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8629A - 레일-안내식 상승 시스템용 상승 부트 - Google Patents
레일-안내식 상승 시스템용 상승 부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118629A KR20230118629A KR1020237023089A KR20237023089A KR20230118629A KR 20230118629 A KR20230118629 A KR 20230118629A KR 1020237023089 A KR1020237023089 A KR 1020237023089A KR 20237023089 A KR20237023089 A KR 20237023089A KR 20230118629 A KR20230118629 A KR 2023011862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fting
- rail
- boot
- latching
- elements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14759 maintenance of loc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9194 climb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1419 dependent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10000000078 claw Anatomy 0.000 description 8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717 retain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6961 part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441 reversi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049 Carbon (fi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17 carbon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3011 ma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VNWKTOKETHGBQD-UHFFFAOYSA-N methane Chemical compound C VNWKTOKETHGBQ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829 re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89 suppl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16—Members, e.g. consoles, for attachment to the wall to support girders, beams, or the like carrying forms or moulds for floors, lintels, or transom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20—Movable forms; Movable forms for moulding cylindrical, conical or hyperbolical structures; Templates serving as forms for positioning blocks or the like
- E04G11/28—Climbing forms, i.e. forms which are not in contact with the poured concrete during lifting from layer to layer and which are anchored in the hardened concret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 E04G21/3247—Storey high safety barrier hung from the facade and sliding up from level to level as work progress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04G2003/286—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mobile vertic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 Slide Fasteners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상승 거푸집, 상승 프레임, 보호 상승 벽 및/또는 상승 작업 플랫폼으로서 사용될 수 있는 레일-안내식 상승 시스템용 상승 부트에 관한 것이다. 상승 부트(1)는 제1 및 제2 레일 안내 요소(3a, 3b)들을 갖는 주 부트 몸체(2)로서, 적어도 제1 레일 안내 요소(3a), 특히 제1 및 제2 레일 안내 요소(3a, 3b)들은, 피벗되고/되거나 연장된 안내 상태에서 제1 레일 안내 요소(3a)와 제2 레일 안내 요소(3b) 사이에 활주가능하게 배열된 상승 레일(9)이 레일 안내 요소(3a, 3b)들에 의해 둘러싸인 상승 레일(9)의 부분들에 의해 레일 안내 요소(3a, 3b)들에 의해 안내되는 방식으로 피벗가능하고/하거나 연장가능하도록 주 부트 몸체(2) 상에 배열되는, 상기 주 부트 몸체를 포함한다. 상승 부트(1)는 또한 주 부트 몸체(2) 상에 배열되는 수용 요소(5)로서, 수용 요소는 건물의 콘크리트 타설 세그먼트 상에 고정 방식으로 배열된 브래킷 요소(8a, 8b) 내에서 상승 부트(1)가 현수될 수 있는 방식으로 브래킷 요소(8a, 8b)의 제1 부분과 상호작용하도록 설계된, 상기 수용 요소; 및 손잡이(7)가 제공된 활주 요소(6)로서, 활주 요소는, 활주 요소가 주 부트 몸체(2) 및 제1 레일 안내 요소(3a)에 기계적으로 결합되고, 제1 레일 안내 요소(3a)가 안내 상태에 있을 때 분리 방향(Z)으로의 주 부트 몸체(2)에 대한 활주 요소(6)의 활주(VO) - 이 활주는 손잡이(7)의 작동에 의해 야기됨 - 가 상승 부트(1)를 상승 레일(9)에 의해 안내되는 것으로부터 해제하기 위하여 제1 레일 안내 요소(3a)가 피벗되지 않고/않거나 후퇴된 초기 상태로 설정되게 하는 방식으로 설계된, 상기 활주 요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이 상승 부트(1)를 포함하는 레일-안내식 상승 시스템, 및 건물의 콘크리트 타설 세그먼트 상에 위치된 이 상승 부트(1)를 해제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제1 및 제2 레일 안내 요소들을 갖는 주 부트 몸체(main boot body)를 포함하는 레일-안내식 상승 시스템(rail-guided climbing system)용 상승 부트(climbing boot)에 관한 것으로, 여기서 적어도 제1 레일 안내 요소, 특히 제1 및 제2 레일 안내 요소들은, 피벗되고/되거나 연장된 안내 상태에서, 제1 레일 안내 요소와 제2 레일 안내 요소 사이에 활주가능하게 배열된 상승 레일이 레일 안내 요소들에 의해 둘러싸인 상승 레일의 부분들에 의하여 레일 안내 요소들에 의해 안내되는 방식으로 피벗가능하고/하거나 연장가능하도록 주 부트 몸체 상에 배열된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상승 부트를 포함하는 레일-안내식 상승 시스템, 및 건물의 콘크리트 타설 세그먼트(concreting segment)에 결합된 이러한 상승 부트를 분리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높은 건물의 건설에 자동 상승 거푸집(self-climbing formwork)이 사용되는 것이 잘 알려져 있는데, 여기서 예를 들어 건설 현장에서 콘크리트 벽의 생성을 위한 거푸집, 즉 주형은 성형된 벽 상에서 상승 방향 - 벽의 경우에 위로 향함 - 으로 이동되는데, 즉 상승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레일이 벽에 부착되고, 레일 상에서 거푸집이 위로 이동될 수 있다. 레일은 상승 부트에 의해 벽에 체결된다. 이어서, 레일은, 유압 유닛과 같은 인상(lifting) 장치를 사용하여, 다른 층이 타설되게 하도록 이들 상승 부트에 의해 밀어올려질 수 있다. 상승 부트들 자체는 브래킷을 통해 벽에 각각 체결된다.
예를 들어, 페리(PERI)로부터의 레일 상승 시스템(Rail Climbing System, RCS)은, 건립되는 건물의 이미 완성된 부분과 상승 기술 사이의 연결 요소로서 역할하고, 거푸집 및/또는 보호 하우징이 체결되는 수직 활주가능 레일을 안내하는 상승 부트를 사용한다.
상승 작동 시, 예를 들어 레일을 위로 이동시키기 위해 인상 장치가 이들 상승 부트 상에서 지지된다는 점에서, 상승 레일을 운반 및/또는 안내하고 상승 메커니즘을 지지하기 위해 서로 위 아래로 배열된 복수의 상승 부트가 일반적으로 요구된다. 높은 건물을 콘크리트 타설하기 위해, 자동 상승 기술이 전체 건물 높이를 오를 수 있도록 서로 위 아래로 배열된 다수의 상승 부트가 요구될 것이다. 그러나, 이는 비효율적이고 비용이 많이 드는데, 이는 더 이상 요구되지 않는 상승 부트, 예를 들어 상승 시스템이 이미 "타고 넘은(overclimbed)" 것이 재사용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는 요구되는 상승 부트의 총 개수를 감소시킨다.
RCS 시스템에 사용되는 상승 부트는 독일 특허 제10-2005-030 333 B4호에 기술되어 있다. 이는 본질적으로 2개의 부품, 벽/천장 부트 및 활주 부트로 이루어진다. 벽 부트는 벽에 부착되거나 천장 부트는 예를 들어 콘크리트 타설된 천장에 부착된다. 벽/천장 부트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활주 부트는 상승 레일에 연결되는데, 즉 이는 상승 레일을 위한 안내체로서, 인상 장치를 위한 지지체로서, 그리고 상승 레일을 위한 유지 지점으로서 역할한다. 벽/천장 부트는 제거되어 재사용을 위해 더 높은 위치에 재설치된다. 벽/천장 부트로부터 활주 부트를 해제하고 이를 새로운 배치 위치에 재부착하기 위해, 하기 단계들이 수행되어야 한다(단계 1 내지 단계 6: 상승 부트를 해제하고 운반하는 단계, 단계 7 내지 단계 10: 상승 부트를 체결하는 단계):
1. 상승 부트(10)는 "펼쳐져야" 하는데, 즉 2개의 클로(claw)(50)가 절첩가능하도록 설계된 경우에, 상승 레일(20)을 둘러싸는 둘 모두의 클로(50)는 개방되어야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2개의 플러그-인 핀(plug-in pin)(56)이 당겨져야 하고 이어서 활주 부트(16) 내로 재삽입되어야 한다;
2. 체결 볼트(34) 상의 코터 핀(cotter pin)을 느슨하게 하는 단계;
3) 체결 볼트(34)를 당기는 단계, 여기서 상승 부트는 선택적으로 제2의 사람에 의해 유지되어야 한다;
4) 이어서 상승 부트(10)는 벽(14)과 상승 레일(20) 사이에서 인상될 수 있다;
5) 벽/천장 부트(18)를 분해하는 단계;
6) 둘 모두의 부품, 즉 벽/천장 부트(18) 및 활주 부트(16)는 최종적으로 새로운 상승 영역, 즉 상승 부트가 사용되어야 하는 상승 방향으로의 영역까지 위로 운반되어야 한다;
7) 이러한 목적을 위해 지정된 새로운 상승 영역 내의 앵커(anchor) 지점에 벽/천장 부트(18)를 장착하는 단계;
8) 클로(50)가 개방되어진 개방된 활주 부트(16)는, 체결 볼트(34)가 활주 부트(16)를 벽/천장 부트(18)에 재연결하는 방식으로, 벽/천장 부트(18)와 관련하여 위치되고 유지되어야 한다;
9) 코터 핀을 체결 볼트(34)에 고정하는 단계; 및
10) 활주 부트(16)는 상승 레일(20)을 위한 안내체를 생성하도록 "절첩 폐쇄"되어야 하는데, 즉, 여전히 개방되어 있는 2개의 클로(50)가 폐쇄되어야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2개의 플러그-인 핀(56)이 당겨져야 하고, 클로(50)가 폐쇄되어야 하며, 플러그-인 핀(56)이 다시 삽입되어야 한다.
다른 문헌 유럽 특허 출원 공개 제3 241 959 A1호에 따르면, 상승 부트의 2개의 클로(11)의 각각에 리세스(recess)(16)가 존재하는 활주 부트가 개시되어 있다(이 문헌의 도 7 참조). 리세스(16)들과 수동으로 맞물림으로써, 클로(11)들이 개별적으로 "후방으로" 당겨질 수 있으며, 따라서 상승 부트가 개방될 수 있다. 해제, 운반 및 체결을 위한 작업 단계들은 실질적으로 유럽 특허 제3 241 959 B1호에서 필요한 것들에 대응한다.
공지된 상승 부트는 벽 또는 천장으로부터 해제되고 이에 체결될 때 하기의 단점들을 갖는다:
- 복수의 손잡이가 필요하여, 손잡이들의 설계에서 불량한 인체공학 및 높은 오류 민감성을 초래한다;
- 복수의 연결 요소, 예를 들어 벽/천장 부트들 및 활주 부트들이 요구되는데, 즉 이들 연결 요소들의 분실 위험;
- 복수의 단계가 동시에 수행되어야 하는데, 예를 들어 상승 부트는 구멍 위치에서 유지되어야 하며, 여기서 상승 부트는 강도의 이유로 그의 하중과 관련하여 무겁도록 설계되어야 하고, 체결 볼트 - 이 체결 볼트는 다른 손 내에 유지됨 - 를 구멍 위치의 구멍 내로 삽입하기 위해 단지 잠시만 작업자에 의해 한 손으로 유지될 수 있으며, 이는 인체공학적으로 불리하고 오류가 발생하기 쉽다; 및
- 예를 들어 상승 부트가 양손으로만 유지될 수 있고 체결 볼트가 다른 작업자에 의해 구멍 위치의 구멍 내로 삽입되어야 하는 경우, 상승 부트를 해제하고 재체결하기 위해 심지어 2명의 사람이 선택적으로 요구된다.
대조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건물의 콘크리트 타설 세그먼트의 벽 또는 천장으로부터 쉽게 그리고 큰 육체적 노력 없이 분리될 수 있고 상승 시스템의 상승 레일에 의해 안내되는 것으로부터 해제될 수 있는 레일-안내식 상승 시스템을 위한 소형이고 휴대용인 상승 부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상승 부트는 레일-안내식 상승 시스템이 콘크리트 타설 세그먼트의 벽 또는 천장으로부터 신속하고 인체공학적으로 분리되게 하고, 상승 부트의 부품들을 분실할 가능성 없이 상승 레일에 의해 안내되는 것으로부터 해제되게 하도록 의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상승 부트에 의하면, 상승 부트를 벽 또는 천장으로부터 분리하고 상승 부트를 상승 레일에 의해 안내되는 것으로부터 해제할 때의 종래 기술의 단점들이 회피되거나 적어도 감소될 것이며, 이는 상승 부트를 벽 또는 천장으로부터 그리고 상승 레일에 의해 안내되는 것으로부터 해제할 때의 오류를 회피하고 작업 안전성을 증가시킨다.
이러한 문제는 청구항 1의 특징들을 갖는 상승 부트, 및 청구항 13의 특징들을 갖는 건물의 콘크리트 타설 세그먼트에 체결된 상승 부트를 분리하기 위한 방법에 의해 해결된다. 종속 청구항은 편리한 개량물을 개시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목적은, 특히 상승 거푸집, 상승 프레임, 보호 상승 벽 및/또는 상승 작업 플랫폼으로서 사용될 수 있는 레일-안내식 상승 시스템용 상승 부트에 의해 달성된다. 상승 부트는 제1 및 제2 레일 안내 요소들을 갖는 주 부트 몸체를 포함하는데, 여기서 적어도 제1 레일 안내 요소, 특히 제1 및 제2 레일 안내 요소들은, 피벗되고/되거나 연장된 안내 상태에서, 즉 "폐쇄" 위치에서, 제1 레일 안내 요소와 제2 레일 안내 요소 사이에 활주가능하게 배열된 상승 레일이 레일 안내 요소들에 의해 둘러싸인 상승 레일의 부분들에 의해 레일 안내 요소들에 의해 안내되는 방식으로 피벗가능하고/하거나 연장가능하도록 주 부트 몸체 상에 배열된다. 상승 부트는 주 부트 몸체 상에 배열되는 수용 요소로서, 수용 요소는, 건물의 콘크리트 타설 세그먼트 상에 고정 방식으로 배열된 브래킷 요소의 제1 부분에 수용 요소가 부착된 때, 상승 부트의 하중이 브래킷 요소 내로 도입될 수 있는 방식으로, 브래킷 요소의 제1 부분과 상호작용하도록 설계된, 상기 수용 요소를 더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상승 부트는 손잡이가 제공된 활주 요소로서, 활주 요소는, 활주 요소가 주 부트 몸체 및 제1 레일 안내 요소에 기계적으로 결합되고, 제1 레일 안내 요소가 안내 상태에 있을 때 분리 방향으로의 주 부트 몸체에 대한 활주 요소의 활주 - 이 활주는 손잡이의 작동에 의해 야기됨 - 가 상승 부트를 상승 레일에 의해 안내되는 것으로부터 해제하기 위하여 제1 레일 안내 요소가 피벗되지 않고/않거나 후퇴된 초기 상태로 설정되게 하는, 즉 "개방" 위치로 설정되게 하는 방식으로 설계된, 상기 활주 요소를 포함한다.
주 부트 몸체 및 활주 요소 각각은 프레임으로서 설계될 수 있는데, 여기서 이들은 리세스를 갖거나 갖지 않는 평탄 몸체로서 형성될 수 있다. 주 부트 몸체 및 활주 요소는 서로 분리가능하게, 즉 가역적으로, 또는 비가역적으로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부품/구성요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주 부트 몸체 및 활주 요소의 부품들 또는 구성요소들 각각은 주 부트 몸체의 중량 및 이에 따라 상승 부트의 중량을 낮게 유지하기 위해 상이한 재료들, 예를 들어 강, 알루미늄 또는 탄소 섬유 복합재 재료들,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점은, 손잡이가 제공된 활주 요소가 주 부트 몸체 및 제1 레일 안내 요소에만 기계적으로 결합될 때 이미 얻어진다. 그러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주 부트 몸체에 더하여, 활주 요소는 제1 레일 안내 요소 및 또한 브래킷 요소 상에 상승 부트를 로킹하도록 역할하는 로킹 요소 둘 모두에 기계적으로 결합된다. 하기에서, 결합은 힘의 도입 또는 제거를 위해 하나의 요소가 다른 요소와 접촉하는 것으로서 이미 이해된다. 체결은 2개의 요소들 사이의 연결, 예를 들어 나사 또는 용접 연결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는데, 여기서 요소들은 형태-맞춤 및/또는 강제-맞춤 방식으로 서로에 고정적으로 연결되는데, 즉 서로에 대해 변위가능하지 않다.
주 부트 몸체 상에서, 제1 및/또는 제2 레일 안내 요소들은, 예를 들어 원통형 볼트와 같은 액슬(axle) 요소 및/또는 활주 요소의 형태로, 기계적 결합 부재들에 의해 피벗가능하고/하거나 연장가능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주 부트 몸체 상의 적어도 하나의 레일 안내 요소의 피벗가능하고 연장가능한 배열의 조합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레일 안내 요소들 둘 모두는 피벗가능하도록 주 부트 몸체에 부착되고, 피벗-인(pivoted-in) 초기 상태로부터 피벗함으로써 피벗-아웃(pivoted-out) 안내 상태로, 그리고 그 역으로도 변환될 수 있다.
주 부트 몸체 상에 배열된 수용 요소는, 예를 들어 나사 또는 볼트의 형태의, 기계적 결합 부재들에 의해 또는 주 부트 몸체와 일편으로 주 부트 몸체 상에 배열된다. 상승 방향의 반대로 개방된 후크(hook) 형태의 수용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상승 부트가 수직 상승 방향으로 그의 길이방향 축과 정렬될 때, 주 부트 몸체의 외측 부분 상에, 예를 들어 주 부트 몸체의 하부 부분 상에 배열된다. 이 경우에, 활주 요소의 손잡이는 바람직하게는 활주 요소의 상부 부분에 배열된다. 상승 부트에 인가되는 하중 - 이 하중은 상승 부트의 자중에 의해 형성됨 수 있음 - 또는 상승 부트에 인가되는 상승 시스템 또는 그의 부품의 하중이 브래킷 요소의 제1 부분 내로 도입되게 한다면, 수용 요소를 제1 부분에 적용하는 것에 의해 임의의 형상의 기계적 결합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중력 방향으로의 수용 요소의 이동을 피하기 위해, 수용 요소를 브래킷 요소의 제1 부분 상에 배치하는 것이 충분할 수 있다. 수용 요소와 브래킷 요소 사이의 기계적 결합은 이들 요소를 서로 분리함으로써 제거될 수 있다. 수용 요소는 피벗가능하도록 주 부트 몸체에 부착될 수 있고, 피벗-인 초기 상태로부터 피벗하는 것에 의해 피벗-아웃 수용 상태로, 그리고 그 역으로도 변환될 수 있는데, 여기서 브래킷 요소 상에서의 수용 요소의 로킹 기능은 필요하지 않다. 수용 요소는 로킹 요소가 로킹 상태에 있을 때 상승 부트를 브래킷 요소 상에 로킹하도록 주 부트 몸체의 로킹 요소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 상승 부트가 수직 상승 방향으로 그의 길이방향 축과 정렬될 때, 수용 요소는, 상승 부트가 위로부터, 즉 상승 방향에 반대인 방향으로, 브래킷 요소 상에 배치되거나 브래킷 요소 내에서 현수될 때, 브래킷 요소의 일부분으로서의 예를 들어 원통형 볼트 형태의 브래킷 지지 요소를 수용하기 위하여 상승 방향의 반대인 아래로 개방된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정렬되고 원통형인 리세스를 가질 수 있다. 브래킷 요소는 상승 부트를 현수시키기 위한 현수 요소로서, 예를 들어 후크-인 링(hook-in ring)으로서 설계될 수 있는데, 여기서 수용 요소가 브래킷 요소의 제1 부분에 부착될 때 상승 부트의 하중이 브래킷 요소 내로 도입될 수 있는 방식으로 수용 요소와 상호작용하는 브래킷 요소의 제1 부분의 모든 실시예들이 구성된다.
활주 요소 및 주 부트 몸체는 분리 방향으로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활주가능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손잡이는 바람직하게는 활주 요소의 외측 부분에 배열되고, 예를 들어 나사 또는 래칭/스냅(latching/snap) 연결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또는 예를 들어 일체형 형성의 경우에 비가역적으로 활주 요소에 연결된다.
활주 요소는, 예를 들어 원통형 볼트와 같은 액슬 요소 및/또는 예를 들어 슬라이드 형태의 활주 요소의 형태의 기계적 결합 부재들에 의해 주 부트 몸체, 제1 레일 안내 요소 및 로킹 요소에 결합될 수 있고, 활주 요소는 피벗가능하고/하거나 연장가능하도록 주 부트 몸체 내의 리세스들, 또는 활주 요소 자체, 및/또는 예를 들어 로드 형태의 레버 요소 및/또는 동반 요소에 걸쳐 안내될 수 있다. 제1 및/또는 제2 레일 안내 요소와 로킹 요소의 피벗가능하고 연장가능한 배열의 조합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승 부트가 브래킷 요소에 결합되고 수직 상승 방향으로 그의 길이방향 축을 가지고서 배향될 때, 활주 요소는 실질적으로 수직이고 주 부트 몸체에 평행하도록 배열될 수 있고, 래칭 러그(lug) 형태의 로킹 요소를 피벗-인 및 피벗-아웃하기 위한 볼트로서 설계된 액슬 요소의 단부들에 2개의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향된 로드들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 활주 요소는, 손잡이가 수직 상승 방향으로 위로 작동될 때 로킹 요소와 제1 및 제2 레일 안내 요소들 둘 모두가 초기 상태로 설정되고 이에 따라 상승 부트가 브래킷 요소로부터 분리되고 상승 레일에 의해 안내되는 것으로부터 해제되는 방식으로, 아암(arm)들로서 설계된 2개의 동반 요소들에 의해 수직으로 피벗가능한 제1 및 제2 레일 안내 요소들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활주 요소는 슬라이드로도 지칭되는 파이프 나사 윤곽부에 의해 주 부트 몸체, 제1 레일 안내 요소 및 선택적으로 제2 레일 안내 요소 및 로킹 요소에 기계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손잡이는 레일에 연결되거나 레일에 통합되는데, 여기서 상승 부트의 장착 상태에서, 레일은 상승 방향으로 그리고 상승 방향에 반대로, 예를 들어 수직으로, 주 부트 몸체에 대해 오직 활주/이동될 수 있다. 레일은 활주 요소의 일부로서 설계될 수 있다. 손잡이가 상승 방향으로 이동될 때, 레일은 상승 방향으로, 예를 들어 수직으로 위로 이동하며; 손잡이가 상승 방향의 반대로 이동될 때, 레일은 상승 방향의 반대로, 예를 들어 수직으로 아래로 이동한다. 레일에 평행하게, 상승 방향으로의 레일의 일 단부, 예를 들어 레일의 상부 단부에서의 레일과 같은, 길이방향으로 레일의 길이보다 그 길이가 더 짧은 추가 레일 부분은 레일에 연결되거나 레일 내로 통합되며, 따라서 폐쇄된 상승 부트의 경우에, 레일 안내 요소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레일 부분의 자유 단부가 주 부트 몸체의 제1 리세스 및 제1 또는 제2 레일 안내 요소의 제1 리세스 둘 모두에 맞물릴 수 있는 방식으로 손잡이에 연결될 수 있다. 레일 부분의 자유 단부처럼 주 부트 몸체의 제2 리세스에 그리고 또한 제1 또는 제2 레일 안내 요소의 제2 리세스에 맞물릴 수 있는 레일의 다른 단부, 예를 들어 하부 단부는 또한 레일 안내 요소의 위치를 고정시키도록 역할할 수 있다.
