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8902B1 - 멀티 공기조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멀티 공기조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8902B1
KR100758902B1 KR1020040096315A KR20040096315A KR100758902B1 KR 100758902 B1 KR100758902 B1 KR 100758902B1 KR 1020040096315 A KR1020040096315 A KR 1020040096315A KR 20040096315 A KR20040096315 A KR 20040096315A KR 100758902 B1 KR100758902 B1 KR 1007589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unit
cycle
indoor
sens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6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7226A (ko
Inventor
오세기
송치우
박봉수
김주원
장세동
정백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6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8902B1/ko
Priority to EP05025039A priority patent/EP1662212A3/en
Priority to US11/283,694 priority patent/US20060107683A1/en
Priority to CNA2005101248842A priority patent/CN1779391A/zh
Publication of KR20060057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72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89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89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a combination of modes of operation covered by two or more of the groups F25B1/00 - F25B23/00
    • F25B25/005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a combination of modes of operation covered by two or more of the groups F25B1/00 - F25B23/00 using primary and secondary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8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 F24F11/83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by controlling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s to heat-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8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 F24F11/83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by controlling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s to heat-exchangers
    • F24F11/8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by controlling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s to heat-exchangers us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8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 F24F11/83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by controlling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s to heat-exchangers
    • F24F11/85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by controlling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s to heat-exchangers using variable-flow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0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 for the subsequent treatment of primary air in the room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 F24F2140/20Heat-exchange fluid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23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multiple in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25Control of valves
    • F25B2600/2513Expansion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21Temperatures
    • F25B2700/2117Temperatures of an evapo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21Temperatures
    • F25B2700/2117Temperatures of an evaporator
    • F25B2700/21174Temperatures of an evaporator of the refrigerant at the inlet of the evapo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21Temperatures
    • F25B2700/2117Temperatures of an evaporator
    • F25B2700/21175Temperatures of an evaporator of the refrigerant at the outlet of the evapor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Compression-Type Refrigeration Machines With Reversible Cycles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기의 냉매 유량을 최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멀티 공기조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압축기(11)와, 실외 열교환기(12)와, 팽창장치(14)가 포함되는 제1차 냉매사이클(10); 상기 제1차 냉매사이클 냉매와 독립된 유로상의 냉매를 펌핑하는 구동부(21)와, 상기 펌핑된 냉매와 실내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실내기(22)와, 상기 실내기의 냉매 흡입부와 토출부 및 상기 냉매 흡/토출부 사이의 소정 부분에 각각 설치되는 온도감지수단(23a,23b,23c)과, 상기 온도감지수단에서 측정된 온도에 따라 소정의 개도로 개방되어 상기 실내기(22)에 유출입되는 냉매량을 제어하는 냉매량 제어밸브(25a,25b)가 포함되는 제2차 냉매사이클(20); 그리고, 상기 제1차 냉매사이클의 열원을 제2차 냉매사이클에 열전달시키도록 설치되는 하이브리드 유닛(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멀티 공기조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냉/난방 운전시, 냉매 흡/토출부 사이의 온도감지수단과 냉매 토출부의 온도감지수단 사이의 온도차에 따라 상기 냉매량 제어밸브의 개도를 조절하는 멀티 공기조화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멀티 공기조화 시스템, 제어방법

Description

멀티 공기조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multi type air conditioning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ystem}
도 1은 종래 공기조화기의 냉매사이클을 나타낸 블럭도.
도 2는 도 1의 냉매사이클의 작용을 나타낸 P-h 선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공기조화기의 냉매사이클을 나타낸 블럭도.
도 4는 도 3의 냉매사이클 중 제2차 냉매사이클의 냉방 운전을 나타낸 블럭도.
도 5는 도 3의 제1,2차 냉매사이클의 냉방 운전시 작용을 나타낸 P-h 선도.
도 6은 도 3의 제1,2차 냉매사이클의 난방 운전시 작용을 나타낸 P-h 선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제1차 냉매사이클 11 : 압축기
12 : 실외 열교환기 13 : 유로 제어부
14 : 팽창장치 20 : 제2차 냉매사이클
21 : 구동부 22 : 실내기
23a,23b,23c : 온도감지수단 25a,25b : 냉매량 제어밸브
30 : 하이브리드 유닛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기의 냉매 유량을 최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멀티 공기조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 시스템은 냉매를 압축, 응축, 팽창 및 증발시키는 과정을 수행함에 따라 실내 공간을 냉방 또는/및 난방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공기조화 시스템은 냉매사이클을 일방향으로만 가동하여 실내에 냉기만을 공급하도록 냉각 시스템과, 냉매사이클을 양방향으로 선택적으로 가동하여 실내에 냉기 또는 온기를 공급하는 냉난방 시스템으로 구분된다.
