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0036B1 - 성형된 표면 파스너 - Google Patents

성형된 표면 파스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0036B1
KR0180036B1 KR1019950026595A KR19950026595A KR0180036B1 KR 0180036 B1 KR0180036 B1 KR 0180036B1 KR 1019950026595 A KR1019950026595 A KR 1019950026595A KR 19950026595 A KR19950026595 A KR 19950026595A KR 0180036 B1 KR0180036 B1 KR 01800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s
pair
rods
coupling
surface faste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6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7965A (ko
Inventor
토시아키 타키자와
류우이치 무라사키
Original Assignee
요시다 다다히로
와이케이케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시다 다다히로, 와이케이케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요시다 다다히로
Publication of KR960007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79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0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00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44B18/0069Details
    • A44B18/0088Mixed male and female memb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44B18/0046Fasteners made integrally of plastics
    • A44B18/0061Male or hook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7Buckles, buttons, clasps, etc. including readily dissociable fastener having numerous, protruding, unitary filaments randomly interlocking with, and simultaneously moving towards, mating structure [e.g., hook-loop type fasten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7Buckles, buttons, clasps, etc. including readily dissociable fastener having numerous, protruding, unitary filaments randomly interlocking with, and simultaneously moving towards, mating structure [e.g., hook-loop type fastener]
    • Y10T24/2792Buckles, buttons, clasps, etc. including readily dissociable fastener having numerous, protruding, unitary filaments randomly interlocking with, and simultaneously moving towards, mating structure [e.g., hook-loop type fastener] having mounting surface and filaments constructed from common piece of material

Landscapes

  • Slide Fasteners, Snap Fasteners, And Hook Fastener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Handling Of Cut Paper (AREA)

Abstract

성형된 표면 파스너가 회로 박판(1), 및 상기 회로 박판(1)의 일 면위에 열들로 성형된 다수의 결합 요소들(2)로 이루어져 있다. 각 결합 요소(2)는 회로 박판(1)의 일 면으로부터 세워진 한쌍의 봉들(21,21), 및 봉들(21,21)의 말단들로부터 반대 방향들로 연장하며 한쌍의 봉들(21,21)의 중앙선(L)의 반대쪽에 회로 박판(1)의 일반면에 수직한 한쌍의 평행면들내에 형성된 한쌍의 후크들(22,22)을 가진다. 동반 루프들(3)이 결합 요소(2)로부터 분리되면, 각개의 후크들(22,22)은 서로에 무관하게 수평면에서 한쌍의 봉들(21,21)의 중앙선(L)에 대하여 회전하며, 동시에, 위로 팽창한다. 결과적으로, 루프들(3)과 결합요소(2)는 손상을 입음이 없이 원활히 서로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Description

성형된 표면 파스너
제1도는 본 발명의 한 전형적인 실시예에 따른 성형된 표면 파스너의 단편적인 사시도.
제2도는 실시예의 결합 요소들이 동반 루프들과 결합하는 방식을 보여주는, 표면 파스너의 단편적인 측면도.
제3도는 두개의 루프들이 결합요소의 전방 및 후방 후크들와 각각 결합되어 있을때 벗겨지는 동안의 결합 요소들의 작용을 보여주는, 제2도의 X-X 선에 따른 단면도.
제4도는 하나의 루프가 결합 요소의 전방 및 후방 후크들중 하나와만 결합하는 방식을 보여주는, 표면 파스너의 단편적인 측면도.
제5도는 벗겨지는 동안에 제4도의 자세로 있는 결합 요소의 작용을 보여주는, 제3도와 유사한 단면도.
제5도는 하나의 루프가 결합 요서의 전방 및 후방 후크들과 동시에 결합되는 방식을 보여주는 표면 파스너의 단편적인 측면도.
제7도는 벗겨지는 동안 제6도의 자세에 있는 결합 요소의 작용을 보여주는 제3도 내지 제5도와 유사한 단면도.
제8도는 변형된 형태의 실시예에 따른 성형된 표면 파스너의 단편적인 측면도.
제9도는 본 발명의 단른 전형적인 실시예에 따른 성형된 표면 파스너의 단편적인 사시도.
