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3227B1 - 파스너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파스너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3227B1
KR0153227B1 KR1019940033574A KR19940033574A KR0153227B1 KR 0153227 B1 KR0153227 B1 KR 0153227B1 KR 1019940033574 A KR1019940033574 A KR 1019940033574A KR 19940033574 A KR19940033574 A KR 19940033574A KR 0153227 B1 KR0153227 B1 KR 01532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fastener
hooks
rows
curt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3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7104A (ko
Inventor
유타카 토미나가
토시아키 타키자와
류우이치 무라사키
Original Assignee
요시다 다다히로
와이케이케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시다 다다히로, 와이케이케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요시다 다다히로
Publication of KR9500171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71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3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32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H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 A47H13/00Fastening curtains on curtain rods or rails
    • A47H13/04Fastening curtains on curtain rods or rails by hooks, e.g. with additional runn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7Buckles, buttons, clasps, etc. including readily dissociable fastener having numerous, protruding, unitary filaments randomly interlocking with, and simultaneously moving towards, mating structure [e.g., hook-loop type fasten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7Buckles, buttons, clasps, etc. including readily dissociable fastener having numerous, protruding, unitary filaments randomly interlocking with, and simultaneously moving towards, mating structure [e.g., hook-loop type fastener]
    • Y10T24/2792Buckles, buttons, clasps, etc. including readily dissociable fastener having numerous, protruding, unitary filaments randomly interlocking with, and simultaneously moving towards, mating structure [e.g., hook-loop type fastener] having mounting surface and filaments constructed from common piece of material

Landscapes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 Slide Fasteners, Snap Fasteners, And Hook Fastener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Carpets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합성 수지 물질로 성형되고 짝맞춤(1)의 파스너 부품(11) 한 표면상의 다수의 루우프(11a)와 접합되도록 변형된 파스닝 장치(4)는 기초 부재와 일체로 성형되고 다수의 열(R)로 배열된 다수의 후크들(43)을 그표면에 갖는 기초 부재(42)를 포함한다. 각 후크 열내 후크들은 후크 열의 축으로 정렬된 같은 흐크 방향을 갖고, 후크열내 후크들은 항상 같은 흐크 방향을 갖지는 않는다. 기초 부재의 주변 가장자리에 인접한 각 후크열에서 적어도 하나의 후크(43a)는 주변 가장자리로부터 바깥쪽으로 향한 후크 방향을 갖는다. 상기 배열로써, 주변 가장자리에 인접하게 위치한 후크들은 후크들을 약화시키고 결국 파손시키는 과도한 힘을 견딜 수 있다.

Description

파스너 디바이스
제1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스너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커튼을 커튼 레일에 부착시키는 수순을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다수의 유사한 파스너 디바이스가 코드에 위해 서로 연결된 실시예를 제시하는 측면도.
제3도는 상기 파스너 디바이스의 배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파스너 디바이스에 의해 부착되는 커튼의 상부 모시리 부분을 제시하는 정면도.
제5도는 파스너 디바이스의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
제6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장 마감재용 파스너 디바이스의 평면도.
제7도는 사용상황을 나타내는 내장 마감재 파스너 디바이스의 정면도.
제8도는 제7도의 측면도.
제9도는 파스너 디바이스의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
제10a 및 10b도는 각각 종래 현수막 파스너 및 종래 내장 마감재 파스너와 관련된 문제를 예시하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70 : 대응부재 4, 45 : 파스너 디바이스
41 : 둥근 후크부 41b : 목부
41a, 60a : 트인 구멍 41c : 부리형 직선부
42, 46. 11 : 기본재 43, 43a, 47, 47a : 후크
48 : 탄성 결합부 48a : 스터드형 돌부
48b, 48c : 탄성 윙 60 : 장착 부재
110 : 암 파스너 피스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커튼 레일과 커튼과 같은 각종 현수막(handing screens), 또는 천장, 마루면 또는 실재 패널과 같은 장착부재 사이에 실내 마감재 파스너, 그리고 천장 커버물 또는 대시보드(dashboard)와 같은 판 부재를 간단한 연결하는 파스너 디바이스의(fastening device) 또는 파스너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병원 및 호텔에서 사용되는 대부분의 커튼은 임대(lease) 상품이며 이들 물품은 정기적으로 교환 일어나 세탁이 행해지는 것이다. 이러한 교환작업의 효율화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수단을 사용하여 커튼의 부착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해야 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일본 실용실안 공개 공보 평 4-104909호는 커튼 레일 또 또는 안내 막대와 같은 커튼 안내부재에 장착된 커튼 런너에 대한 커튼의 부착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공보는 기본재의 표면에 다수기 후크가 복수열으로 일체성형되는 판형상 합성수지재 현수막 파스너로서, 그 기본재 상단부에는 커튼 런너에 착탈가능하게 구성된 2개의 금속선재로 이루어진 금속제 후크부가 기본재에 대하여 일체형으로 형성된 것이다. 후크는 상하방향으로 정렬되고 좌우 폭방향으로 복수열로 배열되어 형성된 것이다. 각 후크열 내의 후크는 후크열의 축방향으로 정렬되고, 밴드 또는 후크와 동일한 방향(이후 후크 방향이라 칭함)을 갖는다. 각각 쌍으로 인접열에 있는 후크는 동일한 후크 방향 또는 상호 역방향을 갖는다. 이러한 유형의 파스너 장지에서는, 일반적으로 커튼을 수직상태로 지지하기 위해서, 대다수의 후크 열에 있어서 후크방향을 제10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향으로 향하게하여 필요한 결합강도를 확보하게 된다.
한편, 예를 들어 자동차의 천장, 바닥면 및 도어 패널, 또는 건물의 벽부, 천장 및 바닥면 등과 같은 각종 장착 부재에도 다양한 내장재가 부착되는데. 그 부착용으로 일반적으로 후크-앤드-루프 파스너로 알려진 면파스너를 사용하고 있다. 면파스너의 암수 파스너 부재를 장착부재 실내 마감재에 부착하는 데에는 종래에는 예를 들어 초음파 용접 또는 감압(感壓)접착 등이 이용되었다. 그러나, 불충분한 내구성 및 고착강도로 인해, 합성수지제 파스너 장치가 사용되어 왔으며, 상기 장치는 한 쌍의 윙이 있는 탄성결합 헤드부를 갖고 기본재의 배면에는 설치된 스터드형 돌출부 및 판형상 기본재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다수의 후크를 포함하는 것이었다. 탄성결합 헤드부는 장착부재 내의 구멍에 삽입되면 탄성변형 되는 것이다. 탄성결합 헤드부가 구멍에 삽입되어 통과하면, 탄성결합 헤드부는 그 원상태로 탄성복원되어 장착부재가 기본재와 파스너 디바이스의 탄성결합 헤드부와의 사이에서 그 표면 및 배면으로부터 강력하게 파지(grip)되게 된다.
