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2909B1 - 직기샤프트용 샤프트막대 - Google Patents

직기샤프트용 샤프트막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2909B1
KR0162909B1 KR1019920000544A KR920000544A KR0162909B1 KR 0162909 B1 KR0162909 B1 KR 0162909B1 KR 1019920000544 A KR1019920000544 A KR 1019920000544A KR 920000544 A KR920000544 A KR 920000544A KR 0162909 B1 KR0162909 B1 KR 01629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shaft
support
rail
co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0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4966A (ko
Inventor
바우만 한스
Original Assignee
한스 피에츠, 에두아르드 로이블리
그로프 운트 콤파니 아크티엔 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스 피에츠, 에두아르드 로이블리, 그로프 운트 콤파니 아크티엔 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한스 피에츠, 에두아르드 로이블리
Publication of KR920014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49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2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29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CSHEDDING MECHANISMS; PATTERN CARDS OR CHAINS; PUNCHING OF CARDS; DESIGNING PATTERNS
    • D03C9/00Healds; Heald frames
    • D03C9/06Heald frames
    • D03C9/0608Construction of frame parts
    • D03C9/0616Horizontal upper or lower rods
    • D03C9/0625Composition or used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CSHEDDING MECHANISMS; PATTERN CARDS OR CHAINS; PUNCHING OF CARDS; DESIGNING PATTERNS
    • D03C15/00Pattern cards or chains
    • D03C15/06Apparatus for setting pegs in, or removing pegs from, pattern c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 Auxiliary Weaving Apparatuses, Weavers' Tools, And Shuttl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Soundproofing, Sound Blocking, And Sound Damping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Abstract

샤프트막대에는 중공체로서 형성된 지지막대(1)이 제공되어 있고, 이 지지막대에는 코드지지레일(3)용 홀더부재(2)가 접속되어 있다. 지지막대(1)은 횡단면이 직사각형으로 되어 있는 견고한 세로막대(4)에 의하여 구부러지지 아니하는 경직성을 유지하고, 이 세로막대의 좁은 측면을 형성한다. 또다른 좁은 측면은 코드지지레일용의 모나게 만들어진 홀더부재(2)의 다리(5)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넓은 양측면을 형성하는 매우 얇은 벽으로된 2개의 금속박판부분(6, 7)이 레이저 용접에 의하여 세로막대(4) 및 다리(5)와 결합되어 있다. 지지막대(1)의 공동내에는 예를 들면, 벌집 모양의 구조를 가진 충전몸체(10)이 있고, 그 속에는 다수의 단일공동(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단일공동들이 탄력있는 방음재로 채워져 있다. 충전몸체(10)은 양측면이 점착제로 적셔져 있는 재료스트립(12)로 덮여 있고, 금속박판부분(6, 7)과 점착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얇은 금속박판부분(6, 7)에 부출되지 아니하고, 샤프트막대는 고도의 안정성을 보유할 뿐 아니라, 탄성방음재가 채워져 있는 충전몸체(10)에 의하여 소음에 대하여 최적의 특성도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직기샤프트용 샤프트막대
제1도는 부분적으로 절개된 샤프트막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수직단면도.
제2도는 샤프트막대의 변형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지지봉 2 : 홀더부재
3 : 코드지지레일 4 : 세로막대
5 : 다리 6 : 금속박판부분
9 : 홈 10 : 충전몸체
11 : 개별중공실 12 : 재료스트립
13 : 경질거품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 의한 직기(織機) 샤프트용 샤프트 막대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측면지지물에 의하여 서로 결합되어 있고 2개의 샤프트 막대로 구성된 직기샤프트용으로 경금속 중공프로필로 구성된 샤프트 막대들이 사용되는데, 여기에서는 코드지지레일이 한가닥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동력직기가 점점 더 높은 회전수로 가동되어야 하고, 동력직기의 폭도 더 넓게 만들어지기 때문에, 매우 빠른 속도로 진동하고 직기샤프트의 부하능력도 한계에 달하게 되고, 경금속 중공프로필로 구성된 그 샤프트 막대들도 충분한 교호굴절강성을 가지지 못하게 되었다.
