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7693B1 - 공기조화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조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7693B1
KR0157693B1 KR1019950007683A KR19950007683A KR0157693B1 KR 0157693 B1 KR0157693 B1 KR 0157693B1 KR 1019950007683 A KR1019950007683 A KR 1019950007683A KR 19950007683 A KR19950007683 A KR 19950007683A KR 0157693 B1 KR0157693 B1 KR 0157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hfc32
heat exchanger
air conditioner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7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이치 후루하마
데츠오 사노
마사오 오즈
Original Assignee
사토 후미오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토 후미오,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사토 후미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7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76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2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liquids, e.g. br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5/00Heat-transfer, heat-exchange or heat-storage materials, e.g. refrigerants; Materials for the production of heat or cold by chemical reactions other than by combustion
    • C09K5/02Materials undergoing a change of physical state when used
    • C09K5/04Materials undergoing a change of physical state when used the change of state being from liquid to vapour or vice versa
    • C09K5/041Materials undergoing a change of physical state when used the change of state being from liquid to vapour or vice versa for compression-type refrigeration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5/00Heat-transfer, heat-exchange or heat-storage materials, e.g. refrigerants; Materials for the production of heat or cold by chemical reactions other than by combustion
    • C09K5/02Materials undergoing a change of physical state when used
    • C09K5/04Materials undergoing a change of physical state when used the change of state being from liquid to vapour or vice versa
    • C09K5/041Materials undergoing a change of physical state when used the change of state being from liquid to vapour or vice versa for compression-type refrigeration systems
    • C09K5/042Materials undergoing a change of physical state when used the change of state being from liquid to vapour or vice versa for compression-type refrigeration systems comprising compounds containing carbon and hydrogen only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5/00Heat-transfer, heat-exchange or heat-storage materials, e.g. refrigerants; Materials for the production of heat or cold by chemical reactions other than by combustion
    • C09K5/02Materials undergoing a change of physical state when used
    • C09K5/04Materials undergoing a change of physical state when used the change of state being from liquid to vapour or vice versa
    • C09K5/041Materials undergoing a change of physical state when used the change of state being from liquid to vapour or vice versa for compression-type refrigeration systems
    • C09K5/044Materials undergoing a change of physical state when used the change of state being from liquid to vapour or vice versa for compression-type refrigeration systems comprising halogenated compounds
    • C09K5/045Materials undergoing a change of physical state when used the change of state being from liquid to vapour or vice versa for compression-type refrigeration systems comprising halogenated compounds containing only fluorine as hal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5/00Heat-transfer, heat-exchange or heat-storage materials, e.g. refrigerants; Materials for the production of heat or cold by chemical reactions other than by combustion
    • C09K5/08Materials not undergoing a change of physical state when us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a combination of modes of operation covered by two or more of the groups F25B1/00 - F25B23/00
    • F25B25/005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a combination of modes of operation covered by two or more of the groups F25B1/00 - F25B23/00 using primary and secondary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7/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cascade operation, i.e. with two or more circuits, the heat from the condenser of one circuit being absorbed by the evaporator of the next circ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9/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in which the refrigerant is air or other gas of low boiling point
    • F25B9/002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in which the refrigerant is air or other gas of low boiling point characterised by the refrigerant
    • F25B9/006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in which the refrigerant is air or other gas of low boiling point characterised by the refrigerant the refrigerant containing more than one compon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05/00Aspects relating to compounds used in compression type refrigeration systems
    • C09K2205/10Components
    • C09K2205/106Carbon di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05/00Aspects relating to compounds used in compression type refrigeration systems
    • C09K2205/10Components
    • C09K2205/132Components containing nit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05/00Aspects relating to compounds used in compression type refrigeration systems
    • C09K2205/22All components of a mixture being fluoro compou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09/00Gas cycle refrigeration machines
    • F25B2309/06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refrigerant being carbon diox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27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reversing means
    • F25B2313/02791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reversing means using shut-of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01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9/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in which the refrigerant is air or other gas of low boiling point
    • F25B9/002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in which the refrigerant is air or other gas of low boiling point characterised by the refrigerant
    • F25B9/008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in which the refrigerant is air or other gas of low boiling point characterised by the refrigerant the refrigerant being carbon diox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ression-Type Refrigeration Machines With Reversible Cy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오존층 파괴의 가능성이 있는 HCFC22냉매에 대신하는 각종의 대체냉매의 특징을 살리는 것으로 HCFC22의 경우에 뒤떨어지지 않는 실기에서의 성능계수를 갖고, 또한 동작냉매로서 아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공기조화장치를 실현하고, 가역펌프인 유체구동기(3) 및 실내열교환기(1)가 배관(7)에 의해 접속되고, 냉매(a)가 봉입된 유로(A)와 압축기(15), 실외열교환기(11) 및 팽창밸브(17)가 배관(19)에 의해 접속되고, 냉매(b)가 봉입된 유로(B)를 갖고, 이들 각 냉매(a,b) 상호가 열교환하는 중간열교환기(5)를 상기 각 배관(7,19) 도중에 설치했으며, 냉매(a)는 배관(7)내의 압력손실이 HFC134a 이하로서 HFC32와 HFC125를 각각 50%의 비율로 혼합한 냉매이고, 냉매(b)는 열물성값으로부터 정해지는 이론성능계수가 HFC32와 HFC125를 각각 50%의 비율로 혼합한 냉매 이상으로서 HFC134a 냉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공기조화장치의 냉매회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공기조화장치의 냉매회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공기조화장치의 냉매회로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나타내는 공기조화장치의 냉매회로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를 나타내는 공기조화장치의 냉매회로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를 나타내는 공기조화장치의 냉매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실내열교환기 3 : 유체구동기
5 : 중간열교환기 7,19 : 배관
11 : 실외열교환기 15 : 압축기
17 : 팽창기구(팽창밸브) 29 : 4방향밸브(전환밸브)
31 : 냉매가열기 37 : 바이패스유로
39,41 : 역류방지밸브(제어밸브) A : 유로(제1냉매회로)
B : 유로(제2냉매회로)
본 발명은 오존층 파괴의 가능성이 있는 HCFC22냉매에 대신하는 대체냉매를 사용한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구환경오염에 대한 대책의 일환으로 오존층 파괴의 가능성이 있는 CFC, HCFC냉매의 사용을 억제하자는 취지에서 공기조화장치에 사용되고 있는 HCFC22도 HFC냉매나 자연냉매로의 전환이 필요하게 되었다.
종래의 공기조화장치에 이들 대체냉매를 사용한 경우, HFC134a의 경우는 열물성 값으로부터 정해지는 이론성능계수(이하 이론COP라 한다)가 HCFC22의 이론COP 보다 높지만 실내기와 실외기를 연결하는 접속배관(이하 연결배관이라 한다)내의 압력 손실이 크기때문에 실제 기계에서의 성능계수(이하, 실COP라 한다)는 HCFC22의 경우보다 상당히 낮아진다. 또 암모니아나 프로판을 냉매로서 사용하면 HCFC22의 경우와 대략 동일한 실COP를 기대할 수 있지만 전자는 독성, 후자는 가연성을 지니기 때문에 이들 냉매를 이용한 실내기를 일반가정에 설치사용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
한편, HFC32와 HFC125를 각각 50%의 중량비로 혼합한 냉매(이하 HFC32/125(50/50)라 한다)나 CO2는 연결배관에서의 압력손실이 HCFC22보다도 작지만 이론COP가 HCFC22보다도 상당히 작고 공기조화장치 전체의 실COP는 HCFC22에 미치지 않는다.
