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0370Y1 - 커튼부착 커넥터 조립체 및 커튼부착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튼부착 커넥터 조립체 및 커튼부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0370Y1
KR0140370Y1 KR2019940007821U KR19940007821U KR0140370Y1 KR 0140370 Y1 KR0140370 Y1 KR 0140370Y1 KR 2019940007821 U KR2019940007821 U KR 2019940007821U KR 19940007821 U KR19940007821 U KR 19940007821U KR 0140370 Y1 KR0140370 Y1 KR 01403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tain
hook member
fastener
connector
elastic st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078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4098U (ko
Inventor
토오루 야마모토
아키히코 히사노
토시아키 타키자와
Original Assignee
요시다 다다히로
와이케이케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93019284U external-priority patent/JP2591262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93028040U external-priority patent/JP2590712Y2/ja
Application filed by 요시다 다다히로, 와이케이케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요시다 다다히로
Publication of KR94002409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409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03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037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H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 A47H13/00Fastening curtains on curtain rods or r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H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 A47H15/00Runners or gliders for supporting curtains on rails or rods
    • A47H15/02Runners

Abstract

커튼행거부재(3)과 커튼(1)의 상부 가장자리를 연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몰딩된 커튼부착커넥터(4)는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서 커튼(1)에 부착된 표면형 분리가능 파스너부재(11)의 파스너면과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파스너면(43)을 갖는 파스너부재(42)와, 파스너부재(42)와 일체로 형성되어 커튼행거부재(3)에 착탈되는 후크부재(41)과, 다른 물품이 개구부(41a)를 통해 후크부재(41)속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후크부재(41)의 개구부(41a)에 배치되는 차단수단(44)로 구성되며, 상기 차단수단(44)는 소정 강도의 외력을 받을 때 후크부재(41)의 내측으로 변형된다. 이렇게 구성된 몰딩 커튼부착커넥터는 높은 제조효율로 제조될 수 있으며, 커튼부착/분리 동작을 용이하게 하며 커튼의 개폐동작을 원활히 하며 여러방식으로 착색될 수 있다.

Description

커튼부착 커넥터 조립체 및 커튼부착 커넥터
제1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튼부착 커넥터에 의해 커튼러너에 커튼이 부착되는 방식을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후크부재와 차단수단을 구비한 커튼부착 커넥터의 부분 확대측면도.
제3도 내지 제5도는 차단수단의 여러 가지 변형예를 도시한 제2도와 유사한 측면도.
제6도는 가요성 코드상에 소정 간격으로 장착된 일련의 커튼부착 커넥터를 포함한 커튼부착 커넥터 조립체를 도시한 측면도.
제7도는 제6도에 도시된 커튼부착 커넥터 조립체의 배면도.
제8도는 본 고안의 부착 커넥터 조립체에 의해 부착된 커튼의 상부가장 자리의 일부를 도시한 개략 정면도.
제9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단수단이 없는 커튼부착 커넥터에 의해 커튼러너에 커튼이 부착되는 방식을 도시한 사시도.
제10도는 차단수단이 없는 커튼부착 커넥터 조립체를 도시한 측면도.
제11도는 제10도에 도시된 커튼부착 커넥터 조립체의 배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커튼 2 : 커튼레일
3 : 커튼러너 4 : 커튼부착 커넥터
41 : 후크부재 42 : 파스너부재
43 : 파스너면 45 : 코드
본 고안은 커튼 러너와 같은 현수부재와 커튼 등을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커튼부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병원이나 호텔에서 사용되는 대부분의 커튼은 임대된 것으로서 주기적으로 교체 및 세탁된다. 커튼 교체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커튼 부착 및 분리공정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을 취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일본 특허공보 제 40-27706 호와 일본 실용 공개공보 제 57-142986 호와 2-107387 호에서는 커튼 레일이나 안내 바아와 같은 커튼 안내부재에 장착되는 커튼러너에 대하여 커튼을 용이하게 착탈하게 하고 있다.
예를 들어, 일본 실용공개 제 2-107387 호에 제시된 커튼부착 커넥터는 커튼러너와 일체로 형성된 커튼부착부와, 커튼부착부의 일측에 결합된 표면형의 분리가능한 파스너의 두 개의 암형 및 수형 파스너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파스너 부재는 커튼의 상부 가장자리에 부착된 대응의 다른 파스너부재와 가압결합 및 분리된다. 이러한 커튼부착 커넥터에 의해, 커튼은 커튼러너에 용이하게 착탈될 수 있다.
그러나, 면파스너부재는 위빙(weaving) 또는 니팅(knitting)에 의해 형성되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은 커튼부착 커넥터는 제한생산되며, 필요한 결합력이나 강도를 유지할 수 없다. 다른 일본 공보에 제시된 커튼부착 커넥터도 역시 위빙 또는 니팅으로 만들어진 면파스너를 가지므로 상술한 바와 같은 어려움을 갖는다.
