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6319A - 컬러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및 미스컨버전스 보정방법 - Google Patents

컬러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및 미스컨버전스 보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6319A
KR20010086319A KR1020010001749A KR20010001749A KR20010086319A KR 20010086319 A KR20010086319 A KR 20010086319A KR 1020010001749 A KR1020010001749 A KR 1020010001749A KR 20010001749 A KR20010001749 A KR 20010001749A KR 20010086319 A KR20010086319 A KR 200100863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deflection
deflection yoke
misconvergence
ray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1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까지마고지
Original Assignee
가네꼬 히사시
닛뽕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네꼬 히사시, 닛뽕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가네꼬 히사시
Publication of KR20010086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631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2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along one straight line or along two perpendicular straight lines
    • H01J29/76Deflecting by magnetic fields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01Systems for correcting deviation or convergence of a plurality of beams by means of magnetic fields at least
    • H01J29/707Arrangements intimately associated with parts of the gun and co-operating with external magnetic excitation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01Systems for correcting deviation or convergence of a plurality of beams by means of magnetic fields at least
    • H01J29/702Convergence correction arrangements therefor
    • H01J29/705Dynamic convergence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56Correction of beam optics
    • H01J2229/568Correction of beam optics using supplementary correction devices
    • H01J2229/5681Correction of beam optics using supplementary correction devices magnetic
    • H01J2229/5687Auxiliary coils

Landscapes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 Manufacture Of Electron Tubes, Discharge Lamp Vessels, Lead-In Wir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인라인형 컬러 음극선관 편향요크는 편향자계를 3 개의 전자총을 수용하는 밸브의 네크부로부터 밸브의 펀넬부를 향하는 전자빔에 채택한다. 편향요크는 수직 편향코일, 수직 편향코일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는 보조코일, 및 양쪽 레그부 각각의 둘레에 보조코일이 감겨 있는 U 자형 자성체를 구비한다. U 자형 자성체는 레그부가 네크부와 마주 보도록 배열되어 있다.

Description

컬러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및 미스컨버전스 보정방법{DEFLECTION YOKE AND MIS-CONVERGENCE CORRECTION METHOD FOR COLOR CATHODE-RAY TUBE}
본 발명은 인라인형 컬러 음극선관에 부착된 편향요크, 및 화면의 Y 축상의 미스컨버전스를 보정하는 컬러 음극선관용 미스컨버전스 보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편향요크, 및 코마 수차 및 미스컨버전스를 동시에 보정할 수 있는 미스컨버전스 보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라인형 컬러 음극선관 (이하, "컬러 CRT"라 함) 을 구비한 컬러 표시장치가 있다. 인라인형 컬러 CRT 에서, 전자빔이 진공 밸브내에서 전자총으로부터 청색, 녹색, 적색에 대해 각각 방출된다. 전자빔은 전자기 코일 등으로 이루어진 편향요크에 의해 X 축 및 Y 축 방향으로 편향되고 섀도우 마스크를 통해 형광체막에 도달한다.
상술한 인라인형 컬러 CRT 에서, 전자빔은 편향요크에 의해 X 축 및 Y 축 방향으로 전자빔을 편향시킬 때에 심하게 왜곡되는 편향자계를 통과한다. 이러한 이유로, 3 개의 전자빔은 충분히 집속되지 못한다. 이러한 현상을 미스컨버전스라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인라인 셀프컨버전스 시스템이라 하는 시스템을 채택한 컬러 CRT 가 제공된다. 도 1a 및 1b 는 인라인 셀프컨버전스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이다. 인라인 셀프컨버전스 시스템에서, 핀쿠션 (pin cushion) 형 수평편향자계분포를 갖는 편향자계 (101) (도 1a) 및 배럴형 수직편향자계분포를 갖는 편향자계 (102) (도 1b) 가 형성된다. 동일 수평면에 얼라이닝된 인라인 전자총으로부터 방출된 3 개의 전자빔 (10B, 10G 및 10R) 은 편향자계 (101 및 102) 에 의해 편향되고 화면상의 임의의 점에 각각 집속된다.