이와같이 공기조화장치에 종래부터 사용하고 있는 HCFC22에 대신하는, 이른바 대체냉매는 HCFC22에 비하여 실COP가 작거나 또는 실COP가 일정수준 이상인 경우에도 독성과 가연성이 있으므로 대체냉매로 사용하는데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각종 냉매의 특징을 살려서 HCFC22의 경우와 대략 동일한 실COP를 갖고 작동냉매로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공기조화장치를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공기조화장치는 유체구동기 및 중간열교환기를 실외기에 설치하여, 실내기인 실내열교환기와의 사이를 연결배관으로서 순차적으로 접속하여 제1냉매가 들어있는 밀폐유로를 형성하고, 유체구동기에 의해 제1냉매를 밀폐유로내에 순환시키는 제1냉매회로와; 상기 실외기내에 설치되며, 압축기, 실외열교환기, 팽창기구 및 상기 중간열교환기를 순차적으로 접속하여 제2냉매가 들어있는 밀폐유로를 형성하고, 압축기 및 압축시킨 제2냉매를 밀폐유로내에 순환시켜 제2냉매의 열을 중간열교환기에 의해 제1냉매로 부여하는 제2냉매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제1냉매는 HFC32/125(50/50), HFC32/125(25/75), HFC125, HFC23, CO2및 HFC32/134a(25/75)중의 하나이며, 상기 제2냉매는 HFC134a, HFC32/125(75/25), HFC32, 암모니아, 프로판 및 HFC32/134a(10/90)중의 하나미여, 상기 제1냉매와 상기 제2냉매는 제1냉매의 압력손실이 제2냉매의 압력손실보다도 작고, 또한 제2냉매의 열물성값으로부터 정해지는 이론성능계수(이론COP)가 제1냉매의 이론성능계수보다 큰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은 구성의 공기조화장치에 따르면 실내열교환기를 구비한 제1냉매회로에 들어가는 제1냉매는 압력손실이 소정값 이하이기 때문에 제1냉매회로에 있어서의 COP에 대한 압력손실의 영향은 종래의 공기조화장치에 비하면 상당히 작은 것이 된다. 한편 실외열교환기를 구비한 제2냉매회로에 들어가는 제2냉매는 열물성값으로부터 정해지는 이론성능계수가 소정값 이상이기 때문에 제2냉매회로에 있어서의 성능계수가 높아진다. 이와 같이 본원 발명은 냉매의 특성중 장점만을 살린 사이클을 구성할 수 있어서 안전하며 고효율의 운전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공기조화장치의 냉매회로도이다. 이 냉매회로는 두개의 폐유로, 즉 제1냉매회로인 유로(A)와 제2냉매회로인 유로(B)를 구비하고 있다. 유로(A)는 실내열교환기(1), 유체구동기(3), 중간열교환기(5)를 배관(7)에 의해 결합하고 있으며, 내부를 흐르는 냉매(a)로서 HFC32/125(50/50)를 사용하고 있다. 실내열교환기(1)는 냉매(a)와 외부의 실내공기를 열교환시킨다. 유체구동기(3)는 정역방향회전 가능한 가역펌프이며, 냉매(a)의 토출방향을 실내열교환기(1)측과 중간열교환기(5)측으로 전환할 수 있다. 중간열교환기(5)에서는 냉매(a)의 통로와 냉매(b)의 통로가 간막이벽(9)에 의하여 나누어지고 냉매(a)와 냉매(b)를 간막이벽(9)을 통하여 열교환시킨다.
유로(B)는 실내열교환기(11), 4방향밸브(13), 압축기(15), 상기 중간열교환기(5), 팽창밸브(17)를 배관(19)에 의해 결합하고 있으며, 내부를 흐르는 냉매(b)로는 HFC134a를 사용하고 있다. 실내열교환기(11)는 냉매(b)와 외부의 실내공기를 열교환시키고 4방향밸브(13)는 냉매(b)의 유로를 실선상태 또는 파선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압축기(15)는 냉매(b)를 고온고압의 가스냉매로서 토출하고 팽창밸브(17)는 냉매(b)를 팽창시킨다.
유로(B)의 전체 요소 및 중간열교환기(5), 유체구동기(3)는 실외기(21)내에 수납되고, 실내열교환기(1)는 실내기(23)내에 수납된다. 유로(A)의 배관(7)에는 실외기(21)와 실내기(23)를 연결하는 연결배관(25,27)이 포함되어 있다.
다음으로 이와같은 구성의 공기조화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냉방운전시에는 유로(A)의 냉매(a)는 IA의 방향으로 흐르고, 유로(B)의 냉매(b)는 IB방향으로 흐른다. 이때 유체구동기(3)로부터 액체상태로 토출된 냉매(a)는 연결배관(27)을 통하여 실내열교환기(1)에 유입되고, 여기에서 공기를 냉각함으로써 일부 또는 전부가 증발한다. 증기 또는 기체·액체의 2상(相)으로 된 냉매(a)는 연결배관(25)을 통하여 중간열교환기(5)에 유입한다. 중간열교환기(5)내에서는 냉매(a)는 유로(B)측에서 저온상태에 있는 냉매(b)에 의해 냉각되고 액체상태가 되어 유체구동기(3)로 되돌아간다.
한편, 냉방운전시에 있어서, 유로(B)에서는 압축기(15)에서 압축되어 토출된 증기상태의 냉매(b)는 전환유로가 파선상태로 되어 있는 4방향밸브(13)를 지나서 실외열교환기(11)에 유입된다. 실외열교환기(11)내에서 냉매(b)는 공기에 의해 냉각되고 일부 또는 전부가 응축한다. 액체 또는 기체·액체의 2상으로 된 냉매(b)는 팽창밸브(17)를 통하여 팽창하고 기체·액체의 2상으로 되어 중간열교환기(5)에 유입된다. 이 중간열교환기(5)내에 있어서, 냉매(b)는 상기한 바와 같이 냉매(a)를 냉각하여 증기상태가 된다. 증기상태가 된 냉매(b)는 4방향밸브(13)를 거쳐서 압축기(15)로 되돌아간다.
난방운전시에는 유로(A)의 냉매(a)는 IIA의 방향으로 흐르고, 유로(B)의 냉매(b)는 IIB의 방향으로 흐른다. 이때 유체구동기(3)에 의해 토출된 액체상태의 냉매(a)는 중간열교환기(5)에 유입되고, 유로(B)측에서 고온상태에 있는 냉매(b)에 의해 가열되어 일부 또는 전부가 증발한다. 증기 또는 기체·액체의 2상으로 된 냉매(a)는 연결배관(25)을 통하여 실내열교환기(1)에 유입된다. 실내열교환기(1)에서는 냉매(a)를 공기를 가열함으로써 응축한다. 액체상태가 된 냉매(a)는 연결배관(27)을 통하여 유체구동기(3)로 되돌아간다. 이와같이 냉매(a)는 냉방 및 난방운전시에도 액체상태로 유체구동기(3)에 흐르기 때문에 액체펌프인 유체구동기(3)를 효율있게 운전할 수 있다.
한편, 난방운전시에 있어서, 유로(B)에서 압축기(15)에서 압축되어 토출된 증기상태의 냉매(b)는 전환유로가 실선상태가 되어 있는 4방향밸브(13)를 지나서 중간열교환기(5)에 유입된다. 중간열교환기(5)에 있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냉매(b)는 냉매(a)를 가열하고 일부 또는 전부가 응축한다. 액체 또는 기체·액체의 2상으로 된 냉매(b)는 팽창밸브(17)를 통하여 팽창하고 기체·액체의 2상으로 되어 실외열교환기(11)에 유입된다. 실외열교환기(11)에서는 냉매(b)는 공기에 의해 가열되어 증기상태가 되고 4방향밸브(13)를 통하여 압축기(15)로 되돌아간다.