도 1을 참조하여, 냉난방 시스템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공기조화 시스템는 통상적으로 압축기(1), 실외 열교환기(2), 팽창장치(3) 및 실내 열교환기(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실내 열교환기(3)의 냉매 흡토출부에는 냉매관의 개도를 조절함에 따라 실내기의 냉매 유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냉매량 제어밸브(5a,5b)가 설치되고, 상기 냉매 흡토출부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온도센서(6a,6b)가 각각 설치된다.
이때, 제어부에는 실내 열교환기(4)의 냉매 흡/토출부의 설정 온도차가 미리 설정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는 실내 열교환기의 흡/토출부의 측정된 온도차가 상기 설정 온도차에 도달하는 방향으로 상기 냉매량 제어밸브(5a,5b)의 개도를 조절한다. 여기서, 상기 설정 온도차와 측정된 온도차는 냉매가 실내 공기와 열교환 되기 전/후의 온도차를 나타내므로, 이하에서는 설정 과열도 및 측정 과열도라고 한다.
도 2를 참조하여, 상술한 냉난방 시스템의 냉방 운전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 2는 도 1의 냉난방 시스템의 작용을 나타낸 P-h 선도이다.
압축기(1)가 가동되면, 상기 압축기의 액냉매는 고온 고압으로 압축된다(제A-B구간). 상기 압축기에서 토출된 냉매는 실외 열교환기(2)에서 실외 공기와 열교환됨에 따라 응축된다(제B-C구간). 응축된 냉매는 팽창장치(3)에서 팽창되어 저온 저압으로 바뀌게 된다(제C-D구간). 팽창된 냉매는 실내 열교환기(4)에서 실내 공기와 열교환된 후 압축기(1)에 재유입된다(제D-A구간).
또한, 실내 열교환기의 온도센서(6a,6b)는 흡입되는 냉매와 토출되는 냉매의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온도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에 전달한다. 제어부는 측정된 과열도와 설정 과열도를 판단하여 상기 냉매량 제어밸브(5a,5b)의 개도를 제어한다. 즉, 냉매가 실내 공기로부터 상대적으로 많은 열을 흡수함에 따라 상기 측정된 과열도가 설정 과열도보다 커지게 되고, 이때에는 상기 냉매량 제어밸브(5a,5b)의 개도를 확장시킨다. 반면, 냉매가 실내 공기로부터 상대적으로 적은 열을 흡수함에 따라 상기 측정된 과열도가 설정 과열도보다 작아지게 되고, 이때에는 상기 냉매량 제어밸브의 개도를 축소시킨다. 이렇게 실내 열교환기의 냉매량을 제어함으로써, 실내 공간을 냉방시키게 된다.
최근에는 제1,2차 냉매사이클과 하이브리드 유닛으로 구성된 멀티 공기조화 시스템이 적용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제1,2차 냉매사이클의 냉매는 상호 섞이지 않고 각각 독립적인 냉매사이클을 유동하고, 하이브리드 유닛은 제1차 냉매사이클에서 발생된 열에너지를 제2차 냉매사이클에 열전달시키고, 상기 제2차 냉매사이클은 실내 공간을 냉난방시킨다. 또한, 상기 제1차 냉매사이클은 냉매 유동의 구동원이 압축기이고, 상기 제2차 냉매사이클은 냉매 유동의 구동원이 펌프이다.
한편,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종래 냉매사이클에서, 실내 열교환기의 흡입부(D)에서의 냉매는 2상 상태이고, 실내 열교환기의 토출부(A)에서의 냉매는 기체 상태이다. 이때, 상기 흡입부의 2상 상태(two phase)의 냉매는 온도는 변하지 않으면서 상태만 변하는 포화온도를 갖고, 상기 토출부의 기체 상태의 냉매는 포화온도에서 실내 공기와 열교환됨에 따라 소정의 과열도를 갖는다. 따라서, 종래에는 실내 열교환기의 흡토출부의 과열도차(포화온도와 과열도 차이)를 측정함에 따라 상기 실내 열교환기의 냉매량을 제어할 수 있었다.