인라인 셀프컨버전스 시스템은 3 개의 전자빔 (10B, 10G 및 10R) 을 집속하기 위해 소수의 전기회로를 구비하는 것으로 충분하고 조절 등이 드물게 요구되고, 매우 정확한 집속을 실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점을 갖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스폿의 수평 직경을 최소화할 수 있는 포커스 전압 (Vfh) 과 스폿의 수직 직경을 최소화할 수 있는 포커스 전압 (Vfv) 은 서로 다르고, 이 둘 포커스 전압간의 차 ΔVf = Vfh - Vfv 는 음이다. 즉, 수직방향으로 전자빔의 집속상태는 오버포커스상태이다. 이와 같은 이유로, 화면의 주변부상에 전자빔의 형태의 왜곡을 세밀하게 관찰한다면, 비점수차 (astigmatism) 때문에 수직방향으로 해일로 (halo) 가 발생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2 는 종래 화면상에 전자빔 스폿을 나타내는 도이다. 전자빔 (10B, 10G 및 10R) 은 셀프컨버전스 자계 (101 및 102) 를 통과할 때 셀프컨버전스 자계 (101 및 102) 의 자계 왜곡에 의해 영향받는다. 그 결과, 전자빔 스폿의 형태는 화면의 중앙부에서 둥글어지고, 편향이 거의 없다. 그런데, 전자빔이 화면의 주변부로 편향된다면, 각각의 전자빔 스폿의 형태는 장방형 빔 코어 (111), 및 빔 코어 (111) 의 상하에서 발생되는 방사 해일로 (112) 를 갖는 형태, 즉, 왜곡된 형태가 된다. 따라서, 화면의 주변부상에 각각의 왜곡된 전자빔 스폿의 직경이 화면의 중앙부의 거의 둥근 스폿의 직경보다 큼으로써, 화면의 주변부의 해상도가 떨어지게 된다.
또한, 편향자계의 비대칭 때문에, 편향주파수로서 3 개의 전자빔중에 중앙 빔 (G) 과 측 빔 (B 및 R) 사이에 발생하는 미스컨버전스를 유발하는 코마 수차는 더욱 높다. 따라서, 코마 수차를 제거하는 것이 또한 필요하다. 도 3a 내지 도 3d 는 미스컨버전스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 는 수평 래스터 왜곡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코마 수차에 의해 유발되는 미스컨버전스는, 도 3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의 상단 및 하단상에 수평 방향으로 적색 라인 (20R) 및 청색 라인 (20B) 이 서로 분리되는 아크 왜곡, 도 3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의 상단 및 하단상에 수직방향으로 적색 라인 (21R) 및 청색 라인 (21B) 이 서로 분리되는 왜곡, 및 도 3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적색 라인 (21R) 및 청색 라인 (21B) 이 녹색 라인 (21G) 으로부터 분리되는 왜곡을 포함한다. 또한, 도3d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래 직사각형이어야 하는 형상이 핀쿠션형 자계분포 및 배럴형 자계분포의 영향 때문에 사다리꼴형 (30) 으로 왜곡된다면, 왜곡된 형상은 CAD, CAM 등에 가시적으로 특히 부적당하고 더욱더 결함을 유발한다. 또한,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의 수평방향으로 적색 라인 (21R) 및 청색 라인 (21B) 이 녹색 라인 (21G) 으로부터 벗어나는 평행한 왜곡이 있다면, 그 결과 화상을 보기 어렵게 된다.
상술한 미스컨버전스는 통상 컬러 CRT 의 전자총의 관점에서는 3 개의 전자빔의 기계적 중앙부와 편향자계의 기계적 중앙부 사이의 편차로부터 유발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미스컨버전스는 편향요크의 관점에서는 편향코일상에 제공되는 편향전류 제어용 가변 저항이 코마 수차 및 화상의 왜곡을 동시에 보정하도록 하는 설계로부터 유발된다고 판단된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 한 쌍의 E 자형 자성체를 구비한 편향요크를 사용하는 미스컨버전스 보정방법이 제안되었다 (일본 특개평9-17355호). 도 5 는 일본 특개평9-17355호 공보에 개시된 종래 편향장치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6 은 종래 편향장치에 의해 발생된 자계를 나타내는 도이다.
