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5243B1 - 편향요크장치 및 그것을 사용하는 칼라 음극선관 - Google Patents

편향요크장치 및 그것을 사용하는 칼라 음극선관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5243B1
KR0155243B1 KR1019950012745A KR19950012745A KR0155243B1 KR 0155243 B1 KR0155243 B1 KR 0155243B1 KR 1019950012745 A KR1019950012745 A KR 1019950012745A KR 19950012745 A KR19950012745 A KR 19950012745A KR 0155243 B1 KR0155243 B1 KR 01552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impedance element
correction
pair
def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2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4384A (ko
Inventor
고지 후꾸마
노부따까 오꾸야마
쇼이찌 사꾸라이
히로시 요시오까
요시히로 오바라
다까히사 미즈따
Original Assignee
가나이 쯔또무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나이 쯔또무,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나이 쯔또무
Publication of KR950034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43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52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52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01Systems for correcting deviation or convergence of a plurality of beams by means of magnetic fields at least
    • H01J29/702Convergence correction arrangements therefor
    • H01J29/705Dynamic convergence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16Picture reproducers using cathode ray tubes
    • H04N9/29Picture reproducers using cathode ray tubes using demagnetisation or compensation of external magnetic fie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Abstract

여러개의 인라인으로 배열된 여러개의 전자빔을 생성하여 칼라음극 선관에 사용된 편향요크와 이를 사용하는 칼라음극선관에 관한 것으로서, 콤마수차 보정의 선형성을 유지하면서 YH의 잘못된 집중을 보정하고 온도변화로 인한 콤마수차와 YH의 잘못된 집중의 보정량의 변화를 감소시키고, 교차된 수직선형으로 잘못된 집중을 보정하기 위해, 칼라 음극선관의 중심축과 직교하는 수평축과 수직축에 대해 거의 대칭인 사각면의 상부 2개의 코너부에서 한쌍의 자극을 형성하는 상부보정코일, 거의 대칭인 사각면의 하부 2개의 코너부에서 한쌍의 자극을 형성하고, 그 한쪽 끝이 상부보정코일의 한쪽 끝에 접속된 하부보정코일, 적어도 하나의 저항을 갖고, 그 한쪽 끝이 상부보정코일의 다른 한 쪽 끝에 접속된 제1의 임피던스 소자, 적어도 하나의 저항을 갖고, 그 한쪽 끝이 하부보정코일의 다른 한쪽 끝에 접속되고, 제1의 임피던스 소자에 병렬로 접속되는 제2의 임피던스 소자, 동일 방향으로 서로 직렬로 접속되고, 상부와 하부 보정코일의 다른쪽 끝 사이에 접속된 적어도 제1의 한쌍의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다이오드회로 및 한쪽 끝이 제1의 한쌍의 다이오드의 접합점에 접속되고, 다른 한쪽 끝은 수직편 향코일의 한쪽 끝에 접속된 제3의 임피던스 소자를 포함하고, 병렬접속된 제1과 제2의 임피던스 소자는 수직편향코일의 한쪽 끝에 접속되는 편향요크장치를 마련한다.
이것에 의해, YH의 잘못된 집중을 보정하고 콤마수차의 보정량을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편향요크장치 및 그것을 사용하는 칼라 음극선관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편향요크를 구비한 칼라 음극 선관의 주요부분을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제1실시예의 편향요크의 집중정보회로를 도시한 회로도.
제3도는 제1실시예의 편향 요크의 보정코일에 의해 생성된 자계를 설명한 도면.
제4도는 잘못된 집중패턴을 설명한 도면.
제5도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집중보정회로의 제1의 예를 도시한 회로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편향요크의 집중보정회로를 도시한 회로도.
제7도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집중보정회로의 제2의 예를 도시한 회로도.
제8도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집중보정회로의 제3의 예를 도시한 회로도.
제9도는 보정 코일을 통해 흐르는전류의 파형을 도시한 도면.
제10도는 제1∼제3실시예에 사용될 수 있는 집중보정코일의 구조를 도시한 예시도.
제11도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집중보정회로의 제4의 예를 도시한 도면.
제12도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집중보정회로의 제5의 예를 도시한 도면.
제13도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집중보정회로의 제6의 예를 도시한 도면.
제14도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집중보정회로의 제7의 예를 도시한 도면.
제15도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집중보정회로의 제8의 예를 도시한 도면.
제16도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집중보정회로의 제9의 예를 도시한 도면.
제17도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집중보정회로의 제10의 예를 도시한 도면.
제18도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집중보정회로의 제11의 예를 도시한 도면.
제19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편향요크의 집중보정회로를 도시한 회로도.
제20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편향요크의 집중보정회로를 도시한 회로도.
본 발명은 인라인으로 배열된 여러개의 전자빔을 생성하는 칼라음극 선과에 사용된 편향요크와 이를 사용하는 칼라음극선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집중보정장치를 구비한 편향요크와 이를 사용하는 칼라음극 선관에 관한 것이다.
집중보정장치를 갖는 종래의 편향요크의 1예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출원 공개공보 H3-247093호에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편향요크에 있어서, 한조의 다이오드는 역방향으로 상부 보정코일과 하부 보정코일에 각각 접속되고, 제2의 임피던스 소자는 다이오드의 접합과 그와 관련된 각가의 보정코일 사이에 접속된다. 제1의 임피던스 소자를 상술한 회로에 보정코일 사이에 접속된다. 제1의 임피던스 소자를 상술한 회로에 병렬로 접속함으로써, 비선형 콤마수차와 YH의 잘못된 집중이 모두 동시에 보정된다.
그러나, 개시된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 수직 편향의 양이 적고 제1의 임피던스 소자를 통해 흐르는 전류가 작은 동안에 다이오드는 비도통이다. 따라서, 콤마수차 보정의 선형성을 유지하면서 YH의 잘못된 집중을 보정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또, 개시된 기술에 있어서, 다이오드의 순방향 전압의 온도특성으로 인한 온도변화에 따른 콤마수차와 YH 잘못된 집중 양의 변화의 문제점에 대한 배려가 없었다.
또, 개시된 종래의 기술은 교차된 수직선의 형상의 잘못된 집중을 보정할 수 없었다.
또, 개시된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 음극선관 스트린의 상부의 1/2과 하부의 1/2에서 각각 수직선의 잘못된 집중을 조정하는 것은 불가능하였다.
