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9106B1 - 스폰지용 고무 및 스폰지용 고무조성물 - Google Patents

스폰지용 고무 및 스폰지용 고무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9106B1
KR0169106B1 KR1019900003025A KR900003025A KR0169106B1 KR 0169106 B1 KR0169106 B1 KR 0169106B1 KR 1019900003025 A KR1019900003025 A KR 1019900003025A KR 900003025 A KR900003025 A KR 900003025A KR 0169106 B1 KR0169106 B1 KR 01691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nge
rubber
copolymer
weight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3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4489A (ko
Inventor
게이사쿠 야마모토
히데아키 야마다
고히치 이케타니
Original Assignee
모리 히데오
스미토모 카가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리 히데오, 스미토모 카가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모리 히데오
Publication of KR9000144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44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9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91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08J9/06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chemical blowing ag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njugated diene 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0/00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8F210/16Copolymers of ethene with alpha-alkenes, e.g. EP rubbers
    • C08F210/18Copolymers of ethene with alpha-alkenes, e.g. EP rubbers with non-conjugated dienes, e.g. EPT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6Sulfu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16Plastici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20Carboxylic acid a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16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4Applications used for foa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12/00Crosslink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스폰지용 고무 및 스폰지용 고무 조성물
본 발명은 연장된 영구압축변형도, 이력 손실도(hysteresis loss), 실링능, 유연성, 저온 특성, 가공성 및 외관과 같은 특성이 우수한 스폰지 고무(sponge rubber)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스폰지용 고무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스폰지용 고무를 사용하여 제조한 고무 조성물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본 발명에 따르는 스폰지 고무는 자동차용 실링재(sealing material), 및 일반 및 빌딩 건축물용 실링재와 같은 각종 용도에 유용하다.
자동차 및 빌딩용으로 사용되는 대부분의 스폰지 고무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고무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것을 내열성, 내후성, 가공성 및 생산비용 면에서 우수하다. 이러한 고무는 특히 자동차의 도어 실링재, 크렁크 실링재 및 창문 실링재용으로 긴요한 재료로서 사용하기에 널리 대중화되어 있다.
그러나, 자동차 성능이 향상됨에 따라서, 스폰지 고무에 요구되는 성능도 높아져서, 종래 기술로 제조한 고무는 모두 필요한 상승된 성능을 만족시키기에는 충분하지 않다.
구체적으로, 엔진 소음, 도어 주변의 공기마찰로 인한 소음 및 타이어의 삐걱거리는 소음 등의 문제, 빗물이 차 내부로 침입하는 문제 및 고속 주행시의 기타 문제는 도어 주변의 실링에 상당히 의존적이므로, 스폰지 고무의 실링능에 대한 요구가 엄격해지고 있다.
도어와 차체 사이의 실링재로서 장시간 동안 밀폐된 상태로 압축된 채로 유지되는 도어 실링용 스폰지는 압축시켜 보다 긴밀하게 고정할 필요가 있다. 압축에 의한 고정은 통상, 영구압축변형율로 정량적으로 표현된다. 실링 스폰지는 이러한 영구압축변형율이 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 이외에, 고속 주행시 문의 진동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문의 진동수는 자동차의 주행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상승할 것이기 때문에, 실링 스폰지는 도어의 진동에 충분히 대처할 수 있어야 한다.
실링 스폰지가 도어의 진동에 대처할 수 없는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은 각종 소음을 차 내부로 침입시키는 갭(gap)이 도어와 차체 사이에 형성된다. 이러한 대처능은 통상, 이력손실도를 측정함으로써 파악할 수 있다. 스폰지 고무는 이력손실도가 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도어는 고온 내지 저온의 광범위한 온도에 걸쳐서 유연하게 열고 닫을 수 있어야 하므로, 스폰지 고무는 이러한 광범위한 온도에 걸쳐서 유연성이 충분해야 한다.
