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6972B1 - 유기 주석 에스테르를 함유하는 반응 혼합물로부터 그를 회수하는 방법 및 회수된 유기 주석 화합물의 재사용 - Google Patents

유기 주석 에스테르를 함유하는 반응 혼합물로부터 그를 회수하는 방법 및 회수된 유기 주석 화합물의 재사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6972B1
KR0176972B1 KR1019910006388A KR910006388A KR0176972B1 KR 0176972 B1 KR0176972 B1 KR 0176972B1 KR 1019910006388 A KR1019910006388 A KR 1019910006388A KR 910006388 A KR910006388 A KR 910006388A KR 0176972 B1 KR0176972 B1 KR 01769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tra
diacyloxy
distanoxane
hydrocarbyl
sucr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6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8391A (ko
Inventor
엠. 베르논 니콜라스
이. 왈컵 로버트
Original Assignee
조셉 에프. 셔츠
맥네일-피피씨.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404013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0176972(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조셉 에프. 셔츠, 맥네일-피피씨.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조셉 에프. 셔츠
Publication of KR910018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83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6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69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7/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4 or 14 of the Periodic Table
    • C07F7/22Tin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3/00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esterified by carbonic acid or derivatives thereof, or by organic acids, e.g. phosphonic acids
    • C07H13/02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esterified by carbonic acid or derivatives thereof, or by organic acids, e.g. phosphonic acids by carboxylic acids
    • C07H13/04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esterified by carbonic acid or derivatives thereof, or by organic acids, e.g. phosphonic acids by carboxylic acids having the esterifying carboxyl radicals attached to acyclic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7/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4 or 14 of the Periodic Table
    • C07F7/22Tin compounds
    • C07F7/2224Compounds having one or more tin-oxygen linkag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3/00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esterified by carbonic acid or derivatives thereof, or by organic acids, e.g. phosphonic acids
    • C07H13/02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esterified by carbonic acid or derivatives thereof, or by organic acids, e.g. phosphonic acids by carboxylic acids
    • C07H13/08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esterified by carbonic acid or derivatives thereof, or by organic acids, e.g. phosphonic acids by carboxylic acids having the esterifying carboxyl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carbocyclic r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Catalysts (AREA)

Abstract

1,3-디아실옥시-1,1,3,3-테트라(하이드로카르빌)디스탄옥산, 슈크로오즈-6-에스테르 및 극성 비양성자성 용매를 함유하는 혼합물로 부터 1,3-디아실옥시-1,1,3,3-테트라(하이드로카르빌)디스탄옥산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기 단계들로 구성된 방법: (a) 상기 혼합물을, 소량의 물의 존재하에, 실질적으로 물과 섞이지 않는 유기 용매와 접촉시킴으로써 추출 혼합물을 형성하고, 여기에서 사용된 물의 양은 상기 극성 비양성자성 용매를 포함하는 첫번째 상으로부터 상기 유기 용매를 포함하는 두번째 상안으로 상기 1,3-디아실옥시-1,1,3,3-테트라(하이드로카르빌)디스탄옥산의 효율적인 분배를 일으키기에 충분하며; (b) 추출 혼합물내의 1,3-디아실옥시-1,1,3,3-테트라(하이드로카르빌)디스탄옥산의 대부분이 상기 두번째 상내에 포함되고, 본질적으로 추출 혼합물중의 모든 슈크로오즈-6-에스테르가 상기 첫번째 상내에 포함된 2-상 혼합물을 형성하기에 충분한 시간동안 및 충분한 온도에서 추출 혼합물을 교반하고; (c) 상기 두번째 상으로부터 상기 첫번째 상을 분리함.

Description

유기 주석 에스테르를 함유하는 반응 혼합물로부터 그를 회수하는 방법 및 회수된 유기 주석 화합물의 재사용
본 발명은 디스탄옥산 디에스테르(distannoxane diesters)를 함유하는 반응 혼합물로부터 그를 회수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회수된 디스탄옥산 디에스테르는 그후의 반응을 위해 재순환된다.
슈크로오즈 분자는 3개의 1차 하이드록실기 및 5개의 2차 하이드록실기를 포함한다. 따라서, 하이드록실기의 반응을 포함하여 슈크로오즈의 유도체를 제조하기를 원할때, 반응을 오직 원하는 하이드록실기에만 제한하는 것이 합성의 주된 문제가 될 수 있다. 예를들면, 인공감미료 4,1'6'-트리클로로-4,1',6'-트리데옥시갈락토-슈크로오즈(슈크랄로오즈)는 4,1' 및 6' 위치에 있는 하이드록실을 염소로 대치시킴으로써 슈크로오즈로부터 유도된다(감미료를 제조하는 과정중에, 4 위치에서 입체 배열이 역전된다. 그러므로 그 화합물은 갈락토 슈크로오즈이다). 이 화합물과 그의 합성방법은 미합중국 특허 제 4,343,934호, 제 4,362,869호, 제 4,380,476호 및 제 4,435,440호에 개시되어 있다. 특히 대치된 하이드록실 등이 상이한 활성을 가진 것들이기 때문에(둘은 1차이고 하나는 2차이다: 6위치에 있는 1차 하이드록실이 최종 생성물에서 치환되어 있지 않다는 사실 때문에 합성은 더욱 복잡해진다), 오직 원하는 위치에만 염소 원자를 제한하는 것은 합성의 주된 문제이다. 이 감미료의 제조는 단지 어떤 특정 하이드록실기, 그리고 오직 그러한 하이드록실기만을 유도시키거나, 아마도 어느 특정 하이드록실(들)이 유도되는지에 특별히 상관없이 단지 특정수의 하이드록실만을 유도시키는 것이 희망되는 슈크로오즈 유도체 합성의 한 예시일 뿐이다. 슈크로오즈에 기초한 모노에스테르 계면 활성제의 제조는 슈크로오즈 분자상의 단일 치환의 통상적 예이다.
출원인의 일부 및 노람코(Noramco)에 있는 그들의 동료들, 즉 본 출원의 양수인은 중간체로서 특정한 주석 화합물을 사용하는 슈크로오즈-6-에스테르의 유용한 제조방법을 개발하였다. 예를들면, 슈크로오즈-6-에스테르의 디스탄옥산에 기초한 제조는 1988년 7월 18일에 출원되고 본 출원과 같이 동일한 양수인에게 양도된 나비아(Navia)씨의 미합중국 특허 출원 제 220,641호 위치 선택적 반응에 의한 슈크로오즈 유도체의 합성 방법에 기술되어 있다. 나비아씨는 산화 디부틸주석, 산화 디옥틸주석, 디메톡시화 디부틸주석 등과 같은 적당한 디(하이드로 카르빌)주석에 기초한 종들이 1가 알코올 또는 단순 페놀과 같은 하이드록실기-함유 화합물과 결합하여 반응성 디옥탄옥산 중간체[즉, 1,3-디(하이드로카르빌옥시)-1,1,3,3-테트라(하이드로카르빌) 디스탄옥산]를 생성할 수 있고, 이는 그리고나서 슈크로오즈와 반응하여 1,3-디-(6-0-슈크로오즈)-1,1,3,3-테트라(하이드로카르빌)디스탄옥산을 산출할 수 있음을 개시하였다. 나비아씨는 또한 이들 유기주석-슈크로오즈 부가생성물을 적합한 용매 또는 용매 혼합물내에서 적당한 아실화제로 처리함으로써 수득된 슈크로오즈-6-에스테르의 즉석 제제를 기술했다.
슈크로오즈-6-에스테르를 제조하기 위한 다른 주석-매개된 방법은 네이디치씨 등 (D.S. Neiditch, N.M. Vernon 및 R.E. Wingard)에 의해 본 출원과 동일한 날에 출원된 공동 현안인 미합중국 특허 출원 제 [NOR 8] 슈크로오즈-6-에스테르 제조 방법에 기술되어 있다. 네이디치씨 등에 의해 기술된 방법은 슈크로오즈를 불활성 유기 용매내에서 1,3-디-(6-0-슈크로오즈)-1,1,3,3-테트라(하이드로카르빌)디스탄옥산을 제조하기에 충분한 시간동안 및 충분한 온도에서 산화 디(하이드로카르빌) 주석과 반응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네이디치씨 등의 방법의 바람직한 태양에서는 이렇게 하여 제조된 1,3-디(6-0-슈크로오즈)-1,1,3,3-테트라(하이드로카르빌)디스탄옥산을 슈크로오즈-6-에스테르를 제조하기에 충분한 온도에서 및 충분한 시간동안 아실화제와 반응시킨다.
슈크로오즈-6-에스테르의 제조를 위한 또다른 주석-매개된 방법은 왈컵씨 등(R.E. Walkup. N.M. Vernon 및 R.E. Wingard)에 의해 1990년에 출원되고 본 출원과 동일한 양수인에게 양도된 미합중국 특허 출원 제 [NOR 7] 산화 디알킬 주석 및 디올의 고리형 부가생성물에 의해 매개된 슈크로오즈의 선택적 6-아실화에 기술되어 있다. 왈컵씨 등에 의해 기술된 방법은 하기의 단계들로 이루어져 있다:(a) 불활성 유기 반응 용매내에서 공비 증류에 의해 물을 제거하면서 충분한 온도에서 및 충분한 기간동안 산화 디알킬 주석과 같은 산화 디(하이드로카르빌) 주석을 2가 알코올, 알칸올아민 또는 엔올화 가능한 α-하이드록시 케톤(즉, 엔디올로 엔올화할 수 있는 α-하이드록시 케톤)과 반응시켜 상기 산화 디알킬주석과 상기 2가 알코올, 알칸올아민 또는 엔올화가능한 α-하이드록시 케톤의 고리형 부가 생성물을 제조하고; (b) 슈크로오즈가 적합한 정도의 용해도를 갖는 양극성 비양성자성 액체와 같은 불활성 유기 반응 용매내에서 충분한 온도에서 및 충분한 기간동안 단계(a)의 상기 고리형 부가 생성물을 슈크로오즈와 반응시켜 6-0-[디하이드로카르빌(하이드록시- 또는 아미노- 또는 옥소하이드로카르빌) 스탄옥시] 슈크로오즈를 제조하고; (c) 단계(b)의 생성물을 아실화제와 반응시켜 슈크로오즈-6-에스테르를 제조한다.
나비아씨 방법, 왈컵씨 등의 방법 및 네이디치씨 등의 방법에서, 슈크로오즈-6-에스테르(S-6-E)를 함유하는 반응 혼합물은 또한 부산물로서 1,3-디아실옥시-1,1,3,3-테트라(하이드로카르빌)디스탄옥산 또는 디스탄옥산 디에스테르(DSDE)을 함유한다. 본 발명은 상기 DSDE를 회수하는 방법 및, 바람직하게는, 주석 화합물을 그후의 S-6-E의 제조를 위해 재순환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DSDE, 슈크로오즈-6-에스테르 및 극성 비양성자성 용매를 함유하는 혼합물로부터 DSDE를 추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이 방법은 하기의 단계들로 이루어진다:(a) 상기 혼합물을 소량의 물의 존재하에, 물과 실질적으로 혼합할 수 없는 유기 용매와 접촉시킴으로써 추출 혼합물을 형성하고, 여기에서 사용된 물의 양은 상기 극성 비양성자성 용매를 포함하는 첫번째 상으로 부터 상기 유기 용매를 포함하는 두번째 상 안으로 상기 DSDE를 효과적으로 분배시키기에 충분하며; (b) 추출 혼합물을 충분한 온도 및 충분한 시간동안 교반시켜 2-상 혼합물을 형성하고, 여기에서 추출 혼합물에 함유된 DSDE의 대부분은 상기 두번째 상에 함유되어 있고 본질적으로 추출 혼합물에 함유된 모든 S-6-E는 상기 첫번째 상에 함유되어 있으며; (c) 상기 두번째 상으로부터 상기 첫번째 상을 분리한다.
