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7326B1 - 체크 밸브 - Google Patents

체크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7326B1
KR0167326B1 KR1019950031659A KR19950031659A KR0167326B1 KR 0167326 B1 KR0167326 B1 KR 0167326B1 KR 1019950031659 A KR1019950031659 A KR 1019950031659A KR 19950031659 A KR19950031659 A KR 19950031659A KR 0167326 B1 KR0167326 B1 KR 01673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body
valve
shaft
check valve
valve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1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4734A (ko
Inventor
무쓰오 세키야
다카카스 토지모도
마사시 와키사카
히로후미 도이
Original Assignee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기타오카 다카시
Publication of KR960014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47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73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73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09Check valves or pivoted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14Check valves with flexible valve members
    • F16K15/1402Check valves with flexible valve members having an integral flexible member co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seating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25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the valve being loaded by a sp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14Check valves with flexible valv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14Check valves with flexible valve members
    • F16K15/148Check valves with flexible valve members the closure elements being fixed in their cent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10T137/7837Direct response valves [i.e., check valve type]
    • Y10T137/7838Plural
    • Y10T137/7839Dividing and recombining in a single flow path
    • Y10T137/784Integral resilient member forms plural val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10T137/7837Direct response valves [i.e., check valve type]
    • Y10T137/7879Resilient material valve
    • Y10T137/7888With valve member flexing about securement
    • Y10T137/789Central mou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10T137/7837Direct response valves [i.e., check valve type]
    • Y10T137/7904Reciprocating valves
    • Y10T137/7922Spring biased
    • Y10T137/7929Spring coaxial with valve
    • Y10T137/7935Head slides on guide-rod concentric with sp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ck Valves (AREA)

Abstract

체크밸브는 금속부싱이 일체형성된 고리모양 고무재료로 된 밸브체를 포함되여 있다.
밸브체의 중심에는 구멍이 마련되어 있고, 이 구멍을 통하여 샤프트가 관통하고 있다.
샤프트의 주위에는 스프링이 감겨있고, 또 밸브체의 뒷면은 금속부싱을 통해 스프링의 한쪽끝에서 지지되고 있다. 상부가 평면으로 되어있는 원추형 스톱퍼의 중앙부에는 오목부가 있고, 이는 밸브체의 하류에 설치되어 밸브체의 이동량과 변형량을 제한한다.
스톱퍼는 샤프트와 샤프트의 한쪽 끝사이에 고정시킨다.
이와같이하여 유체저항을 대폭으로 줄일 수 있고, 또 역류압력에 대항하는 충분한 압력방지방법을 세울 수 있는 고도로 신로할 수 있는 체크밸브를 만들 수 있다.

Description

체크밸브(Check Valve)
제1도는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의한 밸브체가 당힌상태의 체크밸브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의한 밸브체가 열린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3(a), 3(b) 및 3(c)도는 극도로 변형된 상태에서의 체크밸브의 주요부의 닫힌상태 및 열린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4도는 제1 및 2 도에서 나타내는 체크밸브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5도는 제1 및 2도에서 나타내는 체크밸브의 압력손실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
제6도는 본 발명의 체크밸브의 다른 실시예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체크밸브의 또 다른 실시예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체크밸브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체크밸브의 또 다른 실시예의 하류부의 단면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체크밸브의 또 다른 실시예 외부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11도는 밸브체가 닫힌상태인 종래의 체크밸브의 단면도.
제12도는 밸브체가 열린상태인 종래의 체크밸브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대한 부호의 설명
1 : 밸브체 2 : 스프링
3 : 밸브시트 4 : 스토퍼
5 : 상류측 중공케이스 6 : 하류측 중공케이스
11 : 금속부싱 12 : 밸브체
13 : 샤프트 13c : 홈
14 : 너트(nut) 30 : 연통공
40 : 코크고정부 50 : 개구부
60 : 개구부 51 : 스로틀부
61 : 나사부(screw 部)
본 발명은 예컨데 내연기관용 2차 공기공급 시스템 등에 이용되며, 일정방향으로만 흐름을 통과시키는 체크배브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 종류의 체크밸브로서는, 리드(read)라고 불리우는 금속박판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리드밸브타입과, 원판형 고무판의 탄성력을 이용한 디스크형 밸브가 잘 알려져 있다.
