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88064B1 - 실상식 변배 파인더 - Google Patents

실상식 변배 파인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88064B1
KR100188064B1 KR1019950002017A KR19950002017A KR100188064B1 KR 100188064 B1 KR100188064 B1 KR 100188064B1 KR 1019950002017 A KR1019950002017 A KR 1019950002017A KR 19950002017 A KR19950002017 A KR 19950002017A KR 100188064 B1 KR100188064 B1 KR 1001880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objective lens
objective
finder
lens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2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3631A (ko
Inventor
데츠야 아베
사치오 하스시타
다카유키 이토
Original Assignee
마츠모토 도루
아사히 고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모토 도루, 아사히 고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모토 도루
Publication of KR950033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36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88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880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5/00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 G02B15/14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 G02B15/16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with interdependent non-linearly related movements between one lens or lens group, and another lens or lens group
    • G02B15/177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with interdependent non-linearly related movements between one lens or lens group, and another lens or lens group having a negative front lens or group of lens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02Viewfinders
    • G03B13/10Viewfinders adjusting viewfinders field
    • G03B13/12Viewfinders adjusting viewfinders field to compensate for change of camera lens or size of pictur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18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with lenses having one or more non-spherical faces, e.g. for reducing geometrical aberr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5/00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 G02B15/14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 G02B15/144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having four groups only
    • G02B15/1441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having four groups only the first group being positive
    • G02B15/144105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having four groups only the first group being positive arranged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02Viewfinders
    • G03B13/06Viewfinders with lenses with or without reflecto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02Viewfinders
    • G03B13/16Viewfinders combined with focusing ai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3/00Telescopes, e.g. binoculars; Periscopes;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Viewfinders; Optical aiming or sighting devices
    • G02B23/14Viewfinders
    • G02B23/145Zoom viewfind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Lenses (AREA)

Abstract

대물렌즈 시스템과: 콘덴서렌즈와: 물체상을 반전하기 위한 4개의 반사면을 가지는 정립광학 시스템과: 접안렌즈 시스템을 가지는 실상식 파인더에 있어서, 대물렌즈 시스템은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부의 제1렌즈 그룹과 정의 제2렌즈 그룹의 2개의 렌즈 그룹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 2개의 렌즈 그룹을 이동으로 변배하고, 상기 정의 제2 렌즈 그룹은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부의 렌즈와 정의 렌즈의 2개의 렌즈로 구성되어 있고, 다음의 조건식을 만족시키는 실상식 변배 파인더를 제공한다. 즉, (1) 2.5 fE/fS4.0; (2) -0.7 fS/f1-0.3 (f10); (3) 0.4 fS/f20.8; (4) -0.3 fS/f2-1-0.05 (f2-10); 여기서, fE는 접안렌즈 시스템의 초점거리, fs는 광각단에 있어서의 대물렌즈 시스템으로부터 콘덴서렌즈까지의 합성초점거리, f1는 대물렌즈 렌즈 시스템의 제1렌즈 그룹의 초점거리, f2는 대물렌즈 렌즈 시스템의 제2렌즈 그룹의 초점거리, f2-1는 대물렌즈 렌즈 시스템의 제2렌즈 그룹 중의 부의 렌즈의 초점거리이다.

Description

실상식 변배 파인더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실상식 변배 파인더의 실시예 1의 광각단에 있어서의 렌즈구성의 도식도.
제2도는 제1도의 렌즈 시스템의 여러 가지 수차 다이어그램.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실상식 변배 파인더의 실시예 1의 망원단에 있어서의 렌즈구성의 도식도.
제4도는 제3도의 렌즈 시스템의 여러 가지 수차 다이어그램.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실상식 변배 파인더의 실시예 2의 광각단에 있어서의 렌즈 구성의 도식도.
제6도는 제5도의 렌즈 시스템의 여러 가지 수차 다이어그램.
제7도는 본 발명에 의한 실상식 변배 파인더의 실시예 2의 망원단에 있어서의 렌즈구성의 도식도.
