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2113Y1 - 커튼 부착 장치 - Google Patents

커튼 부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2113Y1
KR0132113Y1 KR2019940013141U KR19940013141U KR0132113Y1 KR 0132113 Y1 KR0132113 Y1 KR 0132113Y1 KR 2019940013141 U KR2019940013141 U KR 2019940013141U KR 19940013141 U KR19940013141 U KR 19940013141U KR 0132113 Y1 KR0132113 Y1 KR 01321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tain
hook
attachment device
hooks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31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0352U (ko
Inventor
미츠루 아케노
마사히로 쿠사야마
Original Assignee
요시다 다다히로
와이케이케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시다 다다히로, 와이케이케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요시다 다다히로
Priority to KR20199400131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2113Y1/ko
Publication of KR9600003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035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21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211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H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 A47H13/00Fastening curtains on curtain rods or r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H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 A47H15/00Runners or gliders for supporting curtains on rails or rods
    • A47H15/02Runners

Abstract

커튼 레일(2)을 따라 이동가능한 커튼 고리(3)와 커튼(1)사이에 배치되어 자형 결합 부재(11)가 부착되어 있는 커튼(1)의 상부 가장자리와 커튼 고리(3)을 연결시키는 커튼 부착 장치(4)로서, 상기 커튼 부착 장치(4)는 커튼 고리(3)에 걸리는 후크형 부재(41), 및 일 표면에 다수의 후크들이 돌출하여 있는 웅형 결합면(43)을 가진 판모양 웅형 결합 부재(42)를 포함하며, 상기 후크형 부재(41)와 판모양 웅형 결합 부재(42)가 합성 수지로 일체로 성형되며, 상기 웅형 결합면(43)은 적어도 배출 핀이 접촉되는 지역들에 후크들이 없는 편평부를 가지는 커튼 부착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커튼 부착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커튼 부착장치의 커튼 부착부분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커튼 부착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제3도는 제2도의 A-A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
제4도는 제2도의 B-B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커튼 2 : 커튼 레일
3 : 커튼 고리 4 : 커튼 부착장치
11 : 암형 결합부재(파스너 테이트 면) 21 : 슬릿
31 : 고리 몸체 32 : 롤러
33 : 링 41 : 후크형 부재
42 : 수형 결합 부재 43 : 수형 결합면
43a : 후크 43b : 평탄면
[고안의 배경]
[기술분야]
본 고안은 가정, 사무실, 극장, 병원 등에서 사용되는 커튼과 같은 여러 가지 종류의 벽걸이 천을 커튼 레일 또는 안내 봉과 같은 안내 부재에 의해 지지된 커튼 고리 형태의 헹거(hanger)에 간단하게 부착시키고 분리시킬 수 있는 벽걸이 천 부착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생산성이 우수하고 걸려질 천의 디자인 및 색상에 어울리는 색조로 폭넓게 선택하여 착색할 수 있는 벽걸이 천 부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관련기술]
예로서, 병원 및 호텔의 대부분의 커튼은 주기적으로 세탁을 위해 임대되어 교환된다. 그 교환작업을 편리하게 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커튼의 부착 및 분리가 간단한 방식으로 행해져야 한다. 종래, 커튼을 커튼 레일 또는 봉과 같은 안내 부재에 의해 지지된 커튼 고리에 편안하게 부착시키고 분리시키기 위한 여러 가지 제안들이 있었다.
예로서, 일본 특허 공보 제65-27706호 및 일본 실용신안 공개 공보 제82-14986호에 개시된 종래의 벽걸이 천 부착 장치에서는, 다수의 커튼 고리가 일정한 간격으로 기다란 암 또는 수형(male or female) 면 파스너 테이프에 부착되고, 상기 제1면 파스너 테이프와 결합 가능한 대응 면 파스너 테이프가 커트의 상부 가장자리의 전체 길이를 따라 부착된다. 대응 면 파스너는 비교적 작은 힘으로의 상호 압축시, 커튼이 커튼 고리에 부착될 수 있는 것이다. 커튼을 커튼 고리에서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대응 면 파스너를 서로 분리시키기만 하면 된다.
