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86679B1 - 디지탈-아날로그 변환회로 - Google Patents

디지탈-아날로그 변환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86679B1
KR100186679B1 KR1019960035500A KR19960035500A KR100186679B1 KR 100186679 B1 KR100186679 B1 KR 100186679B1 KR 1019960035500 A KR1019960035500 A KR 1019960035500A KR 19960035500 A KR19960035500 A KR 19960035500A KR 100186679 B1 KR100186679 B1 KR 1001866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circuit
voltage
output
conver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5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3784A (ko
Inventor
가즈히토 후지이
노부타카 기타가와
Original Assignee
니시무로 타이조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시무로 타이조,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니시무로 타이조
Publication of KR970013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37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86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866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03M1/66Digital/analogue converters
    • H03M1/68Digital/analogue converters with conversions of different sensitivity, i.e. one conversion relating to the more significant digital bits and another conversion to the less significant bits
    • H03M1/682Digital/analogue converters with conversions of different sensitivity, i.e. one conversion relating to the more significant digital bits and another conversion to the less significant bits both converters being of the unary decoded typ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03M1/12Analogue/digital convert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03M1/66Digital/analogue converters
    • H03M1/68Digital/analogue converters with conversions of different sensitivity, i.e. one conversion relating to the more significant digital bits and another conversion to the less significant bits
    • H03M1/682Digital/analogue converters with conversions of different sensitivity, i.e. one conversion relating to the more significant digital bits and another conversion to the less significant bits both converters being of the unary decoded type
    • H03M1/685Digital/analogue converters with conversions of different sensitivity, i.e. one conversion relating to the more significant digital bits and another conversion to the less significant bits both converters being of the unary decoded type the quantisation value generators of both converters being arranged in a common two-dimensional array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03M1/66Digital/analogue converters
    • H03M1/74Simultaneous convers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03M1/66Digital/analogue converters
    • H03M1/74Simultaneous conversion
    • H03M1/76Simultaneous conversion using switching tree
    • H03M1/765Simultaneous conversion using switching tree using a single level of switches which are controlled by unary decoded digital signals

Abstract

변환 비트수가 많은 경우에도 소정의 아날로그 전압을 고정밀도로 출력할 수 있으며, 작은 패턴 면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DA 변환회로를 제공한다.
디지탈 입력 코드의 상위 비트 신호를 DA 변환한 전압 Va를 제 2 출력 노드(12)에 출력하고, 이 출력보다 소정치 높은 전압 Vb를 제 1 출력 노드(11)에 출력하는 DA 변환회로부(10)와, 이 2개의 출력 노드의 전압과 함께 디지탈 입력 코드의 하위 비트 신호를 디코딩한 결과에 따라서 복수개의 출력 노드중의 일부에 제 1 출력 노드의 전압을 선택하여 출력하고, 나머지 출력 노드에 제 2 출력 노드의 전압을 선택하여 출력하는 접속 전환제어 회로(20)와, 이 복수개의 출력 노드의 전압이 복수개의 정입력 단자(+)에 대응하여 입력되고 복수개의 부입력 단자(-)와 1개의 출력 단자(31)가 공통으로 접속되어 있는 다중입력 연산 증폭회로(3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지탈-아날로그 변환회로
본 발명은 반도체 집적 회로에 형성되는 디지탈ㆍ아날로그(DA) 변환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트링 저항 방식 DA 변환회로부와 러더 저항 방식 DA 변환회로부를 이용한 복합형의 DA 변환회로에 관한 것으로, 예컨대 CMOS 구조의 1 칩 마이크로 컴퓨터/컨트롤러(이하, 마이크로 컴퓨터라고 함)에 이용된다.
일반적으로, 마이크로 컴퓨터 내부에서 여러가지의 디지탈 신호를 처리한 후에 아날로그량으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DA 변환회로가 사용된다. 마이크로 컴퓨터에 내장되는 DA 변환회로에는 주로, R-2R 러더 저항 방식과 스트링 저항 방식이 있다. 마이크로 컴퓨터에 내장되는 DA 변환회로에 요구되는 것은 높은 변환 정밀도, 작은 패턴 면적(저비용), 그리고 노이즈 강도등이고, 최근은 변환 비트수가 많은 다중비트 구성의 DA 변환에 대한 요구가 강하다.
변환 비트수가 적은 DA 변환회로로서는 어떤 방식도 유효하지만, 변환 비트수가 많은 DA 변환회로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고정밀도로 실현하기가 곤란하며 패턴 면적이 증대되는 문제가 있다. 예컨대 8 비트 이상의 DA 변환회로를 구성할 때, 러더 저항 방식은 스트링 저항 방식과 비교하여, 단조증가성(單調 增加性)은 뒤떨어지지만 패턴 면적(칩상의 점유 면적)은 작다는 이점이 있고, 성능과 패턴 면적과는 트레이드 오프(trade off)의 관계가 있다.
또, DA 변환회로의 성능으로서는 주로, 분해능력, 절대정밀도, 단조증가성의 3 요소가 중요하며 이들에 관해서 간단히 설명한다.
DA 변환회로의 분해능력이란, 디지탈 입력의 2진 코드 비트수가 n인 경우에, 디지탈 입력의 모든 영역(20~2n)에서 아날로그 출력을 공급할 수 있는 능력을 나타낸다.
DA 변환회로의 절대정밀도란 변환 출력의 실제값과 이상값으로부터의 오차이고, 주로 사용 환경이나 제조시의 저항값의 변동에 의해 생긴다. 이 절대정밀도는 디지탈 입력값이 i인 경우의 아날로그 출력 전압을 V(i)라 하고, 아날로그 출력 전압의 하한치를 VREFL라 하고, 아날로그 출력 전압의 상한치를 VREFH라 하며, 디지탈 코드 입력의 비트수를 n으로 표시하면, VREFL=0일 때에는 수학식 1, VREFL=0이 아닌 때에는 수학식 2로 표시된다.
[수학식 1]
[수학식 2]
DA 변환회로의 단조증가성이란 디지탈 입력의 모든 영역에서 디지탈 입력의 값이 i 인 경우의 아날로그 출력 전압 V(i)와 디지탈 입력의 값이 (i+1)인 경우의 아날로그 출력 전압 V(i+1)과의 관계가 수학식 3을 충족시킬 수 있는 능력을 나타낸다.
[수학식 3]
상술한 분해능력, 절대정밀도, 단조증가성의 3요소 중 어느 것이 가장 중요한가는 DA 변환회로의 용도에 의존한다. 예컨대 컬러 액정 표시 장치의 표시 제어에 사용되는 RGB 성분의 여러 비트에 대한 각각의 디지탈 신호를 아날로그량으로 변환하고 컬러 액정 표시 구동 회로에 출력하여 다채로운 색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단조증가성이 가장 중요하다. 즉, RGB 성분의 각 디지탈 신호의 값을 서서히 크게해 가는 경우, DA 변환회로의 단조증가성이 양호하면 표시 화면상의 색은 서서히 밝아지지만, DA 변환회로의 단조증가성이 손상되어 있으면 표시 화면상의 색은 일시적으로 어두워진다는 부적합함이 생긴다.
다음에, 상기 러더 저항 방식과 스트링 저항 방식에 관해서 간단히 설명한다.
도 11은 예컨대 6 비트용의 러더 저항 방식 DA 변환회로의 일예를 도시한다. 여기서, 80은 CMOS 인버터 회로, 81은 저항치 R를 가지는 저항 소자, 82는 저항치 2R를 가지는 저항 소자, B0~B5는 디지탈 입력이다.
다음에, 상기 러더 저항형 DA 변환회로의 패턴 면적에 관해서 간단히 설명한다. 디지탈 입력의 2진 코드의 비트수가 n, 오프셋 입력의 비트수가 1인 경우에 CMOS 인버터 회로(80)의 필요수는 2(n+1)개이고, 저항치 R을 갖는 저항 소자 81로 환산한 경우의 저항 소자의 필요수는 n-1+2(n+1)=(3n+1)개이다.
또한, 디지탈 코드 입력이 1비트 증가할 때마다, 항상, CMOS 인버터 회로(80)의 필요수가 2개 증가하고, 저항 소자 81로 환산한 경우의 필요수가 3개 증가한다.