로드-형상의 요소, 예를 들어 볼트가 레일의 길이방향 축에 직각으로 레일에 고정될 수 있거나, 레일 내에 통합될 수 있으며, 이 로드-형상의 요소는 손잡이가 상승 방향으로 또는 상승 방향에 반대로, 예를 들어 수직으로 위로 그리고 아래로, 이동할 때 레일과 함께 이동한다. 로드-형상의 요소는 로드-형상의 안내 요소, 예를 들어 레일에 평행하게 배열된 추가 레일 또는 원통 또는 액슬 요소에 의해 안내될 수 있다. 제1 레일 안내 요소 또는 제1 및 제2 레일 안내 요소들은 일정 폭을 갖는 제3 만곡형 리세스를 가지며, 이 폭은 로드-형상의 요소의 자유 단부 및/또는 일부분이 리세스에 맞물리게 하거나 리세스를 안내하게 하는데, 즉 리세스 내에서 움직이게 한다. 만곡형 리세스는 리세스 내에서 움직이는 로드-형상의 요소가 손잡이의 작동에 의해 주 부트 몸체에 대해 상승 방향으로 또는 그의 반대로 변위될 때 레일 안내 요소를 회전시키기 위해 나선형 또는 나삿니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상승 부트가 폐쇄될 때에 상승 부트를 로킹해제하기 위한 손잡이가 상승 방향으로, 예를 들어 위로 작동되는/당겨지는 경우, 레일은 주 부트 몸체가 정지하여 있을 때 상승 방향으로, 즉 예를 들어 수직으로 위로 로드-형상의 요소와 함께 이동한다. 레일 및 로드-형상의 요소가 오직 상승 방향으로, 예를 들어 수직으로 위로 변위될 수 있기 때문에, 로드-형상의 요소는, 만곡형 리세스로 인해, 로드-형상의 요소가 이동할 수 있는 상승 방향으로의 로드-형상의 요소의 변위에 걸쳐 로드-형상의 요소의 위치에 리세스의 가상 직선이 형성되는 정도로 레일 안내 요소가 또한 회전하는 방식으로, 로드-형상의 요소의 변위 동안 레일 안내 요소를 안내한다.
제1 및/또는 제2 레일 안내 요소 각각은, 예를 들어 주 부트 몸체에 대한 손잡이의 변위 경로의 길이에 걸쳐, 제3 만곡형 리세스가 도입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통형인 중공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레일은, 손잡이의 변위 동안 제1 및/또는 제2 레일 안내 요소를 주 부트 몸체에 대해 회전되는 방식으로 안내하기 위하여 로드-형상의 요소가 그의 변위 경로 동안 리세스에 맞물릴 수 있는 방식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통형인 중공 몸체에서 안내될 수 있다. 상승 부트를 폐쇄하기 위하여 제1 및/또는 제2 레일 안내 요소가 주 부트 몸체에 대해 회전되어야 하는 경우, 손잡이는 상승 부트가 개방될 때와 동일한 방식으로 상승 방향의 반대로 주 부트 몸체에 대해 변위되어, 레일 및 로드-형상의 요소가 오직 상승 방향의 반대로, 예를 들어 수직으로 아래로 변위될 수 있기 때문에, 로드-형상의 요소는 상승 부트를 폐쇄하기 위하여 각자의 레일 안내 요소가 만곡형 리세스에 의해 회전되는 방식으로 로드-형상의 요소의 변위 동안 각자의 레일 안내 요소를 안내한다.
따라서, 건설 공학 분야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상승 부트는 활주 요소 상에 손잡이를 가지며, 손잡이의 작동에 의해 상승 부트는 활주 요소가 주 부트 몸체에 대해 분리 방향으로 활주될 때 브래킷 요소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고 상승 레일에 의해 안내되는 것으로부터 쉽게 해제될 수 있으며, 이 활주는 손잡이의 작동에 의해 야기된다. 바람직하게는, 상승 부트는 활주 요소가 분리 방향의 반대로 주 부트 몸체에 대해 결합 방향으로 활주할 때 손잡이에서 브래킷 요소에 재결합될 수 있으며, 이 활주는 손잡이의 작동에 의해 야기된다. 예를 들어 당김 이동, 즉 "당김"에 의해, 손잡이를 작동시킴으로써, 안내를 위해 상승 레일 둘레에서 맞물린 레일 안내 요소들은 개방된다. 선택적으로, 손잡이를 작동시키는 것은 또한, 상승 부트가 브래킷 요소 상에 로킹되게 하는 로킹 요소, 및/또는 상승 레일이 개방 전에 내부에 현수되는 폴(pawl) 형태의 래칭/스냅 요소를 개방한다. 이는 상승 부트가 브래킷으로부터 신속하고 쉽게 분리/해제되게 하고, 후속적으로 한 손만으로 제거되게 한다. 상승 부트의 활주 요소 상에서의 작동된 손잡이에 의해 상승 부트 내에서 복수의 기능들이 수행된다. 이는 벽 또는 천장의 브래킷 요소와 상승 레일 사이에서 상승 부트를 쉽게 분리/해제하고 제거, 즉 제거 또는 체결하기 위해 필요하다. 손잡이를 작동시킬 때, 예를 들어 "당길" 때, 레일 안내 요소들은 로킹해제되고 개방되며, 수용 요소는 브래킷 요소로부터 분리되고, 기존의 로킹 요소 및/또는 래칭/스냅 요소는 각각의 경우에 초기 상태로 설정되는데, 즉 개방 또는 로킹해제된다. 이제, 상승 부트를 해제하고 제거하는 것, 즉 상승 레일과 건물 사이의 상승 부트를 제거하는 것이 쉽다.
상승 부트가 후속적으로 건설될 건물의 상이한 위치에서 재부착되는 경우에, 레일 안내 요소들 및 선택적인 로킹 요소 및/또는 선택적인 래칭/스냅 요소는 결합 방향으로의 손잡이의 추가 작동에 의해, 예를 들어 아래로의 당김 이동 또는 밀기 이동, 즉 역순으로의 "밀기"에 의해, 폐쇄되어 상승 레일을 현수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상승 부트는 한 손만으로 쉽게 그리고 큰 육체적 노력 없이 벽 또는 천장으로부터 그리고 상승 시스템의 상승 레일에 의해 안내되는 것으로부터 해제될 수 있다. 상승 부트는 손잡이가 작동될 때 또한 상승 부트를 브래킷 요소로부터 그리고 상승 레일에 의해 안내되는 것으로부터 해제하는 손잡이에 의해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이는 상승 부트가 콘크리트 타설 세그먼트의 벽 또는 천장으로부터 신속하고 인체공학적으로 해제되게 하고 상승 레일에 의해 안내되는 것으로부터 해제되게 한다. 활주 요소가 주 부트 몸체와 제1 레일 안내 요소에 기계적으로 결합되고, 이에 따라 상승 부트의 가동 부품들이 기계적으로 결합되기 때문에, 상승 부트의 이들 부품은 상승 부트가 해제될 때 분실될 수 없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상승 부트는 주 부트 몸체 상에 피벗가능하고/하거나 연장가능하도록 배열되고, 피벗되고/되거나 연장된 로킹 상태에서 상승 부트가 브래킷 요소에 해제가능하게 로킹되는 방식으로 브래킷 요소의 제1 부분 및 수용 요소와 상호작용하거나 브래킷 요소의 제2 부분과 상호작용하도록 설계된 로킹 요소를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손잡이가 제공된 활주 요소는, 활주 요소가 주 부트 몸체, 제1 레일 안내 요소 및 로킹 요소에 기계적으로 결합되고, 제1 레일 안내 요소가 안내 상태에 있고 로킹 요소가 로킹 상태에 있을 때 분리 방향(Z)으로의 주 부트 몸체에 대한 활주 요소의 활주 - 이 활주는 손잡이의 작동에 의해 야기됨 - 가 상승 부트를 상승 레일에 의해 안내되는 것으로부터 해제하고 상승 부트를 브래킷 요소 상에 로킹되는 것으로부터 해제하기 위하여 제1 레일 안내 요소 및 로킹 요소가 각각의 경우에 피벗되지 않고/않거나 후퇴된 초기 상태로 설정되게 하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주 부트 몸체 상에서 피벗가능하고/하거나 연장가능하도록 배열된 로킹 요소는, 피벗가능하고/연장가능하도록 예를 들어 원통형 볼트와 같은 액슬 요소 또는 활주 요소의 형태의 기계적 결합 부재들에 의해 주 부트 몸체 상에 배열될 수 있다. 주 부트 몸체 상의 적어도 하나의 로킹 요소의 피벗가능하고 연장가능한 배열의 조합이 가능하다. 로킹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상승 부트가 수직 상승 방향으로 그의 길이방향 축과 정렬될 때, 주 부트 몸체의 외측 부분 상에, 예를 들어 주 부트 몸체의 하부 부분 상에 노우즈(nose) 형태의 래칭/스냅 요소로서 배열된다. 이 경우에, 활주 요소의 손잡이는 바람직하게는 활주 요소의 상부 부분에 배열된다. 로킹 요소는 피벗가능하도록 주 부트 몸체에 부착될 수 있고, 피벗-인 초기 상태로부터 피벗함으로써 피벗-아웃 로킹 상태로, 그리고 그 역으로도 변환될 수 있다. 로킹 요소는 로킹 요소가 로킹 상태에 있을 때 상승 부트를 브래킷 요소에 체결하도록 주 부트 몸체의 수용 요소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 상승 부트가 수직 상승 방향으로 그의 길이방향 축과 정렬될 때, 수용 요소는, 상승 부트가 위로부터, 즉 상승 방향에 반대인 방향으로, 브래킷 요소 상에 배치될 때, 브래킷 요소의 제1 부분으로서의 예를 들어 원통형 볼트 형태의 브래킷 지지 요소를 수용하기 위하여 상승 방향의 반대인 아래로 개방된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정렬되고 원통형인 리세스를 가질 수 있다.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상승 부트는 피벗가능하고/하거나 연장가능하도록 주 부트 몸체 상에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래칭/스냅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래칭/스냅 요소는, 피벗되고/되거나 연장된 유지 상태에서, 즉 "폐쇄" 위치에서 상승 레일 및/또는 상승 레일에 대해 변위될 수 있고 상승 레일에 의해 안내되는 상승 인상 레일이 상승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상승 부트 내에서 현수될 수 있는 방식으로 적어도 하나의 래칭/스냅 요소를 유지하기 위한 상승 레일 및/또는 상승 인상 레일의 유지 요소와 상호 작용하도록 설계되며, 여기서 활주 요소는 주 부트 몸체, 제1 레일 안내 요소 또는 제1 레일 안내 요소와 로킹 요소, 및 부가적으로 래칭/스냅 요소에 기계적으로 결합되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제1 레일 안내 요소가 안내 상태에 있거나 제1 레일 안내 요소 및 로킹 요소가 로킹 상태에 있고, 부가적으로 로킹/스냅 요소가 피벗되고/되거나 연장된 유지 상태에, 즉 각각의 경우에 "폐쇄" 위치에 있는 경우에, 부트 주 본체에 대한 활주 요소의 활주 - 이 활주는 손잡이의 작동에 의해 야기됨 - 는 상승 부트를 상승 레일에 의해 안내되는 것으로부터 해제하거나 상승 부트를 상승 레일에 의해 안내되는 것 그리고 상승 레일 상에 로킹되는 것으로부터 해제하고, 부가적으로 상승 부트를 상승 레일 및/또는 상승 인상 레일에 의해 유지되는 것으로부터 자유롭게 하기 위하여, 제1 레일 안내 요소 또는 제1 레일 안내 요소와 로킹 요소, 및 부가적으로 래칭/스냅 요소가 각각의 경우에 피벗되지 않고/않거나 후퇴된 초기 상태로, 즉 각각의 경우에 "개방" 위치로 설정되게 한다. 이 실시예에서, 래칭/스냅 요소는 손잡이의 기능을 보완하여, 손잡이가 작동될 때, 상승 부트가 브래킷 요소로 분리되고 상승 레일에 의해 안내되는 것으로부터 해제될 뿐만 아니라 상승 레일/상승 인상 레일의 유지 상태로부터 자유롭게 된다.
래칭/스냅 요소는 실질적으로 상승 부트의 길이방향 축 상에 배열된 하나의 폴 또는 길이방향 축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이격되어, 특히 길이방향 축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동일한 거리들에 배열된 2개의 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폴 또는 2개의 폴들은, 피벗되고/되거나 연장된 유지 상태에서 상승 레일이 상승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상승 부트 내에 현수될 수 있는 방식으로 제1 래칭/스냅 요소의 폴 또는 2개의 폴을 유지하기 위한 상승 레일의 하나 이상의 유지 요소와 상호작용하도록 설계된다. 2개의 폴들은 단 하나의 폴보다 더 높은 하중을 견딜 수 있는데, 여기서 폴들은 쌍으로 작동될 수 있고, 또한 쌍으로 서로 기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승 방향은 위로의 방향, 즉 상향 방향을 나타낼 수 있는데, 여기서 예를 들어 터널 건설에서 옆 방향이 또한 가능하다. 비스듬한 선형 병진 또는 만곡 방향들, 예를 들어 회전 방향들이 또한 상승 방향으로서 가능하다. 주 부트 몸체 상에서 피벗가능하고/하거나 연장가능하도록 배열된 래칭/스냅 요소는, 피벗가능하고/연장가능하도록 예를 들어 원통형 볼트와 같은 액슬 요소 또는 변위 요소의 형태의 기계적 결합 부재들에 의해 주 부트 몸체 상에 배열될 수 있다. 주 부트 몸체 상의 적어도 하나의 래칭/스냅 요소의 피벗가능하고 연장가능한 배열의 조합이 가능하다. 상승 방향은 분리 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그러나, 서로에 대한 다른 방향들, 예를 들어 서로 반대이거나 서로에 대해 직각인 방향들이 또한 가능하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활주 요소는, 제1 레일 안내 요소, 제1 레일 안내 요소와 로킹 요소, 제1 레일 안내 요소와 래칭/스냅 요소, 또는 제1 레일 안내 요소, 로킹 요소 및 래칭/스냅 요소가 각각의 경우에 피벗되지 않고/않거나 후퇴된 초기 상태, 즉 "개방" 위치에 있는 경우에 분리 방향에 반대인 결합 방향으로의 주 부트 몸체에 대한 활주 요소의 활주 - 이 활주는 손잡이의 작동에 의해 야기됨 - 가 상승 부트를 상승 레일의 안내로 이동시키거나, 상승 부트를 상승 레일의 안내로 이동시키고 상승 부트를 브래킷 요소 상에 로킹하거나, 상승 부트를 상승 레일의 안내로 이동시키고 상승 부트를 상승 레일 및/또는 상승 인상 레일의 유지 상태로 설정하거나, 상승 부트를 상승 레일의 안내로 이동시키고 상승 부트를 브래킷 요소 상에 로킹하며 상승 부트를 상승 레일 및/또는 상승 인상 레일의 유지 상태로 설정하기 위하여, 제1 레일 안내 요소가 안내 상태로 설정되게 하거나, 제1 레일 안내 요소가 안내 상태로 설정되고 로킹 요소가 로킹 상태로 설정되게 하거나, 제1 레일 안내 요소가 안내 상태로 설정되고 래칭/스냅 요소가 유지 상태로 설정되게 하거나, 제1 레일 안내 요소가 안내 상태로 설정되고 로킹 요소가 로킹 상태로 설정되며 래칭/스냅 요소가 유지 상태, 즉 "폐쇄" 상태로 설정되게 하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따라서, 활주 요소는, 손잡이가 작동될 때, 분리 방향에 반대인 결합 방향으로의 주 부트 몸체에 대한 활주 요소의 결과적인 활주가 발생하고, 상승 부트가 브래킷 요소에 결합되고 상승 레일에 의해 안내되도록 이동되며 선택적으로 상승 부트가 부가적으로 브래킷 요소 상에 로킹되고/되거나 상승 레일/상승 인상 레일의 유지 상태로 설정되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손잡이는 상승 부트를 브래킷 요소 및/또는 상승 레일에 대해 분리 및/또는 결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승 부트는 피벗가능하고/하거나 연장가능하도록 주 부트 몸체 상에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래칭/스냅 요소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추가 래칭/스냅 요소는, 피벗되고/되거나 연장된 유지 상태에서 상승 레일 및/또는 상승 인상 레일이 상승 방향에 반대인 방향으로 상승 부트 내에서 현수될 수 있는 방식으로 추가 래칭/스냅 요소를 유지하기 위한 상승 레일 및/또는 상승 인상 레일의 적어도 하나의 추가 유지 요소와 상호작용하는 경우에 - 여기서 래칭/스냅 요소들은 손잡이에 의해 동시에 또는 서로 독립적으로 작동될 수 있음 -, 활주 플레이트는, 손잡이가 작동된 후에 상승 부트가 상승 레일로부터뿐만 아니라 별개로 또는 부가적으로 상승 인상 레일로부터 해제될 수 있는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다. 상승 인상 레일을 유지하기 위한 복수의 폴들을 갖는 상승 시스템들에서의 상승 부트의 사용이 또한 이러한 방식으로 가능하다.
상승 부트가 브래킷 요소에 결합되고 상승 부트의 길이방향 축이 상승 방향으로 배향되는 경우에, 래칭/스냅 요소들 중 제1 래칭/스냅 요소가 상승 방향으로 상승 부트의 길이방향 축 상에 배열되고, 래칭/스냅 요소들 중 제2 및 제3 래칭/스냅 요소들이 길이방향 축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이격되도록, 특히 동일한 거리들에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승 방향이 수직으로 위로 가리키는 경우에, 제2 및 제3 래칭/스냅 요소들은 길이방향 축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이격되어 배열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승 부트는, 상승 레일 및/또는 상승 인상 레일이 현수될 때 단 하나 또는 2개의 래칭/스냅 요소에 의해 수용되는 하중보다 더 큰 하중을 상승 레일로부터 벽 또는 천장으로 전달할 수 있다. 길이방향 축에 대한 래칭/스냅 요소들의 대칭 정렬은 상승 부트의 구조를 단순화한다. 게다가, 래칭/스냅 요소들이 길이방향 축에 대해 대칭으로 정렬될 때 상승 부트의 하중이 최적화된다.
제1 래칭/스냅 요소는 제1 래칭/스냅 요소를 래칭/스냅핑하기 위한 상승 인상 레일의 추가 유지 요소와 상호작용하는 방식으로 주 부트 몸체에 대해 배열되고, 제2 및 제3 래칭/스냅 요소들은, 제2 및 제3 래칭/스냅 요소들을 래칭/스냅핑하기 위하여, 이들이 상승 인상 레일의 추가 유지 요소들과 또는 각각의 경우에 제1 래칭/스냅 요소를 래칭/스냅핑하기 위한 상승 인상 레일의 추가 유지 요소와 상이한 상승 레일의 추가 유지 요소들과 상호작용하는 방식으로 주 부트 몸체에 대해 배열된다면 유리하다. 이 실시예에서, 제2 및 제3 래칭/스냅 요소들은 상승 레일에서의 유지 요소들을 위해 또는 상승 인상 레일에서의 추가 유지 요소들을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건설 현장에서의 상승 부트의 사용에 있어서 높은 유연성으로 이어진다.
제1 래칭/스냅 요소들의 제1 및 제2 폴들은 길이방향 축으로부터 일정 거리에서, 특히 길이방향 축(L)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동일한 거리들에서 상승 부트의 길이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직각인 제1 축 상에 실질적으로 배열되고, 제2 및 제3 추가 래칭/스냅 요소들은 길이방향 축으로부터 일정 거리에서, 특히 길이방향 축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동일한 거리들에서 길이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직각인 제2 축 상에서 상승 방향으로 또는 상승 방향의 반대로 그로부터의 거리에 또는 상승 방향으로 동일한 레벨에 배열된다면 또한 유리하다. 제1 래칭/스냅 요소의 2개의 폴들 및 각각의 경우에 제2 및 제3 추가 래칭/스냅 요소의 하나의 폴 상에서의 하중의 분포로 인해 - 여기서, 제1 래칭/스냅 요소의 제1 및 제2 폴들과 제2 및 제3 추가 래칭/스냅 요소들의 폴들은 쌍으로 작동될 수 있음 -, 허용가능 하중은 제1 래칭/스냅 요소가 하나의 폴만을 갖는 실시예에서보다 더 높을 수 있다. 설계를 길이방향 축에 대해 직각으로 소형으로 유지하기 위해, 제1 래칭/스냅 요소의 2개의 폴들은 상승 방향으로 또는 상승 방향의 반대로 제2 및 제3 추가 래칭/스냅 요소들에 대해 오프셋되어 배열될 수 있다.
상승 레일 및/또는 상승 인상 레일의 설계에 따라, 제1 래칭/스냅 요소의 제1 및 제2 폴들이 상승 방향으로 또는 상승 방향의 반대로 제2 및 제3 추가 래칭/스냅 요소들로부터 일정 거리에 배열되거나 제2 및 제3 추가 래칭/스냅 요소들에 대해 상승 방향으로 동일한 높이에 위치될 때, 길이방향 축으로부터의 제1 래칭/스냅 요소의 제1 및 제2 폴들의 제1 거리들이 길이방향 축으로부터의 제2 및 제3 추가 래칭/스냅 요소들의 제2 거리들과 상이한 것, 특히 제1 거리들을 제2 거리들보다 작도록 선택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제1 래칭/스냅 요소의 제1 및 제2 폴들은, 피벗되고/되거나 연장된 유지 상태에서 상승 인상 레일이 상승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상승 부트 내에서 현수될 수 있는 방식으로 제1 래칭/스냅 요소의 제1 및 제2 폴들을 유지하기 위한 상승 인상 레일의 유지 요소들과 상호작용하도록 설계될 수 있고, 제2 및 제3 추가 래칭/스냅 요소들은 상승 레일이 피벗되고/되거나 연장된 유지 상태에서 상승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상승 부트 내에 현수될 수 있는 방식으로 제2 및 제3 추가 래칭/스냅 요소들을 유지하기 위한 상승 레일의 하나 이상의 유지 요소와 상호작용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제1 래칭/스냅 요소의 제1 및 제2 폴들이 상승 레일과 상호작용하고 제2 및 제3 추가 래칭/스냅 요소들이 상승 인상 레일과 상호작용하는 역 실시예가 또한 가능하다.
