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4921B1 - 방적기에 있어서의 보빈 반송시스템 - Google Patents

방적기에 있어서의 보빈 반송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4921B1
KR0184921B1 KR1019950043109A KR19950043109A KR0184921B1 KR 0184921 B1 KR0184921 B1 KR 0184921B1 KR 1019950043109 A KR1019950043109 A KR 1019950043109A KR 19950043109 A KR19950043109 A KR 19950043109A KR 0184921 B1 KR0184921 B1 KR 01849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spinning machine
conveying
carrier
lock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3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7964A (ko
Inventor
도쓰노리 하세카와
겐고 오하쓰
다카유키 모리타
마스오 하야카와
Original Assignee
이소가이 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지도숏키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소가이 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지도숏키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이소가이 지세이
Publication of KR960017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79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4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49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9/00Arrangements for replacing or removing bobbins, cores, receptacles, or completed packages at paying-out or take-up stations ; Combination of spinning-winding machine
    • D01H9/18Arrangements for replacing or removing bobbins, cores, receptacles, or completed packages at paying-out or take-up stations ; Combination of spinning-winding machine for supplying bobbins, cores, receptacles, or completed packages to, or transporting from, paying-out or take-up stations ; Arrangements to prevent unwinding of roving from roving bobbi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9/00Arrangements for replacing or removing bobbins, cores, receptacles, or completed packages at paying-out or take-up stations ; Combination of spinning-winding machine
    • D01H9/18Arrangements for replacing or removing bobbins, cores, receptacles, or completed packages at paying-out or take-up stations ; Combination of spinning-winding machine for supplying bobbins, cores, receptacles, or completed packages to, or transporting from, paying-out or take-up stations ; Arrangements to prevent unwinding of roving from roving bobbins
    • D01H9/182Overhead conveying devices

Abstract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조방기와 정방기 사이에서 보빈을 반송하는 방직기에 있어서의 보빈반송시스템에 관한다.
[발명이 해결하려하는 기술적과제]
조방기측에서 생산된 만보빈과 정방기측의 예비 조사보빈의 보빈피치가 다른것에 기인하는 각종 제한을 해소하고, 보빈반송에 있어서의 작업효율을 향상시킨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조방기측의 반송레일(3)과 정방기측의 반송레일(4)는 각각 독립해서 가설되어있다. 반송레일(3)을 주행하는 보빈반송체에는 조방기의 보빈휠의 2열교차상의 배치패턴의 1열측의 피치와 같게 보빈행거가 달아 설치되어있다.
또, 반송레일(4)를 주행하는 보빈반송체에는 정방기 기계틀의 양측에 배치되는 예비조사보빈의 피치에 같게 보빈행거가 달아 설치되어있다.
각 반송레일(3)(4)의 근접부에는 보빈교환장치(7)이 배설되어있다.
보빈교환장치(7)은 각 반송레일(3)(4)상을 서로 반대방향으로부터 진행하는 보빈 반송체 사이에서 달아내린 피치가 다른 양방의 보빈을 서로 교환가능하게 되어있다.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보빈교환장치의 설치수의 최소화, 연속적인 보빈교환의 정밀화, 장치구조의 간단화를 달성하여 설비비용을 대폭적으로 감축 및 작업효율의 향상을 달성하였다.

Description

방적기에 있어서의 보빈 반송시스템
제1도는 제1실시예의 보빈 반송시스템의 평면도.
제2도는 제1실시예의 보빈 교환장치의 평단면도.
제3도는 테이블 하강상태에 있는 보빈 교환장치의 일부파단측면도.
제4도는 테이블 하강상태에 있는 보빈 교환장치의 일부파단정면도.
제5도는 테이블 상승상태에 있는 보빈 교환장치의 일부파단측면도.
제6도는 테이블 상승상태에 있는 보빈 교환장치의 일부파단정면도.
제7도는 슬라이드 베이스장치의 평면도.
제8도는 슬라이드 베이스장치의 일부파단측면도.
제9도는 슬라이드 베이스장치의 정단면도.
제10도는 보빈반송체와 이송장치의 정단면도.
제11도는 이송장치의 저면도.
제12도는 이송장치의 평면도.
제13도는 이송장치의 측단면도.
제14도는 이송장치의 사시도.
제15도는 조방기열측의 보빈반송체의 측면도.
제16도는 정방기열측의 보빈반송체의 측면도.
제17도는 이송과정의 동작순서를 나타내는 작용도.
제18도는 제2실시예에 있어서의 보빈 반송시스템의 평면도.
제19도는 다른 예에 있어서의 보빈 반송시스템의 평면도.
제20도는 다른 예에 있어서의 모터상대회전속도와 시간과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제21도는 다른 예에 있어서의 보빈 교환을 나타낸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조방기(粗紡機) 2 : 정방기(精紡機)
3,4 : 반송레일 7 : 보빈교환장치
8,9 : 보빈반송체 10 : 보빈행거
12 : 링크부재 14,14a : 이송장치
44 : 테이블 47 : 승강 구동수단으로서의 승강용모터
51 : 금속벨트 52∼55 : 슬라이드 베이스장치
56 : 걸림수단으로서의 페그(peg) 63 : 이동구동수단으로서의 모터
C : 제어수단으로서의 제어장치 F : 조방기열(粗紡機列)
R : 정방기열(精紡機列) FB : 보빈으로서의 만보빈
EB : 보빈으로서의 공보빈
본 발명은 조방기에서 생산된 조사(粗絲)가 가득 담긴 보빈(이하, 만보빈이라 함)을 정방기에 공급함과 동시에 정방기에서 사용이 끝난 조사가 비어 있는 보빈(이하, 공보빈이라 함)을 조방기에 반송해서, 다시 조사를 감기 위해 조방기와 정방기 사이에서 보빈을 반송하는 방적기에 있어서의 보빈반송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방적 공장에서는 조방기에 의해 생산된 만조사보빈(만보빈)을 정방기측으로 공급하기 위해 반송(搬送)함과 동시에, 정방기에서 사용이 끝난 공조사보빈(공보빈)을 조방기측으로 되돌려 보내기 위해 반송할 필요가 있다.
보빈의 반송은 조방기와 정방기사이에 가설된 반송레일상을 주행하는 보빈반송체를 통하여 행해지고 있다(일본국 특개소 62-104934호 공보, 일본국 특공소 63-61418호 공보 등).
조방기나 정방기등의 방적기에서는 기계틀의 소형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보빈의 배치공간이 최소로 억제되도록 보빈(錘)의 피치(Pitch)나 배치패턴이 설정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조방기에서는 2열 지그재그형상으로 배치되도록 보빈 휠(bobbin wheel)의 배치패턴이 설정되어 있다.
또, 정방기에서는 거의 비어가는 조사보빈과 교환하는 예비 교환용의 조사보빈을 1열로 매달은 보빈반송체의 기계틀 좌우양측에 배치된다.
즉, 보빈반송체에 예비조사보빈의 피치로 매달아 설치한 보빈행거와, 조방기의 보빈휠과의 배치패턴 및 피치가 각각 다르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조방기에서 생산된 보빈휠상의 만보빈과, 조방기측까지 반송되어 온 보빈반송체에 장착된 공보빈을 교환하는 과정에서 보빈의 피치를 변경할 필요가 생긴다.
예를들면, 일본국 특개소 61-197376호 공보에는 보빈반송체에 굴절운동이 가능하게 링크연결되어 설치된 복수의 지지부재가 조방기측에서 지그재그형상으로 배치되므로서, 각 지지부재에 매달아 설치한 보빈행거가 보빈휠의 배치패턴에 대응하도록 2열 지그재그형상으로 배치 변경되는 보빈반송체가 개시되어 있다.
이 보빈반송체에 의하면, 정방기측의 피치로 일렬로 회수되어 온 공보빈이 조방기 위쪽에서 보빈휠과 대응하도록 2열 지그재그형상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만보빈과 공보빈을 교환하는 관교체동작이 단순하게 된다. 그 때문에, 관 교체기의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가 있다.
또, 일본국 특개소 61-174432호 공보에는 조방기 전방을 간헐적으로 주행하면서 조방기에서 생산된 2열 지그재그형상으로 배치된 만보빈과 기계를 위쪽에 보빈반송체로서 일렬로 매달린 공보빈을, 복수의 포오크를 사용해서 복수개씩 교환이 가능한 관교체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 관교체기는 만보빈 이송용과 공보빈 이송용의 두종류의 포오크를 각각 승강가능하게 구비하고, 포오크는 조방기의 보빈휠에 대응하는 하강위치에서는 지그재그형상으로 배치됨과 동시에, 보빈반송체에 대응하는 상승위치에서는 보빈행거열에 대응하는 일렬로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양자 복수개씩의 포오크를 동시 진행적으로 작동시키므로서 2열 지그재그형상의 만보빈과 일렬배열의 공보빈과의 교환이 행해진다.
또, 일본국 특개소 63-6122호 공보에는 조방기에서 생산된 만보빈을 기계틀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된 벨트컨베이어 위에 일제히 끌어올리고, 벨트컨베이어로 반송된 만보빈을 기계를 끝부에서 보빈반송체의 보빈행거에 두 개씩 삽입·장착해가는 장치가 나타나 있다.
그런데, 보빈반송체를 추진시키는 장치로서, 보빈반송체에 설치된 지지부재를 잡은 상태로 회전이 가능한 한쌍의 회전체를 구비하고, 그 회전력을 지지부재에 접선방향으로 전달하므로서, 보빈 반송체를 추진시키는 이송장치가 알려져 있다(일본국 특공소 63-29016호 공보 등).
이 이송장치는 구조가 간단하고, 더욱이 반송레일상에 보빈 반송체의 전체길이보다 짧은 간격으로 설치하는 것만으로도 좋다.
그러나, 상기의 일본국 특개소 61-197376호 공보에 개시된 보빈반송체에 의하면, 지지부재가 지그재그형상으로 배치되는 구간에서는 회전체가 지지부재를 잡을 수 없게 되기 때문에 이송장치를 사용할 수가 없게 된다.
또, 이 보빈반송체는 지그재그형상으로 배치되는 지지부재를 지지하기 위해 다수의 주행롤러를 설치할 필요가 있으며, 그 때문에 롤러나 베어링의 배치수가 많게 된다.
보빈반송체는 정방기 1대당 복수기(예를 들면, 4기) 배치되기 때문에, 롤러나 베어링의 배치수의 증가에 의해 구조가 복잡하게 되며, 또 설비비용도 상당히 높아진다.
또, 일본국 특개소 61-174432호 공보에 개시된 관교체기에 의하면, 포오크의 승강기구와 더불어, 포오크의 간격을 보빈의 피치에 맞추어서 변경하기 위한 스플라인 축(splined shaft)에 끼워져 결합되어 회전하는 복수의 홈캠 및 그 홈캠의 안내홈으로 안내되는 캠플로어 등의 복수의 부품을 구비한 간격 변경장치가 필요하게 되며, 따라서, 관교체기의 구조가 상당히 복잡하게 된다.
그 때문에, 관교체기의 부품수의 증가에 따라 설비비용이 증대하게 되고, 더욱이 구조가 복잡하게 되므로서 고장발생률이 증가하여 도핑(doffing)실패의 발생빈도의 증가를 초래할 염려가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더욱이, 일본국 특개소 63-6122호 공보에 개시된 장치에서는 기계틀 끝부에서 보빈교환을 행하는 교환장치를 각각의 기계틀마다 설치하고, 기계를 끝부의 교환장치까지 보빈을 반송하는 벨트컨베이어 등의 반송장치를 설치하여야만 했었다.
그리고, 도핑된 만보빈의 반송 중에는 공보빈 혹은 만보빈이 방해가 되어, 조방기의 재가동시의 조사의 자동감김 실패의 복원작업이나 조사의 절단보수작업을 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 이들 종래에 알려진 방법에서는 조방기와 정방기에서 보빈반송체가 공용되고, 조방기와 정방기사이에 가설된 반송레일상을 다수의 보빈반송체가 왕복하게 되어 반송레일상의 교통이 혼잡하게 되기 때문에 보빈반송체의 교통정리를 위한 제어나 그때마다의 대기시간이 많아진다.
또, 보빈반송체가 조방기와 정방기에서 공용되므로서, 보빈반송체 1기당의 보빈행거 개수를 조방기와 정방기에서 공용될 수 있는 수로 설정하지 않으면 안되고, 보빈의 수가 상이한 조방기나 정방기를 공존시켜서 보빈반송시스템을 편성하기가 곤란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조방기측과 정방기측에서 각각 매달아 설치한 피치가 상이한 보빈 반송체를 독립적으로 주행시키는 것에 의해, 조방기측에서의 생산시의 만보빈의 피치와 정방기측의 예비조사보빈의 피치가 다른 것에 기인하는 각종의 제한을 해결할 수 있는 방적기에 있어서의 보빈반송 시스템을 제공하는데에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1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조방기열을 보빈반송체가 주행하는 반송레일과, 정방기열을 보빈반송체가 주행하는 반송레일을 각각 독립적으로 가설함과 동시에 각 반송레일의 근접부에 각 반송레일상을 각각 주행하는 보빈반송체에 매달려 지지된 서로 다른 피치의 보빈을 서로 교환이 가능하게 보빈교환장치를 설치하였다.
청구항2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상기 조방기열측의 반송레일은 상기 조방기열을 구성하는 전체의 조방기를 상기 보빈반송체의 주회(둘레회전)가 가능하게 연계되어 있다.
청구항3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상기 조방기열측의 반송레일은 복수의 기계틀그룹마다 독립해서 가설되며, 상기 보빈교환장치는 상기 기계틀그룹마다 독립해서 가설된 각 반송레일과 상기 정방기열측의 반송레일과의 근접부에, 각 기계틀 그룹마다 각각 설치되었다.
청구항4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상기 조방기측의 반송레일과 상기 정방기측의 반송레일 중, 한쪽은 상기 보빈교환장치를 통과하는 폐쇄루프를 형성하는 경로를 구비하였다.
청구항5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상기 각 반송레일상에는 각각을 주행하는 상기 보빈반송체의 전체길이보다 짧은 간격으로, 상기 보빈반송체에 추진력을 부여할 수 있는 이송장치가 설치되었다.
청구항6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 조방기열측의 반송레일은 도핑(doffing)이 행해지는 상기 조방기에 대응하는 부위에서 보빈휠의 열수(列數)에 대응해서 두줄로 분기되고, 2기의 보빈반송체를 분기된 반송레일상에 보빈행거가 보빈휠의 배치패턴에 대응하는 2열 지그재그형상이 되도록 배치가능하게 했다.
