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7277B1 - 다공질 재료를 이용한 흡음 기구 - Google Patents

다공질 재료를 이용한 흡음 기구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7277B1
KR0157277B1 KR1019950020262A KR19950020262A KR0157277B1 KR 0157277 B1 KR0157277 B1 KR 0157277B1 KR 1019950020262 A KR1019950020262 A KR 1019950020262A KR 19950020262 A KR19950020262 A KR 19950020262A KR 0157277 B1 KR0157277 B1 KR 01572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absorbing
sound
plate
porous material
ai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0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7958A (ko
Inventor
고오지 쯔까모또
가쯔히사 오오쯔따
슈이찌 다니
마사유끼 구라시나
도시히사 이마이
Original Assignee
오오꼬우찌 에이이찌
미쯔비시 덴끼 홈 기끼 가부시끼가이샤
기따오까 다까시
미쯔비시 덴끼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오꼬우찌 에이이찌, 미쯔비시 덴끼 홈 기끼 가부시끼가이샤, 기따오까 다까시, 미쯔비시 덴끼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오오꼬우찌 에이이찌
Publication of KR960007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79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7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72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72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resonance effec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bstract

다공질 재료를 이용한 흡음 기구는 배면 공기층을 형성하고 흡음판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부재와 플래스틱 입자를 부분적으로 용착시켜 만들어진 박판 다공질 재료의 흡음판을 갖는다. 전술한 배면 공기층에서 분리된 배면 공기층을 가진 한쌍 이상의 공명부는 흡음판에 고착되고, 공명부는 차음부에 대향되게 지지 부재와의 사이에 배치된다. 복수의 반사 수배 또는 증설 흡음부는 공명부가 고착된 면에 대향면의 흡음판에 대향되도록 배치되고, 복수의 반사 부재 또는 증설 흡음부를 고착하는 보호판이 설치된다. 흡음 기구는 저주파수에서 고주파수까지 우수한 흡음특성을 갖는다.

Description

다공질 재료를 이용한 흡음 기구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다공질 재료를 이용한 흡음 기구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다공질 재료를 이용한 흡음 기구의 구성을 도시하는 종단면도에 흡음판에 입사하는 음파의 음압분포를 도시하는 설명도를 부속시킨 도면.
제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다공질 재료를 이용한 흡음패널의 구성을 도시한 종단면도.
제4도는 잔향실에서 흡음율 측정법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다공질 재료를 이용한 흡음패널의 흡음특성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다공질 재료를 이용한 흡음 기구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다공질 재료를 이용한 흡음 기구의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다공질 재료를 이용한 흡음 기구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다공질 재료를 이용한 흡음 기구의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다공질 재료를 이용한 흡음 기구의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따른 다공질 재료를 이용한 흡음 기구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따른 다공질 재료를 이용한 흡음 기구의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따른 다공질 재료를 이용한 흡음 기구의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
제1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7에 따른 다공질 재료를 이용한 흡음 기구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제14도는 잔향실에서 흡음율 측정법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 7에 따른 다공질 재료를 이용한 흡음 기구의 흡음특성도.
제15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7에 따른 다공질 재료를 이용한 흡음 기구의 효과를 도시한 특성도.
제16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8에 따른 다공질 재료를 이용한 흡음 패널의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
제17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9에 따른 다공질 재료를 이용한 흡음 기구의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
제18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0에 따른 다공질 재료를 이용한 흡음 기구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제19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0에 따른 다공질 재료를 이용한 흡음 기구의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
제20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1에 따른 다공질 재료를 이용한 흡음 기구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제2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1에 따른 다공질 재료를 이용한 흡음 기구의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
제2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2에 따른 다공질 재료를 이용한 흡음 기구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제2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2에 따른 다공질 재료를 이용한 흡음 기구의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
제24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3에 따른 다공질 재료를 이용한 흡음 패널의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
제25도는 잔향실에서 흡음을 측정법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 13에 따른 다공질 재료를 이용한 흡음 패널의 흡음특성도.
제26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4에 따른 다공질 재료를 이용한 흡음 기구의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
제27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4에 따른 다공질 재료를 이용한 흡음 기구의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
제28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4에 따른 다공질 재료를 이용한 흡음 기구의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
제29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5에 따른 다공질 재료를 이용한 흡음 기구의 증설흡음부의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
제30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5에 따른 다공질 재료를 이용한 흡음 기구의 증설흡음부의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
제3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5에 따른 다공질 재료를 이용한 흡음 기구의 증설흡음부의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
제3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6에 따른 다공질 재료를 이용한 흡음 기구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제3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6에 따른 다공질 재료를 이용한 흡음 기구의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
제34도는 잔향실에서 흡음을 측정법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 16에 따른 다공질 재료를 이용한 흡음 기구의 흡음특성도.
제35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6에 따른 다공질 재료를 이용한 흡음 기구의 효과를 도시한 특성도.
제36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7에 따른 다공질 재료를 이용한 흡음 패널의 구조를 도시한 특성도.
제37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8에 따른 다공질 재료를 이용한 흡음 기구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제38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8에 따른 다공질 재료를 이용한 흡음 기구의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
제39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8에 따른 다공질 재료를 이용한 흡음 기구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제40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8에 따른 다공질 재료를 이용한 흡음 기구의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
제41는 본 발명의 실시예 19에 따른 다공질 재료를 이용한 흡음 기구의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
제4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20에 따른 다공질 재료를 이용한 흡음 기구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제4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20에 따른 다공질 재료를 이용한 흡음 기구의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
제44도는 다공질 재료를 이용한 종래의 흡음 기구의 구조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에 흡음판에 입사하는 음파의 음압분포를 도시하는 설명도를 부속시킨 도면.
제45도는 흡음재료와 공명현상을 병용한 종래 흡음 기구의 구조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제46도는 흡음재료와 공명현상을 병용한 종래 흡음 기구의 흡음특성도.
제47도는 슬릿과 다공질 재료를 병용한 종래 흡음 기구의 구조를 도시한 부분절결 사시도.
제48도는 슬릿과 다공질 재료를 병용한 종래 흡음 기구의 흡음특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차음부 2,3a,3b,3c,3d,3e : 흡음판
4 : 보호판 11,12,13,14,15,16,17 : 배면 공기층
20a,20b,21a : 지지부재 30,31 : 공명부
30a,31a : 중공부재 32,33 : 증설흡음부
40,41,42,43 : 반사부재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소음 발생원의 주위 또는 소음의 전파경로에 설치되는 흡음 기구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공질 재료를 이용한 흡음 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종래예 1]
제44도는 종래예 1의 경질의 다공질 재료를 이용한 흡음 기구의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흡음판에 입사되는 음파의 음압 분포를 도시하는 설명도가 첨부되어 있다. 제44도에서, 도면부호 1은 벽면 등의 차음부(sound insulator)이고, 2는 플라스틱 입자, 세라믹, 발포금속 등과 같은 경질의 다공질 재료로 이루어지는 흡음판이다. 도면부호 11은 흡음판(2)의 배면 공기층이며, 11a는 배면 공기층(11)의 두께이고, 81은 입사음이며, β는 입사음(81)의 평균입사 각도이고, λ는 입사음(81) 중 음압 레벨이 가장 높은 음파의 파장이다. 음압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에서 +부호는 정압(positive pressure)이 흡음판(2)에 작용하는 것을 나타내고 -부호는 부압(negative pressure)이 흡음판(2)에 작용하는 것을 나타낸다. 화살표 85와 86은 흡음판(2)을 통해 배면 공기층(11)에 작용하는 입사음파의 방향이다.
다음에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입사음(81)은 흡음판(2)을 통과하여 배면 공기층(11)에 입사된다. 흡음판(2)은 그 음향적 특성으로서 음향 질량(m)과 음향 저항(r)을 구비하며, 배면 공기층(11)은 음향적 특성으로서 음향 용량(c)을 갖고 있다. 흡음판(2)과 배면 공기층(11)을 음향적 특성에 의한 등가 음향 회로로 표현하면 r-m-c의 직렬 공명 회로로서 표현할 수 있다. 이 공명 회로에 기초하면, 공명 주파수(fo)는 아래의 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이 공명 주파수에 가까운 주파수를 갖는 음파가 흡음판(2)에 입사하면, 음원측에서 본 입력 임피던스는 최소로 되고, 따라서 흡음판(2)이 갖는 음향 저항(r)만을 고려하면 된다. 그러므로 흡음판(2)의 음향 저항(r)을 공기의 특성 임피던스 ρx a(ρ:공기의 밀도, a:음속)에 가까운 값으로 되도록 튜닝하면 공명 주파수(fo)에서의 흡음 계수는 1.0으로 된다. 따라서 공명 주파수(fo)에 가까운 주파수를 갖는 음파는 가장 효율적으로 흡음판 내로 진입한다. 진입된 음파는, 배면 공기층(11) 내에 존재하고 음향 용량(c)의 음향 특성을 갖는 공기를 강제로 진동시킨다. 강제로 진동이 부여된 공기는, 흡음판(2)에 존재하는 간극을 출입하고, 음파는 간극의 음향 저항(r)에 의해 열에너지로 변환되며, 이로인해 에너지의 방사가 가능해진다. 이는 입사 음파의 에너지가 흡음 기구에 흡수됨을, 즉 흡음이 행해짐을 의미한다.
상기한 흡음 메카니즘에서는 입사음(81)이 흡음판(2)에 대해 수직으로 입사한 경우에, 흡음 효과가 가장 큰 것이 알려져 있다. 즉 음파가 수직으로 입사한 상태에서는 흡음판(2) 상면에 대한 음파의 위상관계는 상면의 어느 장소에서도 동일하고, 흡음판(2) 전체와 배면 공기층(11) 전체가 일체화하며, 따라서 효과적인 공명 흡음작용이 행해진다. 한편, 일반적인 경우로서, 입사음(81)이 흡음판(2)에 대해, 수직하지 않으며 어떤 입사각도(β)를 갖고 입사한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제44도에서 파장(λ)의 음파가 흡음판(2)에 대해 입사각도(β)로 입사하면 흡음판(2) 상에는 λ/cos(β)를 주기로 하는 음압분포의 위상차가 발생한다. 여기서 기술하는 흡음 메카니즘에서는 기본적으로 공명 현상을 이용하여 음파를 흡수하고 있다. 그러나, 흡음판(2)의 면방향으로 강약의 음압분포가 생기면, 배면 공기층(11)이 상호 상반하는 방향의 압력(85,86)이 작용하며 따라서 배면 공기층의 인접하는 부분이 부방향의 음향진동을 받게 된다. 그리고, 배면 공기층(11)내에서 압력이 밸런스되므로서, 입사음파에 동기한 공기 진동이 일어나기 어려워진다. 즉 흡음판(2)과 배면 공기층(11) 사이에서 공명 현상이 일어나기 어렵게 되어 흡음 효과를 현저히 저해하게 된다.
[종래예 2]
제45도는 예로서 특공평 4-76117호 공보에 개시된 종래예 2의 흡음재와 공명 현상을 조합시킨 흡음 기구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고, 제46도는 제45도에 도시한 흡음 기구의 흡음특성도이다. 제45도에서 도면부호 91은 벽이고, 92,93은 공기층이며, 94는 소공(small opening) 또는 슬릿이고, 95는 노즐이며, 96은 다공판이고, 97은 흡음재이다.
다음에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종래예 2의 흡음 기구에는 다공판(96)이 벽(91)에서 떨어져 공기층(92) 사이에 두고 설치되어 있다. 다공판(96)에는 다수의 소공 또는 슬릿(94)이 천공되고, 이 소공 또는 슬릿(94)에는 노즐(95)이 접속되고 있다. 또한 노즐(95)의 선단상에는 다공판(96)과의 사이에 공기층(93)을 거쳐서, 섬유질 또는 입자질의 흡음재(97)가 전체면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공기층(92), 소공 또는 슬릿(94), 노즐(95)은 공명에 의한 흡음 기구를 형성하고, 흡음재(97)와 공기층(93)은 흡음재에 의한 흡음 기구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공명에 의한 흡음 기구의 요소들을 공기층(92)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고 또한 흡음재에 의한 흡음 기구의 요소들은 공기층(93)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종래예 2의 흡음 기구는, 제46도에서 실선으로 도시하는 곡선(3)의 흡음특성을 갖고 있다. 공명만을 이용하는 흡음 기구의 특성은 제46도에 점선(곡선 2)으로 도시되어 있고 이 흡음 기구는 낮은 주파수에 효과가 있으며, 흡음재만을 이용하는 흡음 기구의 특성은 제46도에 일점쇄선(곡선 1)으로 도시되고 이 흡음 기구는 높은 주파수에 효과가 있다.
