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10001808B1 - 칼러텔레비젼 수신기용 편향 요크장치 - Google Patents

칼러텔레비젼 수신기용 편향 요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10001808B1
KR810001808B1 KR7700858A KR770000858A KR810001808B1 KR 810001808 B1 KR810001808 B1 KR 810001808B1 KR 7700858 A KR7700858 A KR 7700858A KR 770000858 A KR770000858 A KR 770000858A KR 810001808 B1 KR810001808 B1 KR 8100018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field
deflection
deflection yoke
beams
horizontal def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700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쯔하루 아까쓰
이찌로오 니이쓰
마사오 오하라
료오이찌 히로다
슈조 마쓰모도
다께스께 마루야마
Original Assignee
요시야마 히로기찌
주식회사 히다찌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시야마 히로기찌, 주식회사 히다찌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요시야마 히로기찌
Priority to KR7700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8100018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10001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100018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칼러텔레비젼 수신기용 편향 요크장치
제1도는 90˚편향인라인형 칼러수상관의 편향자계를 나타낸 도면.
제2도는 제1도의 편향 자계에 의한 코마를 나타낸 패턴도.
제3, 제4도는 본 발명 편향요크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자계 분포도.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편향요크장치에 사용하는 수평편향 코일 측면도.
제6도는 제5도의 A-A′선 단면도.
제7도는 제5도의 B-B′선 단면도.
제8도는 제5도의 C-C′선 단면도.
제9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있어서의 편향요크장치의 자계분포도.
제10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구형 패턴도.
제11도는 본 발명에 의한 편향요크가 수상관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제12도는 제9도에 있어서의 점 A, B, C, D, E, F에 있어서의 자계 형상을 나타낸 패턴도이다.
본 발명은 수상관 전자빔을 편향시키기 위한 편향요크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인라인(In-line)형 칼러 수상관에 사용하기 적합한 것이다.
90˚인라인형 칼러수상관과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수직 편향 자계를 바렐 자계(barrel 磁界), 수평편향자계를 핀 자계(pinchushion 磁界)로 한 자계분포를 가진 편향 요크장치를 조합시키면 상하 핀크션 찌그러짐 보정회로가 되어 양측빔을 화면 전체에 걸쳐 일치시킬 수 있다.
제1도에 있어서, 1,2,3은 각각 수상관의 형광면 측에서 전자총측을 본 경우의 좌측 빔(청(靑)빔 B), 중앙 빔(녹(錄)빔 G), 우측 빔(적(赤)빔 R)이다.
90˚편향 인라인형 칼러 브라운관에 관해서 우리는 이미 수평편향 코일의 수평 자계를 전체적으로는 측빔(1,3)을 일치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양의 핀크션 자계를 유지하면서, Z측상(빔 진행 방향과 평행한 축상)에서 자계 분포를 변화시켜 줌으로 해서 즉, 수평 편향 코일의 패널측부에서 강한 핀크션 자계, 넥크부측에서 약해진 핀크션 자계에 의해 측 빔(1,3)을 일치시키는 한편 화면 상하의 핀크션 찌그러짐이 거의 없는 편향요크장치를 실현하였다.
이것은 컨버젼스(Convergence) 특성이 편향요크 전체의 자계분포로 결정되는 것에 대해 핀크션 찌그러짐 등의 화면 찌그러짐은 패널측 자계의 영향을 보다 많이 받는 것을 이용한 것이다.
이와 같이 90˚인라인형 칼러수상관에 있어서의 편향 요크장치에서는 측 빔(1,3)을 완전히 일치시키고, 화면 상하의 핀크션 찌그러짐이 없는 편향 요크장치는 실현되었지만, 110˚편향과 같은 넓은 각도 편향의 칼러 수상관에서는 보정전의 코마수차 및 핀크션 찌그러짐이 크게 되는 경우가 있어 측 빔(1,3)을 화면전면에 일치시키고 상하의 핀크션 찌그러짐이 없는 편향요크장치는 실현되지 않았다.
그 이유는 측 빔(1,3)을 화면 전면에서 일치시키면서 상하 핀크션 찌그러짐이 없는 편향 요크장치의 칫수 및 자계분포는 수상관의 전자총의 간격, 편향각, 화면 싸이즈에 의해 결정되지만 종래에는 이 관계가 정량적으로 성립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수상관의 중심축 즉, Z측에서 떨어진 위치만큼 편향 자계가 구부려져 있기 때문에 칼러 수상관에 부착된 편향요크의 개구부측의 편향자계에 의해 핀크션 찌그러짐(pinchushion disfortion)이 발생한다.
