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88989B1 - 흡수 냉동기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흡수 냉동기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88989B1
KR100188989B1 KR1019960023786A KR19960023786A KR100188989B1 KR 100188989 B1 KR100188989 B1 KR 100188989B1 KR 1019960023786 A KR1019960023786 A KR 1019960023786A KR 19960023786 A KR19960023786 A KR 19960023786A KR 100188989 B1 KR100188989 B1 KR 1001889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control valve
regenerator
control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3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2203A (ko
Inventor
도시유끼 호시노
마사유끼 오오노오
고로 에바라
히데요 이시꼬
마사히꼬 이께모리
Original Assignee
다카노 야스아키
상요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카노 야스아키, 상요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노 야스아키
Publication of KR970002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22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889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889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5/00Sorp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operating continuously, e.g. absorption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4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sorpt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F25B49/043Operating continuous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5/00Sorp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operating continuously, e.g. absorption type
    • F25B15/02Sorp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operating continuously, e.g. absorption type without inert gas
    • F25B15/06Sorp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operating continuously, e.g. absorption type without inert gas the refrigerant being water vapour evaporated from a salt solution, e.g. lithium brom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rption Type Refrigeration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생기에 배관된 열원 유체 공급관의 제어 밸브를 소정의 속도로 개방하는 슬로우 오픈 제어를 행하고, 기동 시의 입열을 제어하는 흡수 냉동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기동 개시 시에 상기 제어 밸브의 소정의 개방도까지는 신속하게 개방하고, 그 후는 상기 소정의 속도로 상기 제어 밸브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동 시의 입열을 제어하는 흡수 냉동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운전 개시 시의 열원 유체 제어 밸브의 동작 지연을 해소해서 기동 시간의 손실을 없애는 동시에, 밸브가 완전 개방된 후에도 저온의 냉동기 본체에 열원 유체가 과잉 유입해서 설비측 보일러 등에 악영향을 미치는 일이 없도록 한다. 기동 스위치가 조작되면, 제어 밸브(36)의 개방도를 먼저 신속하게 20%로 인상하고, 그 후 제어 밸브(36)의 개방도가 70%로 될 때까지는 50%/분의 개구 속도로 개방도를 확대하고, 또한 개방도가 70%를 초과하면 7%/분의 느린 속도로 개방해서 100%에 도달하도록, 제어 밸브(36)를 개폐하는 모터(37)를 제어 장치(30)가 제어하기 때문에, 고온·고압의 수증기가 신속하게 고온 재생기(1)로 공급되지만, 오버슈트가 방지되며, 과잉 입열하는 부적절한 경우는 발생하지 않는다.

Description

흡수 냉동기의 제어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열원 유체 제어 밸브의 제어 요령을 도시한 설명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열원 유체 제어 밸브의 다른 제어 요령을 도시한 설명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열원 유체 제어 밸브의 또 다른 제어 요령을 도시한 설명도.
제4도는 보정 계수(k)의 설정 요령을 도시한 설명도.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의 장치 구성을 도시한 설명도.