제8도는 제7도의 렌즈시스템의 여러 가지 수차 다이어그램.
제9도는 본 발명에 의한 실상식 변배 파인더의 실시예 3의 광각단에 있어서의 렌즈구성의 도식도.
제10도는 제9도의 렌즈 시스템의 여러 가지 수차 다이어그램.
제1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실상식 변배 파인더의 실시예3의 망원단에 있어서의 렌즈구성의 도식도.
제12도는 제11도의 렌즈 시스템의 여러 가지 수차 다이어그램.
제1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실상식 변배 파인더의 실시예 4의 광각단에 있어서의 렌즈구성의 도식도.
제14도는 제13도의 렌즈 시스템의 여러 가지 수차 다이어그램.
제15도는 본 발명에 의한 실상식 변배 파인더의 실시예 4의 망원단에 있어서의 렌즈구성의 도식도.
제16도는 제15도의 렌즈 시스템의 여러 가지 수차 다이어그램.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G : 제1렌즈 그룹(대물렌즈 시스템) 2G : 제2렌즈 그룹 (대물렌즈 시스템)
FF : 필드플래트너 CO : 콘덴서렌즈 그룹
E : 접안렌즈 그룹 EP : 아이포인트 (eye point)
본 발명은 콤팩트 카메라 등에 사용되는 실상식 변배 파인더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광각 (wide angle of view), 고변배비(zoom ratio) 및 소형치수를 가지는 실상식 변배 파인더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콤팩트 카메라용의 실상식 변배 파인더에 있어서, 대물렌즈 시스템의 광각단(wide angle extremity)의 반화각(half angle of view)은 30°이하이고, 또 변배비도 약 2배 정도로 작다. 종래의 대물렌즈 시스템에서 광각화와 고변배화를 동시에 달성하기 위해서는, 왜곡수차 및 색수차가 불가피하게 증가되는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대물렌즈 시스템의 프론트렌즈의 직경이나 렌즈의 전체 길이를 증가시키면 되지만, 이는 전체 대물렌즈 시스템의 소형화에 역행하는 일이다. 현재까지는 대물렌즈 시스템의 반화각이 30°이상이고, 3배 정도의 고변배비를 가지는 소형의 실상식 변배 파인더가 알려져 있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파인더의 대물렌즈 시스템의 렌즈구성을 개선함에 의해 광각단의 반화각이 30°이상이고, 또 변배비가 약 3배로 증가된 소형의 실상식 변배 파인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실상식 변배 파인더는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대물렌즈 시스템과, 대물렌즈 시스템에 의해 형성된 물체상을 접안렌즈 시스템에 안내하는 콘덴서렌즈 및 접안렌즈 시스템을 구비한 실상식 변배 파인더에 있어서, 정립광학 시스템(image erecting optical system)을 구비하고, 상기 대물렌즈 시스템은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부(negative power)의 제1렌즈 그룹과 정(positive power)의 제2렌즈 그룹을 포함고, 상기 제1렌즈 그룹 및 제2렌즈 그룹을 이동하여 변배하고, 상기 제2렌즈 그룹은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부의 렌즈(negative lens)와 정의 렌즈(positive lens)로 구성되고, 하기의 조건식(1) 내지 (4)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fE :접안렌즈 시스템의 초점거리,
fs :광각단에 있어서의 상기 대물렌즈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콘덴서렌즈까지의 합성초점거리,
f1 :대물렌즈 시스템의 상기 제1렌즈 그룹의 초점거리,
f2 :대물렌즈 시스템의 제2렌즈 그룹의 초점거리,
f2-1 :대물렌즈 시스템의 제2렌즈 그룹의 상기 부의 렌즈의 초점거리이다.
상기 대물렌즈 시스템의 제1렌즈 그룹은 1개의 양면이 오목한 비구면부의 렌즈 (negative double- concave aspherical lens)로 구성할 수 있고, 이 양면이 오목한 부의 렌즈는 다음의 조건식 (5)내지 (7)을 만족하는 것이다.
