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5257B1 - 섕크의 편향없이 해머 어셈블리를 리바운딩시키는 해머 섕크 스토퍼가 장치된 건반악기 - Google Patents

섕크의 편향없이 해머 어셈블리를 리바운딩시키는 해머 섕크 스토퍼가 장치된 건반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5257B1
KR0185257B1 KR1019950028679A KR19950028679A KR0185257B1 KR 0185257 B1 KR0185257 B1 KR 0185257B1 KR 1019950028679 A KR1019950028679 A KR 1019950028679A KR 19950028679 A KR19950028679 A KR 19950028679A KR 0185257 B1 KR0185257 B1 KR 01852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mmer
damper
musical instrument
assembly
st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8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8671A (ko
Inventor
하지메 하와시다
다타시 아오야기
사토시 이노우에
린기 노즈에
기요시 가와무라
시게아키 사토
Original Assignee
우에시마 세이스케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에시마 세이스케,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우에시마 세이스케
Publication of KR960008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86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5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52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C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3/00Details or accessories
    • G10C3/16Actions
    • G10C3/18Hamme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C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5/00Combinations with other musical instruments, e.g. with bells or xylophones
    • G10C5/10Switching musical instruments to a keyboard, e.g. switching a piano mechanism or an electrophonic instrument to a keyboard; Switching musical instruments to a silent mod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2Constructional details
    • G10H1/34Switch arrangements, e.g. keyboards or mechanical 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섕크의 편향 없이 해머 어셈블리를 리바운딩시키는 해머 섕크스토퍼가 장치된 건반악기에 관한 것이다.
어코스틱 직립형 피아노, 전자음 시스템, 해머 스토퍼는 어코스틱 사운모드에서 어코스틱 사운드를 발생하고, 전자음 모드에서 전자음을 발생하기 위해서 연합하여 건반악기를 형성하며, 해머 스토퍼는 댐퍼 어셈블리의 댐퍼 블럭하의 하부 공간에 연장되어 설치되어 있는 회전가능한 샤프트와, 댐퍼 블럭상의 상부 공간내에 돌출되어 있으면서 회전가능한 샤프트와 쿠션부재 사이의 브래킷으로 연결되는 상기 쿠션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전자음 모드에서 해머가 스트링에 충격을 가하기 전에 해머 운동을 완전히 중단시킨다.

Description

섕크의 편향없이 해머 어셈블리를 리바운딩시키는 해머 섕크 스토퍼가 장치된 건반악기
제1도는 종래의 건반악기에 합체되어 있는 해머 스토퍼를 도시한 측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건반악기의 구성을 도시한 전면도,
제3도는 키이 액션 기계장치, 댐퍼 어셈블리, 해머 어셈블리, 스트링, 해머스토퍼 간의 관계를 도시한 측면도,
제4도는 건반악기에 합체되어 있는 해머 스토퍼를 도시한 전면도,
제5도는 건반악기에 합체되어 있는 해머 스토퍼를 도시한 저면도,
제6도는 건반악기에 합체되어 있는 해머 스토퍼를 도시한 측면도,
제7도는 차단 위치에서의 해머 스토퍼를 도시한 측면도,
제8도는 또 다른 연결 프레임을 도시한 평면도,
제9도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건반악기에 합체되어 있는 댐퍼 어셈블리 및 해머 스토퍼를 도시한 측면도,
제10a도 및 제10b도는 해머 스토퍼의 변형도,
제1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건반악기에 합체되어 있는 댐퍼 어셈블리를 도시한 부분 절결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어코스틱 피아노 11a : 키이
13 : 스트링 수단 14a : 중심 레일
15 : 키이 액션 기계장치 16 : 댐퍼 어셈블리
16g : 댐퍼 블럭 17 : 해머 어셈블리
20 : 전자음발생시스템 30 : 사일런트시스템
31 : 해머스토퍼 31a : 회전가능한 샤프트
31b : 연결 프레임 31c : 쿠션 수단
본 발명은 어코스틱 사운드 및 전자음을 통해 선택적으로 연주 가능한 건반악기에 관한 것이며, 특히 스트링(string)을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 해머 섕크(hammer shank)의 변형 없이 해머 어셈블리를 리바운딩시기는 해머 섕크 스토퍼를 구비한 건반악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어코스틱 피아노(acoustic piano)는 해머 레일(hammer rail) 또는 키이 프레임(key frame)과 연결되어 있는 소프트 페달을 구비하며, 연주자는 해머 어셈블리의 본래 위치를 스트링과 더욱 가깝게 하거나 또는 소프트 페달을 밟음으로써 상기 본래 위치를 스트링으로부터 오프 셋(offset)시킨다. 해머 어셈블리가 스트링에 더욱 가까와지거나 또는 스트링으로부터 오프 셋된 때에, 해머 헤드는 세기를 줄이기 위해서 관련 세트의 스트링을 약하게 타격하거나 또는 스트링의 정규 개수보다 적은 관련 스트링을 타격한다. 통상, 그러한 소프트 페달은 예술적 표현을 위해 이용된다.
피아노 음조의 세기는 이웃들에게 피해를 입힐 정도여서, 여러 사일런트장치(silencer)가 제안되고 있다. 사일런트 장치 중의 하나는 미국특허 NO.2, 250, 065에 개시되어 있으며, 사일런트 장치는 해머 어셈블리를 키이 액션기계장치(key action mechanisms)로부터 떼어내기 위해서 해머 어셈블리를 들어올린다. 연주자가 손가락으로 건반을 누를지라도, 눌려진 키이는 키이 액션 기계장치만을 이동시키며, 해머 어셈블리는 상기 키이 액션 기계장치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동되지 않는다. 미국 특허에 개시된 피아노에는 전자음 발생기가 합체되어 있으며, 상기 전자음 발생기는 어코스틱 사운드 대신에 전자음을 발생한다.그런데, 키이 액션 기계장치로부터 해머 어셈블리가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어코스틱 피아노에서와는 건반 터치 감이 매우 다르므로, 사일런트 장치가 장치된 피아노는 전문 피아니스트에게는 적합하지 않다.
또 다른 사일런트 시스템은 일본공개특허공보 No.6-59667에 개시되어 있으며, 제1도에 종래의 사일런트 시스템을 도시하였다. 상기 일본공개특허공보는 일본 특허출원 N0.4-174813의 우선권 하에서 제출된 일본특허출원 No.5-157934에 개시된 발명을 공개한 것이다. 또한, 상기 일본특허출원 No.4-174813은 상기 우선권을 주장하여 미국 출원 No.08/073, 092로 출원되었으며, 상기 미국특허출원은 1994년 12월 20일에 미국톡허 No.5, 374, 775로 등록되었다.
사일런트 시스템은 해머 어셈블리(2)와 댐퍼 어셈블리(3) 사이의 좁은 공간에 구비되어 있는 해머 스토퍼(1)를 포함한다. 제1도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건반의 키이는 키이 액션 기계장치에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키이 액션 기계장치는 해머 어셈블리(2)를 회전시킨다. 댐퍼 어셈블리(3)는 한 세트의 스트링(4)에 대해 각각 구비되어 있으며, 해머가 스트링(4)에 충격을 가하는 동안 상기 관련 스트링을 떠난다. 해머 어셈블리(2)가 스트링(4)을 타격한 때에, 스트링(4)은 진동하여 어코스틱 사운드 조를 발생한다. 음조발생기능을 어코스틱 피아노에서와 유사하다.
회전 가능한 샤프트(1a), 브래킷 부재(1b), 쿠션 부재(1c)는 해머 스토퍼(1)의 부품을 이룬다. 상기 브래킷(1b)은 샤프트(1a)의 세로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회전가능한 샤프트(1a)에 부착되어 있으며, 쿠션부재(1c)는 브라켓 부재(1b)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회전가능한 샤프트(1a)는 사이드 보드 부재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모터 유닛 등의 구동수단 또는 조종 링크 기계장치는 쿠션부재(1c)를 자유 위치(free position: FP) 및 차단 위치(blocking position: BP)사이에서 변경시키기 위해 샤프트를 양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쿠션부재(1c)가 자유위치(FP)에 있는 동안에, 해머 어셈블리(2)는 해머스토퍼(1)의 방해 없이 스트링을 타격할 수 있으며, 스트링(4)은 어코스틱 사운드 조를 발생한다. 한편, 쿠션부재(1c)가 차단위치(BP)로 변경되면, 해머 어셈블리(2)는 스트링(4)에 충격을 가하기 전에 쿠션부재(1c)상에서 리바운딩하며, 음조 발생기(도시 생략)는 헤드폰을 통해서 전자음을 발생한다.