청구항7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상기 보빈교환장치는 보빈에 끼워부착할 수 있는 복수의 걸림수단을, 교환될 보빈이 발취되는 위치의 바로 아래에 상당하는 발취위치와, 각 보빈반송체가 각각의 진행방향에 다음의 교환보빈이 발취위치의 바로 위에 위치하도록 교환개수에 상당하는 피치분만큼만 진행했을 때, 교환 상대측의 보빈이 발취된 후의 공보빈의 보빈행거가 배치되는 이동할 위치의 바로 아래에 상당하는 삽입부착위치와의 사이를 이동이 가능하게 구비하고, 교환할 양방의 보빈에 대응하는 상기 걸림수단을 각각의 상기 발취위치와 상기 삽입 부착위치를 연결하는 경로상을 이동시키는 이동구동수단과 상기 걸림수단을 교환할 보빈을 상기 보빈행거에 대해서 탈착이 가능한 상승위치와, 이 걸림수단에 끼워져 부착된 보빈의 꼭대기부가 보빈행거의 아래쪽으로 이간됨과 동시에, 이 걸림수단이 상기 보빈반송체로부터의 매달린 보빈에 걸어맞춤이 불가능한 하강위치와의 거리에 상당하는 스트로크를 상기 발취위치와 상기 삽입부착위치에서 승강이동시키는 승강구동수단을 구비하였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청구항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독립적으로 가설된 각 반송레일상을 각각 독립적으로 보빈반송체가 주행하고, 각 반송레일상을 각각 주행하는 각 보빈반송체가 매달아 지지한 상이한 피치의 보빈은, 각 반송레일의 근접부에 설치된 보빈교환장치에 의해서 서로 교환된다.
그리고, 조방기측에서 생산된 만보빈은 정방기측으로 반송되며, 정방기측에서 사용이 끝난 공보빈은 조방기측으로 반송된다.
청구항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조방기열측의 반송레일은 보빈 반송체가 전체의 조방기를 주회가능하게 이어져 있기 때문에, 이 반송레일과 정방기열측의 반송레일과의 근접위치에 설치된 보빈교환장치에는 각 조방기에서 생산된 만보빈이 각 보빈반송체에 매달려서 각각 반송되어 온다.
그리고, 반송되어 온 만보빈은 조방기마다 공통의 보빈교환장치에서 정방기열측의 보빈반송체에 매달려서 반송되어 온 공보빈과 교환된다.
따라서 각 조방기 사이에서 보빈교환장치가 공용되므로서 보빈교환장치의 설치수를 최소로 억제할 수가 있다.
청구항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기계틀그룹마다 독립적으로 가설된 각 반송레일상에 설치된 보빈반송체에 매달린 만보빈은, 기계틀 그룹마다 설치된 보빈교환장치에 의해, 정방기열측의 보빈반송체에 의해 회수된 공보빈과 교환된다.
즉, 보빈의 교환은 기계틀그룹마다 행해진다.
예를들면, 각각의 기계틀그룹에서 생산하는 조사의 품종이 다른 경우에는 생산품종마다 보빈교환이 행해지기 때문에 다른 품종이 섞이는 것이 방지된다.
청구항4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보빈교환장치를 통과해서 만보빈을 매달은 보빈교환 후의 보빈반송체는 그대로 폐쇄루프경로를 진행하면 정방기측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때문에, 일단 보빈교환장치를 통과한 후의 보빈반송체가 보빈교환장치를 다시 통과하도록 후속의 보빈반송체를 중간에 끊김없이 교환장치에 반입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5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보빈반송체는 반송레일상에 보빈반송체의 전체길이보다도 짧은 간격으로 설치된 이송장치로부터 릴레이식으로 추진력을 얻어서 단체로 주행한다.
그 때문에 반송기에 의해 보빈반송체를 견인하는 경우와 같이, 견인해 온 보빈반송체를 단말부로부터 반입할 때의 진로변경 등을 위한 레일공간이 불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반송레일을 상대적으로 짧게 할 수가 있다.
청구항6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2개의 보빈반송체가 조방기열측의 반송레일이 두줄로 분기된 제각기에 반입되며, 보빈행거에 삽입부착된 공보빈이 보빈휠의 배치패턴에 대응해서 2열 지그재그형상으로 배치된다.
이 공보빈과 보빈휠 위에 2열 지그재그형상으로 배치된 만보빈과의 관교체는 각각의 2열 지그재그형상의 배치패턴을 유지한채로 행하면 되기 때문에, 관교체기의 동작이 단순하게 된다. 그 때문에 관교체기를 간단한 구조로 할 수가 있다.
청구항7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보빈교환장치에 서로 반대방향으로부터 진입해 온 각 보빈반송체는 각각 선두측의 교환해야 할 보빈이 각각의 발취위치의 바로 위에 배치되도록 정지된다.
그 때문에, 선두측의 교환해야 할 양방의 보빈이 각각의 발취위치에 배치된 각 걸림수단의 바로위에 배치된다.
다음으로, 승강구동수단이 구동되어서 각 걸림수단이 1회 승강되면, 교환할 보빈이 걸림수단에 끼워부착되어서 보빈행거로부터 발취된다.
그후, 이동구동수단 및 이송장치가 구동되며, 각 걸림수단에 끼워부착된 교환해야 할 양방의 보빈이 각각의 발취위치로부터 삽입부착위치를 향해서 이동함과 동시에, 다음의 교환보빈이 발취위치의 바로 위에 배치되도록 각 보빈반송체가 각각의 진행방향으로 교환개수에 상당하는 피치분만 진행한다.
그 결과, 각 걸림수단에 끼워부착된 교환해야 할 보빈이 각각의 삽입부착위치에 배치됨과 동시에, 다음의 교환보빈이 각각의 발취위치에 배치된 것에 의해 교환상대측의 비어 있는 보빈의 발취후의 공보빈의 보빈행거가 각각의 삽입부착위치의 바로 위에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 승강구동수단이 구동되어서 각 걸림수단이 각각의 삽입부착위치에서 1회 승강되며, 그 상승시에 교환해야 할 양방의 보빈이 각각 교환상대측의 보빈이 삽입부착되어 있던 공보빈의 보빈행거에 삽입부착된다.
이와같이 해서 1회째의 보빈교환사이클이 완료되면, 이하, 같은 형태로 발취위치에서의 걸림수단의 승강동작으로부터의 사이클이 반복을 행하게 된다.
그 결과, 각 보빈반송체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간헐적으로 진행하면서 양방의 보빈이 소정수씩, 교환되어 간다.
이 걸림수단에 의한 교환동작은 발취위치와 삽입부착위치를 잇는 경로상의 이동동작과 발취위치 및 삽입부착위치에서의 두 개의 단순한 동작의 반복에 의해 성립되어 있으므로 보빈교환장치의 기구구조를 간단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실시예]
[제1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구체화한 제1실시예를 제1도∼제17도를 기초로 해서 설명한다.
제1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복수대의 조방기(1)로 이루어지는 조방기열(F)와, 복수대[조방기열(1)보다도 많은 대수]의 정방기(2)로 이루어지는 정방기열 R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인접배치되어 있다.
조방기열 F측에 가설된 반송레일(3)은 모든 조방기(1)의 전체를 포위하도록 루프를 이루고, 동시에, 각 조방기(1)의 기계를 양끝과 대응하는 위치에서 분기하여 각 조방기(1)의 기계틀 앞측(제1도의 하측)위쪽을 기계틀 길이방향을 따라서 뻗는 두줄의 분기반송레일(3a)(3b)를 구비하고 있다.
정방기열 R측에 가설된 반송레일(4)는 각 정방기(2)의 기계를 끝부(기어끝측)과 대응하는 위치에서 분기하여 각 정방기(2)의 기계틀 좌우(제1도의 상하)양측을 기계틀 길이방향을 따라서 뻗는 두줄의 예비반송레일(4a)를 구비함과 동시에 각 예비반송레일(4a)와 직교하여 정방기열 R측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뻗고, 제1도의 상측 인접위치에서 굴곡해서 닫혀진 루프를 형성하고 있다.
이 루프를 이루는 경로는 복수의 라인이 병렬로 분기해서 뻗는 3개의 대기부(pool line)(4b)(4c)(4d)를 구비하고 있음과 동시에, 조방기열 F의 후방까지 뻗어 굴곡하여 반송레일(3)에 대해서 평행으로 근접해 있다.
또, 이 루프를 이루는 경로위에는 정방기(2)로부터 반송되어 온 공보빈 B의 잔류조사(殘粗絲)를 제거하기 위한 잔류조사제거장치(ARS 장치)(5) 및 커터장치(6)이 설치되며, 더욱이 조방기열 F 후방의 반송레일(3)과의 근접위치에는 두줄의 반송레일(3)(4)에 걸쳐서 뒤에 설명할 보빈교환장치(7)이 설치되어 있다.
ARS장치(5)는 공보빈 EB의 잔류조사를 제거하고, 커터장치(6)은 ARS장치(5)에 의해 제거하지 못한 잔류조사를 절단, 제거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반송레일(3)에는 조방기(1)의 기계틀길이와 거의 동등한 길이를 가지는 제15도에 나타낸 보빈반송체(8)이 각 조방기(1)에 2기씩 할당되어서 주행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 반송레일(4)에는 정방기(2)의 기계틀 길이의 절반과 거의 동등한 전체길이를 갖는 제16도에 나타내는 보빈반송체(9)가 각 정방기(2)에 4기씩의 할당수에 예비의 기계수를 더한 기계수로 주행이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제15도, 제16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빈반송체(8)(9)는 보빈행거(10)을 소정간격마다 매달아 설치함과 동시에, 연결부재(11)을 통해서 수평면내(동도면의 지면에 직교하는 면내)에 있어서 굴절이동이 가능하게 핀으로 연결된 복수의 링크부재(12)를 주행롤러(13)을 통해서 반송레일(3)(4)에 대하여 매달은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연결부재(11)은 링크부재(12)사이의 간격에 대해, 링크부재(12)의 폭(제15도, 제16도의 지면에 직교하는 방향의 두께)와 같은 두께를 가지고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보빈반송체(8)(9)는 그 전체길이에 거쳐서 연결부재(11)과 대응하는 부위에 있어서도 링크부재(12)의 폭과 동등한 폭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5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빈반송체(8)의 보빈행거(10)은 조방기(1)의 전후 2열로 지그재그형상으로 배치된 보빈휠의 일열분의 피치와 동등한 간격으로 매달려 설치되어 있다.
또, 제16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빈반송체(9)의 보빈행거(10)은 정방기(2)의 크릴(Creel)에 매달린 예비조사보빈의 피치와 거의 동등한 간격으로 매달려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15도, 제16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빈반송체(8)의 보빈행거(10)의 피치가 보빈반송체(9)의 보빈행거(10)의 피치보다도 넓게 설정되어 있다.
보빈반송체(8)(9)는 제1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레일(3)(4)위에 복수로 설치된, 후에 설명하는 이송장치(14)(14a)와 걸어맞춤해서 링크부재(12)를 통해서 추진력을 얻으므로서 반송레일(3)(4)상을 주행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송장치(14)(14a)는 반송레일(3)(4)에 대해서 각각을 주행하는 보빈반송체(8)(9)의 전체길이보다 짧은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송장치(14a)는 보빈교환장치(7)에 보내어지는 보빈반송체(8)(9)의 주행제어를 위해 후에 설명하는 제어장치(C)에 의해 구동제어되며, 구조적으로는 이송장치(14)와 같다.
조방기열 F에는 일본국 특개소 61-119730호 공보에 개시된 관교체기(도면하지 않음)가 각 조방기(1)사이를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관교체기는 만관(滿管)으로 정지한 조방기(1)의 전방을 간헐적으로 주행해서 보빈휠위에 전후 2열 지그재그형상으로 배치된 만보빈과, 분기반송레일(3a)(3b)위에서 대기하는 보빈반송체(8)에 매달린 공보빈을 복수개씩 교환하도록 되어 있다.
또, 일본국 특개평 6-41827호 공보에 나타난 일제식(一齊式)의 관교체장치에 의해 만보빈과 공보빈을 일제히 교환하도록 해도 좋다.
한편, 정방기열 R에서는 일본국 특개평 2-127368호 공보에 개시된 한쌍의 조사교체기(도시하지 않음)가 정방기(2)사이를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조사교체기는 크릴에 매달린 조사보빈이 공보빈으로 되어 가면, 그 정방기(2)의 기계를 좌우양측을 간헐적으로 주행해서 거의 비어져 가는 공보빈과 예비반송레일(4a)위에서 대기하는 보빈반송체(9)에 매달린 만보빈을 복수개씩 교환하도록 되어 있다.
관 교체기에 의한 도핑작업에 의해 만보빈 FB를 매달은 2개의 보빈반송체(8), 분기반송레일(3a)(3b)로부터 제1도의 시계회전방향으로 루프를 그리도록 반송레일(3)상을 보빈교환장치(7)을 경유해서 주행하도록 되어 있다.
조사교체기에 의한 보빈교환작업에 의해 공보빈 EB를 매달은 4기의 보빈반송체(9)는 예비반송레일(4a)로부터 반송레일(4)상을 제1도의 위쪽을 향해서 주행하고, 정방기열 R의 인접위치의 루프경로를 동도면의 시계회전방향으로 주행한다.
그리고, ARS장치(5), 커터장치(6)에서 공보빈 EB의 잔류조사가 제거되고 난 후, 보빈교환장치(7)로 반입되도록 되어 있다.
보빈반송체(8)은 한번에 60개의 보빈 B를 반송할 수 있고, 보빈반송체(9)는 한번에 120개의 보빈 B를 반송가능하게 되어 있다.
보빈교환장치(7)에서는 보빈반송체(8)(9)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간헐적으로 이동해서 보빈반송체(8)에 의해 반입된 만보빈 FB와 보빈반송체(9)에 의해 반입된 공보빈 EB가 두 개씩 교환되도록 되어 있다.
보빈교환장치(7)을 통과한 후에 공보빈 EB를 매달은 보빈반송체(8)은 반송레일(3)을 주회해서 원래의 조방기(1)의 위쪽까지 돌아오고 분기반송레일(3a)(3b)에서 다시 대기하도록 되어 있다.
또, 보빈교환장치(7)을 통과한 후에 만보빈 FB를 매달은 보빈반송체(9)는 필요에 따라서 대기부(4c)에 일시대기하면서 반송레일(4)상을 예비의 만보빈 FB의 공급을 필요로 하는 정방기(2)까지 주행해서 예비반송레일(4a)위에 소정위치에서 대기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보빈반송체(8)(9) 및 이송장치(14)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1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송레일(3)(4)는 그 단면이 아래쪽이 개방된 대략 コ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반송레일(3)(4)의 폭방향으로 좌우 한쌍이 설치된 주행롤러(13)은 반송레일(3)(4)의 아래쪽이 내부측으로 스텝형태로 굴곡형성된 그 수평면상을 구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주행롤러(13)의 지지축(15)를 지지하는 지지부재(16)은 아래쪽으로 뻗는 지지봉부(16a)를 가지며, 링크부재(12)는 그 양측끝 2개소를 지지봉부(16a)의 하단에서 회전가능하게 삽입관통된 상태로 체결고정되게 하므로서 매달려서 지지되어 있다.