제11도, 제12도는, 후자의 타입인 종래의 디스크타입 체크밸브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제11도는 밸브체(體)의 닫힌상태, 그리고 제12도는 밸브체의 열린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면에 있어서 (1)은 밸브체, (2)는 스프링, (3)은 밸브시트, (4)는 스토퍼, (5)는 상류측 중공케이스, (6)은 하류축 중공케이스, (30)은 연통공, (40)은 코크 고정부(caulked fixing portion), (50) 및 (60)은 각각 상류측 중공케이스(5), 하류측 중공케이스(6)의 개구부이다.
밸브체(1)은, 고무판등의 탄성자료로 이루어져 있고, 그 하루측에 배설(配設)된 스프링(2)에 의해 밸브시트에 마련된 연통공(30)을 닫는 방향으로 눌러 붙어져 있다.
또 스토퍼(4)는, 밸브체(1) 및 스프링(2)를 통하여 밸브시트(3)의 중앙부에 코크 고정부(40)(caulked fixing)에 의해 고정되며, 밸브체(1)과 스프링(2)를 유지하고 있다.
또, 밸브시트(3)의 외연부는, 유체의 입구가 되는 개구부(50)을 가지는 상류측 중공케이스(5)와, 유체의 출구가 되는 개구부(60)을 가지는 하류측 중공케이스(6)로 크램프되고 고정되어 있다.
다음에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체크 밸크의 상류측에 유체가 공급되는 경우, 우선, 밸브시트(3)의 연통공(30)을 막는 밸브체(1)에 그 유체압력이 인가되며, 유체의 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밸브체(1) 및 스프링(2)의 탄성변형량이 증대하여, 상류측 중공케이스(5)의 개구부(50)으로부터 유입한 유체가 하류측 중공케이스(6)의 개구부(60)으로 통과된다.
이 경우에, 체크밸브는, 유체압력이 높을수록, 밸브체(1) 및 스프링(2)의 변형량이 커지며, 다량의 유체를 통과시키나, 그 변형량은 스 토퍼(4)에 의해 제한된다.
상류측 중공케이스(5)내와 하류측 중공케이스(6) 내의 압력차가 0 또는 작은 경우는, 스프링(2)의 탄성력에 의해 밸브체(1)은 밸브시트(3)에 눌려져서 닫힌 상태로 된다.
다음에, 정상적인 흐름방향에 대하여 반대방향으로 하류측 중공케이스(6)로부터 상류측으로 향해 유체압력이 인가되는 경우, 밸브체(1)는 자신의 복원력과 스프링(2)의 누르는 힘이 가해져서, 유체압력을 받으므로, 밸브체(1)의 저지력이 증가하여, 유체의 역류를 방지하는 것이다.
종래의 체크밸브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흐름저항이 보다 작고 또, 역류에 대한 보다 높은 기능이 요구되는데도, 제11, 제12 도에 나타낸 것 같이 체크밸브에서 유체압력에 의해서 고무질 밸브체(1) 및 스프링(2)은 탄성 변형된다. 즉, 필연적으로 흐름에 대한 저항이 커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밸브체(1)을 변형하기 쉽게 하는 것이 궁리 되었으나, 이와 같은 해결방법은, 밸브체(1)의 역류압력에 대한 내성(耐性)을 저하시켜, 체크밸브의 신뢰성을 저하시키게 된다.
또, 선행기술로서는 일본국 실용신안공보 소 56-67466 또는 일본국 특허공보 소 50-27121호에 나타나 있는 것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비추어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이루어질 것으로, 유체저항(flow resistance)을 대폭적으로 경감할 수 있는 동시에 역류압력에 대해서 충분한 내성을 가지며, 신뢰성이 높은 체크밸브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또 다른 목적은 밸브체의 횡방향의 회전운동을 구속할 수가 있고, 내진성 등의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는 체크밸브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밸브체가 스라이딩 하는 부위에 오염물질이 들어온 경우라도 밸브체의 이동에 지장이 없고 신뢰성이 높은 체크밸브를 얻는 것을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체크밸브는 유체로부터 받는 압력에 따라 변형할 수 있는 밸브시트의 하류층에 설치된 가요성(可撓性)의 밸브체와, 적어도 밸브체에 유체의 압력이 인가되어있지 않는 경우에 밸브시트의 연통공을 폐쇄하도록 밸브방향으로 작동하는 작동수단과, 유체의 압력에 따라 변형하는 밸브체가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밸브를 지지함과 동시에 밸브체가 받는 유체압력이 소정치에 도달한 경우에는 밸브체가 이동하여 이동한도에 도달하도록 밸브체의 이동범위를 제한하는 밸브체 이동지지 수단과를 구비한 것이다.
