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5668B1 - 체크 밸브 - Google Patents

체크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5668B1
KR0165668B1 KR1019890012631A KR890012631A KR0165668B1 KR 0165668 B1 KR0165668 B1 KR 0165668B1 KR 1019890012631 A KR1019890012631 A KR 1019890012631A KR 890012631 A KR890012631 A KR 890012631A KR 0165668 B1 KR0165668 B1 KR 01656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valve element
stop member
check valve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2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5104A (ko
Inventor
제이. 가우스만 씨어더
더블류. 쉐펠 게리
Original Assignee
프란시스 제이. 캘러한 쥬니어
뉴프로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07/239,557 external-priority patent/US4856555A/en
Application filed by 프란시스 제이. 캘러한 쥬니어, 뉴프로 캄파니 filed Critical 프란시스 제이. 캘러한 쥬니어
Publication of KR9000051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51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56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56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8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shaped as rings
    • F16K15/12Springs for ring val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10T137/7837Direct response valves [i.e., check valve type]
    • Y10T137/7904Reciprocating valves
    • Y10T137/7922Spring biased
    • Y10T137/7929Spring coaxial with valve
    • Y10T137/7936Spring guides valve h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ck Valves (AREA)

Abstract

낮은 개방압력에 응답하는 채크밸브는 밸브챔브를 형성하는 제1 및 제2몸체부분을 포함한다. 입구 및 출구통로는 밸브챔버와 연통하고 그리고 여기에 수용된 밸브요소는 압력차에 응답하여 개방 및 폐쇄위치사이에서 운동한다. 밸브몸체에 용접된 스톱부재는 밸브요소의 개방운동을 제한하도록 채택되어 있다. 스톱부재의 축방향으로 상승한 중앙부분은 밸브요소와 접합적으로 결합하여 스톱부재의 주변영역에서 형성된 복수의 개구부에 밸브요소 주위의 유체흐름을 허용하는 개방운동을 제한한다. 안내부재는 스톱부재와 밸브요소 사이에 배치되어 밸브요소의 한면에 배치된 밀봉부제를 폐쇄위치로 가압한다.

Description

체크 밸브
제1도는 본 발명의 체크밸브의 분해도.
제2도는 배브요소를 단면으로 나타내고 있으며, 제1 및 제2 몸체부분을 스톱부재로 함께 용접하기 전에 밸브의 길이방향 단면도.
제3도는 밸브 개방위치에서 완전히 조립된 체브밸브의 예시도.
제4도는 밀봉부재를 밸브요소에 상호 연결되어 있는 것을 부분적으로 예시한 제2도의 원주부분의 확대도.
제5도는 밀봉부재를 밸브요소에 체결하는 방법과 밀봉부재 구조의 제1 대체 실시예로서 제4도와 유사한 확대도.
제6도는 밀봉부재를 밸브요소에 체결하는 방법과 밀봉부재 구조의 제2 대체 실시예로서 제4도와 유사한 확대도.
제7도는 밀봉부재를 밸브요소에 체결하는 방법과 밀봉부재 구조의 제3 대체 실시예로서 제4도와 유사한 확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체크밸브 B : 밸브몸체
C : 챔버 D : 밸브요소
E : 스톱부재 F : 안내부재
10,12 : 제1 및 제2부분 14 : 입구통로
16 : 출구통로 18,20 : 카운터보어
22,24 : 경사진부분 30,32 : 오목부
34,36 : 단부면 54 : 밀봉부재
66 : 상승부분 68 : 스텝
90,92 : 비이드
본 발명은 밸브기술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히는 개량된 체크밸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낮은 개구압력에 극도로 민감한 밸브에 특히 적용 가능하며, 여기에서 실시예로써 설명할 것이지만, 본 발명은 다양한 압력 상태하엣 작동가능하며 다른 환경에서도 적용할 수 있다.
종래의 체크밸브 장치는 유체흐름을 조절하기 위하여 미소한 압력차 즉, 개구압력에 대하여 충분히 민감하다고는 생각되지 않는다.