[종래예 3]
제47도는 예로서 일본 음향 재료 협회편, 건축음향공학핸드북, 기보당, 245∼250페이지, 351∼356페이지에 기재된, 슬릿과 다공질 재료를 함께 이용한(종래예 3으로서의) 흡음 기구의 구성을 도시하는 부분절취 사시도이고, 제48도는 제47도에 도시하는 흡음 기구의 흡음특성도이다. 제47도에서 도면부호 91은 벽이고, 92와 93은 공기층이며, 98은 다공질 재료이고, 99는 슬릿판이다.
다음에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종래예 3의 슬릿과 다공질 재료를 이용한 구조체에 의한 흡음 기구는, 다공질 재료(98)와 공기층(92)에 구비되는 흡음특성을, 슬릿판(99)과 공기층(93)에 의한 공명으로 높이고 있다. 그리고 제48도에 도시하듯이 높은 흡음특성은 슬릿 부분에서의 공명에 의해 200 내지 500Hz 정도의 낮은 주파수에서 효과가 있다.
종래예 1의 흡수 기구가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흡음판(2)을 일정하게 했을 때 공명 주파수(fo)는 배면 공기층(11)의 두께(11a)에 따라 결정된다. 흡음율은 공명 주파수(fo)에서 최대로 되고 흡음특성은 공명 주파수(fo)를 1/3옥타브 대역 중심 주파수로 하고 좁은 주파수 대역에 분포된다. 또한, 수직 입사 이외일 때 흡음판(2)의 면방향으로 음압 분포가 발생하므로 종래예 2는 위상치에 의해 간섭이 발생하는 주파수가 존재하고, 흡음율이 적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예 2의 흡음 구성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고 상호 연결된 요소들에 의해 발생하는 공명을 이용한 흡음 기구와 상호 연결된 흡음재를 이용한 흡음 기구가 조합되어 음파를 흡수하고 있으므로 종래예 2는 종래예 1과 마찬가지로 수직 입사 이외시에 1재(97)이 면방향으로 음압 분포가 발생하고 위상차에 의해 간섭이 발생하는 주파수가 존재하고 예로서, 제4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낮은 주파수의 흡음율이 적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예 3의 슬릿과 다공질 재료를 이용한 구조체에 의한 흡음 기구에서는, 슬릿에서의 공명에 의해 200Hz 내지 500Hz 정도의 낮은 주파수에서의 흡음율은 크지만 500Hz 이상의 높은 주파수에서의 흡음율은 낮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의 목적은 지지 부재에 배면 공기층을 형성하고 중공부재로 공명부를 형성하므로서 낮은 주파수에서 높은 주파수에 걸쳐 탁월한 흡습특성을 갖는 다공질 재료를 이용한 흡음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흡음판의 전방에 복수의 반사부재를 배치하여 낮은 주파수에서 높은 주파수에 걸쳐 탁월한 흡음특성을 갖는 다공질 재료를 이용한 흡음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밖의 반사 부재를 흡음판의 전방에 배치하고 개구를 갖는 보호판을 가지므로서 낮은 주파수에서 높은 주파수에 걸쳐 탁월한 흡음특성을 갖는 다공질 재료를 이용한 흡음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흡음판의 전방에 다공질 재료의 박판과 중공부재로 이루어진 복수의 흡음부를 배치하므로서 낮은 주파수에서 높은 주파수에 걸쳐 탁월한 흡음특성을 갖는 다공질 재료를 이용한 흡음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흡음판의 전방에 다공질 재료의 박판과 중공부재로 이루어진 복수의 흡음부를 배치하므로서 낮은 주파수에서 높은 주파수에 걸쳐 탁월한 흡음특성을 갖는 다공질 재료를 이용한 흡음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공질 재료로된 흡음판을 형성하고 복수의 반사 부재를 구비하므로서 낮은 주파수에서 높은 주파수에 걸쳐 탁월한 흡음특성을 갖는 다공질 재료를 이용한 흡음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개구를 갖는 보호판을 반사 부재의 전면에 배치하므로서 낮은 주파수에서 높은 주파수에 걸쳐 탁월한 흡음특성을 갖는 다공질 재료를 이용한 흡음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공질 재료로된 흡음판을 형성하고 다공질 재료로 된 박판과 중공 부재로 복수의 흡음부를 구성하므로서 낮은 주파수에서 높은 주파수에 걸쳐 탁월한 흡음특성을 갖는 다공질 재료를 이용한 흡음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개구를 갖는 보호판을 복수의 흡음부 앞에 배치하므로서 낮은 주파수에서 높은 주파수에 걸쳐 탁월한 흡음특성을 갖는 다공질 재료를 이용한 흡음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플라스틱 입자를 부분적으로 용착하여 흡음판을 형성하므로서 낮은 주파수에서 높은 주파수에 걸쳐 탁월한 흡음특성을 갖는 다공질 재료를 이용한 흡음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흡음 기구의 배면에 차음판을 구비하고 흡음 패널을 형성하므로서 낮은 주파수에서 높은 주파수에 걸쳐 탁월한 흡음특성을 갖는 다공질 재료를 이용한 흡음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1중공 부재들의 각각의 내부에 제3의 배면 공기층을 갖는 제2공명부를 형성하기 위한 제3중공 부재를 형성하므로서 낮은 주파수에서 높은 주파수에 걸쳐 탁월한 흡음특성을 갖는 다공질 재료를 이용한 흡음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특징에 따른, 다공질 재료를 이용한 흡음 기구는, 다공질 재료의 박판으로된 흡음판을 차음부상에 지지하고, 상기 흡음판과 차음부 사이의 공간을 분리하여 복수의 독립된 제1배면 공기층을 형성하며, 각각의 제1배면 공기층에 제2배면 공기층을 갖는 제1공명부를 형성한 것이다.
전술했듯이, 본 발명의 제1특징에 따른 다공질 재료를 이용한 흡음 기구는 흡음판과 차음부 사이의 공간을 분리시키므로써 형성된 각각의 독립된 복수의 제1배면 공기층에 형성되고 제1배면 공기층을 갖는 제1공명부에 의해 그 흡음기능을 분리시켜 흡음특성을 개선시키며, 따라서 낮은 주파수에서 높은 주파수에 걸쳐 탁월한 흡음특성을 갖는 흡음 기구가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특징에 따른 다공질 재료를 이용한 흡음 기구는 흡음판과 일정 간격을 두고 흡음판의 전면에 배치된 복수의 반사 부재를 포함한다.
전술했듯이, 본 발명의 제2특징에 따른 다공질 재료를 이용한 흡음 기구는, 공명 현상의 발생을 용이하게 하며, 흡음판과 일정 간격을 두고 흡음판의 전면에 배치된 복수의 반사 부재를 포함하므로서 그 흡음 성능을 향상시키며, 따라서 낮은 주파수에서 높은 주파수에 걸쳐 탁월한 흡음특성을 갖는 흡음 기구가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특징에 따른 다공질 재료를 이용한 흡음 기구는 흡음판의 전방에 흡음판과 떨어져 배치되는 복수의 반사 부재와, 상기 반사 부재를 고정시키기 위해 반사 부재 전방에 배치되고 개구를 갖는 보호판을 포함한다.
전술했듯이, 본 발명의 제3특징에 따른 다공질 재료를 이용한 흡음 기구는 흡음판의 전방에 흡음판과 떨어져 배치되는 복수의 반사 부재와, 상기 반사 부재의 전방에 배치되고 개구를 갖는 보호판을 포함하므로서 그 흡음 성능을 향상시키며, 따라서 낮은 주파수에서 높은 주파수에 걸쳐 탁월한 흡음특성을 갖는 흡음 기구가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특징에 따른 다공질 재료를 이용한 흡음 기구는 다공질 재료로 된 박판과 제2중공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흡음판의 전방에 흡음판과 떨어져 배치되는 복수의 흡음부를 포함한다.
전술했듯이, 본 발명의 제4특징에 따른 다공질 재료를 이용한 흡음 기구는 다공질 재료의 박판과 제2중공 부재로 구성되고 흡음판의 전방에 흡음판과 떨어져 배치되는 복수의 흡음부를 포함하므로서 흡음 성능을 향상시키고, 따라서 낮은 주파수에서 높은 주파수에 걸쳐 탁월한 흡음특성을 갖는 흡음 기구가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특징에 따른 다공질 재료를 이용한 흡음 기구는 다공질 재료의 박판과 제2중공 부재로 구성되고 흡음판의 전방에 흡음부와 떨어져 배치되는 복수의 흡음부와, 상기 흡음부를 고정하기 위해 흡음부의 전방에 배치되고 개구를 갖는 보호판을 포함한다.
전술했듯이, 본 발명의 제5특징에 따른 다공질 재료를 이용한 흡음 기구는 다공질 재료의 박판과 제2중공 부재로 구성되고 흡음판의 전방에 흡음판과 떨어져 배치된 복수의 흡음부와, 흡음부의 전방에 배치되고 개구를 갖는 보호판을 포함하므로서 흡음 성능을 향상시키고, 따라서 낮은 주파수에서 높은 주파수에 걸쳐 탁월한 흡음성능을 갖는 흡음 기구가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특징에 따른 다공질 재료를 이용한 흡음 기구는 다공질 재료의 박판으로 다공질 재료의 박판으로 만들어지고 흡음부 위에 배면 공기층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흡음판과, 흡음판의 전방에 흡음판으로부터 떨어져 배치되는 복수의 반사 부재를 포함한다.
전술했듯이, 본 발명의 제6특징에 따른 다공질 재료를 이용한 흡음 기구는 다공질 재료의 박판으로 만들어지고 흡음부 위에 배면 공기층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흡음판과, 흡음판의 전방에 흡음판으로부터 떨어져 배치되는 복수의 반사 부재를 포함하므로서 높은 주파수에서의 흡음율을 향상시키며, 따라서 낮은 주파수에서 높은 주파수에 걸쳐 탁월한 흡음 특성을 갖는 흡음 기구가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7특징에 따른 다공질 재료를 이용한 흡음 기구는 반사 부재를 고정하기 위해 반사 부재 전방에 배치되고 개구를 갖는 보호판을 포함한다.
전술했듯이, 본 발명의 제7특징에 따른 다공질 재료를 이용한 흡음 기구는 반사 부재의 전방에 배치되고 개구를 갖는 보호판을 포함하므로서 흡음 성능을 향상시키며, 따라서 낮은 주파수에서 높은 주파수에 걸쳐 탁월한 흡음 특성을 갖는 흡음 기구를 얻을수 있다.
본 발명의 제8특징에 따른 다공질 재료를 이용한 흡음 기구는 다공질 재료의 박판으로 만들어지고 벽과 같은 차음부 위에 배면 공기층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흡음판 및 다공질 재료의 박판과 중공 부재로 구성되고 흡음판의 전방에 흡음판에서 떨어져 배치되는 복수의 흡음부를 포함한다.
전술했듯이, 본 발명의 제8특징에 따른 다공질 재료를 이용한 흡음 기구는 다공질 재료의 박판과 중공 부재로 구성되는 복수의 흡음부를 흡음판의 전방에 흡음판에서 떨어져 배치시킴으로써 흡음 성능을 향상시키며, 따라서 낮은 주파수에서 높은 주파수에 걸쳐 탁월한 흡음 특성을 갖는 흡음 기구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9특징에 따른 다공질 재료를 이용한 흡음 기구는 흡음부를 고정하기 위해 복수의 흡음부 전방에 배치되고 개구를 갖는 보호판을 포함한다.