성능에 관한 상기한 요구에 더하여, 스폰지 고무는 원래 혼련가공성, 압출가공성 및 형상 보존성과 같은 가공성이 양호해야 한다.
스폰지 고무에 관한 이러한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예를 들면, JP-B-58-57450에 제시된 바와 같은 에틸렌 단위 함량이 55 내지 73몰%이고 무니(Mooney) 점도(ML1+4121℃)가 65 내지 120인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가 공지되어 있다(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 JP-B 는 심사된 일본국 특허공보를 의미한다).
그러나, 상기한 기술에서, 스폰지 고무는 미가공 강도 및 형상 보존성이 만족스러울 지라도, 영구압축변형도, 이력손실도 및 유연성을 불만족스럽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기술로 제조한 고무보다 영구압축변형도, 이력손실도 및 유연성이 우수하며, 가공성이 우수한 스폰지 고무를 제공할 수 있는, 스폰지용 고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상기한 스폰지용 고무를 사용하여 스폰지용 고무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에틸렌과 α-올레핀과 디올레핀과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스폰지용 고무가 제공되는데, 이때 공중합체는 (a) 에틸렌 단위 및 α-올레핀 단위를 73:27 내지 40:60의 중량비로 함유하며, (b) 무니점도(ML1+4121℃)가 135 내지 200이고, (c) 10 내지 36의 요오드가를 제공하는 디올레핀 단위를 함유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양태에 따르면 에틸렌과 α-올레핀과 디올레핀과의 공중합체 100중량부와 가소재 30 내지 130중량부를 포함하는 스폰지용 고무 조성물이 제공되는데, 이때 공중합체는 (a) 에틸렌 단위 및 α-올레핀 단위를 73:27 내지 40:60의 중량비로 함유하며, (b) 무니점도(ML1+4121℃)가 135 내지 200이고, (c) 10 내지 36의 요오드가를 제공하는 디올레핀 단위를 함유한다.
본 발명의 스폰지용 고무는 상기한 조건 (a), (b) 및 (c)를 만족시키는, 에틸렌과 α-올레핀과 디올레핀과의 공중합체(이후로는, 간단히 공중합체로 언급될 것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α-올레핀에는 프로필렌, 부텐-1, 4-메틸펜텐-1, 헥센-1 및 옥텐-1이 포함되며, 프로필렌이 바람직하다.
α-올레핀 단위에 대한 에틸렌 단위의 중량비는 73-27 내지 40:60, 바람직하게는 67:33 내지 45:55이다. 73%를 초과하는 에틸렌 단위 함량은 저온에서의 영구 압축변형도를 과도하게 저하시켜, 스폰지 고무의 회복특성을 상당히 손상시켜 실링재용으로 부적합하게 만든다. 한편, 40% 미만의 에틸렌 단위 함량은 카본블랙과 같은 보강제 및 무기 충전제의 분산을 불충분하게 만듦으로써, 스폰지 고무 표면을 거칠어지게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디올레핀에는 1,4-펜타디엔, 1,4-헥사디엔, 디비닐벤젠, 디사이클로펜타디엔, 메틸렌노르보넨, 에틸리덴노르보넨 및 비닐 노르보넨이 포함되며, 에틸리덴노르보넨이 특히 바람직하다.
공중합체 중의 디올레핀의 함량은 요오드가를 10 내지 36,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32로 제공하는 양이다. 10 미만의 요오드가는 본 발명의 목적에 위배되는 영구압축변형율의 증가와 같은 문제를 수반한다. 더욱이, 가황속도를 낮추어 다량의 가황촉진제를 필요로 하게 됨으로써, 이는 블루밍(blooming)을 유발시킨다.
한편, 36 이상의 요오드가는 이력손실도를 상승시켜, 스폰지 고무의 경도를 증가시키고 생산비용을 상승시키는 문제를 내포한다.
