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1653B1 - 실 제동장치 - Google Patents

실 제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1653B1
KR100191653B1 KR1019920700881A KR920700881A KR100191653B1 KR 100191653 B1 KR100191653 B1 KR 100191653B1 KR 1019920700881 A KR1019920700881 A KR 1019920700881A KR 920700881 A KR920700881 A KR 920700881A KR 100191653 B1 KR100191653 B1 KR 1001916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ing
threading
air
thread
act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700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703431A (ko
Inventor
미첼레 멜리로
컬트 자콥손
Original Assignee
브롬 스티그-아르네
아이 알 오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SE8903414A external-priority patent/SE8903414D0/xx
Priority claimed from SE9001136A external-priority patent/SE9001136D0/xx
Application filed by 브롬 스티그-아르네, 아이 알 오 에이비 filed Critical 브롬 스티그-아르네
Publication of KR920703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7034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1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16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34Handling the weft between bulk storage and weft-inser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7/00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Supports therefor
    • B65H57/003Arrangements for threading or unthreading the gu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9/00Adjusting or controlling tension in filamentary material, e.g. for preventing snarling; Applications of tension indicators
    • B65H59/10Adjusting or controlling tension in filamentary material, e.g. for preventing snarling; Applications of tension indicators by devices acting on running material and not associated with supply or take-up devices
    • B65H59/20Co-operating surfaces mounted for relative movement
    • B65H59/22Co-operating surfaces mounted for relative movement and arranged to apply pressure to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9/00Adjusting or controlling tension in filamentary material, e.g. for preventing snarling; Applications of tension indicators
    • B65H59/10Adjusting or controlling tension in filamentary material, e.g. for preventing snarling; Applications of tension indicators by devices acting on running material and not associated with supply or take-up devices
    • B65H59/20Co-operating surfaces mounted for relative movement
    • B65H59/26Co-operating surfaces mounted for relative movement and arranged to deflect material from straight path
    • B65H59/32Co-operating surfaces mounted for relative movement and arranged to deflect material from straight path the surfaces being urged away from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5/00Actuating means
    • B65H2555/10Actuating means linear
    • B65H2555/13Actuating means linear magnetic, e.g. induction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1Textiles threads or artificial strands of fila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ension Adjustment In Filamentary Materials (AREA)
  • Spinning Or Twisting Of Yarns (AREA)
  • Looms (AREA)

Abstract

카운터(count) 제동 구성요소(BG)에 관해 움직이도록 적용된 하나이상의 제동 구성요소(B)를 구비하고 있는 실 제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동 구성요소들은 제동 위치에서 실에 작용함과 아울러, 실이 실 제동장치를 통해 감속되지 않은채 움직일 수 있는 실걸기 위치까지 및 그 위치로 이동되도록 적용되어 있으며, 제동 구성요소 조정장치가 제공된 경우에 실 제동장치(FK, FL, F'L)의 실걸기 위치는 상기 조정장치의 구동수단(A)의 도움으로 설정될 수 있고, 상기 실 제동장치는 그 안에, 실걸기 위치에서 공기 스트림에 의해 실(Y)을 자동적 공기압 실걸기하는데 사용되는 공기 유도 통로를 정해주는 공기 유도면들(L)을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실 제동장치
제1도는 제동 위치에서의 크로코다일 실 제동장치의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와 관련된 실걸기 위치를 도시한 도.
제3도는 제1도와 관련된 변형 세부의 단면도.
제4도 및 제5도는 제1도에 따른 크로코다일 제동장치의 또다른 양태의 2개의 관련 단면도.
제6도는 크로코다일 제동장치의 또다른 양태의 부분 측면도.
제7도는 제6도와 관련된 단면도.
제8도는 다수의 세부 변형이 표시된 경우의 또다른 양태의 횡단면도.
제9도는 제동 위치에서의 층상 제동장치의 단면도(여기서, 실걸기 위치는 점선으로 표시됨).
제10도는 제9도의 세부도.
제11도는 제동위치에서의 또다른 층상 제동장치의 단면도(여기서, 실걸기 위치는 점선으로 표시됨).
제12도는 제11도의 상면도이다.
본 발명은 본원 특허 청구의 범위 제1항의 전제부에 기술된 형태의 실 제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실 제동장치에 있어서, 제동장치를 통과하는 실은 죄어지고/거나 편향됨에 따라 기계적으로 감속된다. 섬유 공업 기술분야에서, 직물기에 공급되는 실들에 사용되는 다양한 구조적 도안의 실 제동장치들은 실 장력을 보다 균일하게 하거나, 실 장력을 증진시키거나 실 이동에 기능적으로 요구되는 저항성을 확립하는데 필요한 각 위치들의 실 경로에 배치된다. 예를 들면, 실이 저장 및 공급장치를 거쳐 보빈으로부터 직조기에 공급될 때, 실 제동장치는 저장 및 공급장치의 공급 측면에 제공될 수 있으나, 저항 및 공급장치와 직조기 사이에 제공될 수도 있다. 최적의 취급시 용이함 및 짧은 정지 기간과 관련하여, 저장 및 공급장치는, 그러한 경우에, 실걸기 후크를 사용하는 수동식 실걸기가 시간 소모적이고 복잡하기 때문에 장치가 최초로 가동될 때 실 절단후 재가동될 때 실이 자동적으로 걸릴 수 있는 성질의 구조적 도안을 갖출 것이다. 그러나, 현재까지 전적으로 손으로 실을 실 제동장치, 특히 그 장치의 제동영역으로 통과시킬 필요가 있었음에 따라 다른 구성요소의 경우에서 존재하는 자동 실걸기 장치가 그의 이점을 실현할 수 없으므로, 실 제동장치는 실걸기 공정에서 약점을 나타낸다. 실 경로를 따라 있는 특정 구성요소들의 경우에 제공된 자동 실걸기장치에 의해 얻어지는 취급의 용이함 및 정지 기관과 관련된 이점들은 실 제동장치의 수동식 실걸기 공정에 의해 부분적으로 유명무실하게 된다.
