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6319A - 컬러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및 미스컨버전스 보정방법 - Google Patents
컬러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및 미스컨버전스 보정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0086319A KR20010086319A KR1020010001749A KR20010001749A KR20010086319A KR 20010086319 A KR20010086319 A KR 20010086319A KR 1020010001749 A KR1020010001749 A KR 1020010001749A KR 20010001749 A KR20010001749 A KR 20010001749A KR 20010086319 A KR20010086319 A KR 2001008631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il
- deflection
- deflection yoke
- misconvergence
- ray tub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2—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along one straight line or along two perpendicular straight lines
- H01J29/76—Deflecting by magnetic fields only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01—Systems for correcting deviation or convergence of a plurality of beams by means of magnetic fields at least
- H01J29/707—Arrangements intimately associated with parts of the gun and co-operating with external magnetic excitation devic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01—Systems for correcting deviation or convergence of a plurality of beams by means of magnetic fields at least
- H01J29/702—Convergence correction arrangements therefor
- H01J29/705—Dynamic convergence system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56—Correction of beam optics
- H01J2229/568—Correction of beam optics using supplementary correction devices
- H01J2229/5681—Correction of beam optics using supplementary correction devices magnetic
- H01J2229/5687—Auxiliary coils
Landscapes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 Manufacture Of Electron Tubes, Discharge Lamp Vessels, Lead-In Wir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인라인형 컬러 음극선관 편향요크는 편향자계를 3 개의 전자총을 수용하는 밸브의 네크부로부터 밸브의 펀넬부를 향하는 전자빔에 채택한다. 편향요크는 수직 편향코일, 수직 편향코일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는 보조코일, 및 양쪽 레그부 각각의 둘레에 보조코일이 감겨 있는 U 자형 자성체를 구비한다. U 자형 자성체는 레그부가 네크부와 마주 보도록 배열되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인라인형 컬러 음극선관에 부착된 편향요크, 및 화면의 Y 축상의 미스컨버전스를 보정하는 컬러 음극선관용 미스컨버전스 보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편향요크, 및 코마 수차 및 미스컨버전스를 동시에 보정할 수 있는 미스컨버전스 보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라인형 컬러 음극선관 (이하, "컬러 CRT"라 함) 을 구비한 컬러 표시장치가 있다. 인라인형 컬러 CRT 에서, 전자빔이 진공 밸브내에서 전자총으로부터 청색, 녹색, 적색에 대해 각각 방출된다. 전자빔은 전자기 코일 등으로 이루어진 편향요크에 의해 X 축 및 Y 축 방향으로 편향되고 섀도우 마스크를 통해 형광체막에 도달한다.
상술한 인라인형 컬러 CRT 에서, 전자빔은 편향요크에 의해 X 축 및 Y 축 방향으로 전자빔을 편향시킬 때에 심하게 왜곡되는 편향자계를 통과한다. 이러한 이유로, 3 개의 전자빔은 충분히 집속되지 못한다. 이러한 현상을 미스컨버전스라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인라인 셀프컨버전스 시스템이라 하는 시스템을 채택한 컬러 CRT 가 제공된다. 도 1a 및 1b 는 인라인 셀프컨버전스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이다. 인라인 셀프컨버전스 시스템에서, 핀쿠션 (pin cushion) 형 수평편향자계분포를 갖는 편향자계 (101) (도 1a) 및 배럴형 수직편향자계분포를 갖는 편향자계 (102) (도 1b) 가 형성된다. 동일 수평면에 얼라이닝된 인라인 전자총으로부터 방출된 3 개의 전자빔 (10B, 10G 및 10R) 은 편향자계 (101 및 102) 에 의해 편향되고 화면상의 임의의 점에 각각 집속된다.
