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1870Y1 - 판모양 내장재 고정용 표면 파스너 - Google Patents

판모양 내장재 고정용 표면 파스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1870Y1
KR940001870Y1 KR2019910010045U KR910010045U KR940001870Y1 KR 940001870 Y1 KR940001870 Y1 KR 940001870Y1 KR 2019910010045 U KR2019910010045 U KR 2019910010045U KR 910010045 U KR910010045 U KR 910010045U KR 940001870 Y1 KR940001870 Y1 KR 9400018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base
fastener member
interior material
ba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100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1893U (ko
Inventor
류우이치 무라사키
Original Assignee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다 다다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다 다다오 filed Critical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2000189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189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18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187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06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 F16B21/08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tud, pin, or spigot has a resilient part
    • F16B21/088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tud, pin, or spigot has a resilient part the stud, pin or spigot being integrally formed with the component to be fastened, e.g. forming part of the sheet, plate or stri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7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multiple interengaging protrusions on the surfaces, e.g. hooks, co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 Slide Fasteners, Snap Fasteners, And Hook Fastener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판모양 내장재 고정용 표면 파스너
제1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판모양 내장재 고정용 표면파스너를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판모양 내장재가 표면 파스너 수단에 의해 장착기부에 고정되는 방식을 나타낸 단면도.
제3도는 곡면을 갖는 내장재가 표면 파스너 수단에 의해 장착기부에 고정되는 방식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
제4도 및 제5도는 리브들을 변형시킨 표면 파스너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장착기부 파스너 부재 2 : 내장재 파스너 부재
3 : 장착기부 4 : 판모양 내장재
10, 20 : 기부판 11 : 후크
12 : 이중 후크 13 : 돌출부
14, 15 : 리브 21 : 결합 파일
본 고안은 마루, 벽, 천장, 창틀 또는 대시보드와 같은 기부에 실내 장식재, 또는 장식 벽이나 천장 표면재와 같은 판모양 내장재를 고정시키기 위한 표면 파스너에 관한 것이다.
최근, 표면 파스너를 이용하여 다양한 내장재를 자동차의 천장, 바닥 또는 창틀과 같은 장착 기부에 설비하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짝을 이루는 표면 파스너 부재들을 장착 기부의 표면과, 그 장착 기부위에 설치될 내장재의 표면에 각각 고정시킨다. 그 다음, 내장재가 가압되어 표면 파스너에 의해 장착 기부에 고정되게 된다.
예컨대, 짝을 이루는 표면 파스너 부재들은 초음파 용접 또는 가압식 점착에 의해 해당 표면 위에 고정된다. 이러한 방법은, 고정된 표면들의 내구성 또는 고정 강도에 기인한 단점을 갖고 있다.
제안된 여러가지 방법중에서, 한 방법은 표면 파스너 부재의 기부판으 뒷면으로부터 돌출하는 탄성 이중 후크를 이용하여 표면 파스너 부재를 장착 기부상에 고정시키는 것이다.
상기 탄성 이중 후크는 장착 기부상에 형성된 구멍으로 탄력적으로 삽입된다.
그 다음, 장착기부의 대향하는 표면들이 이중 후크와 표면 파스너 부재에 의해 확고하게 지지되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 방법들이 일본 특허 공보 제651/1976호, 일본 실용신안공보 제26089/1979호 및 일본 실용신안공개공보 제31250/1982호에 개시된다. 그 표면 파스너들은 내장재를 자동차뿐만 아니라 주택 및 빌딩에도 설치하도록 폭넓게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내장재들은 그 형태 및 재료면에 있어서 매우 다양하다.
이들중 일부는 편평하지만, 대다수가 곡면들을 갖고 있다. 특히, 불룩한 표면을 가진 내장재를 장착 기부에 설치하는 일은 불가능한 것이었다. 곡면을 갓는 내장재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내장재의 오목한 부분을 표면 파스너를 이용하여 장착 기부에 고정시킨다.