제10도는 결합 요소들의 배열의 일 예를 보여주는, 제9도의 성형된 표면 파스너의 단편적인 사시도.
제11도는 결합 요소들의 배열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제10도와 유사한 단편적인 사시도.
제12도는 결합 요소들의 배열의 또 다른 예를 보여주는, 제10도 및 제11도와 유사한 단편적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회로박판 2 : 결합 요소
2-1 : 제 1 후크 부재 2-2 : 제 2 후크 부재
21 : 봉 22 : 후크
본 발명은 회로 박판 및 그 회로 박판의 일 면으로부터 돌출한 다수의 결합요소들이 합쳐져서 함께 형성된 성형된 합성수지로 만들어진 표면 파스너에 관한 것이며, 더 자세히는 벗기는 힘들이 작용하는, 천정 및 벽 물질들과 같은 공업 물질들의 이음에 사용되기에 적당한 결합 강도 및 결합율을 가지며 벗겨질 때에 동반 표면 파스너의 결합 요소들에 손상을 주지 않는 적절한 내구성을 가지는 성형된 표면 파스너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형태의 성형된 표면 파스너들은 보통 짜여지거나 엮어진 표면 파스너들에 비하여 더욱 큰 결합 강도를 가지므로 벽 물질들 및 천정 물질들과 같은 내부장식용 물질들의 연결에으로 널리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성형된 표면 파스너의 각 결합 요소는 회로 박판의 일 표면에서 세워진 봉과, 그 봉의 말단으로부터 일 방향으로 구부러지고 회로 박판의 표면을 향한 일 단부에서 종료되는 후크를 가진다.
성형된 표면 파스너의 각 결합 요소가 상기된 단순한 후크 구조를 가진 후크부재인 경우에, 동반 결합 요소인 루프 부재와의 결합 강도의 정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관습상 단단한 합성 수지로 된 결합 요소들을 성형하거나 루프 부재의 크기를 증가시킨다. 그러나, 단단한 결합 요소는 바람직하지 않은 감촉을 주며 동반 루프 부재와의 결합에서 빠져 나오는 경향이 있다. 크기가 큰 루프 부재의 경우에 있어서, 그 결합 요소는 단단해질 뿐만 아니라 회로 박판위의 단위 면적당 결합 요소들의 수가 줄기 때문에, 예정도니 정도의 결합 강도를 확보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만일 후크 및 루프 부재들중의 하나의 크기가 커진다면, 루프 부재가 후크 부재로부터 분리될때 더 작은 다른 부재가 손상을 입는 경향을 가진다.
결과적으로, 성형된 표면 파스너들용으로 항상 적합한, 폴리에스터, 폴리아미드 및 폴리우레탄과 같은, 연성 합성 수지 물질들이 사용되며, 동시에 결합 요소들의 여러 형태들이 후크 및 루프 부재들의 상대 강도를 확보하고 결합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실제로 사용된다.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72-31740 호 및 925-224703 호에 개시된 것과 같이, 결합 요소의 통상적인 형태는 일반적인 사다리꼴 후크의 말단으로부터 대칭으로 돌출된 전방 및 후방의 결합 부분들을 가진다. 예컨대, 일본 실용신안 공개 공보 제 92-128611 호에 개시된 것과 같이, 다른 형태는 봉의 말단으로부터 대칭으로 갈라져 나온 전방 및 후방의 후크들을 가진다. 이와 같이 공지된 형태들에 따르면, 회로 박판의 단위 면적당 결합 요소들의 수가 증가되면 동반 결합 요소들과의 결합율을 증가시키므로 표면 파스너 전체의 결합 강도가 증가된다.
전기한 것과 같은 공업 물질용 표면 파스너들은 일상 용품에 보통 쓰이는 표면 파스너들이 받는 회수만큼의 반복적이 결합 및 해제를 받지 않는다. 그러나, 표면 파스너들이 승용차들의 내장 물질에 사용된 경우에는, 승용차 몬체의 검사나 수리시에 내장 물질이 승용차 몸체로부터 벗겨내져야 된다.