추출 혼합물내에 소량의 물이 존재하는 것은 S-6-E가 극성 비양성자성 용매내에 용해된 채로 남아 있는 반면 DSDE는 상기 유기 용매내로 분배되는 것을 가능케 하거나 크게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며, 따라서 슈크로오즈-6-에스테르가 극성 비양성자성 용매내에 용액으로 남아 있는 반면, DSDE는 상기 유기 용매에 의해 거의 정량적으로 추출될 수 있다.
슈크로오즈-6-에스테르를 생산하기 위한 슈크로오즈의 유기주석-매개된 위치 선택적 6-위치 아실화 반응은 상술한 나비아씨, 왈컵씨 등 및 네이디치씨 등의 특허 출원에 기술되어 있다. 인공 감미료 4,1', 6'-트리클로로-4,1',6'-트리데옥시갈락토슈크로오즈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슈크로오즈-6-에스테르의 효용은, 예를들면, 왈컵씨(R.E. Walkup), 베르논씨(N.M. Vernon) 및 나비아씨(J.L. Navia)에 의해 1989년 7월 18일자로 출원되고 본 출원과 같이 동일한 양수인에게 양도된 미합중국 특허 출원 제 382,147호 개선된 슈크로오즈-6-에스테르 염소화에 기술되어 있다. 본 출원인이 아는한, 슈크로오즈 아실화 반응후에 그 장소에서 발생하고, 소량의 물의 첨가에 의해 촉진되는 DSDE 부산물의 두 유기 용매상 사이의 분배는 문헌상으로 전례가 없다.
본 발명은 디스탄옥산 디에스테르와 함께 슈크로오즈-6-에스테르 및 극성 비양성자성 용매를 함유하는 혼합물을 소량의 물의 존재하에, DSDE는 용해되고 물과 실질적으로 혼합될 수 없는 유기용매와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혼합물로부터 디스탄옥산 디에스테르를 추출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DSDE, S-6-E 및 극성 비양성자성 용매를 함유하는 혼합물은 상기에 인용된 나비아씨, 네이디치씨 등 및 왈컵씨 등의 특허 출원에 기술된 방법중 어느 하나에 의해서도 생성될 수 있다. 이들 세가지 방법들을 이해하는 것은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된 반응 혼합물의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 유익하다. 따라서, 이들 세가지 방법들은 본 발명의 방법을 설명하는 하기 실시예들에서 약간 상세히 기술된다.
상기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방법은 슈크로오즈-주석 부가 생성물을 N,N-디메틸 포름아미드(DMF), 디메틸 술폭시드(DMSO), N-메틸피롤리디놀(NMP),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DMA), 헥사메틸-포스포라미드(HMPA)와 같은 극성 비양성자성 매질 및 슈크로오즈가 용해되는 다른 극성, 비양성자성 용매(바람직한 극성 비양성자성 용매는 DMF임)내에서, 적합한 아실화제(예를들면, 산 무수물)로 선택적 아실화시켜, 슈크로오즈-6-에스테르를 만드는 방법의 생성물과 통상적인 유기용매에 상당한 용해도를 갖는 주석 시약의 아실화된 형태를 출발 혼합물로서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라, 이렇게 유도된 유기 주석 부산물(DSDE)은 소량의 물로 처리한 후 적합한 유기 용매로 추출함으로써 슈크로오즈-6-에스테르 반응 매질로부터 분리된다.
상기 추출의 효과는 추출전에 소량의 물을 반응 매질에 가함으로써 상당하게 그리고 실질적으로 증가된다. 추출에 의한 주석 제거는 비상하게 효과적이다(두번의 1회 추출만큼 적은 양으로 최적 조건하에 99% 이상의 추출에 의한 유기 주석 제거 가능). 추출에 의한 주석 제거로부터 발생하는 라피네이트(즉, 주석 화합물이 추출된 후 남아 있는 액체)는 극성 비양성자성 용매, 아실화된 슈크로오즈 유도체(주로 S-6-E), 남은 물 및 교차 용해(cross-solubility)로부터 생성된 잔류 추출물을 포함한다. 증류법에 의한 물의 제거(슈크로오즈-6-에스테르가 슈크랄로오즈-6-에스테르로 염소화될 때 반드시 행해야 함) 및 잔류 휘발성 물질의 제거로 인해 극성 비양성자성 용매에 용해된 아실화된 슈크로오즈의 용액이 만들어진다.
사용된 극성 비양성자성 용매가 DMF일때, 이들 증류 찌꺼기들은 더이상의 처리 또는 슈크로오즈-6-에스테르의 단리없이 상기에 언급된 미합중국 특허 출원 제 382,147호에 기술된 염소화 반응에 직접 사용하기에 적당하다(S-6-E가 왈컵씨 등의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경우에는, 에스테르화된 디올, 아미노알코올 또는 엔올의 제거는 염소화 반응전에 실행된다). 염소화 반응의 일차 생성물은 슈크랄로오즈-6-에스테르이고, 이는 아실기를 제거하기 위한 가수분해에 의해 고강도 감미제인 슈크랄로오즈를 산출한다.
이렇게, 본 발명은 슈크로오즈의 주석-매개된 6-아실화 반응에 의해 생성된 유기 주석 부산물을 아실화된 탄수화물 유도체로부터 선택적으로 그리고 효과적으로 분리하기 위한 추출 기술을 제공함으로써 본 반응의 그 장소에 생성된 조 탄수화물 생성물이 중간체 S-6-E의 단리없이 그 후의 염소화 단계에서 직접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슈크랄로오즈를 제조하기 위한 그 후의 반응에서 물은 슈크로오즈-6-에스테르 용액으로부터 반드시 제거되어야 하고 이 물의 제거비용은 존재하는 그의 양에 비례하기 때문에, 첨가된 단지 소량의 물을 사용하여 분리가 일어날 수 있다는 사실은 본 발명의 중요한 특성이다. 본 발명의 분리 과정으로부터 생성된 DSDE는 추출 용액의 제거 및 당량의 알콕시화물의 처리에 의해 반응성 디스탄옥산 디알콕시드(나비아의 방법에서 재사용하기 위한 것)를 산출하거나 추출용액의 제거 및 약간 과량의 수성 소다와의 반응에 의해 산화 디(하이드로카르빌) 주석 (상기에 인용된 세가지 슈크로오즈-6-에스테르 제조방법중 어느 하나에서 재사용하기 위한 것)을 산출함으로써 슈크랄로오즈 반응 순서로 재 순환될 수 있다.
고체 생성물의 단리를 피함으로써, 슈크로오즈-6-에스테르(상기에 인용된 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과 같은)에 대한 전체적인 수율 증가를 실현할 수 있다; 예를들면, 생성물 단리를 위해 결정법이 사용될 때의 고체 슈크로오즈-6-벤조에이트(S-6-B)에 대한 약 80%의 수율 및 고체 슈크로오즈-6-아세테이트(S-6-A)에 대한 65% 수율에 반해, 이 방법에 의하면 S-6-B에 대한 90∼93% 수율 및 S-6-4에 대한 88∼91%수율. 추가된 이익들은 사용되는 용매수의 감소(예를들면, 결정화를 위해서는 아세톤 또는 메탄올이 사용된다), 결정화 모액의 재순환의 필요성 배제, DMF와 같은 극성 비양성 자성 용매를 증발시킬 필요성 배제, 그리고 방법에 필요한 장치 항목의 전체수 감소(예를들면, S-6-E를 위한 단리 및 건조 장치)를 포함한다.
DSDE의 추출에 의한 제거를 실행하는데 유용한 용매들은 물과의 낮은 교차-용해도를 나타내는 지방족 및 방향족 탄화수소류, 에테르류, 염화 탄화수소류, 케톤류 및 에스테르류를 포함한다(물과의 낮은 교차용해도는 약 20℃이하의 온도에서 측정할때, 추출 용매가 물의 약 1중량 퍼센트 미만으로 용해되고 물이 추출 용매의 약 1 중량 퍼센트 미만으로 용해됨을 의미한다). 비록 이들 용매들이 DMF 또는 다른 극성 비양성자성 용매들과 종종 혼합될 수 있을지라도, 슈크로오즈-6-에스테르의 존재는 추출 혼합물을 두개의 상으로 분리하고, 소량의 물의 첨가는 효과적인 DSDE 분배를 일으킴으로써 추출이 진행되도록 한다. 사용될 수 있는 용매로는 헥산, 시클로헥산, 헵탄 및 다른 지방족 탄화수소류, 벤젠, 톨루엔, 크실렌, 큐멘 및 다른 방향족 탄화수소류; 디에틸, 메틸, t-부틸, 디이소프로필 및 다른 에테르류;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사염화탄소, 이-, 삼- 및 사염화 에탄류, 폴리염화 지방족 및 방향족 탄화수소류, 클로로벤젠 및 다른 염화 탄화수소류; 메틸 이소부틸 케톤 및 다른 수 불혼화성 케톤류; 및 메틸 벤조에이트, 이소프로필 아세테이트 및 에틸 발레레이트와 같은 수 불혼화성 에스테르가 포함된다. 바람직한 용매들은 극성이 가장 낮은 것들이다; 지방족 탄화수소류는 DMF와 낮은 교차 용해도를 나타내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용매의 증류에 의한 제거를 돕기 위하여, 상압하에서 60 내지 100℃ 범위에 있는 비등점이 바람직하다. 가장 바람직한 것들은 상압에서 약 75∼85℃에서 끓는 용매들이다.
추출 용매는 존재하는 DSDE를 효과적으로 추출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즉, DSDE의 g당 적어도 추출 용매 약 1㎖의 양으로, 바람직하게는, DSDE의 g당 적어도 추출용매 약 1.5㎖의 양으로, 그리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추출 혼합물에 존재하는 DSDE의 g당 적어도 추출 용매 약 2㎖의 양으로 사용된다. 전술한 비율은 첫번째 추출 단계에 적합하다. 실제로는, 둘 또는 세개의 추출 단계들이 통상적으로 사용된다; 두번째 및 세번째 단계들에서는 훨씬 적은 추출 용매들이 사용될 수 있는 반면, 그후의 추출 단계에 사용되는 추출 용매의 비율은 보통 위에서 지정된 것보다 많은데 그 이유는 라피네이트에 남아 있는 DSDE의 양은 각 추출과 함께 점점 작아지고, 취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특정한 최소량의 추출 용매가 반드시 사용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보통의 상황에서는, 첫번째 추출 단계에서 사용된 용매량의 약 1/3 내지 1/2이 두번째, 세번째 및 (필요하다면) 그후의 추출 단계들에 사용된다. 하기의 실시예들은 사용된 추출 용매의 비율의 크기의 정도를 설명한다. 사용된 추출 용매량의 상한선은 실시 가능성 보다는 경제적인 실용성의 이유에 의해 더 지시된다. 그렇지만, 첫번째 추출 단계에 DSDE의 g당 5㎖ 이상의 추출 용매가 사용된다는 것은 드문 일이다.
분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사용되는 물의 양은 사용된 추출 용매의 특성에 부분적으로 의존하며, 증가된 용매 극성은 증가된 양의 물을 필요로 한다. 추출을 실행하는 바람직한 목표가, 용액이 무수성이어야 하는 미합중국 특허 출원 제 382,147호에 개시된 방법에 의한 직접 염소화에 적당한, DMF와 같은 용매에 용해된 슈크로오즈-6-에스테르의 용액을 제조하는 것이기 때문에, 사용된 물의 양을 최소화하는 것은 경제적인 이유로 중요하다. 하기의 표는 다양한 양의 시클로헥산 및 물을 사용하여 100g 슈크로오즈 투입량 규모의 슈크로오즈-6-아세테이트 반응 혼합물(실시예 8의 최초 2절의 방법에 의해 생산됨)로부터 주석 화합물 디스탄옥산 디아세테이트(DSDA)를 추출한 것에 대한 데이타이다. 단일 추출 단계가 사용되었다. 통상적인 관례로, 하나이상(예를들면, 둘 또는 셋)의 추출 단계들이 사용될 수 있다.