그런데 유로(A)에 있어서는 유체구동기(3)에 의해 냉매(a)를 순환시키는 것이고 열을 실내열교환기(1)로부터 중간열교환기(5)로 반송하는(냉방운전시), 또는 중간열교환기(5)로부터 실내열교환기(1)로 반입하는(난방운전시) 작용이 있으며, 유로(A)의 유체구동기(3)의 출구로부터 입구까지의 배관내에서의 냉매의 압력손실이 작을수록 유체구동기(3)의 부하가 줄어든다. 특히 유로(A)에 있어서의 배관(7)은 실외기(21)와 실내기(23)를 접속하는 긴 연결배관(25,27)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압력손실을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표1은 각 HFC냉매 및 자연냉매의 압력손실을 나타내고 있다.
5℃포화증기에 의한 연결배관부분(각 10m)
이 표에서 명백한 바와같이 유로(A)에 이용된 냉매(a)인 HFC32/125(50/50)의 압력손실은 12.1[kPa]이며, 유로(B)에 이용된 냉매(b)인 HFC134a의 압력손실인 29.3[kPa]보다도 매우 작다. 따라서 본 실시예와 같이 냉매(a)로서 HFC32/125 (50/50)를 이용하면 HFC134a를 이용한 경우에 비하여 유체구동기(3)의 부하가 상당히 줄어든다.
또 표1에 있어서, HFC23의 압력손실은 8.3[kPa]로 매우 작기 때문에 HFC23을 유로(A)의 냉매(a)로서 이용함으로써 유체구동기(3)에 대한 입력을 더욱 줄일 수 있다.
한편, 유로(B)는 실외기(21)내에 수납되기 때문에 배관(19)의 길이는 짧고, 이 때문에 유로(B)의 실COP에 대한 압력손실의 영향은 종래의 공기조화장치에 비하면 매우 작다. 따라서 냉매(b)로서 압력손실에 대해서는 특별히 고려하지 않고 이론COP가 높은 냉매를 선택하면 유로(B)의 실COP도 높아진다.
표2에는 HFC냉매 및 자연냉매의 이론COP의 비교가 나타내어져 있다.
증발온도 5℃, 응축온도 45℃
이 표에서 명백한 바와같이 HFC134a의 이론COP는 5.25로서 HFC32/125(50/50)의 이론COP인 4.92보다도 매우 크며, 따라서 본 실시예와 같이 유로(B)의 냉매(b)로서 HFC134a를 이용하면 HFC32/125(50/50)를 이용한 경우에 비하여 유로(B)의 실COP는 대폭 향상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공기조화장치의 냉매유로를 유로(A)와 유로(B)로 구성하고, 유로(A)를 흐르는 냉매(a)로서 배관이 압력손실이 HFC134a 보다 상당히 작은 냉매 HFC32/125(50/50)을 이용하고, 유로(B)를 흐르는 냉매(b)로서 이론COP가 HFC32/125(50/50) 보다도 상당히 높은 냉매 HFC134a를 이용함으로써 종래의 공기조화장치에 HFC134a 및 HFC32/125(50/50)을 단독으로 이용한 어느쪽의 경우보다도 높은 실COP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표1에 열거한 CO, HFC125, HFC32의 중량비가 50% 이하인 HFC32/125(25/75), HFC32의 중량비가 10% 이상 25%이하인 HFC32/134a(25/75)등도 배관부분의 압력손실은 HFC134a보다 작기 때문에 이들을 냉매(a)로서 이용하면 정도의 차는 있지만 본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또 이들 냉매 이외의 배관부분의 압력손실이 HFC134a 보다도 작은 냉매이면 냉매(a)로서 본 발명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덧붙여서 HFC32/125나 HFC32/134a에 있어서의 HFC32의 중량비의 상한값은 혼합냉매의 가연성 한계에 따라서 정해지기 때문에 현재로서는 HFC32/125의 경우 50%, HFC32/134a의 경우 25%로 되어 있지만 장래의 조사결과에 의해 상승할 수도 있으며, 그 경우에는 새로운 가연성 상한값이 본 발명의 HFC32의 상한값이 된다.
표2에 열거한 암모니아, 프로판, HFC32, HFC32의 중량비가 50% 이상인 HFC32/125, HFC32의 중량비가 25% 이하인 HFC32/134a도 이론COP가 HFC32/125(50/50) 보다 크기 때문에 이들을 냉매(b)로서 이용하면 정도의 차는 있지만 본 실시예와 똑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또 이들 냉매 이외의 이론COP가 HFC32/125(50/50)보다 큰 것이라면 냉매(b)로서 본 발명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상기 제1도에 나타낸 제1실시예의 효과를 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해 제1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장치의 운전시에 있어서의 성능계수(COP)를 계산한 값이 표3에 나타내어져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HCFC22의 대체냉매로서 유력한 냉매인 HFC134a는 열물성값만에 의하여 계산한 COP가 5.86으로 HCFC22의 값과 동일한데, 압력손실이 크기 때문에 10m의 연결배관에서의 압력손실을 고려한 COP가 HCFC22의 5.48에 비하여 4.26으로 상당히 낮으며, 이는 동일조건하에서의 HCFC22의 COP의 78%에 해당한다. 한편 HFC32/125(50/50)의 경우 열물성값만에 의하여 계산한 COP는 HCFC22의 88%에 해당하는 5.18로 압력손실이 HFC134a에 비하여 작기 때문에 10m의 연결배관을 고려하여 계산한 경우의 COP는 5.01이며, HFC134a에 비하여 저하량은 작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동일조건하에서의 HCFC22의 COP에 대해 91%값에 지나지 않는다.
그런데 본 제1실시예에서는 이론COP가 높은 HFC134a의 장점과 압력손실이 작은 HFC32/125(50/50)의 장점을 양쪽 모두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중간열교환기(5)에서의 1℃의 온도차에 의한 손실분을 포함하여 계산한 경우에도 10m의 연결배관을 고려하여 계산하면 COP는 5.61이며, HFC134a 및 HFC32/125(50/50)의 COP보다도 훨씬 높아질뿐만 아니라 HCFC22의 COP보다도 2% 상회하는 매우 높은 COP가 얻어지고 있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공기조화장치의 냉매회로도이다. 여기에서는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제1실시예와 다른점은,
(1) 유체구동기(3)가 한방향만으로 유체를 구동하는 펌프이며, 유로(A)에는 유로구동기(3)로부터 토출된 유체의 유로를 실선상태와 파선상태로 전환하는 전환밸브로서의 4방향밸브(29)가 설치되어 있다.
(2) 실내열교환기(1)가 2대 있으며, 실내기(23)와 실외기(21)를 연결하는 연결배관(25,27)이 2대의 실내열교환기(1)에 대응하여 왕복로, 복수로로 함께 2개로 분기한 멀티시스템 공기조화장치를 형성하고 있다.
(3) 유로(B)를 흐르는 냉매(b)로서 암모니아를 사용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의 유로(B)의 동작은 상기 제1도의 제1실시예와 똑같다.
한편 유로(A)에는 냉방운전시에는 냉매(a)는 I의 방향으로 흐른다. 유체구동기(3)를 액체상태로 유출한 냉매(a)는 실선상태로 전환된 4방향밸브(29)를 지나서 2개의 연결배관(27)으로 분기하여 흐르고, 각각 2대의 실내열교환기(1)에 유입된다. 실내열교환기(1)내에서 냉매(a)는 공기를 냉각함으로써 일부 또는 전부가 증발한다. 증기 또는 기체·액체의 2상으로 된 냉매(a)는 연결배관(25)을 지난 후 합류하고 중간열교환기(5)에 유입된다. 중간열교환기(5)내에서는 냉매(a)는 유로(B)에서 저온화된 상태에서 I방향으로 흐르는 냉매(b)에 의해 냉각되어 응축하고 액체상태가 된 냉매(a)는 4방향밸브(29)를 거쳐 유체구동기(3)로 되돌아간다.