특히 종래의 밸브요소와 편향장치는 1/3내지 2psi 정도의 미소한 압력변화에 무감각하다고 여겨진다. 밸브요소를 폐쇄위치쪽으로 편향하기 위한 헬리컬스프링의 사용은 해당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다. 불행하게도, 헬리컬스프링은 유체시스템을 잠재적으로 오염시킨다. 따라서, 헬리컬 스프링의 편향력은 밸브 요소를 위로 젖혀지는 경향이 있으며 밸브의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편심부하를 부과한다.
디스크타입의 스프링이 다른 환경에서 고려될지라도, 이들 스프링은 밸브 구조가 디스크 스프링을 지나는 유체흐름을 조절하도록 변경되어야만 하므로 여러경우에서 특히 유용하도록 신뢰할 수 없다.
예를 들면, 확대된 간격이 벌어진 개구부분은 흐름 통로를 한정하기 위해 디스크스프링에 형성되어 있다. 이것은 차례로 개구압력을 낮추도록 밸브장치의 편향력과 감도를 변경시킨다.
대안으로써, 구멍이 없는 환형 디스크 스프링이 사용되었는데, 여기에서 외경부분은 밸브 몸체에 체결돠어 있으며, 내경 부분은 밸브요소에 체결되어 있다.
디스크 스프링이 구멍을 가지고 있지 않으므로 밸브요소를 통해서 분리된 흐름통로를 한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것은 밸브요소가 필요에 의해서, 크기가 줄어들고, 그러므로 유체압력이 작용하는 표면적이 대응하여 줄어들므로 특히 바람직하다고 생각되지 않는다. 밸브요소사 크기면에서 증가된다면, 전반적인 밸브몸체 및 스프링은 치수가 변화되는 것이 역시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극복하고 간단하고 경제적인 장치로 낮은 개구압력에 특히 민감한 장치를 제공하는 새롭고 개선된 체크밸브를 완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체크밸브는 입구 및 출구통로와 연통하는 내부밸브챔버 또는 공동을 갖춘 몸체를 포함하고 있다. 밸브요소는 개방과 폐쇄위치와의 사이에서 선택적인 축방향운동을 위해서 챔버내에 수용되어 있다. 스톱부재는 밸브요소의 개방운동을 제한하며 유체흐름을 허용하는 복수의 통로를 포함하고 있다. 환형안내부재는 스톱부재와 밸브요소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안내부재는 밸브요소를 폐쇄위치쪽으로 가압하며 안정되고, 감도가 높은 체크밸브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더욱 한정하는 면에 따라서, 스톱부재는 밸브요소와 선택적으로 맞물리며 개방운동을 제한하기 위한 정지면을 한정하는 축방향으로 상승한 중앙부분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라서, 축방향으로 뻗어있는 림은 안내부재를 체결하도록 밸브 요소의 주위부분에 한정되어 있다. 림의 축방향 치수는 밸브요쇼가 스톱부재와 맞물릴 때 그들사이에서 흐름통오를 한정하도록 스톱부재의 상승한 부분의 축 방향 크기보다 작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라서, 상기 몸체는 중간 영역을 따라서 서로 용접된 제1 및 제2 몸체 부분을 포함하고 있으며, 스톱부재는 몸체부분에 용접되어 있다.
본 발명의 주된 장점은 낮은 개구 압력에 민감한 체크밸브이다.
본 발명의 다른 장점은 밸브요소의 행정이 개방과 폐쇄위치사이에서 제한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장점은 밸브요소의 정밀한 시팅(seating)을 증진하도록 밸브요소에 안정되고, 선형의 편향력을 제공하는 편향디스크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장점 및 특징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이해함으로써 당업자는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서 상세히 설명하게될 어떤 부분, 부분의 장치, 바람직한 그리고 대체 실시예에서 실질적인 형태를 갖출 것이다.
본 발명을 제한할 목적이 아니고, 단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그리고 대체 실시예를 설명할 목적으로 도시한 도면을 참조하면, 도면은 포위된 공동 또는 챔버(C)를 한정하는 벨브몸체(B)를 갖춘 체크밸브(A)를 도시하고 있다.
밸브요소(D), 스톱부재(E) 그리고 안내부재(F)로 구성된 3개의 주요성분이 챔버(C)내에 수용되어 있다.