일본국 특허출원 공개공보 H3-82290호와 H4-286841에는 일본국 특허 출원 공개공보 H3-247093에서 개시된 것과 유사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콤마수차 보정의 선형성을 유지하면서 YH의 잘못된 집중을 보정하고, 온도변화로 인한 콤마수차와 YH의 잘못된 집중의 보정량의 변화를 감소시키고, 교차된 수직선의 형상의 잘못된 집중을 보정할 수 있는 편향 요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직선의 잘못된 집중을 스크린의 상부1/2과 하부1/2 각각에 대해 조절할 수 있는 편향요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편향요크장치는 수평편향코일, 수직편향코일 및 코어를 구비한 인라인 다전자빔 칼라음극선관에 사용되며, 칼라음극선관의 중심축과 직교하는 수평축과 수직축에 대해 거의 대칭인 사각면의 상부 2개의 코너부에서 한쌍의 자극을 형성하는 상부 보정코일, 거의 대칭인 사각면의 하부 2개의 코너부에 한쌍의 자극을 형성하고, 그 한쪽 끝이 상부 보정코일의 코너부에 한쌍의 자극을 형성하고, 그 한쪽 끝이 상부 보정코일의 한쪽 끝에 접속된 하부보정코일, 적어도 하나의 저항을 포함하고 그 한쪽 끝이 상부 보정코일의 한쪽 끝에 접속된 제1의 임피던스 소자, 적어도 하나의 저항기를 갖고 그 한쪽 끝이 하부 보정코일의 끝에 접속되고 제1의 임피던스 소자에 병렬로 접속된 제2의 임피던스 소자, 동일 방향으로 서로 직렬로 접속되고 상부와 하부 보정코일의 다른쪽 끝 사이에 접속된 적어도 제1의 한쌍의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다이오드회로, 한쪽 끝이 제1의 한쌍의 다이오드의 접합점에 접속되고 다른 한쪽 끝은 수직편향코일의 한쪽 끝에 접속된 제3의 임피던스 소자를 포함하며, 병렬 접속된 제1과 제2의 임피던스 소자는 수직편향코일의 한쪽 끝에 접속된다.
또, 편향요크장치에 있어서, 편향요크장치의 다이오드회로는 동일방향으로 서로 직렬로 접속되고 제1의 한쌍의 다이오드와 다른 순방향 전압을 갖는 제2의 한쌍의 다이오드를 또 포함하고, 제2의 한쌍의 다이오드는 제1의 한쌍의 다이오드에 병렬로 접속되며, 제3의 임피던스 소자의 한쪽 끝이 제2의 한쌍의 다이오드의 접합점에 접속된다. 편향요크장치에 있어서, 제1과 제2의 임피던스 소자는 부의 온도계수를 갖는다.
편향요크장치에 있어서, 제1과 제2의 임피던스 소자의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서미스터와 저항을 포함한다.
편향요크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서미스터를 갖는 제4의 임피던스 소자를 포함한다. 제4의 임피던스 소자는 한쪽 끝이 수직편향코일의 한쪽 끝에 접속되고, 다른 쪽 끝은 제1과 제2의 임피던스 소자의 다른 쪽 끝에 접속된다.
편향요크장치에 있어서, 전위차계는 상부 및 하부의 보정코일의 다른쪽 끝과 제5의 임피던스 소자 사이에 접속된다. 제5의 임피던스 소자는 한쪽 끝이 제1과 제2의 임피던스 소자의 다른쪽 끝에 접속되고, 다른쪽 끝은 전위차계의 슬라이더에 접속된다.
편향요크장치에 있어서 제6의 임피던스 소자는, 한쪽 끝이 제1과 제2의 임피던스 소자의 다른쪽 끝에 접속되고, 다른 쪽의 끝이 상부와 하부의 보정코일의 한쪽 끝에 접속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있어서, 수평편향코일, 수직편향코일 및 코어를 구비한 인라인 디전자빔 칼라음극선관에 사용되는 편향요크장치는 칼라음극선관의 중심축과 직교하는 수평축과 수직축에 대해 거의 대칭인 사각면의 상부 2개의 코너부에 한쌍의 자극을 형성하는 상부 보정코일, 거의 대칭인 사각면의 하부 2개의 코너부에 한쌍의 자극을 형성하고 그 한쪽 끝이 상부 보정코일의 한쪽 끝이 다른 한 끝에 접속된 하부보정코일, 적어도 하나의 저항을 포함하고 그 한쪽 끝이 상부 보정코일의 한쪽 끝에 접속된 제1의 임피던스 소자, 적어도 하나의 저항을 갖고 그 한쪽 끝이 하부 보정코일의 다른쪽 끝에 접속되고 제1의 임피던스 소자에 병렬로 접속된 제2의 임피던스 소자, 상부와 하부의 보정코일의 다른쪽 끝 사이에 접속된 적어도 한쌍의 전위차계, 전위차계의 하나의 슬라이더와 수직 편향코일의 한쪽 끝에 각각 접속된 음극과 수직편향코일의 한쪽 끝과 다른 전위차계의 슬라이더에 각각 접속된 양극을 갖는 다이오드를 포함하며, 병렬로 접속된 제1과 제2의 임피던스 소자는 수직편향코일의 한쪽 끝에 접속되고, 상부와 하부 보정코일을 통해서 흐르는 전류는 수직과 수평의 편향코일에 의해 형성되고 전류의 가변에 따라 가변되는 자계가 다른 1/2과는 다르게 수직편향 1/2기간에서 조절할 수 있는 4극 자계로 되도록 전위차계의 슬라이더를 조절함으로써 가변으로 된다.
편향요크장치에 있어서, 다이오드회로의 다이오드는 다른 온 전압을 갖고, 상부와 하부 보정코일을 통해 흐르는 전류는 각각 수직편향 기간의 다른 1/2에서 별도로 조절된다.
편향요크장치에 있어서, 편향요크장치는 저항의 부의 온도계수를 갖는 서미스터를 포함하는 제3의 임피던스 소자를 또 구비하고, 제3의 임피던스 소자는 제1과 제2의 임피던스의 다른쪽 끝과 수직편향코일의 한쪽 끝 사이에 접속된다.
편향요크장치에 있어서 제4의 임피던스 소자가 포함된다. 제4의 임피던스 소자는 가변저항기를 포함하고, 상부와 하부의 보정코일의 한쪽 끝과 수직편향코일의 한쪽 끝 사이에 접속된다.