일본공개특허공보에 개시된 종래기술의 건반악기에서, 눌려진 키이는 관련 키이액션 기계장치를 작동시키며 키이액션 기계장치의 잭(jack)은 어코스틱사운드 및 전자음을 통한 연주에서 관련 해머 어셈블리(2)로부터 이탈한다. 잭이 해머 어셈블리(2)로부터 이탈한 때에, 연주자는 독특한 건반 터치감을 느끼며, 해머 어셈블리는 스트링(4)쪽으로 자유 회전을 시작한다. 따라서, 종래의 건반악기는 연주자에게 고유한 건반 터치 감을 주며, 어코스틱 사운드 및 전자음을 선택적으로 발생한다.
그런데, 제1도에 도시한 종래의 건반악기는 해머 스토퍼(1)의 설치시에 문제를 가지고 있다. 상세하게는, 조절버튼(도시 생략)이 종래의 건반악기에 합체되어 있으며, 잭은 상기 조절버튼과 접촉된 때에 해머 어셈블리로부터 이탈한다. 이탈점에서 해머 헤드(2a)와 스트링(4)사이의 거리는 통상 수 mm로 조절되며, 차단위치(BP)에서의 해머 스토퍼(1)는 이탈점과 스트링상의 충격지점사이에서 해머 어셈블리의 자유회전을 방해하도록 되어 있다. 해머 스토퍼(1)는 댐퍼 헤드(3a)하에 위치되어 있고, 댐퍼 헤드(3a)가 해머 스토퍼(1)상의 공간으로 되돌아오도록 한다. 이는 해머 섕크(2b)의 돌기부가 쿠션 부재(1c)상에서 리바운딩하는 것을 의미하며, 리바운딩에서의 해머 섕크(2b)의 변형은 무시될 수 있다.
만약 해머 스토퍼(1)가 스트링(4)에 너무 가까우면, 변형된 해머 섕크(2b)로 인해 해머 헤드(2a)가 스트링에 닿게 되므로, 전자음에서 소음이 발생될 수 있다. 한편, 해머 스토퍼가 스트링(4)으로부터 너무 멀게 위치하면, 해머 어셈블리(2)는 스트링(4)을 타격할 수 없다. 그런데 잭과 해머 스토퍼(1)사이에서 해머 섕크(2b)가 붙잡힐 위험이 있다. 물론, 조기에 이탈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바람직하지 못한 붙잡힘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나, 그러한 이상조절은 고유한 건반 터치 감을 파괴한다. 해머 섕크(2b)의 변형은 해머 비트 및 비트 플랜지상에 바람직하지 못한 하중을 가한다.
해머 섕크(2b)의 도입 단부는 쿠션부재(1c)상에서 리바운딩하기 때문에, 상기 문제는 해머 스토퍼(1)를 댐퍼 헤드(3a)위의 공간에 설치함으로써 해머 어셈블리(2)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해머 섕크(2b)는 리바운딩 지점과 해머 헤드(2a)사이의 짧은 거리로 인해서, 해머 섕크(2b)의 도입단부가 쿠션부재(1c)상에서 리바운딩하는 때에는 돌기부의 리바운딩에서보다 변형이 덜 된다. 그런데, 댐퍼 헤드(3a)위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다. 상세하게는 해머 헤드(2)의 크기가 다르기 때문이다. 저음조에 대한 해머 헤드(2a)가 가장 크고, 저음조에서 중간음조로, 그리고 고음조로 갈수록 해머 헤드(2a)가 작게 된다. 해머 헤드(2a)의 위치 및 댐퍼 헤드(3a)의 위치는 일정하지 않다. 예를 들면, 몇몇 중간음조에 대한 해머 헤드(2a)는 나머지 다른 것보다 더 높게 위치하고, 또한 결합된 댐퍼 헤드(3a)는 나머지 다른 것들보다 더 높은 위치에서 스트링(4)과 접촉되어 있다. 이는 이들 몇몇 중간 음조 주위에서 스트링(13)이 다른 스트링(13)들과 교차하기 때문이다. 또한, 댐퍼 차단 스크류(3b)는 댐퍼 헤드(3a)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유용한 공간을 간헐적으로 좁게 만든다. 결과적으로, 해머 헤드(2a) 및 헤드(3a)는 해머 스토퍼(1)에 대해 유용한 공간을 복잡하게 만들며, 일직선 회전 가능한 샤프트(1a)는 복잡한 공간을 가로질러 연장되어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주요목적은 종래의 건반악기의 문제를 해결한 해머 스토퍼를 건반악기에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회전가능한 샤프트 및 쿠션부재를 각각 하부 서브 공간(sub-space) 및 상부 서브 공간에 위치시킨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주자가 어코스틱 사운드 및 전자음을 통해서 선택적으로 음악을 연주할 수 있는 건반악기에 있어서, 연주동안에 연주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눌려진 다수의 키이와, 상기 어코스틱 사운드를 발생하기 위하여 진동하는 다수의 스트링 수단과, 상기 다수의 스트링 수단을 진동시키기 위해서 본래 위치로부터 상기 다수의 스트링수단쪽으로 각각 회전하는 다수의 해머 어셈블리와, 상기 다수의 해머 어셈블리를 회전시키기 위해서 상기 다수의 키이 위에 가해진 힘을 상기 다수의 해머 어셈블리로 각각 전달하는 다수의 키이 액션 기계장치와, 상기 다수의 스트링 수단(13)과 본래 위치에 놓인 상기 다수의 해머 어셈블리(17) 사이에 형성된 제1공간 내에서 일부 공간을 점유하여 제1공간 내에 제2공간을 남기도록 설치되며, 상기 다수의 키이(11a)가 눌려진 때에 상기 다수의스트링 수단(13)을 진동시키기 위해서 상기 다수의 스트링 수단(13)으로부터 일시적으로 떼어지도록 작동하는 다수의 댐퍼 어셈블리(16)를 포함하는 어코스틱피아노(10)와, 상기 어코스틱 사운드에 대응하는 상기 전자음을 발생하기 위해서 상기 다수의 키이의 눌려진 키이를 결정하는 전자음 발생 시스템과, 상부에 상기 다수의 댐퍼 어셈블리의 댐퍼블럭이 돌출되어 있는 가상면 아래에서 상기 제2공간의 하부 부차공간에 연장되어 있는 회전가능한 샤프트를 가진 해머 스트퍼와, 상기 회전가능한 샤프트에 의해 지지되고, 자유 위치와 차단위치 사이에서 상기 가상면 위의 상기 제2공간의 상부 서브 공간에서 이동하는 쿠션 수단을 포함하는 사일런트 시스템으로 구성되고, 상기 자유 위치에서의 상기 쿠션수단은 상기 다수의 해머 어셈블리가 상기 다수의 스트링 수단을 타격하도록 하고, 상기 차단위치에서의 쿠션 수단은 상기 다수의 해머 어셈블리가 상기 다수의 스트링수단을 타격하지 않고 그 위에서 리바운딩 하도록 하는 건반악기를 제공한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반악기의 특징 및 이점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제2도를 참고하면, 본 발명을 구현하는 건반악기는 크게 직립형 피아노(upright piano: 10), 전자음 발생 시스템(20), 사일런트 시스템(30)으로 구성되며, 선택적으로 어코스틱 사운드 모드 및 전자음 모드로 진입한다. 건반악기가 어코스틱 사운드 모드에 머무르고 있는 동안에, 연주자는 어코스틱 사운드를 통해 음악을 연주할 수 있다. 한편, 연주자는 전자음 모드에서 전자음을 통해 음악을 연주할 수도 있다. 다음 설명에서, 단어 전방은 단어 후방으로 표시되어 있는 위치보다 연주자에게 더 가까운 위치를 의미하며,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은 회전부가 표시되어 있는 지면상에서 결정된다.