지지부재(16)에는 전후 한쌍의 안내롤러(17)이 반송레일(3)(4)의 개방구내에 배치된 상태로 설치되며, 안내롤러(17)이 반송레일(3)(4)의 내벽면에 맞접해서 안내되므로서 주행롤러(13)의 조향각이 반송레일(3)(4)의 경로를 따라서 변경되도록 되어 있다.
또, 지지봉부(16a)는 수평으로 돌출형성된 규제부(16b)를 가지고, 규제부(16b)가 반송레일(3)(4)의 아래가장자리부와 맞접하므로서 보빈반송체(8)(9)의 상승시의 엇갈림이 규제되도록 되어 있다.
제10도∼제1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송장치(14)는 한쌍의 풀리(18)(19)에 걸려 장착되어 수평면내를 회전구동하는, 단면 V자형태의 벨트(20)과, 그 벨트(20)의 외주면에 대해서 보빈반송체(8)(9)의 링크부재(12)의 이동경로를 끼고 마주보고 두 개의 롤러(21)(22)를 구비하고 있다.
각 풀리(18)(19)을 지지하는 회전축(23)(24)는 베어링(25)(26)을 통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반송레일(3)(4)를 지지하는 지지판(27)(제14도에서는 생략)의 윗면에는 베어링(26)과 대응하는 위치에 제10도∼제14도에 나타내는 기어박스(28a)를 구비한 모터(28)이 설치되어 있다.
모터(28)은 정·역운전이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모터(28)의 구동축(도면하지 않음)은 기어박스(28a)중의 기어열(도면하지 않음)을 통해서 회전축(24)와 작동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베어링(25)(26)은 지지판(27)에 고정되어 있으며, 벨트(20)의 장력을 조정할 수 있도록 베어링(25)의 고정위치가 변경가능하게 되어 있다.
롤러(21)(22)를 지지하는 회전축(29)(30)은 지지판(27)에 대해서 지지축(31)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된 두 개의 아암레버(32)(33)의 지지부(32a)(33a)의 아랫면 한쪽 끝면에 고정된 베어링(34)(35)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아암레버(32)(33)의 팔부(arm)(32b)(33b)는 지지부(32a)(33a)로부터 한쌍의 삽입관통구멍(36)을 통해서 지지판(27)의 상부측으로 뻗어나옴과 동시에 지지부(32a)(33a)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후방측(제10도의 우측)으로 거의 직각으로 굴곡하여 뻗은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아암레버(32)(33)의 각 팔부(32b)(33b)의 후단부 사이에는 그 후단의 윗면에 각각 설치된 원주형상의 걸림부재(27)을 통해서 스프링(38)이 팽팽하게 설치되어 있다.
아암레버(32)(33)은 스프링(38)에 의해 각 팔부(32b)(33b)가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며, 지지판(27)상에 돌출하는 규제핀(39)에 맞접하므로서 그 힘이 가해지는 방향으로의 회전이 규제되어 있다.
아암레버(32)(33)이 규제핀(39)에 맞접한 상태에서는 제11도, 제1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롤러(21)(22)가 벨트(20)에 대해서 링크부재(12)의 폭보다도 약간 작은 틈새를 두고 마주보는 상태로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제10도∼제12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판(27)위에는 두 개의 근접센서(40)(41)이 각 팔부(32b)(33b)의 후단면을 검지가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근접센서(40)(41)은 각 팔부(32b)(33b)가 규제핀(39)에 맞접하는 상태에서 그 뒤끝면을 검출해서 오프(off)하고, 링크부재(12)가 롤러(21)(22)와 벨트(20)과의 사이의 틈새에 스프링(38)의 가해지는 힘에 저항해서 롤러(21)(22)를 밀어 제치고 침입해서 맞접해 있던 팔부(32b)(33b)가 규제핀(39)로부터 떨어지면 온(on)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모터(28)은 두 개의 근접센서(40)(41)중, 적어도 한쪽이 온한 상태에서 구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모터(28)은 양 근접센서(40)(41)이 온하는 순서에 의해 그 정·역운전방향이 제어되며, 먼저 근접센서(40)이 온하면 모터(28)이 정운전구동되어서 풀리(19)가 제11도의 A화살표방향으로 회전하고, 먼저 근접센서(41)이 온이 모터(28)이 역운전구동되어서 풀리(19)가 B화살표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송장치(14)의 지지판(27)보다 하부쪽부분은 지지판(27)에 고정된 커버(42)에 의해 덮어져 있다.
또한, 보빈반송체(8)(9)의 소정의 정지위치에 배치된 이송장치(14)는 근접센서(40)(41)의 작동상황과 관계없이 제1도의 제어판 CP에 의해 모터(28)의 구동이 정지제어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보빈교환장치(7)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제4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빈교환장치(7)은 보빈반송체(8)(9)의 진행방향의 반대가 되도록 평행하게 근접해서 주행하는 두줄의 반송레일(3)(4)에 걸쳐서 반송레일(3)(4)에 대해서 매달은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보빈교환장치(7)은 두줄의 반송레일(3)(4)에 걸치는 지지판(43a)와 지지판(43a)의 4개의 모서리에서 늘어뜨린 4개의 지지부재(43b)에 의해 지지된 밑판(43c)에 의해 조립되며, 그 축부가 4방향에 걸쳐서 개방된 상자형상을 이루는 프레임박스(43)을 구비하고 있다.
보빈반송체(8)(9)는 프레임박스(43)내의 천정측을 통과하는 두줄의 반송레일(3)(4)상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진행해서 프레임박스(43)을 전후(제2도, 제3도의 좌우)방향으로 통과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보빈교환장치(7)에 대해서 만보빈 FB가 반송레일(3)을 제2도, 제3도의 좌측방향으로부터 반입됨과동시에 공보빈 EB가 반송레일(4)측을 이 도면의 우측방향으로부터 반입되도록 되어 있다.
프레임박스(43)내에는 제2도∼제4도에 나타내는 테이블(44)가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즉, 제2도∼제4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임박스(43)내의 전후에는 두 개의 가이드봉(45)가 그 양끝을 체결고정된 상태로 지지판(43a)와 밑판(43c)사이에 연직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테이블(44)의 전후 양끝부분에는 가이드봉(45)를 삽입통과하는 상태로 안내통부재(46)이 고정되며, 각 안내통부재(46)을 통해서 가이드봉(45)에 안내되므로서 테이블(44)가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지지판(43)의 윗면에는 그 대략 중앙에 승강용모터(47) 및 드럼(48)이 승강용모터(47)의 구동축(47a)에 끼워 장착된 기어(49)와 드럼(48)의 회전축(48a)에 끼워 장착된 기어(50)을 맞물린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드럼(48)에는 메탈벨트(51)이 감겨 있으며, 메탈벨트(51)의 아래쪽 끝부는 테이블(44)의 윗면중앙에 고정되어 있다.
승강용모터(4)은 정역운전이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지지판(43a)위에 설치된 제어장치(C)에 의해 구동제어된다.
승강용모터(47)의 정역운전구동에 의해 드럼(48)이 각 기어(49)(50)의 감속비를 기초로 한 회전속도로 정역운전되어서 메탈벨트(51)이 감기거나 풀리는 것에 의해 테이블(44)는 제3도, 제4도에 나타내는 하강위치와 제5도, 제6도에 나타내는 상승위치와의 사이를 승강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2도∼제4도에 나타나고 있는 바와 같이 테이블(44)에는 4대의 슬라이드베이스장치(52)(53)(54)(55)가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드베이스장치(52)∼(55)는 보빈(B)에 형성된 삽입관통구멍에 끼워 장착가능한 걸림수단으로서의 페그(56)을 세워 설치한 상태로 배치한 베이스판(57)을 그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구비하고 있다.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드베이스장치(52)∼(55)는 페그(56)이 반송레일(3)의 바로 아래에 배치된 상태로 각 페그(56)의 간격이 보빈반송체(8)의 보빈행거 피치와 동등하게 되며, 또한 페그(56)이 반송레일(4)의 바로 아래에 배치된 상태에서 각 페그(56)의 간격이 보빈반송체(9)의 보빈행거피치와 동등하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슬라이드베이스장치(52)(53)은 수평면내에 있어서의 반송레일(3)(4)의 직교하는 선에 대해서 서로 반대측에 같은 경사각을 이루도록 그 직교하는 선에 대해서 대칭으로 배치되며, 슬라이드베이스장치(53)을 기준으로 해서 각 슬라이드베이스장치(54)(55)가 상기의 페그(56)의 간격조건을 만족하도록 한 경사각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다.
슬라이드베이스장치(52)∼(55)의 베이스판(57)은 이른바 볼나사기구에 의해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7도∼제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드베이스장치(52)(53∼55)의 수용케이스(58)내에는 나사축(59)가 그 양끝을 베어링(60)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서 설치되며, 그 나사축(59)에 너트체(61)이 볼(62)(제9도에 나타냄)을 통해서 그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조임으로 장착되어 있다.
수용케이스(58)의 한쪽에는 정역운전이 가능한 모터(63)이 배치되며, 모터(63)의 구동축에 나사축(59)의 한끝이 일체로 회전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모터(63)에는 제동기(63a)가 구비되어 있다.
수용케이스(58)은 상부가 개방된 상자체(58a)와 그 상자체(58a)의 상부개방구부에 배치된 마개판(58b)로 구성되며, 수용케이스(58)의 윗면에는 상자체(58a)와 마개판(58b)사이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뻗은 두 개의 안내구멍(58c)가 형성되어 있다.
너트체(61)은 그 양측부에 윗쪽으로 L자 형상으로 굴곡해서 뻗어나와 형성된 한쌍의 뻗어나온 지지부(61a)를 각 안내구멍(58c)에 삽입관통시킨 상태로 배치되며, 페그(56)을 세워 설치한 베이스판(57)이 각 뻗어나온 지지부(61a)의 상단부에서 지지 고정되어 있다.
또, 베이스판(5)의 옆쪽 하면에는 베이스판(57)의 위치검지용의 도그(dog)(57a)가 수평방향으로 뻗은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페그(56)은 모터(63)은 정운전구동에 의해 모터(63)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수용케이스(58)의 윗면을 이동하고, 모터(63)의 역운전구동에 의해 수용케이스(58)의 윗면을 모터(63)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반보빈 FB의 반입측에 위치하는 두 대의 슬라이드베이스장치(52)(53)은 만보빈 FB를 반송레일(3)측으로부터 반송레일(4)측으로 수평으로 이송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슬라이드베이스장치(52)(53)의 각 베이스판(57)은 페그(56)이 이송시작측인 반송레일(3)의 바로 아래가 되는 발취위치와, 페그(56)이 이송도착측인 반송레일(4)의 바로 아래가 되는 삽입부착위치에 이동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또, 공보빈 EB의 반입측에 위치하는 두 대의 슬라이드베이스장치(54)(55)는 공보빈 EB를 반송레일(4)측으로부터 반송레일(3)측으로 수평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슬라이드베이스장치(54)(55)의 각 베이스판(57)은 페그(56)이 이송시작측인 반송레일(4)의 바로 아래가 되는 발취위치와, 페그(56)이 이송도착측인 반송레일(3)의 바로 아래가 되는 삽입부착위치에 이동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페그(56)이 발취위치에 배치된 제2도에 나타낸 상태가 각 슬라이드베이스장치(52)∼(55)의 원위치로 되어 있다.
제2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테이블(44)위에는 각 슬라이드베이스장치(52)∼(55)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3개의 위치센서(64)(65)(66)(제2도에만 나타냄)이 도그(57a)를 검지가능한 위치에 거의 동등한 간격으로 각각 설치되어 있다.
위치센서(64)는 페그(56)이 발취위치에 배치되었을 때의 도그(57a)를 검지가능한 위치에 배치하며, 위치센서(66)은 페그(56)이 삽입부착 위치에 배치되었을 때의 도그(57a)를 검지가능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위치센서(65)는 페그(56)이 발취위치와 삽입부착위치의 중간에 위치하는 중간정지위치에 배치되었을 때의 도그(57a)를 검지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모터(63)은 제어장치(C)에 의해 구동제어되며, 도그(57a)를 검지한 위치센서(64)(65)(66)으로부터의 검지신호를 따라서 페그(56)을 발취위치(원위치), 중간정지위치 및 삽입부착위치에 배치가능하게 정지제어되도록 되어 있다.
제3도, 제4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판(43a)의 하면에는 내부측 두 대의 슬라이드베이스장치(53)(54)의 각각의 원위치에 배치된 각 페그(56)의 위측과 대응하는 위치에 두 개의 근접센서(67)(68)이 매달려 설치되어 있다.
근접센서(67)의 검지영역은 슬라이드베이스장치(53)의 원위치에 배치된 페그(56)의 바로 위에 위치했을 때의 보빈반송체(8)측의 보빈행거(10)을 검지가 가능하게 설정되어 있다.
한편, 근접센서(68)의 검지영역은 슬라이드베이스장치(54)의 원위치에 배치된 페그(56)의 바로 위에 위치했을 때의 보빈반송체(9)측의 보빈행거(10)을 검지가 가능하게 설정되어 있다.
보빈교환장치(7)에 의한 보빈교환작업시에 있어서의 보빈 B의 반입 및 반출은 반송레일(3)(4)의 경로상에 있어서 보빈 교환장치(7)의 전후에 배치된 이송장치(14a)가 제어장치 C에 의해 근접센서(67)(68)로부터의 검지신호를 기초로 해서 간헐적으로 구동되므로서 행해진다.
제어장치 C는 근접센서(67)(68)로부터 첫 번째의 온 신호를 입력하면 모터(28)의 회전속도를 미리 설정된 소정의 저속도로 감속시키고, 근접센서(67)68)이 한번 더 온을 하면 모터(28)의 구동을 정지시키도록 되어 있다.
즉, 근접센서(67)(68)이 보빈행거(10)의 두 개를 검출할 때마다 일단 구동된 모터(28)이 정지되기 때문에 보빈교환작업 중에는 보빈행거(10)에 장착된 보빈 FB, EB가 두 개씩 간헐적으로 반입(또는 반출)되도록 되어 있다.
보빈반송체(8)(9)의 전후말단부에는 보빈행거열의 전후양측에 선두 및 말미의 보빈행거(10)에 대해서 각각의 보빈행거 피치와 동등한 거리를 두고서 근접센서(67)(68)이 검지가능한 도그(도시하지 않음)가 더미(dummy)로서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보빈반송체(8)(9)의 전후 끝부에 있어서, 근접센서(67)(68)이 그 도그를 검지하므로서 선두 두 개의 보빈 B가 원위치의 페그(56)의 바로 위에 정지됨과 동시에 후미 두 개의 보빈 B가 발취된 후의 두 개의 보빈행거(10)이 삽입부착위치의 페그(56)의 바로 위에서 정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 제어장치 C에는 근접센서(67)(68)로부터의 온신호의 누계회수를 각각 계수하는 카운터(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다.