* 추출후의 라피네이트에 남아있는 DSDA의 g
물이 없으면 추출은 효과가 없지만, 단지 소량의 물의 첨가가 탄화수소 상내로 주석종의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분배를 일으키기에 충분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총 추출 공급량(즉, 시클로헥산을 제외하고, S-6-A와 DSDA의 DMF용액)은 약 92.6G(0.154몰)의 DSDA를 포함하는 540g의 용액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행에 사용된 바람직한 추출용매 및 물의 양은 탄화수소 용매들 및 추출 혼합물에 존재하는 DSDE의 몰당 약 3몰 내지 약 20몰의 물이다. 바람직한 추출 용매들은 헥산 시클로헥산 및 헵탄이고, 물의 바람직한 비율은 DSDE몰당 약 5 내지 약 10몰의 물이다.
유기상내로 DSDE의 효과적인 분배가 극성 비양성자성상에 소량의 물(몰 기본 DSDE)을 첨가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는 사실은 놀라운 것이며, 당분야에 숙달된 자들에 의해 예견될 수 없었던 것이다. 유리한 DSDE 분배 행동을 만들어내는데 있어서 물의 유효성은, 부분적으로는, DSDE와 존재하는 각종의 탄수화물 종 사이의 연합 상호작용의 파괴가 가능하기 때문일 수 있다[4가 유기 주석 화합물들은 히드록실과 같은 리간드 특성을 가진 기들이 존재한다면 5- 또는 6배위 종들을 형성하려는 경향을 갖는다. S. David 및 S. Hanessian, Tetrahedron, 41, 643(1985) 및 A. Davies, et al., J. Chem. Soc. Dalton Trans., 297(1986) 참조]. 물의 첨가후에, 어느 속도로든, DSDE는 극성 비양성자성상으로부터 비교적 비극성인 유기상내로 추출되고 일수화물로서 단리되며, 이는 첨가된 물이 DSDE-탄수화물 결합을 파괴하여 쉽게 추출가능한 DSDE, H2O종을 생성한다는 것을 암시한다.
하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실시를 설명한다.
[실시예 1]
[시클로헥산과 물에 의한 DSDB의 추출 제거를 사용한 나비아씨의 방법에 의한 슈크로오즈-6-벤조에이트의 제거]
기계적 교반장치, 온도계, 응축기 및 딘-스타크 트랩(Dean-Stark trap)이 장치된 500㎖, 4경 둥근바닥 플라스킁 5.16g(87.4% 함유율, 80.4밀리몰)의 수산화 칼륨, 100㎖의 n-부틸 알코올 및 35㎖의 헥산을 채우고 혼합물을 가열하여 환류시킨다. 물(약 2.5㎖)은 45분의 기간에 걸쳐 형성된 헥산 공비 혼합물로서 딘-스타크 트랩내에 수집된다. 그리고나서 반응기 내용물에 50㎖의 뜨거운 헥산에 용해된 32.2g(44.5밀리몰)의 디스탄옥산 디벤조에이트(DSDB, 하기 실시예 6A에 기술된 것처럼 제조)의 용액을 가한다. 혼합물을 환류하에 30분동안 유지하면서 헥산을 증류 제거시킨다. 뜨거운 반응 혼합물을 대기중의 습기를 배제하도록 주의하면서, 상술한 것처럼 장치된 다른 500㎖ 둥근 바닥 플라스크내로 직접 진공 여과시킨다. 여과지 덩어리를 부탄올 및 헥산의 1:1(부피) 혼합물의 총 100㎖로 2회 세척한다. 고형 벤조산 칼륨(건조 중량 12.4g, 이론의 96.6%)을 버린다.
흐린 여액 [부탄올에 요해된 1,3-디부톡시-1,1,3,3-테트라부틸 디스탄옥산(DBDS)함유]에 150㎖의 뜨거운 (약 90℃) DMF에 용해된 25.0g(73.1밀리몰)의 슈크로오즈를 가한다. 반응기를 진공 증류에 맞추어 만들고 증류물을 수류펌프 진공하에 65∼66℃ 두부(head) 온도(70∼73℃ 용기 온도)에서 수거한다. 약 200㎖의 증류물을 제거한 후, 추가적인 50㎖의 DMF를 용기에 가한다. 총 312㎖의 증류물이 수거될 때까지 증류를 계속한다. 증류 잔류물을 50㎖의 DMF로 희석시켜 DMF(약 130㎖ 부피)에 용해된 1,3-디-(6-0-슈크로오즈)-1,1,3,3-테트라 부틸디스탄옥산(DBSS)의 투명한 담황색 용액을 수득한다.
용액을 18∼20℃로 냉각하고 18.2g(80.6밀리몰)의 벤조산 무수물로 단일 부분으로 처리한다. 하룻밤동안 교반한 후, 반응 혼합물을 분리 깔때기로 옮기고 50㎖의 시클로헥산 및 5㎖(278밀리몰, DSDB 기준 6.24당량)의 물로 처리한다. 분리기의 내용물을 가볍게 교반하고 생성된 상들이 분리되도록 한다. 상부의 상을 제거하고 하부의 (DMF)상을 추가적인 시클로헥산(5×50㎖)으로 추출한다. 결합된 추출물들을 농축시켜 점성 황색 오일로서 35.0g의 회수된 DSDB(잔류 용매 함유)를 수득하고 이는 방치시키면 고화된다. 하부의 상을 진공하에 50℃에서 농축시켜 HPLC 분석에 의해 59.5% W/W 슈크로오즈-6-벤조에이트(27.4g, 61.4밀리몰, 84.1% 수율), 6.4% W/W 슈크로오즈 디벤조에이트 및 0.7% W/W 잔류 슈크로오즈를 함유하는 것으로 나타난 진한 황색 시럽(46.1g)을 만든다. 원자 흡광 분광광도계에 의해 DSDB%로 표현된 잔류 주석은 0.9% W/W이다.
[실시예 2]
[메틸 t-부틸 에테르와 추가된 물을 사용한 조 슈크로오즈-6-벤조에이트 혼합물로부터 추출에 의한 DSDB 제거]
실시예 1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순서로, DSDB 및 S-6-B를 함유하는 조 반응 혼합물을 5㎖(278밀리몰, DSDB 기준 6.24당량)의 물로 처리하고 나서 메틸 t-부틸 에테르(MTBE, 6×100㎖)로 추출한다. 실리카겔 TLC(Rf는 약 0.5, 15:10:2, CHCL3-CH3OH- H2O, 5% 에탄올성 H2SO4로 분무되고 구워짐)에 의해 약간의 S-6-B를 함유하는 것으로 밝혀진 결합된 추출물들을 50㎖의 물로 역류시키고 이전의 추출로부터 얻어진 라피네이트와 결합된 수성상으로 역류시킨다. 결합된 MTBE 추출물들을 농축시켜 진한 시럽으로서 33.4g의 회수된 DSDB(잔류 용매 함유)를 수득하고, 이는 방치하면 고화된다. 결합된 하부의 상을 진공하에 50℃에서 농축시켜 HPLC 분석에 의해 58.2% W/W 슈크로오즈-6-벤조에이트(27.1g, 60.8밀리몰, 83.3% 수율) 및 0.3% W/W 잔류 슈크로오즈를 함유하는 것으로 밝혀진 46.6g의 담황색 시럽을 수득한다. S-6-B는 100%의 슈크로오즈 모노벤조에이트 및 87.4%의 모든 벤조일화 탄수화물종들을 설명한다. 시료중의 잔류 주석은 원자 흡광 분광광도계에 의해 분석되고, DSDB%로서 표현될때 0.14% W/W임이 밝혀졌다.
[실시예 3]
[큐멘과 추가된 물을 사용한 조 슈크로오즈-6-벤조에이트 혼합물로부터 추출에 의한 DSDB 제거]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방식으로 실행된 방법으로, 슈크로오즈-6-벤조에이트 및 DSDB의 조 반응 혼합물을 제거하고(약 170㎖ 부피), 100㎖의 큐멘(이소프로필 벤젠) 및 10㎖(556몰, DSDB 기준 12.5 당량)의 물로 처리한다. 흐린 2-상 시스템을 완전히 혼합하고, 방치하여 두개의 투명한 액상을 만든다. 그들을 분리하고, 추가적인 큐멘(3×100㎖)으로 라피네이트를 추출한다. 라피네이트를 50℃에서 진공하에 농축시켜 HPLC 분석에 의해 50.6% W/W S-6-B (23.5g, 52.7밀리몰, 72.1% 수율), 3.6% W/W 잔류 슈크로오즈 및 6.0% W/W 슈크로오즈 디벤조에이트를 함유하는 것으로 밝혀진 46.5g의 시럽을 수득한다. 슈크로오즈-6-벤조에이트는 100%의 모노벤조에이트 및 91.2%의 총 벤조일화 탄수화물 분획을 설명한다. DSDB%로서 표현된 잔류 주석은 0.04%(원자 흡광분석)이다.
[실시예 4]
[메틸 t-부틸 에테르/시클로헥산 및 추가된 물에 의한 DSDB의 추출 제거를 사용한 슈크로오즈-6-벤조에이트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DSDB 및 슈크로오즈-6-벤조에이트를 함유하는 조 반응 혼합물을 5㎖(278밀리몰, DSDB기준 6.24 당량)의 물로 처리하고 나서 MTBE 및 시클로헥산의 1:1(부피) 혼합물로 추출한다(6×50㎖). 결합된 추출물들은, 증발후에, 35.0g의 DSDB(잔류 용매 함유)를 산출한다. 라피네이트를 진공하에 50℃에서 농축시켜 HPLC 분석에 의해 59.5% W/W S-6-B(27.4g, 61.4 밀리몰, 84.1% 수율)을 함유하는 것으로 밝혀진 시럽(46.1g)을 만든다. 시럽중의 잔류 DSDB는 0.4g이다.
[실시예 5]
[추출에 의해 회수된 DSDB를 사용한 재순환 실험]
표 1은 추출에 의해 회수된 DSDB를 사용하여 슈크로오즈-6-벤조에이트를 제조하는 일련의 실험들의 결과를 요약한 것이다. 방법은 실시예 1에서 기술된 것과 유사하며 2배 큰 규모이다. 초기 DSDB 투입량은 실시예 6A의 방법에 의해 벤조산 무수물을 사용하여 제조되고 5% 수성 아세토니트릴로부터 결정화에 의해 단리되고, 나머지 DSDB 투입량은 이전 주기로부터 재순환된 DSDB를 사용함으로써 제조된다.
6주기에 걸친 주석 시약 회수율은 평균 97.7%이고, 결손은 벤조산 칼륨 여과지 덩어리에 대한 손실 및 기계적 손실에 의해 야기된 것이다. 슈크로오즈-6-벤조에이트의 수율은 초기 슈크로오즈 투입량을 기준으로 평균 87.7%이다.
본 실시예는 디스탄옥산 디에스테르 추출 생성물을 먼저 알코올성 알칼리와 반응시켜 1,3-디(하이드로카르빌옥시)-1,1,3,3-테트라(하이드로 카르빌)-디스탄옥산을 생성하고, 이를 그리고나서 나비아씨의 방법에 사용하여 1,3-디-(6-0-슈크로오즈)-1,1,3,3-테트라(하이드로카르빌)-디스탄옥산을 생성하고, 그리고나서 이를 아실화제와 반응시켜 슈크로오즈-6-에스테르 및 디스탄옥산 디에스테르를 생성하는 본 발명의 태양의 한 예시이다. 본 실험에서, 제조된 1,3-디(하이드로카르빌옥시)-1,1,3,3-테트라(하이드로카르빌)디스탄옥산은 1,3-디알콕시-1,1,3,3-테트라(알킬)디스탄옥산, 특히, 1,3-디부톡시-1,1,3,3-테트라부틸 디스탄옥산이다.
