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5802B1 - 사진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사진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5802B1
KR0185802B1 KR1019960045655A KR19960045655A KR0185802B1 KR 0185802 B1 KR0185802 B1 KR 0185802B1 KR 1019960045655 A KR1019960045655 A KR 1019960045655A KR 19960045655 A KR19960045655 A KR 19960045655A KR 0185802 B1 KR0185802 B1 KR 01858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ridge
film
shaft
spool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5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2489A (ko
Inventor
히로시 오쿠
Original Assignee
니시모토 강이치
노리쯔 고오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7810495A external-priority patent/JP360827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7810795A external-priority patent/JP326935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7810595A external-priority patent/JP3269356B2/ja
Application filed by 니시모토 강이치, 노리쯔 고오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시모토 강이치
Publication of KR9700224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24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5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58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7/00Photographic printing apparatus
    • G03B27/32Projection printing apparatus, e.g. enlarger, copying camera
    • G03B27/52Details
    • G03B27/62Holders for the origina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7/00Photographic printing apparatus
    • G03B27/32Projection printing apparatus, e.g. enlarger, copying camera
    • G03B27/52Details
    • G03B27/62Holders for the original
    • G03B27/6207Holders for the original in copying cameras
    • G03B27/6242Masks; Overlays; Transparent carri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7/00Photographic printing apparatus
    • G03B27/32Projection printing apparatus, e.g. enlarger, copying camera
    • G03B27/52Details
    • G03B27/62Holders for the original
    • G03B27/6271Holders for the original in enlargers
    • G03B27/6285Handling strip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DAPPARATUS FOR PROCESSING EXPOSED PHOTOGRAPHIC MATERIALS; ACCESSORIES THEREFOR
    • G03D13/00Processing apparatu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covered by groups G11B3/00 - G11B11/00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otographic Developing Apparatuses (AREA)
  • Projection-Type Copiers In General (AREA)

Abstract

필름삽입구에 카트리지셋트부를 갖는 자동네가마스크부를 구비한 사진처리장치에 있어서, 카트리지로부터 분리된 필름을 필름삽입구로 안내하기 위하여 가이드를, 카트리지셋트부에 자유로이 착탈하게 취부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한, 소정간격을 두고 좌우에 카트리지용 보지용 블록을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양 보지용 블록을 이동하여 접근, 이반가능하게 하고, 또한 양 보지용 블록의 소정개소에 카트리지의 스풀축의 계합구멍에 계지하는 계지축을 설치하여, 양 보지용 블록의 계지축으로 카트리지를 보지할 수 있는 자동네가마스크부의 필름홀더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처리장치.

Description

사진처리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사진자동처리기의 네가마스크부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제2도는 위 실시예의 스트립필름의 이송동작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제3도는 위 실시예에 의한 스트립필름의 이송동작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제4도는 위 실시예에 의한 카트리지에 수납된 필름의 이송동작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제5도는 위 실시예에 의한 카트리지에 수납된 필름의 이송동작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제6도는 본 발명에 관한 자동네가마스크부의 사시도이다.
제7도는 본 발명에 관한 카트리지홀더의 일부단면의 설명도이다.
제8도는 구동측 계지축의 키이가 셋트된 카트리지의 키이홈에 합치하지 않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제9도는 구동측 계지축의 키이가 셋트된 카트리지의 키이홈에 합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제10도는 계지축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단면의 설명도이다.
제11도는 본 발명의 카트리지의 회전구동장치를 구비한 사진처리장치의 요부의 사시도이다.
제12도는 상기 사진처리장치에 있어서 카트리지의 회전구동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요부의 분해사시도이다.
제13도는 카트리지에 구비된 표시판의 사시도이다.
제14도는 광학적 센서의 여러 가지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제15도는 종래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제16도는 다른 종래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카트리지 2, 2a : 틀
4 : 필름배출구 5 : 반송로
5a, 5b, 5c : 한쌍의 반송로울러 T : 전동수단(轉動手段)
6a : 개구(開口) 6 : 네가마스크
7 : 카트리지셋트부 8 : 스라스트(thrust)기구
10 : 가이드 10a : 가이드본체
10b, 10c : 절곡부 10d : 가이드면
11 : 힌지(hinge) 20 : 필름
22 : 모터 30 : 네가마스크부
20A :스트림필름 31 : 보지용 블록
31a, 41a : 랙크 31b : 계지축
35 : 피니온기어 36 : 구동장치
40 : 스프링 61 : 슬라스트기구부착 카트리지센서부
62 : 필름삽입구 70 : 네가마스크부
71 : 필름삽입구
본 발명은 사진처리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근래, 현상처리시 이외는 카트리지 1 의 스풀축 C 1에 접속된 채로 사용되는 것을 전제로 한 새로운 타입의 필름 20이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필름 20을 사진처리장치의 자동네가마스크부에 셋트하여 프린트하는 경우에는, 제1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라스트기구부착된 카트리지셋트부 61를 구비한 네가마스크부 60가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사진관등에서의 처리잡업의 흐름으로 보면, 필름현상후의 프린트공정에서는, 카트리지에 접속하기 전의 스트립상태의 필름(이하,[스트립필름] 이라 함), 21을 이용하여 프린트하는 쪽이 효율적인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경우, 제15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트립필름 20A을 네가마스크부 60에 넣어보내려고 하면, 스라스트기구가 방해가 되어 네가마스크부 60의 필름삽입구 62에 삽입하기 어렵고, 또한 스라스트기구에 의해 스트립필름 20A이 손상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제16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셋트부가 생략된 스트립필름전용의 네가마스크부 70가 필요하게 되는데, 사진관 등에서 설비부담이 커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카트리지 1에 수납된 필름 20을 스트립필름전용의 네가마스크부 70에 의해 처리하는 것도 생각되어지지만, 이러한 네가마스크부 70에는 스라스트기구가 구비되어 있지 않으므로, 필름 20을 필름삽입구 71에 넣어보낼 수가 없고, 또한 필름 20의 선단만을 카트리지 1로부터 수동으로 인출하여 필름삽입구 71에 넣어보낼 경우에는, 필름 20의 후단이 카트리지 1의 스풀축 C1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필름 20의 반송저항이 커지고, 필름 20에 손상을 주는 문제가 있었다.