상술된 유형으로 알려진 실내 마감재 파스너 디바이스로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보 소51-651호, 일본 실용신안공보 소54-26089호 및 일본 실용신안 공개공보 소 57-31250호에 개시된 것이 있다. 상기 공보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상기 파스너 디바이스는 자동차에서뿐만 아니라 건축물의 실내 마무리 작업에도 폭넓게 사용되는 것이다. 또한, 근래 일본 실용신안 공개공보 평3-21285호에서 제안된 한 형태의 응용에서는 파스너 디바이스의 탄성결합 헤드부가 커튼 레일의 런너로서 사용된다.
서술된 유형의 실내 마감재 파스너 디아이스 또는 파스너에서는 일반적으로 결합강고에 방향성이 발생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기본재의 표면을 복수 블록으로 분리함과 동시에 각각 일 불록 내에는 다수의 후크열을 배열하고, 상기 일 열 내에 정열되는 후크의 방향은 동일 후크방향으로 하고, 인접후크열에 후크는 후크방향과 역방향을 갖고 동시에, 일 후크 블록의 후크방향은 인접 후크 블록의 후크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을 갖는 것이다.
일본 실용신알 공개보 평4-104909호에 개시된 현수막 파스너는 그 표면에 복수 후크를 갖는 파스너 피스로 형성된 성형품이기 때문에, 면파스너의 결합강도는 종래의 편직 또는 제직(weaving or knitting)으로 얻을 수 있는 모노필라멘트제의 후크와 비교하여 일층향상되게 증가 시킬 수 있다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그러나, 단점은 금속제 후크 부분이 현수막 파스너의 성형과는 별도의 제작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또한, 사출성형 공정은 금속제 후크 부분이 성형품의 일 부분에 삽입되어야만 하기 때문에 금속제 후크 부분에 의해복잡해진다는 것이다. 또한, 제품면에서, 금속제 후크 부분은 제품가격을 증가시키기도 한다. 더욱이, 커튼 런너는 대부분 합성수지로 제조되기 때문에 런너가 금속제 후크 부분에 의해 마모를 받으며, 장시간 사용에 대한 내성도 부족하다. 부가로, 금속제와 합성수지재와는 이종인 재료로 구성되는 금속제 후크 부분과 합성수지제 파스너 피스는 외관적으로도 위화감이 있으며 채색의 통일을 도모하는데에도 양자를 동일한 색조 하에서 다양한 채색을 시행하기란 곤란하게 된다.
실내 마감재 파스너인 경우에는, 스터드형 돌출부가 윙형상 상호 결합 헤드부의 탄성에 대항하여 장착부재에 형성된 구멍 안으로 삽입되게 된다. 헤드부가 구멍을 통과할시에, 윙형상 상호결합 헤드부는 장착부재가 판형상 기본재와 윙형상 상호결합 헤드부와의 사이에 그 정면 및 배면으로부터 파지 되어짐과 대부분그 원래 형태로 탄성에 의해 복원된다. 이러한 경우에, 만일 장착 부재의 배면이 구멍 형성시에 발생될 수 있는 돌기부 또는 돌출부의 존재 때문에 균일하지 않게 된다면, 실내 마감재 파스너는 부재에 완전하지 않게 부착될 것이고, 윙형상 상호결합 헤드부가 돌기부 또는 돌출부의 간섭으로 구멍내에 잔류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불완전한 부착으로, 실내 마감재 파스너를 통해 장착부재에 부착된 실내 마감재는 실내 마감재와 장착부재를 분리시키려는 힘을 받으면 장착부재로부터 간단하게 분리되게 된다. 이러한 결점은 기본재와 윙형상 탄성결합 헤드부와의 사이에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극복될 수 있을 것이며, 상기 공간은 장착부재의 두께와 돌기부 또는 돌출부의 높이의 합과 동일하다. 그러나, 이렇게 제공된 공간은 장착부재의 배면이 적어도 구멍 주면 지역에서 편평하게 있는 경우에는 실내 마감재 파스너가 일정 거리내의 구멍의 축방향으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어서 장착부재와 실내 마감재와의 사이에 흔들림을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상술된 종래 현수막 파스너에서는, 복수 후크열 내의 후크가 모두 상방향을 향하고 있다. 한편, 상술한 실내 마감재 파스너에서는, 복수 후크열 내의 후크(전체 후크열의 약1/2)가 기본재의 주변 모서리의 내측을 향하고 있다.
현수막 파스너에 있어서는, 커튼의 중량 대부분은 현수막 파스너의 하단부 모서리를 따라 배치이런 후크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후크는 다른 후크보다 큰 하중을 받으며 따라서 후크는 반복되는 커튼의 부착 및 분리 조작에 의해 서서히 피로도(疲勞度)가 증가되게 된다. 결국, 커튼이 그 상단부로부터 떨어져 나가면, 최하단부 모서리에 배열된 후크로부터 시작되어 하단부된 제2단에 후크 또는 제10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되기가 쉽다. 이러한 사실은 휘어짐에 대하여 후크를 지지하거나 받치는 기본부재 및 후크가 없기 때문에, 하부로부터 제1 및 제2단 내의 후크가 다른 후크보다 더 큰 정도로 휘어지고 따라서 피로되어 파손되기 때문이다.
실내 마감재 파스너인 경우에는, 대응 파스너 부재가 주로 제10(B)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재의 주변 모서리를 따라 설치된 후크에 의해 지지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후크는 반복하중을 받을 때 다른 후크보다 더 빨리 피로도가 증가한다. 대응 파스너 부재를 마감재 파스너로부터 분리할 때, 대응 부재는 기본재의 중심 부분을 향해 주변 모서리로부터 점차 박리(剝離)되어 진다. 후크열 내의 후크는 제10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재의 주변 모서리로부터 내측방향을 갖기 때문에, 이들은 단지 박리 또는 분리의 초기 단계에서 제한된 또는 비교적 낮은 박리저항을 나타낸다. 따라서 전체 파스너의 박리강도(peeling strength)가 저하되는 원인이 된다.