더욱 상세히는 그리고 제1도 내지 제3도를 참조하면 밸브몸체(A)는 각각 입구 및 출구몸체부분이라고 할수 있는 제1 및 제2부분(10,12)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제1 또는 입구몸체부분은 입구통로(14)를 포함하고 있으며, 제2 또는 출구몸체부분은 출구통로(16)를 포함하고 있다. 입구 및 출구톨로는 경사진 카운터 보어(18,20)를 각각 갖춘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보어에 의해서 바람직하게 한정되는데, 이들은 보어로부터 뻗어 있고 더욱 넓게 발산하는 경사진 부분(22,24)으로 되면서 직경이 증가한다.
각각의 몸체부분이 맞물릴 때 각각의 몸체부분은 함께 챔버(C)를 한정하는 전체적으로 일정한 직경의 오목부(30,32)를 포함하고 있다. 특히, 몸체부분의 단부면(34,36)은 아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함께 용접된다.
입구 및 출구통로(14,18)는 직경이 줄어들고, 통상 원통형부분(38,40)으로 형성된다. 이들 원통형부분은 공지된 방식으로 유체 시스템의 유체통로 또는 관상부재에 연결된다. 예를 들면 원통형 부분은 너트와 페룰(ferrule)장치를 수용하도록 외부에 나사로 되어있거나 또는 나사 파이프끝을 수용하도록 내부에 나사로 되어있다. 또다른 종래의 연결방식으로 유체시스템의 관상부재에 원통형부분의 단부면을 용접할 수도 있다. 이들 연결장치는 본 발명의 범위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사용이 가능하다는 것은 이해하여야만 한다. 어떤 연결장치에서 그것은 관련된 유체시스템안으로 체크밸브의 상호연결을 유용하게하기 위하여 몸체부분의 하나에 공구나 렌치플래트(42)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밸브챔버(C)내에 수용된 밸브요소(D)는 대향 제1 및 제2면(50,52)을 갖는 실제 원형이고 확대된 직경을 갖는 디스크형 부재로 형성된다. 제1면(50)은 입구통로(14)와 관련하여 접한 상류에 배치된다. 유사하게, 제2면(52)은 출구통로(16)와 면하여 하류에 배치된다.
환형탄성중합체 밀봉부재(54)는 밸브요소에 설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밀붕부재는 1987년 1월 20일자로 발행된 쉐펠등의 공동으로 양수된 미합중궁 특허 제4,637,430호에 기재된 것과 같이 실질적으로 밸브요소의 제1면과 결합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밀봉부재는 제1면(50)과 결합하고 바람직한 장치에 따라서 또한 밸브요소의 외주 즉 그들위 축방향면을 따라 결합하게 된다. 상기 다른장치에서, 밀봉부재는 상기한 특허의 것과 유사한 방법으로 제1면상에 단지 결합하게 될 것이다.
밀봉부재는 제1면(제4도)의 방사상 외부영역을 따라서 수용하게되며 제1몸체 부분의 오목부(30)의 방사상 연장한 면과 션택적으로 연결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방사상으로 연장한 면은 밸브 시트를 형성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2도에 특히 도시된 바와같이 밀봉부재는 입구통로(14)보다 더 큰 직경으로 환형 면적을 따라서 밸브시트와 결합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시트면적은 테이퍼영역(22)의 최대치수 보다 더 클 직경을 갖는다.
상기 치수관계는 입구 유체압력이 체그밸브의 감도를 증가하도록 낮은 개구압력에서 작용하는 디스크의 확대된 표면면적을 나타낸다.
밸브요소의 제2면은 상기 요소의 주위를 따라서 형성된 림(56)을 포함한다. 상기 림은 출구통로(16)쪽으로 제2면으로부터 통상 축방향으로 외부로 연장되고 적절히 원주방향으로 연속이다. 상기 림은 안내부재(F)와 연결을 유지하도록 배치된다. 안내부재는 림에 인접한 밸브요서의 제2면에 용접된다.
스톱부재(E)는 통상 납작한 디스크형 부재에 의해 형성되며 몸체부분의 오목부(30,32)내에 밀접하게 수용된 외주부분(60)을 갖추고 있다.