또한, 편향요크장치를 사용하는 인라인 다전자 빔을 생성하는 칼라 음극선관이 마련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에 따른 편향요크를 구비한 칼라 음극선관의 주요부분의 사시도인 제1도에 있어서, 칼라음극선관(1)은 편향요크(2), 수직편향코일(3), 코어(4), 자기부재(5), 보정코일(6), 회로기판의 커버부재(7) 및 세퍼레이터(8)을 구비한다. 편향요크(2) 상의 수직편향요크(3)은 코어(4)가 마련된 바깥 둘레부 상에 안장형으로 형성된다. 또, 도시되지 않은 수평편향코일은 세퍼레이터(8)의 내부 표면 상에 마련된다. 보정코일(6)을 구비한 자기부재(5)는 수직편향코일(3)의 이면부 상에 탑재된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에 따른 수직편향코일(3)측 상의 편향요크장치의 회로구조이고, 제3도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에 따른 편향요크장치의 보정코일(6)의 구조와 보정 자계의 패턴을 도시한 것이다. 제3도에 있어서, 보정코일(6)은 상부 보정코일(6a)와 하부 보정코일(6b)로 구성되고, 자기부재(5)는 통상 U자형의 상부 코어부재(5a)와 통상 역 U자형의 하부 코어부재(5b)를 포함한다. 조립된 상태에서의 상부 코어부재(5a)와 하부 코어부재(5b)의 끝은 대각선의 4개 자극, 한쌍의 상부의 대각선의 극 및 한쌍의 하부 대각선의 극을 형성한다. 상부 보정코일(6a)는 상부 코어부재(5a)에 감겨지고, 하부 보정코일(6b)는 하부 코어부재(5b)에 감겨진다.
제2도에 있어서, 회로구조는 보정회로(30), 상부 보정코일(6a)와 하부 보정코일(6b)로 구성된다. 보정회로(30)은 제1∼제3의 임피던스 소자(9a)∼(9c)와 한쌍의 직렬접속된 다이오드 (10a)와 (10b)를 포함한다. 상부 보정코일 (6a)의 한쪽의 단자는 제1의 임피던스 소자(9a)의 한쪽의 단자와 직렬로 접속되고, 하부 보정코일(6b)의 한쪽의 단자는 제2의 임피던스 소자(9b)의 한쪽의 단자와 직렬로 접속된다. 상부 보정코일(6a)와 하부 보정코일(6b)의 다른 단자가 서로 접속되고, 제1의 임피던스 소자(9a)와 임피던스 소자(9b)의 다른 단자는 서로 접속되어 병렬회로를 형성하고, 수직편향코일(3)에 접속된다. 제1의 임피던스 소자(9a)와 제2의 임피던스 소자(9b)의 한쪽의 단자는 직렬접속된 다이오드(10a)와 (10b)로 구성된 회로를 통해 접속된다. 다이오드(10a)와 (10b) 사이의 접합점은 제3의 임피던스 소자(9c)를 거쳐서 제1의 임피던스 소자(9a)와 제2의 임피던스(9b)의 다른 단자의 접합점에 접속된다.
제9(a)도에 도시한 톱니형의 파형을 갖는 수직편향전류(Iv)가 이 회로 구조 내에 흐를 때, 각각의 상부 보정코일(6a)와 하부 보정 코일(6b)를 통해 흐르는 전류 (Ia)와 (Ib)의 총합은 전류(Iv)와 동일하다. 따라서, 전류(Ia)와 (Ib)의 평균전류는 제3도에 도시된 보정 자계(15a)와(15b)가 형성한 Iv/2이다. 이 보정 자계(15a)와 (15b)는 핀쿠션형의 자계를 형성하므로, 양측의 전자빔(14B)와 (14R)에는 위쪽으로의 약한 힘(16B)와 (16R)이 각각 작용하고, 중심 전자빔(14G)에는 위쪽으로의 강한 힘(16G)가 작용한다. 따라서, 제4(c)도에 도시한 관의 스크린 상부의 콤마수차VCR이 보정될 수 있다. 수직방향의 방향이 아래로 향하는 경우에, 전류흐름방향, 보정 자계의 방향 및 상술한 힘의 방향이 역전되면 스크린의 하부의 콤마수차가 보정될 수 있다. 콤마수차 VCR의 보정량이 수직 편향전류(Iv)에 거의 비례하므로, 수직편향의 량에 따라 그의 비례하므로, 수직편향의 량에 따라 거의 선형으로 된다.
다음에 다이오드(10a)와 (10b)의 존재로 인한 보정코일(6a)와 (6b)의 전류 사이의 전류차(Ia-Ib)의 효과를 설명한다.
제2도에 있어서, 임피던스 소자(9a)와 (9b)의 임피던스가 동일하고, 보정코일(6a)와 (6b)의 임피던스가 또는 동일하다고 가정하고, 수직편향전류(Iv)가 다이오드(10a)와 (10b)를 비도통으로 하기에 충분히 작다고 가정하면, 각각의 보정코일(6a)와 (6b)를 통해 흐르는 전류(Ia)와 (Ib)이 동일하다. 한편, 제2도에 도시한 수직편향전류(Iv)의 방향이 순방향이고, 수직편향전류(Iv)가 큰 부의 값을 가질 때, 다이오드(10a)가 도통으로 되어 전류(Ia)는 전류(Ib)보다 더 크게 된다. 따라서, 그러한 경우에, 전류(Ia)와 (Ib)의 파형은 각각 제9(b)도와 제9(c)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되어 전류 성분 Id = (Ib-Ia) / 2의 파형은 제9(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된다. 전류 성분 (Id)는 (Ia)와 (Ib)의 총합과 그들의 평균전류 I/2사이의 차이에 대응하고, 보정 자계(15c)와 (15d)를 형성해서 제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4개의 극을 갖는 자계 패턴이 얻어진다. 보정 자계(15c)와 (15d)에 의해 양측의 전자빔(14B)와 (14R)에 작용하는 힘(16B)와 (16R)이 생성된다. 그결과, 제4(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가의 전자빔(14B)와 (14R)에 의해 설명되는 수직선(18B)와 (18R)이 굽어지는 YH의 잘못된 집중을 보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보정코일(6a)와 (6b)를 통해 흐르는 보정전류(Ia)와 (Ib)의 평균인 전류 성분 Iv/2에 의해 콤마수차를 보정할 수 있고, 동시에 전류성분 (Id)에 의해 YH의 잘못된 집중을 보정할 수 있다.