직립형 피아노(10)는 키이 베드(12)상에 구비된 건반(11)을 포함한다. 88개의 흑백키이(11a)는 함께 건반(11)을 이루며, 평형 핀(도시생략) 둘레에서 회전 가능하다. 흑백키이(11a)는 직립형 피아노의 앞뒤 방향에서 연장되어 있으며, 흑백 키이(11a)의 전방 단부는 연주자에게 노출되어 있다. 연주자에 의해 힘이 가해지지 않고 있는 동안에, 흑백키이(11a)는 각각의 정지 위치에 머무르고 있다. 연주자가 흑백키이(11a)를 압건한 때에, 상기 흑백키이(11a)는 하방으로 이동하며 각각의 끝지점에 도달한다. 각각의 흑백키이(11a)에는 음계가 할당되어 있다.
직립형 피아노(10)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스트링 세트(13)를 추가로 포함한다. 다수의 스트링 세트(13)는 프레임(도시 생략)의 전방에 연장되어 있으며, 조정 핀(도시생략)과 히취 핀(hitch pin: 도시 생략) 사이에서 팽팽하게 잡아 당겨져 있다.
중심 레일(14a)은 흑백키이(11a)의 후방 단부 위에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양쪽 단부 및 그 중간점에서 액션 브래킷(14b)에 볼트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직립형피아노(10)는 흑백키이(11a)에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다수의 키이액션 기계장치(15), 상기 관련 스트링세트(13)를 순간적으로 떠나기 위해서 상기 키이 액션 기계장치(15)에 의해 작동되는 다수의 댐퍼 기계장치(16), 상기 키이액션 기계장치(15)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동되는 다수의 해머 어셈블리(17)를 추가로 포함한다.
연주자가 흑백키이(11a) 중의 하나를 누른 때에, 눌려진 키이(11a)는 댐퍼기계장치(16)가 스트링세트(13)를 떠나도록 하며, 자유 회전되도록 해머 어셈블리(17)를 구동시키기 위해 상기 키이액션 기계장치(15)를 작동시킨다. 해머 어셈블리(17)는 어코스틱 사운드 모드에서 스트링 세트(13)를 타격하며, 진공하는스트링(13)은 어코스틱 사운드를 발생한다.
연주자가 키이(11a)를 해제시킨 때에, 키이액션 기계장치(15) 및 해머 어셈블리(17)는 초기의 위치 또는 본래 위치로 복귀하고, 댐퍼 기계장치(16)는 다시 스트링(13)과 접촉하게 되므로 스트링(13)의 진동을 흡수한다.
키이액션 기졔장치(15)들은 배열면에서 서로 유사하며, 각각의 키이액션 기계장치(15)들은 중심 레일(14a)의 하부 단부에 볼트로 고정된 휘픈 플랜지(whippen f1ange: 15a) 및 상기 휘픈 플랜지(15a)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휘픈 어셈블리(15b)를 포함한다. 휘픈 어셈블리(15b)는 흑색 또는 백색 키이(11a)의 후방 단부 내에 삽입된 캡스턴 스크류(capstan screw: 11c)와 접촉되어 있는 히일(heel: 15c)을 구비하고 있다.
키이액션 기계장치(15)는 휘픈 어셈블리(15b)의 중간부분으로부터 직립되어 있는 잭 플랜지(jack flange: 15d)와, 상기 잭 플랜지(15d)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잭(15e)과, 상기 잭(15e)의 토우(15g)와 휘픈 어셈블리(15b)사이에 삽입된 잭 스프링(15f)과, 상기 토우(15g)에 대향하여 위치한 조절버튼기계장치(15h)를 추가로 프함한다. 잭(15e)은 L-형상을 가지며, 스웰(swell: 5i)은 토우(toe: 15g)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다. 잭 스프링(15f)은 잭(15e)을 항상 반시계 방향으로 민다.
흑색 또는 백색 키이(11a)가 정지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동안에, 휘픈 어셈블리(15b)는 제3도에서와 같이 수평적으로 유지되어 있으며, 토우(15g)의 스웰(15i)는 조절버튼 기계장치(15h)로부터 떨어져 있다.
조절버튼 기계장치(15h)는 조절버튼(15j)을 가지며, 스웰 부분(15i)과 조절버튼(15j)사이의 갭은 조절 스크류(15k)를 회전시킴으로써 변경된다. 스웰부분(15i)과 조절버튼(15j)사이의 갭이 증가하면, 잭(15e)은 해머 어셈블리(17)로부터 늦게 이탈한다. 반면, 갭이 감소하면 잭(15e)은 더 일찍 이탈한다.
토우(15g)의 스웰부분(15i)이 조절버튼(15j)과 접촉하게 된 때에 그 반작용은 휘픈 어셈블리(15b)의 회전운동을 방해하며, 따라서 눌려진 키이(11a)의 하방운동도 방해하게 되고 연주자는 이전보다 더 무겁게 상기 키이(11a) 감각을 느끼게 된다. 따라서, 잭(15e) 및 조절버튼 기계장치(15h)는 건반-터치와 깊게관련되어 있으며, 조절버튼(15j)의 위치는 잭(15e)의 이탈 시작점을 한정한다.
댐퍼기계장치(16)들은 배열면에서 서로 유사하며, 각각의 댐퍼기계장치(16)는 중심 레일(14a)의 상부 표면에 고정되어 있는 댐퍼 레버 플랜지(damper lever flange: 16a)와, 상기 댐퍼 레버 플랜지(16a)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댐퍼 레버(16b)와, 상기 휘픈 어셈블리(15b)의 후방단부 내에 삽입되어 있는 댐퍼 스푼(damper spoon: 16c)과, 상기 댐퍼 레버(16b)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댐퍼 와이어(damper wire: 16d)와, 상기 댐퍼 와이어(16d)에 고정되어 있는 댐퍼 헤드(16e)와, 상기 댐퍼 레버(16b)를 반시계방향으로 미는 댐퍼 스프링(16f)을 포함한다. 댐퍼 블럭(damper block: 16g), 댐퍼 우드(damper wood: 16h), 댐퍼 펠트(damper felts: 16i), 댐퍼 블럭 스크류(16j)는 전체적으로 댐퍼 헤드(damper head: 16e)를 구성하며, 댐퍼 스프링(16f)은 댐퍼 펠트(16i)를 스트링 세트(13)에 대해서 누른다. 댐퍼 와이어(16d)는 전후방향으로 댐퍼 블럭(16g)의 중간점 내에 삽입되며, 댐퍼블럭 스크류(16j)는 댐퍼 와이어(16d)를 댐퍼 우드(16h)에 고정시긴다. 댐퍼 스크류(16j)는 댐퍼 블럭(16g)의 전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이에 의해, 댐퍼블럭(16g)의 하부면 아래의 공간은 댐퍼블럭(16g)위의 공간보다 더 넓다.
흑색 또는 백색키이(11a)가 정지 위치에 머무르고 있는 동안에, 댐퍼 스푼(16c)은 댐퍼 레버(16b)를 밀지 않으며, 댐퍼 펠트(16e)는 스트링 세트(13)와 접촉되어 있다.
만약, 연주자가 백색 또는 흑색 키이(11a)를 정지위치로부터 끝지점까지 누르면, 캡스턴 스크류(11c)는 휘픈 어셈블리(15b)를 위로 밀고, 상기 휘픈 어셈블리(15b)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므로, 댐퍼 스푼(16c)으로 하여금 댐퍼 레버(16b)의 하부를 후방으로 밀게 한다. 결과적으로, 댐퍼 레버(16b)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며, 댐퍼 펠트(16i)는 스트링 세트(13)를 떠난다.
한편, 흑색 또는 백색키이(11a)가 해제된 때에 휘픈 어셈블리(16b)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댐퍼 스푼(16c)은 댐퍼 레버(16b)로부터 압력을 제거한다.
결과적으로, 댐퍼 스프링(16f)은 댐퍼 레버(16b)를 반시계방향으로 밀며, 댐퍼 펠트(16i)는 스프링 세트(13)와 다시 접촉한다.