일본 실용 신안 공개 공보 제90-107387호에 개시된 종래의 다른 벽걸이 천 부착 장치에 따르면, 암 또는 수형 면 파스너가 커튼 고리의 결합 부분에 부착되고, 대응 면 파스너는 커튼 고리측 면 파스너와 결합하도록 커튼의 상부 가장자리에 부착되어서, 커튼의 부착 및 분리 작업이 간단한 방식으로 실행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두 개의 벽걸이 천 부착 장치에서는, 면 파스너가 편직 및/또는 제직에 의해 형성되므로, 생산성이 낮고 적절한 결합력도 보장할 수 없었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고안자는 일본 실용신안 공개 공보 제92-104909호에 개시된 벽걸이 천 부착 장치를 발전시키게 되었다. 상기 고안의 벽걸이 천 부착 장치는 일 표면에 다수의 후크가 질서 있게 정렬된 판형상 합성수지 결합부재, 및 자유 단부가 커튼 고리에 부착되도록 서로 분리가 가능하게 결합되어지는 두 개의 금속 와이어 형태의 금속 부착부재를 포함하는 일체로 사출 성형된 장치이다. 생산 도중에, 금형 바깥으로 돌출한 금속 부착 부재를 배출 핀 대신에 적절한 후크 수단으로 걸어 빼냄으로서 간단하게 금형에서 제거시킬 수 있다.
일본 실용신안 공개 공보 제92-104909호에 개시된 벽걸이 천 부착 장치에서는, 수형 결합면을 구성하는 다수의 후크를 성형하였기 때문에, 면 파스너의 결합력이 종래의 편직 또는 제직된 모노필라멘트 후크에 비해 어느 정도 개선은 되었다. 그러나, 이것은 금속 부착부재가 벽걸이 천 부착 장치의 성형 과정에서 분리되어 형성되어야 하고, 금속 부착부재가 사출성형 중에 각각의 합성 수지와 혼합되어야 하므로, 성형 과정이 복잡해지는 결점이 있는 것이다.
제조 면에서, 금속 부착부재가 스냅 작용을 해야하므로, 탄성 강(resilient steel)이 사용되어야 하고, 특정한 상황을 설계시에 고려하여야 함으로, 제조가가 증가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합성수지로 제조되는 커튼 고리는 금속 접촉부재와 접촉되므로 쉽게 마모되어 내구성이 저하되어 진다. 더욱이, 부착부재와 결합부재가 다른 재료로 제조되므로, 전체 외관이 조화를 이루지 못하는 경우에는 볼품없게 되어 상품의 질을 저하시키고, 단일 색상으로 착색한다 하더라도 두 개의 다른 부재는 결코 동일한 색상으로 이루어지지는 않게 될 것이다.
이러한 면에서 보았을 때, 부착부재와 결합부재는 동일 재로로 일체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고안의 요약]
본 고안의 목적은 일본 실용 신안공개 공보 제92-104909호에 개시된 종래의 벽걸이 천 부착장치이 제품 및 제조시의 단점을 해결하고 장치의 장점이 유지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커튼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한 커튼 고리와 커튼 사이에 배치되어 암형 결합부재가 부착되어 있는 커튼의 상부 가장자리와 커튼 고리를 연결시키는 벽걸이 천 부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장치는 커튼 고리에 걸리는 후크형 부재 및 일 표면에 다수의 후크가 돌출 되어 있는 수형 결합면을 가진 판형상 수형 결합부재를 포함한다. 후크형 부재와 판형상 수형 결합부재는 합성수지로 일체로 성형되고, 수형 결합면은 적어도 배출 핀이 접촉되는 지역에 후크가 없는 평탄면을 가진다.
이와 다른 형태에서, 커튼 고리와 수형 결합부재는 후크형 부재가 생략된 채로 일체형으로 성형될 수 있다.
