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4483B1 - 편향 요크의 미스컨버전스 및 기하학적 왜곡 보정 장칙 - Google Patents

편향 요크의 미스컨버전스 및 기하학적 왜곡 보정 장칙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4483B1
KR100284483B1 KR1019980051684A KR19980051684A KR100284483B1 KR 100284483 B1 KR100284483 B1 KR 100284483B1 KR 1019980051684 A KR1019980051684 A KR 1019980051684A KR 19980051684 A KR19980051684 A KR 19980051684A KR 100284483 B1 KR100284483 B1 KR 1002844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apricoils
misconvergence
coil
vertical deflection
com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1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2636A (ko
Inventor
최환석
Original Assignee
이형도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도,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형도
Publication of KR19990062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26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4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44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16Picture reproducers using cathode ray tubes
    • H04N9/28Arrangements for convergence or foc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01Systems for correcting deviation or convergence of a plurality of beams by means of magnetic fields at least
    • H01J29/702Convergence correction arrangements therefor
    • H01J29/705Dynamic convergence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01Systems for correcting deviation or convergence of a plurality of beams by means of magnetic fields at least
    • H01J29/707Arrangements intimately associated with parts of the gun and co-operating with external magnetic excitation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H04N3/22Circuits for controlling dimensions, shape or centering of picture on screen
    • H04N3/23Distortion correction, e.g. for pincushion distortion correction, S-correction
    • H04N3/237Distortion correction, e.g. for pincushion distortion correction, S-correction using passive elements, e.g. di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16Picture reproducers using cathode ray tubes
    • H04N9/28Arrangements for convergence or focusing
    • H04N9/285Arrangements for convergence or focusing using quadrupole len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6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 H04N5/68Circuit details for cathode-ray display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편향요크의 미스컨버전스 및 기하학적 왜곡(G/D) 보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네크부와 스크린부를 가진 원추형의 코일세퍼레이터와; 상기 코일세퍼레이터의 스크린부 외부면의 좌측 및 우측에 설치된 좌측 및 우측 수직편향코일(13a)(13b)과; 상기 코일세퍼레이터의 네크부 외부면의 좌상측, 우상측, 좌하측, 우하측, 좌중측 및 우중측에 E자형 철편(58)을 매개로 각각 권선 설치되어 6극 자계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제 1 내지 제 6 코마프리코일(51-56)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좌측과 우측 수직편향코일(13a)(13b), 및 제1내지 제6코마프리코일(51-56)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좌측 및 우측 수직편향코일(13a)(13b)에 흐르는 상대적 전류량을 제어하여 화면상의 기하학적 왜곡(G/D)을 조정하기 위한 왜곡조정부(40)와; 상기 제5코마프리코일(55) 및 제6코마프리코일(56)에 흐르는 상대적 전류량을 제어하여 화면의 수직미스컨버전스(YV)를 조정하기 위한 제1미스컨버전스 조정부(70); 및 상기 제1과 제2코마프리코일(51)(52)측 및 상기 제3과 제4코마프리코일(53)(54)측에 흐르는 상대적 전류량을 제어하여 화면상의 수평미스컨버전스(YH)를 조정하기 위한 제2미스컨버전스조정부(60)로 구성되어; 상기 왜곡조정부(40)의 제어에 의해 G/D를 조정하고, 상기 제1컨버전스 조정부(70) 및 제2컨버전스조정부(60)의 제어에 의해 미스컨버전스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편향 요크의 미스컨버전스 및 기하학적 왜곡 보정 장치
본 발명은 편향 요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편향 요크의 미스컨버전스 및 기하학적 왜곡 보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편향 요크(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극선관(100)의 네크부(1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코일의 권선 구조에 따라 도 2a 및 도 2b와 같은 세드-세들(Saddle-Saddle)형 편향요크 및 도 3a 및 도 3b와 같은 세들-토로이달(Saddle-Toroidal )형으로 대별된다. 이와 같은 편향 요크는 상기 음극선관(100)의 네크부(110)내에 설치된 BGR전자총(120)에서 발사된 전자빔을 좌,우측 및 상,하측 방향으로 편향시켜 그 음극선관의 형광면 상의 정확한 위치에 충돌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2a 및 도 2b는 종래의 세들-세들형 편향요크를 도시한 것으로,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원추형의 코일 세퍼레이터(Coil Separator)(11)의 스크린부의 내주면 상/하측에 세들형의 수평 편향 코일(12)이 설치되고 외주면의 좌/우측에 세들형의 수직 편향 코일(13)이 설치되며, 상기 수직 편향 코일(13)의 자계를 보강하기 위해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11)의 스크린부의 외주면에 대략 원통형의 페라이트 코어(14)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11)의 네크부 외주연 주변에는 상기 수직 편향 코일(13)에 의해 발생하는 코마(COMA)를 보정하기 위한 코마프리코일들(15)이 설치된다.
도 3a 및 도 3b는 종래 세들-토로이달형 편향요크를 도시한 것으로,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원추형의 코일 세퍼레이터(Coil Separator)(11)의 스크린부의 내주면 상/하측에 수평 편향 코일(12)이 설치되고 외주면에 대략 원통형의 페라이트 코어(14)가 구비되며, 상기 페라이트 코어(14)의 상/하측에는 토로이달형의 수직 편향코일(16)이 권선되어 있다. 또한,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11)의 네크부 외주연 주변에는 상기 수직 편향 코일(16)에 의해 발생하는 코마(COMA)를 보정하기 위한 코마프리코일들(15)이 추가 설치된다. 상기 수직 편향코일(16)은 기구적으로 상기 페라이트코어(14)의 상부 및 하부에 권선되어 있고, 전기적으로는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상측(16a-1), 좌하측(16a-2), 우상측(16b-1), 및 우하측(16b-2)의 순으로 상호 직렬연결되어 있다.
도 2a 및 도 2b와 같은 세들-세들형 편향 요크에 있어서, 상기 좌측 수직편향코일(13a) 및 우측 수직편향코일(13b)의 상대적인 산포 및/또는 상대적인 전류량의 크기에 따라 좌측 및 우측의 자계에 차이가 발생하고, 이로 인해 화면상에 미스컨버전스(Miss-Convergence) 및 기하학적 왜곡(Gemetric Distortion : G/D)이 발생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도 3a 및 도 3b와 같은 세들-토로이달형 편향 요크에 있어서도, X-Y축에 대하여 상좌 및 하좌측에 권선된 수직편향코일(16a) 및 상우 및 하우측에 권선된 수직편향코일(16b)의 상대적인 산포 및/또는 상대적인 전류량의 크기에 따라 좌측 및 우측의 자계에 차이가 발생하고, 이로 인해 화면상에 미스컨버전스(Miss-Convergence) 및 기하학적 왜곡(Gemetric Distortion : G/D)이 발생한다.