종래 편향장치는 컬러 CRT 의 네크부 (40) 에 부착된 편향요크 보빈상에 설치된 한 쌍의 E 자형 자성체 (41 및 42) 를 구비한다. 코마 보정코일 (51a 및 51c) 은 E 자형 자성체 (41) 의 양단상에 E 자형 자성체 (41) 의 레그부 (41a 및 41c) 둘레에 각각 감겨 있다. 코마 보정코일 (51b) 은 E 자형 자성체 (41) 의 중앙 레그부 (41b) 둘레에 감겨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코마 보정코일(52a 및 52c) 은 E 자형 자성체 (42) 의 양단상에 E 자형 자성체 (42) 의 레그부 (42a 및 42c) 둘레에 각각 감겨 있다. 코마 보정코일 (52b) 은 E 자형 자성체 (42) 의 중앙 레그부 (42b) 둘레에 감겨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 편향장치에서,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쿠션형 편향자계 (60a) 는 레그부 (41a 및 42a) 사이에서 발생되고, 핀쿠션형 편향자계 (60c) 는 레그부 (41c 및 42c) 사이에서 발생된다. 배럴형 편향자계 (61b) 는 레그부 (41b 및 42b) 사이에서 발생된다. 그 결과, 비점수차 및 미스컨버전스를 동시에 보정할 수 있다.
상술한 종래 미스컨버전스 보정방법은 비점수차 및 미스컨버전스를 간단한 수단에 의해 비교적 쉬운 방법으로 동시에 보정할 수 있지만,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3 개의 코마 보정코일을 각각의 E 자형 자성체에 설치하기 때문에, E 자형 자성체에 대한 지지대의 주형 구조가 더욱 복잡해진다. 따라서, 제조 비용이 증가되고 경제적으로 이 방법을 실행하기 어렵다.
또한,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의 상단 및 하단상에 적색 라인 (21R) 및 청색 라인 (21B) 과 녹색 라인 (21G) 사이의 수평 편차가 작고, 화면의 좌단 및 우단상에 적색 라인 (21R) 및 청색 라인 (21B) 과 녹색 라인 (21G) 사이의 수직 편차가 크다. 이와 같은 이유로, 편차를 보정하는데 근본적인 한계가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일본 특개평11-40079호 공보에 도시된 바와 같이, E 자형자성체가 편향요크의 전자총측 배단부상에 배열되도록 한다. 도 7 은 E 자형 자성체를 설치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8 은 자속밀도의 비대칭으로부터 유발되는 미스컨버전스를 나타내는 도이다. 편향요크의 구조의 관점에서 도시된 배열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바람직하지 않다.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낮은 히스테리시스의 고투자율 자성체 (74) 는 통상 보빈 (73) 에 부착되고, 전자총 (71) 측상의 편향요크 (70) 의 배단부상에 수평 편향코일 (72) 로부터의 누설 자속을 교차한다. 이는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인 (22G, 22B 및 22R) 의 자속 분포밀도가 화면의 좌측 및 우측 위치상에서 비대칭이 되기 때문에 발생된 컨버전스를 보정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E 자형 자성체를 채택하는 경우에, 이러한 미스컨버전스 보정방법을 채택할 수 없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E 자형 자성체상에 코마 보정코일을 설치하는 방법과는 다른 미스컨버전스 보정방법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저가로 생산할 수 있고 비점수차 및 미스컨버전스를 동시에 보정할 수 있는 컬러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및 미스컨버전스 보정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a 및 1b 는 인라인 셀프컨버전스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
도 2 는 종래 화면상의 전자빔 스폿을 나타내는 도;
도 3a 내지 3d 는 미스컨버전스를 나타내는 도;
도 4 는 수평 래스터 왜곡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
도 5 는 일본 특개평9-17355호 공보에 개시된 종래 편향장치를 나타내는 도;
도 6 은 종래 편향장치에 의해 발생된 자계를 나타내는 도;
도 7 은 E 자형 자성체가 설치된 설치 위치를 나타내는 도;
도 8 은 자속밀도의 비대칭으로부터 유래되는 미스컨버전스를 나타내는 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의 미스컨버전스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0 은 제 1 실시예의 코일 사이의 접속관계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11 은 제 1 실시예의 화면의 상반부상에 화상을 만드는 방법을 나타내는 회로도;
도 12a 및 12b 는 제 1 실시예의 수평 래스터 왜곡을 나타내는 도;
도 13 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예의 편향요크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4 는 제 2 실시예의 코일 사이의 접속관계를 나타내는 회로도; 및
도 15 는 제 2 실시예의 수평 래스터 왜곡을 나타내는 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V1, V2: 수직 코일 CO1, CO2: 코마 수차 코일
D1, D2: 다이오드 L1: 상부 좌측 보조코일
L2: 하부 좌측 보조코일 R1: 상부 우측 보조코일
R2: 하부 우측 보조코일 VR, VR1, VR2, VR3: 가변 저항
Vr1m, Vr2m, Vr3m : 콘택트 Rg, Rh, Ri, Rj : 분할 저항
21B, 21G, 21R : 라인 ab, ac, ad : 왜곡량
U, D, G : 보정코일체 Ucc1, Ucc2 : U 자형 자성체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3 개의 전자총을 수용하고 네크부 및 펀넬부를 구비한 밸브를 갖는 인라인형 컬러 음극선관용 편향요크는 화면의 수직방향으로 3 개의 전자총으로부터 방출된 빔을 편향시키는 수직 편향코일, 수직 편향코일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는 보조코일, 및 레그부를 갖고 레그부가 밸브의 네크부와 마주보도록 배열되어 있는 U 자형 자성체를 포함한다. 보조코일은 U 자형 자성체의 각각의 레그부 둘레에 감겨 있다.