인라인 셀프컨버전스 시스템은 3 개의 전자빔 (10B, 10G 및 10R) 을 집속하기 위해 소수의 전기회로를 구비하는 것으로 충분하고 조절 등이 드물게 요구되고, 매우 정확한 집속을 실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점을 갖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스폿의 수평 직경을 최소화할 수 있는 포커스 전압 (Vfh) 과 스폿의 수직 직경을 최소화할 수 있는 포커스 전압 (Vfv) 은 서로 다르고, 이 둘 포커스 전압간의 차 ΔVf = Vfh - Vfv 는 음이다. 즉, 수직방향으로 전자빔의 집속상태는 오버포커스상태이다. 이와 같은 이유로, 화면의 주변부상에 전자빔의 형태의 왜곡을 세밀하게 관찰한다면, 비점수차 (astigmatism) 때문에 수직방향으로 해일로 (halo) 가 발생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2 는 종래 화면상에 전자빔 스폿을 나타내는 도이다. 전자빔 (10B, 10G 및 10R) 은 셀프컨버전스 자계 (101 및 102) 를 통과할 때 셀프컨버전스 자계 (101 및 102) 의 자계 왜곡에 의해 영향받는다. 그 결과, 전자빔 스폿의 형태는 화면의 중앙부에서 둥글어지고, 편향이 거의 없다. 그런데, 전자빔이 화면의 주변부로 편향된다면, 각각의 전자빔 스폿의 형태는 장방형 빔 코어 (111), 및 빔 코어 (111) 의 상하에서 발생되는 방사 해일로 (112) 를 갖는 형태, 즉, 왜곡된 형태가 된다. 따라서, 화면의 주변부상에 각각의 왜곡된 전자빔 스폿의 직경이 화면의 중앙부의 거의 둥근 스폿의 직경보다 큼으로써, 화면의 주변부의 해상도가 떨어지게 된다.
또한, 편향자계의 비대칭 때문에, 편향주파수로서 3 개의 전자빔중에 중앙 빔 (G) 과 측 빔 (B 및 R) 사이에 발생하는 미스컨버전스를 유발하는 코마 수차는 더욱 높다. 따라서, 코마 수차를 제거하는 것이 또한 필요하다. 도 3a 내지 도 3d 는 미스컨버전스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 는 수평 래스터 왜곡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코마 수차에 의해 유발되는 미스컨버전스는, 도 3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의 상단 및 하단상에 수평 방향으로 적색 라인 (20R) 및 청색 라인 (20B) 이 서로 분리되는 아크 왜곡, 도 3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의 상단 및 하단상에 수직방향으로 적색 라인 (21R) 및 청색 라인 (21B) 이 서로 분리되는 왜곡, 및 도 3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적색 라인 (21R) 및 청색 라인 (21B) 이 녹색 라인 (21G) 으로부터 분리되는 왜곡을 포함한다. 또한, 도3d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래 직사각형이어야 하는 형상이 핀쿠션형 자계분포 및 배럴형 자계분포의 영향 때문에 사다리꼴형 (30) 으로 왜곡된다면, 왜곡된 형상은 CAD, CAM 등에 가시적으로 특히 부적당하고 더욱더 결함을 유발한다. 또한,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의 수평방향으로 적색 라인 (21R) 및 청색 라인 (21B) 이 녹색 라인 (21G) 으로부터 벗어나는 평행한 왜곡이 있다면, 그 결과 화상을 보기 어렵게 된다.
상술한 미스컨버전스는 통상 컬러 CRT 의 전자총의 관점에서는 3 개의 전자빔의 기계적 중앙부와 편향자계의 기계적 중앙부 사이의 편차로부터 유발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미스컨버전스는 편향요크의 관점에서는 편향코일상에 제공되는 편향전류 제어용 가변 저항이 코마 수차 및 화상의 왜곡을 동시에 보정하도록 하는 설계로부터 유발된다고 판단된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 한 쌍의 E 자형 자성체를 구비한 편향요크를 사용하는 미스컨버전스 보정방법이 제안되었다 (일본 특개평9-17355호). 도 5 는 일본 특개평9-17355호 공보에 개시된 종래 편향장치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6 은 종래 편향장치에 의해 발생된 자계를 나타내는 도이다.
종래 편향장치는 컬러 CRT 의 네크부 (40) 에 부착된 편향요크 보빈상에 설치된 한 쌍의 E 자형 자성체 (41 및 42) 를 구비한다. 코마 보정코일 (51a 및 51c) 은 E 자형 자성체 (41) 의 양단상에 E 자형 자성체 (41) 의 레그부 (41a 및 41c) 둘레에 각각 감겨 있다. 코마 보정코일 (51b) 은 E 자형 자성체 (41) 의 중앙 레그부 (41b) 둘레에 감겨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코마 보정코일(52a 및 52c) 은 E 자형 자성체 (42) 의 양단상에 E 자형 자성체 (42) 의 레그부 (42a 및 42c) 둘레에 각각 감겨 있다. 코마 보정코일 (52b) 은 E 자형 자성체 (42) 의 중앙 레그부 (42b) 둘레에 감겨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 편향장치에서,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쿠션형 편향자계 (60a) 는 레그부 (41a 및 42a) 사이에서 발생되고, 핀쿠션형 편향자계 (60c) 는 레그부 (41c 및 42c) 사이에서 발생된다. 배럴형 편향자계 (61b) 는 레그부 (41b 및 42b) 사이에서 발생된다. 그 결과, 비점수차 및 미스컨버전스를 동시에 보정할 수 있다.