제5도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의 집중보정회로의 구체예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이 예에 있어서, 제2도에 도시된 제1의 임피던스 소자(9a)는 저항(11b)와 서미스터(12a)를 포함하는 직렬회로와 이 직렬회로에 병렬로 접속된 저항(11a)로 구성된다. 또, 제2도에서의 제2의 임피던스 소자(9b)는 저항(11d)와 서미스터(12b)를 포함하는 직렬회로와 이 직렬회로에 병렬로 접속된 저항(11c)로 구성된다. 제2도에서의 제3의 임피던스 소자(9c)는 가변 저항기(13)과 저항(11e)를 포함하는 직렬회로로 구성된다. 제5도에서의 예의 회로구조는 제2도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다.
이 예어서, 전류 성분 Id의 진폭은 가변저항기(13)의 조절에 의해 가변되므로, YH의 잘롯된 집중의 보정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 각각의 제1과 제2의 임피던스 소자(9a)와 (9b)로써 서미스터(12a)와 (12b)를 포함하는 회로를 사용하므로, 임피던스 소자(9a)와 (9b)의 저항값은 음의 온도계수를 갖고, 다이오드(10a)와 (10b) 의 순방향전압이 온도 변화에 따라 변화하여도 다이오드(10a)와 (10b)에 걸리는 전압이 거의 전압변화에 따라 변화하므로, 다이오드(10a)와 (10b)를 통해 흐르는 전류를 온도변화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YH 의 잘못된 집중을 보정할 수 있다.
제6도에는 제2의 실시예에 따른 편향요크의 회로구조를 도시한다. 제6도에 있어서, 제2도와 동일한 회로소자는 각각 동일한 참조부호에 의해 표시된다. 이 실시예는 제5도에 도시된 실시예에 비해 제1과 제2의 임피던스 소자(9a)와 (9b)의 다른쪽 끝과 수직편향코일(3)의 한쪽 끝 사이에 접속된 제4의 임피던스 소자(9d)에 특징이 있다. 또, 전위차계(13a)는 상부 보정코일(6a)와 하부 보정코일(6b)의 다른쪽 끝 사이에 접속되고, 전위차계(13a)의 슬라이더는 제5의 임피던스 소자(9e)를 통해 제1과 제2의 임피던스 소자(9a)와 (9b)의 다른쪽 끝에 접속된다.
제1, 제2 및 제4의 임피던스 소자(9a), (9b) 및 (9d)는 다이오드(10a)와 (10b)에 걸리는 전압을 분압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각각의 제1과 제2의 임피던스 소자(9a)와 (9b)에 걸리는 전압은 다이오드(10a)와 (10b)에 걸리는 전압보다 작다.
전위차계(13a)와 제5의 임피던스 소자(9e)는 각각의 보정코일(6a)와 (6b)를 통해 흐르는 전류 성분 (Ia) 와 (Ib)를 생성하는 기능을 하고, 그 중 하나는 수직 편향전류Iv의 흐르는 방향과 상관없이 다른 하나보다 항상 크다. 예를 들면, 전위차계(13a)의 슬라이더가 하부보정코일(6b)의 다른 한쪽 끝으로 이동할 때, 전류(Ib)는 전류(Ia)보다 크게 된다. 전자빔의 위쪽으로의 편향 때문에, 제3(b)도에 도시된 보정자계(15c)와 (15d)는 상부와 하부의 보정코일의 불균형 전류에 의해 생성되고 반대 측에 위치한 전자빔(14B)와 (14R)은 두꺼운 화살표로 도시된 방향으로 힘(16B)와 (16R)을 생성한다. 한편, 전자빔의 아래쪽으로의 편향 시, 전자빔(14B)와 (14R)은 전류(Ia)와 (Ia)보다 작은 전류(Ib)에 의해 반대 방향으로 힘을 생성한다. 따라서, 제4(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빔(14B)와 (14R)에 의해 스크린(17)상의 수직선(18B)와 (18R)이 교차된 잘못된 집중을 보정할 수 있다. 전위차계(13a)의 슬라이더가 상부 보정코일(6a)의 다른쪽 끝으로 이동할 때, 역방향에서의 잘못된 집중을 보정할 수 있다.
제7도는 본 발명의 편향요크장치의 회로도의 구체예를 도시한 것으로써, 제2도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회로소자는 각각 동일 참조부호로 표시된다. 제7도에 있어서, 저항(11a), (11b) 및 (11f)는 각각 제1, 제2 및 제5의 임피던스 소자로 사용되고, 전위차계(13a)와 저항(11e)의 직렬회로는 제3의 임피던스 소자로 사용된다. 또, 저항(11d) 와 서미스터(12)의 직렬회로와 저항(11c)의 병렬회로는 제4의 임피던스 소자로 사용된다.
이 회로에서 다이오드(10a)와 (10b)의 온도특성을 보정하는 하나의 서미스터(12)를 사용할 수 있다. 즉, 저항(11c), (11d) 및 서미스터(12)를 포함하는 회로는 다이오드의 온도특성을 보정해야 하는 온도변화에 따라 전압변화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저항(11f) 와 전위계차(13b)를 통해 흐르는 전류는 각각의 저항(11a)와 (11b)에 걸리는 전압에 의존하고, 저항(11c)와 (11d) 및 서미스터(12)로 구성되는 회로에 걸리는 전압에 의해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보정량도 온도변화에 의해 거의 영향을 받지 않으며, 전자빔(14B)와 (14R)에 의해 스크린(17) 상에 묘사된 수직선(18B)와 (18R)이 교차하는 형태로 잘못된 집중을 보정할 수 있다.
제8도는 본 발명의 편향요크장치의 회로도의 다른 구체예를 도시한 것으로써, 제7도에 도시한 것과 동일한 회로 소자는 각각 동일한 참조 부호로 표시된다. 제8도에 도시된 회로에서 다이오드(10a), (10b) 및 저항(11f)로 구성된 회로와 동일한 방법으로 접속된 다이오드(10c), (10d) 및 저항(11g)가 사용된다. 그러나, 이런한 경우에, 다이오드(10c)와 (10d)는 각각의 다이오드(10a)와 (10b)보다 높은 순방향전압을 갖는다. 낮은 순방향전압을 갖는 다이오드의 1예는 쇼트키 다이오드이다. 전위차계(13a)에 부가하여 각각의 저항(11f)와 (11g)와 직렬로 가변저항기를 마련할 수 있다.