강철의 교호굴절강성이 본질적으로 경금속의 교호굴절강성보다는 양호하기 때문에, 전술한 문제가 있는데도 불구하고, 고속으로 운전되는 동력직기내의 넓은 직기샤프트용으로는 여전히 강철로 구성된 샤프트 막대가 제안된다. 샌드위치구조로 형성된 이러한 샤프트 막대에는 중량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상당히 얇은 벽을 가진 금속박판 부분이 넓은 측면에 제공되어 있고, 중공몸체를 형성하는 지지막대의 좁은 측면에는 두꺼운 세로프로필이 제공되어 있으며, 금속결합부분에는 평행으로 뻗어있는 코트지지레일도 달려있다.
DE-A-37 02 524에 의하여 공지된 이러한 샤프트 막대는 평편하고 성형되지 아니한 다수의 단일부재들로 구성되어 있고, 이 단일부재들은 동수의 용접이음에 의하여 하나의 샤프트 막대로 접합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에는 여러 가지의 단점들이 있다. 이와 같은 샤프트 막대는 용접부가 너무 많아서 제조비가 많이 소요되고, 용접마디가 많기 때문에 제조하는 샤프트 막대를 직선형으로 만드는데 필요한 정밀성을 달성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지지막대의 좁은 측면을 형성하고 두꺼운 금속부분의 재료강도가 구조의 높은 굴절강도를 보장할만큼 충분하지 못하다. 직기샤프트가 동력직기내에서 동작하는때에 생기는 진동으로 인하여 샤프트 막대는 음파를 발생시키지만, 지지막대의 공동내에 들어있고 거품몸체의 소음작용은 매우 경미할 뿐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적은 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고, 제조에 있어서도 샤프트 막대의 경직성 및 중량에 대한 종래의 요건을 간단한 방법으로 충족시키고, 그 구조에 의하여 소음능력이 양호한 직기샤프트용 샤프트 막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샤프트 막대에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한 특징이 제공된다. 샤프트 막대의 모든 금속부분들은 특별한 레이저 용접법에 의하여 접합되어 있다. 지지막대의 좁은 측면에 단면이 직사각형으로된 견고한 세로막대가 제공되어 있기 때문에, 고도의 굴절강성을 달성할 수 있고, 이러한 구성의 장점은 이와 같은 세로막대의 단면을 필요에 따라 더 작게 또는 더 크게 선택함으로써 그 특성을 변동시킬 수 있는 점이다.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진 샤프트 막대를 만들기 위하여 제조용으로 이용되는 모형과 보조공구를 변경시킬 필요가 없다. 외부질량을 변동시킴이 없이 경질의 샤프트 막대를 만들기 위하여 세로막대의 단면프로필을 세로중간보다 더 크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 도시된 직기샤프트용 샤프트막대에는 공동체로서 형성된 지지막대(1)은 아래쪽으로 접속되어 있고, 하나의 프로필 레일로 구성되어 있고, 지지막대(1)에 대하여 평행으로 뻗어있는 코드지지레일(3)이 이에 고정되어 있는 홀더부재(2)가 제공되어 있다. 지지막대(1)은 단면이 본래 직사각형으로 되어 있고, 좁은 측면을 형성하는 견고한 세로막대(4), 이에 대하여 평행으로 뻗어있고, 홀더부재(2)의 또 다른 좁은 측면을 형성하는 다리(5), 및 샤프트 막대의 길이 전체에 걸쳐 뻗어있고, 세롬막대(4)와 홀더부재(2)에 외측으로 단접되어 있는 2개의 얇은 벽을 가진 금속박판부분(6, 7)등으로 형성되어 있다. 결합은 특히 레이저 용접에 의하여 실시된다.
한가닥으로 형성되어 있고, 0.7㎜ 내지 1.25㎜의 벽두께를 가진 금속박판으로 구성된 홀더부재(2)는 그 하나의 다리(5)가 금속박판부분(6, 7)에 용접되어 있고, 그 또다른 다리(8)에는 후부연단으로 부터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세로방향으로 뻗어있는 가는 홈(9)가 제공되어 있다. 이러한 가는 홈의 외측에는 한가닥으로 형성되어 있고, 특히 경질강철로 구성된 코드지지레일(3)이 홈(9)의 내측면에서 외측으로 용접되어 있다. 샤프트 막대는 모두 5개의 용접마디로 완전하게 제조된다. 지지막대(1)에 있는 4개의 용접이음매는 쌍으로 서로 대향하여 있기 때문에, 이러한 대칭성에 의하여 용접할 때 그렇지 아니하면 생길 수 있는 지연을 피할 수 있으므로, 샤프트 막대의 직선성에 있어서 고도의 정밀성을 달성할 수 있다.