여기서 ,
△X1 :양면이 오목한 렌즈의 물체측의 일면의 제1면의 최대 유효경에 있어서의 비구면량,
△X2 :양면이 오목한 렌즈의 상측(image side)의 일면의 제2면의 최대유효경에 있어서의 비구면량,
r1-1 :양면이 오목한 렌즈의 제1면의 근축곡률반경(paraxial radius of curvature)
r1-2: 양면이 오목한 렌즈의 제2면의 근축곡률반경이다.
또한, 대물렌즈 시스템의 제2렌즈 그룹은 다음의 조건식(8)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v2p :제2렌즈 그룹 중의 정의 렌즈의 d 라인의 아베수(Abbe number),
v2n: 제2렌즈 그룹 중의 부의 렌즈의 d 라인의 아베수이다.
본 발명의 실상식 변배 파인더는 상면만곡(field curvature)을 보다 효과적으로 보정하기 위해 대물렌즈 시스템과 콘덴서렌즈의 사이에 정(正)의 초점거리를 가지는 상면만곡 보정의 렌즈(field curvature correcting lens)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면만곡 보정의 렌즈의 적어도 일면이 비구면 (aspherical surface)이면 보다 효과적으로 상면만곡을 보정할 수 있다.
상기 정립광학 시스템의 4개의 반사면 중의 하나는 상기 대물렌즈 시스템과 콘덴서렌즈의 사이에 배치함으로써 변배 파인더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대물렌즈 시스템과 콘덴서 렌즈 사이에 상면만곡 보정의 렌즈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정립광학 시스템의 4개의 반사면 중의 하나는 상기 대물렌즈 시스템과 상면만곡 보정의 렌즈의 사이에 배치하는 것이 바랍직하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실상식 변배 파인더의 대물렌즈 시스템을 광각화(廣角化) 하기 위해서는, 물체 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부의 렌즈 그룹과 정의 렌즈 그룹의 2개의 렌즈 그룹을 구비하는 리트로포커스(retrofocus) 타입의 줌 렌즈를 대물렌즈 시스템으로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광각단의 반화각이 30°이상이고, 변배비가 약 3배이고, 또 프론트렌즈의 직경을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소형의 실상식 변배 파인더를 실현시키기 위해서는 대물렌즈 시스템의 정의 제2렌즈 그룹을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부의 렌즈와 정의 렌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부의 제1렌즈 그룹을 단 1개의 렌즈로 구성해도 왜곡수차를 용이하게 보정할 수 있고, 프론트렌즈의 직경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 제2렌즈 그룹은 2개의 렌즈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파워(power)가 커지더라도 색소거(色消去 : achromatization)를 실시할 수 있고, 높은 변배비를 구비하면서도 소형인 색소거 렌즈 시스템(achromatic lens system)을 얻을 수 있다. 조건식 (1)은 접안렌즈 시스템(eyepiece)에 대한 대물렌즈 시스템의 파워비(power ratio)를 나타낸 것이다. 광각화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대물렌즈 시스템의 파워를 증가 (즉, 초점거리를 감소)해야 한다. 만일, 파워비가 상기 조건식 (1)의 하한을 초과하면 대물렌즈 시스템의 초점거리가 커지고, 30°이상의 반화각을 달성하고자 하는 관점에서 보면 프론트렌즈의 직경이 너무 커지게 된다. 따라서, 파인더의 소형화를 달성할 수 없게 된다.
반대로, 만일 파워비가 상한을 초과하면, 대물렌즈 시스템의 초점거리가 작아지고, 이에 따라 각배율(≒fs/fE)이 지나치게 작아져서 물체가 보이지 않게 되므로 뷰파인더로서 좋지 않다.