카운터가 근접센서(67)로부터의 온신호를 62회 계수해서 60개분의 보빈교환작업이 완료할 때마다 반송레일(3)측의 이송장치(14a)의 모터(28)이 구동된다.
또, 카운터가 근접센서(68)로부터의 온신호를 122회를 계수해서 120개분의 보빈교환작업이 완료할 때마다 반송레일(4)측의 이송장치(14a)의 모터(28)이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이 카운트 업(count up)시의 모터(28)의 구동과 동시에 카운터가 대응하는 계수값이 리세트(reset)되도록 되어 있다.
테이블(44)위에는 각 슬라이드베이스장치(52)∼(55)의 양끝부 근방에 발취위치(원위치)에 배치된 페그(56)이 끼워 부착하는 보빈 B를 검지가능하게 그 검지영역이 설정된 근접센서(69)와, 삽입부착위치에 배치된 페그(56)이 삽입부착하는 보빈 B를 검지가능하게 그 검지영역이 설정정된 근접센서(70)이 배치되어 있다.
근접센서(69)(70)은 소정의 시기에 작동되며, 근접센서(69)(70)으로부터의 온, 오프 신호를 기초로 해서 제어장치 C에 의해 보빈 B의 유무에 착오가 있다고 판단되면, 보빈교환장치(7) 및 그 전후의 이송장치(14a)의 운전이 비상정지되도록 되어 있다.
제어장치 C는 미리 설정된 제어프로그램에 따라서 위치센서(64∼66) 및 근접센서(67∼70)으로부터의 검지신호를 기초로 해서 모터(28), 승강용모터(47) 및 모터(63)을 소정의 동작타이밍으로 구동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승강용모터(47)이 구동될 때에는 미리 설정된 소정량을 1회만 정역운전되도록 되어 있으며, 테이블(4)가 하강위치(제3도 및 제4도의 위치)와 상승위치(제5도 및 제6도의 위치)사이를 1회 왕복운동하도록 되어 있다.
제5도, 제6도에 나타나는 상승위치에서는 발취위치(원위치)에 배치된 페그(56)이 바로 위의 보빈 B의 삽입관통구멍에 끼워 부착되어 보빈 B가 조금 밀어 올려지는 것에 의해 보빈행거(10)에 대한 보빈 B의 걸림이 해제된다.
또, 삽입부착위치에 배치된 페그(56)에 끼워부착된 보빈 B가 그 상부를 보빈행거(10)에 삽입관통시켜서 보빈행거(10)에 걸어지도록 되어 있다.
즉, 테이블(44)가 하강위치와 상승위치 사이를 1회 왕복운동되므로서 보빈 B의 탈착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제3도, 제4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테이블(44)가 하강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는 보빈반송체(8)(9)에 매달린 보빈 B가 페그(56)에 간섭받지 않고 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페그(56)에 끼워부착된 이 도면에 쇄선으로 나타내는 보빈 B가 보빈행거(10)과 걸어맞춤하지 않고 페그(56)과 함께 이동가능하게 보빈행거(10)으로부터 완전히 발취된 상태로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또, 보빈행거(10)은 보빈 B가 삽입관통되면, 그 보빈 B를 걸고, 걸려진 보빈 B가 소정량만 밀어올려지면 그 걸림이 해제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반송레일(3)(4) 위에 있어서의 각 분기점에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전환장치가 설치되며, 제어판 CP에 의해 지정된 전환장치가 전환구동되므로서 보빈반송체(8)(9)의 진행방향이 그 분기점에서 지정된 방향으로 변경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보빈교환장치(7)의 작용을 설명한다.
조방기열 F에 있어서, 각 조방기(1)의 운전중에는 각 기계틀 위쪽에 공보빈 EB를 매달은 상태로 열지어 설치한 2개의 보빈반송체(8)이 각 분기반송레일(3a)(3b)위에 대기하고 있다.
또, 정방기열 R에 있어서의 각 정방기(2)의 운전중에는 각 기계틀 좌우 양측에는 교환예비용의 만보빈 FB(예비조사보빈)을 매달은 상태로 열지어 설치한 4개의 보빈반송체(9)가 각 예비반송레일(4a)위에 대기하고 있다.
이 대기상태에서는 분기반송레일(3a)(3b) 및 예비반송레일(4a)위에 설치된 이송장치(14)가 제어판 CP에 의해 정지제어된 상태로 있다.
조방기열 F에 있어서, 조방기(1)이 만관되면 관교체기가 만관된 그 조방기(1)의 앞측을 기계틀 길이방향을 따라서 간헐적으로 주행하고, 보빈휠위에 2열의 지그재그형상으로 배치된 만보빈 FB와 조방기(1) 위쪽에 가설된 분기반송레일(3a)(3b)위에 대기하는 2개의 보빈반송체(8)이 매달린 공보빈 EB를 복수개씩 교환되어 간다.
2기의 보빈반송체(8)은 각각에 열지어 설치된 각 보빈행거(10)을 보빈휠의 배열에 맞춘 지그재그형상으로 배치하는 상태로 2열로 대기하고 있으며, 보빈휠위에 배치된 2열의 만보빈 FB의 그 1열씩이 2기의 보빈반송체(8)에 각각 장착된다.
또, 일제식의 관교체장치가 장비되어 있는 경우에는 보빈휠상의 전후 2열의 만보빈 FB와 2기의 보빈반송체(8)이 매달린 공보빈(EB)가 일제히 교환된다.
관교체기 또는 일제식의 관교체장치에 의한 도핑작업이 완료하면 분기반송레일(3a)(3b)위에 설치된 이송장치(14)의 정지제어가 해제되며 만보빈 FB를 매달은 2기의 보빈반송체(8)은 그 대기위치로부터 반송레일(3)상을 제1도의 시계회전방향으로 둘레를 회전하도록 보빈교환장치(7)을 향해서 진행한다.
한편, 정방기열 R에 있어서, 어느 정방기(2)의 크릴에 매달린 조사보빈이 거의 비어져 가면, 한쌍의 조사교체기가 그 기계틀까지 주행해와서 기계틀 양측을 길이방향을 따라서 간헐적으로 주행하고, 거의 비어지게 된 공보빈 EB와 예비반송레일(4a)(4b)위에 대기하는 4기의 보빈반송체(9)에 매달린 만보빈 FB를 복수개씩 교환해 간다.
그리고, 조사교체기에 의한 조사교환작업이 완료하면, 예비반송레일(4a)위에 설치된 이송장치(14)의 정지제어가 해제되며, 공보빈 EB를 매달은 4기의 보빈반송체(9)는 순차적으로 예비반송레일(4a)로부터 반송레일(4)상을 정방기열 R의 인접위치에 있는 루프경로까지 이동한다.
그리고, 이 루프경로상을 제1도의 시계회전방향으로 주회하고, 그 주회도중에서 ARS장치(5)에 의해 잔류조사가 제거되며, 더욱이 제거하지 못했던 잔류조사가 커터장치(6)에 의해 절단제거된다.
이와같이 해서, 잔류조사가 완전히 제거된 공보빈 EB를 매달은 보빈반송체(9)는 보빈교환장치(7)에 반입된다.
여기서, 보빈반송체(8)(9)가 각 반송레일(3)(4)상을 주행하는 그 추진력은 각각 주행하는 반송레일(3)(4)위에 각 보빈반송체(8)(9)의 전체길이보다 짧은 간격으로 설치된 이송장치(14)(14a)로부터 부여된다.
제어판 CP에 의한 정지제어에 의해 대기상태에 있는 보빈반송체(8)(9)는 링크부재(12)의 일부를 이송장치(14)의 각 롤러(21)(22)와 벨트(20)에 의해 끼어 눌려 있는 상태에 있고, 정지제어가 해제되어 모터(28)이 구동하면 그 구동에 의해 회전구동하는 벨트(20)으로부터 그 벨트(20)과의 접촉면을 통해서 링크부재(12)에 전달력이 부여된다.
이 전달력이 보빈반송체(8)(9)를 주행시키는 추진력으로 된다.
링크부재(12)는 추진력을 전달하는 벨트(20)에 대해서 풀리(18)(19)의 축중심간 거리에 거의 동등한 길이에 걸친 넓은 면에서 접촉하여 접촉면적이 충분히 확보된다.
이 때문에, 다수의 보빈 FB, EB를 매달아서 비교적 부하가 걸리는 상태라도 링크부재(12)와 벨트(20)의 사이에서 미끄러짐이 발생하지 않고, 벨트(20)의 회전력이 링크부재(12)의 추진력으로써 확실하게 전달된다.
그 때문에 보빈반송체(8)(9)는 원활하게 주행을 개시한다.
보빈반송체(8)(9)의 두끝부(조방기측 끝부)가 그 이송장치(14)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되기 전에 보빈반송체(8)(9)의 진행방향측 선단부가 다음의 이송장치(14)에 도달한다.
보빈반송체(8)(9)의 도달전의 상태에서는 제11도, 제12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송장치(14)의 각 롤러(21)(22)는 스프링(38)의 탄성력에 의해 벨트(20)측으로 힘이 가해지고, 벨트(20)에 대해서 링크부재(12)의 폭보다 약간 짧은 간격을 두고서 대향하는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근접센서(40)(41)이 팔부(32b)(33b)의 뒤끝면을 검지해서 오프하고 있고, 모터(28)은 구동정지하고 있다.
예를들면, 제11도∼제13도의 좌측방향으로부터 보빈반송체(8)(9)가 진행해 오면 링크부재(12)의 선단부가 벨트(20)과 롤러(21)(22)사이의 간격을 스프링(38)이 가하는 힘에 저항해서 각 롤러(21)(22)를 순차적으로 밀어 후퇴하도록 침입한다.
이때 롤러(21)이 먼저 밀려 후퇴되어서 먼저 아암레버(32)가 회전하므로서 먼저 근접센서(40)이 온 되기 때문에 모터(28)이 정운전구동되어서 풀리(19)가 제11도의 A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 때문에 벨트(20)이 동 도면의 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하고, 링크부재(12)의 그 진행방향으로의 추진력이 부여된다.
또, 제11도∼제13도의 좌측방향으로부터 보빈반송체(8)(9)가 진행해오면, 링크부재(12)의 선단부가 벨트(20)과 롤러(21)(22)사이의 간격을 스프링(38)의 가하는 힘에 저항해서 각 롤러(21)(22)를 차례로 밀어내면서 침입한다.
이때, 롤러(22)가 먼저 밀려서 먼저 아암레버(33)이 회전하므로서 먼저 근접센서(41)이 온되기 때문에 모터(28)이 역회전구동되어서 풀리(19)가 제11도의 B화살표방향으로 회전한다.
그 때문에, 벨트(20)이 이 도면의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고, 링크부재(12)에 그 진행방향으로의 추진력이 부여된다.
이때, 보빈반송체(8)(9)의 주행중에 있어서도, 추진력을 전달하는 구동측이 벨트(20)인 것으로부터 링크부재(12)와의 사이에 넓은 접촉면적이 확보되기 때문에 벨트(20)과 링크부재(12)의 사이에 미끄러짐이 발생하지 않고, 벨트(20)의 회전력이 링크부재(12)에 그 추진력으로서 확실하게 전달된다.
각 보빈반송체(8)(9)는 각 경로위에 설치된 이송장치(14)(14a)로부터 추진력을 얻어서 보빈교환장치(7)까지 진행하고, 보빈교환장치(7)에 대해서 상호 엇갈리도록 반대측으로부터 반입된다.
즉, 만보빈 FB를 매달은 보빈반송체(8)은 반송레일(3)상을 제1도, 제2도의 좌측방향으로부터 반입되며, 공보빈 EB를 매달은 보빈반송체(9)은 이 도면의 우측방향으로부터 반입된다.
이때, 보빈교환장치(7)의 각 슬라이드베이스장치(52)∼(55)는 페그(56)을 발취위치에 배치하는 제2도에 나타내는 원위치의 상태에 있고, 테이블(44)는 하강위치 상태에 있다.
보빈반송체(8)(9)는 보빈교환장치(7)의 전후에 설치된 이송장치(14a)로부터 추진력을 얻어서 보빈교환장치(7)에 반입된다.
이 이송장치(14a)의 모터(28)은 제어장치 C에 의해 구동제어되며, 그 구동중에 있어서, 근접센서(67)(68)의 첫 번째의 온신호를 따라서 감속제어되며, 두 번째의 온신호를 따라서 정지제어 된다.
그 때문에, 보빈교환장치(7)에 제3도의 좌측으로부터 진입해 온 보빈반송체(8)은 근접센서(67)에 의해 그 선단부의 도그가 검지되면 감속하고, 연이어 그 가장 앞의 보빈행거(10)이 검지되면 정지한다.
그 결과, 보빈반송체(8)에 매달린 선두의 두 개의 만보빈 FB는 제3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슬라이드베이스장치(52)(53)의 원위치에 배치된 페그(56)의 바로 위에 배치된다.
한편, 보빈교환장치(7)에 제3도의 우측으로부터 진입해서 온 보빈반송체(9)는 근접센서(68)에 의해 그 선단부의 도그가 검지되면 감속하고, 연이어서 그 가장앞의 보빈행거(10)이 검지되면 정지한다.
그 결과, 보빈반송체(9)에 매달린 선두의 두 개의 공보빈 EB는 제3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베이스장치(54)(55)의 원위치에 배치된 페그(56)의 바로 위에 배치된다.
이와같이 해서 교환해야 할 두 개씩의 만보빈 FB와 공보빈 EB가 각 슬라이드베이스장치(52)∼(55)의 원위치에 배치된 페그(56)의 바로 위에 배치완료된 것이 근접센서(67)∼(68)의 2회의 온신호에 의해 인지되면, 승강용모터(47)이 제어장치 C에 의해 미리 설정된 소정의 회전각 범위를 1회 왕복만 정역회전구동된다.
승강용모터(47)의 정역회전구동에 의해 기어(49)(50)을 통해서 감속된 회전속도로 드럼(49)가 왕복회전하고, 메탈벨트(51)이 감기거나 풀리므로서 테이블(44)가 제3도, 제4도에 나타낸 하강위치와 제5도, 제6도에 나타낸 상승위치의 사이를 1회 왕복이동한다.
그 때, 테이블(44)의 상승시에 테이블(44)위에 설치된 슬라이드베이스장치(52)∼(55)의 발취위치(원위치)에 배치된 각 페그(56)이 만보빈 FB 및 공보빈 EB의 하부에 끼워부착됨과 동시에 만보빈 FB 및 공보빈 EB가 각 페그(56)에 의해 조금 밀려 올려져서 각 보빈행거(10)과의 걸림이 해제된다.
그 때문에 테이블(44)의 하강시에는 만보빈 FB 및 공보빈 EB는 페그(56)에 끼워져 부착된 상태로 하강위치까지 발취되고 제3도, 제4도에 쇄선으로 나타낸 위치에 배치된다.