과제를 해결하기위한 수단
상기 서술된 선행 기술의 결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합성수지 성형 파스너 디바이스의 유리한 잇점을 유지하면서 파스너 디바이스의 주변 모서리를 따라 배치된 후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필요한 박리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구조적 특성을 갖는 파스너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파스너 부분의 일 표면에 다수의 루프를 포함하는 대응부재의 파스너 부분과 접합되도록 변형된 파스너 디바이스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다. 파스너 디바이스의 기본재를 구비하며, 기본재의 일면에는 그와 일체로 성형되며 복수 열로 배열된 복수 후크가 있다. 각 후크 열에 후크는 일반적으로 후크 열의 축선에 정렬되는 흐크 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지만, 일 후크 열에 후크와 인접한 후크 열에 후크가 항시 동일한 후크 방향을 향하는 것은 아니다. 각각의 후크 열에 적어도 일 후크와 기본재의 주변 모서리에 인접한 동일 후크 열에 인접한 두개 후크는, 주변 모서리로부터 외방향으로 이격져 대면하는 후크 방향인 것이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서, 대응부재는 커튼과 같은 현수막이고 파스너 디바이스는 부가로 기본재의 상단부와 일체로 형성된 목부(neck)를 갖는 둥근 후크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기본재의 하단부 모서리를 따라 배치된 후크는 하방향과 대면하는 후크 방향을 향한다. 둥근 후크부에는 그 말단부와 목부 사이에 형성된 트인 구멍이 있다. 둥근 후크부에는 부가로 말단부까지 이루어지고 실질적으로 둥근 후크부에 대해 직각으로 그로부터 반경외방향으로 연장된 부리-모양 직선부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호한 실시예에 따라, 파스너 디바이스는, 내장 마감재로 구성된 대응부재의 일 표면에 루프 파스너부와 결합되어 내장 마감재를 장착부재에 부착시키기 전에, 장착부재에 부착되어진다. 기본재는 어느 정도의 강성을 갖고, 평판형상의 기본재의 표면에 복수 후크 열을 갖는다. 기본재의 주변 모서리에 대해 직교하는 후크 열 각각에서, 적어도 주변 모서리에 인접위치된 최외측 후크 전체는 주변 모서리의 외방향과 대면하는 후크 방향을 갖는다. 파스너 디바이스는 부가로, 기본재의 다른면 중심에 배치되고 장착부재와 결합하는 스터드형 돌출부의 전방 단부에 형성된 윙형상 탄성 결합부를 구비하는 스트드형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탄성 결합부는 양호하게 스트드형 돌출부의 전방 단부에 평행하게 병렬 설치된 적어도 두 개 쌍의 윙으로 구성되며, 인접한 탄성 윙의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보다 길다. 탄성 결합부는 장착 부재에 있는 트인 구멍에 삽입통과되어 파스너 디바이스는 장착부재에 부착되어진다.
파스너 다비아가 현수막 파스너로서 느슨하거나 풀림 상태에서 사용되는 장소인 경우에는, 필요한 수의 커튼 런너가 커튼 레일에서 활주 가능하게 장착되고, 현수막 파스너의 후크부는 각각의 커는 런너의 고리에 걸리게 된다. 다음, 일정한 간격으로 커튼의 상부 모서리를 따라 부착된 각각의 암파스너 테이프 피스의 파스너 표면은 걸려진 현수막 파스너의 파스너 표면에 대해 하나씩 밀착되어 커튼을 커튼레일에 부착한다.
현수막 파스너에 의해 매달린 커튼이 현구막 파스너로부터 분리되면, 커튼의 상부 모서리는 하방향으로 점진적으로 박리된다. 상기 경우에서, 박리방향은 현수막 파스너의 하단부에 위치한 후크의 방향과 동일하므로, 커튼은 하단부에 인접하게 설치된 후크에 과도한 힘을 가하지 않으면서 최대한 원만하게 박리될 수 있다. 그러므로, 후크는 장시간 사용에 견딜 수 있다. 박리 조작 동안에, 커튼의 중량은 하방향진 후크 바로 위에 위치하고 상방향을 향하는 후크에 순간 집중될 것이다. 그러나, 상기 순간에 부분적으로는 상방향을 향하는 후크 아래 위치한 하방향 후크 때문에 그리고 부분적으로는 상방향을 향하는 후크로부터 아래로 연장된 기본재 때문에, 상방향 후크는 아래로부터 지지를 받거나 받쳐지고 따라서 분열 또는 파손을 초래하는 하방향으로의 심한 휘어짐 또는 굽어짐이 방지된다. 따라서, 상방향 흐크가 반복되는 부착 및 분리 조작으로 인해 쉽게 피로되지 않아서, 파손 없이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현수막 파스너의 하단부와 결합된 커튼의 일 부분은 다양한 방식으로 여러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을 받게된다. 예를 들면, 커튼이 현수막 파스너의 하단부로부터 커튼을 분리시키려는 외부 힘을 받을 때, 현수막 파스너의 하단부 근처에 위치한 하방향 후크는 외부 힘에 대한 저항체로서 작용하여, 커튼이 현구막 파스너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어렵게 한다.
현수막 파스터의 둥근 후크부는 그 목부와 말단부 사이에 형성된 출구 또는 트인 구멍을 갖는다. 후크부는 부가로 둥근 후크부의 말단부와 일체로 혜택되고 둥근 후크부에 대해 직각으로 말단부로부터 반경 외방향으로 돌출된 부리형 직선부(beak-like straight portion)를 갖는다. 상기 부리형 직선부를 가진 둥근 후크부는 커튼 런너에 용이하게 걸릴 수있다.
본 발명의 파스너 디바이스가 내장 마감재를 자동차의 장착 부분에 부착시키기 위한 내장 마감재 파스너로서 사용되는 장소인 경우에는, 기본재의 주변 모서리에 대해 수직연장된 각 후크 열에서, 적어도 주변 모서리에 인접 위치된 최외측 후크는 주변 모소리의 외부 방향으로 향해있다. 따라서, 내장 마감재에 발생되는 외부힘이 주변 모서리를 따라 연장된 최외측 후크 전체에 고르게 분담되게 된다. 따라서, 최외측 후크는 피로되지 않는다, 부가로, 내장마감재가 주변 모서리로부터 기본재의 중앙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박리되면, 일 열에서 외부를 향하는 최외측 후크는 보다 큰 초기 박리저항성을 보이고 결국 동일한 열에 나머지 후크가 주변 모서리의 내측 방향을 향하여 파스너의 전체 박리강도가 증가되게 된다.
[실시예]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다른 목적, 특성 및 잇점을 본 발명의 원리가 포함된 양호한 실시예를 통해 첨부 도면을 참고로 이하에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현수막 파스너 디바이스 또는 파스너의 대표적인 예를 첨부 도면을 참고로하여 서술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현수막 파스너(4)에는 9개의 수직열(R)로 배열된 복수 후크(43)가 있다. 9개 후크 열(R)은 각각이 2개 인접 후크 열로 구성된 외부 그룹과 5개 연속 후크 열로 구성된 중앙그룹이며, 그 사이로 연장되는 2개 선형 신장된 편평한 랜드(43b)에 의해서 3개 그룹으로 측 방향으로 분리된다. 편평한 랜드(43b)는 각각 제거 핀(제시되지 않았지만 후에 서술됨)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분리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중앙의 5개 후크 열에 후크는 후술되는 예외를 제외하고는 모두 상방향을 향하고, 일반적으로 상방향과 대면하는 후크방향을 갖는다. 편평한 랜드를 경유하여 중앙의 5개 후크 열과 인접하여 있는 2개 인접 열의 내측 일 열에 후크는 모두 하방향을 향하고, 하방향과 대면하는 후크 방향을 가지며, 반면에 중앙의 5개 후크 열로부터 원격진 다른 후크 열에 다른 후크는 후술되는 예외를 제외하고는 모두 상방향을 향하고 일반적으로 상방향과 대면하는 후크 방향을 갖는다.후크 방향의 조합은 예시된 실시예에 제한 받지 않는 것으로서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또한, 후크(43)에 의해 형성된 후크 파스너면은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복수 현수 파스너 구간으로 나뉘어질 수 있으며, 각 구획실은 인접한 후크 파스너 구간에 후크의 후크 방향과는 다른 일 후크 방향을 갖는 복수 후크를 포함하는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의 현수막 파스너(4)를 사용한 커튼 부착 구조물의 일부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커튼(1)은 소정 간격으로 그의 상단부 모서리를 따라 부착된 다수의 암(female) 면파스너 테이프 피스(11)를 포함하는 것이다. 커튼 레일(2)은 안내 부재로서 구성된다. 커튼 레일(2)은 그 전체 길이를 통해 바닥 벽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요홈부(2a)를 갖는 기다란 C형상 단면 막대로 구성된다.