또 다른 문제로서 아래와 같은 문제가 있었다. 즉, 현재 유통하고 있는 필름은, 필름현상처리시에 파트로네로부터 떼어내어져서 필름낱개만으로 프린트처리된 후에 전용포대에 넣어져서 보관된다. 또한 최근에는 현상처리 후, 이 현상처리한 필름을 원래의 카트리지에 수납, 보관할 수 있도록 한 필름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자동네가마스크부를 사용하여 새로운 타입의 필름을 프린트처리하는 경우, 종래와 같이 카트리지로부터 필름을 떼어내서 필름만을 프린트처리할 수도 있지만, 카트리지로부터 필름을 떼어내는 번거러움이 있어서 작업성이 나쁘다.
또한, 카트리지로부터 필름을 떼어낼 때에 필름에 손이 닿으므로 필름이 더렵혀진다. 또한, 카트리지채로 프린트처리하게 되면, 카트리지를 네가마스크의 네가안내홈에 대하여, 바른 위치에 셋트하지 않으면, 양자의 위치어긋남 때문에, 필름에 손상을 준다. 또한, 카트리지를 안내홈에 정확하게 셋트하기 위하여, 셋트부의 폭을 카트리지와 동일하게 하면, 셋트시의 작업성이 좋지않다.
또한 다른 문제로서 이하의 문제가 있었다.
즉, 근래, 필름을 카트리지에 장전한 상태로 취급하는 방식이 제안되고 있다. 이 방식의 카트리제있어서는, 그 측면에 몇 개의 표시창이 형성되어 있고, 그 측면의 내측에 배설된 표시판을 회전시켜서 어떠한 표시창과 겹치므로써, 이 카트리지에 장전된 필름의 상태(미노광, 노광완료, 현상완료 등)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표시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카트리지를 취급하는 사진처리장치에 있어서는, 카트리지에서 필름을 인출하여 처리한 후, 다시 원래의 카트리지에 권취하여 두지 않으면 안된다. 이때, 이 카트리지내의 필름의 상태에 따라서 상기 표시기능을 정확하게 조작하여, 필름의 상태에 맞는 표시상태로 하지 않으면, 이하와 같은 문제가 생긴다.
예컨데, 모든 화편이 노광완료 또한 미현상의 카트리지를, 현상장치로 현상처리한 후에, 미현상 표시상태 그대로 놓아둔 채, 현상완료 표시상태로 해 놓지 않으면, 다시 현상처리를 해버리는 문제가 발생할 위험성이 있다.
또한, 잘못하여 모든 화편을 미노광의 표시상태로 설정해버리면, 아직 사용하지 않은 카트리지로 착각하여, 카메라에 장전하여 촬영작업을 해버려서, 귀중한 장면을 촬영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할 위험성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점은, 카트리지셋트부에 방해가 되는 점이 없고 스트립필름을 필름삽입구에 넣어보낼 수 있는 사진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소정개소로의 카트리지의 셋트 및 소정개소로부터 카트리지를 쉽게 꺼낼 수 있는 동시에, 카트리지로부터 필름을 인출하지 않고 카트리지를 셋트하는 것만으로 프린트처리가 되어서 작업성이 좋고 또한 필름에 손상을 입힐 염려가 없는 사진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표시기능을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 상술한 위험성을 배제할 수 있는 사진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진처리장치는, 청구항 1에 의한 필름삽입구에 카트리지셋트부를 갖는 자동네가마스크부를 구비한 사진처리장치에 있어서, 카트리지로부터 분리된 필름을 필름삽입구로 안내하기 위해 가이드를, 카트리지셋트부에 자유로이 착탈하도록 취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2에 의하면, 가이드를 카트리지셋트부의 주위부에 힌지(hinge)로 일체적으로 취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3의 사진처리장치는 소정간격을 두고, 좌우로 카트리지용 보지용(保持用)블럭을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양 보지용 블록을 이동하여 접근, 이반가능(離反可能)하도록 하고, 또한 양 보지용 블록의 소정개소에 카트리지의 스풀축의 계합구멍에 계지하는 계지축을 설치하고, 양 보지용 블록의 계지축으로 카트리지를 보지할 수 있는 자동네가마스크부의 필름홀더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4의 사진처리장치에 의하면 한쪽의 보지용 블록의 계지축을 자유로이 회동하도록 설치하는 동시에, 용수철의 탄발(彈發)에 의하여 항상 다른 쪽의 보지용 블록방향으로 부세되도록 하고, 또한 이 계지축의 선단부에 카트리지의 스풀축의 계합구멍에 형성한 키이홈에 