전술했듯이, 본 발명의 제9특징에 따른 다공질 재료를 이용한 흡음 재료는 개구를 갖는 보호판을 복수의 흡음부 전방에 배치하므로서 흡음 성능을 향상시키고 따라서 낮은 주파수에서 높은 주파수에 걸쳐 탁월한 흡음 특성을 갖는 흡음 기구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0특징에 따른 다공질 재료를 이용한 흡음 기구는 플라스틱 입자를 부분적으로 용착시키므로써 만들어진다.
전술했듯이, 본 발명의 제10특징에 따른 다공질 재료를 이용한 흡음 기구는 플라스틱 입자를 부분적으로 용착시키므로써 만들어진 흡음판을 이용하며, 따라서 낮은 주파수에서 높은 주파수에 걸쳐 탁월한 흡음 특성을 갖는 흡음 기구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1특징에 따른 다공질 재료를 이용한 흡음 기구는 흡음 기구의 배면에 차음부에 대응하는 차음판을 구비하므로서 흡음 패널로서 형성된다.
전술했듯이, 본 발명의 제11특징에 따른 다공질 재료를 이용한 흡음 기구는 흡음 기구의 배면에 차음부에 대응하는 차음판을 구비하므로서 흡음 패널로서 형성되며 따라서 낮은 주파수에서 높은 주파수에 걸쳐 탁월한 흡음 특성을 갖는 흡음 기구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2특징에 따른 다공질 재료를 이용한 흡음 기구는 제1중공 부재의 각 내부에 제2의 배면 공기층과 독립된 제3배면 공기층을 갖는 제2공명부를 형성하기 위해 흡음판의 배면에 고정되는 제3중공 부재를 포함한다.
전술했듯이, 본 발명의 제12특징에 따른 다공질 재료를 이용한 흡음 기구는 제3배면 공기층을 갖는 제2공명부를 형성하기 위한 제3중공 부재를 포함하며, 따라서, 낮은 주파수에서 높은 주파수에 걸쳐 탁월한 흡음 특성을 갖는 흡음 기구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들과 신규 특성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한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첨부도면은 예시적인 것일뿐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지 않는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실시예 1)에 따른 다공질 재료를 이용한 흡음 기구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제2도는 제1도에 도시한 다공질 재료를 이용한 흡음 기구의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에 흡음판에 입사되는 음파의 음압 음포를 도시하는 설명도를 부속시킨 도면이다. 제1도 및 제2도에 있어서, 도면번호 1은 벽등의 차음부이다. 참조번호 2는 다공질 재료의 박판으로 된 흡음판이며, 그 재질로서는 플라스틱 입자, 세라믹, 발포 금속 등이 이용된다. 본 발명의 양수인과 동일한 양수인이 출원한 일본국 특허 공개공보번호 제90-289333호(평2-289333, 심사청구:무)에 개시되어 있는 것은 플라스틱 입자를 부분적으로 가열용착시킨 다공질 재료로서, 특히 흡음 효과가 높다. 이 공보에 개시된 다공질 재료는 참고로 본 발명에 합체된다. 이 다공질 재료에 있어서 두께 방향으로 밀도를 변화시킨 것은 더욱 우수한 흡음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다공질 재료는 흡음 기구를 구성하기 위한 기계적 강도를 지닌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번호 11 및 12는 흡음판(2)의 배면 공기층이고, 11a 및 12a는 배면 공기층(11,12)의 각 두께를 나타낸다. 도면번호 20a 및 20b는 배면 공기층(11)의 두께(11a)의 간격을 갖고서 흡음판(1)을 차음부(1)상에 지지하기 위한 격자상의 지지 부재이다. 이 지지 부재(20a,20b)는 차음부(1)와 흡음판(2) 사이의 공간을 격자상으로 분할하여 복수의 독립된 배면 공기층(11)을 형성하고 있다. 도면번호 30a는 흡음판(2)의 배면에 고착되고 복수의 상기 배면 공기층(11) 각각에 배면 공기층(11)보다 두께가 작은 독립된 배면 공기층(12)을 형성하는 중공 부재이다. 이 중공 부재(30a)와 흡음판(2)은 복수의 독립된 공명부(30)를 구성한다. 도면번호 81은 배면 공기층(11)으로의 입사음이고, 82는 배면 공기층(12)으로의 입사음이다. 도면부호β는 입사음(81,82)의 평균 입사각도이고, λ는 입사음(81또는 82)의 파장을 지시한다. 음압분포를 도시하는 제2도의 부속도에 있어서, +는 정압, -는 부압이 흡음판(2)에 작용하는 것을 도시한다. 제2도의 화살표85는 흡음판(2)을 통하여 배면 공기층(11) 또는 (12)에 작용하는 정압의 입사음파를 나타내고, 화살표86은 흡음판(2)을 통하여 배면 공기층(11) 또는 (12)상에 작용하는 음압의 입사음파를 나타낸다.
폴리프로필렌 수지, 염화폴리비닐 수지, ABS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등의 재료가 흡음판(2)의 재료로서 이용될 수 있다. 흡음판(2)은 지지 부재(20a,20b)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흡음판(2)의 강도는 증가된다.
다음에 작동에 관하여 설명한다. 흡음 기구의 흡음 원리는 종래예 1과 유사하게 흡음판(2)과 배면 공기층(11)의 등가음향회로로 표현된다. 흡음판(2)은 음향 질량(m)과 음향 저항(r)에 상당하고, 배면 공기층(11)은 음향 용량(c)에 상당한다. 이들은 r-m-c의 직렬 공명 회로를 형성한다. 여기에서, 공명 주파수 fo는 상술한 종래예 1에 있어서의 식(1)에 따라 결정된다.
흡음판(2)을 일정하게 하면, 입사음(81)의 공명 주파수(fo)는 주로 배면 공기층(11)의 두께(11a)에 의해 결정된다. 또, 입사음(82)의 공명 주파수(fo)는 배면 공기층(12)의 두께(12a)에 의해 결정된다. 이들 각각의 공명 주파수(fo)에 있어서 흡음율은 각각 최대로 된다. 양쪽의 흡음 기구는 서로 독립적이기 때문에, 전체의 흡음 특성은 각각의 흡음 특성을 총합한 것이고, 결과적으로 종래예에 비하여 저주파수로부터 고주파수까지 흡음율이 개선된다.
상기한 흡음 기구에 있어서, 입사음(81)이 흡음판(2)에 대하여 수직하게 입사한 경우에, 흡음 효과가 가장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음파가 수직으로 입사한 경우에, 흡음판(2)의 상면에서의 음파의 위상관계는 상면 어느 곳에서든 동일하고, 흡음판(2)의 전체와 배면 공기층(11또는 12)의 전체가 일체화하여 효과적인 공명 흡음 작용이 행해진다. 한편, 일반적인 경우로서, 입사음(81)이 흡음판(2)에 대하여 수직으로 입사하지 않고, 어떤 입사각도(β)를 갖고서 흡음판(2)에 대하여 입사한 경우를 검토한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장(λ)의 음파가 흡음판(2)에 대하여 입사각도β를 갖고서 입사하면 흡음판(2)상에는 λ/cos(β)을 주기로 하는 음압분포의 위상차가 일어난다. 여기에서 기술되는 흡음 기구에 있어서는 기본적으로 공명 현상을 이용하여 음파를 흡수하고 있다. 만약 흡음판(2)의 면방향에 음압의 위상차가 발생하면, 종래예 1 및 종래예 2에서와 같이 배면 공기층이 흡음판(2)의 후면에 연결되는 경우에는 위상차에 기인하여 흡음 효과가 감소하지만, 본 실시에에서는 배면 공기층(11)은 지지 부재(20a,20b)에 의해 서로 분리되고, 배면 공기층(12)은 공명부(30)와 지지 부재(20b)에 의해 배면 공기층(11)으로부터 분리되고 또한 서로 분리되어 있어서, 각 배면 공기층(11)과 각 배면 공기층(12)은 각각 독립적으로 작용하고, 이에 따라 공명 현상을 일으키기가 용이해지고, 흡음 특성이 향상한다. 이와 같이, 위상차에 의한 음파의 간섭이 작으므로 본 흡음 기구는 종래예에 비하여 흡음율이 더 크다. 제1도 및 제2도에 있어서, 본 발명은 지지 부재(20a)만, 또는 지지 부재(20b)만을 이용할 수 있고, 이러한 방식으로 본 실시예의 효과의 일부분을 얻을 수 있다.
[실시예 2]
제3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실시예 2)에 따른 경질의 다공질 재료를 이용한 흡음 패널의 구성을 도시하는 종단면도이고, 제4도는 잔향실에서의 흡음율 측정법에 의한 흡음특성도이다. 제3도에 있어서, 도면번호 1a는 흡음 패널의 하우징으로서도 기능하는 차음판을 지시하고, 이 차음판(1a)은 벽 등의 차음부에 상당한다. 4는 펀칭메탈등으로 제조된 보호판이며, 이 보호판(4)은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가지며 차음판(1a)의 개방부를 폐쇄하도록 흡음판(1a)에 고착된다.
다음, 작동에 관하여 설명한다. 흡음 패널은 예컨대 차음판(1a)으로서 두께 1.6mm의 아연도금 강판을 약 500mm×1960mm×50mm의 상자형으로 형성하고, 그 내부에 두께가 약 3.5mm의 흡음판(2)을 배면 공기층(11)의 두께(11a)가 약 35mm가 되도록 설치함과 함께, 흡음판(2)에는 배면 공기층(12)의 두께(12a)가 약 9mm로 되도록 공명부(30)를 고착한다. 그리고, 보호판(4)으로서 두께 0.8mm이고 개구율이 55%의 알루미늄판을 차음판(1a)에 고착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흐음 패널의 흡음 특성은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예에 비하여 더 높은 주파수에서의 흡음율이 향상되고 전체적으로 광대역화가 도모된다. 실험결과에 의하면, 배면 공기층(12)의 두께(12a)가 약 15mm일때 흡음율이 더욱 향상된다.
[실시예 3]
제5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실시예 3)에 따른 다공질 재료를 이용한 흡음 기구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제6도는 제5도의 다공질 재료를 이용한 흡음 기구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제5도 및 제6도에 있어서, 도면번호 13은 흡음판(2)의 배면 공기층이고, 13a는 배면 공기층(13)의 두께이다. 31은 배면 공기층(13)의 두께(13a)의 간격을 갖고서 공명부(30)내의 흡음판(2)의 배면에 고착된 공명부이고, 31은 중공 부재(30a)에 다시 공명부(31)를 형성하기 위한 중공 부재이다. 이들 공명부(30,31)는 지지 부재(20a)에 평행하고 지지 부재(20b)에 수직하게 배치되어 있다. 83은 배면 공기층(13)으로의 입사음이다.
다음, 그 작동에 관하여 설명한다. 입사음(83)의 공명 주파수(fo)는 배면 공기층(13)의 두께(13a)에 의해 결정된다. 입사음(81,82,83)의 주파수가 배면 공기층(11,12,13)의 각각의 공명 주파수(fo)로 동일할 때 흡음율은 각각 최대로 된다. 세 개의 흡음 기구 각각이 서로 독립적이기 때문에, 전체 흡음 특성은 각 흡음 특성의 총합이고, 그 흡음율은 실시예 1에 비하여도 더욱 향상된다. 배면 공기층(11)는 지지 부재(20a,20b)에 의해 서로 분리되고, 배면 공기층(12)은 공명부(30)와 지지 부재(20b)에 의해 배면 공기층(11)과 분리되고 또한 서로 분리되며, 또한 배면 공기층(13)은 공명부(31)와 지지 부재(20b)에 의해 배면 공기층(12)과 분리되고 또한 서로 분리되어 있어서, 각 배면 공기층(11,12,13)은 각각 독립적으로 작동하므로서 공명 현상을 발생하기가 용이해지며, 이는 흡음 성능을 향상시킨다. 이와 같이, 위상차에 의한 간섭이 적으므로, 본 흡음 기구는 종래에1 및 2에 비하여 흡음율이 크다.
제5도 및 제6도에 있어서, 실시예 3은 격자상의 지지 부재(20a,20b)를 구비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지지 부재(20a) 하나만을, 또는 지지 부재(20b) 하나만을 이용할 수 있고, 이렇게 하여 본 실시예 효과의 일부가 얻어질 수 있다.