조건식 (2), (3)은 대물렌즈 시스템의 제1, 제2렌즈 그룹의 파워 배치를 나타낸 것이다. 만일, 값이 조건식 (2)의 상한보다 크거나 조건식 (3)의 하한보다 작으면, 각 렌즈 그룹의 파워가 지나치게 작아져서 3배 이상의 변배비를 얻을 수 없다. 변배비를 3배 이상으로 하기 위해서는 제1 및 제2렌즈 그룹 사이의 간격을 크게 해야 하므로 프론트렌즈 직경 및 렌즈 전체 길이가 증대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만일, 값이 조건식 (2)의 하한보다 작거나 조건식 (3)의 상한보다 커지면, 렌즈 시스템의 소형화에 유리하지만 색수차보정을 효과적으로 실행할 수 없다.
조건식 (4)는 본 발명의 가장 중요한 특징중의 하나에 따른 대물렌즈 시스템의 제2렌즈 그룹의 렌즈구성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조건식 (3)을 만족하는 충분한 파워를 가지는 제2렌즈 그룹은 색소거렌즈로서의 기능을 하도록 정의 렌즈와 부의 렌즈의 2개의 렌즈로 구성된다. 상기 부의 렌즈는 왜곡수차를 보정하기 위해 정의 렌즈 보다 대물렌즈에 근접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렌즈 배치순서에 의하면 광각단으로부터 망원단까지 대물렌즈 시스템에 의해 발생되는 왜곡수차의 변동을 작게 할 수 있다.
만일, 변배비가 상기 조건식 (4)의 상한을 초과하면, 제2렌즈 그룹의 물체측의 부의 렌즈의 파워가 지나치게 작아져서 왜곡수차를 보정할 수 없다. 또, 변배동작 중에 색수차가 크게 변화한다. 반대로, 변배비가 상기 조건식 (4)의 하한을 초과하면, 파워가 커지므로 구면수차 및 코마수차가 과잉보정되고, 고차수차(high-order aberration)도 발생한다.
조건식 (5)는 대물렌즈 시스템의 부의 제1렌즈 그룹에 관한 것이다. 상기 프론트렌즈 직경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제1렌즈 그룹을 단 1개의 부의 렌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1개의 렌즈로 수차를 보정하기 위해서는 렌즈의 양면을 비구면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곡수차를 보정하기 위해서는, 상기 조건식 (5)를 만족하도록 각 비구면의 형상을 주변부의 부의 표면파워(surface power)가 근축구면(paraxial spherical surface)에 의해 결정되는 형상 보다 작게 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조건식 (2)에 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큰 부파워(negative power)를 1개의 부의 렌즈에 부여하기 위해서는 조건식 (6) 및 (7)을 만족하는 양면이 오목한 형상의 렌즈가 바람직하다.
만일, 값이 조건식 (6) 및 (7)의 상한을 초과하면 제2오목면의 곡률이 커지고(즉, 곡률반경이 작아지고), 망원측의 구면수차가 과잉보정되고, 고차수차가 발생한다. 반대로, 만일 값이 하한을 초과하면, 제1렌즈 그룹의 부의 파워를 나타내는 조건식 (2)를 만족시키기 위해 제1오목면의 곡률을 증가시켜야 하므로, 왜곡수차가 효과적으로 보정될 수 없다.