상기된 일본 공보들의 각각에서 개시된 결합 요소에 있어서, 하나의 루프 부재는 소위 매달림 결합으로 불리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전방 및 후방의 결합 부분들과 동시에 결합되는 경향이 있어서, 루프 부재가 결합 부분들로부터 분리될 수 없다. 표면 파스너가 억지로 벗겨질 경우에, 매달림 결합이 된 루프 부재 또는 결합부분들이 손상될 수 있어서 그 후 결합 강도가 감소될 수 있다.
그러나 루프 부재들이 매달림 결합이 아닌 방법으로 하나 이상의 전방 및 후방 결합 부분들과 결합되면, 결합 부분들에 작용하는 상향력이 단순히 위로 작용되기 쉬워서 결합 부분이 기부에서, 즉 결합 부분과 봉의 접합 부분에서, 파손되기 쉽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필요한 정도의 결합 강도를 확보하도록 합리적인 형태를 가지며 벗기는 힘이 너무 강할 때 각개의 결합 부분들이 작용하는 표면 파스너에 작용하는 이 벗기는 힘이 면해지도록 하는 성형 표면 파스너용 결합 요소를 제공하여, 루프 부재가 결합 부분들과 매달림 결합을 가질 경우에도, 결합 요소들에 손상을 줌이 없이 동반 결합 요소로부터 결합 요소가 쉽게 분리되게 하여, 우수한 내구성을 가진 표면 파스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성형된 파스너의 회로 박판, 및 각각이 회로 박판의 일 면으로부터 일어선 한쌍의 봉들을 가지는, 박판 회로의 일 면위에서 열들로 성형된 다수의 결합 요소들과, 봉들의 말단들로부터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고 한쌍의 봉들의 중앙선의 반대쪽들에 회로 박판의 일반 평면에 수직한 한쌍의 평행한 면들에 형성된 한쌍의 후크들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의 각 결합 요소에 있어서, 한쌍의 후크들의 일부분과 또한 한쌍의 봉들의 대부분이 함께 합쳐져 있다. 또는 각 결합 요소는 각각이 봉과 후크를 가진 제 1 및 제 2 후크 부재들로 이루어져 있고, 제 1 및 제 2 후크 부재들은 봉들의 최소한 마주보는 측면들의 부분에서 함께 합쳐져 연결되어 있다.
게다가, 제 1 및 제 2 후크 부재들의 후크들은 서로 높이가 동일할 수도 있고, 또는 높이가 다를 수도 있다.
만일 전방 및 후방의 후크들의 두께가 통상적인 후크 부재들의 두께와 같다면, 본 발명의 결합 요소의 봉들의 전체 두께는 통상적인 후크 부재들의 두께의 두배가 된다. 벗기는 힘이 전방 및 후방의 후크들이 모두 루프들과 결합된 결합 요소에 작용하면, 최소한 봉들은 벗기는 힘에 의하여 거의 구부려 지지 않으나 각개의 후크는 서로 간섭함이 없이 독립적으로 수평면에서 그 기부들에 대하여 회전하며, 동시에 후크의 상부가 솟구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을 일으킨다. 그러므로 루프들이 서로 손상을 줌이 없이 후크들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다.
상향 견인력이 결합 요소와 매달림 결합을 가진 루프 부재에 작용하면, 우측 또는 좌측 방향으로(즉, 제 3 도의 사아 방향으로) 수평 분력이 결합 요소의 봉들과 전방 및 후방 후크들의 기부들 모두에 동시에 작용하나 동시에 반대 방향의 다른 분력은 후크들의 상부들에 작용한다. 동시에, 상향 견인력이 후크들 위에 작용한다.
이 때에, 봉들의 두께가 매우 크므로, 벗기는 힘이 결합 요소에 작용할 때 서로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분력들이 상쇄되어 봉들은 거의 구부러지지 않는다. 한편, 전방 및 후방의 후크들은 서로 간섭함이 없이 독립적으로 수평면에서 그 기부들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변형하며, 동시에, 후크들의 상부 부분들은 견인력에 의하여 솟구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을 이르킨다. 그러므로 루프들이 손상을 입음이 없이 전방 및 후방의 후크들로부터 분리된다.