난방운전시에는 4방행밸브(29)를 유로가 파선상태가 되도록 전환하고 냉매(a)는 II의 방향으로 흐른다. 유체구동기(3)로부터 토출된 액체상태의 냉매(a)는 4방향밸브(29)를 통하여 중간열교환기(5)에 유입되고, 유로(B)에서 고온화된 상태에서 II방향으로 흐르는 냉매(b)에 의해 가열되고, 일부 또는 전부가 증발한다. 증기 또는 기체·액체의 2상으로 된 냉매(a)는 2개의 연결배관(25)으로 분기하여 흐르고, 실내열교환기(1)에 유입된다. 실내열교환기(1)에서는 냉매(a)는 공기를 가열함으로써 응축한다. 응축하여 액체상태가 된 냉매(a)는 연결배관(27)을 지난후 합류하고 4방향밸브(29)를 거쳐 액체구동기(3)로 되돌아간다.
이와같이 냉매(a)는 냉방·난방운전에도 액체상태로 유체구동기(3)에 유입되기 때문에 액체펌프인 유체구동기(3)를 효율있게 운전할 수 있다.
상기 제2실시예에 있어서는 유로(A)의 냉매(a)로서 제1실시예와 동일한 압력손실이 작은 HFC32/125(50/50)을, 유로(B)의 냉매(b)로서 이론COP가 HFC32/125(50/50) 보다 높은 암모니아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제1실시예와 똑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실내열교환기를 2대 이상 갖는 멀티시스템 공기조화장치, 특히 빌딩용의 멀티시스템 공기조화장치에서는 실내기와 실외기를 연결하는 배관이 특히 길어지기 때문에 본 실시예의 효과도 커진다.
또 냉매(b)로서 독성이 있는 암모니아를 이용하고 있는데 유로(B)는 옥외에 설치되는 실외기(21)내에 수납되기 때문에 누출이 발생한 경우의 위험성도 작다. 특히 빌딩용의 멀티시스템 공기조화장치에서는 실외기를 옥상등에 설치하는 일이 많기 때문에 위험성은 더욱 작아진다.
그런데 공기조화장치에서는 압축기에서 사용하는 윤활유의 일부가 유로내에 토출되기 때문에 그 윤활유의 복귀 성능이 압축기의 신뢰성에 크게 관여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압축기(15)가 유로(B)만에 설치되고, 따라서 윤활유는 배관길이가 짧은 유로(B)만을 순환하기 때문에 윤활유의 복귀 성능이 향상되어,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특히 멀티시스템 공기조화장치와 같은 연결배관이 긴 공기조화장치에서는 이 효과가 크다.
제3도는 본발명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공기조화장치의 냉매회로도이다. 여기에서는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제1실시예와 다른 점은,
(1) 유로구동기(3)가 압축기이며, 유로(A)에는 유로구동기(3)로부터 토출된 유체의 유로를 실선상태와 파선상태로 전환하는 4방향밸브(29)가 설치되어 있다.
(2) 냉매(a)로서 HFC32/134a(25/75)를 이용하고, 냉매(b)로서 HFC32/134a(10/90)을 이용하고 있으며, 어느쪽도 비공비 혼합냉매가 아니다.
(3) 중간열교환기(5)내에서 냉매(a)와 냉매(b)가 완전 대향류를 형성하는 유로를 설치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의 유로(B)의 동작은 상기 제1도의 제1실시예와 똑같다.
한편 유로(A)에서는 냉방운전시에는 냉매(a)는 I의 방향으로 흐른다. 유체구동기(3)를 증기상태로 유출한 냉매(a)는 유로가 파선상태가 되어 있는 4방향밸브(29)를 지나서 중간열교환기(5)에 유입된다. 중간열교환기(5)내에서 냉매(a)는 유로(B)에서 I방향으로 흐르는 냉매(a)와 서로 대향류를 형성하는 냉매(b)에 의해 냉각되고, 일부 또는 전부가 응축한다. 액체 또는 기체·액체의 2상으로 된 냉매(a)는 연결배관(25)을 지나서 실내열교환기(1)에 유입되고, 여기에서 공기를 냉각함으로써 증발한다. 증기상태가 된 냉매(a)는 연결배관(27)을 지난 후 4방향밸브(29)를 거쳐서 유체구동기(3)로 되돌아간다.
난방운전시에는 4방향밸브(29)를 실선상태로 전환하고, 냉매(a)는 II의 방향으로 흐른다. 유체구동기(3)로부터 토출된 증기상태의 냉매(a)는 4방향밸브(29)를 거쳐 연결배관(27)을 지나 실내열교환기(1)에 유입된다. 실내열교환기(1)에서는 냉매(a)는 공기를 가열함으로써 일부 또는 전부가 응축한다. 액체 또는 기체·액체의 2상으로 된 냉매(a)는 연결배관(25)을 지나서 중간열교환기(5)에 유입되고, 유로(B)에서 II방향으로 흘러서 냉매(a)와 대향류를 형성하는 냉매(b)에 의해 가열되어 증발한다. 증기상태가 된 냉매(a)는 4방향밸브(29)를 지나서 유체구동기(3)로 되돌아간다.
이와같이 냉매(a)는 냉난방 양운전시에도 증기상태로 유체구동기(3)에 유입되기 때문에 압축기인 유체구동기(3)를 효율있게 운전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는 냉매(a)로서 배관부분의 압력손실이 HFC134a 보다도 작은 HFC32/134a(25/75)를, 냉매(b)로서 이론COP가 HFC32/125(50/50) 보다 높은 HFC32/134a(10/90)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제1실시예와 똑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냉매(a)와 냉매(b)의 선택을 실시한 경우 냉매(a), 냉매(b) 모두 혼합냉매가 아니기 때문에 상(相)변화중에 온도구배(gradient)가 발생한다. 한편 냉방 및 난방운전시 모두 중간열교환기(5)내에서는 냉매(a)와 냉매(b)가 서로 완전 대향류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상변화중에 온도구배가 발생해도 중간열교환기(5)내에서는 냉매(a)와 냉매(b)의 효율이 높은 열교환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2의 각 실시예에서도 냉매(a) 및 냉매(b)로서 비공비 혼합냉매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3실시예와 똑같이 중간열교환기(5)에 있어서 냉방·난방운전으로 완전대향류를 형성하도록 구성하면 좋다.
제4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나타내는 공기조화장치의 냉매회로도이다. 여기에서는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제1실시예와 다른 점은,
(1) 유체구동기(3)가 한방향만으로 유체를 구동하는 가스펌프이다.
(2) 유로(A)에 냉매가열기(31)가 설치되어 있다. 냉매가열기(31)는 도시가스, 프로판, 석유 등을 연료로 하여 냉매(a)를 가열하는 연소기이다.
(3) 유로(B)의 4방향밸브(13)를 설치하고 있지 않다.
(4) 냉매(a)로서 CO를 이용하고, 냉매(b)로서 프로판을 이용하고 있다.
냉방운전시의 동작은 유로(A) 및 유로(B) 모두 제1실시예와 똑같으며, 유로(A)이 냉매가열기(31)는 정지상태로 한다.
