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7801B1 - 비계판 - Google Patents

비계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7801B1
KR0167801B1 KR1019950060912A KR19950060912A KR0167801B1 KR 0167801 B1 KR0167801 B1 KR 0167801B1 KR 1019950060912 A KR1019950060912 A KR 1019950060912A KR 19950060912 A KR19950060912 A KR 19950060912A KR 0167801 B1 KR0167801 B1 KR 01678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spring plate
rod body
scaffold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60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8017A (ko
Inventor
다츠오 오노
Original Assignee
다츠오 오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1396395A external-priority patent/JP384691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7181135A external-priority patent/JPH094216A/ja
Application filed by 다츠오 오노 filed Critical 다츠오 오노
Publication of KR960038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80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78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78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5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essentially comprising special means for supporting or forming platforms; Platforms
    • E04G1/154Non-detachably fixed and secured connections between platform and scaffol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5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essentially comprising special means for supporting or forming platforms; Plat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28Clips or connections for securing boards
    • E04G2007/285Clips or connections for securing boards specially adapted for toe 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ovable Scaffold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비계 지지대나 지지 비계설비를 위한 비계판은 비계판 모든 방향의 틈새를 제거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으며 한번의 조작으로 측면부재에 후크의 뒤에 멈춤기의 분리가능한 장착을 하는 것이 목적인 비계판.
수평 판몸체(6), 복수의 후크(9,10,11,12)가 판 몸에의 앞 뒤 끝에 제공되고, 복수의 노치(13,14a,14b,15,16a,16b)가 같이 판 몸체의 앞 뒤 끝에 제공되고 멈춤장치(S)가 각 후크의 아래 안팎으로 자유로이 움직이도록 제공되고, 상기 앞 후크는 뒤 노치와 같은 축에 제공되고 뒤 후크는 앞 노치와 같은 축에 제공되도록 한 비계판.

Description

비계판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비계판의 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비계판의 전개 투시도.
제3도는 멈춤장치(stopper mechanism)의 확장 단면도.
제4도는 멈춤장치의 평면도.
제5도는 제4도의 X-X선에 취한 단면도.
제6도는 멈춤장치의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확장 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계판의 부분 절단 투시도.
제8도는 분리된 위치에서 본 제7도의 비계판의 부분 절단 투시도.
제9도는 제7도의 멈춤장치(stopper mechanism)와 잠금해제장치(unlocking mechanism)의 확장 단면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계판의 부분 절단 투시도.
제11도는 제10도의 실시예에 따른 멈춤장치와 잠금해제장치의 확장 단면도.
제12도는 멈춤장치와 잠금해제장치의 평면도.
제13도는 종래의 지지 비계판의 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프레임(frame) 2 : 측면부재(lateral member)
3 : 프레임몸체(frame body) 4 : 비계판(scaffolding plank)
5 : 난간(base-board) 6 : 수평판몸체(horizontal plank body)
7,8 : 좌우난간 9,10 : 앞후크(hook)
11,12 : 뒤후크 13,14a,14b,15,16a,16b : 앞뒤노치
17,18 : 보조판 20 : 구멍(opening)
30 : 안내공(hollow guide) 31 : 멈춤기(stopper)
32 : 코일스프링 33 : 위치지정부재(locating member)
34 : 막대체(rod body) 35 : 곡선표면(curved surface)
36 : 손잡이부분(grip portion) 37,38 : 홈
39 : 튜브형몸체 40 : 스프링판
41 : 핀 42 : 돌출부(profrusion)
44 : 코일스프링 50 : 지지대
51 : 지렛대 60 : 아암(arm)
61 : 판 62 : 보강프레임(reinforcing frame)
63,64 : 핀 65 : 지지판
66 : 샤프트 67 : 함몰부
68 : 구멍 71 : 수지프레임(vertical frame)
72 : 필라(pillar) S : 멈춤장치
Y : 잠금해제장치 A : 비계판
본 발명은 비계 설치 작업대(framework scaffolding)를 위한 혹은 플랜트 구조물, 다리 구조물과 특수 구조물과 같은 구조물 작업에 사용되는 지지 비계설비(suspended scaffolding)를 위한 비계판에 관한 것이다.
이 같은 종류의 종래의 비계설치 작업대는 일본특허공개 No.4(1992)-129256에 공고되어 알려졌다.
제13도에서의 이 비계설치 작업대에서 프레임(1,1)은 세로 방향으로 플러그 인 방식으로 설비되었고 측면부재(2)는 프레임(1,1) 사이에 장착되어 프레임 몸체(3)을 구성하고, 많은 프레임몸체(3)는 횡으로 나열되고, 그후 비계판(4,4)이 측면부재(2)(lateral member)위에 후크(H)(hook)로 장착되고, 난간(baseboard)(5,5)은 프레임(1,1)에 연결되어 철사나 그 비슷한 것으로 윗난간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또한 그 자체 무게에 의해 아래로 움직이는 반원 멈춤장치는 수직으로 움직이도록 후크(H)의 뒤쪽에 설비되어 후크(H)가 측면부재(2)와 함께 사용하는데 위치할 때 멈춤장치가 내려오도록 하였다. 측면부재(2)는 후크에 의해 고정되고 멈춤장치는 비계판(4)이 흐르는 것을 막아준다.
한편, 플랜트 구조물, 다리구조물 후 거기에서 페인팅 작업에 사용되는 지지비계설비에서 측면부재는 위에는 부터 아래로 매달려 있고 비계판(4)은 위에서 설명했듯이 후크(H)에 의해 측면부재에 장착되어, 이 비계판(4)은 플랜트 구조물, 다리구조물, 페인팅 작업에 이용된다.