[실시예 4]
제7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실시예 4)에 따른 다공질 재료를 이용한 흡음 기구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제8도는 제7도의 다공질 재료를 이용한 흡음 기구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제7도 및 제8도에 있어서, 도면번호 1은 벽 등의 차음부이다. 2는 실시예 1과 유사한 흡음판이다. 11은 흡음판(2)의 배면 공기층이고, 11a는 배면 공기층(11)의 두께이다. 40은 간격을 둔 흡음판(2)에 대향되도록 흡음판(2)의 전면에 배치된 복수의 반사부재이다. 80은 배면 공기층(11)으로의 입사음이고, 이 입사음(80)은 반사부재(40)를 회피하며, 81은 배면 공기층(11)으로의 재입사음이고, 이 재입사음은 흡음판(2)과 반사부재(40)에 의해 반사한 입사음(81)이다.
반사 부재(40)의 재료로서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염화폴리비닐 수지, ABS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등과 같은 재료가 이용될 수 있다. 반사 부재(40)의 형상은 중공파이프 또는 중실봉과 같은 형상일 수 있다.
다음, 작동에 관하여 설명한다. 배면 공기층(11)의 공명 주파수(fo)는 그 두께에 의해 결정된다. 입사음(80,81)의 주파수가 각각의 공명 주파수(fo)에 동일할 때 흡음율은 최대가 된다. 흡음율이 작은 경우에 흡음판(2)을 통과하지 않고 반사되는 음이 많다. 따라서, 반사 부재(40)가 흡음판(2)에 대향하도록 설치되면, 반사음은 반사 부재(40)에 의해 다시 반사되고 흡음판(2)쪽으로 입사되어 흡음된다. 파장이 더 짧은 음은 더 효과적으로 재입사음으로 되기 때문에, 공명 주파수(fo)보다 높은 주파수에서의 흡음율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종래예에 비하여 더 낮은 주파수에서 더 높은 주파수까지 흡음율은 개선시킬 수 있다.
재입사음(81a)은 입사음(81)보다는 더 긴 전달 경로를 갖기 때문에, 위상이 변조된다. 결과적으로 일부 주파수에서 공명 현상이 증강되고, 이는 흡음율의 증가를 가져온다.
입사음(80)은 본래 반사 부재(40)의 상면에서 반사되지만, 그중 일부 음파는 굴절등과 같은 현상에 기인하여 반사 부재(40) 사이의 공간에 인입되어, 임피던스의 정합이 행하여짐과 함께, 음파의 입사 각도가 수직에 가깝게 되기 때문에 효과적으로 흡음된다.
[실시예 5]
제9도는 본 발명에서 제5실시예(실시예 5)에 따른 다공질 재료를 이용한 흡음 기구의 구조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제9도에 있어서, 도면번호 41은 흡음판(2)의 전면에 흡음판(2)과 간격을 두고서 배치된 복수의 반사 부재이고, 역사다리형의 단면 형상을 하고 있다. 반사 부재(41)는 음파를 반사시키는데에 그 측면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재입사음(81a)이 보다 효과적으로 얻어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공명 주파수(fo)보다 더 높은 주파수에서의 흡음율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종래예 1에 비하여 더 낮은 주파수에서 더 높은 주파수에까지 흡음율을 개선할 수 있다.
[실시예 6]
제10도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실시예 6)에 따른 다공질 재료를 이용한 흡음 기구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제11도 및 제12도는 제10도의 다공질 재료를 이용한 흡음 기구의 구조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제10.11 및 12도에 있어서, 도면번호 1은 벽 등의 차음부이다. 2는 실시예 1과 유사한 흡음판이다. 11과 12는 흡음판(2)의 배면 공기층이고, 11a와 12a는 배면 공기층(11,12)의 두께를 각각 나타낸다. 20a와 20b는 배면 공기층(11)의 두께(11a)의 간격을 갖고서 차음부(1)에 대향되도록 흡음판(2)을 지지하기 위한 격자상의 지지 부재이다. 30은 배면 공기층(12)의 두께(12a)의 간격을 갖고서 차음부(1)측의 흡음판(2)에 고착된 공명부이고, 30a는 공명부(30)를 형성하기 위한 중공 부재이다. 공명부(30)들은 지지 부재(20a)에 평행하고 지지 부재(20b)에 수직하게 배치된다. 40은 흡음판(2)의 전면에 흡음판(2)과는 간격을 두고서 대향배치되고 공명부(30)에는 평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81은 배면 공기층(11)으로의 입사음이고, 81a는 입사음(81)중 흡음판(2)과 반사 부재(40)에 의해 반사되어 배면 공기층(11)으로의 재입사음이고, 81b는 입사음(81)중 흡음판(2)과 반사 부재(40)에 의해 반사되어 배면 공기층(12)으로의 재입사음이며, 82는 배면 공기층(12)으로의 입사음이고, 82b는 입사음(82)중 흡음판(2)과 반사 부재(40)에 의해 반사되어 배면 공기층(11)으로의 재입사음이다.
반사 부재(40)의 재료로서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염화 폴리비닐 수지, ABS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등의 재료가 이용된다. 흡음판(2)이 지지 부재(20a,20b)에 의해 지지되므로, 흡음판(2)의 강도는 증가된다. 반사 부재(40)의 형상은 중공 파이프 또는 중실봉 형상으로 되어 있다.
다음에,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입사음(81)의 공명 주파수(fo)는 주로 배면 공기층(11)의 두께(11a)에 따라 결정된다. 입사음(32)의 공명 주파수(fo)는 또한 주로 배면 공기층(12)의 두께(12a)에 따라 결정된다. 흡음율은 각각 그들의 공명 주파수(fo)하에서 최대가 된다. 각각의 흡음 기구가 다른 것과 독립하므로, 전체 흡음 특성은 각각의 흡음 특성의 총합이다. 배면 공기층(11)이 지지 부재(20a,20b)에 의해 분리되고, 배면 공기층(12)이 각각 공명부(30) 및 지지 부재(20b)에 의해 분리되므로, 각각의 배면 공기층(11) 및 배면 공기층(12)은 각각 제1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독립적으로 작동하며, 따라서, 공명 현상이 쉽게 발생하며, 흡음 작업을 개선시키나. 따라서 위상차에 의한 음파의 간섭은 작기 때문에, 본 흡음 기구는 종래 기술(1과2)에 비교하여 더욱 큰 흡음율을 갖는다. 또한 많은 음이 흡음판(2)을 관통하지 아니하고, 흡음율이 작은 경우 표면상에서 반사된다. 따라서 반사 부재(40)가 흡음판(2)에 대향하도록 위치될 때, 반사음은 반사 부재(40)에 의해 다시 반사되며, 그에 의해 흡수되도록 재입사음(81a,81b 및 82b)으로서 흡음판(2)안으로 입사된다. 짧은 파장을 갖는 음은 더욱 효율적인 재입사음(81a,81b 및 82b)이 되기 때문에, 공명 주파수(fo)보다 높은 주파수에서의 상기 흡음율은 증가되며, 따라서 흡음율은 종래 기술(1내지3)에 비교하여 더 낮은 주파수로부터 더 높은 주파수까지 향상될 수 있다.
제10도,11도 및 제12도에 있어서, 제6실시예는 격자상의 지지 부재(20a,20b)를 가지나, 본 발명은 지지 부재(20a)만을 이용하거나 또는 지지 부재(20b)만을 이용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그와 같은 이용에 의해, 본 실시예의 일부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
[실시예 7]
제13도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실시예 7)에 따른 다공질 재료를 이용하는 흡음 기구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14도는 잔향실에서 흡음율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에 따른 흡음특성도이고, 제15도는 반사 부재(40)의 효과를 도시한 특성도이다. 제15도는 제13도에 도시된 흡음 기구가 반사 부재(40)와 함께 설치된 경우의 흡음율과 흡음 기구가 반사 부재(40)와 함께 설치되지 않은 경우의 흡음율의 비율을 도시한다. 상기 반사 부재(40)는 흡음판(2)의 상부면에 마주하며, 공명부(30)와 수직으로 교차되도록 배열된다. 제10도 내지 제13도에 도시된 반사 부재(40)의 배열은 기본적으로 제14도 및 제15도에 도시된 흡음 효과를 가져온다. 공명부(30)에 대한 반사 부재(40)의 배열 방향은 도시된 수직 및 평행 방향에 한정되지 않으며 임의로 된다. 또한 유사한 흡음 효과는 임의 방향 배열하에서 얻어질 수 있다.
다음에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흡음 기구는 예를 들면 3.5mm 두께를 갖는 흡음판(2)을 위치시키므로써 제조되며, 따라서 배면 공기층(11)의 두께(11a)는 약 35mm가 되며, 흡음판(2) 중공 부재(30a)는 배면 공기층(12)의 두께(12a)가 공명부(30)를 형성하기 위해 약9mm가 되도록 고정된다. 다음에 ABS수지로 제조되며 약15mm의 두께와 33mm의 폭을 갖는 사각 파이프는 반사 부재(40)와 같은 흡음판(2)으로부터 약10mm의 공간을 갖고 배열된다. 따라서 제조된 흡음 기구의 흡음 특성은, 어떠한 반사 부재도 갖지 않은 경우의 흡음 특성과 비교하여 슬릿 공명 현상 효과에 의해 약600Hz이하의 주파수 및, 반사 효과에 의해 1.5kilo-Hz 이상의 주파수하에서 흡음율이 개선되며, 전자의 경우 제14도 및 제1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넓은 주파수 대역하에서 전체적으로 개선된다. 일부 결과에 따라, 흡음율은 또한 약15mm의 배면 공기층(12)의 두께와 반사 부재(40) 및 15mm의 흡음판(2) 사이의 공간에서 개선된다.
[실시예 8]
제16도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실시예 8)에 따른 다공질 재료를 이용하는 흡음 패널의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제16도에 있어서, 차음판(1a)은 흡음 패널의 하우징으로 작용한다. 펑칭 금속등으로 제조된 보호판(4)은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가지며 차음판(1a)의 개방부를 덮도록 차음판(1a)에 고정된다. 도면번호 21a는 반사 부재(40)를 배치하기 위한 지지 부재이다. 반사 부재(40)의 방향은 공명부(30)에 대해 평행하거나 수직이 된다. 이와 같은 흡음 패널은 실시예 6 및 7의 경우와 같은 효과를 가진다.
[실시예 9]
제17도는 본 발명의 제9실시예(실시예 9)에 따른 다공질 재료를 이용하는 흡음 기구의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제17도에 있어서, 1은 벽 등의 차음부이다. 2는 실시예 1과 유사한 흡음판이고, 4는 펀칭 금속등으로 제조된 보호판이며, 이 보호판(4)은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가지며 흡음파(2)의 상부면에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11은 흡음판(2)의 배면 공기층이다. 또한 11a는 배면 공기층(11)의 두께이다. 다수의 반사 부재(42)는 보호판(4)에 고정되며 흡음판(2)으로부터 공간을 갖는 흡음판 전방에 배열된다. 81은 배면 공기층(11)안의 입사음이고, 81a는 배면 공기층(11)안의 재입사음을 나타내며, 흡음판(2) 및 반사 부재(42)에 의해 반사되는 입사음(81)이다.
폴리프로필렌 수지, 염화폴리비닐 수지, ABS 수지 및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같은 재료가 흡음판(2)의 재료로서 이용될 수 있다. 반사 부재(42)의 형상은 중공 파이프 또는 중실봉 형상으로 될 수 있다.