상승 부트가 브래킷 요소에 결합되고 상승 부트의 길이방향 축이 수직 상승 방향으로 위로 배향될 때, 손잡이는 상승 부트의 상부 부분에 배열되거나 상승 부트의 상부 단부를 형성하며, 활주 요소는 분리 방향으로의 손잡이의 작동이 주 부트 몸체로부터 멀어지는 수직으로 위로의 상승 방향으로의, 특히 한 손으로의, 당김 이동에 의해 달성되는 방식으로 적어도 주 부트 몸체에 결합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승 부트는 한 손으로 위로, 결합된 것으로부터 그리고 선택적으로 브래킷 요소와 로킹된 것으로부터 해제될 수 있으며, 상승 레일의 가능한 추가적인 유지 상태로부터 자유롭게 되고 벽 또는 천장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상승 부트는 핑거 그립(finger grip)이 제공되고 주 부트 몸체 및 활주 요소에 대해 활주가능하게 배열되는 핑거 활주 요소를 포함하고; 이 핑거 활주 요소는, 핑거 활주 요소가 주 부트 몸체, 활주 요소, 제1 레일 안내 요소 및 래칭/스냅 요소에 결합되며, 제1 레일 안내 요소가 안내 상태에 있거나 제1 레일 안내 요소가 안내 상태에 있고 로킹 요소가 로킹 상태에 있으며 래칭/스냅 요소가 유지 상태에 있는 경우에, 즉 손잡이가 작동되지 않는 경우에 로킹해제 방향으로의 주 부트 몸체 및 활주 요소에 대한 핑거 활주 요소의 핑거 활주 - 이 핑거 활주는 핑거 그립의 작동에 의해 야기됨 - 가 상승 부트를 상승 레일 또는 상승 인상 레일의 유지 상태로부터 자유롭게 하고 상승 레일 또는 상승 인상 레일을 상승 부트로부터 안내하기 위하여 제1 레일 활주 요소가 피벗되고/되거나 연장된 안내 상태에서 로킹되게 하고 래칭/스냅 요소가 피벗되지 않고/않거나 후퇴된 초기 상태로 설정되게 하는 방식으로 설계될 때 특히 유리한 실시예가 제공된다. 복수의 래칭/스냅 요소들이 존재하는 경우에, 핑거 그립은 래칭/스냅 요소들이 핑거 그립에 의해 동시에 또는 서로 독립적으로 작동될 수 있는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다. 따라서, 로킹해제 방향으로 핑거 그립을 작동시킴으로써, 상승 부트를 브래킷 요소 상에 로킹된 것으로부터 해제함이 없이 그리고 상승 레일 또는 상승 인상 레일을 안내되는 것으로부터 해제함이 없이 상승 부트가 상승 레일 또는 상승 인상 레일로부터 해제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승 레일/상승 인상 레일은 상승 부트를 분리/해제함이 없이 상승 방향 또는 상승 방향의 반대로 브래킷 요소에 의해 쉽게 변위될 수 있다. 상승 부트는 또한 상승 부트가 브래킷 요소로부터 해제되기 전에 상승 레일/상승 인상 레일로부터 해제될 수 있으며, 이는 상승 부트를 상승 레일/상승 인상 레일로부터 해제하는 과정을 단순화한다.
상승 부트는, 핑거 그립이 제1 핑거 그립 요소 및 제2 핑거 그립 요소를 포함하는데, 여기서 제1 핑거 그립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래칭/스냅 요소가 제1 핑거 그립 요소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방식으로 설계되며, 제2 핑거 그립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래칭/스냅 요소가 적어도 하나의 래칭/스냅 요소와 독립적으로 제2 핑거 그립 요소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방식으로 설계될 때 특히 유리한 설계의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승 부트는 상승 레일 또는 상승 인상 레일로부터 독립적으로 해제/로킹해제될 수 있다.
상승 부트는 유리하게는, 핑거 활주 요소가 주 부트 몸체 및 활주 요소(6)에 대해 핑거 변위만큼 변위될 때, 즉 핑거 그립이 작동될 때, 핑거 활주 요소가, 특히 예를 들어 볼트 또는 나사 형태의 중앙 액슬 요소에 의해, 주 부트 몸체 및/또는 활주 요소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래칭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핑거 활주 요소가 주 부트 몸체 및/또는 활주 요소 상에 로킹된 경우에, 손잡이가 상승 부트를 브래킷 요소로부터 해제하도록, 즉 분리 방향으로, 또는 상승 부트를 브래킷 요소에 체결하도록, 즉 결합 방향으로 작동될 때, 상승 레일/상승 인상 레일은 상승 부트로부터 해제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는 상승 부트의 분리를 용이하게 한다.
핑거 활주 요소를 당기고 로킹함으로써, 상승 레일/상승 인상 레일을 유지하기 위한 래칭/스냅 요소는 초기 상태, 즉 "개방" 위치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개방" 위치로의 설정은 폐쇄된 상승 부트에 의해, 즉 로킹 요소가 로킹 상태, 즉 "폐쇄" 위치로 설정된 때에만 행해질 수 있다. 활주 요소에 의한 로킹 요소 및 레일 안내 요소의 결합으로 인해, 레일 안내 요소들을 "개방"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다. 게다가, 핑거 그립의 작동은, 핑거 그립이 작동될 때 로킹 요소를 "폐쇄" 위치에서 유지하고 활주 요소에 의한 레일 안내 요소들에 대한 결합으로 인해 또한 적어도 제1 레일 안내 요소를 "폐쇄" 위치에서 유지하는 스프링 요소에 의해, 레일 안내 요소들을 "개방"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로킹할 수 있다. 핑거 그립이 작동되지 않을 때, 상승 부트는 레일 안내 요소가 안내 위치에 있고 기존의 로킹 요소가 로킹 상태에 있으며 기존의 래칭/스냅 요소가 유지 상태에 있는 상태 또는 작동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손잡이가 제1 웨브(web)로서 설계되고 핑거 그립이 제2 웨브로서 설계되며, 제1 및 제2 웨브들이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도록, 특히 서로로부터 3 내지 4 cm의 거리에 배열되는 경우에, 손잡이가 파지될 때 핑거 그립이 작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승 부트는 핑거 그립이 작동될 때 파지될 수 있다. 이는 핑거 그립의 작동을 단순화하고, 핑거 그립이 작동될 때 오류를 방지하며, 따라서 상승 부트를 사용할 때 높은 수준의 안전성을 보장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승 부트를 포함하는 레일-안내식 상승 시스템을 포함하는데, 브래킷 요소는 건물의 콘크리트 타설 세그먼트 상에 고정 방식으로 배열되고, 상승 레일은, 특히 상승 레일에 대해 활주가능하고 상승 레일에 의해 안내되는 상승 인상 레일과 함께, 주 부트 몸체의 레일 안내 요소들 사이에 활주가능하게 배열된다. 적어도 하나의 상승 레일의 총 길이는, 상승 레일이 미리 결정된 거리, 예를 들어 층 높이로 서로 이격된 적어도 2개의 상승 부트들에 의해 안내되도록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특히 상승 거푸집, 상승 프레임, 보호 상승 벽 및/또는 상승 작업 플랫폼으로서 사용될 수 있는 레일-안내식 상승 시스템을 위한, 건물의 콘크리트 타설 세그먼트에 결합된 상승 부트를 분리하기 위한 방법을 포함한다. 이 방법은 하기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a) 제1 및 제2 레일 안내 요소들을 갖는 주 부트 몸체를 갖는 상승 부트를 제공하는 단계로서, 적어도 제1 레일 안내 요소, 특히 제1 및 제2 레일 안내 요소들은, 피벗되고/되거나 연장된 안내 상태에서 제1 레일 안내 요소와 제2 레일 안내 요소 사이에 활주가능하게 배열된 상승 레일이 상승 레일의 부분들이 레일 안내 요소들에 의해 파지된다는 점에서 레일 안내 요소들에 의해 안내되는 방식으로 피벗가능하고/하거나 연장가능하도록 주 부트 몸체 상에 배열되는, 상기 상승 부트를 제공하는 단계;
b) 주 부트 몸체 상에 배열되는 수용 요소를 제공하는 단계로서, 수용 요소는, 건물의 콘크리트 타설 세그먼트 상에 고정 방식으로 배열된 브래킷 요소의 제1 부분에 수용 요소가 부착된 때, 상승 부트의 하중이 브래킷 요소 내로 도입될 수 있는 방식으로, 브래킷 요소의 제1 부분과 상호작용하도록 설계된, 상기 수용 요소를 제공하는 단계; 및
c) 주 부트 몸체에 대해 활주가능하게 배열되고 주 부트 몸체에 의해 안내되는 손잡이가 제공된 활주 요소를 제공하는 단계로서, 활주 요소는 활주 요소가 주 부트 몸체 및 제1 레일 안내 요소에 기계적으로 결합되고, 제1 레일 안내 요소가 안내 상태에 있을 때, 분리 방향으로의 주 부트 몸체에 대한 활주 요소의 활주 - 이 활주는 손잡이의 작동에 의해 야기됨 - 가 상승 부트를 상승 레일에 의해 안내되는 것으로부터 해제하기 위하여 제1 레일 안내 요소가 피벗되지 않고/않거나 후퇴된 초기 상태로 설정되게 하는 방식으로 설계되는, 상기 활주 요소를 제공하는 단계;
d) 손잡이를 작동시키는 단계로서, 주 부트 몸체에 대한 활주 요소의 생성된 활주는 제1 레일 안내 요소가 피벗되지 않고/않거나 후퇴된 초기 상태로 설정되게 하는, 상기 손잡이를 작동시키는 단계;
e) 브래킷 요소의 제1 부분으로부터 수용 요소를 분리하고 상승 부트를 상승 레일에 의해 안내되는 것으로부터 해제하는 단계.
건물의 콘크리트 타설 세그먼트에 결합된 상승 부트를 분리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본 방법의 효과 및 이점은 레일-안내식 상승 시스템에 대해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상승 부트의 것들에 대응한다. 본 방법 단계들에서, 상승 레일이 언급될 때, 이는 항상 상승 인상 레일을 갖거나 갖지 않는 상승 레일을 의미한다.
레일-안내식 상승 시스템을 위한, 건물의 콘크리트 타설 세그먼트에 결합된 상승 부트 - 여기서, 상승 부트는 콘크리트 세그먼트와 상승 부트에 의해 안내되는 상승 레일 사이에 배열됨 - 를 분리하기 위한 방법은 하기와 같은 경우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실현된다:
- 단계 b) 와 단계 c) 사이에서 하기의 단계 b1):
주 부트 몸체 상에 피벗가능하고/하거나 연장가능하도록 배열되고, 피벗되고/되거나 연장된 로킹 상태에서 상승 부트가 브래킷 요소에 해제가능하게 로킹되는 방식으로 브래킷 요소의 제1 부분 및 수용 요소와 상호작용하거나 브래킷 요소의 제2 부분과 상호작용하도록 설계된 로킹 요소를 제공하는 단계
가 추가로 수행되며,
- 단계 c)에서, 활주 요소는, 활주 요소가 주 부트 몸체 및 제1 레일 안내 요소뿐만 아니라 로킹 요소에 기계적으로 결합되고, 제1 레일 안내 요소가 안내 상태에 있을 뿐만 아니라 로킹 요소가 로킹 상태에 있을 경우에 분리 방향으로의 주 부트 몸체에 대한 활주 요소의 활주 - 이 활주는 손잡이의 작동에 의해 야기됨 - 가 상승 부트를 상승 레일에 의해 안내되는 것으로부터 해제하고 상승 부트를 브래킷 요소 상에 로킹되는 것으로부터 해제하기 위하여 제1 레일 안내 요소뿐만 아니라 로킹 요소가 피벗되지 않고/않거나 후퇴된 초기 상태로 설정되게 하는 방식으로 설계되고,
- 단계 d)에서, 주 부트 몸체에 대한 활주 요소의 활주 - 이 활주는 손잡이의 작동에 의해 야기됨 - 는 제1 레일 안내 요소뿐만 아니라 로킹 요소가 피벗되지 않고/않거나 후퇴된 초기 상태로 설정되게 하며,
- 단계 e)에서, 수용 요소가 브래킷 요소의 제1 부분으로부터 분리되는 것과 상승 부트가 상승 레일에 의해 안내되는 것으로부터 해제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승 부트가 브래킷 요소 상에 로킹되는 것으로부터 해제된다.
상승 레일이 언급되는 경우에, 이는 항상 상승 인상 레일을 갖거나 갖지 않는 상승 레일을 의미한다. 이 방법은 전술된 방법에서와 동일한 이점 및 효과를 갖는데, 여기서 부가적으로 브래킷 요소 상에 상승 부트를 로킹하기 위한 로킹 요소는, 손잡이의 작동의 결과로서 브래킷 요소 상에서의 상승 부트의 로킹 상태의 해제를 허용하기 위하여 활주 요소의 결합에 포함된다.
건물의 상기 콘크리트 타설 세그먼트에 결합된 상승 부트를 분리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추가의 방법은 상승 부트가 콘크리트 타설 세그먼트와 상승 부트에 의해 안내되는 상승 레일 사이에 배열되는 경우에 하기의 단계들에 의해 수행된다:
- 단계 b) 와 단계 c) 사이에서 하기의 단계 b2):
B1) 피벗가능하고/하거나 연장가능하도록 주 부트 몸체 상에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래칭/스냅 요소를 상승 부트에 제공하는 단계로서, 이 래칭/스냅 요소는, 피벗되고/되거나 연장된 유지 상태에서 상승 레일이 상승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상승 부트 내에서 현수되는 방식으로 적어도 하나의 래칭/스냅 요소를 유지하기 위한 상승 레일 및/또는 상승 레일에 대해 활주가능하고 상승 레일에 의해 안내되는 상승 인상 레일의 유지 요소와 상호작용하는, 상기 제공하는 단계
가 추가로 수행되며,
- 단계 c)에서, 활주 요소는, 활주 요소가 주 부트 몸체, 제1 레일 안내 요소 또는 제1 레일 안내 요소와 로킹 요소뿐만 아니라 래칭/스냅 요소에 기계적으로 결합되고, 제1 레일 안내 요소가 안내 상태에 있거나 제1 레일 안내 요소가 안내 상태에 있고 로킹 요소가 로킹 상태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래칭/스냅 요소가 피벗되고/되거나 연장된 유지 상태에 있을 경우에 분리 방향으로의 주 부트 몸체에 대한 활주 요소의 활주 - 이 활주는 손잡이의 작동에 의해 야기됨 - 가 상승 부트를 상승 레일에 의해 안내되는 것으로부터 또는 상승 레일에 의해 안내되는 것과 브래킷 요소 상에 로킹되는 것으로부터 해제하기 위해서뿐만 아니라 상승 부트를 상승 레일 및/또는 상승 인상 레일의 유지 상태로부터 해제하기 위하여, 제1 레일 안내 요소 또는 제1 레일 안내 요소와 로킹 요소뿐만 아니라 래칭/스냅 요소가 각각의 경우에 피벗되지 않고/않거나 후퇴된 초기 상태로 설정되게 하는 방식으로 설계되고,
- 단계 d)에서, 주 부트 몸체에 대한 활주 요소의 활주 - 이 활주는 손잡이의 작동에 의해 야기됨 - 는 제1 레일 안내 요소 또는 제1 레일 안내 요소와 로킹 요소뿐만 아니라 래칭/스냅 요소가 피벗되지 않고/않거나 후퇴된 초기 상태로 설정되게 하며,
- 단계 e)에서, 수용 요소가 브래킷 요소의 제1 부분으로부터 분리되는 것과 상승 부트가 상승 레일에 의해 안내되는 것으로부터 해제되거나, 수용 요소가 브래킷 요소의 제1 부분으로부터 분리되는 것과 상승 부트가 상승 레일에 의해 안내되는 것으로부터 해제되는 것과 상승 부트가 브래킷 요소 상에 로킹되는 것으로부터 해제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승 부트가 상승 레일 및/또는 상승 인상 레일의 유지 상태로부터 자유롭게 된다.
상승 레일이 언급되는 경우에, 이는 항상 상승 인상 레일을 갖거나 갖지 않는 상승 레일을 의미한다. 이 방법은 전술된 방법에서와 동일한 이점 및 효과를 갖는데, 여기서 부가적으로 상승 레일/상승 인상 레일을 유지하기 위한 래칭/스냅 요소는, 손잡이의 작동의 결과로서 상승 레일/상승 인상 레일로부터의 상승 부트의 해제를 허용하기 위하여 활주 요소의 결합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추가의 방법은 건물의 콘크리트 타설 세그먼트에 결합될 상승 부트를 결합하는 데 사용되는데, 여기서
활주 요소는, 제1 레일 안내 요소, 제1 레일 안내 요소와 로킹 요소, 제1 레일 안내 요소와 래칭/스냅 요소, 또는 제1 레일 안내 요소, 로킹 요소 및 래칭/스냅 요소가 각각의 경우에 피벗되지 않고/않거나 후퇴된 초기 상태에 있는 경우에 분리 방향에 반대인 결합 방향으로의 주 부트 몸체에 대한 활주 요소의 활주 - 이 활주는 손잡이의 작동에 의해 야기됨 - 가 상승 부트를 상승 레일의 안내로 이동시키거나, 상승 부트를 상승 레일의 안내로 이동시키고 상승 부트를 브래킷 요소 상에 로킹하거나, 상승 부트를 상승 레일의 안내로 이동시키고 상승 부트를 상승 레일 및/또는 상승 인상 레일의 유지 상태로 설정하거나, 상승 부트를 상승 레일의 안내로 이동시키고 상승 부트를 브래킷 요소 상에 로킹하며 상승 부트를 상승 레일 및/또는 상승 인상 레일의 유지 상태로 설정하기 위하여, 제1 레일 안내 요소가 안내 상태로 설정되게 하거나, 제1 레일 안내 요소가 안내 상태로 설정되고 로킹 요소가 로킹 상태로 설정되게 하거나, 제1 레일 안내 요소가 안내 상태로 설정되고 래칭/스냅 요소가 유지 상태로 설정되게 하거나, 제1 레일 안내 요소가 안내 상태로 설정되고 로킹 요소가 로킹 상태로 설정되며 래칭/스냅 요소가 유지 상태로 설정되게 하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따라서, 활주 플레이트는, 손잡이를 작동시킴으로써 상승 부트가 브래킷 요소로부터 분리되거나 브래킷 요소 및 상승 레일 및/또는 상승 인상 레일로부터 분리되는 것뿐만 아니라 또한 손잡이를 작동시킴으로써 그에 다시 결합될 수 있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이는 상승 부트의 쉽고 무오류인 안전한 결합 및 분리를 보장한다.
건물의 콘크리트 세그먼트에 결합된 상승 부트를 분리하기 위해 이 방법 단계들이,
- 상승 부트가 수직 상승 방향으로 위로 배향될 때, 손잡이는 상승 부트의 상부 부분에 배열되거나 상승 부트의 상부 단부로서 형성되며,
- 활주 요소는 분리 방향으로의 손잡이의 작동이 주 부트 몸체로부터 멀어지는 수직으로 위로의 상승 방향으로의, 특히 한 손으로의, 당김 이동에 의해 달성되는 방식으로 적어도 주 부트 몸체에 기계적으로 결합되고,
- 상승 방향으로의 연속적인 당김 이동에서, 상승 부트는 상승 레일 및/또는 상승 인상 레일에 의해 안내되는 것으로부터 해제되거나, 상승 레일 및/또는 상승 인상 레일에 의해 안내되는 것으로부터 해제되고 브래킷 요소 상에 로킹되는 것으로부터 해제되거나, 상승 레일 및/또는 상승 인상 레일에 의해 안내되는 것으로부터 해제되고 상승 레일 및/또는 상승 인상 레일의 상기 유지 상태로부터 자유롭게 되거나, 상승 레일 및/또는 상승 인상 레일에 의해 안내되는 것으로부터 해제되고 브래킷 요소 상에 로킹되는 것으로부터 그리고 상승 레일 및/또는 상승 인상 레일의 유지 상태로부터 해제되며 손잡이에 의해 콘크리트 타설 세그먼트로부터 제거되는 방식으로 수행될 때,
상승 부트는 하나의 연속적인 당김 이동에서 브래킷 요소로부터 또는 브래킷 요소 및 상승 레일/상승 인상 레일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그 후에 바로, 즉 내려놓지 않고서 손잡이를 사용하여 콘크리트 타설 세그먼트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이는 현장에서의 건설 작업자를 위한 간단하고 안전한 작업 단계이며, 이는 또한 한 손으로 행해질 수 있다.
게다가, 건물의 콘크리트 타설 세그먼트 상에 배열될 상승 부트를 결합하기 위하여, 손잡이 상에 유지되는 상승 부트가 브래킷 요소 위에서 콘크리트 타설 세그먼트에 더 가깝게 되고, 분리 방향에 반대인 결합 방향으로의 상승 방향 반대로의 연속 이동에서, 수용 요소가 브래킷 요소의 제1 부분에 적용되고, 부가적으로 상승 부트가 피벗되고/되거나 연장된 안내 상태로 설정되거나, 피벗되고/되거나 연장된 안내 상태로 설정되고 브래킷 요소 상에 로킹되거나, 피벗되고/되거나 연장된 안내 상태로 설정되고 상승 레일 및/또는 상승 인상 레일의 유지 상태로 로킹되거나, 피벗되고/되거나 연장된 안내 상태로 설정되고 브래킷 요소 상에 로킹되며 상승 레일 및/또는 상승 인상 레일의 유지 상태로 설정된다면, 상승 부트를 브래킷 요소 또는 상승 인상 레일에 결합하는 것은 상승 부트를 상승 레일/상승 인상 레일로부터 분리하는 것만큼 쉽고 안전하다. 상승 부트가 상승 방향의 반대로 수직으로 아래로의 이동에 의해 결합될 때, 상승 부트는 중력에 거슬러 인상될 필요가 없으며, 이는 상승 부트의 결합 단계를, 특히 상기 결합 단계가 한 손으로 수행될 때, 단순화한다.
상승 부트를 분리 및/또는 결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단계들은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사이클로서 한정되고, 사이클은 상승 레일에 체결된 프레임 및/또는 보호 벽이 건물의 추가 층 또는 복수의 추가 층들 또는 콘크리트 타설될 건물의 다음 콘크리트 타설 세그먼트에 도달할 때까지 실행된다.
본 발명의 추가 특징 및 이점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본 발명에 필수적인 세부 사항을 도시하는 도면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특징부는 본 발명에 따른 특수 특징부가 명확하게 보일 수 있도록 묘사되어 있다. 상이한 특징부는 각각 본 발명의 변형예에서 단독으로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 복수로 실현될 수 있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요소를 나타낸다.
도면에서,
도 1a, 도 1b는 레일 안내 요소가 안내 상태에 위치된 "폐쇄" 위치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상승 부트의 측면도(도 1a)이고, 레일 안내 요소가 안내 상태에 있고 로킹 요소가 로킹 상태에 있으며 폴 형태의 래칭/스냅 요소가 유지 상태에 있는 "폐쇄" 위치에서의 제2 실시예의 본 발명에 따른 상승 부트의 추가 측면도(도 1b)이다.
