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9236B1 - 조방기에서의 관 교체 방법 및 관 교체 장치(Method and apparatus of doffing and donning bobbins in a roving machine) - Google Patents

조방기에서의 관 교체 방법 및 관 교체 장치(Method and apparatus of doffing and donning bobbins in a roving machine)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9236B1
KR0139236B1 KR1019950034027A KR19950034027A KR0139236B1 KR 0139236 B1 KR0139236 B1 KR 0139236B1 KR 1019950034027 A KR1019950034027 A KR 1019950034027A KR 19950034027 A KR19950034027 A KR 19950034027A KR 0139236 B1 KR0139236 B1 KR 01392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support
spinning machine
wheel
p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4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4438A (ko
Inventor
유키오 사이토
겐고 오하시
다카유키 모리다
다이지 가사하라
Original Assignee
이소가이 찌세이
도요다 지도숏키 세사쿠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소가이 찌세이, 도요다 지도숏키 세사쿠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소가이 찌세이
Publication of KR960014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44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9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92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9/00Arrangements for replacing or removing bobbins, cores, receptacles, or completed packages at paying-out or take-up stations ; Combination of spinning-winding machine
    • D01H9/02Arrangements for replacing or removing bobbins, cores, receptacles, or completed packages at paying-out or take-up stations ; Combination of spinning-winding machine for removing completed take-up packages and replacing by bobbins, cores, or receptacles at take-up stations; Transferring material between adjacent full and empty take-up elements
    • D01H9/04Doffing arrangements integral with spinning or twisting machines
    • D01H9/046Doffing arrangements integral with spinning or twisting machines for flyer type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9/00Arrangements for replacing or removing bobbins, cores, receptacles, or completed packages at paying-out or take-up stations ; Combination of spinning-winding machine
    • D01H9/02Arrangements for replacing or removing bobbins, cores, receptacles, or completed packages at paying-out or take-up stations ; Combination of spinning-winding machine for removing completed take-up packages and replacing by bobbins, cores, or receptacles at take-up stations; Transferring material between adjacent full and empty take-up elements
    • D01H9/08Doffing arrangements independent of spinning or twisting machines
    • D01H9/10Doffing carriages ; Loading carriages with co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pinning Or Twisting Of Yarns (AREA)
  • Replacing, Conveying, And Pick-Finding F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조방기의 운전시에는 항상 조방기의 앞쪽에서 작업자에 의한 작업을 가능하게 하고, 채워진 보빈 및 빈 보빈의 운송용으로 독립된 레일을 설지할 필요가 없다.
조방기(2)의 앞쪽에 보빈 휘일의 2배수의 페그(49)가 보빈 휘일(4)의 1/2 피치로서 2열로 배치된 발판(35)이 설치되어 있다. 페그(49)는 커버판(41)의 윗면의 작용위치와, 윗면에서부터 후퇴한 후퇴위치에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또 조방기(2)의 길이방향으로 페그의 1 피치 만큼 왕복운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관 교체 기구(13)는 보빈 레일(3)의 후방에 배치되고, 조방기(2)의 앞쪽 윗편에는 지지레일(5, 6)이 승강장치(7)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지지레일(5, 6)에는 조방기 1대분의 빈 보빈(E)을 매단 보빈 운송체(10)가 지지되어 있다. 관 교체 작업시에는 페그(49)가 작용위치에 배치되고, 발판(35)상의 페그(49)를 거쳐서 채워진 보빈(F) 및 빈 보빈(E)이 보빈 운송체(10)와 보빈 레일(3) 사이에서 교환된다.

Description

조방기에서의 관 교체방법 및 관 교체장치
본 발명은 상부지지식의 플라이어(flyer)를 장착한 조방기에서 윗편에 대기하는 보빈 운송체에 매달린 빈보빈과 조방기의 채워진 보빈을 교환하는 조방기에서의 교체방법 및 교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최근에, 조방기에서는 생산성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서, 고속화 및 라지 패키지화(large package)의 경향이 현저하다. 따라서, 채워진 보빈을 보인레일에서 회수하는 도핑(doffing)작업과, 빈 보빈을 보빈 휘일에 삽입하는 작업은 작업자로서는 상당히 중노동(특히 도핑작업)이 될 뿐만 아니라, 작업에 요하는 시간이 길어지게 되어서 조방기의 가동 효율을 저하시키게 된다. 이 때문에 도핑작업 및 그 후 빈 보빈의 공급도 포함한 관 교체작업의 자동화에 대하여 여러 종류의 제안을 하고 있다.
종래, 이런 종류의 도핑작업, 관 교체작업으로서 조빙기의 전방에 베이스 전장에 걸쳐서 후진 컨베이어를 배치하며 동시에 조방기의 보빈 피치와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시킨 관 교체 암과, 이 관 교체 암을 전후 및 승강 운동시키는 관 교체 암 전후 운동기기 및 관 교체 암 승강기구를 장비한 관 교체기를 배치하고, 관이 채워졌을 때 관 교체기의 작동에 의해 채워진 보빈을 조방기의 보빈 레일 위에서 페그 컨베이어(peg conveyor)로 도핑하고, 페그 컨베이어 상의 빈 보빈을 보빈레일에 적재하는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 공개 특허 소 57-106729호 공보). 그래서, 일본 공개 특허 소 57-106729호 공보에 공개된 장치로서는 관 교체기의 관 교체 베드 윗면을 커버로 덮고, 관 교체 암이 최하 하강위치로 배치되었을 때 커버가 페그 컨베이어를 덮어서 발판으로서 사용할 수 있게 되어있다.
이 장치에서 관 교체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관이 채워지기 전에 페그 컨베이어가 구동되며 동시에 그 일단부에서 빈 보빈이 차례대로 페그 상에 공급되고, 조방기의 각각 채원진 보빈과 대향하는 위치에 빈 보빈이 배치된다. 그래서 관이 채워짐으로써 조방기가 정지한 후, 관 교체 암 전후 운동기구 및 관 교체 암 승강기구의 작동에 의해 채원진 보빈이 보빈 레일상에서 페그 컨베이어 상으로 도핑되고, 페그 컨베이어 상의 빈 보빈이 보빈 레일상에 적재된다.
또한, 일본 공개 특허 소 58-119562호 공보에서는 제23도에 도시하는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이 장치는 조방기(101)의 윗편에 베이스의 길이 방향(도면에 대해 수직방향)과 직교하도록 레일(102)이 배치되고, 레일(102)을 따라서 이동 가능한 프레임(103)이 설치되어 있다. 프레임(103)에는 조방기(101)의 전장과 거의 동일한 길이의 운송레일(104, 105)이 베이스와 평행하게 연장하며 또 승강장치(106, 107)에 의해 각각 독립하여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운송레일(104, 104)에는 보빈 행거(108)가 조방기(101)의 보빈 피치로서 일렬로 설치된 캐리지(carriage)(도시안됨)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조방기(101)의 앞쪽에는 관 교체기(109)가 제 23 도에 도시한 대기 위치와, 이 위치에서 전진한 조방기(101)에 근접하는 작업 위치와의 사이를 이동할 수 있게 배치되어 있다.
그래서, 관 교체시에는 제 1 운송레일(104)이 대기위치의 관 교체기(109)의 관 교체 암(110)과 대항하는 위치로 프레임(103)을 이동, 배치시킨다. 이 상태에서 관 교체기(109)가 작업위치로 전진 이동하여 보빈레일(111) 상의 채워진 보빈(F)을 관 교체 암(110)에 매달아 놓은 후에 대기 위치까지 후퇴하며 동시에 관 교체 암(110)을 일렬로 배열한다.
다음에 승강장치(106)가 작동하여 제 1 운송레일(104)이 하강한다. 그래서 채워진 보빈(F)이 보빈 행거(108)에 매달린 후에 운송레일(104)이 상승하여 원래 위치로 복귀한다. 다음에 보빈 행거(108)에 빈 보빈(E)이 걸린 제 2 운송레일(105)이 관 교체 암(110)의 선단부와 대향하는 위치까지 프레임(103)을 이동시키며, 승강장치(107)가 작동하여 제 2 운송레일(105)을 하강시킨다. 그래서, 빈 보빈(E)을 관 교체 암(110)에서 주고 받은 후에 제 2 운송레일(105)이 상승하여 원래 위치로 복귀한다. 그 후 관 교체기(109)가 작업위치로 이동하고, 빈 보빈(E)을 보빈레일(111) 상으로 적재시킨 후 대기 위치에 복귀하여 교체작업을 완료한다.