제6도는 종래 기술의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고온 재생기 2 : 열원 공급관
3 : 저온 재생기 4 : 응축기
5 : 증발기 6 : 냉매 분배기
7 : 흡수기 8 : 저온 열교환기
9 : 고온 열교환기 30 : 제어 장치
31, 32, 33 : 온도 센서 36 : 제어 밸브
본 발명은 흡수 냉동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흡수 냉동기에 있어서 냉매를 증발 분리하는 재생기에 고온·고압의 수증기 등의 열원 유체를 공급하는 입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재생기, 응축기, 증발기, 흡수기 등을 배관 접속해서 이루어진 냉동 싸이클을 갖는 흡수 냉동기에 있어서, 재생기의 열원으로서 예를 들어 고온·고압의 수증기 등을 이용하는 경우의 기동 시에는, 냉각된 외관 본체에 증기가 과잉 유입되는 일이 없도록, 예를 들어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생기에 배관된 열원 유체 공급관의 제어 밸브를 10분 정도의 긴 시간에 걸쳐 서서히 개방하는, 소위 슬로우 오픈(slow open)제어가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기동 시의 제어 방법으로는 제어 밸브의 특성에 의한 범위 능력(range ability) 및 조임력에 기초한 초기의 동작 지연이 있어서, 기동 시간의 손실이 있었다. 또한, 제어 밸브가 완전 개방된 후에도 냉동기 본체 및 용액의 온도가 낮기 때문에, 증기가 과잉 유입되어 설비측 보일러에 악영향을 미치는 일이 있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 점의 해결이 과제로 되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재생기, 응축기, 증발기, 흡수기 등을 배관 접속해서 이루어진 냉동 싸이클을 갖는 흡수 냉동기에서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재생기에 배관된 열원 유체 공급관의 제어 밸브를 소정의 속도로 개방하는 슬로우 오픈 제어를 행하고, 기동 시의 입열을 제한하는 흡수 냉동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기동 개시 시에 상기 제어 밸브를 소정의 개방도까지는 신속하게 개방하고, 그 후는 상기 소정의 속도로 상기 제어 밸브를 개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재생기, 응축기, 증발기, 흡수기 등을 배관 접속해서 이루어진 냉동 싸이클을 갖는 흡수 냉동기에서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재생기에 배관된 열원 유체 공급관의 제어 밸브를 소정의 속도로 개방하는 슬로우 오픈 제어를 행하고, 기동 시의 입열을 제한하는 흡수 냉동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통상의 운전 상태에서는 정격의 100%을 초과해서 상기 열원 유체가 흐르는 일이 없는 개방도로 상기 제어 밸브를 고정해서 상기 재생기로의 열원 유체의 공급을 개시하고, 그 후 상기 제어 밸브를 상기 열원 유체의 유량이 감소하지 않도록 개방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을 제안한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재생기, 응축기, 증발기, 흡수기 등을 배관 접속해서 이루어진 냉동 싸이클을 갖는 흡수 냉동기에서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재생기에 배관된 열원 유체 공급관의 제어 밸브를 소정의 속도로 개방하는 슬로우 오픈 제어를 행하고, 기동 시의 입열을 제한하는 흡수 냉동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기동 개방 시에 상기 제어 밸브를 소정의 개방도까지는 신속하게 개방하고, 상기 재생기의 온도가 소정의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는 그 개방도를 유지하고, 상기 재생기의 온도가 상기 소정의 온도를 초과한 후 에는 상기 제어 밸브를 상기 소정의 속도로 개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을 제안한 것이다. 또한, 그 소정의 속도를 상기 재생기의 온도에 기초해서 설정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것 중 어느 하나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흡수기와 상기 응축기로 유입되는 냉각수의 온도에 기초해서, 상기 내악수의 온도가 낮을수록 제어밸브의 개구 속도를 작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것 중 어느 하나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재생기에 배관된 열원 유체 공급관의 상기 제어 밸브를, 상기 증발기로부터 냉각해서 취출한 열 조작 유체의 온도에 기초해서 구한 개방도와 상기 재생기의 온도에 기초해서 구한 개방도 중 작은 쪽의 개방도로 제어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해 열원 유체 공급관에 설치된 제어 밸브를 소정의 개방도까지는 신속하게 개방하고, 그 후는 소정의 속도로 개방하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기동 시의 손실이 없어지고, 열원 유체를 신속하게 공급하면서 오버슈트(overshoot)를 방지하고, 열원 유체가 과도하게 유입되는 것이 회피된다.
또한, 정격의 100%을 초과해서 열원 유체가 흐르는 일이 없는 적절한 개방도로 제어 밸브를 고정해서 재생기로의 열원 유체의 공급을 개시하고, 열원 유체의 유량이 감소하지 않게 서서히 개방하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재생기의 온도가 낮을 때에도 열원 유체가 재생기로 과도하게 유입되는 일이 없고, 재생기 온도가 상승해도 재생기로 공급되는 열원 유체의 유입량이 감소되는 부적절한 경우는 회피된다.
또한, 제어 밸브를 소정의 개방도까지는 신속하게 개방하고, 재생기의 온도가 소정의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는 그 개방도를 유지하고, 재생기의 온도가 소정의 온도를 초과하면 제어 밸브를 소정의 속도로 개방하도록 구성하거나, 또는 상기 재생기의 온도에 기초해서 소정의 속도로 개방하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이 경우도 기동 시의 손실이 없어지며, 열원 유체를 신속하게 공급하면서 오버슈트를 방지하고, 열원 유체가 과잉 유입되는 일이 회피된다.
