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3107A - 식기세척기의 역류차단장치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의 역류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3107A
KR20040023107A KR1020020054732A KR20020054732A KR20040023107A KR 20040023107 A KR20040023107 A KR 20040023107A KR 1020020054732 A KR1020020054732 A KR 1020020054732A KR 20020054732 A KR20020054732 A KR 20020054732A KR 20040023107 A KR20040023107 A KR 200400231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sealing member
water
dishwasher
inlet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4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희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547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23107A/ko
Publication of KR20040023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310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47L15/4223Devices for water discharge, e.g. devices to prevent siphoning, non-return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의 역류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역류방지장치는, 내부에 배수통로(101)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통로가 형성된 가이드(100)와; 상기 배수통로와 연통하도록 상기 가이드의 저면에 형성되어, 배수될 물이 상기 배수통로로 유입되는 유입포트(106a); 상기 가이드 내부의 배수통로에서의 물을 식기세척기의 외부로 안내하기 위한 배수포트(106b); 상기 유입포트의 개구된 상면을 개폐하는 고무재의 밀폐부재(162)와, 상기 밀폐부재의 상부에 결합되는 안내바아(164)로 구성되어, 상하 이동에 의하여 유입포트를 개폐하는 역류차단부재(160); 그리고 상기 안내바아의 상하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안내바아의 양측면을 지지하도록 배수통로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한쌍의 안내돌기(172,17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식기세척기의 역류차단장치{Device for preventing water from backward flowing for dishwasher}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기의 세척을 마친 물이 배수된 후, 배수호스를 통하여 식기세척기 내부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식기세척기의 역류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먼저 도 1에 기초하면서 일반적인 식기세척기의 구성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식기세척기는, 내부에 식기의 세척을 위한 공간을 구비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의 개구된 전면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내부는 터브(16)에 의하여 내부케이싱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터브(16)에는 세척하고자 하는 식기를 올려놓기 위한 상부랙어셈블리(12a)와 하부랙어셈블리(12b)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랙어셈블리(12)에 올려진 식기에 세척수를 분출하기 위한 상부 분사아암(14a)와, 하부분사아암(14b)이, 각각의 랙어셈블리(12) 하부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수도관에서 공급되는 세척수가 상기 분사아암(14)을 통하여 상방으로 분사되면서 식기의 세척이 진행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의 내부에는, 상술한 랙어셈블리(12)가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터브(16)가 설치되어 있으며, 실질적으로 상기 터브(16)에 의하여 본체(10) 내부의 세척을 위한 공간이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터브(16)의 일측에는, 세척수의 공급 및 배수를 위한 복수개의 통로가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18)가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18)는, 연수장치(water softener)가 설치되어 있는 식기세척기인 경우, 공급되는 세척수가그것을 통하여 연수장치로 공급된 후 상기 분사아암(14)으로 공급되도록 하거나, 세척이 수행된 물을 그것을 통하여 외부로 배수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18)는 물이 통과하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소정의 부피를 가지고 있으며 예를 들면, 상기 가이드(18)의 내부에는, 본체 내부에서 세척을 마친 물은 어느 일측의 호스(a)를 통하여 상기 가이드(18)의 내부로 유입된 후, 다른 일측의 호스(b)를 통하여, 식기세척기의 외부로 완전히 배수되도록 구성되는 통로를 구비하고 있다. 또는 세척을 위하여 공급되는 물도, 상기 가이드(18)의 내부를 경유한 다음, 연수장치(도시 생략)를 경유하여 본체 내부의 분사아암(14)으로 공급되어 식기의 세척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있다.
상기 가이드(18)의 내부에는, 배수호스를 통한 물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역류차단장치가 설치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18)의 내부 일측에는, 배수를 위한 배수통로(18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수통로(18a)는, 세척을 마친 오염된 물이 호스와 연결되는 유입공(A)을 통하여 내부로 유입된 후, 배수공(B)을 통하여 배수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18)의 내부에 형성되는 경로이다.
