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87399B1 - 엘리베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87399B1
KR100187399B1 KR1019960047673A KR19960047673A KR100187399B1 KR 100187399 B1 KR100187399 B1 KR 100187399B1 KR 1019960047673 A KR1019960047673 A KR 1019960047673A KR 19960047673 A KR19960047673 A KR 19960047673A KR 100187399 B1 KR100187399 B1 KR 1001873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elevator
drive motor
counterweight
br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7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6869A (ko
Inventor
마사모토 미즈노
Original Assignee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기타오카 다카시
Publication of KR970026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68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87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873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8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구동모터는 구조가 강하고 소형이고, 얇어야 하는 브레이크장치는 성능이 좋고, 또 긴급시 구출이 가능한 긴급엘리베이터장치를 얻는다.
엘리베이터 카(1)와 균형추(16)와 균형추에 부착되고 로프(3)를 구동하는 구동모터(17)와 구동모터(17)의 회전을 스프링압으로 제동하는 브레이크장치(18)를 구비하고, 구동모터(17)의 회전에 의해 로프(3)가 구동되고, 균형추(16)가 승강함으로써, 엘리베이터카(1)이 승강하고 브레이크장치(18)에 의해 구동모터(17)의 회전이 제동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장치
제 1도는 이 발명의 한실시의 형태를 표시하는 엘리베이터장치의 구성도.
제 2도는 이 발명의 한 실시의 형태의 엘리베이터장치의 사시도.
제 3도는 제 1도의 표시한 구동모터 및 브레이크장치의 구성을 표시하는 단면도.
제 4도는 제 3도에 표시한 브레이크장치의 상세구성도.
제 5 도는 제 3도에 표시한 구동모터의 2차측에 부착한 영구자석의 구성도.
제 6도는 이 발명의 다른 실시의 형태의 엘리베이터장치의 구성도.
제 7도는 이 발명의 또다른 실시의 형태의 엘리베이터장치의 구성도.
제 8도는 제 7도에 표시한 구동모터의 로프걸기방법의 설명도.
제 9도는 이 발명의 또다른 실시의 형태의 엘리베이터장치의 구성도.
제 10도는 이 발명의 또다른 실시의 형태의 엘리베이터장치의 구성도.
제 11도는 이 발명의 또다른 실시의 형태의 엘리베이터장치의 구성도.
제 12도는 제 1도의 엘리베이터장치에 수동감기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구성도.
제 13도는 제 6도의 엘리베이터장치에 수동감기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장치의 구성도.
제 14도는 제 7도의 엘리베이터장치에 수동감기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장치의 구성도
제 15도는 이 발명의 또다른 실시의 형태의 구동모터의 구성모터의 구성을 표시하는 단면도.
제 16도는 이 발명의 또다른 실시의 형태의 구동모터의 구성을 표시하는 단면도.
제 17도는 제 16도에 표시한 구동모터의 변형을 표시하는 구동모터의 구성을 표시하는 단면도.
제 18도는 이 발명의 또다른 실시의 형태의 구동모터의 구성을 표시하는 단면도.
제 19도는 종래의 원통식 리니어모터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사시도.
제 20도는 종래의 평판식 리니어모터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사시도.
제 21도는 종래의 엘리베이터장치 구성도.
* 부호의 설명
1 : 엘리베이터 카 2 : 카 가드레일
3 : 로프 4 : 반송바퀴
5 : 균형추 6 : 균형추가이드레일
7 : 원통형가동자 8 : 원통형리니어모터
9 : 코럼 13 : 양측식평판리니어유도모터
14 : 가이드레일용 브레이크장치 16 : 균형추
17 : 구동모터 18 : 브레이크장치
19 : 고정부재 24 : 매달린바퀴
25 : 고정부재 26 : 고정부재
27 : 로프 28 : 고정부재
29 : 고정부재 30 : 반송바퀴
31 : 모터샤프트 32 : 2차측요크
33 : 로프홈 34 : 2차도체
35 : 베어링 36 : 1차측전기자요크
37 : 1차측전기자권선 38 : 브레이크용 돌기
39 : 잡는식브레이크 41 : 전자코일
42 : 스프링 43 : 브레이크슈
49 : 영구자석 51 : 반송바퀴
52 : 손으로 감는 핸들장치 61 : 연결부재
62 : 2차측요크 63 : 2차도체
64 : 요크지지부재 65:1차측요크
이 발명은 균형추에 로프가 감기는 홈부를 갖는 회전자를 구비한 구동모터와 브레이크장치를 탑재한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이다.
근년, 일조권등의 문제로 승강로 상부에 설치된 엘리베이터의 기계실을 없이하는 목적으로 로프식엘리베이터의 기계실을 없이하거나 리니어모터 엘리베이터가 개시되어 있다.
그 일예로서 공개특허공보 평 2-159959 「리니어 모터구동방식 엘리베이터의 리니어모터 지지구조」 등에 기재되어 있는 종래의 균형추에 원통형 리니어모터의 전기자를 조립한 엘리베이터장치의 개요를 제 19도에 표시한다.
도면에서 1은 승강로내에서 카 가이드레일(2)에 가이드되어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카, 3은 일단을 카에 연결하고 타단을 반송바퀴(4a),(4b)를 통해서 균형추(5)에 고정한 로프, 6은 균형추(5)를 가이드하는 균형추 가이드레일, 7은 원통형 리니어모터, 8은 원통형 리니어모터(7)의 일차도체로서 기능을 하는 전기자, 9는 전기자(8)를 관통하고 원통형 리니어모터(8)의 2차 도체로서 기능하는 컬럼이다. 10은 컬럼(9)의 상부고정부이고, 11은 하부고정부이고, 12는 균형추(5)에 설치된 브레이크이다.
이와같이 원통형 리니어모터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에서는 균형추에 조립된 리니어모터에 의해 승강하기 때문에, 승강로 상부의 권양기가 필요없게 되어 반송차를 승강로 상부에 부설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원통형 리니어모터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에서는 컬럼(9)의 지지가 상하뿐이므로 승강층수에 제한이 있었다.
이와같은 승강층수의 제한을 없이한 양측식평판 리니어 유도모터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다른 한예로서 일본국 1993년 전기 학회 전국대회 강연논문집 S, 10-3-1 「리니어 드라이브의 AC드라이브응용 (1)리니어모터 엘리베이터」의 제 3도에 기재되어 있는 양측식 평판리니어 유도모터를 응용한 엘리베이터를 제 20도에 표시한다.
도면에서 13은 균형추(5)의 한쪽에 설치된 양측식 평판모터, 14는 균형추 다른쪽에 설치된 가이드레일용 브레이크장치, 15는 리니어유도모터(13)에 끼워진 2차도체인 도전체이다.