그러나, 종래의 방법을 사용하는 비계작업대와 지지 비계설비는 다음과 같은 불편함이 있다.
우선 비계판(4,4)이 대개 무게를 줄이기 위해 두개의 비계판(4,4)이 복수로 측면부재에 장착되는 것 같이 연장되어 설치되기 때문에 비계판(4,4)와 난간(5) 사이에 틈새가 피할 수 없게 형성된다.
그러므로 나사, 볼트, 공구, 작은 작업재료 등 비계판 위에 있는 것들이 틈새를 통해 떨어질 위험이 있다.
둘째로, 비계판(4,4)은 세로로도 역시 연속적으로 배치된다. 이 경우, 그러나 비계판(4,4) 각각은 측면부재(2)와 함께 앞 뒤 양 끝으로부터 연장된 후크(H)를 연결하여 배치된다. 그러므로 두개의 후크(H)를 위한 길이 만큼의 틈새가 인접한 앞,뒤 비계판(4,4)사이 형성되어 위에서 설명되었듯이 비계판 위에 공구와 그 같은 것들이 떨어질 위험이 있게 된다.
세째로, 난간이 비계판에서 분리된 부재이므로 필요할 때 그리고 동작에 문제가 있을 때마다 비계판에서 그것들을 분리하고 장착해야할 필요가 있다.
네째로, 측면부재(2)와 맞물린 멈춤장치는 비계판(4)이 어긋나서 위로 흐르는 것을 막아 주도록 설치된다. 그러나 각 멈춤장치를 장착하고 제거하는 동작은 문제가 많고 작업능률이 떨어진다.
즉, 복수의 후크(H)와 멈춤장치가 있는 경우 그들이 풀어졌을 때, 먼저 하나의 멈춤장치와 후크(H)를 제거하고 나서 다른 후크(H)와 멈춤장치를 제거할 필요가 있다. 단일동작으로 이 동작을 하려 한다면 멈춤장치는 그 자신의 무게에 의해 스스로 잠기도록 떨어진다. 그래서 잠금을 풀어주기 위해 하나의 멈춤장치를 들어올리고 나서 다른 멈춤장치를 풀어주려면 이미 풀린 멈춤장치는 자신의 무게로 떨어지고 다시 잠긴다.
따라서, 복수의 후크(H)와 멈춤장치가 있는 경우, 둘 이상의 동작장치로 푸는 동작을 동시에 수행해야 한다.
다섯번째로, 후크의 뒤에 설치된 멈춤장치는 비계판(4) 아래에 배치되기 때문에 멈춤장치를 잠그거나 푸는 것이 어렵다. 특별히 지지 비계설비의 경우 이 동작은 매우 위험하고 위부터 동작이 지지 비계 설치의 장소에 근거해 때때로 불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첫번째 목적은 복수의 비계판이 횡으로 앞뒤에 배치될 때 틈새가 인접한 비계판 사이에 형성되지 않도록 하는 비계판 제공에 있다.
본 발명의 두번째 목적은 각 후크 아래 설치된 멈춤장치가 한번의 조절로 측면부재에 떼에 내도록 설치되고 이 분리동작이 단일 동작장치로 행해지도록 한 비계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세번째 목적은 멈춤장치가 비계판 맨 위에서 조자 잠기거나 풀어지도록 한 비계판 제공에 있다.
위에 언급된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라 비계작업대나 지지 비계설비를 구성하는 측면부재에 후크로 떨어지도록 장착된 비계판이 제공되는데 그 비계판은 수평판(horizontal plank)몸체, 상기 판 몸체의 앞 뒤 양끝에 설치된 복수의 후크와 복수의 노치(notch) 등, 그리고 각 후크 아래 안팎으로 자유롭게 움직이도록 설치된 멈춤장치를 구비하였고 그 멈춤장치위의 앞 후크는 뒤 노치가 있는 같은 축에 설치되었고 뒤 후크는 앞 노치가 있는 같은 축에 설치된 것이다.
위에 언급된 배치에 따라, 멈춤장치가 밀어 내어졌을 때 비계작업대나 지지비계설비의 측면부재는 후크에 의해 고정되고 판 몸체가 흐르는 것을 막는 멈춤장치에 의해 고정된다. 그리고 멈춤장치가 강제로 뒤로 옮겨졌을 때 멈춤장치는 측면부재의 고정을 풀어주어 판 몸체가 들리우도록 한다.
복수의 후크와 노치가 판 몸체 앞 뒤 양끝에 제공되기 때문에 판 몸체는 후크와 노치로 앞 뒤 횡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앞 후크를 맞추기 위한 위치와 뒤 노치의 위치가 서로 같은 선에서 충돌하기 때문에 뒤 비계판이 앞 비계판 근처에 배치될 때, 뒤 비계판의 앞 후크가 앞 비계판 노치로 움직일 수 있다. 그러므로 두 개의 앞 뒤 비계판 사이의 이음에서 틈새가 없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면을 참조로 설명되고 제1도에서 제6도까지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비계판을 보여준다.
이 비계판(A)은 수평판 몸체(6), 두개 앞 후크(9,10)그리고 뒤 후크(11,12)로 구비되었는데 각 후크는 판몸체(plank body)(6)의 앞 뒤 양끝에 설치되었고 좌우 난간(7,8)은 판몸체(6)의 좌우 양편에 세워져 있고 쐐기(wedge)장치(C)로 판 몸체에 떨어지도록 장착되어 있는데 잠금장치와 핀(P)로 이용된다. 쐐기장치는 판몸체(6)에서 난간(7,8)의 양편으로 구멍을 통해 투사되는 금속맞춤과 금속맞춤(metal fiting)에 떨어지도록 장착된 쐐기(K)로 구성된다. 잠금장치는 쐐기없는 형일 수 있다.