커튼을 커튼 레일에 부착시키기 위해서는, 필요한 개수의 커튼 고리가 사전에 커튼 레일 안으로 삽입된 다음, 본 고안의 커튼 부착장치가 걸림 부분에 부착된다. 벽걸이 천의 상부 가장자리에 부착된 면 파스너 테이프의 결합면이 연속적으로 배열된 결합부재의 수형 결합면을 비교적 작은 힘으로 압축시킴으로써, 벽걸이 천의 부착이 완료된다. 걸려진 커튼을 커튼 레일에서 제거하기 위해서는, 그 커튼의 상부 가장자리의 일 단부 또는 타 단부에서 벗겨내기만 하면 된다.
커튼 레일에 부착된 벽걸이 천을 개방 및 폐쇄할 때, 각 결합부재는 서로 독립적이기 때문에, 커튼의 상부 가장자리 부분이 단단해지기 않게 되어서 커튼은 매우 부드럽게 개방 및 폐쇄될 수 있고, 특히 커튼이 개방될 때 안정감 있게 묶여질 수 있음으로서, 깔끔한 외관이 보장된다.
본 고안의 커튼 부착장치를 성형하기 위해서는, 커튼 부착장치에 포함되는 후크형 부재 및 수형 결합부재의 배면을 성형하기 위한 캐비티를 가진 고정된 금형 절반부, 그 수형 결합부재의 판 부분 및 후크형 부재의 전면을 성형하기 위한 캐비티를 가진 가동 금형 절반부, 및 각각 하나의 후크의 열을 형성하는 다수의 쌍의 캐비티를 가진 일련의주 형을 포함하는 금형이 사용된다.
주형 그룹과 가동 금형 절반부가 금형을 폐쇄시키도록 고정된 금형 절반부를 향해 이동되면, 용융된 수지가 탕구 및 코어를 통해 금형의 캐비티 안으로 분사된다. 금형이 냉각된 후 개방될 때, 첫째로 주형의 후크 형성 캐비티와 가동 금형 절반부가 분리되고, 그후 성형된 제품이 금형 밖으로 배출된다. 그때, 수형 결합부재의 후크는 형판 캐비티에 점착되어 둘러붙어 있기 때문에, 금형에 외부에서의 힘이 가해지지 않는다면 성형된 제품을 가동 금형에서 순조롭게 제거시키기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금형이 개방된 후, 결합면에 형성된 두 개의 국부적인 평탄면에 타격을 가하도록 배출 핀이 가동 금형 절반부를 통해 작용되어, 성형된 제품을 금형 밖으로 밀어낸다.
결합면의 다수의 후크를 다른 방향으로 배향시키도록 하기 위해서는, 평탄면에 인접한 열의 후크의 방위가 나머지 열의 후크의 방위와 반대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배열상태에서는, 커튼이 들어올려질 때에도 그 커튼은 커튼 부착장치에서 우발적으로 제거되지 않게 된다. 일반적으로, 후크 열의 방위가 소정의 결합 강도를 보장하는 소정 후크 밀도에 따라 무분별하게 변경된다면, 상대 결합부재와의 결합율이 저하되어 필요한 결합 강도를 얻을 수가 없다. 본 고안에서는, 평탄면의 대향하는 측면의 이웃한 열의 후크의 방위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상대 결합부재와의 결합율이 높게 유지되어, 필요한 결합 강도를 보장할 수 있는 것이다.