더우기, 상기 기능에 첨가되어, 전방 및 후방 후크들의 높이가 서로 다른 경우에, 각개의 후크들이 여러 자세를 가지고 여러 방향으로부터 연장하는 루프들과 결합되므로, 보통 높이를 가진 후크들에 비하여 루프들과의 결합율이 매우 높아지므로, 결합 강도를 증가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전형적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성형된 표면 파스너의 단편 사시도이다. 제1실시예에 따르면, 회로 박판(1)의 상면에 함께 성형되어 그 회로 박판(1)의 상면으로부터 돌출한 다수의 결합 요소들(2)이 예컨대 미국 특허 제 4,984,339호 및 유럽 특허 제 06453A1호에 개시되어 있는 것과 같은 쌍들의 결합 부재들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결합 요소(2)에 있어서, 한쌍의 결합 부재들은 그것들의 후크들이 반대 방향으로 향하도록 된 상태로 나란히 배열되어 있어서, 결합 부재들이 그 측면들에서 함께 연결되 형태와 흡사하다.
제1도의 실시예에 있어서, 결합 요소(2)가 한쌍의 부재들(2-1,2-2)로 구성되어 있다. 각 부재(2-1,2-2)는 회로 박판(1)의 상면으로부터 완만한 곡선을 따라 속아오르는 후면(21a), 초기에는 예정된 곡율을 가지다가 후에는 회로 박판(1)의 상면에 수직하도록 솟아오르는 전면(21b)을 가진 봉(21), 및 에정된 곡율을 가지고 봉(21)의 후명(21a)과 전면(21b)으로부터 연장하여 하향 단부에서 종료되는 후크(22)로 이루어져 있다. 두 개의 결합 부재들(2-1,2-2)은 반대 방향으로 향한 그것들의 후크들(2,22)과 근접 접촉을 가지도록 배열되어 있으며, 제2도의 사선들에 의하여 표시된 것과 같이, 해당 후크들(22,22) 및 해당 봉들(21,21)에서 부분적으로 함께 결합되어 있다. 설명된 예에서, 각 봉(21)은 그 하부 외면에 보강 리브(23)를 가진다. 다수의 그와 같은 결합 요소들(2)은 직선의 열들로 배열된 각개의 결합 요소들(2)의 전방 및 후방 후크들(22,22)로 회로 박판(1)의 상면위에 형성되어 있다.
제2도는 동반 루프들(3)이 회로 박판(1)위에 형성된 결합 요소들(2)과 결합되어있는 정상적인 방식을 도시한다. 제3도는 제2도의 X-X 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두 개의 루프들(3,3)이 전방 및 후방의 후크들(22,22)과 각각 결합된 경우, 상향 벗김력이 표면 파스너에 작용할 때, 결합 요소(2)의 작용에 대하여 도시한다. 이 경우, 전방 및 후방의 후크들(22,22)은 해당 후크들의 바로 위에서 루프들(3)과 연결하지 않고, 전방 및/또는 후방의 후크들(22,22)은 해당 후크들의 바로 위에서 벗어난 위치들에서 루프들(3)과 결합하는 경향이 잇다.
상기한 간행물들에서 개시된 통상적인 결합 요소에 있어서, 결합력이 본 발명의 결합 요소의 결합력과 동일하다고 가정할 때, 통상적인 결합 요소의 봉이 본 발명의 한쌍의 봉들(21,21)의 총 두께의 거의 절반에 해당하는 두께를 가지므로 벗기는 힘이 큰 영향을 미치기가 쉽다. 예컨대, 두 개의 루프들이 공통된 방향으로 결합요소에 작용하면, 봉이 후크들과 함께 휘기 쉬워지므로 루프들이 후크들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결합 요소의 구조에 따르면, 부분적으로 한쌍의 봉들(21,21)이 매우 큰 총 두께를 가지므로 또한 부분적으로는 전방 및 후방의 후크들(22,22)이 그 기부들(22a,22a)에서 합쳐져 연결되므로, 두 개의 루프들(3,3)이 전방 및 후방의 후크들(22,22)과 각각 결합될 때 봉(21)과 후크(22)의 기부(22a)가 상향의 벗기는 힘에 기인하여 휘기가 쉽지 않다. 한편, 전방 및 후방 후크들(22,22)이 서로 간섭함이 없이 독립적으로 수평면내에서 그 기부들(22a)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변형하고, 해당후크들(22,22)의 상부 부분들(22b,22b)이 솟아오르는 방향으로 변형한다. 결과적으로, 루프들(3,3)이 손상을 입음이 없이 후크들(22,22)로부터 분리되기 쉽다.