이것으로부터, 러더 저항 방식 DA 변환회로는 패턴 면적이 작고, 변환 비트수의 증가에 대한 패턴 면적의 증가는 적은 것을 알 수 있다.
또, 러더 저항 방식 DA 변환회로의 특성으로서, 단조증가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저항 소자(81 및 82)의 저항치의 비율을 엄밀하게 1:2로 유지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저항 소자(82)에는 저항치 2R 이외에 CMOS 인버터 회로(80) 중의 MOS 트랜지스터의 온저항치가 가산되고, 저항치 2R에 오차가 포함되며, 또한 저항 자신의 불균형에 의해 변환오차가 생긴다. 또한, 상기 트랜지스터의 온저항치의 영향은 변환 비트수가 많아질수록 커진다.
도 12는 러더 저항 방식 DA 변환회로의 단조증가성을 보장 가능한 범위내에서의 저항 소자 82의 저항치 2R의 오차와 디지탈 코드 입력의 비트수 n과의 관계를 나타낸다. 이 그래프로부터 디지탈 코드 입력의 비트수 n이 예컨대 10정도가 된다고 하면, 저항치 R과 2R 각각의 상대 오차가 0.2%이내의 범위가 아니면 단조증가성을 보장할 수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경우, 저항치 2R의 오차에 관련된 MOS 트랜지스터의 온저항치는 마이크로 컴퓨터의 사용 조건(주위 온도나 전원 전압등)에 의해 변동하기 때문에, 러더 저항 방식 DA 변환회로를 다중비트 구성으로 실현하는 것은 부적합하다. 만약, 러더 저항 방식 DA 변환회로를 다중비트 구성으로 실현하기 위해서는 상기 MOS 트랜지스터의 온저항치의 변동과, 저항 자신의 불균형의 상대 오차를 어떤 허용 범위 이내로 억제할 필요가 있으며, 그것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상기 MOS 트랜지스터를 병렬 접속구성으로 하여 그 온저항치를 내릴 필요가 있지만, 이것에 의해서 패턴 면적이 증가해 버린다. 또한, 저항 자신의 불균형에 의해, 다중비트 구성인 경우 단조증가성이 나빠진다.
즉, 러더 저항형 DA 변환회로는 디지탈 코드 입력의 비트수 n이 적은 경우에는 패턴 면적이 작지만, 비트수 n이 많은 경우에는 단조증가성 또는 패턴 면적의 관점에서 사용하기가 곤란하다.
한편, 도 13은 예컨대 10 비트용 스트링 저항 방식 DA 변환회로의 일예를 도시한다. 여기서, 100은 각각 10 비트 입력용 부정 논리곱 회로로 이루어지는 디코더회로, 101은 각각 CMOS 인버터 회로, 102는 각각 CMOS 트랜스퍼 게이트 회로, Rstr는 각각 저항치 R를 가지는 저항 소자이다. 상기 저항 소자 Rstr은 아날로그 출력 전압의 상한치 VREFH가 인가되는 제 1 전압 노드와 아날로그 출력 전압의 하한치 VREFL이 인가되는 제 2 전압 노드와의 사이에 직렬로 접속되어 저항 스트링을 구성하고 있다.
상기 스트링 저항 방식 DA 변환회로는 저항 스트링에 의해 복수로 분할된 전압을 선택적으로 취출하기 때문에, 정밀도는 높고 단조증가성이 우수하다.
다음에, 상기 스트링 저항 방식 DA 변환회로의 패턴 면적에 관해서 간단히 설명한다. CMOS 트랜스퍼게이트 회로(102)의 MOS 트랜지스터를 CMOS 인버터 회로(101)의 1개분, 10 비트 입력용의 부정 논리곱 회로(100)를 CMOS 인버터 회로(101)의 10개분으로 하여 환산하면, 디지탈 입력의 2진 코드의 비트수가 n인 경우에, CMOS 인버터 회로(101)에 환산한 경우의 필요수는 (n+2)×2n개이고, 저항 소자 Rstr의 필요수는 2n개인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10 비트용 스트링 저항 방식 DA 변환회로의 경우에는, CMOS 인버터 회로(101)에 환산한 경우의 필요수=12288, 저항 소자 Rstr의 필요수=1024이다.
또한, 11비트용 스트링 저항 방식 DA 변환회로의 경우에는, CMOS 인버터회로(101)에 환산한 경우의 필요수=24576, 저항 소자 Rstr의 필요수=2048이고, 디지탈 코드 입력이 1비트 증가할 때마다, CMOS 인버터 회로, 저항소자의 필요수가 각각 2배로 증가한다.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스트링 저항 방식 DA 변환회로는 디지탈 코드 입력의 비트수 n이 많은 경우에는 사용 소자수가 대폭 증가하고, 이것에 의해서 배선도 대폭 증가하며, 패턴 면적이 현저히 증대한다. 또한, 상기 배선에 존재하는 저항 성분의 변동에 따라서 오차가 증가한다. 즉, 스트링 저항 방식 DA 변환회로는 디지탈 코드 입력의 비트수 n이 적은 경우에는 정밀도가 높지만, 디지탈 코드 입력의 비트수 n이 많은 경우에는 패턴 면적 및 정밀도의 관점에서 사용하는 것이 곤란하다.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스트링 저항 방식 또는 러더 저항 방식의 DA 변환회로는 변환 비트수가 적은 경우에는 정밀도 및 패턴 면적의 문제는 적지만, 변환 비트수가 많은 경우에는 패턴 면적 및 정밀도의 관점에서 사용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도록 이루어진 것으로, 변환 비트수가 많은 경우에도 소정의 아날로그 전압을 고정밀도로 출력할 수 있으며, 작은 패턴 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DA 변환회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DA 변환회로의 기본 구성의 일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도 1 중의 DA 변환회로부의 동작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해서, n 비트의 디지탈 입력 코드중 상위 비트와 DA 변환회로부의 2개의 출력 노드의 전압과의 관계 및 하위 비트와 접속 전환 제어 회로의 출력 노드의 전압과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3a 내지 도 3d는 도 1의 구성을 가지는 10 비트 DA 변환회로를 실현한 경우의 절대정밀도 특성 및 단조증가성 특성을 평가한 일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도 1 중의 다중입력용 연산 증폭회로의 일예를 도시하는 회로도.
도 5는 도 1 중의 다중입력 연산 증폭회로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회로도.
도 6은 도 1 중의 다중입력 연산 증폭회로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하는 회로도.
도 7은 도 1의 접속 전환 제어 회로에 입력되는 3 비트의 내용에 따라서 8-입력용 연산 증폭회로의 8개의 정입력 단자에 전압 Va 또는 전압 Vb가 공급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DA 변환회로의 제 1 실시의 형태에 관한 7 비트용 DA 변환회로에서 사용되는 상위 5 비트용의 스트링 저항 방식 DA 변환회로부의 일예를 도시하는 회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의 형태에 관한 7 비트용 DA 변환회로에서 사용되는 하위 2 비트용의 접속 전환 제어 회로와 4 입력용의 연산 증폭회로를 도시하는 회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의 형태에 관한 7 비트용 DA 변환회로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11은 종래의 6 비트용 러더 저항 방식 DA 변환회로의 일예를 도시하는 회로도.
도 12는 종래의 러더 저항 방식 DA 변환회로의 단조증가성을 보장 가능한 범위내에서의 저항 소자의 저항치 2R의 오차와 디지탈 코드 입력의 비트 1수 n과의 관계를 도시하는 특성도.