장착 기부에 부착될 표면 파스너 부재의 기부판은 전술한 일본 특허 및 실용신안공보들에 기술된 바와 같이 통상 편평하고 약간 단단하다. 그러므로, 표면 파스너 부재가 오목한 곡면의 장점에서 부착된 오목한 내장재의 형태에 따라 곡선화되어 자동차의 천장 보강재와 같은 장착기부에 고정된 편평한 표면 파스너 부재와 맞물릴때, 그 표면 파스너 부재들은 단지 부분적으로만 서로 결합될 뿐이다. 이러한 경우에, 표면 파스너 부재는 전영역에 걸쳐 그 파스너 부재들이 서로 파지된다는 그의 주요한 특징을 충분히 나타낼 수 없다. 또한, 그 내장재는 충분한 강도로 장착 기부에 부착될 수도 없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판모양 내장재를 고정하기 위한 표면파스너를 제공하는 것으로, 장착 기부에 설치될 표면 파스너 부재가 편평하고 약간 단단하지만, 곡면을 갖는 내장재가 부착될 상대표면 파스너 부재들의 형태에 따라 탄력적으로 변형될 수 있음으로써, 그 내장재가 서로 완전하게 결합되는 표면 파스너 부재들에 의해 장착 기부에 고정될 수 있는 표면 파스너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판모양 내장재를 고정시키기 위한 표면 파스너는 편평한 기부 판들과 그 기부 판들의 대향 표면들에서 연장되는 다수의 맞물림 후크들을 포함하는 한쌍의 표면 파스너 부재들로 구성되며, 그 표면 파스너 부재들중 적어도 하나는 약간 단단하고 꼭대기에 탄성 이중후크를 가진 중앙 돌출부 및 그 돌출부를 가로건너 대향하는 측면 가장자리들에 적어도 한쌍의 리브들을 가진 표면을 포함하며, 그 돌출부는 표면 파스너 부재를 장착기부에 확고하게 고정시키도록 장착 기부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삽입되게 되어 있으며, 다른 하나의 표면 파스너 부재의 기부판은 판모양 내장재를 지지하기 위한 일 표면과 맞물림 결합파알이 제공된 타표면을 가지며, 맞물림 결합 파일이 제공된 표면은 판모양 내장재를 장착 기부에 확고하게 고정시키도록 상태 표면 파스너 부재의 맞물림 후크들이 제공된 표면과 맞물리게 되어 있다.
탄성 이중 후크가 장착 기부에 형성된 구멍으로 삽입될때, 표면 파스너 부재의 기부판 위에 형성된 리브들과 탄성 이중 후크에 의해 상기 표면 파스너 부재가 장착 기부에 확고하게 고정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기부 판이 편평한 상태를 유지하므로, 장착 기부와 기부 판 사이에는 리브의 높이에 상당하는 간격이 형성된다.
고정될 내장재에 의해 곡선화된 상대 표면 파스너 부재가 장착 기부상의 편평한 표면 파스너 부재에 대해 가압될 때, 첫번째로 언급한 표면 파스너 부재의 기부 판이 지지부들인 리브들에 의해 탄력적으로 변형되어 상대 표면 파스나 부재의 형태와 일치되어 짐으로써, 서로 완벽하게 맞물리는 표면 파스너 부재들에 의해 내장재가 장착 기부에 확고하게 고정된다.
전술한 상태에서, 기부 판의 돌출부가 기부 판의 변형에 따라 장착기부의 구멍 내로 밀어 올려진다. 또한, 돌출부의 탄성 이중 후크도 장착 기부와 완전 밀착되어 돌출부의 상향 이동에 따라 탄력적으로 변형된다.
내장재가 편평한 것인 경우, 두 표면 파스너 부재들은 편평한 상태를 유지하고, 보통때와 마찬가지로 완전하게 맞물린다.
이하,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여러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자동차에서 내장재를 고정시키기 위한 표면 파스너의 사시도이다. 제1도에서, 장착 기부 파스너 부재(1)(정방향 표면 파스너부재라고도 함)는 자동차의 장착 기부에 부착되며, 내장재 파스너 부재(2)(상대표면 파스너 부재라고도 함)는 그 파스너 부재상에 내장재를 부착시키기 위한 것이다.
장착 기부 파스너 부재와 내장재 파스너 부재는 둘다 통상 합성수지 또는 금속으로 만들어진 편평한 기부판들을 포함한다.