또, 제 19도와 같은부호는 동일한것을 표시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설명한 리니어모터 엘리베이터는 승강로 상부의 기계실이 필요하지 않다는 장점이었으나, 한편, 승강로 전장에 2차 도체를 배치해야 하므로, 부설공사비가 비싸고, 또 높은 설치 정밀도를 필요로 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균형추에 부착된 전기자와 2차 도체간의 갭을 크게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모터 효율이 나쁘고, 필요 추력을 내기 위하여 모터의 외형, 구동인버터의 용량이 대형화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같은 문제를 해결하는것으로는 일본국 특개평 7-137963호 공보에 기재된 것이 있다. 이것은 제 21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구동모터(70)가 균형추(5)내에 배치되고, 엘리베이터 구동모터는 2개의 고정자 권선과 적어도 하나의 원반형의 회전자를 갖고, 트렉션 시브가 회전자에 설치되고, 브레이크가 균형추의 측판과 회전자 사이에 설치된 것이다.
그러나 브레이크의 설치장소의 스페이스가 좁고 제동력, 보수 등에 문제가 있고, 또 1차측 고정자 및 2차측 회전자에 권선이 있고, 얇게 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또 트랫션시브의 구조가 약하고, 또 긴급시의 구출장치의 부착의 어려움 등의 문제가 있다.
이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된 것으로, 설치가 용이하고 구동모터는 구조가 강하고 , 브레이크장치는 성능이 높고, 또 긴급시의 구출이 가능한 엘리베이터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장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상부에 배치된 활차에 걸어져 엘리베이터 승강로내에 배치된 로프와, 이 로프의 일단이 고정된 상기 엘리베이터승강로의 상부의 카측고정부재와 상기 활차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로프를 통해서 매달린차와, 이 매달린차에 연결된 엘리베이터 카와, 상기 로프의 타단이 고정된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상부의 균형추측 고정부재와 상기 활차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로프를 통해서 매달린 균형추와, 이 균형추에 설치되고, 상기 로프가 감기는 홈부와 2차도체를 갖는 회전자 및 1차도체를 갖는 고정자를 설치한 모터와 상기 균형추에 설치되고, 상기 균형추용 및 상기 균형추용의 가이드레일을 구속하는 가이드레일용 브레이크 장치를 구비한다.
또, 엘리베이터승강로 상부에 배치된 활차에 걸려서 엘리베이터승강로내에 배치된 로프와, 이 로프의 일단에 연결된 엘리베이터카와, 상기 로프의 타단이 고정된 상기 엘리베이터승강로의 상부의 균형추측 고정부재와, 상기 활차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로프를 통해 매달린 균형추와, 이 균형추에 설치된 상기 로프가 감기는 홈부와 2차도체를 갖는 회전자 및 1차 도체를 갖는 고정차를 설치한 구동모터를 구비한다.
또, 상기 균형추측 고정부재 대신에, 상기 승강로 상부 설치된 활차를 통해 상기 로프의 타단을 승강로 하부에 고정하는 동시에 , 이 상시에 상기 로프의 타단 근방의 로프를 감어줌으로써 엘리베이터의 카를 승강시키는 감는 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또,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상부에 배치된 제 1의 활차에 걸려서 엘리베이터승강로내에 배치된 제 1의 로프와, 이 제 1의 로프의 일단에 연결된 엘리베이터카와 상기 제 1의 로프의 타단에 연결된 균형추와, 일단이 상기 엘리베이터승강로의 상부 고정부재에 고정되어 타단이 엘리베이터승강로의 하부의 하부고정부재에 고정된 제 2의 로프와, 상기 균형추에 설치되어 상기 제 2의 로프가 걸리는 홈과 2차 도체 를 갖는 회전자 및 1차도체를 갖는 고정자를 설치한 구동모터를 구비한 것이다.
또, 엘리베이터승강로의 상부에 배치된 제 1의 활차에 걸려서 엘리베이터승강로내에 배치된 제 1의 로프와, 이 제 1의 로프의 일단에 연결된 엘리베이터카와, 상기 제 1의 로프의 타단에 연결된 균형추와 엘리베이터승강로의 하부에 배치된 감는 수단과, 상기 엘리베이터승강로의 상부에 배치된 제 2의 활차와 상기 감는 수단에 감겨 있는 연속된 제 2의 로프와, 상기 균형추에 설치된 상기 제 2의 로프가 감겨지는 홈부와 2차도체를 갖는 회전자 및 1차도체를 갖는 고정자를 설치한 구동모터를 구비하고, 통상은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상기제 2의 로프를 구동해서 상기 균형추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엘리베이터 카를 승강시켜, 이상시에는 상기 감는 수단에 의해 위 제 2의 로프를 구동해서 상기 균형추를 이동시킴으로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를 승강시키는 것이다.
또, 상기 균형추에 설치되고, 상기 균형추 가이드레일을 구속하는 가이드 레일용 브레이크 장치를 구비한다.
또, 상기 회전자는 양단면이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직교하는 원주형상으로 하고 상기 균형추에 설치된 회전축에 회전 자재롭게 장착되고, 상기 로프홈부는 상기 회전자의 외주에 설치되고, 상기 2차도체를 영구자석 또는 도전재를 부착한 요크철심으로 하는 동시에 상기 회전자의 회전축에 직교하는 단면에 배치하고, 상기 고정자는 원판형상으로 하고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는 동시에 상기 1차도체는 상기 2차도체가 배치된 상기 회전자의 단면에 대향하는 평행한 면에 상기 2차도체에 근접해서 배치되고, 또 상기 회전자의 외측에 설치된 브레이크용 피압압부와, 상기 피압압부를 스프링압에 의해 압압되고 브레이크수단을 구비한다.
또, 상기 회전자는 내외주가 상기 회전축에 평행한 주원통부와 이 원통부의 일단에 고정되고, 상기 균형추에 설치된 회전축에 회전자재로 장착된 원판부를 갖고, 상기 로프 홈부는 상기 원판부의 외주에 설치되고, 상기 2차도체를 영구자석 또는 도전재를 부착한 요크철심으로 하는 동시에 상기 원통부의 내면에 설치하고, 상기 고정자는 외주가 상기 회전축에 평행한 원주형상으로 하고,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는 동시에 상기 회전자의 상기 원통부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1차도체는 상기 고정자의 외주에 상기 2차도체에 근접대향해서 배치되고, 또 상기 회전자의 외측에 설치된 브레이크용 피압압부와, 상기 피압압부를 스프링압에 의해 압압해서 제동하는 브레이크수단을 구비한다.