도 13은 종래의 10 비트용 스트링 저항 방식 DA 변환회로의 일예를 도시하는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0a : 상위 i 비트용 DA 변환회로부 11 : 제 1 출력 노드
12 : 제 2 출력 노드 20,20a : 접속 전환 제어 회로
30,30a : 다중입력 연산 증폭회로 (+) : 정입력 단자
(-) : 부입력 단자 31 : 출력 단자
50,60 : N 탑형 연산 증폭회로 51,61 : P 탑형 연산 증폭회로
53 : 출력단 증폭회로 71,72,73 : 디코더 회로
Va : 제 2 출력 노드의 출력 전압 Vb : 제 1 출력 노드의 출력 전압
R : 저항 소자 SW,SW1~SW8 : 아날로그 스위치 회로
본 발명의 DA 변환회로는 n 비트의 디지탈 입력 코드중 상위 일부의 비트 신호가 입력되어, 이것을 DA 변환한 전압을 제 1 출력 노드에 출력하며, 상기 DA 변환 전압보다도 소정치 높은 전압을 제 2 출력 노드에 출력하는 DA 변환회로부와, 상기 DA 변환회로부의 제 1 출력 노드의 전압 및 제 2 출력 노드의 전압이 입력되는 동시에 상기 n 비트의 디지탈 입력 코드중 하위 비트를 포함하는 일부의 비트 신호가 입력되어, 이것을 디코딩한 결과에 따라서 복수개의 출력 노드중의 일부에 상기 DA 변환회로부의 제 1 출력 노드의 전압을 선택하여 출력하고, 상기 복수개의 출력 노드중 나머지에 상기 DA 변환회로부의 제 2 출력 노드의 전압을 선택하여 출력하는 접속 전환 제어회로와, 상기 접속 전환 제어회로의 복수개의 출력 노드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개의 정입력 단자와 부입력 단자를 가지는 동시에 1개의 출력 단자를 가지고, 상기 복수개의 정입력 단자에는 대응하는 상기 접속 전환 제어회로의 복수개의 출력 노드의 전압이 입력되어, 복수개의 부입력 단자는 상기 1개의 출력 단자에 공통으로 접속되어 있는 다중입력 연산 증폭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DA 변환회로는 n 비트의 디지탈 입력 코드 중 상위 i(i<n) 비트가 입력되고, 이것을 DA 변환하여 상기 i 비트의 내용에 따라서 결정되는 DA 변환 전압을 제 1 출력 노드에 출력하며, 상기 DA 변환 전압보다도 상기 i 비트 입력중의 최하위 비트의 웨이트에 대응하는 크기만 높은 전압을 제 2 출력 노드에 출력하는 DA 변환회로부와, 상기 DA 변환회로부의 제 1 출력 노드의 전압 및 제 2 출력 노드의 전압이 입력되는 동시에 상기 n 비트의 디지탈 입력 코드중 나머지의 하위 j(j<n, j=n-i)비트가 입력되며, 상기 j 비트의 코드를 디코딩하여, 2j개의 출력 노드중의 디코딩내용에 따른 일부에 상기 DA 변환회로부의 제 1 출력 노드의 전압을 선택하여 출력하고, 상기 2j개의 출력 노드중 나머지에 상기 DA 변환회로부의 제 2 출력 노드의 전압을 선택하여 출력하는 접속 전환 제어회로와, 상기접속 전환 제어회로의 출력 노드에 대응하는 2j개의 정입력 단자와 2j개의 부입력 단자를 갖는 동시에 1개의 출력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2j개의 정입력 단자에는 대응하는 상기 접속 전환 제어회로의 2j개의 출력 노드의 전압이 입력되고, 2j개의 부입력 단자는 상기 1개의 출력 단자에 공통으로 접속되어 있는 다중입력 연산 증폭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DA 변환회로는 n 비트의 디지탈 입력 코드중 상위 i(i<n) 비트가 입력되고, 이것을 DA 변환하여 상기 i 비트의 내용에 따라서 결정되는 DA 변환 전압을 제 1 출력 노드에 출력하고, 상기 DA 변환 전압보다도 상기 i 비트 입력중의 최하위 비트로부터 1개 상위 비트의 웨이트에 대응하는 크기만 높은 전압을 제 2 출력 노드에 출력하는 DA 변환회로부와, 상기 DA 변환회로부의 제 1 출력 노드의 전압 및 제 2 출력 노드의 전압을 입력하는 동시에 상기 n 비트의 디지탈 입력 코드중 나머지의 하위 j(j<n, j=n-i) 비트와 상기 i 비트 입력중의 최하위 비트가 입력되고, 상기(j+1) 비트의 코드를 디코딩하여, 2(j+1)개의 출력 노드중의 디코딩 내용에 따른 일부에 상기 DA 변환회로부의 제 1 출력 노드의 전압을 선택하여 출력하고, 상기 2(j+1)개의 출력 노드중 나머지에 상기 DA 변환회로부의 제 2 출력 노드의 전압을 선택하여 출력하는 접속 전환 제어회로와, 상기접속 전환 제어회로의 출력 노드에 대응하는 2(j+1)개의 정입력 단자와 2(j+1)개의 부입력 단자를 갖는 동시에 1개의 출력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2(j+1)개의 정입력 단자에는 대응하는 상기 접속 전환 제어회로의 2(j+1)개의 출력 노드의 전압이 입력되며, 2(j+1)개의 부입력 단자는 상기 1개의 출력 단자에 공통으로 접속되어 있는 다중입력 연산 증폭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DA 변환회로에 있어서, DA 변환회로부는 n 비트의 디지탈 입력 코드중 상위 일부의 비트(i 비트)의 신호를 DA 변환한 전압을 제 1 출력 노드에 출력하고, 이것보다도 소정치 높은 전압을 제 2 출력 노드에 출력한다. 여기서, 제 1 출력 노드와 제 2 출력 노드와의 사이의 전압차로서, i 비트 입력중의 예컨대 최하위 비트의 웨이트에 대응하는 크기로 한다.
접속 전환 제어회로는 상기 n 비트의 디지탈 입력 코드중 하위 비트를 포함하는 일부의 비트 신호(j비트, j=n-i)의 디코딩 내용에 따라서 2j개의 출력 노드에 DA 변환회로부의 2종류의 출력 전압을 출력한다.
다중입력 연산 증폭회로는 접속 전환 제어 회로의 2j개의 출력 노드의 전압이 2j개의 정입력 단자에 대응하여 입력하고, 2j개의 부입력 단자는 1개의 출력 단자에 공통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DA 변환회로의 기본 구성의 일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DA 변환회로는 n 비트(본예에서는 n=5)의 디지탈 입력 코드를 DA 변환하여 출력 전압 Vout를 생성하는 것이고, 상위 i 비트용의 DA 변환회로부(10)와, 접속 전환 제어회로(20)와, 다중입력 연산 증폭회로(30)를 구비한다.
상기 DA 변환회로부(10)는 상기 디지탈 입력 코드중의 상위 i(1i<n, 본예에서는 i=3) 비트가 입력되고, 이것을 DA 변환하여 DA 변환 전압을 제 1 출력 노드(11) 및 제 2 출력 노드(12)에 출력한다. 이 경우, 상기 i 비트의 내용에 따라서 결정되는 DA 변환 전압 Va를 제 2 출력 노드(12)에 출력하여, 상기 DA 변환 전압보다도 상기 i 비트 입력중 최하위 비트의 웨이트에 대응하는 크기만 높은 전압 Vb를 제 1 출력 노드(11)에 출력한다.
상기 접속 전환 제어회로(20)는 상기 DA 변환회로부(10)의 제 1 출력 노드(11)의 전압 Vb 및 제 2 출력 노드(12)의 전압 Va가 입력되는 동시에 상기 디지탈 입력 코드중 나머지의 하위 j(1j<n, j=n-i, 본 예에서는 j=2) 비트가 입력되고, j 비트의 코드를 디코딩한다. 그리고, 2j개의 노드중의 디코딩 내용에 따른 일부에 DA 변환회로부(10)의 제 1 출력 노드(11)의 전압 Vb를 선택하여 출력하고, 상기 2j개의 출력 노드중 나머지에 DA 변환회로부(10)의 제 2 출력 노드(12)의 전압 Va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또, 상기 접속 전환 제어회로(20)의 일예는 상기 j 비트의 코드를 디코딩하는 디코더 회로와, 상기 디코더 회로의 디코딩 출력에 의해 제어되고, DA 변환회로부의 제 1 출력 노드(11)의 전압 Vb 또는 제 2 출력 노드(12)의 전압 Va를 선택하여 2j개의 출력 노드에 출력하는 복수개의 아날로그 스위치 회로로 이루어진다.