다음에,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입사음(81)의 공명 주파수(fo)는 배면 공기층(11)의 두께(11a)에 따라 결정된다. 흡음율은 공명 주파수(fo)에서 최대가 된다. 많은 음이 흡음판(2)을 관통하지 않으며, 흡음율이 작은 경우 그의 표면상에 반사된다. 따라서 반사 부재(42)가 흡음판(2)에 대향하도록 위치될 때, 반사음은 다시 반사 부재(42)에 의해 반사되고 그에 의해 흡수되도록 재입사음(81a)과 같은 흡음판(2)안에 입사된다. 짧은 파장을 갖는 음이 더욱 효과적으로 재입사음(81a)으로 되기 때문에, 공명 주파수(fo) 보다 높은 주파수에서의 흡음율은 증가되며, 따라서 흡음율은 종래 기술1과 비교하여 낮은 주파수로부터 높은 주파수에서 개선될 수 있다. 그외에도, 흡음판(2)의 손상도 보호판(4)에 의해 방지될 수 있다. 반사 부재(42)가 미리 보호판(4)에 고정되므로 부착면에 있어서 보호판(4)의 부착 작업 효율은 높다. 상기 반사 부재(42)는 또한 보호판(4)의 보강재로 작용한다.
[실시예 10]
제18도는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실시예 10)에 따른 다공질 재료를 이용하는 흡음 기구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제19도는 제18도에 도시된 다공질 재료를 이용하는 흡음 기구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제18도 및 제19도에 있어서, 펀칭 금속등으로 제조된 보호판(4)은 실시예 9에 설명된 반사 부재(42)에 따른 부위를 절곡하므로서 형성되며, 반사 부재(42)에 따른 부위 이외의 부위에서 개구를 가지며, 또한 흡음판(2)의 상부면에 대면하도록 배열된다.
따라서 제조된 흡음 기구는 실시예 9와 같은 효과를 갖는다.
[실시예 11]
제20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11실시예(실시예 11)에 따른 다공질 재료를 이용하는 흡음 기구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제21도는 제20도의 다공질 재료를 이용하는 흡음 기구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제20도 및 제21도에 있어서, 도면 부호1은 벽과 같은 차음부를 나타낸다. 2는 실시예1 과 유사한 흡음판을 나타낸다. 또한 4는 펀칭 금속등으로 제조되며, 개구를 가지며 또한 흡음판(2)의 전방에 배열된 보호판을 나타낸다. 11 및 12는 흡음판(2)의 배면 공기층을 나타낸다. 또한 11a 및 12a는 각각 배면 공기층(11,12)의 두께를 나타낸다. 20a 및 20b는 배면 공기층(11)의 두께(11a)의 공간을 갖는 차음부(1)위의, 차음부(1)에 마주하도록 흡음판(2)을 지지하기 위한 격자상의 지지 부재를 나타낸다. 30은 배면 공기층(12)의 두께(12a)의 공간을 갖는 흡음판(2)의 차음부(1) 측부에 설치된 공명부를 나타낸다. 30a는 공명부(30)를 형성하기 위한 중공 부재를 나타낸다. 상기 공명부(30)는 지지 부재(20a)에 평행하고 지지 부재(20b)에 수직이 되도록 배열된다. 42는 보호판(4)에 고정된 다수의 반사 부재를 나타내며, 흡음판(2)에 마주하며 공명부(30)에 평행하도록 배열된다. 81은 배면 공기층(11)안의 입사음을 나타낸다. 81b는 배면 공기층(12)안의 재입사음을 나타내며, 흡음판(2) 및 반사 부재(42)에 의해 반사되는 입사음(81)을 지시한다; 82는 배면 공기층(12)안의 입사음을 나타낸다. 배면 공기층(11)안의 재입사음(82b)은 흡음판(2) 및 반사 부재(42)에 의해 반사된 입사음(82)을 지시한다.
폴리프로필렌 수지, 염화폴리비닐 수지, ABS수지 및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같은 재료가 흡음판(2)의 재료로서 사용될 수 있다. 흡음판(2)은 지지 부재(20a,20b)에 의해 지지되므로, 흡음판(2)의 강도는 증가된다. 반사 부재(42)의 형상은 중공형 파이프 또는 중실봉 형상을 갖는다.
다음에,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입사음(81)의 공명 주파수(fo)는 주로 배면 공기층(11)의 두께(11a)에 따라 결정된다. 상기 입사음(82)의 공명 주파수(fo)는 또한 주로 배면 공기층(12)의 두께(12a)에 따라 결정된다. 흡음율은 각각 그들의 공명 주파수(fo)에서 최대가 된다. 각각의 흡음 기구가 다른 것에 독립적익 때문에, 전체 흡음특성은 각각의 흡음 특성들의 합이 된다. 상기 배면 공기층(11)이 지지 부재(20a,20b)에 의해 분리되며 또한 배열 공기층(12)이 각각 공명부(30) 및 지지 부재(20b)에 의해 분리되므로, 각각의 배열 공기층(11,12)은 각각 실시예 1에 도시된 것과 독립적으로 작동하며, 따라서 공명 현상을 용이하게 발생시킬 수 있으며 흡음 성능상의 개선을 가져온다. 따라서 위상차에 기인한 음파의 간섭이 작아지므로, 본 흡음 기구는 종래 기술1 및 2와 비교하여 더욱 큰 흡음율을 갖는다. 또한 많은 음이 흡음판(2)을 관통하지 않으며, 실시예 2에 설명된 바와 같이 흡음율이 작은 경우 그의 표면상에 반사된다. 따라서 반사 부재(42)가 흡음판(2)에 마주하도록 위치될 때, 반사음은 다시 반사 부재(42)에 의해 반사되며, 그에 의해 재입사음(81b,82b)으로서 흡수되도록 흡음판(2)안에 입사된다. 짧은 파장을 갖는 음이 재입사음(81a,82b)을 더욱 효과적으로 하기 때문에, 공명 주파수(fo)보다 높은 주파수에 있어서의 흡음율은 증가되며, 따라서 흡음율은 종래 기술 1내지 3과 비교하여 더 낮은 주파수로부터 더 높은 주파수에서 향상될 수 있다. 그외에도, 흡음판(2)의 손상도 보호판(4)에 의해 방지될 수 있다. 반사 부재(4)가 미리 보호판(4)에 고정되므로, 상기 반사 부재(42)는 또한 보호판의 보강재로 작용하며, 부착면에서 보호판(4)의 부착 작업 효율은 높아진다.
제20도 및 제21도에 있어서, 실시예 11은 격자상의 지지 부재(20a,20b)를 가지나, 본 발명은 지지 부재(20a) 단독으로, 또는 지지 부재(20b)만 단독으로 이용한다. 이와 같이 하므로써, 본 실시예의 일부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 유사한 효과가 반사 부재(42)가 공명부(30)에 수직으로 배치된 경우에 기대될 수 있다.
[실시예 12]
제22도는 본 발명의 제12실시예(실시예 12)에 따른 다공질 재료를 이용한 흡음 기구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제23도는 제22도에 도시된 다공질 재료를 이용한 흡음 기구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제22도 및 제23도에 있어서, 보호판(4)에 고정된 다수의 반사 부재(43)는 흡음판(2)이 반사 부재(43) 및 지지 부재(20a 또는 20b) 사이에 위치하독 배열된다. 배면 공기층(11)안의 재입사음(81a)은 흡음판(2)과 반사 부재(43)에 의해 반사되는 입사음(81)을 의미한다.
실시예 12의 다공질 재료를 이용하는 흡음 기구가 형성되므로, 실시예 11과 유사한 흡음율로 개선될 수 있고, 흡음판(2)의 손상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흡음판(2)의 강도를 증가시킨다.
[실시예 13]
제24도는 본 발명의 제13실시예(실시예 13)에 따른 다공질 재료를 이용한 흡입 패널의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제25도는 잔향실에서 흡음율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에 따른 흡음특성도이다. 제24도에 있어서, 도면 번호 1a는 흡읍 패널의 하우징으로서도 기능하는 차음판을 나타낸다. 펀칭 금속등으로 제조된 보호판(4)은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가지며 차음판(1a)의 개방부를 덮도록 차음판(1a)에 고정된다. 상기 보호판(4)에 고정된 다수의 반사 부재(42)는 흡음판(2)에 대향하도록 배열된다. 상기 반사 부재(42)는 공명부(30)에 수직이 되도록 배열된다.
다음에,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배면 공기층(11)이 지지 부재(20a,20b)에 의하여 분리되고 배면 공기층(12)이 각각 중공 부재(30a) 및 지지 부재(20b)에 의해 분리되므로, 각각의 배면 공기층(11,12)은 각각 실시예 1에 설명된 바와 같이 독립적으로 작동하며, 따라서 흡음 성능을 개선하는 공명 현상을 용이하게 일으킨다. 따라서 위상차에 기인한 음파의 간섭이 작기 때문에, 본 흡음 패널은 종래 기술 1 및 2와 비교하여 큰 흡음율을 갖는다. 또한, 많은 음이 흡음판(2)를 관통하지 않으나, 그의 흡음율이 작은 경우 그의 표면상에 반사된다. 따라서, 반사 부재(42)가 흡음판(2)에 마주하도록 위치할 때, 반사음은 다시 반사 부재(42)에 의해 반사되며, 그에 의해 흡수되도록 다시 흡음판(2)안으로 입력된다. 단파장을 갖는 음이 더욱 효과적으로 입력되므로, 공명 주파수(fo)보다 큰 주파수에서의 흡음율은 증가되며, 따라서 흡음율은 종래 기술 1 내지 3의 것과 비교하여 더 낮은 주파수로부터 더 높은 고주파수에서 개선될 수 있다.
상기 흡음 패널은, 예를 들어 차음판(1a)으로서 약 500mm×1960mm×50mm로 설정된 상자안에 약 1.6mm의 두께를 갖는 아연도금 강판을 형성하고, 배면 공기층(11)의 두께(11a)가 약 35mm로 되도록 박스에 약 3.5mm 두께를 갖는 흡음판(2)을 설치하므로서 구성되며, 상기 중공 부재(30a)는 배면 공기층(12)의 두께(12a)가 공명부(30)를 형성하기 위해 약 9mm로 되도록 흡음판(2)에 고정된다. 다음에 약 27mm의 폭과 15mm의 높이를 가지며 ABS 수지로 제조된 사각 바는 0.8mm의 두께를 가지며 반사 부재(40)로서 40%의 개방율을 갖는 알루미늄판으로 제조된 보호판(4)에 고정된다. 다음에 상기 보호판(4)은 차음부(1a)에 고정된다. 따라서 설치된 흡음 패널의 흡음 특성은 반사 부재가 없는 경우의 흡음특성과 비교하여 약 15.kilo-Hz 이상의 주파수에서 흡음율을 개선하며, 전자의 경우 제2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넓은 주파수 대역하에서 전체적으로 개선된다.
반사 부재(42)가 공명부(30)에 평행하도록 배열된 경우, 유사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실시예 14]
제26도, 제27도 및 제28도는 본 발명의 제14실시예(실시예 14)에 따른 다공질 재료를 이용하는 흡음 기구의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제26도, 27도 및 제28도에 있어서, 도면 부호 1은 벽과 같은 차음부를 나타낸다. 3a 및 3b는 실시예 1의 흡음판(2)과 유사한 박판 다공질 재료를 이용하는 흡음판을 나타낸다. 흡음판(3a,3b)의 재료는 플라스틱 입자, 세라믹, 발포 금속등이다. 11은 흡음판(3a)의 배면 공기층을 나타낸다. 11a는 배면 공기층(11)의 두께를 나타낸다. 14는 흡음판(3b)의 배면 공기층을 나타내고, 14는 배면 공기층(14)의 수직 방향의 두께를 나타내고, 14b는 배면 공기층(14)의 수평 방향의 두께를 나타낸다. 흡음판(3b)과 중공 부재(32a)로 구성된 다수의 증설 흡음부(32)는 공간을 갖는 흡음판(32)에 마주하도록 흡음판(3a) 전방에 배열된다. 81은 배면 공기층(11)으로의 입사음을 나타낸다. 배면 공기층(11)으로의 재입사음(81a)은 흡음판(3a)과 증설 흡음부(32)에 의해 반사된 입사음(81)을 의미한다. 배면 공기층(14)으로의 재입사음(81c)은 흡음판(3a)에 의해 반사된 입사음(81)을 의미한다. 84는 배면 공기층(14)으로의 입사음을 나타낸다.