본 발명에서, U 자형 자성체 둘레에 감겨 있는 보조코일은 수직 편향코일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4 중극 코일의 형태로부터 유발되는 4 중극 자계 렌즈 작용이 발생된다. 그 결과, 화면의 수직방향으로의 핀쿠션 왜곡을 보정할 수 있고, 또한 미스컨버전스를 보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상술한 편향요크를 구비한 컬러 음극선관용 미스컨버전스 보정방법은 보조코일의 각각의 인덕턴스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의 편향요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0 는 제 1 실시예의 코일 사이의 접속관계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제 1 실시예에서, 2 개의 U 자형 자성체 (Ucc1 및 Ucc2) 가 제공된다. U 자형 자성체 (Ucc1 및 Ucc2) 가 컬러 CRT 의 네크부 (도시하지 않음) 를 U 자형 자성체 (Ucc1 및 Ucc2) 의 각각의 레그부의 양단부 사이에 놓을 수 있도록 배열된다. 상부 좌측 보조코일 (L1) 및 상부 우측 보조코일 (R1) 은 U 자형 자성체 (Ucc1) 의 레그부 둘레에 각각 감겨 있고, 코마 보정코일 (CO1) 은 U 자형 자성체 (Ucc1) 의 중앙부 둘레에 감겨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하부 좌측 보조코일 (L2) 및 하부 우측 보조코일 (R2) 은 U 자형 자성체 (Ucc2) 의 레그부 둘레에 각각 감겨 있고, 코마 보정코일 (CO2) 은 U 자형 자성체 (Ucc2) 의 중앙부 둘레에 감겨 있다.
또한, 제 1 실시예에서, 수직 코일 (V1및 V2) 은 편향코일 단자 (Hot) 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편향전류 제어용 가변 저항 (VR) 은 수직 코일 (V1및 V2) 에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가변 저항 (VR) 의 콘택트 (Vrm) 는 수직 코일 (V1및 V2) 사이의 노드에 접속되어 있다. 화면의 상반부상에, 수직 코일 (V1) 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전자빔이 편향된다. 화면의 하반부상에, 수직 코일 (V2) 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전자빔이 편향된다. 또한, 코마 보정코일 (CO1및 CO2) 은 수직 코일 (V2) 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보정코일체 (U 및 D) 는 코마 보정코일 (CO2) 과 편향코일 단자 (Cold) 사이에 서로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보정코일체 (U) 에서, 정류용 다이오드 (D1), 상부 좌측 보조코일 (L1) 및 상부 우측 보조코일 (R1) 은 코마 보정코일 (CO2) 과 편향코일 단자 (Cold) 사이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정류용 다이오드 (D1) 는 다이오드 (D1) 의 애노드가 코마 보정코일 (CO2) 에 접속되도록 배열되어 있다. 또한, 가변 저항 (VR1) 의 양단은 다이오드 (D1) 와 상부 좌측 보조코일 (L1) 사이의 노드 (A), 및 상부 우측 보조코일 (R1) 의 단자 (Cold) 측 노드 (B) 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가변 저항 (VR1) 의 콘택트 (Vrlm) 는 상부 좌측 보조코일 (L1) 과 상부 우측 보조코일 (R1) 사이의 노드 (N1) 에 접속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보정코일체 (U) 는 화면의 상반부상의 화상의 수평 래스터 왜곡을 보정한다.