동작에 있어서는, 유체압력이 밸브체에 인가되지 않으면, 작동수단이 밸브시트속을 연동공을 폐쇄하도록 밸브시트방향으로 밸브체를 작동한다. 적당한 유체압력이 중공케이스에 발생하여 밸브체에 인가된다고 하면, 밸브체는 일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유체압력에 따라서 변형된다.
일반적으로 그 방향은 내부 유체흐름의 방향과 일치하며, 이러므로서 체크밸브는 유체를 일정방향으로 통과시킨다. 또, 뺄브체에 인가된 유체압력이 일정치에 도달할 때에는, 밸브체는 이동 한계점에 도달하기 위해 이동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유체흐름의 방향으로 밸브체를 움직이므로 흐름 경로의 단면적을 충분하게 확보할 수가 있으며, 이로인해 압력손실을 대폭적으로 경감할 수 있다.
한 실시예를 따르면, 체크밸브의 밸브이동/지지수단은 소정방향에 평행으로 뻗는 밸브시트에 결합된 샤프트부와 샤프트부를 따라 스라이드 할 수 있도록 샤프트부에 고정되고 밸브체와 연결되어 있는 실린더부로 되어 있다. 동작에 있어서, 밸브체와 결합되어 있는 실린더부는 샤프트부를 따라 스라이드 한다.
이러므로서 밸브체가 유체압력을 받을 때에는 밸브체는 일정방향으로 확실하게 움직이게 된다.
또, 체크밸브의 실린더부에는 다각형 실린더가 있고, 또 샤프트부에는 실린더부에 따라 다각형 샤프트가 있다. 동작에 있어서, 밸브체가 움직이게 될 때 역회전운동은 제한을 받는다.
따라서, 예컨데 회전으로 인한 밸브체의 손상을 피할 수 있다. 샤프트부의 표면에는 홈이 파여져 있고 이것이 일정방향으로 뻗어있다.
이 겨웅에, 오염물질이 실린더부와 샤프트부 사이의 밸브체의 스라이딩부에 들어간다고 하더라도 홈속에 모아서 제거할 수 있다. 이렇게 하므로서 밸브체의 이동에 지장을 주는 오염물질들을 방지하 수 있다.
본 발명의 새로운 특징은 첨부한 도면과 연관시켜서 살펴보면 더욱 명백해진다. 그러나 도면은 어디까지나 설명만을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한계를 정의하려는 목적은 아니라는 거슬 이해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1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면서 설명한다. 제1 및 2도는 본 발명인 체크밸브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1도는 밸브소자의 닫힌상태(closed state)를, 제2도는 밸브소자의 열린상태(open state)를 나타낸다.
제3도는 유체의 유동율(flow rate)에 의해 밸브체 주위의 작동을 나타내는 체크밸브의 주요부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제4도는 체크밸브의 주요부만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2는 스프링, 즉, 작동기구, 3은 밸브시트, 4는 스토퍼, 5는 상류측 중공케이스, 6은 하류측 중공케이스, 11은 금속부싱, 즉 실린더부, 12는 밸브체, 13은 샤프트, 즉, 샤프트부, 30은 밸브시트(3)에 마련되어 있는 연통공이다.
실시예에 있어서, 밸브체 작동/지지기구에는 스토퍼(4), 금속부싱(11), 그리고 샤프트(13)을 포함하고 있다.
밸브체(12)는 금속부싱(11)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실질적으로 고리모양의 가요성 고무로 되어있다. 구멍이 밸브소자(12)의 중심에 마련되어 있고 샤프트(13)는 구멍을 통과하고 있다.
스프링(2)는 밸브시트(3)의 방향으로 밸브체를 작동하기 위해 샤프트(13)의 주위에 설치되어 있다. 밸브체(12)의 뒷면은 스프링(2)의 끝에 있는 금속부싱(11)를 통해서 지지되고 있다.
스프링의 한쪽끝은 금속부싱(11)의 돌출부의 표면에 확실하게 장착되어 있다. 스토퍼(4)는 밸브체(12)의 하류에 배치되어 있으며 이는 밸브체(12)의 운동량과 변형량을 제한하기 위해서이다.
스토퍼(4)는 샤프트(13)과 샤프트(13)의 한쪽끝(13b)과의 사이에 크램프 고정되어 있다. 스토퍼(4)는 중간부에 오목부가 있는 원추형으로 되어 있다.