상기 미스컨버전스는 YV 미스컨버전스 및 YHC 미스컨버전로 대별되고, 상기 YV 미스컨버전스는 도 4a 및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 Y축의 상부 및 하부에서 적색 R의 횡선이 청색 B의 횡선으로부터 어긋나는 수직 미스컨버전스를 말하며, YHC 미스컨버전스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선 R과 종선 B가 교차되는 수평 미스컨버전스를 말한다. 상기 G/D란 도 6a 및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이 정상이 아니고 찌그러진 상태를 말하는 것으로, 특히 도 6a 및 도 6c는 사다리꼴(Trapezoid) 왜곡을 나타내었다.
도 7은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종래 세들-세들형 편향 요크의 YV 미스컨버전스 보정 회로도로,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수직편향코일(13a)과 우측 수직편향코일(13b)이 상호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되어 있고, 그 좌/우측 수직편향코일(13a)(13b)에 대하여, 2개의 고정 저항(21a, 21b) 및 가변저항(22)으로 구성된 차동형식(差動形式)의 분류회로(分流回路)가 병렬 접속되어 있다.
도 7과 같은 종래 YV 미스컨버전스 보정 회로는, 상기 가변저항(22)의 저항 값을 가변 조정하여 상기 좌측 수직편향코일(13a) 및 우측 수직편향코일(13b)에 각각 흐르는 상대적 전류량의 조절에 의해 자계를 조절함으로써 도 4a 또는 도 4c와 같은 YV 미스컨버전스를 도 4b와 같이 R선과 B선이 일치되도록 조절한다.
또한, 도 8은 도 3a 및 3b에 도시된 종래 세들-토로이달형 편향 요크의 YV 미스컨버전스 보정 회로도로,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좌측 수직편형코일(16a-1), 하좌측 수직편형코일(16a-2), 상우측 수직편향코일(16b-1), 및 하우측 수직편향코일(16b-2)이 순차적으로 직렬 접속되어 있고, 상기 상좌-하좌측에 권선된 수직편향코일(16a) 및 상우-하우측에 권선된 수직편향코일(16b)에 대하여, 2개의 고정 저항(21a, 21b) 및 가변저항(22)으로 구성된 차동형식(差動形式)의 분류회로(分流回路)가 병렬 접속되어 있다.
도 8의 종래 YV 미스컨버전스 보정 회로는, 도 7의 YV 미스컨버전스 보정회로와 동일하게, 상기 가변저항(22)의 저항값을 가변 조정하여 상기 상좌 및 하좌측에 권선된 수직편향코일(16a) 및 상우 및 하우측에 권선된 수직편향코일(16b)에 각각 흐르는 상대적 전류량의 조절에 의해 좌/우측의 상대적 자계를 조절함으로써 도 4a 또는 도 4c와 같은 YV 미스컨버전스를 도 4b와 같이 R선과 B선이 일치되도록 조절한다.
그러나, 세들-세들형 및/또는 세들-토로이달형에 있어서, 상기 가변저항(22)을 이용하여 YV 미스컨버전스를 보정할 때, 좌측에 위치된 수직편향코일(13a 또는 16a) 및 우측에 위치된 수직편향코일(13b 또는 16a)에 각각 흐르는 상대적 전류량의 변화에 의한 좌/우측 자계의 변화에 따라 컨버전스 패턴은 물론 G/D 패턴도 동시에 변하기 때문에, YV 미스컨버전스는 보정되었더라도 새로운 G/D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가변저항(22)을 가변하지 않더라도 일반적으로 편향코일의 권선시 발생할 수 있는 좌측 및 우측 수직편향코일의 산포 차이에 의해서도 G/D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 코일의 권선 불균형 및 기구적인 조립에 의한 산포차에 의해 X-Y축의 1 내지 4 상한에 권선된 코일들이 완전한 대칭 자계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매우 어렵기 때문에, 불균형한 산포에 의해 도 3b와 같이 미스 컨버전스가 완전히 보정되었다 하더라도 도 5a 또는 도 5c와 같은 G/D가 발생할 수 있고, 도 5b와 같이 G/D가 완전히 보정되었다 하더라도 도 3a 또는 도 3c와 같은 미스컨버전스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도 7 및 도 8과 같은 종래의 YV 미스컨버전스 보정회로는 도 3b 및 도 5b와 같이 미스컨버전스와 G/D를 동시에 보정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텔레비전용으로 사용된 종래의 편향 요크는, 동영상 화상을 나타내는 텔레비전 화면의 특성상 G/D가 크게 문제화되지 않았기 때문에, 도 7 및 도 8과 같은 회로를 이용하여 컨버전스를 G/D보다 우선하여 조정하였으나, 근래 퍼스널 컴퓨터의 모니터에서는 정밀한 정지 화상을 구현해야 하므로 더욱 정밀한 컨버전스 특성 및 G/D 특성을 보정할 수 있는 편향 요크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YV 미스컨버전스는 물론 G/D도 함께 정밀하게 보정할 수 있도록 된 편향 요크의 미스컨버전스 및 G/D 보정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코마프리코일의 자계를 조정하여 미스컨버전스를 보정하고, 수직 편향코일의 자계를 조정하여 G/D를 보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대칭자계에 가까운 특성을 구현하도록 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향요크(10)의 스크린부에 설치된 수직 편향 코일의 자계의 세기를 조정하면 Z축상의 편향거리(z1)가 크므로 기하학적 왜곡(G/D) 특성에 크게 영향을 미치게 되고, 전자빔의 궤도가 거의 포물선 함수의 형태이므로 네크부에서 스크린부측으로 전자빔이 진행할수록 편향량이 커지게되어 기하학적 왜곡(G/D) 특성에 크게 영향을 미치게 된다. 또한, 상기 편향요크(10)의 네크부에 설치된 코마프리코일(15)의 자계 세기를 조정하면 그 코마프리코일(15)에 의한 Z축상의 편향거리(z2)가 상기 스크린부에 설치된 수직 편향 코일(13 또는 16)에 의한 편향거리(z1)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매우 작으므로 기하학적 왜곡 특성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게되지만, 상기 코마프리코일(15)이 스크린부에서 먼거리에 있으면서 BGR 전자총(120)과 가깝게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전자빔의 특성상 적은 자계의 변화로도 컨버전스 특성에 크게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편향 요크에 의한 G/D 및 컨버전스 특성 변화에 착안하여, 코마프리코일의 자계를 조정하여 미스컨버전스를 보정하고 수직 편향코일의 자계를 조정하여 G/D를 보전할 수 있는 편향 요크의 미스컨버전스 및 G/D 보정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종래의 음극선관에 편향 요크가 장착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2a는 종래 세들-세들형 편향요크의 종단면도,
도 2b는 도 2a의 횡단면도,
도 3a는 종래 세들-토로이달형 편향요크의 종단면도,
도 3b는 도 3a의 횡단면도,
도 3c는 도 3a 및 도 3b의 수직 편향 코일의 전기적 연결관계를 보인 회로도,
도 4a - 도 4c는 화면상의 YV 미스컨버전스 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화면상의 YHC 미스컨버전스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
도 6a - 도 6c는 화면상의 기하학적 왜곡(G/D) 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종래 세들-세들형 편향 요크의 YV 미스컨버전스 보정 회로도,
도 8은 종래 세들-토로이달형 편향 요크의 YV 미스컨버전스 보정 회로도,
도 9는 편향 요크에 의한 빔 궤도와 편향량과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들-세들형 편향 요크의 미스컨버전스 및 기하학적 왜곡(G/D) 보정 장치의 회로도,
도 11a 및 11b는 본 발명에 따른 코마프리코일의 구성도,