예시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현수막 파스너(4)는, 커튼 런너(3)의 고리(3a)에 걸리도록 변형된 둥근 후크부(41), 및 직사각 판형상 기본재(42)로 구성된다. 기본재(42)는 그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다수의 후크(43)를 갖는다. 후크(43)는 수직열(R) 및 수평단으로 배치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후크열(R)의 총수는 9개이고 3개 그룹으로 분리되며 5개의 연속 후크열로 구성된 중앙 그룹과 좌우측 그룹으로서, 중앙 후크 열 그룹으로부터 일정 거리 가로 방향으로 이격되고 각각 2개의 인접한 구직 후크 열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현수막 파스너(4)는 판형상 기본재(42) 및 후크(43)가 합성수지재로 일체로 성형되고, 각 후크 열(R)의 후크 방향이 특징적으로 배열되고, 후크부(41)는 특징적인 모양의 출구 또는 트인 구멍(41a)을 갖는 것이다. 제1-3도에서 제시된 실시예에서, 중앙의 5개 후크 열(R)에 후크(43)는 바닥으로부터 제1 및 제2 단에 위치한 상기 후크(43a)가 하방향으로 향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방향을 향하는 것이다. 죄우측 그룹에 2개의 인접 후크 열(R)에서 내측 열의 후크(43)는 모두 하방향으로 향하며, 2개의 인접한 후크열(R)중 다른 내측 열의 후크 (43)는 바닥으로부터 제1 및 제2단에 위치한 2개의 후크가 하방향으로 향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방향을 향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바닥으로부터 적어도 2개의 연속단을 형성하는 모든 후크(43a)는 하방향을 향한다. 후크(43a)의 후크 방향을 제외하고는, 후크(43)의 각 열(R)의 후크 방향은 예시된 실시예에 관해 서술된 바와 다르게 조합가능한 것이다.
상기 배열로, 커튼(1)이 현수막 파스너(4)로부터 분리되고, 커튼의 상부 말단부가 하방향으로 점진적으로 박리되게 된다. 상기 경우에서, 박리방향은 현수막 파스너(4)의 하단부에 후크 방향과 동일하고, 커튼(1)은 하단부에 인접하게 위치한 후크(43a)에 과도한 힘을 부여하지 않으며 최대한 부드럽게 박리될 수 있다. 그러므로, 후크(43a)는 우발적인 파손을 초래하지 않으며, 장시간 사용동안 신뢰성 있는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박리 조작 중에, 커튼(1)의 중량은 바닥으로부터 제 3 단 후크(43)에 일시적으로 집중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순간에, 부분적으로는 바닥으로부터 제1 및 2 단내 후크(43a)의 존재 때문에, 그리고 부분적으로는 바닥으로부터 제 3단 내 후크(43)로부터 부가로 아래쪽으로 연장된 기본재(42)의 존재 때문에, 바닥으로부터의 제 3단내 후크(43)는 위로부터 지지되거나 받쳐지고 따라서 파열되거나 파손을 초래하는 더 큰 정도로 아래도 굽혀지거나 휘어지는 것이 충분히 방지된다. 따라서, 바닥으로부터의 제 3단내 후크(43)는 반복되는 부착 및 분리로 인해 약화되지 않고 따라서 정시간 사용을 견디어낼 수 있게된다. 일반적으로, 현수막 파스너(4)의 하단부와 결합되는 커튼(1)의 부분은 다양하는 여러 방향에서 가해지는 힘을 받는다. 예를 들면, 커튼(1)가 제 5도에 제시된 바와 같이 현수막 파스너(4)의 하단부 근처에 위치한 하방향 후크(43a)는 외부힘에 대한 저항체로서 작용하여, 커튼(1)가 현수막 파스너(4)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어렵게 한다.
제2도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둥근 후크부(41)는 기본재(42)의 상단부와 목부(41b)를 통해 결합되고 아치모양을 갖는다. 후크 부분(41)은 아치 모양 후크 부분(41)의 말단부와 목부(41b) 사이에 형성된 출구 또는 트인 구멍(14a)을 갖는다. 후크 부분(41)은 부가로, 말단부까지 이어지고 아치형 후크 부분(41)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외측으로 돌출한 부리형상 직선부(41c)를 갖는다. 그리하여 부리형상 직선부(41c)의 제공으로, 후크 부분(41)커튼 런너(3)의 고리(3a)에 용이하게 걸릴 수 있다. 후크 부분(41)의 외형 및 모양은 예시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변형 및 개조가 가능한 것이다.
제1도에 제시된 실시예에서, 현수막 파스너(4)는 단일 부품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또한 제2 및 3도에 제시된 바와 같이, 복수 현수막 파스너(4)가 적어도 일 코드(5)를 사용하여 예정된 일정 간격으로 접속된 다른 적용형태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 두 번째 경우에서, 각각의 현수막 파스너(4)의 후크 부분은 상술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갖고 상술된 바와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코드(5)는 합성수지 필라멘트, 합성섬유 얀, 꼬아진 로프, 테이프 등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이고 필요한 정도의 강도 및 유연성을 갖는 것이다. 실제 응용에서, 루프(11a)를 갖고 커튼의 상부 모서리를 따라 부착된 인접한 암 파스너 테이프 피스의 각각의 쌍 사이의 간격은, 필요한 거리만큼 인접한 상호 연결된 현수막 파스너(4) 각각의 쌍 사이의 거리 보다 크다. 상기 배열로써, 현수막 파스너(4)가 커튼(1)에 대응하는 암 파스너 테이프 피스에 대해 동시에 하나씩 연속적으로 부착되면, 인접 암 파스너 테이프 피스(11) 각각의 쌍 사이에 연장된 커튼(1)의 일부는 암 파스너 테이프 피스(11)와 현수막 파스너(4) 사이에 간격 또는 피치에서의 차이와 동일한 거리 만큼 접혀지거나 또는 휘어진다. 그리하여, 자동적으로 접혀진 커튼 부분은 커튼(1)에 주름을 혜택한다.