이 승강과정에서는 발취위치(원위치)측의 근접센서(69)가 작동되며, 상승위치에서 근접센서(69)가 온하므로서 교환해야 할 매달린 보빈 FB, EB의 존재가 확인되며, 하강위치에서 연속해서 온상태에 있으면, 보빈 FB, EB가 실패없이 발취된 것이 확인된다.
상승위치에서 어느 것인가의 근접센서(69)가 오프상태에 있거나, 일단 상승위치에서 근접센서(69)가 모두 온했음에도 불구하고 하강위치에서 그 어느 것인가가 오프했을 때에는 보빈교환장치(7) 및 이송장치(14a)가 비상정지되어 경보가 발령된다.
교환해야 할 만보빈 FB 및 공보빈 EB의 발취가 완료하고, 하강위치에서 전체의 근접센서(69)가 온상태에 있으면, 슬라이드베이스장치에서 전체의 근접센서(69)가 온상태에 있으면, 슬라이드베이스장치(52)∼(55)에 설치된 각 코너(63)이 구동제어되어서 만보빈 FB 및 공보빈 EB가 발취위치에서 삽입부착위치를 향해서 이송된다.
이 이송과정에서는 병행해서 이송장치(14a)의 모터(28)이 구동제어된다.
이하, 이 이송과정의 구동제어를 제17도를 따라서 설명한다.
또, 제17도에서는 제동기(63a)를 생략하였다.
제17a도에 나타내는 만보빈 FB 및 공보빈 EB의 발취완료상태에 있어서, 모든 근접센서(69)가 온상태에 있으면, 각 모터(63)이 구동되어서 페그(56)을 세워 설치하는 각 베이스판(57)이 발취위치로부터 삽입부착위치를 향해서 동도면의 화살표방향으로 구동개시한다.
그 때문에, 만보빈 FB가 반송레일(3)측으로부터 반송레일(4)측을 향해서 이송됨과 동시에, 공보빈 EB가 반송레일(4)측으로부터 반송레일(3)측을 향해서 이송된다.
이때, 위치센서(65)(제2도에 나타냄)가 작동된다.
각 베이스판(57)이 각각의 삽입부착위치로 향하는 도중에 도그(57a)를 검지해서 위치센서(65)가 온하면, 곧바로 모터(63)이 구동정지되며, 베이스판(57)이 발취위치와 삽입부착위치의 중간에 위치하는 제17b도에 나타내는 중간정지위치에서 정지된다.
그 때문에 만보빈 FB 및 공보빈 EB는 각 반송레일(3)(4)의 중간에서 정지된다.
이 위치센서(65)의 온을 기초로 해서 이송장치(14a)의 모터(28)이 구동되며, 보빈반송체(8)(9)가 제17b도의 화살표방향으로 이동을 개시한다.
이 이동개시 후, 오프상태가 된 근접센서(67)(68)이 첫 번째로 통과하는 보빈행거(10)을 검지해서 온하면 모터(28)이 감속제어되고, 보빈반송체(8)(9)의 주행속도가 감속된다.
그리고, 다음의 보빈행거(10)을 검지해서 근접센서(67)(68)이 한번더 온하면 모터(28)이 구동정지되고 보빈반송체(8)(9)가 각각의 보빈행거(10)의 2피치분만큼 진행한 제17c도에 나타내는 상태로 정지된다.
즉, 교환해야 할 만보빈 FB 및 공보빈 EB가 발취된 후의 각 보빈행거(10)이 제17c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베이스판(57)의 이동도착처인 발취위치의 바로 위에 배치된다.
근접센서(67)(68)의 2회의 온을 기초로 해서 모터(63)이 다시 구동되면, 각 베이스판(57)은 중간정지위치로부터 삽입부착위치를 향해서 제17c도의 화살표방향으로 이동개시한다.
이때, 위치센서(66)(제2도에 나타냄)이 작동된다.
각 베이스판(57)의 도그(57a)를 검지해서 각 위치센서(66)이 온하면, 대응하는 모터(63)이 곧바로 구동정지되며, 각 베이스판(57)이 삽입부착위치에서 정지된다.
그 때문에 만보빈 FB 및 공보빈 EB가 각각의 삽입부착위치에 배치되며, 만보빈 FB의 바로 위에 공보빈 EB가 발취된 후의 보빈행거(10)이 배치됨과 동시에 공보빈 EB의 바로 위에 만보빈 FE가 발취된 후의 보빈행거(10)이 배치된 상태가 된다.
이와같이 해서 위치센서(66)(제2도에 나타냄)가 모두 온하고, 만보빈 FB 및 공보빈 EB가 각각의 삽입부착위치까지 이송완료된 것이 확인되면, 승강모터(47)이 구동되고 테이블(44)가 하강위치와 승강위치 사이를 1회 왕복이동한다.
이때, 테이블(44)가 상승위치에 배치되었을 때에 슬라이드베이스장치(52)∼(55)의 각 페그(56)에 삽입부착되어서 삽입부착위에 배치된 만보빈 FB 및 공보빈 EB가 각 꼭대기부에서 각각의 바로 위에 위치하는 보빈행거(10)에 삽입관통되고 각 보빈행거(10)에 걸린다.
이 때문에 테이블(44)의 하강시에는 만보빈 FB 및 공보빈 EB에 대한 페그(56)의 삽입부착이 벗겨져서 페그(56)만이 하강위치까지 하강된다.
이 승강과정에서는 삽입부착위치측의 근접센서(70)이 작동되며, 1회 승강을 완료한 후의 하강위치에서 오프하고 있으면, 보빈 FB, EB가 실패없이 삽입 부착된 것이 확인된다. 그 때, 하강위치에서 근접센서(70)이 어디인가에서도 온하고 있으면, 보빈 FB, EB의 삽입부착의 실패가 발생한 것으로 인지해서 보빈교환장치(7) 및 이송장치(14a)가 비상정지되고 경보가 발령된다.
하강위치에서 모든 근접센서(70)이 오프상태일 때에는 슬라이드베이스장치(52)∼(55)의 각 모터(63)이 구동되어서 각 베이스판(57)이 삽입부착위치로부터 원위치인 발취위치를 향해서 다시 왕복이동된다.
이때, 위치센서(64)가 작동되며, 각 베이스판(57)의 도그(57a)가 위치센서(64)에 검지되면 곧바로 모터(63)이 구동정지되며, 베이스판(57)이 페그(56)을 반송레일(3)(4)의 바로 밑에 배치하는 원위치에서 정지된다.
이렇게 해서 제어장치 C에 의한 보빈교환장치(7) 및 이송장치(14a)의 1사이클의 동작이 완료하면, 보빈반송체(8)측의 두 개의 만보빈 FB와 보빈반송체(9)측의 두 개의 공보빈 EB가 각각 교환상대측의 보빈 FB, EB가 매달려 있던 보빈(10)에 장착되며, 교환처의 피치에 맞춰진 간격이 되도록 상호교환된다.
1사이클이 완료한 상태에서는 원위치에 배치된 각 페그(56)의 바로 위의 위치에 다음에 교환될 만보빈 FB 및 공보빈 EB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제어장치 C는 최초의 1사이클이 완료하면 다음의 1사이클을 원위치에서의 테이블(44)의 승강동작으로부터 개시시킨다.
이하, 연속적으로 사이클동작이 반복되므로서 피치가 다른 보빈반송체(8)(9) 사이에서 만보빈 FB와 공보빈 EB가 두 개씩 교환되어 간다.
제어장치 C는 카운터에 의해 근접센서(67)로부터의 온신호의 누계회수를 각각 계수하고, 카운터가 근접센서(67)로부터의 온신호를 62회 계수하고, 보빈반송체(8)의 1기분(보빈 60개분)의 보빈교환작업이 완료할 때마다 반송레일(3)측의 이송장치(14a)의 모터(28)을 구동시킨다.
그 때문에 보빈교환을 모두 완료한 보빈반송체(8)이 배출됨과 동시에 후속의 보빈반송체(8)의 선두 두 개의 만보빈 FB가 발취위치의 바로 위에 비치된다.
이 상태로부터 연속해서 보빈교환작업이 계속되며, 보빈교환대상인 2기의 보빈반송체(8)과 1기의 보빈반송체(9)의 사이에서 120개씩의 보빈 FB, EB가 상호 교환된다.
또, 카운터가 근접센서(68)로부터의 온신호를 122회 계수하고, 보빈반송체(9)의 1기분(보빈 120개분)의 보빈교환작업이 완료할 때마다 반송레일(4)측의 이송장치(14a)의 모터(28)이 구동되고, 보빈교환을 모두 완료한 보빈반송체(9)가 보빈교환장치(7)로부터 배출된다.
또, 후속의 보빈반송체(9)가 중간에 끊김없이 반입된 경우에는 보빈반송체(9)의 배출과 동시에 후속의 보빈반송체(8)이 선두 두 개의 공보빈 EB가 발취위치의 바로 위에 배치된다.
이렇게 해서 양방의 보빈반송체(8)(9)가 보빈교환장치(7)에 중간 끊김없이 반입된 경우에는 보빈교환장치(7)에 의한 보빈교환작업이 중간에 끊김없이 연속적으로 행해진다.
또, 보빈반송체(8)(9)의 뒤 끝에 설치된 도그를 근접센서(67)(68)이 검지해서 보빈반송체(8)(9)의 진행이 정지되므로서 최후에 교환되는 뒤끝의 두 개의 보빈 FB, EB는 삽입부착위치의 바로 위에 배치된다.
보빈교환장치(7)로부터 반출된 후, 보빈반송체(8)은 대응하는 조방기(1)까지 반송레일(3)상을 주회해서 분기반송레일(3a)(3b)에 반입되며, 그 조방기(1)에 정방기측으로부터 반송된 공보빈 EB가 공급된다.
한편, 보빈반송체(9)는 교환장치(7)로부터 반출된 후, 필요에 따라서 대기부(4c)에 일시 대기하고, 정방기(2)로부터의 만보빈 FB의 공급요구에 그때그때에 맞추어 대응하도록 대기부(4c)에 머물러 있는다.
그리고, 만보빈 FB의 공급을 요구하는 정방기(2)가 있으며, 대기부(4c)에 대기하고 있던 보빈반송체(9)가 반송레일(4)상을 그 정방기(2)를 향해서 주행하고, 그 기계틀 좌우 양측의 예비반송레일(4a)에 반입되고, 예비조사보빈이 공급된다.
이렇게해서 조방기(1)에서 생산된 만보빈 FB는 정방기열 R측에 반송되며, 정방기(2)에서 사용이 끝난 공보빈 EB가 조방기 F측으로 반송된다.
이상,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보빈반송시스템에 의하면, 보빈반송체(8)(9)를 독립의 반송레일(3)(4)상을 주행시켜 보빈반송체(8)의 보빈행거(10)의 매달아 설치한 피치를 조방기(1)의 보빈휠의 피치에 맞추기 때문에 2열의 지그재그형상 배치패턴을 지지한 채로 관교체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때문에 관교체기의 보빈교환동작이 단순하게 끝나기 때문에, 사용되는 관교체기의 구조를 비교적 간단하게 할 수가 있다.
그 때문에 종래 기술에서 설명한 구조가 복잡한 관교체기(일본국 특개소 61-174432호 공보)와 비교해서 그 설비비용을 억제할 수가 있음과 동시에 관교체작업 실패의 발생빈도도 억제할 수가 있다.
또, 종래기술에서 설명한 일본국 특개소 61-197376호 공보에 나타난 보빈반송체의 지지부재와 같이 지그재그형상으로 배치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보빈반송체(8)(9)에 추진력을 릴레이식으로 부여하는 이송장치(14)(14a)를 보빈반송시스템에 사용할 수가 있다.
또, 종래기술에서 설명한 이 보빈반송체와 비교해서 주행롤러를 위한 롤러나 베어링의 설치수가 적게 되고, 더욱이 구조가 간단하다.
그 때문에 보빈반송체(8)(9)가 보빈반송시스템에 다수기가 배치되어도, 보빈반송체(8)(9)의 설비비용을 억제할 수가 있다.
또, 반송레일(3)이 각 조방기와 대응하는 위치를 통하도록 이어져서 가설되며, 보빈교환장치(7)이 각 조방기에 2기씩 설비된 각 보빈반송체(8)에 있어서 공통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보빈교환장치(7)의 설비수를 그 처리능력에 따른 필요 최소수로 억제할 수가 있다.
또, 종래기술에서 설명한 일본국 특개소 63-6122호 공보에 나타난 장치와 같이 도핑된 만보빈의 반송중에 공보빈 혹은 만보빈이 기계틀 전면을 통과하는 일이없이 도핑시의 보빈반송은 반송레일(3)상을 주행하는 보빈반송체(8)에 의해 윗쪽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해서 행해지기 때문에 조방기의 재기동시의 조사의 자동감김 실패의 복원작업이나 조사절단 보수작업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다.
또, 조방기(1)과 정방기(2)로서 보빈반송체(8)(9)가 공용되지 않고, 각각 개개의 반송레일(3)(4)상을 독립적으로 주행하기 때문에 공용되는 경우와 비교해서 보빈반송체(8)(9)의 교통혼잡이 억제되고 교통정리를 위한 제어의 빈도나 교통정리에 기인하는 보빈반송체(8)(9)의 대기시간을 적게 할 수가 있다.
또, 보빈반송체(8)(9)가 조방기(1)과 정방기(2)로서 독립적으로 사용되므로서 보빈행거(10)의 매달아 설치한 수를 조방기측과 정방기측에서 독자적으로 설정할 수가 있다.
그 때문에 정방기의 추수(錘數)가 조방기의 추수의 정수배가 아닌 조합이라도 보빈반송시스템을 용이하게 편성할 수가 있다.
또, 같은 반송레일(3)(4)상을 보빈행거(10)의 수가 다른 보빈반송체(8)(9)를 공존시켜서 주행시키는 것에 의해 각 조방기열 F 또는 정방기열 R에 있어서 추의 수가 다른 조방기나 정방기를 공존시켜서 보빈반송시스템을 편성할 수가 있다.
또, 반송레일(3)을 보빈반송체(8)이 전체의 조방기(1)을 주회가능하게 이어서 가설했기 때문에 반송레일(3)위에 설치된 모든 보빈반송체(8)사이에서 보빈교환장치(7)을 공용할 수가 있다.
그 때문에, 보빈교환장치(7)의 설치수를 그 처리능력에 따른 최소수로 할 수가 있다.
또, 보빈교환장치(7)은 보빈반송체(8)(9)가 되돌아오지 않도록 각 반송레일(3)(4)가 폐쇄루프를 이루는 경로위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보빈교환장치(7)로부터 배출된 보빈반송체(8)(9)는 그 배출방향으로 진행하면 보빈 FB, EB의 반송처로 향할 수가 있다.
그 때문에 보빈반송체(8)(9)를 보빈교환장치(7)에 중간에 끊김없이 연속적으로 반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보빈교환장치(7)에 의한 보빈교환작업을 중간에 끊김없이 행하므로서 작업효율을 향상시킬수가 있다.