계합하는 키이를 형성하고, 또한 이 계지축을 구동장치에 의하여 구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5에 기재한 사진처리장치는 청구항 4에 기재한 사진처리장치에서, 구동장치에 의하여 구동하는 계지축에, 선단부 근방의 외주부에 형성한 개구에 연통하는 내부홈을 형성하고, 이 내부홈에 탄발돌편부재(彈發突片部材)를 내설하는 동시에, 상기 개구로부터 이 탄발돌편부재의 계지철(凸)부를 돌출하여, 이 계지철부(係止凸部)가 계탈가능(係脫可能)하도록 카트리지의 스풀축의 계합구멍에 형성한 키이홈에 계합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청구항 6의 사진처리장치는 스풀과 함께 회전하는 표시판을 구비한 카트리지의 스풀에 꽂아진 구동축을 회전구동수단에 의하여 회전구동하여, 필름의 인출 또는 권취를 하는 동시에, 상기 표시판을 소정의 각도위치에 정지시켜서 이 필름의 상태를 표시하도록 구성된 카트리지의 회전구동장치를 구비한 사진처리장치에 있어서, 카트리지의 회전구동장치는, 카트리지의 표시판이 소정의 각도위치에 있을 때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위치검출수단과, 상기 검출신호가 출력되었을 때에 상기 회전구동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표시판을 소정의 각도위치로 위치결정하여 정지시키는 제어수단과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7에 의하면, 청구항 6에 기재한 사진처리장치는, 위치검출수단이, 구동축의 주위면의 소정의 각도위치에 형성된 광학적 특이부(特異部)와, 카트리지의 표시판이 소정의 각도위치에 있을 때의 상기 광학적 특이부의 위치를 광학적으로 검출하여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광센서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실시예 1]
사진자동처리기의 네가마스크부 30는, 자유로이 개폐하도록 연결된 틀 2, 2A에 필름삽입구 3 및 필름배출구 4를 설치하고, 카트리지 1에 수납된 필름 20이나 스트립 필름 20A을 필름삽입구 3로부터 필름배출구 4로 반송하기 위한 반송로 5를 틀 2, 2A 내에 설치하며, 이 반송로 5를 따라서 네가마스크 6나 스캐너 등이 배설되어 구성되어 있고, 네가마스크부 30의 각부는 콘트롤러에서 제어된다(제1도).
네가마스크 6의 개구 6a는 노광광의 광축상에 위치하고, 스캐너는 각 필름 20, f 의 각 화면정보 등을 검출한다.
반송로 5에는 한쌍의 반송로울러 5a, 5b, 5c 가 배설되고, 한쌍의 반송로울러 5a, 5b, 5c 는 전동수단 T을 매개로 하여 모터 22에 의하여 동기하여 회전구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제2도).
필름삽입구 3에 가까운 반송로 5에는 각 필름 20, f 의 선단을 검출하여 한쌍의 반송로울러 5a, 5b, 5c를 구동시키기 위한 센서 S가 배설되어있다(제1도).
필름삽입구 3의 가까이에는 카트리지셋트부 7가 형성되어 있다. 카트리지셋트부 7에는 스라스트(thrust)기구 8가 장착되어 있다. 이 스라스트기구 8에는 카트리지 1의 스풀축에 계합하여 스풀축(spool schaft)을 회전시키기 위한 스풀회전샤프트 8a가 구비되어 있어서, 스풀회전샤프트 8a의 정회전에 의하여 필름 20을 카트리지 1로부터 풀어내고, 스풀회전샤프트 8a의 역회전에 의하여 필름 20을 카트리지 1에 권취하도록 되어있다(제1도).
또한, 스풀회전샤프트 8a는 전달기구 9 및 모터 23로 회전구동한다.
부호 10은 스트립필름 20A을 필름삽입구 3에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로서, 가이드본체 10a의 전후양단에 절곡부(折曲部) 10b, 10c를 설치하여 구성되어 있고, 가이드본체 10a의 표면측에는 스트립필름 20A을 미끄러뜨리기 위한 평활하고 미끄러운 가이드면 10d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10는 카트리지셋트부 7의 외벽면 7a에 힌지 11로 취부되어 있다.
그리고, 가이드 10를 카트리지셋트부 7를 향해서 쓰려뜨렸을 때에는, 가이드체 10의 앞 절곡부 10b가 카트리지셋트부 7의 단부 7b에 계지한다. 이에 의하여, 카트리지셋트부 7 가 가이드 10로 덮혀지는 동시에, 가이드 10의 가이드면 10d의 선단부가 필름삽입구 3의 아래가장자리와 연속된다(제2도, 제3도).
한편, 가이드 10를 일으켜서 바로 앞에서 쓰러뜨리면, 카트리지셋트부 7가 나타나서 카트리지셋트부 7로의 카트리지 1의 셋트가 가능하게 된다. (제1도, 제4도 및 제5도).