한편 난방운전시에는 유로(B)의 압축기(15)는 정지하고, 유로(B)내에서의 냉매(b)의 순환은 실시하지 않는다. 즉 유로(A)만 동작시키게 된다. 유로(A)에 있어서의 냉매(a)인 CO는 32℃ 이상에서는 초임계상태(압력이 입계압 이상으로 되는 상태가되고, 냉매(a)는 가스상태에서 유로(A)를 II방향(냉방운전시의 I와 동일방향)으로 순환한다. 가스펌프인 유체구동기(3)로부터 토출된 냉매(a)는 냉매 가열기(31)에 의해 가열되고 100℃ 정도의 고온이 된다. 고온이 된 냉매(a)는 연결배관(27)을 지나서 실내열교환기(1)에 유입된다. 실내열교환기(1)에서는 냉매(a)는 공기를 가열하여 온도가 20℃ 정도까지 저하한다. 저온이 된 냉매(a)는 연결배관(25), 중간열교환기(5)를 지나서 유체구동기(3)로 되돌아간다. 유로(B)측의 냉매(b)의 순환이 정지하고 있기 때문에 중간열교환기(5)는 열교환기로서 작용하고 있지 않다.
이와 같은 공기조화장치에서는 냉매(a)로서 배관부분의 압력손실이 HFC134a 보다도 작은 CO를, 냉매(b)로서 이론COP가 HFC32/125(50/50) 보다 높은 프로판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제1실시예와 똑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한편 난방운전시는 냉매(a)만이 순환하기 때문에 냉매가열기(31)로부터의 열이 실내열교환기(1)를 거쳐 공기에 전달된다. 종래의 공기조화장치에 냉매가열기를 설치한 경우에는 냉매가열기내에서의 냉매의 누설을 고려하여 이론COP가 높은 가연성 있는 냉매를 이용할 수 없고, 이때문에 냉방운전시에서의 COP향상이 곤란하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서의 실외열교환기에만 냉매로서의 프로판이 순환되기 때문에 안전면에는 지장이 없고, 또한 이론COP가 높기 때문에 냉방운전시의 COP 향상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실시예에서는 한방향 회전의 펌프에 4방향밸브를 구비하는 일없이 냉매(a)로서 CO와 같은 난방운전시에 상변화하는 냉매를 이용할 수 있다. 그 경우에는 액체상태의 냉매(a)가 유체구동기(3)를 유출하고, 냉매가열기(31)에서 가열되어 일부 또는 전부가 증발한다. 증기 또는 기체·액체의 2상으로 된 냉매(a)는 연결배관(27)을 지나서 실내열교환기(1)에 유입된다. 실내열교환기(1)내에서는 냉매(a)는 공기를 가열함으로 응축한다. 액체상태가 된 냉매(a)는 연결배관(25), 열교환기로서 작용하지 않는 중간열교환기(5)를 지나서 액체상태인 채 유체구동기에 유입된다.
제5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를 나타내는 공기조화장치의 냉매회로도이다. 여기에서는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제1실시예와 다른점은,
(1) 유체구동기(3)와 중간열교환기(5)를 연결하는 배관(33)과 중간열교환기(5)와 연결배관(25)에 있어서의 실외기(21)내의 배관(35)을 결합하는 바이패스로(37)를 설치하고, 바이패스로(37)에 배관(33)측으로부터 배관(35)측으로의 유통만을 허용하는 역류방지밸브(41)를 설치하고 있다.
(2) 역류방지밸브(39)에서 배관(33)측의 바이패스로(37)에 냉매가열기(31)가 설치되어 있다. 냉매가열기(31)는 도시가스, 프로판, 석유등을 연료로 하여 냉매를 가열하는 연소기이다.
(3) 유로(B)의 4방향밸브(13)를 설치하고 있지 않다.
(4) 냉매(a)로서 HFC32/125(25/75)를 이용하고, 냉매(b)로서 HFC32/125(75/25)를 이용하고 있다.
유로(B)의 작용은 냉방운전시에는 제1실시예와 똑같다. 한편 난방운전시는 상기 제4도의 제4실시예와 똑같이 압축기(15)를 정지하고 냉매(b)의 순환을 실시하지 않는다.
유로(A)에서는 냉방운전시에 있어서 냉매(a)는 I의 방향으로 흐른다. 이때 유체구동기(3)로부터 토출되어 실내열교환기(1)를 거쳐 연결배관(25)에 유출된 냉매(a)는 역류방지밸브(39)의 작용에 의해 바이패스로(37)에는 유입되지 않고 중간열교환기(5)에 유입된다. 따라서 냉방운전시의 유로(A)의 동작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한편 난방운전시에는 가역펌프인 유체구동기(3)를 냉방운전시와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유체구동기(3)로부터 토출된 냉매(a)는 배관(33)측으로 흐르는데, 역류방지밸브(41)의 작용에 의해 중간열교환기(5)에는 유입되지 않고, II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이패스로(37)를 흐른다. 이 운전시에는 냉매가열기(31)가 작동하기 때문에 냉매(a)는 가열되어 일부 또는 전부가 증발한다. 증기 또는 기체·액체의 2상으로 된 냉매(a)는 연결배관(25)을 통하여 실내열교환기(1)에 유입된다. 실내열교환기(1)내에서 냉매(a)는 공기를 가열하고 응축하고 액체상태가 되며 연결배관(17)을 통하여 유체구동기(3)에 유입된다.
상기한 역류방지밸브(39,41)는 냉매(a)를 냉방운전시에는 중간열교환기(5)로, 난방운전시에는 바이패스유로(37)로 흘리도록 작용하기 때문에 중간열교환기(5)와 바이패스유로(37)의 어느쪽인가에 냉매(a)를 흘리도록 기능하는 제어밸브를 구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는 냉매(a)로서 배관부분의 압력손실이 HFC134a보다도 작은 HFC32/125(25/75)를, 냉매(b)로서 이론COP가 HFC32/125(50/50)보다 높은 HFC32/125(75/25)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냉방운전시에는 제1실시예와 똑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한편 난방운전시에는 냉매가열에 의한 난방운전을 실시하고, 또한 냉매(a)는 중간열교환기(5)를 바이패스하기 때문에 냉매가열기(31)에 의하여 얻어진 열을 유효하게 실내열교환기(1)에 반송하고 쾌적성과 효율이 높은 난방운전을 실현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냉매가열기(31)에 의해 가열되는 냉매(a)로서 가연성이 매우 낮은 HFC32/125(25/75)를, 냉매(b)로서 이론COP가 높은 HFC32/125(75/25)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냉방운전시에서의 COP를 희생하지 않고 안전한 냉매가열식의 공기조화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제6도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를 나타내는 공기조화장치의 냉매회로도이다. 여기에서는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제1실시예와 다른점은,
(1) 유체구동기(3)가 한방향만으로 유체를 토출하는 펌프이며, 유로(A)에는 유체구동기(3)로부터 토출되는 유체의 유로를 실선상태와 파선상태로 전환하는 4방향밸브(29)를 설치하고 있다.
(2) 유로(A)의 실외기(21)내에 있어서의 연결배관(25)에 냉매가열기(31)를 설치하고 있다. 냉매가열기(31)는 도시가스, 프로판, 석유등을 연료로 하여 냉매(a)를 가열하는 연소기이다.
(3) 냉매(a)로서 HFC125를 이용하고, 냉매(B)로서 HFC32를 이용하고 있다.
유로(B)의 동작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유로(A)에서는 냉방운전시에는 냉매(a)는 I의 방향으로 흐른다. 유체구동기(3)를 액체상태에서 토출된 냉매(a)는 실선상태가 되어 있는 4방향밸브(29)를 거쳐 연결배관(27)을 지나 실내열교환기(1)에 유입된다. 실내열교환기(1)에서 냉매(a)는 공기를 냉각함으로써 일부 또는 전부가 증발한다. 증기 또는 기체·액체의 2상으로 된 냉매(a)는 연결배관(25)을 지난 후 중간열교환기(5)에 유입된다. 중간열교환기(5)내에서는 냉매(a)는 유로(B)에서 I방향으로 흐르는 냉매(b)에 의해 냉각되어 응축된다. 액체상태가 된 냉매(a)는 4방향밸브(29)를 지나서 유체구동기(3)로 되돌아간다.