복수 현수막 파스너(4)를 서로 코드(5)로 연결하기 위해서, 현구막 파스터(4)는 각각의 기본재(5)에 일체로 성형된 코드(5)에 연속적으로 성형된다. 즉, 기본재(42)를 성형하기 위한 공동 및 코드(5)를 통과시키는 통로용 안내채널이 있는 사출성형용 금형이 제공된다. 안내 채널내에 안내되는 코드(5)는 소정 간격으로 전진되고, 소정 간격으로 전진 이동하는 코드(5)와 동시적으로, 응용 합성수지재가 반복적으로 공동 내에 사출되어 연속적으로 기본재(42)를 형성한다. 결과적으로, 예정된 폭으로 연속성 코드(5)에 일체성형된 측방향으로 이격진 일련의 현수막 파스너(4)가 생성된다.
제1도의 현수막 파스너(4)의 성형공정을 이하에 간단히 기재한다. 성형공정은 금형 조립체를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금형 조립체는 현수막 파스너(4)의 배면형성용 공동을 갖는 고정 몰드와, 기본재(5)의 정면형성용 공동을 갖는 가동 몰드와, 가동 몰드의 형 표면에 설치되고 후크부(41) 형성용 공동을 결합적으로 형성하는 2개 몰드 파트로 구성된 스플릿 몰드, 및 가동 몰드의 성형면에서 설치되고 각각 후크(43,43a)의 일 열을 성형하기 위해 일련의 공동을 결합적으로 형성하는 2개 몰드 파트로 구성되는 스플릿 몰드 그룹으로 구성된다. 조작은, 가동 몰드가 관련 스플릿 몰드 그룹과 함께 고정 몰드 방형으로 이동하여 금형이 폐쇄된다. 상기 금형의 공동 내에 탕구(sprue)와 런너를 통해서 응용수지가 사출된다. 냉각후에 금형을 개방하면, 후크 부분(41) 성형용 스플릿 몰드 및 후크(43, 43a) 성형용 스플릿 몰드 그룹이 먼저 개방되어, 제품이 급형으로부터 제거되는 상태에 놓인다. 그런데 이러한 상태에서는, 기본재(41)에 후크부(41) 및 후크(43, 43a)가 스플릿 몰드의 대응공동부 내에 부착된채로 있기 때문에, 제품은 외부힘이 제품에 가해지지 않으면 가동 몰드로부터 원활하게 취출할 수 없다. 따라서 금형을 개방한 후, 가동 몰두를 통해서 제거핀을 작동시켜 제품의 후크(43, 43a)의 열 사이에 좌우 신장형 평활면을 압압시켜 제품을 몰드 밖으로 강제적으로 밀어낸다. 따라서, 금형에서 제품을 원만하게 취출하기 위해, 본 실시예의 현수막 파스너(4)는 그 대향면에 두 개의 신장형 평활면을 가지며, 평활면에는 후크(43, 43a)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제거핀의 밀어내는 작용을 수용한다. 상술된 실시예에서, 제거핀과 함께 동작하는 신장형 평활면은 좌우 편형한 랜드(43b)로 구성된다. (제1도). 상술된 바와 같이, 편평한 랜드(43a)는 각각 2개의 인접한 세로 후크열(R)로 구성된 좌측 후크 열 그룹과, 5개의 연속적인 직교 후크 열(R)로 구성된 중앙 후크 열 그룹 사이에, 그리고 중앙후크 열 그룹과 인접한 직교 후크 열(R)로 구성된 우측 후크 열 그룹 사이에 형성된다.
후크 부분(41)과 기본재(42)는 일회의 사출으로 일체성형되기 때문에 현수막 파스너(4)는 생산성이 우수하게 제조된다. 또한 성형된 현수막 파스너(4)는 편평한 랜드(43b)로 인해, 후크(43, 43a)와 제거핀 사이의 출돌으로 인한 후크(43, 43a)의 손상없이 금형으로부터 원활하고 신뢰성있게 취출될 수 있다. 부가로, 후크 부분(41)과 기본재(42)는 동일 재료로 구성되기 때문에, 그들은 동일 색조로 용이하게 채색될 수 있다. 더욱이, 합성수지재료로 형성되는 후크부(41)는 합성수지로 성형되는 대응 커큰 런너(3)에 손상을 주지 않고 커튼 런너(3)의 내구성을 확보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커튼(1)의 상부 모서리를 따라 부착된 암 면파스너부재(11)는 각각 편직(編織)으로 형성된 다수의 섬유 루프(11a)를 갖는 암 파스너 테이프 피스로 구성된다. 루프를 갖는 파스너 테이프 피스를 대신하여, 본 발명의 현수막 파스너(4)의 기본재(42)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사출성형된 파스너 피스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 경우에, 커튼(1)에 부착된 면파스너 부재에 후크의 방향은 현수막 파스너(4)에 후크(43)의 방향과 반대이도록 배열해야 한다는 주의가 필요하다. 더욱이, 커튼(1) 면파스너 부재에 후크는 커튼(1)의 중량으로 발생되는 우발적인 분리에 대해 저항력이 크게 고정 힘이 발생되도록 하방향으로 양호하게 향해져야 한다.
다음, 자동차 내장 마감재용 파스너에 적용되는 본 발명 파스너 디바이스의 일반적인 실시예를 제6-8도를 참고하여 이하에 서술하며 여기서, 제6도는 파스너의 평면도이고, 제7도는 그 전방 입면도이고, 제8도는 그 측면도이다. 제6-8도에서, '45'로 명시된 본 발명의 파스너(내장 마감재 파스너)는 직사각형 모양이고 자동차 승객석에 몸체(60)(제7 및 8도)에 부착되도록 채택된다. 자동차의 내장 마감재(70)에 고정된 직사각형 암 파스너 피스는 제7 및 8도에서 '110'으로 명시된다. 파스너(45) 및 암 파스너 피스(110)는 각각 판형상 기본재(46, 111)를 갖는다.
파스너(45)는 기본재(46)의 일 표면(정면)으로부터 돌출한 복수 후크(47) 및 기본재(46)의 반대 표면(후면)에 중앙 설치된 탄성 결합부 (48)를 포함한다. 탄성 결합부(48)는 그와 일체로 형성되고 평단면이 직사각형인 스터드형 돌출부(48a)를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기본재(46)의 정면을 각각 다수의 평행하고 나란한 후크(47) 열을 포함하는 4개 구간으로 나뉘어 있다. 각 열(R)에 후크는 이하에 기재되는 예외를 가지며 동일한 후크 방향을
갖고 후크열의 축선에 정렬 배치된다. 한 구간에 설치된 후크(47)의 후크 방향은 인접 구간에 설치된 후크(47)의 후크 방향에 대해 직교한다(즉, 한 구간내 각 후크(47) 열(R)의 축선은 일접 구간내 각 후크(47) 열(R)의 축에 대해 수직이다). 또한, 일 열(R)내에 후크(47)는 인접 후크(47)의 후크 방향과 반대와 후크 방향을 갖는다. 더욱이, 기본재(46)의 주변 모서리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고 기본재(46)의 내측을 향한 후크 방향을 갖는 각 열(R)내에 후크(47)중에서, 기본재(46)의 주변 모서리에 인접한 최외측에 2개의 후크(47a)는 제7 및 8도에 제시된 바와 같이 기본재(46)의 외부측을 향한다. 그리하여 기본재(46)의 주변 모서리에 대해 수직하게 연장된 후크 열(R)에 있어서, 기본재(46)의 주변 모서리를 따라 연장된 2개의 후크 단에 위치한 후크(47a)는 모두 외부를 향한다.