장착 기부 파스너 부재(1)의 기부판(10)의 일면에는 작은 후크들(11)이 돌출하여 있고, 그 후크(11)들의 곧은 부분들에 보강 리브들(11')이 제공된다. 기부 판(10)의 타면에는 기둥 모양 돌출부(13)및 그 돌출부(13)에서 연장되는 이중 후크(12)가 제공된다.
그 돌출부(13)는 원형 기부를 갖는다. 장착 기부 파스너 부재(1)의 대향하는 측면 가장자리들에 한쌍의 리브들(14, 15)이 이중 후크(12)와 평행하게 형성된다. 기부판(10), 작은 후크들(11), 이중 후크(12), 돌출부(13) 및 리브들(14, 15)은 모두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다.
내장재 파스너 부재(2)는 장착 기부 파스너 부재(1)와 사실상 동일한 형태이며,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그의 표면에 형성된 결합파일(21)을 갖는다.
장착 기부 파스너부재(1)와 내장재 파스너 부재(2)는 함께 표면 파스너의 역할을 한다. 작은 후크들(11)과 결합 파일(21)이 서로 눌려질때, 양 파스너 부재들(1, 2)이 완전하게 맞물릴 수 있다.
제2도와 제3도는 전술한 파스너 부재들을 예컨대 자동차의 천장 또는 문틀에 내장재를 설치하도록 적용시킨 방식을 나타낸다.
제2도및 제3도에서, 장착 기부(3)는 천장 보강재 또는 문틀과 같은 것을 나타내며, 판모양 내장재(4)는 매트 또는 쿠션과 같은 것을 나타낸다.
내장재 파스너 부재(2)의 뒷면은 점착성 접착제와 같은 접착제(5)에 의해 내장재(4)의 뒷면에 부착된다. 다시말해, 내장재 파스너부재(2)의 결합 파일(21)과 내장재(4)의 앞면은 바깥쪽을 향하게 된다.
장착 기부 파스너 부재(1)의 이중 후크(12)는 장착 기부(3)의 원형구멍(31)에 압축되어 넣어진다. 그 다음, 돌출부(13)의 원형 기부가 구멍(31)에 꼭끼워져, 이중 후크(12)의 선단 부분들이 장착기부(3)의 윗면에서 탄력적으로 팽창하여 장착 기부(3)를 가압하게 한다. 이 상태에서, 기부 판(10)의 대향하는 측면 가장자리들 상의 리브들(14, 15)이 장착 기부(3)의 밑면과 접촉하게 된다. 그러면, 장착 기부 파스너 부재(1)가 이중 후크(12)와 리브들(14, 15)에 의해 장착 기부(3)에 확고하게 고정된다.
내장재(4)에 부착된 내장재 파스너 부재(2)의 결합 파일(21)이 장착 기부 파스너 부재(1)의 작은 후크들(11)에 대해 눌려짐으로써, 파스너 부재들(1, 2)이 확고하고 완벽하게 서로 맞물리게 된다.
따라서, 내장재(4)가 파스너 부재들(1, 2)에 의해 장착 기부(3)에 부착되게 되는 것이다.
제2도는 내장재 및 장착 기부 파스너 부재들이 둘다 편평한 경우 일때는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 경우, 파스너 부재들의 작은 후크들(11)과 결합 파일(21)이 훨씬 견고하게 서로 부착된다.
제3도는 내장재(4)가 곡면을 갖는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 경우, 파스너 부재(2)는 내장재(4)의 볼록한 뒷면의 정점에 부착된다. 파스너 부재(2)의 결합 파일(21)이 장착기부 파스너 부재(1)의 작은 후크들(11)에 대해 눌려질 때, 장착 기부 파스너 부재(1)의 기부 판(10)은 리브들(14, 15)에 의해 지지되어, 내장재(4)의 형태에 따라 변형된다. 동시에, 장착 기부 파스너 부재(1)의 돌출부(13)가 장착 기부(3)의 구멍(31)을 통해 위로 미끄럼 이동된다.