판 몸체(6)의 앞 뒤 끝은 두개의 노치(13,14a,14b)와 (15,16a,16b)로 제공된다. 앞 노치(13,14a,14b)는 뒤 후크(11,12)와 같은 세로 축에 위치하고 뒤 노치(15,16a,16b)는 앞 후크(9,10)과 같은 세로축에 위치한다.
즉, 앞, 뒤 후크(9,10,11,12)와 앞,뒤 노치(13,14a,14b,15,16a,16b)는 교차하며 배치된다.
비계판(A)은 비계 작업대의 측면부재(2)에 후크(9,10,11,12)로 장착되는데 이는 제13도의 종래의 기술과 같은 방식이다.
이 경우 대개 두 개 이상의 비계판(A)는 수평으로 횡으로 배치되나 판 몸체(6)의 큰 가로폭을 가진 비계판의 경우는 하나만 만족될 수 있다.
대개 바람직스럽기는 반활동(反)리브(lib)와 돌출부(protrusion)가 판몸체(6)의 윗 표면에 제공되는 것이다.
난간(7,8)이 판 몸체에 떨어지도록 연결되고 합해지기 때문에 틈새가 없어 그 사이에서 나사, 볼트, 너트, 공구, 작업 작업재료 등이 떨어지는 것을 막아준다.
또한 난간(7,8)이 판몸체(6)의 비계 작업대에서 장착, 제거로 동시에 완전 장착과 제거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업능률이 향상된다.
후크(9,10,11,12)는 판몸체의 앞 뒤에 직접 장착될 수 있다. 그러나 제2도에서 처럼 보조판(17,18)로 U자 단면을 가진 것이 삽입되어져 판 몸체(6)의 앞 뒤 끝에 안전하게 장착되고 각 보조판(17,18)은 앞 뒤 후크(9,10,11,12)와 노치(13,14a,14b,15,16a,16b)를 구비하고 있다.
판몸체(6)은 판(61)과 보강프레임(reinforcing frame)(62)로 구비되어 있는데 보강프레임(62)는 판(61)의 아래 표면에 제공된다. 난간(7,8)은 수직프레임(vertical frame)(71)과 수지프레임(71)에 길게 놓인 필라(pillar)(72)로 구비된다.
많은 비계판(A)은 횡으로 세로로 비계작업대의 측면부재(2)에 위치한다. 이때, 앞 후크(9,10)가 후면에 위치해서 앞쪽 비계판(A)의 뒤 노치(15,16a,16b)와 맞추어지고 반대로 앞쪽 비계판 뒤 후크(11,12)는 뒤쪽 비계판 노치(13,14a,14b)로 맞추어진다.
결과적으로 인접한 앞, 뒤 두 비계판(A,A) 사이의 끝은 서로에 대해 밀착하여 연결시 발생되는 틈새를 제거하고 나사, 공구 등의 떨어짐을 방지한다.
제3도에서 제6도까지에서 처럼 멈춤장치(S)는 후크(9,10,11,12)의 뒤에서부터 안팎으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멈춤장치(S)는 안내공(30)과 멈춤기(31)이 안내공(30)으로 살며시 삽입된 것과 안내공(30)와 멈춤기(31) 사이에 후크 방향으로 멈춤기를 몰리기 위해 사이에 끼인 탄력있는 부재로서의 코일 스프링(32,32)과 위치지정부재(locating member)(33)가 탄력부재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위치에 멈춤기(stopper)(31)를 고정시키기 위해 안내공(hollow guide)(30)의 위 부분과 옆에 제공된 것으로 구비되어 있다.
이 경우 멈춤기(31)은 막대체(rod body)(34), 막대체(34)의 끝의 윗 부분에 형성된 곡선표면(35)와 막대체(34)의 뒤 끝에 있는 손잡이부분(grip portion)(36)과 막대체(34)의 윗 표면에 형성된 두개의 홈(37,38)로 구비되어 진다.
안내공(30)은 튜브형 몸체(39)로 U자형 단면을 가진 판 몸체를 휘어놓아 형성된다. 그리고 탄력부재는 하나나 그 이상의 코일스프링(32)로 튜브형 몸체(39)의 휘어진 끝(30a)과 막대체(34)의 몸체 사이에 끼인 채 구비되었고 코일스프링(32)은 튜브형 몸체(39)의 휘어진 끝(30a)에 연결된 스프링발(32a)와 막대체(34)의 위부분이나 옆면에 맞추어져 안착한 또다른 스프링발(32b)을 가지고 있다.
위치 지정부재(33)는 인도하는 튜브형 몸체(39)의 위 부푼 부분에 연결된 한 끝을 가진 스프링판(40), 스프링판(40)을 통해 확장되고 튜브형 몸체(39)의 위부푼 부분에 연결된 아래 끝을 가진 핀(41), 핀(41)의 위 끝의 플랜지와 스프링판(40)의 윗 표면 사이에 끼여서 스프링판(40)을 아래로 물리기 위한 코일스프링(44)와 스프링판(40)의 아래 표면에 제공되어 막대체(34)의 면 위의 홈(37,38)중 하나로 선택적으로 끼워 맞춰지는 멈춤용 돌출부(42)로 구비된다.
중립 상태에서 멈춤장치(S)는 제3도의 위치에서 나타난다.