종래 유형의 파스너(45)인 경우에, 만일 본 발명의 배열이 아니라면, 기본재(46)의 주변 모서리에 인접 설치된 후크(47)는 반복하중을 받을 때 다른 후크(47)에 비해서 피도로가 증기하게 된다. 부가로, 내장 마감재(70)가 파스너(45)로부터 박리되는 경우에는 기본재(46)의 주변 모서리로부터 순차적으로 중앙쪽으로 박리가 진행되기 때문에, 기본재의 내측을 향하는 후크(47)에서는 단지 박리 초기 단계에서 박리저항이 약하여, 결국 파스너의 전체 박리강도를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라 기본재(46)의 주변 모서리에 대해 수직 연장된 복수 후크 열(R)의 전체 열에 있어서, 기본재(46)의 주변 모서리를 따라 2단 후크(47a)의 전체가 상술된 바와 같이 모두 외측을 향하기 때문에, 내장 마감재(7)에 가해지는 외부힘을 후크(47a) 전체에 분산시켜 받으므로 피로가 작아지고, 부가로 내장 마감재(70)를 박리하는 경우에 기본재(46)의 주변 모시리로부터 중앙으로 향하여 박리될 때, 각 열에서 내측을 향하는 최외측 2개 후크(47a)는 제9도에 제시된 바와 같이, 동일 열에 나머지 후크(47)가 모두 기본재(46)의 내측을 향한다해도 초기 박리저항이 강해지고, 외측방향 후크(47a)에 의해, 파스너(45)의 전체 박리강도도 증다된다.
탄성 결합부(48)의 스터드형 돌출부(48a)는 상술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가로 단념을 갖고 스터드형돌출부(48a)의 상면으로부터 하방향으로 만곡되고 직사각면의 장축 반대면에 배치된 2쌍의 좌우탄성 윙(48b, 48c)이 제공되며, 방향으로 만곡된 탄성 윙(48b, 48c)은 스터드형 돌출부(48a)의 반대면에 설치된다. 하방향으로 만곡된 탄성으로 윙(48b, 48c)은 다른 길이를 갖고, 예시된 실시예에서 윙(48b) 길이는 윙(48c) 길이 보다 길다. 구체적으로, 제 8 및 9도에 제시된 바와 같이, 2쌍의 탄성 윙(48b, 48c)은 교차식으로 대향된 탄성 윙(48b, 48b : 48c, 48c)가 동일한 길이를 갖고, 보다 긴 탄성 윙(48b)와 기본재(46)와의 사이의 최단 거리(L)(제 9 도)가 실질적으로 본체(60)의 두께와 동일하도록 배열된다.
기본재(46)는 그 배면에 직사각형 기본재(46)의 4개 모서리를 따라 연장된 4개의 리브형 융기부(49)를 갖는다. 융기부(49)가 존재하기 때문에, 상술된 최단거리는 기본재(46)에 융기부(49)의 상면과 장측 탄성 윙(48b)의 전방단부와의 사이에 거리(L')(제 8 도)에 해당한다. 기본재(46), 후크(47), 스터드형 돌출부(48a), 탄성 윙(48b, 48c) 및 리브형 융기부(49)는 사출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다. 암 파스너 피스(110)의 기본재(111)는 직사각형 파스너(45)와 동일한 크기의 직사각형상이고, 그 일 표면에는 정해진 공지된 방법으로 형성된 복수 루프(112)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파스너(45) 및 암 파스너 피스(110)는 면파스너와 결합구성된다. 따라서, 파스너(45) 및 암 파스너 피스(110)를 서로 마주보게 압압하면, 상기 파스너와 피스는 그 전체 면적에 걸쳐 단단히 접합된다.
상기 구성의 면파스너를 예를 들어 자동차의 천정부 또는 도어 패널부에 내장 마감재(70)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할 시에는, 암 파스너 피스(110)가 접착제(接着劑) 또는 점착제(粘着劑)와 같은 고착제(固着劑)에 의해 외측방향 루프(112)를 갖는 내장 마감재(70)에 예정된 위치에 고착된다.
파스너(45)는 탄성 결합부(48)을 본체(60)내 직사각형 구멍 또는 트인 구멍(60a)을 통해 삽입되어 본체에 부착된다. 상기 시간 동안, 탄성 결합부(48)의 상단부가 하방향으로 만곡된 탄성 윙(48b, 48c)의 작용으로 인해 테이퍼지기 때문에, 탄성 윙(48b, 48c)은 탄성 결합부(46)가 전진함에 따라 상호 내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굽어진다. 탄성 결합부(48)의 부가적인 전진 이동은 스터드형 돌출부(48a)가 직사각형 트인 구멍(60a)와의 피팅결합이 이루어지게 하고, 동시에 탄성 윙(48b, 49c)은 트인 구멍(60a)을 통과하고, 이로써 자체 탄성으로 인해 본체(60)의 배면 위로 외방향으로의 굽어짐이 허용된다. 이러한 경우에, 장측 탄성 윙(48b)의 전방 단부는 직사각형 트인 구멍(60a)의 주변에 본체(60)의 배면과의 압착이 유지된다. 따라서, 파스너는(45)는 본체에 강력하게 부착되고 본체(60)는 파스너(45)의 기본재(46)에 리브형 융기부(49)와 탄성 결합부(48)와의 사이에 고착된다.
리브형 융기부(49)의 존재로, 파스너(45)의 기본재(46) 및 본체(60)는, 파스너(45)가 본체(60)에 부착될 때 기본재(46)가 본체(60)쪽으로 탄성적으로 굽어질 수 있게 허용하는 공간을 형성한다. 기본재(46)의 탄성 굽어짐은 탄성 윙(48b, 49c)의 통과를 확실히 한다. 파스너(45)가 본체(60)에 부착된 후, 굽어진 기본재(46)에는 본체(60)로부터 이격지는 방향으로의 탄성력이 작용함으로, 파스너(45)와 본체(60) 사이의 결합강도가 증가된다.