상술한 종래 미스컨버전스 보정방법은 비점수차 및 미스컨버전스를 간단한 수단에 의해 비교적 쉬운 방법으로 동시에 보정할 수 있지만,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3 개의 코마 보정코일을 각각의 E 자형 자성체에 설치하기 때문에, E 자형 자성체에 대한 지지대의 주형 구조가 더욱 복잡해진다. 따라서, 제조 비용이 증가되고 경제적으로 이 방법을 실행하기 어렵다.
또한,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의 상단 및 하단상에 적색 라인 (21R) 및 청색 라인 (21B) 과 녹색 라인 (21G) 사이의 수평 편차가 작고, 화면의 좌단 및 우단상에 적색 라인 (21R) 및 청색 라인 (21B) 과 녹색 라인 (21G) 사이의 수직 편차가 크다. 이와 같은 이유로, 편차를 보정하는데 근본적인 한계가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일본 특개평11-40079호 공보에 도시된 바와 같이, E 자형자성체가 편향요크의 전자총측 배단부상에 배열되도록 한다. 도 7 은 E 자형 자성체를 설치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8 은 자속밀도의 비대칭으로부터 유발되는 미스컨버전스를 나타내는 도이다. 편향요크의 구조의 관점에서 도시된 배열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바람직하지 않다.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낮은 히스테리시스의 고투자율 자성체 (74) 는 통상 보빈 (73) 에 부착되고, 전자총 (71) 측상의 편향요크 (70) 의 배단부상에 수평 편향코일 (72) 로부터의 누설 자속을 교차한다. 이는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인 (22G, 22B 및 22R) 의 자속 분포밀도가 화면의 좌측 및 우측 위치상에서 비대칭이 되기 때문에 발생된 컨버전스를 보정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E 자형 자성체를 채택하는 경우에, 이러한 미스컨버전스 보정방법을 채택할 수 없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E 자형 자성체상에 코마 보정코일을 설치하는 방법과는 다른 미스컨버전스 보정방법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저가로 생산할 수 있고 비점수차 및 미스컨버전스를 동시에 보정할 수 있는 컬러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및 미스컨버전스 보정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a 및 1b 는 인라인 셀프컨버전스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
도 2 는 종래 화면상의 전자빔 스폿을 나타내는 도;
도 3a 내지 3d 는 미스컨버전스를 나타내는 도;
도 4 는 수평 래스터 왜곡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
도 5 는 일본 특개평9-17355호 공보에 개시된 종래 편향장치를 나타내는 도;
도 6 은 종래 편향장치에 의해 발생된 자계를 나타내는 도;
도 7 은 E 자형 자성체가 설치된 설치 위치를 나타내는 도;
도 8 은 자속밀도의 비대칭으로부터 유래되는 미스컨버전스를 나타내는 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의 미스컨버전스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0 은 제 1 실시예의 코일 사이의 접속관계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11 은 제 1 실시예의 화면의 상반부상에 화상을 만드는 방법을 나타내는 회로도;
도 12a 및 12b 는 제 1 실시예의 수평 래스터 왜곡을 나타내는 도;
도 13 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예의 편향요크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4 는 제 2 실시예의 코일 사이의 접속관계를 나타내는 회로도; 및
도 15 는 제 2 실시예의 수평 래스터 왜곡을 나타내는 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V1, V2: 수직 코일 CO1, CO2: 코마 수차 코일
D1, D2: 다이오드 L1: 상부 좌측 보조코일
L2: 하부 좌측 보조코일 R1: 상부 우측 보조코일
R2: 하부 우측 보조코일 VR, VR1, VR2, VR3: 가변 저항
Vr1m, Vr2m, Vr3m : 콘택트 Rg, Rh, Ri, Rj : 분할 저항
21B, 21G, 21R : 라인 ab, ac, ad : 왜곡량
U, D, G : 보정코일체 Ucc1, Ucc2 : U 자형 자성체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3 개의 전자총을 수용하고 네크부 및 펀넬부를 구비한 밸브를 갖는 인라인형 컬러 음극선관용 편향요크는 화면의 수직방향으로 3 개의 전자총으로부터 방출된 빔을 편향시키는 수직 편향코일, 수직 편향코일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는 보조코일, 및 레그부를 갖고 레그부가 밸브의 네크부와 마주보도록 배열되어 있는 U 자형 자성체를 포함한다. 보조코일은 U 자형 자성체의 각각의 레그부 둘레에 감겨 있다.