스프링(2)는 오목부에 수용되어 있으며, 이 스프링의 다른 끝은 오목부의 밑부분과 접촉되어 있다. 즉, 밸브체(12)는 금속부싱(11)와 스프링(2)를 통해서 스토퍼(4)의 오목부위에 지지되고, 밸브체(12)의 이동방향은 샤프트(13)에 의해 지정된다.
제4도에 나타낸 것같이, 복수의 연통공(30)은 샤프트(13)와 그 샤프트(13)의 다른 끝(13a)사이에 크램프되고 고정된 디스크형 밸브시트(3)에 설치되어 있다.
제1 및 2도에 나타낸 것같이 밸브시트(3)의 외측가장자리는 상류측 중공케이스(5)와 하류측 중공케이스(6)사이의 조인트에서 크램프되고 고정되어 있다.
다음 작동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유체가 공급되지 않을 때에는 실시예의 체크밸브에 있어서, 밸브체(12)는 밸브시트(3)의 방향으로 스프링(2)에 의해 눌려지나, 밸브시트(3)의 연통공은 제1 및 3(a)도에서 표시하듯이 폐쇄된 상태이다.
위의 경우와 반대로, 유체가 상류측 중공케이스(5)를 관통하여 공급될 때에는 밸브체(12)에 인가되는 유체압력은 그의 뒷면에 배열되어 있는 스프링(2)의 누르는 힘을 초과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밸브체(12)는 하류의 샤프트(13)을 따라 움직이므로 그의 중심부의 인근의 밸브체(12)의 뒷면이 먼저 스토퍼(4)와 닿는다.
이때, 밸브시트(3)과 밸브체(12)사이의 큰 간격은 유로의 단면적을 철저히 확대함으로써, 체크밸브의 유체저항을 대폭적으로 줄인다. 이 경우에 체크밸브는 제 3(b)도에 나타나내는 것 같은 상태이다.
상류유체압력이 높아질 때에는, 밸브체(12)와 밸브시트(3)사이를 정해진 유로를 통과한 유체의 동적압력은 유체속도의 제곱에 비례해서 증가한다.
따라서, 변형량은 밸브체(12)의 외측 가장자리에서 많아지며, 이는 제2 및 3(c)도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밸브체(12)의 계속적인 변형을 가져온다. 이것은 유로의 단면적이 더욱 커지게 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스토퍼(4)는 밸브체(12)의 최대 변형량을 제한한다.
제5도는 실시예의 체크밸브의 압력손실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면에 있어서, 횡좌표는 상류와 하류사이의 압력차분(△P)을 나타내고, 종좌표는 체크밸브를 관통하는 유체의 유출비율을 나타낸다.
점선은 제11 및 제12도에 표시하는 종래의 체크밸브에 있어서의 본래의 특성 곡선이고, 실선은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본래의 다른 특성곡선이다.
제5도에 나타내는 것같이 이 실시예의 체크밸브에 있어서 밸브체(12)를 작동시키기 위한 압력차이(△P1)에 의한 흐름이 발생되지 않거나 발생한다고 하더라도 소량이 발생한다.
압력차가 압력차 △P1을 초과하면, 밸브체(12)는 밸브시트(3)와 밸브체(12) 사이를 정해진 유로의 단면적을 대폭적으로 확대하여, 이로서 대량의 유체를 흐르게 한다.
만일 압력차 △P가 더욱 증가하면, 밸브체(12)는 더욱 크게 변형되어 유체경로의 단적을 더욱 크게 한다.
체크밸브의 상류를 통해서 공급되는 유체의 유출비율의 감소나 종료될 밸브체(12)는 그의 뒷면에 배열된 스프링(2)의 복원력에 의해 자연적으로 동작되며, 밸브시트(3)의 연통공(30)을 봉쇄한다.
또, 유체압력이 체크밸브의하류로부터 인가될 때에는, 스프링(2)에 의해 발생된 힘과 유체압력은 밸브체(12)가 닫힌 상태에 있는 동안 밸브체(12)의 뒷면에 인가된다.
이것이 시링효과(Sealing effect)를 제고시키기 위해 밸브시트(3)에 밸브체(12)의 누르는 힘을 증가시키며, 이는 체크밸브의 기능을 더욱 향상시키는 결과를 가져온다.