코드지지레일(3)이 그 후측면으로 부터 용접되어 정면측이 완전히 매끄럽게 되기 때문에, 도시되지 아니한 직기코드가 코드지지레일 위를 자유로이 미끄러질 수 있다.
홈(9)의 깊이는 제조시 필요에 따라 서로 다르게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용접된 얇은 코드지지레일이 올바른 위치에 있게 되고, 경질성은 어느정도 약화되더라도, 중량을 더 감량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에, 이러한 방법에 의하여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지지막대(1)은 충전몸체(10)으로 채워져 있는 공동을 둘러싸고 있다. 이 충전용 몸체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방향으로 뻗어있는 다수의 단일공동(11)이 제공된 벌집모양의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단일공동(11)은 각각 탄력있는 방음재로 충전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점착특성이 제공된 연질거품이 중요하다. 벌집모양의 구조를 가진 충전몸체(10)에는 금속박판부재(6, 7)쪽으로 향한 단부면에, 금속박판부재와 점착결합하는데 적합한 매우작은 면만이 제공되어 있다. 금속박판부재(6, 7)의 두께가 0.15㎜ 내지 0.25㎜에 지나지 아니하기 때문에, 벌집모양으로된 충전 몸체의 지지작용이 미약하므로, 얇은 금속박판부재의 부출(浮出)을 다른 방법으로 방지하여야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충전몸체(10)의 양측면에는 재료스트립(12)가 배치되어 있고, 이 스트립은 점착물질에 의하여 적셔지고, 이러한 점착물질은 점착과정을 위하여서만 활성화될 수 있고, 그후에야 비로서 경화된다. 재료스트립은 직물이나 섬유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Prepreg라는 상표하에 시판되고 있는 점착제로 적셔진다. 양측으로 점착할 수 있는 재료스트립(12)는 벽이 매우 얇은 금속박판부분(6, 7)이 전면에 걸쳐 충전몸체(10)과 결합되어 이러한 금속박판부분의 부출현상을 방지하도록 작용한다. 이러한 작용은 샤프트 막대 전체의 안정성을 위하여 매우 중요하다. 재료스트립(2)용으로는 점착층이 경화된 후에도, 고도의 탄력을 보유하고 재료를 선택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얇은 금속박판부분(6, 7)이 부출되지 아니하면서도, 방음작용을 양호하게 할 수 있게 한다.
충전몸체(10)은 벌집몽양의 구조에 갈음하여 가로방향으로 뻗어있는 다수의 구멍(14)가 뚫려있는 경질거품(13)으로도 할 수 있다. 이러한 단일공동(14)는 경우에 따라서는 탄력성 있는 소음재로 충전되어 있다.
