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7196B1 - 독립 휠서스펜션 - Google Patents

독립 휠서스펜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7196B1
KR0157196B1 KR1019950700829A KR19950700829A KR0157196B1 KR 0157196 B1 KR0157196 B1 KR 0157196B1 KR 1019950700829 A KR1019950700829 A KR 1019950700829A KR 19950700829 A KR19950700829 A KR 19950700829A KR 0157196 B1 KR0157196 B1 KR 01571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xis
wishbone
vehicle
wheel suspension
wishbon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700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703218A (ko
Inventor
마이어 디트리히
Original Assignee
하랄트 스타머
라이카 게오시스템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랄트 스타머, 라이카 게오시스템스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하랄트 스타머
Publication of KR950703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7032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7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71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5/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 B60G15/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02Constructional details
    • H01S3/04Arrangements for thermal management
    • H01S3/041Arrangements for thermal management for gas las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10Controlling the intensity, frequency,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the emitted radiation, e.g. switching, gating, modulating or demodulating
    • H01S3/13Stabilisation of laser output parameters, e.g. frequency or amplitude
    • H01S3/131Stabilisation of laser output parameters, e.g. frequency or amplitude by controlling the active medium, e.g. by controlling the processes or apparatus for excitation
    • H01S3/134Stabilisation of laser output parameters, e.g. frequency or amplitude by controlling the active medium, e.g. by controlling the processes or apparatus for excitation in gas la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suspension types
    • B60G2200/10Independent suspen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3Fittings, brackets or knuck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ser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Semiconductor Laser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Semiconductors Or Solid Stat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재 하우징(2)이 내부 공간이 레이저판(3)보다 큰 직경을 가지고, 내부 공간의 단부 영역에 레이저판(3)의 장착을 위한 O형 링(4)이 끼워 맞춰지며, 금속재 하우징(2)이 베이스판(1) 상에 장착되는, 원통형 레이저관(3)을 안정한 방사방향으로 금속재 하우징(2)의 내부 공간내에 지지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O형 링에 의해 봉쇄되는 금속재 하우징(2)의 내부의 레이저관(3)에 대한 개재 공간은 열전도성 페이스트(16)로 채워지며, 제어가능한 가열 및 냉각 요소는 하우징의 외벽부와 접촉하며, 하우징(2)은 일측만 위치 고정적으로 베이스판(1)상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레이저판(3)을 안정한 방사방향으로 위한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독립 훨서스펜션
제1도는 본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독립 훨서스펜션의 사시도.
제2도, 제3도 및 제4도는 제1도 서스펜션의 상사점, 정상승차높이, 하사점을 각각 나타내는 정면도.
본발명은 차량용, 보다 상세하면서도 일반적으로는 전지형 만능차(ATV)용 독립휠서스펜션에 관한 것이다.
전지형 만능차용 독립 휠서스펜션은 거친 지형을 이겨내면서도 장거리 주행을 가능하게 해주어야 하나, 이것은 통상 승차 안락감을 해치게 된다.
본발명은 장거리 주행은 여전히 가능하면서도 종래의 서스펜션보다 양호한 승차안락감을 제공하는 전지형 만능차용 독립 휠서스펜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발명에 따르면, 서로 평행하면서 차량의 길이방향축선에 대해서도 평행한 각각의 다른쪽 중심으로 차량의 구조체상의 한쪽끝에서 각각 피벗되는 상부 및 하부 위시본, 다른쪽 끝이 상기 다른쪽 축선에 평행한 각각의 축선을 중심으로 위시본에 피벗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휠 서포트, 나머지 다른 상기 축선에 평행한 각각의 축선을 중심으로 그 상부 및 하부끝이 차량이 구조체와 위시본주의 한쪽에 각각 피벗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어, 사용중에 위시본의 진동에 의하여 신축됨에 따라 그 각각의 축선을 중심으로 피벗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탄성 완충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는 독립 휠서스펜션에 있어서, 탄성완충수단의 하부끝은 위시본에 단단히 결합되어 아래쪽으로 돌출한 피벗장착부에 의해서 양끝 중간의 상부 위시본에 피벗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수단의 하부끝축선이 상부 위시본 끝에 있는 피벗축선을 연결하는 선 아래에서 2개의 위시본 사이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에의해 탄성 완충수단의 하부끝은 상기 수단이 피벗되는 동안 상부 위시본의 축선을 중심으로 횡방향 아치형 경로를 그리며, 서스펜션이 사용중에 상사점을 향하여 이동할 때 차량 바깥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휠서스펜션이 구비된다.