[실시예 6]
[디스탄옥산 디에스테르(DSDE)의 제조]
표준물질로서, 그리고 실시예 1∼5에서 기술된 실험들에 사용된 디스탄옥산 디에스테르를 제조하기 위해서 두가지 방법들이 사용된다.
A. 카르복실산 및 산화 디부틸주석으로부터 제조
산화 디부틸주석(DBTO, 100g, 0.40몰)을 톨루엔 또는 시클로헥산(200㎖)중에서 아세트산 또는 벤조산(24.1 또는 49.1g, 0.40몰)으로 환류시키고, 반응에서 생긴 물을 딘-스타크 트랩내에 분리시킨다. 물 제거는 약 2시간이 소요된다. DSDE는 용액으로 사용될 수 있거나 결정화될 수 있고, 용매 제거 및 200㎖의 5% 수성 아세토니트릴(DSDB) 또는 100㎖의 5% 수성 DMF(DSDA)에 용해시킴으로써 단리된다. 두가지 디스탄옥산 에스테르들은 하기의 특징들을 갖는 모노하이드레이트로서 결정화된다.
B. 무수물 및 산화 디부틸주석으로부터 제조
DBTO(100g, 0.40몰)를 60℃에서 시클로헥산(200㎖)중에 반죽하고, 아세트산 무수물 또는 벤조산 무수물(20.4 또는 45.2g, 0.20몰)을 가한다. 60℃에서 2시간동안 교반을 계속하여 DBTO가 완전히 용해되도록 한다. DSDE는 용액으로 사용되거나 방법 A에 약술된 방법에 의해 단리되어 동일한 수율로 상기에 주어진 것과 같은 특성을 나타내는 생성물을 산출한다.
[실시예 7]
[나비아씨의 방법을 사용하여 산화 디부틸주석으로부터 슈크로오즈-6-아세테이트의 제조]
DBTO(114g, 460밀리몰)를 n-부탄올(220㎖) 및 시클로헥산(50㎖) 중에서 2시간동안 환류시키면서 4.0㎖의 물을 딘-스타크 트랩내에 수거한다. 그리고나서 총 230㎖의 혼합된 용매를 진공 증류에 의해 제거하여 n-부탄올에 용해된 DBDS로 구성된 연갈색의 약간 탁한 오일을 수득한다.
슈크로오즈(150g, 438밀리몰)를 110℃에서 DMF(450㎖)에 용해시키고, 용액을 90℃로 냉각시키고 상기 오일에 가한다. 다시 진공을 걸고 증류를 계속하여 80∼85℃의 반응 용기 온도에서 200㎖의 증류물을 수거한다. 중류는 약 30분이 소요된다. DMF(100㎖, 80℃)를 가하고 진공증류를 계속하여 150㎖의 증류물을 더 수거한다. 150㎖의 DMF로 이를 반복하여, 추가적인 100㎖ 증류물을 수거한다. DMF에 용해된 DBSS로 구성된 잔류물을 20℃ 이하로 냉각시킨다.
발열을 조절하기 위한 외부 냉각을 사용하여 온도를 10∼20℃로 유지하기에 충분한 속도로 아세트산 무수물(49.2g, 482밀리몰)을 적가한다. 적가는 40분이 소요된다. 용액을 20∼25℃에서 0.5시간동안 더 교반하고 나서, 처음의 2 추출 각각에 물(15㎖, 833밀리몰, DSDA 기준 3.62당량)을 가하면서 시클로헥산(3×250㎖)으로 추출한다. 결합된 추출물(DSDA 함유)을 재순환을 위해 저장하는 한편, 라피네이트를 진공하에서 원 중량의 30%로 농축시켜 물을 제거하고 나서, DMF(100㎖)로 희석하고, 염화시켜 슈크랄로오즈-6-아세테이트를 만들기 위해 저장한다. 용액(288g)은 HPLC분석에 의하면 98.2g(256밀리몰, 58.4%수율)의 슈크로오즈-6-아세테이트를 포함한다. 원자 흡광 분광광도계에 의해 용액이 0.4g DBTO에 해당하는, 0.07% 주석을 함유하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8]
[네이디치씨 등의 방법을 사용한 추출에 의한 유기주석 회수 및 재순환을 위한 산화 디부틸주석으로의 전환]
기계적 교반장치, 온도계, 60㎖ 첨가 깔때기 및 짧은 비그렉스(Vigreux)컬럼, 딘-스타크 증류 수액기 및 환류 응축기로 구성된 증류장치가 장치된 1000㎖ 4경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76.4g(0.307몰)의 DBTO, 100g(0.292몰)의 슈크로오즈 및 350㎖의 DMF를 채운다. 혼합물을 100∼110℃로 가열하여 슈크로오즈를 용해시키고나서 85∼90℃로 냉각시키고 적하 깔때기를 통하여 시클로헥산(100㎖)을 가한다(가벼운 환류). 혼합물을 격렬한 환류(반응온도 90∼95℃)에서 4.5시간동안 가열하는 동안 딘-스타크 수액기에 있는 하부의 수성상이 수거된다. 추가적이 시클로헥산을 95℃ 이하의 온도를 유지하기에 필요한만큼 가한다.
DMF 및 시클로헥산의 혼합물에 용해된 DBSS를 함유하는 생성된 투명한 갈색 감습성 용액을 0℃로 냉각시키고, 얼음욕 냉각으로 온도를 10℃ 이하로 유지하면서 32.8g(0.321몰)의 아세트산 무수물로 적가 처리한다. 그리고나서 혼합물을 20∼25℃로 데워지도록 방치하고 1시간동안 교반한다.
물(25㎖, 1.39몰, DSDA 기준 9.05당량)과 추가의 시클로헥산(250㎖, 총 시클로헥산 함량 약 350㎖)을 가하고, 혼합물을 20∼25℃에서 10분간 격렬하게 교반하고나서, 1000㎖ 분리 깔때기로 옮긴다. 상들이 분리되고, 하부의 상은 추가적인 물(25㎖, 1.39몰, DSDA 기준 9.05당량)로 처리되고 시클로헥산(2×150㎖)으로 더 추출된다. 추출과정은 총 주석함량의 99.5%를 제거한다. 그리고나서 DMF에 기초한 라피네이트(S-6-A, 물 및 동반된 시클로헥산 함유)를 50㎜ Hg 및 70℃(최대)에서 분획적으로 증류시켜 HPLC 분석전에 물과 시클로헥산을 제거한다(96.1g, 0.250몰, S-6-A의 85.7% 수율).
시클로헥산 추출물(DSDA함유)을 결합시키고 오일로 농축시키고 이를 95℃에서 매우 격렬하게 교반된 1.1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300㎖)에 뜨거운(70℃ 이상) 묽은 흐름으로 5분에 걸쳐 가한다. DBTO의 과립들이 신속하게 형성된다. DBTO 슬러리를 90∼95℃에서 10∼15분 동안 격렬하게 교반하고나서 30℃로 냉각하고 여과한다. DBTO 덩어리를 물(3×100㎖)로 완전히 세척하고 건조시킨다(건조에 의한 25∼33% 손실).
회수된 DBTO는 추출되고, DBTO로서 회수되고나서 네이디치씨등의 방법에 의해 S-6-A를 생성하기 위해 다시 재순환되는 DSDA와 함께, 본 실시예 8에서 상술한 방법에 의해 S-6-A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된다. 반복 실험에 대한 산화 디부틸주석 회수율(순도에 대하여 보정됨), 슈크로오즈-6-아세테이트의 수율 및 DBTO 투입 조성 데이타가 하기 표 2에 기재되어 있다(DBTO가 반 수화물로서 단리됨에 주의하라).
상기의 실시예는 회수된 DSDE를 수성 알칼리로 처리하고 산화 디(하이드로카르빌)주석(이 경우에는, 산화 디알킬주석, 그리고 보다 특별하게는 산화 디부틸주석)으로서 회수하고, 그리고나서 이를 네이디치씨등의 방법에 의해 슈크로오즈-6-에스테르를 생성하기 위해 재순환시키는 본 발명의 태양의 한 예시이다. 상기의 회수된 산화 주석은 또한 나비아씨의 방법 또는 왈컵씨 등의 방법에 재사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9]
[추출에 의한 주석 시약 회수후 조 슈크로오즈-6-벤조에이트/DMF 혼합물의 염소화]
본 실시예는 고강도 비영양성 감미료 슈크랄로오즈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중간 단계로서 DSDB 추출(본 발명의 실행에 따라)후에 생성된 라피네이트의 직접적인 염소화를 설명한다.
기계적 교반기, 온도계, 응축기, 아르곤 블랑킷(blanket) 및 첨가 깔때기가 장치된 500㎖ 4경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90㎖의 건조 DMF에 용해된 실시예 1에서 기술된 것과 같이 제조된 16.8g의 슈크로오즈-6-벤조에이트(10.0g, 22.4밀리몰)를 채운다. -38℃로 냉각된, 생성된 투명한 담황색용액에, 24㎖의 톨루엔에 용해된 총 35.3㎖의 포스겐(491밀리몰)을 적가한다. 이 첨가는 첨가의 전 과정을 통하여 내부온도가 -38℃로부터 +14℃까지 올라가는 발열반응이다.
생성된 슬러리를 65℃까지 데우고, 이렇게하여 생성된 투명한 용액을 82∼83℃에서 1시간 동안, 그리고나서 112∼113℃에서 3시간 동안 가열한다. 반응 혼합물을 8℃까지 냉각시키고 충분한 미리 냉각된 (5℃) 4.0N NaOH로 처리하여 pH를 9∼10으로 올린다(116㎖). 상기 첨가는 온도를 8℃로 부터 51℃까지 올리는 심한 발열 반응이다. 혼합물을 pH 9∼10에서 3시간동안 교반하고 나서 아세트산을 적가하여 중화시킨다.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4×200㎖)로 추출하고, 결합된 추출물을 150㎖의 물로 세척하고 45℃에서 4g의 목탄으로 탈색시킨다. 황색 여액을 진공하에 50℃에서 농축시켜 잔류 오렌지색 시럽을 만들고 이를 50㎖의 물 및 50㎖의 MTBE로 처리하고 50℃로 데운다. 2-상 혼합물을 넣고, 완전히 교반하고, 주변 온도까지 냉각시키면 슈크랄로오즈-6-벤조에이트가 결정화된다. 흡인 여과에 의해 고체를 수거하고, 총 50㎖의 MTBE로 2회 세척하고 진공하에 50℃에서 건조시켜 6.17g의 황색을 띤 백색 고체를 수득한다. HPLC 분석은 생성물이 91.5% W/W 슈크랄로오즈-6-벤조에이트(5.65g, 11.3밀리몰, 50.2% 수율)를 함유하는 것을 나타낸다. 결정화로부터 얻은 모액을 농축시켜 HPLC 분석에 의해 28.8% W/W 생성물을 함유하는 것으로 밝혀진 7.28g의 시럽을 수득한다(18.6% 수율).
[실시예 10]
[추출에 의한 주석 제거후의 조 슈크로오즈-6-아세테이트/DMF 시럽의 염소화]
본 실시예는 슈크랄로오즈 제조에 있어서 중간 단계로서 DSDA추출(본 발명의 실행에 따라)후의 라피네이트의 직접적인 염소화의 또다른 예시이다.
상부의 교반기, 온도계, 아르곤 주입구 및 진공 증류장치가 장치된 1000㎖ 4경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105g의 슈크로오즈-6-아세테이트 시럽(39.5g, 103밀리몰, 실시예 8에 기술된 것과 같이 제조되고 DSDA로부터 유리됨) 및 272g의 DMF를 채운다. 생성된 용액을 35℃에서 진공 증류(3∼5Torr)시켜 외래의 습기 및 잔류 휘발물질들을 제거한다. 약 70.5g의 총 증류물이 수거된다.