상기 다중입력 연산 증폭회로(30)는 상기 접속 전환 제어회로(20)의 2j개의 출력 노드에 대응하는 2j개의 정입력 단자(+)와 2j개의 부입력 단자(-)를 가지는 동시에 1 개의 출력 단자 31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2j개의 정입력단자(+)에는 대응하는 상기 접속 전환 제어회로(20)의 2j개의 출력 노드의 전압이 입력되고, 2j개의 부입력 단자(-)는 상기 1개의 출력 단자 31에 공통으로 접속(전압 폴로어 접속)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DA 변환회로에서 DA 변환회로부(30)의 제 2 출력 노드(12)의 DA 변환 출력 Va는 상기 i 비트의 내용에 따라서 전압 레벨이 결정되고, 제 1 출력 노드(11)의 전압 Vb는 항상 제 2 출력 노드(12)의 DA 변환출력 Va보다 높아져서, 그 전위차는 상기 i 비트 입력중 최하위 비트의 웨이트에 대응하는 크기가 된다. 즉, DA 변환회로부(10)의 전원 전압 Vcc가 상기 i 비트 입력에 따라서 2i등분된 중의 1개분의 크기의 전위차가 생긴다.
그리고, 다중입력 연산 증폭회로(30)는 DA 변환회로부(10)의 제 1 출력 노드(11)의 전압 Vb와 제 2 출력 노드(12)의 전압 Va와의 사이를 2j 분할한 전압 중에서, 2j개의 정입력 단자(+)의 입력 전압에 따른 전압을 출력한다.
도 2는 도 1중의 DA 변환회로부의 전원 전압 Vcc가 예컨대 5V, 디지탈 입력 코드가 예컨대(10111)의 경우에 있어서, 상위 3비트(101)에 대응하여 DA 변환회로부(10)의 제 2 출력 노드(12)의 전압 Va와 제 1 출력 노드(11)의 전압 Vb가 결정되고, 하위 2비트(11)에 따라서 접속 전환 제어 회로(20)의 2j개의 출력 노드의 전압, 즉, 다중입력 연산 증폭회로(30)의 2j개의 정입력 단자(+)의 전압이 결정되고, 디지탈 입력 코드의 내용(10111)에 대응하는 DA 변환 전압 Vout이 출력하는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즉, 도 1의 DA 변환회로에 의하면, n 비트의 디지탈 입력 코드중 상위 i 비트의 DA 변환을 DA 변환회로부(10)가 담당하고, 하위 j 비트의 DA 변환을 접속 전환 제어 회로(20)와 다중입력 연산 증폭회로(30)가 담당하게 되어, 다중입력 연산 증폭회로의 출력 단자 31에는 n 비트 코드의 내용에 대응하는 DA 변환 전압 Vout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DA 변환회로부(10)를 n 비트 입력에 비하여 변환 비트수가 적은 i 비트에 대응하도록 구성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정밀도 및 패턴 면적의 문제가 생기기 어렵다. 결과로서, 변환 비트수가 많은 DA 변환회로를 실현하는 경우에, 러더 저항 방식 DA 변환회로 단체 또는 스트링 저항 방식 DA 변환회로 단체로 구성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소정의 아날로그 전압을 고정밀도로 출력할 수 있으며, 작은 패턴 면적으로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DA 변환회로부(10)로서 예컨대 스트링 저항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고정밀도, 특히 단조증가성이 뛰어난 DA 변환회로를 작은 패턴 면적으로 용이하게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3(a) 내지 (d)는 도 1의 구성을 가지는 10 비트 DA 변환회로를 실현한 경우의 절대정밀도 특성 및 단조증가성 특성에 관해서 전원 전압 Vcc가 5V 또는 3V, 무부하의 조건으로 평가한 일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특성예로부터, 절대정밀도는 약간 변동하고 있지만, 단조증가성은 거의 1LSB에서 인정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도 1의 DA 변환회로부를 실현하는데 필요한 패턴 면적에 관해서 검토한다.
i 비트용 스트링 저항 방식의 DA 변환회로를 실현하는 경우에는, 2개의 노드 사이에 각각의 저항치가 같은 2i개의 저항 소자가 직렬로 접속된 저항스트링과, 상기 저항 스트링의 각 전압 분할 노드, 그 양단의 노드의 전압을 선택적으로 취출하기 위한 2i개의 아날로그 스위치 회로와, i 비트의 디지탈 신호 입력을 디코딩하여, 디코딩 출력에 의해 상기 아날로그 스위치회로를 제어하기 위한 i 비트용의 디코더 회로(인버터 회로에 환산하여 i× 2i개분)을 필요로 한다.
또한, 도 1중의 j 비트용의 접속 전환 제어회로(20)로서, j 비트용의 디코더 회로(인버터 회로에 환산하여 j×2j개분)과 2j개의 아날로그 스위치 회로를 필요로 한다.
결국, 도 1에 도시한 n(=i+j) 비트용의 DA 변환회로의 전체로서는, 2i개의 저항 소자와, (i×2i+j×2j)개분의 인버터 회로와, (2i+2j)개의 아날로그 스위치회로와, 2j입력용의 연산 증폭회로를 필요로 한다.
예로서, n=10, i=7, j=3인 경우에는, 128(=27)개의 저항 소자와, 920(=7×27+3×23)개분의 인버터 회로와, 1024(=27+23)개의 아날로그 스위치 회로와, 8(=23) 입력용의 연산 증폭회로를 필요로 한다.
이것에 대하여, 종래의 n 비트용의 스트링 저항 방식의 DA 변환회로를 실현하는 경우에는, 2n개의 저항 소자와, n×2n개분의 인버터 회로와, 2n개의 아날로그 스위치 회로와, 통상은 출력 임피던스를 내리기 위해서 최종단에 접속되는 버퍼용의 연산 증폭회로를 필요로 한다.
예로서, n=10인 경우에는, 1024(=210)개의 저항 소자와, 10240(=10×210)개분의 인버터회로와, 1024(=210)개의 아날로그 스위치 회로와, 버퍼용의 연산증폭회로를 필요로 한다.
즉, 상기 실시의 형태의 n 비트용의 DA 변환회로는 종래의 n 비트용의 스트링 저항방식의 DA 변환회로와 비교하여, 연산 증폭회로를 제외하면 약 1/10의 패턴 면적으로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바꾸어 말하면, 도 1에 도시하는 DA 변환회로와 같이, 상위 i 비트용의 스트링 저항 방식의 DA 변환회로(10)와, 하위 j 비트용의 접속 전환 제어 회로(20)와, 2j입력용의 연산 증폭회로(30)를 조합함으로써, n(=i+j) 비트용의 DA 변환회로를 작은 패턴 면적으로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상위 i 비트의 DA 변환은 스트링 저항 방식의 DA 변환회로를 이용함으로써 특히 단조증가성이 뛰어난 고정밀도로 실현할 수 있으며, 하위 j 비트의 DA 변환은 2j입력용의 연산 증폭회로(30)의 정밀도로 지배된다.
또, 도 1의 다중입력용의 연산 증폭회로(30)로서, MOS 트랜지스터를 이용하여 구성하는 경우, 일반적으로는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산증폭회로의 입력용 MOS 트랜지스터를 필요 입력수만 병렬 접속함으로써 간단히 실현가능하다.
도 4는 도 1 중의 다중입력용의 연산 증폭회로의 일예로서, 입력 전압이 N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입력하는 N 탑(top)형 회로의 일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N 탑형 연산 증폭회로(40)는 전류원 회로(41)와 이 전류원 회로(41)에 각각의 소오스가 공통으로 접속되고, 각각의 드레인이 공통으로 접속되며, 각각의 게이트에 대응하여 2j개의 부입력 단자(-)의 입력 전압 IN(-)이 대응하여 인가되는 2j개의 제 1 NMOS 트랜지스터 N1과, 상기 전류원 회로(41)에 각각의 소오스가 공통으로 접속되고, 각각의 드레인이 공통으로 접속되며, 각각의 게이트에 대응하여 2j개의 정입력 단자(+)의 입력 전압 IN(+)이 대응하여 인가되는 2j개의 제 2 NMOS 트랜지스터 N2와, 이것들의 제 1, 제 2 NMOS 트랜지스터의 부하로서 접속된 NMOS 커런트미러회로(42)와, 상기 제 2 NMOS 트랜지스터 N2의 드레인 공통 접속점의 출력이 입력되는 PMOS 출력단 증폭회로(43)로 이루어진다.