신축됨에 따라 횡방향 아치형 경로를 거쳐 피벗되는 탄성완충수단의 성능은 개량된 장탈착을 따라서 안락한 승차를 가능하게 해준다.
탄성 완충수단은 바람직하게는 쇼크업소버 및 합체된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쇼크업소버와 스프링은 서로 개별적으로 별개의 축선 예컨대 횡방향으로 떨어져 있는 축선을 중심으로 차량구조체와 위시본에 피벗가능하게 연결되 수도 있지만, 절첩식스프링/쇼크업소버 스트러트의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 완충수단이 하부끝을 위한 피벗장착부는 바람직하게는 상부 위시본과 일체로 되어 있는 브래킷으로 구성된다.
본발명의 서스펜션은 구동 휠 또는 피구동 휠 양자에 대해 똑같이 양호하게 사용될 수 있다.
서스펜션은 2개의 절첩식 스프링/쇼크업소버 스트러트를 가지고 있으며, 이 스트러트의 하부끝은 상부 위시본의 대향측면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한 각각의 피벗 장착부상에 있는 공통축선을 중심으로 피벗될 수도 있어 서스펜션이 구동휠에 사용되는 경우 구동축을 통과시키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도록 되어 있다. 또다른 변형으로서, 스프링 및 쇼크업소버가 서로 분리되어 있는 경우라면 스프링의 하부끝은 어느 한쪽 장착부상에서, 쇼크업소버의 하부끝은 나머지 다른 한쪽 장착부상에서 공통축선을 중심으로 피벗될 수도 있다.
2개의 스트러트 또는 별개의 스프링 및 쇼크업소버는 차량 구조체상의 공통 피벗 축선을 향해 모이거나 또는 벌어질수도 있다.
본발명은 이제 단지 실시예에 불과한 첨부도면을 참조로 설명될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참조번호1로 표시되어 있는 본발명에 따른 전지형 만능차용 독립 휠서스펜션은 상부 및 하부 위시본(2,3)을 가지고 있으며, 이들 각각은 축선(X,X1)을 중심으로 차량의 새시부재(C)상의 한쪽끝에서 피벗된다.(제2,3 및 4도 참조). 축선(X,X1)은 서로 평행하면서 차량의 길이방향축선(도시되지않음)에 대해서도 평행하다. 휠 서포트(4)는 서로 평행하면서 축선(X,X1)에 대해서도 평행한 각각의 축선(Y,Y1)을 중심으로 위시본(2,3)의 다른쪽에 피벗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종래의 방식에 있어서는 휠 서포트(4)가 이 실시예에서는 그 구동축이 D로 표시되어 있는 구동 휠인 휠(W)을 지지한다. 휠 서포트(4), 휠(W) 및 구동축(D)은 명료한 도시를 위해 제1도에서 생략한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위시본(2,3)은 축선(X,X1,Y 및 Y1)을 형성하는 피벗장착부를 구성하는 각각의 부시를 갖는 2갈래로 나누어진 위시본(2,3)을 가지고 있다.