일본 공개 특허 소 57-106729호 공보에 기재된 장치에서는, 관 교체헤드 윗면을 커버로 덮어 발판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어있다. 그런데, 조방기는 관을 채워 정지한 후, 채워진 보빈과 빈 보빈의 교체 작업이 종료하면 운전이 재개되고, 조방기의 운전이 재개되면 조사절단 보수작업을 필요로 하는 상태가 생긴다. 그래서, 도핑된 채워진 보빈의 운송 중에는 상기 커버는 그 아래쪽을 빈 보빈(E) 또는 채워진 보빈(F)이 통과할 수 있는 위치까지 즉, 조방기의 플라이어 프레서 윗쪽과 대응하는 위치까지 상승하여 있다. 따라서, 그 사이는 커버가 방해가 되어서 조방기의 재기동시 조사의 자동감기 실패의 회복작업이나 조사절단 보수작업을 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채워진 관게 접근할 빈 보빈을 보빈 휘일과 대응하는 위치로 반입할 때에는 커버가 상승위치로 유지되어서 동일한 문제가 생긴다. 그래서, 빈 보빈(E)의 반입 및 채워진 보빈(F)의 반출을 조방기의 정지중에 실행하면 빈보빈(E)의 반입 및 채워진 보빈(F)의 반출에 요구하는 시간은 관교체작업보다 매우 길기 때문에 조방기의 가동율을 저하시킨다.
한편, 일본 공개 특허 소 58-119562호 공보의 장치에서는, 관 교체작업시 이외에는 관 교체기(109)가 대기 위치로 배치되고, 조방기(101)와 관 교체기(109)와의 사이에는 작업통로가 확보된다. 그러나 관 교체기의 배치공간 외에 작업통로로서의 여분의 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채워진 보빈(F) 및 빈 보빈(E)의 운송을 위해 각각 독립한 운동레일(104, 105)을 설치할 필요가 있어서 장치가 대형화하고 또한 빈 보빈 운송용과 채워진 보빈 운송용으로 각각 캐리지가 필요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만들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조방기의 운전시에는 항상 조방기 베이스의 앞쪽에서 작업할 수 있는 상태로 되고, 베이스 재기동시 조사의 자동감기실패(miss)의 회복작업이나 조사절단 보수작업등을 지장없이 행할 수 있고, 더구나 채워진 보빈 및 빈 보빈의 운송용으로서 각각 독립된 운송레일을 설치할 필요가 없는 조방기의 관 교체방법 및 관 교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제 1 항에 기재한 발명에서는, 상부 지지식의 플라이어를 2열로 갈짓자 모양으로 장비한 조방기의 앞쪽에 조방기의 보빈 휘일의 2배수의 보빈 지지체가 보빈 휘일 피치의 1/2 피치로서 2열로 배치되며 동시에 조방기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적어도 보빈 휘일의 1/2 피치 만큼 왕복운동할 수 있게 설치되고, 이 보빈 지지체가 관 교체 작업시에 상부로 노출하는 발판을 만들고, 조방기의 윗편에서 조방기를 따라 배치한 레일상에 적어도 조방기 1대 만큼의 빈 보빈을 보빈 휘일 피치의 1/2 피치에서 매단 보빈 행거를 구비한 보빈 운송체를 대기시키며, 조방기의 보빈 휘일 피치의 1/2 피치에 배치한 관 교체 암을 조방기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전진 및 후퇴시키는 관 교체 기구의 작동에 의해 보빈 레일 상의 채워진 보빈을 상기 발판의 보빈 지지체 상에 갈짓자 모양으로 적재한 후 보빈 운송체를 하강시켜서 보빈 지지체 상에 빈 보빈을 적재하며 동시에 채워진 보빈을 보빈 운송체의 보빈 행거에 매단 후 보빈 운송체를 원래 위치까지 상승시키고, 빈 보빈의 적재된 2열의 보빈 지지체를 보빈 휘일과 대향하는 상태로 배치한 후 관 교체 기구의 작동에 의해 빈 보빈을 각 보빈 지지체에서 보빈 휘일로 장착하도록 하였다.
제 2 항에 기재한 발명에서는, 상부 지지식의 플라이어를 2열로 갈짓자 모양으로 장비한 조방기에 있어서, 조방기의 앞쪽에 배치되어서 조방기의 보빈 휘일의 2배수의 보빈지지체가 보빈 휘일 피치의 1/2 피치로서 2열로 배치되며 동시에 이 보빈 지지체가 관 교체작업시에 노출되어서 동시에 조방기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적어도 보빈 휘일의 1/2 피치 만큼 왕복운동 및 승강운동을 할 수 있게 설치된 발판과, 보빈을 유지 가능한 후퇴 위치와 보빈 레일상의 보빈 휘일과 대응하는 제 1 작용 위치와 상기 발판의 보빈 지지체에 대응하는 제 2 작용위치에로 이동할 수 있게 배치된 관 교체 암을 구비하며, 동시에 상기 관 교체 암을 후퇴위치와 각 작용위치로 이동시키는 구동수단을 구비한 관 교체 기구와, 조방기의 앞쪽 윗편에 설치되어 적어도 조방기 1대 만큼의 보빈 휘일과 동일한 갯수의 보빈 행거를 보빈 휘일의 피치의 1/2 피치에 배치된 보빈 운송체를 지지하며, 동시에 보빈 행거가 상기 발판의 보빈 지지체 상에 장착된 채워진 보빈을 매달 수 있는 하강위치와 보빈 운송체를 정방공정 등으로 인도하는 운송레일과 접속가능한 상승 위치에로 승강 수단에 의해 승강 운동시키는 지지레일을 구비하였다.
또한, 제 3 항에 기재한 발명에서는, 제 2 항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관 교체 기구는 플라이어의 후방 하부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 4 항에 기재한 발명에서는, 제 2 항 또는 제 3 항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빈 운송체는 적어도 조방기 1대 만큼의 보빈 휘일의 2배수의 보빈 행거가 2열로서 또 각열의 보빈 행거가 보빈 휘일의 1/2 피치로서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 5 항에 기재한 발명에서는,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발판은 승강수단에 의해 승강 운동되는 프레임을 구비하고, 프레임의 상부에 발판부가 고정되고, 발판부의 양쪽에 그 길이 방향을 따라서 연장하는 상태에서 회전축이 프레임에 지지되고, 회전축에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지지부재에 상기 보빈 지지체가 고정되고,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보빈 지지체가 발판부의 윗면에 대응하는 보빈 유지 위치와 발판부보다 아랫편의 후퇴위치에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제 1 도는 제 1 실시예의 개략측면도.
제 2 도는 프레임이 하강위치에 배치된 발판의 개략측면도.
제 3 도는 발판의 구동부를 도시하는 일부 생략한 부분평면도.
제 4 도는 프레임이 상승위치에 배치된 발판의 개략측면도.
제 5 도는 위치결정장치를 도시하는 발판의 개략적인 부분평면도.
제 6 도는 위치결정장치를 도시하는 발판의 개략적인 부분정면도.
제 7 도는 청소부재의 부착상태를 도시하는 부분단면도.
제 8 도는 발판의 부분단면도.
제 9 도는 발판의 구동부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측면도.
제 10 도는 발판의 구동부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측면도.
제 11 도는 관 교체 기구의 부분평면도.
제 12 도는 관 교체 기구의 일부를 판단한 부분평면도.
제 13 도는 관 교체 기구의 측단면도.
제 14a 도 내지 14d 도는 관 교체 작용을 설명하는 개략적인 측면도.
제 15a 도 내지 15d 도는 관 교체 작용을 설명하는 개략적인 측면도.
제 16a 도 내지 16d 도는 관 교체 작용을 설명하는 개략적인 측면도.
제 17a 도 내지 17d 도는 관 교체시의 발판과 보빈 운송체의 관계를 도시하는 모식도.
제 18a 도 내지 18d 도는 관 교체시의 발판과 보빈 운송체의 관계를 도시하는 모식도.
제 19a 도 내지 19d 도는 관 교체시의 발판과 보빈 운송체의 관계를 도시하는 모식도.