다음, 내장 마감재(70)에 고착된 암 파스너 피스(110)의 루프(112)는 본체(60)에 부착된 파스너(45)의 후크(47, 47a)에 대항하여 힘을 받고, 이때 구프(112) 및 후크(47, 47a)는 기본재(111, 46)의 전체면에서 걸쳐 상호접합된다. 따라서, 내장 마감재(70)는 본체(60)에 강력하게 고정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체(60)에 형성된 트인 구멍(60a)는 그 주변 모서리에 돌기부(도시 않음)을 가져 트인 구멍(60a)의 깊이가 대부분의 경우 본체(6)의 두께와 같지 않으며 본체(60)의 두께보다 크다. 만일, 트인 구멍(60a)의 깊이가 본체(60)의 두께를 초과하면, 종래 파스너의 탄성결합부(48)는 트인 구멍(60a)를 통해 통과할 수 없어서 본체(60)에 파스너를 부착시키는데 실패하게 된다. 대조적으로, 본 발명에 따라서는, 윙(48b, 48b)이 다른 길이를 갖고 대각선적으로 대향된 2개의 윙(48b, 48 ; 48c, 48c)이 동일한 길이를 갖기 때문에, 돌기부의 간섭으로 인해서 장측 윙(48b, 48b)이 트인 구멍(60a)을 통한 이동이 방해를 받을 때라도, 적어도 2개의 대각선적으로 대향된 단측 윙(48c, 48c)은 트인 구멍(60a)을 통해 이동하여, 본체(60)의 배면과 상호결합되게 전해질 수 있는 것이다.
기본재(46)에 있는 리브형 융기부(49)는 본 발명의 중요한 부품을 형성하지 않는 것으로서 생략 가능한 것이다. 사각형 또는 원형인 기본재(46)에서는, 리브형 융기부(49)가 사각형 또는 원형 기본재의 주변 모서리를 따라 예정된 간격으로 제공될 수 있다. 삼각형 기본재인 경우에는, 리브형 융기부(49)가 삼각형 기재의 코너에 위치되어야 한다. 모든 경우에서, 내장 마감재(70)는 편평하거나 원형으로 휘어질 수 있는 것이다. 부가로, 기본재(46)는 그 탄성 증가를 위해서 필요한 위치에 관통 구멍또는 홈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발명의 효과]
상술된 내용으로부터 본 발명의 파스너는 일 피스, 일체성형 구조를 가지므로 생산성이 우수하고, 파스너의 모든 부품이 동일 소재이기 때문에, 파스너는 파스너와 조합되어 사용되는 커튼의 디자인과 잘 어울리는 원하는 색조로 채색으로 시공하여 다양한 요구에 대응할 수 있어 외관이 우수한 고품질의 제품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커튼 또는 스크을 매달기 위해 사용되는 파스너의 경우에, 각 후크 열의 단부에 위치한 적하나의 후크는 현수막 파스너의 주변 모서리의 외측을 향한다. 상기 배열로, 후크가 성형으로 형성되더라도, 기본재의 단면에 배치된 후크에는 단부 후크를 파손시키거나 절단하려는 과도한 힘 또는 굽힘응력이 작용하지 않아서, 후크는 고 내구력이 있고 반복되는 응력을 충분히 견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예를 들어 차량의 패널과 내장재를 참가하여 설치하기 위한 파스너로서 사용하는 경우에서, 기본재의 주변 모서리에 대해 직교하는 복수 후크 열의 전체 열에서, 주변 모서리를 따라 설치된 후크 전체가 후크 방향이 외측방향을 향하였기 때문에, 내장 마감재에 가해지는 외력을 주변 모서리를 따라 연장된 후크 전체가 고르게 분담하여 받으므로, 최외측 후크의 피로가 적어진다. 부가로, 내장 마감재를 박리하는 경우에 기본재의 주변 모서리로부터 중앙으로 박리될 때. 후크방향이 기본재의 외부 주변 모서리로부터 내측을 향하는 후크 열에서도, 그 단부의 후크의 후크방향이 외측방향을 향하기 때문에, 초기 박리저항이 강해져 파스너 전체의 박리강도도 일층 증가한다.

Claims (5)

  1. 각각의 후크 열(R)에 후크(43 : 47)는 후크 열(R)의 축선방향으로 정렬된 동일한 후크 방향이고, 일 후크 열(R)에 후크(43 : 47)와 인접후크 열(R)에 후크(43 : 47)는 필히 동일 후크 방향이지는 않은, 기본재(42 : 46)와 일체로 성형되고 복수 열(R)로 배열된 복수 후크(43 : 47)를 그 표면에 갖는 기본재(42 : 46)를 구비하는, 합성수지로 성형되고 대응부재(1: 70)의 파스너 부품(11 : 10)과 결합되는 파스너 디바이스(4: 45)에 있어서; 상기 기본재(42 : 46)의 주변 모서리에 인접한 각각의 후크 열(R)에 적어도 일 후크(43a :47a)는,상기 주변 모서리로부터 이격져 외측방향으로 대면하는 후크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부재(1)는 커튼과 같은 현수막이고, 상기 파스너 디바이스(4)는 가로 기본재(42)의 상단부와 일체로 형선된 목부(41b)를 갖는 둥근 후크부(41)를 구비하고, 상기 기본재(42)의 하단부 모서리를 따라 배치된 후크(47a)는 하방향과 대면하는 후크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디바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둥근 후크부(41)는, 그 말단부와 목부(41b)와의 사이에 형성된 트인 구멍(41a)를 갖고, 그에 대해서 반경 외방향으로 직교연장되어 상기 말단부까지 이어지는 부리형 직선부(41c)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디바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부재(70)는 판형상 내장 마감재이고, 상기 기본재(46)는 어느 정도의 강성을 갖고, 상기 기본재(46)의 일 표면에 후크(47)는 복수 열(R)로 배치되고, 상기 기본재(46)의 주변 모서리에 직교연장된 각각의 후크 열(R)에서, 상기 주변 모서리에 인접된 적어도 최외측 후크(47a)는 주변 모서리의 외측방향과 대면하는 후크방향이고, 상기 파스너 디바이스(45)는 기본재(46)의 다른 표면에 중앙에 배치된 스터드형 돌출부(48a)도 구비하고, 그 위에, 탄성 결합부(48)가 내장 마감재(70)가 부착되는 장착 부재(60)에 결합을 위해 그 전방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탄성 결합부(48)는 장착부채(60)내에 트인 구멍(60a)을 삽입통과하여 파스너 디바이스(45)를 장착 부재(60)에 고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디바이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결합부(48)는 상기 스터드형 돌출부(80a)의 전방 단부에 평행하게 연결설치된 적어도 2쌍의 윙(48b, 48c)으로 구성되고, 상기 탄성 윙(48b, 48c)의 2개 인접 윙의 일 윙(48b)은 상기 2개 인접 탄성 윙(48b, 48c)의 다른 일 윙(48c)보다 긴 것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디바이스.