또, 상기 회전자는 내외주가 상기 회전축에 평행한 원주통부와 이 원통부의 양단에 고정되고, 상기 균형추에 설치된 회전축에 회전 자재하게 장착된 원판부를 갖고, 상기 로프 홈부는 상기 원통부의 외주에 설치되고, 상기 2차도체를 영구자석 또는 도전재를 부착한 요크철심으로 하는 동시에, 상기 원통부의 내면 및 상기 원판부의 내면에 U자 형상으로 배치하고, 상기 고정자는 외주가 상기 회전축에 평행한 원주형상으로 하고,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는 동시에, 상기 회전자의 상기 원통부 및 상기 원판부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1차도체의 권선은 환상권선으로 하고 상기 고정자의 외주 및 양단면에 상기 2차도체에 근접 대향해서 배치된 것이다.
또, 상기 로프홈부는 상기 원통부의 외주에 설치되는 대신에 상기 원판부 외주에 설치된 것이다.
또, 상기 회전자의 외측에 설치된 브레이크용 피압압부와, 상기 피압압부를 스프링압에 의해 압압해서 제동하는 브레이크 수단을 구비한다.
또, 상기 브레이크용 피압압부는 상기 회전자의 외주에 설치된 돌출부로 하고, 상기 브레이크수단은 상기 돌출부의 양측면을 스프링압에 의해 잡고,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을 제동하는 브레이크용 돌출부 집게부를 구비한다.
(실시의 형태1)
본 실시의 형태는 종래의 균형추에 설치된 리니어모터의 전기자 대신에 박형 원반상의 로프가 감겨지는 홈부와, 2차도체를 갖는 회전자를 구비한 구동모터를 부착해서, 그 구동력에 의해 엘리베이터의 카를 구동하도록 한것이다. 이하 이 발명의 한실시형태를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제 1도는 이 발명의 엘리베이터장치의 구성도이고, 제 2도는 엘리베이터의 카측의 반송차를 엘리베이터 카의 배후에 부착한 엘리베이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16은 균형추, 17은 로프(3)을 걸어서 로프(3)를 구동하는 구동모터, 18은 구동모터(17)의 회전자의 외주에 설치된 돌출부의 양측면을 스프링압으로 잡고 제동하는 브레이크장치이다.
19는 균형추측의 로프를 승강로 상부에 고정하는 고정부재이고, 20은 균형추에 설치된 구동모터의 구동용 동력선, 브레이크구동선, 속도, 위치검출용의 속도 피드백용 인코더선 혹은 카내 신호등을 포함한 엘리베이터 케이블이다.
21은 엘리베이터케이블의 건물축의 중계점이다. 22은 엘리베이터케이블의 카밑의 중계점이다. 23은 균형추에 부설된 구동모터의 구동 인버터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제어반이다.
24는 엘리베이터 카(1)에 설치한 매달리 바퀴, 25는 승강로 상부에 설치된 로프(3)의 타단의 고정부재이다.
다른부호는 종래의 리니어모터 엘리베이터장치도(20),(21)와 같아 설명을 생략한다.
또, 제 1도는 균형추 가이드레일 및 롤러는 생략하였다.
또, 제 2도에서는 엘리베이터 카 1측에 부착된 매달린바퀴(24)는 엘리베이터 카(1)의 균형추(16)측의 하부에 설치되고, 승강로상부에 설치된 활차(4)는 균형추 상부(16)에 하나가 되어 있다.
다음에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균형추(16)에 설치된 구동모터(17)가 예를 들어 제 1도에서 우측으로 회전하면 로프(3)의 고정점(19)측의 로프 길이는 실질적으로 짧아지는 결과로서 균형추(16)는 상승한다. 따라서 반송바퀴(4b)측의 로프(3)은 카측으로 이송되게 되고, 이 결과로 카는 하강한다.
구동모터(17)가 역으로 좌회전하면, 로프(3)의 고정점 측(19)의 로프길이는 실질적으로 길어지는 결과가 되어 균형추(16)는 하강하고, 반송바퀴(30)측의 로프(3)는 균형추(16)측으로 이송되게 되어 결과적으로서는 카는 상승한다.
브레이크장치(18)는 구동모터(17)가 회전하기전에 해방시키고 정지후에 작동시켜 엘리베이터를 정지 보존시킨다.
가이드레일용 브레이크장치(14)는 브레이크장치(18)와 병용해도 되고, 또 브레이크 장치(18) 또는 가이드레일용 브레이크장치(14)의 어느 한쪽을 사용해도 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카측 및 균형추측 모두 로핑이 2 : 1이고 , 엘리베이터카 1부와 균형추(16)부의 로프(3)의 진행은 같다.
또, 엘리베이터 카(1)와 균형추(16)의 승강행정은 같아지고, 균형추(16)는 승강행정전장에 걸쳐 이동한다.
다음에 동작원리에 대해 설명한다. 제 1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로프(3)의 각부의 장력을 T1, T2,T3,T4.로 하고, 카 중량을 Wc, 적재중량을 W, 균형추 중량을 Wb(균형추의 틀을 중량 + 구동모터 중량 + 브레이크 중량), 구동모터의 활차에서 로프와 활차가 미끄러지지 않는 상태의 트랙션력을 F(=구동모터토크 T/구동모터회전반경 r)이라 하면,
T1=T2=(W+Wc)/2
T3=(Wb/2)±F(±는 구동모터의 회전방향에 의한다.)
또, 구동모터의 반력은 균형추의 롤러 및 레일에서 받는다.
또,
T4=(Wb/2)±F이므로,
T3+T4=Wb 따라서 , T3, T4 ≤Wb가 되어
T2T3의 경우는 카가 하강하고,
T2=T3의 경우는 카가 정지하고
T2T3경우는 카가 상승한다.
따라서, T2=(W+Wc)/2Wb로 함으로써, 엘리베이터의 승강이 행하여 진다.
여기서 동작조건의 구체예를 표 1에 표시한다.
[표 1]
표 1에 표시한 바와같이 조건식 W+Wc/2Wb가 쉽게 성립할 수가 있다.
다음, 상기한 구동모터의 구성 및 브레이크장치의 상세에 대해 설명한다.
제 3도는 구동모터(17) 및 브레이크장치(18)의 구성을 표시하는 단면도이고, 한쪽식 리니어모터를 원반상으로 둥글게 한 박(薄)형 편평 구동모터를 이용한 것이다.
제 4도는 브레이크 스프링압에 의해 구속되고, 전자석에 의해 개방되는 집게식 브레이크의 상세 구성도이고, 여자되어서 브레이크가 해방되어 있는 상태를 표시한다.