무니점도(ML1+4121℃)는 135 내지 200, 바람직하게는 140 내지 180이다. 135 미만의 무니점도는 본 발명의 목적에 거슬리는, 스폰지 고무의 영구압축변형도 및 이력손실도 특성의 악화를 수반한다.
한편, 200을 초과하는 무니점도는 혼련가공성을 손상시켜, 영구압축변형도 및 이력손실도를 개선시키기는 하나, 응집 괴상을 형성하고, 추가로, 압출 성형 제품의 표면을 거칠게 하고 가장자리 등에 결함을 유발시킨다. 따라서, 실제로 적용하기에는 적합하지가 않다.
본 발명의 공중합체는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즉, 공중합체는 에틸렌, α-올레핀과 디올레핀, 그리고 추가로 수소 기체와 같은 분자량 변형제를, 가용성 바나듐 화합물 및 유기 알루미늄 화합물과 같은 지글러(Ziegler) 촉매의 존재하에 반응 매질로 공급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반응 매질로는 펜탄, 헥산, 헵탄, 옥탄 및 케로센과 같은 지방족 탄화수소; 사이클로헥산과 같은 지환족 탄화수소; 벤젠, 톨루엔 및 크실렌과 같은 방향족 탄화수소; 및 클로로벤젠, 사염화탄소, 테트라클로로에틸렌, 트리클로로에틸렌, 에틸클로라이드. 메틸렌 클로라이드 및 디클로로에탄과 같은 할로겐화 탄화수소;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가용성 바나듐 화합물의 예를 들면, 사염화바나듐, 삼염화바나듐, 바나듐 트리아세틸아세토네이트, 바나딜 디아세틸아세토네이트, 일반식 VO(OR)3의 바나딜 트리알콕사이드(여기서, R은 지방족 탄화수소 라디칼이다), 일반식 VO(OR)nX3-n의 할로겐화된 바나딜 알콕사이드(여기서, R은 지방족 탄화수소 라디칼이고, X는 할로겐 원자이며, n은 0보다 크고 3보다 작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다.
유기알루미늄 화합물로는 트리에틸알루미늄, 디에틸알루미늄 클로라이드. 에틸알루미늄 세스퀴클로라이드 및 에틸알루미늄 디클로라이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일반식 RmAlX3-m의 화합물(여기서, R은 지방족 탄화수소 라디칼이고, X는 할로겐 원자이며, m은 1 내지 3이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스폰지용 고무 조성물은 본 발명의 공중합체 100중량부당 30 내지 130 중량부의 가소제를 필수성분으로서 혼입시킴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발포제, 가황제, 가황촉진제, 가황조제 및 충전제와 같은 첨가제를 여기에 첨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가소제는 통상 고무용으로 사용되는 가소제일 수 있으며, 프로세스 오일(process oil), 윤활유, 파라핀, 액체 파라핀, 석유 아스팔트, 와셀린, 코울타르 피치, 피마자유, 아마인유, 팩타이스(factice), 밀랍, 레시놀레산, 팔미트산, 바륨 스테아레이트, 칼슘 스테아레이트, 아연 라우레이트, 어택틱(atactic) 폴리프로필렌 및 고우마론-인덴 수지가 포함되며, 이중에서도 프로세스 오일이 바람직하다. 가소제는 공중합체 100중량부당 30 내지 13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30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130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한다.
이러한 범위의 가소제를 사용하면 훈련시의 가공성 또는 형상 보전성을 손상시키지 않고도, 연결 스폰지 고무 제조를 편리하게 한다.