난방운전시에는 4방향밸브(29)를 파선상태로 전환하고, 냉매(a)는 II의 방향으로 흐른다. 유체구동기(3)로부터 토출된 액체상태의 냉매(a)는 4방향밸브(29)를 거쳐 중간열교환기(5)에 유입되고, 유로(B)에서 II방향으로 흐르는 냉매(b)에 의해 가열되고 일부 또는 전부가 증발한다.
이때 냉매(a)가 증기 또는 건조도가 큰 기체·액체의 2상으로 된 경우, 즉 난방부하가 작은 경우에는 냉매가열기(31)는 작동하지 않고, 중간열교환기(5)를 유출한 냉매(a)는 연결배관(25)을 지나서 실내열교환기(1)에 유입된다. 실내열교환기(1)에서는 냉매(a)는 공기를 가열함으로써 응축한다. 액체상태가 된 냉매(a)는 연결배관(27)을 지난 후 4방향밸브(29)를 거쳐 유체구동기(3)로 되돌아간다.
한편 외부공기온도가 낮은 경우와, 기동시에 실내온도가 낮은 경우와 같은 난방부하가 큰 경우 압출기(15)의 입력을 크게 하지 않은 채 운전하면 중간열교환기(5)로부터 유출된 냉매(a)는 건조도가 작은 기체·액체의 2상으로 된다. 이 경우에는 냉매가열기(31)를 작동하여 냉매(a)를 가열하여 전부 또는 대부분을 증발시킨다. 이에 따라 증기 또는 건조도가 큰 기체·액체의 2상으로 된 냉매(a)는 연결배관(25)을 지나서 실내열교환기(1)에 유입된다. 실내열교환기(1)에서는 냉매(a)는 공기를 가열함으로써 응축한다. 액체상태가 된 냉매(a)는 연결배관(27)을 지난 후 4방향밸브(29)를 거쳐 유체구동기(3)로 되돌아간다.
냉매가열기(31)의 작동, 비작동은, 예를 들면 실내온도가 설정온도에 비하여 소정값 이상 낮은 경우에는 냉매가열기(31)를 작동시키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비작동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는 냉매(a)로서 배관부분의 압력손실이 HFC134a보다도 작은 HFC125를, 냉매(b)로서 이론COP가 HFC31/125(50/50), HFC125(이론COP 4.66) 보다 높은 HFC32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제1실시예와 똑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한편 난방부하가 큰 난방운전시는 유로(B)의 냉매(b)로부터의열에 냉매가열기(31)로부터의 열이 가산되기 때문에 유로(B)의 압축기(15)에 대한 입력을 증가하지 않고 높은 난방능력을 얻을 수 있다.
또, 종래의 공기조화장치에 냉매가열기를 설치한 경우 냉매가열기내에서의 냉매의 누설을 고려하여 가연성 있는 냉매를 이용할 수없고, 냉방운전시의 COP향상이 곤란하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서는 냉매(b)로서 상기 제4실시예와 똑같이 가연성 높은 HFC32를 냉매로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냉방운전시의 COP향상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제1∼제6의 각 실시예에 있어서는 공기조화장치의 주요 요소만을 도시, 설명해 왔지만 그 밖의 보조적인 요소가 추가되어도 본 발명의 요지에 어긋나는 것은 아니다. 보조적 요소로서는 유로(A)에 있어서 순환하는 냉매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냉매탱크, 증발·응축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압력제어기구, 펌프에 대한 증기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증기액체분리기, 압축기로의 액체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어큐뮬레이터등이 그 한 예이다. 또한 제어용기나 센서도 보조적요소에 포함된다. 한편 유로(B)에 있어서, 종래의 공기조화장치에 있는 바와 같은 어큐뮬레이터, 냉매탱크, 제반 밸브, 제어용센서·기기등도 보조적요소로서 들 수 있다.
또 제1∼제6실시예에서 설명한 각종의 유체구동기, 각종의 냉매(a), 각종의 냉매(b), 실내열교환기의 대수, 냉매가열의 유무 등의 조합은 제1∼제6실시예에서 설명한 조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조합에 의해서도 본 발명의 주 요지는 실현할 수 있다. 예를들면 유체구동기로서 압축기를 이용하여 복수의 실내열교환기를 갖는 멀티시스템 공기조화장치나, 냉매(b)로서 HFC134a를 이용하고 또한 냉매가열기를 구비한 공기조화장치이어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유체구동기, 실내열교환기를 구비한 제1냉매회로에는 압력손실이 작은 제1냉매를 이용하고, 또한 압축기, 실외열교환기, 팽창기구를 구비한 제2냉매회로에는 열물성값으로부터 정해지는 이론성능계수가 큰 제2냉매를 이용하고, 제1, 제2의 각 냉매회로에 중간열교환기를 설치하는 것으로 제1, 제2의 각 냉매 서로간에 열교환을 실시하도록 했기 때문에 냉매의 특성중 장점만을 살린 사이클을 구성할 수 있고, 안전하며 고효율의 운전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13)

  1. 유체구동기 및 중간열교환기를 실외기에 설치하여, 실내기인 실내열교환기와의 사이를 연결배관으로서 순차적으로 접속하여 제1냉매가 들어 있는 밀폐유로를 형성하고, 유체구동기에 의해 제1냉매를 밀폐유로내에 순환시키는 제1냉매회로와; 상기 실외기내에 설치되며, 압축기, 실외열교환기, 팽창기구 및 상기 중간열교환기를 순차적으로 접속하여 제2냉매가 들어있는 밀폐유로를 형성하고, 압축기에 의해 압축시킨 제2냉매를 밀폐유로내에 순환시켜 제2냉매의 열을 중간열교환기에 의해 제1냉매로 부여하는 제2냉매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제1냉매는 HFC32/125(50/50), HFC32/125(25/75), HFC125, HFC23, CO2및 HFC32/134a(25/75)중의 하나이며, 상기 제2냉매는 HFC134a, HFC32/125(75/25), HFC32, 암모니아, 프로판 및 HFC32/134a(10/90) 중의 하나이며, 상기 제1냉매와 상기 제2냉매는 제1냉매의 압력손실이 제2냉매의 압력 손실보다도 작고, 또한 제2냉매의 열물성값으로부터 정해지는 이론성능계수(이론COP)가 제1냉매의 이론성능계수보다 큰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냉매는 HF125이며, 제2냉매는 HFC3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냉매는 CO2이며, 제2냉매는 프로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냉매는 HFC32/125(50/50)이며, 제2냉매는 HFC134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구동기는 토출구와 흡입구의 역전이 가능한 가역펌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구동기가 한 방향으로만 유체를 구동하는 펌프이며, 제1냉매회로는 이 펌프로부터 토출된 유체의 유로를 전환하는 4방향 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구동기는 압축기이며, 제1냉매회로는 이 압축기로부터 토출된 유체의 유로를 전환하는 4방향 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구동기가 한 방향으로만 유체를 구동하는 가스펌프이며, 제1냉매회로는 이 가스펌프로부터 토출된 유체를 가열하는 냉매가열기를 실외기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실외기의 제1냉매회로에 중간열교환기를 바이패스하는 바이패스유로를 접속하고, 이 바이패스유로에 제1냉매를 가열하는 냉매가열기를 설치하고, 유체구동기의 유체 구동방향에 있어서 제1냉매를 바이패스유로 및 중간열교환기 중 어느 한쪽으로 흐르게 하는 역류방지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중간열교환기를 흐르는 제1냉매와 제2냉매의 흐름방향이 대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냉매는 HFC32/125(50/50)이며, 제2냉매는 암모니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냉매는 HFC32/134a(25/75)이며, 제2냉매는 HFC32/134a(10/9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냉매는 HFC32/125(25/75)이며, 제2냉매는 HFC32/125(75/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KR1019950007683A 1994-03-30 1995-03-30 공기조화장치 KR01576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6163294A JP3414825B2 (ja) 1994-03-30 1994-03-30 空気調和装置
JP94-061632 1994-03-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57693B1 true KR0157693B1 (ko) 1999-01-15

Family

ID=13176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7683A KR0157693B1 (ko) 1994-03-30 1995-03-30 공기조화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784893A (ko)
EP (1) EP0675331B1 (ko)
JP (1) JP3414825B2 (ko)
KR (1) KR0157693B1 (ko)
CN (1) CN1108502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92630B2 (ja) * 1995-10-24 2005-09-0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熱搬送装置
JPH09152199A (ja) * 1995-11-28 1997-06-10 Sanyo Electric Co Ltd 空気調和機
JPH10197171A (ja) * 1996-12-27 1998-07-31 Daikin Ind Ltd 冷凍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3858354B2 (ja) * 1997-02-07 2006-12-13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冷凍装置
JPH10306952A (ja) * 1997-05-08 1998-11-17 Daikin Ind Ltd 2次冷媒システム式冷凍装置
JPH10332246A (ja) * 1997-06-03 1998-12-15 Ke Corp:Kk 冷却装置
JP3834934B2 (ja) * 1997-06-04 2006-10-1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熱搬送装置