소위 편향 제동장치[크로코다일(crocodile)제동장치]들은 공지되어 있는데, 이 경우 실 유도 구성요소들은 상기 실 유도 구성요소들의 지지암(holding arm)들을 접음으로써 실걸기 위치로 수동적으로 움직일 수 있으며, 실은 그 후 손으로 또는 실걸기 후크에 의해 걸려진다. 또한 서로에 대해 탄력적으로 눌려 있는 두 개의 제동장치 박판들 또는 고정된 정지 수단에 대해 눌려 있는 하나의 제동장치 박판으로 이루어진 층상 제동장치의 경우에도, 박판들은 이동될 수 있고 실걸기 위치는 수동으로 설정될 수 있다.
원반 제동장치의 경우에 실걸기 공정이 수행될 때, 실걸기 위치는 다시 수동적으로 설정되어야 하고 그런 다음 실은 손에 의해 통과되어야 한다.
US-pat. 제 46 41 688호에 공지된 층상 제동장치의 경우에는, 전자, 공기압 또는 기계 구동수단이 제공되어 있는데, 이러한 구동수단은 한편으로는 제동효과를 조절해주고, 다른 한편으로는 제동장치 박판들을 실걸기 공정의 수행에 적당한 수동적 위치로 및 위치까지 이동시켜 준다. CH-pat. 제 310 476호에 공지된 실 제동장치의 경우에는, 기계적 구동수단이 제공되어, 이의 도움으로 실을 고정된 카운터(counter) 제동 구성요소에 대해 누르는 제동 구성요소가 상기 카운터 제동 구성요소를 들어올릴 수 있다. 공지된 실 제동장치들은 최초의 실걸기 또는 실 절단 후 실걸기를 손으로 행하여야 하는 결점을 나타내며, 이는 예를 들어 실 절단 후에 작업자가 우선 실 제동장치로 가서 실을 손으로 잘 조작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우수한 기술을 요하며 긴 정지 기간을 초래하는 시간 소모적인 공정이다.
본 발명은 자동적 실걸기를 가능케해주는 서두에 언급한 형태의 실 제동장치를 제공하는 과업에 근거한다.
제안된 과업은 본 발명에 따라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의 특징부에 기술된 특징에 의해 해결된다.
최초의 실걸기 공정을 수행하기 위해서 또는 실 절단 후에 실을 걸기 위해서는, 공기 유도 통로를 통과하여 실의 선단을 자동적으로 실 제동장치로 끌어갈 것인 공기 스트림을 생성시키는 것으로 족할 것이다. 그러므로 실 제동장치는 초기에는 자동실걸기를 위해 마련되며, 이때 상기 실걸기는 자동적으로 수행되고 거의 시간이 소요되지 않는다. 실걸기 목적을 위해서, 구동수단은 실 제동장치를 실걸기 위치로 조정할 것이다. 이 위치에서 공기 유도면들은 생성된 공기 스트림이 실을 실 제동장치를 통하여 제동 구성요소들을 지나도록 이끄는 방식으로 공기 유도 통로의 경계를 정한다. 상기 공기 스트림은 상기 공기 스트림에 의해 초래된 효과가 어떻게 최상의 가능 방법으로 이용될 수 있는가에 따라 실 제동장치내에서 또는 그 외부에서 생성될 수 있다. 공기 유도면들은 공기 스트림의 측장 편위 및 실의 측방 이탈을 방지하고, 풀린 실의 선단이 공기 스트림에 실린 채 신속하고도 엉킴없이 실 제동장치를 재빨리 지나가는 것을 보장해 준다. 실걸기에 요구되는 시간량은 적다. 이러한 원리는 공지된 모든 실 제동장치들, 예를 들면 크로코다일 제동장치, 층상 제동장치, 원반 제동장치등의 경우에 자동식 실걸기를 달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청구항 제2항에 언급된 형태들의 구동수단은 실걸기 공정의 경우 신속한 반응 및 고장없는 기능이 비교적 소량의 구조 부품 및 제어 기술에 기초하여 보장되므로 유리하다. 공기압 구동도 역시 실걸기에 사용되는 공기스트림을 발생할 수 있다.
청구항 제3항에 따른 양태는 구동수단이 원한다면, 예를 들어 실의 질 또는 속도에 반응하여 원격 제어로 또는 자동적으로조차도, 한편으로는 실걸기 위치를 조정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제동효과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유리할 것이다.
청구항 제4항에 따른 양태의 경우에, 구동수단은 탄성 바이어스력(elastic biasing forse)에 반대로 및 일정 방향으로 작용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 구동수단은 바이어스력을 점차 상쇄함으로써 제동 효과를 조절할 수 있다.
청구항 제5항에 따른 양태의 경우에, 구동수단은 제동 구성요소를 양방향으로 옮길수 있다. 이러한 양태는 구동수단이 예정된 제동 효과로 정확히 복귀될 것이므로 실을 걸은 후 실 제동공정의 신속한 개시와 관련하여 유리할 것이다.
청구항 제6항에 따른 양태는 실 제동장치가 완전 자동 실걸기 공정을 수행하므로 특히 중요하다. 실 절단 검지기가 실 절단을 검지하면 곧 구동수단은 실 제동장치를 실걸기 위치로 움직일 것이다. 공기 유도면들은 공기 유도 통로를 정한다. 압력 공급원의 작동(이 작동은 실 절단 검지기에 의해 개시될 수 있다)은 실 선단을 실 제동장치로 통과 이동시키는 공기 스트림의 발생을 초래할 것이다. 실 절단 감지기가 실이 알맞게 존재함을 감지하자마자, 실걸기 위치는 물러날 것이고 압력 공급원이 재작동될 것이다. 실 제동장치는 다시 작동될 준비를 갖춘다.
또다른 양태는 청구항 제7항으로 기술되어 있다. 스위치가 조작되면 자동 실걸기 공정은 실행될 것이다. 이는 원격 제어로 행해질 수 있다. 그러나, 작업자가 스위치를 수동으로 조작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그러한 수동식 조작의 경우에조차도 상당량의 시간이 역시 절약되며 조작이 실제적으로 단순화된다.