제 3도에서 31은 균형추(16)에 고정되어 있는 구동모터의 샤프트, 32는 철등으로 구성된 박형편평 구동모터의 회전자인 2차측요크로 이루어지고, 요크의 외주에는 로프를 감기위한 로프홈부(33)가 설치되어 있고 구동모터의 자로가 되는 동시에, 로프에 추진력을 전달하는 구동활차와, 트랙션을 구비한 권양기의 역할을 하고 있다. 34는 2차측요크(32)와 일체화된 2차도체이고, 유도기의 경우는 알미늄, 동등으로 구성된다. 이 구동모터의 2차측은 균형추에 고정된 모터샤프트(31)와는 베어링(35)을 통해서 관통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구동모터의 2차측은 구동모터의 샤프트(31)의 주위를 회전하는구성으로 되어 있다.
36은 구동모터의 샤프트(31)에 고정된 1차측 전기자의 요크이다.
37은 1차측 전기자 권선이다.
38은 2차측요크(32)에 설치된 브레이크용의 돌출부, 39는 브레이크용의 돌출부(38)를 끼고 제동하는 잡는식브레이크이고, 40은 균형추(16)에 설치된 틀체이다.
제 4도에서 41은 전자석의 코일이다. 42는 전자석(41)의 여자가 차단되어 있는 경우에 브레이크슈(43)에 의해 브레이크용의 돌출부(38)를 잡는 힘을 발생하는 스프링이다.
44는 전자석의 뚜껑(45)과 전자석의 코일측의 철심(46)과 브레이크암(47)을 연결하는 축핀이다.
48은 브레이크 잡기식 브레이크(39)를 균형추(16)에 보존하는 축핀이다. 2쌍의 브레이크암(47)은 축핀(48)을 중심으로해서 브레이크용의 돌출부(38)의 구속과 개방동작을 한다.
다음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의 형태의 구동모터(17)는 한쪽식 리니어모터를 원방상으로 둥글게 한것으로, 동작원리는 리니어모터와 같고, 2차측 요크(32)가 히전하며, 2차측 요크(32)의 외주에 설치된 로프홈(33)에 감겨진 로프(도시않음)에 의해 균형추(16)가 감아 올려진다.
2차측요크(32)에 설치된 브레이크용의 돌출부(38)을 잡는식브레이크(39)가 잡어줌으로써, 2차측 요크(32)의 회전이 제동되어 균형추(16)의 승강이 정지된다.
잡는식브레이크(39)는 제 4도에 표시된 스프링(42)이 전자석의 코일(41)의 여자가 차단되어 있을 때에 브레이크슈(43)가 브레이크용의 돌출부(37)를 잡고 2차측요크(32)의 회전을 제동하고, 전자석의 코일(41)을 여자함으로써 브레이크용 돌출부(38)가 브레이크슈(43)으로부터 해방되어 회전가능해진다.
제 3도에서 L는 구동모터의 직경이고, d1은 1차측 전기자(35)의 두께이고, d1는 2차측의 전기자(32)의 두께이다.
g는 구동모터의 1차, 2차측간의 갭이다. d(=d1+d2+g)는 구동모터 전체의 두께이다. 본실시형태의 편평모터는 균형추(16)에 탑재되므로, 구동모터의 두께d를 작게 하고, 즉 1차, 2차 요크의 쇠의 두께를 얇게 할 필요가 있으므로, 일반적으로 갭자속은 작게해서 다극구성의 구동모터로해서 필요 모터토크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구동모터의 직경 L은 통상의 구동모터와 비교하면 크다.
그러나, 이상과같은 구성의 다이렉트 드라이브모터에서는 승강로 전장에 2차 도체를 설치해서 직선적으로 구동하는 리니어모터와 비교해서, 1차, 2차 요크가 동일축상에 조립되므로 기구적으로 갭 g를 작게 할 수가 있고, 또 2차측에 통상의 회전 구동모터와 같은 구성으로 할 수가 있으므로, 고효울, 소형의 구동모터구성으로 할 수가 있다. 또 추력을 증가하기 위해 통상의 유도모터와 같이 라더구조(사다리상태의 알미 합금의 2차도체의 철편을 끼워넣어 투자율구조를 좋게 한다)도 쉽게 가능해진다.
따라서, 균형추의 두께를 종래의 리니어모터 엘리베이터와 같이 박형으로 할 수가 있다.
또, 구동모터의 시브부에 가하는 하중은 직접베어링(35)에 걸리는 구성이므로, 하중에 대해 강도를 크게 할 수가 있다.
또, 제 5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2차 도체대신에 영구자석(49)을 2차측에 부착해, 리니어모터에서는 승강로 전장에 영구자석이 필요하므로, 실질적으로 불가능했던 동기 전동기로 함으로써, 유도기구성과 비교해 보다 고효율, 소형의 모터구성으로 할 수가 있다. 또 제 5도에서는 고정 1차측을 3상권선으로한 8극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브레이크는 구동모터(17)의 브레이크장치(18) 또는 가이드레일용 브레이크(14)의 어느 한쪽을 사용하거나 이들을 병용해서 브레이크의 성능을 높여도 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승강로 상부에 기계실이 필요없게 되고, 또 승강로 전장에 걸처 2차도체가 필요치 않고, 설치도 쉽게 할 수가 있고 또 구동모터를 구조가 강하고 고효율이고, 소형인 동시에 얇은 형태의 것으로 할 수가 있으며, 또 브레이크의 성능을 높은 것으로 할 수가 있다.
(실시의 형태2)
이하, 이 발명의 다른 실시의 형태를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본 실시의 형태는 실시의 형태 1을 표시하는 제 1도의 카(1)에 설치한 매달린바퀴(24)및 고정부재(25)를 생략하고 로프(3)를 카(1)에 직접 고정한 것이다.
제 6도는 엘리베이터장치의 구성도이고, 실시의 형태 1을 표시하는 제 1도 및 종래예를 표시하는 제 20도와 동일한 부호는 같은 것을 표시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에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동작은 실시의 형태 1과 같이 구동모터(17)에 의해 로프(13)가 구동됨으로써 엘리베이터 카(1)가 승강한다.
이때, 균형추(16)의 승강행정은 엘리베이터 카(1)의 승강공정의 반이다.
또, 브레이크는 구동모터의(17) 브레이크장치(18) 또는 가이드레일용 브레이크(14)의 어느 한쪽을 사용하거나, 이들을 병용해서 브레이크의 성능을 높여도 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승강로상부에 기계실이 필요없고 또 승강로전장에 걸쳐 2차도체가 불필요하고, 설치도 쉽게 할 수 있고 또 구동모터를 구조는 강하고, 고효율의 소형이고 얇은 형태의 것으로 할 수 있고, 또 브레이크의 성능을 높은 것으로 할 수 있다.
(실시의 형태 3)
이하, 이 발명의 다른 한실시의 형태를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본 실시의 형태는 카(1)를 매달은 로프와 균형추(16)를 매달은 로프와는 별개의 것을 사용한 것이다.