조건식 (8)은 제2렌즈 그룹의 색소거조건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과 같이 변배비가 큰 렌즈 시스템의 경우에는, 제2렌즈 그룹은 조건식 (8)의 하한 이상의 아베수의 차(difference)를 가지는 정의 렌즈와 부의 렌즈의 조합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상식 변배 파인더에 있어서는 상면만곡(curvature of field)을 보다 효과적으로 보정하기 위해 대물렌즈 시스템과 콘덴서렌즈의 사이에 정의 초점거리를 가지는 상면만곡 보정의 렌즈를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상면만곡 보정용 렌즈는 상면만곡을 보정하는 역할은 물론 접안렌즈 시스템 상에 광을 안내하는 콘덴서렌즈의 역할도 한다. 또, 상면만곡 보정의 렌즈의 적어도 일면을 비구면으로 하면 비점수차 뿐만 아니라 상면 만곡도 용이하게 보정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상식 변배 파인더는 대물렌즈 시스템에 의해 형성된 물체상을 정립시키기 위한 정립광학시스템을 구비할 수 있다. 이 정립광학 시스템은 물체상의 수직 및 수평방향을 반전시키기 위한 4개의 반사면을 구비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정립광학 시스템의 치수를 감소시키기 위해, 이 4개의 반사면 중의 하나를 대물렌즈 시스템과 콘덴서렌즈의 사이(상면만곡 보정의 렌즈가 있는 경우에는 대물렌즈 시스템과 상면만곡 보정의 렌즈의 사이)에 배치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접안렌즈 시스템의 초점거리는 대물렌즈 시스템의 초점거리보다 크다. 따라서, 반사면 중의 하나를 대물렌즈 시스템과 콘덴서렌즈의 사이(상면만곡 보정의 렌즈가 있는 경우에는 대물렌즈 시스템과 상면만곡 보정의 렌즈의 사이)에 배치함으로써 광학적 밸런스를 양호하게 유지하면서도 뷰파인더 전체의 길이를 줄일 수 있다. 즉, 대물렌즈 시스템에 의해 물체상이 형성되는 결상위치의 후측에 4회 반사가 일어나도록 하기 위해서는 접안렌즈 시스템의 초점거리를 증가시켜야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하면, 각배율이 작아지므로 파인더로서 사용할 수 없다. 본 발명과 같이 대물렌즈 시스템의 결상위치의 전반에 1회 반사시키는 것은 각배율을 크게 하는 데에 유리하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반사면 중의 하나를 대물렌즈 시스템과 콘덴서렌즈의 사이 또는 상면만곡 보정의 렌즈가 있는 경우에는 대물렌즈 시스템과 상면만곡 보정의 렌즈의 사이에 배치한다. 단, 대물렌즈 시스템과 콘덴서렌즈의 사이에 반사 시스템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광각단에 있어서의 대물렌즈 시스템의 후방초점거리(back focal distance)를 그 초점거리에 비해 크게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그리고 광각단의 왜곡수차를 보정하기 위해서도 대물렌즈 시스템은 물체측으로부터 차례대로 부의 제1렌즈 그룹과 정의 제2렌즈 그룹으로 구성되는 리트로포커스 타입이 바람직하고, 또한 제2렌즈 그룹도 물체측으로부터 부의 렌즈, 정의 렌즈의 순서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물렌즈에 의한 결상위치는 콘덴서렌즈의 제2면(상측(image side)의 면)의 상부 또는 그 근방에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구체적인 수치데이터(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과 실시예 2의 파인더는 물체측으로부터 차례대로 배치된 제1렌즈 그룹(1G)과 제2렌즈 그룹(2G)으로 구성된 대물렌즈 시스템과, 상면만곡 보정의 렌즈(field flattner)(FF)와, 콘덴서렌즈(CO)와, 프리즘(P)과, 접안렌즈 시스템(E)으로 구성된다. 실시예 3과 실시예 4에서는 상면만곡 보정의 렌즈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정립광학 시스템의 3개의 반사면은 프리즘(P)상에 구비되고, 나머지 1개의 반사면(M)은 대물렌즈 시스템과 상면만곡 보정의 렌즈(FF)와의 사이(실시예 1,2) 또는 대물렌즈 시스템과 콘덴서렌즈(CO)와의 사이(실시예 3,4)에 구비되어 있다.
전체 4개의 실시예에 있어서, 물체측과 접안렌즈(E) 측에는 각각 평행평면판으로 구성된 전방 및 후방 유리 카바(glass covers)(C1및 C2)가 위치해 있다. 전방 유리 카바(C1)에는 면1과 면2가 구비되어 있고, 후방 유리 카바(C2)에는 면17과 면18(실시예1,2) 또는 면15와 면16(실시예 3,4)가 구비되어 있다. 후방의 유리 카바(C2)의 제2면으로부터 12.0㎜만큼 이격된 위치에 아이포인트(eye point)가 위치해 있다. 전체 4개의 실시예에 있어서, 대물렌즈 시스템에 의한 실상은 콘덴서렌즈(CO)의 제2면(상측(image side)의 면)의 상부 또는 그 근방에 결상된다.