제 20a 도 내지 20d 도는 제 2 실시예로서 관 교체시의 발판의 보빈운송체의 관계를 도시하는 모식도.
제 21a 도 내지 21c 도는 동일하게 관 교체시의 발판과 보빈 운송체의 관계를 도시하는 모식도.
제 22a 도 내지 22c 도는 동일하게 관 교체시의 발판과 보빈 운송체의 관계를 도시하는 모식도.
제 23 도는 종래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플라이어2 : 조방기
4 : 보빈 휘일5, 6 : 지지레일
7 : 승강장치10 : 보빈 운송체
13 : 관 교체 기구35 : 발판
49 : 페그
제 1 항에 기재한 발명에 의해, 조방기의 윗편에 조방기를 따라 배치된 레일 상에 관 교체 작업의 개시 전에 적어도 조방기 1대 만큼의 빈 보빈을 보빈 휘일 피치의 1/2 피치에서 매단 보빈 행거를 구비한 보빈 운송체가 대기한다. 그래서, 그 상태에서 관 교체 기구가 작동되고, 보빈 레일 상의 채워진 보빈이 관 교체 암에 매달려서 보빈 휘일에서부터 발판의 보빈 지지체 상으로 갈짓자 모양으로 적재된다. 또, 보빈 지지체 상의 채워진 보빈이 보빈 운송체의 보빈 행거에 매달리 후 보빈 운송체가 원래 위치까지 상승된다. 그래서 빈 보빈이 적재된 2열의 보빈 지지체가 보빈 휘일과 대향하는 상태에 배치된 후 관 교체 기구의 작동에 의해 빈 보빈이 각 보빈 지지체 상에서 보빈 휘일로 장착된다.
제 2 항에 기재한 발명에 의해, 채워진 관의 정지시에 관 교체 암이 후퇴 위치에서 보빈 레일 상의 보빈을 도핑하는 제 1 작용위치에 배치되고, 이 위치에서 보빈 레일 상의 채워진 보빈을 유지한 후 발판의 보빈 지지체에 대응하는 제 2 작용위치로 이동하여 배치된다. 그래서, 도핑된 채워진 보빈이 당해 위치에서 보빈 지지체 상으로 적재된다. 다음에 보빈 운송체를 지지하는 지지레일이 승강수단의 작동에 의해 하강된다. 보빈 운송체에는 적어도 조방기 1대 만큼의 보빈 휘일과 동일한 갯수의 보빈 행거가 보빈 휘일의 피치의 1/2 피치에서 갈짓자 모양으로 배치되어 있다. 지지레일의 하강에 의해 보빈 운송체에 매달린 빈 보빈이 채워진 보빈(F)이 장착된 보빈 지지체에 인접한 보빈 지지체상에 적재된다. 보빈 운송체는 채워진 보비을 매단후 상승 위치까지 이동된다. 또, 빈 보빈이 장착된 보빈 지지체가 보빈 휘일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된 후 관 교체 기구가 작동되어서 빈 보빈이 보빈 휘일에 장착된다.
제 3 항에 기재한 발명에 의해, 조방기의 운전 중에는 관 교체 암을 플라이어의 후방 하부의 후퇴위치로 배치되어 있다. 그 외의 작용은 제 2 항에 기재한 발명과 동일하다.
또, 제 4 항에 기재한 발명에 의해, 보빈 운송체에 적어도 조방기 1대 만큼의 빈 보빈이 보빈 휘일의 1/2 피치에서 갈짓자 모양으로 매달리고, 보빈이 매달리지 않은 보빈 행거가 동일하게 갈짓자 모양으로 매달린 상태에서 지지레일 상에서 대기한다. 그래서 보빈 운송체가 하강하여 빈 보빈을 발판상의 보빈 지지체로 적재하였을 때에 보빈 지지체의 채워진 보빈이 빈 보빈 행거에 장착된다. 그 상태에서 보빈 운송체는 원래 위치까지 상승된다. 그외의 작용은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기재한 발명과 동일하다.
제 5 항에 기재한 발명에 의해, 발판부가 승강 수단에 의해 프레임과 동시에 승강운동된다. 관 교체 작업에 앞서 회전축이 회전되어서 지지부재와 함께 보빈 지지체가 회전되고, 보빈 지지체는 발판부의 윗면에 대응하는 보빈 유지 위치로 이동하여 배치된다. 그래서, 관 교체 작업후에, 보빈 지지체는 발판부보다 윗편의 후퇴 위치로 배치된다. 따라서, 실을 뽑는 운전중에는 보빈 지지체는 발판부보다 아랫편의 후퇴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작업자가 발판부를 타고 작업을 수행하는 것에서 지지체는 지장이 되지 않는다. 그외의 작용은 제 2 항 내지 제 4 항에 기재한 발명과 동일하다.
(실시예 1)
이하, 본 발명을 구체화한 제 1 실시예를 제 1 도 내지 제 19 도를 따라서 설명한다. 상부 지지식의 플라이어 (1)를 장비한 조방기(2)의 보빈 레일(3)에는 보빈 휘일(4) (제 14 도 내지 제 16 도에 도시)이 전후 2열로 갈짓자 모양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 1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조방기(2)의 앞부 윗편에는 2개의 지지레일(5, 6)이 조방기(2)의 길이 방향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지지레일(5, 6)은 승강수단인 승강장치(7)에 의해 풀리거나 또는 감기는 현수벨트(7a)에 매달린 지지프레임(8)에 고정되어 있다. 지지프레임(8)은 양쪽에는 결합구멍(8a)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레일(5, 6)은 상기 현수벨트(7a)의 풀림 및 감김에 의해 후술하는 발판의 페그와의 사이에 빈 보빈 및 채워진 보빈(F)의 주고 받기를 행하는 하강위치와 보빈 운송체(10)를 정방공정으로 인도하는 운송레일(도시안됨)과 접속 가능한 상승위치에로 승강운동되도록 되어 있다.
지지레일(5, 6)에는 보빈 행거(9)를 갖춘 보빈 운송체(10)가 각각 주행이 자유롭게 장비되어 있다. 보빈 운송체(10)는 아랫면에 복수개의 보빈 행거(9)가 보빈 휘일(4)의 피치(P)의 간격으로 매달려 있으며 동시에 외측면에 롤러(11)가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지지체(12)를 링크(도시안됨)로서 연결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각 보빈 운송체(10)에는 조방기 1대 만큼의 보빈 휘일 (4)의 반만큼의 갯수의 보빈 행거(9)가 매달려 있다. 그래서, 지지레일(5, 6)내에 각 보빈 운송체(10)가 서로 1/2 피치(P/2) 만큼 어긋난 상태로서 도입되고, 양 지지레일(5, 6)내의 보빈 운송체(10)의 각 보빈 행거(9)에 매달린 빈 보빈(E) 전체가 보빈 휘일(4)에 대응한 간격에서 갈짓자 모양으로 배치되도록 되어있다.
조방기(2)에는 플라이어(1)의 후방 하부에 관 교체기구(13)가 배치되어 있다. 관 교체 기구(13)는 본 출원인이 이미 제안한 관 교체 장치(일본 공개 특허 평 4-352824호 공보)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것이다. 도핑바(14)가 베이스 전장에 걸쳐서 연장되어 있으며 동시에 스코트 라셀(scott raschel) 직선운동 기구를 이용하여 전후(제 1 도의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즉, 제 1 도 및 제 13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에 고정된 복수의 지지 브라켓(15)에 상하 한쌍의 샤프트(16, 17)가 도핑바(14)와 평행하게 베이스 길이 방향을 따라서 미끄럼 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 11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샤프트(16, 17)에는 소정간격으로 가동 브라켓(18)이 샤프트(16, 17)와 일체로 이동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도핑바(14)가 지지 브라켓(15) 및 가동 브라켓(18)을 거쳐서 샤프트(16, 17)에 연결된 링크기구(19)에 연결되어 있다. 그래서, 샤프트(16)가 파워 유닛(도시안됨)에 의해 왕복운동함으로써 도핑바(14)가 제 11 도에 실선으로 도시하는 대기위치와 쇄선으로 도시하는 작용위치에로 이동되도록 되어있다.