또한, 해머 어셈블리(17)들은 배열면에서 서로 유사하다. 각각의 해머 어셈블리(17)는 중심 레일(14a)에 고정된 버트 플랜지(butt flange: 17b)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해머 버트(hammer butt: 17a)와, 상기 해머 버트(17a)로부터 상향 돌출되어 있는 해머 섕크(17c)와, 상기 해머 섕크(17c))의 도입단부에 고정되어 있는 해머 헤드(17d)와, 상기 해머 버트(17a)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캐쳐(catcher: 17e)와, 상기 휘픈 어셈블리(15b)의 전방 단부내에 삽입되어 있는 백 체크(back check: 17f)와, 상기 휘픈 어셈블리(15b)의 전방 단부내에 삽입되어 있는 브라이들 와이어(bridle wire: 17h)와, 상기 캐쳐(17e)사이에 연장되어 있는 브라이들 테이프(17g)와, 상기 해머 버트(17a)를 시계방향으로 미는 버트 스프링(17i)을 포함한다.
흑색 또는 백색 키이(11a)가 정지위치에 머물러 있는 동안에, 잭(15e)의 상단 표면은 해머 버트(17a)의 하부 표면에 부착된 비트 스킨(17j)과 접촉되어있으며, 해머 섕크(17c)는 해머 레일(14d)에 부착된 해머 레일 직물(14c)상에 정지하여 있다. 상기 해머 레일 직물(14c)은 해머 어셈블리(17)의 초가 상태 또는 본래 위치를 한정한다. 본래 위치의 해머 어셈블리(17)와 스트링(13)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댐퍼 어셈블리(16)는 이 공간에 설치되어 있고 그 공간에서 이동한다. 이에 의해, 상기 공간은 댐퍼 어셈블리(16)에 의해 부분적으로 점유되어 있고, 상기 공간에는 제2공간이 남아 있다. 제2공간은 가상적으로 댐퍼 어셈블리(16)의 하부면 아래의 하부 부차공간 및 그 하부면 위의 상부 서브 공간으로 분할되어 있고, 하부 서브 공간 및 상부 서브 공간은 사일런트 시스템(30)에 대해 이용된다.
해머 레일(14d)은 액션 브래킷(14b)에 의해 해머 레일 힌지(hammer rail hinges: 14e)를 통해 지지되어 있고, 상기 해머 레일 힌지(14e)는 액션 브래킷(14b)둘레에서 회전 가능하다 소프트 페달(18a)(제2도 참고)은 해머 테일 힌지(14e)에 연결되어 있으며, 해머 레일(14d)의 각 위치는 상기 소프트 페달(18a)을 조종함으로써 변경된다.
한편, 눌려진 키이(11a)가 반시계방향으로 휘픈 플랜지(15a)둘레에서 휘픈 어셈블리(15b) 및 잭(15e)을 회전시키고 있는 동안에 잭(15e)은 해머 어셈블리(17)를 상부방향으로 밀며,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스웰 부분(15i)이 조절버튼(15j)과 접촉된 때에, 잭(15e)은 잭 플랜지(15d)둘레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해머 버트(17a)로부터 이탈한다. 잭(15e)은 상기 이탈시 해머 비트(17a)를 타격하고, 해머 어셈블리(17)는 스트링 세트(13) 쪽으로 자유 회전을 시작한다. 이때, 해머 어셈블리(17)는 스트링(13)과 해머 헤드(17d)사이의 3 내지 5mm에서 자유회전을 시작한다.
건반악기가 어코스틱 사운드 모드에서 작동되면, 해머 헤드(17d)는 스트링(13)을 타격하고, 진동하는 스트링(13)은 눌려진 키이(11a)에 할당된 음조를 가지는 어코스틱 사운드를 발생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스웰부분(15i)이 조절버튼(15j)과 접촉된 때에, 잭(15e)은 이탈을 시작한다. 상기 이탈은 해머 비트(17a)로부터의 해제시 완료된다. 잭(15e)이 이탈을 시작한 때에, 버트 스킨(17j)과 잭(15e)의 상단 표면사이의 마찰 및 잭 스프링(15f)의 탄성력으로 인해, 연주자는 눌려지는 건반(11a)을 무겁게 느낀다. 잭(15e)이 이탈을 완료하거나, 해머 버트(108)가 자유회전을 시작한 때에, 상기 마찰은 제거되며, 잭 스프링(l5f)은 잭(15e)을 휘픈 어셈블리(15b)에 대해 초기 상태로 복귀시키기 위해 다시 신장된다. 결과적으로, 연주자는 키이(11a)를 더욱 가볍게 느낀다. 정지점으로부터 끝지점까지의 하중의 변화를 건반 터치감으로 칭한다. 이탈 시작점으로부터 이탈 완료점까지의 하중의변화는 후속 터치(after touch)라고 칭하며, 이는 연주자에게 건반 터치감을 강하게 준다.
스트링 타격이후에, 해머 어셈블리(17)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키이(11a)가 끝지점에 도달한 때에, 캐처(17e)는 백 체크(17f)와 접촉된다. 이때, 키이/키이액션기계장치의 운동은 일시적으로 정지된다. 이후, 연주자가 키이로부터 손가락을 떼면, 모든 부품은 초기위치로 복귀한다. 캐처(17e)가 백 체크(17f)상에서 리바운딩 하더라도, 브라이들 테이프(17g)는 휘픈 어셈블리(15b)를 해머 어셈블리(17)와 연결시키고, 스트링 세트(13)가 두 번 타격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연주자가 키이(11a)를 반복하면, 브라이들 테이프(17g)는 해머 어셈블리(17)의 복귀운동을 가속시키고, 잭 스프링(15f)은 버트 스킨(17j)과 다시접촉되기 위해서 잭(15e)을 민다. 키이액션기계장치(15), 댐퍼 기계장치(16), 해머 어셈블리(17)는 표준 직립형 피아노에서와 유사하다.
제2도를 다시 참고하면, 전자 시스템(20)은 실제 키이의 위치를 표시하는 키이 위치 신호(KP)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흑백키이(11a) 아래에 각각 구비되어있는 다수의 키이 센서(21)와, 오디오 신호(AD)를 발생하기 위해서 상기 키이 위치 신호(KP)에 응답하는 제어 유닛(22)과, 전자음을 발생하는 헤드폰(23)으로 구성된다. 키이 센서(21) 및 제어 유닛(22)은 U.S.P.5, 374, 775에 개시된 것과 유사하며, 편의상 설명은 생략한다.
다시 제3도를 참고하면, 사일런트 시스템(30)은 해머 스토퍼(31), 회전가능 샤프트(31a)를 포함하며, 연결 프레임(31b), 해머 섕크(17c)용 쿠션 부재(31c), 링크 기계장치(31d), 페달(31e), 쿠션부재(31f,31g)는 연합하여 해머 스토퍼(31)를 형성한다.
회전가능한 샤프트(31a)는 예를 들면 스틸의 금속 브래킷(32)상에 장착된 적합한 베어링 유닛(도시 생략)에 의해 지지되어 있으며, 금속 브래킷은 중심 레일(14a)의 상부 표면에 고정되어 있다. 금속 브래킷(32)은 액션 브래킷(14b)과 일직선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키이액션기계장치(15)의 운동을 간섭하지 않는다.
회전가능한 샤프트(31a)는 상기 제2공간의 하부 서브 공간에서 중심 레일(14a)과 평행하게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연결 프레임(31b)은 그 돌기부에서 회전가능한 샤프트(31a)에 연결되어 있으며, 제2공간의 상부 서브 공간 내로 돌출되어 있다.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 프레임(31b)은 섹션(31ba,31bb,31bc)으로 분할되어 있으며, 액션 브래킷(14b)은 해머 스토퍼(31)의 각 운동을 방해하지 않는다. 수 개의 중간 음조에 대한 해머 헤드(17d)는 다른 해머 헤드(17d)들보다 더 높게 위치하며, 댐퍼 헤드(16e)도 다른 것들보다 더 높게 위치한다. 이에 의해, 중간 섹션(31bb)은 상향 굴곡되어 있으며 쿠션 부재(31c)를 해머 섕크(17c)의 도입 단부에 대향하도록 한다. 쿠션부재(31c)는 연결프레임(31b)의 전방 표면에 부착되어 있고, 해머 섕크(17c)의 도입 단부에 대향하여 있다. 쿠션 부재(31f)는 회전가능 샤프트(31a)에 직접 부착되어 있으며 댐퍼 와이어(16d)에 대향하여 위치한다. 쿠션부재(31g)는 연결 프레임(31b)의 후면에 부착되어 있으며, 댐퍼 블럭 스크류(16j)는 쿠션 부재(31g)와 접촉된다.