[실시예 1]
제1도 내지 제4도는 본 발명의 실상식 변배 파인더의 실시예 1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1도 및 제2도는 각각 광각단에 있어서의 렌즈구성도와 여러 가지 수차의 다이어그램이고, 제3도 및 제4도는 각각 망원단에 있어서의 렌즈구성도와 여러 가지 수차의 다이어 그램이다.
실시예 1의 렌즈 시스템의 수치데이터를 아래의 표1에 기재하였다.
제2도 및 제4도에서,d라인, g라인 및 c라인은 각각 파장에 있어서의 구면수차에 의해 나타나는 색수차와 배율색수차, S는 사지탈레이 (sagittal ray), M은 메리디오널 레이(meridional ray)를 각각 나타낸다.
표 및 도면중, W는 실상각(actual field of view)(°), dp는 디옵터(diopter), M은 배율(각 배율 (angular magnification), E.R.은 아이링(eye ring)의 직경, R은 렌즈의 곡률반경, D는 렌즈두께 또는 렌즈 사이의 간격, Nd는 d라인의 굴절율, vd는 d라인의 아베수(Abbe number)를 나타낸다.
상기 비구면의 형상은 다음의 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Y는 광축으로부터의 높이,
X는 비구면의 정점의 접평면(tangent plane)으로부터의 거리,
C는 비구면의 정점(1/r)의 곡률,
K는 원추상수(conic constant),
A4는 4차 비구면 인자.
A6는 6차 비구면 인자.
A8는 8차 비구면 인자.
A10는 10차 비구면 인자이다.
[실시예 2]
제5도 내지 제8도는 본 발명의 실상식 변배 파인더의 실시예 2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5도와 제6도는 각각 광각단에 있어서의 렌즈구성도와 여러 가지 수차 다이어그램, 제7도와 제8도는 각각 망원단에 있어서의 렌즈구성도와 여러 가지 수차 다이어그램이다. 이 실시예 2의 렌즈 시스템의 구체적인 수치데이타를 아래의 표2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3]
제9도 내지 제12도는 본 발명의 실상식 변배 파인더의 실시예 3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9도와 제10도는 각각 광각단에 있어서의 렌즈구성도와 여러 가지 수차 다이어그램, 제11도와 제12도는 각각 망원단에 있어서의 렌즈구성도와 여러 가지 수차 다이어그램이다. 이 실시예 3의 렌즈 시스템의 구체적 수치 데이터를 아래의 표3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4]
제13도 내지 제16도는 본 발명의 실상식 변배 파인더의 실시예 4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13도와 제14도는 각각 광각단에 있어서의 렌즈구성도와 여러 가지 수차 다이어그램, 제15도와 제16도는 각각 망원단에 있어서의 렌즈구성도와 여러 가지 수차 다이어그램이다. 이 실시예 4의 렌즈 시스템의 구체적 수치 데이터를 아래의 표4 에 기재하였다.
아래의 표 5에는 각 실시예의 조건식 (1) 내지 (8)의 수치를 기재하였다.
표5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의 각 수치는 조건식 (1) 내지 (8)을 만족하고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상식 변배 파인더에서는 저배율시 및 고배율시에 공히 모든 수차가 효과적으로 보정될 수 있다.
상기의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광각단의 변화각이 30°이상이고, 또한 약 3배 정도의 변배비를 가지는 소형의 실상식 변배 파인더를 얻을 수 있다.

Claims (8)

  1.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대물렌즈 시스템과, 콘덴서렌즈 및 접안렌즈 시스템을 구비하고, 또 정립광학 시스템을 구비한 실상식 변배 파인더(a real image type variable power finder)에 있어서, 상기 대물렌즈 시스템은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부의 제1렌즈 그룹과 정의 제2렌즈 그룹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렌즈 그룹 및 제2렌즈 그룹을 이동하여 변배하고, 상기 제2렌즈 그룹은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부의 렌즈와 정의 렌즈로 구성되고, 하기의 조건식(1)내지 (4)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상식 변배 파인더.