다음에, 스트립필름 20A이 가이드 10로 안내되어 필름삽입구 3에 삽입되었을 경우의 네가마스크부 3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1) 우선, 제2도 및 제3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트립필름 20A의 선단을 가이드 10의 가이드면 10d를 따라서 필름삽입구 3에 삽입한다.
(2) 그리고, 스트립필름 20A의 선단이 센서 S에 의하여 검출되면, 반송용 모터 M가 구동하여 스트립필름 20A이 필름삽입구 3로부터 필름배출구 4를 향해서 연속적으로 순차이송되고, 이 사이 화상정보 등의 스캐닝이 행해진다.
(3) 스캐닝종료 후, 스트립필름 20A은 필름배출구 4로부터 필름삽입구 3를 향해서 역이송된다.
(4) 다음에, 스트립필름 20A은 1화편마다 간헐적으로 순차이송되고, 네가마스크 6에 위치하는 화편화상이 인화지에 프린트된다.
(5) 스트립필름 20A의 최종화편이 프린트되었을 때, 스트립필름 20A은 그대로 필름배출구 4로부터 배출된다.
다음에, 필름 20이 수납된 카트리지 1가 카트리지셋트부 7에 셋트되었을 경우의 네가마스크부 3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1) 스라스트기구 8에 의하여 카트리지 1로부터 인출된 필름 20의 선단은, 필름 삽입구 3에 삽입된다.
(2) 그리고, 필름 20의 선단이 센서 S에 의하여 검출되면, 반송용 모터 M가 구동하여 필름 20이 필름삽입구 3로부터 필름배출구 4를 향하여 연속적으로 순차이송되고, 이 사이 화상정보 등의 스캐닝이 행해진다.
(3) 스캐닝종료 후, 필름 20은 필름배출구 4로부터 필름삽입구 3를 향해서 역이송된다.
(4) 다음에, 필름 20은 1화편마다 간헐적으로 순차이송되고, 네가마스크 6에 위치하는 화편화상이 인화지에 프린트된다.
(5) 필름 20의 최종화편이 프린트된 후, 필름 20은 재차 역이송되어 스라스트기구 8에 의하여 카트리지 1에 되감아진다.
이와 같이 스트립필름 20A의 처리에서는, 카트리지 1에 수납된 필름 20에 비하여 카트리지 1로 되감기위한 반송이 불필요하게 되므로, 필름의 반송횟수가 적게 되어, 필름의 손상이 적어진다.
또한, 가이드 10는 카트리지셋트부 7에 힌지 11로 연결하지 않아도 좋다.
[실시예 2]
다음에, 접근, 이반가능한 보지용 블록을 갖는 자동네가마스크부 30의 필름홀더를 구비한 사진처리장치를 제6도~제10도로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네가마스크부 30에 설치된 카트리지홀더 30A는, 카트리지 1를 보지하기 위한 좌우의 보지용 블록 31, 41과, 양 보지용 블록 31, 41에 설치한 랙크 31a, 41a와, 랙크 31a, 41a에 계합하는 피니온기어 35와, 한쪽의 보지용 블록 31에 설치한 계지축 31b을 구동시키는 구동장치 36등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각 보지용 블록 31, 41은 자동네가마스크부 30의 대판 37위에, 셋트할 카트리지 1의 길이칫수보다 커지는 간격을 두고 대치하도록 또한 수평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양 보지용 블록 31, 41은, 대판 7위에 접하는 면의 길이가 다르고, 보지용 블록 31은 보지용 블록 41보다 길다. 따라서, 양 보지용 블록 31, 41의 일단을 동일선상에 배치했을 때는,도시(제7도 참조)한 바와 같이 길이(그림의 상하방향)가 다르다. 이 길이가 다른 양 보지용 블록 31, 41의 타단에는, 대치하는 각 보지용 블록 31, 41 방향을 향하여 수평으로 랙크 31a, 41a가 설치되어 있다. 양 랙크 31a, 41a 는 피니온기어 35와 계합하여 연결되고, 보지용 블록 31이 수평이동하므로써, 피니온기어 35를 매개로하여 또 다른 한쪽의 보지용 블록 41도 수평이동한다. 양 보지용 블록 31은 각각 역방향으로 수평이동하게 된다.
상기의 양 보지용 블럭 31이 대치하는 측에는, 셋트한 카트리지 1(제6도, 제7도 참조)의 스풀축 38의 계합구멍 39에 계지가능한 위치에, 각각 계지축 31b, 41b가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한쪽의 보지용 블록 31의 계지축 31b은, 보지용 블록 31에 형성한 개구부 31c 속의 지지부 31d를 관통하도록 해서, 이 지지부 31d 에 회동자유로이 지지되어 있다. 이 계지축 31b의 후단에는, 치차 31e가 설치되어 구동장치 36와 치합하여 상기 계지축 31b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계지축 31b 의 선단근방에는 턱 31f이 형성되어 있다. 이 턱 31f과 상기 지지부 31d와의 사이에는 스프링 40이 설치되어, 계지축 31b을 제7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항상 또 한쪽의 보지용 블록 41 방향으로 탄발부세(彈發付勢) 하고 있다.