반면, 상기 제2차 냉매사이클은 액체 상태의 냉매를 펌프에 의해 유동시키고 별도의 팽창장치가 없기 때문에, 상기 실내기에 흡토출되는 냉매는 사이클의 특성상 거의 액체 상태이다. 따라서, 실내기의 흡/토출부에 온도센서를 설치하여 종래와 같이 냉래량을 제어한다 하더라도, 상기 흡입부의 냉매가 2상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냉매의 압력에 대한 포화온도를 측정하기 곤란하였다. 이렇게 포화온도를 측정하기 곤란함에 따라 결과적으로 과열도차를 측정할 수 없었다. 따라서, 실내 열교환기의 흡토출부의 과열도차에 의한 냉매량 제어를 할 수 없었으므로, 실내기의 흡토출 측에 온/오프 밸브를 적용하였었다. 결국, 실내 공간의 미세한 온도 조절이 불가능하였다.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기의 냉매 유량을 최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멀티 공기조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냉매와 외기를 열교환시키는 실외 열교환기와,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장치가 포함되는 제1차 냉매사이클; 상기 제1차 냉매사이클 냉매와 독립된 유로상의 냉매를 펌핑하여 유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펌핑된 냉매와 실내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실내기와, 상기 실내기의 냉매관 중에서 냉매 흡입부와 토출부 및 상기 냉매 흡입부와 토출부 사이의 소정 부분에 각각 설치되는 온도감지수단과, 상기 온도감지수단에서 측정된 온도에 따라 소정의 개도로 개방되어 상기 실내기에 유출입되는 냉매량을 제어하는 냉매량 제어밸브가 포함되는 제2차 냉매사이클; 그리고, 상기 제1차 냉매사이클과 제2차 냉매사이클을 연결하여, 상기 제1차 냉매사이클의 열원을 제2차 냉매사이클에 열전달시키도록 설치되는 하이브리드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멀티 공기조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때, 하나의 온도감지수단은 상기 냉매관을 전개했을 때에 상기 냉매 흡입부와 토출부의 중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냉/난방 운전시, 냉매 흡입부와 토출부 사이의 온도감지수단과 냉매 토출부의 온도감지수단 사이의 온도차에 따라 상기 냉매량 제어밸브의 개도를 조절하는 멀티 공기조화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실내기의 냉매 흡입부에 배치되는 냉매량 제어밸브의 개도를 조절하고, 실내기의 냉매 토출부에 배치되는 냉매량 제어밸브의 개도는 최대로 확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멀티 공기조화 시스템에 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멀티 공기조화 시스템은, 열원을 발생시키는 제1차 냉매사이클(10)과, 상기 제1차 냉매사이클의 열원에 의해 실내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제2차 냉매사이클(20)과, 상기 제1차 냉매사이클(10)과 제2차 냉매사이클(20)의 열교환을 매개하는 하이브리드 유닛(3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1차 냉매사이클(10)과 제2차 냉매사이클(20)은 독립된 냉매 유로를 갖는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1차 냉매사이클(10)은,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11)와, 냉매와 외기를 열교환시키는 실외 열교환기(12)와, 상기 냉매의 유동 방향을 제어하는 유로 제어부(13)와,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장치(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유로 제어부(13)는 사방밸브를 적용한다. 또한, 상기 압축기(11)는 가동 주파수가 가변되는 인버터 압축기를 적용한다. 물론, 가동 주파수가 일정한 정속 압축기를 적용할 수 있음도 이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제1차 냉매사이클(10)은 제2차 냉매사이클(20)의 냉매에 열원을 제공할 수 있는 한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 가령, 온수에 의해 열원을 제공하는 형태, 또는, 폐열을 이용할 수 있는 형태가 적용 가능하다.