도 12는 수직편향코일의 배럴 자계에 의한 화면의 패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들-토로이달형 편향요크의 미스컨버전스 및 기하학적 왜곡(G/D) 보정 장치의 회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3a : 좌측 수직편향코일 13b : 우측 수직편향코일
16a-1 : 좌상측 수직편향코일 16a-2 : 좌하측 수직편향코일
16b-1 : 우상측 수직편향코일 16b-2 : 우하측 수직편향코일
40 : G/D 조정부 51-56 : 코마프리코일
60 : YH 미스컨버전스 조정부 70 : YV 미스컨버전스 조정부
R1 - R4 : 고정 저항 VR1 - VR3 : 가변 저항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편향 요크의 미스컨버전스 및 G/D 보정 회로는:
네크(Neck)부와 스크린(Screen)부를 가진 원추형의 코일 세퍼레이터(Coil Separator)와;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의 스크린부 내부면의 상측 및 하측에 설치된 상측 수평편향코일 및 하측 수평편향코일과;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의 스크린부 외부면의 좌측 및 우측에 설치된 좌측 수직편향코일 및 우측 수직편향코일과;
상기 수직 편향 코일의 자계를 보강하기 위해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의 스크린부의 외주면에 설치된 대략 원통형의 페라이트 코어와;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의 네크부에 상기 수직 편향코일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설치되어 핀-쿠션(Pin-cushion) 자계를 생성함으로써 상기 좌측 및 우측 수직 편향 코일에 의해 발생되는 배럴(barrel) 자계를 상쇄시키기 위한 코마프리코일들과;
상기 코마프리코일들 중 좌측에 위치된 코마프리코일들 및 우측에 위치된 코마프리코일들에 흐르는 상대적 전류량을 제어하여 좌측 및 우측의 상대적 자계를 조정함으로써 화면상의 수직 미스 컨버전스를 조정하기 위한 제 1 컨버전스 조정부와; 그리고
상기 좌측 및 우측 수직 편향코일에 흐르는 상대적 전류량을 제어하여 좌측 및 우측의 상대적 자계를 조정함으로써 화면상의 기하학적 왜곡을 조정하기 위한 왜곡 조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코마프리코일들은 상부, 중부, 및 하부가 일체로 형성된 한쌍의 철편들이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의 네크부의 외주연 좌/우측에 상호 대향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한쌍의 철편들을 매개로 권선된 좌측의 상,중 및 하부 코마프리코일들 및 우측의 상,중 및 하부 코마프리코일들로 구성된다. 상기 철편은 E자형 철편으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코마프리코일들 중에서 상측에 위치된 코마프리코일들 및 하측에 위치된 코마프리코일들에 흐르는 상대적 전류량을 제어하여 상측 및 하측의 상대적 자계를 조정함으로써 화면상의 수평 미스컨버전스를 조정하기 위한 제 2 컨버전스 조정부를 추가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미스컨버전스 조정부는 좌중측의 코마프리코일 및 우중측의 코마프리코일에 흐르는 상대적 전류량을 조정하여 좌측 및 우측의 자계가 조정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2 미스컨버전스 조정부는 좌/우측의 상부 코마프리코일들 및 좌/우측의 하부 코마프리코일들에 흐르는 상대적 전류량을 조정하여 상측 및 하측의 자계가 조정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편향 요크의 미스컨버전스 및 G/D 보정 회로는:
네크(Neck)부와 스크린(Screen)부를 가진 원추형의 코일 세퍼레이터(Coil Separator)와;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의 스크린부 내부면의 상측 및 하측에 설치되어 상측 및 하측의 편향 자계를 형성하기 위한 상측 수평편향코일 및 하측 수평편향코일과;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의 스크린부의 외주면에 설치된 대략 원통형의 페라이트 코어와;
상기 페라이트코어에 권선되어 좌측 및 우측의 편향 자계를 형성하기 위한 좌측의 상/하 수직편향코일 및 우측의 상/하 수직편향코일과;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의 네크부에 상기 수직 편향코일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설치되어 핀-쿠션(Pin-cushion) 자계를 생성함으로써 상기 수직 편향 코일에 의해 발생되는 배럴(barrel) 자계를 상쇄시키기 위한 코마프리코일들과;
상기 코마프리코일들 중에서 좌측에 위치된 코마프리코일들 및 우측에 위치된 코마프리코일들에 흐르는 상대적 전류량을 제어하여 좌측 및 우측의 상대적 자계를 조정함으로써 화면상의 수직 미스 컨버전스를 조정하기 위한 제 1 컨버전스 조정부와; 그리고
상기 좌측의 상/하 수직편향코일 및 우측의 상/하 수직 편향코일에 흐르는 상대적 전류량을 제어하여 좌측 및 우측의 상대적 자계를 조정함으로써 화면상의 기하학적 왜곡을 조정하기 위한 왜곡 조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코마프리코일들은 상부,중부 및 하부가 일체로 형성된 한쌍의 철편들이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의 네크부의 외주연 좌측 및 우측에 상호 대향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한쌍의 철편들을 매개로 권선된 좌측의 상,중, 및 하부 코마프리코일들 및 우측의 상, 중, 하부 코마프리코일들로 구성된다. 상기 철편은 E자형 철편으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마프리코일들 중에서 상측에 위치된 코마프리코일들 및 하측에 위치된 코마프리코일들에 흐르는 상대적 전류량을 제어하여 상측 및 하측의 상대적 자계를 조정함으로써 화면상의 수평 미스컨버전스를 조정하기 위한 제 2 컨버전스 조정부를 추가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미스컨버전스 조정부는 좌중측의 코마프리코일 및 우중측의 코마프리코일에 흐르는 상대적 전류량을 조정하여 좌측 및 우측의 자계가 조정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2 미스컨버전스 조정부는 좌측 및 우측의 상부에 위치된 코마프리코일들 및 좌측 및 우측의 하부에 위치된 코마프리코일들에 흐르는 상대적 전류량을 조정하여 상측 및 하측의 자계가 조정되도록 구성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편향 요크의 미스컨버전스 및 G/D 보정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들-세들형 편향요크의 미스컨버전스 및 G/D 보정 장치의 회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수직편향코일(13a)과 우측 수직편향코일(13b)이 상호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되어 있고, 이 것들(13a)(13b)은 코일 세퍼레이터의 스크린부 외부면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좌측 수직편향코일(13a) 및 우측 수직편향코일(13b)에 대하여 차동형식의 분류회로부(40)가 병렬접속되어 있다. 상기 차동 형식의 분류회로부(40)는 제 1 고정저항(R1)과 제 1 가변저항(VR1) 및 제 2 고정저항(R1)이 차례로 직렬 접속되고 상기 제 1 가변저항(VR1)의 가동전극단과 상기 제 1 및 제 2 수직 편향코일의 공통 접점이 접속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차동형식의 분류회로부(40)는 상기 좌측 수직편향코일(13a) 및 우측 수직편향코일(13b)에 흐르는 상대적 전류량을 제어하여 화면의 기하학적 왜곡(G/D)을 조정하기 위한 왜곡 조정부(40)이다.