또, 조방기(1)의 만관에 의해 만보빈 FB를 교환할 수 있는 상태가 되는 2기의 보빈반송체(8)과 1기의 보빈반송체(9)를 보빈교환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보빈교환장치(7)에 중간에 끊김없이 반입되는 2기의 보빈반송체(8)과 1기의 보빈반송체(9)의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보빈교환작업을 행할 수가 있다.
그 때문에 조방기에서 생산된 만보빈 FB에 의해 보빈반송체(9)의 1기분이 가득차게 되기 때문에 조방기에서 생산된 만보빈 FB를 만관후 조기에 정방기측으로 공급할 수가 있다.
또, 보빈반송체(8)(9)는 이송장치(14)로부터 릴레이식으로 추진력을 얻어서 단체로 주행한다. 그 때문에 반송기에 의해 견인되어서 주행하는 방식에 비해 반송기의 도착을 기다리는 대기시간이 해소된다.
또, 반송기가 빠져 나올 수 있도록 보빈반송체를 말단측으로부터 반입시킬 때에 일단 완전히 반입구가 되는 분기부를 통과시킨 후에 보빈반송체를 후퇴시키는 식의 쓸데없는 주행이 불필요하게 되며, 이 반입을 위한 진로변경용에 설치되어 있던 레일공간이 불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반송기에 의한 견인방식과 비교해서 반송레일(3)(4)를 상대적으로 짧게 할 수가 있다.
보빈교환장치(7)에 의한 보빈교환은 페그(56)의 발취위치와 삽입부착위치사이에서의 직선적인 이동동작과 페그(56)의 발취위치 및 삽입부착위치에서의 승강동작의 두가지의 단순한 동작의 반복에 의해 성립되고 있기 때문에 그 구동을 위한 기구가 간단하게 되고, 따라서 보빈교환장치(7)의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가 있다.
또, 이송장치(14)(14a)에 설치된 구동력전달원을 벨트(20)에 의해 구성했기 때문에 링크부재(12)는 구동력 전달원인 벨트(20)에 의해 풀리(18)(19)의 축 중심간 거리에 거의 동등한 길이에 걸친 넓은 접촉면적에서 잡혀지기 때문에 벨트(20)으로부터의 구동력을 넓은 접촉면을 통해서 미끄러짐을 동반하지 않고 링크부재(12)에 효율이 양호하게 전달된다.
그 때문에 벨트(20)의 구동력이 같게 되어 있어서도, 보다 강력한 추진력을 링크부재(12)에 부여할 수가 있고, 보빈반송체(8)(9)가 한 번에 반송하는 보빈개수가 많기 때문에 그 중량이 상당한 경우에도 보빈반송체(8)(9)를 강한 추진력으로 이동할 수가 있다.
특히, 보빈반송체(8)(9)의 시동시에는 비교적 큰 추진력이 필요하게 되지만 이송장치(14)(14a)로부터 강한 추진력이 부여되기 때문에 반송체(8)(9)를 부드럽게 시동시킬 수가 있다.
[제2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구체화한 제2실시예를 제18도를 기초로 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조방기의 생산품종이 다른 기계틀 그룹마다 보빈교환장치(7)이 설치되어 있는 점이 상기 제1실시예와 다르다.
제1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방기열 F를 구성하는 조방기(1)은 생산하는 조사의 품종이 기계틀에 의해서 다르고, 같은 조사품종의 기계틀 그룹마다 반송레일(3)이 독립적으로 가설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같은 생산품종의 조방기(1)이 두 대씩 그룹으로 나누어지며, 각 반송레일(3)은 포위하는 두 대의 조방기(1)의 전면위쪽에 가설된 두줄의 분기반송레일(3a)(3b)를 구비한 폐쇄루프경로를 이루고 있다.
반송레일(4)는 조방기열 F와 대응하는 위치까지 뻗고, 각 반송레일(3)을 외주에 있어서 거의 평행하게 뻗는 루프경로를 형성하면서 이어져 가설되어 있다.
각 반송레일(3)과 그것을 포위하는 반송레일(4)에 걸쳐서 각 기계틀 그룹마다에 보빈교환장치(7)이 설치되어 있다
각 반송레일(3)에는 각 조방기(1)에 2기씩 할당된 합계 4기의 보빈반송체(8)이 주행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조방기(1)의 만관후에 관교체가 완료해서 만보빈 FB를 매달은 보빈반송체(8)은 반송레일(3)을 제18도의 시계회전의 반대방향으로 주행하도록 되어 있다.
또, 정방기(2)에서 사용이 끝난 공보빈 EB를 매달은 보빈반송체(9)는 반송레일(4)를 조방기열 F와 대응하는 위치까지 주행하고, 소정의 반송레일(3)과 대응하는 루프경로상을 제18도의 시계회전방향으로 주행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잔류조사제어장치(5)에 의해 잔류조사가 처리된 공보빈 EB를 매달은 보빈반송체(9)는 조방기열 F와 대응하는 위치까지 주행하고, 매달은 공보빈 EB와 같은 조사품종의 조사를 생산하는 조방기(1)을 포위하는 반송레일(3)과 대응하는 루프경로상을 제18도의 시계회전방향으로 주행한다.
한편, 조방기열 F에서는 조방기(1)이 만관하게 되면, 기계틀 앞측을 관교체기가 간헐적으로 주행해서 기계틀 위쪽에서 대기하는 2기의 보빈반송체(8)이 매달린 공보빈 EB와 보빈휠상의 만보빈 FB를 복수개씩 교환한다.
이 관교체 후의 만보빈 FB를 매달은 보빈반송체(8)은 반송레일(3)상을 분기반송레일(3a)(3b)로부터 제18도의 시계회전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주행한다.
이렇게 해서 보빈교환장치(7)에 양측으로부터 각 보빈반송체(8)(9)가 반입되면, 각 보빈반송체(8)(9)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간헐적으로 진행하면서 양방의 같은 조사품종의 보빈 FB, EB가 두 개씩 순차적으로 교환되어 간다.
그 때문에 조사품종이 같은 보빈 FB, EB 사이에서 보빈교환을 확실하게 행할 수가 있다. 따라서, 보빈교환이 생산품종마다 행해지기 때문에 다른 품종이 섞일 수가 없다.
또, 본 발명은 상기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1) 반송레일(3)(4)의 형태는 상기 각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로는 제19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방기열 F를 포위하는 반송레일(3)에 대해서, 그 측방으로부터 평행을 이루어 근접하도록 반송레일(4)가 뻗고, 각 반송레일(3)(4)의 근접부에 보빈교환장치(7)이 배설되어 있으며, 보빈교환장치(7)의 반출측의 반송레일(4)가 그 반출구로부터 보빈반송체(9)의 전체길이 이상의 거리를 뻗은 위치에서 분단된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반송레일(3)상을 제19도의 시계회전방향으로 진행해서 반입되는 보빈반송체(8)과, 반송레일(4)상을 제19도의 위쪽으로부터 아래쪽을 향해서 진행해서 반입되는 보빈반송체(9)의 양방의 보빈 FB, EB가 보빈교환장치(7)에 의해 순차교환된다.
보빈교환을 완료하여 보빈교환장치(7)을 통과한 후, 보빈반송체(9)를 왕복이동시켜서 다시 보빈교환장치(7)을 통과하도록 반출시키면 좋다.
이 때, 후속되는 보빈반송체(9)는 반출경로 바로 앞의 위치에서 대기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해서도 보빈반송체(8)(9)사이에서 보빈 FB, EB의 받아넘김을 할 수가 있고, 상기 각 실시예와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또, 미리 보빈반송체(9)를 보빈교환장치(7)에 대해서 정방기열 R과는 반대측까지 통과시킨 후, 그 왕복이동시에 그 반대방향으로부터 진행해서 오는 보빈반송체(8)과의 사이에서 양방의 보빈 FB, EB를 교환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더욱이 반송레일(3)만이 보빈교환장치(7)에 대한 한쪽측에서 분단되어 있거나, 반송레일(3)(4)가 함께 보빈교환장치(7)에 대한 한쪽측에서 분단된 구성으로 해도 좋다.
(2) 상기 제2실시예에서는 조방기(1)을 조사품종마다 그룹으로 나누었지만 보빈교환장치(7)에 있어서의 보빈반송체(9)측의 설정피치를 기계틀 그룹마다 변경해서 정방기의 기계틀종류의 차이에 의해 보빈행거의 피치가 다른 보빈반송체(9)가 반송레일(4)위에 공존해서 설치되어도 대응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3) 보빈반송체(8)(9)사이에서 보빈행거(10)의 매달아 설치한 수를 선택해 변경할 수가 있다.
예로는 보빈반송체(8)(9)의 보빈행거(10)의 매달아 설치한 수를 같은 수로 해도 좋다.
또, 보빈반송체(9)의 보빈행거(10)의 매달아 설치한 수를 보빈반송체(8)의 것에 대해서 3배, 4배등으로 설정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보빈반송체(9)의 전체길이가 길게 되며, 반송레일(4)위에 설치되는 이송장치(140(14a)의 설치간격을 길게 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반송레일(4)측의 반송장치(14)(14a)의 설치수를 감소시킬 수가 있다.
(4) 정방기의 추의 수가 조방기(1)의 추의 수의 정수배가 아닌 조합으로 보빈반송시스템을 구성해도 좋다.
(5) 조방기열 F나 정방기열 R에 있어서, 추의 수가 다른 조방기나 정방기를 공존시켜서 보빈반송시스템을 구성해도 좋다.
보빈행거(10)의 매달아 설치한 수가 다른 보빈반송체(8)(9)를 같은 반송레일(3)(4)위에 주행시키면 대응할 수가 있다.
이 구성에서는 보빈교환장치(7)에 의한 보빈교환시에 반끝이 되지만, 상대측의 후속의 보빈반송체(8)(9)에 의해 그 반끝부분은 보완되기 때문에 문제는 없다.
(6) 조방기(1)과 정방기(2)의 배열방향은 적절히 변경할 수가 있다.
예로서 조방기열 F와 정방기열 R의 배열방향을 직교하는 형태로 해도 좋다.
(7) 한 개의 반송레일(3)위에 복수대의 보빈교환장치(7)을 설치, 복수개소에서 병행해서 보빈교환이 가능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
예로는 제19도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반송레일(4)를 반송레일(3)의 같은 도면의 우측까지 연장해서 반송레일(3)의 우측에도 보빈교환장치(7)을 부가하고, 만보빈 FB를 매달은 2개의 보빈반송체(8)을 좌우의 보빈교환장치(7)에 각각 반입하고, 보빈교환작업을 동시 진행적으로 행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8) 반송레일(3)은 폐루프경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로는 제1도에 있어서, 반송레일(3)의 우변부가 없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보빈반송체(8)을 1기씩 보빈교환장치(7)까지 왕복시키는 구성으로 하면 보빈교환이 가능하게 된다.
(9) 보빈반송체(8)(9)를 반송기에 의해 견인하는 방식으로 해도 좋다.
(10) 일본국 특개소 63-29016에 나타난 한쌍의 회전원판을 구비한 이송장치를 사용해도 좋다.
(11) 상기 제2실시예에 있어서, 기계틀그룹은 2대씩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로는 기계틀그룹마다 속하는 대수가 달라도 좋다. 또한, 1대씩으로 해도 좋다.
[별예]
이하, 보빈교환장치의 별예를 제20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만보빈 FB 및 공보빈 EB를 각 보빈반송체(8)(9)의 보빈행거(10)으로부터 발취한 후, 발취위치로부터 삽입부착위치에 만보빈 FB 및 공보빈 EB를 이송하는 이송과정이 상기 제1실시예와 다르게 되어 있다.
상기 제1실시예에서는 슬라이드베이스장치(52)∼(55)와 이송장치(14a)를 소정의 동작순서에 따라서 개별적으로 구동시켰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드베이스장치(52)∼(55)와 이송장치(14a)를 동시에 병행해서 구동시키고 있는 점이 상기 제1실시예와 크게 다르게 되어 있다.
제20도는 제어장치 C에 의해 구동제어되는 슬라이드베이스장치(52)∼(55)의 각 모터(63)과 이송장치(14a)의 모터(28)의 설정속도를 나타낸 것이다.
제어장치 C에는 제20도에 나타내는 설정속도가 미리 프로그램되어 있고, 제20도의 속도차트에 따라서, 각 모터(28)(63)의 속도제어가 행해진다.
제20도에서 실선 A가 모터(63)의 설정속도이고, 파선 B가 모터(28)의 설정속도이다.
이하, 이송과정의 동작수순을 설명한다.
먼저, 제2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터(63)이 고속(H)로 구동됨과 동시에 모터(28)이 저속(L)로 구동된다. 단, 시동초기단계에서는 보빈 FB, EB가 흔들리지 않도록 극히 낮은 속도(L)(L)을 경유한다.
베이스판(57) 및 보빈반송체(8)(9)는 각각 이동을 개시한다.
베이스판(57)이 고속(H)로 이동하고, 보빈반송체(8)(9)가 저속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베이스판(57)상의 보빈 FB, EB는 각 보빈열로부터 아주 빠르게 발취함과 동시에 보빈열이 서서히 이동하기 때문에 만보빈 FB가 그 보빈열중의 다른 만보빈 FB와 간섭하는 일이 없다.
보빈 FB, EB가 각 보빈열로부터 완전히 빠져나가면(예로는 중간정지위치), 제2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터(63)이 고속영역(H)로부터 저속영역(L)로 감속됨과 동시에 모터(28)이 저속영역(L)로부터 고속영역(H)로 가속된다.
그 때문에 만보빈 FB가 삽입부착위치에 배치될 때에, 서서히 이송처측의 보빈열로 들어갈때에 그 이송도착측의 보빈열이 삽입부착위치에 공간을 열도록 아주 빠르게 이동하기 때문에 만보빈 FB가 교환이 끝난 만보빈 FB를 간섭하는 것이 회피된다.
이때, 바깥지름이 작은 공보빈 EB는 물론 다른 보빈 FB, EB에 간섭하는 일없이 그 삽입부착위치에 배치된다.
보빈 FB, EB가 삽입부착위치에 배치되기 직전에는 모터(28)(63)은 상당한 저속영역(LL)로 감속되고, 삽입부착위치에 정지되었을 때에 보빈 FB, EB가 흔들려 다른 보빈을 간섭하는 일은 없다.
이와같이 베이스판(57)의 이송동작과 보빈반송체(8)(9)의 보내어지는 동작이 동시진행적으로 행해지기 때문에 이송과정에 필요로 하는 소요시간이 짧게 되고 보빈교환의 소정시간을 더욱 단축할 수가 있다.
또, 이 이송과정에서는 베이스판(57)은 발취위치로부터 삽입부착위치까지 도중에 정지함이 없이 부드럽게 이송된다.