특히 외주부분(60)은 아래에서 설명하는 이유 때문에 양 오목부(30,32)와 결합을 제공하도록 충분한 축방향으로 치수를 갖추고 있다. 복수의 이격된 개구(62)는 밸브개방상태동안 스톱부재를 통하여 유체용 연속 유체 경로를 제공하는 통로수단을 제공하도록 외주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스톱 부재의 중앙 영역(64)은 안내부재의 방사상 내부 부분을 수용하기 위하여 스텝 또는 레지(68)를 형성하는 축방향 상승부분(66)을 포함한다. 특히, 상승부분(66)은 입구통로(14)쪽으로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밸브요소의 제2면(52)과 선택적으로 결합하도록 채택된 정지면을 형성한다. 이러한 접합 결합은 예정된 압력차이로부티 생긴 밸브요소의 개방운동의 축방향 한계를 형성한다. 즉 , 입구 통로내에 압력이 출구통로(16)보다 크로 미소한 편향력이 안내부재에 의해 부여되면 밸브요소의 제1면상에 발휘된 힘은 정지면과 결합하는 쪽으로 밸브요소를 가압하게 될 것이다.
제3도에 도시한 밸브개방위치에서, 림(56)의 축방향크기는 스톱부재의 잔류부로부터 축방향으로 외부로 연장한 상승부분(66)의 치수보다 적다는 것이 명백해진다. 상기 관계는 밸브요소의 제2면과 즈톱부재의 중앙부분(66)사이에서 접합결합이 일어날지라도, 유체통로(80)가 출구통로(16)로 축방향으로 그리고 개구(62)로 방사상 안쪽으로 밸브요소 주위에 여전히 형성되는 것을 보장한다.
안내부재(F)는 제2도에 도시항 바와같이 폐쇄된 위치로 밸브부재를 가압하는 환형 웨이퍼나 디스크에 의해 형성된다. 안내부재의 내부 방사상 또는 중앙부분(82)은 스톱부재의 스텝(68)상에 밀접하게 수용하게 되며 고정결합을 형성하도록 거기에 고정 용접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같이, 외주부분(84)은 밸브요소의 림(56)에 의해 방사상으로 보함하게 되며 그들과 서로 고정 결합을 보장하도록 밸브요소에 적절히 고정되도록 용접된다.
선택된 적용에 대하여, 내주상에 스텝(68)과 그리고 외주상에 립(56)을 갖는 안내부재의 단순한 물리적 결합이 적절한 연결을 제공하므로 이들 영역에서 고정되게 용접할 필요가 없다는 것은 이해될 것이다.
안내부재는 연속적으로 증가하는 나선형으로 각각 뻗어있는 제1,,제2 및 제3 슬롯(90;제1도 참조)을 포함한다.
각 슬롯의 방사상 맨 안쪽단부(92)는 안내부재의 중앙부분(82)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각 슬롯의 방사상 맨바깥쪽 단부(94)는 원주방향으로 연속적인 외주부분(84)에 인접하여 배치하게 된다. 슬롯은 밸브요소상에 균등하게 편향을 제공하도록 약 120°각도로 이격되어 있다.
제2도 및 제3도의 비교는 밸브요소가 개방부분과 폐쇄부분사이의 극히 제한된 행정을 갖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행정은 개방부분과 폐쇄부분사이의 0.00889cm(0.0315inch)범위내에 있다. 환형안내부재의 구조형상으로 인하여, 동등하게 분배된 편향력은 개방부분과 폐쇄부분사이의 밸브요소의 선형운동을 보장하도록 밸브요소상에 부여된다. 이것은 차례로 밸브시트와 밀봉부재(54)의 적절한 설치를 위해 제공한다. 안내부재는 중앙부분내에 밸브요소를 유지하며 약 1/3내지 2psi 정도의 낮은 개방 압력에 응답하여 밸브요소상에 제어된 약간의 편향력을 발휘한다. 입구 및 출구압력사이의 최소변화로, 안내부재에 발휘된 상기 힘은 극복되고 밸브요소는 개방위치로 이동한다. 입구압력증가는 제2면(52)이 스톱부재의 중앙 상승부분(66)과 결합한 완전 개방위치로 밸브요소가 이동하도록 할 것이다.
상기 구조이 바람직한 방법에 따라서, 밸브요소, 스톱부재 및 안내부재는 제1 몸체부분의 오목부(30)내에 배치하게 된다.