5개의 층으로 구성되어 있고, 2개의 외측금속박판부재(6,7), 재료스트립(12) 및 충전몸체(10) 등을 둘러싸고 있고 이러한 샌드위치구조에 의하여 샤프트 막대의 강성에 대한 좋은 결과를 얻었다. 전술한 샤프트 막대는 예를 들면, 세로막대(4)의 횡단면, 코드지지레일(3)용 홀더부재(2)의 금속박판두께, 코드지지레일을 고정시키기 위한 홈(9)의 깊이, 이러한 코드지지레일의 횡단면, 충전몸체(10)용 재료의 선택 등과 같이, 각 구성요소의 구조를 변경시킴으로써 샤프트 막대의 외측규모가 변경되지 아니한 때에, 직기조작상 특별한 필요에 적응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예를 들면, 매우 무거운 직물이나, 매우 넓은 직물에 있어서, 경직성이 높은 샤프트 막대를 만들 수 있고, 그 고도의 경진성에 의하여 자주 방해가 되는 중간 버팀대 없이도 작업을 할 수 있다. 매우 빨리 회전하는 동력직기에 있어서는 비교적 적은 중량을 가진 샤프트 막대를 만들 수 있다. 여기에서는 몇 개의 구성부분이 변경된 샤프트 막대를 동일한 제조수단으로 만들 수 있으므로, 저렴한 생산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5)

  1. 직사각형의 중공체로서 형성된 지지막대와, 그 지지막대에서의 폭이 좁은 일측면으로부터 평행으로 연장하며 홀더부재를 거쳐 지지막대에 고정결합되는 코드 지지 레일로 구성되어 잇는 직기 샤프트용 막대에 있어서, 상호 용접됨으로써 지지막대에서 넓은 측면을 형성하는 얇은 벽의 양쪽 금속 박판 부분(6, 7)사이에는 폭이 좁은 일측면을 형성하면서 직사각형의 횡단면을 갖는 견고한 세로 막대(4)와, 넓은 측면의 금속 박판 부재 보다 몇 배 두꺼운 두께로 금속 박판으로부터 제조되는 굽힘 가공된 일체형 프로필 레일(2)의 일부분으로서 코드 지지 레일(3)의 일홀더 부분이고 폭이 좁은 타방 측면을 형성하는 다리(5)가 용접되어 있으며, 일체형 코드 지지 레일(3)은 홀더 부분 혹은 프로필 레일(2)의 다른쪽 다리(8)에 용접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막대(1)는 탄성 방음재로 채워진 별개의 횡방향 연장형 공동(11, 14)을 다수 구비하는 충전체(10, 13)를 지지 막대 공동내에 포함하며, 상기 충전체(10, 13)와 별개의 공동(11, 14)은, 엮어지거나 엮어지지 않은 직물로 이루어지고 점착증을 구비하여 넓은 측면의 박판 금속 부분(6, 7)에 점착되는 탄성 스트립재(12)에 의해 양쪽 측면에 덮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 샤프트용 샤프트 막대.
  2. 제1항에 있어서, 점착 결합부로 작용하는 상기 스트립재(12)는 점착층이 경화된 이후에도 탄성 특성을 보유하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 샤프트용 샤프트 막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체(10, 13)는 다수의 통과공(14)이 구비된 경질 포옴(13), 또는 벌집 모양의 공동(11)이 구비된 경지 같은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 샤프트용 샤프트 막대.
  4. 제1항에 있어서, 샤프트 막대의 모든 금속 부분(2-7)은 레이저 용접으로 서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 샤프트용 샤프트 막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 지지 레일(3)에 연결된 프로필 레일(2)의 다리(8)에는 세로 방향으로 연장하는 홈(9)이 구비되어 있으며, 그 내측 홈으로부터 외측면에 상기 코드 지지 레일(3)이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 샤프트용 샤프트 막대.
KR1019920000544A 1991-01-19 1992-01-16 직기샤프트용 샤프트막대 KR01629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P4101512.6 1991-01-19
DE4101512A DE4101512C1 (ko) 1991-01-19 1991-01-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4966A KR920014966A (ko) 1992-08-26
KR0162909B1 true KR0162909B1 (ko) 1998-12-01

Family

ID=6423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0544A KR0162909B1 (ko) 1991-01-19 1992-01-16 직기샤프트용 샤프트막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183082A (ko)
EP (1) EP0496054B1 (ko)
JP (1) JPH04300337A (ko)
KR (1) KR0162909B1 (ko)
CN (1) CN1028121C (ko)
DE (1) DE4101512C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37225Y1 (it) * 1995-10-16 2000-09-05 Nuova O M V S R L S R L Traversa a struttura composita per quadri porta-licci di telai ditessitura
DE29604326U1 (de) * 1996-01-13 1996-06-05 Schmeing Gmbh & Co Webschaft mit Litzentragschiene für Webmaschinen
IT1318130B1 (it) * 2000-07-06 2003-07-23 Nuova O M V S R L Traversa a piu' componenti per quadri portalicci a rumorosita' ridotta di telai di tessitura.