본 발명에 사용할 수도 있는 가황제로는 황, 염화항, 이염화황, 모르폴린 디설파이드, 알킬페놀 디설파이드, 테트라메틸티우람 디설파이드, 셀레늄 디메틸디티오카바메이트, 디쿠밀 퍼옥사이드, 2,5-디메틸-2,5-디(3급-부틸퍼옥시)헥산, 2,5-디메틸-2,5-디(벤조일퍼옥시)헥산, 2,5-디메틸-2,5-디(3급-부틸퍼옥시)헥신-3, 디-3급-부틸 퍼옥사이드, 디-3급-부틸퍼옥시-3,3,5-트리메틸사이클로헥산 및 3급-부틸 하이드로퍼옥사이드를 포함한다. 이들 중에서 황, 디쿠밀 퍼옥사이드, 디-3급-부틸 퍼옥사이드 및 디-3급-부틸 퍼옥시-3,3,5-트리메틸사이클로헥산이 특히 바람직하다.
황은 통상, 공중합체 100중량부당 0.1 내지 1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중량부의 양으로 사용한다. 유기 과산화물은 통상, 공중합체 100중량부당 0.1 내지 15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8중량부의 양으로 사용한다.
황 또는 황형 화합물을 가황제로서 사용하는 경우, 필요에 따라, 가황촉진제 또는 가황조제를 추가로 사용할 수도 있다.
가황촉진제에는 N-사이클로헥실-2-벤조티아졸-설펜아미드, N-옥시디에틸렌-2-벤조티아졸-설펜아미드, N,N-디이소프로필-2-벤조티아졸-설펜아미드, 2-머캅토 벤조티아졸, 2-(2,4-디니트로페닐)머캅토벤조티아졸, 2-(2,6-디에틸-4-모르폴리노티오)벤조티아졸, 디벤조티아질 디설파이드, 디페닐구아니딘, 트리페닐구아니딘, 디-o-톨릴구아니딘, o-톨릴비구아니드, 디페닐구아니딘 프탈레이트, 아세트알데하이드와 아닐린과의 반응생성물, 부틸알데하이드와 아닐린과의 축합물, 헥사메틸렌 테트라민, 아세트알데하이드 암모니아, 2-머캅토이미다졸린, 티오카르브아닐리드, 디에틸티우레아, 디부틸티오우레아, 트리메틸티오우레아, 디-o-톨릴티오우레아, 테트라메틸티우람 모노설파이드, 테트라메틸티우람 디설파이드, 테트라에틸티우람 디설파이드, 테트라부틸티우람 디설파이드, 펜타메틸렌 티우람 테트라설파이드, 아연 디메틸디티오카바메이트, 아연 디에틸티오카바메이트, 아연 디-n-부틸디티오카바메이트, 아연 에틸페닐디티오카바메이트, 아연 부틸페닐디티오카바메이트, 나트륨 디메틸디티오카바메이트, 설레늄 디메틸디티오카바메이트, 텔루륨 디에티디티오카바메이트 및 아연 디부틸크산토게네이트가 포함된다. 이러한 가황촉진제는 공중합체 100중량부당 0.1 내지 2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10중량부의 양으로 사용한다.
가황조제에는 산화마그네슘 및 아연화(zinc white)와 같은 금속 산화물이 포함되며, 아연화가 바람직하다. 통상, 가황조제는 공중합체 100중량부당 3 내지 20중량부의 양으로 사용한다.
과산화물과의 가교결합시, 황, p-퀴논 디옥심,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틸아크릴레이트, 디알릴 프탈레이트, 트리알릴시아누레이트 및 디비닐벤젠과 같은 가교결합조제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충전제는 바람직하게는 SRF, GPE, FEF, HAF, ISAF, SAF, FT 및 MT와 같은 카본블랙, 규산염 미분, 탄산칼슘, 탈크 및 점토를 포함하여, 통상적으로 고무용으로 사용되는 무기 충전제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발포제에는 중탄산나트륨, 탄산나트륨, 중탄산암모늄, 탄산암모늄, 아질산암모늄, N,N'-디메틸-N,N'-디니트론 테레프탈아미드, N,N'-디니트론 펜타메틸렌테트라민, 아조디카본아미드,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아조사이클로헥실니트릴, 아조디아미노벤젠, 바륨 아조디카복실레이트, 벤젠설포닐하이드라지드, 톨루엔설포닐 하이드라지드, p,p'-옥시비스(벤젠설포닐 하이드라지드), 디페닐설폰-3,3'-디설포닐 하이드라지드, 칼슘 아지드, 4,4'-디페닐디설포닐 아지드 및 p-톨루엔설포닐 아지드가 포함된다. 발포제는 공중합체 100중량부당 0.5 내지 3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5중량부의 양으로 혼입한다.