제 12 도 및 13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핑바(14)의 상부에는 조방기(2)를 구성하는 스프링 부재 사이마다 각각 한쌍의 자형 레일(20)이 도핑바(14)와 직각으로 베이스 후방을 향하여 연장하는 상태에서 그 한 단부에서 부착되어 있다. 양쪽 자형 레일(2)은 그 앞쪽 가까이 및 후단부에서 연결 바(21, 22)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양쪽 연결바(21, 22)사이에는 볼나사기구(23)을 구성하는 나사봉(24)이 수평상태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핑바(14)의 상부에는 회전축(25)이 도핑바(14)와 평행하게 베이스 전장에 걸쳐서 연장하도록 지지되고, 회전축(25)에는 나사봉(24)의 선단부에 끼워 부착된 베벨기어(26)와 맞물리는 베벨기어(27)가 끼워져 있다. 회전축(25)은 도핑바(14)에 부착된 기어드 모터(geared motor)(28)에 의해 벨트 전동기구(29)를 거쳐서 정회전 및 역회전되고, 그 회전에 따라 나사봉(24)이 정회전 및 역회전 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양쪽 ] 자형 레일(20) 윗편에는 관교체암으로서의 포크(30a, 30b)를 지지하는 지지판(31)이 수평으로 배치되고, 그 하면 양단부에는 ] 자형 레일(2)과 결합하는 한쌍의 롤로(30)가 부착된 지지브라켓(33)이 각각 고정되어 있다. 포크(30a, 30b)는 지지판(31)의 앞쪽에 플라이어 피치에 대응하여 즉, 보빈 휘일 피치에 대응하여 복수개(이 실시예에서는 10개) 고정되어 있다. 각 포크(30a, 30b)의 윗면 내측에는 빈 보빈(E) 또는 채워진 보빈(F)의 플랜지부가 결합되는 요부(도시 안됨)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판(31)의 거의 중앙부에는 나사봉(24)과 함께 볼 나사기구(23)를 구성하는 볼 너트(34)가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기어드 모터(28)의 정회전 및 역회전에 의하여 각 포크(30a, 30b)가 지지판(31)과 함께 전진, 후퇴하도록 되어 있다. 링크기구(19) 및 볼 나사기구(23)에 의해 구동수단이 구성된다.
조방기(2)의 앞쪽의 기부면에는 발판(35)이 조방기(2)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베이스의 전 길이에 걸쳐서 연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 2 도, 제 3 도 및 제 4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판(35)의 중앙부에는 2개의 구동축(36a, 36b)이 발판(35)의 거의 전길이에 걸쳐서 연장하며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양 구동축(36a, 36b)에는 복수 장소에 서로 맞물리는 기어(37a, 37b)가 고정 간격을 두고 구동축(36a, 36b)과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발판(35)의 베이스 판(38)에는 그 길이 방향으로 따라서 고정간격으로 한쌍의 지주(39)가 세워지고, 복수의 문모양의 지지케이스(40)가 지주(39)를 따라서 승강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지지케이스(40)는 그 상부에 고정된 발판부로서의 커버판(41)과, 도시하지 않은 연결부재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서 프레임(42)를 구성하고 있다. 지지케이스(40)에는 기어(37a, 37b)에 대응하는 위치에 기어(37a, 37b)와 맞물리는 각 한쌍의 래크(43)가 고정되어 있다.
제 3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판(38)의 제 1 단부에는 승강용 모터(M1)가 배치되고, 그 구동축에 구동기어(44)가 끼워져 있다. 제 3 도 및 제 10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기어(44)가 구동축(36a)의 제 1 단부에 끼워진 기어(45)와 맞물려 있다. 그래서, 승강용 모터(M1)의 정회전 및 역회전 구동에 의해 양 구동축(36a, 36b)이 정회전 및 역회전되고, 구동축(36a, 36b)의 정회전 및 역회전에 대응하여 프레임(42)전체가 승강하도록 되어 있다. 승강용 모터(M1), 구동축(36a, 36b), 기어(37a, 37b), 래크(43)등에 의해 승강수단이 구성된다.
제 2 도 및 3 도에 도시한 바오 같이, 프레임(42)의 상부 좌우 양쪽에는 지지브라켓(46)이 돌출되고, 지지브라켓(46)에 한쌍의 회전축(47a, 47b)이 프레임(42)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미끄럼운동 및 회전이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회전축(47a, 47b)에는 지지부재로서의 지지바(48)가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각 지지바(48)에는 보빈 지지체로서의 페그(49)가 보빈 휘일(4)의 1/2피치(P/2)로서 조방기(2)의 1대분의 수 만큼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돌출되어 있다. 즉, 양지지바(48)의 페그(49)의 총수는 조방기(2)의 방추의 갯수의 2배로 되어 있다.
제 3 도 및 7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42)의 제 1 단부 가까이에는 지지판(50)이 구동축(36a, 36b) 보다 윗편에서 수평으로 또 프레임(42)과 일체로 승강운동이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지지판(50) 위에는 회전용모터(M2)가 고정되며 동시에 한 쌍의 중간축(51a, 52b)이 회전축(47a, 47b)과 평행하게 브라켓(52a, 52b)을 거쳐서 배치되어 있다. 양 중간축(51a, 52b)의 제 1 단부에는 풀리(53a, 53b)가, 제 2 단부에는 기어(54a, 54b)가 각각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양 기어(54a, 54b)는 서로 맞물리며 동시에 기어(54b)는 회전용 모터(M2)의 구동축에 끼워진 구동기어(55)와 맞물려 있다. 양 회전축(47a, 47b)에는 풀리(53a, 53b)와 대응하는 위치에 풀리(56a, 56b)가 일체로 회전가능하고 또 축방향으로 상대이동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제 3 도 및 제 9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풀리(53a)와 풀리(56a) 사이 및 풀리(53b)와 풀리(56b) 사이에는 각각 텐션롤러(tension roller)(57a, 57b)가 브라켓(52a)에서 돌출한 지지축에 지지된 상태로서 배치되어 있다. 풀리(53a) 및 풀리(56a) 사이에 벨트(58a)가 걸리고 풀리(53b) 및 풀리(56b) 사이에 벨트(58b)가 걸린다. 그래서 회전용 모터(M2)의 정회전 및 역회전 구동에 의해 양 회전축(47a, 47b)이 서로 역방향으로 구동되고, 페그(49)가 지지바(48)가 함께 제 2 도에 실선으로 도시하는 작용위치와, 제 2 도에 쇄선으로 도시하는 후퇴위치에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작용위치에서는 페그(49)는 그 밑바닥이 커버판(41)의 윗면과 접하는 상태에서 유지되고, 후퇴위치에서는 페크(49)가 회전축(47a, 47b)의 아랫편에 위치한다.