제 7도는 본실시의 형태를 표시하는 엘리베이터장치의 구성도이고, 도면에서 26은 로프(3)를 균형추(16)에 고정하는 고정부재, 27은 일단이 승강로상부의 고정부재(28)에 고정되고, 타단이 승강로하부의 고정부재(29)에 고정되고, 또 균형추(16)에 설치된 구동모터(17)에 감겨있는 로프이다.
실시의 형태 1의 제 1도와 같은 부호는 같은 것을 나타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의 형태 1과 같이 균형추(16)에 부설된 구동모터(17)를 회전시킴으로서 균형추를 승강시켜 엘리베이터 카(1)를 승강시킨다.
균형추(16)에 부설된 구동모터의 용량은 승객의 변화를 가미한 카의 중량,과 균형추(16)의 중량의 차이분을 구동하는 용량이 있으면 된다.
다음에 균형추의 로프를 거는 방법의 상세한 것을 제 8도에 표시한다.
제 8도는(a)는 로프를 승강로상부의 고정부재(28)와 접속된 로프(27a), 승강로하부의 고정부재(29)와 접속된 (27b)로 분리해, 각각 균형추(16)에 설치된 구동모터(17)의 회전자의 2차측요크(32)에 감은 것이다.
제 8도 (b)는 로프(27)를 균형추(16)에 설치된 구동모터(17)의 회전자의 2차측요크(32)에 감은 것이다.
제 8도(c), (d), (e)는 로프를 균형추(16)에 설치된 구동모터의 회전자의 2차측 요크(32)와 균형추(16)에 설치된 반송바퀴(30)를 경유해서 균형추(16)에 추력을 전달하는 기구이다.
제 8도 (e)는 제 8도(d)의 로프(27) 걸기의 측면에서 본 상세도이다. 또 여기서 반송바퀴(30)를 구동모터와 다른 것으로 하였으나, 2대의 구동모터로서 2대째의 2차측 요크로 해도 된다. 이때 한대당의 소요토크는 작게되 소형화를 기대할 수가 있다.
제 8도(a), (b)에 표시하는 구성에서는 로프 (27)가 나선상태로 걸리기 때문에 승강에 따라 로프(27)의 위치가 구동활차(17a)의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결점이 있으나, 제 8도(c), (d),(e)의 구성시에는 이 결점이 없다.
또, 브레이크는 구동모터(17)의 브레이크장치(18) 또는 가이드레일용 브레이크(14)의 어느 한쪽을 사용하거나 이들을 병용해서 브레이크의 성능을 높여도 된다.
이상과 같이 카 및 균형추를 매다는 로프와 구동로프를 따로따로 하였으므로, 각각의 로프에 맞는 로프를 적용할 수가 있다.
또, 각각의 로프의 길이가 짧고, 교환작업 등이 용이하다.
또, 제 7도의 다른 구성을 제 9도에 표시한다. 제 7도의 구성에 상부반송 바퀴(51a), 하부반송바퀴(51b) 및 균형추(16) 하부의 반송바퀴(51c)를 추가한 것이고, 로프를 상부고정점(28), 구동모터, 상부반송바퀴((51a),하부반송바퀴(51b), 반송바퀴(51c) 및 하부고정부(29)의 각각 사이에 장력을 갖게 해 배치한 것이다.
이 구성에서는 로프(27)를 구동모터(17)에 180번이상 감을 수가 있으므로 트랙션을 내기 쉽다.
또, 제 10도에서는 제 9도의 구성으로 구동모터(17)와 반송바퀴(51)를 상하반대로 한것이고, 제9도의 구성과 같은 효과가 있다.
또, 제 11도는 제 7도의 구성에 디플렉터 휠(deflector wheel)(4C),(4D)를 추가한 것으로, 디플렉터 휠(4C), 4(D)의 위치에 의해 매달린차에 감긴 로프의 접촉각을 증가함으로써 제 7도로부터 트랙션을 증가할 수가 있고, 제 9도 제 10도로부터 트랙션을 내기 힘든 구성이 간단하게 된다.
(실시의 형태 4)
본 실시의 형태는 실시의 형태 1~3에서 설명한 엘리베이터장치에 구출용 수동 감는장치를 부착한 것이다.
제 12도, 제 13도의 실시 형태 1,2를 표시하는 제 1도 제 6도에 표시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승강로상부의 고프고정부제(19)대신에 반송바퀴(51)를 두고, 로프(3)를 승강로 하부에 설치된 수동감는장치(52)에 고정한다. 수동감는장치(52)는 로프(3)를 감아주고, 회전을 방지하는(도시않음)등의 드럼(52)와, 큰 감속비를 갖는 감속기(도시않음)을 통해서 설치된 수동핸들(52b)을 구비한 것이다. 수동감는장치(52)는 통상, 회전방지 등에 의해 회전하지 않도록 되어 있으나, 엘리베이터장치가 이상정지시에 브레이크장치(18)를 해방해도 동작하지 않을 때는 회전방지를 빼내고 가이드브레이크장치(14)를 작동시킨대로 두고, 수동핸들장치(52)에 의해 로프(3)를감거나 또는 풀어주어 구출한다.
또, 제 14도에서는 실시형태(3)의 제 7도에 표시한 엘리베이터장치의 제 2의 로프 (27)의 승강로상부의 고정부재(28) 대신에 반송바퀴(51)를 설치하고, 승강로하부의 고정부재(29) 대신에 수동감는장치(52)를 부착한 것이다.
제 2의 로프(27)는 균형추(16)에 부설된 구동모터(17)를 경유해서 반송바퀴(51), 수동감는장치(52)의 반송바퀴(52a)에 접속되어 있다.
제 12도, 제 13도와 같이 수동감는장치(52)는 통상, 회전방지에 의해 회전하지 않도록 되었으나 엘리베이터장치가 이상정지시에는 균형추(16)에 설치된 브레이크(17)를 개방해도 동작하지 않을 때는 회전방지를 빼고, 수동핸들(52b)에 의해 로프(27)를 감어 구출한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손으로 감는 수동감는장치를 표시하였으나, 구동모터를 이용한 감는장치를 사용해도 된다. 이상과같이 엘리베이터장치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구출을 안전하게 할 수가 있다.
(실시의 형태 5)
이하, 균형추에 설치된 구동모터의 다른 실시의 형태를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본 실시의 형태는 1차측의 전기자 권선 및 2차측의 2차도체를 각각 2조씩 설치한 것이다. 제 15도(a)는 구동모터의 단면도이고, 모터샤프트(31)에 대해 직각인 양측면에 1차도체(37a),(37b)를 갖는 1차측 전기자권선(36a), (34b)를 설치하고, 이 1차 측전기자권선(36a), (36b)에 각각 대향하고, 1차, 2차간의 자도가 회전축에 평행이 되도록 2차도체(34a)(34b)를 갖는 2차측요크(32a)(32b)를 설치하고 2차측요크(32a), (32b)를 연결부재(61)로 연결한 것이다.