서스펜션(1)은 또한 차량 길이방향으로 떨어져 있으며 상부끝이 공통축선(Z)을 중심으로 섀시부재(C)에, 하부끝이 위시본 양끝의 중간에 있는 즉, 축선(X 및 Y)중간에 있는 공통축선(Z1)을 중심으로 위시본(2)에 피벗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축선(Z,Z1)은 서로 평행하면서 축선(X,X1,Y 및 Y1)에 대해서도 평행하다. 절첩식 스트러트(5,6)의 하부끝을 위한 피벗장착부는 위시본(2)의 대향 측면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한 각각의 브래킷(7)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므로 축선(Z1)은 2개의 위시본(2,3)사이에 존재하도록 즉, 축선(X 및 Y)을 연결하는 선에 대해 아래쪽으로 오프셋되도록 되어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축선(Z1)은 상부 위시본(1)의 축선(X,Y)을 연결한 선보다 하부 위시본(3)의 축선(X1,Y1)을 연결한 선에 근접해 있다.
예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스트러트(5,6)의 공통축선(Z)을 행해 모이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축선(Z)을 향해 벌어지거나 또는 서로 평행하게 되어 있다. 브래킷(7)은 제2,3 및 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구동축(D)이 그 사이로 통과할수 있을 정도의 여유를 갖도록 충분한 거리가 떨어져 있다.
브래킷(7)은 상부 위시본(2)과 일체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나, 별개로 형성되어 예컨대 위시본(2)에 용접될수도 있다.
스트러트(5,6)의 상부 및 하부끝 피벗연결부로 인하여 스트러트는 서스펜션(1)의 상하시점 사이에서 신축함에 따라 길이방향축선(Z,Z1)을 중심으로 피벗될 수 있다. 이러한 피벗운동에 의하여 스트러트(5,6)의 하부끝은 제2,3 및 4도에 화살표(A)로 표시된 바와같이 상부 위시본(2)의 축선(X)을 중심으로 횡방향으로 아치형 경로를 그리게 되므로 하부끝은 서스펜션이 상사점이 있을 때 상부 끝에 대하여, 서스펜션이 하사점에 있을 때 하부끝의 위치에 대하여 차량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되어있다.
스트러트(5)가 서스펜션의 상하시점 사이에서의 위시본(2,3)의 진동에 의하여 신축됨에 따라 경로(A)를 거쳐 피벗운동하도록 해주는 본발명의 서스펜션(1)의 특정기하학적 형상은 스트러트(5,6)의 장탈착에 개량을 가져오며, 따라서 스트러트의 피벗 운동이 허용되지 않는 종래의 서스펜션보다 더 안락한 승차를 가능하게 해준다.

Claims (6)

  1. 서로 평행하면서 차량의 길이방향축선에 대해서도 평행한 각각의 축선(X,X1)을 중심으로 차량의 구조체(C)상의 한쪽끝에서 각각 피벗되는 상부 하부위시본(2,3), 다른쪽 끝이 상기 다른쪽 축선(X,X1)에 평행한 각각의 축선(Y,Y1)을 중심으로 위시본(2,3)에 피벗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휠서포트(4), 나머지 다른 상기 축선(X,X1,Y,Y1)에 평행한 각각의 축선(Z,Z1)을 중심으로 그 상부 및 하부끝이 차량이 구조체(C)와 위시본(2,3)중의 한쪽에 각각 피벗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어, 사용중에 위시본(2,3)의 진동에 의하여 신축됨에 따라 그 각각의 축선(Z,Z1)을 중심으로 피벗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탄성 완충수단(5,6)으로 구성되어 있는 독립 휠서스펜션에 있어서, 탄성완충수단(5,6)의 하부끝은 위시본(2)에 단단히 결합되어 아래쪽으로 돌출한 피벗장착부(7)에 의해서 양끝 중간의 상부 위시본(2)에 피벗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수단(5,6)의 하부끝 축선(Z1)이 상부 위시본(2) 끝에 있는 피벗축선(X,Y)을 연결하는 선 아래에서 2개의 위시본(2,3)사이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에의해 탄성 완충수단(5,6)의 하부끝은 상기 수단(5,6)이 피벗되는 동안 상부 위시본(2)의 축선(X)을 중심으로 횡방향 아치형 경로(A)를 그리며, 서스펜션이 사용중에 상사점(제2도)을 향하여 이동할 때 차량 바깥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 휠서스펜션.