지지판(50) 상에는 볼 나사 기구(59)의 나사축(60)이 브라켓(52a, 61)을 거쳐서 회전 가능하게 회전축(47a, 47b)과 평행하게 지지되어 있다. 회전축(47a, 47b) 사이에는 볼트(62)를 지지하는 지지바(63)가 회전축(47a, 47b)과 일체로 이동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회전축(47a 47b)의 제 제 1 단부는 베이스 판(38)에 고정된 브라켓(64)의 상부에 미끄럼 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지지판(50) 상에는 왕복운동용 모터(M3)가 고정되고, 왕복운동용 모터(M3)의 구동축에 고정된 풀리(65)와, 나사축(60)의 제 1 단부에 고정된 풀리(66)와의 사이에 벨트(67)가 감겨서 걸려 있다. 그래서, 왕복운동용 모터(M3)의 정회전 및 역회전 구동ㅇ 의해 볼 나사 기구(59)가 구동되고, 지지바(63)가 나사축(60)을 따라서 페그(49)의 피치(P/2)의 범위에서 회전축(47a, 47b)과 일체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제 3 도 및 제 7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판(41)의 제 1 단부에는 회전축(47a)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기다란 구멍(68)이 형성되고, 커버판(41)의 아랫편에는 기다란 구멍(68)에 대응하는 위치에 피동풀리(69)가 브라켓(70)을 거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 8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판(41)의 제 2 단부에는 회전축(47a)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기다란 구멍(71)이 형성되고, 커버판(41)의 아랫편에는 기다란 구멍(71)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동풀리(72)가 브라켓(73)을 거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구동풀리(72)의 아랫편에는 모터(74)가 배치되고, 모터(74)의 구동축(75)과 구동풀리(72)의 회전축(76) 사이에 벨트전동기구(77)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풀리(72)와 피동풀리(69) 사이에는 벨트(78)가 감겨져 있다. 벨트(78)는 그 윗쪽 주행부가 커버판(41)의 윗면을 미끄럼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 제 3 도 및 7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벨트(78)의 커버판(41)에 대응하는 쪽에 청소 부재(79)가 커버판(41)에 접하는 상태에서 고정되어 있다. 청소 부재(79)에는 펠트가 사용되고 있다. 청소부채(79)는 항상 제 3 도에 도시하는 커버판(41)의 제 1 단부에 위치하고, 모터(74)의 정회전 구동에 의해 제 2 단부쪽으로 이동되고, 모터(74)의 역회전 구동에 의해 제 1 단부쪽으로 이동되도록 되어 있다. 커버판(41)의 양 단부에는 청소부재(79)를 검출하는 센서(도시 안됨)가 각각 배치되고, 센서의 검출신호에 의해 모터(74)가 정지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지지프레임(8)이 하강위치에 배치될 대 위치결정장치(80)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2 도, 3 도 및 10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42)의 길이방향의 양쪽 외면에는 한쌍의 회전축(81a, 81b)이 회전축(47a, 47b)과 평행하게 또 승강운동이 불가능하게 배치되고, 회전축(81b)의 제 1 단부에 풀리(82)가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양 회전축(81a, 81b)의 제 1 단부 가까이에는 풀리(83a, 83b)가 각각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양 풀리(83a, 83b)사이에 벨트(84)가 감기어 있고, 양 회전축(81a, 81b)이 동기하여 회전가능하게 되어있다. 베이스 판(38)의 제 1 단부에는 안내용 모터(M4)가 고정되고, 그 구동축에 끼워진 풀리(85)와 풀리(82)와의 사이에 벨트(86)가 감기어 있다.
제 5 도, 제 6 도 및 제 10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 회전축(81a, 81b)에는 소정간격을 가진 복수의 장소에 웜(worm)(87)이 각각 대향하는 상태에서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각 웜(87)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축(88)이 회전축(81a, 81b)의 윗쪽에서 직교하는 상태로서 브라켓(89)을 거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축(88)에는 웜(87)과 맞물리는 웜 휘일(90)과, 가이드 로드(91)의 기부단이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가이드 로드(91)의 선단부에는 지지프레임(8)에 형성된 결합구멍(8a)의 직경보다 외경이 큰 걸림링(92)이 나사(도시되지 않음)로서 고정되어 있다. 각 가이드 로드(91)와 회전축(81a, 81b)은 제 1 단부가 연결링(93)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동시에 제 2 단부가 회전축(81a, 81b)에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지지된 연결부재(94)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링크판(95)을 거쳐서 연결되어 있다. 그래서, 안내용 모터(M4)의 정회전 및 역회전 구동에 대응하는 양 회전축(81a, 81b)의 회전에 의해 가이드 로드(91)는 제 5 도 및 제 6 도에 실선으로 도시하는 수평으로 연장한 후퇴위치와, 제 1 도 및 6 도에 쇄선으로 도시하는 안내위치에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승강장치(7), 관 교체 기구(13) 및 각 모터(M1 - M4, 74)는 도시되지 않은 제어장치에 의해 구동 제어된다. 그래서 각 모터(M1 - M4)의 정지시기는 도시되지 않은 센서로부터의 검출신호를 기초로 하여 결정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조방기(2)의 운전 중, 발판(35)은 제 1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42)이 상승위치에 배치되고, 페그(49)가 후퇴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유지된다. 또, 청소부재(79)는 커버판(41)의 제 1 단부로 부터의 후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즉, 발판(35)은 작업자가 커버판(41)상을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상태에 있고, 작업자는 커버판(41)위에 올라타고 조사절단의 회복 등의 작업을 지장없이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조방기(2)의 운전 중, 도핑바(14)가 대기 위치에, 지지판(31)이 후퇴위치에 각각 배치되고, 제 1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 교체 기구(13)는 조사의 감기에 지장이 없는 상태로 유지된다. 그래서, 조방기(2)의 운전중에 지지레일(5, 6)에 빈 보빈(E)이 매달린 보빈운송체(10)가 반입되고, 각 빈 보빈(E)이 작용위치에 배치되었을 때 페그(49)에 대향하는 소정위치에 보빈 운송체(10)가 배치된다.
조사가 감겨서 관에 채워지면 조사의 뽑기 및 감기가 정지되고, 채워진 보빈(F)의 플랜지부가 포크(30a, 30b)의 윗면 보다 약간 윗쪽의 위치까지 보빈 레일(3)이 하강하여 조사의 자동 절단이 행해진다. 한편, 승강용 모터(M1)가 역회전 구동되어서 프레임(42)이 하강위치에 배치된다. 조방기(2)의 감기가 정지되면, 모터(74)가 정회전 구동되어서 청소부재(79)가 커버판(41)의 제 1 단부쪽에서부터 제 2 단부까지 이동되고, 제 2 단부에서 정지한다. 청소부재(79)는 커버판(41)의 윗면에 접한 상태에서 이동하기 때문에, 커버판(41)의 윗면에 퇴적한 실등이 청소부재(79)의 이동과 함께 커버판(41)의 제 2 단부로 쓸리게 된다. 그래서, 도시되지 않은 흡인 장치에 의해 제거된다.
다음에, 기어드 모터(28)가 정회전 구동되어서 나사봉(24)이 정회전되고, 지지판(31)과 함께 포크(30a,30b)가 전진한다. 포크(30a,30b)가 소정의 전진위치까지 이동하였을 때 센서(도시되지 않음)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의해 기어드 모터(28)가 정지하여 각 포크(30a,30b)가 각 채워진 보빈(F)의 플랜지와 대응하는 제 1 작용 위치에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 보빈 레일(3)이 더 하강하여 가장 낮은 하강 위치에 배치되고, 채워진 보빈(F)이 포크(30a,30b)에 매달려서 보빈 레일(4)로 부터 이탈한 제 14a 도의 상태로 된다.
한편, 회전용 모터(M2)가 정회전 구동되어서 양 회전축(47a,47b)과 함께 지지바(48)가 회전되어서 페그(49)가 작용 위치로 배치되고, 제 14a 도에 도시한 상태로 된다. 커버판(41)상에 다량의 실이 퇴적한 상태에서 페그(49)가 작용 위치에 배치되면, 페그(49)와 커버판(41)의 윗면과의 사이에 존재하는 실의 영향으로 수직 상태로 되지 않고, 채워진 보빈(F) 및 빈 보빈(E)의 삽입에 지장을 초래하는 경우가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페그(49)가 작용 위치에 배치되기 전에 커버판(41)의 윗면이 청소되기 때문에, 페그(49)는 확실히 수직 상태에서 작용 위치에 배치되고, 채워진 보빈(F) 및 빈 보빈(E)의 삽입에 지장을 줄 염려가 없다. 이때 지지바(48)는 제 1 단부의 페그(49)가 보빈 레일(3)의 제 1 단부의 보빈 휘일(4)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제 17a 도에 기준선 L로서 도시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다음에 파워 유닛이 구동되어서 샤프트(16,17)가 전진 이동되고, 도핑바(14)가 전진한다. 도핑바(14)가 소정의 전진 위치까지 이동하였을 때 센서로 부터의 검출 신호에 의해 파워 유닛의 구동이 정지된다. 그래서, 채워진 보빈(F)을 매단 각 포크(30a,30b)가 발판(35)의 페그(49)에 대응하는 제 2 작용 위치에 배치되어서 제 14b 도, 제 17b 도의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 승강용 모터(M1)가 정회전 구동되어서 프레임(42)과 함께 페그(49)가 상승되고, 포크(30a,30b)에 매달린 채워진 보빈(F)에 페그(49)가 삽입된 제 14c 도, 제 17c 도의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는 각 포크(30a,30b)가 채워진 보빈(F)의 플랜지부로부터 이탈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다음에 기어드 모터(28)가 역회전 구동되어서 나사봉(24)이 역회전 되고, 지지판(31)과 함께 포크(30a,30b)가 후퇴한다. 포크(30a,30b)가 소정의 후퇴 위치까지 이동하였을때 센서의 검출 신호에 의해 기어드 모터(28)가 정지하고, 포크(30a,30b)가 대기 위치에 배치된다. 한편, 안내용 모터(M4)가 정회전 구동되어서 양 회전축(81a,81b)이 회전되고, 웜(87) 및 웜 휘일(90)을 거쳐서 가이드 로드(91)가 후퇴 위치에서 윗편으로 회전되어서 수직으로 연장하는 가이드 위치에 배치되고, 제 14d 도 제 17d 도의 상태로 된다.