본 발명에서, U 자형 자성체 둘레에 감겨 있는 보조코일은 수직 편향코일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4 중극 코일의 형태로부터 유발되는 4 중극 자계 렌즈 작용이 발생된다. 그 결과, 화면의 수직방향으로의 핀쿠션 왜곡을 보정할 수 있고, 또한 미스컨버전스를 보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상술한 편향요크를 구비한 컬러 음극선관용 미스컨버전스 보정방법은 보조코일의 각각의 인덕턴스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의 편향요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0 는 제 1 실시예의 코일 사이의 접속관계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제 1 실시예에서, 2 개의 U 자형 자성체 (Ucc1 및 Ucc2) 가 제공된다. U 자형 자성체 (Ucc1 및 Ucc2) 가 컬러 CRT 의 네크부 (도시하지 않음) 를 U 자형 자성체 (Ucc1 및 Ucc2) 의 각각의 레그부의 양단부 사이에 놓을 수 있도록 배열된다. 상부 좌측 보조코일 (L1) 및 상부 우측 보조코일 (R1) 은 U 자형 자성체 (Ucc1) 의 레그부 둘레에 각각 감겨 있고, 코마 보정코일 (CO1) 은 U 자형 자성체 (Ucc1) 의 중앙부 둘레에 감겨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하부 좌측 보조코일 (L2) 및 하부 우측 보조코일 (R2) 은 U 자형 자성체 (Ucc2) 의 레그부 둘레에 각각 감겨 있고, 코마 보정코일 (CO2) 은 U 자형 자성체 (Ucc2) 의 중앙부 둘레에 감겨 있다.
또한, 제 1 실시예에서, 수직 코일 (V1및 V2) 은 편향코일 단자 (Hot) 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편향전류 제어용 가변 저항 (VR) 은 수직 코일 (V1및 V2) 에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가변 저항 (VR) 의 콘택트 (Vrm) 는 수직 코일 (V1및 V2) 사이의 노드에 접속되어 있다. 화면의 상반부상에, 수직 코일 (V1) 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전자빔이 편향된다. 화면의 하반부상에, 수직 코일 (V2) 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전자빔이 편향된다. 또한, 코마 보정코일 (CO1및 CO2) 은 수직 코일 (V2) 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보정코일체 (U 및 D) 는 코마 보정코일 (CO2) 과 편향코일 단자 (Cold) 사이에 서로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보정코일체 (U) 에서, 정류용 다이오드 (D1), 상부 좌측 보조코일 (L1) 및 상부 우측 보조코일 (R1) 은 코마 보정코일 (CO2) 과 편향코일 단자 (Cold) 사이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정류용 다이오드 (D1) 는 다이오드 (D1) 의 애노드가 코마 보정코일 (CO2) 에 접속되도록 배열되어 있다. 또한, 가변 저항 (VR1) 의 양단은 다이오드 (D1) 와 상부 좌측 보조코일 (L1) 사이의 노드 (A), 및 상부 우측 보조코일 (R1) 의 단자 (Cold) 측 노드 (B) 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가변 저항 (VR1) 의 콘택트 (Vrlm) 는 상부 좌측 보조코일 (L1) 과 상부 우측 보조코일 (R1) 사이의 노드 (N1) 에 접속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보정코일체 (U) 는 화면의 상반부상의 화상의 수평 래스터 왜곡을 보정한다.
보정코일체 (D) 에서, 정류용 다이오드 (D2), 하부 좌측 보조코일 (L2) 및 하부 우측 보조코일 (R2) 은 코마 보정코일 (CO2) 과 편향코일 단자 (Cold) 사이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정류용 다이오드 (D2) 는 다이오드 (D2) 의 캐소드가 코마 보정코일 (CO2) 에 접속되도록 배열되어 있다. 또한, 가변 저항 (VR2) 의 양단은 다이오드 (D2) 와 하부 좌측 보조코일 (L2) 사이의 노드 (E), 및 하부 우측 보조코일 (R2) 의 단자 (Cold) 측 노드 (F) 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가변 저항 (VR2) 의 콘택트 (Vr2m) 는 하부 좌측 보조코일 (L2) 과 하부 우측 보조코일 (R2) 사이의 노드 (N2) 에 접속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보정코일체 (D) 는 화면의 하반부상의 화상의 수평 래스터 왜곡을 보정한다.