이 상태에서 멈춤용 돌출부(42) 코일스프링(44)에 의해 물려지고 앞 홈(37)에 맞추어진다. 멈춤기(31)을 구성하는 막대체(34)는 후퇴되어 위치한다. 아래로 향한 큰 틈새가 멈춤기(31)의 끝과 후크(9,10,11,12) 사이에 형성되고 이 상태에서 비계판(A)는 측면부재(2)와 후크(9,10,11,12)를 통해 맞물려 위치한다.
다음, 위치지정부재(33)를 구성한 스프링판(40)은 제6도에서 처럼 코일스프링(44)에 대해 들려올려질 때 멈춤용 돌출부(42)는 홈(37)으로부터 빠져 나온다. 따라서, 막대체(34)는 후크방향으로 코일스프링(32)의 힘에 의해 나아가 막대체(34)의 끝의 곡선표면(35)이 측면부재(2)의 아래표면과 밀착되도록 하여 측면부재가 예를들어 후크(9)에 의해 고정되고 곡선 표면(35)은 비계판(A)의 흐르거나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멈춤용 돌출부(42)는 위치를 잡기 위해 후 홈(38)에 맞추어진다.
한편, 비계판(A)가 측면부재에서 제거될 때 스프링판(40)이 먼저 올려지고 손잡이 부분(36)이 막대체(34)를 코일스프링(32)에 대해 후퇴시키기 위해 당겨진다. 그리고 스프링판(40)을 들어올리는 동작이 멈춰졌을 때, 스프링판(40)이 코일스프링(41)의 힘에 의해 아래로 움직이고 멈춤용 돌출부(42)는 다시 앞쪽 홈(37)에 의해 아래로 움직이고 멈춤용 돌출부(42)는 다시 앞쪽 홈(37)에 맞추어진다. 따라서 멈춤기(31)로 사용되는 막대체(34)가 중립상태로 돌아온다. 큰 틈새가 후크(9)와 막대체(34)의 끝에 생겨 측면부재(2)가 틈새를 통해 아래로 움직여져 비계판(A)가 상대적으로 들려져서 제거된다.
이 경우 마치 복수의 멈춤기(31)가 있는 것처럼 각 멈춤기(31)는 후퇴된 위치에 위치 조정 요소(33)에 의해 고정된다. 그러므로 다음 멈춤기(31)는 위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 풀어질 수 있고 완전동작이 단일동작장치에 의해 결과적으로 이루어진다.
제7도에서 제9도까지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보여준다. 이 실시예에 따른 비계판의 기본구조는 제1도에서의 실시예와 같다. 이 실시예에 따른 비계판은 푸는 메카니즘과 푸는 메카니즘의 반대로 여는 메카니즘을 제공한다. 제1도의 실시예에 따른 멈춤장치에 덧붙여서 제7도에서 제9도까지에서 처럼 멈춤장치(S)는 각 후크(9,10,11,12)의 아래에서 안팎으로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다.
이미 언급된 멈춤장치(S)는 안내공(30), 안내공(30)에 미끄러져 삽입된 멈춤기(31), 안내공(30)과 멈춤기(31) 사이에 끼여 후크방향으로 멈춤기를 물리기 위한 탄력요소로서의 코일스프링(32), 탄력요소에 대해 미리 정해진 위치에서 멈춤기(31)을 고정시키기 위한 안내공(30)의 위부분이나 면에 제공된 위치지정부재(33)로 구비되어 있다.
이 경우 멈춤기는 막대체(34), 막대체(34)의 위 끝에 형성된 곡선 표면(35), 막대체(34)의 뒤 끝에 있는 손잡이 부분과 막대체(34)의 위 표면에 형성된 두개의 홈(37,38)으로 구비되어 있다.
안내공(30)는 판 몸체 굽은 U자 단면의 튜브형 몸체에 의해 형성된다. 코일스프링은 안내공(30)에 있는 후크부분(30a)과 막대체(34)의 몸체 사이에 끼인다. 즉 코일스프링(32)은 튜브형 몸체의 끝에 후크부분(30a)에 연결된 한 다리와 막대체(34)의 위부분이나 면에 고정되어 딱 맞추어진 다른 다리를 가진다.
위치지정부재(33)은 안내공(30)로 쓰이는 튜브형 몸체의 위부푼 부분에 하나 끝이 연결된 스프링판(40), 스프링판(40)을 관통하고 안내공(30)의 위 부푼 부분에 아래 끝을 가진 핀(41), 핀(41)의 위 끝의 플랜지와 스프링판(40)의 위 표면 사이에서 스프링판(40)을 아래로 물리기 위해 끼인 코일스프링(44), 스프링판의 아래 표면에 있어 막대체(34)의 면에 파힘(37,38)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맞춰지도록 한 굽은 멈춤돌출부로 구비되어 있다.
잠금해제장치(Y)는 손잡이 부분(36)의 위 표면에서 위로 서 있는 지지대(50)와 스프링판(40)에서 위로 서 있고 지지대(50)를 지지하는 지렛대(51)로 구비되어 있다. 공구나 손가락이 지지대(50)와 지렛대(51) 사이에 구멍(20)으로부터 삽입된다. 스프링판(40)의 뒤 끝은 지지대(50)에 방해받지 않기 위해 축과 약간 빗겨서 후면으로 확장된다. 구멍(20)은 판몸체(6) 위 표면에 형성되어 잠금해제장치(Y)에 반대다.
후퇴된 상태에서, 멈춤장치(S)는 제9도의 점선에 표시된 위치에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멈춤 돌출부(42)는 앞쪽 홈(37)에 맞추어지고 멈춤기(31)를 구성하는 막대체(34)는 후퇴한 상태에 있고 크게 아래로 향해진 틈새는 멈춤기(31)의 끝과 후크(9,10,11,12) 사이에 형성된다. 이 상태에서, 비계판(A)는 후크(9,10,11,12)로 측면부재(2)와 맞물려 위치한다.