제4도는 하나의 루프(3)가 결합 요소(2)의 전방 및 후방 후크들(22)중의 하나와 결합된 방식을 도시한다. 제5도는 제3도와 유사한 단면선도이나, 전방 및 후방의 후크들(22)중의 하나와 결합된 루프(3)에 상향 벗기는 힘이 작용할 때 결합요소(2)의 작용을 보여준다. 제4도 및 제5도에 있어서, 상향 벗기는 힘이 결합요소(2)의 전방 및 후방 후크들(22)중의 하나와 결합된 하나의 루프(3)에 작용하고, 결합 요소의 후크(22)가 상기된 종래 기술에 대한 간행물들에서 개시된 통상적인 결합 요소의 후크와 동일하다고 가정할 때, 부분적으로는 본 발명의 결합 요소(2)의 한쌍의 봉들(21,21)이 통상적인 결합 요소의 봉의 폭의 두배가 되는 총 폭을 가질뿐만 아니라 부분적으로는 전방 및 후방의 후크들(22,22)이 그 기부들(22a)에서 공통 부분을 가지기 때문에, 봉(21)과 기부(22a)는 벗기는 힘에 따라 후크(22)가 솟는 방향으로는 휘지 않는다. 따라서 루프(3)와 결합된 하나의 후크(22)의 상부 부분(22b)만이 어려움없이 탄성 변형을 일으켜서 후크(22)의 상부 부분(22b)에 손상을 입힘이 없이 루프(3)가 후크(22)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제6도는 루프(3)와 매달림 결합을 한 결합 요소(2)를 도시한다. 제7도는 제3도와 유사한 단면선도이나, 결합 요소(2)와 매달림 결합을 가진 루프(3)에 벗기는 힘이 작용할 때 결합 요소(2)의 작용의 일부분을 도시한다. 결합 요소(2)와 매달림 결합을 가진 루프(3)에 위로 솟는 힘이 작용한다고 가정하면, 결합 요소(2)의 봉들(21,21)과 전방 및 후방의 후크들(22)의 기부들(22a)은 일 방향으로 수평력을 받는 반면에 후크들(22)의 상부 부분들(22b)은 방향이 처음 언급된 수평 방향에 반대이며 크기가 두배인 힘을 받는다. 동시에, 상향 견인력이 후크들(22)에 작용한다.
부분적으로는 봉들(21,21)이 큰 총 두께를 가지기 때문에 부분적으로는 전방 및 후방의 후크들(22,22)의 기부들(22a,22a)이 함께 합쳐져 있기 때문에, 상기된 벗기는 힘이 결합 요소들(2)에 작용하면, 처음 언급된 수평 방향에 반대로 크기가 두배인 힘(루프(3)가 두 위치들에서 결합 요소(2)와 결합하기 때문이다)이 봉들(1,21)과 후크들(22,22)의 기부들(22a,22a)에 작용하여 처음에 언급된 수평 방향의 힘을 상쇄시키므로 봉들(21,21)과 기부들(22a,22a)은 휘지 않는다. 반면에, 전방 및 후방의 후크들(22,22)은 서로 간섭함이 없이 독립적으로 수평면에서 해당 기부들(22a,22a)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변형하며, 후크들(22,22)의 상부 부분들(22b,22b)은 견인력으로 인하여 솟구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을 일으킨다. 결과적으로, 루프(3)들이 서로 손상을 입힘이 없이 쉽게 각개의 후크들(22,22)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제8도는 제1실시예의 변형된 형태를 도시한다. 이 변형된 형태에서, 봉들(21,21)은 일체의 구조를 가지며, 전방 및 후방의 후크들(22,22)은 그 기부들(22a)에서 함께 합쳐지도록 연결된다. 이와 같은 변형된 형태는 전기된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가지며 바람직한 결합력을 보장하므로 결합 요소(2)는 동반 루프들(3)로부터 원활히 분리될 수 있다.