보정코일체 (D) 에서, 정류용 다이오드 (D2), 하부 좌측 보조코일 (L2) 및 하부 우측 보조코일 (R2) 은 코마 보정코일 (CO2) 과 편향코일 단자 (Cold) 사이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정류용 다이오드 (D2) 는 다이오드 (D2) 의 캐소드가 코마 보정코일 (CO2) 에 접속되도록 배열되어 있다. 또한, 가변 저항 (VR2) 의 양단은 다이오드 (D2) 와 하부 좌측 보조코일 (L2) 사이의 노드 (E), 및 하부 우측 보조코일 (R2) 의 단자 (Cold) 측 노드 (F) 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가변 저항 (VR2) 의 콘택트 (Vr2m) 는 하부 좌측 보조코일 (L2) 과 하부 우측 보조코일 (R2) 사이의 노드 (N2) 에 접속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보정코일체 (D) 는 화면의 하반부상의 화상의 수평 래스터 왜곡을 보정한다.
다음, 제 1 실시예의 상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편향요크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11 은 제 1 실시예의 화면의 상반부상에 화상을 만드는 방법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수직 편향에 의해 화면의 상반부상에 화상이 만들어진다면, 톱니파 편향 전류가 수직 편향회로 (도시하지 않음) 에 의해 편향코일 단자 (Hot) 로부터 편향코일 단자 (Cold) 를 향해 흐르게 된다. 그 결과, 수직 편향이 편향요크의 수직 편향부의 수직 코일 (V1) 에 의해서만 실행된다. 또한, 다이오드 (D1및 D2) 의 정류 작용에 의해, 전류가 보정코일체 (U) 에서 흐르는 반면에, 보정코일체 (D) 에서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따라서, 전자빔은 수직 코일 (V1) 및 코마 보정코일 (CO1) 에 더욱 가까워져서 더욱 영향을 받지만, 수직 코일 (V2) 및 코마 보정코일 (CO2) 에 의해서는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수직 코일 (V2) 및 코마 보정코일 (CO2) 은 도 11 의 점선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거의 단락회로라고 판단될 수도 있다.
다음, 화면의 상반부상의 수직 편향 동작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컬러 CRT 의 전원이 켜지고, 전자빔이 전자총으로부터 방출되고, 전자빔이 편향요크 및 섀도우 마스크를 통해 페이스부의 내부면상의 형광체막에 부딪힘으로써, 래스터 (화상을 의미함) 를 형성한다. 보정코일체 (U) 에서, 브리지 회로는 가변 저항 (VR1) 의 분할 저항 (Rg 및 Rh), 상부 좌측 보조코일 (L1) 및 상부 우측 보조코일 (R1) 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부 우측 보조코일 (R1) 내를 흐르는 전류에 대한 상부 좌측 보조코일 (L1) 내를 흐르는 전류의 비율은 분할 저항 (Rg 및 Rh) 에 의해 결정된다. 즉, 분할 저항 (Rg 및 Rh) 의 저항값을 조절함으로써, 각각의 작은 빔 스폿의 외형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2a 및 도 12b 는 제 1 실시예의 수평 래스터 왜곡을 나타내는 도이다. 적색 라인 (21R) 및 청색 라인 (21B) 과 녹색 라인 (21G) 사이의 왜곡량 (ac), 및 적색 라인 (21R) 과 청색 라인 (21B) 사이의 왜곡량 (ab) 은 분할 저항 (Rg 및 Rh) 의 저항값, 및 상부 좌측 보조코일 (L1) 과 상부 우측 보조코일 (R1) 의 인덕턴스에 따라 변화한다. 따라서, 가변저항 (VR1) 의 콘택트 (Vr1m) 및 분할 저항 (Rg 및 Rh) 에 의해 이 왜곡량들을 세밀히 조절할 수 있다. 즉, 상부 좌측 보조코일 (L1) 과 상부 우측 보조코일 (R1) 의 전류 흐름은 U 자형 자성체 (Ucc1) 의 양단부의 주변에서 자속 (Φ1및 Φ2) 을 각각 발생시킴으로써, 각각의 전자빔 (B 및 R) 의 수직 위치를 보정할 수 있다.
또한, 편향전류 제어용 가변 저항 (VR) 은 종래 방법의 경우와 같이 코마 수차의 보정과는 독립적으로 사다리꼴 화상 왜곡을 보정할 수 있다.