실시예에 있어서, 하류로 밸브체를 움직이게 하는 스라이딩부는 밸브시트의 하류에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샤프트(13)은 밸브체(1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보스부(boss portion)는 밸브시트(3)에 마련될 수 있으며, 도 밸브체의 스라이딩부는 밸브시트의 상류에 배열될 수도 있다는 것을 유의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 경우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6도는 본 발명의 체크밸브의 다른 예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실시예에 1에서는 금속부싱(11)과 샤프트(13)은 원형부를 가지고 있었으나 이 실시예에서는 금속부싱(11)과 샤프트(13)은 다각형상을 가지고 있다.
다음에 동작에 대한 설명을 한다.
이 실시예의 체크밸브는 기본적으로는 실시예 1의 체크밸브와 같이 동작한다.
실시예 1에서 기술한 원형금속부싱(11)과 원형샤프트(13)의 경우에 있어서는, 스프링(2)만이 회전운동에 대항하는 구속력을 발생한다.
따라서, 스프링(2)의 공진이 외부진동등으로 유발될 때에는, 구속력이 상실되고 이것은 실시예 1에 있어서는, 밸브체(12)의 회전진동을 야기한다. 이 결과로 금속부싱(11)과 샤프트(13)의 피로, 스프링의 파손, 밸브체(12)의 손상등 위험성이 있다.
이것에 반하여, 이 실시예의 급속부상(11)과 샤프트(13)는 그들의 다각형상 때문에 밸브체(12)의 회전운동을 제한할 수 있고, 이러므로서 우수한 내구성을 가지는 체크밸브를 확보할 수 있다.
제7도는 본 발명의 체크밸브의 다른 또 하나의 실시예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13a는 샤프트(13)의 세로방향으로 뻗은 흠을 가르킨다.
금속부싱(11)과 샤프트(13)은 실시예 2에 있어서는 다각형 단면형상을 하고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금속부싱(11)과 샤프트(13)은 성형(星形) 단면형상을 하고 있고, 성형구조를 갖추기 위해 샤프트에는 복수의 홈이 파여져 있다.
그러면,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체크밸브는 실시예 1, 2의 체크밸브와 기본적으로는 동일하게 작동된다.
실시예 1, 2에서는 매연과 같은 오염물질이 밸브체(12)와 샤프트(13)사이의 스라이딩부에 붙어셔 그 위에서 덩어리를 이루고 이것이 밸브체의 작동을 간섭하는 위험한 결과를 초래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체크밸브에 있어서는 샤프트(13)은 성형 단면을 하고 있다.
따라서, 매연같은 오염물질이 밸브체(12)와 샤프트(13)사이의 부분에 끼였다고 해도 그 오염물질은 샤프트(13)의 홈(13C)에 모인다. 이 결과로 밸브체(12)의 작동에 아무런 방해도 주지않고 체크밸브의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
제8도는 본 발명의 체크밸브의 또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14는 중공(中空) 케이스(6)을 하류덕트에 연결하는 하류측 중공케이스(6)의 끝에 설치된 너트이다. 제8도에 나타낸 것 같이, 너트(14)은 코킹(cauking)을 통해서 하류측 중공케이스에 견고하게 붙어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나사가 체크밸브의 하류에 연결된 덕트에 맞지 않는 크기더라도 다만 너트(14)를 바꾸기만 하면 충분하다. 즉, 다른 부품이라도 그대로 쓸수가 있으며 이렇게 하므로서 본 실시예의 체크밸브의 구조는 비용 절감에 효과적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너트(14)와 하류측 중공케이스와는 제8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코킹(caulking)을 통해서 고정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9도에서 나타내는 코킹으로 고정되어 된다.
제10도는 본 발명의 체크밸브의 또 다른 하나의 외부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51은 상류측 중공케이스의 도중에 설치한 6각형 단면을 한 스로틀부이고, 또 61은 하류측 중공케이스(6)의 나사부이다. 스로틀부(51)는 체크밸브가 조립될 때 박스렌치 등으로 결합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이제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하류측 중공케이스(6)의 나사부(61)를 포함한 체크 밸브는 덕트(duct)에 연결되도록 나사로 체결되어 있을 때 박스렌치는 상류측 중공케이스(5)에 마련된 6 각형 스로틀부(51)와 끼워맞춰져 있다.
이로인해 체크밸브의 조립작업을 극히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또 작업의 효율을 크게 향상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체크밸브는 다음과 같은 많은 효과를 가지고 있다. 그것은 유로의 단면을 대폭 크게 할 수 있고, 압력손실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또, 입력손실을 크게 줄이는 데 더해서 밸브체를 정확하게 또 확실하게 움직일 수 있다.