청구항 제8항에 따르면, 서로 벌어지도록 적용된 두 개의 지지 암들이 거기에 서로에 대해 옮겨지는 실 제동 구성 요소들을 부착하고 있는 양상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상기 실 제동구성요소들은 실을 벌어진 제동 위치에서 지그재그 방향으로 평향시킴과 아울러, 상기 암들이 서로를 향해 접혀진 실걸기 위치에서 일직선의 실 통로를 한정짓는 유리한 양태(크로코다일 제동장치)의 경우에 있어서, 지지 암들 및/또는 실 제동 구성요소들 상의 공기 유도면들은 실걸기 위치에서 공기 스트림이 고속으로 실을 통과시킬 공기 유도 통로를 한정하는데 영향을 준다. 공기 유도면들의 제공은 구조적 경비를 거의 필요로 하지 않으며 제동 기능도 상기 공기 유도면들에 의해 절감되지 않을 것이다.
실고리(thread eye)들의 축 연장선은 실 제동장치의 정상적인 작동시에 제동 효과에 현저한 영향을 주지 않을 것인 반면, 실걸기 위치에서는 간단한 방법으로 주로 밀폐된 공기 유도 통로의 형성을 보장할 것이기 때문에 청구항 제9항의 양상도 역시 유리하다. 이미 작동되어온 실 제동 장치들은 그 후에 일반적으로 사용되어온 짧은 실고리들을 축 연장시킨 실고리들로 대체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이들 수단을 갖출 수 있다.
청구항 제10항에 따른 양태는, 그 경우에 공기 유도면들이 지지 암들상에 배치된 것으로서, 또 다른 양태 또는 추가의 양태로서 유리할 것이다. 공기 유도면들은 지지 암들의 실걸기 위치로의 이동에 의해 유도 위치로 옮겨진다. 그러나, 공기 유도면들이 이동가능하게끔 지지 암들상에 공기유도면들을 배치시키고, 실걸기 위치가 정해질 때 적절한 구동수단의 도움으로 공기 유도면들을 유도 위치로 옮기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추가의 유리한 양태는 청구항 제11항에 기술된 것으로서, 이 경우에 실 제동장치는 고정된 실 입구 및 출구와 아울러 지지 암용 베어링을 갖는 기본요소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적 형태의 경우에, 공기 유도면들은 공기 유도 통로가 실걸기 위치에서 경계지워지는 방법으로 이미 초기에 기본요소상에 배치된다.
추가의 양태는 청구항 제12항에 기술된 것으로서, 이 경우에 기본요소는 서로를 향해 접혀지도록 적용된 두 개의 탄성박판들을 그 위에 구비하고 있다. 상기 박판들의 표면상의 공기 유도면들은 실 제동장치의 정상적인 조작시 제동효과를 감소시키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실걸기 위치에서, 상기 공기 유도면들은 실이 자동적으로 걸리게끔 하는 공기 스트림의 유도에 기여할 것이다.
본 실 제동장치의 유리한 양태는 청구항 제13항에 기술된 것으로서, 이 경우에 기본요소는 실 제동장치가 있는 고정 입구를 그 안에 구비하고 있다. 입구에서 박판 표면들사이의 지점까지 뻗어있는 공기 유도 통로는 자동 실걸기가 실걸기 위치에서 실행될 때 실이 비스듬히 밀어제쳐지지 않도록 해준다. 박판들상의 웨브상(weblike)의 공기 유도면들 외에도 공기 유도 통로가 제공될 수 있다. 특별히 형성된 공기 유도 통로가 제공될 경우, 박판들상의 웨브상의 공기 유도면들은 역시 필요치 않을 것이다. 원한다면, 실을 걸기 위해 발생된 공기 스트림은 이러한 층상 실 제동장치의 경우에, 박판들을 실걸기 위치로 이동하는데 용이하게 사용된다.
추가의 또 다른 양태는 청구항 제14항에 기술된 것으로서, 이 경우에 고정된 실 입구를 갖고 있는 기본요소는 그 위에 카운터 제동 구성요소로서 고정된 융기부를 구비하고 있고, 이때 기본요소에 지지된 박판은 제동구성요소로서 상기 융기부와 접촉하도록 적용되어 있다. 상기 박판 및 상기 융기부와 함께 공기 유도 통로는 실걸기 위치에서 공기의 스트림을 유도한다. 이 경우에 또한 공기의 스트림은 동시에 박판을 실 제동장치의 실걸기 위치로 몰고가는데 사용될 수 있다.
소위 원반 제동장치의 경우에 있어서도, 공기 유도면들 및 압력 공급원이 제공될 수 있고 추가의 지향성 노즐들이 원반들이 분리되는 실걸기 위치에서 실을 직접 및 자동적으로 거는데 사용될 수 있다.
그 위에 고정 융기부(이는 실 경로를 위치하며 탄력적으로 접촉되도록 적용된 제동 구성요소에 사용된다)를 갖고 있는 기본요소 및 제동 구성요소용 조정장치를 구비한 실 제동장치의 또 다른 양태는 독립 청구항 제15항에 기술되어 있다. 이러한 양태는 전자석이 에어 캡(air gap)을 거쳐 제동 구성요소에 직접 영향을 주고 고정 융기부상의 상기 제동 구성요소의 접촉 압력을 감도 높은 방법으로 조절하므로 독립적인 발명의 중요성을 갖고 있다. 층상 제동 장치의 제동효과에 영향을 주는 자석들이 공지되어 있는 것(US 46 41 688호)은 사실이나, 공지된 해결법의 경우에 기계적으로 구성요소들은 전자석에 의해 옮겨지며, 이때 상기 기계적 구성요소들은 차례로 제동 구성요소들에 작용한다. 금속성 제동 구성요소가 에어 갭에 걸쳐 전자석에 의해 직접 작용되는 경우에 있어서의 장치는 구조적 관점에서 덜 복잡하며 제동 효과의 민감하면서도 재현 가능한 조절을 초래할 것이다. 그 외에도, 자석이 제동 구성요소를 실걸기 위치까지 및 그 위치로 옮길 수 있는 이점이 달성되며, 여기서, 예를 들면 자동 실걸기의 경우에 실은 감속되지 않은 채 제동 구성요소를 지나 움직일 것이다. 자석은 미리 대충 조정해둔 제동 구성요소의 접촉 압력의 정밀한 조정값을 나타냄을 가능케 한다. 청구항 제15항의 양상은 이와 관련하여 박판이 실걸기 위치에서 자동 실걸기 도중 지정된 실의 유도를 위한 작용 구성부를 한정하므로 중요하다.