또한, 흡수기와 응축기로 공급하는냉각수의 온도가 저하하면, 응축기에서의 냉매의 응축이 촉진되어 재생기에서의 냉매의 증발 분리 작용이 진행하고, 냉매가 증발하기 쉬워지지만, 냉각수의 온도가 낮을 수록 제어 밸브의개구 속도를 억제하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제어 밸브의 개방도를 한층 더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재생기에 배관된 열원 유체 공급관의 제어 밸브를, 증발기로부터 냉각해서 취출한 열 조작 유체의 온도에 기초해서 구한 개방도 및 재생기의 온도에 기초해서 구한 개방도 중 작은 쪽의 개방도로 제어하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열원 유체의 소비를 삭감하면서 소정의 온도의 냉수를 증발기로부터 취출하는 것이 가능해서 경제적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5도는 예를 들어 냉매로 물, 흡수액(용액)으로 브롬화 리튬(LiBr) 용액을 사용한 흡수 냉동기의 개략 구성도이며, 참조 부호(1)은 고온 재생기로서, 열원 유체 예를 들어 고온·고압의 수증기를 공급하는 열원 공급관(2)이 내부를 경유해서 배관되고, 희석액을 가열함으로써 냉매 증기를 발생시켜 중간액으로 농축한다. 참조 부호(3)은 상기 냉매 증기에 의해 상기 중간액을 가열해서 농축액으로 하는 저온 재생기, 참조 부호(4)는 상기 저온 재생기(3)로부터 공급되는 냉매 증기를 냉각해서 응축하는 응축기, 참조 부호(5)는 냉매 분배기(6)로부터 냉매액을 산포·적하 등을 해서 증발시키는 증발기, 참조 부호(7)은 이 증발기로부터 유입되는 냉매 증기를 상기 저온 재생기(3)로부터 공급되는 농축액에 흡수시켜 기내(器內)를 저압으로 유지하는 흡수기, 참조 부호(8)은 저온 열교환기, 참조 부호(9)는 고온 열교환기로서, 이들은 중간액관(10), 농축액관(11), 흡수액 펌프(12)를 갖는 희석액관(13), 냉매 도관(14), 냉매액관(15), 및 냉매 펌프(16)를 갖는 냉매 순환관(17)에 의해 접속되어, 냉매와 흡수액의 주순환 싸이클을 형성하고, 또한 열회수기(18)가 도면과 같이 배관 접속되어 있어, 상기 증발기(5)의 내부에 배관된 전열관(20)의 관벽을 통해서 냉매의 증발 잠열에 의해 냉각된 열조작 유체, 예를 들어 냉수가 냉수관(21)에 의해 냉방 부하로 되는 소요의 실내 열교환기(도시하지 않음)로 순환 공급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참조 부호(22)는 흡수기(7)와 응축기(4)의 내부를 경유해서 배관된 냉각수관으로서, 이들의 장치 구성 자체는 종래 주지되어 있다.
참조 부호(30)은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흡수 냉동기의 제어 장치로서, 이제어 장치는 고온 재생기(1)의 온도가 충분히 상승하지 않은 장치 기동 시에는 고온 재생기(1)에 설치된 온도 센서(31)가 계측하는 용액 온도(T1)등에 기초해서 제어 밸브(36)를 서서히 개방하는 슬로우 오픈 제어를 행하는 기능과, 냉수관(21)의 증발기(5) 출구측에 설치된 온도 센서(32)가 계측하는 증발기 출구측에서의 냉수의 온도(T2)가 소정의 온도, 예를 들어 7C로 유지되도록 열원 공급관(2)에 설치된 제어 밸브(36)의 개방도를 제어해서, 고온 재생기(1)로 공급하는 고온·고압의 수증기의 유량을 제어하는 용량 제어 기능을 구비하고 있고, 이 용량 제어를 상기 슬로우 오픈 제어에 우선해서 행하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장치(30)는 도시하지 않은 기억부에, 흡수 냉동기를 기동할 때의 제어 밸브(36)의 개방도와 기동 후의 경과 시간과의 관계를, 예를 들어 제1도에서의 실선과 같이 기억하고 있고, 제어 밸브(36)의 개방도가 시간의 경과와 함께 이와 같이 슬로우 오픈 되도록 이 제어 장치(30)로부터 모터(37)에 소요 스텝수가 적절하게 출력되어 제어 밸브(36)의 개방도를 제어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제어 밸브(36)의 개방도는 도시하지 않은 기동 스위치가 조작되면 제어 장치(30)가 제어하는 모터(37)에 의해 먼저 신속하게 20%로 인상되고, 그 후 제어 밸브(36)의 개방도가 70%로 될 때까지는 50%/분의 개구 속도로 개방도를 확대하고, 또한 개방도가 70%를 초과하면 7%/분의 느린 속도로 개방해서 100%에 도달하기 때문에, 고온·고압의 수증기가 제1도에 파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신속하게 고온 재생기(1)로 공급되지만, 오버슈트해서 과잉 유입되는 부적절한 경우를 발생시키는 일은 없다.