다음 제7도와 제9도에서 보여진 것처럼, 스크루 드라이버 같은 공구가 지지대(50)와 확장요소(51) 사이에 구멍(20)으로부터 삽입되어 지지대를 받침대로 지렛대(51)를 들어올린때 위치지정부재(33)를 구성하는 스프링판(40)은 코일스프링(41)에 대해 올리워진다. 멈춤돌출부(42)는 홈(37)으로 부터 벗어나 미끄러진다. 따라서 막대체(34)는 코일스프링(32)의 힘에 의해 막대체(34)의 끝의 곡선 표면이 측면부재(2)의 아래 표면에 접촉하도록 후크방향으로 나아간다. 측면부재(2)는 예를들어 후크(9)와 곡선표면(35)에 의해 고정된다. 비계판(A)는 흐르거나 미끄러지는 것이 방지된다. 이때 멈춤돌출부(42)는 뒤 파힘(38)에 위치잡기를 위해 맞추어진다.
한편 비계판(A)이 측면부재(2)에서 제거될 때 공구는 위에서 묘사했듯이 스프링판(40)을 들어올리기 위해 지지대(50)와 지렛대(51) 사이에 삽입된다. 그리고 나서 지지대(50)는 막대체(34)가 코일스프링(32)에 대해 뒤로 움직이고 멈춤돌출부(42)가 홈(38)에 반하는 위치로 움직이도록 지렛대(51)을 지지대로 하여 공구의 끝에 의해 뒤로 강제된다. 이 상태에서 스프링판(40)을 들어올리는 동작이 멈출 때 스프링판(40)은 코일스프링(44)에 의해 아래로 움직이고 멈춤돌출부(42)는 앞 홈(37)으로 다시 맞춰진다. 따라서, 멈춤기(31)로 쓰이는 막대체(34)는 후퇴 상태로 돌아와 후크(9)와 막대체(34) 사이에 큰 틈새가 생기도록 하여 측면부재(2)가 틈새를 통해 아래로 움직여 즉, 비계판이 상대적으로 들어올려져 제거된다.
이 경우 복수의 멈춤기(31)가 있다면 각 멈춤기(31)는 위치지정부재(33)에 의해 후퇴한 상태에서 고정된다. 그러므로 앞 상태에서 하나의 멈춤기(31)를 유지하는 동안 다음 멈춤기(31)을 풀어주는 것이 가능하다. 모든 동작은 단일 동작장치에 의해 행해진다.
또한 스프링판(40)은 지지대(50)으로부터 뒤로 확장된 판 부분을 가지기 때문에 동작이 비계판의 바닥에서 예를들어 비계작업대에서 처럼 이루어지는 경우 스프링판(40)은 제9도에서 처럼 손가락에 의해 들려지고 도구없이 손잡이 부분(36)을 뒤로 후퇴시키는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 또다른 실시예는 제10도에서 제12도까지에 설명되고 있다.
이 실시예는 제7도에서의 구조, 동작, 효과가 스프링판(40)이 수평이고 잠금해제장치 구조가 다르다는 것만 제외하고 같다. 그래서 같은 구조는 같은 참조번호로 표시되고 그 중 세부적인 것은 빠졌다.
즉, 제10도에서 제12도까지의 비계판(A)에서 멈춤기(31)는 막대체(34), 막대체(34)의 끝이 윗부분에 형성된 곡선표면(35), 막대체(34)의 후부의 손잡이 부분(36) 그리고 막대체(34)의 위 표면에 형성된 홈(18)로 구비되었다. 위치지정부재(33)는 안내공(30)의 윗부분에 연결된 한 끝을 가진 수평판, 스프링판(40)과 스프링판(40)의 아래 표면에 제공되어 홈(18)에 선택적으로 맞춰지도록 한 멈춤돌출부(42)로 구비되었다. 잠금해제장치(Y)는 안내공(30)에 회전하며 지지된 아암(arm)(60)과 스프링판(40)의 아래 표면 반대쪽에 수평으로 배열된 첫번째 핀(63)과 손잡이 부분(36)에 반대쪽에 수평으로 배열된 두번째 핀(64)가 아암(60)의 끝에 장착되어 아암(60)의 위로 회전시 첫번째 핀(63)이 스프링판(40)을 위로 올리도록 하고 두번째 핀(64)가 손잡이 부분(36)과 맞물려 막대체(34)를 후퇴하도록 한다.
아암(60)은 보강프레임(62)위에 서 있는 지지판(65)에 배치되어 샤프트(shaft)(66) 주위를 돌도록 하고 스프링판(40)과 평행하게 배열된다. 첫번째 두번째 핀(63,64)는 아암(60)에 제공되어 스프링판(40)과 손잡이 부분(36)의 방향에 연장된다. 손잡이 부분(36)은 U자 단면모양을 가지고 두번째 핀(64)가 손잡이 부분(36)에 삽입된다.
아암(60)은 구멍에 반대로 배열되고 위 표면의 함몰부(67)와 후부에 구멍(68)을 가진다.
제10도과 제11도는 멈춤장치(S)의 잠긴 상태를 보여주는데 그 경우 막대체(34)는 전진하여 멈춤돌출부(42)는 홈(38)로 맞추어진다.