발포조제는, 필요에 따라 발포제와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발표제의 고무 성분으로서, 기타의 고무 또는 에틸렌-α-올레핀-디올레핀 공중합체를 본 발명의 공중합체와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공지된 혼련기, 압출기 또는 발포기를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공중합체는 개방식 로울 밀, 밴버리(Banbury)혼합기, 혼련기 등을 이용하여, 상기한 첨가제와 함께 스폰지용 고무 조성물로 가공하고, 계속해서, 조성물을 발포 및 가교 결합을 위한 온도에서 발포 및 가교결합시킨다.
본 발명의 특징은 영구압축변형도 및 이력손실도 뿐만 아니라, 혼련가공성 및 압출 가공성이 만족스러운 특정 무니점도 범위내에 있으며, 이 특징은 보다 높은 무니점도를 선호하는 경향을 갖는 무니점도에 대해 영구압축변형도 및 이력손실도가 상당히 의존적이라는 발견을 근거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영구압축변형도와 이력손실도가 모두 만족스러운 특정 요오드가 범위내에 있어며, 이 특징은 요오드가가 영구압축변형도와 이력손실도 둘다에 크게 영향을 미치며, 요오드가가 상기한 두 특징을 서로에 대해 상반되게 영향을 미친다는 발견을 근거로 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특징은 공중합체의 비교적 높은 무니점도 범위에 존재하며, 이 특징은 종래의 기술로 달성할 수 없었던 연질 스폰지 고무 제조를 편리하게 한다. 압출기를 이용함으로써, 공중합체, 카본블랙, 무기 충전제, 가소제 등으로 이루어진 혼합물(이후로는 화합물로 언급된)을 압출시키는데 있어서, 화합물의 지나치게 낮은 무니점도는 화합물의 형상 보존성을 악화시킨다. 한편, 과도하게 높은 무니점도는 형상 보존성은 향상시킬지라도, 생산라인에 문제를 일으키는 압출기상에 부과되는 고하중의 문제와 유연성 상실을 유발시키는, 발표된 스폰지 고무의 경도 상승을 수반한다. 따라서, 화합물의 무니점도는 적합한 범위(30 내지 60의 ML1+4100℃)내에서 조절할 필요가 있다.
적합한 무니점도의 화합물을 제공하기 위하여, 무니점도가 종래의 고무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본 발명의 공중합체 고무를, 상기한 형상 보존성을 손상시키지 않고도, 비교적 다량의 가소제와 혼합할 수 있다. 이러한 화합물로부터 제조된 스폰지 고무는 유연성이 보다 높을 것이다.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나, 어떠한 방법으로든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5와 비교실시예 1 내지 6]
표 1에 나타낸 공중합체, Seast
Figure kpo00001
SO, Seast
Figure kpo00002
S, 아연화 및 스테아르산을 BR형 밴버리 혼합기(내부용량: 1.5ℓ)를 이용하여, 표 2에 나타낸 가소제와 혼련시키고, 계속해서, 표 1에 나타낸 기타 첨가제를, 8in 개방식 로울을 이용하여 여기에 첨가하여 화합물을 제조한다.