JPH1144461A (ja) * 1997-07-24 1999-02-16 Daikin Ind Ltd 冷凍機
CN1186935A (zh) * 1997-10-27 1998-07-08 天然国际新科学技术研究院 纯相变无热制冷工艺方法及其装置
EP1467160B1 (en) * 1997-12-16 2018-04-25 Panasonic Corporation Refrigeration cycle using a refrigerant
US6038877A (en) * 1998-05-22 2000-03-21 Bergstrom, Inc. Modular low pressure delivery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US6457324B2 (en) 1998-05-22 2002-10-01 Bergstrom, Inc. Modular low-pressure delivery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having an in-cab cool box
US6018961A (en) * 1998-07-09 2000-02-01 Venture; Darrell M. Coolant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cooling an article
WO2000016029A1 (fr) * 1998-09-16 2000-03-23 Hitachi, Ltd. Echangeur de chaleur et systeme de conditionnement d'air refrigerant
DE19860057C5 (de) * 1998-12-23 2009-03-05 Valeo Klimasysteme Gmbh Klimaanlage für ein Fahrzeug mit einem Kältespeicher
JP4178649B2 (ja) * 1999-02-24 2008-11-1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JP3458310B2 (ja) * 1999-02-24 2003-10-20 八洋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アンモニアサイクルと炭酸ガスサイクルとを組み合わせたヒートポンプシステム
US6148634A (en) * 1999-04-26 2000-11-2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ultistage rapid product refrigeration apparatus and method
US6467279B1 (en) * 1999-05-21 2002-10-22 Thomas J. Backman Liquid secondary cooling system
EP1134514A1 (en) * 2000-03-17 2001-09-19 Société des Produits Nestlé S.A. Refrigeration system
DE10019580B4 (de) * 2000-04-20 2010-06-10 Behr Gmbh & Co. Kg Einrichtung zum Kühlen eines Innenraumes eines Kraftfahrzeugs
FR2808742B1 (fr) * 2000-05-15 2003-03-21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Dispositif optimise de regulation thermique a pompe a chaleur pour vehicule automobile
US6915652B2 (en) 2001-08-22 2005-07-12 Delaware Capital Formation, Inc. Service case
JP2003272687A (ja) * 2002-03-20 2003-09-26 Toshiba International Fuel Cells Corp 燃料電池発電装置および燃料電池運転方法
US7065979B2 (en) * 2002-10-30 2006-06-27 Delaware Capital Formation, Inc. Refrigeration system
JP4294351B2 (ja) * 2003-03-19 2009-07-08 株式会社前川製作所 Co2冷凍サイクル
FR2861163B1 (fr) * 2003-10-21 2006-11-24 Valeo Climatisation Dispositif d'accumulation de froid pour evaporateur
US7316262B1 (en) * 2004-01-26 2008-01-08 Rini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bsorbing thermal energy
JP4452137B2 (ja) * 2004-07-05 2010-04-2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KR100565257B1 (ko) * 2004-10-05 2006-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압축기를 이용한 이차냉매사이클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KR100758902B1 (ko) * 2004-11-23 2007-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 공기조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7415838B2 (en) * 2005-02-26 2008-08-26 Lg Electronics Inc Second-refrigerant pump driving type air conditioner
FR2902864B1 (fr) * 2006-06-27 2008-09-26 Eurocave Sa Dispositif de climatisation pour piece a ambiance controlee, notamment cave a vin, et son utilisation
JP4815286B2 (ja) * 2006-07-10 2011-11-16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2元冷凍サイクル装置
US8484990B2 (en) 2007-02-14 2013-07-16 Carrier Corporation Optimization of air cooled chiller system operation
KR100881119B1 (ko) * 2007-05-31 2009-02-02 주식회사 창조이십일 통신장비용 냉방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911221B1 (ko) * 2007-05-31 2009-08-06 주식회사 창조이십일 통신장비용 냉방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911217B1 (ko) * 2007-05-31 2009-08-06 주식회사 창조이십일 통신장비용 냉방장치 및 동파방지방법
KR100911220B1 (ko) * 2007-05-31 2009-08-06 주식회사 창조이십일 통신장비용 냉방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911218B1 (ko) * 2007-05-31 2009-08-07 주식회사 창조이십일 통신장비용 냉방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560851B1 (ko) * 2007-12-20 2015-10-15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바이패스를 갖는 이차 루프 냉각 시스템 및 시스템 내의 저장용기를 바이패싱하는 방법
FR2932720B1 (fr) * 2008-06-20 2010-08-20 Valeo Systemes Thermiques Installation de ventilation, de chauffage et/ou de climatisation d'un vehicule comprenant au moins un echangeur thermique a l'interieur duquel circule un fluide caloporteur
US8631666B2 (en) 2008-08-07 2014-01-21 Hill Phoenix, Inc. Modular CO2 refrigeration system
DE102008053236B4 (de) 2008-10-25 2020-07-09 Glen Dimplex Deutschland Gmbh Wärmepumpe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r Wärmepumpe
JP2010196946A (ja) * 2009-02-24 2010-09-09 Daikin Ind Ltd ヒートポンプシステム
JP5308220B2 (ja) * 2009-04-17 2013-10-09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ヒートポンプ式給湯・空調装置
JP2009257762A (ja) * 2009-08-10 2009-11-05 Mitsubishi Electric Corp 冷凍空調システム
EP2530406B1 (en) * 2010-01-29 2017-03-22 Daikin Industries, Ltd. Heat pump system
CN201589348U (zh) * 2010-02-04 2010-09-2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应用载冷剂的家用空调器及空调器室外机
SE534769C2 (sv) * 2010-04-30 2011-12-13 Scania Cv Ab Kyl- och värmesystem
IT1400806B1 (it) 2010-07-05 2013-07-02 Emerson Network Power Srl Dispositivo economizzatore di consumi per macchine refrigeratrici di tipo chiller
US9657977B2 (en) 2010-11-17 2017-05-23 Hill Phoenix, Inc. Cascade refrigeration system with modular ammonia chiller units
US9541311B2 (en) 2010-11-17 2017-01-10 Hill Phoenix, Inc. Cascade refrigeration system with modular ammonia chiller units
US9664424B2 (en) 2010-11-17 2017-05-30 Hill Phoenix, Inc. Cascade refrigeration system with modular ammonia chiller units
WO2012070083A1 (ja) * 2010-11-24 2012-05-31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WO2012101677A1 (ja) 2011-01-27 2012-08-02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JP5601227B2 (ja) * 2011-01-31 2014-10-08 三菱電機株式会社 ヒートポンプ式給湯システム、ヒートポンプ式給湯システムのヒートポンプユニット及びヒートポンプ式給湯システムの中継ユニット
JP5744195B2 (ja) * 2011-06-01 2015-07-01 三菱電機株式会社 車両用空気調和装置