잔류물(298g)을 약 0℃까지 냉각시키고 교반하면서 0℃와 32℃ 사이에서(발열) 121g(943밀리몰)의 시판되는 (Aldrich Chem. Co.) 클로로메틸렌(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로 나누어서 처리한다. 혼합물을 30분동안 114℃로 가열하고 그 온도에서 3시간동안 유지한다. 반응물을 0℃까지 냉각하고, 238g의 찬(0∼5℃) 16중량%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단일 부분으로 처리한다(최종 pH 9∼10). 반응 열에 의해 온도가 54℃로 올라간다. 혼합물을 진한 염산으로 중화시키고 (pH 7로) 14g의 탈색 탄으로 처리하고, 여과지의 층을 통하여 여과한다.
증기 증류에 의해 생성물 혼합물로부터 DMF를 제거한다. 슈크랄 로오즈-6-아세테이트를 함유하는 수용액을 50℃에서 감압하에 농축시키고, 10g의 탈색 탄으로 처리하고 여과지를 통하여 여과한다. 여액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한다(2×500㎖ 다음에 1×300㎖). 결합된 에틸 아세테이트 추출물을 150㎖의 물로 세척하고 시럽(61.1g)으로 농축시키고, 이는 자발적으로 결정화하기 시작한다.
반 고체 잔류물을 MTBE(100㎖)로 분쇄한다. 생성된 고체를 진공여과에 의해 수거하고 진공하에 주변 온도에서 건조시켜 15% W/W 내포된 용매를 함유하는 26.8g의 슈크랄로오즈-6-아세테이트(70.6% W/W, 18.9g, 43.0밀리몰, 41.7% 수율)를 수득한다. 부가적인 2.2% 수율의 생성물은 모액내에 함유되어 있다.
[실시예 11]
[재결정화된 슈크랄로오즈-6-벤조에이트의 슈크랄로오즈로의 전환]
상부 교반기, 온도계, 건조 관 및 마개가 장치된 2000㎖ 4경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207g의 91.4% 슈크랄로오즈-6-벤조에이트(189g, 378밀리몰, 실시예 9에서 상술한 것과 같이 제조) 및 1000㎖의 메탄올을 채운다. 혼합물을 가열하여 고체를 용해시키고, 메탄올에 용해된 25㎖의 0.84M 수산화 칼륨(21 밀리몰)을 단일 부분으로 가하고, 실온에서 5시간 동안 교반을 실행한다.
약산 이온-교환 수지(산 형태)를 가함으로써 반응 혼합물을 중화시킨다. 용액을 여과하고 수지를 메탄올(2×250㎖)로 세척한다. 결합된 여액을 증발시켜 부드러운 거품으로 만들고 이를 1000㎖의 물에 용해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3×250㎖)로 추출하여 메틸 벤조에이트, 반응하지 않은 슈크랄로오즈-6-벤조에이트 및 다른 비극성 불순물들을 제거한다. 수층을 농축시켜 점성 연갈색 용액(487g, 29.0중량% 슈크랄로오즈, 94.0% 조수율)을 만들고 이를 목탄으로 탈색시킨다. 용액을 진공하에 70℃에서 181g으로 농축시키고, 용액을 먼저 3.5 내지 4.0시간에 걸쳐 40℃로 점점 냉각시킨 후 10℃에서 1.5시간동안 냉각시킴으로써 결정화를 완성시킨다. 생성물을 진공 여과에 의해 회수하고 진공하에 45∼50℃에서 건조시켜 112g(282밀리몰,, 74.5% 수율)의 슈크랄로오즈 [융점 119∼120℃, 분해; [α] 20°/D+87.1℃(C, 1.23, HO)]를 수득한다. 무색 결정성 생성물은 99.6중량%의 HPLC 순도를 갖는다.
[실시예 12]
[슈크랄로오즈-6-아세테이트의 아세틸기 이탈반응]
조 결정성 슈크랄로오즈-6-아세테이트(114g, 258밀리몰, 실시예 10에서 상술한 것과 같이 제조)를 상부 교반기, 온도계, 환류 응축기 및 마개가 장착된 1000㎖ 4경 플라스크내의 400㎖의 메탄올에 용해시킨다. 용액을 오일욕으로 55∼60℃로 데우고, 메탄올에 용해된 3.5㎖의 30W/V% KOH를 가한다. 15분후 TLC(80:17:3, CHCl-CHOH-HOAc, 5% 에탄올성 HSO로 분무되고 구워짐)는 반응이 본질적으로 완전함을 나타낸다. 15분간 더 반응시킨 후, 혼합물을 40g의 메탄올-세척된 약산 이온-교환 수지(산 형태)로 중화시킨다.
수지를 여과에 의해 제거하고 두번의 100㎖ 부분의 메탄올로 세척한다. 결합된 여액 및 세척액을 증발시켜 진한 시럽을 얻고 이를 물로 희석하고 더 농축시켜 잔류 메탄올을 제거한다. 잔류물을 탄으로 탈색시키고 진공하에 60℃에서 농축시킨다. 교반된 혼입된 시럽을 하룻밤동안 주변온도까지 서서히 냉각되도록 방치함으로써 생성물의 결정화를 실행한다. 회수량은 80.5g(건조 중량)의 96.6% 순수한 슈크랄로오즈(77.8g, 195밀리몰, 75.6% 수율)에 이른다. 또다른 21.0g(52.8밀리몰, 15.9% 수율)의 슈크랄로오즈는 모액내에 보유되어 있다.
나비아씨, 네이디치씨 등 및 왈컵씨 등의 방법의 개요가 하기에 나타나 있다.
나비아씨의 방법은 1,3-디(하이드로카르빌옥시)-1,1,3,3-테트라(하이드로카르빌)디스탄옥산 [이는 간단히 디(하이드로카르빌옥시)-디스탄옥산으로 언급될 것임]과 슈크로오즈를 반응시켜 1,3-디-(6-0-슈크로오즈)-1,1,3,3-테트라(하이드로카르빌)디스탄옥산 [이는 간단히 디(하이드로카르빌)스탄옥실슈크로오즈로 언급될 것임]을 형성하고 나서, 이를 아실화제와 반응시켜 슈크로오즈-6-에스테르를 형성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이 반응의 부산물은 1,3-디아실옥시-1,1,3,3-테트라(하이드로카르빌) 디스탄옥산 또는 디스탄옥산 디에스테르이다. 두 반응들은 DBTO가 그 장소에서 디(하이드로카르빌옥시) 디스탄옥산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되고, 벤조산 무수물이 아실화제로서 사용되는 하기의 일반화된 실험방법으로 설명된다:메탄올(100㎖), 슈크로오즈(5.00g) 및 산화 디부틸주석(3.64g, 슈크로오즈 기준 1.00몰 당량)을 적당한 반응 용기에 채운다. 반응 용기의 내용물을 약 2시간동안 환류시키고 메탄올을 증발시킨다. 이 반응의 생성물은 1,3-디-(6-0-슈크로오즈)-1,1,3,3-테트라부틸디스탄옥산이다. 백색 고체를 DMF(100㎖)에 용해시키고 3.64g의 벤조산 무수물(슈크로오즈) 기준 약 1.10몰 당량)을 가한다. 반응 용기의 내용물을 실온에서 하룻밤동안 교반한다. 생성물은 슈크로오즈-6-에스테르(이 경우에는 S-6-B)이고, DSDE(이 경우에는 DSDB)가 부산물로서 생성된다.
슈크로오즈 및 디(하이드로카르빌옥시)디스탄옥산 반응물은 목적 1,3-디-(6-0-슈크로오즈)-1,1,3,3-테트라(하이드로카르빌)-디스탄옥산을 생성하기 위한 비율로 사용된다. 디(하이드로카르빌옥시) 디스탄옥산이 산화 디(하이드로카르빌)주석 (DHTO)과 메탄올과 같은 저급 알칸올의 반응에 의해 그 장소에 생성되는 나비아씨의 방법을 실행하는 바람직한 양식에서, DHTO 및 슈크로오즈는 바람직하게는 약 1:1의 화학량론적 비율로 사용된다. 이는 과량의 슈크로오즈의 사용이 슈크로오즈 및 원치 않는 슈크로오즈 에스테르에 의한 S-6-E의 오염을 초래하는 반면, 과량의 DHTO의 사용은 슈크로오즈 디에스테르에 의한 S-6-E 생성물의 오염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가장 바람직한 화학량론적 비율은 생성물내에 슈크로오즈가 거의 없음을 보장하기 위하여 약간의 (1-3%)몰 과량(슈크로오즈 기준)으로 DHTO를 사용하는 것이다.
DBTO 대신에, 주석에 결합된 하이드로카르빌기가 각각, 예를들면, 메틸, 에틸, 프로필, 부틸, 옥틸, 벤질, 펜에틸, 페닐, 나프틸, 시클로헥실 및 치환된 페닐과 같은 알킬, 시클로알킬, 아릴 또는 아릴알킬일 수 있는 다른 산화 디(하이드로카르빌) 주석류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하이드로카르빌기는 8개까지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이다. 그 장소에서 디(하이드로카르빌옥시) 디스탄옥산을 생성하는한 산화 주석 대신에, 디(하이드로카르빌)주석 디알콕사이드, 디할라이드, 디아실레이트 또는 다른 유기 주석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반응은 슈크로오즈 및 디(하이드로카르빌옥시)-디스탄옥산에 대한 용매인 유기액체 반응 매질내에서 실행된다. 디(하이드로카르빌옥시) 디스탄옥산이 그 장소에서 생성될때, 반응 매질은 바람직하게는 또한 디(하이드로카르빌옥시) 디스탄옥산을 생성하기 위하여 사용된 화합물(들)에 대한 용매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반응 매질은 또한 그 장소에서 디(하이드로카르빌옥시)디스탄옥산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반응물들중 하나이다. 각종의 지방족 및 시클로지방족 알코올류 또는 페놀류가 반응 매질로서 사용될 수 있다. 대기 환류 조건하에 DHTO(또는 동등한 반응물)과 알코올 또는 페놀 사이의 반응을 실행하는 것이 종종 가장 경제적이다. 이 목적으로는, 저급알킬 일차 알코올이 통상적으로 바람직하다. 이렇게, 바람직한 반응 매질들은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n-부탄올, n-펜탄올 및 n-헥산올과 같은 일차 저급 알칸올류이다. 반응물/반응 매질로서 사용될 수 있는 또다른 알코올류 및 페놀류는 페놀, 저급알킬-치환된 페놀류와 같은 치환된 페놀류, 시클로헥산올 및 저급알킬-치환된 시클로헥산올류와 같은 치환된 시클로헥산올류를 포함한다. 톨루엔, 크실렌 및 다른 탄화수소류와 같은 불활성 유기액체들이, 원한다면, 희석제로서 반응에 사용될 수 있다.
슈크로오즈 및 디(하이드로카르빌옥시) 디스탄옥산 사이의 반응은 디(하이드로카르빌)스탄옥실슈크로오즈를 형성하기에 충분한 온도에서 그리고 충분한 시간동안 실행된다. 예시적인 반응온도는 약 50℃ 내지 약 100℃의 범위내이다. 예시적인 반응시간은 약 1시간 내지 약 24시간이다. 디(하이드로카르빌) 스탄옥실슈크로오즈는 반응 매질을 증발시킴으로써 회수되고, 이는 원한다면 감압하에 실행될 수 있다. 증발에 의한 디(하이드로카르빌) 스탄옥실슈크로오즈 생성물은 더 이상의 정제없이 아실화 반응에 직접 사용된다.