상기 PMOS 출력단 증폭회로(43) Vcc 노드와 Vout 출력 노드와의 사이에 소오스ㆍ드레인ㆍ소오스 사이가 삽입 접속되고, 게이트에 상기 N 탑형 연산 증폭회로(40)의 반전 출력 노드가 접속된 PMOS 트랜지스터 P5와, 상기 Vout 출력 노드와 Vss 노드와의 사이에 드레인 및 소오스 사이가 삽입 접속된 전류원 회로(44)와, 상기 Vout 출력 노드와 상기 PMOS 트랜지스터 P5의 게이트와의 사이에 접속된 위상 보상용의 용량 C를 가진다.
그런데, 다중입력용의 연산 증폭회로의 연산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서, 입력전압이 P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입력하는 회로 형식(P 탑형)의 연산 증폭회로와 N 탑형 연산 증폭회로를 조합한 레일ㆍ투ㆍ레일(Rail-to-Rail)형의 연산 증폭회로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예컨대 도 5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산 증폭회로의 입력용의 PMOS 트랜지스터및 NMOS 트랜지스터를 각각 필요 입력수만 병렬 접속함으로써 실현 가능하다.
또, 이와 같이 입력용 MOS 트랜지스터로서 PMOS 트랜지스터 및 NMOS 트랜지스터의 양쪽을 구비한 레일ㆍ투ㆍ레일형의 연산 증폭회로는 입력 전압이 Vss 부근에서 Vcc 부근까지의 범위로 동작가능하다.
도 5는 도 1중의 다중입력 연산 증폭회로의 다른 예로서, 레일ㆍ투ㆍ레일형회로의 일예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50은 입력단의 N 탑형 연산 증폭회로, 51은 입력단의 P 탑형 연산 증폭회로, 53은 상기 N 탑형 연산 증폭회로(50)의 반전 출력 및 P 탑형 연산 증폭회로(51)의 비반전 출력을 입력하는 출력단 증폭회로이고, 그 출력이 레일ㆍ투ㆍ레일형연산 증폭회로의 출력이 된다.
상기 N 탑형 연산 증폭회로(50)는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N 탑형 연산 증폭회로(40)로부터 PMOS 인버터 회로(43)가 생략된 것이다.
또한, 상기 P 탑형 연산 증폭회로(51)는 상기 N 탑형 연산 증폭회로(50)에 준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전류원 회로(41)와, 이 전류원 회로(41)에 각각의 소오스가 공통으로 접속되고, 각각의 드레인이 공통으로 접속되며, 각각의 게이트에 대응하여 2j개의 부입력 단자(-)의 입력 전압 IN(-)이 대응하여 인가되는 2j개의 제 1 PMOS 트랜지스터 P1과, 상기 전류원 회로(41)에 각각의 소오스가 공통으로 접속되고, 각각의 드레인이 공통으로 접속되며, 각각의 게이트에 대응하고 2j개의 정입력 단자(+)의 입력 전압 IN(+)이 대응하여 인가되는 2j개의 제 2 PMOS 트랜지스터 P2와, 이것들의 제 1, 제 2 PMOS 트랜지스터의 부하로서 접속된 PMOS 커런트미러 회로(52)로 이루어진다.
출력단 증폭회로(53)는 Vcc 노드와 Vout 출력 노드와의 사이에 소오스ㆍ드레인ㆍ소오스 사이가 삽입 접속되고, 게이트에 상기 N 탑형 연산 증폭회로(50)의 반전 출력 노드가 접속된 PMOS 트랜지스터 P5와, 상기 Vout 출력 노드와 Vss 노드와의 사이에 드레인ㆍ소오스 사이가 삽입 접속되어, 게이트에 상기 P 탑형 연산 증폭회로(51)의 비반전 출력 노드가 접속된 NMOS 트랜지스터 N5와, 상기 Vout 출력 노드와 상기 PMOS 트랜지스터 P5의 게이트및 NMOS 트랜지스터 N5의 게이트와의 사이에 각각 접속된 위상 보상용의 용량 C를 가진다.
도 6은 도 1중의 다중입력 연산 증폭회로의 또 다른 예로서, 레일ㆍ투ㆍ레일형 회로의 다른 예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60은 입력단의 N 탑형 연산 증폭회로, 61은 입력단의 P 탑형 연산 증폭회로, 53은 도 5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출력단 증폭회로이며, 그 출력이 레일ㆍ투ㆍ레일형 연산 증폭회로의 출력이 된다.
상기 N 탑형 연산 증폭회로(60)는 도 5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N 탑형 연산 증폭회로(50)에 대하여, 제 1 NMOS 트랜지스터 N1에 병렬로 접속되고, 상기 P 탑형 연산 증폭회로(61)의 비반전 출력이 입력되는 제 3 NMOS 트랜지스터 N3과, 상기 제 2 NMOS 트랜지스터 N2에 병렬로 접속되고, 상기 P 탑형 연산 증폭회로(61)의 반전출력이 입력되는 제 4 NMOS 트랜지스터 N4가 부가된 것이다.
또한, 상기 P 탑형 연산 증폭회로(61)는 도 5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P 탑형 연산 증폭회로(51)에 대하여, 제 1 PMOS 트랜지스터 P1에 병렬로 접속되고, 상기 N 탑형 연산 증폭회로(60)의 비반전 출력이 입력되는 제 3 PMOS 트랜지스터 P3와, 상기 제 2 PMOS 트랜지스터 P2에 병렬로 접속되고, 상기 N 탑형 연산 증폭회로(60)의 반전 출력이 입력되는 제 4 PMOS 트랜지스터 P4가 부가된 것이다.
상기 구성의 레일ㆍ투ㆍ레일형 연산 증폭회로에서, 입력 신호 전압이 레벨이 Vss~ Vss+Vthn(Vthn은 N 채널 트랜지스터의 임계치 전압)의 범위내인 경우(N 탑형 연산 증폭회로의 동작 범위내가 아니지만 P 탑형 연산 증폭회로의 동작 범위내인 경우)에는 N 탑형 연산 증폭회로(60)의 NMOS 트랜지스터 N1, N2는 오프가 되지만, P 탑형 연산 증폭회로(61)는 입력 신호전압의 레벨이 동작 범위내이기 때문에 동작하고, 이 P 탑형 연산 증폭회로(61)로부터의 입력에 의해 N 탑형 연산 증폭회로(60)의 NMOS 트랜지스터 N3, N4가 동작하기 때문에, N 탑형 연산 증폭회로(60)도 동작한다.
이것에 의해, N 탑형 연산 증폭회로(60)의 비반전 출력 노드의 전압이 안정(일의 )하게 정해지고, 출력단 증폭회로(53)의 동작점이 안정하게 정해지며, 그 전류가 일의로 정해지기 때문에, 출력 전류의 크기를 적정하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것에 대하여, 입력 신호 전압의 레벨이 Vcc~Vcc-┃Vthp ┃(Vthp는 p 채널 트랜지스터의 임계치 전압)의 범위내인 경우(P 탑형 연산 증폭회로의 동작 범위내가 아니지만 N 탑형 연산 증폭회로의 동작 범위내인 경우)에는 P 탑형 연산 증폭회로(61)의 PMOS 트랜지스터, P1, P2는 오프가 되지만, N 탑형 연산 증폭회로(60)는 입력 신호 전압의 레벨이 동작 범위내이기 때문에 동작하고, 이 N 탑형 연산 증폭회로(60)로부터의 입력에 의해 P 탑형 연산 증폭회로(61)의 PMOS 트랜지스터 P3, P4가 동작하기 때문에, P 탑형 연산 증폭회로(61)도 동작한다.
이것에 의해, P 탑형 연산 증폭회로(61)의 반전 출력 노드의 전압이 안정(일의)하게 정해지고, 출력단 증폭회로(53)의 동작점이 안정하게 정해지고, 그 전류가 임의로 정해지기 때문에, 출력 크기를 적정하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입력 신호 전압의 레벨이 (Vss+Vthn)~(Vcc-┃Vthp┃)의 범위내인 경우(N 탑형 연산 증폭회로의 동작 범위내인 동시에 P 탑형 연산 증폭회로의 동작범위내인 경우)에는 N 탑형 연산 증폭회로(60) 및 P 탑형 연산 증폭회로(61)가 각각 입력 신호 전압에 대하여 동작한다.
이 경우, N 탑형 연산 증폭회로(60)의 NMOS 트랜지스터 N3, N4는 N 탑형연산 증폭회로(60)의 비반전 출력 노드의 전압을 정하도록 동작하고, P 탑형 연산 증폭회로(61)의 PMOS 트랜지스터 P3, P4는 P탑형 연산 증폭회로(61)의 반전 출력 노드의 전압을 정하도록 동작한다.