이와 같은 어려움 때문에 본 고안자는 이미 일본 실용공개 제 4-104909 호에 기재된 바와 같은 개량된 커튼부착 커넥터를 제안하였다. 이러한 커튼부착 커넥터는 합성수지로 성형되어 일측면에 종횡으로 배열된 다수의 후크를 갖는 플레이트형 파스너부재와, 커튼러너에 부착부를 걸기 위해 전방단부에서 분리가능하게 결합된 2개의 금속와이어로 된 부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파스너부재와 부착부는 사출성형에 의해 일체로 성형된다.
일본 실용공개 제 4-104909 호에 제시된 커튼부착 커넥터는, 파스너부재가 성형제품이기 때문에, 이런 성형 파스너부재의 후크는 대응 파스너부재와 결합될 때 위빙 또는 니팅으로 만들어진 종래 파스너부재상의 단일 필라멘트로 형성된 후크에 의해 발생되는 결합력보다 훨씬 큰 결합력이나 강도를 형성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금속부착부가 파스너부재에 삽입체로서 성형되어야 하기 때문에, 금속 부착부는 별도의 제조공정을 필요로 하며 사출성형공정을 복잡하게 한다는 단점을 내포하고 있다.
상기 커튼부착 커넥터를 제품이라는 측면에서 볼 경우에, 금속부착부는 탄성을 가져야 하므로 당연히 스프링강으로 제조되는 동시에, 특수한 설계를 필요로 하므로 이에 따라 제조비가 상승하게 된다. 한편, 커튼러너는 일반적으로 합성수지로 성형되므로 금속부착부와 함께 사용될 때 마모되기 쉽다. 그러므로 합성수지 커튼러너는 장기간 사용에는 적합하지 않다. 또한 금소부착부와 합성수지 파스너부재는 서로 다른 재료로 제조되므로 외관이 잘 어울리지 않으며 또한 동일한 색조로 착색하기가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가능하다면 부착부와 파스너부재는 단일 재료로 일체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일본 실용공개 제 4-104909 호에 기재된 제품과 제조에 관한 단점들을 해소하는 한편 이러한 장치의 여러가지 장점을 유지하기 위해 전체적으로 합성수지로 성형되며 부착부가 다른 물품과 엉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커튼러너에 용이하게 부착 및 분리가능한 커튼부착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합성수지로 성형되며, 커튼 현수부재와 커튼의 상부 가장자리를 연결하기 위해 신장된 안내부재를 따라서 미끄러지는 커튼 현수부재와 커튼 사이에 배치되는 커튼부착 커넥터를 제공하며, 상기 커튼은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서 장착된 분리가능 파스너부재를 구비하며 수형이나 암형 파스너면을 갖는다. 본 고안의 커튼부착 커넥터는 커튼의 분리가능한 파스너부재의 파스너면과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파스너면을 갖는 플레이트형 파스너부재와, 상기 파스너부재와 일체로 형성되어 커튼 현수부재에 착탈되며 개구부를 갖는 후크부재와, 다른 물품이 개구부를 통해 후크부재속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후크부재의 개구부에 배치되어 소정 강도의 외력이 작용할 때 후크부재의 내측으로 변형가능한 차단수단을 포함한다.
양호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차단수단은 후크부재의 개구부를 가로 질러 연장되며 양단부가 후크부재와 일체로 결합된 탄성 스트립을 포함한다. 탄성 스트립의 양단부 중의 적어도 한쪽 단부에는 외력에 의해 파괴될 수 있는 취약부가 형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탄성 스트립은 양단부 사이의 중앙에 위치되어 취약부를 형성하는 노치를 갖는다. 탄성 스트립의 한쪽 단부는 후크부재에 일체로 결합되고 다른쪽 단부는 후크부재로부터 약간 이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커튼부착 커넥터는 느슨하거나 결합되지 않은 상태 또는 상호 연결되거나 결합된 상태로 사용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즉, 상호연결되거나 결합된 상태에서, 다수의 커튼부착 커넥터는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코드에 의해 상호연결되며, 각각의 파스너부재는 길이방향을 따라서 소정간격으로 가요성 코드에 장착된다. 가요성 코드와 각각의 커튼부착 커넥터는 단일의 커튼부착 커넥터 조립체로 일체로 성형된다.