상하 핀크션 찌그러짐은 수평 편향 코일에서 발생한 수평 편향자계에 의해 보정된다.
따라서 110˚편향과 같은 넓은 각도 편향 칼러 수상관과 수직 편향 자계를 바렐 자계, 수평편향 자계를 핀크션 자계로 판 편향 요크장치의 조합에서는 상하 핀크션 찌그러짐이 남게 되고, 또 수평 편향 코일의 개구부에서 강한 핀크션 자계로 한 편향 요크장치와 조합시킨 경우에는 상하 핀크션 찌그러짐은 부정되지만 상하 및 좌우에 있어서 측 빔(1,3)이 일치되지 않는 과대한 컨버전스가 발생한다.
그러나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편향 자계에서는 측빔(1,3)이 일치되어도 측 빔(1,3)과 중앙 빔(2)은 일치되지 않는다. 즉, 중앙빔(2)은 일치된 양측 빔(1,3)보다도 내측에 위치하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코마수차(coma 收産)가 발생한다.
제2도에서 4는 중앙 빔(2)에 의한 구형 패턴, 5는 측 빔(1,3)에 의한 구형 패턴이다. 측 빔(1,3)과 중앙 빔(2) 사이의 변위는 화면 주변을 벗어나게 된다.
이러한 코마수차는 특히 칼러 수상관에 부착된 편향 요크의 넥크(Nack)부에서 중앙 빔(2)의 편향 감도가 측 빔(1) 및 (3)의 편향감도보다 나쁘기 때문에 발생한다. 즉 편향요크의 넥크측에서는 중앙 빔(2)과 측 빔(1,3)이 좌우방향으로 떨어져 있기 때문에 각 빔이 떨어져 있을 때 중앙 빔(2)의 편향 자계가 측 빔(1,3)의 편향자계에 비하여 수직, 수평 편향이 모두 약해지기 때문에 제2도와 같은 코마수차가 발생한다.
이 코마수차는 편향요크만으로서는 보정될 수 없다.
그러나 이것은 중요한 것이 아니다. 왜냐하면 코마수차는 전자총 주위에 통상 필드 컨트로울러(field controler)(자계제어소자)라 칭하는 자성체의 소편(小片)이 배치됨으로써 용이하게 보정되기 때문이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코마수차의 경우에는 자성체의 소편에 의해 중앙빔(2) 주위의 자계가 강해져 측빔(1,3) 주위의 자계가 약해짐으로써 중앙빔(2)과 측빔(1,3)이 일치된다. 따라서 광각편향용의 편향요크에 있어서 중요한 특성은 양측 빔(1,3)의 컨버젼스를 악화시키지 않고 핀크션 찌그러짐을 보정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장치의 전술한 결점을 제거한 새로운 편향요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광각편향 인라인형 칼러 수상관에 사용하면 동 컨버젼스 보정회로 및 상하 핀크션 찌그러짐 보정회로를 필요로 하지 않는 신규의 개량된 편향요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편향요크에서는 한쌍의 수직편향크일은 바렐자계를 발생하도록 권선되어 있고, 또 한쌍의 수평편향의 코일은 편향요크의 패널측(개구부측)에서 매우 강해진 핀크션 자계를 발생하여 넥크부측에서 강해진 바렐형상이 자계를 발생하도록 권선되어 있다.
그리고 매우 강해진 핀크션 형상의 자계는 라스터(raster)의 수직 핀크션 찌그러짐을 보정하고, 강해진 바렐형상의 자계는 양측 빔의 과대한 컨버젼스를 전화면에서 본정한다.
즉, 본 발명의 편향요크는 코어와 코어에 토로이덜형으로 감겨진 한쌍의 수직편향코일과, 또 한쌍의 수평편향코일로써 구성되었고 수직편향코일은 바렐형성의 자계를 발생하는 권선분포를 가지며, 수평편향코일은 패널측(개구부측)에서 매우 강해진 핀크션 형상의 자계를 발생하는 제1권선 분포와 넥크부측에서 강조된 바렐형상의 자계를 발생하는 제2권선 분포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 편향요크는 직선상에 배치된 전자총을 가지고 있으며, 편향각도가 큰 칼러수상관에 사용하면 적합하다.