수직 편향에 의해 화면의 하반부상에 화상을 만드는 경우에, 톱니파 편향전류를 수직 편향회로에 의해 편향코일 단자 (Cold) 로부터 편향코일 단자 (Hot) 로 흐르게 할 수도 있다. 그 결과, 코마 수차 및 화상 왜곡을 화면의 상반부상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보정할 수 있다. 그런데, 왜곡량이 화면의 상반부상에서의 수직 편향의 경우와 항상 동일하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대부분의 경우, 화면의 상반부과 하반부 사이의 왜곡량은 다르다. 따라서, 다이오드 (D2), 하부 좌측 보조코일 (L2), 하부 우측 보조코일 (R2), 가변 저항 (VR2) 등의 설정을 변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4 중극 자계 렌즈는 U 자형 자성체 (Ucc1 및 Ucc2) 둘레에 감겨 있는 코마 보정코일 (CO1및 CO2) 에서 발생된 코마 수차 자계, 및 U 자형 자성체 (Ucc1 및 Ucc2) 의 양단 주변에서 발생된 자속 (Φ1및 Φ2)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4 중극 자계 렌즈는 미스컨버전스의 보정을 하게 한다.
다음,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3 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예의 편향요크의 정면도이다. 도 14 는 제 2 실시예의 코일 사이의 접속 관계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제 2 실시예에서,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부 좌측 보조코일 (L1), 상부 우측 보조코일 (R1) 및 코마 보정코일 (CO1) 은 U 자형 자성체 (Ucc1) 둘레에 감겨 있다. 하부 좌측 보조코일 (L2), 하부 우측 보조코일 (R2) 및 코마 보정코일 (CO2) 은 U 자형 자성체 (Ucc2) 둘레에 감겨 있다.
또한,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이, 수직 코일 (V1및 V2), 가변 저항 (VR) 및 코마 보정코일 (CO1및 CO2) 은 편향코일 단자 (Hot) 에 접속되어 있다. 그런데, 제 2 실시예에서, 일 보정코일체 (G) 는 코마 보정코일 (CO2) 과 편향코일 단자 (Cold)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보정코일체 (G) 에서, 상부 좌측 보조코일 (L1), 하부 좌측 보조코일 (L2), 상부 우측 보조코일 (R1) 및 하부 우측 보조코일 (R2) 은 코마 보정코일 (CO2) 과 편향코일 단자 (Cold) 사이에 이 순서로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가변 저항 (VR3) 은 4 개의 코일에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즉, 가변 저항 (VR3) 의 일 단은 코마 보정코일 (CO2) 과 상부 좌측 보조코일 (L1) 사이의 노드 (J) 에 접속되어 있고, 다른 단은 하부 우측 보조코일 (R2) 의 단자 (Cold) 측 노드 (K) 에 접속되어 있다. 가변 저항 (VR3) 의 콘택트 (Vr3m) 는 하부 좌측 보조코일 (L2) 과 상부 우측 보조코일 (R1) 사이의 노드 (N3) 에 접속되어 있다.
달리 설명하면, 제 2 실시예에서, 도 1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실시예의 보정코일체 (U 및 D) 대신에, 보정코일체 (G) 가 편향코일 단자 (Hot 및 Cold) 사이에 접속되어 있고, 수직 코일 (V1및 V2) 및 코마 보정코일 (CO1및 CO2) 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다음, 상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제 2 실시예의 편향요크의 동작을 설명한다. 제 2 실시예에서, 화면은 수직으로 나뉘어지지 않고 전체 화면이 일괄적으로 수직 편향을 거치게 된다. 도 15 는 제 2 실시예의 수평 래스터 왜곡을 나타내는 도이다.
제 2 실시예에서, 가변 저항 (VR3) 은 콘택트 (Vr3m) 에 의해 분할 저항 (Ri및 Rj) 으로 나뉘어진다. 분할 저항 (Ri 및 Rj), 상부 좌측 보조코일 (L1), 하부 좌측 보조코일 (L2), 상부 우측 보조코일 (R1) 및 하부 우측 보조코일 (R2) 은 전체로서 브리지 회로의 4 변 저항을 구성한다.