돌출부(13)의 탄성 이중 후크(12)(제2도에 나타낸 이중 후크(12)는 원래의 형태에서 약간 넓어진 것이다)는 구멍(31)주위에서 장착 기부(3)를 탄력적으로 가입한다. 제3도의 상태에서, 이중 후크(12)는 장착 기부(3)를 확고하게 고정시키도록 탄력적으로 가압한채 그 상태로 유지된다.
이와같이, 곡면을 갖는 내장재(4)도 서로 완벽하게 맞물리는 장착 기부 파스너 부재(1)와 내장재 파스너 부재(2)에 의해 장착기부(3)에 확고하게 부착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장착 기부 파스너 부재(1)는 작은 후크들(11)을 갖는 반면에 내장재 파스너 부재(2)는 결합 파일(21)을 갖고 있다. 작은 후크들(11)과 결합 파일(21)의 배열은 반대로 이루어질수도 있다. 또한, 후크(11)와 결합 파일(21)은 버섯 모양을 취할 수도 있고, 또는 그중 하나는 버섯모양을 하고 나머지 하나는 루프모양을 취할수도 있다.
파스너 부재(1)의 기부판(10)상의 탄성 이중 후크(12)는 어떤 모양을 취하든 상관없다. 다수의 후크들을 반경방향으로 배치할수도 있다.
파스너 부재들(1. 2)의 기부판들(10, 20)의 형태가 항상 정사각형일 필요는 없다. 필요하다면 원형 또는 다각형일수도 있다.
제4도와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부판의 형태가 정사각형 또는 원형일때, 리브들(14, 15)의 형태는 기부판들의 주변 가장자리 둘레에 소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블럭 형태일수도 있다.
기부판이 삼각형일때, 리브들(14, 15)은 삼각형의 꼭대기점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표면 파스너는 편평한 표면뿐만 아니라 구형 표면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기부판들에는 유연성을 높이도록 구멍 또는 홈들이 제공될 수 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장착 기부에 부착된 기부 파스너 부재가 장착 기부에 부착될 내장재의 형태에 따라 변형된다. 그러므로, 내장재가 곡면을 갖는 경우에도, 그 내장재는 서로 완벽하게 맞물리는 표면 파스너 부재들에 의해 편평한 장착기부에 확고하게 부착될수 있다.

Claims (1)

  1. (a)제1기부판(10), 상기 제1기부판(10)의 일 표면에서 연장되는 다수의 맞물림 후크들(11), 상기 제1기부판(10)의 타 표면에서 연장되어 장착 기부(3)상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삽입되어 탄성 이중 후크(12)를 가진 중앙 돌출부(13), 및 상기 중앙 돌출부(13)를 가로 건너 상기 제1기부 판(10)의 대향하는 측면 가장자리들에 배치된 적어도 한쌍의 리브들(14, 15)을 포함하며 약간 단단한 장착 기부 파스너 부재(1), 및 (b)제2기부판(20) 및 상기 제2기부판(20)에서 연장되어 상기 장착 기부 파스너 부재(1)의 상기 맞물림 후크들(11)과 파지됨으로써 판모양 내장재(4)를 장착 기부(3)에 부착시키는 결합 파이들(21)을 포함하는 내장재 파스너 부재(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모양 내장재(4)고정용 표면 파스너.