DE10153729B4 (de) * 2001-10-31 2013-09-12 Grob Textile Ag Tragkörper für einen Webschaft
DE10325908B4 (de) * 2003-06-05 2005-07-21 Groz-Beckert Kg Schaftstab, Webschaft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chaftstabs
DE10326123B4 (de) * 2003-06-06 2007-01-04 Groz-Beckert Kg Schaftstab, Herstellungsverfahren für diesen und Webschaft
DE10349382B3 (de) * 2003-10-21 2005-06-09 Groz-Beckert Kg Webschaft in Verbundbauweise
DE102004055381B3 (de) * 2004-11-17 2006-04-06 Groz-Beckert Kg Schafstab für Webschäfte
DE102005044474B3 (de) 2005-09-16 2007-01-04 Groz-Beckert Kg Schaftstab und Webschaft
EP1975293B1 (de) * 2007-03-26 2012-01-25 Groz-Beckert KG Litzentragschiene aus gebogenem Blech
DE502007002277D1 (de) * 2007-09-11 2010-01-21 Groz Beckert Kg Geklebte Litzentragschiene
JP5769958B2 (ja) * 2010-12-17 2015-08-26 ナンカイ工業株式会社 サイドステー取付部構造
BE1020352A3 (nl) * 2011-11-03 2013-08-06 Picanol Weefkader met een versterkingsprofiel.
IT201900008379A1 (it) * 2019-06-07 2020-12-07 Itema Spa Traversa di quadro-liccio per telai di tessitura a rigidita' migliorata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488035A (de) * 1967-12-22 1970-03-31 Froehlich Ag E Tragstab für Webschäfte
CH525352A (de) * 1968-09-13 1972-07-15 Contraves Ag Stab mit hoher Biegesteifigkeit und Verwendung desselben
CH610993A5 (ko) * 1976-06-08 1979-05-15 Sulzer Ag
CH637702A5 (de) * 1979-07-13 1983-08-15 Grob & Co Ag Webeschaft.
US4633916A (en) * 1985-06-24 1987-01-06 Rast John L Roll-formed shear-resistant frame slat
DE3702524A1 (de) * 1987-01-28 1988-08-11 Grob & Co Ag Tragstab fuer einen webschaft
EP0288652A1 (fr) * 1987-04-28 1988-11-02 N.V. Verbrugge Traverse pour lame de métier à tisser
US4790357A (en) * 1987-08-06 1988-12-13 Steel Heddle Mfg., Inc. Harness frame slat and hedd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4966A (ko) 1992-08-26
EP0496054B1 (de) 1995-09-06
EP0496054A1 (de) 1992-07-29
CN1063514A (zh) 1992-08-12
JPH04300337A (ja) 1992-10-23
US5183082A (en) 1993-02-02
CN1028121C (zh) 1995-04-05
DE4101512C1 (ko) 1992-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62909B1 (ko) 직기샤프트용 샤프트막대
JP2593707B2 (ja) ヘルド用支持ロッド
JPH0661377B2 (ja) 多層構造のスキー
JP4252520B2 (ja) 複合構成形式の綜絖
EP0441313A2 (en) Bogie frame for railway vehicle
JP4134146B2 (ja) ヘドルシャフトのためのシャフトロッド
US5232025A (en) Shaft rod and heald frame for a loom
US4844130A (en) Weaving loom blade crossbeam
JP4142612B2 (ja) 綜絖棒、綜絖及び綜絖棒を製造する方法
JP2005126887A (ja) 綜絖
JP6309207B2 (ja) 補強ロッドを備えたヘルド枠用のシャフトロッド
JP4796061B2 (ja) 紙匹形成機に対するビーム構造
JP3287580B2 (ja) 壁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製作方法
US5230370A (en) Shaft rod and a heald frame for a loom
JPH01288285A (ja) スキー
EP0770722A1 (en) Crosspiece of composite structure for heald frames of looms
JP3227603U (ja) 剛性を向上させた製織機用の綜絖枠のクロスバー
FI117833B (fi) Komposiittirakenteinen kannatinpalkki rainanmuodostuskonetta varten ja menetelmä vastaavan kannatinpalkin valmistamiseksi
CN215977820U (zh) 一种吸音板结构
JP4089784B2 (ja) フレームスティーブ並びに、フレームスティーブ及びヘルドフレームの製造方法
JPH0996095A (ja) 遮音床材
BE1026970A1 (nl) Grijperstang
SU1763604A1 (ru) Балка
JP2007143613A (ja) 卓球用ラケットのブレード
KR930010319A (ko) 로다의 덤프 링크용 복합재료 구조물의 제조방법 및 그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