또한, 이 계지축 31b의 선단부에는 키이 31g가 형성되어 있다. 이 키이 31g는, 카트리지 1의 스풀축 38의 계합구멍 39으로 형성된 키이홈(제9도 참조)에 합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카트리지홀더 30A 에 있어서는, 사용시 카트리지 1를 양 보지용 블록 31, 41 사이에 셋트한다. 보지용 블록 31을 또 다른 한쪽의 보지용 블록 41측으로 수평이동시키므로써, 보지용 블록 31의 랙크 31a, 피니온기어 35, 보지용 블록 41의 랙크 41a를 매개로 하여 보지용 블록 41도 수평이동하여, 양 보지용 블록 31, 41은 가까워져 간다.
이에 의하여, 카트리지 1의 스풀축 38의 계합구멍 9의 편측구멍에는 보지용 블럭 41의 계지축 41b이 계합하는 동시에, 또 다른 한쪽의 보지용 블럭 31의 계지축 31b도 상기 스풀축 38의 계합구멍 39에 선단이 삽입된다. 이 때, 계지축 31b의 키이 31g가 스풀축 38의 계합구멍 39으로 형성된 키이홈에 끼워져 있지 않을 때는, 스프링 40의 탄발에 저항하여 보지용 블럭 31 내로 후퇴한다. 그리고, 구동장치 36에 의하여 계지축 31b이 회전하고, 계지축 31b의 키이 31g가 스풀축 38의 계합구멍 39에 형성한 키이홈 41에 끼워졌을 때, 계지축 31b의 회전을 스풀축 38에 전한다. 이와 같이 하여 양 보지용 블럭 31, 41으로 카트리지 1를 보지하는 동시에 스풀축 38을 회전시키고, 스풀축 38에 돌려감아진 필름을 송출한다.
또한, 상기의 카트리지 1를 빼내는 경우는, 보지용 블록 31을 후퇴시키므로써, 피니온기어 35를 매개로 하여 또 다른 한쪽의 보지용 블록 41도 수평이동하여 카트리지 1로부터 이반하여 가고, 각 보지용 블록 41의 계지축 31b, 41b 은 카트리지 1의 계합구멍 39으로부터 빠져나간다. 이와 같이 한 후는 카트리지 1를 셋트하고 있는 개소에는 넓은 공간이 생겨서, 쉽게 카트리지 1를 빼낼 수가 있다.
또한, 제10도는 다른 실시예의 구동축의 계지축 31b이고, 이 계지축 31b은 선단부 근방의 외주부에 형성한 개구 42에 연통하는 내부홈 43이 형성되고, 이 내부홈 43에는 탄발돌편부재(彈發突片付材) 44가 끼워넣어져 있다. 탄발돌편부재 44는 봉상부재(棒狀付材)를 굴곡형성한 것이고, 탄발돌편부재 44의 계지철부(係止凸部) 44a는 상기 개구 42로부터 밖으로 항상 돌출하고 있다.
이 계지축 31b을 보지용 블록 31에 설치하므로써, 상기 실시예와 같이 이반하고 있는 양 보지용 블록 31, 41 의 사이에 카트리지 1를 셋트하고, 양 보지용 블록 31, 41을 접근시켜서 이 계지축 31b의 선단이 카트리지의 스풀축 38의 계합구멍 39에 삽입되어, 이 계합구멍 39의 키이홈에 상기 탄발돌편부재 44의 계지철(凸)부 44a가 합치했을 때, 구동장치 36에 의한 계지축 31b의 회전을 카트리지 1의 스풀축 38에 전할 수가 있다.
[실시예 3]
다음에, 내부에 장전된 필름의 상태(미노광, 노광완료, 현상완료 등)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기능을 구비한 카트리지의 회전구동장치를, 제11도 ~ 제14도로 설명한다.
제11도는, 본 발명의 카트리지의 회전구동장치를 구비한 사진처리장치의 오토네가마스크부 30의 사시도이다.
1은 현상완료된 필름이 장전된 카트리지, 7은 카트리지 1가 장착되는 카트리지셋트부, 54는 장착된 카트리지의 스풀 38에 꽂아져서 회전구동하는 회전구동부, 23은 구동모터로서, 필름의 단부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발광수자 51A와 수광소자 51B로 구성되어 있다. 60은 필름의 반송경로에 배설된 네가마스크이다. 고정측부재 71A와 개폐측부재 71B로 오토네가마스크부 30를 형성하고 있다.
제12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 1의 측면에는 표시창 53A, 53B, 53C, 53D 가 형성되고, 그 내측에는 스풀 38에 수반되어 회전하는 착색된 표시판 52(제13도 참조)를 구비하고 있다. 이 표시판 52이 상기 표시창 53A, 53B, 53C, 53D의 어떤 위치에 정지하므로써, 그 표시창만이 표시판 52의 색으로 된다. 각 표시창은, 각각이 카트리지의 상태를 표시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예컨대, 표시창 13A에 표시판 52이 위치한 경우에는, 이 카트리지는 미노광인 것을 표시하고, 표시판 53B, 53C, 53D는 각각, 반 노광완료, 전부 노광완료이나 미현상, 현상완료인 것을 표시하고 있다.