상기 배수통로(18a)의 유입공(A)의 내부 상측에는, 역류방지를 위한 볼(19)이 안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볼(19)과 유입공(A) 사이의 수밀 및 불필요한 접촉 소음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유입공(A)의 상부 내측에는 고무재질로 만들어지는 패킹부(18b)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유입공(A)을 통하여 배수되는 물이 가이드(18)의 내부로 유입되면, 배수되는 물의 압력이 상기 볼(19)을 상부로 밀어 올리면서 상기 배수통로(18a)를 통하여 배수공(B)으로 배수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 배수공(B)을 통하여 물이 역류하여 가이드(18)의 내부로 들어오게 되면, 역류하는 물의 압력은 상기 볼(19)의 상부에서 하방으로 가해진다. 따라서 역류하는 물은 상기 볼(19)에 의하여 차단되어, 유입공(A)을 통하여 식기세척기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종래의 기술에 의하면, 상기 볼(19)은 일정한 중량을 가짐과 동시에, 방청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요구되기 때문에, 실제로 스테인레스 재질로 형성되고 있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스테인레스 재질의 볼(19)을 이용하여 상기 유입공(A) 전체를 막을 수 있도록 크게 형성하는 것은, 스테인레스 자체가 고가이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고 할 수 있다. 즉, 종래의 역류방지장치에 의하면, 고가의 재질인 스테인레스재의 볼(19)을 이용하여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제품의 제조 코스트가 상승하게 되는 단점이 지적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유입공(A)의 상부 내측면에, 고무재질의 패킹부(18b)를 형성하여야 하는데, 실질적으로 합성수지재로 만들어지는 가이드(18)의 내부에 상기 패킹부(18b)를 형성하는 것은, 부품의 원가 상승뿐만 아니라, 부품의 제조공정이 복잡하게 되는 단점도 지적된다.
상술한 종래의 구성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유입공(A)을 통한 역류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역류하는 물을 완전하게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과,생산원가를 저감할 수 있는 것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부품의 제조원가를 저감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부품 제조공정을 보다 단순화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식기세척기의 역류방지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목적으로 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식기세척기의 예시 사시도.
도 2는 일반적인 식기세척기의 부분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가이드의 부분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식기세척기의 베이스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역류방지장치의 단면 예시도.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가이드101 ..... 배수통로
105 ..... 내부격벽106a ..... 유입포트
106b ..... 배수포트160 ..... 역류차단부재
162 ..... 패킹부재164 ..... 안내바아
172, 174 ..... 안내돌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식기세척기의 역류방지장치는, 내부에 배수통로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통로가 형성된 가이드와; 상기 배수통로와 연통하도록 상기 가이드의 저면에 형성되어, 배수될 물이 상기 배수통로로 유입되는 유입포트; 상기 가이드 내부의 배수통로에서의 물을 식기세척기의 외부로 안내하기 위한 배수포트; 상기 유입포트의 개구된 상면을 개폐하는 고무재의 밀폐부재와, 상기 밀폐부재의 상부에 결합되는 안내바아로 구성되어, 상하 이동에 의하여 유입포트를 개폐하는 역류차단부재; 그리고 상기 안내바아의 상하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안내바아의 양측면을 지지하도록 배수통로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한쌍의 안내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밀폐부재의 하부는, 유입포트의 개구된 상단부를 밀폐하는 반구형으로 형성되거나, 원추형 또는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의한 역류방지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4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의한 역류방지장치가 구현되는 가이드(100)의 주변 구성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세척공간을 형성하는 터브가 내장된 식기세척기 본체의 하부에는 베이스(110)가 설치된다. 상기 베이스(110) 상에는,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펌프(122)가 일측에 설치된 섬프어셈블리(12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10) 상에는, 세척수를 연수로 만들기 위한 연수장치(13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연수장치(130)의 상부측에는, 가이드(10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100)는, 수도관에서 공급되는 물이 유입되는 유입포트(10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유입포트(102)를 통하여 공급되는 물은, 가이드(100)의 내부 경로를 순환한 후, 공급포트(104)를 통하여 상기 연수장치(130)의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연수장치(130)를 경유한 물은 연수처리된 후, 공급포트(132)를 통하여 섬프어셈블리(120)의 내부로 공급되어, 펌프(122)에 의하여 식기세척기 내부의 분사아암으로 공급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100)의 일측에는 한쌍의 배수포트(106a,106b)가 형성되어 있다. 일측의 배수포트(106a)는 배수펌프(124)에 의하여 호스(Ha)를 통하여 배수되는 물을 상기 가이드(100) 내부로 안내하기 위한 것이고, 타측의 배수포트(106b)는 가이드(100) 내부의 물을 호스(Hb)로 안내함으로써, 완전히 배수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부분이다.