또한, 상기 좌측 및 우측 수직편향코일(13a)(13b)에 대하여 제 1 내지 제 6 코마프리코일들(51-56)이 직렬 연결되어 있다. 상기 코마프리코일들(51-56)은 전기적으로 상호 직렬 접속되어 있음과 동시에,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E자형 철편(58)을 매개로하여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의 네크부 외부면의 좌상측, 우상측, 좌하측, 우하측, 좌중측 및 우중측에 차례로 전기적 연결되도록 권선 설치되어, 코마 수차보정용(收差補正用)의 6극 자계를 얻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직편향코일(13a)(13b)에 의한 자계는 일반적으로 도 2b에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배럴(Barrel) 형상이므로 상측 및 하측 편향시 R빔과 B빔에 비해 자계로부터 멀리 떨어진 G빔의 감도가 낮아지게되고, 이로인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G빔이 R,B빔으로부터 미스컨버전스되는 코마(Coma)가 발생된다. 따라서, G빔의 감도를 높여서 R,B빔과 컨버전스되도록 하기 위해,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코마프리코일들(51-56)을 사용하여 점선의 화살표로 표시된 핀-쿠션(pin-cushion) 자계를 발생함으로써, 상기 수직편향코일(13a)(13b)에 의한 배럴 자계를 상쇄하여 G빔의 감도를 높인다. 상기 코마프리코일들(51-56)은 모두 동일한 방향으로 권선함이 바람직하지만, 상측 코마프리코일들(51)(52) 및 하측 코마프리코일들(53)(54)의 권선 방향은 동일하게하고 중측 코마프리코일들(55)(56)의 권선 방향은 반대로 권선할 수도 있다. 전자(前者)의 권선 방법은 중측 코마프리코일(55 또는 56)의 자계가 강해지면 상측 코마프리코일들(51 또는 52) 및 하측 코마프리코일들(53 또는 54)의 자계를 상쇄하여 상대적으로 약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중측 코마프리코일(55)의 자계를 강화하면 좌상측 및 좌하측 코마프리코일(51)(53)의 자계가 약하되어 상대적으로 우상측 및 우하측(52)(54)의 자계가 강화되는 효과를 얻게된다. 후자(後者)의 권선 방법은 전자의 권선 방법에 의한 자계 형성과 반대가 된다. 참고로, 도 11a는 하측편향시 코마프리코일들의 전류방향 및 자계 방향을 표시한 것이며, 도 11b는 상측편향시 코마프리코일들의 전류방향 및 자계 방향을 표시한 것이다. 즉, 상측 편향시와 하측 편향시의 전류 및 자계 방향은 상호 반대가 된다.
다시 도 10에서, 상기 제 1 내지 제 4 코마프리코일(51-54)에 대하여 YHC 미스컨버전스 조정부(60)가 병렬 접속되어 있다. 상기 YHC 미스 컨버전스 조정부(60)는 상기 제 1과 제 2 코마프리코일(51)(52)측 및 상기 제 3과 제 4 코마프리코일(53)(54)측에 흐르는 상대적 전류량을 제어하여 화면상의 미스컨버전스를 조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 1 내지 제 4 코마프리코일(51-54)에 대하여 병렬 접속된 제 2 가변저항(VR2)과, 상기 제 2 코마프리코일(52)과 제 3 코마프리코일(53)과의 공통 접점 및 상기 제 2 가변저항(VR2)의 가동전극 사이에 접속된 제 3 고정저항(R3)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5 및 제 6 코마프리코일(55)(56)에 대하여 YV 미스 컨버전스 조정부(70)가 병렬 접속되어 있다. 상기 YV 미스 컨버전스 조정부(70)는 상기 제 5 코마프리코일(55) 및 제 6 코마프리코일(56)에 흐르는 상대적 전류량을 제어하여 화면의 수직 미스컨버전스(YV)를 조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 5 및 제 6 코마프리코일(55)(56)에 대하여 병렬 접속된 제 3 가변저항(VR3)과, 상기 제 5 코마프리코일(55)과 제 6 코마프리코일(56)과의 공통 접점 및 상기 제 3 가변저항(VR3)의 가동전극 사이에 접속된 제 4 고정저항(R4)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호 병렬로 접속된 상측 수평편향코일(12a) 및 하측 수평편향코일(12b)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상측 수평편향코일(12a) 및 하측 수평편향코일(12b)의 상대적 자계를 가변하기 위한 밸런스 코일(B/C)이 구비되어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한 각 구성 요소의 상세한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상기 저항 R1과 R2는 약 80-120 Ohm, 상기 저항 R3는 약 2.0-2.4 Ohm, 상기 저항 R4는 약 0.3-0.7 Ohm, 상기 제 1 가변저항 VR1은 약 80-120 Ohm, 상기 제 2 가변저항 VR2는 약 18-22 Ohm, 및 상기 제 3 가변저항 VR3는 약 18-22 Ohm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각 구성 요소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왜곡 조정부(40)에 의한 기하학적 왜곡(G/D)을 보정하기 위한 최대 가변 가능값을 도 6a 및 도 6c에서 (a+b)/2라 하면 (a+b)/2 = 약 1mm로서, 이는 종래의 최대 가변 가능값의 약 두배이다. 또한, 상기 미스컨버전스 조정부(70)에 의한 YV 미스컨버전스를 보정하기 위한 최대 가변 가능값을 도 4a 및 도 4c의 (c+d)/2라 하면 (c+d)/2 = 약 0.8mm이고, 이때 G/D의 변화는 거의 없게 된다.