본 발명자는 넓은 각 편향 칼러브라운관과 편향요크를 조합하여 셀프(self) 콘버전스로 상하 핀크션 찌그러짐을 적게하기 위해 여러가지로 실험한 결과 광각 편향칼러 브라운관의 경우에는 종래의 편향요크와는 다른 수편편향코일의 개구부의 수평편향자계를 매우 강한 핀크션 자계로 하는것 뿐만 아니라 넥크부의 수평편향자계는 강한 바렐자계로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알았다.
이 바렐 자계의 형상은 전자총의 간격, 편향각, 화면 싸이즈에 따라 변화시킬 필요가 있고 편향각이 클수록 바렐자계를 강하게 할 필요가 있다.
110˚편향과 같은 광각 편향의 칼러 수상관에서는 핀크션 찌그러짐이 너무 커지므로 상하 핀크션 찌그러짐 보정회로를 필요치 않게 하기 위해 수평편향 자계는 90˚편향의 경우에 비해 더욱 굴절이 큰 핀크션 자계로 되게 한다.
즉 편향요크장치의 개구부측에서는 개구부 부근의 편향자계는 핀크션 찌그러짐에 의해 영향을 주기 때문에 수평편향자계는 수평코일의 개구부 부근에서는 90˚편향의 경우와 비교할 때 보다 강한 제3도와 같은 핀그션 자계로 하여 상하 핀크션 찌그러짐이 보정된다. 제3도에 있어서 실선은 본 발명의 편향요크에 의해 만들어진 자계에서 매우 강해진 핀크션 형상 자계를 도시한 것이고, 파선은 종래의 편향 요크에 의해 만들어진 핀크션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한편 수평편향코일의 개구부 부근에서 보다 강한 핀크션 자계로 측빔(1,3)을 서로 일치시키면서 과보정이 되므로 이를 정상보정으로 환원시키기 위해 수평편향코일의 넥크부 부근에서는 핀크션 자계와 반대로 제4도와 같은 바렐 자계로 한다.
이와 같이 수평편향 코일의 수평자계를 개구부에서는 보다 강한 핀크션 자계로 하고 넥크부측에서는 강한 바렐 자계로 함으로써 110˚의 광각편향의 경우에는 상하 핀크션 찌그러짐 보정회로 없이 측빔(1,3)을 일치시킬 수가 있다.
이하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편향 요크장치(50)는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52)을 가진 칼러 수상관(51)과 조합하여 사용되어 코아(54)와 이 코아(54)에 감은 수직편향코일(53)과 안장형으로 형성된 수평편향 코일(6)로 구성된 것이지만 수직 편향 코일(53)의 권선형성 방법에 관해서는 종래와 같고 전체적으로는 바렐형 자계분포를 갖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수평편향코일(6)을 후술하는 바와 같이 구성하여 이것을 전술한 수직편향코일(53)과 조합시켜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려고 하는 것이다.
제5도는 본 발명 편향 요크장치에 사용하는 수평 편향 코일(6)의 1실시예의 측면도이다. 제5도는 도시한 수평편향코일(6)은 한쌍의 안장형으로 형성된 수평편향코일(7,7′)로 이루어져 있다. 이 수평편향코일(7,7′)은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Z축상에 있어서의 곡선(9)은 넥크부측을 바렐자계, 개구부측을 매우 강한 핀크션 자계가 되도록 구성한다.
제9도에 도시한 곡선(8)은 자계강도를 나타낸 것이다. 즉, 곡선(9)은 자계의 형상을 나타내며 곡선(8)은 자계의 강도를 나타낸 것이다.
제12a도, 제12b도상에 제9도의 A∼F 점의 자계형상을 나타낸다. 제12a도에 있어서 실선은 A점, 파선은 B점, 일점쇄선은 C점 자계의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제12b도에 있어서 일점쇄선은 D점, 파선은 E점 자계의 현상을 나타낸 것이다. 제12a도, 제12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선으로 나타낸 A점, F점의 자계형상이 가장 강하게 구부러져 있으며, 횡측에서 상방으로 떨어질수록 핀크션 형상의 구부러짐이 강해지고(크게 구부러져) 하방으로 떨어질수록 바렐형상의 구부러짐이 강해진다.