회전구동부 54의 구동축 55에는 키이 57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스풀 38에 꽂아진 때에 키이홈에 꽉 끼워지고, 미끄지지 않고 회전구동한다. 회전구동부 54의 회전 전달기어기구의 축 56은 상기 구동축 55과 같은 회전수로 회전하도록 설정되어 있고, 이 축 56의 주위면의 일부에 광학적인 마크 24가 붙여져 있다. 이 마크 24는, 구동축 55과 같은 회전수로 회전하는 축이라면 어느 곳이든지 좋고, 또한 광학적으로 식별 가능한 마크라면 여러종류의 형태가 가능하며, 예컨대, 제14도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크의 부분만으로 평면상 또한 거울상의 반사부가 형성되고, 다른 주위면은 곡면으로 또한 흑색의 무반사상태로 한 것이라도 좋다.
상기 마크 24는 구동축 55에 설치된 키이 57와 같은 각도위치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마크 24의 위치는 키이 57의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카트리지의 표시판 52에는 스풀 38의 키이홈과 같은 각도위치에 키이홈 60이 형성되어 있고, 이 키이홈 60은 표시면 61의 중심축방향에 일치하고 있다.
이들 구조로부터, 상기 마크 24의 위치에서 표시면 61의 위치를 알 수가 있다.
58은 반사형의 광센서로서, 마크 24가 그림과 같이 바로 옆의 위치에 왔을 때에 검출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축 56의 바로 옆의 위치에 배설되어 있다.
따라서, 표시판 52의 표시면 61이 바로 옆에 와서, 표시창 53D으로부터 표시면 61의 착색이 보여지는 상태일 때에, 광센서 58가 마크 24를 검출하여, 광센서 58로부터 출력된 검출신호가 제어회로 59에 입력된다.
제어회로 59는, 검출신호가 입력되면, 구동모터 23를 곧바로 정지시키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카트리지에 필름을 권취한 후에, 이 사진처리장치로부터 카트리지를 꺼내면, 표시판 52은 정확하게 바로 옆의 위치에서 정지하고, 표시창 53D으로부터만 표시면 61의 착색이 보이고, 이 카트리지 1는 현상완료인 것을 나타내는 상태로 되어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사진처리장치에 있어서, 카트리지셋트부 7에 카트리지 1가 장착되면, 개구부가 열려서, 회전구동부 54의 구동축 56이 카트리지 1의 스풀 38에 꽂아진다. 이 때, 제12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풀 38에 형성된 키이홈에 구동축 56에 형성된 키이 57가 맞물려서, 구동모터 23가 정전(正戰)하면, 카트리지 1로부터 필름이 송출된다.
송출된 필름의 지정된 화편은 상기 오토네가마스크 60로 소정의 마스크처리되어 인화지에 프린트된다. 지정된 모든 화편의 프린트가 종료하면, 구동모터 23가 역전하고, 필름을 권취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필름 20으로 차단되어 있던 발광소자 51A로부터의 빛이 수광소자 51B에도달하면, 필름권취완료에 가까운 것을 검출하고, 그 시점에서, 더욱 소정회전각도(예컨대, 모두를 카트리지내로 권취하기 위해서 충분한 각도인 반회전)회전한 후, 표시판 52의 위치결정제어를 개시한다
위치결정제어에 있어서, 광센서 58가 마크 24를 검출하여 검출신호가 출력되는지 아닌지를 감시하면서 구동모터 4를 회전시킨다. 검출신호가 출력되면, 곧바로 구동모터 4를 정지시킨다.
다음에, 구동축 56을 스풀 38로부터 뽑아내고, 카트리지 1를 빼낸다.
이와 같이 하여 빼내어진 카트리지 1는, 표시창 13D으로부터만 표시면 61의 착색이 보이고, 이 카트리지 1는 현상완료된 것을 나타내는 상태로 되어있다.
마크의 형상은, 제14도의(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크부분만으로 반사부 24A 가 형성되고, 다른 주위면은 흑색의 무반사상태로 한 것이라도 좋다.
또한, 제14도의(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사형의 광센서로 바꾸어 투과형의 광센서(포토인터램프) 58A와 마크위치에만 슬릿 24B가 형성된 차광디스크를 구비해도 좋다.
또한, 위치결정제어에 있어서, 광센서 58가 마크 24를 검출했을 때에 곧바로 구동모터 4를 정지시키는 것이 아니고, 일단 저속운전으로 바꾸고, 다시 마크를 검출했을 때에 정지시키면, 더욱 정확한 위치결정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축 56에 붙는 마크는 광학적 특이부 뿐만 아니라, 여러종류의 공지의 마킹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표시판 52의 방향과, 마크의 방향은 일치하지 않아도, 표시판 52과 마크와 광센서 58의 상대적인 관계가 일정하면 된다.
예컨데, 자기적인 마크를 부착하여 자기센서로 검추라흔 방법, 요철(凹凸)등의 형상적인 마크를 부착하여 기계적으로 검출하는 방법,도전부(導電部)와 비도전부를 설치하여 전기적으로 검출하는 방법등이 가능하다.