커튼부착 커넥터가 느슨하거나 결합되지 않은 상태로 사용될 경우, 커튼 레일상에는 필요한 갯수의 커튼러너가 미끄럼가능하게 장착되며, 그후 커튼부착 커넥터의 후크부재가 커튼러너의 링에 걸리므로 커튼부착 커넥터가 커튼러너에 부착된다. 이 경우, 후크부재의 개구부에 배치된 차단수단(탄성 스트립)은 그 발휘된 통상의 부착력에 의해 일단부 또는 양단부가 파괴되거나 후크내로 탄성가능하게 변형되므로, 후크부재와 링이 부드럽게 결합될 수 있다. 작용력이 통상의 부착력보다 작을 때 탄성 스트립은 변형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파괴되지도 않기 때문에, 탄성 스트립에 의해 후크부재가 다른 커튼부착 커넥터의 후크와 상호 고정되는 것이 방지된다. 탄성 스트립이 후크부재상에서 외팔보 형태로 유지될 때, 일단 커튼러너의 링에 부착된 후크는 외팔보 형태의 탄성 스트립에 의하여 링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때, 예를 들어 커튼의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 장착된 표면형의 분리가능한 파스너부재의 파스너 표면은 각각의 커튼부착 커넥터의 파스너부재의 파스너표면에 대하여 가압되므로 커튼이 커튼러너에 부착된다. 커튼이 커튼러너로부터 분리될 때 커튼을 어느 한쪽 단부로부터 서서히 벗겨내므로써 매우 용이하게 분리된다.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코드에 의해 상호연결된 일련의 커튼부착 커넥터로 구성되는 커튼부착 커넥터 조립체를 사용하여, 커튼을 커튼레일에 부착할 때, 필요한 갯수의 커튼러너가 커튼레일의 하측으로부터 돌출되는 각각의 링을 갖는 커튼레일에 미끄럼가능하게 장착된다. 그후, 커튼부착 커넥터의 각각의 후크부재가 하나씩 대응 커튼러너의 링에 걸리므로, 커튼부착 커넥터가 커튼러너에 부착된다. 이 경우, 가요성 코드의 한쪽 단부는 적절한 수단에 의해 커튼레일의 대응 단부에 고정된다. 그후, 가요성 코드의 대향 단부가 커튼레일을 따라서 당겨진다. 이때, 커튼부착 커넥터 조립체는 커튼레일에 대하여 평행하게 이격되어 위치되며, 커튼부착 커넥터는 측방으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다. 이어서, 커튼의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간격으로 장착된 일련의 표면형의 분리가능한 파스너부재는 대응의 커튼부착 커넥터의 파스너부재에 대하여 하나씩 가압된다. 따라서, 커튼은 커튼부착 커넥터 조립체에 의하여 커튼레일에 부착된다. 이 경우 각각의 후크의 개구부에 배치된 차단수단은 상술한 바와 같은 기능을 제공한다.
각각의 커튼부착 커넥터를 상호연결하는 코드의 가요성 때문에, 또한 커튼상에 규칙적으로 이격된 파스너부재 때문에, 커튼의 상부가장자리는 단단하지 않지만 여전히 적절한 정도의 가요성을 유지한다. 따라서, 커튼러너의 매우 부드러운 미끄럼 동작에 의해 커튼이 개폐될 수 있다. 커튼상에서의 파스너부재의 피치는 커튼부착 커넥터의 피치보다 크다. 이러한 피치의 편차로 인하여, 커튼이 완전히 닫혀진 상태일 때라도 일련의 주름이 커튼상에 형성된다. 커튼부착 커넥터 조립체의 사용에 의해, 커튼은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 있는 동안 규칙적으로 접혀지며 보기좋은 외관을 부여한다.
각각의 커튼부착 커넥터와 커튼부착 조립체의 가요성 코드는 사출성형기상에 일체로 성형된다. 제조시, 가요성 코드는 하나의 커튼부착 커넥터의 파스너부재를 성형하기 위해 성형공동을 가로질러 성형 조립체에 세팅된 후 성형 조립체를 간헐적으로 통과한다. 가요성 코드가 정지되어 있을 동안, 용융된 합성수지 재료가 성형 공동속으로 주입되므로, 한 번에 하나의 커튼부착 커넥터가 형성된다. 따라서, 커튼부착 커넥터 조립체는 높은 생산성과 낮은 생산비로 제조될 수 있다. 커튼부착 커넥터 조립체는 연속적인 스트링 형태를 가지므로 취급, 보관 및 조절이 용이하다. 사용시, 연속적인 커튼부착 커넥터 조립체는 필요한 길이로 절단된다.
본 고안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본 고안의 원리에 따른 양호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도면에 의해 당업자에게 명백히 이해될 것이다.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도면부호가 부여되었으며, 제1도에는 각각의 커튼러너(3)에 커튼(1)을 부착하기 위해 사용되는 커튼부착 커넥터(4)가 도시되어 있다. 커튼(1)은 그 상단 가장자리를 따라서 바느질로 커튼(1)에 부착되어 소정 간격으로 동일하게 이격된 일련의 암형 또는 루프파스너 테이프(11)(2개만 도시)를 갖는다. 상기 루프파스너 테이프는 일반적으로 후크-루프 파스너로 알려진 표면형의 분리가능한 파스너의 한 부분(암형 부분)을 형성한다. 도면부호(2)는 안내부재를 구성하는 커튼레일을 나타낸다. 상기 커튼레일(2)은 커튼레일(2)의 바닥벽을 따라 연장되는 슬릿형 개구부(21)가 제공된 신장된 C 형 단면 바아로 구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커튼부착 커넥터(4)는 일반적으로 커튼러너(3)의 선회 루프 또는 링(3a)에 걸리게 되는 후크부재(41)와, 플레이트형 파스너부재(42)로 구성된다. 상기 파스너부재(42)의 한쪽면에는 다수의 후크(43a)가 돌출된다. 따라서, 후크면은 후크(43a)를 포함하는 파스너면(43)을 구성한다. 상기 후크(43a)는 제1도에서 수평열과 수직열로 정렬되어 있다.