이 상태에서 잠금이 잠금해제장치(Y)에 의해 풀어질 때 손가락이 구멍을 통해 함몰부를 아래로 누르도록 삽입되어져 아암의 후브는 화살표로 표시했듯이 샤프트(66)를 지렛대로 하여 위로 돌리워진다. 다음, 손을 구멍(opening)(68)에 삽입하여 90°되게 똑바로 세운다. 이때 첫번째 핀(63)은 스프링판(40)을 들어 멈춤돌출부(42)와 홈(38) 사이의 잠금을 풀도록 해준다. 또한 두번째 핀(64)은 손잡이 부분(36)의 뒤 끝과 맞물려 그것을 뒤로 끌어 당기고, 동시에 막대체(34)를 뒤로 끌어 당기도록 한다. 따라서 막대체(34)는 더 이상 측면부재에 방해받지 않으므로 또한 손이나 도구에 의해 아암(60)의 구멍(68)을 통해 들어올릴때 비계판(A)의 측면부재로 부터 제거된다.
한편, 비계판(A)가 측면부재(2)에 장착될 때 막대체(34)는 위와 같은 동작으로, 후크(9,10,11,12)가 측면부재와 맞물리도록 그리고 아암(60)의 들어올리는 힘이 멈추어지도록 하는 상태에서 끌어당겨진다. 그리고 나서 막대체(34)는 코일스프링(32)에 의해 측면부재(2)의 방향에 전진하고 아암(60) 또한 수평상태로 되돌아와 제10도의 상태 즉 잠긴상태가 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① 각 청구범위에서 주장하듯이 본 발명에 따르면 멈춤장치가 후크 아래 제공되기 때문에 이 멈춤장치가 비계판이 흐르는 것을 못하도록 측면부재를 고정시킨다. 이 경우 멈춤장치는 위치지정부재로 제공되기 때문에 비계판은 멈춤장치가 측면부재에 맞물려 있는 위치에 미끄러질 수 없는 위치에 위치해 있고 측면부재로부터 비계판을 장착하고 제거하는 동작이 향상되는 곳에서 미끄러질 수 있는 위치에 위치한다. 그러한 동작은 단일 동작장치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
또한, 앞 후크 뒤 노치가 같은 축에 제공되고 앞 노치와 뒤 후크도 그러하기 때문에 복수의 비계판이 횡으로 나열될 때 뒤 비계판의 후크는 앞 비계판의 노치와 잘 들어맞아 앞 뒤 비계판 연결시 틈새를 만들어내지 않도록 하여 나사나 공구 등의 낙하를 방지한다.
② 청구범위 2에서 주장하듯이 본 발명에 따라 난간은 떼어낼 수 있으며 판 몸체의 좌우 끝에 서 있기 때문에 핀 몸체와 난간 사이의 틈새가 없어 역시 나사, 볼트, 너트, 공구, 작은 작업재료 등의 낙하를 방지한다. 또한, 판 몸체가 예를들어 후크로 비계작업재의 측면부재에 장착될 때 난간은 역시 동시에 장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난간으로부터 판 몸체의 장착과 제거 동작은 실질적으로 향상된다. 또한 난간이 떼어낼 수 있도록 장착되었기 때문에 난간은 필요없을 때 그리고 차곡차곡 쌓아 이동할 때 보관할 때 분리될 수 있다.
③ 청구범위 7에서 주장하듯이 본 발명에 따라 판몸체는 잠금해제장치의 반대편에 구멍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도구나 손이 비계판 위의 구멍으로 삽입되어 비계판 사이에 틈새가 없는 지지 비계설비와 비계작업대를 조립 분해하는 동작이 비계판 위에서 행해져 작업능률이 향상되도록 한 잠금해제장치를 잠그거나 푸는 동작을 수행한다.
④ 또 청구범위 7에서 주장하듯이 본 발명에 따라, 멈춤장치와 잠금해제장치가 근처에 제공되기 때문에 판몸체는 멈춤장치에 의해 판 몸체의 미끄러짐을 막도록 측면부재에 고정되고 잠금해제장치로 잠금이 풀어질 때 판 몸체가 제거되어 부드러운 조립과 분해동작을 제공하게 된다.

Claims (9)

  1. 수평판몸체(horizontal plank body)와, 판몸체 양끝 앞뒤에 제공된 복수개의 후크(hook)와, 역시 비슷하게 판몸체 양끝 앞뒤에 제공된 복수개의 노치(notch)와, 안팎으로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도록 각 후크 아래 제공된 멈춤장치(stopper mechanism)와, 뒤 노치가 제공된 동일축 상에 제공된 앞 후크와, 앞 노치가 제공된 동일축상에 제공되는 뒤 후크로 이루어지는 비계설치작업대(framework scaffolding) 또는 지지비계설비(suspended scaffolding)를 구성하는 측면부재상에 후크를 통해 착탈가능하게 장착된 비계판(scaffolding plank).
  2. 제1항에 있어서, 난간이(base-board)판 몸체의 좌우 양 끝에 세워지고 상기 난간은 판몸체에 잠금장치로 착탈가능하게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판.
  3. 제1항에 있어서, 멈춤장치는 안내공(hollow guide)과 안내공 사이에 미끄러지며 삽입되는 멈춤기(stopper)와, 안내공과 멈춤기 사이에 위치하며 후크방향에서 멈춤기를 치우치게 하는 탄력부재(resilient member)와, 탄력부재에 대하여 기 지정된 위치에서 멈춤기를 고정시키기 위해 안내공의 윗부분이나 측면에 제공된 위치지정부재(locating member)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판.
  4. 제3항에 있어서, 멈춤기는 막대체(rod body)와 막대체의 위끝에 형성된 곡선표면과 막대체의 뒤 끝에 제공된 손잡이 부분과 막대체 위 표면에 형성된 두개의 홈(grooves)으로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판.