상기 제2차 냉매사이클(20)은, 상기 제1차 냉매사이클(10)의 냉매와 독립된 유로상의 냉매를 펌핑하는 구동부(21)와, 상기 펌핑된 냉매와 실내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실내기(22)와, 상기 실내기에 설치되는 온도감지수단(23a,23b,23c : 도 4 참조)과, 상기 온도감지수단에서 측정된 온도에 따라 소정의 개도로 개방되어 상기 각 실내기(22)에 유출입되는 냉매량을 제어하는 냉매량 제어밸브(25a,25b)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온도감지수단에 관해서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구동부(21)로는 냉매를 펌핑시키는 펌프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펌프는 펌핑 모터와 임펠러로 구성된다. 이러한 펌프에는 액냉매를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하이브리드 유닛과 구동부 사이에는 상기 구동부에 액냉매를 공급할 수 있도록 별도의 냉매 저장 탱크를 설치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펌핑 모터로는 회전수를 조절할 수 있는 인버터 모터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펌핑 모터의 회전수를 조절하여 냉매 유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물론, 일정한 회전수를 갖는 정속 모터를 적용할 수 있음도 이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냉매량 제어밸브(25a,25b)로는 전자기력에 의해 유로의 개도를 조절할 수 있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냉매량 제어밸브(25a,25b)는 유로의 개도를 조절할 수 있는 한 다양한 형태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하이브리드 유닛(30)은, 상기 제1차 냉매사이클(10)과 제2차 냉매사이클(20)을 연결하여, 상기 제1차 냉매사이클(10)의 열원을 제2차 냉매사이클(20)에 열전달시키도록 설치된다. 이때, 하이브리드 유닛(30) 내에서 제1,2차 냉매사이클의 냉매는 섞이지 않고 독립적으로 유동한다.
상기 하이브리드 유닛(30)은 상기 제1차 냉매사이클의 팽창장치(14)와 유로 제어부(13) 사이의 냉매관과, 상기 제2차 냉매사이클의 실내기(22)와 구동부(21) 사이의 냉매관을 열접촉시키도록 설치된다. 가령, 상기 하이브리드 유닛(30)은 다수개의 적층된 판형 열전도핀에 제1,2차 냉매사이클의 냉매관들이 열접촉되게 삽입되어 이루어진다. 또는, 상기 제1,2차 냉매사이클의 냉매관들이 열전도성 유체들에 의해 열교환되는 구조를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제1,2차 냉매사이클의 냉매관을 2중관 형태로 구성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여기서, 제2차 냉매사이클(20)에는 냉매 유동을 위한 구동원으로 압축기 대신에 펌프가 적용되고, 냉매를 팽창시키기 위한 별도의 팽창장치가 설치되지 않는다. 이때, 상기 제2차 냉매 사이클은 압축기의 구동을 위한 오일이 불필요하고, 결국, 냉매 회수운전도 할 필요가 없다.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제2차 냉매사이클의 온도감지수단의 설치 형태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온도감지수단(23a,23b,23c)은 실내기의 냉매관 중에서 냉매 흡입부와 토출부 및 상기 냉매 흡/토출부 사이의 소정 부분에 각각 설치된다. 즉, 각 실내기마다 3개씩의 온도감지수단이 설치된다.
이때, 하나의 온도감지수단(23b)은 상기 냉매관을 전개했을 때에 냉매 흡/토출부의 중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흡토출부의 중간에 설치된 온도감지수단(23b)(이하, 중간 온도감지수단이라 함)을 이용하여 실내기(22)의 포화온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실내기의 포화온도는 실내기에서 냉매가 열교환됨에 따라 온도는 변하지 않지만 상태는 변하는 온도를 의미한다.
또한, 제어부에는 냉매의 수압에 따른 냉매의 과열도차와 과냉도차가 기 설정된다. 여기서, 과열도차는 냉방 운전시 중간 온도감지수단(23b)과 냉매 토출측 온도감지수단(23c)의 온도차를 의미하고, 과냉도차는 난방 운전시 중간 온도감지수단(23b)과 냉매 토출측 온도감지수단(23a)의 온도차를 의미한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 공기조화 시스템의 작용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멀티 공기조화 시스템은 냉매 사이클의 가동형태에 따라 냉방 및 난방 운전을 수행한다. 상기 냉/난방 운전시 상기 하이브리드 유닛(30)은 제1차 냉매사이클(10)의 냉기 또는 열기를 제2차 냉매사이클(20)에 열전달한다.
먼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냉방 운전을 설명하기로 한다.
제1차 냉매사이클(10)의 냉매는 압축기(11)에서 압축된 후 유로 제어부(13) 에 보내진다(제A-B구간). 상기 유로 제어부(13)는 냉매를 실외 열교환기(12)측으로 절환시킨다. 이때, 상기 실외 열교환기(12)에 유입된 냉매는 외기와 열교환됨에 따라 응측된다(제B-C구간). 상기 응축된 냉매는 팽창장치(14)를 통과하면서 저온 저압으로 변환된다(제C-D구간). 상기 저온 저압 냉매는 상기 하이브리드 유닛(30)을 냉각시킨 후 상기 유로 제어부(13)를 거쳐 압축기(11)에 유입된다(제D-A구간). 이러한 제1차 냉매사이클(10)에서는 압축기(11)가 냉매 유동의 구동원으로 작용한다.