2차측요크(32a),(32b)의 외주는 로프를 거는 트랙션을 갖는 로프홈부(33a),(33b)가 설치되고, 2차측요크(32a)에는 브레이크용의 돌출부(38)가 설치되어 있다.
(35a), (35b)는 2차측요크(32a),(31b)를 모터샤프트(31)에 회전 자재하게 장착하는 베어링이다.
제 15도(b)는 기본적으로 제 15도(a)의 구성과 같은 것이나 로프를 거는 트랙션을 갖는 로프홈(33)을 연결부재(61)의 외주에 설치한 것이다.
제 15도(c)는 제 15도(a), 15도(b)에 표시한 편평모터의 1차측, 2차측을 역으로 한 것이고, 2조의 1차측요크(36a), (36b)사이에 2차측요크(32)가 장착되어 있다.
이 구성은 구동모터에 관한 하중이 모터갭에 걸리지 않고 직접베어링에 걸리는 구성이기 때문에 모터갭의 좁은구성으로 할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이, 구동모터를 구조가 강하고 고효율의 소형이고, 박형의 것으로 할 수가 있다.
(실시의 형태6)
실시의 형태 5에서는 1차측권선이 모터샤프트와 직각방향으로 감겨져 있는 구동모터를 표시하였으나,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통상모터와같이 모터샤프트와 평행하게 감겨진 1차권선이 고정자인 1차측요크에 감겨진 드럼상의 박형 아우터로터 모터를 이용한 구동모터에 대해 설명한다.
제 16도(a)는 구동모터의 사시도, 제 16도(b)는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62는 구동활차(32)에 연결된 원통형의 회전부인 2차측요크이고, 63은 2차측요크(62)의 내측면에 모터샤프트(31)와 평행하게 부착된 2차도체이다. 64는 모터샤프트(31)에 고정되고, 2차도체(63)에 근접대향해서 모터샤프트(31)에 평행하게 부착된 1차측요크(65)를 지지하는 1차측 요크지지부재이다.
이상과 같이 아우터로터 모터에서는 1차, 2차간의 갭의 자로가 회전축에 평행하게 되어 있다.
또, 실시의 형태 1의 제2도의 부호와 같은 것은 모두 같은 것을 표시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동작은 실시의 형태 4와 같다. d3는 구동부의 두께이다.
전술한 바와같이 이 방향의 두께를 얇게 할 필요가 있으므로 본실시 형태의 구동모터도 직경 L방향으로 크게, 원주가 큰 다극모터구성으로해 필요추력을 발생시킬 필요가 있다.
이 구동모터의 구성도 로프를 거는 로프홈이 모터갭상에 없기 때문에 구동모터에 걸리는 하중이 모터갭에 걸리지 않고 직접베어링에 걸리는 구성이므로, 모터갭이 좁은 구성으로 할 수가 있다.
또, 제 17도에 제 16도를 약간 변형한 다른 드럼상의 박형아우터로터 모터를 이용한 구동모터를 표시한다.
제 17도(a)는 로프를 거는 로프홈(33)을 아우터로터 모터의 갭위의 2차측요크상에 구성해서 박형으로 한 것이다.
도면에서, 서로 대향하는 2조의 2차측요크(32a),(32b)를 연결하는 원통형상의 연결요크(61)의 외주에는 로프홈(33)이 설치되어 있다. 2차측요크(32a), (32b)간에는 모터샤프트(31)에 평행이고, 또 2차도체에 근접 대향하는 1차코일(37)을 부착한 1차측요크가 장착되어 있다.
제 17도(b)는 로프를 거는 로프홈(33)을 2조의 2차측요크(32a), (32b)의 외주에서 베어링(35a), (35b)에 대응하는 부분에 설치한 것이다. 이들 구동모터의 구성도 로프를 거는 로프홈이 모터갭상에 있어, 모터에 걸리는 하중이 모터갭에 걸리지 않으므로 직접베어링에 걸리는 구성으로되어 모터갭이 좁은 구성으로 할 수가 있다.
또, 이 구성의 경우도 실시의 형태 1의 제 4도에 표시한 구성과 같이 2차도체부(32)에 영구자석을 사용해 동기전동기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구동모터를 구조가 강하고, 고효율, 소형, 박형의 것으로 할 수가 있다.
(실시의 형태7)
본실시의 형태는 실시의 형태 5의 제 15도(b)와 실시의 형태(6)의 제 17도(a)에 표시한 구동모터를 조합한 것으로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제 18도(a)는 본실시의 형태의 구동모터의 단면도, 제 18도(b)는 1차측요크의 권선도이다.
제 18도(a)에서 67은 모터샤프트(31)에 고정된 1차측요크, 68은 제 18도(b)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환상 감기로한 권선으로 모터샤프트(31)에 평행한 1차측요크의 외주 및 모터샤프트(31)에 평행한 1차측요크의 외주 및 모트샤프트(31)에 직각인 1차측요크의 양측면에 감겨져 있다.
69는 권선(68)의 3면을 감싸는것 같이 2차측요크(32a), (32b) 및 2차측 연결요크에 설치된 단면이 U형의 2차도체이다. 이 구성에 의해 추력발생부가 U형 2차도체(69)의 3면에서 가능하므로, 1차권선의 유효권선부 면적이 크고, 2차 4측의 유효면적도 크므로, 폭d4를 얇게 해도 직경 L를 실시의 형태 6의 제17도에서 표시한 구성보다 작게 할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이 구동모터를 구조가 강하고, 또 고효율이고, 소형이면서 얇은 형태의 것으로 할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이, 이 발명에 의하면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상부에 배치된 활차에 감겨져 엘리베이터 승강로내에 배치된 로프와 이 로프의 일단이 고정된 상기 엘리베이터승강로의 상부의 카측고정부재와 상기 활차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로프를 통해서 매달린차와 이 매달린차에 연결된 엘리베이터 카와 상기 로프의 타단이 고정된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상부의 균형추측 고정부재와 상기 활차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로프를 통해서 매달린 균형추와, 이 균형추에 설치되고 상기 로프가 감겨진 홈부와 2차도체를 갖는 회전자 및 1차도체를 갖는 고정자를 설치는 구동모터를 구비하였으므로, 설치를 쉽게 할 수가 있고, 구동모터를 소형이고 얇은 형태의 것으로 할 수가 있다.