그리고, 제어 장치(3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용량 제어를 상기 슬로우 오픈 제어에 우선해서 행하기 때문에, 이 슬로우 오픈 제어 중에 온도 센서(32)가 계측한 냉수 온도(T2)가 소정의 온도( 이 경우 7。C)까지 저하해 가면, 제어 밸브(36)의 개방도가 100%에 도달하지 않아도 상기 온도 센서(32)가 계측한 냉수 온도(T2)가 소정의 온도를 유지하도록 제어 밸브(36)의 개방도가 제어된다.
또한, 제어 밸브(36)를 통과하는 고온·고압의 수증기의 상태에 변화가 없어도, 온도 센서(31)가 계측한 고온 재생기(1)의 용액 온도(T1)가 낮은 경우에는 고온 재생기(1)에서 용액으로 방열하는 열량이 많은 제어 밸브(36)의 하류측 압력 저하 폭이 크기 때문에, 고온 재생기(1)로 공급되는 고온·고압의 수증기의 유량이 증가하고, 역으로 용액 온도(T1)가 상승하면 고온 재생기(1)에서 용액으로 방열하는 열량이 감소하고, 제어 밸브(36)의 하류측에서의 압력 저하 폭이 작아 지기 때문에, 고온 재생기(1)로 공급되는 고온·고압의 수증기의 유량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즉, 밸브의 개방도를 예를 들면 70%로 설정하고 있어도, 고온 재생기(1)의 용액 온도(T1)가 130℃미만일 때에는 고온·고압의 수증기가 기동 시를 제외하고 정격의 대개 100% 유동하고, 용액 온도(T1)가 130℃ 이상으로 되면 온도의 상승에 수반해서 유량이 점점 감소하는제어 밸브(36)가 있다.
이와 같은 유량 특성을 갖는 제어 밸브(36)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온도 센서(31)가 계측한 고온 재생기(1)의 용액 온도(T1)가 130 ℃ 미만일 때에는 제어 밸브(36)의 개방도를 70%로 고정하고, 용액 온도(T1)가 130 ℃ 이상일 때에는 용액 온도(T1)에 기초해서 모터(37)에 부여하는 스텝수를 서서히 증가시키고, 제어 밸브(36)를 서서히 개방함으로써 고온·고압의 수증기를 고온 재생기(1)로 신속하게 유입시키면서도 정격을 초과해서 유입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밸브(36)를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즉 기동 스위치가 조작되면 제어 장치(30)가 제어하는 제어 모터(37)에 의해 먼저 신속하게 20%로 인상하고, 그 후 제어 밸브(36)의 개방도가 70%로 될 때까지는 50%/분의 개구 속도로 개구하고, 그 후는 온도 센서(31)가 계측한 고온 재생기(1)의 용액 온도(T1)가 소정의 온도, 예를 들어 130℃에 도달할 때까지는 70%의 개방도로 고정하고, 용액 온도(T1)가 상기 소정의 130℃를 초과하면, 그 후는 7%/분의 느린 속도로 100%로 인상하도록, 제어 장치(30)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어 밸브(36)의 개방도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서도, 고온 재생기(1)에 유입되는 고온·고압의 수증기는 파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증가하고, 신속하게 증가하지만 오버슈트가 방지되며 과잉 유입하지는 않는다.