상기 제2몸체부분은 그들과 함께 정열되며, 특히 오목부(32)는 제1몸체부분의 오목부(30)와 정열하게 된다. 안내부재의 편향력은 밸브몸체가 원주방향으로 용접하게 될 때까지 제2몸체 부분에 대하여 스톱부재를 지지한다.
바람직하게, 전자비임용접이 사용되는데 이것은 종래 용접기술이 밀봉부재의 탄성중합체 재료에 악영향을 미치고 그리고 과도 가열수준을 만들기 때문이다.
스톱부재가 몸체부분의 접한 단부면(34,36)에 의해 형성된 중간영역에 양 오목부(30,33)에 축방향으로 수용하게 되므로, 전자 비임용접은 적소에(제3도) 스톱부재를 설치하도록 뭄체 부분이 함께 방사상 안쪽으로 통과한다.
이것은 밸브요소가 안내부재에 위해 폐쇄된 위치로 가압하도록 유동요소를 형성하는 일체 또는 단일 구조를 보장하다.
제5도 내지 제7도는 밀봉부재(54)의 3개의 다른 실시예이다. 간셜하게하고 이해를 돕기위하여, 유사부분은 프라임을 추가하여 (', , ')동일 부호를 사용했지만 새로은 요소는 새로운 부호를 사용하였다. 게다가. 특별히 기재하지 않으면, 체크밸브의 구조 및 작동은 거이 유사하다.
제5도의 제1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밀봉부재(54')는 안내부재(F')로써 거의 동일직경으로 확대된 탄성중합체 환형부로써 형성되었다.
밸브요소의 제1면(50')에 밀봉부재를 설치하기 위한 수단은 구비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밸브요소는 스톱부재 즉 밀봉부재의 내경부분이 설치될 수 있는 중앙의 상승부분의 산입을 통하여 실제로 동일방법으로 조절될 수 있다.
물론, 다른 설치장치는 본 발명의 내용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밀봉부재용 다른 구조적형상도 사용할 수 있다.
밸브요소(D')는 그 외주부분을 따라서 원주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상승된 비이드(90)의 구조를 통해 적절히 변경된다. 비이드는 오목부(30')로부터 축방향으로 외부로 뻗은 유사한 비이드(92)와 상호 작동한다. 그래서 비이드(92)는 유체흐름을 조절하기 위한 원주방향 연속밸브시트를 형성한다. 그 탄성중합체의 성질로 인하여, 밀봉부재는 비이드(90,92)로부터 안쪽으로 방사상으로 이격된 구역을 따라서 구부러지도록 되어있다. 게다가, 비이드는 선택된 다른 적용을 위하여 방사상으로 정열되거나 화살표(94)로 표시된 바와 같이 방사상으로 오프세트될 수 있다.
이제 제6도를 참조하면, 제2다른 실시예가 더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밀봉부재(54)는 중앙부분을 따라서 밸브요소(D)에 바람직하게 설치된 탄성 중합체 환형부이다.
제1면(50)은 평면이므로 밀봉부재는 그것에 대향하여 편평하게 놓여진다. 제5도 장치에서 밸브몸체로부터 뻗은 돌출한 비이드는 상승선반(100)에 의해 대체된다. 상승된 선반은 밸브시트로부터 방사상 외부로 배치된 구역에 오목부(30)안으로 점차 몰입된다.
마지막으로, 제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밀봉부재(54 ')의 제3실시예는 결합포펫(106)을 포함한다.
홈(108)은 그안에 상기 포펫을 밀접하여 수용한다. 제1도 실시예에 대하여 상기 기재된 바와 거의 동일한 방법으로, 밀봉부재는 밸브요소(D ')에 결합된다. 포펫은 오목부(30 ')와 접촉한 제한된 구역을 형성하도록 V형 단면 형상을 이용한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로 기재하여 설명하였다. 상기 명세서를 이해하면 수정 변경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모든 수정과 변경은 첨부된 청구범의의 범위내에 또는 그 등가물내에 포함된다.