또, 베이스판(57)과 보빈반송체(8)(9)는 동시에 시동되어서 동시에 정지하고, 마치 한동작으로 보이기 때문에 동작시의 볼품이 좋다.
또, 보빈교환장치는 상기 각 실시예에 한정된 것은 아니고,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예로는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1) 제21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한쌍의 풀리(71)(72)에 걸림장착된 주회부재로서의 무단벨트(73)의 외주면위에 3개의 페그(74a)(74b)(74c)를 그 간격이 발취위치와 삽입부착위치의 거리에 같게 되도록 등간격으로 고정하고, 모터(75)의 구동에 의해 벨트(73)을 같은 도면의 시계회전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한 이동장치(76)을 상기 각 실시예의 슬라이드베이스장치와 같은 배치패턴으로 승강가능한 테이블(44)위에 설치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상기 각 실시예에서 1사이클 중에 발취 및 삽입(삽입부착)이 2회 행하고 있던 페그의 승강동작을 1회로 끝낼 수가 있음과 동시에 페그(56)을 왕복이동시킬 필요가 없게 된다.
즉, 같은 도면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발취위치(같은 도면 우측)측의 페그(74a)의 바로 위에 보빈 FB가 배치되며, 삽입부착위치(같은 도면 좌측)측의 페그(74b)에 보빈 FB가 삽입부착됨과 동시에 그 바로 위에 비어 있는 보빈행거(10)이 배치된 상태로부터 테이블(44)가 1회 승강이동된다.
그러면, 페그(74)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던 보빈 FB가 페그(74a)에 끼워부착되어 발취됨과 동시에 페그(74b)에 끼워부착되어 있던 보빈 FB가 보빈행거(10)에 삽입부착된다. 즉, 1회의 승강동작으로 발취위치측에서의 보빈 FB의 발취와, 삽입부착위치측에서의 보빈 FB의 삽입(삽입부착)이 동시에 행해진다.
다음으로, 모터(75)가 구동되어 벨트(73)이 시계회전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소정량이 회전된다.
그 결과, 페그(74a)에 끼워부착된 보빈 FB가 발취위치로부터 삽입부착위치까지 이송됨과 동시에 벨트(73)의 하면측에 있던 페그(74c)가 발취위치에 배치된다. 이 이송과정의 사이에서 이송장치(14a)가 구동되어서 병행해서 보빈반송체(8)(9)가 진행되고, 다시 최초에 설명한 쇄선으로 나타낸 상태가 된다.
이하, 같은 모양으로 테이블(44)의 1회의 승강동작과 벨트(73)의 소정량 회전만으로 되는 사이클을 반복하여 행하므로서 보빈이 소정개씩 연속적으로 교환되어 간다.
따라서, 상기 각 실시예보다도 보빈교환 시간을 큰폭으로 단축할 수가 있다.
(2) 1사이클의 교환개수는 적절히 변경하여 교환할 수가 있다.
예로는 슬라이드베이스장치를 2대 배치해서 1개씩 교환하거나, 슬라이드베이스장치를 6대 배치해서 3개씩 교환해도 좋다.
(3) 보빈교환부위에서의 각 반송레일의 궤적경로는 평행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소 확개하거나 만곡해 있어도 좋고, 양방의 보빈반송체가 상호 반대방향으로 진행할 수 있으면 좋다. 또 각 반송레일의 높이가 달라도 좋다.
이 경우에는 발취위치와 삽입부착위치에서 페그의 승강스트로크에 차이를 두면 좋다.
(4) 이송과정에 있어서의 페그(56)의 이동경로는 직선형상으로 한정하지 않고, 굴곡하여도 좋다. 예로는, 페그(56)를 베이스판(57)위에 수용케이스(58)의 폭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함과 동시에 굴곡한 안내홈을 따라서 안내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구성이라면, 구조가 간단하고, 더욱이, 페그(56)을 굴곡경로상을 이동시킬 수가 있다.
(5) 슬라이드베이스장치의 배치패턴은 양방의 보빈반송체의 보빈행거 피치, 교환대칭이 되는 보빈지름, 보빈교환부위에서의 반송레일의 궤적경로 등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하여 변경할 수가 있다.
(6) 볼나사기구로 구동하는 슬라이드베이스장치로 교체해서 실린더 가운데를 양측의 공기압 균형에 의해 이동하는 피스턴을 구비한 로드레스실린더(테이블실린더)를 사용해도 좋다.
로드레스실린더의 피스턴에는 자석이 설치되며, 페그를 자석에 자착(磁着)시켜서 피스턴과 일체적으로 실린더상을 이동시키면 좋다.
로드레스실린더는 밀폐성이 양호하기 때문에 솜먼지등이 침입해서 일어나는 가동성의 저하를 회피할 수가 있다. 또, 로드 부착의 에어실린더에 의해 페그를 직선이동 가능하게 설치해도 좋다.
(7) 테이블(44)의 승강기구는 상기 각 실시예와 같은 벨트식기구에 한정되지 않고, 랙피니언(rack pinion)기구나 볼나사기구로 해도 좋다.
특히, 랙피니언기구는 그 가동부에 다소 솜먼지가 침입해도 동력의 전달능력이 그다지 저하하지 않기 때문에 적절하다.
또, 실린더를 사용해서 테이블(44)를 승강시켜도 좋다.
(8) 페그(56)의 승강을 테이블(44)를 사용하지 않고 행해도 좋다.
예로는, 슬라이드베이스장치(52)∼(55)의 베이스판(57)위에 페그를 피스턴로드 선단에 구비한 실린더를 세워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9) 예로는 일본국 특개소 63-29016호 공보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한쌍의 회전원판에서 링크부재를 끼워눌러서 보빈반송체에 추진력을 부여하는 이송장치와 조합시켜서 보빈교환장치(7)을 사용해도 좋다.
(10) 페그(56)의 승강스트로크를 보빈길이보다 길게 설정하고, 페그(56)에 끼워부착한 보빈의 꼭대기부가 보빈반송체(8)(9)로부터 매달은 보빈 FB, EB의 밑끝에 접촉불능의 위치까지 테이블(44)가 하강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이송과정에서 이송하는 보빈 FB, EB와 매달은 보빈 FB, EB와의 간섭을 고려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승강시간이 다소 길게 된다고 해도 이송과정에서의 페그(56)의 정지제어(제1실시예)나 속도제어(제2실시예)를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제어계를 간략하게 할 수가 있다.
(11) 페그(56)의 이송과정 및 보빈반송체(8)(9)의 진행과정에 있어서, 페그(56) 및 반송체(8)(9)를 등속으로 이동시켜도 좋다.
제어계가 한층 간략화됨과 동시에 각 과정에서의 소요시간을 단축할 수가 있다. 이 경우, 보빈이 서로 접촉하게 되면 다소의 요동이 있지만, 보빈 FB, EB의 발취에 지장이 없는 정도라면 문제는 없다.
(12) 이송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보빈반송체를 반송기에 의해 견인해서 보빈교환장치(7)에 반입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상기 실시예로부터 파악되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되어 있지 않은 발명을 그 효과와 함께 이하에 기재한다.
(가) 청구항 1∼청구항 7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빈반송체가 각 정방기로부터 보빈교환장치에 이를 때까지의 상기 정방기측의 반송레일의 경로위에 보빈반송체가 매달은 공보빈의 잔류조사를 제거가능한 잔류조사제거장치를 설치하였다. 이 구성에 의하면, 보빈반송체가 보빈교환장치에 반입되기 전에 미리 공보빈의 잔류조사가 잔류조사제거장치에 의해 제거되기 때문에 잔류조사가 없는 공보빈을 조방기측의 보빈반송체에 받고 넘길 수가 있다.
(나) 청구항 1∼청구항 7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방기측의 반송레일에는 보빈반송체의 보빈교환장치에로의 반입 바로 앞위치에서 해당 반송레일이 복수줄로 병렬분기된 대기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한번에 다수의 보빈반송체가 보빈교환장치를 향한 경우에 보빈반송체를 반송레일이 복수줄로 해서 병렬로 분기된 각각에 일시 머물러 대기하므로서 보빈반송체를 순서있게 보빈교환장치에 반입할 수가 있다.
(다) 청구항 1∼청구항 7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방기측의 반송레일에는 보빈반송체의 보빈교환장치로부터의 반출경로 위에 해당되는 반송레일이 복수로해서 병렬로 분기된 대기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보빈교환장치를 경유해서 만보빈을 매달은 보빈반송체는 대기부에 머물러 있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예비 조사보빈의 공급을 요구하는 정방기가 있으면 곧바로 공급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조방기측과 정방기측에서 각각 매달아 설치한 피치가 다른 보빈반송체를 독립적으로 주행시키는 것에 의해 조방기측에서의 생산시의 만보빈의 피치와 정방기측의 예비조사보빈의 피치가 다른 것에 기인하는 각종의 제한을 해소할 수가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조방기열측의 반송레일상을 주행하는 각 보빈반송체에 보빈교환장치를 공통으로 사용할 수가 있기 때문에 보빈교환장치의 설치수를 최소로 억제할 수가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조방기열이 복수로 분할된 기계틀그룹마다 공통의 보빈교환장치를 사용해서 보빈교환이 행해지기 때문에 각 기계틀그룹에서 생산하는 조사의 품종이 다른 경우에도 다른 품종이 섞이는 것이 방지된다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보빈교환장치를 통과해서 만보빈을 매달은 정방기측의 보빈반송체는 정방기열측으로 향할 때에 보빈교환장치를 통과한 후 되돌아오지 않기 때문에 후속의 보빈반송체를 연속해서 보빈교환장치에 반입할 수가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더욱이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보빈반송체는 각 반송레일 위에 설치된 복수의 이송장치로부터 릴레이식으로 추진력을 얻어서 단체(單體)로 주행가능하게 되며, 반송기에 의해 보빈반송체를 견인하는 경우와 같이 견인해서 온 보빈반송체를 단말부로부터 반입할 때의 진로변경 등을 위한 레일공간이 불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반송레일을 상대적으로 짧게 할 수가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두줄로 분기된 반송레일의 각각에 보빈반송체가 반입되어서 2열의 지그재그형상으로 배치된 보빈휠과 같은 배치패턴으로 보빈행거가 배치되기 때문에 관교체기의 관교체동작이 단순히 끝나고 그 기구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가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또,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단순한 두가지 동작의 반복에 의해 걸림수단이 조작되어서 보빈이 교환되기 때문에 보빈교환장치의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가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청구항 8 및 청구항 1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다른 반송레일상을 주행하는 보빈반송체 사이에서 매달아 설치한 피치가 다른 보빈행거에 매달린 보빈을 교환할 수가 있음과 동시에 걸림수단의 승강구동과 이송이동의 두종류의 단순한 이동의 조합으로 실시되기 때문에 실시를 위한 장치를 간단한 구조로 할 수가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걸림수단의 1회의 승강에 의해 발취위치에서의 보빈의 발취와 삽입부착위치에서의 보빈의 삽입부착이 동시에 행해지고, 게다가 걸림수단을 발취위치로부터 삽입부착위치까지 이동시킨 상태에서 발취위치에 다음의 보빈을 발취하기 위한 걸림수단이 배치되기 때문에 보빈교환의 1사이클의 소요시간을 상당히 줄일 수가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만보빈을 이송하는 복수개의 걸림수단의 이동경로가 각 보빈반송체의 진행경로에 직교하는 선을 중심으로 거의 균등하게 경사해서 설정되며, 각 보빈반송체의 진행경로와 이루는 각도가 크게 확보되기 때문에 교환해야 할 만보빈을 보빈반송체로부터 매달은 다른 만보빈에 걸어맞춤하는 일이 없이 직선적으로 이송할 수가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청구항 1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보빈발취 후의 보빈반송체의 진행시에 걸림수단에 끼워부착된 교환해야 할 보빈은 보빈반송체로부터의 매달은 보빈에 걸림결합불능한 직선경로 위로 퇴피되어 발취시에 보빈을 그 꼭대기부가 매달린 보빈의 밑끝부보다 밑쪽이 되는 위치까지 발취하지 않고도 되기 때문에 걸림수단의 승강스트로크를 적게 설정할 수 있고, 보빈교환속도를 향시킬 수가 있다.
청구항 1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걸림수단의 발취위치로부터 삽입부착위치까지의 직선이동과 보빈반송체의 진행이 속도제어에 의해 동시에 시동되어 동시에 정지되도록 동시진행적으로 행해지기 때문에 동작이 단시간으로 끝남과 동시에 볼품이 좋다.