  2. 제1항에 있어서, 탄성완충수단(5,6)의 하부끝의 축선(Z1)은 상부 위시본(2)의 축선(X,Y)을 연결하는 선보다 하부 위시본(3)의 축선(X1,Y1)을 연결한 선에 더 인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 휠서스펜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탄성완충수단(5,6)의 하부끝을 위한 피벗 장착부는 상부 위시본(2)과 일체로 되어있는 브래킷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 휠서스펜션.
  4. 제1항 내지 제3항중에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탄성완충수단(5,6)은 쇼크업소버 및 합체된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 휠서스펜션.
  5. 제4항에 있어서, 탄성완충수단은 절첩식 스프링/쇼크업소버 스트러트(5,6)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 휠서스펜션.
  6. 제5항에 있어서, 하부끝이 상부 위시본(2)의 대향측면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한 각각의 피벗장착부 또는 프래킷(7)상에서 공통축선(Z1)을 중심으로 피벗되는 2개의 절첩식 스프링/쇼크업소버 스트러트(5,6)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휠서스펜션.
KR1019950700829A 1993-07-08 1994-07-05 독립 휠서스펜션 KR01571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P4322723.6 1993-07-08
DE4322723A DE4322723C2 (de) 1993-07-08 1993-07-08 Vorrichtung zur strahlrichtungsstabilen Halterung eines zylindrischen Laserrohres
PCT/EP1994/002203 WO1995002265A1 (de) 1993-07-08 1994-07-05 Vorrichtung zur strahlrichtungsstabilen halterung eines zylindrischen laserrohr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703218A KR950703218A (ko) 1995-08-23
KR0157196B1 true KR0157196B1 (ko) 1998-12-01

Family

ID=6492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700829A KR0157196B1 (ko) 1993-07-08 1994-07-05 독립 휠서스펜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617440A (ko)
EP (1) EP0659302B1 (ko)
JP (1) JP2735391B2 (ko)
KR (1) KR0157196B1 (ko)
CN (1) CN1061477C (ko)
CA (1) CA2143953C (ko)
DE (2) DE4322723C2 (ko)
WO (1) WO19950022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36566B2 (ja) * 1995-12-08 1998-12-14 日本電気株式会社 波長安定化狭帯域エキシマレーザ装置
EP0857989A3 (en) * 1997-02-11 1999-04-21 Trw Inc. Mounting platform for optical system
JP2003142758A (ja) * 2001-11-01 2003-05-16 Komatsu Ltd フッ素分子レーザ装置
DE10208585B4 (de) * 2002-02-22 2004-03-25 Trumpf Laser Gmbh + Co. Kg Pumplichtquelle für laseraktive Medien und Verfahren zu ihrem Betreiben
US7164703B2 (en) * 2003-02-20 2007-01-16 Lambda Physik Ag Temperature control systems for excimer lasers
CH697822B1 (de) * 2005-10-14 2009-02-27 Leica Geosystems Ag Verfahren zur Frequenzstabilisierung eines Gaslasers und frequenzstabilisierter Glaslaser.
JP4406935B2 (ja) * 2006-03-03 2010-02-03 サンケン電気株式会社 放電管用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付き放電管
JP5349757B2 (ja) * 2007-01-22 2013-11-20 株式会社メガオプト 固体レーザー発振装置
DE102014006305B4 (de) 2014-04-30 2017-11-23 Attocube Systems Ag Optisches Längenmesssystem mit einem interferometrischen Wegsensor zur Integration in Werkzeugmaschinen und Halbleiter-Lithografiesystemen
CN109378683A (zh) * 2018-10-09 2019-02-22 苏州紫光伟业激光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的气体激光器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216143A (en) * 1967-12-18 1970-12-16 Ceskoslovenska Akademie Ved Method of and device for stabilization of the modulation of a particularly coherent radiation
US3619809A (en) * 1970-07-13 1971-11-09 Hughes Aircraft Co Sealing arrangement for laser cooling system
DE2039947C3 (de) * 1970-08-11 1980-04-17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uenchen Gaslaser
US3763442A (en) * 1972-07-07 1973-10-02 American Laser Corp Ion laser plasma tube cooling device and method
USRE31279E (en) * 1972-09-26 1983-06-14 Laser optical resonator
NL7708349A (nl) * 1977-07-28 1979-01-30 Philips Nv Gasontladingslaserinrichting.