  5. 제3항에 있어서, 안내공은 튜브형 몸체(tubular body)이고 탄력부재는 하나 이상의 코일스프링이 튜브형 몸체의 끝과 막대체 사이에 놓여있고, 상기 코일스프링은 튜브형 몸체의 끝에 일단(one foot)이 연결되고 막대체의 윗부분이나 측면에 타단(other foot)이 고정되어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판.
  6. 제3항에 있어서, 위치지정부재는 안내공의 윗부분에 한끝이 연결된 스프링판과 스프링판을 통하고 안내공의 윗부분에 아래 끝이 연결된 핀과 상기 핀의 위 끝과 스프링판의 위 표면 사이에 스프링판을 아래로 치우치게 하기 위해 놓여 있는 코일스프링과 스프링판의 아래 표면에 제공되고 막대체 측면홈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맞춰지도록 한 멈춤돌출부(protrusion)로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판.
  7. 제3항에 있어서, 잠금해제장치(unlocking machanism)가 멈춤장치 옆에 제공되고 개구(opening)가 판 몸체 위표면에 형성되고 잠금해제장치 반대편에 제공되며, 그리고 잠금해제장치는 판 몸체 위에서 개구를 통해 삽입된 도구에 의해 동작되어 멈춤장치를 안팎으로 움직이기 위해 멈춤장치의 잠금을 풀어주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판.
  8. 제7항에 있어서, 멈춤기는 막대체, 막대체 위 끝에 형성된 곡선 표면, 막대체 뒤끝에 제공된 손잡이 부분(grip portion)과 막대체의 위 표면에 형성된 두 홈으로 구비되어 있고 위치 지정부재는 안내공의 위 끝에 연결된 한 끝을 가진 스프링판, 스프링판을 아래로 치우치게 하기 위한 스프링판과 안내공 사이에 위치한 스프링, 스프링판의 아래 표면에 제공되고 두 홈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맞추어지도록 한 멈춤돌출부로 구비되어 있고 잠금해제장치는 손잡이부분의 위 표면에 세워진 지지대와 상기 스프링판으로부터 세워지고 상기 지지대 반대편에 있는 지렛대로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판.
  9. 제7항에 있어서, 멈춤기는 막대체, 막대체 위 끝에 제공된 곡선 표면, 막대체의 뒤 끝에 제공된 손잡이 부분, 막대체의 위 표면에 형성된 홈으로 구비되어 있고 위치지정부재는 안내공의 위부분에 연결된 한 끝을 가진 스프링판, 스프링판을 아래로 치우치게 하기 위해 스프링판과 안내공 사이 놓인 스프링, 스프링판의 아래 표면에 제공되고 상기 홈에 선택적으로 맞춘 멈춤돌출부로 구비되어 있고 잠금해제장치는 안내공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아암(arm)과 아암에 장착된 두개의 첫째 둘째 핀으로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첫번째 핀은 스프링판의 아래표면 반대편에 수평으로 배열되었고, 상기 두번째 핀은 손잡이 부분의 반대편에 수평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여기서 아암이 개구를 통해 위로 회전할 때 첫번째 핀이 스프링판을 위로 들어올리고 두번째 핀이 손잡이와 맞물려 막대체를 뒤로 후퇴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판.
KR1019950060912A 1995-04-14 1995-12-28 비계판 KR01678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113963 1995-04-14
JP11396395A JP3846915B2 (ja) 1995-04-14 1995-04-14 足場板
JP95-181135 1995-06-23
JP7181135A JPH094216A (ja) 1995-06-23 1995-06-23 足場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8017A KR960038017A (ko) 1996-11-19
KR0167801B1 true KR0167801B1 (ko) 1999-02-18

Family

ID=26452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60912A KR0167801B1 (ko) 1995-04-14 1995-12-28 비계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704449A (ko)
EP (1) EP0737788A1 (ko)
KR (1) KR0167801B1 (ko)
CN (1) CN1133386A (ko)
CA (1) CA2162545A1 (ko)
TW (1) TW27708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87656A1 (ko) * 2020-03-20 2021-09-23 이세영 비계용 안전발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56311B1 (fr) * 1996-11-28 1999-01-15 Dimos Organe d'accrochage d'un dispositif de securite a un element fixe a une construction
DE19726792A1 (de) * 1997-06-24 1999-01-14 Plettac Ag Abhebesicherung für Gerüstböden
US6000495A (en) * 1998-01-22 1999-12-14 Bil-Jax, Inc. Scaffolding system
DE29922847U1 (de) * 1999-12-27 2000-03-23 Thyssen Huennebeck Gmbh Fassaden-Gerüst
KR100397522B1 (ko) * 2000-01-20 2003-09-13 이송귀 건축물 시공용 작업대
US7086500B2 (en) * 2003-10-31 2006-08-08 Wing Enterprises, Inc. Extensible, self locking platform and method of using same
CA2531430C (en) * 2005-12-23 2013-10-08 Etobicoke Ironworks Limited Scaffold deck and self-locking hook
EP1950360A1 (de) * 2007-01-23 2008-07-30 Wilhelm Layher Verwaltungs-GmbH Bordbrett für ein Gerüst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MX2009010414A (es) 2007-03-30 2010-03-25 Thyssenkrupp Safway Inc Ensamble para detener la caida de una plataforma de andamio montador.