제9(e)도, 제9(f)도 및 제9(g)도는 보정코일(6a)와 (6b)를 통해 흐르는 전류 (Ia), (Ib)와 (Ia-Ib)/2에 대응하는 전류 성분(Id)의 파형을 도시한다.
수직편향전류(Iv)가 클 때, 다이오드(10a)와 (10b) 중 어느 하나와 다이오드(10c)와 (10d) 중 어느 하나가 도통되어 전류 성분(Iv)는 크게 된다. 한편, 수직편향전류 Iv가 작을 때, 다이오드(10a)와 (10b) 중 어느 하나는 비도통되어 전류 성분(Iv)는 비교적 작게 된다. 또, 수직편향전류 Iv가 상당히 작을 때, 모든 다이오드가 비도통으로 되어 전류 성분(Iv)는 0이 된다. 따라서, 전류 성분(Id)는 거의 파라볼릭 파형이 되고, 그것에 의해 제3(b)도에 도시된 4극 자계가 형성되고, 그것으로 더 미세하게 YH의 잘못된 집중을 보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구체예에 있어서, 저항(11h)와 가변저항기(13c)의 직렬회로는 제1의 임피던스로써 상부 보정코일(6a)와 저항(11a)의 직렬회로에 병렬로 접속된다. 수직편향전류 Iv의 일부가 저항(11h)과 가변저항기(13c)를 통해 흐르므로, 상부와 하부 보정코일(6a)와 (6b)를 통해 흐르는 전류(Ia)와 (Ib)의 평균값은 1v/2보다 작게 된다. 따라서, 전류(Ia)와 (Ib)의 평균전류의 효과에 의해 생성된 제3(a)도에 도시된 보정자계(15a)와 (15b)의 강도가 감쇠되어 콤마수차의 보정량도 감소된다. 따라서, 가변저항기(13c)의 값을 변화시킴으로써 콤마수차의 보정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 이 예에서, 상부 보정코일(6a)에 의해 생성된 거의 유사한 자계를 생성하는 보정코일(6c)와 하부 보정코일(6d)에 의해 생성된 거의 유사한 자계를 생성하는 보정코일(6d)는 수직편향코일(3)과 직렬로 접속된다.
제10(a)도와 제(10b)도는 자기부재(5a)와 (5b)에 감겨진 보정코일(6a), (6b), (6c) 및 (6d)의 물리적인 예를 도시한다. 제10(a)도에 있어서, 보정코일(6a)와 (6b)는 각각 자기부재(5a)와 (5b)의 중심부에 감겨지고, 보정코일(6a)와 (6d)는 각각의 자기부재(5a)와 (5b)의 중심부에 감겨지고, 보정코일(6c)와 (6d)는 각각의 자기부재(5a)와 (5b)의 다리 부분에 감겨진 직렬접속된 코일 쌍으로 구성된다. 제10(b)도에 있어서, 보정코일(6a)와 (6c)는 자기부재(5a)의 중심부에 감겨지고, 보정코일(6b)와 (6d)는 자기부재(5b)의 중심부에 감겨진다.
보정코일(6c)와 (6d)로 콤마수차가 어느정도는 보정될 수 있으므로, 보정코일(6a)와 (6b)의 각각의 권수를 줄이고, 이들 코일의 인덕턴스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보정코일(6a)와 (6b)의 인덕턴스로 인한, 스트린의 상부 끝에서의 여러 가지 보정의 이상을 경감할 수 있다.
제10(c)도와 제10(d)는 보정코일(6a), (6b) 및 (6e)의 다른 물리적인 예를 도시한다. 제10(c)에 있어서, 한쌍의 자기부재(5c)와 (5d)는 통상 E 구조를 갖고, 보정코일 (6a)와 (6b)는 각각의 자기부재(5c)와 (5d)의 상부와 하부의 다리부분에 감겨진 직렬접속된 코일 쌍으로 구성된다. 보정코일 (6e)는 자기부재(5c)와 (5d)의 가운데 다리에 감겨진 직렬접속된 한쌍의 코일로 구성된다. 제10(d)도에 있어서, 동일 각으로 배치된 8개의 내부 돌출부를 갖는 링형 자기부재(5e)가 마련된다. 보정코일(6a)는 2개의 내부 돌출부에 감겨지고 사이가 비어있는 중간 돌출부와 함께 직렬접속된 한쌍의 코일로 구성되고, 보정코일(6b)는 보정코일(6a)를 갖는 2개의 돌출부에 대향하는 2개의 내부 돌출부에 감겨지고 직렬접속된 한쌍의 코일로 구성된다. 보정코일(6e)는 보정코일(6a)와 (6b)를 갖는 돌출부 사이의 대향하는 2개의 돌출부에 감겨지고 직렬접속된 한쌍의 코일로 구성된다. 10(c)도와 제10(d)도에 있어서, 화살표는 코일 (6a), (6b) 및 (6e)에 의해 각각 생성될 보정자계(15a), (15b) 및 (15e)를 나타낸다.
이들 보정코일(6a)와 (6b)는 콤마수차와 YH의 잘못된 집붕을 보정하도록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접속된다. 보정코일(6e)는 수직편향코일(3)과 직렬로 접속되어도 좋다.