또한, 다중입력용의 연산 증폭회로의 입력용 MOS 트랜지스터의 임계치의 격차등의 영향을 경감하기 위해서, 2j개의 정입력 단자(+)에 대하여 하위 j 비트용의 접속 전환 제어 회로(20)로부터 전압 Va 또는 전압 Vb를 공급하는 방법을 연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도 1의 접속 전환 제어회로(20)에 입력되는 3 비트의 내용에 따라서 8 입력용의 연산 증폭회로(30)의 8개 배열되도록 형성된 정입력 단자(No.1~No.8)에 전압 Va또는 전압 Vb가 공급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즉, 전압 Va가 공급되는 정입력 단자(+)의 그룹의 배치와 전압 Vb가 공급되는 정입력 단자(+)의 그룹의 배치가 2분되어 있다. 즉, 동일 그룹내의 인접하는 정입력 단자(+)에는 같은 전압 Va 또는 전압 Vb가 공급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접속 전환 제어회로(20)로서, 전압 Va를 공급하고자 하는 정입력 단자(+)가 복수 있는 경우에는 인접하는 정입력 단자(+)에 같은 전압 Va를 공급하고, 전압 Vb를 공급하고자 하는 정입력 단자가 복수 있는 경우에는 인접하는 정입력 단자(+)에 같은 전압 Vb를 공급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의 형태에 관한 7비트용의 DA 변환회로에서 사용되는 상위 5비트용의 스트링 저항 방식 DA 변환회로부(10)의 일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9는 상기 제 1 실시의 형태에 관한 7비트용의 DA 변환회로에서 사용되는 하위 2 비트용의 접속 전환 제어 회로와 4 입력용의 연산 증폭회로의 일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에 도시하는 상위 5비트용의 스트링 저항 방식 DA 변환회로부는 제 1 기준 전압 Vrefh가 인가되는 고 레벨측 노드와 제 2 기준 전압 Vrefl(Vrefh)가 인가되는 저 레벨측 노드와의 사이의 전압이 32개의 저항소자 R에 의해 분할된다. 그리고, 고 레벨측 노드의 전압 Vrefh와 31개의 분할 전압과 저 레벨측 노드의 전압 refl이 제 1~제 8의 그룹으로 나누어진다. 이 경우, 제 1 그룹은 고레벨측 노드와 분할 노드의 상위측의 1번째에서 4번째까지의 5개의 전압을 포함하고, 제 2 그룹은 분할 전압의 4번째에서 8번째까지의 5개의 전압을 포함하며, 제 3 그룹은 분할 노드의 8번째에서 12번째까지의 5개의 분할전압을 포함하고, 제 4 그룹은 분할 노드의 12번째에서 16번째까지의 5개의 분할 전압을 포함하며, 제 5 그룹은, 분할노드의 16번째에서 20번째까지의 5개의 분할 전압을 포함하고, 제 6 그룹은 분할 노드의 20번째에서 24번째까지의 5개의 분할 전압을 포함하며, 제 7 그룹은 분할 노드의 24번째에서 28번째까지의 5개의 분할을 포함하고, 제 8 그룹은 분할 노드의 28번째에서 31번째까지와 저레벨측 노드와의 5개의 전압을 포함한다.
이 8개 그룹의 전압은 상기한 상위 5비트중의 상위 3비트용의 디코더 회로(71)의 디코딩 출력에 의해 제어되는 아날로그 스위치 회로 SW에 의해 선택된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선택된 그룹내의 5개의 전압 중에 전위가 인접하는 2개의 전압이 상기한 상위 5비트 중의 하위 2비트용의 디코더 회로(72)의 디코딩 출력에 의해 제어되는 아날로그 스위치 회로 SW1~SW8에 의해 선택되고, 상기 Va,Vb(Va로부터 상위 5비트 중의 최하위 비트 1개분의 웨이트만 크다)로서 출력한다.
이 경우, 선택된 그룹내의 5개의 전압 중, 최고 전위의 전압은 제 1 아날로그 스위치 회로 SW1에 입력하고, 2번째로 높은 전위의 전압은 제 2 아날로그 스위치 회로 SW2 및 제 3 아날로그 스위치 회로 SW3에 입력하며, 3번째로 높은 전위의 전압은 제 4 아날로그 스위치 회로 SW4 및 제 5 아날로그 스위치 회로 SW5에 입력하며, 4번째로 높은 전위의 전압은 제 6 아날로그 스위치 회로 SW6 및 제 7 아날로그 스위치 회로 SW7에 입력하고, 최저 전위의 전압은 제 8 아날로그 스위치 회로 SW8에 입력한다.
그리고, 상기 제 3 아날로그 스위치회로 SW3, 제 5 아날로그 스위치회로 SW5, 제 7 아날로그 스위치회로 SW7 및 제 8 아날로그 스위치회로 SW8의 출력은 Va 출력용의 제 2 노드(12)에 접속되고, 상기 제 1 아날로그 스위치회로 SW1, 제 2 아날로그 스위치회로 SW2, 제 4 아날로그 스위치회로 SW4 및 제 6 아날로그 스위치회로 SW6의 출력은 Vb 출력용의 제 1 노드(11)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아날로그 스위치회로 SW1 및 제 3 아날로그 스위치회로 SW3은 상기 하위 2비트용의 디코더 회로(72)의 같은 디코딩 출력에 의해 같은 스위치 상태로 제어되고, 제 2 아날로그 스위치회로 SW2 및 제 5 아날로그 스위치회로 SW5는 상기 하위 2비트용의 디코더 회로(72)의 같은 디코딩 출력에 의해 같은 스위치 상태로 제어되며, 제 4 아날로그 스위치회로 SW4 및 제 7 아날로그 스위치회로 SW7은 상기 하위 2비트용의 디코더 회로 72의 같은 디코딩 출력에 의해 같은 스위치 상태로 제어되고, 제 6 아날로그 스위치회로 SW6 및 제 8 아날로그 스위치회로 SW8은 상기 하위 2비트용의 디코더 회로(72)의 같은 디코딩 출력에 의해 같은 스위치 상태로 제어된다.
또, 상기 각 아날로그 스위치회로 SW, SW1~SW8은, 예컨대 도 13중에 도시한 바와 같은 CMOS 트랜지스터 게이트 회로와 그것을 제어하기 위한 상보 신호를 생성하는 인버터 회로로 이루어진다.
도 9에 도시하는 하위 2 비트용의 접속 전환 제어회로는 도 8에 도시한 Va 출력용 제 2 노드(12)와 4 입력용의 연산 증폭회로(30)의 4개의 정입력단자(+)와의 사이에 각각 대응하여 접속된 제 1군을 이루는 4개의 아날로그 스위치 회로 SW와, 도 8중에 도시한 Vb 출력용의 제 1 노드(11)와 상기 4개의 정입력 단자(+)와의 사이에 각각 대응하여 접속된 제 2군을 이루는 4개의 아날로그 스위치 회로 SW와, 하위 2비트의 신호를 디코딩하여, 디코딩 출력에 따라서 상기 4개의 정입력 단자(+)에 Va 또는 Vb를 선택적으로 입력시키도록 상기 아날로그 스위치 회로군 SW를 스위치 제어하는 하위 2비트용의 디코더 회로(73)를 구비한다.
또, 상기 제 1군 및 제 2군의 아날로그 스위치 회로 SW 중에서 상기 4개의 정입력 단자(+) 중의 1개의 공통으로 접속되어 있는 2개의 아날로그 스위치 회로 SW는 항상 Va를 선택하도록 고정 레벨이 부여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하위 2비트의 신호가 예컨대 (11)의 경우에는 상기 4개의 정입력 단자(+) 중에서 항상 Va가 입력되어 있는 1개 이외의 나머지 3개의 Vb가 입력되고, 하위 2비트의 신호가 예컨대 (00)의 경우에는 상기 나머지 3개의 정입력 단자(+)에 Va가 입력된다.