WO2013049344A2 (en) 2011-09-30 2013-04-04 Carrier Corporation High efficiency refrigeration system
WO2013111180A1 (ja) 2012-01-24 2013-08-01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冷媒充填方法、空気調和装置
JP5837099B2 (ja) 2012-01-24 2015-12-24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JPWO2013111180A1 (ja) * 2012-01-24 2015-05-11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冷媒充填方法、空気調和装置
FR2995389B1 (fr) * 2012-09-13 2017-10-20 Alstom Transport Sa Dispositif de climatisation d'air, notamment pour un vehicule ferroviaire
CN102980323B (zh) * 2012-12-10 2016-06-08 北京德能恒信科技有限公司 一种动力热管式中央空调
WO2014097438A1 (ja) * 2012-12-20 2014-06-26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JPWO2014155993A1 (ja) * 2013-03-27 2017-02-1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給湯装置
FR3006409B1 (fr) * 2013-05-31 2015-12-04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Systeme de regulation d'un liquide dans un circuit
US10131205B2 (en) * 2013-08-26 2018-11-2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limate control system
EP3098540B1 (en) * 2014-01-23 2020-10-07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Heat pump apparatus
US10272744B2 (en) * 2015-09-03 2019-04-3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HVAC system with auxiliary coolant loop for heating and cooling vehicle interior
US10513166B2 (en) 2015-09-03 2019-12-2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HVAC system with auxiliary coolant loop for heating and cooling vehicle interior
US10415613B2 (en) 2016-02-09 2019-09-17 Valinge Innovation Ab Set of panel-shaped elements for a composed element
US11274861B2 (en) 2016-10-10 2022-03-15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isolating heat exchanger from the air handling unit in a single-packace outdoor unit
JP6723375B2 (ja) * 2016-11-22 2020-07-15 三菱電機株式会社 冷凍サイクル装置
JPWO2018235832A1 (ja) * 2017-06-23 2020-04-0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熱搬送システム
KR101878157B1 (ko) * 2017-09-28 2018-08-17 주식회사 이수에어텍 가스 히트 펌프를 이용한 냉난방 시스템 및 그의 삼중 운전제어방법
CN107804142B (zh) * 2017-10-19 2023-08-0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热泵系统、电动汽车及其热泵控制方法
CA3088001C (en) 2018-01-11 2023-02-07 Vilter Manufacturing Llc Dual cascade heat exchanger refrigeration system and related method of operation
CN113661364B (zh) * 2019-04-18 2023-03-10 三菱电机株式会社 空气调节装置的控制装置、室外机、中继机、热源机以及空气调节装置
WO2021019688A1 (ja) * 2019-07-30 2021-02-04 三菱電機株式会社 空調装置
WO2021019687A1 (ja) 2019-07-30 2021-02-04 三菱電機株式会社 空調装置
EP4089336A4 (en) * 2020-01-08 2022-12-28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AIR CONDITIONING UNIT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27929A (en) * 1961-05-29 1964-04-07 Trane Co Air conditioning system with one pipe heating and cooling
US3216215A (en) * 1964-02-27 1965-11-09 Climate Inc Temperature controlled incubator-hatchers
US3237415A (en) * 1964-12-31 1966-03-01 Borg Warner Zone controlled refrigeration system
FR2296829A1 (fr) * 1974-12-31 1976-07-30 Vignal Maurice Systeme thermique du genre pompe a chaleur ou refrigerateur
US4000626A (en) * 1975-02-27 1977-01-04 Webber Robert C Liquid convection fluid heat exchanger for refrigeration circuit
US4344296A (en) * 1978-07-21 1982-08-17 Staples Jack W Efficient second stage cooling system
FR2514875A1 (fr) * 1981-10-19 1983-04-22 Inst Francais Du Petrole Procede de chauffage et/ou de conditionnement thermique d'un local au moyen d'une pompe a chaleur a compression utilisant un melange specifique de fluides de travail
US4753080A (en) * 1986-07-07 1988-06-28 Uhr Corporation Cold storage method and apparatus
US5042262A (en) * 1990-05-08 1991-08-27 Liquid Carbonic Corporation Food freezer
US5265437A (en) * 1990-11-26 1993-11-30 Modine Manufacturing Co. Automotive refrigeration system requiring minimal refrigerant
WO1992018580A1 (en) * 1991-04-19 1992-10-29 Allied-Signal Inc. Refrigeration compositions of hydrofluorocarbon refrigerant and lubricant
JP3208151B2 (ja) * 1991-05-28 2001-09-10 三洋電機株式会社 冷凍装置
US5207077A (en) * 1992-03-06 1993-05-04 The University Of Maryland Refrigeration system
FR2692343B1 (fr) * 1992-06-16 1997-06-13 Armines Systeme frigorifique a compression bi-etagee.
US5272878A (en) * 1992-12-10 1993-12-28 Schlichtig Ralph C Azeotrope assisted power system
US5320166A (en) * 1993-01-06 1994-06-14 Consolidated Natural Gas Service Company, Inc. Heat pump system with refrigerant isolation and heat stor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414825B2 (ja) 2003-06-09
EP0675331A3 (en) 1997-11-12
JPH07269964A (ja) 1995-10-20
EP0675331B1 (en) 2001-05-23
CN1108502C (zh) 2003-05-14
US5784893A (en) 1998-07-28
CN1117568A (zh) 1996-02-28
EP0675331A2 (en) 1995-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7693B1 (ko) 공기조화장치
US8079229B2 (en) Economized refrigerant vapor compression system for water heating
JP5627713B2 (ja) 空気調和装置
AU2005258416B2 (en) Hot water supply system
JP5518089B2 (ja) 空気調和装置
EP3121532B1 (en)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US10208987B2 (en) Heat pump with an auxiliary heat exchanger for compressor discharge temperature control
EP3128257A1 (en) Refrigeration cycle device
JP5409715B2 (ja) 空気調和装置
CN102422099A (zh) 空气调节装置
WO2014049673A1 (ja) 空調給湯複合システム
JP4488712B2 (ja) 空気調和装置
JP4608303B2 (ja) 蒸気圧縮式ヒートポンプ
KR102641646B1 (ko) 냉각 시스템 및 방법
KR100526204B1 (ko) 공기조화장치
CN214039017U (zh) 空调装置和室外机
KR20240024340A (ko) 냉장 시스템 및 방법
KR102033589B1 (ko) 비공비 혼합 냉매 및 로렌츠 프리쿨링 사이클이 적용된 고효율 냉난방, 급탕 연속식 복합 히트펌프 시스템
JP3834934B2 (ja) 熱搬送装置
JPH07190528A (ja) ヒートポンプ式空気調和機
JPH02136656A (ja) 冷暖房給湯装置及びその運転方法
JP2007127411A (ja) 非共沸混合冷媒を用いる冷凍サイクル装置
JPH07151425A (ja) 冷凍装置
JPS63247560A (ja) ヒ−トポンプ式空気調和機
JPS6315047A (ja) ヒ−トポンプ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