제11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써, 이것에 의해 스크린 상부의 수직선의 잘못된 집중은 스크린의 하부의 것과는 무관하게 조절될 수 있다. 제11도에 있어서, 제1의 임피던스 소자는 저항(20a)를 포함하고, 제2의 임피던스 소자는 저항(20b)를 포함한다. 전위차계(21a)와 (21b)의 병렬회로는 상부와 하부 보정코일(6a)와 (6b)의 다른쪽 끝 사이에 접속되고, 한쌍의 다이오드(22a)와 (22b)는 수직편향코일(3)과 전위차계(21a)와 (21b)의 한쪽 끝 사이에 역방향으로 각각 접속된다. 수직편향전류(Iv)가 수직편향기간의 전반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흐른다고 가정하면, 전류(Iv)는 저항(20a)와 (20b)에 의해 분기되고, 전류(Ia)와 (Ib)로서 보정코일(6a)와 (6b)를 통해 흐른다. 이러한 경우에, 다이오드(22a)는 저항(20a)와 (20b)에 의해 생성된 전압에 의해 도통으로 된다. 따라서, 전위계차(21a)를 조절함으로써 수직편향의 1/2기간의 전류(Ia)와 (Ib)의 비율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제3(b)도에 도시된 보정 자기영역의 편차 (15a)와 (15b)를 생성할 수 있고, 이것으로 제4(a)도에 도시된 스크린(17)의 상부 1/2의 수직선(18R)과 (18B)의 이탈량YH가 보정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수직편향 기간의 후반에서 전류 Iv는 역방향으로 흐르고, 다이오드(22)는 도통된다. 따라서, 전위차계(21b)를 조절함으로써 수직편향의 후반기간의 전류(Ia)와 (Ib)의 비율이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제3(b)도에 도시된 보정자계의 편차 (15a)와 (15b)를 생성할 수 있고, 그것으로 제4(a)도에 도시된 스크린(17)의 하반의 수직선(18R)과 (18B)의 이탈량YH가 보정될 수 있다. 제12도는 제11도에서의 전위차계 (21a)와 (21b)이 직렬로 접속되지 않고 저항(20a)와 (20b) 각각에 병렬로 접속된 실시예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이 예의 동작은 제11도에 도시된 회로와 마찬가지이다.
제13도는 실시예의 다른 예를 도시한 것으로써, 2쌍의 전위차계(21a), (21d), (21e) 및 (21f) 각각의 저항(20c), (20d), (20e) 및 (20f)에 직렬로 접속된 2쌍의 다이오드(22c), (22d), (22e) 및 (22f)가 전위차계(21a), (21b)와 다이오드(22a), (22b)대신에 사용된 것을 제외하고 제11도에 도시된 것과 마찬가지이다. 이 경우에, 다이오드(22c)와 (22e) 각각의 온 전압은 비교적 낮고, 다이오드(22d)와 (22f) 각각의 온 전압은 비교적 높다. 동작시, 다이오드(22c)와 (22d)는 수직편향기간의 처음 1/2 기간 동안 도통으로 된다. 다이오드(22c)의 온 전압이 낮으므로, 스크린의 상반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도통되고, 다이오드(22)의 전압은 높으므로 스크린의 상부 에지부분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도통된다. 따라서, 전위차계(21c)를 조절함으로써 스크린의 중심부의 YH를 보정할 수 있고, 전위차계(21d)를 조절함으로써 스크린의 상부 에지부 부근의 YH를 보정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다이오드(22e)와 (22f)는 수직편향주기의 다음 1/2 기간 동안 도통으로 된다. 다이오드(22e)의 온 전압이 낮기 때문에 스크린의 상반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도통되고, 다이오드(22f)의 전압이 높기 때문에 스크린의 하부 에지부분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도통된다. 따라서, 전위차계(21e)를 조절함으로써 스크린의 중심부의 YH를 보정할 수 있고, 전위차계(21f)를 조절함으로써 스크린의 하부 에지부분의 부근의 YH를 보정할 수 있다. 다른 온 전압을 갖는 2종류의 다이오드를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에 의해 고정밀도 YH를 보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직렬 저항(20c), (20d) 및 (20f)는 흐르는 전류를 제한하는 기능을 한다.
제14도는 제13도의 전위차계(21c)와 (21d)가 하나의 전위차계(21a)로 대체되고, 전위차계(21e)와 (21f)가 하나의 전위차계(21b)로 대체되며, 낮은 온 전압을 갖는 각각의 다이오드(22c)와 (22e)에 직렬로 접속된 저항(20c)와 (20e)가 하나의 저항(20c)로 대체되고, 높은 온 전압을 갖는 각각의 다이오드(22d)와 (22f)에 직렬로 접속된 저항 (20d)와 (20f)가 하나의 저항(20d)로 대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예의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13도에 도시된 회로와 비교하여 더 보다 적은 수의 회로소자를 필요로 하는 이 예의 동작은 제13도에 도시된 회로와 유사하다.
제15도는 회로의 온도 드리프트에 동반되는 부의 온도계수를 갖는 저항(20h)와 서미스터(23)의 직렬회로와 저항(20g)의 병렬회로를 포함한 것으로써 제14도에 도시된 회로를 변경한 실시예의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다. 병렬회로는 수직편향회로(3)의 한쪽의 끝과 제14도의 저항(20a)의 다른쪽 끝 사이에 접속되고, 제14도의 저항(20c)와 (20d)는 회로(3)의 한쪽의 끝에 접속된다. 통상, 온도가 증가할 때, 다이오드(22c), (22d), (22e) 및 (22f)의 온 전압은 낮게 되어 YH 보정량의 편차의 문제가 발생한다. 이 예에 있어서, 이 문제는 온 전압을 생성하는 저항(20g)와 서미스터(23)과 저항기 (20h)의 직렬회로의 병렬회로에 의해 해결된다. 즉, 주위 온도가 증가할 때, 서미스터(23)의 저항값이 더 작게 되고, 서미스터(23)과 저항(20h)와 (20g)를 포함하는 병렬회로의 조합된 저항값이 더 작아져서 다이오드의 온 전압이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온도 드리프트의 문제가 해결된다. 서미스터(23)이 제11도∼제14도의 저항(20a)와 (20b) 각각에 직렬로 접속되어도 좋다.
제16도는 실시예의 다른 예를 도시한 것으로써, 제12도와 제15도에 도시된 회로의 조합을 도시한다. 이 예의 효과는 제12도와 제15도에 도시된 회로의 조합이다.
제17도는 실시예의 다른 예를 도시한 것으로써, 제15도에 도시된 회로의 변형이고, 저항(20i)와 전위차계(21c)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위차계(21c)의 슬라이더에 접속된 다이오드가 없으므로, 수직편향기간의 전후반을 동시에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여 제3(b)도에 도시된 교차하는 YH를 보정할 수 있다. 저항(20i)와 전위차계(21c)를 제12도와 제15도에 도시된 각각의 회로에 부가함으로써 제3(b)도의 교차하는 YH도 마찬가지로 보정할 수 있다.