본 실 제동장치의 또 다른 유리한 양태는 청구항 제16항에 기술되어 있다. 제동 구성요소 및 자석이 함께 호울더(holder)에 부착되어 있다는 사실은 호울더를 회전이음쇠로 고정시킴으로써 제동 구성 요소의 접촉 압력이 대충 조정될 수 있는 이점 및 선택된 호울더의 각 회전이음쇠 위치와는 관계없이, 자석과 제동 구성요소간의 불변의 공간 관계가 유지될 것이라는 이점(이때, 상기 간격은, 제동공정이 일어나는 동안 박판의 정상적인 작동운동을 방해함이 없이 자석에 의해 박판에 적용된 힘이 최적의 방법으로 예정된 범위를 넘어 유효하게 되도록 미리 정해진다)을 제공한다. 이러한 양태는 박판이 융기부에 적용된 후에 자석이 박판에 재조정될 필요가 없으므로 실 절단후의 실걸기에도 또한 유리할 것이다.
또다른 유리한 양태는 실걸기 공기 노즐이 고의로 공기의 스트림을 사용하므로 청구항 제18항에 따른 양태이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실걸기 공기 노즐을 사용하는 것으로 족할 것이다. 그러나, 복수개의 실걸기 공기 노즐들을 제공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압력 노즐과 흡입 노즐을 구조적으로 합하여 지정된 강한 공기 스트림을 생성할 수 도 있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청구항 제 19항에 따라 실걸기에 사용되는 공기 스트림이 실 제동장치를 실걸기 위치로 옮기는데 동시에 사용되는 경우도 역시 유리할 수 있다.
바람직한 양상은 청구항 제20항에 따른 실걸기 공기 노즐의 위치이다. 제21항에 따르면, 상기 실걸기 공기 노즐은 또한 공기 유도 통로가 확장된 영역에 또는 상기 공기 유도 통로내에 배치될 수도 있다. 특정용도의 경우에, 청구항 제22항에 따라, 조정가능한 취입 방향을 갖는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실걸기 공기 노즐을 제공하는 것 또한 유리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추가의 실걸기 공기 노즐은 자동 실걸기공정을 실행하거나 보조한다. 특히 원반 제동장치의 경우에, 그 노즐의 공기 스트림이 실걸기 위치에서 서로로부터 분리된 원반들의 표면들을 공기 유도면들로 사용하는 그러한 노즐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실걸기 위치에서 원반들 사이에 공기 유도면들을 삽입하여 자동 실걸기 공정 도중 실의 측방 누출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원반들은 제동공정중에 독립적 가동을 유지할 것이다[자정(self-cleaning)효과].
본 발명의 주요 사항에 대한 한 양태는 도면을 근거하여 설명할 것이다.
실(Y)을 자동적으로 거는데 적절한 실 제동장치(FK)(크로코다일형 제동장치)는 기본요소(G)를 구비하여, 상기 기본요소(G) 상에는 두 개의 지지암들(3)이 일정 간격을 둔 평행 핀들(4)을 회전하도록 적용되어 있다. 서로 맞물리는 기어들(5)은 두 개의 지지 암들(3)에 연결되어 반대 방향으로의 합동 화산운동(jont spread movement)을 수행할 것이다. 수동수단(A)는 기어들(5)에 작용한다. 양지지 암들(3)은 도시되지 않은 스프링들(화살표 10)에 의해 벌어진다. 스프링들의 바이어스력은 조정되도록 적용된다. 지지 암들(3)은 지지 클립들(11)에 의해 제동 구성요소들(B)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제동 구성요소들(B)는 서로에 관하여 실 통과 방향으로 옮겨지고, 종래의 환형 실고리들에 비해 확대한 실고리들(2)로 구성된다.
구정된 실고리(1)는 공급측상의 입구에서는 기본요소(G)에서 제공되며, 상기 실고리(1)에 선행하여, 압력 공급원 P(9)에 연결되도록 적용된 압력 노즐(8)이 있다. 실고리(1) 대신에 압력 노즐(8)이 기본요소내 위치를 확보할 수 있다. 압력 공급원(P)처럼, 압력 노즐(8)은 실 제동 장치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단지 공기 스트림만이 상기 실 제동장치에서 유효하게 됨이 틀림없다.
구동수단(A)은 전기 모터, 공기압 실린더 또는 기계적 구동수단(6)일 수 있으며, 이는 지지 암들(3)을 실걸기 위치까지 및 그 위치내로 옮겨놓을 수 있다(제2도). 임의로 구동수단(6)은 스프림에 대체되거나 그를 조력한다.
출구측상에는 고정 실고리(7)가 제공된다. 상기 실고리(7)뒤에는 실절단 검지기(D)가 제공되어 있으며, 이는 실(Y)을 감시하여 실이 절단된 경우에 신호를 발생한다.
검지기(D)의 신호에 의해 구동수단(A)은 커져서 지지 암들(3)을 실걸기 위치로 접고(제2도), 여기서 실 유도 구성요소들(압력 노즐 8, 실고리 1, 제공 구성요소 B, 실고리 7)은 서로 일직선으로 정렬하여 연속적인 공기 유도 통로를 이룬다. 확대된 실고리들(2)은 공기 유도면들(L)을 이루어 공기 스트림(제2도에서 화살표로 표시)이 공기 유도 통로를 통해 직선으로 통과하여 실 말단을 연행한다. 제동 구성 요소들(B)간의 간격(Z)은 가능한한 작은 것이 유리할 것이다.
실 절단 감지기(D)는 실(Y)이 순조로이 움직임을 검지하면 곧 구동수단(A)은 작동을 멈출 것이다. 지지 암들(3)은 통과하는 실(Y)의 감속 및 지그재그 편향을 실행하기 위해 다시 벌어진다. 압력 노즐(8)은 압력 공급원(P)으로부터 분리되거나 압력 공급원(P)(9)은 꺼진다.
실 절단 감지기(D)는 실 제동장치 자체에 필수적으로 배치될 필요는 없다. 실 제동장치 앞 또는 뒤에 위치하는 어떠한 적절한 제어수단이라도 그 기능을 만족시킬 수 있다. 원격 제어 및 자동으로 또는 수동으로 압력 스위치에 의한 구동수단(A)을 작동시켜 실 제동장치(FK)를 실걸기 위치로 옮기고 압력 노즐(8)에 압축 공기를 공급하도록 하는 것도 또한 생각할 수 있다.