자계의 강도는 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증가시키면 커지고 전류를 감소시키면 작아진다.
빔을 필요량만큼 편향시키기 위해서는 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적당하게 조절하면 된다. 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증감하여도 자계의 형상은 거의 변화하지 않는다. 즉 핀크션 찌그러짐의 보정 및 양측빔의 컨버젼스에 있어서 자계의 강도는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것이다.
제6, 7, 8도는 제5도에 도시한 수평편향코일(7,7′)의 A-A′, B-B′및 C-C′선으로 자를 때의 단면상의 권선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이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5도에 도시한 수평 편향 코일(7,7′)은, 제6도에 있어서의 A-A′선 단면상의 권선분포는, 코일 권폭각 θ1은 7.5∼80˚, 권선분포의 중심 A는 44˚, 제7도에 있어서의 B-B′선 단면상의 권선분포는, 코일 권폭 각 θ2는 5.5∼50˚, 권선 분포의 중심 B는 28˚, 제8도에 있어서의 C-C′선 단면상의 권선분포는 코일권폭각 θ3은 0.5∼20˚, 권선 분포의 중심 C는 10˚가 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수평편향코일(7,7′)의 권선분포의 가장 중요한 요건은 권선분포의 중심의 각도로서, 이 각도에 의해 자계분포가 핀크션 자계인지 바렐 자계인지가 결정된다.즉 권선성포의 중심각도가 30˚일 때 거의 일정자계가 되고 30˚보다 적은때 핀크션 자계가 되며 30˚보다 큰때 바렐자계가 된다.
그러나 제5도에 도시한 수평편향코일(7,7′)은, 제6도의 A-A′선 단면인 넥크부측에서는 44˚에 권선분포의 중심 A가 있기 때문에 바렐자계이고, 제7도의 B-B′선 단면의 중앙부에서는 28˚에 권선분포의 중심 B가 있기 때문에 균일한 자계로 바렐자계, 핀크션 자계도 없는 상태이고, 제8도의 C-C′선 단면의 개구부측에서는 10˚에 권선분포의 중심 C가 있기 때문에 매우 강한 핀크션 자계로 구성되어 있다.
이 상태의 Z축상의 자계분포는 제9도의 곡선(9)과 같이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편향요크장치는 수직편향코일을 바렐자계로 하고, 수평편향코일의 Z축의 자계분포를 넥크부측에서 바렐자계, 개구부측에서 강한 핀크션 자계로 한 것이므로 110˚편향과 같이 넓은 편향칼러 수상관과 조합시키면 측빔(1,3)은 화면 전면에서 일치하고 상하 핀크션 찌그러짐이 없는 패턴이 얻어진다.
이것을 상하 핀크션 찌그러짐 조정회로를 필요로 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수평편향자계를 개구부측에서 매우 강한 핀크션 자계로 하고, 넥크부 측에서 바렐자계로 함으로써 광각편향의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하 핀크션 찌그러짐 보정회로를 요하지 않게 되고 측빔(1,3)을 일치시킬 수가 있지만 이 경우의 코마수차는 제2도와는 다르게 제10도와 같이 중앙빔(2)이 측빔(1,3)의 외측에 오게 된다.
제10도는 본 발명의 구형패턴을 나타낸 것으로서 41은 중앙빔(2)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구형패턴, 42는 측빔(1,3)에 의한 구형 패턴이다.
이와 같이 중앙 빔(2)이 측빔(1,3)의 외측에 오는 이유는 (전술하였지만 다시 반복하면) 넥크부측의 수평편향자계가 바렐자계이기 때문에 중앙부의 자계가 가장 강하고, 주변(좌우)에서의 자계가 약하게 되므로 중앙빔(2)이 측빔(1,3)보다 강하게 편향되기 때문이다.
제6, 7, 8도에 도시한 것과 같은 권선분포를 가진 제5도에 도시한 수평편향코일을 사용한 본 발명 편향요크장치를 22인치 110˚편향 인라인형 칼러 수상관(HITCHI Ltd., 제560 ALB 22형, 전자총간격 6.6m/m)에 부착한 결과 화면 상하의 핀크션 찌그러짐량은 1% 이내로 되고, 화면 좌우단에서의 측빔(1,3)은 완전히 일치하고, 중앙빔(2)은 일치한 측빔(1,3)의 2m/m 외측이었다.