도 2a 내지 도 2k는 "폐쇄" 위치로부터, 레일 안내 요소, 로킹 요소 및 폴이 초기 상태에 있는 "개방" 위치까지의 다양한 위치들에서의 도 1b에 도시된 상승 부트의 3차원 외부 측면도 및 배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각각의 경우에서, 핑거 그립이 로킹해제 방향으로 작동되고 레일 안내 요소가 안내 상태에 있으며 폴이 초기 상태에 있는 "폐쇄" 위치(도 3a), 핑거 그립이 작동되지 않고 레일 안내 요소가 안내 상태에 있으며 폴이 유지 상태에 있는 "폐쇄" 위치(도 3b), 및 로킹해제 방향으로 작동된 핑거 그립이 활주 요소에 의해 동반되는 "개방" 위치(도 3c)에서의 도 1b에 도시된 상승 부트의 3차원 외관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핑거 그립이 로킹해제 방향으로 작동되고 래칭된 "폐쇄" 위치에서의 도 1b에 도시된 상승 부트를 측면도(도 4a), 3차원 외관도(도 4b), 및 단면도(도 4c)로 도시한다.
도 5a, 도 5b는 핑거 그립이 로킹해제 위치로 작동되지 않고 폴이 유지 상태에 있는 "폐쇄" 위치에서의 도 1b에 도시된 상승 부트를 단면도(도 5a) 및 3차원 외관도(도 5b)로 도시한다.
도 6a 내지 도 6g는 제1 폴이 상승 인상 레일의 유지 요소들에 맞물릴 수 있고 제2 및 제3 폴들이 상승 레일에 체결된 지지 요소들에 맞물릴 수 있는, 3개의 폴을 갖는 제3 실시예의 본 발명에 따른 상승 부트의 3차원 외관도, 측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7f는 제1 폴이 상승 인상 레일의 유지 요소들에 맞물릴 수 있고 제2 및 제3 폴들이 상승 레일의 리세스들에 맞물릴 수 있는, 3개의 폴을 갖는 제4 실시예의 본 발명에 따른 상승 부트의 3차원 외관도, 측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8a, 도 8b는 제1 및 제2 폴들이 상승 인상 레일의 유지 요소들에 맞물릴 수 있고 제3 및 제4 폴들이 상승 레일의 리세스들에 맞물릴 수 있는, 4개의 폴을 갖는 제5 실시예의 개방 위치(도 8a) 및 폐쇄 위치(도 8b)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상승 부트의 3차원 외관도이다.
도 1a, 도 1b는 레일 안내 요소가 안내 상태에 위치된 "폐쇄" 위치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상승 부트의 측면도(도 1a)이고, 레일 안내 요소가 안내 상태에 있고 로킹 요소가 로킹 상태에 있으며 폴 형태의 래칭/스냅 요소가 유지 상태에 있는 "폐쇄" 위치에서의 제2 실시예의 본 발명에 따른 상승 부트의 추가 측면도(도 1b)이다.
도 2a 내지 도 2k는 "폐쇄" 위치로부터, 레일 안내 요소, 로킹 요소 및 폴이 초기 상태에 있는 "개방" 위치까지의 다양한 위치들에서의 도 1b에 도시된 상승 부트의 3차원 외부 측면도 및 배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각각의 경우에서, 핑거 그립이 로킹해제 방향으로 작동되고 레일 안내 요소가 안내 상태에 있으며 폴이 초기 상태에 있는 "폐쇄" 위치(도 3a), 핑거 그립이 작동되지 않고 레일 안내 요소가 안내 상태에 있으며 폴이 유지 상태에 있는 "폐쇄" 위치(도 3b), 및 로킹해제 방향으로 작동된 핑거 그립이 활주 요소에 의해 동반되는 "개방" 위치(도 3c)에서의 도 1b에 도시된 상승 부트의 3차원 외관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핑거 그립이 로킹해제 방향으로 작동되고 래칭된 "폐쇄" 위치에서의 도 1b에 도시된 상승 부트를 측면도(도 4a), 3차원 외관도(도 4b), 및 단면도(도 4c)로 도시한다.
도 5a, 도 5b는 핑거 그립이 로킹해제 위치로 작동되지 않고 폴이 유지 상태에 있는 "폐쇄" 위치에서의 도 1b에 도시된 상승 부트를 단면도(도 5a) 및 3차원 외관도(도 5b)로 도시한다.
도 6a 내지 도 6g는 제1 폴이 상승 인상 레일의 유지 요소들에 맞물릴 수 있고 제2 및 제3 폴들이 상승 레일에 체결된 지지 요소들에 맞물릴 수 있는, 3개의 폴을 갖는 제3 실시예의 본 발명에 따른 상승 부트의 3차원 외관도, 측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7f는 제1 폴이 상승 인상 레일의 유지 요소들에 맞물릴 수 있고 제2 및 제3 폴들이 상승 레일의 리세스들에 맞물릴 수 있는, 3개의 폴을 갖는 제4 실시예의 본 발명에 따른 상승 부트의 3차원 외관도, 측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8a, 도 8b는 제1 및 제2 폴들이 상승 인상 레일의 유지 요소들에 맞물릴 수 있고 제3 및 제4 폴들이 상승 레일의 리세스들에 맞물릴 수 있는, 4개의 폴을 갖는 제5 실시예의 개방 위치(도 8a) 및 폐쇄 위치(도 8b)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상승 부트의 3차원 외관도이다.
도 1a는 레일 안내 요소(3a, 3b)(레일 안내 요소(3b)는 레일 안내 요소(3a)에 의해 가려져서 도시되지 않음)들이 안내 상태, 즉 "폐쇄" 위치에 있는, "폐쇄" 위치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상승 부트(1)의 측면도이다. 상승 부트(1)는 제1 레일 안내 요소(3a)를 갖는 주 부트 몸체(2)를 가지며, 제1 레일 안내 요소는 피벗가능하도록 주 부트 몸체(2) 상에 배열된다. "폐쇄" 위치에서의 피벗된 안내 상태에서, 레일 안내 요소(3a, 3b)들 사이에 도입된 상승 레일은 레일 안내 요소들에 의해 안내된다. 상승 부트(1)는 주 부트 몸체(2)에 의해 구성되고, X 방향으로 예를 들어 원통 형상의 리세스(5a)를 갖는 수용 요소(5)를 가지며, 이 리세스는 Z 방향으로의 상승 방향의 반대인 음의 Z 방향, 즉 아래로 개방되어, 상승 부트(1)가 음의 Z 방향으로, 즉 위로부터 브래킷 요소 상에 배치될 때 브래킷 요소의 일부로서의 브래킷 요소의 브래킷 지지 요소를 수용한다. 도 1a 및 도 1b에서 아래에 추가로 도시된 바와 같이 브래킷 요소의 일부분에의 적용 또는 그 상에의 배치 후에, 수용 요소(5)는 브래킷 요소의 그 부분과 상호작용하여 상승 부트(1)의 하중을 브래킷 요소로 도입한다. 상승 부트(1)는 또한 주 부트 몸체(2)에 대해 활주가능하게 배열되고 주 부트 몸체(2)에 의해 안내되는 손잡이(7)가 제공된 활주 요소(6)를 가지며, 활주 요소(6)는 활주 요소가 주 부트 몸체(2) 및 제1 레일 안내 요소(3a)에 기계적으로 결합되고, 제1 레일 안내 요소(3a)가 안내 상태에 있을 때, 분리 방향(Z)으로의 주 부트 몸체(2)에 대한 활주 요소(6)의 활주 - 이 활주는 손잡이(7)의 작동에 의해 야기됨 - 가 상승 부트(1)를 상승 레일에 의해 안내되는 것으로부터 해제하기 위하여 제1 레일 안내 요소(3a)가 피벗되지 않은 초기 상태, 즉 "개방" 위치로 설정되게 하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도 1b는 레일 안내 요소(3a, 3b)(레일 안내 요소(3b)는 도시되지 않음)들이 안내 상태, 즉 "폐쇄" 위치에 있고 로킹 요소(4)가 로킹 상태에 있으며 폴 형태의 래칭/스냅 요소(도 1a에 도시되지 않음)가 유지 상태에 있는, 즉 각각의 경우에서 마찬가지로 "폐쇄" 위치에 있는, "폐쇄" 위치에서의 제2 실시예의 본 발명에 따른 상승 부트(1)의 측면도이다. 따라서, 상승 부트(1)는, 피벗가능하도록 주 부트 몸체(2) 상에 배열되고, 피벗된 로킹 상태에서, 즉 "폐쇄" 위치에서, 상승 부트(1)가 브래킷 요소 상에 분리가능하게 로킹되는 방식으로, 건립되는 건물의 콘크리트 타설 세그먼트의 브래킷 요소의 일부분과 상호작용하는 로킹 요소(4)를 갖는다. 특히, 상승 부트(1)는, 이러한 목적을 위해, 주 부트 몸체(2)에 의해 구성되고, X 방향으로 리세스(5a)를 갖는 수용 요소(5)를 가질 수 있으며, 이 리세스는 Z 방향으로의 상승 방향의 반대인 음의 Z 방향, 즉 아래로 개방되어, 상승 부트(1)가 음의 Z 방향으로, 즉 위로부터 브래킷 요소 상에 배치될 때 브래킷 요소의 브래킷 지지 요소를 수용한다. 이러한 경우, 수용 요소(5)는 로킹 요소(4)가 로킹 상태에 있을 때 상승 부트(1)를 브래킷 요소 상에 로킹하도록 주 부트 몸체(2)의 로킹 요소(4)와 상호작용한다. 상승 부트(1)는 또한 주 부트 몸체(2)에 대해 활주가능하도록 배열되고 주 부트 몸체(2)에 의해 안내되는 손잡이(7)가 제공된 활주 요소(6)를 가지며, 활주 요소(6)는 주 부트 몸체(2), 제1 레일 안내 요소(3a) 및 로킹 요소(4)에 기계적으로 결합되는 방식으로 설계되고, 제1 레일 안내 요소(3a)가 안내 상태에 있고 로킹 요소(4)가 로킹 상태에 있을 때, Z 방향으로 분리 방향으로의 주 부트 몸체(2)에 대한 활주 요소(6)의 활주 - 이 활주는 손잡이(7)의 작동에 의해 야기됨 - 는 제1 레일 안내 요소(3a) 및 로킹 요소(4)가 각각의 경우에 피벗되지 않은 초기 상태, 즉 "개방" 위치로 오프셋되게 하여 상승 부트(1)를 브래킷 요소로부터 분리시키고 이를 상승 레일에 의해 안내되는 것으로부터 해제시킨다.
도 1b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상승 부트(1)의 추가 실시예에 대해 아래에서 기술되는 모든 특징부들(이하 참조)은, 특징부들이 로킹 요소(4) 및 래칭/스냅 요소와 관련되지 않거나 이들 요소에 연결된다면, 도 1a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상승 부트(1)의 제1 실시예에도 적용된다.
도 1b로부터의 상승 부트는 도 2a에서 "폐쇄" 위치에서 천장 및 상승 레일(9)에의 체결을 위한 브래킷 요소(8a)와 함께 3차원 외관도에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서 도 2b에서의 상승 부트(1)는 추가 실시예에서의 벽에의 체결을 위한 브래킷 요소(8b)와 함께 "개방" 위치에서 도시되어 있다. 도 2a에서, 브래킷 요소(8a)는 Y 방향으로 배향되고, 예를 들어 나사 연결부에 의해, 이미 완성된 콘크리트 타설 세그먼트(도시되지 않음)에 체결될 수 있다. 둘 모두의 도면에서, 상승 부트(1)는 각각의 경우에 상승 방향, 즉 Z 방향으로 배향된 상승 레일(9) 상에서 도시되어 있다. 도 2a에서, 상승 부트(1)는, X/Z 평면 내에 배향된 상승 레일(9)의 부분들이 레일 안내 요소(3a, 3b)들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는 점에서, 레일 안내 요소(3a, 3b)들이 상승 레일(9)을 안내하는 "폐쇄" 위치에 있다. 2개의 레일 안내 요소(3a, 3b) 중 하나, 특히 제1 레일 안내 요소(3a)가 피벗가능하도록 설계된다면 본 발명을 위해 충분하지만, 도 1에 도시된 상승 부트(1)의 경우에, 제1 레일 안내 요소(3a) 및 제2 레일 안내 요소(3b) 둘 모두가 피벗가능하도록 주 부트 몸체(2) 상에 배열된다. "폐쇄" 위치에서, 브래킷 요소(8a)는 또한, 로킹 요소(4)에 의해 상승 부트(1) 상에, 더 정확하게는 상승 부트(1)의 주 부트 몸체(2) 상에 로킹되는데, 즉 분리가능하게 체결된다. 브래킷 요소(8a)는, X 방향으로 배향되고, 상승 부트(1)의 개구(5a) 내로 안내되어 수용 요소(5)에 의하여 로킹 요소(4)에 의해 고정되고 따라서 브래킷 요소(8a)를 상승 부트(1)에 연결하는 볼트 형태의 브래킷 지지 요소(8c)를 갖는다. 로킹 요소(4)가 로킹 상태에 있고 레일 안내 요소(3a, 3b)들이 상승 레일(9)이 레일 안내 요소(3a, 3b)들에 의해 안내되는 안내 상태에 있을 때, 활주 요소(6)는, 주 부트 몸체(2)에 대하여 음의 Z 방향으로의 활주 요소(6)의 활주가 가능하지 않은 방식으로, 주 부트 몸체(2)에 대하여 Z 방향으로 분리 방향의 반대로 손잡이(7)를 이용하여 삽입된다.
이와 대조적으로, 도 2b에서, 활주 요소(6)는, 레일 안내 요소(3a, 3b)들 및 로킹 요소(4)가 각각의 경우에 피벗되지 않은 초기 상태로, 즉 각각의 경우에 "개방" 위치로 설정되는 방식으로, Z 방향으로 활주함으로써 - 이 활주는 손잡이(7)의 작동에 의해 야기됨 - 주 부트 몸체(2)에 대해 활주된다. 손잡이(7)가 최대로 작동된 때, 활주 요소(6)는 레일 안내 요소들 및 로킹 요소를 각각의 경우에 "개방" 위치로 설정하기 위해 주 부트 몸체(2)에 대하여 Z 방향으로 더 이상 활주될 수 없다. 레일 안내 요소(3a, 3b)들 및 로킹 요소(4)가 "개방" 위치, 즉 그들의 초기 상태에 있을 때, 손잡이(7)가 Z 방향으로 작동된 후에, 상승 레일(9)은 레일 안내 요소(3a, 3b)들에 의해 안내되는 것으로부터 자유롭게 되고 브래킷 요소(8b)는 상승 부트(1)로부터 분리/해제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b에 따르면, 볼트 형태의 브래킷 수용 요소(8c)는 로킹 요소(4)에 의해 로킹되지 않고, 따라서 브래킷 요소(8b)는 상승 부트(1)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승 레일(9)은 또한, 예를 들어 터널의 건설을 위해, 예를 들어 상승 부트(1)가 천장 상의 레일-안내식 상승 시스템에 사용될 때, X 또는 Y 방향으로 배향될 수 있다. 레일 안내 요소(3a, 3b)들 및 로킹 요소(4)는, 주 부트 몸체(2) 상의 이들 요소의 연장가능 설비 또는 이들 요소의 부분들이 또한 가능하기 때문에, 피벗가능하도록 주 부트 몸체(2) 상에 배열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 활주 요소(6)는, 활주 요소(6)가 주 부트 몸체(2)에 대해 Z 방향으로 분리 방향으로 활주될 때, 레일 안내 요소(3a, 3b)들 및 로킹 요소(4)가 각각의 경우에 초기 상태, 즉 "개방" 위치로 설정되고 상승 부트가 손잡이(7)에 의해 Z 방향으로 브래킷 요소(8a, 8b) 및 상승 레일(9)로부터 그리고 브래킷 요소(8a, 8b) 및 상승 레일(9) 사이에서의 그의 위치로부터 멀어지게 분리되는 방식으로, 주 부트 몸체(2), 레일 안내 요소(3a 및/또는 3b)들 및 로킹 요소(4)에 결합된다. 위로의 상승 부트(1)의 분리 및 제거는 특히 한 손으로 Z 방향으로의 하나의 연속 이동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이는 건설 현장에서 사용자에 대해 쉽고 인체공학적이다. 다른 한편, 상승 부트(1)는 손잡이(7)에 의해 음의 Z 방향으로 브래킷 요소(8a, 8b)와 상승 레일(9) 사이에 유지될 수 있고, 손잡이(7) 및 이에 따라 활주 요소(6)를 주 부트 몸체(2)에 대해 음의 Z 방향으로 누름으로써 추가의 연속 이동으로 브래킷 요소(8a, 8b)와 상승 레일(9) 둘 모두에 결합/체결될 수 있다.
도 2c는 상승 부트(1)를 브래킷 요소(8a, 8b)와 상승 레일(9) 없이 3차원 외관도에서 도시하는데, 여기서 레일 안내 요소(3a, 3b들은 그들의 초기 상태와 안내 상태 사이의 위치에 있고, 로킹 요소(4)는 로킹 상태에 있으며, 폴 형태의 래칭/스냅 요소(10)는 유지 상태, 즉"폐쇄" 위치에 있다. 본 발명의 상승 부트(1)를 위해 요구되지 않지만, 도 1b에 따른 상승 부트(1)의 제2 실시예에서, 래칭/스냅 요소는, 피벗된 유지 상태, 즉 "폐쇄" 위치에서 상승 레일(9) 및/또는 상승 레일(9)에 대해 활주가능하고 상승 레일(9)에 의해 안내되는 상승 인상 레일(도시되지 않음)이 상승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즉 음의 Z 방향으로 상승 부트(1) 내에서 현수될 수 있는 방식으로 래칭/스냅 요소(10)를 유지하기 위한 상승 레일(9) 및/또는 상승 인상 레일의 유지 요소와 상호작용하기 위해 피벗가능하도록 주 부트 몸체(2)에 연결된다. 따라서, 활주 요소(6)는, 활주 요소가 주 부트 몸체(2), 레일 안내 요소(3a, 3b)들 및 로킹 요소(4)뿐만 아니라 폴 형태의 래칭/스냅 요소(10)에 기계적으로 결합되고, 상승 부트(1)를 브래킷 요소(8a, 8b)로부터 그리고 상승 레일(9)에 의해 안내되는 것으로부터 분리/해제할 뿐만 아니라 상승 부트를 상승 레일(9) 및/또는 상승 인상 레일로부터 분리하기 위하여, 레일 안내 요소(3a, 3b)들이 안내 상태에 있고 로킹 요소(4)가 로킹 상태에 있을 뿐만 아니라 래칭/스냅 요소(10)가 피벗된 유지 상태에 있는 경우에 Z 방향으로의 주 부트 몸체(2)에 대한 활주 요소(6)의 활주 - 이 활주는 손잡이(7)의 작동에 의해 야기됨 - 가 레일 안내 요소(3a, 3b)와 로킹 요소(4)뿐만 아니라 래칭/스냅 요소(10)가 각각의 경우에 피벗되지 않은 초기 상태, 즉 "개방" 위치로 설정되게 하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활주 요소(6)와 주 부트 몸체(2) 사이의 활주는 상승 부트(1)를 상승 레일(9)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완전하지 않다. 대신에, 손잡이(7)는 가능한 최대 활주의 대략 1/3로 당겨지고, 또한 클로로서 알려진 제1 및 제2 레일 안내 요소들은 그들의"폐쇄" 위치에 비해 약간 개방된다. 도 2c는 래칭/스냅 요소(10)를 그의 유지 상태, 즉 폐쇄 상태로 도시한다. 활주 요소(6)는 부분 활주에 의해 주 부트 몸체(2)에 대해 활주되며, 부분 활주에서 레일 안내 요소(3a, 3b)들은 그들의 초기 상태와 안내 상태 사이에 위치되는데, 즉 부분적으로 피벗되고, 로킹 요소(4)는 여전히 래칭/스냅 요소(10)처럼 "폐쇄" 위치에 있다.
상승 부트(1)는 Z 방향으로 길이방향 축 (L)을 가지는데, 여기서 상승 부트(1)는 길이방향 축(L)에 대해 X 방향 또는 음의 X 방향으로 축방향 대칭 방식으로 구성 및 설계된다. 활주 요소(6)는 X 방향 또는 음의 X 방향으로 돌출부(6a, 6b)들을 가지며, 이 돌출부들은 손잡이(7)가 작동되지 않고 이에 따라 상승 부트(1)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레일 안내 요소(3a, 3b)들이 초기 상태, 즉 "개방" 위치로 될 수 없는 것을 보장한다. 게다가, 손잡이(7)를 갖는 활주 요소(6)가 레일 안내 요소(3a, 3b)들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게 하는 활주 피벗 아암(3a2, 3b2)(도시되지 않음, 도 2j 참조)들은 레일 안내 요소(3a, 3b)들이 "개방" 위치로 이동할 수 없음을 보장한다. 따라서, 돌출부(6a, 6b)들은 레일 안내 요소(3a, 3b)들을 위한 안내 안전장치로서 역할한다. Y/Z 평면 내에서 슬롯들을 갖는 활주 요소(6)의 슬롯 요소들 사이에서, 상승 부트(1)는 핑거 그립(12)을 갖는 핑거 활주 요소(11)를 가지며, 이 핑거 활주 요소는, 주 부트 몸체(2), 활주 요소(6), 레일 안내 요소(3a, 3b)들 및 래칭/스냅 요소(10)에 결합되고, 손잡이(7)가 작동되지 않을 때, 실질적으로 Z 방향으로의 로킹해제 방향으로의 주 부트 몸체(2)와 활주 요소(6)에 대한 핑거 활주 요소(11)의 핑거 활주 - 이 핑거 활주는 핑거 그립(12)의 작동에 의해 야기됨 - 가 레일 안내 요소(3a, 3b)들이 초기 상태, 즉 "폐쇄" 위치에서 로킹되게 하고 래칭/스냅 요소(10)가 피벗되지 않은 초기 상태, 즉 "개방" 위치로 오프셋되게 하여서 상승 레일(9) 또는 상승 인상 레일이 상승 부트(1)에 의해서만 안내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래칭/스냅 요소(10)가 유지 상태에 있기 때문에, 핑거 활주 요소(11)는 작동되지 않는다.