또한, 회전구동부 54에서 검출하는 것이 아니고, 표시창을 광학적으로 직접 감시하여 착색유무를 검출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이상에서는, 프린트처리를 예로 들어 설명했으므로, 표시판의 정지위치를 표시창 13D에 한정했지만, 미노광의 화편이 남아있는 카트리지를 처리하는 경우에는, 표시판의 정지위치는 표시창 53B에 맞게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러기 위해서는, 상술한 여러종류의 방법을 이용하여, 표시판의 방향을 90도씩 4곳에서 검출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면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원하는 표시창에 표시판을 정확하게 정지시킬 수 있으므로, 현상완료된 카트리지를 잘못하여 재차 현상처리하거나, 잘못하여 재차 카메라에 장전하여 촬영작업을 해버리거나 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발명은, 오토네가마스크부 30 뿐만 아니라, 필름을 카트리지로 사용하는 여러종류의 사진처리장치에 채용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도 명확한 바와 같이, 청구항 1의 사진자동처리기의 네가마스크부에 의하면, 가이드를 카트리지셋트부에 취부하지 않는 경우에는, 카트리지에 수납된 필름의 처리가 가능하게 되고, 가이드를 카트리지셋트부에 취부한 경우에는, 스트립필름의 처리가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필름을 손상시키지 않고 양 필름의 처리가 가능하게 되고, 사진처리업자의 설비부담이 적게 된다.
또한, 가이드의 취부나 떼어내는 것만으로, 양 필름의 처리가 가능하게 되므로, 가이드의 조작성이 좋고, 사진처리의 작업성이 향상한다.
청구항 2의 사진자동처리기의 네가마스크부에 의하면, 가이드를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시키므로써, 가이드를 카트리지셋트부에 정확하게 취부할 수 있으므로, 가이드의 조작성이 한층 더 향상한다.
청구항 3에 기재한 본 발명에서는, 자동네가마스크부에 설치한 카트리지홀더의 소정위치에 다소 위치를 벗어나서 카트리지를 셋트해도, 보지용 블록의 이동에 의하여 확실하게 보지할 수 있다. 따라서, 최초로 카트리지를 셋트할 때에, 그 셋트위치에 그다지 주의를 기울이지 않고 셋트할 수가 있다. 또한 카트리지셋트시의 위치규제가 없으므로 셋트한 카트리지르르 쉽게 빼낼 수가 있다
또한, 청구항 4에 기재한 본 발명에서는, 한쪽의 보지용 블록에 설치한 계지축을 구동장치에 의하여 회동시키도록 하고 있으므로, 이 계지축의 키이가 셋트한 카트리지 홀더의 키이홈에 쉽게 합치시킬 수가 있고, 카트리지의 스풀축에 확실하게 계지축의 회전을 전할 수가 있다. 그리고 카트리지채로 셋트하면 필름의 넣고 빼냄이 가능하고, 그대로 프린트처리를 할 수 있어서, 작업성이 좋고 네가의 손상 등의 염려도 없다. 또한, 카트리지를 빼낼 때에도 카트리지의 주위에 넓은 스페이가 생기므로 빼내는 것이 쉽다.
또한, 청구항 5에 기재한 본 발명에서는, 구동측의 계지축에 키이 대신에 탄발돌편부재(彈發突片付材)를 설치하고, 이 탄발돌편부재의 계지철(係止凸)부가 계지축에 형성한 개구로부터 필요에 따라서, 카트리지의 키이홈에 계합하여 계지축의 회전을 카트리지의 스풀축에 확실하게 전달할 수가 있다.
청구항 6의 발명에 의하면, 카트리지가 구비하고 있는 표시기능을 정확하게 조작할 수가 있으르모, 현상완료된 카트리지를 잘못하여 재차 현상처리하거나, 잘못하여 재차 카메라에 장전하여 촬영작업을 해버리는 실수를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7의 발명에 의하면, 광학적으로 비접촉으로 구동축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으므로, 표시판의 위치결정제어를 높은 신뢰성으로 행할 수 있다.

Claims (7)

  1. 필름삽입구에 카트리지셋트부를 갖는 자동네가마스크부를 구비한 사진처리장치에 있어서, 카트리지로부터 분리된 필름을 필름 삽입구로 안내하기 위하여 가이드를, 카트리지셋트부에 착탈자유로이 취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를 카트리지셋트부의 주위부에 힌지(hinge)로 일체적으로 취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처리장치.
  3. 소정의 간격을 두고 좌우로 카트리지용 보지용 블록을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양보지용 블록을 이동하여 접근, 또는 이반가능하도록 하고, 또한 양 보지용 블록의 소정 개소에 카트리지의 스풀축의 계합구멍에 계지하는 계지축(係止軸)을 설치하여, 양 보지용 블록의 계지축으로 카트리지를 보지할 수 있는 자동네가마스크부의 필름홀더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한쪽의 보지용 블록의 계지축을 회동자유로이 설치하는 동시에, 스프링의 탄발에 의하여 항상 다른 쪽의 보지용 블록방향에 부세되도록 하고, 또한 이 계지축의 선단부에 카트리지의 스풀축의 계합구멍에 형성한 키이홈에 계합하는 키이를 형성하고, 또한, 이 계지축을 구동장치에 의하여 구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에 의하여 구동하는 계지축에, 선단부 근방의 외주부에 형성한 개구에 연통하는 내부홈을 형성하고, 이 내부홈에 탄발돌편부재(彈發突片府材)를 내설하는 동시에, 상기 개구로부터 이 탄발돌편부재의 계지철부(係止凸部)를 돌출하고, 이 계지철부가 계탈가능(係脫可能)하도록 카트리지의 스풀축의 계합구멍에 형성한 키이홈(key 溝)에 계합할 수 있도록 한 사진처리장치.