그 다음에 왕복운동용 모터(M3)가 구동되어서 나사축(60)이 정회전 구동되고, 회전축(47a,47b)이 지지바(63)와 함께 프레임(42)의 제 1 단부쪽으로 페그(49)의 1 피치(P/2) 만큼 이동되고, 채워진 보빈(F)이 삽입되지 않은 페그(49)가 보빈 휘일(4)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그후 승강 장치(7)가 작동되어서 지지프레임(8)이 하강된다. 지지프레임(8)은 빈 보빈(E)이 페그(49)에 장착되는 하강 위치로 이동하는 도중에 결합구멍(8a)이 가이드 로드(91)와 결합하고, 지지프레임(8)은 그 밑면이 걸림링(92)과 결합한 소정 위치에서 정지한다. 따라서, 보빈 운송체(10)에 매달린 빈 보빈(E)이 확실히 페그(49)에 삽입되어서 제 15a 도, 제 18a 도의 상태로 된다.
다음에 승강용 모터(M1)가 역회전 구동되어서 페그(49)를 하강시키고, 보빈 행거(9)와 빈 보빈(E)과의 결합이 해제되어서 채워진 보빈(F) 및 빈 보빈(E)이 페그(49)에 삽입된 제 15b 도, 제 18b 도의 상태로 된다. 또, 보빈 운송체(10)의 보빈 행거(9)로부터 빈 보빈(E)의 이탈 실패가 발생한 경우에는, 지지프레임(8)에 설치된 센서(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검출된다. 그래서, 작업자에 의해 빈 보빈(E)이 벗겨져서 페그(49)에 장착된다.
그 다음에 왕복 운동용 모터(M3)가 역회전 구동되어서 회전축(47a,47b)이 지지바(63)와 함께 보빈 휘일(4)의 1/2 피치(P/2) 만큼 프레임(42)의 제 2 단부쪽으로 이동되고, 채워진 보빈(F)이 보빈 행거(9)에 대응하는 제 18c 도의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 승강용 모터(M1)가 정회전 구동되어서 페그(49)를 상승시키고, 보빈 행거(9)에 채워진 보빈(F)이 장착되어서 제 15c 도, 제 18d 도의 상태로 된다. 다음에 승강 장치(7)가 작동되어서 지지프레임(8)을 원래 위치로 상승시킨다. 이어서 안내용 모터(M4)가 역회전 구동되어 가이드 로드(91)를 후퇴 위치까지 회전시켜서 제 15d 도의 상태로 된다.
이어서 왕복 운동용 모토(M3)가 정회전 구동되어서 회전축(47a,47b)이 지지바(63)와 함께 보빈 휘일(4)의 1/2 피치(P/2) 만큼 프레임(42)의 제 1 단부쪽으로 이동되고, 빈 보빈(E)이 포크(30a,30b)에 대응하는 제 19a 도의 상태로 된다. 다음에 기어드 모터(28)가 다시 정회전 구동되어서 포크(30a,30b)를 전진시키고, 빈 보빈(E)의 플랜지부 아랫편까지 이동한 시점에서 정지하여 제 16a 도, 제 19b 도의 상태로 된다.
그 상태에서 승강용 모터(M1)가 역회전 구동되어서 프레임(42)과 함께 페그(49)를 하강시키고, 페그(49)와 빈 보빈(E)과의 결합이 해제되어서, 빈 보빈(E)이 포크(30a,30b)에 매달린 제 16b 도, 제 19c 도의 상태로 된다.
이어서 파워 유닛이 구동되어서 샤프트(16,17)를 복귀시키고, 도핑바(14)가 후퇴한다. 도핑바(14)가 소정의 대기위치까지 이동한 시점에서 센서의 검출신호에 의해 파워 유닛의 구동이 정지된다. 그래서, 빈 보빈(E)을 매단 각 포트(30a,30b)가 보빈 휘일(4)에 대응하는 작용 위치로 배치되고, 제 16c 도의 상태로 된다. 다음에 보빈 레일(3)이 상승되고, 보빈 휘일(4)이 빈 보빈(E)의 밑바닥에 결합된 후 빈 보빈(E)의 플랜지부가 포트(30a,30b)와 격리하는 위치까지 상승한 시점에서 보빈 레일(3)이 정지한다. 이어서 기어드 모터(28)가 역회전 구동되어서 포크(30a,30b)를 소정의 후퇴 위치까지 이동시켜서 제 16d 도의 상태로 된다. 그후 왕복운동용 모터(M3)가 역회전 구동되어서 프레임(42)의 제 1 단부에 위치하는 페그(49)를 기준선L과 대응하는 위치로 배치시켜서 제 19d 도의 상태로 만든다. 또한, 회전용 모터(M2)가 역회전 구동되어서 페그(49)를 후퇴 위치로 배치시키고, 승강용 모터(M1)가 정회전 구동되어서 프레임(42)을 상승 위치로 배치시켜서 제 1 도에 도시한 상태로 된다. 또, 페그(49)가 후퇴 위치에 배치된 후 모터(74)가 역회전 구동되어서 청소부재(79)가 커버판(41)의 제 2 단부쪽에서 부터 제 1 단부쪽을 향하여 이동되고, 제 1 단부 가까이의 후퇴 위치로 복귀한다.
그래서, 보빈 레일(3)이 조사의 감기 위치까지 상승한 후 실뽑기 운전이 개시된다. 채워진 보빈(F)이 매달린 보빈 운송체(10)는 다음관이 채워지기까지 지지레일(5,6)에서 정방 공정으로 반출되고, 그후에 빈 보빈(E)이 매달린 보빈 운송체(10)가 반입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조방기(2)의 앞쪽에 관교체 작업시에 채워진 보빈(F) 및 빈 보빈(E)이 일시적으로 적재되는 발판(35)이 배치되어 있는데, 실뽑기 운전중에 빈 보빈(E)을 발판(35)상에 준비하고 있으면서도 도핑된 채워진 보빈(F)이 발판(35)에서 부터 운전재개 후에까지 엇갈리며 이동해 들어갈 우려가 없다. 따라서, 실뽑기 운전중에는 언제라도 발판(35)을 자유로이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조방기(2)의 앞쪽에 작업자의 통로 또는 조사 절단 보수 작업등을 행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없다. 또, 채워진 보빈(F) 및 빈 보빈(E)의 운송용으로 각각 독립된 운송레일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관 교체 기구(13)가 조방기의 후부에 비어 있는 공간에 배치되기 때문에 관 교체 장치를 조방기(2)의 앞쪽에 배치하기 위한 여분의 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없다.
또, 이 실시예에서는 발판(35)에 장비된 페그(49)가 승강 운동되기 때문에 관 교체 기구(13)가 포크(30a,30b)를 승강시키는 기구를 장비하지 않고도 포크(30a,30b)와 페그(49)와의 사이의 이전 및 적재 작업이 가능하게 되고, 관 교체 기구(13)의 구성이 간단하게 된다. 더구나, 보빈 운송체(10)와 발판(35)과의 사이에 빈 보빈(E) 및 채워진 보빈(F)의 이전 및 적재 동작을 할때에도, 페그(49)쪽이 승강하기 때문에 보빈 운송체(10)쪽을 승강시키는 것에 비하여 이전 및 적재 동작과 그 제어가 간단하게 된다.
또한, 이 실시예의 발판(35)은 지지레일(5,6)이 하강 위치에 배치되었을때 위치 결정 장치(80)를 구비하기 때문에 빈 보빈(E)을 매단 보빈 운송체(10)를 소정의 하강 위치에 확실히 배치할 수 있고, 보빈 행거(9)로부터 빈 보빈(E)의 이탈 및 보빈 행거(9)로의 채워진 보빈(F)의 장착 실패를 감소할 수 있다.