따라서, 상부 좌측 보조코일 (L1), 하부 좌측 보조코일 (L2), 상부 우측 보조코일 (R1) 및 하부 우측 보조코일 (R2) 내를 흐르는 전류는 분할 저항 (Ri 및 Rj) 에 의해 결정되는 분압비에 의해 동시에 결정된다. 그 결과, 도 1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속 (Φ3및 Φ5) 은 상부 좌측 보조코일 (L1) 및 하부 좌측 보조코일 (L2) 내의 전류 흐름에 의해 각각 발생되고, 자속 (Φ4및 Φ6) 은 상부 우측 보조코일 (R1) 및 하부 우측 보조코일 (R2) 내의 전류 흐름에 의해 각각 발생된다. 이들 자속 (Φ3, Φ4, Φ5및 Φ6) 에 의한 4 중극 자계 렌즈 작용은 양측상의 전자빔 (B 및 R) 에 실행된다. 따라서, 도 1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색 라인 (21R) 및 청색 라인 (21B) 과 녹색 라인 (21G) 사이의 왜곡량 (ad) 을 동시에 보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실시예와 비교하여 전체 화면상에서 왜곡량 (ad) 을 동시에 보정할 수 있다. 그런데, 제 1 실시예가 제 2 실시예에 비해 보정도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지금까지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컬러 CRT 용 편향요크 및 미스컨버전스 보정방법에 따르면, E 자형 자성체 대신에 U 자형 자성체를 사용함으로써 보조코일로부터 유래되는 4 중극 자계 렌즈 작용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화상 왜곡의 보정과는 독립적으로 수평 래스터 왜곡을 보정할 수 있다. 이는 화면의 Y 축방향으로 편향요크의 수직 편향부상의 과도한 미스컨버전스의 보정을 확실히 실행한다. 그 외에도, U 자형 자성체를 코마 보정코일용의 기존의 자성체와 함께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경제적으로 유용하다.

Claims (14)

  1. 3 개의 전자총을 수용하고 네크부 및 펀넬부를 구비한 밸브를 갖는 인라인형 컬러 음극선관용 편향요크로서,
    화면의 수직방향으로 상기 3 개의 전자총으로부터 방출된 빔을 편향시키는 수직 편향코일;
    상기 수직 편향코일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는 보조코일; 및
    레그부를 갖고, 상기 레그부가 상기 밸브의 상기 네크부에 마주 보도록 배열되어 있는 U 자형 자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코일은 상기 U 자형 자성체의 각각의 상기 레그부 둘레에 감겨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
  2. 제 1 항에 있어서,
    셀프컨버전스가 상기 편향요크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
  3. 제 1 항에 있어서,
    편향자계가 상기 네크부로부터 상기 밸브의 상기 펀넬부를 향해 상기 편향요크에 의해 가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
  4. 제 2 항에 있어서,
    편향자계가 상기 네크부로부터 상기 밸브의 상기 펀넬부를 향해 상기 편향요크에 의해 가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편향코일과 상기 보조코일 사이에 접속되어 있는 코마 보정코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코마 보정코일은 상기 U 자형 자성체의 중앙부 둘레에 감겨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코일에 병렬로 접속되어 있는 가변 저항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변 저항의 콘택트는 상기 보조코일 사이의 노드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
  8. 제 1 항에 따른 상기 편향요크를 구비한 컬러 음극선관용 미스컨버전스 보정방법으로서,
    상기 보조코일의 각각의 인덕턴스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스컨버전스 보정방법.
  9. 제 2 항에 따른 상기 편향요크를 구비한 컬러 음극선관용 미스컨버전스 보정방법으로서,
    상기 보조코일의 각각의 인덕턴스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스컨버전스 보정방법.
  10. 제 3 항에 따른 상기 편향요크를 구비한 컬러 음극선관용 미스컨버전스 보정방법으로서,
    상기 보조코일의 각각의 인덕턴스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스컨버전스 보정방법.
  11. 제 4 항에 따른 상기 편향요크를 구비한 컬러 음극선관용 미스컨버전스 보정방법으로서,
    상기 보조코일의 각각의 인덕턴스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스컨버전스 보정방법.
  12. 제 5 항에 따른 상기 편향요크를 구비한 컬러 음극선관용 미스컨버전스 보정방법으로서,
    상기 보조코일의 각각의 인덕턴스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스컨버전스 보정방법.
  13. 제 6 항에 따른 상기 편향요크를 구비한 컬러 음극선관용 미스컨버전스 보정방법으로서,
    상기 보조코일의 각각의 인덕턴스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스컨버전스 보정방법.
  14. 제 7 항에 따른 상기 편향요크를 구비한 컬러 음극선관용 미스컨버전스 보정방법으로서,
    상기 보조코일의 각각의 인덕턴스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스컨버전스 보정방법.