다음, 제 1 실시예의 상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편향요크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11 은 제 1 실시예의 화면의 상반부상에 화상을 만드는 방법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수직 편향에 의해 화면의 상반부상에 화상이 만들어진다면, 톱니파 편향 전류가 수직 편향회로 (도시하지 않음) 에 의해 편향코일 단자 (Hot) 로부터 편향코일 단자 (Cold) 를 향해 흐르게 된다. 그 결과, 수직 편향이 편향요크의 수직 편향부의 수직 코일 (V1) 에 의해서만 실행된다. 또한, 다이오드 (D1및 D2) 의 정류 작용에 의해, 전류가 보정코일체 (U) 에서 흐르는 반면에, 보정코일체 (D) 에서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따라서, 전자빔은 수직 코일 (V1) 및 코마 보정코일 (CO1) 에 더욱 가까워져서 더욱 영향을 받지만, 수직 코일 (V2) 및 코마 보정코일 (CO2) 에 의해서는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수직 코일 (V2) 및 코마 보정코일 (CO2) 은 도 11 의 점선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거의 단락회로라고 판단될 수도 있다.
다음, 화면의 상반부상의 수직 편향 동작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컬러 CRT 의 전원이 켜지고, 전자빔이 전자총으로부터 방출되고, 전자빔이 편향요크 및 섀도우 마스크를 통해 페이스부의 내부면상의 형광체막에 부딪힘으로써, 래스터 (화상을 의미함) 를 형성한다. 보정코일체 (U) 에서, 브리지 회로는 가변 저항 (VR1) 의 분할 저항 (Rg 및 Rh), 상부 좌측 보조코일 (L1) 및 상부 우측 보조코일 (R1) 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부 우측 보조코일 (R1) 내를 흐르는 전류에 대한 상부 좌측 보조코일 (L1) 내를 흐르는 전류의 비율은 분할 저항 (Rg 및 Rh) 에 의해 결정된다. 즉, 분할 저항 (Rg 및 Rh) 의 저항값을 조절함으로써, 각각의 작은 빔 스폿의 외형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2a 및 도 12b 는 제 1 실시예의 수평 래스터 왜곡을 나타내는 도이다. 적색 라인 (21R) 및 청색 라인 (21B) 과 녹색 라인 (21G) 사이의 왜곡량 (ac), 및 적색 라인 (21R) 과 청색 라인 (21B) 사이의 왜곡량 (ab) 은 분할 저항 (Rg 및 Rh) 의 저항값, 및 상부 좌측 보조코일 (L1) 과 상부 우측 보조코일 (R1) 의 인덕턴스에 따라 변화한다. 따라서, 가변저항 (VR1) 의 콘택트 (Vr1m) 및 분할 저항 (Rg 및 Rh) 에 의해 이 왜곡량들을 세밀히 조절할 수 있다. 즉, 상부 좌측 보조코일 (L1) 과 상부 우측 보조코일 (R1) 의 전류 흐름은 U 자형 자성체 (Ucc1) 의 양단부의 주변에서 자속 (Φ1및 Φ2) 을 각각 발생시킴으로써, 각각의 전자빔 (B 및 R) 의 수직 위치를 보정할 수 있다.
또한, 편향전류 제어용 가변 저항 (VR) 은 종래 방법의 경우와 같이 코마 수차의 보정과는 독립적으로 사다리꼴 화상 왜곡을 보정할 수 있다.
수직 편향에 의해 화면의 하반부상에 화상을 만드는 경우에, 톱니파 편향전류를 수직 편향회로에 의해 편향코일 단자 (Cold) 로부터 편향코일 단자 (Hot) 로 흐르게 할 수도 있다. 그 결과, 코마 수차 및 화상 왜곡을 화면의 상반부상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보정할 수 있다. 그런데, 왜곡량이 화면의 상반부상에서의 수직 편향의 경우와 항상 동일하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대부분의 경우, 화면의 상반부과 하반부 사이의 왜곡량은 다르다. 따라서, 다이오드 (D2), 하부 좌측 보조코일 (L2), 하부 우측 보조코일 (R2), 가변 저항 (VR2) 등의 설정을 변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4 중극 자계 렌즈는 U 자형 자성체 (Ucc1 및 Ucc2) 둘레에 감겨 있는 코마 보정코일 (CO1및 CO2) 에서 발생된 코마 수차 자계, 및 U 자형 자성체 (Ucc1 및 Ucc2) 의 양단 주변에서 발생된 자속 (Φ1및 Φ2)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4 중극 자계 렌즈는 미스컨버전스의 보정을 하게 한다.