이어, 제2차 냉매 사이클의 냉매는 하이브리드 유닛(30)과 열교환됨에 따라 냉각된다(제e-a구간). 이렇게 냉각된 냉매는 구동부(21)에 의해 실내기(22) 측으로 펌핑된다(제a-b구간). 이때, 냉매는 2상 상태에 도달하지 않았으며, 포화 온도에 도달하지 못한 상태에 있다. 상기 펌핑된 냉매는 소정의 실내기(22)의 흡입측 냉매량 제어밸브(25a)를 통해 실내기(22)에 유입되고, 실내기(22)에서 실내 공기와 열교환된 후 토출된다(제b-구간).
이때, 실내기(22)의 냉매는 실내 공기와 열교환됨에 따라, 온도는 변하지 않고 상태만 변하는, 포화 온도에 도달된다(제b-c구간). 이때, 냉매는 2상 상태에 도달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실내기(22)의 흡토출부 중간에 설치된 온도감지수단(23b : 도 5a의 c지점에 대응됨)에서는 냉매의 포화 온도를 측정하고, 실내기(22)의 토출부에 설치된 온도감지수단(23c)에서는 냉매의 과열도를 측정한다. 따라서, 제어부에서는 상기 포화 온도와 과열도의 차이(이하, 과열도차라 한다)를 판단하여 상기 냉매량 제어밸브(25)의 개도를 조절한다. 즉, 측정된 과열도차가 설정 과열도차보다 크다고 판단되면, 상기 실내기의 흡입측에 배치된는 냉매량 제어밸브(25a)의 개도를 확장하여 실내기(22)의 냉매량을 증대시킨다. 반면, 측정된 과열도차가 설정 과열도차보다 작다고 판단되면, 상기 실내기의 흡입측에 배치되는 냉매량 제어밸브(25a)의 개도를 축소시켜 냉매량을 감소시킨다. 이때, 실내기의 토출측에 배치되는 냉매량 제어밸브(25b)의 개도는 최대로 개방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실내기(22)에 유입되는 냉매량을 최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실내기(22)의 냉매는 실내 공기와 열교환된 후 상기 하이브리드 유닛(30)으로 유입되어 다시 냉각된다.
다음으로, 도 4 및 도 6을 참조하여 난방 운전을 설명하기로 한다.
제1차 냉매사이클(10)의 냉매는 압축기(11)에서 압축된 후 유로 제어부(13)에 보내진다(제A-B구간). 상기 유로 제어부(13)는 냉매를 하이브리드 유닛(30) 측으로 절환시킨다. 이때, 상기 하이브리드 유닛(30)에 유입된 냉매는 하이브리드 유닛(30)을 가열하면서 응축된다(제B-C구간). 상기 응축된 냉매는 팽창장치(14)를 통과하면서 저온 저압으로 변환되고(제C-D구간), 이어, 상기 유로 제어부(13)를 거쳐 압축기(11)에 유입된다(제D-A구간). 여기서, 상기 제1차 냉매사이클의 냉매 순환방향은 냉방 운전시와 반대로 행해진다.
이어, 제2차 냉매 사이클의 냉매는 구동부(21)의 펌핑에 의해 압력이 상승된다(제a-b구간). 상기 펌핑된 냉매는 하이브리드 유닛(30)과 열교환됨에 따라 가열된다(제b-c구간). 이렇게 가열된 냉매는 구동부(21)에 의해 실내기(22) 측으로 펌핑된다. 상기 실내기(22)에 유입된 냉매는 실내 공간을 난방시키면서 자신은 응축된다(c-a구간).