그리고 화면의 좌우단에서 3빔을 일치시키는 것은 전자총의 일부에 부착한 코마수차 보정용 자성편(자계조성)의 형상을 변화하는 것에 의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에 없는 새로운 자계분포를 가진 본 발명의 편향요크를 광각 편향 인라인형 칼러 수상관과 조합시켜 사용함으로써 측 빔을 전체에서 일치시키 위한 보정회로 및 상하 핀크션 찌그러짐 보정회로가 필요하지 않게 되므로 칼러 텔레비젼의 원가 절감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양 보정회로는 많은 조정개소를 가지고 있으므로 성능의 안정성에 있어서 불안이 있고 또 많은 회로 소자를 요하기 때문에 신뢰성이 낮은 등 본질적인 결점을 본 발명에 의해 일시에 해결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동일 평면상에 전자빔을 발사하는 3개의 전자총을 가진 칼러 수상관과 조합시켜 사용되는 편향요크장치로서, 코아와 코아에 토로이덜 형으로 권선되어 칼러수상관이 가지는 3개의 전자총중 양측으로 배치된 전자총이 발생하는 양측빔의 컨버젼스를 보정하기 위한 바렐형상의 공지의 수직편향자계를 발생하는 권선분포를 가지는 한쌍의 수직편향코일과, 코아에 조합되어 칼러수상관의 스크린에 주사된 라스터의 수직 핀크션 찌그러짐을 보정하기 위한 칼러수상관의 패널부측에 배치되는 부분에서 매우 강해진 핀크션 형상의 수평편향자계를 발생하는 제1권선 분포와 이 강해진 핀크션 형상의 수평편향 자계에 의해 발생되는 양측 빔의 과대한 컨버젼스 보정을 재수정하면서 3개의 전자총중 중앙에 배치된 전자총이 발사한 전자빔을 양측빔보다 크게 편향하기 위한 칼러수상관의 넥크부측에 배치된 부분에서 강해진 바렐형상의 수평편향 자계를 발생하는 제2권선 분포를 가지는 한쌍의 수평편향코일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장치.
KR7700858A 1977-04-09 1977-04-09 칼러텔레비젼 수신기용 편향 요크장치 KR8100018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700858A KR810001808B1 (ko) 1977-04-09 1977-04-09 칼러텔레비젼 수신기용 편향 요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700858A KR810001808B1 (ko) 1977-04-09 1977-04-09 칼러텔레비젼 수신기용 편향 요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10001808B1 true KR810001808B1 (ko) 1981-11-14

Family

ID=19204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700858A KR810001808B1 (ko) 1977-04-09 1977-04-09 칼러텔레비젼 수신기용 편향 요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10001808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31009A (en) Deflection yoke with a magnet for reducing sensitivity of convergence to yoke position
US5506469A (en) Display tube with deflection unit comprising field deflection coils of the semi-saddle type
US4242612A (en) Deflection unit for color television display tubes
KR910001417B1 (ko) 텔레비젼 화상표시장치 및 편향장치
US4237437A (en) Deflection unit for color television display tubes
US4041428A (en) Deflection yoke for use with in-line cathode ray tubes
US4882521A (en) Deflection yoke for a color cathode ray tube
US4524340A (en) Device for displaying television pictures
US5378961A (en) Deflection yoke apparatus
JPH0542776B2 (ko)
US4096462A (en) Deflection yoke device for use in color television receiver sets
US5598055A (en) Deflection device for use in a color cathode-ray tube
KR810001808B1 (ko) 칼러텔레비젼 수신기용 편향 요크장치
JPS6029183B2 (ja) 偏向ヨ−ク
US4933596A (en) Deflection yoke with compensation for misconvergence by the horizontal center raster
KR100703506B1 (ko) 컨버전스 보정 장치를 가진 컬러 음극선관
US4305055A (en) Television display system incorporating a coma corrected deflection yoke
KR100193580B1 (ko) 편향요크의 인어 암
JPS59191238A (ja) 偏向ヨ−ク
US3588566A (en) Electromagnetic deflection yoke having bypassed winding turns
JPH0359931A (ja) カラー受像管用偏向ヨーク
JP2656591B2 (ja) 偏向装置及びそれを構成する偏向ヨーク
JP3500163B2 (ja) カラー受像管用偏向装置
JP2703138B2 (ja) 偏向ヨーク
KR850001694B1 (ko) 인라인형 컬러 수상관 장치