Claims (24)

  1. 체크밸브에 있어서, 밸브챔브를 형성한 제1 및 제2 몸체부분과, 상기 밸브챔버와 연통한 입구 및 출구와, 압력차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운동하기 위하여 상기 밸브챔버내에 수용된 밸브요소와, 상기 밸브요소의 개방운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밸브챔버내에 수용된 스톱부재와, 폐괘위치쪽으로 상기 밸브요소를 가압하기 위하여 상기 밸브요소와 정지부재사이에 끼워진 안내부재와, 상기 즈톱부재의 방사상 내부부분으로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상기 안내부재의 방사상 내부부분과, 상기 밸브요소의 방사상 외부부분으로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안내부재의 방사상 외부부분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부재는 제1 및 제2 몸체부분의 중간영역에서 상기 밸브챔버내에 수용되며, 상기 스톱부재는 상기 몸체부분에 일체로 용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밸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요소는 그위에 탄성중합체 밀봉부재를 수용한 제1면은 가지며 상기 입구주위에 선택적으로 밀봉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채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밸브.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는 제1면으로부터 대향하게 배치된 상기 밸브요소의 제2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밸브.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중합체 밀봉부재는 각기 상기몸체 부분의 하나와 밸브요소 제1면상에 형성된 제1 및 제2비이드 사이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밸브.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비이드는 방사상으로 배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밸브.
  7. 제3항에 있어서, 탄성중합체 밀봉부재는 밸브요소의 상기 제1면내에 형성된 홈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밸브.
  8. 제3항에 있어서, 탄성중합체 밀봉부재는 안내부재와 거의 동일한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밸브.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밸브는 제1몸체부분으로부터 외부로 축방향으로 뻗은 상승부재에 의해 형성된 밸브 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밸브.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부재는 상기 밸브요소의 운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축 방향으로 상승된 중앙부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밸브.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부재는 상기 입구로부터 출구로 유체 흐름을 혀용하도록 축방향으로 뻗은 통로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벨브.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부재는 상기 통로수단을 가지는 주위영역과 그 위로 안내부재의 방사상 내부 부분을 수용한 축방향으로 상승된 중앙부분에 의해 형성된 계단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밸브.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요소는 안내부재의 방사상 외부부분을 수용하기 위하여 그들의 주위에 인접하여 배치된 림을 구비하며, 상기 림은 스톱부재가 밸브요소의 운동을 제한할 때 그들 사이에서 흐름통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스톱부재 중앙부분의 축방향길이 보다 적은 예정된 치수를 상기 스톱부재쪽으로 축방향으로 연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밸브.
  14. 체크밸브에 있어서, 내부챔버를 가지는 몸체와, 상기 챔버와 연통한 입구 및 출구와, 예정된 압력차에 따라서 입구 및 출구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연통을 개방 및 폐쇄하기 위하여 상기 챔버내에 수용된 대향 제1 및 제2면을 구비한 밸브요소와, 유체흐름을 허용하도록 채택한 통로수단을 포함하며, 밸브요소의 운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챔버내에 수용된 스톱부재와, 상기 입구 또는 출구통로중 하나와 밸브챔버사이에 연통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도록 채택되며 밸브요소의 제1면상에 수용 된 탄성중합체 밀봉부재와, 밸브요소 제2면과 작동가능하게 관련된 외주부분과 스톱부재와 작동 가능하게 관련된 중앙부분을 가지며, 폐쇄 위치쪽으로 밸브요소를 가압하기 위한 편향안내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 밸브.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부재는 상기 밸브요소와 선택적으로 결합하기 위하여 축방향으로 상승된 중앙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 밸브.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요소 제2면은 상기 안내부재를 설치하기 위한 원주방향림을 포함하여, 상기 림은 밸브개방위치에서 상기 밸브요소와 스톱부재 사이에 흐름통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스톱부재 중앙부분의 축방향치수보다 적은 치수로 축방향으로 뻗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밸브.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는 그 외주부분을 따라서 상기 밸브요소와 결합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밸브.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요소의 유효표면면적은 밸브요소가 낮은 입구압력에 민감하도록 입구통로의 단면적보다 크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밸브.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제1 및 제2 몸체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분의 하나는 그안에 상기 스톱부재를 축방향 및 방사상으로 잡기위한 수용면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밸브.
  20. 제19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몸체부분은 오목부와 인접하여 접속되고 스톱부재와 서로 용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밸브.