이때, 상기 실내기(22)의 냉매는 실내 공기와 열교환됨에 따라, 온도는 변하 지 않고 상태만 변하는, 포화 온도에 도달된다(제d-e구간). 이러한 과정에서, 도 4와 같이 실내기(22)의 흡/토출부 사이에 설치된 중간 온도감지수단(23b)에서는 냉매의 포화 온도를 측정하고(제e지점에 해당됨), 실내기(22)의 토출부에 설치된 온도감지수단(23a)에서는 냉매의 과냉도를 측정한다(제a지점에 해당됨). 따라서, 제어부에서는 상기 포화 온도와 과냉도의 차이(이하, 과냉도차라 한다)를 판단하여 상기 냉매량 제어밸브(25a,25b)의 개도를 조절한다. 즉, 측정된 과냉도차가 설정 과냉도차보다 크다고 판단되면, 상기 실내기의 냉매 흡입측의 냉매량 제어밸브(25a)의 개도를 확장하여 실내기(22)의 냉매량을 증대시키는 반면, 측정된 과냉도차가 설정된 과냉도차보다 작다고 판단되면, 상기 실내기의 냉매 흡입측 냉매량 제어밸브(25a)의 개도를 축소시켜 냉매량을 감소시킨다. 이에 따라, 실내기(22)에 유입되는 냉매량을 조절한다. 상기 실내기(22)의 냉매는 실내 공기와 열교환된 후 상기 하이브리드 유닛(30)으로 유입되어 다시 가열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멀티 공기조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따른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에 의하면, 제2차 냉매사이클의 실내기에서 포화온도를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실내기에 최적의 냉매 유량을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에 의하면, 실내기에 토출되는 냉매량을 최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실내 공간의 온도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에 의하면, 실내기의 구조를 간단히 함으로써 열교환 능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본 발명에 의하면, 제2차 냉매사이클에서는 펌프를 구동원으로 하여 냉매를 순환시키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별도의 냉매 회수 운전을 수행할 필요가 없는 효과가 있다. 또한, 냉매 회수 운전을 하지 않기 때문에, 냉매관의 길이를 종래보다 현저히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냉매와 외기를 열교환시키는 실외 열교환기와,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장치가 포함되는 제1차 냉매사이클;
    상기 제1차 냉매사이클 냉매와 독립된 유로상의 냉매를 펌핑하여 유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펌핑된 냉매와 실내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실내기와, 상기 실내기의 냉매관 중에서 냉매 흡입부와 토출부 및 상기 냉매 흡입부와 토출부 사이의 소정 부분에 각각 설치되는 온도감지수단과, 상기 온도감지수단에서 측정된 온도에 따라 소정의 개도로 개방되어 상기 실내기에 유출입되는 냉매량을 제어하는 냉매량 제어밸브가 포함되는 제2차 냉매사이클; 그리고,
    상기 제1차 냉매사이클과 제2차 냉매사이클을 연결하여, 상기 제1차 냉매사이클의 열원을 제2차 냉매사이클에 열전달시키도록 설치되는 하이브리드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멀티 공기조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하나의 온도감지수단은 상기 냉매관을 전개했을 때에 상기 냉매 흡입부와 토출부의 중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공기조화 시스템.
  3. 냉/난방 운전시, 냉매 흡입부와 토출부 사이의 온도감지수단과 냉매 토출부의 온도감지수단 사이의 온도차에 따라 상기 냉매량 제어밸브의 개도를 조절하는 제1항에 따른 멀티 공기조화 시스템의 제어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실내기의 냉매 흡입부에 배치되는 냉매량 제어밸브의 개도를 조절하고,
    실내기의 냉매 토출부에 배치되는 냉매량 제어밸브의 개도는 최대로 확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0040096315A 2004-11-23 2004-11-23 멀티 공기조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7589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6315A KR100758902B1 (ko) 2004-11-23 2004-11-23 멀티 공기조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EP05025039A EP1662212A3 (en) 2004-11-23 2005-11-16 Air conditioning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1/283,694 US20060107683A1 (en) 2004-11-23 2005-11-22 Air conditioning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A2005101248842A CN1779391A (zh) 2004-11-23 2005-11-23 空调系统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6315A KR100758902B1 (ko) 2004-11-23 2004-11-23 멀티 공기조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7226A KR20060057226A (ko) 2006-05-26
KR100758902B1 true KR100758902B1 (ko) 2007-09-14

Family

ID=35840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6315A KR100758902B1 (ko) 2004-11-23 2004-11-23 멀티 공기조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60107683A1 (ko)
EP (1) EP1662212A3 (ko)
KR (1) KR100758902B1 (ko)
CN (1) CN177939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25124B2 (ja) * 2007-01-31 2013-01-23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冷凍装置
US7900468B2 (en) * 2007-07-11 2011-03-08 Lieber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equalizing a pumped refrigerant system