다음,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3 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예의 편향요크의 정면도이다. 도 14 는 제 2 실시예의 코일 사이의 접속 관계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제 2 실시예에서,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부 좌측 보조코일 (L1), 상부 우측 보조코일 (R1) 및 코마 보정코일 (CO1) 은 U 자형 자성체 (Ucc1) 둘레에 감겨 있다. 하부 좌측 보조코일 (L2), 하부 우측 보조코일 (R2) 및 코마 보정코일 (CO2) 은 U 자형 자성체 (Ucc2) 둘레에 감겨 있다.
또한,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이, 수직 코일 (V1및 V2), 가변 저항 (VR) 및 코마 보정코일 (CO1및 CO2) 은 편향코일 단자 (Hot) 에 접속되어 있다. 그런데, 제 2 실시예에서, 일 보정코일체 (G) 는 코마 보정코일 (CO2) 과 편향코일 단자 (Cold)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보정코일체 (G) 에서, 상부 좌측 보조코일 (L1), 하부 좌측 보조코일 (L2), 상부 우측 보조코일 (R1) 및 하부 우측 보조코일 (R2) 은 코마 보정코일 (CO2) 과 편향코일 단자 (Cold) 사이에 이 순서로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가변 저항 (VR3) 은 4 개의 코일에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즉, 가변 저항 (VR3) 의 일 단은 코마 보정코일 (CO2) 과 상부 좌측 보조코일 (L1) 사이의 노드 (J) 에 접속되어 있고, 다른 단은 하부 우측 보조코일 (R2) 의 단자 (Cold) 측 노드 (K) 에 접속되어 있다. 가변 저항 (VR3) 의 콘택트 (Vr3m) 는 하부 좌측 보조코일 (L2) 과 상부 우측 보조코일 (R1) 사이의 노드 (N3) 에 접속되어 있다.
달리 설명하면, 제 2 실시예에서, 도 1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실시예의 보정코일체 (U 및 D) 대신에, 보정코일체 (G) 가 편향코일 단자 (Hot 및 Cold) 사이에 접속되어 있고, 수직 코일 (V1및 V2) 및 코마 보정코일 (CO1및 CO2) 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다음, 상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제 2 실시예의 편향요크의 동작을 설명한다. 제 2 실시예에서, 화면은 수직으로 나뉘어지지 않고 전체 화면이 일괄적으로 수직 편향을 거치게 된다. 도 15 는 제 2 실시예의 수평 래스터 왜곡을 나타내는 도이다.
제 2 실시예에서, 가변 저항 (VR3) 은 콘택트 (Vr3m) 에 의해 분할 저항 (Ri및 Rj) 으로 나뉘어진다. 분할 저항 (Ri 및 Rj), 상부 좌측 보조코일 (L1), 하부 좌측 보조코일 (L2), 상부 우측 보조코일 (R1) 및 하부 우측 보조코일 (R2) 은 전체로서 브리지 회로의 4 변 저항을 구성한다.
따라서, 상부 좌측 보조코일 (L1), 하부 좌측 보조코일 (L2), 상부 우측 보조코일 (R1) 및 하부 우측 보조코일 (R2) 내를 흐르는 전류는 분할 저항 (Ri 및 Rj) 에 의해 결정되는 분압비에 의해 동시에 결정된다. 그 결과, 도 1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속 (Φ3및 Φ5) 은 상부 좌측 보조코일 (L1) 및 하부 좌측 보조코일 (L2) 내의 전류 흐름에 의해 각각 발생되고, 자속 (Φ4및 Φ6) 은 상부 우측 보조코일 (R1) 및 하부 우측 보조코일 (R2) 내의 전류 흐름에 의해 각각 발생된다. 이들 자속 (Φ3, Φ4, Φ5및 Φ6) 에 의한 4 중극 자계 렌즈 작용은 양측상의 전자빔 (B 및 R) 에 실행된다. 따라서, 도 1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색 라인 (21R) 및 청색 라인 (21B) 과 녹색 라인 (21G) 사이의 왜곡량 (ad) 을 동시에 보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실시예와 비교하여 전체 화면상에서 왜곡량 (ad) 을 동시에 보정할 수 있다. 그런데, 제 1 실시예가 제 2 실시예에 비해 보정도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지금까지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컬러 CRT 용 편향요크 및 미스컨버전스 보정방법에 따르면, E 자형 자성체 대신에 U 자형 자성체를 사용함으로써 보조코일로부터 유래되는 4 중극 자계 렌즈 작용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화상 왜곡의 보정과는 독립적으로 수평 래스터 왜곡을 보정할 수 있다. 이는 화면의 Y 축방향으로 편향요크의 수직 편향부상의 과도한 미스컨버전스의 보정을 확실히 실행한다. 그 외에도, U 자형 자성체를 코마 보정코일용의 기존의 자성체와 함께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경제적으로 유용하다.