KR1020010001749A 2000-01-13 2001-01-12 컬러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및 미스컨버전스 보정방법 KR2001008631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09941A JP2001196012A (ja) 2000-01-13 2000-01-13 偏向ヨーク及びカラー陰極線管のミスコンバーゼンス補正方法
JP2000-009941 2000-01-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6319A true KR20010086319A (ko) 2001-09-10

Family

ID=18538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1749A KR20010086319A (ko) 2000-01-13 2001-01-12 컬러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및 미스컨버전스 보정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384546B2 (ko)
JP (1) JP2001196012A (ko)
KR (1) KR20010086319A (ko)
TW (1) TW48794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495792B (en) * 2000-07-13 2002-07-21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Display device comprising a deflection unit
KR100465275B1 (ko) * 2001-01-29 2005-01-13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편향 요크 장치
KR100419481B1 (ko) * 2001-08-13 2004-02-19 엘지.필립스디스플레이(주) 브라운관용 편향 요크의 미스컨버전스 보정 장치
US6759815B2 (en) * 2001-09-03 2004-07-0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olor picture tube device in which YH misconvergence is corrected
US20060043867A1 (en) * 2004-09-01 2006-03-02 Matsushita Toshiba Picture Display Co., Ltd. Color picture tube apparatus
KR20060091895A (ko) * 2005-02-16 2006-08-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JP2007305405A (ja) * 2006-05-11 2007-11-22 Mt Picture Display Co Ltd カラー陰極線管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47093A (ja) * 1990-02-23 1991-11-05 Mitsubishi Electric Corp 偏向ヨーク
US5248920A (en) * 1992-10-13 1993-09-28 Zenith Electronics Corporation Cathode ray tube dynamic electron-optic eyebrow effect distortion correction
JPH1021850A (ja) * 1996-06-28 1998-01-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偏向ヨーク装置
KR19990025987U (ko) * 1997-12-19 1999-07-15 왕중일 편향요크의 코마코일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0895B2 (ja) * 1986-10-31 1994-09-07 株式会社東芝 カラ−受像管
JP3141983B2 (ja) 1995-06-28 2001-03-07 東京特殊電線株式会社 偏向装置
JPH1140079A (ja) 1997-07-15 1999-02-12 Nec Kansai Ltd カラー陰極線管及びミスコンバーゼンスの補正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47093A (ja) * 1990-02-23 1991-11-05 Mitsubishi Electric Corp 偏向ヨーク
US5248920A (en) * 1992-10-13 1993-09-28 Zenith Electronics Corporation Cathode ray tube dynamic electron-optic eyebrow effect distortion correction
JPH1021850A (ja) * 1996-06-28 1998-01-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偏向ヨーク装置
KR19990025987U (ko) * 1997-12-19 1999-07-15 왕중일 편향요크의 코마코일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1196012A (ja) 2001-07-19
US6384546B2 (en) 2002-05-07
US20010008368A1 (en) 2001-07-19
TW487945B (en) 2002-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13112A (en) Color cathode ray tube apparatus
KR850000138B1 (ko) 칼라텔레비젼 수상기의 표시시스템
US3984723A (en) Display system utilizing beam shape correction
JPS63225462A (ja) カラ−受像管
KR100284483B1 (ko) 편향 요크의 미스컨버전스 및 기하학적 왜곡 보정 장칙
KR20010086319A (ko) 컬러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및 미스컨버전스 보정방법
JP2000251761A (ja) カラー陰極線管装置
US6326742B1 (en) Color CRT with cross-misconvergence correction device
KR0139475B1 (ko) 컬러 음극선관용 전자 편향 요크
US6498443B2 (en) Color TV tube apparatus and color display tube apparatus
KR20020050074A (ko) 편향 요오크 및 음극선관 장치
KR100443743B1 (ko) 편향요크의 미스컨버전스 보정장치의 개선 회로
KR0120082Y1 (ko)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
US6252359B1 (en) Deflection apparatus
JP2862575B2 (ja) カラー受像管
JP2692858B2 (ja) カラー受像管装置
JP3215132B2 (ja) インライン型カラー受像管装置
JPH11176358A (ja) インライン型カラー受像管用偏向ヨーク
KR100410950B1 (ko) 편향 요크
JPH05190116A (ja) カラー受像管用偏向装置
JP2003244716A (ja) 偏向ヨークおよびそれを用いたカラー陰極線管
JP2003016971A (ja) ラスター歪補正回路、偏向ヨーク装置及びカラー受像管装置
US20020060534A1 (en) Inline self-convergence type deflection yoke including compensating inductor
KR20040093828A (ko) 편향요크의 미스컨버전스 보정장치
JP2000285823A (ja) カラーブラウン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