수직 후크열의 갯수는 9개이며, 이러한 9개의 열은 3개의 그룹, 즉 5개의 수직열을 갖는 중심그룹과, 상기 중심그룹의 양쪽에 소정간격으로 배치되며 그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2열을 갖는 좌측 그룹과 우측그룹으로 분리된다. 상기 공간은 신장된 평면영역(43b)에 의해 형성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커튼부착 커넥터(4)가 사출성형으로 제조될 때, 평면영역(43b)은 방출핀(도시않음)을 수용할 수 있도록 충분히 넓은 폭을 갖는다. 신장된 평면영역(43b)은 방출핀의 위치에 따라서 파스너면(43)에 국부적으로 제공된 별개의 영역으로 대체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모든 후크(43a)는 굴곡된 단부가 상부를 향하도록 동일방향을 향하고 있다. 선택적으로, 수직열의 중심 그룹의 후크(43a)는 상부를 향하는 반면, 평면영역(43b)을 통해 인접한 좌우측 열의 후크(43a)는 하부를 향할 수도 있다. 수평열 및 수직열에서 후크의 배향에 관한 다른 조합도 가능하다.
커튼부착 커넥터(4)의 중요한 특징은 후크부재(41)와 플레이트형 파스너부재(42)가 합성수지 재료로 일체로 성형된다는 점이다. 다른 중요한 특징은 차단수단(44)에 작용하는 외부의 힘이 소정강도보다 크지 않은 한 다른 물품이 개구부(41a)를 통해 후크부재(41)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후크부재(41)의 개구부에 차단수단(44)이 배치된다는 점이다.
차단수단(44)은 개구부(41a)를 차단하거나 폐쇄하기 위해 후크부재(41)의 개구부(41a)를 가로지러 수직연장되는 탄성 스트립을 포함한다. 제2도에 도시된 탄성 스트립(44)은 탄성 스트립(44)의 양단(44a, 44b)이 개구부(41a)를 향하는 후크부재(41)의 양측부와 일체로 결합되도록 후크부재(41)와 일체로 형성된다. 탄성 스트립(44)의 단부(44a)와 후크부재(41)사이에 형성된 결합부는 예리한 코너를 갖는다. 탄성 스트립(44)은 후크부재(41)보다 얇은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를 갖기 때문에 탄성 스트립(44)의 단부(44a, 44b)는 소정 강도의 외력이 작용할 때 파괴되기 쉬운 취약부를 형성한다. 커튼부착 커넥터(4)를 커튼러너(3)에 부착하기 위해, 탄성 스트립(44)은 커튼러너(3)의 링(3a)에 가압된다. 탄성 스트립(44)에 작용하는 힘이 소정 강도에 도달될 때, 탄성 스트립(44)의 양단부(44a, 44b)(취약부)가 파괴된다. 따라서, 제2도에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스트립(44)은 후크부재(41)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며, 개구부(41a)는 완전히 개방된다. 탄성 스트립(44)의 분리에 따라, 링(3a)은 개구부(41a)를 통해 후크부재(41)속으로 이동하여 후크부재(41)에 의해 포착된다. 이제, 커튼부착 커넥터(4)는 커튼러너(3)에 현수된다.
제3도는 탄성 스트립(441)의 한쪽 단부에만 취약부를 형성한다는 점에서 제2도의 탄성 스트립(44)과는 다른 형태의 탄성 스트립(441)을 도시하고 있다. 특히, 변형된 탄성 스트립(441)의 일단부(441a)(제3도에서 하단부)는 후크부재(41)의 생크와 일체로 연결되고, 그 연결부는 라운드형으로 형성되는 반면, 후크부재(41)의 굴곡된 전방단부와 일체로 결합된 반대측 단부(441b)(제3도에서 상단부)는 예리한 코너 가장자리를 갖는다. 상기 예리한 가장자리로 인하여 상단부(441b)는 하단부(441a) 보다 구조적으로 약하며, 따라서 취약부를 형성하게 된다. 후크부재(41)가 커튼러너(3)의 링(3a)에 걸릴 때 탄성 스트립(441)은 후크부재(41)의 내측으로 가압된다. 탄성 스립(441)에 압력이 계속되면, 탄성 스트립(441)에 작용하는 힘이 소정 수준까지 증가되어, 탄성 스트립(441)의 상단부(취약부)(441b)가 파괴된다. 이때, 탄성 스트립(441)은 하단부(441a)가 외팔보식으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링(3a)에 대하여 후크부재(41)가 계속 이동하면, 탄성 스트립(441)이 그 하단부(441a)를 중심으로 굴곡되어 제3도에 가상선으로 도시된 위치로 굴곡된다. 따라서, 링(3a)은 후크부재(41)에 의해 포착되며, 그후 탄성 스트립(441)은 실선으로 도시된 초기 위치로 복귀되어 개구부(41a)를 폐쇄한다. 이때, 탄성 스트립(441)은 후크부재(41)로 부터 링(3a)이 분리되지 않게 하는 래치를 구성한다.