1몰 당량보다 약간(1∼5%) 많은 아실화제(슈크로오즈 기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실화 반응에 사용되는 특별한 아실화제의 선택은 아실화 생성물의 용도에 의해 일부 제한된다. 예를들면, 만약 아실기가 상기 본 명세서의 발명의 배경 단락에서 논의된 것처럼 인공감미료의 제조에서와 같이 보호기로서 사용된다면, 벤조산 또는 아세트산 무수물과 같은 아실화제가 비싸지 않으므로 사용될 수 있고, 아실기는 합성의 적당한 단계에서 쉽게 제거될 수 있으며, 이는 아실기의 제거전에 아실화 화합물이 반드시 거쳐야 하는 반응들에 대해서도 안정하다. 만약, S-6-E가 합성의 최종 생성물이 된다면, 사용된 아실화제는 에스테르 생성물을 위해 목적 아실기를 생성할 것이다.
이들 원리들을 명심하면, 아실화제 중에서 사용될 수 있는 것들은 벤조산 및 치환된 벤조산(예를들면, 4-니트로벤조산, 3,5-디니트로-벤조산 등),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부티르산, 시클로헥산카르복실산, 스테아르산, 올레산, 리놀레산 등과 같은, 예를들면 28개까지의 탄소원자를 갖는 포화 및 불포화 장쇄(long chain) 지방산,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과 같은 불포화산, 클로로아세트산, 시아노아세트산, 페녹시아세트산 등과 같은 치환된 산 및 프탈산, 말레산, 글루타루산 등과 같은 포화 및 불포화 디카르복실산들의 각종 무수물들이다.
아실화 반응은 DMF 또는 DMSO, NMP, DMF, HMPA와 같은 다른 극성 비양성자성 용매들 및 슈크로오즈가 용해되는 다른 극성 비양성자성 용매들과 같은 불활성 유기 반응 용매내에서 실행된다. DMF는 그의 낮은 비용, 그의 비교적 낮은 비등점 및 슈크랄로오즈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있는 또다른 단계들을 위한 용매로서 그의 적합성으로 인해 바람직한 극성 비양성자성 용매이다. 아실화 반응은 S-6-E 생성물을 제조하기에 충분한 온도에서 그리고 충분한 시간동안 실행된다.
무수물이 액체이면, 이는 순수하게 슈크로오즈-유기주석 부가생성물에 가해질 수 있거나, 불활성 공용매로 희석될 수 있다. 무수물이 고체이면, 이는 고체 형태로 가해질 수 있거나 적합한 불활성 용매에 용해된 용액으로서 가해질 수 있다. 무수물은 한번에 전부 가해질 수 있거나 일정시간에 걸쳐 서서히 가해질 수 있다.
무수물 화학량론은 본 발명의 성공적인 실행의 중요한 태양이다. 너무 적은 무수물을 사용하면 S-6-E 생성물이 잔류 슈크로오즈에 의해 오염된다. 너무 많은 무수물을 사용하면 슈크로오즈 디에스테르 오염을 초래한다. 가장 바람직한 화학량론적 비율은 생성물에 슈크로오즈가 거의 없음을 보장하기 위하여 약간(5∼10%) 몰 과량(슈크로오즈 기준)으로 무수물을 사용하는 것이다.
0℃이하 내지 약 30℃의 아실화 온도가 실험적으로 사용된다. 허용가능한 아실화 온도의 상한선은 원치않는 슈크로오즈 모노- 및 디에스테르의 형성을 야기할 수 있는 열에 의해 활성화된 비위치 선택적 아실화 반응의 개시에 의해 결정된다. 실질적인 관점에서, 이 온도 제한은 산 무수물의 반응성의 함수이다. 예를들면, 아세트산 무수물이 비교적 반응성 종들이기 때문에, 이것과의 아실화 반응은 보통 약 20℃ 이하에서 실행된다. 다른 한편으로는, 벤조산 무수물은 약간 덜 반응적이므로 실온 또는 약간 높은 온도에서 아실화를 가능케 한다.
아실화 반응은 온화한 발열반응이다. 초기 반응온도 및 디(하이드로카르빌)주석-슈크로오즈 부가생성물에 대한 무수물 부가속도에 따라, 열에 의해 활성화된 비위치 선택적 아실화 반응이 최소화되도록 하기 위해 아실화 과정의 외부 냉각이 필요할 수도 있다.
슈크로오즈 부가생성물의 아실화 반응이 완성되기 위해 필요한 시간은 반응물의 농도(아실화 반응이 다중-차수 방법이기 때문), 아실화제의 반응성 및 반응 혼합물의 온도에 따라 달라진다. 비록 1시간 내지 수일의 시간이 실험실에서 사용되어 왔지만, 아실화제의 소모에 필요한 시간 이상으로 반응 기간을 연장하는 것은 조금도 유리하지 않다. 전형적인 조건하에서 약 1시간 내지 약 5시간내이면 통상적으로 완전하다.
네이디치씨 등의 방법은 하기와 같이 개설된다:본 방법은 불활성 유기 용매내에서 슈크로오즈를 산화 디(하이드로카르빌)주석과 반응시킴으로써 실행된다. 사용될 수 있는 DHTO들은 나비아씨의 방법과 관련하여 상술한 것들이다.
DHTO 및 슈크로오즈는 광범위한 화학량론적 비율로 사용될 수 있다. 그렇지만 약 1:1의 화학량론적 비율이 바람직하다. 이는 과량의 슈크로오즈의 사용이 슈크로오즈 및 원치않는 슈크로오즈 에스테르에 의한 S-6-E의 오염을 초래하는 반면, 과량의 DHTO의 사용은 슈크로오즈 디에스테르에 의한 S-6-E 생성물의 오염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가장 바람직한 화학량론적 비율은 생성물내에 슈크로오즈가 거의 없음을 보장하기 위하여 약간의 (1∼3%)몰과량(슈크로오즈 기준)으로 DHTO를 사용하는 것이다.
네이디치씨등의 방법은 불활성 유기 반응 용매내에서 실행되다. 불활성이란 반응 매질중에 슈크로오즈 또는 DHTO 중 어느 것과도 반응할 수 있는 어떠한 유기 관능기도 없는 것을 의미한다. 많은 경우에, 본 발명의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불활성 유기 반응 매질은 극성 비양성자성 용매 및 공용매로 구성된 혼합 용매 시스템일 수 있다. 극성 비양성자성 용매는 슈크로오즈를 용해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공용매는 슈크로오즈와 DHTO의 반응에 의해 생성된 모든 물을 공동 증류에 의해 제거하고 또한 DHTO의 용해도를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사용될 수 있는 극성 비양성자성 용매로는 나비아씨의 방법과 관련하여 상술한 것들이 포함된다. DMF가 바람직한 극성 비양성자성 용매이다.
축합에 의한 물을 공동 증류에 의해 제거할 수 있는 공용매로는 클로로포름과 같은 염화 탄화수소류, 헥산, 헵탄, 옥탄, 시클로헥산, 벤젠 및 톨루엔과 같은 다양한 포화 방향족 탄화수소류, 메틸 에틸 케톤 및 메틸 이소부틸 케톤과 같은 케톤류, 테트라하이드로푸란과 같은 비고리형 및 고리형 에테르류 및 여기에 밝힌 기준을 충족시키는 다른 불활성 유기 액체들이 포함된다. 매우 광범위한 유기 액체들이 본 반응에 공용매로서 사용하기에 적당하다. 공용매에 대한 기본적인 기준은 (1) 극성 비양성자성 용매, DHTO 및 슈크로오즈와 함께, 약 75℃ 내지 약 120℃의 범위내의 내부 반응온도로 대기압에서 환류하는 혼합물을 생성하는 것, (2) DHTO 및 슈크로오즈의 축합에 의해 생성된 물을 공동 증류함으로써 반응중에 물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는 것 및 (3) 반응 혼합물에서 DHTO의 용해도를 높이고 (DHTO들은 통상적으로 극성 비양성자성 용매내에서 어떤 상당한 정도까지 용해되지 않으므로) 그럼으로써 DHTO와 슈크로오즈의 반응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이다.
물과 섞이지 않고 물과 일정 조성의 최소-비등 공비 혼합물을 형성하는 고용매가 바람직하지만, 실험에 의해 결정되었기 때문에, 그러한 공용매를 사용하는 반응 시스템들은 전형적으로 물-공비 혼합물 비등점 또는 순수 용매의 비등점중 어느 하나보다 약간 높은 온도에서 환류한다. 또한, 이들 시스템들로부터 발생한 증류물들의 물-공용매 조성이 DHTO-슈크로오즈 축합 기간을 통하여 일정하지 않음을 보여주는 데이타가 있다.
화학적 안정성, 물 제거의 효율, 비용 및 비등점의 이유로 바람직한 공용매들로는 시클로헥산, n-헵탄 및 이소옥탄(2,2,4-트리메틸펜탄)이 있다.
슈크로오즈와 DHTO 사이의 반응은 약 75℃ 내지 약 125℃의 범위 사이의 온도에서 실행된다. 75℃ 미만에서는, 반응이 비경제적으로 느려지고, 125℃ 이상에서는 탄수화물이 분해되는 경향이 있다. 바람직한 반응온도는 약 80℃ 내지 약 100℃,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85℃ 내지 약 90℃의 범위내이다.
슈크로오즈와 DHTO의 반응의 생성물은 나비아씨의 방법에서와 같은 생성물인 디(하이드로카르빌)스탄옥실슈크로오즈이다. 이 생성물은 나비아씨의 방법에서와 같이 아실화되어 동일한 생성물 혼합물을 생성한다(즉, 슈크로오즈-6-에스테르 및 DSDE 부산물).
왈컵씨등의 방법은 하기와 같이 개설된다:본 방법의 첫번째 단계는 정상적인 액체 탄화수소와 같은 불활성 유기 용매내에서, 물을 제거하면서, DHTO와 2가 알코올, 알칸올아민 또는 엔올화가능한 α-하이드록시 케톤을 충분한 온도에서 및 충분한 시간동안 반응시켜 상기 2가 알코올, 알칸올아민 또는 α-하이드록시 케톤의 고리형 부가생성물을 생성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사용된 불활성 유기 용매는 공비 증류에 의해 물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약 80℃ 내지 145℃의 비등점을 갖는 탄화수소류가 바람직하다. 그러한 불활성 유기용매의 특별한 예시적 예는 시클로헥산, 벤젠, 톨루엔, 크실렌류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혼합물들을 포함한다.
왈컵씨등의 방법에 사용된 산화 디(하이드로카르빌) 주석류는 나비아씨 방법과 관련하여 상기에 개시된 것들과 동일하다. DHTO는 2가 알코올, 알칸올아민 또는 α-하이드록시 케톤과 반응한다. 2가 알코올류의 특별한 예시적 예는 에틸렌 글리콜, 2,3-프로판디올, 2,3-부탄디올,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1,3-프로판디올, 1,2-펜탄디올, 1,2-헥산디올과 같은 알칸디올류 및 예를들면, 8개까지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다른 알칸디올류 및 1,2-시클로헥산디올, 1,2-시클로펜탄디올 등과 같은 시클로알칸디올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2가 알코올상의 하이드록실기들은 그들이 결합되어 있는 탄소 사실상에서 4개 이하의 탄소원자만큼 떨어진 것들이다. 사용될 수 있는 알칸올아민류의 특정한 예시적 예는 에탄올아민, 2-아미노-1-프로판올 및 1-아미노-2-프로판올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알칸올아민상의 아미노 및 하이드록실기들은 그들이 결합되어 있는 탄소 사실상에서 서로 4개 이하의 탄소원자만큼 떨어진 것들이다. 엔디올로 엔올화할 수 있는 α-하이드록시 케톤류의 특별한 예시적 예는 벤조인(2-하이드록시-2-페닐아세토페논) 및 아세토인(3-하이드록시-2-부탄온)을 포함하다. DHTO와 반응시키는데 사용하기 위한 바람직한 화합물들은 알칸디올류, 특히, 에틸렌 글리콜인데, 그 이유는 이들이 우수한 수율을 내고, 그 자체가 값이 저렴하기 때문이다.