이어, 본 발명의 일실예에 따른 편향요크의 미스컨버전스 및 G/D보정 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우측 수직편향코일(13b)에 의한 우측 자계가 좌측 수직편향코일(13a)에 의한 좌측 자계보다 강하여,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은 G/D가 발생할 경우, 제 1 가변저항(VR)의 저항값을 가변하여 좌측 수직편향코일(13a)에 흐르는 전류를 보강하면 좌측 편향 자계가 상대적으로 보강되고, 이에 따라 상기 우측 수직편향코일(13b)에 의한 우측 자계와 좌측 수직편향코일(13a)에 의한 좌측 자계가 동일하게 되어, 도 6b와 같이 G/D가 보정된다.
또한, 좌측 수직편향코일(13a)에 의한 좌측 자계가 우측 수직편향코일(13b)에 의한 우측 자계보다 강하여,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은 G/D가 발생할 경우, 상기 제 1 가변저항(VR1)의 저항값을 가변하여 우측 수직편향코일(13b)에 흐르는 전류를 보강하면 우측 편향 자계가 상대적으로 보강되고, 이에 따라 상기 좌측 수직편향코일(13a)에 의한 좌측 자계와 우측 수직편향코일(13b)에 의한 우측 자계가 동일하게 되어, 도 6b와 같이 G/D가 보정된다.
상기와 같이 제 1 가변저항(VR1)을 이용하여 G/D를 보정하고, 제 2 가변저항(VR2)를 이용하여 제 1 및 제 2 코마프리코일(51)(52)측에 흐르는 전류량 및 제 3 및 제 4 코마프리코일(53)(54)측에 흐르는 전류량을 상대적으로 가변함으로써,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YHC 미스컨버전스를 보정하도록 한다. 도 5는 제 1 및 제 2 코마프리코일(51)(52)측에 흐르는 전류량이 상대적으로 많아 상측 편향 자계가 강할 경우이므로, 상기 제 2 가변저항(VR1)의 저항값을 가변하여 상기 제 3 및 제 4 코마프리코일(53)(54)측에 흐르는 전류량을 보강하면, 상측 편향 자계와 하측 편향자계의 세기가 동일하게 되어 YHC 미스컨버전스가 보정된다. 또한, 하측 편향자계가 강한 경우의 YHC 미스컨버전스는 상기 상측 편향 자계가 강할 경우와 반대로 상기 제 2 가변저항(VR2)을 조정하면 된다.
상기와 같이 제 1 가변저항(VR1) 및 제 2 가변저항(VR2)을 이용하여 G/D 및 YHC 미스컨버전스를 보정하고, 이어 제 3 가변저항(VR3)를 이용하여 제 5 코마프리코일(55)측에 흐르는 전류량 및 제 6 코마프리코일(56)측에 흐르는 전류량을 상대적으로 가변함으로써, 도 4a 및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은 YV 미스컨버전스를 하기와 같이 보정하도록 한다.
먼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은 YV 미스컨버전스는 우측 자계가 강할 때 발생되는 것이므로, 상대적으로 좌측 자계를 보강하면 된다. 따라서, 제 3 가변저항(VR3)의 저항값을 가변하여 제 6 코마프리코일(56)에 흐르는 전류를 보강하여 자계를 강하게 한다. 이때, 상기 제 1 내지 제 6 코마프리코일들(51-56)이 모두 동일 방향으로 권선되었다면, 상기 제 6 코마프리코일(56)의 강해진 자계는 우측 상부의 제 2 코마프리코일(52) 및 우측 하부의 제 4 코마프리코일(54)의 자계를 상쇄시킨다. 이에 따라 우측 자계가 약해지고 상대적으로 좌측 자계는 강하게되므로, 좌측 자계와 우측자계가 동일하게되어 도 4b와 같이 YV 미스컨버전스가 보정된다.
또한,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은 YV 미스컨버전스는 좌측 자계가 강할 때 발생되는 것이므로, 상대적으로 우측 자계를 보강하면 된다. 따라서, 제 3 가변저항(VR3)의 저항값을 가변하여 제 5 코마프리코일(55)에 흐르는 전류를 보강하여 상대적 자계를 강하게 한다. 이때, 상기 제 1 내지 제 6 코마프리코일들(51-56)이 모두 동일 방향으로 권선되었다면,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E자형 철편에 6극 자계가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제 5 코마프리코일(55)의 강해진 자계는 좌측 상부의 제 1 코마프리코일(51) 및 좌측 하부의 제 3 코마프리코일(53)의 자계를 상쇄시킨다. 이에 따라 보정전보다 좌측 자계는 약해지고 상대적으로 우측 자계는 강하게되므로, 우측 자계와 좌측자계가 동일하게되어 도 4b와 같이 YV 미스컨버전스가 보정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들-토로이달형 편향요크의 미스컨버전스 및 G/D 보정 장치의 회로도로, 도 10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다른 부분인 수직 편향코일 회로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그 외의 도 10과 동일 회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3에서, 상좌측 수직편형코일(16a-1), 하좌측 수직편형코일(16a-2), 상우측 수직편향코일(16b-1), 및 하우측 수직편향코일(16b-2)이 순차적으로 직렬 접속되어 있고, 상기 상좌-하좌측에 권선된 수직편향코일(16a) 및 상우-하우측에 권선된 수직편향코일(16b)에 대하여, 2개의 고정 저항(R1, R2) 및 가변저항(VR1)으로 구성된 G/D조정부(40)가 병렬 접속되어 있다.