  21. 체크밸브에 있어서, 입구 및 출구통로의 단면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확대된 챔버와 연통하는 입구 및 출구통로를 갖는 몸체와, 대향된 제1 및 제2면을 가지며, 입구 및 출구통로사이에서 연통을 개방 및 폐쇄하도록 그안에서 선택적으로 축방향운동을 채택하며, 상기 챔버내에 수용된 밸브요소와, 개방운동을 제한하고, 상기 밸브요소와 선택적으로 접합 결합하는 축방향 상승중앙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챔버내에 고정하게 설치된 스톱부재와, 상기 밸브요소 제2면과 결합하는 주위영역과 상기 스톱부재 중앙부분위로 밀접하게 수용된 중앙영역을 가지며, 폐쇄된 위치로 상기 밸브요소를 가압하기 위하여 밸브요소와 스톱부재사이에 배치된 환형안내부재와, 입군통로주위를 선택적으로 밀봉하도록 상기 밸부요소 제1면상에 수용된 탄성중합체 밀봉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밸브.
  22. 제21항에 있어서, 스톱부재는 유체흐름을 수용하기 위하여 주위영역을 따라서 이격된 복수개의 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밸브.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요소 제2면은 상기 안내부재를 수용하기 위한 주변의 림을 포함하며, 상기 림은 흐름통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스톱부재 중앙부분의 축방향길이보다 적은 치수로 축방향으로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밸브.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중간영역을 따라서 서로 용접된 제1 및 제2 몸체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스톱부재는 또한 중간영역을 따라서 제1 및 제2 몸체부분에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밸브.
KR1019890012631A 1988-09-01 1989-09-01 체크 밸브 KR01656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7/239,557 US4856555A (en) 1988-09-01 1988-09-01 Check valve
US239,557 1988-09-01
US89-239,557 1988-09-01
US07/392,888 US4964423A (en) 1988-09-01 1989-08-14 Check valve
US392888 1989-08-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5104A KR900005104A (ko) 1990-04-13
KR0165668B1 true KR0165668B1 (ko) 1998-12-01

Family

ID=26932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2631A KR0165668B1 (ko) 1988-09-01 1989-09-01 체크 밸브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964423A (ko)
EP (1) EP0357420B1 (ko)
JP (1) JP2706152B2 (ko)
KR (1) KR0165668B1 (ko)
DE (1) DE68903457T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7757A (ko) * 2017-01-25 2018-08-02 유병남 내연기관용 유체흐름 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체크밸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626324A1 (de) * 1996-07-01 1998-01-08 Wabco Gmbh Sicherheitsventileinrichtung
DE19626323C5 (de) * 1996-07-01 2009-01-29 Wabco Gmbh Sicherheitsventileinrichtung
US5762103A (en) * 1996-10-24 1998-06-09 Advanced Pressure Technology, Inc. Tilting o-ring check valve
EP2074344A4 (en) * 2006-03-21 2011-05-04 Michael Patrick Dixon VALVE CONTROLLED BY A FLUID
US20080142102A1 (en) * 2006-12-18 2008-06-19 Savard Raymond T Check Valve and Pump for High Purity Fluid Handling Systems
DE102009004863A1 (de) * 2009-01-16 2010-07-22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Ventilfeder für ein Plattenventil
CN103379929A (zh) * 2010-09-24 2013-10-30 安尼马斯公司 具有抗虹吸保护的便携式注入泵
DE102012222823A1 (de) 2012-06-28 2014-01-02 Robert Bosch Gmbh Kolben-Kraftstoffpumpe
US10240679B2 (en) 2014-06-13 2019-03-26 Horiba Stec, Co., Ltd. High conductance valve for fluids and vapors
BR112016029699A2 (pt) * 2014-06-19 2017-08-22 Fjell Subsea Products As arranjo de válvula reguladora
KR102240032B1 (ko) * 2014-07-21 2021-04-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리니어 압축기
KR102233610B1 (ko) 2014-07-21 2021-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리니어 압축기
WO2016081191A1 (en) 2014-11-19 2016-05-26 Vistadel Tek, Llc Valve stroke amplification mechanism assembly
SE541730C2 (en) * 2015-07-02 2019-12-03 3Eflow Ab A fluid stop valve unit
MY188606A (en) 2015-07-09 2021-12-22 Vistadeltek Llc Control plate in a valve