제3도에 따르면, 제1도중의 제동 구성요소들(B)은 종단면으로 볼 때 사다리꼴 형태를 갖는 실고리들(2')일 수 있으며, 상기 실고리들은 그들의 긴 내부 구멍부분으로 공기 유도면들(L)을 이루고 연속 공기 유도 통로가 이루어지는 방식으로 제2도에 따른 실걸기 위치에서 서로 보충한다. 실 제동장치의 정상적인 작동 도중에 실고리들(2')의 짧은 내부 구멍부분은 예정가능한 제동 효과에 바람직한 짧은 편향 지역으로 작용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짧은 환형의 실고리들 대신에 변형된 실고리들(2),(2')을 제공하여 실 제동장치(FK)가 자동 실걸기에 적합하도록 할 수도 있다.
제4 및 제5도에 따르면, 지지 암들(3)의 지지 클립들(11)은 확장되어 날개부분(12)을 형성하며, 상기 날개부분(12)은 공기 유도면들(L)을 한정하며 실걸기 위치에서 외부로부터 공기 유도 통로의 경계를 정해준다. 보통, 이 경우에 환형의 짧은 실고리들이 제동 구성요소들(B)로서 사용될 수 있다. 날개부분(12)은 지지 암들(3)로 완전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6 및 7도에 따르면, 짧은 환형 실고리들(B)은 서로로부터 멀리 떨어진 축 거리상에 제공된다. 지지 암들은 웨브들(13)에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웨브들은 실걸기 위치에서 서로 작용하며(제6 및 7도), 상기 웨브들은 공기 유도면들(L)을 정해주고 외부로부터 공기 유도 통로의 경계를 지워진다. 제동 구성요소들(B)을 위한 지지 클립들(11)은 상기 웨브들(13)과는 별도로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지지 클립들(11)을 웨브(13)로서 구성할 수도 있다.
제8도의 양태의 경우에 있어서, 기본요소의 연속적으로 이어진 벽(14)은 지지 암(3)의 좌측상에 공기 유도면(L)으로 제공되며, 상기 공기 유도면(L)은 지지 암들 및 제동 구성요소들(B)에 근접하여 뻗어있다. 또다른 양태를 명백히 나타내기 위하여, 플립(flap; 15)이 우측상의 상부 지지암에 제공되며, 상기 플랩(15)은 이중 화살표 방향으로 이음쇠고리 베어링(16)의 전후로 흔들리도록 적용되어 있으며 실걸기 위치에서 공기 유도면(1)으로서 작용한다. 이와는 달리, 플랩(19)은 기본요소(G)에 지지되어 이중 화살표 방향으로 베어링(18) 주위로 흔들리도록 적용되고 공기 유도면(L)으로서 작용하게끔 할 수 있으며, 상기 공기 유도면(L)은 실걸기 위치로의 이동시에 공기 유도 통로를 경계짓기 위한 지지 암들(3)과 접촉하도록 움직인다. 이동가능한 공기 유도면들(L)(플랩15 또는 플랩 19)의 경우에, 지지 암들(3)을 실걸기 위치로 옮겨주는 움직임은 그로부터 플랩을 움직이는데 요구되는 움직임을 유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제9 및 제10도는 자동 실걸기에 적합한 층상 제동장치(FL)를 도시한 것이다. 기본요소(G)는 거기에 수직 막대들(24)의 고정영역들(23)에 두 개의 제동 구성요소들(B)(탄성 박판21)을 확보하고 있으며, 상기 구성요소들은 기어들(5)에 의해 박판들(21)이 바이어스력으로 서로를 향해 밀려 제동 닙(nip)을 이루는 방식으로 반대 방향으로 핀들(4) 주위를 회전하도록 적용되어 있다. 박판들(21)의 선단부(22)는 평형해진다. 기어들(5)은 구동 공급원에 결합된 기계적 구동수단과 같은 구동수단(a)에 의해 작동한다. 이는 두 개의 박판들(21)의 바이어스력의 변화 뿐만 아니라 상기 박판들(21)의 실걸기 위치(점선으로 표시)로의 이동도 가능하게 한다.
기본 요소는 거기에 고정 실고리(1)를 갖고 있으며, (1)앞에는 압력 노즐(25)이 있다. 더욱이, 실고리(1)로부터 박층들(21)사이의 부위까지 뻗어 있는 공기 유도 통로(26)는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서로 접힌 박판들(21)의 표면들은 그위에 공기 유도면들(L)을 웨브들(27)의 형태로 제공하고 있는데, 상기 웨브들은 박판들의 초기 종단면을 따라 뻗어, 예를 들면 실 통과 방향으로 모인다(제10도). 웨브들(27)은 접착제에 의해 부착되고 박판들(21)의 탄력성을 약화시키지 않는 연질 탄성 고무 립(lip)일 수 있다.
자동 실걸기를 위해, 공기의 스트림이 풀린 실 선단을 공기 유도 통로(26)로 통하여 박판들(21)의 공기 유도면들(L) 사이에 취입하기 전에, 박판들(21)은 제9도에 따른 실걸기 위치(점선으로 표시)로 이동된다.
제9도는 박판들(21)을 위한 구동수단(A)이 표시되어 있는데, 이는 기본요소(G)상 위치에 고정된 방법으로 존재하는 자석들(28)로써 규정된다. 자석들(28)은 (금속) 박판들(21)에서 발생한 자석력이 적용된 전류에 비례하는 비례자석들인 것이 유리할 것이다. 자석들(28)은 2중 기능으로 족할 수 있다. 한편으로는, 기어들(5) 및 박판들(21)의 접촉 압력의 소정의 조정시에 기어들(5)을 자석들(28)로 조정하지 않고서 접촉력 및 제동 효과를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는, 두 개의 자석들(28)은 역시 기어들(5)의 조정없이 박판들(21)을 실걸기 위치(점선으로 표시)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자동 실걸기를 위해서는, 자석들(28)을 여자(勵磁)시키고 동시에 공기 스트림을 공기 유도 통로로 통하게 취입시켜 실선단이 실 제동장치(FL)로 통하게 하는 것으로 충분할 것이다. 실 유도 통로(26)가 충분한 길이를 가지면 박판들(21)상의 웨브들(27)은 필요치 않을 수 있다.