제4도에 도시된 다른 변형된 탄성 스트립(442)은 취약부가 탄성 스트립(442)의 중간점에 위치하는 노치(442)의 형태로 제공된다는 점에서 제3도의 탄성 스트립(441)과 다르다, 소정 강도의 외력을 받을 때 탄성 스트립(442)은 중앙 노치부(442a)에서 파괴된다. 탄성 스트립(442)이 파괴된 후에 형성된 양측의 외팔보 스트립 절편은 링(3a)이 후크부재(41)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래치로서 작용한다.
상술의 실시예에서 탄성 스트립(44, 441, 442)은 그 양단부가 후크부재(41)에 고정된다. 선택적으로, 탄성 스트립은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팔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5도에 도시된 탄성 스트립(443)의 일단부(443a)는 후크부재(41)의 생크와 일체로 결합되며, 그 타단부(443b)는 자유단부로서 후크부재(41)의 굴곡된 단부로부터 약간 이격된다. 탄성 스트립(443)은 개구부(41a)를 가로질러 연장되며, 따라서 다른 물품이 개구부(41a)를 통해 후크부재(41)에 인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소정 강도의 외력이 작용될 때, 탄성 스트립(443)은 고정단부(443a)를 중심으로 내부를 향하여 제5도에 가상선으로 도시된 위치까지 탄성가능하게 굴곡된다. 외력이 사라졌을 때, 탄성 스트립(443)은 실선의 본래 위치로 복귀한다.
제1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커튼부착 커넥터(4)는 각기 자유상태로 사용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제6도와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커튼부착 커넥터와 상호연결된 상태로 사용되는 형태도 포함한다. 제6도 및 제7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다수의 규칙적으로 이격된 커튼부착 커넥터(4)(제7도에는 두개만 도시)는 커튼부착 커넥터 조립체(5)(제7도 참조)를 형성하도록 코드(45)에 의해 상호연결된다. 각각의 커튼부착 커넥터(4)는, 코드(45)의 매립부를 둘러싸기 위하여 플레이트형 파스너부재(42)가 파스너면(43)의 대향면에 형성된 횡단 리브(42a)을 갖는 것을 제외하고는(제6도 참조), 제1도의 커튼부착 커넥터(4)와 동일한 구조와 기능을 갖는다. 상기 리브(42a)는 파스너부재(42)의 중앙부에 위치된다. 플레이트형 파스너부재(42)와 일체로 성형된 후크부재(41)에는 탄성 스트립(44) 형태의 차단수단이 제공된다. 탄성 스트립(44)의 구조와 기능은 제1도에 도시된 스트립과 동일하다.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튼부착 커넥터 조립체⑸의 커튼부착 커넥터⑷는 파스너부재(42)의 각각의 중앙부를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연장되는 코드(45)에 의해 상호연결된다. 상기 코드(45)는 합성수지 필라멘트, 합성섬유얀, 땋은 로우프, 테이프 등이 될 수 있으며, 필요한 강도와 가요성을 갖는다. 길이 방향으로 코드(45)에 지지되는 파스너부재(42)는 규칙적인 간격이나 피치(L-2)로 이격된다.
파스너부재(42)의 피치(L-2)(제7도참조)는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서 커튼⑴에 부착된 암형 또는 루프 파스너테이프(11)의 피치(L-1)(제8도 참조)보다 소정거리만큼 작다. 이러한 구조는, 특히 각각의 커튼부착 커넥터(4)의 파스너부재(42)가 커튼(1)의 대응하는 암형파스너테이프(11)에 하나씩 부착될 때, 2개의 인접한 암형 파스너 테이프(11)사이에 연장되는 커튼부분이 피치의 편차[(L-1)-(L-2)]와 동일한 거리만큼 절첩되며, 따라서 절첩된 커튼 부분은 자동적으로 하나의 주름을 형성한다는 점에서 매우 유리하다. 모든 파스너부재(42)가 대응의 파스너 테이프(11)에 부착되었을 때, 커튼(1)에는 일련의 주름이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주름은 일정하게 이격되므로 외관이 좋아진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커튼부착 커넥터 조립체(5), 길이방향으로 규칙적으로 이격된 코드 부분과 일체로 형성된 일련의 커튼부착 커넥터(4)를 형성하거나 성형하기 위하여, 시간에 맞추어 코드를 간헐적으로 반복공급하는 사출성형공정을 사용하여 연속적인 길이로 제조될 수 있다. 사출성형공정을 실행하기 위해, 먼저 성형조립체가 제공된다. 성형조립체는 파스너부재(42)를 포함한 커튼부착 커넥터(4)를 형성하기 위한 성형 공동과, 연속한 코드(45)를 수용하고 안내하기 위한 안내홈을 갖는다. 그후 상기 코드(45)는 안내홈에 세팅되고 안내홈을 통해 간헐적으로 진행된다. 코드(45)가 정지되어 있는 동안, 용융된 합성수지재료는 성형 공동속으로 주입되어 한번에 하나의 커튼부착 커넥터(4)를 성형한다. 성형된 커튼부착 커넥터(4)는 파스너부재(42)에 매립된 코드부를 갖는다. 사출성형공정을 반복함에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연속한 코드(45)상에 일체로 성형된 일련의 파스너부재(42)를 갖는 스트링형의 연속적인 커튼부착 커넥터 조립체(5)가 제조될 수 있다.