[상세한 설명]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커튼 부착장치(4)의 수형 결합면(43)은 후술되는 배출 핀의 소정 위치에 형성된 후크가 없는 국부적인 일직선 평탄면에 의해 3열 그룹, 5열 그룹 및 3열 그룹으로 분할된 다수의 수직 후크 열을 가진다. 평탄면을 통해 중앙의 5열 그룹에 인접한 열의 후크의 방위는 제2도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나머지 열의 후크의 방위와 반대로 하방향을 향하는 것이다. 이와 다른 형태로서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수형 결합면(43)이 서로 방향이 다른 후크가 있는 다수의 부분으로 분할될 수 있는 것이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커튼 부착 장치를 도시하고 있는 커튼 부착 부분의 분해 사시도이다. 참조 부호(1)는 커튼 또는 벽걸이 천을 나타내며, 그의 전체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 암형 결합부재(11)인 파스너 테이프 면이 부착된다. 참조 부호(2)는 하부에 슬릿(21)을 가지며 횡단면이 C자형인 기다란 바아 형태의 커튼 레일 또는 안내부재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직물 걸이부재 또는 커튼 고리(3)는 벽걸이 천 부착장치 또는 커튼 부착장치(4)에서 분리된다. 각 커튼 고리(3)는 고리 몸체(31), 그 몸체의 상단부의 대향 측면에 위치한 한 쌍의 롤러(32) 및 고리 몸체(31)의 하단부에 부착된 링(33)을 가지며 수직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것이다.
한편, 커튼 부착장치(4)는 제2도 내지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튼 고리(3)의 링(33)과 결합되어질 후크형 부재(41) 및 판형상 수형 결합부재(42)를 포함한다. 수형 결합부재(42)에는 일 표면에 다수의 직립 후크(43a)를 가진 수형 결합면이 형성된다. 수형 결합면(43)의 후크(43a)는 수직 열로 배열되고 그 열의 그룹은 수평으로 배열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후크 열의 개수는 11개, 즉 중앙에 5개 그리고 그로부터 소정의 후크가 없는 공간을 둔 채 각 측면에 3개의 열이 제공된다. 후크가 없는 부분이 도시되지 않은 배출기 핀을 수용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폭을 가진 평탄면(43b)를 형성한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의 5열 바깥쪽의 두 개의 열을 제외한 모든 후크(43a)의 방위가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방향으로 향해있고, 두 개의 예외적인 열이 후크(43a)의 방위는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하방향을 향해있다.
커튼 부착장치(4)는 사출성형에 의해 일체형 구조물로 형성된다.
성형 과정을 간단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성형 과정에서 사용되는 사출성형 금형은 커튼 부착장치(4)에 포함되는 후크형 부재(41)의 배면 및 수형 결합부재(42)의 판 부분(42a)을 형성하도록 캐비티를 가진 고정된 금형 절반부, 그 후크형 부재(41)의 전면 및 그 수형 결합부재(42)의 판 부분(42a)을 형성하도록 캐비티를 가진 가동 금형 절반부, 및 각각 후크(43a)의 각 열을 형성하는 다수의 캐비티 세트를 가진 한 세트의 주형을 포함한다. 주형 그룹과 가동 금형 절반부가 금형을 폐쇄하도록 고정된 금형 절반부를 향해 이동될 때, 용융된 수지가 탕구 및 코어를 통해 금형의 캐비티 안으로 분사된다. 금형이 냉각된 후 개방될 때, 첫째로 주형의 후크 형성 캐비티와 가동 금형 절반부가 분리되고, 그후 성형된 제품이 금형 밖으로 배출된다. 그때, 수형 결합부재(42)의 후크(43a)가 주형 캐비티에 점착되어 들러붙어 있기 때문에, 금형에 외부에서의 힘이 가해지지 않는다면 성형된 제품을 가동 금형에서 순조롭게 제거시키기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금형이 개방된 후, 결합면에 형성된 두 개의 국부적인 평탄면(43b)에 타격을 가하도록 배출 핀이 가동 금형 절반부를 통해 작용되어, 성형된 제품을 금형 밖으로 밀어낸다.