다음에, 작동에 관하여 설명한다. 입사음(81)의 공명 주파수(fo)는 배면 공기층(11)의 두께(11a)에 따라 결정된다. 상기 읍사음(84)의 공명 주파수(fo)는 또한 배면 공기층(14)의 두께(14a 또는 14b)에 따라 결정된다. 흡음율은 각각 그들의 공명 주파수(fo)하에서 최대가 된다. 각각의 흡음 기구는 서로 독립되어 있으므로, 전체 흡음특성은 개별 흡음특성의 합이다. 많은 음이 흡음판(3a)을 관통하지 못하나, 흡음율이 작은 경우 그의 표면상에 반사된다. 따라서, 증설 흡음부(32)가 흡음판(32)에 마주하도록 배열될 때, 반사음은 재입사음(81c) 또는 재입사음(81a)으로 되며 이는 다시 증설 흡음부(32)에 의해 반사되며, 흡수될 흡음판(32)안에 입사된다. 짧은 파장을 갖는 음이 더욱 효과적으로 재입사음(81a,81c)으로 되기 때문에, 공명 주파수(fo) 보다 높은 주파수에서 흡음율은 증가되며, 따라서 흡음율은 종래 기술 1과 비교하여 더 낮은 주파수로부터 더 높은 주파수하에서 향상될 수 있다.
재입사음이 입사음보다 더 긴 전달 경로를 가지기 때문에, 그들의 상은 변조된다. 결과적으로, 공명 현상은 흡음율의 증가를 가져오는 일부 주파수에서 보강된다.
증설 흡음부(32)쪽으로의 입사음중 일부음은 회절과 같은 현상 때문에 증설 흡음부(32) 사이의 공간안으로 흡인된다. 그들의 임피던스가 조절되고 입사 각도가 직각이 되도록 근접하기 때문에, 그들은 효과적으로 흡수된다.
일부 실험 결과에 따라 흡음율은 제26도 내지 제28도에 도시된 구조중 제26도에 도시된 구조의 경우 가장 향상된다.
[실시예 15]
제29도, 30도 및 제31도는 각각 본 발명의 제15실시예[실시예 15)에 따른 다공질 재료를 이용하는 흡음 기구의 증설 흡음부(32)의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제29도, 30도 및 제31도에 있어서, 도면 부호 3b, 3c, 3d 및 3e는 박판 다공질 재료를 이용한 흡음판을 나타낸다. 흡음판(3b,3c,3d 및 3e)의 재료는 플라스틱 입자, 세라믹, 발포 금속 등이다. 14, 15, 16 및 17은 흡음판(3b,3c,3d 및 3e)의 배면 공기층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는 각각 흡음판(3b,3c,3d 및 3e)과 배면 공기층(14,15,16 및 17)을 분리하기 때문에, 복수의 공명 주파수(fo)가 설정될 수 있으며, 따라서 국부적인 최대 흡음율을 갖는 주파수가 분산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보다 넓은 주파수 대역을 갖는 흡음율의 분산이 얻어질 수 있다.
[실시예 16]
제32도는 본 발명의 제16실시예[실시예 16)에 따른 다공질 재료를 이용하는 흡음 기구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제33도는 제32도에 도시한 다공질 재료를 이용하는 흡음 기구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제34도는 잔향실에서 흡음율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에 따른 흡음 특성도이고, 제35도는 제32도 및 제33도에 도시된 흡음 기구가 증설 흡음부(32)와 함께 설치된 경우의 흡음율과 흡음 기구가 증설 흡음부(32)와 함께 설치되지 않은 경우의 흡음율 사이의 비율을 도시한 특성도이다. 제32도 및 제33도에 있어서, 도면 부호 1은 벽과 같은 차음부를 나타낸다. 3a 및 3b는 경질의 박판 다공질 재료를 이용하는 흡음판을 나타낸다. 흡음판(3a,3b)의 재료는 플라스틱 입자, 세라믹, 발포 금속등이다. 11 및 12는 흡음판(3a)의 배면 공기층을 나타내고, 11a 및 12a는 각각 배면 공기층(11,12)의 두께를 나타낸다. 14는 흡음판(3b)의 배면 공기층을 나타내고, 14a는 배면 공기층(14)의 수직 방향의 두께를 나타낸다. 20a 및 20b는 배면 공기층(11)의 두께(11a)의 공간을 갖는 차음부(1)에서 차음부(1)와 마주하도록 흡음판(3a)을 지지하기 위한 격자상의 지지 부재를 나타낸다. 30은 배면 공기층(12) 두께(12a)의 공간을 갖는 흡음판(3a)의 차음부(1) 측부에 장착된 공명부를 나타내고, 30a는 공명부(30)를 형성하기 위한 중공 부재를 나타낸다. 상기 공명부(20)는 지지 부재(20a)와는 평행하고, 지지 부재(20b)와는 수직이 되도록 배열된다. 흡음판(3b)과 배면 공기층(14)으로 구성된 다수의 증설 흡음부(32)는 흡음판(3a)의 상부면에 마주하도록 배열된다. 81은 배면 공기층(11)으로의 입사음, 81b는 입사음(81)의 내부 흡음판(3a)과 증설 흡음부(32)에서 반사되는, 배면 공기층(12)으로의 재입사음, 82는 배면 공기층(12)으로의 입사음, 82b는 입사음(82)의 내부 흡음판(3a)과 증설 흡음부(32)에서 반사되는, 배면 공기층(11)으로의 재입사음이다. 84는 배면 공기층(14)으로의 입사음이다.
다음에,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배면 공기층(11)은 지지 부재(20a,20b)에 의해, 배면 공기층(12)은 중공 부재(30a) 및 지지 부재(20b)에 의해 각각 분리되어 있으므로, 실시예 1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각 배면 공기층(11) 및 각 배면 공기층(12)은 각각 독립적으로 동작하여 공명 현상이 발생되기 쉽게 되고 흡음 성능이 향상된다. 위상차에 의한 간섭이 작게 되므로, 종래예 1 및 2에 비해 흡음율이 커진다. 입사음(81)의 공명 주파수(fo)는 주로 배면 공기층(11)의 두께에 따라 결정된다. 입사음(84)의 공명 주파수(fo)는 주로 배면 공기층(14)의 두께(14a)에 따라 결정된다. 흡음율은 각각 그들의 공명 주파수(fo)에서 최대가 된다. 각 흡음 기구는 서로 독립적으이므로 전체의 흡음특성은 각 흡음특성의 합이다. 더나아가, 많은 음이 흡음율이 작아지는 경우에 흡음판(3a)을 통해 통과하지 않고 그 표면상에 반사된다. 따라서, 증설 흡음부(32)가 흡음판(3a)에 대향되도록 위치되면, 반사음이 다시 증설 흡음부(32)에 의해 재반사되어 이에 의해 흡수될 재입사음(81b,82b)으로 흡음판(3a)으로 흡음된다. 파장이 짧은 음이 효율적으로 재입사음(81b,82b)이 되므로, 공명 주파수(fo) 보다 높은 주파수에서의 흡음율이 증가되고, 종래예 1 내지 3에 비해 낮은 주파수에서 높은 주파수하에서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재입사음은 입사음보다도 전달경로가 길므로, 그 위상이 어긋남이 발생되는 주파수에 의해 공명 현상이 증강되는 경우가 되어 흡음율이 증가된다.
증설 흡음부(32)로의 입사음의 일부의 음파는 회절 등에 의해 증설 흡음부(32)의 사이의 공간으로 당겨지며, 임피던스의 정합이 행해짐과 동시에 음파의 입사각도가 수직에 가깝게 되어 효율적으로 흡음된다.
흡음 기구는 흡음판(3a,3b)으로서 폴리프로필렌 수지, 염화 폴리비닐 수지, ABS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등을 이용한 일본 특개평 2-289333호 공보 「다공질 재료」에 기술된 플래스틱 입자를 부분적으로 가열용착한 박판구조의 다공질 재료를 이용한다. 두께가 약 3.5mm인 흡음판(3a)을 배면 공기층(11)의 두께가 약 3.5mm가 되도록 설치함과 동시에, 흡음판(3a)에는 배면 공기층(12)의 두께(12a)가 약 9mm가 되도록 중공 부재(3a)를 고착한 공명부(30)를 형성한다. 두께가 3.5mm인 흡음판(36)은 배면 공기층(14)의 두께(14a)가 약 10mm가 되도록 설치된다. 그래서, 폭이 33mm 높이가 약 15mm의 증설 흡음부(32a)를 흡음판(3a)에서 약 15mm 떨어져 공명부(30)와 수직방향이 되도록 배치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흡음 기구의 흡음특성은 제34도 및 제3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설 흡음부가 없는 경우에 비해 약 1.25KHz 보다 높은 주파수에서의 흡음율이 향상되고, 전체로서 보다 넓은 주파수 대역에서 향상된다. 흡음판(3a)이 지지 부재(20a,20b)에 의해 지지되므로, 흡음판(3a)의 강도가 증가된다. 실험에 의하면, 배면 공기층(12)의 두께(12a)가 약 15mm일 때 흡음율이 보다 향상된다.
제32도 및 제33도에서, 실시예 16은 격자 형상의 지지 부재(20a,20b)를 갖지만, 본 발명은 지지 부재(20a)만 또는 지지 부재(20b)만의 이용을 포함한다. 이러한 이용에 의해, 본 실시예의 것과 유사한 효과가 기대될 수 있다. 또한 증설 흡음부(32)가 공명부(30)에 평행하게 배열되는 경우에도 유사한 효과가 기대된다.
[실시예 17]
제36도는 본 발명의 제17실시예에 따른 다공질 재료를 이용한 흡음 패널의 구조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제36도에서, 1a는 흡음 패널의 하우징으로 작용하는 차음판이다. 4는 차음판(1a)의 개방부를 덮도록 차음판(1a)에 고착된 펀칭 금속 등의 개구를 가진 보호판이다. 21a는 증설 흡음부(32)를 배치하는 지지 부재이다. 이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흡음 패널의 형태로 적용해도 실시예 16과 동일효과가 기대될 수 있다.
[실시예 18]
제37도 및 제39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8에 따른 다공질 재료를 이용한 흡음 기구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제38 및 제40도는 각각 제37 및 제39도에 도시된 흡음 기구의 종단면도이다. 제37도 내지 제40도에서, 3b 및 3c는 박판 구조의 다공질 재료를 이용한 흡음판으로 이 흡음판의 재료는 플래스틱 입자, 세라믹, 발포 금속등이 있다. 상기 흡음판(3a,3b)은 배면 공기층(14)과 증설 흡음부(32)를 형성하고, 또한 지지 부재(20a) 또는 지지 부재(20b)와 흡음판(3b) 또는 흡음판(3c) 사이에 흡음판(3a)이 끼워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흡음판(3b)과 배면 공기층(14)으로 이루어진 증설 흡음부(33)는 흡음판(3a)이 증설 흡음부(33)와 지지 부재(20a,20b) 사이에 끼워지도록 배치된다. 81a는 입사음(81)의 내부 입사음 흡음판(3a)과 증설 흡음부(33)에서 반사되어 배면 공기층(11)으로의 재입사음이다. 81c는 입사음(81)의 흡음판(3a)에서 반사되어 배면 공기층(14)으로의 재입사음이다.
실시예 18의 다공질 재료를 이용한 흡음 기구는 이러한 구성을 가지므로, 실시예 16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흡음율의 개선 뿐만 아니라 흡음판(3a)의 강도를 증가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제37도 내지 제40도에서, 실시예 18은 격자형 지지 부재(20a,20b)를 갖지만, 본 발명은 지지 부재(20a)만 또는 지지 부재(20b)만의 이용을 포함한다. 이러한 이용에 의해 본 실시예의 것과 유사한 효과가 기대될 수 있다.
[실시예 19]
제41도는 본 발명의 제19실시예에 따른 다공질 재료를 이용한 흡음 기구의 구성을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제41도에서, 1은 벽면 등의 차음부이다. 3a,3b는 박판 구조의 다공질 재료를 이용한 흡음판이며, 그 재질은 플래스틱 입자, 세라믹, 발포 금속등이다. 4는 흡음판(3a)의 상부면에 대향되도록 배치된 펀칭 금속 등의 개구를 가진 보호판이다. 11은 흡음판(3a)의 배면 공기층이고, 11a은 배면 공기층의 두께이다. 14는 흡음판(3b)의 배면 공기층이고 14a는 배면 공기층(14)의 수직 방향의 두께이다. 32는 보호판(4)에 고착되고, 또한 흡음판(3b)과 배면 공기층(14)으로 구성되며 흡음판(3a)의 상부측에 대향되도록 배치된 복수의 증설 흡음부이다. 81은 배면 공기층(11)으로의 입사음, 81c는 흡음판(3a)에서 반사되어 배면 공기층(14)으로의 재입사음이다.