제9도는 본 발명의 다른 전형적인 실시예에 따른 성형된 표면 파스너의 단편 사시도이다. 이 실시예의 결합 요소(2)는 전기된 실시예와는 다르게 결하요소(2)의 두 부재들(2-1,2-2)가 다른 높이를 가진다. 이와 같은 배열로서, 높이가 다른 각개의 후크들(22,22')이 제 9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여러 자세로 여러 방향으로부터 연장된 루프들(3,3)과 결합하므로, 공통 높이를 가진 후크들(22,22)과 비교하여 큰 루프들(3)과의 결합율을 더 크게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결합 강도를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결합 부재들(2-1,2-2)의 높이들은 바람직하게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높고 낮은 결합 부재들(2-1,2-2)은 4mm와 2-3mm의 높이를 각각 가질 수 있다.
전기하 것으로부터 본 발명이 여러 가지 형태로 사용될 수 있음은 명백하다. 예컨대,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평행하고 나란히 배열된 결합 요소들(2-1,2-2)의 전방 및 후방의 후크들(22,22)은 기부들(22a,22a)을 포함한 서로와 완전히 무관하다. 대신에, 봉들(21,21)은 그 접촉 부분들에서만 합쳐져 연결되며, 상기 언급된 기능들도 기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결합 요소들(2)의 배열은 설명된 예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여러 다른 배열들도 제안될 수 있다. 제10도 내지 제12도는 연결 요소들(2)의 배열예들을 도시한다. 설명된 예들의 각 결합 요소(2)는 제9도에 도시된 형태를 가진다. 제10도의 배열예에 따르면, 네 개의 인접한 결합 요소들(2)에 있어서, 인접한 결합 요소들(2,2)의 대향한 쌍중 키가 큰 결합 부재들(2-1,2-1)의 후크들(22,22)은 서로가 마주 보고 있는 반면에, 인접한 결합 요소들(2,2)의 대향한 쌍중 키가 작은 결합 부재들(2-2,2-2)의 후크들(22',22')은 서로가 등을 돌리고 있다. 제11도의 배열에 따르면, 인접한 열들에 있는 결합 요소들(2)의 후크들(22)은 서로가 반향되어 있다. 제12도의 배열예에 따르면, 인접 결합 요소들(2)의 각 쌍의 후크들(22,22')은 서로가 수직으로 배열되어 있다. 후크들(22)의 방햐들을 여러 가지 방법으로 변화시킴으로써, 결합 요소들(2)이 여러 방향으로 루프들(3)과 결합하도록 허용가능하므로, 결합력이 어떤 특정 방향을 향하는 것을 배제한다.
전기한 것으로부터 명백한 것은, 본 발명의 성형된 표면 파스너에 따르면, 부분적으로는 각 결합 요소(2)가 회로 박판(1)의 상면으로부터 세워져 있는 상단으로부터 반대 방향들로 연장하는 한쌍의 후크들(22)을 가지므로, 부분적으로는 전방 및 후방의 후크들(22,22)이 서로 인접하여 형성되고 한쌍의 봉들(21,21)의 중앙선(L)의 각측면에 하나씩 독립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통상적인 하나의 후크로 된 결합요소와 비교할 때 결합율 및 결합 강도 모두가 증가되어, 후크들(22,22)과 루프들(3)에 힘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로, 즉 그곳에 손상을 입지 않도록, 후크(22)가 한쌍의 봉들(21,21)의 중앙선에 대하여 수평면에서 상향 이동을 하여 변형을 일으키므로, 벗기는 동안 원활히 루프들(3)로부터 분리된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결합 요소(2)는 좋은 내구성을 갖는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성형된 표면 파스너는 적당하 결합 강도를 가지므로, 결합 요소들에 손상을 입히면 안되는, 벽 및 천정 물질들과 같은, 공업용 물질들을 연결하는 데 사용될 때 특히 유용하다.