도 2d는 도 2c의 일부의 확대도이다. 슬롯 요소(2a)들은 주 부트 몸체(2) 상에 제공되며, 슬롯(2b)들을 갖는 Y 방향으로의 이 슬롯 요소들은 X 방향 또는 음의 X 방향으로 길이방향 축(L)에 대해 대칭으로 오프셋되는데, 여기서 볼트의 형태의 중앙 액슬 요소(2c)는 Z 방향으로 활주가능하고 슬롯 요소(2a)들에 의해 X 방향으로 안내 및 배향된다. 활주 요소(6)는, X 방향 및 음의 X 방향으로 길이방향 축(L)에 대해 대칭적으로, 활주 슬롯(6d)들을 갖는 활주 슬롯 요소(6c)들을 가지는데, 여기서 중앙 액슬 요소(2c)는 활주 슬롯 요소(6c)들에 의해 안내된다. 활주 요소(6)는, 레일 안내 요소(3a, 3b)들을 초기 상태, 즉 "개방" 위치로 부분적으로 설정하기 위해 활주 슬롯(6d)들의 각각에서의 경로가 주 부트 몸체(2)에 대한 활주 요소(6)의 부분적 활주로서 실질적으로 음의 Z 방향으로 이동하는 방식으로, 주 부트 몸체(2)에 대해 Z 방향으로 활주된다. 손잡이(7)가 작동되지 않는 상승 부트(1)의 상태와 대조적으로, 도 2d의 예시에 따른 상승 부트(1)의 상태는, 활주 요소(6)가 활주 슬롯(6d)들의 경로에 의해 Z 방향으로 활주되며, 레일 안내 요소(3a, 3b)들에의 활주 요소(6)의 결합으로 인해, 레일 안내 요소(3a, 3b)들이 이러한 부분적 활주에 의해 그들의 유지 상태로부터 초기 상태로 부분적으로 오프셋되는 것이다.
도 2e는 도 2c에 도시된 상승 부트(1)의 제1 단면도이다. 단면은 길이방향 축(L)을 통해 연장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길이방향 축(L)에 대해 음의 X 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있다. 손잡이(7)를 갖는 활주 요소(6)는 활주 슬롯 요소(6c)들과 중앙 액슬 요소(2c)를 통해, Z 방향으로의 상부 단부에서 중앙 액슬 요소(2c)에 결합되고 음의 Z 방향으로의 하부 단부에서 활주 액슬 요소(4b)에 결합되는 로킹 아암(6e, 6f)들에 연결되며, 이 활주 액슬 요소는, 손잡이(7)가 Z 방향으로 작동될 때, 로킹 아암(6e, 6f)들이 마찬가지로 분리 방향으로 변위되고 로킹 요소(4)가 그의 초기 상태, 즉 "개방" 위치로 설정되게 하는 방식으로, 로킹 요소(4)에 결합된다. 래칭/스냅 요소(10)는 X 방향으로 배향된 래칭/스냅 액슬 요소(10a)를 중심으로 피벗가능하도록 주 부트 몸체(2)에 결합된다. 핑거 그립(12)을 갖는 핑거 활주 요소(11)는 래칭/스냅 요소(10)에 결합되는데, 여기서 핑거 활주 요소(11)는 중앙 액슬 요소(2c) 및 활주 슬롯 요소(6c)를 통해 활주 요소(6)에 결합된다. 이는 도 2c에 도시된 상승 부트(1)의 제2 단면도에서 더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서 이 도면의 단면은 도 2e의 단면에 비해 길이방향 축(L)의 방향으로, 즉 X 방향으로 이동되어 있다. 레일 안내 요소(3a), 손잡이(7)를 갖는 활주 요소(6) 및 주 부트 몸체(2)에 더하여, 핑거 그립(12)을 갖는 핑거 활주 요소(11)를 볼 수 있으며, 이 핑거 활주 요소는 중앙 액슬 요소(2c)에 의해 안내되기 위하여 Z 방향으로 상부 영역에서 슬롯을 갖고 음의 Z 방향으로 하부 영역에서 2개의 액슬 아암(11a, 11b)을 포함하며, 핑거 활주 요소의 하부 단부에서 래칭/스냅 요소(10)에 핑거 액슬 요소(10b)가 존재하고, 이 핑거 액슬 요소는 핑거 활주 요소(11)의 액슬 아암(10a, 10b)들을 서로 연결한다. 래칭/스냅 요소(10)는 스프링 요소 아암(10c)을 더 포함하고, 그의 하나의 스프링 요소(10d)는 상승 부트(1)의 본 실시예에서 압축 스프링으로서 설계되는데, 여기서 음의 Z 방향으로의 스프링 요소의 하부 단부에서 스프링 요소를 위한 지지가 로킹 요소(4)에 의해 제공된다. 로킹 아암(6e, 6f)들 대신에, 페이지 8 내지 페이지 10에 기술된 바와 같이, 파이프 나사 윤곽부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로킹 아암(6e, 6f)들 대신의 파이프 나사 윤곽부와 도 2e와 관련하여 설명된 다른 요소들과의 조합이 가능하다.
도 2g에서, 도 1b에 도시된 상승 부트(1)는 "개방" 위치에서 3차원 외관도로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서 레일 안내 요소(3a, 3b)들, 로킹 요소(4) 및 래칭/스냅 요소(10)는 초기 상태, 즉 "개방" 위치에 있다. 활주 요소(6)는 활주 슬롯(6d) 내의 경로에 의해서뿐만 아니라 주 부트 몸체(2)의 슬롯 요소(2a)의 슬롯(2b)에서 이동될 수 있는 Z 방향으로의 경로에 의해 활주된다. 따라서, Z 방향으로의 주 부트 몸체(2)에 대한 활주 요소(6)의 추가 활주는 가능하지 않다.
도 2h에서의 상승 부트(1)의 3차원 단면도에서, 중앙 액슬 요소(2c)는 액슬 아암(11a, 11b)들의 상부 단부에서 그리고 활주 슬롯 요소(6c)들 내의 활주 슬롯(6d)들의 하부 단부에서 안내된다. 게다가, 중앙 액슬 요소(2c)로 인해, 핑거 활주 요소(11)는 Z 방향으로의 분리 방향으로 활주 요소(6)에 의해 동반되어, 래칭/스냅 요소(10)는 그의 초기 상태, 즉 "개방" 위치로 설정되고, 스프링 요소(10d)는 스프링 요소 아암(10c)에 의해 압축되어 로킹 요소(4)에 압력을 가하여 로킹 요소(4)가 로킹 상태로 설정될 수 있다. Z 방향으로의 분리 방향으로의 활주 요소(6)의 활주의 결과로서, 래칭/스냅 요소(10)는 이에 따라 래칭/스냅 액슬 요소(10a)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스프링 요소 아암(10c)은 음의 Z 방향으로 변위되어 스프링 요소(10d)는 로킹 요소(4)의 지지 표면을 통해 로킹 요소에 압력을 가하여 "폐쇄" 위치에 도달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주 부트 몸체(2)에 대한 활주 요소(6)의 활주가 로킹 아암(6e, 6f)들이 중앙 액슬 요소(2c)에 의해 Z 방향으로 변위되게 하여 로킹 요소(4)가 활주 액슬 요소(4b)에 의해 "개방" 위치로 피벗된다는 사실에 의해 방지된다.
도 2i는 손잡이(7)를 갖는 활주 요소(6)가 주 부트 몸체(2)에 대해 활주된 상태에서의 상승 부트(1)의 단면을 도시하며, 이 활주는 레일 안내 요소(3a, 3b)들, 로킹 요소(4) 및 래칭/스냅 요소(10)가 각각의 경우에 초기 상태, 즉 "개방" 위치로 설정되게 한다. 예를 들어 손잡이(7)를 Z 방향으로 당기는 것에 의한 Z 방향으로의 활주 요소(6)의 추가 활주는 주 부트 몸체(2)에 대한 활주 요소(6)의 추가 활주를 초래하지 않는다. 활주 요소(6)는 로킹 요소(4)가 액슬 아암(6e, 6f)들에 의해 로킹 액슬 요소(4a)를 중심으로 피벗되는 방식으로 중앙 액슬 요소(2c)를 통해 핑거 활주 요소(11)에 결합된다. 래칭/스냅 요소(10)는 "개방" 위치까지 래칭/스냅 액슬 요소(10a)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데, 여기서 스프링 요소(10c) 내에서 안내되는 스프링 요소(10d)는, 로킹 요소가 액슬 아암(6e, 6f)들을 통해 안내되기 때문에, 초기 상태, 즉 "개방" 위치에 남아 있는 로킹 요소(4)의 지지 표면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도 2j는 "개방" 위치에서의 도 1b에 도시된 상승 부트의 배면도이다. 레일 안내 요소(3a, 3b)들은 레일 안내 액슬 요소(3a1, 3b1)들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안내되고, 상기 레일 안내 액슬 요소들을 통해 주 부트 몸체(2)에 결합된다. 손잡이(7)를 갖는 활주 요소(6)는 활주 피벗 아암(3a2, 3b2)들을 통해 레일 안내 요소(3a, 3b)들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활주 요소(6)가 Z 방향으로의 분리 방향으로 주 부트 몸체(2)에 대해 활주할 때 레일 안내 요소(3a, 3b)들을 Y 방향으로 피벗시키기 위해, 활주 피벗 아암(3a2)은 하부 단부에서 하부 활주 피벗 아암 액슬 요소(3a3)를 통해 레일 안내 요소(3a)에 결합되고 그의 상부 단부에서 상부 활주 피벗 아암 액슬 요소(6h)를 통해 활주 요소(6)에 결합된다. 길이방향 축(L)에 대한 상승 부트(1)의 축방향 대칭 설계로 인해, 활주 피벗 아암(3b1)은 음의 Z 방향으로의 그의 하부 단부에서 활주 피벗 아암 액슬 요소(3b3)를 통해 레일 안내 요소(3b)에 결합되고 Z 방향으로의 그의 상부 단부에서 상부 활주 피벗 아암 액슬 요소(6g)를 통해 활주 요소(6)에 결합된다. 상부 활주 피벗 아암 액슬 요소(6h, 6g)들을 위한 결합 지점들은 돌출부(6a, 6b)들 아래의 음의 Z 방향으로의 활주 요소(6)의 하부 부분에 배열된다. 활주 요소(6)는, 손잡이(7)가 Z 방향으로 작동된 후에, 주 부트 몸체(2)에 대한 활주 요소(6)의 추가 활주가 가능하지 않도록 활주 피벗 아암(3a2, 3b2)들이 Z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배향되는 방식으로, 활주 피벗 아암(3a2, 3b2)들에 의하여 레일 안내 요소(3a, 3b)들을 통해 주 부트 몸체(2)에 결합된다. 주 부트 몸체(2)에 대한 활주 요소(6)의 활주(VO)는 레일 안내 요소(3a, 3b)들, 로킹 요소(4), 및 래칭/스냅 요소(10)가 각각의 경우에 초기 상태, 즉 "개방" 위치에 있게 한다. 이 상태에서, 손잡이(7)의 상부 에지는 레일 안내 요소(3a, 3b)들을 수용하기 위해 주 부트 몸체(2)의 하부 지지부의 하부 에지로부터 거리(AO)만큼 이격된다.
도 2k에서, 도 1b로부터의 상승 부트(1)가 "폐쇄" 위치에서 배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돌출부(6a)는 레일 안내 요소(3a)가 "개방" 위치의 방향으로 피벗되는 것을 방지하고, 돌출부(6b)는 레일 안내 요소(3b)가 "개방" 위치의 방향으로 피벗되는 것을 방지한다. 레일 안내 액슬 요소(3a1, 3b1)들을 수용하기 위한 레일 안내 요소(3a, 3b)들의 지지부의 상부 에지로부터 돌출부(6a, 6b)들의 상부 에지까지 측정될 때, 주 부트 몸체(2)에 대한 활주 요소(6)의 활주는 0이다("폐쇄" 위치에서의 활주(VG) 참조). 활주 피벗 아암(3a2, 3b2)들은 X 방향으로 수평으로 배향되고, 레일 안내 요소(3a, 3b)들 상의 멈춤부들을 통해 활주 요소(6)가 주 부트 몸체(2)에 대해 음의 Z 방향으로 추가로 활주될 수 없음을 보장한다. 레일 안내 액슬 요소(3a1, 3b2)들을 수용하기 위한 주 부트 몸체(2)의 지지부의 하부 에지로부터 손잡이(7)의 상부 에지까지의 거리(AG)는 활주(VO)(도 2j 참조)만큼 거리(AO)보다 더 작다. 주 부트 몸체(2)에 대한 활주 요소(6)의 삽입된 상태로 인해, 핑거 활주 요소(11)의 핑거 그립(12)이 도 2j와 대조적으로 도 2k에서 보인다.
도 3a는 핑거 그립(12)이 실질적으로 Z 방향으로 로킹해제 방향으로 작동된 "폐쇄" 위치에서의 도 1b에 도시된 상승 부트(1)의 3차원 외관도를 도시한다. 레일 안내 요소(3a, 3b)들은 안내 상태에 있고, 폴 형태의 래칭/스냅 요소(10)는 초기 상태에 있다. 활주 요소(6)는 주 부트 몸체(2)에 대하여 음의 Z 방향으로 추가로 활주될 수 없는데, 여기서 핑거 그립(12)의 작동으로 인해, 핑거 활주 요소(11)는 래칭/스냅 요소가 그의 초기 상태, 즉 "개방" 위치로 변위되는 방식으로 래칭/스냅 요소(10)에 결합된다.
도 3b에서, 상승 부트(1)는 손잡이(7)가 작동되지 않은 상태에서, 즉 레일 안내 요소(3a, 3b)들이 안내 상태에 있고 래칭/스냅 요소(10)가 유지 상태에 있는 "폐쇄" 위치에서 도시되어 있다. 핑거 그립(12)이 작동되지 않기 때문에, 레일 안내 요소(3a, 3b)들, 로킹 요소(4) 및 래칭/스냅 요소(10)는 "폐쇄" 위치에 있다.
상승 부트(1)의 "폐쇄" 위치와 대조적으로, 도 3c에 도시된 상승 부트(1)의 "개방" 위치는 Z 방향으로 추가 활주가 더 이상 가능하지 않은 방식으로 손잡이(7)를 갖는 활주 요소(6)가 주 부트 몸체(6)에 대해 Z 방향으로 활주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레일 안내 요소(3a, 3b)들은 펼쳐지고 그들의 초기 상태에 있으며, 로킹 요소(4)는 초기 상태에서 "개방" 위치에 있고, 래칭/스냅 요소(10)는 초기 상태에 있는데, 그 이유는 실질적으로 Z 방향으로 로킹해제 방향으로 작동되는 핑거 그립(12)이 활주 요소(6)에 의해 동반되고 핑거 활주 요소(11)에 의하여 Z 방향으로 변위된다.
도 4a는 핑거 그립(12)이 로킹해제 방향으로 작동되고 래칭된 "폐쇄" 위치에서의 도 1b에 따른 상승 부트(1)의 측면도이다. 레일 안내 요소(3a, 3b)(3b는 3a에 의해 가려져서 도시되지 않음)들은 상승 레일(9)을 안내하기 위해 음의 Y 방향으로 유지 상태로 변위된다. 게다가, 로킹 요소(4)는 로킹 상태로 변환되며, 로킹 상태에서, 주 부트 몸체(2)의 수용 요소(5)와 함께, 로킹 요소는 그의 부분으로서 브래킷 요소(8a, 8b)의 브래킷 지지 요소(8c)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5a)를 형성한다. 중앙 액슬 요소(2c)는 활주 슬롯(6b)의 상부 부분에서 활주 요소(6)를 안내한다. 핑거 그립(12)을 갖는 핑거 활주 요소(11)가 뒤에 배열되는 액슬 아암(6f)은 주 부트 몸체(2)의 슬롯(2b)을 통해 볼 수 있다.
손잡이(7)가 작동되지 않고 핑거 그립(12)이 래칭된 상태에서의 상승 부트(1)가 도 4b에서 3차원 외관도로 도시되어 있다. 핑거 활주 요소(11)는, 래칭/스냅 요소(10)가 그의 초기 상태에 있는 반면에 레일 안내 요소(3a, 3b)들이 안내 상태에 있는 방식으로, 작동된 위치에서 중앙 액슬 요소(2c)에 래칭된다.
도 4c의 단면도는 중앙 액슬 요소(2c) 상의 래칭된 상태에서의 핑거 활주 요소(11)를 도시한다. 래칭을 위해, 핑거 활주 요소(11)는 길이방향 축(L)에 대해 X 방향으로 또는 음의 X 방향으로 동일한 거리로 길이방향 축(L)으로부터 일정 거리에 배열된 2개의 래칭 러그(lug)의 형태의 래칭 요소(11c)를 갖는다. 핑거 활주 요소(11)에 제공된 슬롯 - 이 슬롯을 통해 핑거 활주 요소(11)가 중앙 액슬 요소(2c)에 의해 안내됨 - 은 래칭 요소(11c)로 인해 Y 방향으로 불룩부(bulge)(11d)를 가지며, 이 불룩부 내에는 핑거 활주 요소(11)를 래칭하기 위해 중앙 액슬 요소(2c)가 수용된다. 로킹 상태에서, 핑거 그립(12)의 작동으로 인해, 핑거 활주 요소(11)는, 래칭/스냅 요소(1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스프링 요소(10d)가 로킹 요소(4)의 상부 부분에서의 지지 표면에 압력을 가하여 로킹 요소(4)를 로킹 상태, 즉 폐쇄 상태로 유지하는 방식으로, Z 방향으로 변위된다.
도 5a는 손잡이(7)가 작동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즉 핑거 그립(12)이 로킹해제 방향으로 작동되지 않은 "폐쇄" 위치에서의 도 1b에 도시된 상승 부트를 도시한다. 따라서, 래칭/스냅 요소(10)은 유지 상태에 있는데, 여기서 압력은 스프링 요소(10d)를 통하여 로킹 요소(4)의 상부 접촉 표면을 통해 로킹 요소에 여전히 가해진다. 핑거 그립(12)이 작동되지 않은 "폐쇄" 위치에서의 상승 부트(1)의 상태는 도 5a로부터 확대된 3차원 외관도로 도 5b에 도시되어 있다. 핑거 활주 요소(11)는 중앙 액슬 요소(2c)에 맞물리지 않는다. 손잡이(7)는 Z 방향으로의 분리 방향으로 작동되지 않고, 래칭/스냅 요소(10)는 상승 레일(9)에 의해 안내되고 이에 대해 변위될 수 있는 상승 인상 레일(9b)의 유지 요소에 맞물린다. 래칭/스냅 요소(10)가 상승 레일(9)의 소켓 내에 맞물리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도 6a에서, 상승 부트(1)는 제1 및 제2 상승 레일 외측 요소(9a1, 9a2)들을 갖는 상승 레일(9)에 결합된 "폐쇄" 위치에서의 3개의 래칭/스냅 요소(10, 10', 10")를 갖는 제3 실시예에서 도시되어 있다. 브래킷 요소(8a, 8b)에 결합된 상태에서, 브래킷 요소는, 수용 요소(5)들이 X 방향으로 배향될 브래킷 지지 요소(8c)를 둘러싸는 방식으로 Y 방향으로 상승 부트(1)에 인접할 것이다. 상승 레일 외측 요소(9a1, 9a2)들은 각각 C-형상인데, 여기서 상승 레일 외측 요소들은 X 방향으로 서로로부터 멀리 그리고 음의 X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향된다. 각각의 경우에, 제1 상승 레일 외측 요소(9a1) 및 제2 상승 레일 외측 요소(9a2)의 상부 레그는 각각 안내 상태, 즉 "폐쇄" 위치에 있는 레일 안내 요소(3a, 3b)들에 의해 둘러싸인다. 상승 레일 외측 요소(9a1, 9a2)는 X 방향으로 배향된 스트럿(strut)들에 의해 서로 거리로부터 일정 거리에서 서로 연결되고,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나사 연결부를 통해, 음의 Z 방향으로 상승 레일(9)을 따라 분포된다. 상승 레일 외측 요소들 사이에서, 상승 인상 레일 안내 요소(9a4)가 상승 인상 레일 안내 요소(9a4)에 의해 안내되고 상승 레일(9)에 대해 변위가능하게 배열되는 상승 인상 레일(9b)을 안내하기 위해, 예를 들어 추가 나사 연결부에 의해, 상승 레일 외측 요소들의 각각에 부착된다. 길이방향 축(L) 상에서 중심에 배열된 제1 래칭/스냅 요소(10)는 상승 인상 레일(9b)의 적어도 하나의 유지 요소에 맞물리고 따라서 상승 레일(9)을 상승 부트(1)에 결합시키도록 설계된다. X 방향으로 그리고 음의 X 방향으로, 상승 인상 레일의 유지 요소들 옆에서, 지지 요소들이 예를 들어 추가 나사 연결부(9a3)에 의해, Y 방향으로 상승 레일 외측 요소(9a1, 9a2)들의 각각에 체결된다. 도 6a의 평면도에서, 래칭/스냅 요소(10', 10")들 각각은 상승 인상 레일(9b)의 유지 요소들 및 상승 레일 외측 요소(9a1, 9a2)들의 지지 요소들 위에서 Z 방향으로 배열되는 반면, 래칭/스냅 요소(10)는 상승 인상 레일(9b)의 유지 요소 아래에 배열된다.
도 6b에서, 도 6a에 도시된 상승 부트(1)는 3차원 외관도에 도시되어 있다. 레일 안내 요소(3a, 3b)들은 안내 상태에 있으며, 이는 주 부트 몸체(2)에 대한 음의 Z 방향으로의 활주 요소(6)의 추가 활주가 가능하지 않은 방식으로, 손잡이(7)를 갖는 활주 요소(6)가 주 부트 몸체(2)에 대해 배열됨을 의미한다. 길이방향 축(L) 상에 배열된 중심 래칭/스냅 요소(10)는 X 방향으로 그리고 음의 X 방향으로 상기 래칭/스냅 요소에 인접하게 배열된 추가 래칭/스냅 요소(10', 10")들 사이에 위치된다. 래칭/스냅 요소(10, 10', 10")들 각각이 유지 상태, 즉 "폐쇄" 위치에 있기 때문에, 핑거 그립(12)이 제공된 핑거 활주 요소(11) - 핑거 활주 요소는 중앙 액슬 요소(2c)에 의해 안내됨 - 는 핑거 활주 요소(11)가 주 부트 몸체(2)에 대해 음의 Z 방향으로 활주될 수 없도록 작동되지 않는다.
도 6c는 도 6a에 도시된 상승 부트(1)의 단면도이다. 폴 형태의 래칭/스냅 요소(10)는 상승 인상 레일(9b)의 유지 요소에 맞물리는데, 여기서 상승 인상 레일(9b)의 유지 요소는, 지지 요소(9a5)가 음의 Z 방향으로 그의 하부 부분에서 래칭/스냅 요소(10') 상에 놓일 수 있는 방식으로, 유지 상태, 즉 "폐쇄" 위치에 있는 추가 래칭/스냅 요소(10")를 부분적으로 덮는다. 상승 인상 레일 안내 요소(9a4)는, 예를 들어 나사 또는 용접 연결부를 통해, 볼트에 의하여 제2 상승 레일 외측 요소(9a2)에 체결된다. 래칭/스냅 요소(10, 10', 10")들 각각이 유지 상태에 있기 때문에, 핑거 활주 요소(11)가 주 부트 몸체(2)에 대해 음의 Z 방향으로 활주되지 않는데, 즉 작동되지 않는데, 이는 또한 손잡이(7)에 적용되고, 그의 활주 요소(6)는 핑거 활주 요소(11)처럼 중앙 액슬 요소(2c)에 의해 안내된다. 작동되지 않은 손잡이(7)로 인해, 상승 부트(1)는, 수용 요소(5)와 상호작용하는 로킹 요소(4)가 로킹 상태, 즉 또한 "폐쇄" 위치에 있는 방식으로, "폐쇄" 위치에 있다. 중앙 래칭/스냅 요소(10)이 상승 인상 레일(9b)의 유지 요소들과 상호작용하는 것 및 추가 래칭/스냅 요소(10', 10")들이 추가 상승 인상 레일의 유지 요소들과 상호작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한데, 추가 상승 인상 레일은, 상승 인상 레일(9b)처럼, 상승 레일(9)을 상승 부트(1)에 체결하기 위해 상승 레일 외측 요소(9a1, 9a2)들 내에 배열된다. 이 경우에, 상승 레일 외측 요소(9a1, 9a2)는 지지 요소(9a5)(도시되지 않음)들을 갖지 않을 것이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승 레일(9) 및/또는 상승 인상 레일(9b)에 결합된 상승 부트(1)는 도 6d에서 3차원 외관도로 도시되어 있다. 중앙 래칭/스냅 요소(10)는 유지 상태에 있지만, 이는 상승 인상 레일(9b)의 유지 요소 상에 놓여 있지 않다. 추가 래칭/스냅 요소(10', 10")는 대조적으로, 상승 레일 외측 요소(9a1, 9a2)들의 각각에 체결되는 지지 요소(9a5) 상에 놓인다.