제18도는 실시예의 다른 예를 도시한 것으로써, 제16도와 제17도에 도시된 회로의 조합이고, 수직편향회로(3)의 한쪽의 끝과 전위차계(21c)의 슬라이더 사이에 저항(20i)를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회로로 제3(b)도의 교차하는 YH도 보정할 수 있다. 제19도는 실시예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제19도에 있어서, 저항(20j)와 가변저항기(21d)의 직렬회로는 수직편향회로(3)의 한쪽 끝과 상부 및 하부 보정코일(6a)와 (6d)의 한쪽 끝 사이에 접속된다. 이예에서, 수직편향전류(Iv)의 일부가 직렬회로를 통해 흐른다. 가변저항기(21d)를 조절함으로써 전류가 조절될 수 있으므로, 보정코일(6a)와 (6b)를 통해 흐르는 전류가 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제3(a)도의 자계(15a)과 (15b)의 강도도 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가로선(19B)와 (19R) 사이의 차이인 제4(c)도에 도시된 VCR을 조절할 수 있다. 저항(20j)는 보정코일의 한쪽 끝과 보정회로(30)의 임의의 점 사이에 접속되어도 좋다.
제20도는 제19도에 도시된 회로의 변형이다. 이 변형에서, 제19도에 저항(20j)와 가변저항기(21d)를 포함하는 병렬회로는 한쪽 방향의 다이오드(22g)와 가변저항기(21e)의 제1 직류회로, 제1 직류회로에 병렬로 접속된 다른 방향의 다이오드(22h)와 가변저항기(21f)의 제2 직류회로 및 제1과 제2 직류회로의 병렬회로에 병렬로 접속된 저항(20j)를 포함하는 회로에 의해 대체된다. 동작시, 다이오드(22g)는 수직편향기간의 전반 동안 동통되고, 다이오드(22h)는 수직편향기간의 후반 동안 도통된다. 따라서, 수직편향의 전후반 기간에 각각 가변저항기(21e)와 (21f)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제4(c)도에 도시된 상부와 하부 VCR이 각각 조절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콤마수차 보정의 선형성을 유지하면서 YH의 잘못된 집중을 보정하고, 온도편차로 이 보정의 보정량의 편차를 감소시키고, 교차된 수직선의 형에서 잘못된 집중을 보정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스크린의 상부와 하부의 수직선의 잘못된 집중도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서, 조절시간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잔류의 잘못된 집중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 서미스터를 사용해서 온도 드리프트를 제거할 수 있다.

Claims (13)

  1. 수평편향코일, 수직편향코일 및 코어를 구비하는 인라인 다전자 빔 칼라 음극선관에 사용되는 편향요크장치로서, 칼라 음극선관의 중심축과 지교하는 수평축과 수직축에 대해 거의 대칭인 사각면의 상부 2개의 코너부에서 한쌍의 자극을 형성하는 상부 보정코일, 거의 대칭인 사각면의 하부 2개의 코너부에서 한쌍의 자극을 형성하고, 그 한쪽 끝이 상기 상부보정코일의 한쪽 끝에 접속된 하부보정코일, 적어도 하나의 저항을 갖고, 그 한쪽 끝이 상기상부보정코일의 다른 한쪽 끝에 접속된 제1의 임피던스 소자, 적어도 하나의 저항을 갖고, 그 한쪽 끝이 하부보정코일의 다른 한쪽 끝에 접속되고 , 상기 제1의 임피던스 소자에 병렬로 접속되는 제2의 임피던스 소자, 동일 방향으로 서로 직렬로 접속되고, 상기 상부와 하부 보정코일의 다른쪽 끝 사이에 접속된 적어도 제1의 한쌍의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다이오드회로 및 한쪽 끝이 제1의 한쌍의 다이오드의 접합점에 접속되고, 다른 한쪽 끝은 상기 수직편향코일의 상기 한쪽 끝에 접속된 제3의 임피던스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병렬접속된 제1과 제2의 임피던스 소자는 수직편향코일의 한쪽 끝에 접속되는 편향요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오드회로는 동일 방향으로 서로 직렬로 접속되고 상기 제1의 한쌍의 다이오드와 다른 순방향전압을 갖는 제2의 한쌍의 다이오드를 또 포함하고, 상기 제2의 한쌍의 다이오드는 상기 제1의 한쌍의 다이오드에 병렬로 접속되며, 상기 제3의 임피던스 소자의 상기 한쪽 끝이 상기 제2의 한쌍의 다이오드의 접합점에 접속되는 편향요크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과 제2의 임피던스 소자는 부의 온도계수를 갖는 편향요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과 제2의 임피던스 소자의 각각이 적어도 하나의 서미스터와 저항을 포함하는 편향요크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서미스터를 갖는 제4의 임피던스 소자를 또 포함하고, 상기 제4의 임피던스 소자는 한쪽 끝이 상기 수직편향코일의 상기 한쪽 끝에 접속되고, 다른 쪽의 상기 제1과 제2의 임피던스 소자의 다른쪽 끝에 접속되는 편향요크장치.
  6. 제1항∼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와 하부 보정코일의 다른쪽 끝과 제5의 임피던스 소자 사이에 접속된 전위차계를 또 포함하고, 상기 제5의 임피던스 소자는 한쪽의 끝이 상기 제1과 제2의 임피던스 소자의 다른쪽 끝에 접속되고, 다른쪽 끝은 상기 전위차계의 슬라이더에 접속된 편향요크장치.
  7. 제1항∼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한쪽 끝이 상기 제1과 제2의 임피던스소자의 다른쪽 끝에 접속되고, 다른쪽 끝이 상기 상부와 하부 보정코일의 한쪽 끝에 접속된 제6의 임피던스 소자를 포함하는 편향요크장치.
  8. 인라인 다전자빔을 형성하고, 특허청구범위 제1항∼제7항 중의 어느 한 향의 편향요크장치를 포함하여 인라인 다전자빔을 형성하는 칼라 음극선관.