(실시예 2)
다음에 제 2 실시예를 제 20 도 내지 제 22 도를 따라서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관 교체 기구(13), 발판(35) 및 위치 결정 장치(80)의 구성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고, 보빈 운송체(10)의 구성이 상기 실시예와는 다르게 되어 있다. 제 20a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빈 운송체(10)에는 상기 실시예을 2배의 수 즉, 조방기 1대분의 보빈 휘일(4)의 2배의 수의 보빈 행거(9)가 2열이고, 또 각 열의 보빈 행거(9)가 보빈 휘일(4)의 1/2 피치(P)에서 서로 대항하여 배치되어 있다. 그래서, 보빈 운송체(10)는 빈 보빈(E)이 보빈 행거(9)에 1개 걸러 매달린 상태이고, 제 20a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두의 보빈 행거(9)가 기준선 L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는 페그(49)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관 교체 작업시, 보빈 레일(3)상의 채워진 보빈(F)을 발판(35)의 페그(49)에 장착하기까지 순서는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다. 즉, 상승 위치에 있는 프레임(42)이 하강 위치에 배치되며 동시에 페그(49)가 작용 위치에 배치되어서 제 20a 도의 상태로 되고, 다음에 관 교체 기구(13)가 작동되어서 채워진 보빈(F)이 페그(49)에 대응하는 제 20b 도에 도시하는 상태로 된다. 이어서 프레임(42)이 상승되어서 페그(49)가 채워진 보빈(F)에 삽입된 제 20c 도에 도시하는 상태로 되고, 그 상태에서 관 교체 기구(13)가 작동되어서 포크(30a,30b)가 후퇴 위치까지 이동하고, 제 20d 도에 도시하는 상태로 된다.
이어서 가이드 로드(91)가 가이드 위치에 배치된 후, 승강 장치(7)가 작동되어서 지지프레임(8)이 하강 위치에 배치된다. 그래서, 페그(49)에 빈 보빈(E)이 삽입되며 동시에 보빈 행거(9)에 채워진 보빈(F)이 장착되어서 제 21a 도에 도시하는 상태로 된다. 다음에 승강장치가 작동되어서 지지프레임(8)이 채워진 보빈(F)을 매단 상태로 원래 위치까지 상승되고, 빈 보빈(E)이 페그(49)에 장착된 제 21b 도에 도시한 상태로 된다. 또한, 지지프레임(8)이 상승 위치에 배치된 후 안내용 모터(M4)가 역회전 구동되어서 가이드 로드(91)는 후퇴 위치에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 왕복운동용 모터(M3)가 정회전 구동되어서 회전축(47a,47b)과 함께 페그(49)가 1 피치(P/2) 만큼 프레임(42)의 제 1 단부쪽으로 이동되고, 빈 보빈(E)이 보빈 휘일(4)에 대응하는 제 21c 도에 도시한 상태로 된다.
다음에 관 교체 기구(13)가 작동되어서 포크(30a,30b)를 빈 보빈(E)의 플랜지부의 아랫면에 대응하는 전진 위치로 배치시키고, 제 22a 도에 도시한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 프레임(42)이 하강되고, 빈 보빈(E)이 포크(30a,30b)에 매달린 제 22b 도에 도시한 상태로 된다. 이어서 관 교체 기구(13)가 작동되어서 빈 보빈(E)을 보빈 휘일(4)에 장착시킨 후, 포크(30a,30b)를 후퇴 위치에 배치시킨다. 한편, 왕복운동용 모터(M3)가 역회전 구동되어서 프레임(42)이 원래 위치로 복귀하여 제 22c 도에 도시한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 부터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게 페그(49)가 후퇴 위치에 배치되고, 프레임(42)이 상승 위치에 배치되어서 제 1 도에 도시한 상태로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는 지지프레임(8)이 하강위치에 배치되어서 빈 보빈(E)이 페그(49)에 장착될때, 동시에 채워진 보빈(F)이 보빈 행거(9)에 장착된다. 따라서, 보빈행거(9)의 수가 보빈 휘일(4)의 수와 동일하여 제 1 실시예의 경우와 비교하여서 발판(35)상의 페그(49)와 보빈 운송체(10)의 보빈 행거(9)와의 사이에서 빈 보빈(E) 및 채워진 보빈(F)의 이전 및 적재 작업이 간단하게 된다. 그 결과, 프레임(42)의 승강제어 및 회전축(47a,47b)의 왕복이동제어가 간단하게 되며 동시에 관 교체 작업시간이 단축되고, 조방기(2)의 정지시간이 짧아지게 되어서 조방기의 가동율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구체화 하여도 좋다.
(1) 관 교체 기구로서 조방기(2)의 앞쪽에 배치되는 관 교체 장치를 발판(35)을 끼워서 배치하여도 좋다. 이런 종류의 관 교체 장치는 상기 실시예의 관 교체 장치와는 달라서, 관 교체암이 승강 가능하기 때문에 발판(35)의 프레임(42)을 승강할 수 없게 구성하고, 관 교체암의 승강에 의해 페그(49)와 관 교체암과의 사이에 채워진 보빈(F) 및 빈 보빈(E)의 이전 및 적재를 행하여도 좋다. 그때 보빈 운송체(10)와 발판(35)과의 사이에 채워진 보빈(F) 및 빈 보빈(E)의 이전 및 적재는 승강 장치(7)의 작동에 의한 지지프레임(8)의 승강에 의해 행해진다. 이 경우, 발판(35)의 구성이 간단하게 된다.
(2) 청소부재(79)에 의한 커버핀(41)의 청소는 관 교체시마다 행할 필요는 없고, 여러번의 교체에 대해 1번의 비율로 행하여도 좋다. 또, 청소부재(79)에 의한 커버판(41)의 청소를 행하는 대신에 커버판(41)에 실이 어느 정도 퇴적하였을때 수작업으로 제거하여도 좋다.
(3) 페그(49)를 후퇴 위치와 작용 위치에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는 대신에 페그(49)를 작용 위치에 고정하고 동시에 페그(49)의 윗편을 덮는 위치와 페그(49)를 노출시키는 후퇴 위치로 이동 가능한 커버판을 설치하여도 좋다.
(4) 보빈 운송체(10)로서 일본 공개 특허 소 62-104934호 공보에 개시된 바와 같이, 보빈 행거를 매단 지지부재를 링크에 의해 정방기의 예비 조사 감기의 피치로서 연결한 운송체를 사용하면서 그외 다른 구성의 운송체를 사용하여도 좋다.
(5) 위치 결정 장치(80)는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상기 각 실시예 및 변경예로부터 파악할 수 있는 청구항에 기재된 이외의 발명에 대해서 이하에 그 효과와 함께 기재한다.
(1) 제 2 항 내지 5 항에 기재된 발명에서, 승강 수단에 의해 하강 위치에 배치되는 지지레일의 위치결정 장치를 발판의 양쪽에 배치한다. 이 경우, 빈 보빈을 매단 보빈 운송체를 소정의 하강 위치에 확실하게 배치할 수 있고, 보빈 행거로부터 빈 보빈의 이탈 및 보빈 행거로의 채워진 보빈의 장착 실패를 감소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항 내지 제 5 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조방기의 운전시에는 항상 조방기 베이스의 앞쪽에서 자업자에 의해 작업이 가능한 상태로 되고, 베이스 재기동시의 조사의 자동 감기 실패의 회복 작업이나 조사 절단 보수 작업 등을 지장없이 수행할 수 있다. 또, 채워진 보빈 및 빈 보빈의 운송용으로 각각 독립된 운송 레일을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되고, 장치의 소형화 및 원가의 감소가 가능해진다. 제 3 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조방기 베이스의 후방의 공간에 관 교체 기구가 배치되기 때문에 공간의 유효 이용을 도모한다. 또 제 4 항에 기재된 발명에 이하면 보빈 운송체와 발판과의 사이에 빈 보빈 및 채워진 보빈의 이전 및 적재동작 및 그 제어가 간단하게 된다.