    여기서, fE :접안렌즈 시스템의 초점거리, fs :상기 콘덴서렌즈 및 상기 대물렌즈 시스템을 포함하는 렌즈시스템의 광각단에서의 유효초점거리, f1 :대물렌즈 시스템의 상기 제1렌즈 그룹의 초점거리, f2 :대물렌즈 시스템의 상기 제2렌즈 그룹의 초점거리, f2-1 :대물렌즈 시스템의 제2렌즈 그룹의 상기 부의 렌즈의 초점거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물렌즈 시스템의 제1렌즈 그룹은 1개의 양면이 오목한 비구면 부의 렌즈로 구성되고, 하기의 조건식(5) 내지 (7)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상식 변배 파인더.
    여기서, △X1 :양면이 오목한 부의 렌즈의 1면의 최대 유효직경에 있어서의 비구면 편차량, △X2 :양면이 오목한 부의 렌즈의 2면의 최대유효직경에 있어서의 비구면 편차량, r1-1 :양면이 오목한 부의 렌즈의 1면의 근축곡률반경, r1-2: 양면이 오목한 부의 렌즈의 2면의 근축곡률반경.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물렌즈 시스템의 제2렌즈 그룹은 하기의 조건식(8)을 만족하는 실상식 변배 파인더.
    여기서, v2p :제2렌즈 그룹 중의 정의 렌즈의 d- 라인의 아베수(Abbe number), v2n: 제2렌즈 그룹 중의 부의 렌즈의 d- 라인의 아베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물렌즈 시스템과 상기 콘덴서렌즈의 사이에 정의 초점거리의 상면만곡 보정의 렌즈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상식 변배 파인더.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만곡 보정의 렌즈는 적어도 하나의 비구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상식 변배 파인더.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정립 광학 시스템은 상기 대물렌즈 시스템에 의해 형성된 물체의 상을 반전시키기 위한 4개의 반사면을 구비하고, 이 4개의 반사면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대물렌즈 시스템과 상면만곡 보정의 렌즈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상식 변배 파인더.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립 광학 시스템은 상기 대물렌즈 시스템에 의해 형성된 물체의 상을 반전시키기 위한 4개의 반사면을 구비하고, 이 4개의 반사면중의 하나는 상기 대물렌즈 시스템과 상기 콘덴서 렌즈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실상식 변배 파인더.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립 광학 시스템은 거울 및 프리즘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거울은 상기 대물렌즈 시스템과 상기 콘덴서 렌즈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프리즘은 상기 콘덴서 렌즈와 상기 접안렌즈 시스템 사이에 위치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상식 변배 파인더.