회전가능한 샤프트(31a)의 높이는 종래의 해머 스토퍼(1)의 높이와 같다.
그런데, 회전가능한 샤프트(31a)는 댐퍼 와이어(16d)가 최대 도달시 쿠션부재(31f)와 접촉되는 위치로 전후방향으로 조정된다. 따라서, 회전가능한 샤프트(31a)는 댐퍼 레일로 작용하며, 건반악기에는 어떠한 댐퍼 레일도 합체되어 있지않다.
하부 서브 공간은 회전가능한 샤프트(31a), 쿠션 부재(31f), 연결 프레임(31b)의 돌기부를 수용할 정도의 넓이이다. 상부 부차공간이 하부 부차공간보다 좁기는 하나, 자유위치 및 차단위치사이에서 쿠션 부재(31c)와 연결 프레임(31b)의 도입 단부가 변경되도록 한다. 회전가능한 샤프트(31a)와 연결 프레임(31b)간의 연결부에 가해지는 모멘트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회전가능한 샤프트(31a)를 가능한 한 댐퍼 블럭(16g)의 하부 표면에 가깝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암부재(31da)는 회전가능한 샤프트(31a)에 고정되어 있고, 가요성 와이어(31db)는 페달(31e)에 아암부재(31da)를 연결한다. 적합한 고정 부재와 아암 부재(31da)사이에는 복귀 스프링(31dc)이 추가로 연결되어 있으며, 반시계방향으로 해머 스트퍼(31)를 민다. 아암 부재(31da), 가요성 와이어(31db), 복귀 스프링(31dc)은 링크 기계장치(31d)의 부품을 형성한다. 스토퍼 링(31h)은 회전가능한 샤프트(31a)의 양쪽 단부에 볼트로 고정되어 있으며, 스토퍼 링(31h)은 액션 브래킷(14b)에 고정된 카운터 부재(도시생략)와 협동하여 해머 스토퍼(31)와 해머 어셈블리(17)사이의 배열을 유지한다.
연주자가 페달(31e)을 밟으면, 샤프트(31a)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이에 의해 쿠션부재(31c)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해머 스토퍼(31)는 자유위치에서 차단위치로 변경된다.
연결프레임(31b)은 단단하므로, 해머 섕크(17c)의 리바운딩으로 인한 편향은 무시할 수 있다. 연결 프레임(31b)은 후방으로 절곡되어 있으며, 자유 위치에서의 쿠션 부재(31c)는 어코스틱 사운드 모드에서 해머 섕크(17c)의 궤도 밖을 유지한다. 해머 스토퍼(31)가 자유 위치에서 정지하고 있는 동안에, 해머 어셈블리(17)는 해머 스토퍼의 방해 없이 스트링(13)을 타격하며, 스트링(13)은 어코스틱 사운드를 발생한다.
한편, 차단위치에서의 쿠션 부재(31c)는 해머 섕크(17c)의 궤도 내에 있고. 해머 섕크(17c)는 해머 헤드(17d)가 스트링(13)에 도달하기 전에 쿠션 부재(31c)상에서 리바운딩한다. 해머 섕크(17c)가 쿠션부재(31c)상에서 리바운딩하는 때에, 쿠션부재(31c)의 전방 표면은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머 섕크(17c)에 평행하다. 해머 섕크(17c)가 탄젠트 방향으로만 힘을 가하는 때문에, 이러한 특징, 즉 해머 섕크(17c)와 쿠션부재(31c)간의 평행한 접촉은 바람직한 것이다. 해머 스토퍼(31)는 바람직하게 흔들리며, 그 파손이 방지된다. 따라서, 쿠션부재(31c)는 해머 섕크(17c)를 평행하게 수용하며, 전체 폭을 걸쳐 두께가 일정하다. 제7도에 도시된 해머 어셈블리(17) 및 댐퍼 어셈블리(16)는 고음조에 대한 스트링(13)에 대해 구비되어 있다.
만일, 연주자가 페달(31e)을 해제하면, 복귀 스프링(31dc)은 자유위치로부터 해머 스토퍼(31)를 변경시키고, 쿠션 부재(31c)는 차단 위치로 진입한다.
이 경우, 해머 헤드(17d)가 스트링(13)으로부터 3 내지 5mm되는 위치에 도달하는 각각의 위치들에서, 해머 어셈블리(17)가 자유 회전을 시작하면, 해머 스토퍼(31)는 전자음 모드에서 스트링(13)이 바람직하지 못한 진동을 하는 것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다. 제1도의 종래의 해머 스토퍼(1)는 스트링(4)이 편향으로 인해서 바람직하지 못한 진동을 하는 것을 완벽하게 방지하기 위해서 10 내지 15mm를 필요로 한다.
이 경우, 단지 섹션(31bb)만이 부분적으로 구부러져 있다. 그런데, 또다른 연결 프레임(41)은 회전가능한 샤프트(42)로부터 차이나게 떨어져 있는 각각의 전방 에지를 가지는 섹션(41a,41b,41c)을 가질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해머 헤드(17d)는 크기가 다르며, 해머 헤드(17d)와 댐퍼 헤드(16e)간의 공간은 저음조로부터 중간음조를 거쳐 고음조로 갈수록 증가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섹션(41a,41b,41c)으로 인해서 제조자는 쿠션부재들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으며, 모든 해머 섕크(17c)는 가능한 한 해머 헤드(17d)에 가깝게 도입단부에서 구션부재 상에서 리바운딩한다.
다음에는 건반을 연주할 때에 있어서의 건반악기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어코스틱 사운드를 통해서 연주자가 연주를 하려 한다. 연주자가 페달(31e)을 해 제시키면, 복귀스프링(31dc)은 아암부재(31da)를 반시 계방향으로 민다. 결과적으로, 해머 스토퍼(31)는 자유 위치에 남아 있으며, 건반악기는 어코스틱 사운드 모드에 있게 된다.
연주시, 연주자가 키이(11a)를 누른 때에, 캡스턴 버튼(11c)은 휘픈 어셈블리(15b)를 상부 방향으로 밀며, 휘픈 어셈블리(15b) 및 잭(15e)은 휘픈 플랜지(15a)둘레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잭(15e)은 스웰부분(l5i)이 조절버튼(15j)과 접촉될 때까지 잭 플랜지(15d) 둘레를 회전하지 않는다. 잭(106e)은 해머 버트(17a)를 밀며, 반시계방향으로 강력하게 해머 어셈블리(17)를 회전시킨다.
눌려진 키이(11a)는 댐퍼 스푼(16c)을 경사지게 하며, 댐퍼 스푼(16c)은 댐퍼 레버(16b)의 하부를 시계방향으로 누른다. 댐퍼 펠트(16i)는 스트링(13)을 떠나고, 상기 스트링(13)을 진동시킨다. 댐퍼 와이어(16d)가 쿠션부재(31f)와 접촉하게 된 때에, 댐퍼 어셈블리(16)는 시계방향으로의 회전을 중지시키고 쿠션부재(31f)상에서 지탱된다. 만약 댐퍼 블럭 스크류(16j)가 댐퍼 블럭(16g)으로부터 넓게 돌출되어 있으면, 댐퍼 블럭 스크류(16j)는 쿠션 부재(31g)와 접촉될 수 있다. 이 상황에서, 댐퍼 어셈블리(16)는 쿠션부재(31g)상에서 유지된다.
스웰 부분(15i)이 조절 버튼(15j)과 접촉하게 되는 때에, 휘픈 어셈블리(15b)의 회전으로 인해서, 잭(15e)은 잭 스프링에 반대하여 잭 플랜지(15d)둘레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잭(15e)은 해머버트(17a)로부터 이탈한다. 따라서, 잭(15e)는 조절버튼(15j)과의 접촉에서 이탈을 시작하며, 해머 버트(17a)로부터의 이탈을 완료한다. 연주자는 표준 어코스틱 직립형 피아노와 유사한 건반 터치감을 느낀다.
잭(15e)이 해머 버트(17a)로부터 이탈한 후, 해머 어셈블리(17)는 스트링세트(13)쪽으로 자유회전을 시작한다. 자유 위치에서의 해머 스토퍼(31)는 해머의 운동을 방해하지 않으며, 해머 헤드(17d)는 스트링(13)을 타격한다.