또한, 제3도에 도시한 제어 밸브(36)의 개방도를 70%로부터 100%로 인상하는제어 장치(30)의 제어에 있어서, 일정한 페이스가 아니라 온도 센서(31)가 계측한 용액 온도(T1)에 기초해서 인상하도록 제어 장치(30)를 구성할 수도 있다.
제어 밸브(36)의 개방도를 이와 같이 제어해도 고온·고압의 수증기는 신속하게 증가하지만 오버슈트가 방지되고 과잉 유입하지는 않는다.
또한, 냉각수관(22)을 통해 흡수기(7)·응축기(4)로 유입되는 냉각수의 온도가 저하하면, 응축기(4)에서의 냉매의 응축이 촉진되며, 이에 의해 고온 재생기(1)에서의 냉매의 증발 분리 작용이 진행하기 때문에, 열원 공급관(2)에 설치된 제어 밸브(35)의 개방도를 교축할 필요가 있으며, 역으로 냉각수의 온도가 상승하면 고온 재생기(1)에서의 냉매의 증발 분리가 진행하지 않기 때문에, 제어 밸브(36)의 개방도를 크게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냉각수관(22)의 흡수기 입구측에 설치된 온도 센서(33)가 계측한 냉각수 온도(T3)에 기초해서, 보정 계수(k)를 예를 들어 제4도에서의 실선과 같이 설정해 두고, 온도 센서(33)가 소정 시간(예를 들어, 1분간)마다 계측한 냉각수 온도(T3)로 부터 구한 보정 계수(k)를 사용해서 보정하면서 제어 밸브(36)의 개방도를 제어하도록, 제어 장치(30)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어 밸브(36)의 개방도를 제1도의 실선과 같이 제어하는 제어장치(30)에 있어서, 온도 센서(33)가 계측한 냉각수 온도(T3)가 28℃였을 때에는 보정 계수(k)는 앞의 제4도에서 0.8로 구해지기 때문에, 이 값을 곱해서 얻어지는 개방도, 즉 상기 도면에서 일점 쇄선으로 도시된 개방도로 제어 밸브(36)가 제어되로록 제어 장치(30)를 구성하면 보다 정밀도가 높은 제어가 행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 밸브(36)의 개방도를 냉각수 온도(T3)를 가미해서 제어함으로써 한층 정밀도가 높은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기동 시의 슬로우 오픈 제어를 종료하고, 온도 센서(32)가 계측한 증발기 출구측에서의 냉수 온도(T2)를 소정의 예를 들어 7℃로 유지하도록 열원공급관(2)에 설치된 제어 밸브(36)의 개방도를 제어하는 통상 운전 시의 용량 제어에 있어서, 온도 센서(32)가 계측한 냉수 온도(T2)에 기초해서 연산 산출한 제어 밸브(36)의 개방도와, 온도 센서(31)가 계측한 용액 온도(T1)에 기초해서 연산 산출한 제어 밸브(36)의 개방도 중 작은 쪽의 개방도로 제어 밸브(36)의 개방도를 제어하도록 제어 장치(30)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 장치(30)를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고온·고압의 수증기의 소비량을 삭감하면서 소정 온도의 냉수를 냉수관(21)을 통해 도시하지 않은 냉동 부하에 순환 공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취지로부터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의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보정 계수(k)를 제4도에서의 파선과 같이 설정한 경우에는, 이 보정 계수(k)로 나누어 얻어지는 개방도 [예를 들어, 냉각수 온도(T3)가 28℃인 경우는 1.25로 나눈 개방도]로 제어 밸브(36)를 제어하도록 제어 장치(30)를 구성한다. 이와 같이 보정 계수(k)의 설정 방법에 의해 보정 시의 연산 방법은 변한다. 따라서, 보정 계수(k)의 설정 방법에 따라서는 감산·가산법 등에 의해 보정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열원 유체 공급관에 설치된 제어 밸브를 소정의 개방도까지는 신속하게 개방하고, 그 후는 소정의 저속도로 개방 하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기동 시의 손실이 없어지며, 열원 유체를 신속하게 공급하면서 오버슈트를 방지하고, 열원 유체가 과잉 유입되는 일이 회피된다.