Claims (5)

  1. (a) 회로 박판(1), 및 (b) 상기 회로 박판(1)의 일 면위에 있는 열들로 성형된 다수의 결합 요소들(2)로 이루어져 잇으며, (c) 각 상기 결합 요소들(2)은 상기 박판(1)의 상기 일 면으로부터 세워진 한쌍의 봉들(21,21)을 가지며, 한쌍의 후크들(22,22)은 상기 봉들(21,21)의 말단들로부터 반대 방향들로 연장하며 상기 쌍의 봉들(21,21)의 중앙선(L)의 반대쪽들에 있는 상기 회로 박판(1)의 일반면에 수직한 한쌍의 평행면들안에 형성된, 성형된 표면 파스너.
  2. 제1항에 있어서, 각 상기 결합 요소(2)에서 상기 쌍의 후크들(22,22)의 일부분과 또한 상기 쌍의 봉들(21,21)의 대부분이 서로 합쳐진 성형된 표면 파스너.
  3. 제1항에 있어서, 각 상기 결합 요소(2)가 상기 봉(21) 및 상기 후크(22)를 각각 가진 제1 및 제2 후크로 된 부재들(2-1,2-2)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후크로 된 부재들(2-1,2-2)은 최소한 상기 봉들(21,21)의 마주보는 측면들의 부분에서 함께 합쳐져 연결되어 있는 성형된 표면 파스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들(22,22)의 각각이 서로 높이가 동일한 성형된 표면 파스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들(22,22)의 각각이 높이가 다른 성형된 표면 파스너.
KR1019950026595A 1994-08-26 1995-08-25 성형된 표면 파스너 KR01800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202260 1994-08-26
JP6202260A JP2886458B2 (ja) 1994-08-26 1994-08-26 一体成形面ファスナ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7965A KR960007965A (ko) 1996-03-22
KR0180036B1 true KR0180036B1 (ko) 1999-02-01

Family

ID=16454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6595A KR0180036B1 (ko) 1994-08-26 1995-08-25 성형된 표면 파스너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5625930A (ko)
EP (1) EP0698352B1 (ko)
JP (1) JP2886458B2 (ko)
KR (1) KR0180036B1 (ko)
CN (1) CN1084174C (ko)
DE (1) DE69520715T2 (ko)
ES (1) ES2155864T3 (ko)
HK (1) HK1010312A1 (ko)
TW (1) TW27709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86459B2 (ja) * 1994-09-20 1999-04-26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一体成形面ファスナーのフック片構造
US6054091A (en) * 1996-10-03 2000-04-25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 J hook-type hook strip for a mechanical fastener
US5953797A (en) 1996-10-09 1999-09-21 Velcro Industries B.V. Hook fasteners and methods of manufacture
US5755016A (en) * 1996-12-23 1998-05-26 Velcro Industries, B.V. Hook and loop fastening and the like
US5887320A (en) * 1997-03-21 1999-03-30 Velcro Industries B.V. Fastener component with flexible fastener members
FR2791873B1 (fr) * 1999-04-07 2001-08-03 Aplix Sa Bande oblongue formant partie auto-agrippante male, cylindre a former pour sa fabrication et procede de fabrication d'une bande de ce genre
US6543099B1 (en) * 2000-06-02 2003-04-08 Velcro Industries B.V. Varying the loop engageability of fastener element arrays
DE10161438B4 (de) * 2001-12-14 2004-07-15 Man B&W Diesel A/S Hubkolbenmaschine
US8314283B2 (en) * 2002-12-16 2012-11-20 Velcro Industries B.V. Medical wraps
DE60312899T2 (de) * 2002-12-16 2007-12-06 Velcro Industries B.V. Befestigbare beutel
US6996880B2 (en) * 2003-04-01 2006-02-14 Velcro Industries B.V. Fastener elements and methods of manufacture
US7516524B2 (en) * 2005-03-11 2009-04-14 Velcro Industries B.V. Hook fastener components and methods of their manufacture
US7493676B2 (en) * 2006-04-13 2009-02-24 Ykk Corporation Hook fastener structures
TW201137248A (en) 2010-04-21 2011-11-01 Taiwan Paiho Ltd Injection molded hook structure of velcro fastener and velcro fastener having the same