US10458553B1 (en) 2017-06-05 2019-10-29 Vistadeltek, Llc Control plate for a high conductive valve
US10364897B2 (en) 2017-06-05 2019-07-30 Vistadeltek, Llc Control plate for a high conductance valve
JP7177793B2 (ja) 2017-06-05 2022-11-24 イリノイ トゥール ワー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高コンダクタンスバルブのための制御プレート
US11248708B2 (en) 2017-06-05 2022-02-15 Illinois Tool Works Inc. Control plate for a high conductance valve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34507A (en) * 1919-01-20 1920-03-23 Harry L Shartle Valve construction for pumps
US1800185A (en) * 1928-09-06 1931-04-07 Homer A Thrush Pressure relief valve
US2353751A (en) * 1940-12-31 1944-07-18 Sullivan Machinery Co Valve mechanism
GB558201A (en) * 1942-06-26 1943-12-24 Eisemann Magneto Corp Improvement in and relating to valves
US3036592A (en) * 1959-02-16 1962-05-29 Garrett Corp Valve assembly
NL275414A (ko) * 1961-03-11 1900-01-01
US3244195A (en) * 1963-09-26 1966-04-05 Seeger Wanner Corp Capsule-type check valve
US3194262A (en) * 1963-12-10 1965-07-13 Chrysler Corp Shock absorber base valve
US3580277A (en) * 1969-03-12 1971-05-25 Sperry Rand Corp Relief valves with controlled pressure override
US4218407A (en) * 1970-04-07 1980-08-19 Chicago Bridge & Iron Company Valved or progressively opening sparger with rigid upper seat
AT306910B (de) * 1971-02-19 1973-04-25 Hoerbiger Ventilwerke Ag Plattenventil für Kolbenverdichter
SU391326A1 (ru) * 1971-04-05 1973-07-25 Обратный клапан
US3749123A (en) * 1971-12-10 1973-07-31 Nasa Dual stage check valve
US3830255A (en) * 1972-11-24 1974-08-20 Fmc Corp Valve assembly
US4007758A (en) * 1976-01-14 1977-02-15 Mine Safety Appliances Company Respirator pressure-demand exhalation valve
US4062378A (en) * 1976-09-27 1977-12-13 Bender Machine Works, Inc. Easily disassembled, one-way check valve
DE3517325C1 (de) * 1985-05-14 1986-12-11 Drägerwerk AG, 2400 Lübeck Misch- und Dosiervorrichtung fuer stroemende Medien
US4637430A (en) * 1985-12-31 1987-01-20 Nupro Company Check valv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7757A (ko) * 2017-01-25 2018-08-02 유병남 내연기관용 유체흐름 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체크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8903457D1 (de) 1992-12-17
JPH02168082A (ja) 1990-06-28
EP0357420A1 (en) 1990-03-07
JP2706152B2 (ja) 1998-01-28
DE68903457T2 (de) 1993-03-18
KR900005104A (ko) 1990-04-13
EP0357420B1 (en) 1992-11-11
US4964423A (en) 1990-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65668B1 (ko) 체크 밸브
US4958661A (en) Check valve
US4508140A (en) Hydraulic flow control valves
US4791956A (en) Constant flow valve
EP1125074B1 (en) Disc type check valve
US3421547A (en) Check valve mechanism
US5901749A (en) Three-way poppet valve
US7878479B2 (en) Adjustment valve
EP0237681B1 (en) Check valve
US3424427A (en) Fluid-pressure valve
US4856555A (en) Check valve
KR20200032266A (ko) 용접된 다이어프램 시트 캐리어를 갖는 다이어프램 밸브
US4930553A (en) Pressure relief valve
US4724870A (en) Flow regulator
MX2008011598A (es) Valvula con diafragma elastico.
US3567022A (en) Filter with relief and check valves
JPH03223578A (ja) 流量制御弁
CA2057216C (en) Line check valve
US20050077220A1 (en) Valve and spring for fluid filter
US3407841A (en) Fluid pressure regulators
JPH0450470B2 (ko)
US5161571A (en) Check valve
JPH0755022A (ja) 弁装置
EP0081229A2 (en) Pressure regulator
JPS6118074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91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