  6. 스풀과 함께 회전하는 표시판을 구비한 카트리지의 스풀에 꽂아진 구동축을 회전 구동수단에 의하여 회전구동하고, 필름의 인출 또는 권취를 하는 동시에, 상기 표시판을 소정의 각도위치에 정지시켜서, 이 필름의 상태를 표시하도록 구성된 카트리지의 회전구동장치를 구비한 사진처리장치에 있어서, 카트리지의 회전구동장치는, 카트리지의 표시판이 소정의 각도위치에 있을 때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위치검출수단과, 상기 검출신호가 출력되었을 때에 상기 회전구동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표시판을 소정의 각도위치에 위치결정하여 정지시키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검출수단은, 구동축의 주위면의 소정의 각도위치에 형성된 광학적인 특이부(特異部)와, 카트리지의 표시판이 소정의 각도위치에 있을 때의 상기 광학적 특이부의 위치를 광학적으로 검출하여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광센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처리장치.
KR1019960045655A 1995-10-25 1996-10-14 사진처리장치 KR01858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278105 1995-10-25
JP27810495A JP3608271B2 (ja) 1995-10-25 1995-10-25 写真自動処理機のネガマスク装置
JP27810795A JP3269357B2 (ja) 1995-10-25 1995-10-25 カートリッジの回転駆動装置
JP27810595A JP3269356B2 (ja) 1995-10-25 1995-10-25 自動ネガマスクユニットにおけるフィルムカートリッジホルダー
JP95-278107 1995-10-25
JP95-278104 1995-10-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2489A KR970022489A (ko) 1997-05-28
KR0185802B1 true KR0185802B1 (ko) 1999-05-15

Family

ID=27336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5655A KR0185802B1 (ko) 1995-10-25 1996-10-14 사진처리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898481A (ko)
EP (1) EP0770903B1 (ko)
KR (1) KR0185802B1 (ko)
CN (1) CN1083580C (ko)
DE (1) DE69628260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78259B2 (en) * 2001-03-14 2004-08-17 Fuji Photo Film Co., Ltd. Photo film advancing device having a guide holder and a photo film carrier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666A (ja) * 1983-06-22 1985-01-10 Fuji Xerox Co Ltd 原稿供給装置
JPH0720669Y2 (ja) * 1986-09-01 1995-05-15 ノーリツ綱機株式会社 プリンタにおけるネガキヤリア装置
US4994850A (en) * 1988-10-12 1991-02-19 Fuji Photo Film Co., Ltd. Image frame selecting apparatus for photographic printer
JPH02181134A (ja) * 1989-01-04 1990-07-13 Fuji Photo Film Co Ltd フイルムキャリア
US5596381A (en) * 1994-01-19 1997-01-21 Konica Corporation Camera for use with photographic film in a cartridge
JP2755160B2 (ja) * 1994-04-08 1998-05-20 ノーリツ鋼機株式会社 写真焼付処理方法及び装置
JP2755161B2 (ja) * 1994-04-11 1998-05-20 ノーリツ鋼機株式会社 写真焼付処理方法及び装置
JP2713215B2 (ja) * 1995-04-14 1998-02-16 ノーリツ鋼機株式会社 プリンタにおけるネガキャリア装置
US5614971A (en) * 1995-05-18 1997-03-25 Eastman Kodak Company Mechanism and method for determining when photographic film has been completely rewoun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898481A (en) 1999-04-27
DE69628260D1 (de) 2003-06-26
DE69628260T2 (de) 2004-03-25
EP0770903A2 (en) 1997-05-02
CN1155682A (zh) 1997-07-30
CN1083580C (zh) 2002-04-24
KR970022489A (ko) 1997-05-28
EP0770903B1 (en) 2003-05-21
EP0770903A3 (en) 1997-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54857A (en) Photographic film packag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5023642A (en) Sensor apparatus to read film information
EP0469335A2 (en) Film cassette with lock-out means for preventing load of exposed film
JP3132737B2 (ja)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の製造方法
GB2234083A (en) Disposable camera
CA2046136C (en) Film cassette with exposure status indicator
KR0185802B1 (ko) 사진처리장치
EP0901037A2 (en) Method of loading film roll on film unwinder shaft and film producing and packaging system
US5450150A (en) Light-shielding door of film cassette has notches that mate with film support rails of camera
JPH05100356A (ja) 写真フイルム
CA2188719C (en) Film winding apparatus
JP3103455B2 (ja) 感光材料取扱装置
US4720719A (en) Film wind-up apparatus
JP3773142B2 (ja)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の製造方法及び装置
JP2002341492A (ja) 写真用のロールフィルムを一回使用のカメラに装填する方法及び装置
US5473398A (en) Opened light-shielding door of film cassette overlaps extension of film gate device to bridge a gap between the cassette and gate device
JP2885155B2 (ja) 写真露光装置
JP3514277B2 (ja) 写真処理装置
JP3269357B2 (ja) カートリッジの回転駆動装置
JP2959452B2 (ja) 写真処理装置用フィルム搬送装置
JPH09120105A (ja) 写真自動処理機のネガマスク装置
US20040081452A1 (en) Film magazine
JPH09282622A (ja) クリーニング部材認識システムおよびクリーニング部材
JPH07209846A (ja) マガジンに対する帯状フィルムの着脱装置及び方法
JPH11119329A (ja) フイルムバックおよび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