IL193004A0 (en) * 2008-07-23 2009-08-03 Joul Srhan Deviding unit of the air-conditioner
US10775054B2 (en) * 2009-03-13 2020-09-15 Treau, Inc. Modular air conditioning system
EP2431675B1 (en) * 2009-05-12 2019-09-1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Air conditioner
US8145363B2 (en) * 2009-05-28 2012-03-27 American Power Conversion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load dynamics in a pumped refrigerant cooling system
US8452459B2 (en) * 2009-08-31 2013-05-28 Fisher-Rosemount Systems, Inc. Heat exchange network heat recovery optimization in a process plant
ES2725525T3 (es) * 2009-11-25 2019-09-24 Mitsubishi Electric Corp Dispositivo acondicionador de aire
CN103080668B (zh) * 2010-09-10 2015-05-06 三菱电机株式会社 空气调节装置
KR101294082B1 (ko) * 2011-11-24 2013-08-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Lpi차량용 열교환기
US9915453B2 (en) * 2012-02-07 2018-03-13 Systecon, Inc. Indirect evaporative cooling system with supplemental chiller that can be bypassed
CN102607146B (zh) * 2012-04-06 2014-09-10 谭仲禧 一种中央空调系统及其控制方法
CN102620494B (zh) * 2012-05-08 2014-03-12 程有凯 自动复叠制冷热力膨胀阀过热度的控制方法
FR2991029B1 (fr) * 2012-05-22 2014-05-16 Ciat Sa Kit et methode de mise en oeuvre d'une installation de regulation de temperature pour un batiment
FR2995389B1 (fr) * 2012-09-13 2017-10-20 Alstom Transport Sa Dispositif de climatisation d'air, notamment pour un vehicule ferroviaire
CN104791941B (zh) * 2014-01-21 2017-11-10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空调系统及其控制方法、空调系统的室外机
WO2016187600A1 (en) 2015-05-20 2016-11-24 Other Lab, Llc Near-isothermal compressor/expander
US10739024B2 (en) 2017-01-11 2020-08-11 Semco Llc Air conditioning system and method with chiller and water
JP6834562B2 (ja) * 2017-02-13 2021-02-24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装置
CN107477780A (zh) * 2017-08-14 2017-12-1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用于调节空调室内机的蒸发温度的方法及空调
US11054194B2 (en) 2017-10-10 2021-07-06 Other Lab, Llc Conformable heat exchanger system and method
CN108375241A (zh) * 2018-03-23 2018-08-07 中国工程物理研究院流体物理研究所 一种适用于高绝缘强度要求的精确控温冷却系统
US11253958B2 (en) 2019-01-29 2022-02-22 Treau, Inc. Polymer film heat exchanger sealing system and method
EP4028696A4 (en) 2019-09-13 2023-08-16 Treau, Inc. WINDOW SYSTEM AND METHOD FOR A SPLIT ARCHITECTURE AIR CONDITIONING SYSTEM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250A (ja) * 1989-06-08 1991-01-18 Matsushita Refrig Co Ltd 多室冷暖房装置
JPH0331631A (ja) * 1989-06-28 1991-02-12 Matsushita Refrig Co Ltd 多室式空気調和機
JPH07324836A (ja) * 1994-05-31 1995-12-12 Toshiba Corp 多室空気調和機
JP2001194027A (ja) 2000-01-13 2001-07-17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機及びマルチタイプの空気調和機
KR20030072773A (ko) * 2002-03-06 2003-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냉매유량 제어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79171A (en) * 1954-01-04 1957-01-29 Rca Corp Room temperature conditioner
US3478534A (en) * 1967-08-11 1969-11-18 Controls Co Of America Thermistor controlled refrigeration expansion valve
US4067203A (en) * 1976-09-07 1978-01-10 Emerson Electric Co. Control system for maximizing the efficiency of an evaporator coil
US4149389A (en) * 1978-03-06 1979-04-17 The Trane Company Heat pump system selectively operable in a cascade mode and method of operation
US4576011A (en) * 1982-11-01 1986-03-18 Electric Power Research Institute Air conditioning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US4644756A (en) * 1983-12-21 1987-02-24 Daikin Industries, Ltd. Multi-room type air conditioner
JPH07111283B2 (ja) * 1987-03-20 1995-11-2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多室形空気調和装置