특히, 본 고안의 수형 결합면(43)은 후크(43a)가 없는 국부적인 부분을 갖게 됨으로서 도시되지 않은 배출 핀이 후크가 없는 부분에 타격을 가하여 성형된 제품을 편리하게 제거할 수 있게 한다. 후크가 없는 부분은 3열 세트, 5열 세트 및 3열 세트 사이에 형성된 두 개의 일직선 평탄면(43b)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평탄면(43b)를 거쳐 중앙 후크의 5열에 인접한 열의 후크의 방위는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나머지 열의 후크의 방위와 반대로 하방향으로 향해 있다. 이러한 배열상태에서는, 커튼이 들어올려질 때에도 커튼 부착장치(4)에서 우발적으로 제거되지 않게 된다. 일반적으로, 후크 열의 방위가 소정의 결합 강도를 보장하는 소정 후크 밀도에 따라 무분별하게 변경된다면, 상대 결합 부재와의 결합율이 저하되어 필요한 결합 강도가 얻어질 수 없다. 본 고안에서는, 평탄면(43b)의 대향하는 측면의 이웃하는 열의 후크의 방위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상대 결합 부재와의 결합율이 높게 유지되어, 필요한 결합 강도를 보장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커튼 부착 장치(4)에서는, 후크형 부재(41) 및 결합부재(42)가 사출성형에 의해 동시에 일체로 성형되므로, 생산성이 상당히 향상되는 것이다. 또한, 성형 제품이 배출 핀을 이용하여 안정적으로 제거될 수 있고, 배출 핀이 어떠한 후크의 열에도 타격을 가하지 않기 때문에, 후크 열이 손상을 입지 않는다. 후크형 부재(41)와 결합부재(42)가 동일 재료로 형성되므로, 동일 색조로 착색될 수 있다. 후크형 부재(41)가 합성 수지로 형성되기 때문에, 후크형(41)와 결합되어질 합성수지 커튼 고리가 그 후크형 부재(41)에 의해 손상 받지 않게 되어 내구성이 보장된다.
이 실시예에서, 커튼(1)이 상부 가장자리에 부착되어질 면 파스너 테이프는 통상의 편직 또는 제직에 의해 형성된 섬유 고리를 갖는다. 이와 다르게, 면 파스너 테이프가 본 고안의 커튼 부착장치(4)의 수형 결합부재(42)의 구조와 유사하게 사출 성형된 부재로써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커튼 부착장치(4)의 후크의 방위는 커튼(1)에 부착되는 사출 성형된 면 파스너의 후크의 방위와 반대로 되어야 하며, 커튼(1)에 부착되는 사출 성형된 면 파스너의 후크의 방위는 하방향으로 배향되므로서, 커튼(1)이 자신의 중량에 의해 우발적으로 떨어지는 현상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실시예에서, 커튼 부착장치(4) 및 커튼 고리(3)는 서로 분리된다. 이와 다른 형태에서, 커튼 고리(3)의 몸체(31)는 커튼 부착장치(4)의 후크형 부재(41)와 커튼 고리(3)의 링(33)이 생략되고, 결합부재(42)와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커튼 고리(3)는 본 고안의 벽걸이 천 부착 장치의 후크형 부재와 상응하게 되며, 커튼 고리(3)의 몸체(31)와 링(33)사이의 연결 부분(33a)의 결합 부재와 유사하게 고리 몸체(31)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되는 구조로 되어있다. 예컨대, 커튼 고리(3)가 임의적 롤러(32)를 갖지 않고 고리(31)의 목의 상단부에 플랜지와 같은 원형 헤드를 가진 간단한 구조로 되어 있다면, 커튼 고리(3)가 커튼 레일(2)의 수직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함으로 고리 및 결합 부재가 수직 축선을 중심으로 단일 유닛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을 위해 특수한 구조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본 고안에 따르면, 커튼의 부착 및 분리 작업이 매우 간단한 작동으로 실행되어 커튼을 편리하게 교체시킬 수 있다. 또한, 벽걸이 천의 상부 가장 자리 부분이 단단해지지 않게 됨으로서 벽걸이 천이 매우 유연하게 개방 및 폐쇄될 수 있고, 특히 벽걸이 천이 개방될 때 안정감 있게 묶여져서 깔끔한 외관을 보장한다.