해머헤드(17d)는 스트링 세트(13)상에서 리바운딩하고, 해머상의 본래 위치로 복귀한다. 스트링 세트(13)는 진동하며, 어코스틱 사운드를 발생한다.
한편, 연주자가 어코스틱 사운드 없이 음악을 연주하고자 하면 연주자는 페달(31e)을 밟아서 상기 페달(31e)을 스텝(31i)(제2도 참고)과 결합시킨다. 페달(31e)은 가요성 와이어(31db)를 아래로 당기며, 상기 가요성 와이어(31db)는 아암부재(31da)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해머 스토퍼(31)는 차단 위치로 진입하며, 쿠션부재(31c)는 해머 섕크(17c)의 궤도상에 위치한다. 따라서, 건반악기는 전자음 모드로 진입한다.
이제, 연주자가 전자음 모드에서의 연주 동안에 키이(11a)를 누른다고 하면, 캡스턴 버튼(11c)은 휘픈 어셈블리(15b)를 상방으로 밀고, 휘픈 어셈블리(15b) 및 잭(15e)은 반시계뱅향으로 휘픈 플랜지(15a)둘레를 회전한다.
댐퍼 어셈블리(16)는 어코스틱 사운드 모드에서와 유사하게 작동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스웰부분(15i)은 조절버튼(15j)과 접촉되며, 회전 휘픈 어셈블리(15b)는 어코스틱 사운드 모드에서와 유사하게 잭을 해머 버트(17a)로부터 이탈시킨다. 상부 부차공간에서의 쿠션부재(31c)는 해머 섕크(l7c)가 바람직하지 않게 넓게 편향되는 것을 방지하며, 이탈점은 표준 어코스틱 직립형 피아노의 이탈점으로 조절된다. 이에 의해, 해머 섕크(17c)는 잭(15e)과 해머 스토퍼(31)사이에서 붙잡히지 않는다.
잭(15e)이 해머 버트(17a)로부터 이탈하는 동안에, 키이액션기계장치(15)는 손가락에 가해지는 하중을 변경시키며, 연주자는 통상적인 건반 터치감을 느낀다.
이탈이후에, 해머 헤드(17d)는 스트링 세트(13)쪽으로 자유 회전을 시작하며, 해머 섕크(17c)는 스트링(13)에 타격을 가하기 전에 쿠션부재(31c)상에서 리바운딩한다. 섕크(17c)의 도입단부는 쿠션부재(31c)와 접촉하게 되며, 해머 섕크(17c)는 약간만 편향된다. 이에 의해, 이탈점이 변경되지 않아도, 해머 헤드(17d)는 스트링(13)을 터치하지 않으며, 이에 의해 어코스틱 사운드도 발생되지 않는다.
쿠션 부재(320d)상의 리바운딩 후에, 해머 어셈블리(108)는 본래 위치로 복귀한다.
상기한 내용에서 알 수 있듯이, 상부 서브 공간에서의 쿠션부재(31c)는 해머 섕크(17c)가 많이 편향되지 않고 리바운딩 하도록 하며, 잭(15e)은 표준 어코스틱 직립형 피아노에서와 동일한 지점에서 상기 결합된 해머 버트(17a)로부터 이탈한다. 이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건반악기는 어코스틱 사운드 모드 및 전자음 모드에서 표준 어코스틱 직립형 피아노에서와 같은 건반 터치감을 연주자에게 제공한다.
해머 섕크(2b,27c)의 편향으로 인한 해머 헤드(2a,17d)간의 차이는 다음과 같이 분석된다. 해머 어셈블리는 캔틸레버이며, 편향은 길이의 세제곱에 비례한다. 리바운딩 점과 해머 헤드의 중심간의 거리가 종래의 해머 어셈블리(2)에 대해서는 49mm이고 해머 어셈블리(17)에서는 27mm라고 가정하면, 편향의 비율은 다음과 같이 졔산된다.
(27/4g)3=0.167 ............ 식(1)
따라서, 스트링과의 터치로 인한 바람직하지 못한 노이즈 제거면에 있어서 해머 헤드의 중심에 가능한 가까운 리바운딩 점이 효과적이다.
또한, 해머 섕크/헤드(17c,17d)는 해머 버트(17a)상에 큰 모멘트를 가하지 않으므로 해머 어셈블리(17)는 파손되는 경향이 작다.
해머 어셈블리(17)상에 가해지는 하중과 종래의 해머 어셈블리(2)의 해머 어셈블리에 가해지는 하중을 비교하면, 해머 어셈블리(2,17)는 해머 버트의 회전중심 및 리바운딩 점들로부터 길이(L)및 관성 모멘트(IH)를 가진다. 종래 해머 어셈블리에 대해서는 길이(L)가 52mm(L1)이고, 본 발명에 따른 해머 어셈블리(17)에 대해서는 74mm(L2)라고 하면, 리바운딩점에서의 등가질량(Mel)은 종래 해머 어샘블리(2)에 대해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Mel = IH/L12........... 식(2)
리바운딩 점에서의 등가질량(Mel)은 본 발명에 따른 해머 어셈블리(17)에 대해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Mel = IH/L22........,.... 식(3)
상기 등가질량들의 비는 다음과 같다.
Mel/MeL = L12/L22
=(L1/L2)2= (52/74)2= 0.5 ...... 식(4)
따라서, 해머 어셈블리(17)에 가해지는 하중은 종래의 절반으로 감소되고, 해머 섕크(2b)보다 파손되는 정도가 감소한다.
쿠션부재(31c)의 각으로부터 또다른 이점이 유도된다. 즉, 쿠션 부재(31c)의 각은 해머 섕크(17c)가 리바운딩에서 쿠션부재(31c)에 평행하게 되도록 조절되며, 해머 스토퍼(31)상에는 수직방향으로 바람직하지 못한 성분이 가해지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해머 스토퍼(31)는 오래 견디게 된다.
연결 프례임(31b)이 쿠션부재(31c)에 반대하는 충격으로 인한 진동을 흡수하기 때문에, 쿠션부재(31c)와 회전가능한 샤프트(31a)간의 분리로 인해 전자음을 통한 연주에서 소음이 제거된다.
회전가능한 샤프트(31a)에 부착된 쿠션부재(31f)는 댐퍼 와이어(16d)를 수용하며, 본 발명에 따른 건반악기에서는 댐퍼 레일이 필요하지가 않다.
최종적으로, 해머 헤드(17d)에 따라서 연결 프레임(31b)의 에지가 변경되는 경우, 제조자는 리바운딩 점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다.
다음은 제2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9도를 참고하면, 본 발명을 구현하는 또다른 건반악기에는 해머 스토퍼(51)가 합체되어 있다. 이 건반악기도 어코스틱 직립형 피아노, 전자음 시스템, 사일런트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해머 스토퍼(51)는 건반악기의 일부를 형성한다. 어코스틱 직립형 피아노 및 전자음 시스템은 제1실시예에서와 유사하며, 내용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 해머 스토퍼(51)에 대해 중점적으로 설명하였
다.
해머 스토퍼(51)는 해머 어셈블리(17)와 댐퍼 어셈블리(16)사이에 구비되어 있으며, 회전가능한 샤프트(51a), 쿠션부재(51b), 연결 프레임(51c), 자유위치와 차단위치사이에서 쿠션부재(31c)를 변경시기는 변경가계장치(도시생략)를 포함한다. 회전가능한 샤프트(51a) 및 쿠션부재(51b)는 해머 스토퍼(31)에서와 유사하다. 그런데, 연결 프레임(51c)은 부분적으로 두드러져 있다. 결과적으로, 연결 프레임(51c)의 중간부분은 그 상부부분 및 하부부분으로부터 돌출되어있다.
해머 스토퍼(51)가 자유위치에 머무르고 있는 동안에, 중간부분(51d)은 댐퍼 블럭 스크류(16j)가 해머 스토퍼(51)의 방해 없이 돌출되도록 한다. 이러한 이유로, 해머 스토퍼(51)는 쿠션부재(31g)를 구비하고 있지 않다. 쿠션부재(31g)가 연결 프레임(51c)의 후면에 부착되어 있지 않을지라도, 댐퍼 블럭 스크류(16j)는 소음을 발생하지 않으며, 전자음을 통한 연주는 더욱 편안하게 들리게 된다.