또, 도 8, 도 9중에 도시한 각 아날로그 스위치 회로 SW 및 SW1~SW8은 예컨대 도 13중에 도시한 바와 같은 CMOS 트랜지스터 게이트 회로와 그것을 제어하기 위한 상보 신호를 생성하는 인버터 회로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 1 실시의 형태는 DA 변환회로부의 제 1 출력 노드(11)와 제 2 출력 노드(12)와의 사이의 전압차로서 i 비트 입력중의 최하위 비트의 웨이트에 대응하는 크기로 한 경우를 나타내지만, 본 발명은 상기예에 한하지 않고, 상기 전압차로서 i 비트 입력중 최하위 비트보다도 상위 비트의 웨이트에 대응하는 크기를 출력시키도록 하여, 이것에 대응하여 상기 전압차를 상기 n 비트 입력중의 j 비트를 포함하는 비트 신호의 내용에 따라서 분압한 값의 DA 변환 전압을 출력하도록 접속전환 제어회로(20) 및 다중입력 연산 증폭회로(30)를 변경하여도 좋다.
예컨대 DA 변환회로부의 제 1 출력 노드(11)와 제 2 출력 노드(12)와의 사이의 전압차로서, i 비트 입력중 최하위 비트보다도 1개 상위의 비트의 웨이트에 대응하는 크기를 출력시키는 경우에는 접속 전환 제어회로(20) 및 다중입력 연산 증폭회로(30)를 다음과 같이 변경해도 된다.
즉,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 전환 제어 회로(20a)는 상기 j 비트와 상기 i 비트 입력중 최하위 비트로 이루어진 (j+i) 비트의 코드를 디코딩하고, 2(j+i)개의 출력 노드중의 디코딩 내용에 따른 일부에 DA 변환회로부(10a)의 제 2 출력 노드(12)의 전압 Va를 선택하여 출력하고, 나머지 출력 노드에 DA 변환회로부(10a)의 제 1 출력 노드(11)의 전압 Vc(=2Vb)를 선택하여 출력하면 된다.
또한, 다중입력 연산 증폭회로(30a)는 접속 전환 제어 회로(20a)의 출력 노드에 대응하는 2(j+i)개의 정입력 단자(+)와 2(j+i)개의 부입력 단자(-)를 가지며, 2(j+i)개의 정입력 단자(+)에는 대응하고 접속 전환 제어 회로(20a)의 2(j+i)개의 출력 노드의 전압을 입력시켜서, 2(j+i)개의 부입력 단자(-)를 출력 단자(31)에 공통으로 접속해도 된다.
또 본원의 특허청구 범위의 각 구성요건에 병기한 도면 참조 부호는 본원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고, 본원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로 한정하는 의도로 병기한 것은 아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DA 변환회로에 의하면, 변환 비트수가 많은 경우에도 소정의 아날로그 전압을 고정밀도로 출력할 수 있으며, 작은 패턴 면적으로 실현할 수 있다.

Claims (9)

  1. n 비트의 디지탈 입력 코드중의 상위 일부의 비트 신호가 입력되고, 입력된 비트 신호를 DA 변환한 전압을 제 1 출력 노드(12)에 출력하고, 상기 DA 변환 전압보다 소정치 높은 전압을 제 2 출력 노드(11)에 출력하는 DA 변환회로부(10)와,
    상기 DA 변환회로부의 제 1 출력 노드의 전압 및 제 2 출력 노드의 전압이 입력되는 동시에 상기 n 비트의 디지탈 입력 코드중 하위 비트를 포함하는 일부의 비트 신호가 입력되고, 이것을 디코딩한 결과에 따라서 복수개의 출력 노드중 일부에 상기 DA 변환회로부의 제 1 출력 노드의 전압을 선택하여 출력하며, 상기 복수개의 출력 노드중 나머지에 상기 DA 변환회로부의 제 2 출력 노드의 전압을 선택하여 출력하는 접속 전환 제어회로(20)와,
    상기 접속 전환 제어회로의 복수개의 출력 노드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개의 정입력 단자와 부입력 단자를 가지는 동시에 1개의 출력 단자(31)를 가지며, 상기 복수개의 정입력 단자에는 대응하고 상기 접속 전환 제어회로의 복수개의 출력 노드의 전압이 입력되며, 복수개의 부입력 단자는 상기 1개의 출력 단자에 공통으로 접속 되어 있는 다중입력 연산 증폭회로(3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ㆍ아날로그 변환회로.
  2. n 비트의 디지탈 입력 코드중 상위 i(i<n) 비트가 입력되고, 이것을 DA 변환하여 상기 i 비트의 내용에 따라서 결정되는 DA 변환 전압을 제 1 출력 노드(12)에 출력하고, 상기 DA 변환 전압보다도 상기 i 비트 입력중 최하위 비트의 웨이트에 대응하는 크기만 높은 전압을 제 2 출력 노드(11)에 출력하는 DA 변환회로부(10)와,
    상기 DA 변환회로부의 제 1 출력 노드의 전압 및 제 2 출력 노드의 전압이 입력되는 동시에 상기 n 비트의 디지탈 입력 코드중 나머지의 하위 j(j<n, j=n-i) 비트가 입력되어, 상기 j 비트의 코드를 디코딩하여, 2j개의 출력 노드중 디코딩 내용에 따른 일부에 상기 DA 변환회로부의 제 1 출력 노드의 전압을 선택하여 출력하며, 상기 2j개의 출력 노드중 나머지에 상기 DA 변환회로부의 제 2 출력 노드의 전압을 선택하여 출력하는 접속 전환제어 회로(20)와,
    상기 접속 전환 제어 회로의 2j개의 출력 노드에 각각 대응하는 수의 정입력 단자와 부입력 단자를 가지는 동시에 1개의 출력 단자(31)를 가지며, 상기 2j개의 정입력 단자에는 대응하고 상기 접속 전환 제어 회로의 2j개의 출력 노드의 전압이 입력되어 2j개의 부입력 단자는 상기 1개의 출력 단자에 공통으로 접속되어 있는 다중입력 연산 증폭회로(3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ㆍ아날로그 변환회로.
  3. n 비트의 디지탈 입력 코드중 상위 i(i<n) 비트가 입력되고, 이것을 DA 변환하여 상기 i 비트의 내용에 따라서 결정되는 DA 변환 전압을 제 1 출력 노드(12)에 출력하여, 상기 DA 변환 전압보다도 상기 i 비트 입력중 최하위 비트로부터 1개 상위의 비트의 웨이트에 대응하는 크기만 높은 전압을 제 2 출력 노드(11)에 출력하는 DA 변환회로부(10)와,
    상기 DA 변환회로부의 제 1 출력 노드의 전압 및 제 2 출력 노드의 전압이 입력되는 동시에 상기 n 비트의 디지탈 입력 코드중 나머지의 하위 j(j<n, j=n-i) 비트와 상기 i 비트 입력중 최하위 비트가 입력되고, 상기 (j+i) 비트의 코드를 디코딩하여, 2(j+i)개의 출력 노드중 디코딩 내용에 따른 일부에 상기 DA 변환회로부의 제 1 출력 노드의 전압을 선택하여 출력하고, 상기 2(j+i)개의 출력 노드중 나머지에 상기 DA 변환회로부의 제 2 출력 노드의 전압을 선택하여 출력하는 접속 전환 제어 회로(20)와,
    상기 접속 전환 제어 회로의 출력 노드에 대응하는 2(j+i)개의 정입력 단자와 2(j+i)개의 부입력 단자를 가지는 동시에 1개의 출력 단자(31)를 가지며, 상기 2(j+i)개의 정입력 단자에는 대응하고 상기 접속 전환 제어 회로의 2(j+i)개의 출력 노드의 전압이 입력되며, 2(j+i)개의 부입력 단자는 상기 1개의 출력 단자에 공통으로 접속되어 있는 다중입력 연산 증폭회로(3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ㆍ아날로그 변환회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DA 변환회로부에서 상기 DA 변환회로부는 스트링 저항 방식 DA 변환회로부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ㆍ아날로그 변환회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입력 연산 증폭회로에서 상기 다중입력 연산 증폭회로는 P 탑형 연산 증폭회로와 N 탑형 연산 증폭회로가 조합되어 이루어진 레일ㆍ투ㆍ레일형의 다중입력 연산 증폭회로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ㆍ아날로그 변환회로.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DA 변환회로는 스트링 저항 방식 DA 변환회로부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ㆍ아날로그 변환회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입력 연산 증폭회로는 P 탑형 연산 증폭회로와 N 탑형 연산 증폭회로가 조합되어 이루어진 레일ㆍ투ㆍ레일형의 다중입력 연산 증폭회로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ㆍ아날로그 변환회로.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DA 변환회로부는 스트링 저항 방식 DA 변환회로부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디지탈ㆍ아날로그 변환회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입력 연산 증폭회로는 P 탑형 연산 증폭회로와 N 탑형 연산 증폭회로가 조합되어 이루어진 레일ㆍ투ㆍ레일형의 다중입력 연산 증폭회로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ㆍ아날로그 변환회로.