TWI585012B (zh) * 2016-07-07 2017-06-01 Taiwan Paiho Ltd 表面接合扣具
US20220386746A1 (en) * 2021-06-04 2022-12-08 Yi-Wen Tang Fastening strap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121708A (en) * 1965-11-18 1968-07-31 Selectus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fastener members
LU58671A1 (ko) * 1969-05-20 1971-06-15
US4541154A (en) * 1981-11-12 1985-09-17 Yoshida Kogyo K.K. Hooked fabric fastener tape
US4739635A (en) * 1986-06-02 1988-04-26 Douglas L. Heydt Connector assembly and composite therefor
US4984339A (en) * 1988-10-20 1991-01-15 Velcro Industries B.V. Hook for hook and loop fasteners
JPH0355716U (ko) * 1989-10-03 1991-05-29
JPH0431512U (ko) * 1990-07-03 1992-03-13
JP2545058Y2 (ja) * 1990-07-03 1997-08-25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フック片を一体成形した合成樹脂製面ファスナー用係着部材
JP2856922B2 (ja) 1990-12-26 1999-02-10 株式会社クラレ 成形面ファスナー及びその製造方法
DE69230253T2 (de) * 1991-03-06 2000-02-24 Aircast Inc Spritzgeformte, orthopädische vorrichtung und entsprechendes verfahren
JPH04128611U (ja) 1991-05-16 1992-11-24 株式会社クラレ 成形面フアスナー
JPH0584213U (ja) * 1992-04-24 1993-11-16 吉田工業株式会社 一体成形面ファスナー
JP2559017Y2 (ja) * 1992-06-17 1998-01-14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一体成形面ファスナー
US5339499A (en) * 1993-02-16 1994-08-23 Velcro Industries B.V. Hook design for a hook and loop fastener
JP2886455B2 (ja) * 1994-07-08 1999-04-26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一体成形面ファスナーの係着片構造
JP3474644B2 (ja) * 1994-08-26 2003-12-08 Ykk株式会社 一体成形面ファスナ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77095B (ko) 1996-06-01
DE69520715T2 (de) 2001-11-29
HK1010312A1 (en) 1999-06-17
CN1084174C (zh) 2002-05-08
DE69520715D1 (de) 2001-05-23
EP0698352B1 (en) 2001-04-18
US5625930A (en) 1997-05-06
ES2155864T3 (es) 2001-06-01
CN1125081A (zh) 1996-06-26
JP2886458B2 (ja) 1999-04-26
JPH0856711A (ja) 1996-03-05
EP0698352A3 (en) 1997-01-08
KR960007965A (ko) 1996-03-22
EP0698352A2 (en) 1996-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80036B1 (ko) 성형된 표면 파스너
KR0165153B1 (ko) 성형된 표면 파스너
EP0464753B1 (en) Hook structure for integrally molded surface fastener
KR0153227B1 (ko) 파스너 디바이스
US5685050A (en) Hook structure for molded surface fastener
CA1193643A (en) Fastener clip with slip-proof locking feature, joint structure using same and method for making same
JP3183785B2 (ja) 一体成形面ファスナーのフック片構造
JPH10201504A (ja) 一体成形により得られる面ファスナー用係合部材
US5361462A (en) Molded surface fastener
US6318063B1 (en) Cable drag chain
KR950001607Y1 (ko) 합성수지로 일체 성형된 표면 파스너
JP3889452B2 (ja) 対面係合ファスナー部材
EP0682186A1 (en) Member mounting clip
KR940001870Y1 (ko) 판모양 내장재 고정용 표면 파스너
KR0179435B1 (ko) 시이트형 제품을 위한 시이트 파스너
EP0465960B1 (en) Structure of coupling head portion for coiled slide fastener element
CN216840161U (zh) 一种转向连接龙骨及龙骨组件
JP2609893B2 (ja) 車輌用シート等のバネ構造
JP3865730B2 (ja) 車両用前方シッピング・フック・アセンブリー
KR0111920Y1 (ko) 자동차의 프레임 연결구조
JP2005308054A (ja) クランプ
JP5638848B2 (ja) 雄面ファスナー、面ファスナー及び雄面ファスナーの製造方法
JPS61186677A (ja) 空気膜構造物における膜体の支持構造
JPS5837307A (ja) 連結フアスナ−
KR19990010865A (ko) 차량용 시트의 사이드 커버 보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1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