연결 프레임(52)은 제10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중간/하부 평판부재(51e/ 51f/51g)를 접착시키거나 용접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제10b도는 부분적으로 구부러진 핑판부재(53a) 및 상기 부분적으로 구부러진 평판부재(53a)에 볼트로 고정되어 있는 하부의 곧은 평판부재(53b)로 구성된 또다른 연결 프레임(53)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조자가 중간부분과 상부/하부 부분간의 차이를 용이하게 최대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연결프레임(52,53)은 바람직하다. 제10b도에 도시한 변형에서, 상기 부분적으로 구부러진 평판부재(53a)는 쿠션부재(51b)를 해머 섕크(17c)의 적절한 위치에 조정시ZL기 위해서 가늘고 긴 볼트 구멍을 가질 수 있다.
다음은 제3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11도를 참고하면, 본 발명을 구현하는 또다른 건반악기에는 댐퍼 헤드(61)가 합체되어 있다. 제3실시예의 건반악기도 어코스틱 직립형 피아노, 전자음 시스템, 사일런트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전자음 시스템 및 사일런트 시스템은 제1실시예에서와 유사하며, 어코스틱 직립형 피아노는 댐퍼 어셈블리(61)를 제외하고는 직립형 피아노(10)에 유사하다. 이러한 이유로, 댐퍼어셈블리(61)만을 설명한다.
댐퍼 어셈블리(61)는 댐퍼 우드(61a)와, 상기 댐퍼 우드(61a)에 부착된 댐퍼 펠트(61b)와, 댐퍼 레버(도시생략)와, 상기 댐퍼 레버로부터 돌출되어 있느 댐퍼 와이어(61c)와, 댐퍼 블럭 스크류(61e)에 의해 댐퍼 우드(61a)에 고정되어 있는 플라스틱 수지 또는 금속의 댐퍼 블럭(61d)를 포함한다. 댐퍼 블럭은나무로 형성되어 있으며, 거리(D1)는 댐퍼 블럭이 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길게 되어 있으나, 금속 또는 플라스틱 수지의 댐퍼 블럭(61d)은 깨질 염려가 없으므로, 거리(D1)는 나무로 된 댐퍼 블럭에서 보다 더 짧다. 이러한 이유로, 댐퍼 블럭(61d)의 거리(D2)도 나무 댐퍼 블럭에서보다 더 짧으며, 제3실시예의 건반악기에 합체되어 있는 해머 스토퍼로부터 쿠션부재(31g)가 제거되어 있다.
금속 또는 플라스틱 수지의 댐퍼 블럭은 역학적 강도가 커서 제조자는 댐퍼 블럭(61d)을 작게 제조할 수 있다. 그런데, 댐퍼 우드(61a)와의 넓은 접촉면적이 필요하므로, 댐퍼 블럭(61d)의 둘레를 따라 플랜지(61f)가 형성되어 있다.
특정 실시예들을 보기로 들어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개념 및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내에서, 여러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건반악기에는 자동연주를 위해서 건반아래에 설치되는 솔레노이드 동작 액튜에이터가 장치될 수도 있으며, 제어기가 연주를 녹음 및 재생시킬 수도 있다.
가이 센서는 해머 센서로 대체될 수 있다. 해머 센서는 해머 운동을 결정하기 위해서 해머 운동을 모니터하며, 제어가는 눌려진 키이를 결정하고 해머운동에 기초하여 스트링에 영향을 미친다.
사일런트 시스템은 토우와 조절 버튼 사이의 갭을 변경시키는 제어기계장치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조절 버튼에 대한 또다른 제어기계장치는 전자음 모드에서 해머 버트로부터 잭을 신속히 이탈시키기 위해서 가속시킬 수 있다.
적절한 커플링 부재를 통해 연결된 다수의 샤프트 부재는 상기 회전가능한 샤프트(31a)를 형성할 수 있다.
연주자에 의해 조증되는 핸드그립(hand grip)이 가요성 와이어에 연결될 수 있으나, 상기 회전가능한 샤프트에 전기모터가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Claims (13)

  1. 연주동안에 연주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눌려지는 다수의 키이(11a)와, 어코스틱 사운드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진동하는 다수의 스트링 수단(13)과, 상기 다수의 스트링 수단(13)에서 진동을 발생하기 위해서 본래 위치로부터 상기 다수의 스트링수단(13) 쪽으로 각각 회전하는 다수의 해머 어셈블리(l7)와, 상기 다수의 해머 어셈블리(17)를 회전시키기 위해서 상기 다수의 키이(11a)위에 가해진 힘을 상기 다수의 해머 어셈블리(17)로 각각 전달하는 다수의 키이 액션 기계장치(15)와, 상기 다수의 스트링 수단(13)과 본래 위치에 놓인 상기 다수의 해머 어셈블리(l7) 사이에 형성된 제1공간 내에서 일부 공간을 점유하여 제1공간 내에 제2공간을 남기도록 설치되며, 상기 다수의 키이(11a)가 눌려진 때에 상기 다수의 스트링 수단(13)을 진동시키기 위해서 상기 다수의 스트링 수단(13)으로부터 일시적으로 떨어지도록 작동하는 다수의 댐퍼 어셈블리(16)를 포함하는 어코스틱피아노(10 ) 와, 상기 어코스틱 사운드에 대응하는 전자음을 발생하기 위해서 상기 다수의키이(11a)의 눌려진 키이를 결정하는 전자음 발생 시스템(20)과, 자유 위치 및 차단위치 사이에서 변경되며, 상기 자유 위치에 위치할 때에는 상기 다수의 해머 어셈블리(17)가 상기 다수의 스트링 수단(13)을 타격하도록 하고, 상기 차단위치에 위치할 때에는 상기 다수의 해머 어셈블리(17)기 상기 다수의 스트링 수단(13)을 타격하지 않으면서 그 위에서 리바운딩 하도록 하는 해머 스토퍼(31;41;51;52;53)를 포함하는 사일런트 시스템(30)으로 이루어진 연주자가 어코스틱 사운드 및 전자음을 통해 선택적으로 음악을 연주할 수 있는 건반악기에 있어서, 상기 해머 스토퍼(31)는 상기 다수의 댐퍼 어셈블리(16;61)의 댐퍼 블럭(16g;61d)이 돌출되어 있는 가상면 아래의 상기 제2공간의 하부 서브 공간에 연장되어 설치되는 회전가능한 샤프트(31a;42;51a)와, 상기 회전가능한 샤프트(31a;42;51a)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가상면 위의 상기 제2공간의 상부 서브 공간에서 상기 자유 위치와 상기 차단 위치 사이에서 움직이는 쿠션 수단(31c;51b)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 블럭(16g,61d)은 상기 다수의 스트링 수단(13)에 대해 회전가능한 댐퍼 와이어(16d,61c)를 댐퍼 겔트(16i,61b) 고정용 댐퍼 우드(16h,61a)에 연결하고, 상기 댐퍼 블럭(16g,61d)의 적어도 하나의 하부 표면은 상기 가상면과 동일 평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댐퍼 기계장치(16;52;61)는 중심레일(14a)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상기 하부 서브 공간은 상기 중심레일(14a)보다 더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수단(31c;51b)은 상기 회전가능한 샤프트(31a;42;51a)에 고정된 연결 프레임(31b; 41a/41b/41c; 51c; 51e/51f/51g; 53a/53b) 상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프레임은 상기 회전가능한 샤프트(31a;42)를 따라 서로 떨어져 있는 다수의 평판부재(31ba/31bb/31bc; 41a/41b/41c)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평판부재에 각각 부착된 상기 쿠션부재(31c)는 연합하여 상기 쿠션수단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부재(31bb)의 하나는 상기 회전가능한 샤프트(31a)로부터의 거리가 변경된 만곡된 에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부재(41a/41b/41c)는 상기 회전가능한 샤프트(42)로부터의 거리가 다른 각각의 전단부들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프레임은 상기 회전가능한 샤프트(51a)에 연결된 하부 부분(51g)이 아닌 상기 다수의 해머 어셈블리(17)쪽으로 수축되어 있는 중간 부분(51d;51f)과, 상기 쿠션수단(51b)을 지탱하는 상부 부분(51e)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부분(51f)과 상기 하부 부분(51g)과 상기 상부 부분(51e)은 서로 용접되어 있거나, 또는 접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부분은 상기 상부 부분(53a)에 통합됨과 동시에, 상기 하부 부분(53b)에 볼트로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가 중간 부분과 상기 하부 부분(53b) 사이의 연결점은 조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 블럭(61d)은 금속 및 플라스틱 수지로부터 선택된 재료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 블럭(61d)은 댐퍼 펠트(61b)를 고정하는 댐퍼우드(61a)에 부착된 각각의 플랜지(61f)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
KR1019950028679A 1994-08-30 1995-08-30 섕크의 편향없이 해머 어셈블리를 리바운딩시키는 해머 섕크 스토퍼가 장치된 건반악기 KR01852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522594 1994-08-30