실 제동장치(FL)를 실걸기 위치로 조정하면 실 유도면들은 높아진 박판들(21) 사이의 외측으로부터 움직인다는 것 또한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에 공기 유도 통로(26)은 필요치 않을 것이다.
제11 및 12도는 또다른 실 제동장치(F'L)(층상 제동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는 자동 실걸기에 적합하고, 전술한 양태와 비교하면, 예를 들어 작동성 제동 구성요소(B)로서 단지 하나의 박판(36)만을 특징으로 한다.
버섯 모양의 기본요소(G)에서는, 공기 유도통로(31)는 고정 실고리(1)의 연장선으로 형성되며, 상기 공기 유도 통로는 박판(36)으로 뻗어 나가다가 박판에 거의 평행하게 뻗은 벽(33)에서 타원형 구(40)로 끝난다. 벽(33)은 기본요소(G)의 관모양 구성부분(30)의 일부이며, 상기 관모양 구성부분(30)은 박판(36)의 반대편에서는 기본요소(G)의 끝까지 뻗어있다. 매립부(34)에서 횡핀의 형태로 고정 융기부(35)가 제공되어 있는데, 상기 융기부의 윤곽은 통로(31)의 윤곽보다 단지 약간 위로 돌출되어 있다. 박판(36)의 굽은 말단부는 정상적인 공정 위치에서 융기부(35)위에 얹혀 있다(도면에서 실선으로 표시). 박판(36)은 실걸기 위치로 융기되도록 되어 있다(점선으로 표시). 상기 실걸기 위치에서, 박판(36)의 하부면은 박판의 굽은 말단부로, 융기부(35)의 구부러진 윤곽에 의해 정해진 공기 유도면과 함께, 통로(31)로부터의 공기 스트림을 기본요소(G)의 끝까지로 이끄는 공기 유도면(L)을 경계짓는다. 융기부(35)는 수동 카운터 제동 구성요소(BG)이다. 실걸기 공기 노즐(32)은 자동 실걸기에 요구되는 공기 스트림을 발생하기 위하여 실(Y)의 이동 방향으로 공기 유도 통로(31)로 통해있다.
기본요소 G는 그 위에 횡핀(crosspin; 38)주위를 회전하도록 적용된 암형(armlike) 호울더(29)를 갖고 있다. 호울더(29)는 작동 암(39)에 의해 핀(38) 주위를 회전할 수 있다. 회전이음쇠 베어링이 자동 폐쇄식 형태일 때 유리 것이다. 박판(36)이 고정적으로 (37)에서 암(29)에 부착되어 있다는 사실로 볼 때, 호울더(29)의 회전 위치는 융기부(35)상의 박판(36)의 접촉압력을 정할 것이다. 호울더(29)는 거기에 자석(28) 형태의 구동 수단(A)을 확보하고 있으며, 상기 자석(28)에 의해 박판(36)의 접촉 압력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결과적으로 상기 박판(36)의 실걸기 위치(도면에서 점선으로 표시됨)로의 이동뿐만 아니라 제동 효과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자석력의 범위에 적용되는 예정된 중간 간격은 자석(28)과 박판(36)사이에 제공되어 있다. 그러나, 근본적으로 박판(36) 및 자석(28)은 서로와의 고정된 공간적 관계로 함께 호울더(29)에 부착되어, 호울더(29)의 회전이음쇠 위치와는 관계없이, 자석(28)은 발판(36)에 대해 거의 동일한 위치를 유지할 것이며 자석력은 최적의 효과를 낼 것이다.
제11도에 따른 위치에서 실 Y는 감속된다. 자석(28)이 어느 정도 여자되면 곧 박판(36)은 그 바이어스력과 반대로 작용할 것이고 제동 효과는 감소할 것이다. 실 절단이 일어나면 이를 실 절단 검지기가 검지하여 신호 형태로 알리는데, 박판(36)이 실걸기 위치로 끌어당겨질 때까지 자석(28)은 더욱 더 여자될 것이다. 실걸기 공기 노즐(32)은 거기에 압축 공기를 충당하고 있다. 지정된 강한 공기 스트림은 통로(31)내에서 생성될 것이며, 상기 공기 스트림은 박판(36)의 하부면 및 융기부(35)의 상부면상의 실 유도면들(L)로부터 제11도의 우측면상에 위치한 기본요소의 끝까지 통과한다. 따라서 실고리(1)에서 생긴 흡입 효과는 자동 실걸기를 위해 대기 위치로 유지되어 있는 실의 풀린 선단을 통로(31)로 끌어당길 것이고 실을 실 제동장치(F'L)로 통과시킬 것이다. 실이 적절히 걸려지자마자 자석은 역여자(de-excite)될 것이며, 역여자의 정도는 원하는 제동 효과에 상응하게 되어 박판(36)이 다시 융기부(35)와 접촉되도록 하는 정도이다. 실걸기 공기 노즐(32)에의 압력 적용은 중단될 것이다.
제동 효과를 다양하게 하기 위하여 핀(38)주위의 호울더(29)를 적절한 방법으로 조정하는 것 또한 가능하며,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구동 수단이 이러한 목적으로 제공된다. 실이 절단된 경우, 이러한 구동 수단은 역시 호울더(29)를 회전함으로써 박판(36)을 실걸기 위치로 움직이는데 사용될 수 있다. 실걸기 공기 노즐(34)는 또한 실고리(1)대신에 또는 상기 실 고리 앞에 제공될 수도 있다. 복수개의 노즐 출구들이 통로(31)를 따라 제공되는 것도 역시 생각할 수 있다. 자석(28)은 또한 기본요소내 박판(36)의 반대측에 제공되어 박판(36)에 압력을 적용할 수도 있다.