이렇게 제조된 커튼부착 커넥터 조립체(5)에서, 각각의 커튼부착 커넥터(4)는 후크부재(41)의 개구부(41a)에 배치된 탄성 스트립(44)을 갖는다. 이와같이 제공된 탄성 스트립(44)으로 인하여, 각각의 후크부재(41)가 다른 후크부재(41)와 상호고정되는 것이 방지되며, 코드(45)가 해당 개구부(41a)를 통해 다른 후크부재(41)와 엉키는 것이 방지된다.
제1도에 도시된 커튼부착 커넥터(4)를 성형하기 위한 공정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겠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이 공정에서 사용되는 성형조립체는 커튼부착 커넥터(4)의 파스너부재(42)의 후면부를 성형하기 위한 공동을 갖는 고정 주형과, 상기 파스너부재(42)의 전방부를 성형하기 위한 공동을 갖는 가동 주형과, 상기 가동 주형의 성형면상에 배치되며 후크부재(41)를 성형하기 위한 공동을 형성하는 2개의 주형부로 구성된 분할주형과, 상기 가동 주형의 성형면상에 배치되며 1열의 후크(43a)를 성형하기 위한 일련의 공동을 형성하는 두 개의 성형부를 이루어지는 분할 주형그룹으로 구성된다. 작동에 있어서, 가동 주형과 분할 주형그룹은 고정 주형쪽으로 이동하여 성형조립체를 폐쇄한다. 그후 용융된 합성수지 재료가 탕구 및 러너를 통해 성형조립체의 공동속으로 주입되며, 그후 성형조립체는 적정기간 동안 냉각된다. 이 경우, 먼저 후크부재(41)를 성형하기 위한 분할 주형과 후크(43a)를 성형하기 위한 분할 주형그룹이 개방되어 성형된 제품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분할 주형의 해당 공동내의 접착제에 의해 파스너부재(42)의 후크부재(41)와 후크(43a)가 남기 때문에, 외력이 성형된 제품에 작용하지 않는 한 성형된 제품은 가동 주형으로부터 제거될 수 없다. 따라서, 성형조립체가 개방된 후 방출핀이 가동 주형을 통해 구동되어 성형된 제품의 평면영역(43b)(제1도)과 압접되므로 성형된 제품이 성형조립체로부터 밀려난다.
상술한 바에 의해 이해되는 바와 같이, 파스너부재(42)의 수형 파스너면(43)은 후크(43a)가 없는 평면영역(43b)을 형성하는 부분을 갖는다. 상기 평면영역(43b)은 성형된 제품이 성형조립체로부터 부드럽게 제거될 수 있도록 방출핀과 접촉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평면영역(43b)의 갯수는 2개이며, 각각의 평면영역(43b)은 연속적인 5개의 수직열의 중앙그룹의 후크(43a)와 인접한 2개의 수직열의 외측그룹의 후크(43a)의 사이에 배치된다.
후크부재(41)와 파스너부재(42)는 단일의 사출성형 동작에 의해 일체화되기 때문에, 커튼부착 커넥터(4)는 높은 효율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방출핀과의 결합을 위해 파스너면(43)에 제공된 평면영역(43b)으로 인하여, 방출핀과 후크(43a) 사이의 간섭에 의해 발생될 수도 있는 후크(43a)의 손상없이 방출핀에 의해 성형품의 제거동작이 원활하고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후크부재(41)와 파스너부재(42)는 단일 재료로 형성되기 때문에 후크부재(41)와 파스너부재(42)를 동일한 색조로 쉽게 착색할 수 있다. 또한 합성수지 커튼러너와 함게 사용할 때, 합성수지로 성형된 후크부재(41)는 합송수지 러너를 손상시키지 않고 작동되므로 오랜 수명을 보장한다.
상술한 각각의 실시예에서, 커튼(1)의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서 부착된 암형의 면파스너부재(11)는 각각 위빙 또는 니팅으로 형성된 다수의 섬유루프를 포함한 루프파스너 테이프이다. 루프파스너 테이프(11)는 본 고안의 커튼부착 커넥터(4)의 파스너부재(42)와 같은 사출성형 파스너부재로 대체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커튼부착 커넥터(4)의 후크(43a)와 커튼(1)상의 사출성형 파스너부재(11)의 후크는 반대방향으로 향하여야 하며, 또한 커튼측의 후크는 중력이나 커튼(1)의 중량에 의한 불의의 분리에 대응하여 결합이 보다 탄성적이 되도록 하부를 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커튼부착 커넥터(4)는 커튼러너와 접촉되는 후크부재(41)와, 다른 물품이 개구부(41a)를 통해 후크부재(41)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후크부재(41)의 개구부(41a)에 배치된 차단수단(44)을 포함한다. 통상의 후크-부재 부착동작중에 발생되는 힘 정도의 외력을 받을 때, 차단수단(44)은 후크부재(41)내로 변형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커튼부착 커넥터(4)에 의해, 커튼(1)은 커튼 안내부재인 커튼 레일92)에 용이하게 착탁될 수 있다. 따라서, 커튼 교체작업이 매우 용이하게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차단수단(44)이 있기 때문에, 각각의 후크부재(41)는 다른 후크부재(41)와 결합되지 않으며, 일련의 커튼부착 커넥터(4)를 상호 연결시키기 위해 사용될 때 코드(45)는 차단부재(44)에 의해 후크부재(41)와 얽히지 않는다. 이런 차단수단(44)을 갖는 커튼부착 커넥터(4)는 취급과 보관이 용이하다. 이것은 커튼 교체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것이다.