Claims (14)
- 3 개의 전자총을 수용하고 네크부 및 펀넬부를 구비한 밸브를 갖는 인라인형 컬러 음극선관용 편향요크로서,화면의 수직방향으로 상기 3 개의 전자총으로부터 방출된 빔을 편향시키는 수직 편향코일;상기 수직 편향코일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는 보조코일; 및레그부를 갖고, 상기 레그부가 상기 밸브의 상기 네크부에 마주 보도록 배열되어 있는 U 자형 자성체를 포함하고;상기 보조코일은 상기 U 자형 자성체의 각각의 상기 레그부 둘레에 감겨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
- 제 1 항에 있어서,셀프컨버전스가 상기 편향요크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
- 제 1 항에 있어서,편향자계가 상기 네크부로부터 상기 밸브의 상기 펀넬부를 향해 상기 편향요크에 의해 가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
- 제 2 항에 있어서,편향자계가 상기 네크부로부터 상기 밸브의 상기 펀넬부를 향해 상기 편향요크에 의해 가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수직 편향코일과 상기 보조코일 사이에 접속되어 있는 코마 보정코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
- 제 5 항에 있어서,상기 코마 보정코일은 상기 U 자형 자성체의 중앙부 둘레에 감겨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보조코일에 병렬로 접속되어 있는 가변 저항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변 저항의 콘택트는 상기 보조코일 사이의 노드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
- 제 1 항에 따른 상기 편향요크를 구비한 컬러 음극선관용 미스컨버전스 보정방법으로서,상기 보조코일의 각각의 인덕턴스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스컨버전스 보정방법.
- 제 2 항에 따른 상기 편향요크를 구비한 컬러 음극선관용 미스컨버전스 보정방법으로서,상기 보조코일의 각각의 인덕턴스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스컨버전스 보정방법.
- 제 3 항에 따른 상기 편향요크를 구비한 컬러 음극선관용 미스컨버전스 보정방법으로서,상기 보조코일의 각각의 인덕턴스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스컨버전스 보정방법.
- 제 4 항에 따른 상기 편향요크를 구비한 컬러 음극선관용 미스컨버전스 보정방법으로서,상기 보조코일의 각각의 인덕턴스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스컨버전스 보정방법.
- 제 5 항에 따른 상기 편향요크를 구비한 컬러 음극선관용 미스컨버전스 보정방법으로서,상기 보조코일의 각각의 인덕턴스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스컨버전스 보정방법.
- 제 6 항에 따른 상기 편향요크를 구비한 컬러 음극선관용 미스컨버전스 보정방법으로서,상기 보조코일의 각각의 인덕턴스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스컨버전스 보정방법.