KR2019910010045U 1990-07-03 1991-07-02 판모양 내장재 고정용 표면 파스너 KR940001870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0070988U JPH0741364Y2 (ja) 1990-07-03 1990-07-03 板体固定用係着具
JPU70988 1990-07-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1893U KR920001893U (ko) 1992-02-24
KR940001870Y1 true KR940001870Y1 (ko) 1994-03-26

Family

ID=13447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10045U KR940001870Y1 (ko) 1990-07-03 1991-07-02 판모양 내장재 고정용 표면 파스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0465983B1 (ko)
JP (1) JPH0741364Y2 (ko)
KR (1) KR940001870Y1 (ko)
CA (1) CA2045995C (ko)
DE (1) DE69113536T2 (ko)
ES (1) ES2078392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9918A (ja) * 1994-04-05 1995-10-27 Ykk Kk パネル類の連結構造
JP2003259904A (ja) * 2002-03-06 2003-09-16 Ykk Corp 面ファスナーの雄止部材と同止部材付きシート製品
FR2868135B1 (fr) * 2004-03-23 2009-11-20 Aplix Sa Element de fixation intermediaire
DE102006048053A1 (de) * 2006-10-11 2008-04-17 Bayerische Motoren Werke Ag Schraube zum schwingungsentkoppelten Verbinden von Bauteilen und eine Verbindungsanordnung unter Verwendung dieser Schraube
FR2949744B1 (fr) * 2009-09-08 2011-10-28 Aplix Sa Panneau en mousse expansee a crochets ou boucles
DE102012010893A1 (de) * 2012-06-01 2013-12-05 Gottlieb Binder Gmbh & Co. Kg Befestigungssystem
CN104981173B (zh) * 2012-11-13 2017-06-27 奥索有限责任公司 附接至矫形装置中的结构的紧固件构件和固定其的方法
EP2950759B1 (en) 2013-01-31 2020-05-13 Ossur Hf Orthopedic device having detachable components for treatment stages
DE102013009091A1 (de) * 2013-05-28 2014-12-04 Gottlieb Binder Gmbh & Co. Kg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Verbindungsteils, nach dem Verfahren hergestelltes Verbindungsteil, Werkzeug zum Herstellen eines solchen Verbindungsteils und Befestigungssystem mit einem derartigen Verbindungsteil
US9474338B2 (en) * 2013-10-11 2016-10-25 Aplix Fastener
DE102015001335A1 (de) * 2015-02-03 2016-08-04 Gottlieb Binder Gmbh & Co. Kg Befestigungseinrichtung
FR3053272B1 (fr) * 2016-07-04 2019-08-09 Aplix Piece thermoformee comportant un element rapporte et procede pour la fabrication d'une telle piece
US10202085B2 (en) * 2016-08-25 2019-02-12 Aplix Fastener
FR3073599B1 (fr) * 2017-11-16 2020-01-17 Safran Nacelles Dispositif de fixation pour panneau de protection thermiqu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209413A (en) * 1968-02-26 1970-10-21 Gen Motors Corp Fastener assemblies
GB1442621A (en) * 1973-07-30 1976-07-14 United Carr Ltd Stud and socket faste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741364Y2 (ja) 1995-09-27
DE69113536D1 (de) 1995-11-09
CA2045995A1 (en) 1992-01-04
CA2045995C (en) 1996-09-03
EP0465983B1 (en) 1995-10-04
ES2078392T3 (es) 1995-12-16
JPH0431511U (ko) 1992-03-13
KR920001893U (ko) 1992-02-24
DE69113536T2 (de) 1996-05-30
EP0465983A1 (en) 1992-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58245A (en) Fastening device and method for fixing adherend by using the same
KR940001870Y1 (ko) 판모양 내장재 고정용 표면 파스너
KR100327128B1 (ko) 시트부재용 고정체
JPS595632Y2 (ja) ラジエ−タ・グリル取付構造
JP3471430B2 (ja) クリップ
US7083207B2 (en) Bumper attachment clip
JPH06141912A (ja) 相互係合式ファスナー部材とそのファスナー部材を備えたファスナー
JP2886458B2 (ja) 一体成形面ファスナー
JPS641344B2 (ko)
US2775010A (en) Panel fastening device
US4779313A (en) Retainer for molded panel
JP2011010727A (ja) 車両用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908027B1 (ko) 자동차용 플로어 매트 고정구
JPH0637710Y2 (ja) 係着具
JP2546430Y2 (ja) 成形面ファスナー
KR101881324B1 (ko) 자동차용 플로어 매트 고정구
JP2593911Y2 (ja) モール取付構造
JPH0637711Y2 (ja) 留 具
JPH0537716Y2 (ko)
JPH0452100Y2 (ko)
JP2546187Y2 (ja) 面ファスナー係合製品
KR940003867Y1 (ko) 판상물등의 결착구
JPH06212770A (ja) 防振用化粧パネル
JP2604141Y2 (ja) ウィンドシールド仮止め用ファスナ
JPH053198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13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