밸브체의 회전운동을 제한할 수 있고 전동방지와 같은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 오염물질이 라이딩부에 끼인다고 하더라도 밸브체의 작동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신뢰성 높은 체크밸브를 마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특수한 용어를 써서 기술하였으나 그런 기술은 설명목적때문일 뿐이고, 변경 또는 변경도 다음의 특허 청구범위의 정신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쉽게 이해할 수 있다.

Claims (3)

  1.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원통중공케이스와, 상기 중공케이스의 내벽에 의해 지지되는 주연부(周緣部)를 가지며 상기 중공케이스의 내부공간을 상류공간과 하류공간으로 분리하는 밸브시트와, 상기 중공케이스내의 상기 상류공간과 하류공간사이를 연통하도록 상기 밸브시트에 마련되는 연통공과, 유체압력에 따라 변형할 수 있는 상기 밸브시트의 하류측에 설치되는 가요성 밸브체와, 상기 연통공을 통하여 상기 상류공간으로부터 상기 밸브체에 유체압력이 인가되지 않을 때 상기 밸브시트의 상기 연통공을 막도록 상기 밸브시트의 방향으로 상기 밸브체를 작동하는 상기 밸브체의 중앙부에만 일단이 걸어맞추는 스프링수단과, 변형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밸브체가 유체압력의 제1의 크기(△Pi)에 응답하여 부분적으로 밸브를 개방하는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밸브체를 지지하고, 유체압력이 상기 제1의 크기를 초과할 때 밸브의 완전개방위치에 도달하도록 변형할 수 있는 상기 밸브체의 추가 이동범위를 제한하는 스프링수단과는 구별되는 밸브소자 이동지지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이동 지지수단은 상기 축방향으로 뻗어있고 상기 밸브시트와 일단에서 결합된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고정되고, 상기 샤프트를 따라 스라이딩 할 수 있는, 상기 밸브체에 결합된 부싱과, 샤프트의 타단과 결합되고, 스프링수단의 타단이 스토퍼의 중앙부에 걸어맞추는 변형제한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의 표면에 홈이 파여져 있으며 상기 축방향으로 뻗어있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밸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은 다각형 원통을 포함하고, 또 상기 샤프트는 다각형 샤프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밸브.
KR1019950031659A 1994-10-04 1995-09-25 체크 밸브 KR01673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4017394A JP3263703B2 (ja) 1994-10-04 1994-10-04 逆止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4734A KR960014734A (ko) 1996-05-22
KR0167326B1 true KR0167326B1 (ko) 1998-12-01

Family

ID=17055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1659A KR0167326B1 (ko) 1994-10-04 1995-09-25 체크 밸브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601112A (ko)
JP (1) JP3263703B2 (ko)
KR (1) KR0167326B1 (ko)
DE (1) DE19509126C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1743B1 (ko) * 2013-08-05 2014-01-23 성현재 옹벽 구조물의 역류방지용 배수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47784A (en) * 1997-03-11 1999-09-07 Cullen; James R. Apparatus for producing toroidal bubbles and method
US6048183A (en) * 1998-02-06 2000-04-11 Shurflo Pump Manufacturing Co. Diaphragm pump with modified valves
US6065493A (en) * 1998-05-22 2000-05-23 Sealand Technology, Inc. Vacuum relief valve for sewage holding tank
USD422683S (en) * 1999-05-10 2000-04-11 Farina Alfred J Valve component
US6273124B1 (en) 1999-05-26 2001-08-14 Donald G. Huber Check valve floor drain
FR2800830B3 (fr) * 1999-11-09 2002-05-24 Socla Clapet de non retour a membrane tenue sur un piston a ressort
GB2357809B (en) * 1999-12-30 2003-09-03 P & M Products Lt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liquid dispensing apparatus
WO2001070059A1 (en) * 2000-03-22 2001-09-27 Sang Chun Han Ventilation valve
US6719004B2 (en) 2001-06-19 2004-04-13 Donald G. Huber Check valve floor drain
US6827105B1 (en) * 2001-09-04 2004-12-07 Keamark, Inc. Valve
US6561143B2 (en) 2001-09-06 2003-05-13 Barry L Holtzman Engine induction valve with reduced backflow
US6715994B2 (en) * 2001-11-12 2004-04-06 Shurflo Pump Manufacturing Co., Inc. Bilge pump
US7083392B2 (en) * 2001-11-26 2006-08-01 Shurflo Pump Manufacturing Company, Inc. Pump and pump control circuit apparatus and method
US6623245B2 (en) 2001-11-26 2003-09-23 Shurflo Pump Manufacturing Company, Inc. Pump and pump control circuit apparatus and method
US6668849B2 (en) * 2002-03-08 2003-12-3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heck valve