실시예 19의 다공질 재료를 이용한 흡음 기구는 상기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실시예 1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낮은 주파수에서 높은 주파수에서 높은 주파수까지의 흡음율을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보호판(4)에 의한 흡음판(3a)의 파손이 방지되며, 증설 흡음부(32)는 보호판(4)에 전진 고착되어 있으므로 보호판(4)의 보강재로서 작용하고, 또한 끼움 작업 현장에서 보호판(4)의 끼움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흡음판(3b)은 제2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판(4)과 수직하게 고착되어 있는 겅우와 유사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실시예 20]
제4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20에 따른 다공질 재료를 이용한 흡음 기구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제43도는 제42도에 도시된 다공질 재료를 이용한 흡음 기구의 종단면도이다. 도면에서, 1은 벽면 등의 차음부이다. 3a,3c는 실시예 1의 흡음판(2)과 동일한 구조의 다공질 구조체를 이용한 흡음판이고, 재료로서는 플래스틱 입자, 세라믹, 발포 금속등이 있다. 4는 흡음판(3a)의 상부측에 대향되도록 배치된 펀칭 금속 등의 개구를 가진 보호판이다. 11 및 12는 흡음판(3a)의 배면 공기층, 11a 및 12a는 각각 배면 공기층(11,12)의 두께를 나타낸다. 14는 흡음판(3c)의 배면 공기층이다. 20a, 20b는 배면 공기층(11)의 두께(11a)의 간격을 갖고 흡음판(4a)이 차음부(1)와 대향하도록 설치된 격자상의 지지 부재이다. 30은 배면 공기층(12)의 두께(12a)의 간격을 갖고 차음부(1)측의 흡음판(3a)에 설치된 공명부이고, 30a는 공명부(30)를 형성하는 중공 부재이다. 공명 부재(30)는 지지 부재(20a)와 평행하고 지지 부재(20b)와는 수직하게 배치된다. 32는 보호판(4)에 고착되고 흡음판(3c)과 배면 공기층(14)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증설 흡음부이다. 상기 흡음부(32)는 흡음판(3a)이 증설 흡음부(32)와 지지 부재(20a,20b) 사이에 끼워지도록 배치된다. 81은 배면 공기층(11)으로의 입사음이고, 81c는 입사음(81)의 흡음판(3a)에서 반사된 배면 공기층(14)으로의 재입사음, 82는 배면 공기층(12)으로의 입사음이다.
다음에 동작을 설명한다. 실시예 20의 다공질 재료를 이용한 흡음 기구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실시예 18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낮은 주파수에서 높은 주파수까지 흡음율을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보호판(4)에 의해 흡음판(3a)의 파손이 방지된다. 더나아가, 증설 흡음부(32)가 보호판(4)에 전진 고착되어 있으므로 보호판(4)의 보강재로서 작용하고 끼움 결합 현장에서의 보호판(4)의 끼움 작업의 효율성이 높아진다. 또한 흡음판(3a)의 강도는 흡음부(32)에 의해 증가된다.
제42도 및 제43도에서, 실시예 20은 격자상의 지지 부재(20a,20b)를 갖지만, 본 발명은 지지 부재(20a)만, 또는 지지 부재(20b)만의 이용을 포함한다. 이러한 이용에 의해, 본 실시예의 효과의 일부가 얻어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제1양태에 따르면, 흡음판을 차음부 상에 지지하고 흡음판과 차음부와의 사이의 공간을 분리하여 복수의 독립된 제1배면 공기층을 형성하고, 복수의 배면 공기층의 각각의 중간에, 각 제1배면 공기층의 제1배면 공기층에서 분리된 제2배면 공기층을 가진 공명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저주파수에서 고주파수까지 우수한 흡음특성을 갖는 흡음 기구가 얻어지는 효과가 있다.
더나아가, 본 발명의 제2양태에 따르면, 흡음판과의 사이에 간격을 설치하여 복수의 반사 부재를 배치하도록 구성되므로, 저주파수에서 고주파수까지 우수한 흡음 특성을 갖는 흡음 기구가 얻어진다.
더나아가, 본 발명의 제3양태에 따르면, 흡음판과의 사이에 간격을 설치하여 흡음판의 저면에 배치된 복수의 반사 부재와, 반사 부재 전면에 있고 그 반사 부재를 고착하며 개구를 가진 보호판을 구비하도록 구성되므로, 저주파수에서 고주파수까지 우수한 흡음특성을 가진 흡음 기구가 얻어진다.
더나아가, 본 발명의 제4양태에 따르면, 다공질 재료의 박판 및 제2중공 부재로 이루어지고 흡음판의 전면에 배치된 복수의 흡음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므로, 저주파수에서 고주파수로의 우수한 흡음특성을 가진 흡음 기구가 얻어진다.
더나아가, 본 발명의 제5양태에 따르면, 다공질 재료의 박판 및 제2중공 부재로 이루어지고, 흡음판의 전면에 배치된 복수의 흡음부와, 흡음부의 전면에 배치되고 개구를 가진 보호판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므로, 저주파수에서 고주파수까지 우수한 흡음특성을 가진 흡음 기구가 얻어진다.
더나아가, 본 발명의 제6양태에 따르면, 흡음판의 전면에 흡음판과의 사이에 간격을 설치하여 배치된 복수의 반사 부재와 흡음판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므로, 저주파수에서 고주파수까지 우수한 흡음특성을 가진 흡음 기구가 얻어진다.
더나아가, 본 발명의 제7양태에 따르면, 반사 부재의 전면에 배치되고 개구를 가진 보호판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므로, 저주파수에서 고주파수까지 우수한 흡음특성을 가진 흡음 기구가 얻어진다.
더나아가, 본 발명의 제8양태에 따르면, 다공질 재료의 박판으로 이루어진 흡음판과, 다공질 재료의 박판과 중공 부재로 구성되고 흡음판에 일정 간격을 형성하여 흡음판의 전면에 배치된 흡음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므로, 저주파수에서 고주파수까지 우수한 흡음특성을 가진 흡음 기구가 얻어진다.
더나아가, 본 발명의 제9양태에 따르면, 흡음부를 고정시키기 위해 복수의 흡음부에 배치되고 개구를 가진 보호판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므로, 저주파수에서 고주파수까지 우수한 흡음특성을 가진 흡음 기구가 얻어진다.
더나아가, 본 발명의 제10양태에 따르면, 그 흡음판이 플래스틱 입자를 부분적으로 용착시키는 것에 의해 만들어지도록 구성되므로, 저주파수에서 고주파수까지 우수한 흡음특성을 가진 흡음 기구가 얻어진다.
더나아가, 본 발명의 제11양태에 따르면, 흡음 기구의 배면에 차음판을 설치하여 흡음 패널을 구성하므로, 저주파수에서 고주파수까지 우수한 흡음특성을 가진 흡음 기구가 얻어진다.
더나아가, 본 발명의 제12양태에 따르면, 제3배면 공기층을 가진 제2공명부를 형성하기 위한 제3중공 부재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므로, 저주파수에서 고주파수까지 우수한 흡음특성을 가진 흡음 기구가 얻어진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가 특정 용어를 사용하여 설명되었지만, 이러한 설명은 단지 목적을 예증하고자 한 것이며, 후술되는 청구범위의 정신 및 범위를 이탈함이 없이 다른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한 것으로 이해된다.

Claims (16)

  1. 벽면 등의 차음부상에 설치되는 다공질 재료를 이용한 흡음 기구에 있어서, 다공질 재료의 박판으로된 흡음판, 상기 흡음판을 차암부상에 지지하고, 상기 흡음판과 차음부 사이의 공간을 분리하여 복수의 독립된 제1배면 공기층을 형성하는 지지 부재 및 각 제1배면 공기층에서 제1배면 공기층으로부터 분리된 제2배면 공기층을 가진 제1공명부를 형성하기 위해 흡음판의 배면에 고착된 제1중공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흡음판과 일정 간격을 형성하여 흡음판의 전면에 배치된 복수의 반사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 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흡음판과의 사이에 간격을 두고 흡음판의 전면에 배치된 복수의 반사 부재와, 반사 부재를 고정시키기 위해 반사 부재의 전면에 배치되고 개구를 가진 보호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 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다공질 재료의 박판과 제2중공 부재로 이루어지며, 흡음판과의 사이에 간격을 두어 흡음판의 전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흡음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 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다공질 재료의 박판과 제2중공 부재로 이루어지고 흡음판과의 사이에 간격을 두어 흡음판의 전면에 배치된 복수의 흡음부와, 흡음부를 고정시키기 위해 흡음부의 전면에 배치되고 개구를 가진 보호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 기구.
  6. 벽면 등의 차음부상에 설치되는 다공질 재료를 이용한 흡음 기구에 있어서, 벽면 등의 차음부상에 배면 공기층을 사이에 배치하고 다공성 재료의 박판으로된 흡음판과, 흡음판의 전면에, 흡음판과의 사이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반사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 기구.
  7. 제6항에 있어서, 반사 부재를 고정시키기 위해 반사 부재의 전면에 배치되고 개구를 가진 보호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 기구.
  8. 벽면 등의 차음부상에 설치되는 다공질 재료를 이용한 흡음 기구에 있어서, 다공질 재료의 박판으로 되어 있고 배면 공기층을 사이에 두고 상기 차음부의 위에 배치된 흡음판과, 중공 부재와 다공질 재료의 박판으로 형성되고 흡음판과의 사이에 간격을 두고 흡음판의 전면에 배치된 복수의 흡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 기구.
  9. 제8항에 있어서, 흡음부를 고착시키기 위해 복수의 흡음부의 전면에 배치되고 개구를 갖는 보호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 기구.
  10. 제1항에 있어서, 흡음판은 플래스틱 입자를 부분적으로 용착시킴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 기구.
  11. 제6항에 있어서, 흡음판은 플래스틱 입자를 부분적으로 용착시킴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 기구.
  12. 제8항에 있어서, 흡음판은 플래스틱 입자를 부분적으로 용착시킴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 기구.
  13. 제1항에 있어서, 흡음 기구의 배면에 차음부에 대응하는 차음판을 구비한 흡음 패널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 기구.
  14. 제6항에 있어서, 흡음 기구의 배면에 차음부에 대응하는 차음판을 구비한 흡음 패널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 기구.
  15. 제8항에 있어서, 흡음 기구의 배면에 차음부에 대응하는 차음판을 구비한 흡음 패널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 기구.
  16. 제1항에 있어서, 제1중공 부재의 각 내부에 제2배면 공기층으로부터 분리된 제3배면 공기층을 가진 제2공명부를 형성하기 위해 흡음판의 배면에 고착된 제3중공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 기구.