  9. 수평편향코일, 수직편향코일 및 코어를 구비하는 인라인 다전자빔 칼라음극선관에 사용되는 편향요크장치로서, 칼라 음극선관의 중심축과 수직축에 대한 거의 대칭인 사각면의 상부 2개의 코너부에서 한쌍의 자극을 형성하는 상부 보정코일, 거의 대칭인 사각면의 하부 2개의 코너부에서 한쌍의 자극을 형성하고, 그 한쪽 끝이 상기 상부보정코일의 한쪽 끝에 접속된 하부보정코일, 적어도 하나의 저항을 갖고, 그 한쪽 끝이 상기 상부보정코일의 다른쪽 끝에 접속된 제1의 임피던스 소자, 적어도 하나의 저항을 갖고, 그 한쪽 끝이 상기 하부보정코일의 다른쪽 끝에 접속되고, 상기 제1의 임피던스 소자에 병렬로 접속되는 제2의 임피던스 소자, 상기 상부와 하부 보정코일의 상기 다른 한쪽 끝 사이에 접속된 적어도 한쌍의 전위차계 및 상기 전위차계의 하나의 슬라이더와 상기 수직편향코일의 한쪽 끝에 각각 접속된 음극과 상기 수직편향코일의 상기 한쪽 끝과 다른 전위차계의 슬라이더에 각각 접속된 양극을 갖는 적어도 한쌍의 다이오드를 구비하는 다이오드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병렬접속된 제1과 제2의 임피던스 소자는 수직편향코일의 한쪽 끝에 접속되고, 상기 상부와 하부 보정코일을 통해 흐르는 전류는 상기 전위차계의 상기 슬라이더를 조절함으로써 가변되고, 수직과 수평 편향코일에 의해 형성되고 전류의 가변에 따라 가변되는 자계가 수직편향의 다른 1/2기간과 다르게 수직편향의 1/2기간에서 조절할 수 있는 4극 자계로 되는 편향요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오드회로의 상기 다이오드는 다른 온 전압을 갖고, 상기 상부와 하부 보정코일을 통해 흐르는 전류는 수직편향기간의 다른 1/2기간에서 별도로 조절되는 편향요크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저항의 부의 온도계수를 갖는 서미스터를 구비하는 제3의 임피던스 소자를 또 포함하고, 상기 제3의 임피던스 소자는 상기 제1과 제2의 임피던스의 상기 다른쪽 끝과 상기 수직편향코일의 한쪽 끝 사이에 접속되는 편향요크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가변저항기를 갖고, 상기 상부와 하부 보정코일의 한쪽 끝과 상기 수직편향코일의 상기 한쪽 끝 사이에 접속된 제4의 임피던스 소자를 더 포함하는 편향요크장치.
  13. 특허청구범위 제9항∼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편향요크장치를 포함하며 인라인 다전자빔을 형성하는 칼라 음극선관.
KR1019950012745A 1994-05-23 1995-05-22 편향요크장치 및 그것을 사용하는 칼라 음극선관 KR01552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108121A JPH07322276A (ja) 1994-05-23 1994-05-23 偏向ヨーク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カラー陰極線管装置
JP94-108121 1994-05-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4384A KR950034384A (ko) 1995-12-28
KR0155243B1 true KR0155243B1 (ko) 1998-10-15

Family

ID=14476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2745A KR0155243B1 (ko) 1994-05-23 1995-05-22 편향요크장치 및 그것을 사용하는 칼라 음극선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523658A (ko)
JP (1) JPH07322276A (ko)
KR (1) KR0155243B1 (ko)
TW (1) TW27230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89963B2 (ja) * 1997-04-25 2004-01-2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カラー受像管装置
TW385473B (en) * 1997-10-16 2000-03-21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Picture display device with picture balance correction system
KR100284483B1 (ko) * 1997-12-17 2001-03-15 이형도 편향 요크의 미스컨버전스 및 기하학적 왜곡 보정 장칙
JP3786387B2 (ja) * 1997-12-25 2006-06-1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垂直偏向回路
JP3541672B2 (ja) * 1998-04-21 2004-07-1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垂直偏向回路、カラー受像管装置
US6958573B1 (en) * 1999-12-03 2005-10-25 Thomson Licensing S.A. Asymmetric shunt for deflection yoke for reducing diagonal symmetric defects
JP2001312980A (ja) * 2000-04-28 2001-11-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陰極線管装置
EP1286380A4 (en) * 2001-01-29 2006-06-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DEVIATION COIL DEVICE
WO2008116190A2 (en) * 2007-03-21 2008-09-25 Advanced Ion Beam Technology, Inc. Beam control assembly for ribbon beam of ions for ion implantatio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353004A (en) * 1970-05-18 1974-05-15 Rca Corp Dynamic convergence circuits
JP3041866B2 (ja) * 1990-01-11 2000-05-1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偏向ヨー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7322276A (ja) 1995-12-08
US5523658A (en) 1996-06-04
TW272300B (ko) 1996-03-11
KR950034384A (ko) 1995-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5243B1 (ko) 편향요크장치 및 그것을 사용하는 칼라 음극선관
US4788470A (en) Deflection yoke apparatus with compensation magnetic field generating means
US5548190A (en) Deflection yoke and cathode-ray tube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KR100201761B1 (ko) 편향요우크 및 그것을 구비해서 이루어진 컬러음극선관장치
EP0240139B1 (en) Improved self converging deflection yoke for in-line gun colour crt
US6759815B2 (en) Color picture tube device in which YH misconvergence is corrected
JP3051748B2 (ja) インライン型カラーブラウン管用偏向装置
KR100193576B1 (ko) 편향요크의 직교도 보정회로
JPH03247093A (ja) 偏向ヨーク
JPS6235440A (ja) 偏向ヨ−ク装置
JPH033034Y2 (ko)
JP3263975B2 (ja) ミスコンバーゼンス補正装置、偏向ヨーク及びカラー陰極線管
JP2508686Y2 (ja) コンバ―ジェンス補正回路
JP3049794B2 (ja) コンバージェンス補正装置
KR100342417B1 (ko) 편향 요크의 미스컨버전스 보정장치
JP3025077B2 (ja) 偏向ヨーク、及び該偏向ヨークで構成されるカラー陰極線管装置
JPS63195935A (ja) 偏向装置
JPS6120480A (ja) 偏向ヨ−ク装置
JPH01183042A (ja) インライン型カラー受像管用偏向ヨーク
JPH07222183A (ja) 偏向ヨーク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カラー陰極線管装置
JPH07184220A (ja) コンバーゼンス補正装置
JPH06125474A (ja) 偏向ヨーク及びそれを備えたカラー陰極線管装置
JPH0719547B2 (ja) コンバ−ジエンス補正装置
JPH0641288U (ja) インライン型カラー受像管用偏向装置
JPH06139960A (ja) カラー受像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0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