도 13의 G/D조정부(40)는, 도 10의 G/D 조정부(40)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상기 가변저항(VR1)의 저항값을 가변 조정하여 상기 상좌 및 하좌측에 권선된 수직편향코일(16a) 및 상우 및 하우측에 권선된 수직편향코일(16b)에 각각 흐르는 상대적 전류량의 조절에 의해 좌/우측의 상대적 자계를 조절함으로써 도 6a 또는 도 6c와 같은 기하학적 왜곡을 도 6b와 같이 되도록 보정한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편향 요크의 미스컨버전스 및 G/D 보정 회로에 의하면, 화면상에 발생하는 기하학적 왜곡(G/D)을 보정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그 G/D 보정시 발생하는 미스컨버전스 또한 완벽하게 보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편향 요크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33)

  1. 네크(Neck)부와 스크린(Screen)부를 가진 원추형의 코일 세퍼레이터(Coil Separator)와;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의 스크린부 내부면의 상측 및 하측에 상호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설치된 상측 수평편향코일 및 하측 수평편향코일과;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의 스크린부 외부면의 좌측 및 우측에 상호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설치된 좌측 수직편향코일 및 우측 수직편향코일과;
    상기 수직 편향 코일의 자계를 보강하기 위해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의 스크린부의 외주면에 설치된 대략 원통형의 페라이트 코어와;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의 네크부에 상기 수직 편향코일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설치되어 핀-쿠션(Pin-cushion) 자계를 생성함으로써 상기 좌측 및 우측 수직 편향 코일에 의해 발생되는 배럴(barrel) 자계를 상쇄시키기 위한 코마프리코일들과;
    상기 좌측 및 우측 수직 편향코일에 흐르는 상대적 전류량을 제어하여 좌측 및 우측의 상대적 자계를 조정함으로써 화면상의 기하학적 왜곡을 조정하기 위한 왜곡 조정부와;
    상기 코마프리코일들 중좌측에 위치된 코마프리코일들 및 우측에 위치된 코마프리코일들에 흐르는 상대적 전류량을 제어하여 좌측 및 우측의 상대적 자계를 조정함으로써 화면상의 수직 미스 컨버전스를 조정하기 위한 제 1 컨버전스 조정부와; 그리고
    상기 코마프리코일들 중에서 상측에 위치된 코마프리코일들 및 하측에 위치된 코마프리코일들에 흐르는 상대적 전류량을 제어하여 상측 및 하측의 상대적 자계를 조정함으로써 화면상의 수평 미스컨버전스를 조정하기 위한 제 2 컨버전스 조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편향 요크의 미스컨버전스 및 기하학적 왜곡 보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마프리코일들은 상부, 중부, 및 하부가 일체로 형성된 한쌍의 철편들이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의 네크부의 외주연 좌/우측에 상호 대향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한쌍의 철편들을 매개로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권선된 좌측의 상부,중부 및 하부 코마프리코일들 및 우측의 상부,중부 및 하부 코마프리코일들로 구성된 편향 요크의 미스컨버전스 및 기하학적 왜곡 보정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왜곡 조정부는 상기 좌측 수직편향코일 및 우측 수직편향코일에 대하여 병렬 접속된 차동형식의 분류회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요크의 미스컨버전스 및 기하학적 왜곡 보정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차동형식의 분류회로는 제 1 고정저항과 제 1 가변저항 및 제 2 고정저항이 차례로 직렬 접속되고 상기 제 1 가변저항의 가동전극단과 상기 좌측 및 우측 수직편향코일의 공통 접점이 접속되어 구성된 편향 요크의 미스컨버전스 및 기하학적 왜곡 보정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미스컨버전스 조정부는 좌중측의 코마프리코일 및 우중측의 코마프리코일에 흐르는 상대적 전류량을 조정하여 좌측 및 우측의 자계가 조정되도록 구성된 편향 요크의 미스컨버전스 및 기하학적 왜곡 보정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미스컨버전스 조정부는 상기 좌중측 코마프리코일 및 우중측 코마프리코일에 대하여 병렬 접속된 제 3 가변저항과, 상기 좌중측 코마프리코일과 우중측 코마프리코일과의 공통 접점 및 상기 제 3 가변저항의 가동전극 사이에 접속된 제 4 고정저항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요크의 미스컨버전스 및 기하학적 왜곡 보정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컨버전스 조정부는, 좌측 및 우측의 상부 코마프리코일들 및 좌측 및 우측의 하부 코마프리코일들에 흐르는 상대적 전류량을 조정하여 상측 및 하측의 자계가 조정되도록 구성된 편향 요크의 미스컨버전스 및 기하학적 왜곡 보정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컨버전스 조정부는, 좌상측, 우상측, 좌하측 및 우하측 코마프리코일이 순차적으로 접속된 코마프리코일들에 대하여 병렬 접속된 제 2 가변저항과, 상기 우상측 코마프리코일과 상기 좌하측 코마프리코일과의 공통 접점 및 상기 제 2 가변저항의 가동전극 사이에 접속된 제 3 고정저항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요크의 미스컨버전스 및 기하학적 왜곡 보정 장치.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코마프리코일들은 모두 동일한 방향으로 권선된 편향 요크의 미스컨버전스 및 기하학적 왜곡 보정 장치.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코마프리코일들 중에서 좌우측의 상부 및 하부에 위치된 마프리코일들 권선 방향은 동일하게하고 중부에 위치된 코마프리코일들의 권선 방향은 반대로 권선된 편향 요크의 미스컨버전스 및 기하학적 왜곡 보정 장치.
  11. 네크(Neck)부와 스크린(Screen)부를 가진 원추형의 코일 세퍼레이터(Coil Separator)와;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의 스크린부 내부면의 상측 및 하측에 상호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설치된 상측 수평편향코일 및 하측 수평편향코일과;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의 스크린부 외부면의 좌측 및 우측에 상호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설치된 좌측 수직편향코일 및 우측 수직편향코일과;
    상기 수직 편향 코일의 자계를 보강하기 위해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의 스크린부의 외주면에 설치된 대략 원통형의 페라이트 코어와;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의 네크부에 상기 수직 편향코일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설치되어 핀-쿠션(Pin-cushion) 자계를 생성함으로써 상기 좌측 및 우측 수직 편향 코일에 의해 발생되는 배럴(barrel) 자계를 상쇄시키기 위한 코마프리코일들과; 그리고
    상기 코마프리코일들 중 좌측에 위치된 코마프리코일들 및 우측에 위치된 코마프리코일들에 흐르는 상대적 전류량을 제어하여 좌측 및 우측의 상대적 자계를 조정함으로써 화면상의 수직 미스 컨버전스를 조정하기 위한 제 1 컨버전스 조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편향 요크의 미스컨버전스 보정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코마프리코일들은 상부, 중부, 및 하부가 일체로 형성된 한쌍의 철편들이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의 네크부의 외주연 좌/우측에 상호 대향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한쌍의 철편들을 매개로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권선된 좌측의 상부,중부 및 하부 코마프리코일들 및 우측의 상부,중부 및 하부 코마프리코일들로 구성된 편향 요크의 미스컨버전스 보정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미스컨버전스 조정부는 좌중측의 코마프리코일 및 우중측의 코마프리코일에 흐르는 상대적 전류량을 조정하여 좌측 및 우측의 자계가 조정되도록 구성된 편향 요크의 미스컨버전스 보정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미스컨버전스 조정부는 상기 좌중측 코마프리코일 및 우중측 코마프리코일에 대하여 병렬 접속된 제 3 가변저항과, 상기 좌중측 코마프리코일과 우중측 코마프리코일과의 공통 접점 및 상기 제 3 가변저항의 가동전극 사이에 접속된 제 4 고정저항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요크의 미스컨버전스 보정 장치.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코마프리코일들은 모두 동일한 방향으로 권선된 편향 요크의 미스컨버전스 보정 장치.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코마프리코일들 중에서 좌우측의 상부 및 하부에 위치된 마프리코일들 권선 방향은 동일하게하고 중부에 위치된 코마프리코일들의 권선 방향은 반대로 권선된 편향 요크의 미스컨버전스 보정 장치.