KR20040023107A (ko) * 2002-09-10 2004-03-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의 역류차단장치
US6990994B2 (en) * 2003-02-21 2006-01-31 Kelsyus, Llc Valve for inflatable article
JP4204903B2 (ja) * 2003-06-09 2009-01-07 早川産機株式会社 ベローズポンプ
US7243676B2 (en) * 2004-05-19 2007-07-17 Vernay Laboratories, Inc. Combination umbrella and inverted bi-directional valve
JP4738797B2 (ja) * 2004-12-03 2011-08-03 株式会社ミクニ バルブ装置
US7438090B2 (en) * 2005-01-06 2008-10-21 Dynamic Air Inc. Booster valve
DE102005047526A1 (de) * 2005-10-04 2007-04-12 Obrist Engineering Gmbh Ventilelement für einen Fluidkreislauf
US20070107981A1 (en) * 2005-10-07 2007-05-17 Sicotte Jason M Exhaust silencer
DE102006024728A1 (de) * 2006-05-26 2007-11-29 Pierburg Gmbh Kraftfahrzeugventil
DE102007016010A1 (de) * 2007-04-03 2008-10-09 Schaeffler Kg Plattenventil, ausgebildet als ein Rückschlagventil für ein Hydrauliksystem
US9027172B2 (en) * 2007-06-01 2015-05-12 Giovanni Fima Drain valve core
JP5330761B2 (ja) * 2008-08-13 2013-10-30 Abb株式会社 回転霧化頭型塗装装置
DE102008059228A1 (de) * 2008-11-20 2010-05-27 Joma-Polytec Kunststofftechnik Gmbh Vakuumpumpe
NL2002560C2 (nl) 2009-02-24 2010-08-25 Stichting Energie Sorptiekoelsysteem met zelfwerkende dampklep.
DE102009030186A1 (de) * 2009-06-24 2011-01-05 Joachim Kern Membranventil
US20110030132A1 (en) * 2009-08-10 2011-02-10 Ladislau Biro Multi-function cleanout plug and method of use
US9239119B2 (en) 2009-11-09 2016-01-19 Goyen Controls Co. Pty. Ltd. Diaphragm and diaphragm valve
PL2420708T3 (pl) * 2010-08-16 2013-11-29 Leinemann Gmbh & Co Kg Zawór sterujący
DE102010046859A1 (de) * 2010-09-29 2012-03-29 Dichtungstechnik G. Bruss Gmbh & Co. Kg Rückschlagventil
KR101230550B1 (ko) * 2010-11-08 2013-02-07 주식회사 만도 쇽업소버의 감쇠력 가변 밸브 조립체
US8528128B2 (en) * 2010-11-15 2013-09-10 Yung-Hui Wang Closure device for drain pipeline
US20130032746A1 (en) 2011-01-31 2013-02-07 Kevin Dean Huber Gasket structure for floor drain valves
US20130014831A1 (en) * 2011-07-14 2013-01-17 Steven Rhea Pump coupler
KR101380357B1 (ko) * 2012-06-11 2014-04-02 채산종 하수의 역류방지장치
DK178171B1 (da) * 2013-01-18 2015-07-20 Hans Jørgen Christensen Kontraventil til ventilationsanlæg
US9010363B2 (en) 2013-06-24 2015-04-21 The Rectorseal Corporation Drain valve
US9416986B2 (en) 2013-06-24 2016-08-16 The Rectorseal Corporation Valve for roof vent
US10759031B2 (en) * 2014-08-28 2020-09-01 Power Tech Staple and Nail, Inc. Support for elastomeric disc valve in combustion driven fastener hand tool
JP6544114B2 (ja) * 2015-07-27 2019-07-17 浜名湖電装株式会社 逆止弁装置及び蒸発燃料供給システム
WO2017091692A2 (en) * 2015-11-25 2017-06-01 Green Drain Inc. Skirt valve for kitchen sink, and method of disposing of food
JP6682929B2 (ja) * 2016-03-14 2020-04-15 株式会社ノーリツ 逆流防止装置および風呂給湯器
ITUA20164632A1 (it) * 2016-06-23 2017-12-23 Mgf S R L Assieme valvole per compressore volumetrico alternativo
US10240537B2 (en) 2016-08-09 2019-03-26 General Electric Company Metering valve assembly and method of assembly thereof
US10323758B2 (en) * 2016-11-10 2019-06-18 Robert G. Heulitt Adjustable pressure actuated diaphragm valve assembly
US10415227B2 (en) 2017-05-26 2019-09-17 Ips Corporation Drain valve assembly
JP7300184B2 (ja) * 2017-09-13 2023-06-29 ワット・フューエル・セル・コーポレイション 遠心ブロワシステム用空気取り入れアセンブリ及びこれを内蔵する燃料電池
CN109114266A (zh) * 2018-10-15 2019-01-01 盐城项果科技有限公司 单向阀
CN109681679A (zh) * 2019-02-26 2019-04-26 昆山远山天地软件技术有限公司 流体单向导通结构、止回组件及呼吸设备
JP2022540255A (ja) * 2019-07-12 2022-09-14 ハヘペ・インターナショナル・ベー.フェー. 逆止弁
US11598434B2 (en) * 2020-01-17 2023-03-07 Life Technologies Corporation Umbrella check valve assembly having retention plat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8036A (en) * 1905-06-24 1906-08-07 J M Hogan Valve-protector.