JP94-205225 1994-08-30
JP95-083724 1995-04-10
JP7083724A JP2743862B2 (ja) 1994-08-30 1995-04-10 鍵盤楽器
JP95-83724 1995-04-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8671A KR960008671A (ko) 1996-03-22
KR0185257B1 true KR0185257B1 (ko) 1999-04-15

Family

ID=26424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8679A KR0185257B1 (ko) 1994-08-30 1995-08-30 섕크의 편향없이 해머 어셈블리를 리바운딩시키는 해머 섕크 스토퍼가 장치된 건반악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616880A (ko)
EP (1) EP0700029B1 (ko)
JP (1) JP2743862B2 (ko)
KR (1) KR0185257B1 (ko)
CN (2) CN1107302C (ko)
DE (1) DE69519067T2 (ko)
TW (1) TW29712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49154A (ja) * 1996-09-18 1998-06-02 Yamaha Corp 鍵盤楽器の消音装置
US6156963A (en) * 1997-02-24 2000-12-05 Yamaha Corporation Keyboard assembly
JP3900706B2 (ja) * 1998-09-07 2007-04-04 ヤマハ株式会社 鍵盤装置
JP3292164B2 (ja) * 1999-01-22 2002-06-17 ヤマハ株式会社 鍵盤楽器の消音装置
BR9901823A (pt) * 1999-04-14 2000-10-31 Djalma Pacheco De Jun Carvalho Dispositivo de dupla repetição nos pianos verticais e de acrécimo de resistência ao toque em teclados de pianos verticias
JP3598942B2 (ja) * 2000-05-01 2004-12-08 ヤマハ株式会社 ピアノのダンパー機構
JP2005265903A (ja) 2004-03-16 2005-09-29 Yamaha Corp 鍵盤楽器
JP2006171236A (ja) * 2004-12-14 2006-06-29 Kawai Musical Instr Mfg Co Ltd アップライト型ピアノの消音装置
WO2009108437A1 (en) * 2008-02-27 2009-09-03 Steinway Musical Instruments, Inc. Pianos playable in acoustic and silent modes
US20090282962A1 (en) * 2008-05-13 2009-11-19 Steinway Musical Instruments, Inc. Piano With Key Movement Detection System
US8541673B2 (en) 2009-04-24 2013-09-24 Steinway Musical Instruments, Inc. Hammer stoppers for pianos having acoustic and silent modes
US8148620B2 (en) * 2009-04-24 2012-04-03 Steinway Musical Instruments, Inc. Hammer stoppers and use thereof in pianos playable in acoustic and silent modes
JP5659525B2 (ja) * 2010-03-24 2015-01-28 ヤマハ株式会社 鍵盤装置
DE102012025907B3 (de) * 2011-09-29 2023-03-16 Kabushiki Kaisha Kawai Gakki Seisakusho Hammervorrichtung für ein elektronisches Tasteninstrument
CN103930465B (zh) 2011-11-15 2016-05-04 提克纳有限责任公司 用于具有小尺寸公差的模塑部件的低环烷液晶聚合物组合物
WO2016200483A1 (en) * 2015-06-12 2016-12-15 Steinway, Inc. Piano extended soft pedal
CN105006224A (zh) * 2015-08-14 2015-10-28 森鹤乐器股份有限公司 一种钢琴击弦机制音木粒
CN108389561A (zh) * 2018-04-15 2018-08-10 向祖树 音柱锤
JP7230441B2 (ja) * 2018-11-09 2023-03-01 ヤマハ株式会社 加振ユニット、楽器
CN109307488B (zh) * 2018-11-14 2020-10-27 常州大学 一种钢琴白键安装平整度检测装置与方法
JP2021162617A (ja) * 2020-03-30 2021-10-11 株式会社河合楽器製作所 消音ピアノのストッパレール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50065A (en) * 1940-12-07 1941-07-22 James A Kochl Musical instrument
JPS61289393A (ja) * 1985-06-17 1986-12-19 ヤマハ株式会社 鍵盤楽器
JPH0659667A (ja) * 1992-06-09 1994-03-04 Yamaha Corp 鍵盤楽器
US5374775A (en) * 1992-06-09 1994-12-20 Yamaha Corporation Keyboard instrument for selectively producing mechanical sounds and synthetic sounds without any mechanical vibrations on music wires
US7309293B2 (en) 2006-02-06 2007-12-18 Beatrice Dunks Golf ball gripp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700029A2 (en) 1996-03-06
US5616880A (en) 1997-04-01
JP2743862B2 (ja) 1998-04-22
CN1135627A (zh) 1996-11-13
KR960008671A (ko) 1996-03-22
DE69519067T2 (de) 2001-05-10
CN2250565Y (zh) 1997-03-26
EP0700029A3 (en) 1999-01-07
EP0700029B1 (en) 2000-10-11
TW297120B (ko) 1997-02-01
CN1107302C (zh) 2003-04-30
DE69519067D1 (de) 2000-11-16
JPH08123403A (ja) 1996-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85257B1 (ko) 섕크의 편향없이 해머 어셈블리를 리바운딩시키는 해머 섕크 스토퍼가 장치된 건반악기
KR100273868B1 (ko) 평행 4변형 링크기구에 의해 구현된 해머 스토퍼를 구비한 건반 악기
KR0136946B1 (ko) 잭과 조절 버튼 사이에서 가변 접촉점을 가지는 키이보드 악기
KR0185258B1 (ko) 어코스틱 사운드 모드와 사일런트 모드 사이에서 이탈속도가 가변적인 잭을 가지는 건반악기
JP2002258835A (ja) 鍵盤楽器の脱進調整装置および鍵盤楽器の音量制御装置
KR100399850B1 (ko) 이탈 타이밍을 용이하게 조절하기 위한 조절버튼기구,이를 포함하는 사일런트 시스템 및 이를 장착하는 건반악기
US6452079B2 (en) Keyboard musical instrument equipped with hammer stopper promptly driven for rotation by means of rigid link work
US6011214A (en) Keyboard instruments having hammer stopper outwardly extending from hammer shank and method of remodeling piano into the keyboard instrument
JP2000322052A (ja) 鍵盤楽器の消音装置
US5874687A (en) Keyboard instrument having hammer stopper outwardly extending from hammer shank and method of remodeling piano into the keyboard instrument
EP1022718B1 (en) Keyboard musical instrument having hammer stopper changed between free position and blocking position through turn on horizontal plane
US6054641A (en) Keyboard musical instrument for practicing fingering on keyboard without acoustic sounds
JP3493743B2 (ja) 鍵盤楽器
JP3479397B2 (ja) 楽音装置
JP3438741B2 (ja) 鍵盤楽器
JP3456733B2 (ja) ピアノ
JP3451711B2 (ja) 鍵盤楽器
JP3256447B2 (ja) 鍵盤装置
JP4576707B2 (ja) 鍵盤楽器の消音装置および鍵盤楽器の弱音装置
JP2004213028A (ja) 鍵盤楽器の消音装置及び鍵盤楽器
JPH0675560A (ja) 鍵盤楽器
JPH0792965A (ja) ピアノ
JPH1039857A (ja) 鍵盤のキャプスタン調整装置および鍵盤装置
JPH0683327A (ja) 鍵盤楽器
JPH1039858A (ja) 鍵盤のウイッペン位置調整装置および鍵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10312

Effective date: 2002070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9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