화합물을 80℃의 다이(die) 온도 및 60℃의 실린더 온도에서 관상 다이(내부 직경: 10㎜, 벽 두께: 1.5㎜)를 구비한 45㎜ψ 압출기를 이용하여 튜브로 압출성형시킨다. 압출 제품의 표면 평활도는 압출 튜브의 외양으로부터 가시적으로 평가된다. 성형 제품을 열기-가황실에서 5분 동안 가열하여 관상 스폰지 고무를 수득한다. 스폰지 고무의 비중을 50㎜ 길이로 절단한 시험편을 사용하여 중량/용량의 비로부터 결정한다(이때, 중량은 공기중에서 측정하고 용량은 수 중 부력으로부터 측정한다).
영구압축변형도는 20㎜ 길이로 절단한 관상 스폰지 고무로 이루어진 시험편을 사용하여 결정한다. 시험편을 스폰지용 영구압축변형도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 성형기에서 튜브의 외부직경의 50%를 압축시키고 70℃ 기어(Geer) 오븐에서 100시간 동안 열처리한다. 시험은 SRIS-0101에 따라 수행한다(팽창된 고무의 물리적 시험).
이력손실도는 관상 스폰지 고무를 종방향으로 편평한 시트로 절단하고 이것을 JIS No.3 덤벨(dumbbell) 다이를 이용하여 다이-절단함으로써 제조된 시험편을 사용하여 결정한다. 이력손실도는 시험편을 500㎜/min의 속도로 100%까지 연신시키고 동일한 속도로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방법으로 스트로그래프(strograph)를 이용하여 수득한 S-S 곡선으로부터 결정한다.
유연도 지수, 즉 압축응력은 튜브를 50㎜길이로 절단하고, 튜브 외부직경을 50% 압축시의 시험편의 응력을 스트로그래프를 이용하여 측정함으로써 제조한 시험편을 사용하여 결정한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본 발명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실시예 1 내지 5에서, 모든 시험편은 영구압축변형도, 이력손실도, 압축응력 및 표면 평활도 특징 모두가 우수하다. 반면, 공중합체의 무니점도가 본 발명의 특정 값보다 작은 비교실시예 1 내지 4에서, 시험편은 영구압축변형도, 이력손실도, 압축응력 등에 있어서 만족스럽지 못하다. 공중합체의 무니점도가 본 발명의 특정 값보다 커서 본 발명의 특정 양보다 다량의 가소제를 혼입시켜야 하는 비교실시예 5에서, 시험편은 표면평활도가 불량하다. 공중합체의 요오드가가 본 발명의 특정 값보다 작은 비교실시예 6에서, 시험편은 영구압축변형도가 불량하다. 이들 비교실시예의 스폰지 고무는 본 발명의 목적에 적합하지 않다.
Figure kpo00003
1)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에틸리덴노르보넨 공중합체.
2) Tokai Carbon Co. , Ltd. 가 제조한 카본블랙.
3)Tokai Carbon Co. , Ltd. 가 제조한 카본블랙.
4) Eiwa Chemical Ind. Co. , Ltd. 가 발포제로서 제조한 아조디카본아미드.
5) Eiwa Chemical Ind. Co. , Ltd. 가 발포제로서 제조한 우레아.
6) Sumitomo Chemical Co. , Ltd. 가 제조한 아연 디메틸 디티오카바메이트.
7) Sumitomo Chemical Co. , Ltd. 가 제조한 디펜타메틸렌티우람 헥사설파이드.
8) Sumitomo Chemical Co. , Ltd. 가 제조한 머캅토벤조티아졸.
9) Sumitomo Chemical Co. , Ltd. 가 제조한 아연 디에틸디티오카바메이트.
Figure kpo00004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압축응력, 영구압축변형도 및 이력손실도와 같은 특성이 우수하고, 외관이 매우 양호하고, 추가로 가공성도 우수한, 스폰지용 고무 및 스폰지용 고무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을 이의 특정 양태를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당해 분야의 숙련가에게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주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화 및 변형할 수 있음이 명백할 것이다.