다음에는 도 5 및 도 6에 기초하면서 상기 가이드(100) 내부의 배수부분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100)의 일측에는, 배수통로(101)가 형성되어있다. 상기 배수통로(101)는, 가이드 내부에서 별도의 공간을 구획하는 격벽(103)에 의하여 가이드(100)의 내부 일측에 형성되고, 직립한 내부격벽(105)에 의하여 소정의 경로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배수통로(101)의 입구측에 형성된 유입포트(106a)를 통하여, 상기 배수펌프(124)에 의하여 배수되는 물이 가이드(100)의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이렇게 유입된 물은, 직립한 내부격벽(105)에 의하여 상부로 안내된 후, 배수통로(101)의 우측을 통하여 배수포트(106b)로 빠져나가게 된다.
상기 유입포트(106a)로 공급되는 물은 호스(Ha)를 통하여 가이드(100)의 내부로 유입되고, 배수포트(106b)로 나가는 물은 호스(Hb)를 통하여 식기세척기의 외부로 완전히 배수된다. 그리고 상기 배수통로(101)의 좌측부분에는, 수도관의 물이 상기 가이드(100) 내부로 유입되는 유입포트(102)가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이드(100)의 내부에 위치하는 유입포트(106a)의 상단부에는, 역류차단부재(160)가 안착되어 있다. 상기 역류차단부재(160)는, 유입포트(106a)의 상단 개구부를 덮을 수 있는 밀폐부재(162)와, 상기 밀폐부재(162)의 상부에 결합된 스테인레스 재질의 안내바아(164)로 구성된다.
상기 밀폐부재(162)는, 상기 유입포트(106a)의 개구된 상단부에 안착되어, 유입포트(106a)를 막을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밀폐부재(162)가 유입포트(106a)의 상단부를 막은 상태에서는, 유입포트(106a)의 상부에서 하부로 흐르는 물의 흐름은 완전히 차단될 수 있다. 상기 밀폐부재(162)는, 유입포트(106a)의 상단부와 수밀상태로 긴밀하게 접촉할 수 있도록 고무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밀폐부재(162)는, 유입포트(106a)의 상부에 안착되었을 때, 유입포트(106a)의 상단을 밀폐시킬 수 있는 형상의 것이면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도시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밀폐부재(162)를 반구형으로 형성하여, 유입포트(106a)의 개구된 상부를 밀폐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고, 상기 밀폐부재(162)를 원추형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또는 상기 밀폐부재를 단순한 판상의 것으로 형성하여 유입포트(106a)의 개구된 상면에 밀착된 상태로 밀폐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밀폐부재(162)의 상부 중심부분에는 방청성이 있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형성되는 안내바아(164)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안내바아(164)는 스테인레스로 형성되는 것에 의하여 일정한 중량감을 상기 밀폐부재(162)에 부여함과 동시에, 상기 밀폐부재(162)의 상하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스테인레스로 형성되는 안내바아(164)의 전체 체적은, 종래의 볼 전체에 비하여 작은 직선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밀폐부재(162)가 상하로 이동할 때, 상기 안내바아(164)가 거의 수직상태로 상하 이동하는 것을 보조하기 위하여, 상기 배수통로(101)의 내측면 일측에는 한쌍의 안내돌기(172,174)가 형성된다. 상기 한쌍의 안내돌기(172,174)는, 안내바아(164)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안내바아(164)를 가운데 두고 양측에 근접한 상태로 성형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안내돌기(172,174)는, 가이드(100)를 사출 성형할 때, 가이드(100)의 내측면 일측에서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한쌍의 안내돌기(172,174)는, 내부격벽(105)과, 격벽(103)의 측면(103a) 사이에서 가이드(100)의 내측면에 일체로 성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내돌기(172,174)의 외측으로는 배수되는 물이 배수통로(101)를 따라 흐를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에는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역류방지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식기세척기에서, 식기를 세척한 물은 배수펌프(124)에 의하여 호스(Ha)를 통하여 유입포트(106a)로 공급된다. 