Claims (20)

  1. 적어도 하나의 반 제동요소에 대하여 실(Y)의 공급방향에 대해 대략 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고, 실이 제동되지 않은 채 이동될 수 있는 소정의 위치까지 조절가능한 다수의 제동위치에서 실에 대해 작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동요소와, 제동요소 조정장치를 구비하는 실제동 장치(FK, FL, FL')에 있어서, 상기 제동요소 조정장치는 상기 실제동 장치(FK, FL, FL')가 소정의 실걸기 위치(threading position)로 제어될 수 있도록 하는 하나의 구동수단(A, 6, 28)을 가지며, 상기 실제동장치에는, 공기의 흐름에 의한 상기 실(Y)의 자동적인 압축공기식 실걸기를 수행하기 위한, 실제동장치를 통해 실(Y)의 실걸기 방향으로 신장하는 하나의 공기유도통로를 형성하는 공기 유도면들(L, 12, 13, 14, 15, 19)이 제공되고, 선택적으로 작동되는 압력공급원(C, 9)이 상기 공기유도 통로에 접속 가능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실 제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동요소(B, 2, 2', 21, 36)를 상기 실걸기 위치로 제어하기 위한 전자기적, 기구적 또는 압축공기식으로 작동하는 구동 수단(A, 6, 28)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동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A)은 실걸기위치까지 제동효과를 변동시키기 위해 계단식으로 또는 비계단식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동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요소(B)는, 상기 제동위치로 제동요소를 압박하는 탄성 바이어스 힘에 대항해 상기 실걸기위치로 상기 구동수단(A)을 통해 일방향으로 조정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실 제동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요소(B)는, 최대 제동위치와 실걸기위치 사이에서 상기 구동수단(A)을 통해 양방향으로 조정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실 제동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A)은 실절단검출기(D)와 상호접속되며, 실이 절단되는 경우에 상기 실제동요소(FK)를 자동적으로 상기 실걸기 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압력 공기원(P, 9)을 바람직하게 작동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실 제동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실걸기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구동수단(A)이 스위치에 의해 또는 수동으로 작동되도록 적용되는 점 및 상기 구동수단(A)의 작동시에 공기유도 통로를 통해 흐르는 공기 스트림이 작동화될 수 있다는 점을 특징으로 하는 실 제동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서로 벌어지도록 적용된 두 개의 지지 암들(3)이 거기에 서로에 관해 이동되는 실 제동 구성요소(B, 2, 2')를 부착하고 있으며, 이때 상기 실제동 구성요소는 실을 벌어진 제동 위치에서 지그재그 방향으로 편향시킴과 아울러, 상기 암들이 서로를 향해 접혀진 지지 암들(3)의 실걸기 위치에서 일직선의 실 통로를 정해주는 점(크로코다이 제동장치), 구동수단(A, 6)이 두 개의 지지 암들(3)에 접속되어 적용되는 점 및 적어도 지지 암들(3) 및/또는 상기 실제동 구성요소(B, 2, 2')가 그 위치에서 협력하는 공기 유도면들(L; 12, 13, 14, 15, 19)을 배치하고 있는 점을 특징으로 하는 실 제동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실 제동 구성요소(B, 2, 2')가 환형 실고리들인 점 및 실고리들이 공기 유도면들(L)을 정해줌과 아울러 실걸기 위치에서 실고리들 간의 간격들(Z)을 메워주는 축 연장선들을 구비하고 있는 점을 특징으로 하는 실 제동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지지 암들(3)이 실걸기 위치에서 실 통로에 외부적으로 접한 공기 유도면들(12, 13, 15)을 그 위에 배치하고 있으며, 이때 상기 공기 유도면들은 바람직하게는 수동적 위치에서 유도 위치를 움직이도록 적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 제동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기본 요소(G)가 그 위에 서로를 향해 접혀지도록 적용된 두 개의 탄성 박판들(21)을 구비하고 있는 점(층상 제동장치) 및 바람직하게는 웨브상의 구조적 모양을 갖는 공기 유도면들(L, 27)이 서로 접한 박판들(21)의 표면들 상에 배치되어 있는 점을 특징으로 하는 실 제동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고정된 실 입구(1)를 갖고 있는 기본요소가 그 위에 반 제동요소로서 고정된 융기부(35)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때 상기 기본요소(G)에 지지되어 상기 융기부(35)를 실걸기 위치까지 및 그 위치로 들어올릴 수 있도록 된 박판(36)은 제동 구성요소(B)로서 상기 융기부와 접촉하도록 적용되어 있는 점 및 박판(36) 및 융기부(35)가 실걸기 위치에서 공기 유도면들(L)을 정해 주는 점을 특징으로 하는 실 제동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기본 요소(G)가 실을 위한 고정 입구(1)의 연장선을 이루는, 바람직하게는, 환형의 공기 유도 통로(26, 31)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실 제동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자석(28)이 융기부(35)에서 떨어져 있는 금속 박판(36)의 면 위에 제공되어 있는 점 및 상기 박판(36)이 상기 자석(28)에 의해 상기 융기부(35)에 관해 이동되도록 적용되는 점을 특징으로 하는 실 제동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자석(28) 및 박판(36)이 예정된 서로간의 연관 관계 및 간격으로 함께 호울더(29)에 부착되어 있는 점 및 박판(36)이 융기부(35)에 대해 눌려 있는 위치와 박판(36)이 들어올려진 위치 사이의 상기 기본요소(G)위에서 호울더(29)가 회전하도록 적용된 점을 특징으로 하는 실 제동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공기 유도 통로쪽으로 향한 하나 이상의 실걸기 공기 노즐(8, 25, 32), 바람직하게는 압력 및/또는 흡입 노즐이 제공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실 제동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실걸기 공기 노즐(25, 32)이 박판(들)(21, 36)을 실걸기 위치로 이동 시키기 위한 구동수단(A)을 정해주는 점 및 상기 실걸기 공기 노즐의 공기 스트림이 실걸기 위치로서 이동 방향으로 박판(들)에 작용하는 점을 특징으로 하는 실 제동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실걸기 공기 노즐(8, 25)이 입구(1)내 또는 그 영역에 배치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실 제동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실걸기 공기 노즐(32)이 공기 유도 통로(31)내에 배치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실 제동장치.
  20. 제16항에 있어서, 조정가능한 취입 방향이 상기 실걸기 공기 노즐에 구비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실 제동장치.
KR1019920700881A 1989-10-16 1990-10-16 실 제동장치 KR1001916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8903414A SE8903414D0 (sv) 1989-10-16 1989-10-16 Fadenbromse
SE9001136-2 1990-03-28
SE8903414-4 1990-03-28
SE9001136A SE9001136D0 (sv) 1990-03-28 1990-03-28 Garnbroms
PCT/EP1990/001749 WO1991005728A1 (de) 1989-10-16 1990-10-16 Fadenbrems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703431A KR920703431A (ko) 1992-12-17
KR100191653B1 true KR100191653B1 (ko) 1999-06-15

Family

ID=26660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700881A KR100191653B1 (ko) 1989-10-16 1990-10-16 실 제동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368244A (ko)
EP (1) EP0495920B1 (ko)
JP (1) JP2932099B2 (ko)
KR (1) KR100191653B1 (ko)
DE (1) DE59004368D1 (ko)
WO (1) WO19910057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26136Y1 (it) * 1991-09-19 1997-04-18 Roy Electrotex Spa Miglioramenti costruttivi per porgitrama per telai di tessitura.