Claims (12)

  1. (a) 에틸렌 단위 및 α-올레핀 단위를 73:27 내지 40:60의 중량비로 함유하며, (b) 무니(Mooney) 점도(ML1+4121℃)가 135 내지 200이고, (c) 10 내지 36의 요오드가를 제공하는 디올레핀 단위를 함유하는, 에틸렌과 α-올레핀과 디올레핀과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스폰지용 고무.
  2. 제1항에 있어서, 디올레핀이 에틸리덴노르보넨인 스폰지용 고무.
  3. 제1항에 있어서, 공중합체가 에틸렌 단위 및 α-올레핀 단위를 67:33 내지 45:55의 중량비로 함유하는 스폰지용 고무.
  4. 제1항에 있어서, 공중합체가 12 내지 32의 요오드가를 제공하는 디올레핀 단위를 함유하는 스폰지용 고무.
  5. 제1항에 있어서, 공중합체의 무니점도(ML1+4121℃)가 140 내지 180인 스폰지용 고무.
  6. (a) 에틸렌 단위 및 α-올레핀 단위를 73:27 내지 40:60의 중량비로 함유하며, (b) 무니점도(ML1+4121℃)가 135 내지 200이고, (c) 10 내지 36의 요오드가를 제공하는 디올레핀 단위를 함유하는, 에틸렌과 α-올레핀과 디올레핀과의 공중합체 100중량부 및 가소제 30 내지 130중량부를 포함하는 스폰지용 고무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디올레핀이 에틸리덴노르보넨인 스폰지용 고무 조성물.
  8. 제6항에 있어서, 공중합체가 에틸렌 단위 및 α-올레핀 단위를 67:33 내지 45:55의 중량비로 함유하는 스폰지용 고무 조성물.
  9. 제6항에 있어서, 공중합체가 12 내지 32의 요오드가를 제공하는 디올레핀 단위를 함유하는 스폰지용 고무 조성물.
  10. 제6항에 있어서, 공중합체의 무니점도(ML1+4121℃)가 140 내지 180인 스폰지용 고무 조성물.
  11. 제6항에 있어서, 가소제가 공중합체 100중량부당 50 내지 130 중량부의 양으로 존재하는 스폰지용 고무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가소제가 공중합체 100중량부당 70 내지 130 중량부의 양으로 존재하는 스폰지용 고무 조성물.
KR1019900003025A 1989-03-09 1990-03-08 스폰지용 고무 및 스폰지용 고무조성물 KR01691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843389 1989-03-09
JP1-58433 1989-03-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4489A KR900014489A (ko) 1990-10-24
KR0169106B1 true KR0169106B1 (ko) 1999-03-20

Family

ID=13084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3025A KR0169106B1 (ko) 1989-03-09 1990-03-08 스폰지용 고무 및 스폰지용 고무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093381A (ko)
EP (1) EP0389144B1 (ko)
KR (1) KR0169106B1 (ko)
CA (1) CA2011543A1 (ko)
DE (1) DE69016475T2 (ko)
ES (1) ES2067666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88445A (ja) * 1993-11-16 1995-07-25 Sumitomo Chem Co Ltd スポンジ用ゴム組成物
US5691413A (en) * 1994-09-29 1997-11-25 Japan Synthetic Rubber Co., Ltd. Ethylene-α-olefin-non-conjugated diene copolymer rubber composition
EP0708117B1 (en) * 1994-10-03 1999-08-11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Process for producing copolymer rubber
JPH08199018A (ja) * 1995-01-19 1996-08-06 Japan Synthetic Rubber Co Ltd ゴム組成物
TWI230723B (en) 1999-06-30 2005-04-11 Sumitomo Chemical Co Oil-extended copolymers for sponge
US6716931B2 (en) * 2001-05-30 2004-04-06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Vulcanized solid rubber
WO2002100940A1 (en) * 2001-06-08 2002-12-19 Thermoplastic Rubber Systems, Inc. Thermoplastic vulcanizates
KR20110058780A (ko) * 2008-08-29 2011-06-01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가교 발포 성형용 수지 조성물, 가교 발포 성형체 및 가교 발포 성형체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131544C3 (de) * 1971-06-25 1978-10-12 Continental Gummi-Werke Ag, 3000 Hannover Vulkanisierbare Ter- bzw. Copolymergemische und ihre Verwendung
JPS58448B2 (ja) * 1976-09-27 1983-01-06 三井化学株式会社 ポリオレフインの製造方法
US4311628A (en) * 1977-11-09 1982-01-19 Monsanto Company Thermoplastic elastomeric blends of olefin rubber and polyolefin resin
JPS5857450B2 (ja) * 1978-03-08 1983-12-20 三井化学株式会社 発泡体の製造方法及び発泡体用組成物
JPS5857450A (ja) * 1981-10-01 1983-04-05 Showa Denko Kk 樹脂組成物
DE3673973D1 (de) * 1985-06-19 1990-10-11 Exxon Chemical Patents Inc Thermoplastische elastomerzusammensetzungen.