사용된 불활성 유기 반응 용매내에 보통 용해되지 않는 DHTO는 용매내에 현탁될 수 있다. 그리고나서 부가생성물 형성을 위해 사용되는 디올, 알칸올아민 또는 α-하이드록시 케톤(약간의 화학량론적 과량)을 가하고, 정상적으로 약 80℃ 내지 약 145℃의 온도에서 혼합물을 가열하여 환류시킨다. 산화 디(하이드로카르빌)주석 및 디올, 알칸올아민 또는 α-하이드록시 케톤 사이의 축합의 결과로서 형성된 물을 공비적으로 제거하여 고리형 부가생성물의 균일한 무색 용액을 얻는다. 이 단계를 위해서는 약 2시간 내지 약 4시간의 반응시간이 대표적이다.
그다음에 이들 중간체들은 농축 및 결정화에 의해 단리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용매를 증발시켜 고체 또는 반고체 디(하이드로카르빌)주석 부가생성물을 생성하는 것이 보다 편리하고, 이는 그리고나서 그안에서 슈크로오즈가 적합한 정도의 용해도를 갖고, 본 발명의 방법의 단계(b)를 위한 반응 매질로서 사용되는 DMF 또는 다른 용매내에 분산된다. 그러한 용매들은 상기에서 논의된 것과 같이, DMF, DMSO, DMA 등 및 슈크로오즈가 용해되는 다른 극성 비양성자성 용매들을 포함한다.
단계(b)에서, 슈크로오즈는 단계(a)의 부가생성물과 DMF와 같은 불활성 유기 반응 용매를 포함하는 반응 혼합물에 가해진다. 생성된 현탁액은 주변온도에서 6-0-[디하이드로카르빌(하이드록시-또는 아미노-또는 옥소하이드로카르빌)스탄옥실]슈크로오즈 중간체를 형성하기에 충분한 시간동안 교반되고, 이는 통상적으로 약 12시간 내지 약 24시간이 소요된다. 다른 한편으로는, 슈크로오즈 용해 속도를 증가시키고 반응시간을 약 60분으로 단축시키기 위해 가열(예를 들면, 약 85℃까지)될 수도 있다.
단계(c)에서, 반응성 6-0-[디하이드로카르빌(하이드록시-또는 아미노-또는 옥소하이드로카르빌)스탄옥시]슈크로오즈 중간체를 함유하고 단계(b)의 생성물을 포함하는 통상적으로 탁한 혼합물을 주변온도에서 카르복실산 무수물과 같은 2몰 당량의 아실화제로 처리한다. 혼합물을 교반하고 아실화가 완성되었다고 판단될때까지 TLC에 의해 조사한다(보통 약 2시간 내지 약 7시간). 이들 탁한 혼합물들은 방법의 이 단계동안 통상적으로 맑고 투명하게 된다.
물 또는 메탄올을 가함으로써 혼합물을 식히고, 필요하다면 여과하여 어떠한 외래의 고체들을 제거하고, 원한다면 추출하여 디(하이드로카르빌)주석 부산물들을 제거하고, 감압하에 온화하게 가열하여 잔류 고무질 또는 오일로 농축시키고나서, S-6-E가 슈크랄로오즈의 제조에 사용될 때의 염소화와 같은 그후의 처리전에 필요한대로 더 처리 및 분석(아실기의 기능)된다.

Claims (30)

  1. 하기 단계(a)∼(c)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1,3-디아실옥시-1,1,3,3-테트라(하이드로카르빌)디스탄옥산, 슈크로오즈-6-에스테르 및 극성 비양성자성 용매를 함유하는 혼합물로 부터 1,3-디아실옥시-1,1,3,3-테트라(하이드로카르빌)디스탄옥산을 추출하는 방법:(a) 상기 혼합물을, 소량의 물의 존재하에, 실질적으로 물과 섞이지 않는 유기 용매와 접촉시킴으로써 추출 혼합물을 형성하고, 여기에서 사용된 물의 양은 상기 극성 비양성자성 용매를 포함하는 첫번째 상으로부터 상기 유기 용매를 포함하는 두번째 상안으로 상기 1,3-디아실옥시-1,1,3,3-테트라(하이드로카르빌)디스탄옥산의 효율적인 분배를 일으키기에 충분하며; (b) 추출 혼합물내의 1,3-디아실옥시-1,1,3,3-테트라(하이드로카르빌)디스탄옥산의 대부분이 상기 두번째 상내에 포함되고, 본질적으로 추출 혼합물중의 모든 슈크로오즈-6-에스테르가 상기 첫번째 상내에 포함된 2-상 혼합물을 형성하기에 충분한 시간동안 및 충분한 온도에서 추출 혼합물을 교반하고; (c) 상기 두번째 상으로부터 상기 첫번째 상을 분리함.
  2. 제1항에 있어서, 극성 비양성자성 용매가 N,N-디메틸포름 아미드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용매가 탄화수소류, 에테르류, 염소화 탄화수소류, 케톤류 및 에스테르류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용매가 탄화수소류, 에테르류, 염소화 탄화수소류, 케톤류 및 에스테르류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용매가 지방족 탄화수소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용매가 지방족 탄화수소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지방족 탄화수소가 헥산, 시클로헥산 또는 헵탄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지방족 탄화수소가 헥산, 시클로헥산 또는 헵탄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용매가 큐멘 또는 메틸 t-부틸 에테르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용매가 큐멘 또는 메틸 t-부틸 에테르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1,3-디아실옥시-1,1,3,3-테트라(하이드로카르빌)디스탄옥산이 1,3-디아실옥시-1,1,3,3-테트라(알킬)디스탄옥산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2항에 있어서, 1,3-디아실옥시-1,1,3,3-테트라(하이드로카르빌)디스탄옥산이 1,3-디아실옥시-1,1,3,3-테트라(알킬)디스탄옥산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5항에 있어서, 1,3-디아실옥시-1,1,3,3-테트라(하이드로카르빌)디스탄옥산이 1,3-디아실옥시-1,1,3,3-테트라(알킬)디스탄옥산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6항에 있어서, 1,3-디아실옥시-1,1,3,3-테트라(하이드로카르빌)디스탄옥산이 1,3-디아실옥시-1,1,3,3-테트라(알킬)디스탄옥산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7항에 있어서, 1,3-디아실옥시-1,1,3,3-테트라(하이드로카르빌)디스탄옥산이 1,3-디아실옥시-1,1,3,3-테트라(알킬)디스탄옥산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8항에 있어서, 1,3-디아실옥시-1,1,3,3-테트라(하이드로카르빌)디스탄옥산이 1,3-디아실옥시-1,1,3,3-테트라(알킬)디스탄옥산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1,3-디아실옥시-1,1,3,3-테트라(알킬)디스탄옥산이 1,3-디아실옥시-1,1,3,3-테트라부틸디스탄옥산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12항에 있어서, 1,3-디아실옥시-1,1,3,3-테트라(알킬)디스탄옥산이 1,3-디아실옥시-1,1,3,3-테트라부틸디스탄옥산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1항에 있어서, 1,3-디아실옥시-1,1,3,3-테트라(하이드로카르빌)디스탄옥산중의 아실옥시기가 아세톡시 또는 벤조일옥시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2항에 있어서, 1,3-디아실옥시-1,1,3,3-테트라(하이드로카르빌)디스탄옥산중의 아실옥시기가 아세톡시 또는 벤조일옥시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15항에 있어서, 1,3-디아실옥시-1,1,3,3-테트라(하이드로카르빌)디스탄옥산중의 아실옥시기가 아세톡시 또는 벤조일옥시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16항에 있어서, 1,3-디아실옥시-1,1,3,3-테트라(하이드로카르빌)디스탄옥산중의 아실옥시기가 아세톡시 또는 벤조일옥시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제1항에 있어서, 1,3-디아실옥시-1,1,3,3-테트라(하이드로카르빌)디스탄옥산 생성물이 알코올성 알칼리와의 부가적인 단계의 반응을 거쳐 1,3-디알킬옥시-1,1,3,3-테트라(하이드로카르빌)디스탄옥산을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제11항에 있어서, 1,3-디아실옥시-1,1,3,3-테트라(알킬)디스탄옥산 생성물이 알코올성 알칼리와의 부가적인 단계의 반응을 거쳐 1,3-디알킬옥시-1,1,3,3-테트라(알킬)디스탄옥산을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5. 제2항에 있어서, 1,3-디아실옥시-1,1,3,3-테트라(하이드로카르빌)디스탄옥산 생성물이 알코올성 알칼리와의 부가적인 단계의 반응을 거쳐 1,3-디알킬옥시-1,1,3,3-테트라(하이드로카르빌)디스탄옥산을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6. 제12항에 있어서, 1,3-디아실옥시-1,1,3,3-테트라(알킬)디스탄옥산 생성물이 알코올성 알칼리와의 부가적인 단계의 반응을 거쳐 1,3-디알킬옥시-1,1,3,3-테트라(알킬)디스탄옥산을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7. 제1항에 있어서, 1,3-디아실옥시-1,1,3,3-테트라(하이드로카르빌)디스탄옥산 생성물이 수성 알칼리와의 부가적인 단계의 반응을 거쳐 산화 디(하이드로카르빌)주석을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8. 제2항에 있어서, 1,3-디아실옥시-1,1,3,3-테트라(하이드로카르빌)디스탄옥산 생성물이 수성 알칼리와의 부가적인 단계의 반응을 거쳐 산화 디(하이드로카르빌)주석을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9. 제11항에 있어서, 1,3-디아실옥시-1,1,3,3-테트라(알킬)디스탄옥산 생성물이 수성 알칼리와의 부가적인 단계의 반응을 거쳐 산화 디알킬주석을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0. 제12항에 있어서, 1,3-디아실옥시-1,1,3,3-테트라(알킬)디스탄옥산 생성물이 수성 알칼리와의 부가적인 단계의 반응을 거쳐 산화 디알킬주석을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10006388A 1990-04-23 1991-04-22 유기 주석 에스테르를 함유하는 반응 혼합물로부터 그를 회수하는 방법 및 회수된 유기 주석 화합물의 재사용 KR01769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12,690 1990-04-23
US07/512,690 US5034551A (en) 1990-04-23 1990-04-23 Process for recovery of organotin esters from reaction mixtures containing the same and re-use of the recovered organotin compound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8391A KR910018391A (ko) 1991-11-30
KR0176972B1 true KR0176972B1 (ko) 1999-05-15

Family

ID=24040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6388A KR0176972B1 (ko) 1990-04-23 1991-04-22 유기 주석 에스테르를 함유하는 반응 혼합물로부터 그를 회수하는 방법 및 회수된 유기 주석 화합물의 재사용

Country Status (23)

Country Link
US (1) US5034551A (ko)
EP (1) EP0455390B1 (ko)
JP (1) JP2882548B2 (ko)
KR (1) KR0176972B1 (ko)
AU (1) AU631062B2 (ko)
CA (1) CA2040933C (ko)
DE (1) DE69113106T2 (ko)
DK (1) DK0455390T3 (ko)
ES (1) ES2080895T3 (ko)
FI (1) FI97886C (ko)
GR (1) GR1002083B (ko)
IE (1) IE68437B1 (ko)
IL (1) IL97891A (ko)
MX (1) MX165090B (ko)
NO (1) NO180009C (ko)
NZ (1) NZ237765A (ko)
PH (1) PH27407A (ko)
PT (1) PT97432B (ko)
RU (1) RU2036197C1 (ko)
TR (1) TR25514A (ko)
TW (1) TW197443B (ko)
YU (1) YU48759B (ko)
ZA (1) ZA91299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23329A (en) * 1990-04-23 1991-06-11 Noramco, Inc. Sucrose-6-ester production process
US5298611A (en) * 1993-03-12 1994-03-29 Mcneil-Ppc, Inc. Sucralose pentaester production
US5498709A (en) * 1994-10-17 1996-03-12 Mcneil-Ppc, Inc. Production of sucralose without intermediate isolation of crystalline sucralose-6-ester
US5545600A (en) * 1994-12-21 1996-08-13 Knudsen; George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dialkyltin dialkoxide
DE69625989T2 (de) 1995-11-28 2003-11-13 Mcneil Ppc Inc Herstellungsverfahren für Sucrose-6-Ester
EP0881209B1 (en) * 1997-05-30 2002-08-28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Process for producing hydroxyalkyl monoacrylate
US6121430A (en) * 1998-12-28 2000-09-19 University Of Iowa Research Foundation Regiospecific synthesis of glucose-based surfactants
CA2429228C (en) * 2000-11-17 2008-08-26 Mcneil-Ppc, Inc. Improved sucralose composition and process for the crystallization thereof
US7049435B2 (en) 2002-03-08 2006-05-23 Tate & Lyle Public Limited Company Extractive methods for purifying sucralose
US6998480B2 (en) 2002-03-08 2006-02-14 Tate & Lyle Public Limited Company Process for improving sucralose purity and yield