IT1251209B (it) * 1991-09-20 1995-05-04 Lgl Electronics Spa Dispositivo di frenatura autoregolante del filato per apparecchi alimentatori di trama.
DE4131652A1 (de) * 1991-09-23 1993-04-01 Iro Ab Webmaschine und eintragbremse fuer webmaschinen
CH686955A5 (de) * 1992-03-16 1996-08-15 Der Loepfe Ag Geb Fadenbremseinrichtung.
DE4319960A1 (de) * 1993-06-16 1994-12-22 Iro Ab Vorrichtung zum Führen und Bremsen eines Fadens
GB2283762B (en) * 1993-11-11 1997-03-26 Fabio Botturi Yarn feeding device for a loom
IT1284077B1 (it) * 1996-06-27 1998-05-08 Roj Electrotex Nuova Srl Dispositivo frena-filo per macchine tessili
IT1311453B1 (it) * 1999-11-19 2002-03-12 Lgl Electronics Spa Freno di trama compensatore perfezionato.
US8761856B2 (en) 2003-08-01 2014-06-24 Dexcom, Inc. System and methods for processing analyte sensor data
EP1655881B1 (en) * 2004-11-03 2012-01-11 Draeger Medical Systems, Inc. A system for reducing signal interference in modulated signal communication
CZ2011772A3 (cs) * 2011-11-28 2013-01-09 Maschinenfabrik Rieter Ag Zpusob a zarízení k brzdení príze, zejména pri obnovování predení na pracovním míste tryskových doprádacích stroju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22847A (en) * 1939-06-06 1940-11-26 Sipp Eastwood Corp Yarn control means
US2397153A (en) * 1944-01-20 1946-03-26 North American Rayon Corp Adjustable yarn tension device
US2556291A (en) * 1946-09-27 1951-06-12 American Viscose Corp Apparatus for tensioning running strands
DE893321C (de) * 1949-08-03 1953-10-15 Reiners Walter Dr Ing Klauenbremse zum Spannen eines Fadens
US2618445A (en) * 1949-11-09 1952-11-18 Josef Sailer Maschinenfabrik Yarn brake
US2738141A (en) * 1949-12-10 1956-03-13 Deering Milliken Res Corp Compensating device
US2646941A (en) * 1950-09-14 1953-07-28 American Viscose Corp Self-threading, self-cleaning tension device
BE505517A (ko) * 1950-10-25
US2932151A (en) * 1958-03-04 1960-04-12 American Viscose Corp Yarn twister
US3191885A (en) * 1963-09-12 1965-06-29 Steel Heddle Mfg Co Tension device
US3753535A (en) * 1972-10-16 1973-08-21 O Zollinger Yarn tensioning device and method
DE2543018C3 (de) * 1975-09-26 1978-07-27 Hamel Gmbh, Zwirnmaschinen, 4400 Muenster Fadenbremse, insbesondere für Doppeldrahtzwirnspindeln
US4274512A (en) * 1978-01-23 1981-06-23 Poly-Glas Systems Roving brake
DE2903337A1 (de) * 1979-01-29 1980-07-31 Palitex Project Co Gmbh Fadenbremse
US4249580A (en) * 1979-09-20 1981-02-10 Rockwell International Corporation Weft control device
DE3446567C1 (de) * 1984-12-20 1986-05-07 Lindauer Dornier Gmbh, 8990 Lindau Schussfadenbremse mit stufenweise steuerbarer Bremswirkung
US4782653A (en) * 1985-10-15 1988-11-08 Murata Kikai Kabushiki Kaisha Device for displacing a tenser in a two-for-one twister
EP0389410A1 (de) * 1989-03-17 1990-09-26 Sulzer RàœTi Ag Vorrichtung zum Einziehen eines Schussfadens in eine Webmas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368244A (en) 1994-11-29
JPH05502002A (ja) 1993-04-15
WO1991005728A1 (de) 1991-05-02
DE59004368D1 (de) 1994-03-03
KR920703431A (ko) 1992-12-17
EP0495920B1 (de) 1994-01-19
JP2932099B2 (ja) 1999-08-09
EP0495920A1 (de) 1992-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91653B1 (ko) 실 제동장치
WO1991014032A1 (en) Output yarn brake
EP0370066B1 (en) Yarn storing and delivering device
CZ283258B6 (cs) Tkalcovský stav a zanášací brzdička pro tkalcovský stav
US4325314A (en) Thread control mechanism for sewing machines
EP0600297B1 (en) Multicolor embroidery machine
US5351724A (en) Electropneumatic device for the automatic threading of a weft feeding apparatus
US4416041A (en) Apparatus for threading a thread into a texturizing nozzle
JP2863318B2 (ja) 糸の供給方法
JPH02242947A (ja) 織機の緯糸制動装置
US20040149344A1 (en) Thread clamp for a weaving machine and weaving machine comprising such thread clamp
US6161595A (en) Yarn tensioning device
CZ281289B6 (cs) Podavač útku pro skřipcové a jehlové tkací stroje
KR910004211B1 (ko) 재봉틀의 실조절장치
JP2005527707A (ja) 糸の空気式引張装置、および、糸の加工システム
IT8322624A1 (it) Porta-bobina orientabile
JP2002052288A (ja) 多色刺繍ミシン
ITMI961310A1 (it) Dispositivo frena-filo per macchine tessili
WO1996027038A1 (en) Yarn holding device for yarn feeding systems in looms
JP2006298522A (ja) ブレーキ装置
US4492174A (en) Thread control mechanism for sewing machines
JP2961376B2 (ja) 糸貯留及び糸供給装置
JPS60252749A (ja) 空気噴流式織機
JPH08260298A (ja) 織機の緯糸制御方法とその装置
JP3584056B2 (ja) 横編機の編糸保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2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