- 제 7 항에 따른 상기 편향요크를 구비한 컬러 음극선관용 미스컨버전스 보정방법으로서,상기 보조코일의 각각의 인덕턴스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스컨버전스 보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0009941A JP2001196012A (ja) | 2000-01-13 | 2000-01-13 | 偏向ヨーク及びカラー陰極線管のミスコンバーゼンス補正方法 |
JP2000-009941 | 2000-01-13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86319A true KR20010086319A (ko) | 2001-09-10 |
Family
ID=18538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10001749A KR20010086319A (ko) | 2000-01-13 | 2001-01-12 | 컬러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및 미스컨버전스 보정방법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6384546B2 (ko) |
JP (1) | JP2001196012A (ko) |
KR (1) | KR20010086319A (ko) |
TW (1) | TW487945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TW495792B (en) * | 2000-07-13 | 2002-07-21 |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 Display device comprising a deflection unit |
KR100465275B1 (ko) * | 2001-01-29 | 2005-01-13 |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 편향 요크 장치 |
KR100419481B1 (ko) * | 2001-08-13 | 2004-02-19 | 엘지.필립스디스플레이(주) | 브라운관용 편향 요크의 미스컨버전스 보정 장치 |
US6759815B2 (en) * | 2001-09-03 | 2004-07-06 |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 Color picture tube device in which YH misconvergence is corrected |
US20060043867A1 (en) * | 2004-09-01 | 2006-03-02 | Matsushita Toshiba Picture Display Co., Ltd. | Color picture tube apparatus |
KR20060091895A (ko) * | 2005-02-16 | 2006-08-22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
JP2007305405A (ja) * | 2006-05-11 | 2007-11-22 | Mt Picture Display Co Ltd | カラー陰極線管装置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247093A (ja) * | 1990-02-23 | 1991-11-05 | Mitsubishi Electric Corp | 偏向ヨーク |
US5248920A (en) * | 1992-10-13 | 1993-09-28 | Zenith Electronics Corporation | Cathode ray tube dynamic electron-optic eyebrow effect distortion correction |
JPH1021850A (ja) * | 1996-06-28 | 1998-01-23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偏向ヨーク装置 |
KR19990025987U (ko) * | 1997-12-19 | 1999-07-15 | 왕중일 | 편향요크의 코마코일 구조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70895B2 (ja) * | 1986-10-31 | 1994-09-07 | 株式会社東芝 | カラ−受像管 |
JP3141983B2 (ja) | 1995-06-28 | 2001-03-07 | 東京特殊電線株式会社 | 偏向装置 |
JPH1140079A (ja) | 1997-07-15 | 1999-02-12 | Nec Kansai Ltd | カラー陰極線管及びミスコンバーゼンスの補正方法 |
-
2000
- 2000-01-13 JP JP2000009941A patent/JP2001196012A/ja active Pending
-
2001
- 2001-01-11 US US09/757,624 patent/US6384546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1-01-12 TW TW090100813A patent/TW487945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1-01-12 KR KR1020010001749A patent/KR20010086319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247093A (ja) * | 1990-02-23 | 1991-11-05 | Mitsubishi Electric Corp | 偏向ヨーク |
US5248920A (en) * | 1992-10-13 | 1993-09-28 | Zenith Electronics Corporation | Cathode ray tube dynamic electron-optic eyebrow effect distortion correction |
JPH1021850A (ja) * | 1996-06-28 | 1998-01-23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偏向ヨーク装置 |
KR19990025987U (ko) * | 1997-12-19 | 1999-07-15 | 왕중일 | 편향요크의 코마코일 구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01196012A (ja) | 2001-07-19 |
US6384546B2 (en) | 2002-05-07 |
US20010008368A1 (en) | 2001-07-19 |
TW487945B (en) | 2002-05-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113112A (en) | Color cathode ray tube apparatus | |
KR850000138B1 (ko) | 칼라텔레비젼 수상기의 표시시스템 | |
US3984723A (en) | Display system utilizing beam shape correction | |
JPS63225462A (ja) | カラ−受像管 | |
KR100284483B1 (ko) | 편향 요크의 미스컨버전스 및 기하학적 왜곡 보정 장칙 | |
KR20010086319A (ko) | 컬러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및 미스컨버전스 보정방법 | |
JP2000251761A (ja) | カラー陰極線管装置 | |
US6326742B1 (en) | Color CRT with cross-misconvergence correction device | |
KR0139475B1 (ko) | 컬러 음극선관용 전자 편향 요크 | |
US6498443B2 (en) | Color TV tube apparatus and color display tube apparatus | |
KR20020050074A (ko) | 편향 요오크 및 음극선관 장치 | |
KR100443743B1 (ko) | 편향요크의 미스컨버전스 보정장치의 개선 회로 | |
KR0120082Y1 (ko) |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 | |
US6252359B1 (en) | Deflection apparatus | |
JP2862575B2 (ja) | カラー受像管 | |
JP2692858B2 (ja) | カラー受像管装置 | |
JP3215132B2 (ja) | インライン型カラー受像管装置 | |
JPH11176358A (ja) | インライン型カラー受像管用偏向ヨーク | |
KR100410950B1 (ko) | 편향 요크 | |
JPH05190116A (ja) | カラー受像管用偏向装置 | |
JP2003244716A (ja) | 偏向ヨークおよびそれを用いたカラー陰極線管 | |
JP2003016971A (ja) | ラスター歪補正回路、偏向ヨーク装置及びカラー受像管装置 | |
US20020060534A1 (en) | Inline self-convergence type deflection yoke including compensating inductor | |
KR20040093828A (ko) | 편향요크의 미스컨버전스 보정장치 | |
JP2000285823A (ja) | カラーブラウン管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