또한, 커튼부착 커넥터(4)는 일체로 성형된 원피스 구조를 가지므로 높은 생산효율로 제조될 수 있다. 후크부재(41)와 파스너부재(42)와 같은 커튼부착 커넥터(4)의 모든 부분은 단일재료로 제조되기 때문에, 커튼(1)과의 색 및 디자인의 조정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9도는 다수의 커튼부착 커넥터(4)가 제6도 및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연결된 상태로 사용되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제10도 및 제11도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일정하게 이격된 다수의 커튼부착 커넥터(4)는 커튼부착 커넥터 조립체(5)를 형성하기 위해 코드(45)에 의해 상호연결된다(제11도 참조). 각각의 커튼부착 커넥터(4)는 제9도 내지 제11도의 커튼부착 커넥터(4)가 탄성 스트립 형태의 차단수단(44)을 갖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6도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튼부착 조립체(5)의 커튼부착 커넥터(4)는 파스너부재(42)의 각 중앙부를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연장되는 코드(45)에 의해 상호연결된다. 코드(45)는 제7도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성질을 갖는 동일 재료로 제조된다. 커튼부착 커넥터(4)는 상술한 방법에 의하여 코드(45)와 일체로 성형된다. 길이방향을 따라 코드(45)상에 지지되는 파스너부재(42)는 일정한 간격 또는 피치(L-2)로 이격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파스너부재(42)의 피치(L-2)(제11도 참조)는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서 커튼(1)에 부착된 암형 또는 루프파스너 테이프(11)의 피치(L-1)(제8도참조) 보다 소정거리 만큼 작다. 이런 구조는 제1도 내지 제7도에 도시된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장점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에 비추어볼 때, 본 고안은 다양한 변화와 수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은 첨부된 청구범위내에서 상술한 설명 이외의 방식으로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커튼부착 커넥터와 파스너부재로서 면파스너가 사용되었지만, 스냅형 파스너와 같은 다른 형태의 파스너도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파스너면은 면파스너의 결합표면을 의미하며, 다른 형태의 파스너부재에서는 서로 결합하는 표면을 의미한다.

Claims (12)

  1. 신장된 안내부재인 커튼레일(2)에 미끄럼가능하게 장착된 일련의 커튼 현수부재(3)에,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서 소정간격(L-1)으로 장착된 일련의 분리가능 파스너부재(11)를 포함하는 커튼(1)의 상부 가장자리를 연결하기 위한, 커튼부착 커넥터 조립체(5)에 있어서, 합성수지로 성형되며 파스너 부재(42)와 후크부재(41)를 구비하는 다수의 커튼부착 커넥터(4)와, 간격(L-1)보다 작은 소정 간격(L-2)으로 상기 커튼부착 커넥터(4)의 각각의 파스너부재(42)를 상호연결하는 하나이상의 가요성 코드(45)를 포함하며, 상기 파스너부재(42)는 커튼(1)의 각각의 분리가능한 파스너부재(11)의 파스너 표면과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파스너면(43)을 가지며, 상기 후크부재(41)는 파스너부재(42)와 일체로 되어 커튼 현수부재(3)에 의해 착탈되며 개구부(41a)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부착 커넥터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가능한 파스너부재(11)는 루프나 후프와 결합되는 다수의 후크나 루프를 갖는 면파스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부착 커넥터 조립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다른 물품이 개구부(41a)를 통해 후크부재(41)속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후크부재(41)의 개구부(41a)에 차단수단(44, 441, 442, 443) 이 배치되며, 상기 차단수단(44, 441, 442, 443)은 소정 강도의 외력이 발휘 될 때 후크부재(41)의 내측을 향하여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부착 커넥터 조립체.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코드(45)는 커튼부착 커넥터의 파스너부재(42)와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부착 커넥터 조립체.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수단(44, 441)은 후크부재(41)의 개구부(41a)를 가로질러 연장되며 양단부(44a, 44b: 441a, 442b)가 상기 후크부재(41)에 일체로 결합되는 탄성 스트립을 포함하며, 상기 차단수단(44, 441)의 양단부의 적어도 한쪽 단부는 상기 외력에 의해 파괴되는 취약부(44a, 44b: 441b)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부착 커넥터 조립체.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수단(442)은 후크부재(41)의 개구부(41a)를 가로질러 연장되며 양단부가 상기 후크부재(41)에 결합된 탄성 스트립을 포함하며, 상기 차단수단(442)은 양단부 사이의 중앙에 위치되는 노치(442a)를 가지며 상기 외력에 의해 파괴되는 취약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부착 커넥터 조립체.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수단(443)은 후크부재(41)의 개구부(41a)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탄성 스트립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 스트립은 후크부재(41)와 일체로 결합된 일단부(443a)와 상기 후크부재(41)로부터 이격된 타단부(443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부착 커넥터 조립체.