이렇게 공급되는 물의 압력은, 역류차단부재(160)의 밀폐부재(162) 저면에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역류차단부재(160)는 상부로 이동하게 되어, 실질적으로 밀폐부재(162)는 유입포트(106a)의 상단부를 개방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역류차단부재(160)가 상부로 이동할 때, 직선상의 안내바아(164)는 한쌍의 안내돌기(172,174)에 의하여 거의 수직방향으로 정확하게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유입포트(106a)가 개방된 상태에서, 배수되는 물은 상기 유입포트(106a)를 통하여 상부로 이동하게 되어, 상기 한쌍의 안내돌기(172,174)의 외측공간을 이용하여, 배수통로(101)를 따라 흐르게 된다. 그리고 배수포트(106b)를 통하여 하방으로 안내되면서 호스(Hb)에 의하여 식기세척기의 외부로 완전하게 배수된다.
그리고 외부적 요인에 의하여 배수포트(106b)를 통하여 외부의 물이 역류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렇게 역류하는 물은 배수포트(106b)를 통하여 가이드(100)의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가이드(100) 내부에서는 상기 배수통로(101)의 역방향으로 공급되어, 상기 유입포트(106a)의 상부까지 들어올게 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역류차단부재(160)의 밀폐부재(162)는 유입포트(106a)의 상부에 안착되어 유입포트(106a)를 막고 있는 상태이고, 이러한 상태에서 역류하는 물의 압력은 역류차단부재(160)의 상면에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역류차단부재(160)는 역류하는 물에 의하여 더욱 견고하게 유입포트(106a)를 막게 되어, 유입포트(106a)를 통과하지 못하게 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역류하는 물이 식기세척기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유입포트(106a)의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역류차단부재(160)를 설치하되, 상기 역류차단부재(160)는, 밀폐부재(162)와 안내바아(164)로 구성하는 것을 기본적인 주제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하는 것은 자명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역류차단부재는, 실질적으로 고무로 만들어지는 밀폐부재(162)와, 안내바아(164)로 구성되기 때문에, 전체를 고가의 스테인레스로 성형하는 종래의것에 비하여 재료비가 저감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종래의 것에 비하여, 역류방지장치를 조립하는 공정상에서도 보다 단순해지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종래의 구조에 의한 가이드 내부에 고무패킹부의 형성공정을 생략하고, 역류차단부재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역류차단부재 자체의 제조과정 및 전체적인 역류방지장치의 조립공정이 보다 단순화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5)

  1. 내부에 배수통로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통로가 형성된 가이드와;
    상기 배수통로와 연통하도록 상기 가이드의 저면에 형성되어, 배수될 물이 상기 배수통로로 유입되는 유입포트;
    상기 가이드 내부의 배수통로에서의 물을 식기세척기의 외부로 안내하기 위한 배수포트;
    상기 유입포트의 개구된 상면을 개폐하는 고무재의 밀폐부재(162)와, 상기 밀폐부재의 상부에 결합되는 안내바아(164)로 구성되어, 상하 이동에 의하여 유입포트를 개폐하는 역류차단부재(160); 그리고
    상기 안내바아의 상하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안내바아의 양측면을 지지하도록 배수통로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한쌍의 안내돌기(172,17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역류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재(162)의 하부는, 유입포트의 개구된 상단부를 밀폐하는 반구형으로 형성되는 식기세척기의 역류방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재의 하부는, 유입포트의 개구된 상단부를 밀폐하는 원추형으로 형성되는 식기세척기의 역류방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재의 하부는, 유입포트의 개구된 상단부를 밀폐하는 판상으로 형성되는 식기세척기의 역류방지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바아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역류방지장치.