GB655560A (en) * 1947-09-30 1951-07-25 British Oilfield Equipment Com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valves for slush and like pumps
DE875747C (de) * 1951-08-07 1953-05-07 Andreas Loewe Selbsttaetiges Ventil, insbesondere Druck- und Saugventil fuer Pumpen
US2747609A (en) * 1951-08-21 1956-05-29 Westinghouse Air Brake Co Accelerometer testing device
US3007693A (en) * 1958-06-25 1961-11-07 Thompson Ramo Wooldridge Inc Metering valve
FR93448E (fr) * 1967-02-09 1969-03-28 Ets A Guiot Perfectionnements aux soupapes a membrane, pour l'aspiration ou le refoulement de fluides, notamment de carburants.
US3845784A (en) * 1969-04-22 1974-11-05 Byron Jackson Inc Float valve for drill strings
US3605132A (en) * 1969-07-22 1971-09-20 John F Lineback Automatic plumbing vent valve
US3840175A (en) * 1972-04-05 1974-10-08 Jacuzzi Bros Inc By-pass valve assembly for pool type heater
JPS5211775B2 (ko) * 1973-07-15 1977-04-02
BR7604856A (pt) * 1975-11-03 1977-08-09 Acf Ind Inc Aperfeicoamento em bomba de combustivel de diafragma para um veiculo a motor
JPS5667466A (en) * 1979-11-05 1981-06-06 Hitachi Ltd Data processing system
US5014739A (en) * 1989-10-10 1991-05-14 Ced's, Inc. Check valve assembl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1743B1 (ko) * 2013-08-05 2014-01-23 성현재 옹벽 구조물의 역류방지용 배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9509126A1 (de) 1996-04-18
KR960014734A (ko) 1996-05-22
DE19509126C2 (de) 1999-08-05
US5601112A (en) 1997-02-11
JP3263703B2 (ja) 2002-03-11
JPH08105557A (ja) 1996-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67326B1 (ko) 체크 밸브
US7644731B2 (en) Gas valve with resilient seat
US7950621B2 (en) Pneumatic pressure regulation valve
US5263643A (en) Thermally responsive relief valve
WO2009126020A1 (en) Electromagnet valve with groove, provided with a projecting seat edge, for locking of a sealing element
US7694786B2 (en) Damping valve with a directionally-dependent cross section
KR0165668B1 (ko) 체크 밸브
US20050161378A1 (en) Two piece elastomer relief and anti-drain back valves for filter
EP1388698B1 (en) Solenoid operated pressure control valve
US4542768A (en) Pressure relief valve
US11428130B2 (en) Pressure-limiting valve
JP4014353B2 (ja) 逆止弁
EP0990826B1 (en) Control valve unit
JPH07238886A (ja) ピストン式圧縮機の環状バルブ
US5415202A (en) Multistage variable area throttle valve
US20050077220A1 (en) Valve and spring for fluid filter
US4316478A (en) Fluid control valve
CA2057216C (en) Line check valve
US4703772A (en) Disk valve for a reciprocating compressor
USRE37322E1 (en) Two-piece check valve assembly
JP4656709B2 (ja) 圧力制御弁
US5931190A (en) Relief valve
US4205696A (en) Fluid control valve
US3906985A (en) Valve
JPH0942489A (ja) 逆止め弁付ボールバル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7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3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