또한, 정격의 100%을 초과해서 열원 유체가 흐르는 일이 없는 적절한 개방도로 제어 밸브를 고정해서 재생기로의 열원 유체의 공급을 개시하고, 열원 유체의 유량이 감소하지 않고 서서히 개방하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재생기의 온도가 낮을 때에도 열원 유체가 재생기로 과잉 유입되는 일이 없으며, 재생개 온도가 상승해도 재생기로 공급되는 열원 유체의 유입량이 감소하는 부적절한 경우는 회피된다.
또한, 제어 밸브를 소정의 개방도까지는 신속하게 개방하고, 재생기의 온도가 소정의 온도에 도달할때까지는 그 개방도를 유지하고, 재생기의 온도가 소정의 온도를 초과하면 제어 밸브를 소정의 속도로 개방하도록 구성하거나, 또는 상기 재생기의 온도에 기초해서 소정의 속도로 개방하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이 경우도 기동 시의 손실이 없어지며, 열원 유체를 신속하게 공급하면서 오버슈트를 방지하고, 열원 유체가 과잉 유입되는 일이 회피된다.
또한, 흡수기와 응축기로 공급되는 냉각수의 온도가 저하되면, 응축기에서의냉매의 응축이 촉진되어 재생기에서의 냉매의 증발 분리 작용이 진행하고, 냉매가 증발하기 쉬워지지만, 냉각수의 온도가 낮을수록 제어 밸브의개구 속도를 억제하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제어 밸브의 개방도를 한층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재생기에 배관된 열원 유체 공급관의 제어 밸브를, 증발기로부터 냉각해서 취출한 열 조작 유체의 온도에 기초해서 구한 개방도 및 재생기의 온도에 기초해서 구한 개방도 중 작은 쪽의 개방도로 제어하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열원 유체의 소비를 삭감하면서 소정 온도의 냉수를 증발기로부터 취출하는 것이 가능하며, 경제적이다.

Claims (6)

  1. 재생기, 응축기, 증발기, 흡수기 등을 배관 접속해서 이루어진 냉동 싸이클을 갖는 흡수 냉동기에서이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재생기에 배관된 열원 유체 공급관의 제어 밸브를 소정의 속도로 개방하는 슬로우 오픈 제어를 행하고, 기동 시의 입열을 제어하는 흡수 냉동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기동 개시 시에 상기 제어 밸브를 소정의 개방도까지는 신속하게 개방하고, 그 후는 상기 소정의 속도로 상기 제어 밸브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동 시의 입열을 제어하는 흡수 냉동기의 제어 방법.
  2. 재생기, 응축기, 증발기, 흡수기 등을 배관 접속해서 이루어진 냉동 싸이클을 갖는 흡수 냉동기에서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재생기에 배관된 열원 유체 공급관의 제어 밸브를 소정의 속도로 개방하는 슬로우 오픈 제어를 행하고, 기동 시의 입열을 제한하는 흡수 냉동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기동 개시 시에 상기 제어 밸브를 소정의 개방도까지는 신속하게 개방하고, 상기 재생기의 온도가 소정의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는 그 개방도를 유지하고, 상기 재생기의 온도가 상기 소정의 온도를 초과한 후에는 상기 제어 밸브를 상기 소정의 속도로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동 시의 입열을 제어하는 흡수 냉동기의 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속도를 상기 재생기의 온도에 기초해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냉동기의 제어 방법.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기와 상기 응축기로 유입되는 냉각수의 온도에 기초해서, 상기 냉각수의 온도가 낮을수록 제어 밸브의상기 소정 속도를 작게 하도록 제어하는 것은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5. 재생기, 응축기, 증발기, 흡수기 등을 배관 접속해서 이루어진 냉동 싸이클을 갖는 흡수 냉동기에서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재생기에 배관된 열원 유체 공급관의 제어 밸브를 개폐해서 입열을 제어하는 흡수 냉동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재생기에 배관된 열원 유체 공급관의 제어 밸브를, 상기 증발기로 부터 냉각해서 취출한 열 조작 유체의 온도에 기초해서 구한 개방도와 상기 재생기의 온도에 기초해서 구한 개방도 중 작은 쪽의 개방도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동 시를 제외한 통상 운전 시의 입열을 제어하는 흡수 냉동기의 제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기와 상기 응축기로 유입되는 냉각수의 온도에 기초해서, 상기 냉각수의 온도가 낮을 수록 제어 밸브의 상기 소정 속도를 작게 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KR1019960023786A 1995-06-27 1996-06-26 흡수 냉동기의 제어 방법 KR1001889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6093695A JP3630775B2 (ja) 1995-06-27 1995-06-27 吸収冷凍機の入熱制御方法