도 6e는 상승 인상 레일(9b) 및 지지 요소(9a5)들에 대한 래칭/스냅 요소(10, 10', 10")들의 배열을 더 잘 식별하기 위하여 상승 인상 레일(9b) 및 상승 레일 외측 요소(9a1, 9a2)들을 갖는 상승 레일(9)로부터 예를 들어 10 cm의 거리로 이격된 상승 부트(1)를 도시한다. 레일 안내 요소(3a, 3b)들, 래칭/스냅 요소(10, 10', 10")들 및 로킹 요소(4)는 손잡이(7)를 갖는 활주 요소(6)가 주 부트 몸체(2)에 대해 음의 Z 방향으로 추가로 활주될 수 없도록 "폐쇄" 위치에 있다.
도 6f는 상승 인상 레일 안내 요소(9a4)들에 의해 안내된 상승 인상 레일(9b)의 단면도이며, 이 상승 인상 레일은 그의 유지 요소들 중 하나에 의해 래칭/스냅 요소(10) 내에서 현수되고, 따라서 상승 시스템의 하중을 상승 레일(9)을 통해 상승 부트(1)로 전달한다. 래칭/스냅 요소(10', 10")들의 각각은 지지 요소(9a5)들의 하부 부분과 맞물리지 않아, 상승 시스템의 하중은 상승 인상 레일(9b)을 통해 상승 부트(1)로 그리고 상승 부트(1)를 통해 건립될 건물의 완성된 콘크리트 타설 세그먼트로 전달된다. 도 6f에 따른 상승 레일(9) 및 상승 인상 레일(9b)에 대한 상승 부트(1)의 상태와 대조적으로, 도 6g에서, 상승 시스템의 하중은 래칭/스냅 요소(10', 10")들을 통해 상승 부트(1)로 전달되는데, 여기서 중앙 래칭/스냅 요소(10)는 상승 인상 레일(9b)의 유지 요소에 맞물리지 않는다. 지지 요소(9a5)들은 Y 방향으로, 즉 상승 부트(1)에 대한 상승 인상 레일(9)의 방향으로, 상승 인상 레일 안내 요소(9a4)들의 반대편에 배열된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승 부트(1)의 추가 실시예에서, 중앙 래칭/스냅 요소(10) 및 추가 래칭/스냅 요소(10', 10")는, 상승 레일 외측 요소(9a1, 9a2)들을 갖는 상승 레일(9) 및 상승 인상 레일(9b)에 관하여, 중앙 래칭/스냅 요소(10)가 상승 인상 레일(9b)의 유지 요소에 맞물릴 수 있고 추가 래칭/스냅 요소(10', 10")들 각각이 상승 레일 외측 요소(9a1, 9a2)들의 유지 요소들로서의 리세스들에 맞물릴 수 있는 방식으로 배열된다. 대안적으로, 래칭/스냅 요소(10, 10', 10")와 상호작용하는 돌출부들은 또한 상승 레일 외측 요소(9a1, 9a2)들 및/또는 상승 인상 레일(9b) 상의 유지 요소들로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록들이 상승 레일 외측 요소(9a1, 9a2)들에 용접될 수 있으며, 이 블록들은 폴(10' 및/또는 10")에 맞물릴 수 있다. 상승 부트(1)와 관련하여 길이방향 축(L)에 대해 중심에 배열되지 않은 래칭/스냅 요소(10', 10")의 배열은 상승 부트(1)가 예를 들어 상승 레일(9)로부터 10 cm의 거리에 위치된다는 점에서 도 7a에 도시되어 있다.
도 7b는 상승 인상 레일(9b)을 갖는 상승 레일(9)에 결합된 "폐쇄" 위치에서의 상승 부트(1)의 상태를 도시한다. 길이방향 축(L)에 대해 중심에 배열되지 않은 래칭/스냅 요소(10', 10")들 각각은, 상승 레일(9)이 상승 부트(1)에 결합될 때, 리세스들을 통해 안내된 래칭/스냅 요소(10', 10")들의 부분들이 서로로부터 멀리 향하는 상승 레일 외측 요소(9a1, 9a2)들의 외측에 위치되는 방식으로, 상승 레일 외측 요소(9a1, 9a2)들의 리세스들에 맞물린다. 따라서, 상승 레일 외측 요소(9a1, 9a2)들 사이의 영역은 상승 인상 레일 안내 요소(9a4)들, 상승 인상 레일(9b), 및 길이방향 축(L) 상에서 중심에 배열된 래칭/스냅 요소(10)를 위해 확보된다.
도 7c에서, 상승 부트(1)는, 상승 인상 레일(9b)을 갖는 상승 레일(9)이 중심에 배열된 래칭/스냅 요소(10)에 인접하게 배열된 래칭/스냅 요소(10', 10")들에 의해 유지되도록 리세스들의 형태의 유지 요소(9a6)들 내에서 중심에 배열되지 않는 래칭/스냅 요소(10', 10")들과 맞물린다. 중앙 래칭/스냅 요소(10)는, 상승 인상 레일(9b)이 상승 레일 외측 요소(9a1, 9a2)들에 대하여 음의 Z 방향으로 후방으로 당겨지는 경우와 같이, 중앙 래칭/스냅 요소(10) 아래에서 음의 Z 방향으로 위치된 상승 인상 레일(9b)의 유지 요소와 맞물리지 않는다.
도 7c에 따른 상승 부트(1)에 대한 상승 레일(9)의 배열과 대조적으로, 도 7d는 상승 레일(9)에 결합된 상승 부트(1)의 외관도인데, 여기서 중심에 배열되지 않은 래칭/스냅 요소(10', 10")들은 유지 요소(9a6)들의 리세스들에 맞물리지 않지만, 상승 레일(9)은 상승 인상 레일(9b)의 유지 요소에 맞물리는 래칭/스냅 요소(10) 및 상승 인상 레일(9b)을 통해 상승 레일(1)에 의해 유지된다. 따라서, 상승 인상 레일(9b)은 상승 시스템의 하중을 중앙 래칭/스냅 요소(10)를 통해 상승 부트(1)로 전달하는데, 여기서 상승 레일 외측 요소(9a1, 9a2)들은 레일 안내 요소(3a, 3b)들에 의해 안내되고 상승 인상 레일(9b)에 대해 활주가능하다.
도 7e는 상승 레일(9)에 결합된 상승 부트(1)의 외관도인데, 여기서 중앙에 배열되지 않은 래칭/스냅 요소(10', 10")들은 상승 레일(9)을 상승 부트(1)에 결합시키기 위해, 유지 요소(9a6)로서 역할하는 상승 레일 외측 요소(9a1, 9a2)들의 리세스들에 맞물린다. 상승 인상 레일(9b)에 의해 가려지는 폴 형태의 중앙 래칭/스냅 요소(10)는 상승 인상 레일(9b)의 유지 요소에 맞물리지 않아, 상승 인상 레일(9b)은 유지 위치에 있지 않은 중앙 래칭/스냅 요소(10)에 대해 Z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승 인상 레일(9b)은, "폐쇄" 위치에 있는 래칭/스냅 요소(10)가 상승 인상 레일(9b)의 유지 요소에 맞물리지 않는 한, 중앙 래칭/스냅 요소(10)에 대하여 음의 Z 방향으로 또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승 부트(1)에 대한 상승 인상 레일(9b)의 이동 경로는 중앙 래칭/스냅 요소(10)에서의 맞물림으로부터 상승 인상 레일(9b)의 인접한 유지 요소들의 거리에 좌우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승 부트(1)의 폴(10)을 위한 Z 방향으로의 상승 인상 레일(9b)의 유지 요소들 사이의 거리는 추가 폴(10', 10")을 위한 상승 레일(9)의 리세스(9a6)들 사이의 거리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스트로크로도 불리는 이동 경로는 상승 레일(9)의 리세스들 사이의 거리 또는 상승 인상 레일(9b)의 유지 요소들 사이의 거리보다 더 크다. 상승을 위해 중첩 영역이 요구된다.
도 7f에서, 상승 부트(1)는 상승 부트(1)의 제4 실시예의 3차원 외관도에서, 상승 인상 레일(9b)을 갖는 상승 레일(9)에 대해 예를 들어 10 cm의 거리로 "폐쇄" 위치에서 도시되어 있다. 상승 부트(1)가 상승 부트(1)를 향하는 상승 레일 외측 요소(9a1, 9a2)들의 레그들 상에서 상승 레일(9)에 결합될 때 상승 부트(1)의 리세스들은 상승 레일(9)이 중심에 배열되지 않은 래칭/스냅 요소(10', 10")들에 맞물릴 수 있게 하는 유지 요소(9a6)들로서 역할한다. 길이방향 축(L)에 대해 중심에 배열된 래칭/스냅 요소(10)는 상승 레일 외측 요소(9a1, 9a2)들 사이에서 중심에 배열되는 상승 인상 레일(9b)의 유지 요소들에 맞물리도록 설계된다. 상승 부트(1)는 활주 요소(6)가 주 부트 몸체(2)에 대해 음의 Z 방향으로 활주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은 상태, 즉 손잡이(7)가 Z 방향으로 분리 방향으로 작동되지 않는 상태에 있어, 레일 안내 요소(3a, 3b)들은 안내 상태에 있고 로킹 요소(4)는 로킹 상태에 있으며 래칭/스냅 요소(10, 10', 10")들의 각각은 유지 상태에 있다.
손잡이(7)를 분리 방향으로, 예를 들어 Z 방향으로 작동시킴으로써, 상승 부트(1)는 레일 안내 요소(3a, 3b)들, 로킹 요소(4) 및 래칭/스냅 요소(10, 10', 10")들이 그들의 초기 상태, 즉 "개방" 위치에 있는 상태로 설정될 수 있다. 이는, 활주 요소(6)가 주 부트 몸체(2)에 대해 활주가능하도록 배열되고 주 부트 몸체(2), 레일 안내 요소(3a, 3b)들, 로킹 요소(4) 및 래칭/스냅 요소(10, 10', 10")들에 기계적으로 결합되며, 레일 안내 요소(3a, 3b)들이 안내 상태에 있고 로킹 요소(4)가 로킹 상태에 있으며 래칭/스냅 요소(10, 10', 10")들이 피벗된 유지 상태에 있을 때, 상승 부트(1)를 브래킷 요소(8a, 8b)(도 2a, 도 2b 참조)로부터 그리고 상승 인상 레일(9b)을 갖거나 갖지 않는 상승 레일(9)로부터 분리시키고 상승 부트를 상승 레일(9) 및/또는 상승 인상 레일(9b)에 의해 안내되는 것으로부터 해제하기 위하여, 주 부트 몸체(2)에 대한 활주 요소(6)의 활주(VO)(도 2j 참조) - 이 활주는 손잡이(7)의 작동에 의해 야기됨 - 가 레일 안내 요소(3a, 3b)들, 로킹 요소(4) 및 래칭/스냅 요소(10, 10', 10")들이 각각의 경우에 피벗되지 않은 초기 상태, 즉 "개방" 위치로 설정되게 하기 때문이다.
도 8a는 제5 실시예에서 개방 위치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상승 부트의 3차원 외관도인데, 여기서 상승 부트는 4개의 폴을 가지며, 여기서 제1 폴(101) 및 제2 폴(102)은 상승 인상 레일의 유지 요소들에 맞물릴 수 있고 제3 폴(10') 및 제4 폴(10")은 상승 레일의 리세스들에 맞물릴 수 있다. 활주 요소(6)는 슬라이드로도 지칭되는 파이프 스크루 윤곽부들에 의해 제1 레일 안내 요소(3a) 및 제2 레일 안내 요소(3b)에 기계적으로 결합된다. 이 실시예에서, 손잡이(7)는,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그리고 상승 부트의 길이방향 축(L)에 대해 실질적으로 대칭일 수 있는 레일(13a, 13b)들에 활주 요소(6)를 통해 연결된다. 상승 부트의 장착 상태에서, 레일(13a, 13b)들은 상승 부트의 길이방향 축(L)에 대응하는 오직 상승 방향으로 그리고 이의 반대로, 예를 들어 주 부트 몸체(2)에 대해 수직으로, 활주가능/이동가능하다. 레일(13a, 13b)은 활주 요소(6)의 일부로서 설계될 수 있다. 손잡이(7)가 상승 방향으로 이동될 때, 레일(13a, 13b)은 상승 방향으로, 예를 들어 위로 이동하며; 손잡이(7)가 상승 방향의 반대로 이동될 때, 레일(13a, 13b)은 상승 방향의 반대로, 예를 들어 아래로 이동한다.
레일(13a, 13b)에 평행하게, 길이방향으로 레일(13a, 13b)의 길이보다 그 길이가 더 짧은 추가 레일 부분(14a, 14b)은 예를 들어 레일(13a, 13b)의 상부 단부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승 방향으로의 레일(13a, 13b)의 일 단부에서 레일(13a, 13b)에 연결되며, 따라서 도 8b에 따른 폐쇄된 상승 부트의 경우에, 레일 안내 요소(3a, 3b)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레일 부분(14a, 14b)의 자유 단부가 주 부트 몸체(2)의 제1 리세스(15a, 15b) 및 제1 레일 안내 요소(3a)와 제2 레일 안내 요소(3b)의 제1 리세스(151) 둘 모두에 맞물릴 수 있는 방식으로 활주 요소(6)를 통해 손잡이(7)에 연결된다. 레일 부분(14a, 14b)의 자유 단부와 마찬가지로 주 부트 몸체(2)의 제2 리세스(16a, 16b) 및 또한 제1 레일 안내 요소(3a)와 제2 레일 안내 요소(3b)의 제2 리세스(162)(도 8a에서 레일 안내 요소(3b)에 대해서만 보이는데, 그 이유는 다른 레일 안내 요소(3a)에 대해서는 가려져 도시되어 있기 때문임)에 맞물릴 수 있는 레일(13a, 13b)의 다른 단부, 예를 들어 하부 단부는 레일 안내 요소(3a, 3b)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역할할 수 있다.
로드-형상의 요소(19a)(도 8a에서 레일(13b)에 대해서는 가려져 도시됨), 예를 들어 볼트는 각각의 경우에 레일의 길이방향 축에 직각으로 레일(13a, 13b)에 고정되고, 손잡이(7)가 상승 방향으로 또는 이의 반대로 변위될 때 레일(13a, 13b)과 함께 이동한다. 로드-형상의 요소(19a)는 로드-형상의 안내 요소, 예를 들어 레일에 평행하게 배열된 추가 레일 또는 원통 또는 액슬 요소(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안내될 수 있다. 제1 레일 안내 요소(3a) 및 제2 레일 안내 요소(3b)는 일정 폭을 갖는 제3 만곡형 리세스(18a, 18b)를 가지며, 이 폭은 로드-형상의 요소(19a)의 자유 단부 및/또는 일부분이 리세스(18a, 18b)에 맞물리게 하거나 리세스(18a, 18b)를 안내하게 하는데, 즉 리세스(18a, 18b) 내에서 움직이게 한다. 만곡형 리세스는 리세스(18a, 18b) 내에서 움직이는 로드-형상의 요소(19a)가 손잡이(7)의 작동에 의해 주 부트 몸체(2)에 대해 상승 방향으로 또는 그의 반대로 변위될 때 레일 안내 요소(3a, 3b)를 회전시키기 위해 나선형 또는 나삿니 프로파일을 갖는다. 상승 부트가 폐쇄될 때,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승 부트를 로킹해제하기 위한 손잡이(7)가 상승 방향으로, 즉 도 8b와 비교하여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로 작동되는/당겨지는 경우, 레일(13a, 13b)은 주 부트 몸체(2)가 정지하여 있을 때 상승 방향으로, 즉 위로 로드-형상의 요소(19a)와 함께 이동한다. 레일(13a, 13b) 및 로드-형상의 요소(19a)가 오직 상승 방향으로, 즉 위로 변위될 수 있기 때문에, 로드-형상의 요소(19a)는, 만곡형 리세스(18a)로 인해, 로드-형상의 요소(19a)가 이동할 수 있는 상승 방향으로의 로드-형상의 요소(19a)의 변위에 걸쳐 로드-형상의 요소(13a, 13b)의 위치에 리세스(19a)의 가상 직선이 형성되는 정도로 레일 안내 요소(13a, 13b)가 또한 회전하는 방식으로, 로드-형상의 요소(19a)의 변위 동안 레일 안내 요소(13a, 13b)를 안내한다.
제1 레일 안내 요소(3a) 및 제2 레일 안내 요소(3b) 각각은, 예를 들어 주 부트 몸체(2)에 대한 손잡이(7)의 변위 경로의 길이에 걸쳐, 제3 만곡형 리세스(18a)가 도입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통형인 중공 몸체(17a, 17b)를 포함한다. 따라서, 레일(13a, 13b)은, 손잡이(7)의 변위 동안 제1 레일 안내 요소(3a) 및 제2 레일 안내 요소(3b)를 주 부트 몸체(2)에 대해 회전되는 방식으로 안내하기 위하여 로드-형상의 요소(19a)가 그의 변위 경로 동안 리세스(18a)에 맞물릴 수 있는 방식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통형인 중공 몸체(17a, 17b)에서 안내될 수 있다. 상승 부트를 폐쇄하기 위하여 제1 레일 안내 요소(3a) 및 제2 레일 안내 요소(3b)가 주 부트 몸체(2)에 대해 회전되어야 하는 경우, 손잡이(7)는 상승 부트가 개방될 때와 동일한 방식으로 상승 방향의 반대로 주 부트 몸체(2)에 대해 변위되어, 레일(13a, 13b) 및 로드-형상의 요소(19a)가 오직 상승 방향의 반대로, 즉 아래로 변위될 수 있기 때문에, 로드-형상의 요소(19a)는 상승 부트를 "폐쇄" 위치로 설정하기 위하여 각자의 레일 안내 요소(3a, 3b)가 만곡형 리세스(18a)에 의해 회전되는 방식으로 로드-형상의 요소(19a)의 변위 동안 각자의 레일 안내 요소(3a, 3b)를 안내한다.
핑거 그립(12)은 제1 래칭/스냅 요소의 제1 폴(101)과 제2 폴(102) 및 제2 제2 래칭/스냅 요소의 제3 폴(10')과 제4 폴(10")을 작동시키도록 설계된다. 그러나, 제1 핑거 그립 요소 및 제2 핑거 그립 요소가 핑거 그립(12) 대신에 존재하는 것이 또한 가능한데, 여기서 제1 핑거 그립 요소는 제1 폴(101) 및 제2 폴(102)이 제1 핑거 그립 요소에 의해 작용될 수 있고 제3 폴(10') 및 제4 폴(10")이 제1 및 제2 폴(101, 102)들과 독립적으로 제2 핑거 그립 요소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승 부트는 상승 레일 또는 상승 인상 레일로부터 독립적으로 해제/로킹해제될 수 있다.
제1 래칭/스냅 요소들의 제1 및 제2 폴(101, 102)들은 상승 부트의 길이방향 축(L)으로부터 일정 거리에서, 특히 길이방향 축(L)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동일한 거리들에서 길이방향 축(L)에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실질적으로 제1 축 상에 배열되며, 추가 래칭/스냅 요소들로서의 제3 및 제4 폴(10', 10")들은 길이방향 축(L)으로부터 일정 거리에서, 특히 길이방향 축(L)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동일한 거리들에서 길이방향 축(L)에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제2 축 상에 상승 방향의 반대로 그로부터의 거리에 배열된다. 제1 래칭/스냅 요소의 제1 및 제2 폴(101, 102)들 및 제2 및 제3 추가 래칭/스냅 요소들의 제3 및 제4 폴(10', 10")들은 쌍들로 작동될 수 있다. 설계를 길이방향 축(L)에 직각으로 소형으로 유지하기 위해, 제1 래칭/스냅 요소의 2개의 폴(101, 102)은 상승 방향의 반대로, 즉 수직으로 추가 래칭/스냅 요소들의 제3 및 제4 폴(10', 10")에 대해 오프셋되어 배열된다. 제1 및/또는 추가 래칭/스냅 요소(들)은 또한 2개 초과의 폴을 가질 수 있다.
제1 및 제2 폴(101, 102)들의 길이방향 축(L)으로부터의 제1 거리들은 길이방향 축으로부터의 제3 및 제4 폴(10', 10")들의 제2 거리들과 상이한데, 여기서 제1 거리들은 제2 간격들보다 더 작도록 선택된다. 제1 및 제2 폴(101, 102)들은 상승 인상 레일과 상호작용하고, 제3 및 제4 폴(10', 10")들은 상승 레일과 상호작용한다. 제1 및 제2 폴(101, 102)들이 상승 레일과 상호작용하고 제3 및 제4 폴(10', 10")들이 상승 인상 레일과 상호작용하는 역 실시예가 또한 가능하다.