또, 엘리베이터승강로의 상부에 배치된 활차에 감겨져 엘리베이터 승강로내에 배치된 로프와 이 로프의 일단에 연결된 엘리베이타카와, 상기 로프의 타단이 고정된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상부의 균형추측 고정부재와 상기 활차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로프를 통해서 매달린 균형추와, 이 균형추에 설치되어 상기 로프가 감겨지는 홈부와 2차도체를 갖는 회전자 및 1차 도체를 갖는 고정자를 설치한 구동모터를 구비하였으므로 설치를 쉽게 할 수가 있고 구동모터의 구조를 소형이고 얇은 형태의 구동모터로 할 수가 있다.
또, 상기 균형추측 고정부재 대신에, 상기 승강로 상부에 설치된 활차를 통해 상기 로프의 타단을 승강로 하부에 고정하는 동시에 이상시에 상기 로프의 타단근방의 로프를 감기 위해 엘리베이터의 카를 승강시키는 감는 수단을 구비하였으므로, 엘리베이터장치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구출을 안전하게 할 수가 있다.
또, 엘리베이터승강로의 상부에 배치된 제 1의 활차에 결려서 엘리베이터승강로내에 배치된 제1의 로프와, 이 제 1의 로프의 일단에 연결된 엘리베이터카와 상기 제 1의 로프의 타단에 연결된 균형추와,
일단이 상기 엘리베이터승강로의 상부의 상부고정부재에 고정되어 타단이 엘리베이터승강로의 하부의 하부고정부재에 고정된 제 2의 로프와 상기 균형추에 설치되고, 상기 제 2의 로프가 감겨지는 홈부와 2차도체를 갖는 회전자 및 1차도체를 갖는 고정자를 설치한 구동모터를 구비하였으므로 카를 매달은 로프와 균형추를 매다는 로프를 별개로 하였으므로, 로프의 수명이 길고, 또 로프의 길이가 짧고, 설치가 쉽고 교환도 따로따로 할 수가 있다.
또, 엘리베이터승강로의 상부에 배치된 제 1의 활차에 감겨져 엘리베이터승강로내에 배치된 제 1의 로프와 이 제 1의 로프의 일단에 연결된 엘리베이터카와, 상기 제 1의 로프의 타단에 연결된 균형추와, 엘리베이터승강로의 하부에 배치된 감는 수단과, 상기 엘리베이터승강로의 상부에 배치된 제 2의 활차와 상기 감는 수단에 감겨진 연속된 제 2의 로프와, 상기 균형추에 설치되고, 상기 제 2의 로프가 감겨지는 홈부와 2차도체를 갖는 회전자 및 1차 도체를 갖는 고정자를 설치한 구동모터를 구비하고 통상은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상기 제 2의 로프를 구동해서 상기 균형추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엘리베이터카를 승강시켜 이상시에는 상기 감는 수단에 의해 위 제2의 로프를 구동해서 상기 균형추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엘리베이터카를 승강시키는 것이므로, 엘리베이터장치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구출을 안전하게 할 수가 있다.
또, 상기 균형추에 설치되고 상기 균형추의 가이드레일을 구속하는 가이드레일용 브레이크장치를 구비하였으므로 브레이크성능을 높일 수가 있다.
또, 상기 회전자는 양단면이 상기 회전축방향으로 직교하는 원주형상으로 하고, 상기 균형추에 설치된 회전축에 회전자재하게 장착되고, 상기 로프홈부는 상기 회전자의 외주에 설치되고, 상기 2차도체를 영구자석 또는 도전재를 부착한 요크철심으로 하는 동시에 상기 회전자의 회전축에 직교하는 단면에 배치하고 상기 고정자는 원판형상으로 하고,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는 동시에 상기 1차도체는 상기 2차도체가 배치된 상기 회전자의 단면에 대향하는 평행한 면에 상기 2차도체에 근접해서 배치되어, 또 상기 회전자의 외측에 설치된 브레이크용 피압압부와 상기 피압압부를 스프링압에 의해 압압해서 제동하는 브레이크수단을 구비하였으므로 구동모터를 구조가 강하고 고효율이고, 소형이고 얇은 형태의 것으로 할 수 있고 또 브레이크성능을 높일 수가 있다.
또, 상기 회전자는 내외주가 상기 회전축에 평행한 주원통부와 이 원통부의 일단에 고정되고, 상기 균형추에 설치된 회전축에 회전자재롭게 장착된 원판부를 갖고, 상기 로프 홈부는 상기 원판부의 외주에 설치되고, 상기 2차도체를 영구자석 또는 도전재를 부착한 요크철심으로 하는 동시에 상기 원통부의 내면에 배치하고, 상기 고정자는 외주가 상기 회전축에 평행한 원주형상으로 하고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는 동시에 상기 회전자의 상기 원통부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1차도체는 상기 고정자의 외주에 상기 2차도체에 근접 대향해서 배치되고, 또 상기 회전자의 외측에 설치된 브레이크용 피압압부와, 상기 피압압부를 스프링압에 의해 압압해서 제동하는 브레이크수단을 구비하였으므로 구동모터를 구조가 강하고 , 고효율이고, 소형인 동시에 얇은 형태의 것으로 할 수가 있고, 또 브레이크 성능을 높일 수가 있다.
또, 상기 회전자는 내외주가 상기 회전축에 평행한 주원통부와 이 원통부의 양단에 고정되고 상기 균형추에 설치된 회전자재하게 장착된 원판부를 갖고, 상기 로프홈부는 상기 원통부의 외주에 설치되고, 상기 2차도체를 영구자석, 또는 도전재를 부착한 요크철심으로 하는 동시에 상기 원통부의 내면 및 상기 원판부의 내면에 U자형상으로 배치하고, 상기 고정자는 외주가 상기 회전축에 평행한 원주형상으로 하고,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는 동시에 상기 회전자의 상기 원통부 및 상기 원판부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1차도체의 권선은 환상권선으로 하고 상기 고정자의 외주 및 양단면에 상기 2차도체에 근접대향해서 배치되었으므로, 구동모터를 구조가 강하고, 고효율의 소형 박형의 것으로 할 수 있다.
또, 상기 로프홈부는 상기 원통부의 외주에 설치되는 대신에 상기 원판부 외주에 설치되었으므로, 구동모터를 구조가 강하고, 고효율이고, 소형 박형의 것으로 할 수가 있다.
또, 상기 회전자의 외측에 설치된 브레이크용 피압압부와, 상기 피압압부를 스프링압에 의해 압압해서 제동하는 브레이크수단을 구비하였으므로 브레이크성능을 높일수가 있다.
또, 상기 브레이크용 피압압는 상기 회전자의 외주에 돌출된 돌출부로해, 상기 브레이크수단은 상기 돌출부의 양측면을 스프링압에 의해 잡고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을 제동하는 브레이크용 돌출부를 구비하였으므로 브레이크 성능을 높일 수가 있다.