US4318056A (en) * 1978-08-17 1982-03-02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Energy Excimer laser with fluoropolymer lining
US4601038A (en) * 1982-01-18 1986-07-15 Gte Government Systems Corporation Conduction cooled solid state laser
US4625317A (en) * 1984-04-12 1986-11-25 Cyonics, Ltd. Internal mirror laser
US4637028A (en) * 1984-08-02 1987-01-13 Hughes Aircraft Company Conductively cooled laser rod
US4671624A (en) * 1985-03-25 1987-06-09 Hughes Aircraft Company Variable lens and birefringence compensator for continuous operation
US4953172A (en) * 1986-12-22 1990-08-28 Thomas R. Gurski Gas Laser
IT1205762B (it) * 1987-03-20 1989-03-31 Enea Cavita' per laser fir (far infrared radiation) pompati otticamente con tubo portante
EP0316664B1 (fr) * 1987-11-17 1992-04-08 Lasag Ag Laser à corps solide
CH673177A5 (ko) * 1987-11-17 1990-02-15 Lasag Ag
US4858244A (en) * 1988-03-24 1989-08-15 Scot, Incorporated Mechanically actuated laser initiator
JPH02310978A (ja) * 1989-05-25 1990-12-26 Hitachi Ltd 金属蒸気レーザ装置
DE4119027A1 (de) * 1991-06-10 1992-12-17 Reinhardt Thyzel Fluidgekuehltes laserrohr fuer einen gaslaser
US5353293A (en) * 1993-04-27 1994-10-04 Spectra-Physics Lasers, Inc. Hybrid cooled ion las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703218A (ko) 1995-08-23
DE59401043D1 (de) 1996-12-19
JP2735391B2 (ja) 1998-04-02
CN1061477C (zh) 2001-01-31
WO1995002265A1 (de) 1995-01-19
US5617440A (en) 1997-04-01
JPH08505012A (ja) 1996-05-28
EP0659302B1 (de) 1996-11-13
CA2143953C (en) 2004-09-07
CA2143953A1 (en) 1995-01-19
CN1112383A (zh) 1995-11-22
DE4322723A1 (de) 1995-01-12
DE4322723C2 (de) 1995-05-18
EP0659302A1 (de) 1995-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85902B1 (en) Strut suspension with pivoting rocker arm
US5133573A (en) Strut mounting structure for a vehicle and method of assembly
JPH0342322A (ja) 自動車の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0157196B1 (ko) 독립 휠서스펜션
US6161853A (en) Suspension system for vehicles
KR101399335B1 (ko) 커플드 토션 빔 액슬 타입의 리어 현가장치
US5520259A (en) Supporting structure for an operator cabin on construction equipment
JPH04358911A (ja) 車輪独立懸架装置
JPH01289708A (ja) 車両用懸架装置
US5984330A (en) Strut wheel suspension system
JPS58112814A (ja) 車輌サスペンシヨン・システム
JPH0541475B2 (ko)
JPH02120104A (ja)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3551630B2 (ja) 車両用リヤサスペンション
US6431532B1 (en) Variable geometry dampening and trailing arm suspension including same
JPH08500558A (ja) 独立車輪懸架装置
JPH0986128A (ja) リンク
JP3797521B2 (ja) リヤサスペンションの配設構造
JPH07246817A (ja) 車両用懸架装置
JPH02120106A (ja)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H0238120A (ja) 車両懸架装置
KR850001827B1 (ko) 2륜차용 뒷바퀴 현가장치
KR100412863B1 (ko) 차량용 현가장치의 체결구조
JPH02120107A (ja)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H0810011Y2 (ja) ストラット式サスペンショ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3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