KR1019960035500A 1995-08-28 1996-08-26 디지탈-아날로그 변환회로 KR1001866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1901595A JP3154927B2 (ja) 1995-08-28 1995-08-28 デジタル・アナログ変換回路
JP95-219015 1995-08-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3784A KR970013784A (ko) 1997-03-29
KR100186679B1 true KR100186679B1 (ko) 1999-04-15

Family

ID=16728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5500A KR100186679B1 (ko) 1995-08-28 1996-08-26 디지탈-아날로그 변환회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731774A (ko)
JP (1) JP3154927B2 (ko)
KR (1) KR100186679B1 (ko)
TW (1) TW32266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6119B1 (ko) * 2007-09-27 2014-12-24 라피스 세미컨덕터 가부시키가이샤 다입력 연산 증폭회로, 그것을 사용한 디지털/아날로그변환기 및 그것을 사용한 표시장치의 구동회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28380B2 (ja) * 1997-07-11 2003-07-22 株式会社東芝 液晶表示装置の駆動制御用半導体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H11167373A (ja) * 1997-10-01 1999-06-22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半導体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JP4138102B2 (ja) * 1998-10-13 2008-08-2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1051661A (ja) * 1999-08-16 2001-02-23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D/a変換回路および半導体装置
JP2001094428A (ja) 1999-09-24 2001-04-06 Toshiba Corp 半導体集積回路装置
US6246351B1 (en) * 1999-10-07 2001-06-12 Burr-Brown Corporation LSB interpolation circuit and method for segmented digital-to-analog converter
JP2003008369A (ja) * 2001-06-25 2003-01-10 Nanopower Solution Kk 多入力差動回路
JP2003078416A (ja) * 2001-09-05 2003-03-14 Mitsubishi Electric Corp Dac回路
JP3869737B2 (ja) * 2002-02-14 2007-01-17 富士通株式会社 デジタルアナログ変換回路
JP4342910B2 (ja) 2003-10-31 2009-10-14 Nec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差動増幅回路
JP4472507B2 (ja) 2004-12-16 2010-06-02 日本電気株式会社 差動増幅器及び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のデータドライバ並びに差動増幅器の制御方法
US7161517B1 (en) 2005-06-29 2007-01-09 Himax Technologies, Inc. Digital-to-analog converter
US7623217B2 (en) * 2005-07-14 2009-11-24 Via Optronics, Llc Tool for use in affixing an optical component to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JP4609297B2 (ja) * 2005-12-06 2011-01-12 日本電気株式会社 デジタルアナログ変換器、それを用いたデータドライバ及び表示装置
KR100714612B1 (ko) 2006-02-22 2007-05-07 삼성전기주식회사 고분해능을 갖는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팅 장치
JP4797734B2 (ja) * 2006-03-23 2011-10-19 日本電気株式会社 差動増幅器とデジタル・アナログ変換器、並びに表示装置
JP4878249B2 (ja) * 2006-09-08 2012-02-15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デコーダ回路並びに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用駆動回路及び表示装置
JP4282710B2 (ja) 2006-11-08 2009-06-24 Nec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出力回路、及びそれを用いたデータドライバならびに表示装置
KR100815754B1 (ko) * 2006-11-09 2008-03-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구동회로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100836437B1 (ko) * 2006-11-09 2008-06-0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데이터구동부 및 그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100850311B1 (ko) * 2007-03-14 2008-08-04 삼성전기주식회사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
KR100857122B1 (ko) * 2007-04-12 2008-09-05 주식회사 유니디스플레이 채널 오프셋 전압 보상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액정 패널구동용 컬럼 구동 회로
JP5137686B2 (ja) 2008-05-23 2013-02-06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デジタルアナログ変換回路とデータドライバ及び表示装置
WO2010087271A1 (ja) * 2009-01-28 2010-08-05 日本電気株式会社 不揮発ロジック回路
KR101534150B1 (ko) * 2009-02-13 2015-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하이브리드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 소스 드라이버 및 액정 표시 장치
JP2010193089A (ja) * 2009-02-17 2010-09-02 Toshiba Corp 離散時間系回路
JP5273377B2 (ja) * 2009-03-19 2013-08-28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多入力一出力回路及び表示装置
CN102118172B (zh) * 2009-12-31 2014-07-30 意法半导体研发(上海)有限公司 利用格雷码简化数模转换器电路的装置和方法
US8476971B2 (en) * 2010-05-14 2013-07-02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Buffer operational amplifier with self-offset compensator and embedded segmented DAC for improved linearity LCD driver
CN102377434B (zh) * 2010-08-04 2015-04-22 意法半导体研发(上海)有限公司 用于电压内插dac的粗数模转换器架构
CN102403966B (zh) 2010-09-14 2015-07-22 意法半导体研发(上海)有限公司 减少数模转换器电压内插放大器输入差分对的方法和装置
JP2012085163A (ja) * 2010-10-13 2012-04-26 Lapis Semiconductor Co Ltd 可変抵抗回路および発振回路
JP2014171114A (ja) * 2013-03-04 2014-09-18 Sony Corp レベル変換回路、多値出力型差動増幅器及び表示装置
US10957237B2 (en) 2015-12-28 2021-03-23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Circuit, semiconductor device, display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driving method of circuit
JP6601477B2 (ja) * 2017-11-16 2019-11-0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ドライバー、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US10833700B2 (en) * 2019-03-13 2020-11-10 Micron Technology, Inc Bit string conversion invoking bit strings having a particular data patter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28429A (en) * 1980-07-28 1982-02-16 Hitachi Ltd Signal converter
JPS59163912A (ja) * 1983-03-08 1984-09-17 Toshiba Corp C−r型da変換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6119B1 (ko) * 2007-09-27 2014-12-24 라피스 세미컨덕터 가부시키가이샤 다입력 연산 증폭회로, 그것을 사용한 디지털/아날로그변환기 및 그것을 사용한 표시장치의 구동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322662B (ko) 1997-12-11
JPH0964746A (ja) 1997-03-07
KR970013784A (ko) 1997-03-29
US5731774A (en) 1998-03-24
JP3154927B2 (ja) 2001-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86679B1 (ko) 디지탈-아날로그 변환회로
US6914547B1 (en) Triple resistor string DAC architecture
KR101243169B1 (ko)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KR100520299B1 (ko) 전류 가산형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 및 전류 가산형디지털/아날로그 변환방법
US8063808B2 (en) Multi-input operational amplifier circuit, digital/analog converter using same, and driver for display device using same
US7157941B2 (en) Differential switching circuit and digital-to-analog converter
US7375670B1 (en) Digital-to-analog converter
EP2015455A2 (en) D/A converter circuit
WO200006907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witching low voltage cmos switches in high voltage digital to analog converters
EP1465347B9 (en) Monotonic precise current DAC
US7602326B2 (en) Digital-to-analog converter having resistor string with ranges to reduce circuit elements
US5227793A (en) Current mode digital-to-analog converter using complementary devices
US7129878B1 (en) Digital to analog converter
JP4648779B2 (ja) ディジタル・アナログ変換器
US5894281A (en) Digital-to-analog converter utilizing MOS transistor switching circuit with accompanying dummy gates to set same effective gate capacitance
JPH0377430A (ja) D/aコンバータ
US20210184692A1 (en) Digital to analog converters
KR20020059803A (ko)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US6642867B1 (en) Replica compensated heterogeneous DACs and methods
US7277036B2 (en) Digital-to-analog converting circuit
US7046182B1 (en) DAC having switchable current sources and resistor string
KR20020064321A (ko)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US7515081B2 (en) High resolution digital-to-analog converter
US5745065A (en) Level-shift type digital to analog converter
Lee et al. A 10 bit piecewise linear cascade interpolation DAC with loop gain ratio contr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1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