Claims (3)

  1.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상부에 배치된 활차에 감겨져 엘리베이터승강로내에 배치된 로프와, 이 로프의 1단에 연결된 엘리베이터 카와,
    상기 로프의 타단이 고정된 상기 엘리베이터승강로의 상부의 균형추측 고정부재와 상기 활차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로프를 통해서 매달린 균형추와,
    이 균형추에 설치된 상기 로프가 감기는 홈부와, 2차도체를 갖는 회전자 및 1차도체를 갖는 고정자를 설치한 구동모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장치.
  2. 엘리베이터승강로의 상부에 배치된 활차에 감겨져 엘리베이터승강로내에 배치된 로프와,
    이 로프의 일단이 고정된 상기 엘리베이터승강로의 상부의 카측고정부재와 상기 활차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로프를 통해서 매달린 차와,
    이 매달린차에 연결된 엘리베이터카와,
    상기 로프의 타단이 고정된 상기 엘리베이터승강로의 상부의 균형추측 고정부재와 상기 할차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로프를 통해서 매달린 균형추와
    이 균형추에 설치되고, 상기 로프가 감겨지는 홈부와 2차도체를 갖는 회전자 및 1차도체를 갖는 고정자를 설치한 구동모터와,
    상기 균형추에 설치되고, 상기 균형추용 가이드레일을 구속하는 가이드레일용 브레이크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균형추측 고정부재대신에, 상기 승강로상부에 설치된 활차를 통해 상기 로프의 타단을 승강로 하부에 고정하는 동시에 이상시에 상기 로프의 타단근방의 로프를 감어줌으로써 엘리베이터의 카를 승강시키는 감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장치.
KR1019960047673A 1995-11-06 1996-10-23 엘리베이터 장치 KR1001873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8729595A JP3225811B2 (ja) 1995-11-06 1995-11-06 エレベータ装置
JP95-287295 1995-11-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6869A KR970026869A (ko) 1997-06-24
KR100187399B1 true KR100187399B1 (ko) 1999-04-15

Family

ID=1771553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7673A KR100187399B1 (ko) 1995-11-06 1996-10-23 엘리베이터 장치
KR1019960047674A KR100208425B1 (ko) 1995-11-06 1996-10-23 엘리베이터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7674A KR100208425B1 (ko) 1995-11-06 1996-10-23 엘리베이터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225811B2 (ko)
KR (2) KR100187399B1 (ko)
CN (2) CN1257832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20021959A (fi) * 2002-11-04 2004-05-05 Kone Corp Hissi
US6247557B1 (en) * 1998-04-28 2001-06-19 Kabushiki Kaisha Toshiba Traction type elevator apparatus
JP3241325B2 (ja) 1998-07-31 2001-12-25 日本電気株式会社 電気二重層コンデンサ
WO2000035800A1 (fr) * 1998-12-11 2000-06-22 Kabushiki Kaisha Toshiba Ascenseur
WO2000053520A1 (fr) * 1999-03-08 2000-09-14 Hitachi, Ltd. Ascenseur
JP3489578B2 (ja) * 1999-12-06 2004-01-19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装置
CN1295131C (zh) * 1999-12-06 2007-01-17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装置
EP1215156A1 (de) * 2000-12-13 2002-06-19 Inventio Ag Aufzug mit Antrieb an der Kabine
JP3915414B2 (ja) 2001-02-21 2007-05-1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
EP1367017B1 (en) 2001-03-08 2010-05-26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Elevator
WO2002094701A1 (fr) * 2001-05-24 2002-11-28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Appareil de levage
WO2004024610A1 (ja) * 2002-09-13 2004-03-25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エレベータのかご固定装置
EP1588974A4 (en) * 2003-01-28 2011-06-01 Mitsubishi Electric Corp LIFT DEVICE
JP4657612B2 (ja) * 2003-03-06 2011-03-23 インベンテイオ・アクテイエンゲゼルシヤフト エレベータ
ES2245189B1 (es) * 2003-07-29 2007-02-16 Autur, S.A. Elevador.
JP4900971B2 (ja) * 2008-11-05 2012-03-21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システム
EP2678258B1 (en) * 2011-02-23 2022-05-04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ystem including a 4:1 roping arrangement
CN105600650A (zh) * 2016-03-15 2016-05-25 西北工业大学 一种电梯自动配重节能控制装置
CN108059059A (zh) * 2017-11-28 2018-05-22 杨富云 螺杆电梯及其制动控制方法
CN108534724B (zh) * 2018-05-04 2024-04-12 苏州市职业大学 自动检测电梯安装精度的装置
CN110654951A (zh) * 2019-09-27 2020-01-07 日立电梯(中国)有限公司 电梯平衡救援装置及电梯平衡救援系统
CN117800189B (zh) * 2024-03-01 2024-05-10 福建天行电缆有限公司 一种建筑施工升降机电缆限位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9124259A (ja) 1997-05-13
CN1154608C (zh) 2004-06-23
CN1149549A (zh) 1997-05-14
KR970026870A (ko) 1997-06-24
KR970026869A (ko) 1997-06-24
CN1257832C (zh) 2006-05-31
KR100208425B1 (ko) 1999-07-15
CN1502542A (zh) 2004-06-09
JP3225811B2 (ja) 2001-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87399B1 (ko) 엘리베이터 장치
CA2126491C (en) Elevator drive machinery disposed in the counterweight
US5566785A (en) Elevator drive machine placed in the counterweight
JP3152034B2 (ja) トラクションシーブ式エレベータ装置
JP3571746B2 (ja) カウンタウエイト内に配置したエレベータモータ
JPH09202571A (ja) エレベータ用の駆動システム
EP1144297A1 (en) Elevator machine with counter-rotating rotors
JP3148610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4530544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H01271381A (ja) エレベーター制御装置
JP3225960B2 (ja) エレベータ用巻上装置
CN102198907B (zh) 电梯用薄型卷扬机以及电梯设备
WO2004035450A1 (ja) エレベータの駆動装置
CN107618964B (zh) 电梯用卷扬机以及电梯装置
JP3148755B2 (ja) エレベータ装置
CA1207676A (en) Hoisting machine for elevators
JP4475017B2 (ja) エレベータの巻き上げ機
JP3149416B2 (ja) エレベータ用巻上機
KR20000031329A (ko)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KR20170127236A (ko) 엘리베이터 권상기
JPH0891741A (ja) リニアモ−タエレベ−タ装置
JP2000309477A (ja) トラクションシーブ式エレベータ装置
JPS63351B2 (ko)
WO2008032527A1 (fr) Treuil pour ascenseur
JPH09255261A (ja) エレベータ用円筒形リニアモ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2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