  8. 커튼 현수부재(3)와 커튼(1)의 상부 가장자리를 연결하기 위해 커튼 현수부재(3)와 커튼(1)사이에 배치되는 커튼부착 커넥터(4)로서, 상기 커튼(1)은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 장착된 분리가능한 파스너부재(11)를 구비하며, 상기 커튼부착 커넥터(4)는 커튼(1)의 분리 가능한 파스너부재(11)의 파스너면과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파스너면(43)을 갖는 플레이트형 파스너부재(42)와 상기 커튼 현수부재(3)에 착탈되며 개구부(41a)를 구비한 후크부재(41)를 포함하는 커튼부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파스너부재(42)와 후크부재(41)는 합성수지로 일체로 성형되고, 다른 물품이 상기 개구부(41a)를 통하여 상기 후크부재(41)속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후크부재(41)의 개구부(41a)에는 차단수단(44, 441, 442, 443)이 배치되며, 상기 차단수단(44, 441, 442, 443)은 소정 강도의 외력이 작용할 때 상기 후크부재(41)의 내측을 향하여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부착 커넥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가능한 파스너부재(11)는 루프나 후크와 결합되는 다수의 후크 또는 루프를 갖는 면파스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부착 커넥터.
  10. 제8항 또는 9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수단(44, 441)은 후크부재(41)의 개구부(41a)를 가로질러 연장되며 그 양단부(44a, 44b : 441a, 442b)가 후크부재(41)에 일체로 결합되는 탄성 스트립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 스트립(44)의 양단부중 적어도 한쪽 단부는 상기 외력에 의해 파괴되는 취약부(44a, 44b; 441b)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부착 커넥터.
  11.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수단(442)은 후크부재(42)의 개구부(41a)를 가로질러 연장되며 그 양단부가 상기 후크부재(41)에 결합되는 탄성 스트립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 스트립(442)은 양단부 사이의 중앙에 위치되는 노치(442a)를 가지며 상기 외력에 의해 파괴되는 취약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부착 커넥터.
  12.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수단(443)은 후크부재(41)의 개구부(41a)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탄성 스트립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 스트립은 후크부재(41)와 일체로 결합되는 일단부(443a)와 상기 후크부재(41)로부터 이격되는 타단부(443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부착 커넥터.
KR2019940007821U 1993-04-15 1994-04-14 커튼부착 커넥터 조립체 및 커튼부착 커넥터 KR0140370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19284 1993-04-15
JP1993019284U JP2591262Y2 (ja) 1993-04-15 1993-04-15 カーテン吊下げ構造
JP1993028040U JP2590712Y2 (ja) 1993-05-27 1993-05-27 布吊下連結具
JP93-28040 1993-05-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4098U KR940024098U (ko) 1994-11-16
KR0140370Y1 true KR0140370Y1 (ko) 1999-04-01

Family

ID=26356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07821U KR0140370Y1 (ko) 1993-04-15 1994-04-14 커튼부착 커넥터 조립체 및 커튼부착 커넥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0140370Y1 (ko)
HK (1) HK1001489A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4098U (ko) 1994-11-16
HK1001489A1 (en) 1998-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44387A (en) Curtain attachment connector assembly and curtain attachment connector
KR0184597B1 (ko) 커텐부착커넥터
US5615461A (en) Fastening device
US5685050A (en) Hook structure for molded surface fastener
CA2160057C (en) Hook structure for molded surface fastener
US5575046A (en) Holder for suspending articles
JPS6313691Y2 (ko)
KR0140370Y1 (ko) 커튼부착 커넥터 조립체 및 커튼부착 커넥터
EP0612493B1 (en) Hanging cloth attaching device
JP2590712Y2 (ja) 布吊下連結具
JPH0130883Y2 (ko)
JP2591262Y2 (ja) カーテン吊下げ構造
JP2895379B2 (ja) 布吊下連結具
KR0132113Y1 (ko) 커튼 부착 장치
KR950001614Y1 (ko) 커텐 걸이 장치
JPH0130884Y2 (ko)
SE501948C2 (sv) Draperihållaruppsättning samt draperihållare
JP2572043Y2 (ja) 吊下布取付具
KR830002259B1 (ko) 벨벳식 파스너용 테이프의 제조방법
TH7508B (th) " แถบยึดของซิปแบบทอสาน "
TH23639A (th) " แถบยึดของซิปแบบทอสาน "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21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