길이방향 축(L) 상에 위치되지 않은, 상승 부트(1)의 제3 또는 제4 실시예의 래칭/스냅 요소(10', 10")들과 같은, 예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기술된 본 발명의 특징부들은, 달리 지시되거나 기술적 이유로 그 자체로 금지되지 않는 한, 상승 부트(1)의 제1 또는 제2 실시예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또한 존재할 수 있다. 게다가, 래칭/스냅 요소(10, 10', 10")들은, 이들 요소가 손잡이(7) 및/또는 핑거 그립(12)에 의해 동시에 작동될 수 있는 제3 및 제4 실시예들에 대한 실시예들만이 도면들에 도시되고 묘사되었을지라도, 손잡이(7) 및/또는 핑거 그립(12)에 의해 서로 독립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1
상승 부트
2 주 부트 몸체
2a 슬롯 요소
2b 슬롯
2c 중앙 액슬 요소
3a 레일 안내 요소
3a1, 3b1 레일 안내 액슬 요소
3a2, 3b2 활주 피벗 아암
3a3, 3b3 하부 활주 피벗 아암 액슬 요소
3b 레일 안내 요소
4 로킹 요소
4a 로킹 액슬 요소
4b 활주 액슬 요소
5 수용 요소
5a 개구
6 활주 요소
6a, 6b 돌출부
6c 활주 슬롯 요소
6d 활주 슬롯
6e, 6f 로킹 아암
6g, 6h 상부 활주 피벗 아암 액슬 요소
7 손잡이
8a, 8b 브래킷 요소
8c 브래킷 지지 요소
9 상승 레일
9a1, 9a2 상승 레일 외측 요소
9a3 나사 연결부
9a4 상승 인상 레일 안내 요소
9a5 지지 요소
9a6 유지 요소
9b 상승 인상 레일
10, 101, 102, 10', 10'' 래칭/스냅 요소
10a 래칭/스냅 액슬 요소
10b 핑거 액슬 요소
10c 스프링 요소 아암
10d 스프링 요소
11 핑거 활주 요소
11a, 11b 액슬 아암
11c 래칭 요소
11d 불룩부
12 핑거 그립
13a, 13b 레일
14a, 14b 레일 부분
15a, 15b 레일 부분을 위한 주 부트 몸체의 리세스
151 레일 부분을 위한 레일 안내 요소의 리세스
16a, 16b 레일을 위한 주 부트 몸체의 리세스
162 레일 부분을 위한 레일 안내 요소의 리세스
17a, 17b 레일 안내 요소의 중공 몸체
18a, 18b 만곡형 리세스
19a 로드-형상의 요소
AG "폐쇄" 위치에서의 거리
AO "개방" 위치에서의 거리
L 길이방향 축
VG "폐쇄" 위치에서의 활주
VO "개방" 위치에서의 활주
2 주 부트 몸체
2a 슬롯 요소
2b 슬롯
2c 중앙 액슬 요소
3a 레일 안내 요소
3a1, 3b1 레일 안내 액슬 요소
3a2, 3b2 활주 피벗 아암
3a3, 3b3 하부 활주 피벗 아암 액슬 요소
3b 레일 안내 요소
4 로킹 요소
4a 로킹 액슬 요소
4b 활주 액슬 요소
5 수용 요소
5a 개구
6 활주 요소
6a, 6b 돌출부
6c 활주 슬롯 요소
6d 활주 슬롯
6e, 6f 로킹 아암
6g, 6h 상부 활주 피벗 아암 액슬 요소
7 손잡이
8a, 8b 브래킷 요소
8c 브래킷 지지 요소
9 상승 레일
9a1, 9a2 상승 레일 외측 요소
9a3 나사 연결부
9a4 상승 인상 레일 안내 요소
9a5 지지 요소
9a6 유지 요소
9b 상승 인상 레일
10, 101, 102, 10', 10'' 래칭/스냅 요소
10a 래칭/스냅 액슬 요소
10b 핑거 액슬 요소
10c 스프링 요소 아암
10d 스프링 요소
11 핑거 활주 요소
11a, 11b 액슬 아암
11c 래칭 요소
11d 불룩부
12 핑거 그립
13a, 13b 레일
14a, 14b 레일 부분
15a, 15b 레일 부분을 위한 주 부트 몸체의 리세스
151 레일 부분을 위한 레일 안내 요소의 리세스
16a, 16b 레일을 위한 주 부트 몸체의 리세스
162 레일 부분을 위한 레일 안내 요소의 리세스
17a, 17b 레일 안내 요소의 중공 몸체
18a, 18b 만곡형 리세스
19a 로드-형상의 요소
AG "폐쇄" 위치에서의 거리
AO "개방" 위치에서의 거리
L 길이방향 축
VG "폐쇄" 위치에서의 활주
VO "개방" 위치에서의 활주
Claims (22)
- 특히 상승 거푸집(climbing formwork), 상승 프레임, 보호 상승 벽 및/또는 상승 작업 플랫폼으로서 사용될 수 있는 레일-안내식(rail-guided) 상승 시스템용 상승 부트(climbing boot)(1)로서,
- 제1 및 제2 레일 안내 요소(3a, 3b)들을 갖는 주 부트 몸체(main boot body)(2)로서, 적어도 상기 제1 레일 안내 요소(3a), 특히 상기 제1 및 제2 레일 안내 요소(3a, 3b)들은, 피벗되고/되거나 연장된 안내 상태에서 상기 제1 레일 안내 요소(3a)와 상기 제2 레일 안내 요소(3b) 사이에 활주가능하게 배열된 상승 레일(9)이 상기 레일 안내 요소(3a, 3b)들에 의해 둘러싸인 상기 상승 레일(9)의 부분들에 의해 상기 레일 안내 요소(3a, 3b)들에 의해 안내되는 방식으로 피벗가능하고/하거나 연장가능하도록 상기 주 부트 몸체(2) 상에 배열되는, 상기 주 부트 몸체;
- 상기 주 부트 몸체(2) 상에 배열되는 수용 요소(5)로서, 상기 수용 요소는, 건물의 콘크리트 타설 세그먼트(concreting segment) 상에 고정 방식으로 배열된 브래킷 요소(8a, 8b)의 제1 부분에 상기 수용 요소(5)가 부착된 때, 상기 상승 부트(1)의 하중이 상기 브래킷 요소(8a, 8b) 내로 도입될 수 있는 방식으로, 상기 브래킷 요소(8a, 8b)의 상기 제1 부분과 상호작용하도록 설계된, 상기 수용 요소; 및
- 손잡이(7)가 제공된 활주 요소(6)로서, 상기 활주 요소는, 상기 활주 요소가 상기 주 부트 몸체(2) 및 상기 제1 레일 안내 요소(3a)에 기계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제1 레일 안내 요소(3a)가 상기 안내 상태에 있을 때 분리 방향(Z)으로의 상기 주 부트 몸체(2)에 대한 상기 활주 요소(6)의 활주(VO) - 상기 활주는 상기 손잡이(7)의 작동에 의해 야기됨 - 가 상기 상승 부트(1)를 상기 상승 레일(9)에 의해 안내되는 것으로부터 해제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레일 안내 요소(3a)가 피벗되지 않고/않거나 후퇴된 초기 상태로 설정되게 하는 방식으로 설계된, 상기 활주 요소
를 포함하는, 상승 부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 부트 몸체(2) 상에 피벗가능하고/하거나 연장가능하도록 배열되고, 피벗되고/되거나 연장된 로킹 상태에서 상기 상승 부트(1)가 상기 브래킷 요소(8a, 8b)에 해제가능하게 로킹되는 방식으로 상기 브래킷 요소(8a, 8b)의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수용 요소(5)와 상호작용하거나 상기 브래킷 요소(8a, 8b)의 제2 부분과 상호작용하도록 설계된 로킹 요소(4)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7)가 제공된 상기 활주 요소(6)는, 상기 활주 요소가 상기 주 부트 몸체(2), 상기 제1 레일 안내 요소(3a) 및 상기 로킹 요소(4)에 기계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제1 레일 안내 요소(3a)가 상기 안내 상태에 있고 상기 로킹 요소(4)가 상기 로킹 상태에 있을 때 분리 방향(Z)으로의 상기 주 부트 몸체(2)에 대한 상기 활주 요소(6)의 활주(VO) - 상기 활주는 상기 손잡이(7)의 작동에 의해 야기됨 - 가 상기 상승 부트(1)를 상기 상승 레일(9)에 의해 안내되는 것으로부터 해제하고 상기 상승 부트를 상기 브래킷 요소(8a, 8b) 상에 로킹되는 것으로부터 해제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레일 안내 요소(3a) 및 상기 로킹 요소(4)가 각각의 경우에 상기 피벗되지 않고/않거나 후퇴된 초기 상태로 설정되게 하는 방식으로 설계되는, 상승 부트.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피벗가능하고/하거나 연장가능하도록 상기 주 부트 몸체(2) 상에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래칭/스냅 요소(latching/snap element)(10, 101, 102, 10', 10")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래칭/스냅 요소는, 피벗되고/되거나 연장된 유지 상태에서 상기 상승 레일(9) 및/또는 상기 상승 레일(9)에 대해 변위될 수 있고 상기 상승 레일(9)에 의해 안내되는 상승 인상(lift) 레일(9b)이 상승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상기 상승 부트(1) 내에서 현수될 수 있는 방식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래칭/스냅 요소(10, 101, 102, 10', 10")를 유지하기 위한 상기 상승 레일(9) 및/또는 상기 상승 인상 레일(9b)의 유지 요소(9a6)와 상호작용하도록 설계되며, 상기 활주 요소(6)는, 상기 활주 요소가 상기 주 부트 몸체(2), 상기 제1 레일 안내 요소(3a) 또는 상기 제1 레일 안내 요소(3a)와 상기 로킹 요소(4), 및 부가적으로 래칭/스냅 요소(10, 101, 102, 10', 10")에 기계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제1 레일 안내 요소(3a)가 상기 안내 상태에 있거나 상기 제1 레일 안내 요소(3a)와 상기 로킹 요소(4)가 상기 로킹 상태에 있고 부가적으로 상기 래칭/스냅 요소(10, 101, 102, 10', 10")가 상기 피벗되고/되거나 연장된 유지 상태에 있을 경우에 상기 주 부트 몸체(2)에 대한 상기 활주 요소(6)의 활주(VO) - 상기 활주는 상기 손잡이(7)의 작동에 의해 야기됨 - 가 상기 상승 부트(1)를 상기 상승 레일(9)에 의해 안내되는 것으로부터 해제하거나 상기 상승 부트를 상기 상승 레일(9)에 의해 안내되는 것과 상기 브래킷 요소(8a, 8b) 상에 로킹되는 것으로부터 해제하기 위하여 그리고 부가적으로 상기 상승 부트를 상기 상승 레일(9) 및/또는 상기 상승 인상 레일(9b)에 의해 유지되는 것으로부터 자유롭게 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레일 안내 요소(3a) 또는 상기 제1 레일 안내 요소(3a)와 상기 로킹 요소(4), 및 부가적으로 상기 래칭/스냅 요소(10, 101, 102, 10', 10")가 각각의 경우에 상기 피벗되지 않고/않거나 후퇴된 초기 상태로 설정되게 하는 방식으로 설계되는, 상승 부트.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 부트(1)가 상기 브래킷 요소(8a, 8b)에 결합되고 상기 상승 부트(1)의 길이방향 축(L)이 상기 상승 방향으로 배향될 때, 상기 래칭/스냅 요소(10, 101, 102)는 상기 상승 부트(1)의 상기 길이방향 축(L) 상에 실질적으로 배열된 하나의 폴(pawl) 또는 상기 길이방향 축(L)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이격된, 특히 상기 길이방향 축(L)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동일한 거리들에 배열된 2개의 폴들을 포함하며, 상기 폴 또는 상기 2개의 폴들은, 상기 피벗되고/되거나 연장된 유지 상태에서, 상기 상승 레일(9)이 상기 상승 방향의 상기 반대 방향으로 상기 상승 부트(1) 내에서 현수될 수 있는 방식으로 상기 제1 래칭/스냅 요소(10, 101, 102)의 상기 폴 또는 상기 2개의 폴들을 유지하기 위한 상기 상승 레일(9)의 하나 이상의 유지 요소(9a6)와 상호작용하도록 설계되는, 상승 부트.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활주 요소(6)는, 상기 제1 레일 안내 요소(3a), 상기 제1 레일 안내 요소(3a)와 상기 로킹 요소(4), 상기 제1 레일 안내 요소(3a)와 상기 래칭/스냅 요소(10, 101, 102, 10', 10"), 또는 상기 제1 레일 안내 요소(3a), 상기 로킹 요소(4) 및 상기 래칭/스냅 요소(10, 101, 102, 10', 10")가 각각의 경우에 상기 피벗되지 않고/않거나 후퇴된 초기 상태에 있는 경우에 상기 분리 방향(Z)에 반대인 결합 방향으로의 상기 주 부트 몸체(2)에 대한 상기 활주 요소(6)의 활주(VO) - 상기 활주는 상기 손잡이(7)의 추가 작동에 의해 야기됨 - 가 상기 상승 부트(1)를 상기 상승 레일(9)의 안내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상승 부트(1)를 상기 상승 레일(9)의 상기 안내로 이동시키고 상기 상승 부트를 상기 브래킷 요소(8a, 8b) 상에 로킹하거나, 상기 상승 부트(1)를 상기 상승 레일(9)의 상기 안내로 이동시키고 상기 상승 부트를 상기 상승 레일(9) 및/또는 상승 인상 레일(9b)의 상기 유지 상태로 설정하거나, 상기 상승 부트(1)를 상기 상승 레일(9)의 상기 안내로 이동시키고 상기 상승 부트를 상기 브래킷 요소(8a, 8b) 상에 로킹하며 상기 상승 부트를 상기 상승 레일(9) 및/또는 상승 인상 레일(9b)의 상기 유지 상태로 설정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레일 안내 요소(3a)가 상기 안내 상태로 설정되게 하거나, 상기 제1 레일 안내 요소(3a)가 상기 안내 상태로 설정되고 상기 로킹 요소(4)가 상기 로킹 상태로 설정되게 하거나, 상기 제1 레일 안내 요소(3a)가 상기 안내 상태로 설정되고 상기 래칭/스냅 요소(10, 101, 102, 10', 10")가 상기 유지 상태로 설정되게 하거나, 상기 제1 레일 안내 요소(3a)가 상기 안내 상태로 설정되고 상기 로킹 요소(4)가 로킹 상태로 설정되며 상기 래칭/스냅 요소(10, 101, 102, 10', 10")가 상기 유지 상태로 설정되게 하는 방식으로 설계되는, 상승 부트.
- 제3항, 또는 제3항을 인용하는 한에서의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피벗가능하고/하거나 연장가능하도록 상기 주 부트 몸체(2) 상에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추가 래칭/스냅 요소(10', 10")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 래칭/스냅 요소는, 상기 피벗되고/되거나 연장된 유지 상태에서 상기 상승 레일(9) 및/또는 상기 상승 인상 레일(9b)이 상기 상승 방향에 반대인 방향으로 상기 상승 부트(1) 내에서 현수될 수 있는 방식으로 상기 추가 래칭/스냅 요소(10', 10")를 유지하기 위한 상기 상승 레일(9) 및/또는 상기 상승 인상 레일(9b)의 적어도 하나의 추가 유지 요소와 상호작용하며, 상기 래칭/스냅 요소(10, 101, 102, 10', 10")들은 상기 손잡이(7)에 의해 서로 동시에 또는 독립적으로 작동될 수 있는, 상승 부트.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 부트(1)가 상기 브래킷 요소(8a, 8b)에 결합되고 상기 상승 부트(1)의 길이방향 축이 상기 상승 방향으로 배향될 때, 상기 래칭/스냅 요소들 중 제1 래칭/스냅 요소(10)는 상기 상승 방향으로 상기 상승 부트(1)의 상기 길이방향 축(L) 상에 배열되고, 상기 래칭/스냅 요소들 중 제2 래칭/스냅 요소(10') 및 제3 래칭/스냅 요소(10")는 상기 길이방향 축(L)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이격되도록, 특히 동일한 거리들에 배열되는, 상승 부트.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래칭/스냅 요소(10)는 상기 제1 래칭/스냅 요소(10)를 래칭/스냅핑하기 위한 상기 상승 인상 레일(9b)의 상기 추가 유지 요소와 상호작용하는 방식으로 상기 주 부트 몸체(2)에 대해 배열되고, 상기 제2 래칭/스냅 요소(10') 및 제3 래칭/스냅 요소(10")들은, 상기 제2 래칭/스냅 요소(10') 및 제3 래칭/스냅 요소(10")들을 래칭/스냅핑하기 위하여, 이들이 상기 상승 인상 레일(9b)의 추가 유지 요소들과 또는 각각의 경우에 상기 제1 래칭/스냅 요소(10)를 래칭/스냅핑하기 위한 상기 상승 인상 레일(9b)의 상기 추가 유지 요소와 상이한 상기 상승 레일(9)의 추가 유지 요소들과 상호작용하는 방식으로 상기 주 부트 몸체(2)에 대해 배열되는, 상승 부트.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 부트(1)가 상기 브래킷 요소(8a, 8b)에 결합되고 상기 상승 부트(1)의 길이방향 축(L)이 상기 상승 방향으로 정렬될 때, 상기 제1 래칭/스냅 요소(101, 102)들의 제1 및 제2 폴들은 상기 길이방향 축(L)으로부터 일정 거리에서, 특히 상기 길이방향 축(L)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동일한 거리들에서 상기 길이방향 축(L)에 실질적으로 직각인 제1 축 상에 배열되고, 제2 추가 래칭/스냅 요소(10') 및 제3 추가 래칭/스냅 요소(10")는 상기 길이방향 축(L)으로부터 일정 거리에서, 특히 상기 길이방향 축(L)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동일한 거리들에서 상기 길이방향 축(L)에 실질적으로 직각인 제2 축 상에서 상기 상승 방향으로 또는 상기 상승 방향의 반대로 그로부터의 거리에 또는 상기 상승 방향으로 동일한 레벨에 배열되는, 상승 부트.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래칭/스냅 요소(101, 102)의 상기 제1 및 제2 폴들은 상기 길이방향 축(L)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동일한 제1 거리들에서 상기 길이방향 축(L)으로부터 이격된 상기 길이방향 축(L)에 실질적으로 직각인 상기 제1 축 상에 배열되고, 상기 제2 추가 래칭/스냅 요소(10') 및 상기 제3 추가 래칭/스냅 요소(10")는 상기 길이방향 축(L)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동일한 제2 거리들에서 상기 길이방향 축(L)으로부터 이격된 상기 길이방향 축(L)에 실질적으로 직각인 상기 제2 축 상에 배열되며, 상기 제1 및 제2 거리들은 서로 상이한데, 특히 상기 제1 거리들은 상기 제2 거리들보다 더 작도록 선택되고, 상기 제1 래칭/스냅 요소(101, 102)의 상기 제1 및 제2 폴들은, 상기 피벗되고/되거나 연장된 유지 상태에서 상기 상승 인상 레일(9b)이 상승 방향의 상기 반대 방향으로 상기 상승 부트(1) 내에서 현수될 수 있는 방식으로 상기 제1 래칭/스냅 요소(101, 102)의 상기 제1 및 제2 폴들을 유지하기 위한 상기 상승 인상 레일(9b)의 유지 요소(9a6)들과 상호작용하도록 설계되며, 상기 제2 추가 래칭/스냅 요소(10') 및 상기 제3 추가 래칭/스냅 요소(10")는, 상기 피벗되고/되거나 연장된 유지 상태에서 상기 상승 레일(9)이 상승 방향의 상기 반대 방향으로 또는 그 역으로도 상기 상승 부트(1) 내에서 현수될 수 있는 방식으로 상기 제2 추가 래칭/스냅 요소(10') 및 상기 제3 추가 래칭/스냅 요소(10")를 유지하기 위한 상기 상승 레일(9)의 하나 이상의 유지 요소와 상호 작용하도록 설계되는, 상승 부트.
-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 부트(1)가 상기 브래킷 요소(8a, 8b)에 결합되고 상기 상승 부트(1)의 길이방향 축이 수직 상승 방향으로 위로 배향될 때, 상기 손잡이(7)는 상기 상승 부트(1)의 상부 부분에 배열되거나 상기 상승 부트(1)의 상부 단부를 형성하며, 상기 활주 요소(6)는 상기 분리 방향(Z)으로의 상기 손잡이(7)의 상기 작동이 상기 주 부트 몸체(2)로부터 멀어지는 상기 상승 방향으로의, 특히 한 손으로의, 당김 이동에 의해 달성되는 방식으로 적어도 상기 주 부트 몸체(2)에 결합되는, 상승 부트.
- 제3항, 또는 제3항을 인용하는 한에서의 제4항 또는 제5항 및 제6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핑거 그립(finger grip)(12)이 제공되고 상기 주 부트 몸체(2) 및 상기 활주 요소(6)에 대해 활주가능하게 배열되는 핑거 활주 요소(11)를 포함하고; 상기 핑거 활주 요소는, 상기 핑거 활주 요소가 상기 주 부트 몸체(2), 상기 활주 요소(6), 상기 제1 레일 안내 요소(3a) 및 상기 래칭/스냅 요소(10, 101, 102, 10', 10")에 결합되며, 상기 제1 레일 안내 요소(3a)가 상기 안내 상태에 있거나 상기 제1 레일 안내 요소(3a)가 상기 안내 상태에 있고 상기 로킹 요소(4)가 상기 로킹 상태에 있으며 상기 래칭/스냅 요소(10, 101, 102, 10', 10")가 상기 유지 상태에 있는 경우에, 즉 상기 손잡이(7)가 작동되지 않는 경우에 로킹해제 방향으로의 상기 주 부트 몸체(2) 및 상기 활주 요소(6)에 대한 상기 핑거 활주 요소(11)의 핑거 활주 - 상기 핑거 활주는 상기 핑거 그립(12)의 작동에 의해 야기됨 - 가 상기 상승 부트(1)를 상기 상승 레일(9) 또는 상기 상승 인상 레일(9b)의 상기 유지 상태로부터 자유롭게 하고 상기 상승 레일(9) 또는 상기 상승 인상 레일(9b)을 상기 상승 부트(1)로부터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레일 활주 요소(3a)가 상기 피벗되고/되거나 연장된 안내 상태에서 로킹되게 하고 상기 래칭/스냅 요소(10, 101, 102, 10', 10")가 상기 피벗되지 않고/않거나 후퇴된 초기 상태로 설정되게 하는 방식으로 설계되며; 복수의 래칭/스냅 요소(10, 101, 102, 10', 10")들이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핑거 그립(12)은 상기 래칭/스냅 요소(10, 101, 102, 10', 10")들이 상기 핑거 그립(12)에 의해 동시에 또는 서로 독립적으로 작동될 수 있는 방식으로 설계되는, 상승 부트.
- 제12항에 있어서, 제1 핑거 그립 요소 및 제2 핑거 그립 요소를 갖는 상기 핑거 그립(12)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핑거 그립 요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래칭/스냅 요소(10, 101, 102)가 상기 제1 핑거 그립 요소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방식으로 설계되며, 상기 제2 핑거 그립 요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 래칭/스냅 요소(10', 10")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래칭/스냅 요소(10, 101, 102)와 독립적으로 상기 제2 핑거 그립 요소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방식으로 설계되는, 상승 부트.
-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 활주 요소(11)가 상기 주 부트 몸체(2) 및 상기 활주 요소(6)에 대해 핑거 변위만큼 변위될 때, 즉 상기 핑거 그립(12)이 작동될 때, 상기 핑거 활주 요소(11)가, 특히 예를 들어 볼트 또는 나사 형태의 중앙 액슬(axle) 요소(2c)에 의해, 상기 주 부트 몸체(2) 및/또는 상기 활주 요소(6)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래칭될 수 있도록 설계되는, 상승 부트.
-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7)는 제1 웨브(web)로서 설계되고 상기 핑거 그립(12)은 제2 웨브로서 설계되며, 상기 제1 및 제2 웨브들은, 상기 손잡이(7)가 파지될 때 상기 핑거 그립(12)이 작동될 수 있는 방식으로,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도록, 특히 서로로부터 3 내지 4 cm의 거리에 배열되는, 상승 부트.