KR1019950002017A 1994-02-04 1995-02-04 실상식 변배 파인더 KR1001880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12977 1994-02-04
JP1297794 1994-02-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3631A KR950033631A (ko) 1995-12-26
KR100188064B1 true KR100188064B1 (ko) 1999-06-01

Family

ID=11820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2017A KR100188064B1 (ko) 1994-02-04 1995-02-04 실상식 변배 파인더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513043A (ko)
KR (1) KR100188064B1 (ko)
CN (1) CN1071459C (ko)
DE (1) DE19503612B4 (ko)
FR (1) FR2716015B1 (ko)
GB (1) GB228625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11090B2 (ja) * 1993-07-12 2002-08-05 旭光学工業株式会社 実像式ファインダ
JPH09230244A (ja) * 1996-02-20 1997-09-05 Asahi Optical Co Ltd 実像式ファインダー
JP3306351B2 (ja) * 1997-09-29 2002-07-24 旭光学工業株式会社 実像式変倍ファインダー
JP2009282465A (ja) * 2008-05-26 2009-12-03 Sony Corp ズームレンズ及び撮像装置
JP5506577B2 (ja) * 2010-07-14 2014-05-28 キヤノン株式会社 光学系および光学機器
JP5770292B2 (ja) * 2011-08-15 2015-08-2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実像式変倍ファインダーおよび撮像装置
JP6898601B2 (ja) * 2016-12-09 2021-07-07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観察光学系
KR102041700B1 (ko) * 2018-02-09 2019-11-27 삼성전기주식회사 촬상 광학계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58331A (en) * 1974-11-18 1976-05-21 Asahi Optical Co Ltd Kokakushashinrenzu
JPS5832684B2 (ja) * 1977-07-30 1983-07-14 旭光学工業株式会社 高変倍率を有する広角ズ−ムレンズ系
JP2699394B2 (ja) * 1988-04-07 1998-01-19 ミノルタ株式会社 変倍ファインダー光学系
JP2859275B2 (ja) * 1988-10-26 1999-02-17 旭光学工業株式会社 ズームファインダー
US5191477A (en) * 1990-02-22 1993-03-02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Zoom finder
JP3033139B2 (ja) * 1990-06-19 2000-04-17 ミノルタ株式会社 変倍ファインダー光学系
JPH052139A (ja) * 1990-11-26 1993-01-08 Asahi Optical Co Ltd 正立フアインダー装置
JP3365780B2 (ja) * 1991-08-23 2003-01-14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実像式変倍ファインダー光学系
US5231534A (en) * 1991-01-17 1993-07-27 Olympus Optical Co., Ltd. Real image mode variable magnification finder optical system
JP3164618B2 (ja) * 1991-09-26 2001-05-08 旭光学工業株式会社 実像式変倍ファインダー
US5410430A (en) * 1991-11-25 1995-04-25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Variable power view finder
DE4239603B4 (de) * 1991-11-25 2005-04-21 Pentax Corp. Reellbildvariosuch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716015B1 (fr) 1997-03-14
CN1071459C (zh) 2001-09-19
GB2286253A (en) 1995-08-09
KR950033631A (ko) 1995-12-26
GB2286253B (en) 1997-07-02
GB9502214D0 (en) 1995-03-22
US5513043A (en) 1996-04-30
FR2716015A1 (fr) 1995-08-11
CN1148691A (zh) 1997-04-30
DE19503612A1 (de) 1995-08-10
DE19503612B4 (de) 2004-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2109009A (ja) ケプラー式ズームファインダー光学系
US6919998B2 (en) Observation optical system and observation device
JP3353355B2 (ja) 接眼ズームレンズ系、及び該接眼ズームレンズ系を含む望遠鏡及び双眼鏡
KR100188064B1 (ko) 실상식 변배 파인더
US5132838A (en) Keplerian zoom finder optical system
US20020054437A1 (en) Eyepiece variable focal length optics
JP3311090B2 (ja) 実像式ファインダ
JP3381409B2 (ja) 非球面接眼レンズ
JP4655524B2 (ja) 接眼レンズ
EP0611976B1 (en) Keplerian zoom finder optical system
US6229653B1 (en) Variable-power eyepiece optical system
KR100222594B1 (ko) 실상식 파인더
JP3506796B2 (ja) 実像式変倍ファインダー
US6362924B2 (en) Real-image-type zoom finder
US5712727A (en) Real-image zoom finder
KR100572732B1 (ko) 실상식 파인더
KR19980018310A (ko) 케플러식 배율변환 파인더
KR100236646B1 (ko) 초소형 아포컬 줌 광학계
US6310732B1 (en) Simple power-variable finder
JPH1172706A (ja) 実像式ズームファインダ
JPH0836140A (ja) 広視野接眼レンズ
US5659427A (en) Diopter movement type of finder optical system for single-lens reflex cameras
JP2621254B2 (ja) 一眼レフレックスカメラの接眼レンズ
US3634000A (en) Wide-angle lens comprising eight components
JP2503523B2 (ja) アルバタ式逆ガリレオファイン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