본 고안의 커튼 부착 장치의 전체 구조는 일체형으로 성형됨으로 생산성이 향상된다. 다수의 후크로 구성된 수형 결합면이 국부적인 평탄면을 가지므로, 성형된 제품이 배출 핀에 의해 금형에서 제거될 때 후크가 손상 받지 않게 된다. 평탄면이 있기 때문에, 평탄면에 인접한 열의 후크의 방위는 나머지 열의 후크의 방위와 다른 경우에, 상대 결합부재와의 결합율이 저하되지 않으므로 필요한 결합 강도를 보장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전체 커튼 부착 장치가 동일 재료로 제조되기 때문에, 벽걸이 천의 디자인에 맞는 색조로 착색시키기가 용이하여, 광범위한 요구에 부응할 수 있게 되어 외관이 깔끔한 고품질 생산품이 얻어지게 된다.

Claims (2)

  1. 커튼 레일(2)을 따라 이동 가능한 커튼 고리(3)와 상부 가장 자리에 암형 결합부재(11)가 부착되어 있는 커튼(1)과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커튼(1)의 상부 가장자리와 상기 커튼 고리(3)를 연결시키는 커튼 부착장치(4)로서, 상기 커튼 부착장치(4)는 커튼 고리(3)에 걸리는 후크형 부재(41)와, 일 표면에 다수의 후크가 돌출하여 있는 수형 결합면(43)을 가진 판형상 수형 결합 부재(42)를 포함하며, 상기 후크형 부재(41)와 판형상 수형 결합부재(42)가 합성수지재료로 일체로 성형되며, 상기 수형 결합면(43)은 배출 핀이 접촉되는 지역에 후크가 없는 평탄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부착장치.
  2. 커튼 레일(2)을 따라 이동 가능한 커튼 고리(3)와 상부 가장 자리에 암형 결합부재(11)가 부착되어 있는 커튼(1)과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커튼의 상부 가장자리와 커튼 고리(3)를 연결시키는 커튼 부착장치(4)로서, 상기 커튼 부착장치는 상기 커튼 고리(3)와, 일 표면에 다수의 후크가 돌출하여 있는 수형 결합면(43)을 구비하는 판형상 수형 결합부재(42)와 일체로 성형되고, 상기 수형 결합면(43)의 배출 핀이 접촉되는 부분에 후크를 갖지 않는 평탄면을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부착장치.
KR2019940013141U 1994-06-07 1994-06-07 커튼 부착 장치 KR01321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3141U KR0132113Y1 (ko) 1994-06-07 1994-06-07 커튼 부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3141U KR0132113Y1 (ko) 1994-06-07 1994-06-07 커튼 부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0352U KR960000352U (ko) 1996-01-17
KR0132113Y1 true KR0132113Y1 (ko) 1998-12-15

Family

ID=19385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3141U KR0132113Y1 (ko) 1994-06-07 1994-06-07 커튼 부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211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0352U (ko) 1996-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44387A (en) Curtain attachment connector assembly and curtain attachment connector
JP2895403B2 (ja) 幕類取付具
US5615461A (en) Fastening device
EP0771537B1 (en) Molded surface fastener,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 same
EP066100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urface fastener
GB2178479A (en) Separable bottom-end-stop assembly for separable slide fastener
KR0132113Y1 (ko) 커튼 부착 장치
EP0612493B1 (en) Hanging cloth attaching device
US4054972A (en) Brassiere fastener
TWI244906B (en) Slide fastener with separable bottom stop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0140370Y1 (ko) 커튼부착 커넥터 조립체 및 커튼부착 커넥터
JP3055106U (ja) テープ付き雌スナップ
JP2895379B2 (ja) 布吊下連結具
JP2590712Y2 (ja) 布吊下連結具
CN112869307B (zh) 一种注塑拉链
JP2591262Y2 (ja) カーテン吊下げ構造
JP2572043Y2 (ja) 吊下布取付具
CN113425042A (zh) 一种闭口式羽绒服拉链结构
CN207639761U (zh) 具有防盗功能的拉头
CN112369766A (zh) 造型美观的拉链
KR950001614Y1 (ko) 커텐 걸이 장치
CA1165100A (en) Separable slide fastener
SE501948C2 (sv) Draperihållaruppsättning samt draperihållare
JPH0686672U (ja) たくし上げカーテン用ダブルフックリン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91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