GB2241091B (en) * 1990-02-14 1994-01-19 Toshiba Kk Air conditioning apparatus connecting one outdoor unit with several indoor units through several refrigerant tubes and signal conductors
DE4315924A1 (de) * 1993-05-12 1994-11-17 Forschungszentrum Fuer Kaeltet Kälteträger für Kältemaschinen oder Wärmepumpen
JP3414825B2 (ja) * 1994-03-30 2003-06-09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US5551248A (en) * 1995-02-03 1996-09-03 Heatcraft Inc. Control apparatus for space cooling system
US5761921A (en) * 1996-03-14 1998-06-09 Kabushiki Kaisha Toshiba Air conditioning equipment
JPH10197171A (ja) * 1996-12-27 1998-07-31 Daikin Ind Ltd 冷凍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4043074B2 (ja) * 1997-06-27 2008-02-0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冷凍装置
JPH11201560A (ja) * 1998-01-08 1999-07-30 Denso Corp 超臨界冷凍サイクル
US6505475B1 (en) * 1999-08-20 2003-01-14 Hudson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and improving efficiency in refrigeration systems
JP3966044B2 (ja) * 2002-04-02 2007-08-29 株式会社デンソー 空調装置
JP3709482B2 (ja) * 2004-03-31 2005-10-2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システム
JP3781046B2 (ja) * 2004-07-01 2006-05-31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EP1781996A2 (en) * 2004-08-11 2007-05-09 Lawrence Kates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refrigerant-cycle systems
JP4670329B2 (ja) * 2004-11-29 2011-04-13 三菱電機株式会社 冷凍空調装置、冷凍空調装置の運転制御方法、冷凍空調装置の冷媒量制御方法
JP2008533429A (ja) * 2005-03-18 2008-08-21 キャリア・コマーシャル・リフリージレーション・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ボトル冷却器の除霜装置およびその方法
CN100554820C (zh) * 2006-03-27 2009-10-28 三菱电机株式会社 冷冻空调装置
US7874499B2 (en) * 2006-11-22 2011-01-25 Store-N-Stuff Llc System and method to control sensible and latent heat in a storage unit
US20090031735A1 (en) * 2007-08-01 2009-02-05 Lieber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fluid flow through a fluid cooled heat exchang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250A (ja) * 1989-06-08 1991-01-18 Matsushita Refrig Co Ltd 多室冷暖房装置
JPH0331631A (ja) * 1989-06-28 1991-02-12 Matsushita Refrig Co Ltd 多室式空気調和機
JPH07324836A (ja) * 1994-05-31 1995-12-12 Toshiba Corp 多室空気調和機
JP2001194027A (ja) 2000-01-13 2001-07-17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機及びマルチタイプの空気調和機
KR20030072773A (ko) * 2002-03-06 2003-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냉매유량 제어장치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03031631
102003007277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107683A1 (en) 2006-05-25
EP1662212A3 (en) 2006-09-06
KR20060057226A (ko) 2006-05-26
CN1779391A (zh) 2006-05-31
EP1662212A2 (en) 2006-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8902B1 (ko) 멀티 공기조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212698B1 (ko) 히트 펌프식 급탕장치
JP4651627B2 (ja) 冷凍空調装置
KR100810870B1 (ko) 급탕장치
JP5784117B2 (ja) 空気調和装置
US20130000340A1 (en)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JP4428341B2 (ja) 冷凍サイクル装置
CN102483250A (zh) 空调装置
JP2006071137A (ja) 冷凍装置
US6062035A (en) Air conditioner
WO2011052038A1 (ja) 空気調和装置
JP2018132269A (ja) ヒートポンプシステム
JP2003172523A (ja) ヒートポンプ床暖房空調装置
JP6341326B2 (ja) 冷凍装置の熱源ユニット
JP4696634B2 (ja) エンジン駆動式空気調和機
JP2007218460A (ja) 冷凍サイクル装置および保冷庫
JP2005257231A (ja) ヒートポンプ給湯エアコン
WO2020174618A1 (ja) 空気調和装置
KR100426640B1 (ko) 냉동사이클
JP6758506B2 (ja) 空気調和装置
JP2009162403A (ja) 空気調和機
JPH11182953A (ja) 冷凍装置
JP4258426B2 (ja) 冷凍サイクル装置
JP6978242B2 (ja) 冷媒回路装置
JP2010038408A (ja) 室外熱交換器及びこれを搭載した冷凍サイク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61101

Effective date: 20070622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