US6890581B2 (en) * 2002-04-05 2005-05-10 Tate & Lyle Public Limited Company Methods for buffer stabilized aqueous deacylation
WO2005090376A1 (en) * 2004-03-19 2005-09-29 Pharmed Medicare Private Limited An improved process for producing chlorinated sucrose
US20060276639A1 (en) * 2005-06-01 2006-12-07 Healthy Brands, Llc Conversion of sucralose-6-ester to sucralose
US7741477B2 (en) * 2006-01-10 2010-06-22 Alembic Limited Process for purification of sucralose
AU2006345862A1 (en) * 2006-07-06 2008-01-10 Alembic Limited An improve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Sucralose of high purity
JP4827927B2 (ja) * 2006-10-11 2011-11-30 旭化成ケミカルズ株式会社 ジアルキルスズジアルコキシドの製造方法
WO2008084498A1 (en) * 2007-01-08 2008-07-17 V. B. Medicare Pvt. Ltd. Decolorization of process streams by chemical oxidation in the manufacture of trichlorogalactosucrose
US20080227971A1 (en) * 2007-01-19 2008-09-18 Leinhos Duane A Deacylation of sucralose-6-acylates
GB0702857D0 (en) * 2007-01-19 2007-03-28 Tate & Lyle Plc Improved sucralose production method
CN100420695C (zh) * 2007-02-02 2008-09-24 上海迪赛诺医药发展有限公司 制备三氯蔗糖的方法
AR070082A1 (es) * 2008-01-04 2010-03-10 Tate & Lyle Technology Ltd Metodo para la produccion de sucralosa
US8557976B2 (en) * 2008-03-13 2013-10-15 Tate & Lyle Technology Limited Microbial consortia and methods for their use
CN101977664B (zh) * 2008-03-20 2014-02-26 塔特和莱利技术有限公司 从叔酰胺溶剂中去除酸
US8436157B2 (en) * 2008-03-26 2013-05-07 Tate & Lyle Technology Limited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sucralose
WO2009124113A1 (en) * 2008-04-03 2009-10-08 Tate & Lyle Technology Ltd. Extraction of less polar impurities from sucralose containing aqueous feed streams
US20090299055A1 (en) * 2008-04-03 2009-12-03 Tate & Lyle Technology Limited Purification of Sucralose Containing Feed Streams for Sucralose Crystallization
AR071134A1 (es) * 2008-04-03 2010-05-26 Tate & Lyle Technology Ltd Cristalizacion de sucralosa a partir de chorros que contienen sucralosa
JP5653341B2 (ja) * 2008-04-03 2015-01-14 テート アンド ライル テクノロジー リミテッド スクラロース抽出効率に対する炭水化物濃度の影響
US8497367B2 (en) * 2008-04-03 2013-07-30 Tate & Lyle Technology Limited Sucralose purification process
GB2469157B (en) 2009-03-30 2011-07-06 John Kerr Process for removing dimethylamine during sucralose production
GB2469158B (en) 2009-03-31 2011-09-28 Peter J Seaberg Base-assisted formation of tin-sucrose adducts
GB2471348B (en) 2009-06-22 2011-12-14 Tate & Lyle Technology Ltd A method for producing sucralose-6-acylate
GB2474311B (en) * 2009-10-12 2012-10-17 Tate & Lyle Technology Ltd Low temperature, single solvent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sucrose-6-ester
GB2474310B (en) * 2009-10-12 2012-02-29 Tate & Lyle Technology Ltd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sucrose-6-ester
CN101979396A (zh) * 2010-10-13 2011-02-23 南京甘倍加生物科技有限责任公司 蔗糖-6-酯及三氯蔗糖的合成方法
GB201110520D0 (en) * 2011-05-10 2011-08-03 Tate & Lyle Technology Ltd Extraction of carboxylic acids with tin compounds
CN102627675A (zh) * 2012-03-29 2012-08-08 湖北益泰药业有限公司 一种制备蔗糖-6-酯的方法
CN103130843A (zh) * 2013-01-21 2013-06-05 溧阳维信生物科技有限公司 蔗糖制备蔗糖-6-乙酯过程中二丁基氧化锡的回收再利用的方法
CN104098617A (zh) * 2013-04-08 2014-10-15 南京工业大学 一种蔗糖-6-乙酸酯的制备方法
CN105829332B (zh) 2013-12-16 2018-10-02 塔特和莱利技术有限公司 蔗糖-6-酯的氯化
WO2016020635A1 (en) 2014-08-08 2016-02-11 Tate & Lyle Technology Limited Chlorination of sucrose-6-esters
CN104387427A (zh) * 2014-10-30 2015-03-04 安徽金禾实业股份有限公司 一种三氯蔗糖的生产方法
GB2536480B (en) 2015-03-17 2019-09-04 Tate & Lyle Tech Ltd DMF Distillation
CN105111246B (zh) * 2015-08-22 2017-11-17 安徽金禾实业股份有限公司 三氯蔗糖生产中有机锡的回收方法
GB2551591B (en) 2016-06-23 2019-08-07 Tate & Lyle Tech Ltd Liquid-liquid extraction of DMF
CN108558962B (zh) 2018-05-22 2020-06-30 山东新和成精化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合成蔗糖-6-酯的方法
CN109575069A (zh) * 2018-12-10 2019-04-05 安徽金禾实业股份有限公司 一种三氯蔗糖生产中催化剂的回收方法
CN110590832A (zh) * 2019-08-15 2019-12-20 安徽金禾实业股份有限公司 三氯蔗糖生产中回收的有机锡乙酸酯的提纯方法
CN111574572A (zh) * 2020-05-22 2020-08-25 安徽金禾实业股份有限公司 一种三氯蔗糖生产中有机锡催化剂连续性制备补充的方法
CN112125938A (zh) * 2020-09-26 2020-12-25 安徽金禾实业股份有限公司 一种从糖渣萃取三氯蔗糖-6-乙酯的方法
CN112495442A (zh) * 2020-12-02 2021-03-16 安徽金禾实业股份有限公司 一种蔗糖-6-乙酯生产中回收制备有机锡催化剂的方法
CN112771059A (zh) * 2020-12-30 2021-05-07 安徽金禾实业股份有限公司 三氯蔗糖的制备方法、粗产品溶液及三氯蔗糖
CN114133411A (zh) * 2021-11-23 2022-03-04 安徽金禾实业股份有限公司 一种三氯蔗糖中萃取絮状物的方法
CN116217635B (zh) * 2023-03-02 2023-09-01 福建桦智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蔗糖-6-乙酸酯脱酸提纯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62295A (en) * 1972-05-10 1976-06-08 John Desmond Collins Novel diorganotin derivatives of α, ω-dimercaptans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US3846459A (en) * 1972-10-18 1974-11-05 Cincinnati Milacron Chem Organotin mercaptocarboxylates
US4254017A (en) * 1978-11-13 1981-03-03 M&T Chemicals Inc. Organotin mercaptoalkanol esters and alkoxides containing sulfide groups
US4269782A (en) * 1979-07-19 1981-05-26 Argus Chemical Corporation Preparation of mixtures of methyltin trichloride and dimethyltin dichloride from stannic chloride and dimethyltin dichloride
US4434102A (en) * 1979-07-19 1984-02-28 Witco Chemical Corporation Preparation of mixtures of methyltin trichloride and dimethyltin dichloride from stanic chloride and dimethyltin dichloride without catalyst and conversion to mixed methyltin mercaptide stabilizers
US4711920A (en) * 1986-07-23 1987-12-08 Morton Thiokol, Inc. Stabilizers for halogen-containing polymers comprising the product of a diorganotin oxide,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dicarboxylic acid ester and a mercaptan
US4950746A (en) * 1988-07-18 1990-08-21 Noramco, Inc. Process for synthesizing sucrose derivatives by regioselective reaction
US5089608A (en) * 1990-03-23 1992-02-18 Mcneil-Ppc, Inc. Selective 6-acylation of sucrose mediated by cyclic adducts of dialkyltin oxides and dio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631062B2 (en) 1992-11-12
DK0455390T3 (da) 1995-11-06
TR25514A (tr) 1993-03-11
MX165090B (es) 1992-10-21
IL97891A0 (en) 1992-06-21
PT97432A (pt) 1992-02-28
IE911343A1 (en) 1991-10-23
CA2040933C (en) 2002-01-29
DE69113106T2 (de) 1996-04-04
YU71591A (sh) 1998-07-10
EP0455390A2 (en) 1991-11-06
NO911590L (no) 1991-10-24
EP0455390B1 (en) 1995-09-20
NO180009B (no) 1996-10-21
YU48759B (en) 1999-11-22
NZ237765A (en) 1993-05-26
ES2080895T3 (es) 1996-02-16
DE69113106D1 (de) 1995-10-26
US5034551A (en) 1991-07-23
EP0455390A3 (en) 1992-07-22
ZA912995B (en) 1992-12-30
NO911590D0 (no) 1991-04-22
FI911941A (fi) 1991-10-24
CA2040933A1 (en) 1991-10-24
FI97886C (fi) 1997-03-10
IE68437B1 (en) 1996-06-12
TW197443B (ko) 1993-01-01
PH27407A (en) 1993-06-21
RU2036197C1 (ru) 1995-05-27
PT97432B (pt) 1998-08-31
FI97886B (fi) 1996-11-29
GR910100149A (el) 1992-07-30
GR1002083B (en) 1995-12-06
FI911941A0 (fi) 1991-04-22
AU7537791A (en) 1991-10-24
KR910018391A (ko) 1991-11-30
JP2882548B2 (ja) 1999-04-12
JPH0797387A (ja) 1995-04-11
IL97891A (en) 1995-07-31
NO180009C (no) 1997-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76972B1 (ko) 유기 주석 에스테르를 함유하는 반응 혼합물로부터 그를 회수하는 방법 및 회수된 유기 주석 화합물의 재사용
US5023329A (en) Sucrose-6-ester production process
US5470969A (en) Catalyzed sucrose-6-ester process
US8921540B2 (en) Low temperature, single solvent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sucrose-6-ester
US9073959B2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sucrose-6-ester
JPH04225993A (ja) サツカロース−6−エステルの製造法
IE910962A1 (en) Selective 6-acylation of sucrose mediated by cyclic adducts of dialkyltin oxides and diols
IE86181B1 (en) Extraction of carboxylic acid with tin compounds
EP0475619B1 (en) Catalyzed sucrose-6-ester process
CA2191412C (en) Improved sucrose-6-ester process
JPH04225992A (ja) 新規白金錯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10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