KR1019950020262A 1994-08-31 1995-07-07 다공질 재료를 이용한 흡음 기구 KR01572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06919A JP2815542B2 (ja) 1994-08-31 1994-08-31 多孔質構造体を用いた吸音機構
JP94-206919 1994-08-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7958A KR960007958A (ko) 1996-03-22
KR0157277B1 true KR0157277B1 (ko) 1998-11-16

Family

ID=16531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0262A KR0157277B1 (ko) 1994-08-31 1995-07-07 다공질 재료를 이용한 흡음 기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5905234A (ko)
EP (5) EP1172800B1 (ko)
JP (1) JP2815542B2 (ko)
KR (1) KR0157277B1 (ko)
CN (1) CN1091483C (ko)
DE (3) DE69532979T2 (ko)
TW (1) TW25983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36201B2 (ja) * 1999-04-22 2004-06-07 株式会社アルム 吸音パネル
US6589112B2 (en) 2000-12-29 2003-07-08 Evan Ruach Duct silencer
DE10337172A1 (de) * 2003-08-13 2005-03-10 Pore M Gmbh Gehäuse für tongebende elektroakustischen Komponenten, insbesondere Lautsprecher
US7267196B2 (en) * 2004-02-12 2007-09-11 The Boeing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acoustic noise
WO2006027936A1 (ja) * 2004-09-03 2006-03-16 Kabushiki Kaisha Kobe Seiko Sho 二重壁構造体
NO322685B1 (no) * 2005-03-23 2006-11-27 Deamp As Plateelement
KR200390627Y1 (ko) * 2005-05-06 2005-07-25 박종남 차음패널구조물
DE502006007252D1 (de) * 2005-05-25 2010-08-05 Inventio Ag Aufzugsanlage mit Einrichtung zur Geräuschminderung
KR100645824B1 (ko) * 2005-06-14 2006-11-14 김영옥 흡음판넬
US7837008B1 (en) 2005-09-27 2010-11-23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ir Force Passive acoustic barrier
KR100701566B1 (ko) * 2006-05-30 2007-03-29 전형주 마감패널
WO2008123655A1 (en) * 2007-04-10 2008-10-16 Young Mi Kim The sound-absorbing building panel
JP5326472B2 (ja) * 2007-10-11 2013-10-30 ヤマハ株式会社 吸音構造
US7862687B2 (en) * 2007-11-20 2011-01-04 United States Gypsum Company Process for producing a low density acoustical panel with improved sound absorption
EP2085962A2 (en) * 2008-02-01 2009-08-05 Yamaha Corporation Sound absorbing structure and vehicle component having sound absorbing properties
US20090223738A1 (en) * 2008-02-22 2009-09-10 Yamaha Corporation Sound absorbing structure and vehicle component having sound absorption property
JP5691097B2 (ja) * 2008-04-18 2015-04-01 ユーエスジー・インテリアズ・エルエルシー 再生可能成分を含むパネル、および製造方法
US7935223B2 (en) * 2008-04-18 2011-05-03 ISG Interiors, Inc. Panels including renewable component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US8133357B2 (en) * 2008-04-18 2012-03-13 Usg Interiors, Inc. Panels including renewable component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same
JP5511938B2 (ja) * 2008-05-30 2014-06-04 株式会社神戸製鋼所 吸音構造体
US20110232701A1 (en) * 2009-01-27 2011-09-29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Mastic-less dishwasher providing increasing energy efficiency and including a recyclable and reclaimable tub
GB0901982D0 (en) * 2009-02-06 2009-03-11 Univ Loughborough Attenuators, arrangements of attenuators, acoustic barriers and methods for constructing acoustic barriers
US9607600B2 (en) 2009-02-06 2017-03-28 Sonobex Limited Attenuators, arrangements of attenuators, acoustic barriers and methods for constructing acoustic barriers
US20100213002A1 (en) * 2009-02-26 2010-08-26 Honeywell International Inc. Fibrous materials, noise suppression material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noise suppression materials
US8100226B2 (en) * 2009-12-22 2012-01-24 Usg Interiors, Inc. Porous nonwoven scrims in acoustical panels
US20120247867A1 (en) * 2010-01-08 2012-10-04 Jun Yang Composite sound-absorbing device with built in resonant cavity
CN105661863A (zh) 2011-01-04 2016-06-15 特里萨控股股份公司 具有被注塑成型的刷毛的牙刷以及其制造的方法和设备
CN102543061B (zh) * 2012-01-20 2013-08-21 江苏大学 薄膜机械阻抗与微穿孔板声阻抗结合的宽频吸声结构
EP2866610A1 (de) 2012-07-02 2015-05-06 Trisa Holding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bürsten, insbesondere interdentalbürsten, sowie bürste, insbesondere interdentalbürste und produktgruppe aus mehreren bürsten
FR3010225B1 (fr) * 2013-08-29 2016-12-30 Centre Nat Rech Scient Panneau acoustique absorbant
GB201415873D0 (en) * 2014-09-08 2014-10-22 Sonobex Ltd Apparatus And Method
CN106432961B (zh) * 2016-09-30 2019-03-22 广州市粤林木业有限公司 一种隔音板及隔音木门
DE102016124755B3 (de) * 2016-12-19 2018-02-15 Liaver Gmbh & Co. Kg Schallabsorbierendes Bauelement mit Löschungsprofilen sowie Schallschutzwand
JP6496769B2 (ja) * 2017-04-14 2019-04-03 日本飛行機株式会社 吸音パネル
CN109389965B (zh) * 2017-08-03 2023-05-16 深圳市环波科技有限责任公司 宽频带声波吸收器及其构造方法
CN108630188A (zh) * 2018-04-28 2018-10-09 中国铁道科学研究院铁道建筑研究所 吸声结构、吸声组件、组装系统及吸声结构的加工工艺
US11459752B2 (en) 2018-07-02 2022-10-04 Awi Licensing Llc High sound attenuation building panels
CN109671419B (zh) * 2018-12-28 2024-01-12 西安交通大学 一种开缝双孔隙率吸声装置及其应用
US11536024B2 (en) 2019-04-11 2022-12-27 Awi Licensing Llc Multi-layer acoustical building panels
CN111058339B (zh) * 2019-12-06 2021-09-10 华东交通大学 一种可调准周期性声子晶体扣件系统
US11566564B2 (en) * 2020-07-08 2023-01-31 Raytheon Technologies Corporation Acoustically treated panels
CN113002695B (zh) * 2021-03-05 2022-07-29 西北工业大学 基于泡沫超构表面的水下三明治隔声结构
DE102022107468A1 (de) 2022-03-30 2023-10-05 Vaillant Gmbh Gebläse für ein Heizgerät, Heizgerät und Verwendung von Metallschaum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84797A (en) * 1945-11-24 1952-02-05 Emi Ltd Wall with sound absorbing material positioned behind an array of sound reflectors
BE537120A (ko) * 1954-04-09 1900-01-01
DE1029433B (de) * 1954-06-11 1958-05-08 Siemens Ag Reflexionsarme Daempfungsanordnung fuer elektromagnetische bzw. akustische Wellen
FR1257985A (fr) * 1960-05-20 1961-04-07 Siemens Ag Dispositif d'insonorisation de sources sonores-en particulier de transformateurs-blindées au moyen d'un matériau peu perméable au son et munies de compartiments isolateurs
US3578105A (en) * 1970-04-22 1971-05-11 Allan L Griff Acoustical tile
US3831710A (en) * 1973-01-24 1974-08-27 Lockheed Aircraft Corp Sound absorbing panel
US3887031A (en) * 1973-06-11 1975-06-03 Lockheed Aircraft Corp Dual-range sound absorber
CH578657A5 (ko) * 1974-07-19 1976-08-13 Vasiljevic Costa Silard
SE404051B (sv) * 1976-10-12 1978-09-18 Antiphon Ab Anordning for luftljudsabsorption
GB2005384A (en) * 1977-10-04 1979-04-19 Rolls Royce Multi-layer acoustic lining
GB2038410B (en) * 1978-12-27 1982-11-17 Rolls Royce Acoustic lining utilising resonance
US4294329A (en) * 1979-12-17 1981-10-13 Rohr Industries, Inc. Double layer attenuation panel with two layers of linear type material
DE3032269A1 (de) * 1980-08-27 1982-04-08 Hoechst Ag, 6000 Frankfurt Resonatorschallabsorptionselement
SU1174538A1 (ru) * 1981-10-13 1985-08-23 Ленинградский Ордена Ленина Кораблестроительный Институт Звукопоглощающа панель
DE3412432A1 (de) * 1984-04-03 1985-10-10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8000 München Schallabsorbierendes bauelement
DE3643481A1 (de) * 1986-05-14 1987-11-19 Pape Hans Schallschluckbeschichtung einer akustikwand oder akustikdecke
US4780159A (en) * 1987-01-12 1988-10-25 Rohr Industries, Inc. Method of laminating multi-layer noise suppression structures
US4821841A (en) * 1987-06-16 1989-04-18 Bruce Woodward Sound absorbing structures
DE8802977U1 (ko) * 1988-03-05 1989-07-06 Schoelzl, Guenter, 7000 Stuttgart, De
DE68927806T2 (de) * 1988-10-31 1997-09-18 Mitsubishi Electric Corp Poröse Struktur
JPH0818376B2 (ja) 1989-04-28 1996-02-28 三菱電機ホーム機器株式会社 多孔質構造体
JP2933322B2 (ja) * 1989-06-30 1999-08-09 日東紡績株式会社 吸音体
JPH0370932A (ja) * 1989-08-08 1991-03-26 Mitsubishi Electric Home Appliance Co Ltd 消音装置
JP2630652B2 (ja) * 1989-08-09 1997-07-16 三菱電機ホーム機器株式会社 送風機
JP2779547B2 (ja) * 1990-07-17 1998-07-23 積水ハウス株式会社 アンカーボルトの支持装置
WO1993000262A1 (en) * 1991-06-27 1993-01-07 Harco Steel, Inc. Sound absorbing wall panel for use along highways
US5317113A (en) * 1992-07-01 1994-05-31 Industrial Acoustics Company, Inc. Anechoic structural elements and chamber
DE4312885A1 (de) * 1993-04-20 1994-10-27 Fraunhofer Ges Forschung Unterdecke
DE4414566C2 (de) * 1994-04-27 1997-11-20 Freudenberg Carl Fa Luftschalldämpf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109388A (en) 2000-08-29
DE69525886D1 (de) 2002-04-25
CN1122860A (zh) 1996-05-22
EP0700030A3 (en) 1996-04-24
DE69531844T2 (de) 2004-07-08
EP0952571B1 (en) 2003-09-24
EP0952571A2 (en) 1999-10-27
EP1172800B1 (en) 2004-04-28
JPH0868018A (ja) 1996-03-12
US5905234A (en) 1999-05-18
EP1172800A2 (en) 2002-01-16
EP0700030A2 (en) 1996-03-06
KR960007958A (ko) 1996-03-22
DE69531844D1 (de) 2003-10-30
EP1343142A3 (en) 2004-06-16
CN1091483C (zh) 2002-09-25
JP2815542B2 (ja) 1998-10-27
EP0700030B1 (en) 2002-03-20
DE69525886T2 (de) 2002-11-07
EP1172800A3 (en) 2002-04-17
EP1343141A2 (en) 2003-09-10
EP1343142A2 (en) 2003-09-10
EP0952571A3 (en) 2000-11-29
DE69532979D1 (de) 2004-06-03
DE69532979T2 (de) 2005-01-20
EP1343141A3 (en) 2004-06-16
TW259832B (en) 1995-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7277B1 (ko) 다공질 재료를 이용한 흡음 기구
US5633067A (en) Engine compartment casing element with perforated foam layer
US5942736A (en) Antinoise barrier with transparent panels, provided with acoustic insulation and acoustic absorption characteristics
US20210237394A1 (en) Acoustic material structure and method for assembling same and acoustic radiation structure
EP2402936B1 (en) Acoustic structure
Jang et al. Lightweight soundproofing membrane acoustic metamaterial for broadband sound insulation
JPS6046311B2 (ja) 消音装置
US20060096183A1 (en) Sound-absorbing structure using thin film
EP1875461A1 (en) Broadband sound reduction with acoustic resonator
JPH0659680A (ja) 吸音構造体
JP2878091B2 (ja) 多孔質構造体モジュールを用いた音響パネル及び音響装置
JPH089852B2 (ja) 吸遮音防音パネル
JPH11200528A (ja) 吸音パネル
KR960004924Y1 (ko) 소음 · 진동 흡수용 흡음판의 구조
JP2005017635A (ja) 吸音構造体
JP2020165200A (ja) 換気用開口構造
WO2009145322A1 (ja) 吸音構造体
JP4155006B2 (ja) 吸音構造体
RU205834U1 (ru) Шумопоглощающая панель
JPH0724573Y2 (ja) 吸音スプリッタ
CN210597696U (zh) 一种吸声复合结构单元及具有其的吸声体阵列
CN111894160A (zh) 一种吸声复合结构单元及具有其的吸声体阵列
JPH10212710A (ja) 道路用吸音構造体
SU1260470A1 (ru) Звукопоглощ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RU2225484C1 (ru) Звукопоглощающая конструкц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2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