JP95-160936 1995-06-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2203A KR970002203A (ko) 1997-01-24
KR100188989B1 true KR100188989B1 (ko) 1999-06-01

Family

ID=15725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3786A KR100188989B1 (ko) 1995-06-27 1996-06-26 흡수 냉동기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782099A (ko)
JP (1) JP3630775B2 (ko)
KR (1) KR100188989B1 (ko)
CN (1) CN115064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01726B1 (en) * 2002-10-29 2004-03-09 Carrier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apacity valve calibration for snapp absorption chiller
JP2004324977A (ja) * 2003-04-24 2004-11-18 Sanyo Electric Co Ltd 吸収式冷凍機
US6983617B2 (en) * 2003-12-31 2006-01-10 Utc Power, Llc Efficient control for smoothly and rapidly starting up an absorption solution system
JP4606255B2 (ja) * 2005-06-09 2011-01-05 三洋電機株式会社 一重二重効用吸収冷凍機の運転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95318A (en) * 1962-04-23 1965-07-20 Trane Co Absorption refrigerating system
US3426548A (en) * 1967-11-13 1969-02-11 Carrier Corp Capacity control for absorption refrigeration systems
US3590593A (en) * 1968-12-20 1971-07-06 Trane Co Steam limiting control for startup of an absorption machine
US3575008A (en) * 1969-06-16 1971-04-13 Trane Co Steam startup stabilizer for an absorption refrigeration machine
US3837174A (en) * 1973-03-16 1974-09-24 Sanyo Electric Co Control device for an absorption system hot and cold water supply apparatus
US4164128A (en) * 1977-10-04 1979-08-14 Borg-Warner Corporation Absorption refrigeration system and control
JPH0670537B2 (ja) * 1982-04-07 1994-09-07 三洋電機株式会社 吸収冷凍機の熱源蒸気流量制御装置
JPS59122871A (ja) * 1982-12-28 1984-07-16 株式会社荏原製作所 吸収冷凍機の結晶防止方法
JPS59125366A (ja) * 1983-01-06 1984-07-19 株式会社荏原製作所 吸収冷凍機の結晶防止方法
JPS6044779A (ja) * 1983-08-22 1985-03-0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吸収式冷凍機
JPH0457166U (ko) * 1990-09-19 1992-05-1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2203A (ko) 1997-01-24
JP3630775B2 (ja) 2005-03-23
US5782099A (en) 1998-07-21
JPH0914785A (ja) 1997-01-17
CN1150641A (zh) 1997-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6706B1 (ko) 1중 2중 효용 흡수 냉동기의 운전 방법
KR100522650B1 (ko) 흡수식 냉동기 및 그 제어 방법
JPS627463B2 (ko)
JPH0849930A (ja) 熱ポンプ装置
KR100188989B1 (ko) 흡수 냉동기의 제어 방법
JP2000171123A (ja) 三重効用吸収冷凍機
KR100193333B1 (ko) 흡수식 냉동기
JP3732893B2 (ja) 吸収冷温水機の制御方法
JPH07104072B2 (ja) 吸収ヒ−トポンプ装置
JP2000274864A (ja) 吸収式冷凍機の制御方法
JPH05248726A (ja) 吸収式冷凍機
JP2858922B2 (ja) 吸収冷温水機の制御装置
JP4278315B2 (ja) 吸収式冷凍機
JP2768630B2 (ja) 吸収式冷凍機
JP3874262B2 (ja) 吸収式と圧縮式とを組合せた冷凍装置
JP2706871B2 (ja) 吸収冷温水機の冷房制御装置
JPS6110139Y2 (ko)
JP3280261B2 (ja) 吸収冷凍装置
JPH0868572A (ja) 二重効用吸収冷凍機
JP2654009B2 (ja) 吸収冷凍機
JPS5986876A (ja) 二重効用吸収冷凍機の制御装置
JPS6223229B2 (ko)
JPH0894203A (ja) 吸収冷凍機の起動制御方法
JPH06341728A (ja) 吸収式冷凍機の制御装置
JP2002364942A (ja) 吸収冷凍機とその起動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9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