KR1019940033574A 1993-12-08 1994-12-07 파스너 디바이스 KR01532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308340A JP2872555B2 (ja) 1993-12-08 1993-12-08 係着具
JP93-308340 1993-12-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7104A KR950017104A (ko) 1995-07-20
KR0153227B1 true KR0153227B1 (ko) 1998-12-01

Family

ID=17979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3574A KR0153227B1 (ko) 1993-12-08 1994-12-07 파스너 디바이스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5615461A (ko)
EP (1) EP0657130B1 (ko)
JP (1) JP2872555B2 (ko)
KR (1) KR0153227B1 (ko)
CN (1) CN1051216C (ko)
BR (1) BR9405016A (ko)
CA (1) CA2137434C (ko)
DE (1) DE69411357T2 (ko)
ES (1) ES2117218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94642A (en) * 1998-03-12 1999-04-20 Eberhardt; Stephanie A. Hook and loop hanger for shower curtain and liner
US6038749A (en) * 1998-03-12 2000-03-21 Eberhardt; Stephanie A. Hook and loop combined shower curtain and liner construction
JP2000041829A (ja) * 1998-07-31 2000-02-15 Ykk Corp 飾りカーテンボックス
US6098699A (en) * 1999-06-21 2000-08-08 Samantha M. Junius Easy curtain
JP2001120311A (ja) * 1999-10-27 2001-05-08 Ykk Corp 係着具
AU3846500A (en) * 2000-04-04 2001-10-15 Grylls, Ingrid Curtain assembly
ATE468774T1 (de) * 2000-07-11 2010-06-15 Riri Sa Gas- und wasserdichter reissverschluss, bei welchem die zähne auf dem tragband aufgeschweisst sind
US20040154083A1 (en) * 2002-12-23 2004-08-12 Mcvicker Henry J. Sports pad closure system with integrally molded hooks
US20040139585A1 (en) * 2002-12-26 2004-07-22 Mcvicker Henry J. Fastening kit and injection molded fastening article for use in such a kit
FR2889037B1 (fr) * 2005-07-29 2007-09-14 Aplix Sa Auto-agrippant crochet-crochet issus de moulage
WO2008077976A1 (es) * 2006-12-26 2008-07-03 Fordecor, S.L. Dispositivo de sujeción de cortinas
US20080229491A1 (en) * 2007-03-20 2008-09-25 Donna Kim Gregory Shower Curtain Fastener
US8042561B2 (en) * 2008-05-16 2011-10-25 Linda Moravec Varga Auxiliary curtain
US8869869B2 (en) 2008-05-22 2014-10-28 Icp Medical, Llc Systems and methods for deployment of curtains
US8899301B2 (en) * 2008-05-22 2014-12-02 Icp Medical, Llc Methods and systems for deployment of curtains
US20090288786A1 (en) * 2008-05-22 2009-11-26 Graneto Iii Joseph A Methods and systems for deployment of privacy curtains
US9149144B2 (en) * 2008-05-22 2015-10-06 Icp Medical, Llc Systems and methods for deployment of curtains
US8479800B2 (en) * 2008-05-22 2013-07-09 Icp Medical, Llc Systems and methods for deployment of curtains
US9125509B2 (en) * 2008-05-22 2015-09-08 Icp Medical, Llc Methods and systems for deployment of curtains
ES2307459B1 (es) * 2008-06-06 2009-10-14 Fordecor, S.L Dispositivo de sujecion de cortinas.
US8397346B2 (en) 2010-05-19 2013-03-19 Icp Medical, Llc Methods and systems for deployment of curtains
WO2016114516A1 (ko) * 2015-01-15 2016-07-21 김성철 블라인드형 커튼용 연결구와 이를 포함하는 블라인드형 커튼
JP2017124061A (ja) * 2016-01-14 2017-07-20 ユニテックパロマ株式会社 カーテンフック
CN206964506U (zh) * 2017-01-04 2018-02-06 许敏 一种简易帘类挂钩
USD980048S1 (en) 2018-07-25 2023-03-07 Medline Industries, Lp Hanger system
US11291325B2 (en) * 2018-07-25 2022-04-05 Medline Industries, Lp Hangable apparatus and systems and methods therefor
US10945548B2 (en) 2018-07-25 2021-03-16 Medline Industries, Inc. Hangable apparatus and systems and methods therefor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624753A (ko) * 1961-11-14
JPS62233509A (ja) * 1986-04-02 1987-10-13 北川工業株式会社 基板固定具
JP2545058Y2 (ja) * 1990-07-03 1997-08-25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フック片を一体成形した合成樹脂製面ファスナー用係着部材
JP2549667Y2 (ja) * 1991-02-14 1997-09-30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吊下げ具
JP2569217Y2 (ja) * 1993-02-23 1998-04-22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吊下布取付具
CA2120810C (en) * 1993-04-15 1998-01-06 Ykk Corporation Curtain attachment connector assembly and curtain attachment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137434C (en) 1998-07-14
JPH07155211A (ja) 1995-06-20
CN1111975A (zh) 1995-11-22
EP0657130B1 (en) 1998-07-01
DE69411357T2 (de) 1999-02-04
CA2137434A1 (en) 1995-06-09
DE69411357D1 (de) 1998-08-06
ES2117218T3 (es) 1998-08-01
CN1051216C (zh) 2000-04-12
EP0657130A1 (en) 1995-06-14
JP2872555B2 (ja) 1999-03-17
KR950017104A (ko) 1995-07-20
US5615461A (en) 1997-04-01
BR9405016A (pt) 1995-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3227B1 (ko) 파스너 디바이스
EP0619970B1 (en) Curtain attachment connector assembly and curtain attachment connector
USRE36779E (en) Molded surface fastener
US5685050A (en) Hook structure for molded surface fastener
KR0184597B1 (ko) 커텐부착커넥터
EP0287060B1 (en) Pull tab for slide fastener slider
JPH10201504A (ja) 一体成形により得られる面ファスナー用係合部材
KR100298803B1 (ko) 감침슬라이드파스너의분리형하부멈춤조립체
ITTO20001014A1 (it) Dispositivo di aggancio.
EP0809953B1 (en) Connector-equipped cord.
EP0698352B1 (en) Molded surface fastener
US2463840A (en) Method of making separable fasteners
KR100339142B1 (ko)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
JP2000287341A (ja) 電線等の留め具
KR0140370Y1 (ko) 커튼부착 커넥터 조립체 및 커튼부착 커넥터
JP2590712Y2 (ja) 布吊下連結具
JP2569217Y2 (ja) 吊下布取付具
JP2895379B2 (ja) 布吊下連結具
JP4449244B2 (ja) シートクッションの取付け構造
US4117575A (en) Fastener
EP2090737A1 (en) Guide-ring tape, curtain employing the tape, and structure for attaching guide-ring tape to curtain fabric
JPH0677668U (ja) カーテン吊下げ構造
JPH07298977A (ja) カーテンランナー、カーテン及びそれらの係脱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62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