Claims (5)

  1. 상부 지지식의 플라이어(1)를 2열로 갈짓자 모양으로 장비한 조방기의 앞쪽에 조방기(2)의 보빈 휘일(4)의 2배수의 보빈 지지체(49)가 보빈 휘일 피치의 1/2 피치로서 2열로 배치되며 동시에 조방기(2)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적어도 보빈 휘일(4)의 1/2 피치 만큼 왕복운동할 수 있게 설치되고, 이 보빈지지체(49)가 관 교체 작업시에 상부로 노출하는 발판(35)을 만들고, 조방기(2)의 윗편에서 조방기를 따라 배치한 레일(5,6)상에 적어도 조방기 1대 만큼의 빈 보빈(E)을 보빈 휘일 피치의 1/2 피치에서 매단 보빈 행거(9)를 구비한 보빈 운송체(10)를 대기시키며, 조방기(2)의 보빈 휘일 피치의 1/2 피치에 배치한 관 교체 암(30a, 30b)을 조방기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전진 및 후퇴시키는 관 교체 기구(13)의 작동에 의해 보빈 레일(3) 상의 채워진 보빈(F)을 상기 발판(35)의 보빈 지지체(49) 상에 갈짓자 모양으로 적재한 후 보빈 운송체(10)를 하강시켜서 보빈 지지체(49) 상에 빈 보빈(E)을 적재하며 동시에 채워진 보빈(F)을 보빈 운송체(10)의 보빈 행거(9)에 매단 후 보빈 운송체(10)를 원래 위치까지 상승시키고, 빈 보빈(E)이 적재된 2열의 보빈지지체(49)를 보빈 휘일(4)과 대향하는 상태로 배치한 후 관 교체 기구(13)의 작동에 의해 빈 보빈(E)을 각 보빈 지지체(49)에서 보빈 휘일(4)로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방기의 관 교체 방법.
  2. 상부 지지식의 플라이어(1)를 2열로 갈짓자 모양으로 장비한 조방기(2)의 관 교체장치에 있어서, 조방기(2)의 앞쪽에 배치되어서 조방기의 보빈 휘일(4)의 2배수의 보빈 지지체(49)가 보빈 휘일 피치의 1/2 피치로서 2열로 배치되며 동시에 이 보빈 지지체(49)가 관 교체작업시에 노출되어서 동시에 조방기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적어도 보빈 휘일(4)의 1/2 피치 만큼 왕복운동 할 수 있게 설치된 발판과,
    보빈을 유지 가능한 후퇴 위치와 보빈 레일(3)상의 보빈 휘일(4)과 대응하는 제 1 작용위치와 상기 발판(35)의 보빈 지지체(49)에 대응하는 제 2 작용위치에로 이동할 수 있게 배치된 관 교체 암(30a, 30b)을 구비하며, 동시에 상기 관 교체암(30a, 30b)을 후퇴위치와 각 작용위치로 이동시키는 구동 수단을 구비한 관 교체 기구(13)와,
    조방기(2)의 앞쪽 윗편에 설치되어 적어도 조방기 1대 만큼의 보빈 휘일(4)과 동일한 갯수의 보빈 행거(9)를 보빈 휘일(4)의 피치의 1/2 피치에 배치된 보빈 운송체(10)를 지지하며, 동시에 보빈 행거(9)가 상기 발판(35)의 보빈 지지체(49) 상에 장착된 채워진 보빈(F)을 매달 수 있는 하강위치와 보빈 운송체(10)를 정방공정 등으로 인도하는 운송레일과 접속가능한 상승 위치에로 승강 수단(7)에 의해 승강 운동시키는 지지레일(5, 6)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교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관 교체 기구(13)는 플라이어(1)의 후방 하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교체 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 운송체(10)는 적어도 조방기(2) 1대 만큼의 보빈 휘일(4)의 2배수의 보빈 행거(9)가 2열로서 또 각 열의 보빈 행거(9)가 보빈 휘일(4)의 1/2 피치로서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교체 장치.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35)은 승강수단(37a, 37b, 43, M1)에 의해 승강 운동되는 프레임(42)을 구비하고, 프레임(42)의 상부에 발판부(41)가 고정되고, 발판부(41)의 양쪽에 그 길이 방향을 따라서 연장하는 상태에서 회전축(47a, 47b)이 프레임(42)에 지지되고, 회전축(47a, 47b)에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지지부재(48)에 상기 보빈 지지체(49)가 고정되고, 회전축(47a, 47b)의 회전에 의해 보빈 지지체(49)가 발판부(41)의 윗면에 대응하는 보빈 유지 위치와 발판부(41)보다 아랫편의 후퇴 위치에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교체 장치.
KR1019950034027A 1994-10-14 1995-10-05 조방기에서의 관 교체 방법 및 관 교체 장치(Method and apparatus of doffing and donning bobbins in a roving machine) KR01392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49765A JPH08113834A (ja) 1994-10-14 1994-10-14 粗紡機における管替方法及び管替装置
JP94-249765 1994-10-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4438A KR960014438A (ko) 1996-05-22
KR0139236B1 true KR0139236B1 (ko) 1998-05-15

Family

ID=17197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4027A KR0139236B1 (ko) 1994-10-14 1995-10-05 조방기에서의 관 교체 방법 및 관 교체 장치(Method and apparatus of doffing and donning bobbins in a roving machine)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H08113834A (ko)
KR (1) KR0139236B1 (ko)
ES (1) ES2126461B1 (ko)
TW (1) TW30588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643655C2 (de) * 1996-10-22 2000-05-25 Zinser Textilmaschinen Gmbh Vorspinnmaschine mit einer Vorrichtung zum selbsttätigen Auswechseln voller Vorgarnspulen gegen leere Vorgarnhülsen
CN106381583B (zh) * 2016-11-15 2018-06-15 晋中经纬天盈机械有限公司 一种纱管智能检测装置
CN115537987A (zh) * 2022-10-13 2022-12-30 宜昌经纬纺机有限公司 内纱导轨升降系统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06729A (en) * 1980-11-20 1982-07-02 Howa Mach Ltd Method of exchanging bobbins in fly frame and device therefor
JPS58119562A (ja) * 1981-12-29 1983-07-16 Howa Mach Ltd 粗糸ボビンの搬送装置
JPH0663150B2 (ja) * 1985-09-06 1994-08-17 豊和工業株式会社 粗紡機の管替装置
JP2906735B2 (ja) * 1991-05-27 1999-06-21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粗紡機における玉揚装置
JP3074945B2 (ja) * 1992-07-20 2000-08-07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粗紡機における管替方法及び管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126461B1 (es) 2000-03-01
KR960014438A (ko) 1996-05-22
JPH08113834A (ja) 1996-05-07
TW305887B (ko) 1997-05-21
ES2126461A1 (es) 1999-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52260B2 (ja) 粗糸ボビンの搬送方法
KR900008534B1 (ko) 콥프(cops)를 자동적으로 도핑(doffing)하고 이들을 조방기(roving frame)내의 빈 튜브에 옮기기 위한 방법과 장치
KR0184921B1 (ko) 방적기에 있어서의 보빈 반송시스템
KR0139236B1 (ko) 조방기에서의 관 교체 방법 및 관 교체 장치(Method and apparatus of doffing and donning bobbins in a roving machine)
JP2906735B2 (ja) 粗紡機における玉揚装置
US5797255A (en) Bobbin changing method and apparatus
KR20020062167A (ko) 조방기의 보빈 교환 장치
US3946547A (en) Device for manipulating textile cops
JPH0663150B2 (ja) 粗紡機の管替装置
JPH08127922A (ja) ボビン搬送レールの位置決め装置
JPH08113835A (ja) 粗紡機のボビン載置台
JP2684777B2 (ja) 粗糸端位置整列装置
JP3074945B2 (ja) 粗紡機における管替方法及び管替装置
JPS6331565B2 (ko)
JPH08134726A (ja) ボビン搬送体の支持レールの昇降装置
JPS61119730A (ja) 粗紡機における管替方法及びその装置
JPH0377291B2 (ko)
JP2002285435A (ja) 粗紡機の管替装置
JP2000045137A (ja) 粗紡機の管替装置及び粗紡機
JPH0280629A (ja) 篠交換機
JPH1121020A (ja) 粗糸ボビン搬送方法及び粗糸ボビン搬送システム
JPH0653546B2 (ja) 粗糸ボビンの搬送方法
CN117023287A (zh) 一种粗纱机的换筒机构
JPS6353298B2 (ko)
JPH1121019A (ja) 粗糸搬送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