 제1중간기어(31)의 회전춧심(X3)의 회전축심(X4) 둘레로 회전함과 동시에 유성기어(30)에 맞물리는제2중간기어(32), 제1중간기어(31)와 제2중간기어(32)를 부등속 연동시키는 편심 크랭크식의 부등속 운동전달기구(D)를 가지고 회전케이스(10)의 회전에 따라서, 모내기클릭(12)의 선단부가 모얹음대와 논 사이에서 상하로 왕복운동하도록 모내기클릭지지체(13)와 회전케이스(10)를 상대회전운동 구동시키는 회전동력전달기구(S)를 구비하고 있는 모내기 기구에 있어서, 기어지지축(50)이, 회전케이스(10)에 일단측이 지지됨과 동시에 타단측이 제1중간기어(31)를 지지하는 제1지지축부(51)와, 회전케이스(10)에 일단측이 지지됨과 동시에 타단측이 제2중간기어(32)를 지지하는 제2지지축부(52)와, 제1지지축부(51)와 제2지지축부(52)를 편심시켜 연결하는 연결축부(53)와 구비하여 있고, 상기 기어지지축(50)을 통하여 제1중간기어(31) 및 제2중간기어(32)가 회전케이스(10)에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내기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지지축(50)은, 상기 제1지지축부(51)와 제2지지축부(52)중의 한쪽의 지지축부(51)와 상기 연결축부(53)를 형성하는 하나의 부품과, 다른쪽의 지지축부(52)를 형성하는 하나의 부품과 의 2개의 부품으로 나누어서 형성하여 조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내기 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지지축(50)은 각각 독립하여 만들어진 3개의 부품 즉 상기 제1지지축부(51)와 제2지지축부(52) 및 연결축부(53)로부터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모내기 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축부(51)와 제2지지축부(52)와 연결축부(53)의 3개의축부를 일체성형함으로써, 상기 기어지지축(50)이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내기 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지지축(50)의 일단측과 상기 회전케이스(10)중 한쪽에 위치하는 돌출부(53c)와 다른쪽에 위치하는 오목부(56)와의 걸어맞춤에 의하여 기어지지축(51)의 회전케이스(10)에 대한 기어지지축 둘레방향에서의 맞붙임위치를 설정하는 위치결정기구(57)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내기 기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지지축(50)이 상기 제1지지축부(51) 및 상기 제2지지축부(52)에 위치하는 두께뺌구멍(54)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내기 기구.
  7. 제1항 내지 제6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식 부등속 운동전달기구(D)가, 상기 제1중간기어(31)에 설치한 캠 홈부(38)와, 상기 캠 홈부(38)에 걸어맞춤하도록, 상기 제2중간기어(32)의 회전축심(X4)과는 편심시켜 설치한 크랭크핀(36)과로부터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내기 기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중간기어(32)의 회전축심(X4)이, 상기 제1중간기어(31)의 회전축심(X3)보다도, 상기 회전케이스(10)의 회전축심(X1)쪽으로 옆에 가까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내기 기구.
KR1019960017419A 1996-02-29 1996-05-22 모내기 기구 KR1001934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4281996A JP3294098B2 (ja) 1996-02-29 1996-02-29 苗植付機構
JP96-42819 1996-02-29
JP04282096A JP3377357B2 (ja) 1996-02-29 1996-02-29 苗植付機構
JP96-42820 1996-02-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1048A KR970061048A (ko) 1997-09-12
KR100193457B1 true KR100193457B1 (ko) 1999-06-15

Family

ID=26382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7419A KR100193457B1 (ko) 1996-02-29 1996-05-22 모내기 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193457B1 (ko)
CN (1) CN1069154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33424B (zh) * 2010-09-03 2013-04-17 江苏大学 差动偏心齿轮系分插机构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217524A1 (de) * 1972-04-12 1973-10-31 Riedhammer Ludwig Fa Foerderplatte aus keramischem werkstoff fuer plattendurchschuboefen
JPH07112381B2 (ja) * 1986-09-17 1995-12-06 井関農機株式会社 移植機
JPH03143315A (ja) * 1990-09-18 1991-06-18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田植機における苗植装置
JP3082238B2 (ja) * 1990-11-13 2000-08-28 井関農機株式会社 苗植機
JP3143315B2 (ja) * 1994-03-29 2001-03-07 株式会社日立ホームテック 加熱調理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8212A (zh) 1997-09-03
CN1069154C (zh) 2001-08-08
KR970061048A (ko) 1997-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22637B2 (ja) 工業用の管状ギア装置などの同軸ギア装置
JP4834882B2 (ja) カム軸調節装置
JP4092495B2 (ja) 内燃機関の複リンク式ピストン−クランク機構
KR100193457B1 (ko) 모내기 기구
JPH06205563A (ja) ステッピング・アクチュエータ
JP3294101B2 (ja) 苗植付機構
CN116263199A (zh) 偏心摆动型齿轮装置、机器人、工业机械
JP3294098B2 (ja) 苗植付機構
JPH0526305A (ja) 撓み噛み合い式駆動伝達装置
JP3377357B2 (ja) 苗植付機構
JP3294133B2 (ja) 苗植付機構
KR100474876B1 (ko) 이앙기 식부장치
JP3294044B2 (ja) 苗植付機構
JP5061300B2 (ja) クランク装置
JP3294132B2 (ja) 苗植付機構
JP2001169629A (ja) ギヤ式伝動装置におけるバックラッシュ防止装置。
JP3294135B2 (ja) 苗植付機構
JP7458209B2 (ja) 差動減速機
JPS599553Y2 (ja) 田植機
JP3667854B2 (ja) 田植機におけるロータリー式苗植機構
JPH08822Y2 (ja) 苗植付け機
JP3302607B2 (ja) 苗植付機構
JP3294136B2 (ja) 苗植付機構
CN105003611B (zh) 驱动力传递装置
JPH10327632A (ja) 苗押出し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