JPH0742361B2 (ja) * 1988-03-08 1995-05-10 豊田合成株式会社 スポンジゴム製品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011543A1 (en) 1990-09-09
DE69016475T2 (de) 1995-06-01
EP0389144A3 (en) 1992-01-15
EP0389144B1 (en) 1995-02-01
ES2067666T3 (es) 1995-04-01
US5093381A (en) 1992-03-03
DE69016475D1 (de) 1995-03-16
KR900014489A (ko) 1990-10-24
EP0389144A2 (en) 1990-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8498B1 (ko) 에틸렌-알파-올레핀-비공액 디엔 공중합체 고무 조성물
EP0225063A2 (en) Chlorinated rubber
US5691413A (en) Ethylene-α-olefin-non-conjugated diene copolymer rubber composition
KR0169106B1 (ko) 스폰지용 고무 및 스폰지용 고무조성물
US5646224A (en) Rubber composition
JP3191592B2 (ja) エチレン−α−オレフィン−非共役ジエン共重合ゴム組成物
JP2929640B2 (ja) スポンジ用ゴム及びスポンジ用ゴム組成物
JPH0692498B2 (ja) スポンジ用ゴム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3654472B2 (ja) スポンジゴム用組成物、並びにそれを用いたウェザーストリップスポンジゴムおよび型成形スポンジゴム
JP4583592B2 (ja) ゴム組成物およびその用途
JPH10195227A (ja) 注入スポンジ用ゴム組成物およびその加硫ゴム発泡成形体
JP3903825B2 (ja) エチレン系共重合ゴム組成物、スポンジ用ゴム組成物およびスポンジ製品
JP2002275302A (ja) ゴム発泡体及び自動車用シール材
JP3773372B2 (ja) スポンジ用熱硬化性ゴム組成物及びその加硫ゴム発泡成形体
JP2001270957A (ja) スポンジ用ゴム組成物およびスポンジ
JPH0480245A (ja) スポンジ用ゴム組成物
JP7461764B2 (ja) ウェザーストリップスポンジ
JP3711621B2 (ja) ゴムロール用エチレン−α−オレフィン系共重合体ゴム組成物
JP3191593B2 (ja) エチレン−α−オレフィン−非共役ジエン共重合ゴム組成物
JP3191589B2 (ja) エチレン−α−オレフィン−非共役ジエン共重合ゴム組成物
JPH08157652A (ja) エチレン−α−オレフィン−非共役ジエン共重合ゴム 組成物
JP2019167403A (ja) エチレン・α−オレフィン・ビニルノルボルネン共重合体
JP2002256121A (ja) 加硫可能なゴム組成物およびスポンジゴム
JP3773376B2 (ja) スポンジ用ゴム組成物およびその加硫ゴム発泡成形体
JP3700542B2 (ja) スポンジ用油展共重合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