  17. 네크(Neck)부와 스크린(Screen)부를 가진 원추형의 코일 세퍼레이터(Coil Separator)와;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의 스크린부 내부면의 상측 및 하측에 상호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설치된 상측 수평편향코일 및 하측 수평편향코일과;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의 스크린부 외부면의 좌측 및 우측에 상호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설치된 좌측 수직편향코일 및 우측 수직편향코일과;
    상기 수직 편향 코일의 자계를 보강하기 위해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의 스크린부의 외주면에 설치된 대략 원통형의 페라이트 코어와;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의 네크부에 상기 수직 편향코일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설치되어 핀-쿠션(Pin-cushion) 자계를 생성함으로써 상기 좌측 및 우측 수직 편향 코일에 의해 발생되는 배럴(barrel) 자계를 상쇄시키기 위한 코마프리코일들과;
    상기 좌측 및 우측 수직 편향코일에 흐르는 상대적 전류량을 제어하여 좌측 및 우측의 상대적 자계를 조정함으로써 화면상의 기하학적 왜곡을 조정하기 위한 왜곡 조정부와; 그리고
    상기 코마프리코일들 중 좌측에 위치된 코마프리코일들 및 우측에 위치된 코마프리코일들에 흐르는 상대적 전류량을 제어하여 좌측 및 우측의 상대적 자계를 조정함으로써 화면상의 수직 미스 컨버전스를 조정하기 위한 제 1 컨버전스 조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편향 요크의 미스컨버전스 및 기하학적 왜곡 보정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코마프리코일들은 상부, 중부, 및 하부가 일체로 형성된 한쌍의 철편들이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의 네크부의 외주연 좌/우측에 상호 대향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한쌍의 철편들을 매개로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권선된 좌측의 상부,중부 및 하부 코마프리코일들 및 우측의 상부,중부 및 하부 코마프리코일들로 구성된 편향 요크의 미스컨버전스 및 기하학적 왜곡 보정 장치.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왜곡 조정부는 상기 좌측 수직편향코일 및 우측 수직편향코일에 대하여 병렬 접속된 차동형식의 분류회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요크의 미스컨버전스 및 기하학적 왜곡 보정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차동형식의 분류회로는 제 1 고정저항과 제 1 가변저항 및 제 2 고정저항이 차례로 직렬 접속되고 상기 제 1 가변저항의 가동전극단과 상기 좌측 및 우측 수직편향코일의 공통 접점이 접속되어 구성된 편향 요크의 미스컨버전스 및 기하학적 왜곡 보정 장치.
  2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미스컨버전스 조정부는 좌중측의 코마프리코일 및 우중측의 코마프리코일에 흐르는 상대적 전류량을 조정하여 좌측 및 우측의 자계가 조정되도록 구성된 편향 요크의 미스컨버전스 및 기하학적 왜곡 보정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미스컨버전스 조정부는 상기 좌중측 코마프리코일 및 우중측 코마프리코일에 대하여 병렬 접속된 제 3 가변저항과, 상기 좌중측 코마프리코일과 우중측 코마프리코일과의 공통 접점 및 상기 제 3 가변저항의 가동전극 사이에 접속된 제 4 고정저항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요크의 미스컨버전스 및 기하학적 왜곡 보정 장치.
  23.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코마프리코일들은 모두 동일한 방향으로 권선된 편향 요크의 미스컨버전스 및 기하학적 왜곡 보정 장치.
  24.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코마프리코일들 중에서 좌우측의 상부 및 하부에 위치된 마프리코일들 권선 방향은 동일하게하고 중부에 위치된 코마프리코일들의 권선 방향은 반대로 권선된 편향 요크의 미스컨버전스 및 기하학적 왜곡 보정 장치.
  25. 네크(Neck)부와 스크린(Screen)부를 가진 원추형의 코일 세퍼레이터(Coil Separator)와;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의 스크린부 내부면의 상측 및 하측에 상호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설치된 상측 수평편향코일 및 하측 수평편향코일과;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의 스크린부의 외주면에 설치된 대략 원통형의 페라이트 코어와;
    상기 페라이트코어에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권선되어 좌측 및 우측의 수직 편향 자계를 형성하기 위한 좌측의 상/하 수직편향코일 및 우측의 상/하 수직편향코일과;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의 네크부에 상기 수직 편향코일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설치되어 핀-쿠션(Pin-cushion) 자계를 생성함으로써 상기 좌측 및 우측 수직 편향 코일에 의해 발생되는 배럴(barrel) 자계를 상쇄시키기 위한 코마프리코일들과; 그리고
    상기 코마프리코일들 중 좌측에 위치된 코마프리코일들 및 우측에 위치된 코마프리코일들에 흐르는 상대적 전류량을 제어하여 좌측 및 우측의 상대적 자계를 조정함으로써 화면상의 수직 미스 컨버전스를 조정하기 위한 제 1 컨버전스 조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편향 요크의 미스컨버전스 및 기하학적 왜곡 보정 장치.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코마프리코일들은 상부, 중부, 및 하부가 일체로 형성된 한쌍의 철편들이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의 네크부의 외주연 좌/우측에 상호 대향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한쌍의 철편들을 매개로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권선된 좌측의 상부,중부 및 하부 코마프리코일들 및 우측의 상부,중부 및 하부 코마프리코일들로 구성된 편향 요크의 미스컨버전스 및 기하학적 왜곡 보정 장치.
  27.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미스컨버전스 조정부는 좌중측의 코마프리코일 및 우중측의 코마프리코일에 흐르는 상대적 전류량을 조정하여 좌측 및 우측의 자계가 조정되도록 구성된 편향 요크의 미스컨버전스 및 기하학적 왜곡 보정 장치.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미스컨버전스 조정부는 상기 좌중측 코마프리코일 및 우중측 코마프리코일에 대하여 병렬 접속된 제 3 가변저항과, 상기 좌중측 코마프리코일과 우중측 코마프리코일과의 공통 접점 및 상기 제 3 가변저항의 가동전극 사이에 접속된 제 4 고정저항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요크의 미스컨버전스 및 기하학적 왜곡 보정 장치.
  29.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코마프리코일들은 모두 동일한 방향으로 권선된 편향 요크의 미스컨버전스 및 기하학적 왜곡 보정 장치.
  30.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코마프리코일들 중에서 좌우측의 상부 및 하부에 위치된 마프리코일들 권선 방향은 동일하게하고 중부에 위치된 코마프리코일들의 권선 방향은 반대로 권선된 편향 요크의 미스컨버전스 및 기하학적 왜곡 보정 장치.
  31.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의 상/하 수직편향코일 및 우측의 상/하 수직 편향코일에 흐르는 상대적 전류량을 제어하여 좌측 및 우측의 상대적 자계를 조정함으로써 화면상의 기하학적 왜곡을 조정하기 위한 왜곡 조정부가 부가 구성된 편향 요크의 미스컨버전스 및 기하학적 왜곡 보정 장치.