Claims (13)

  1. 조방기열(F)를 보빈반송체(8)이 주행하는 반송레일(3)과 정방기열(R)을 보빈반송체(9)가 주행하는 반송레일(4)를 각각 독립적으로 가설함과 동시에 각 반송레일(3)(4)의 근접부에 각 반송레일상을 각각 주행하는 보빈반송체(8)(9)에 매달려 지지된 서로 다른 피치의 보빈을 서로 교환이 가능한 보빈교환장치(7)(76)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기에 있어서의 보빈반송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방기열(F)측의 반송레일(3)은 상기 조방기열(F)를 구성하는 전체의 조방기(1)을 상기 보빈반송체(8)이 주회가능하게 연계된 반송레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기에 있어서의 보빈반송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방기열(F)측의 반송레일(3)은 복수의 기계틀 그룹마다 독립적으로 가설되며, 상기 보빈교환장치(7)(76)은 상기 기계틀 그룹마다 독립해서 가설된 각 반송레일(3)과 상기 정방기열(R)측의 반송레일(4)와의 근접부에 각 기계틀 그룹마다 개별적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기에 있어서의 보빈반송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방기(1)측의 반송레일(3)과 상기 정방기(2)측의 반송레일(4)중, 한쪽은 상기 보빈교환장치(7)(76)을 통과하는 폐쇄루프를 형성하는 경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기에 있어서의 보빈반송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반송레일(3)(4) 위에는 각각을 주행하는 상기 보빈반송체(8)(9)의 전체 길이보다 짧은 간격으로 상기 보빈반송체(8)(9)에 추진력을 부여할 수 있는 이송장치(14)(14a)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기에 있어서의 보빈반송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방기열(F)측의 반송레일(3)은 도핑이 행해지는 상기 조방기(1)에 대응하는 부위에서 보빈휠의 열수에 대응해서 두줄로 분기(3a)(3b)되며, 2기의 보빈반송체(8)을 분기된 반송레일(3a)(3b)상에 보빈행거(10)이 보빈휠의 배치패턴에 대응하는 2열 지그재그형상이 되도록 배치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기에 있어서의 보빈반송체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교환장치(7)(76)은 보빈(FB)(EB)에 끼워서 부착이 가능한 복수의 걸림수단(56)(74a)(74c)를 교환해야 할 보빈(FB)(EB)가 발취되는 위치의 바로 아래에 상당하는 발취위치와, 각 보빈반송체(8)(9)가 각각의 진행방향에 다음의 교환보빈(FB)(EB)가 발취위치의 바로 위에 위치하도록 교환개수에 상당하는 피치분만큼 진행했을 때에 교환상대측의 보빈(FB)(EB)가 발취된 후의 비어 있는 보빈행거(10)이 배치되는 이동도착위치의 바로 아래에 상당하는 삽입부착위치와의 사이를 이동이 가능하게 구비하고, 교환해야 할 양쪽의 보빈(FB)(EB)에 대응하는 상기 걸림수단(56)(74a)(74b)(74c)를 각각의 상기 발취위치와 상기 삽입부착위치를 연결하는 경로상을 이동시키는 이동구동수단(63)(75)와, 상기 걸림수단(56)(74a)(74b)(74c)를 교환해야 할 보빈(FB)(EB)를 상기 보빈행거(10)에 대해서 탈착이 가능한 상승위치와 그 걸림수단(56)(74a)(74b)(74c)에 끼워져 부착된 보빈(FB)(EB)의 꼭대기부가 보빈행거(10)의 밑쪽으로 이간함과 동시에 그 걸림수단(56)(74a)(74b)(74c)가 상기 보빈반송체(8)(9)로부터의 매달린 보빈에 걸어맞춤 불능인 하강위치와의 거리에 상당하는 스트로크를 상기 발취위치와 상기 삽입부착위치에서 승강구동시키는 승강구동수단(47)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기에 있어서의 보빈반송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레일(3)(4)상을 주행하는 보빈반송체(8)(9)사이에서 매달아 설치한 피치가 서로 다른 보빈행거(10)에 보빈을 매달은 상태에서 삽입부착하고, 상기 보빈반송체(8)(9)를 상호 반대방향으로 간헐적으로 진행시키면서 양방의 보빈(FB)(EB)를 상기 보빈교환장치(7)(76)에 의해 소정개수씩 교환해 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기에 있어서의 보빈반송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발취위치와 상기 삽입부착위치 사이의 거리 이상의 길이를 두고 배치된 한쌍의 풀리(71)(72)에 무단형(無端形)의 주회부재(73)을 걸어장착하고, 상기 걸림수단(74a)(74b)(74c)는 그 주회부재(73)의 외주면상에 상기 발취위치와 상기 삽입부착위치 사이의 거리에 상당하는 길이마다 등간격으로 3개소 이상 설치되며, 상기 주회부재(73)은 상기 이동구동수단(75)이 구동에 의해 상기 걸림수단(74a)(74b)(74c)가 상기 발취위치로부터 상기 삽입부착위치로 향하는 한방향으로 회전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기에 있어서의 보빈반송시스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교환장치(7)(76)은 조방기(1)측의 반송레일(3)상을 주행하는 보빈반송체(8)에 매달은 만보빈 FB와 정방기(2)측의 반송레일(4)상을 주행하는 보빈반송체(9)에 매달린 공보빈 EB를 복수개씩 교환하기 위한 복수개씩의 상기 걸림수단(56)(74a)(74b)(74c)를 구비하고, 만보빈 FB를 이송하는 상기 걸림수단(56)(74a)(74b)(74c)의 이동경로는 각 보빈반송체(8)(9)의 진행경로에 직교하는 선을 중심으로 거의 균등하게 경사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기에 있어서의 보빈반송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교환장치(7)(76)과, 반송레일(3)(4)에 설치되어서 상기 보빈교환장치(7)(76)을 진행하는 상기 보빈반송체(8)(9)에 추진력을 부여하는 이송장치(14)(14a)와, 그 이송장치(14)(14a), 상기 이동구동수단(63)(75) 및 상기 승강구동수단(47)을 구동제어하는 제어수단 C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수단 C는 상기 이송장치(14)(14a)로부터 추진력을 얻어 상기 보빈교환장치(7)(76)으로 진입하는 각 보빈반송체(8)(9)가 선두측의 교환해야 할 보빈을 각각의 발취위치의 바로 위에 배치하면 상기 이송장치(14)(14a)의 구동은 정지시키고 다음의 상기 발취위치에 배치된 상기 걸림수단(56)(74a)(74b)(74c)를 1회 승강시키도록 상기 승강구동수단(47)을 구동시키고 상기 걸림수단(56)(74a)(74b)(74c)가 승강해서 다시 상기 하강위치에 배치되면 상기 걸림수단(56)(74a)(74b)(74c)을 각각의 발취위치로부터 상기 삽입부착위치를 향해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이동구동수단(63)(75)를 구동시킴과 동시에 다음의 교환보빈이 상기 발취위치의 바로 위에 배치되도록 상기 보빈반송체(8)(9)를 진행시키기 위해 상기 이송장치(14)(14a)를 구동시키고, 상기 걸림수단(56)(74a)(74b)(74c)가 상기 삽입부착위치에 배치됨과 동시에 다음의 교환보빈이 발취위치에 배치되면 상기 걸림수단(56)(74a)(74b)(74c)을 1회 승강시키도록 상기 승강구동수단(47)을 구동시키고 이상의 구동제어중, 상기 걸림수단(56)(74a)(74b)(74c)가 발취위치에 배치된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승강구동수단(47)의 구동 이후의 사이클을 반복해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기에 있어서의 보빈반송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발취위치 및 상기 삽입부착위치에서 승강구동되는 상기 걸림수단(56)(74a)(74b)(74c)의 하강위치에서는 상기 걸림수단(56)(74a)(74b)(74c)에 끼워부착된 보빈의 꼭대기부가 상기 보빈행거(10)과 상기 보빈반송체(8)(9)로부터 매달은 보빈의 밑끝과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걸림수단(56)(74a)(74b)(74c)가 상기 발취위치에서 1회 승강된 후에 있어서, 상기 걸림수단(56)(74a)(74b)(74c)에 끼워 부착된 보빈과 상기 보빈반송체(8)(9)로부터의 매달은 보빈이 걸어맞춤하지 않도록 상기 제어수단C가 상기 이동구동수단(63)(75) 및 상기 승강구동수단(47)을 구동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기에 있어서의 보빈반송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교환해야 할 보빈을 끼워부착하는 상기 걸림수단(56)(74a)(74b)(74c)을 상기 발취위치로부터 상기 삽입부착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 C에 교환해야 할 보빈이 상기 매달린 보빈열로부터 빠져나오는 과정에서는 상기 걸림수단(56)(74a)(74b)(74c)이 고속으로, 상기 보빈반송체(8)(9)가 저속이 되도록 상기 이동구동수단(63)(75) 및 상기 이송수단(14)(14a)의 각각을 속도제어시킴과 동시에 교환해야 할 보빈이 이동도착측의 상기 달아내린 보빈열에 넣어지는 과정에서는 상기 걸림수단(56)(74a)(74b)(74c)가 저속으로, 상기 보빈반송체(8)(9)가 고속이 되도록 상기 이동구동수단(63)(75) 및 상기 이송장치(14)(14a)의 각각을 속도제어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이동구동수단(63)(75) 및 상기 이송장치(14)(14a)를 동시에 구동개시시키고 동시에 구동정지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기에 있어서의 보빈반송시스템.
KR1019950043109A 1994-11-30 1995-11-23 방적기에 있어서의 보빈 반송시스템 KR01849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97381A JPH08157144A (ja) 1994-11-30 1994-11-30 紡機におけるボビン搬送システム
JP94-297381 1994-11-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7964A KR960017964A (ko) 1996-06-17
KR0184921B1 true KR0184921B1 (ko) 1999-05-01

Family

ID=17845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3109A KR0184921B1 (ko) 1994-11-30 1995-11-23 방적기에 있어서의 보빈 반송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715669A (ko)
JP (1) JPH08157144A (ko)
KR (1) KR0184921B1 (ko)
ES (1) ES2147045B1 (ko)
TW (1) TW27708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646337A1 (de) * 1996-11-09 1998-05-14 Schlafhorst & Co W Spulenwechsel- und Transporteinrichtung
DE19749024B4 (de) * 1997-11-06 2004-09-16 Saurer Gmbh & Co. Kg Spinnanlage mit Vorspinnmaschinen und mit Ringspinnmaschinen
CA2453621C (en) * 2001-07-16 2008-05-20 Maytag Corporation Hinge down refrigerator water filter
ITBO20020054A1 (it) * 2002-01-31 2003-07-31 U T I T S P A Sistema e metodo per la movimentazione e lo smistamento di treni di articoli in un impianto per il trasporto di detti articoli
US7210586B2 (en) * 2002-08-13 2007-05-01 Finisar Corporation Adapter element for card cage system
US7167380B2 (en) * 2002-08-13 2007-01-23 Finisar Corporation Card cage system
US7349226B2 (en) 2002-08-13 2008-03-25 Finisar Corporation Functional module with card guide engagement feature
CN103774300B (zh) * 2014-01-13 2016-05-11 青岛天一红旗软控科技有限公司 粗细联合智能粗纱机控制系统
JP2015158029A (ja) * 2014-02-25 2015-09-03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粗糸パッケージの重量計測装置
DE102017202085A1 (de) * 2017-02-09 2018-08-09 Tom Hanrath Fördervorrichtung zur Versorgung einer Garnbearbeitungsmaschine, insbesondere einer Spinnstrickmaschine sowie Produktionseinrichtung umfassend eine solche und Verfahren zur Versorgung einer Garnbearbeitungsmaschine verwendend eine solche
JP6825461B2 (ja) * 2017-04-04 2021-02-03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粗紡機の管理装置
IT201700116280A1 (it) * 2017-10-16 2019-04-16 Marzoli Machines Textile Srl Dispositivo e metodo per lo scambio fra bobine e tubetti in una linea di filatura
IT201700116289A1 (it) * 2017-10-16 2019-04-16 Marzoli Machines Textile Srl Dispositivo di scambio fra bobine e tubetti per una linea di filatura
CN117864789B (zh) * 2024-03-11 2024-05-07 湖南大捷智能装备有限公司 对中涂油装置及拆垛对中涂油单元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227105A1 (de) * 1972-06-03 1973-12-13 Zinser Textilmaschinen Gmbh Transportanlage zum transportieren von spulen
CH555902A (de) * 1972-06-28 1974-11-15 Augsburger Kammgarn Spinnerei Vorrichtung zur beschickung einer ringspinnmaschine mit spulen sowie verwendung der vorrichtung.
US4515328A (en) * 1983-11-17 1985-05-07 Burlington Industries, Inc. Incremental modular creel system
JPS61119730A (ja) * 1984-11-14 1986-06-06 Toyoda Autom Loom Works Ltd 粗紡機における管替方法及びその装置
JPS61174432A (ja) * 1985-01-23 1986-08-06 Howa Mach Ltd 粗紡機の管替機
JPS61197376A (ja) * 1985-02-23 1986-09-01 Toyoda Autom Loom Works Ltd ボビン搬送体のボビンピツチ変更装置
JPH06104938B2 (ja) * 1985-10-28 1994-12-21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粗紡・精紡工程間の予備粗糸巻搬送方法
DE3601832C2 (de) * 1986-01-22 1995-04-06 Zinser Textilmaschinen Gmbh Transportsystem für Vorgarnspulen an Spinnmaschinen
JPS636122A (ja) * 1986-06-21 1988-01-12 Howa Mach Ltd 粗糸端解舒防止装置
JPS6329016A (ja) * 1986-07-22 1988-02-06 Isuzu Motors Ltd 副室式デイ−ゼル燃焼室
JPS6361418A (ja) * 1986-09-01 1988-03-17 Hitachi Maxell Ltd 磁気記録媒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IT1222819B (it) * 1987-10-02 1990-09-12 Marzoli & C Spa Apparecchiatura per banchi a fusi,atta ad effettuare,in modo automatico.il prelievo delle spole e la loro sostituzione con tubi vuoti,sui quali avvolgere lo stoppino
DE3734298A1 (de) * 1987-10-09 1989-04-20 Zinser Textilmaschinen Gmbh Transportsystem fuer vorgarnspulen zwischen spinnereimaschinen
IT1222899B (it) * 1987-10-13 1990-09-12 Marzoli & C Spa Impianto a struttura perfezionata per l'alimentazione di filatoi con spole cariche da sostituire a spole esaurite in modo casuale
JPH0742045B2 (ja) * 1988-11-07 1995-05-10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精紡機の粗糸替方法
DE3906718A1 (de) * 1989-03-03 1990-09-06 Palitex Project Co Gmbh Transport- und handhabungssystem fuer vielstellen-textilmaschinen insbesondere zwirnmaschinen
DE3919525C2 (de) * 1989-06-15 1998-01-29 Schlafhorst & Co W Maschinenverbund zwischen Spinn- und Spulmaschinen
JPH05181527A (ja) * 1991-12-27 1993-07-23 Mitsubishi Electric Corp 自動搬送装置
DE4213122A1 (de) * 1992-04-21 1993-10-28 Zinser Textilmaschinen Gmbh Hängewagen-Schienensystem
JP3074945B2 (ja) * 1992-07-20 2000-08-07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粗紡機における管替方法及び管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77081B (ko) 1996-06-01
ES2147045A1 (es) 2000-08-16
US5715669A (en) 1998-02-10
KR960017964A (ko) 1996-06-17
ES2147045B1 (es) 2001-03-01
JPH08157144A (ja) 1996-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84921B1 (ko) 방적기에 있어서의 보빈 반송시스템
US4669942A (en) Device for supplying packages to warper creels
US4586326A (en) Spinning machine with roving-bobbin feeder
JP2552260B2 (ja) 粗糸ボビンの搬送方法
KR930006201A (ko) 방사설비
JPH0489768A (ja) パッケージ搬送方法
CN101443493A (zh) 具有自动筒管更换装置的粗纱机
KR930006089B1 (ko) 연긴가연기로부터의 패키지 반송방법
US5301497A (en) Device for conveying full and empty bobbins between multi-position textile machines
US4690342A (en) Textile machine for producing cross-wound bobbins
EP0276569B1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porting articles
US6769854B2 (en) Arrangement for exchange of empty bobbins with full bobbins in a bobbin creel
US3946547A (en) Device for manipulating textile cops
JPS6117743B2 (ko)
EP0392482B1 (en) Package conveying system
CN1048767C (zh) 带有粗纱筒管传送装置的精纺机
JP2906735B2 (ja) 粗紡機における玉揚装置
US4561243A (en) Spinning or twisting machine having devices for the simultaneous automatic removal of all cops
KR0139236B1 (ko) 조방기에서의 관 교체 방법 및 관 교체 장치(Method and apparatus of doffing and donning bobbins in a roving machine)
JP2897559B2 (ja) パッケージ搬送システム
JP2897560B2 (ja) 台車へのパッケージ移載装置
JP2897561B2 (ja) パッケージ搬送システム
JPS61119730A (ja) 粗紡機における管替方法及びその装置
JPH1121020A (ja) 粗糸ボビン搬送方法及び粗糸ボビン搬送システム
JPH08144138A (ja) ボビン搬送体のボビン交換方法、ボビン交換装置及びボビン交換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