-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승 부트(1)를 포함하는 레일-안내식 상승 시스템으로서, 상기 브래킷 요소(8a, 8b)는 상기 건물의 상기 콘크리트 타설 세그먼트 상에 고정 방식으로 배열되고, 상기 상승 레일(9)은, 특히 상기 상승 레일(9)에 대해 활주가능하고 상기 상승 레일(9)에 의해 안내되는 상승 인상 레일(9b)과 함께, 상기 주 부트 몸체(2)의 상기 레일 안내 요소(3a, 3b)들 사이에 활주가능하게 배열되는, 레일-안내식 상승 시스템.
- 방법으로서,
특히 상승 거푸집, 상승 프레임, 보호 상승 벽 및/또는 상승 작업 플랫폼으로서 사용될 수 있는 레일-안내식 상승 시스템을 위한, 건물의 콘크리트 타설 세그먼트에 결합된 상승 부트(1)를 분리하기 위하여,
a) 제1 및 제2 레일 안내 요소(3a, 3b)들을 갖는 주 부트 몸체(2)를 갖는 상기 상승 부트(1)를 제공하는 단계로서, 적어도 상기 제1 레일 안내 요소(3a), 특히 상기 제1 및 제2 레일 안내 요소(3a, 3b)들은, 피벗되고/되거나 연장된 안내 상태에서 상기 제1 레일 안내 요소(3a)와 상기 제2 레일 안내 요소(3b) 사이에 활주가능하게 배열된 상승 레일(9)이 상기 상승 레일(9)의 부분들이 상기 레일 안내 요소(3a, 3b)들에 의해 파지된다는 점에서 상기 레일 안내 요소(3a, 3b)들에 의해 안내되는 방식으로 피벗가능하고/하거나 연장가능하도록 상기 주 부트 몸체(2) 상에 배열되는, 상기 상승 부트를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주 부트 몸체(2) 상에 배열되는 수용 요소(5)를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수용 요소는, 상기 건물의 상기 콘크리트 타설 세그먼트 상에 고정 방식으로 배열된 브래킷 요소(8a, 8b)의 제1 부분에 상기 수용 요소(5)가 부착된 때, 상기 상승 부트(1)의 하중이 상기 브래킷 요소(8a, 8b) 내로 도입될 수 있는 방식으로, 상기 브래킷 요소(8a, 8b)의 상기 제1 부분과 상호작용하도록 설계된, 상기 수용 요소를 제공하는 단계; 및
c) 상기 주 부트 몸체(2)에 대해 활주가능하게 배열되고 상기 주 부트 몸체(2)에 의해 안내되는 손잡이(7)가 제공된 활주 요소(6)를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활주 요소는 상기 활주 요소가 상기 주 부트 몸체(2) 및 상기 제1 레일 안내 요소(3a)에 기계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제1 레일 안내 요소(3a)가 상기 안내 상태에 있을 때, 분리 방향(Z)으로의 상기 주 부트 몸체(2)에 대한 상기 활주 요소(6)의 활주(VO) - 상기 활주는 상기 손잡이(7)의 작동에 의해 야기됨 - 가 상기 상승 부트(1)를 상기 상승 레일(9)에 의해 안내되는 것으로부터 해제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레일 안내 요소(3a)가 피벗되지 않고/않거나 후퇴된 초기 상태로 설정되게 하는 방식으로 설계되는, 상기 활주 요소를 제공하는 단계;
d) 상기 손잡이(7)를 작동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주 부트 몸체(2)에 대한 상기 활주 요소(6)의 생성된 활주(VO)는 상기 제1 레일 안내 요소(3a)가 상기 피벗되지 않고/않거나 후퇴된 초기 상태로 설정되게 하는, 상기 손잡이를 작동시키는 단계;
e) 상기 손잡이(7)의 상기 작동의 결과로서 상기 브래킷 요소(8a, 8b)의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상기 수용 요소(5)를 분리하고 상기 상승 부트를 상기 상승 레일(9)에 의해 안내되는 것으로부터 해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안내식 상승 시스템을 위한, 상기 건물의 상기 콘크리트 타설 세그먼트에 결합된 상기 상승 부트(1)를 분리하기 위하여,
상기 상승 부트(1)는 상기 콘크리트 타설 세그먼트와 상기 상승 부트(1)에 의해 안내되는 상승 레일(9) 사이에 배열되고,
- 단계 b) 와 단계 c) 사이에서 하기의 단계 b1):
상기 주 부트 몸체(2) 상에 피벗가능하고/하거나 연장가능하도록 배열되고, 피벗되고/되거나 연장된 로킹 상태에서 상기 상승 부트(1)가 상기 브래킷 요소(8a, 8b)에 해제가능하게 로킹되는 방식으로 상기 브래킷 요소(8a, 8b)의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수용 요소(5)와 상호작용하거나 상기 브래킷 요소(8a, 8b)의 제2 부분과 상호작용하도록 설계된 로킹 요소(4)를 제공하는 단계
가 추가로 수행되며,
- 단계 c)에서, 상기 활주 요소(6)는, 상기 활주 요소가 상기 주 부트 몸체(2) 및 상기 제1 레일 안내 요소(3a)뿐만 아니라 부가적으로 상기 로킹 요소(4)에 기계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제1 레일 안내 요소(3a)가 상기 안내 상태에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로킹 요소(4)가 상기 로킹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분리 방향(Z)으로의 상기 주 부트 몸체(2)에 대한 상기 활주 요소(6)의 활주(VO) - 상기 활주는 상기 손잡이(7)의 작동에 의해 야기됨 - 가 상기 상승 부트(1)를 상기 상승 레일(9)에 의해 안내되는 것으로부터 해제하고 상기 상승 부트를 상기 브래킷 요소(8a, 8b) 상에 로킹되는 것으로부터 해제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레일 안내 요소(3a)뿐만 아니라 상기 로킹 요소(4)가 상기 피벗되지 않고/않거나 후퇴된 초기 상태로 설정되게 하는 방식으로 설계되고,
- 단계 d)에서, 상기 주 부트 몸체(2)에 대한 상기 활주 요소(6)의 상기 활주(VO) - 상기 활주는 상기 손잡이(7)의 상기 작동에 의해 야기됨 - 는 상기 제1 레일 안내 요소(3a)뿐만 아니라 상기 로킹 요소(4)가 상기 피벗되지 않고/않거나 후퇴된 초기 상태로 설정되게 하며,
- 단계 e)에서, 상기 수용 요소(5)가 상기 브래킷 요소(8a, 8b)의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분리되는 것과 상기 상승 부트가 상기 상승 레일(9)에 의해 안내되는 것으로부터 해제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상승 부트(1)가 상기 브래킷 요소(8a, 8b) 상에 로킹되는 것으로부터 해제되는, 방법. -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안내식 상승 시스템을 위한, 상기 건물의 상기 콘크리트 타설 세그먼트에 결합된 상기 상승 부트(1)를 분리하기 위하여,
상기 상승 부트(1)는 상기 콘크리트 타설 세그먼트와 상기 상승 부트(1)에 의해 안내되는 상승 레일(9) 사이에 배열되고,
- 단계 b) 와 단계 c) 사이에서 하기의 단계 b2):
피벗가능하고/하거나 연장가능하도록 상기 주 부트 몸체(2) 상에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래칭/스냅 요소(10, 101, 102, 10', 10")를 상기 상승 부트(1)에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래칭/스냅 요소는, 상기 피벗되고/되거나 연장된 유지 상태에서 상기 상승 레일(9) 및/또는 상기 상승 레일(9)에 대해 활주가능하고 상기 상승 레일(9)에 의해 안내되는 상승 인상 레일(9b)이 상승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상기 상승 부트(1) 내에서 현수되는 방식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래칭/스냅 요소(10, 101, 102, 10', 10")를 유지하기 위한 상기 상승 레일(9) 및/또는 상기 상승 인상 레일(9b)의 유지 요소와 상호작용하는, 상기 제공하는 단계
가 추가로 수행되며,
- 단계 c)에서, 상기 활주 요소(6)는, 상기 활주 요소가 상기 주 부트 몸체(2), 상기 제1 레일 안내 요소(3a) 또는 상기 제1 레일 안내 요소(3a)와 상기 로킹 요소(4)뿐만 아니라 상기 래칭/스냅 요소(10, 101, 102, 10', 10")에 기계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제1 레일 안내 요소(3a)가 상기 안내 상태에 있거나 상기 제1 레일 안내 요소(3a)가 상기 안내 상태에 있고 상기 로킹 요소(4)가 상기 로킹 상태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상기 래칭/스냅 요소(10, 101, 102, 10', 10")가 상기 피벗되고/되거나 연장된 유지 상태에 있을 경우에 상기 분리 방향(Z)으로의 상기 주 부트 몸체(2)에 대한 상기 활주 요소(6)의 활주(VO) - 상기 활주는 상기 손잡이(7)의 상기 작동에 의해 야기됨 - 가 상기 상승 부트(1)를 상기 상승 레일(9)에 의해 안내되는 것으로부터 또는 상기 상승 레일(9)에 의해 안내되는 것과 상기 브래킷 요소(8a, 8b) 상에 로킹되는 것으로부터 해제하기 위해서뿐만 아니라 상기 상승 부트를 상기 상승 레일(9) 및/또는 상기 상승 인상 레일(9b)의 유지 상태로부터 해제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레일 안내 요소(3a) 또는 상기 제1 레일 안내 요소(3a)와 상기 로킹 요소(4)뿐만 아니라 상기 래칭/스냅 요소(10, 101, 102, 10', 10")가 각각의 경우에 상기 피벗되지 않고/않거나 후퇴된 초기 상태로 설정되게 하는 방식으로 설계되고,
- 단계 d)에서, 상기 주 부트 몸체(2)에 대한 상기 활주 요소(6)의 상기 활주(VO) - 상기 활주는 상기 손잡이(7)의 상기 작동에 의해 야기됨 - 는 상기 제1 레일 안내 요소(3a) 또는 상기 제1 안내 요소(3a)와 상기 로킹 요소(4)뿐만 아니라 상기 래칭/스냅 요소(10, 101, 102, 10', 10")가 상기 피벗되지 않고/않거나 후퇴된 초기 상태로 설정되게 하며,
- 단계 e)에서, 상기 수용 요소(5)가 상기 브래킷 요소(8a, 8b)의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분리되는 것과 상기 상승 부트가 상기 상승 레일(9)에 의해 안내되는 것으로부터 해제되거나, 상기 수용 요소(5)가 상기 브래킷 요소(8a, 8b)의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분리되는 것과 상기 상승 부트가 상기 상승 레일(9)에 의해 안내되는 것으로부터 해제되는 것과 상기 상승 부트(1)가 상기 브래킷 요소(8a, 8b) 상에 로킹되는 것으로부터 해제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상승 부트(1)가 상기 상승 레일(9) 및/또는 상기 상승 인상 레일(9b)의 상기 유지 상태로부터 자유롭게 되는, 방법. - 제17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건물의 콘크리트 타설 세그먼트에 결합될 상승 부트(1)를 결합하기 위하여,
- 상기 활주 요소(6)는, 상기 제1 레일 안내 요소(3a), 상기 제1 레일 안내 요소(3a)와 상기 로킹 요소(4), 상기 제1 레일 안내 요소(3a)와 상기 래칭/스냅 요소(10, 101, 102, 10', 10"), 또는 상기 제1 레일 안내 요소(3a), 상기 로킹 요소(4) 및 상기 래칭/스냅 요소(10, 101, 102, 10', 10")가 각각의 경우에 상기 피벗되지 않고/않거나 후퇴된 초기 상태에 있는 경우에 상기 분리 방향(Z)에 반대인 결합 방향으로의 상기 주 부트 몸체(2)에 대한 상기 활주 요소(6)의 활주(VO) - 상기 활주는 상기 손잡이(7)의 추가 작동에 의해 야기됨 - 가 상기 상승 부트(1)를 상기 상승 레일(9)의 안내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상승 부트(1)를 상기 상승 레일(9)의 상기 안내로 이동시키고 상기 상승 부트를 상기 브래킷 요소(8a, 8b) 상에 로킹하거나, 상기 상승 부트(1)를 상기 상승 레일(9)의 상기 안내로 이동시키고 상기 상승 부트를 상기 상승 레일(9) 및/또는 상승 인상 레일(9b)의 상기 유지 상태로 설정하거나, 상기 상승 부트(1)를 상기 상승 레일(9)의 상기 안내로 이동시키고 상기 상승 부트를 상기 브래킷 요소(8a, 8b) 상에 로킹하며 상기 상승 부트를 상기 상승 레일(9) 및/또는 상승 인상 레일(9b)의 상기 유지 상태로 설정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레일 안내 요소(3a)가 상기 안내 상태로 설정되게 하거나, 상기 제1 레일 안내 요소(3a)가 상기 안내 상태로 설정되고 상기 로킹 요소(4)가 상기 로킹 상태로 설정되게 하거나, 상기 제1 레일 안내 요소(3a)가 상기 안내 상태로 설정되고 상기 래칭/스냅 요소(10, 101, 102, 10', 10")가 상기 유지 상태로 설정되게 하거나, 상기 제1 레일 안내 요소(3a)가 상기 안내 상태로 설정되고 상기 로킹 요소(4)가 로킹 상태로 설정되며 상기 래칭/스냅 요소(10, 101, 102, 10', 10")가 상기 유지 상태로 설정되게 하는 방식으로 설계되는, 방법. - 제17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건물의 콘크리트 타설 세그먼트에 결합된 상승 부트(1)를 분리하기 위하여,
- 상기 상승 부트(1)가 수직 상승 방향으로 위로 배향될 때, 상기 손잡이(7)는 상기 상승 부트(1)의 상부 부분에 배열되거나 상기 상승 부트(1)의 상부 단부로서 형성되며,
- 상기 활주 요소(6)는 상기 분리 방향(Z)으로의 상기 손잡이(7)의 상기 작동이 상기 주 부트 몸체(2)로부터 멀어지는 위로의 상기 수직 상승 방향으로의, 특히 한 손으로의, 당김 이동에 의해 달성되는 방식으로 적어도 상기 주 부트 몸체(2)에 기계적으로 결합되고,
- 상기 상승 방향으로의 연속적인 당김 이동에서, 상기 상승 부트(1)는 상기 상승 레일(9) 및/또는 상기 상승 인상 레일(9b)에 의해 안내되는 것으로부터 해제되거나, 상기 상승 레일(9) 및/또는 상기 상승 인상 레일(9b)에 의해 안내되는 것으로부터 해제되고 상기 브래킷 요소(8a, 8b) 상에 로킹되는 것으로부터 해제되거나, 상기 상승 레일(9) 및/또는 상기 상승 인상 레일(9b)에 의해 안내되는 것으로부터 해제되고 상기 상승 레일(9) 및/또는 상기 상승 인상 레일(9b)의 상기 유지 상태로부터 자유롭게 되거나, 상기 상승 레일(9) 및/또는 상기 상승 인상 레일(9b)에 의해 안내되는 것으로부터 해제되고 상기 브래킷 요소(8a, 8b) 상에 로킹되는 것으로부터 그리고 상기 상승 레일(9) 및/또는 상기 상승 인상 레일(9b)의 상기 유지 상태로부터 해제되며 상기 손잡이(7)에 의해 상기 콘크리트 타설 세그먼트로부터 제거되는, 방법. - 제21항에 있어서, 건물의 콘크리트 타설 세그먼트에 결합될 상승 부트(1)를 결합하기 위하여,
- 손잡이(7)에 의해 유지되는 상기 상승 부트(1)는 상기 브래킷 요소(8a, 8b) 위에서 상기 콘크리트 타설 세그먼트에 더 가깝게 되고,
- 상기 분리 방향(Z)에 반대인 상기 결합 방향으로의 상기 상승 방향 반대로의 연속 이동에서, 상기 수용 요소(5)는 상기 브래킷 요소(8a, 8b)의 상기 제1 부분에 적용되고, 상기 상승 부트(1)는 상기 피벗되고/되거나 연장된 안내 상태로 설정되거나, 상기 피벗되고/되거나 연장된 안내 상태로 설정되고 상기 브래킷 요소(8a, 8b) 상에 로킹되거나, 상기 피벗되고/되거나 연장된 안내 상태로 설정되고 상기 상승 레일(9) 및/또는 상기 상승 인상 레일(9b)의 상기 유지 상태로 설정되거나, 상기 피벗되고/되거나 연장된 안내 상태로 설정되고 상기 브래킷 요소(8a, 8b) 상에 로킹되며 상승 레일(9) 및/또는 상기 상승 인상 레일(9b)의 상기 유지 상태로 설정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DE102020134813.4A DE102020134813A1 (de) | 2020-12-23 | 2020-12-23 | Kletterschuh für ein schienengeführtes Klettersystem |
DE102020134813.4 | 2020-12-23 | ||
PCT/EP2021/087274 WO2022136540A1 (de) | 2020-12-23 | 2021-12-22 | Kletterschuh für ein schienengeführtes klettersytem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18629A true KR20230118629A (ko) | 2023-08-11 |
Family
ID=80112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7023089A KR20230118629A (ko) | 2020-12-23 | 2021-12-22 | 레일-안내식 상승 시스템용 상승 부트 |
Country Status (8)
Country | Link |
---|---|
US (1) | US20240044156A1 (ko) |
EP (1) | EP4267816B1 (ko) |
KR (1) | KR20230118629A (ko) |
CN (1) | CN116635602A (ko) |
AU (1) | AU2021405707A1 (ko) |
CA (1) | CA3205452A1 (ko) |
DE (1) | DE102020134813A1 (ko) |
WO (1) | WO2022136540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4017707A1 (de) * | 2022-07-20 | 2024-01-25 | Hünnebeck GmbH | Kletterschuh, klinkenvorrichtung, befestigungsteil und verfahren |
DE102022123650A1 (de) | 2022-09-15 | 2024-03-21 | Peri Se | Rahmenschalungselement für ein Wandschalungssystem, Wandschalungssystem und Verfahren zum Aufbau eines Wandschalungssystems |
DE102022123654A1 (de) | 2022-09-15 | 2024-03-21 | Peri Se | Rahmenschalungselement |
CN116181041B (zh) * | 2023-04-25 | 2023-08-15 | 中铁建工集团有限公司 | 一种多层快速施工的造楼机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05030332A1 (de) * | 2005-06-29 | 2007-01-04 | Peri Gmbh | Angelenkter Kletterschuh einer Kletterschalung |
DE102005030333C5 (de) | 2005-06-29 | 2017-09-28 | Peri Gmbh | Teilbarer Kletterschuh einer Kletterschalung |
DE102006026201B4 (de) * | 2006-06-06 | 2008-04-10 | Doka Industrie Gmbh | Selbstklettersystem |
EP2365159B1 (en) * | 2010-03-05 | 2013-01-30 | ULMA C y E, S. COOP. | Self-climbing perimetric protection system for construction works in buildings |
ES2705718T3 (es) | 2016-05-04 | 2019-03-26 | Ulma C Y E S Coop | Cabeza trepante para fijar un andamio trepante a una sección de hormigón de un edificio en construcción |
PL3272967T3 (pl) * | 2016-07-21 | 2019-09-30 | Ulma C Y E, S. Coop. | System kotwiący do kotwienia głowicy wznoszącej |
IT201800008150A1 (it) | 2018-08-22 | 2020-02-22 | Faresin Formwork Spa | Dispositivo di supporto e guida di una trave di cassaforma rampicante e tale trave |
DE102019115346A1 (de) | 2019-06-06 | 2020-12-10 | Peri Gmbh | Anordnung von einer kletterschiene und einer kletterhubschiene für ein schienengeführtes klettersystem |
-
2020
- 2020-12-23 DE DE102020134813.4A patent/DE102020134813A1/de active Pending
-
2021
- 2021-12-22 US US18/258,889 patent/US20240044156A1/en active Pending
- 2021-12-22 CN CN202180087194.1A patent/CN116635602A/zh active Pending
- 2021-12-22 KR KR1020237023089A patent/KR20230118629A/ko unknown
- 2021-12-22 AU AU2021405707A patent/AU2021405707A1/en active Pending
- 2021-12-22 EP EP21843983.4A patent/EP4267816B1/de active Active
- 2021-12-22 CA CA3205452A patent/CA3205452A1/en active Pending
- 2021-12-22 WO PCT/EP2021/087274 patent/WO2022136540A1/de active Application Fi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A3205452A1 (en) | 2022-06-30 |
US20240044156A1 (en) | 2024-02-08 |
EP4267816B1 (de) | 2024-09-18 |
DE102020134813A1 (de) | 2022-06-23 |
AU2021405707A1 (en) | 2023-06-29 |
AU2021405707A9 (en) | 2024-05-02 |
WO2022136540A1 (de) | 2022-06-30 |
EP4267816A1 (de) | 2023-11-01 |
CN116635602A (zh) | 2023-08-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230118629A (ko) | 레일-안내식 상승 시스템용 상승 부트 | |
US9303418B2 (en) | Climbing cylinder of self-climbing formwork | |
KR0167801B1 (ko) | 비계판 | |
WO2014137031A1 (ko) | 퀵커플러의 자동 안전장치 | |
US20100212237A1 (en) | Articulated Climbing Plate for a Climing Shuttering | |
EP0064673A2 (en) | Apparatus for jacking up and supporting a structure | |
EP4098818B1 (en) | Cantilever structure and its method of attachment | |
WO2011010178A1 (en) | Carrier head with bolt mechanism for ram actuated climbing systems | |
KR101860866B1 (ko) | 슬래브 거푸집 지지용 서포트 해체장치 | |
KR101969434B1 (ko) | 갱폼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
CN216918320U (zh) | 核环境下具有自锁及解锁功能的吊装装置 | |
EP2518239A1 (en) | A climbing head for hoisting a self-climbing protection system for construction works in buildings | |
CN215443028U (zh) | 一种落地式脚手架转悬挑式脚手架的转换结构 | |
US7708916B2 (en) | Device and method for displacing a floor table mold | |
JP7204521B2 (ja) | 枠組足場用足場板 | |
JP6388040B2 (ja) | 建築用板材の持上げ工具 | |
KR102199396B1 (ko) | 거푸집 자동 해체 기능을 갖는 인양용 장치 및 이를 갖는 거푸집 | |
IE20090645A1 (en) | A method and apparatus for erecting a mobile scaffold tower | |
CN221316176U (zh) | 一种小型预制构件脱模转运装置 | |
JP4045201B2 (ja) | 枠組足場用手摺枠 | |
FI75311C (fi) | Anordning foer loestagbar fastsaettning av en stolpe vid ett lastflak och en laem eller liknande vid stolpen. | |
CN216553239U (zh) | 一种可以快速组装的建筑工地钢筋加工棚 | |
KR102053189B1 (ko) | 이동 및 변형이 용이한 작업대차 | |
WO2013127001A1 (en) | Platform hoist | |
IT202100001778A1 (it) | Unita' di risalit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