  32.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코마프리코일들 중에서 상측에 위치된 코마프리코일들 및 하측에 위치된 코마프리코일들에 흐르는 상대적 전류량을 제어하여 상측 및 하측의 상대적 자계를 조정함으로써 화면상의 수평 미스컨버전스를 조정하기 위한 제 2 컨버전스 조정부가 부가로 구성된 편향 요크의 미스컨버전스 및 기하학적 왜곡 보정 장치.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미스컨버전스 조정부는 좌측 및 우측의 상부에 위치된 코마프리코일들 및 좌측 및 우측의 하부에 위치된 코마프리코일들에 흐르는 상대적 전류량을 조정하여 상측 및 하측의 자계가 조정되도록 구성된 편향 요크의 미스컨버전스 및 기하학적 왜곡 보정 장치.
KR1019980051684A 1997-12-17 1998-11-30 편향 요크의 미스컨버전스 및 기하학적 왜곡 보정 장칙 KR1002844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7-69652 1997-12-17
KR19970069652 1997-12-17
KR1019970069652 1997-12-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2636A KR19990062636A (ko) 1999-07-26
KR100284483B1 true KR100284483B1 (ko) 2001-03-15

Family

ID=19527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1684A KR100284483B1 (ko) 1997-12-17 1998-11-30 편향 요크의 미스컨버전스 및 기하학적 왜곡 보정 장칙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215257B1 (ko)
JP (1) JP2993957B2 (ko)
KR (1) KR100284483B1 (ko)
CN (1) CN1140108C (ko)
TW (1) TW39801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2046B1 (ko) * 2001-12-27 2004-03-11 삼성전기주식회사 편향요크의 미스컨버전스 보정장치의 개선 회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11460A (ja) * 1999-11-19 2001-08-03 Sony Corp 偏向ヨークおよびこれを用いたカラー陰極線管受像機
TW480525B (en) * 1999-12-22 2002-03-21 Matsushita Electronics Corp Color display tube device
JP2001332185A (ja) * 2000-05-24 2001-11-30 Toshiba Corp 陰極線管装置
JP2002190264A (ja) * 2000-12-20 2002-07-05 Hitachi Ltd 偏向ヨークおよび陰極線管装置
FR2818799A1 (fr) * 2000-12-22 2002-06-28 Thomson Tubes & Displays Systeme de deflexion pour tube a rayons cathodiques couleur corrige en coma horizontale
KR100405209B1 (ko) * 2001-05-21 2003-11-12 삼성전기주식회사 편향요크의 소자변형 방지장치
KR20030008753A (ko) * 2001-07-20 2003-01-29 삼성전기주식회사 왜 보정 장치
KR100410947B1 (ko) 2001-07-25 2003-12-18 삼성전기주식회사 가변 저항을 이용한 편향 요크의 미스 컨버전스 및기하학적 왜곡 보정 장치
US6759815B2 (en) * 2001-09-03 2004-07-0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olor picture tube device in which YH misconvergence is corrected
EP1570646B8 (en) * 2002-12-06 2012-12-19 Entropic Communications, Inc. Drive apparatus for frame deflection and method
KR100465295B1 (ko) * 2002-12-10 2005-01-13 삼성전기주식회사 미스컨버전스를 보정하는 편향요크
US20060066205A1 (en) * 2004-09-30 2006-03-30 Matsushita Toshiba Picture Display Co. Ltd. Color picture tube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30185A (en) * 1974-05-20 1975-12-30 Rca Corp Display system with simplified convergence
US4677349A (en) * 1986-03-31 1987-06-30 Sperry Corporation Self converging deflection yoke for in-line gun color CRT
US5274308A (en) * 1990-05-24 1993-12-28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onvergence correcting device
KR930000223Y1 (ko) * 1990-10-24 1993-01-18 삼성전관주식회사 컨버어젼스 보정용 자석조립체
EP0612095B1 (en) * 1993-02-18 1997-06-04 THOMSON TUBES &amp; DISPLAYS S.A. Deflection yoke with a forked shunt
KR100291787B1 (ko) * 1993-09-23 2001-09-17 김순택 포커스특성을개선한컨버전스요크
JPH07322276A (ja) * 1994-05-23 1995-12-08 Hitachi Ltd 偏向ヨーク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カラー陰極線管装置
JP3324316B2 (ja) 1995-01-13 2002-09-1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カラー受像管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2046B1 (ko) * 2001-12-27 2004-03-11 삼성전기주식회사 편향요크의 미스컨버전스 보정장치의 개선 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993957B2 (ja) 1999-12-27
CN1140108C (zh) 2004-02-25
TW398011B (en) 2000-07-11
CN1220541A (zh) 1999-06-23
US6215257B1 (en) 2001-04-10
KR19990062636A (ko) 1999-07-26
JPH11252578A (ja) 1999-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4483B1 (ko) 편향 요크의 미스컨버전스 및 기하학적 왜곡 보정 장칙
US4788470A (en) Deflection yoke apparatus with compensation magnetic field generating means
US6380667B1 (en) Color cathode-ray tube apparatus
KR20010086319A (ko) 컬러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및 미스컨버전스 보정방법
JP3835875B2 (ja) コンバーゼンス装置及び偏向ヨーク
KR100410947B1 (ko) 가변 저항을 이용한 편향 요크의 미스 컨버전스 및기하학적 왜곡 보정 장치
KR0139475B1 (ko) 컬러 음극선관용 전자 편향 요크
US4933596A (en) Deflection yoke with compensation for misconvergence by the horizontal center raster
KR100703506B1 (ko) 컨버전스 보정 장치를 가진 컬러 음극선관
US6107904A (en) Asymmetry forming arrangement in a deflection winding
KR100959119B1 (ko) 편향요크의 미스컨버전스 보정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표시장치
KR0180663B1 (ko) 미스컨버젼스보정장치
JPS59191238A (ja) 偏向ヨ−ク
KR20040074777A (ko) 기하학적 왜곡 보정장치를 구비한 편향요크
KR100410950B1 (ko) 편향 요크
US6252359B1 (en) Deflection apparatus
KR100451944B1 (ko) 편향요크의 화면 보정물 장착장치
JP2692858B2 (ja) カラー受像管装置
JPH06349421A (ja) カラー陰極線管表示装置
KR810001808B1 (ko) 칼러텔레비젼 수신기용 편향 요크장치
WO2002099834A2 (en) Spot optimization in a color display tube system
KR20030029375A (ko) 편향요크의 미스컨버전스 보정장치의 노이즈 개선 회로
KR20040093828A (ko) 편향요크의 미스컨버전스 보정장치
JP2000285823A (ja) カラーブラウン管装置
JPH09102288A (ja) 偏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2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