KR1020020054732A 2002-09-10 2002-09-10 식기세척기의 역류차단장치 KR200400231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4732A KR20040023107A (ko) 2002-09-10 2002-09-10 식기세척기의 역류차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4732A KR20040023107A (ko) 2002-09-10 2002-09-10 식기세척기의 역류차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3107A true KR20040023107A (ko) 2004-03-18

Family

ID=37326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4732A KR20040023107A (ko) 2002-09-10 2002-09-10 식기세척기의 역류차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23107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2878U (ja) * 1991-10-04 1993-04-30 エヌオーケー株式会社 バルブ
KR940005956Y1 (ko) * 1992-08-28 1994-08-31 조청길 퍼즐 필기구
KR960014734A (ko) * 1994-10-04 1996-05-22 체크밸브
KR20020024822A (ko) * 2000-09-27 2002-04-03 최민철 체크밸브가 구비된 튜브관 연결밸브
KR20030086032A (ko) * 2002-05-03 2003-11-07 문희경 볼체크밸브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2878U (ja) * 1991-10-04 1993-04-30 エヌオーケー株式会社 バルブ
KR940005956Y1 (ko) * 1992-08-28 1994-08-31 조청길 퍼즐 필기구
KR960014734A (ko) * 1994-10-04 1996-05-22 체크밸브
KR20020024822A (ko) * 2000-09-27 2002-04-03 최민철 체크밸브가 구비된 튜브관 연결밸브
KR20030086032A (ko) * 2002-05-03 2003-11-07 문희경 볼체크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67733B1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having a pump integrally formed with a filter
RU2417731C2 (ru) Бытовая моечная машина, в частности посудомоечная машина с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ым верхним гидравлическим контуром
KR101270538B1 (ko) 식기세척기
EP2818090B1 (en) Dish washing machine and sump assembly thereof
KR20060007259A (ko) 식기 세척기의 상부노즐 첵 밸브 결합 구조
KR20050105723A (ko) 식기 세척기의 에어 브레이크
KR101266869B1 (ko) 식기세척기
KR101054115B1 (ko) 식기 세척기의 도어 실링 개스킷 구조
KR20040047015A (ko) 식기세척기의 유로개폐장치
US20060060223A1 (en) Dishwasher
KR101054154B1 (ko) 식기 세척기의 에어 브레이크
KR20040023107A (ko) 식기세척기의 역류차단장치
KR100842928B1 (ko) 식기세척기의 역류차단장치
KR100686119B1 (ko) 식기세척기
KR20040023106A (ko) 식기세척기의 역류차단장치
KR101210124B1 (ko) 식기 세척기의 랙구조
KR20060020776A (ko) 식기세척기의 전면표시장치의 결합구조
KR101052965B1 (ko) 식기 세척기의 누수 방지구조
KR100808260B1 (ko) 세정 기구의 정수장치
KR101054113B1 (ko) 식기 세척기의 전도방지구조
KR100808261B1 (ko) 세정 기구의 정수장치
KR100808262B1 (ko) 세정 기구의 정수장치
KR20050122360A (ko) 식기 세척기의 섬프 구조
KR20040023108A (ko) 식기세척기의 배수호스 고정장치
KR100794346B1 (ko) 세정 기구의 정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