EP2128356B1 (en) * 2008-05-29 2013-07-17 SGB North Europe B.V. Scaffold element
US9051746B2 (en) * 2009-03-06 2015-06-09 Athos Construction Products Inc. Integrated plank and toeboard system
EP2511444A1 (de) * 2011-04-14 2012-10-17 Hofin GmbH Plattenartiges Gehbelagelement für Gerüste
GB201118568D0 (en) * 2011-10-27 2011-12-07 Web Rigging Services Ltd Deck panel, load platform and tensioner
NL2008120C2 (nl) * 2012-01-13 2013-07-16 Xsplatforms B V Steiger.
CN102677888A (zh) * 2012-05-28 2012-09-19 开平市优赢金属制品有限公司 脚手架用的楔体装置
US10995503B2 (en) * 2016-10-26 2021-05-04 Yates Westley Hayman Lockable scaffold toeboard system using sleeves
CN106869483B (zh) * 2016-12-15 2020-09-15 浙江二十冶建设有限公司 组合式脚手板及其安装方法
US10801219B2 (en) * 2017-06-19 2020-10-13 Werner Co. Work scaffold and method
CN113498402B (zh) * 2018-12-17 2023-05-02 特雷克斯南达科他州有限公司 用于车辆高空作业平台的通道甲板组件和把手组件
CN110512849A (zh) * 2019-07-29 2019-11-29 南昌大学 一种便于安装脚手板的脚手架及设置方法
CN111622480A (zh) * 2020-05-31 2020-09-04 邹龙龙 一种电力工程用具有防滑结构的脚手架定位装置
CN112942791A (zh) * 2021-04-13 2021-06-11 北京天润建设有限公司 一种小空间升降脚手架及施工方法
NL2029598B1 (nl) 2021-11-02 2023-06-01 Scafom Holding B V Borgingssamenstel voor een steigervloerdeel, steigervloerdeel omvattende het borgingssamenstel, en werkwijz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19016A (en) * 1931-03-21 1933-07-18 American Safety Device Co Scaffolding
FR1350899A (fr) * 1963-01-03 1964-01-31 British Petroleum Co Plate-forme utilisable notamment dans les raffineries de pétrole, servant de travée entre deux éléments espacés sensiblement parallèles et barre de sécurité pouvant être combinée avec elle
US3509966A (en) * 1968-03-14 1970-05-05 Automatic Sprinkler Corp Scaffold structure
GB1352697A (en) * 1970-03-19 1974-05-08 Colt International Overhead walkway or like structures
US3782499A (en) * 1972-12-07 1974-01-01 Up Right Inc Toe board assembly for scaffold platforms
GB2056545B (en) * 1979-08-11 1983-02-23 Access Plant Coupling device
IT8022130V0 (it) * 1980-06-26 1980-06-26 F A P Fabbrica Attrezzature Pe Perfezionamento nelle tavole perponeteggi tubolari metallici.
FR2501267A1 (fr) * 1981-03-03 1982-09-10 Entrepose Plancher d'echafaudage
FR2527251A1 (fr) * 1982-05-18 1983-11-25 Self Lock Echafaudages Element de construction comportant une armature realisee au moyen de longerons et traverses, en particulier pour planchers d'echafaudage
GB2133453B (en) * 1983-01-15 1986-03-19 Thomas Ltd Martin Scaffolding connection
US4534447A (en) * 1984-04-03 1985-08-13 Lucien Champigny Foldable ladder scaffold
BE902861A (fr) * 1985-07-11 1986-01-13 Utema Travhydro S A En Abrege Passerelle metallique notamment pour echafaudage
JP2790149B2 (ja) * 1990-09-20 1998-08-27 富士通株式会社 ピングリッドアレイのピン修正装置
JPH04129256U (ja) 1991-05-15 1992-11-25 大成建設株式会社 布わく足場板等のロツク金具付フツク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87656A1 (ko) * 2020-03-20 2021-09-23 이세영 비계용 안전발판
KR20210117824A (ko) * 2020-03-20 2021-09-29 이세영 비계용 안전발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8017A (ko) 1996-11-19
EP0737788A1 (en) 1996-10-16
CA2162545A1 (en) 1996-10-15
CN1133386A (zh) 1996-10-16
TW277087B (en) 1996-06-01
US5704449A (en) 1998-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67801B1 (ko) 비계판
US8245816B2 (en) Integral safety system which can be used for construction
KR20230118629A (ko) 레일-안내식 상승 시스템용 상승 부트
KR20220014561A (ko) 엘리베이터 설치 및 유지보수용 작업대
US5829550A (en) Scaffolding system
KR20090047104A (ko) 가설대 승강장치
JP3957484B2 (ja) 先行手摺の支持装置
JP4683595B2 (ja) 枠組み足場における手摺の取付方法
CA3069850A1 (en) Improved latchable scaffold planks
US20050061582A1 (en) Movable and repositionable safety guard rails for scaffolding
JPH094216A (ja) 足場板
AU2019100299A4 (en) Improvements Relating to Scaffold Systems
JP7441712B2 (ja) 足場における楔緊結装置
JP2003097055A (ja) 先行手摺枠
JP6207781B1 (ja) 仮設足場用安全具
WO2005007551A1 (ja) エレベータの作業足場装置
JP3982807B2 (ja) 階段
JP3347283B2 (ja) 斜行移動搬送装置用組立足場装置
JP3045993U (ja) 作業用ゴンドラ装置
JP4045201B2 (ja) 枠組足場用手摺枠
JP2010126874A (ja) 仮設足場用階段枠
US3970287A (en) Guide block for a cable
JPH0247139Y2 (ko)
CN214034450U (zh) 一种底脚带平衡杆的阁楼梯
KR200213318Y1 (ko) 엘리베이터 승강홀 작업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